KR20050076644A - 피부 관리기 - Google Patents

피부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644A
KR20050076644A KR1020050004535A KR20050004535A KR20050076644A KR 20050076644 A KR20050076644 A KR 20050076644A KR 1020050004535 A KR1020050004535 A KR 1020050004535A KR 20050004535 A KR20050004535 A KR 20050004535A KR 20050076644 A KR20050076644 A KR 20050076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tion nozzle
nozzle
mounting por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142B1 (ko
Inventor
이카다이가즈야스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6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61M1/742Suction control by changing the size of a v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4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코의 밑 및 코의 전체를 충분히 밀착시킬 수 있어, 코부 전체로부터 피지나 오염을 충분히 흡인할 수 있는 피부 관리기를 제공한다.
흡인노즐(2)을 흡인펌프(20)의 장착부(27)에 대하여 장착 분리 가능한 어태치먼트로 하고, 장착부(27)와 흡인노즐(2) 사이에 밀봉 부재(28)를 마련하여 공기누설을 방지한다. 흡인노즐(2)은 흡인구의 개구부가 작은 제1단부(2D)와 흡인구의 개구부가 큰 제 2 단부(2E)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장착부(27)에 장착 가능하고, 코의 밑이나 코의 측면 등을 흡인할 때에는 흡인구의 개구부가 작은 제 1 단부(2D)를 이용하여 피부를 흡인한다. 또한, 볼 등 코 이외의 부분을 흡인하기 위해서는 흡인구의 개구부가 큰 제 2 단부(2E)를 이용하여 피부를 흡인한다.

Description

피부 관리기{SKIN CARE DEVICE}
본 발명은 흡인노즐을 피부에 접촉시켜 피지나 피부의 오염을 흡인 제거하는 피부 관리기, 특히 코의 밑이나 코의 측면 등 코부 전체에 대하여 흡인노즐의 흡인구를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어, 피지나 오염의 제거 효과를 향상시킨 피부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피부 관리기에서는 흡인노즐의 흡인구를 피부에 접촉시키고, 흡인펌프를 구동함으로써 흡인구로부터 피지나 오염 등을 흡인 제거함과 동시에, 흡인부를 마사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흡인노즐의 흡인구를 피부에 접촉시켜 사용할 때, 흡인노즐의 흡인구가 비교적 큰 경우, 코의 밑이나 코의 측면 등에 접촉시키면, 흡인노즐의 흡인구와 피부 사이에 작은 간극이 발생하여, 흡인구와 피부의 밀착성이 불충분해져, 충분한 피지나 오염의 제거를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코의 밑 등에 접촉시켜도 흡인구가 피부에 밀착할 수 있을 정도로 흡인노즐의 흡인구를 작게 하면, 얼굴의 전체로부터 피지나 오염을 제거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특허문헌1에는 흡인노즐을 장착 분리 가능한 어태치먼트 구조로 한 피부 관리기가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 피부 관리기에서는 피부의 일 부분이 흡인노즐에 빨아 들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흡인노즐의 선단부를 직경이 크고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환상 에지와, 환상 에지보다도 직경이 작고 실제로 흡인노즐의 흡인구로서 기능하는 완충 에지의 이중 구조로 한 것으로, 흡인노즐을 코의 밑이나 코의 측면 등에 접촉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0-l9751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코의 밑 및 코의 전체를 충분히 밀착시킬 수 있고, 코부 전체로부터 피지나 오염을 충분히 흡인할 수 있는 피부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기는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인펌프와, 상기 흡인펌프의 장착부에 장착 분리 가능하고, 흡인구의 개구부가 작은 제 1 단부와 흡인구의 개구부가 큰 제 2 단부를 갖고,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단부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상기 장착부에 장착 가능한 흡인노즐과,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과 상기 흡인노즐의 외주면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장착부와 상기 흡인노즐 사이를 밀폐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기는 상술한 피부 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장착부의 내주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기는 상술한 피부 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흡인노즐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기는 상술한 피부 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각 흡인구의 개구부는 대략 원형, 대략 타원형 및 대략 고반형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기는 상술한 피부 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흡인노즐은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기는 상술한 피부 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흡인노즐의 근방에 마련되고, 액체를 분무하기 위한 분무노즐과, 상기 분무노즐에 공급하는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내의 액체를 상기 분무노즐로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 펌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각 흡인구의 개구부는 상기 흡인노즐과 상기 분무노즐을 연결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기는 상술한 피부 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 적어도 한곳의 개방 구멍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기는 상술한 피부 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흡인노즐의 외주부에 미끄러짐 방지 장치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관리기는 상술한 피부 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흡인노즐의 장착 방향에 따라서 상기 흡인펌프의 내부공간의 용적을 변화시키는 내용적 가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기(1)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그 내부구성을 도시한 측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부 관리기(1)의 하우징(10)의 대략 하반부는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쥐기 위한 그립부이다. 또한, 하우징(10)의 상반부의 대략 중앙부에는 흡인노즐(2)이 마련되고 있고, 또한 흡인노즐(2)의 근방이고, 또한 위쪽에는 액체를 피부에 대하여 분무하기 위한 분무노즐(3)이 설치되어 있다. 피부 관리기(1)에 의한 피지나 오염의 흡인을 온/오프하기 위한 메인 스위치(4)는 하우징(10) 정면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액체의 분무를 온/오프하기 위한 분무 스위치(5)는 하우징의 우측면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그립부의 내측에는 충전식의 이차전지 등의 전원용 배터리(6) 및 메인 스위치(4)의 스위치편(7)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내부의 대략 중앙부에는 구동모터(8)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8)의 위쪽이고, 또한 정면에서 볼 때 흡인노즐(2)의 뒤쪽에는 흡인펌프(20) 및 액체 공급 펌프(30)가 구동모터(8)의 구동축(8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액체 공급 펌프(30)의 더욱 위쪽에는 물 등의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9)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기(1)에서는 흡인펌프(20)와 액체 공급 펌프(30)를 하나의 구동모터(8)로 구동하여, 흡인펌프(20)와 액체 공급 펌프(30)를 동시 구동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흡인노즐(2)에 의한 피지나 오염의 흡인과 분무노즐(3)에 의한 액체의 분무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을 소형화하고, 중량 밸런스가 좋고, 사용이 편리한 피부 관리기(1)를 실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의 구동모터(8)보다도 상부의 확대단면도이다. 흡인펌프(20)는 흡인노즐(2)의 후단을 개폐하는 흡인밸브(21)와, 흡인밸브(2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흡인밸브(21)의 개폐 동작과는 반대로 개폐동작을 하는 배기밸브(22)와, 흡인펌프(20)의 내부공간의 용적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변형되는 탄성체(다이어프램)(23)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인노즐(2)의 선단의 흡기구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탄성체(23)가 흡인펌프(20)의 내부공간의 용적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면, 흡인밸브(21)가 개방되고 배기밸브(22)가 닫혀 흡인노즐(2)의 흡인구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인다. 반대로, 탄성체(23)가 흡인펌프(20)의 내부공간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면, 흡인밸브(21)가 닫히고 배기밸브(22)가 개방되어 흡인펌프(20)의 내부공간의 공기를 배기구로부터 뿜어낸다.
흡인노즐(2)의 선단의 흡기구에 피부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탄성체(23)가 흡인펌프(20)의 내부공간의 용적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면, 흡인밸브(21)가 개방되고 배기밸브(22)가 닫혀 흡인노즐(2)의 내부공간과 흡인펌프(20)의 내부공간이 연통됨과 동시에 그 용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들의 내부의 압력이 저하한다. 다음에, 탄성체(23)가 흡인펌프(20)의 내부공간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변형되면, 흡인밸브(21)가 닫히고 흡인노즐(2)의 내부공간이 닫혀져 그 압력이 유지된다. 한편, 배기밸브(22)가 열리면, 흡인펌프(20)의 내부의 공기가 배기구로부터 뿜어내져 외기와 동일한 압력이 된다. 이 탄성체(23)의 변형을 연속하여 반복하면, 흡인노즐(2)의 내부공간의 압력이 서서히 저하하여 흡인력이 발생한다. 그 결과, 피부로부터 피지나 오염이 빨아내진다.
액체 공급 펌프(30)도 마찬가지로 액체 공급 펌프(30)에 외부에 연통되어 외기를 흡인하기 위한 흡기밸브(31)와, 흡기밸브(3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흡기밸브(31)의 개폐 동작과는 반대로 개폐동작을 하는 배기밸브(32)와, 액체 공급 펌프(30)의 내부공간의 용적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변형되는 탄성체(33)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액체 공급 펌프(30)의 배기구(34)는 액체의 분무를 실행하는 분무노즐(3)의 토출구에 접속되어 흡기밸브(31)로부터 빨아들인 공기를 배기관(40)을 거쳐서 분무노즐(3)로 보내준다. 분무노즐(3)에서는 주지의 벤투리 효과를 이용하여 분무를 발생시키고 있다.
흡인노즐(2)은 흡인펌프(20)에 대하여 장착 분리 가능한 어태치먼트로서 구성되어 있고, 중앙부에 형성된 테두리(2A)에 대하여 그 양측 근방(2B, 2C)은 동일한 외경을 갖고 있고, 전후를 반대로 하여 흡인펌프(20)의 장착부(27)에 장착 가능하다. 또한, 흡인노즐(2)의 제 1 단부(2D)의 흡인구의 개구부는 제 2 단부(2E)의 흡인구의 개구부보다도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단부(2D) 및 제 2 단부(2E)의 근방의 외경은 테두리(2A)의 양측 근방(2B, 2C)의 외경보다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인노즐(2)과 흡인펌프(20)의 장착부(27) 사이에는 공기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흡인노즐(2)이 장착부(27)에 끼워 맞추어질 때. 예컨대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흡인노즐(2)의 외주면과 흡인펌프(20)의 장착부(27)의 내주면에 밀착하는 밀봉 부재(28)가 설치되어 있다.
흡인노즐(2)의 제 1 단부(2D)의 흡인구의 개구부는 코의 밑이나 코의 측면 등에 접촉시켰을 때에도 흡인노즐(2)의 흡인구와 피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 또는 발생하기 어려운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흡인노즐(2)의 제 2 단부(2E)의 흡인구의 개구는 볼 등 코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효율적으로 피지나 오염을 흡인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사용자는 흡인하는 부분에 따라서, 흡인노즐(2)의 장착 방향을 적절히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단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소망하는 범위로부터 피지나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흡인노즐(2)을 흡인펌프(20)의 장착부(27)로부터 분리하고, 장착부(27)를 직접피부에 접촉시켜서, 피지나 오염을 흡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장착부(27)의 개구부는 흡인노즐(2)의 제 2 단부(2E)의 흡인구의 개구부보다도 크기 때문에, 한번에 보다 넓은 범위로부터 피지나 오염을 흡인할 수 있다.
도 3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동일 출원인에 의해 동일자로 출원되는 한국 출원번호 10-2005-0004407호에 기재되어 있다.
흡인노즐(2)의 구체적인 치수를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다. 도 4a는 흡인노즐(2)의 제 1 단부(2D)의 흡인구를 나타내고, 도 4b는 흡인노즐(2)의 제 2 단부(2E)의 흡인구를 나타낸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단부(2D)의 흡인구의 개구부는 예컨대 긴 직경이 약 4.5mm이고 짧은 직경이 약 4.0mm인 대략 타원형을 갖고 있다. 또한, 흡인구 근방의 수지의 두께는 약 1.0mm이다. 또한,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단부(2E)의 흡인구의 개구부는 예컨대 긴 직경이 약 9.5mm이고 짧은 직경이 약 7.0mm인 대략 타원형을 갖고 있다. 또한, 흡인구 근방의 수지의 두께는 약 1.5mm이다. 또, 흡인노즐(2)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흡인노즐(2)자체를 경질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흡인노즐(2)의 흡인구와 피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흡인노즐(2)로부터 피지나 오염을 제거함과 동시에, 피부를 향해서 분무노즐(3)로부터 액체를 분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 때, 분무노즐(3)로부터 분무되는 액체가 흡인노즐(2)이 접촉하는 부분의 근방에 효율적으로 공급되도록, 각 흡인구의 개구부가 흡인노즐(2)과 분무노즐(3)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편평하게 되도록, 대략 타원형의 긴 직경 방향을 분무노즐(3)측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수치는 본 출원인이 실험에 의해서 얻어진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수치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들 수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흡인구의 개구부는 반드시 대략 타원형일 필요는 없고, 대략 원형이나 그 밖의 형상이더라도 무방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액체의 분무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피부 관리기에서는 흡인구의 개구부의 형상은 자유롭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기(1)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흡인노즐(2)로부터 테두리를 생략함과 동시에, 밀봉 부재(28)를 흡인노즐(2)의 외주부의 축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장착한 것이다. 5a는 흡인구의 개구부가 작은 제 1 단부(2D)측을 외측으로 하여 흡인노즐(2)을 흡인펌프(20)의 장착부(27)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5b는 흡인구의 개구부가 큰 제 2 단부(2E)측을 외측으로 하여 흡인노즐(2)을 흡인펌프(20)의 장착부(27)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흡인노즐(2)의 외주부에는 흡인펌프(20)의 장착부(27)에 장착했을 때에 흡인노즐(2)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장착부(27)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는 환상의 돌기(2F)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2F)는 흡인노즐(2)을 장착부(27)에 장착하거나, 또는 장착부(27)로부터 분리할 때의 미끄러짐 방지 장치로서도 기능한다. 이와 같이, 밀봉 부재(28)를 흡인노즐(2)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흡인노즐(2) 및 흡인펌프(20)의 장착부(27)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반대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 부재(28)를 흡인펌프(20)의 장착부(27)의 내주부에 마련함으로써 흡인노즐(2) 및 흡인펌프(20)의 장착부(27)의 외경이 커지지만, 사용자가 부주의해서 밀봉 부재(28)를 건드릴 가능성이 저감되어, 밀봉 부재(28)의 손상이나 밀봉 부재(28)의 장착 불량에 의한 공기누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 및 도 5b와 마찬가지로 밀봉 부재(28)를 흡인노즐(2)의 외주부의 축방향의 대략 중앙에 장착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6a는 흡인노즐(2)의 외주면을 원통형으로 한 것이고, 도 6b는 흡인노즐(2)의 외주면에 미끄러짐 방지 장치(2G)를 마련한 것이다. 이들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형상에 비교해서, 흡인펌프(20)의 장착부(27)에 장착했을 때에 흡인노즐(2)이 약간 기울어지기 쉬워지지만, 흡인노즐(2)의 구조 및 그것을 성형하는 금형의 구조가 간단해져 성형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흡인노즐(2)을 흡인펌프(20)의 장착부(27)로부터 분리하여, 장착부(27)를 직접 피부에 접촉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흡인력은 흡인펌프(20)에 의한 압력(부압)과 흡인구의 개구부의 면적의 곱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흡인력이 지나치게 크면, 피부가 장착부(27)의 내부로 흡인되어, 피부에 충혈에 의한 자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인펌프(20)의 장착부(27)의 내주면에 적어도 한곳의 개방 구멍(29)을 마련해도 좋다. 이와 같이 개방 구멍(29)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흡인노즐(2)을 장착하지 않을 때에는 개방 구멍(29)으로부터 외기가 흡인되어 흡인력이 적절히 저감되기 때문에, 피부가 장착부(27)의 내부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충혈에 의한 자반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인노즐(2)이 흡인펌프(20)의 장착부(27)에 장착되면, 흡인노즐(2)의 외주부에 의해서 개방 구멍(29)이 막힐 수 있기 때문에, 흡인력이 저하되는 일없이, 흡인노즐(2)의 흡인구로부터 피지나 오염을 흡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흡인력은 흡인펌프(20)에 의한 압력과 흡인구의 개구부의 면적의 곱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흡인펌프(20)의 압력을 흡인노즐(2)의 흡인구의 개구부가 큰 제 2 단부(2E)측을 사용하여 흡인할 때에 최적의 흡인력이 되도록 설정하면, 흡인구의 개구부가 작은 제 1 단부(2D)측을 사용하여 흡인할 때에 충분한 흡인력을 얻을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흡인펌프(20)에 그 내부공간의 용적을 가변으로 하는 내용적 가변 부재(50)를 마련한 것이다. 내용적 가변 부재(50)는 흡인펌프(20)의 내부공간(20A)에 돌출 가능하도록, 흡인펌프(20)의 하우징(20B)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인노즐(2)의 흡인구의 개구부가 큰 제 2 단부(2E)측을 사용하여 흡인할 때에는 흡인구의 개구부가 작은 제 1 단부(2D)가 하우징(20B)에 접촉하여, 내용적 가변 부재(50)는 도면 중 좌측으로 대피하고 있다. 그 때문에, 흡인펌프(20)의 내부공간의 용적이 감소되지 않아, 흡인노즐(2)의 흡인구의 개구부가 큰 제 2 단부(2E)측을 사용하여 흡인할 때에 최적의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인노즐(2)의 흡인구의 개구부가 작은 제 1 단부(2D)측을 사용하여 흡인할 때에는 흡인구의 개구부가 큰 제 2 단부(2E)가 내용적 가변부재(50)에 접촉하여, 내용적 가변 부재(50)가 흡인펌프(20)의 내부공간(20A) 안으로 돌출한다. 그 때문에, 흡인펌프(20)의 내부공간의 용적이 감소되어, 흡인펌프에 의한 압력(부압)을 증가시킬 수 있어, 흡인노즐(2)의 흡인구의 개구부가 작은 제 1 단부(2D)측을 사용하여 흡인할 때에도 최적의 흡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인노즐을 장착 분리 가능한 어태치먼트로 하면서, 밀봉 부재에 의해서 공기누설을 방지하면서, 흡인노즐의 흡인구를 피부에 접촉시켜, 흡인펌프를 구동함으로써 흡인구로부터 피지나 오염 등을 흡인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흡인노즐은 흡인구의 개구부가 작은 제 1 단부와 흡인구의 개구부가 큰 제 2 단부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장착부에 장착 가능하고, 코의 밑이나 코의 측면 등을 흡인할 때에는 흡인구의 개구부가 큰 제 2 단부로부터 장착부에 장착하여 흡인구의 개구부가 작은 제 1 단부를 이용하여 피부를 흡인한다. 또한, 볼 등 코 이외의 부분을 흡인하기 위해서는 흡인구의 개구부가 작은 제 1 단부로부터 장착부에 장착하여 흡인구의 개구부가 큰 제 2 단부를 이용하여 피부를 흡인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흡인하는 부분에 따라서 흡인노즐의 장착 방향을 적절히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단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소망하는 범위로부터 피지나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밀봉 부재가 장착부의 내주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인노즐 및 장착부의 외경이 커지지만, 사용자가 부주의해서 밀봉 부재를 건드릴 가능성이 저감되어 밀봉 부재의 손상이나 밀봉 부재의 장착 불량에 의한 공기누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밀봉 부재가 흡인노즐의 외주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흡인노즐 및 장착부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흡인구의 개구부가 대략 원형, 대략 타원형태 및 대략 고반형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흡인하는 장소나 피부 관리기의 기능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피부로부터 피지나 오염을 흡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인노즐을 탄성재료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흡인노즐의 흡인구와 피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흡인구의 개구부를 흡인노즐과 분무노즐을 연결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평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분무노즐로부터 분무되는 액체를 흡인노즐에 의해서 방해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흡인노즐의 근방에 분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착부의 내주면에 적어도 한곳의 개방 구멍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흡인노즐을 장착부에서 분리하고 장착부를 직접 피부에 접촉시켜 사용한 경우에, 개방 구멍으로부터 외기가 흡인되어 흡인력이 적절히 저감되기 때문에 피부가 장착부의 내부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충혈에 의한 자반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흡인노즐을 장착부에 장착하면, 흡인노즐의 외주부에 의해서 개방 구멍이 막히기 때문에 흡인력이 저하되지 않고 흡인노즐의 흡인구로부터 피지나 오염을 흡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인노즐의 외주부에 미끄러짐 방지 장치를 마련했기 때문에 흡인노즐을 장착부에 장착하거나, 장착부에서 흡인노즐을 분리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적 가변 수단에 의해 흡인노즐의 장착 방향에 따라 흡인펌프의 내부공간의 용적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흡인노즐이 흡인구의 개구부가 작은 제 1 단부로부터 장착부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내용적 가변 수단에 의해 흡인펌프의 내부공간의 용적을 크게 하여 흡인펌프의 압력을 저하시키고, 흡인노즐이 흡인구의 개구부가 큰 제 2 단부로부터 장착부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내용적 가변 수단에 의해 흡인펌프의 내부공간의 용적을 작게 하여 흡인펌프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흡인노즐의 장착 방향에 관계없이, 최적의 흡인력으로 피부로부터 피지나 오염을 흡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기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상기 피부 관리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측부 단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구동모터보다도 상부의 확대단면도,
도 4a는 흡인노즐을 흡인구의 개구부가 작은 제 1 단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4b는 흡인노즐을 흡인구의 개구부가 큰 제 2 단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5a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기의 변형예에 있어서 흡인노즐의 흡인구의 개구부가 작은 제 1 단부측을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부 단면도, 도 5b는 흡인구의 개구부가 큰 제 2 단부측을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부 단면도,
도 6a 및 6b는 각각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흡인노즐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기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흡인노즐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부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변형예에 있어서, 흡인노즐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부 단면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기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흡인구의 개구부가 큰 제 2 단부측을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부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변형예에 있어서, 흡인구의 개구부가 작은 제 1 단부측을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부 관리기 2 : 흡인노즐
2D : (흡기구의 개구부가 작은)제 1 단부
2E : (흡기구의 개구부가 큰)제 2 단부
2F : 돌기(미끄러짐 방지 장치)
2G : 미끄러짐 방지 장치
3 : 분무노즐 5 : 분무 스위치
8 : 구동모터 20 : 흡인펌프
20A : 내부공간 20B : 하우징
27 : 장착부 28 : 밀봉 부재
29 : 개방 구멍 30 : 액체 공급 펌프
50 : 내용적 가변 부재(내용적 가변 수단)

Claims (10)

  1.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흡인펌프와,
    상기 흡인펌프의 장착부에 장착 분리 가능하고, 흡인구의 개구부가 작은 제 1 단부와 흡인구의 개구부가 큰 제 2 단부를 갖고,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단부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상기 장착부에 장착 가능한 흡인노즐과,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과 상기 흡인노즐의 외주면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장착부와 상기 흡인노즐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장착부의 내주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흡인노즐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흡인구의 개구부는 대략 원형 또는 대략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노즐은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노즐의 근방에 마련되어 액체를 분무하기 위한 분무노즐과, 상기 분무노즐에 공급하는 액체를 저장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내의 액체를 상기 분무노즐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 펌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각 흡인구의 개구부는 상기 흡인노즐과 상기 분무노즐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편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 적어도 한곳의 개방 구멍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노즐의 외주부에 미끄러짐 방지 장치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노즐의 장착 방향에 따라서 상기 흡인펌프의 내부공간의 용적을 변화시키는 내용적 가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적 가변 수단은 흡인노즐의 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기.
KR1020050004535A 2004-01-19 2005-01-18 피부 관리기 KR100574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11098A JP2005198988A (ja) 2004-01-19 2004-01-19 美顔器
JPJP-P-2004-00011098 2004-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644A true KR20050076644A (ko) 2005-07-26
KR100574142B1 KR100574142B1 (ko) 2006-04-26

Family

ID=3461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535A KR100574142B1 (ko) 2004-01-19 2005-01-18 피부 관리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96352B2 (ko)
EP (1) EP1554948B1 (ko)
JP (1) JP2005198988A (ko)
KR (1) KR100574142B1 (ko)
CN (2) CN2796696Y (ko)
AT (1) ATE420575T1 (ko)
DE (1) DE602005012323D1 (ko)
HK (1) HK10787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1990B2 (ja) * 2004-01-19 2007-10-17 松下電工株式会社 美顔器
JP3952021B2 (ja) * 2004-01-19 2007-08-01 松下電工株式会社 美顔器
FI120786B (fi) 2008-07-30 2010-03-15 Hld Healthy Life Devices Ltd Säädettävä hierontalaite ja menetelmä hierontalaitteen säätämiseksi
DE102013110501B4 (de) 2013-09-23 2016-02-18 Novoluto Gmbh Stimulationsvorrichtung
CN103655162A (zh) * 2013-12-21 2014-03-26 中山市比森塑料电子制品有限公司 一种冷气蒸脸器
US9950147B2 (en) * 2014-09-12 2018-04-24 Je Matadi,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a skin care composition
DE202015105689U1 (de) 2015-03-13 2015-11-11 Novoluto Gmbh Stimulationsvorrichtung mit Fortsatz
USD847360S1 (en) * 2017-01-10 2019-04-30 Home Skinovations Ltd. Skin tightening device
US11471364B2 (en) 2019-01-16 2022-10-18 Rodan & Fields, Llc Skin cleansing device having interchangeable cleansing heads
USD883470S1 (en) * 2019-10-23 2020-05-05 Junjie Wei Nasal aspirator
US20230048210A1 (en) * 2022-11-04 2023-02-16 Dongguan Shuxintang Health Technology Co., Ltd. Suction to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0114A (en) * 1950-10-17 1955-06-07 Waber Donald Dispensers for prophylactics
JPS534648A (en) 1976-06-30 1978-0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pparatus for facial treatment
US4182329A (en) * 1977-05-31 1980-01-08 Smit Helen E Acne facial treatment appliance and method
DE3776990D1 (de) * 1986-07-02 1992-04-09 Sherwood Medical Co Medizinische sauganordnung.
JPH01223903A (ja) * 1988-03-04 1989-09-07 Jiyanitsukusu Kk 美容器
JPH0636819Y2 (ja) * 1988-10-15 1994-09-28 鐘紡株式会社 吸引器
DE4223516C1 (ko) * 1992-07-17 1993-07-22 Viktor Dipl.-Ing. 5300 Bonn De Schatz
IT230380Y1 (it) * 1993-07-22 1999-06-02 Daniels Spa Dispositivo aspirante portatile per uso domestico per il trattamento naturale della cute,in particolare delle rughe
JP3324990B2 (ja) 1998-01-14 2002-09-17 松下電工株式会社 美顔器
JP3290125B2 (ja) 1998-01-14 2002-06-10 松下電工株式会社 美顔器
JP3870629B2 (ja) * 1998-10-26 2007-01-24 松下電工株式会社 美顔器
US6319211B1 (en) 1998-10-26 2001-11-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acial aesthetic treatment apparatus
JP2000334009A (ja) 1999-05-31 2000-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美顔器
JP3864652B2 (ja) 1999-12-10 2007-01-10 松下電工株式会社 美顔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20575T1 (de) 2009-01-15
US20050159684A1 (en) 2005-07-21
CN1657033A (zh) 2005-08-24
HK1078763A1 (en) 2006-03-24
KR100574142B1 (ko) 2006-04-26
US7396352B2 (en) 2008-07-08
CN100456992C (zh) 2009-02-04
CN2796696Y (zh) 2006-07-19
EP1554948A1 (en) 2005-07-20
DE602005012323D1 (de) 2009-03-05
JP2005198988A (ja) 2005-07-28
EP1554948B1 (en)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142B1 (ko) 피부 관리기
KR100611875B1 (ko) 피부 관리기
KR100614731B1 (ko) 피부 관리기
EP0997156B1 (en) Facial aesthetic treatment apparatus
US6517511B2 (en) Cleansable multi-purpose nasal discharge aspirator
JP2002529660A5 (ko)
JPH11210633A (ja) 吸引装置
JP7228297B1 (ja) 鼻水吸引器
JP3870629B2 (ja) 美顔器
WO2023195191A1 (ja) 鼻水吸引器
CN212997667U (zh) 防倒漏吸头组件及黑头仪
CN219501655U (zh) 吸鼻器
JPH0382423A (ja) 電動手持ち吸塵装置
CN212327059U (zh) 吸头机构及黑头仪
CN212880342U (zh) 吸头组件及黑头仪
JP2587815Y2 (ja) 吸引制御機能付きコネクタ
KR100525377B1 (ko) 진공청소기용 종이필터 수납케이스
JP2006034891A (ja) 電気掃除機
KR200362558Y1 (ko) 부항기용 진공흡입기
KR20050061732A (ko) 청소기의 호스 고정장치
KR200297391Y1 (ko) 귀이개
CN111228591A (zh) 防堵塞吸头组件及黑头仪
JP2023153627A (ja) 鼻水吸引器
JP3092926U (ja) 二方向手動ポンプ構造
CN111388768A (zh) 吸头机构及黑头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