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393A - 상호 연결된 링으로 이루어진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 Google Patents

상호 연결된 링으로 이루어진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393A
KR20050075393A KR1020057008479A KR20057008479A KR20050075393A KR 20050075393 A KR20050075393 A KR 20050075393A KR 1020057008479 A KR1020057008479 A KR 1020057008479A KR 20057008479 A KR20057008479 A KR 20057008479A KR 20050075393 A KR20050075393 A KR 20050075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achine direction
fabric
rings
industrial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에이. 한슨
Original Assignee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75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39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21F1/0072Link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Papermaking press f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4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with specified seam structure of papermaking bel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5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grain, strips, or filamentary elements in respective layers or components in angular re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5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grain, strips, or filamentary elements in respective layers or components in angular relation
    • Y10T428/24074Strand or strand-portions
    • Y10T428/24116Oblique to direction of we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707Woven fabric 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other than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638Side-by-side multicomponent strand or fiber material

Landscapes

  • Paper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틀에 의해 연결된 링을 포함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을 개시한다. 하나의 주요 구현예에서, 상기 링은 기계 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핀틀은 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링을 연결한다. 이러한 구조는 직물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니들링 손상에 대한 내구성을 제공한다. 또 다른 주요 구현예에서, 상기 링은 교차 기계 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핀틀은 기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링을 연결한다.

Description

상호 연결된 링으로 이루어진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On-machine-seamable industrial fabric comprised of interconnected rings}
본 발명은 제지 기술 및 그와 관련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제지기의 프레스부에 사용되는 기계상 접합(on-machine-seamable) 프레스 직물과 같은 다양한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제지 공정 도중, 섬유상 슬러리, 즉 셀룰로오스 섬유의 수분산액(aqueous dispersion)을 제지기의 성형부 내의 이동 성형 직물(moving forming fabric) 상에 퇴적시킴으로써 셀룰로오스 섬유 웹(web)이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다량의 물이 성형 직물을 통하여 상기 슬러리로부터 배출되어, 성형 직물의 표면 상에 셀룰로오스 섬유 웹을 남긴다.
새로이 형성된 셀룰로오스 섬유 웹은 성형부로부터 일련의 프레스 닙(press nip)을 포함하는 프레스부로 진행한다. 셀룰로오스 섬유 웹은 하나의 프레스 직물에 의하여 지지되는 프레스 닙을 통과하거나, 또는, 종종 그러한 바와 같이, 2개의 프레스 직물 사이를 통과한다. 프레스 닙에서, 셀룰로오스 섬유 웹은 압축력을 받는데, 이 압축력은 웹으로부터 물을 짜내고, 웹내의 셀룰로오스 섬유를 서로 부착시켜서, 셀룰로오스 섬유 웹을 종이 시트(paper sheet)로 전환시킨다. 물은 프레스 직물 또는 직물들에 의하여 수용되고, 이상적으로는 종이 시트로 돌아가지 않는다.
종이 시트는 최종적으로 건조부로 진행하는데, 이 건조부는 스팀에 의하여 내부적으로 가열되는 일련의 회전가능한 건조 드럼 또는 실린더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새로이 형성된 종이 시트는, 드럼의 표면에 대하여 종이 시트를 밀착시키는 건조 직물에 의하여, 상기 일련의 각 드럼의 둘레를 연속적으로 꾸불꾸불한 행로를 따라서 진행한다. 가열된 드럼은 증발을 통하여 종이 시트의 물 함량을 소망하는 수준으로 감소시킨다.
성형 직물(forming fabrics), 프레스 직물(press fabrics) 및 건조 직물(dryer fabrics)은 제지기에서 모두 순환 루프(endless loop)의 형상을 가지며, 컨베이어의 방식으로 기능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제지 공정은 상당한 속도로 진행되는 연속 공정이라는 것도 인식되어야 한다. 즉, 새로이 제조된 종이 시트가 건조부를 통해 나온 후 롤상으로 연속적으로 권취되는 동안에도, 섬유 슬러리는 연속적으로 성형부 내의 성형 직물 위에 퇴적된다.
이제 프레스 직물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에는 프레스 직물이 순환 형태(endless form)로만 공급되었다는 것이 기억되어야 한다. 이는 새로이 형성된 셀룰로오스 섬유 웹이 프레스 직물 내의 불균일성(nonuniformity)에 의한 프레스 닙의 마킹에 극히 민감하기 때문이다. 순환 제직법(endless weaving)으로 알려진 공정에 의해 제조된 직물과 같은, 순환형이며 시임없는(seamless) 직물은 종 방향(또는 기계 방향) 및 횡 방향(또는 교차-기계 방향) 모두에 있어서 균일한 구조를 가진다. 제지기 상에 장착되는 동안 프레스 직물을 순환 형태로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시임(seam)과 같은 시임은 프레스 직물에서 균일 구조의 불연속성(discontinuity)을 나타낸다. 따라서, 시임의 사용은 셀룰로오스 섬유 웹이 프레스 닙에서 마킹(marking)이 일어날 가능성을 매우 증가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임의의 가동 가능한 기계상 접합(on-machine-seamable) 프레스 직물의 시임 구역은 하중 하에서, 즉 프레스 닙 또는 닙들 내의 압축 하에서 나머지 프레스 직물처럼 거동하고 또한 나머지 프레스 직물과 동일한 물 및 공기에 대한 투과성을 가지고 있어서, 시임 구역에 의하여 제조되고 있는 종이 생성물의 주기적인 마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 조건들에 따른 상당한 기술점 난관에도 불구하고 기계상 접합 프레스 직물이 프레스부에 비교적 용이하고 안전하게 장착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기계상 접합 프레스 직물을 개발하는 것이 여전히 매우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난관들은 직물의 양 말단의 횡방향(crosswise) 엣지 상에 시밍 루프(seaming loops)를 공급함으로써 형성된 시임을 구비한 프레스 직물의 개발로 극복되었다. 상기 시밍 루프 자체는 직물의 기계 방향사(MD yarn)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시임은 프레스 직물의 양 말단을 함께 놓은 후, 상기 두 엣지의 시밍 루프를 직물의 양 말단에서 서로 깍지끼우고(interdigitating), 이어서 상기 깍지끼워진 시밍 루프에 의하여 생긴 통로를 관통하도록 이른바 핀(pin) 또는 핀틀( pintle)을 삽입하여 직물의 양 말단을 잠금(lock)으로써 완료된다. 물론, 제지기에 순환 프레스 직물(endless press fabric)을 장착하는 것보다 기계상 접합(on-machine-seamable) 프레스 직물을 장착하는 것이 훨씬 쉽고 시간이 덜 든다.
상기와 같은 시임으로써 제지기에 연결될 수 있는 프레스 직물을 제조하는 하나의 방법은 직물을 플랫-제직(flat-weaving)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경사(warp yarn)는 프레스 직물의 기계 방향사(MD yarn)이다. 시밍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직물 말단의 경사는 되돌려져서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경사에 평행한 방향으로 직물 본체 내로 다시 제직된다. 또 다른 기술은, 더욱 바람직하게, 순환 제직법의 변형 형태로서 이는 보통 직물의 순환 루프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변형 순환 제직법(modified endless weaving)에서 위사(weft yarn, filling yarn)는 제직기(loom)를 가로질러 앞뒤로 연속적으로 제직되고 1회 통과마다 루프 형성 핀 주위를 통과함으로써 제직되는 직물의 엣지들 중 하나 위에 하나의 루프를 형성한다. 궁극적으로 프레스 직물에서 MD 사가 되는 위사는 연속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시밍 루프는 경사 말단을 플랫-제직된 직물의 말단으로 제직함으로써 되돌려 제조될 수 있는 어떠한 시밍 루프보다 강하다.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사(yarn)를 특히 작은 반경을 따라 되돌려 구부릴는 것은 루프를 형성하는 사 부분(yarn portion)에 바람직하지 않은 응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이는 시임에서 사(yarn)를 약화시키는 결과가 되어 사(yarn)가 본체 내로 제직되기 이전에 파괴될 수도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 다른 기술에서, 제지기의 프레스부에 사용되는 기계상 접합 다축(multiaxial) 프레스 직물은 직물 스트립(strip)을 인접한 복수의 회전(turns)으로 나선상으로 감음으로써 조립된 베이스 직물 층으로부터 제조되며, 상기 회전들은 인접한 회전에 접하고(abut) 부착된다. 생성된 순환 베이스 직물 층은 평평화되어 폭 방향 엣지의 접힘 부분(fold)에서 서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직물 겹(ply)을 형성한다. 횡 방향사는 폭 방향 엣지의 접힘 부위에서 직물 스트립의 각 회전으로부터 제거되어 시밍 루프를 형성한다. 제 1 및 제 2 직물 겹(ply)은 이들 내로 스테이플 섬유 배트 재료를 니들링함으로써 서로 적층될(laminated) 수 있다. 상기 프레스 직물은 제지기에 장착되는 동안 폭 방향의 양 엣지에서 시밍 루프를 깍지끼움(interdigitation)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핀틀을 관통함으로써 순환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각 경우에 있어, 나선형 시밍 코일의 각 회전과 직물의 각 말단의 시밍 루프를 깍지끼우고 또한 그 깍지끼워진 사(yarn) 및 시밍 코일에 의하여 형성된 통로를 통해 핀틀을 관통시켜 나선형 시밍 코일을 직물의 말단에 연결시킴으로써 나선형 시밍 코일을 직물의 말단 부위의 시밍 루프에 부착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직물은 시밍 코일의 각 회전을 직물의 각 말단 부위에서 서로 깍지끼우고 그 깍지끼워진 시밍 코일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해 또 다른 핀틀을 관통시켜 직물의 양 말단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순환 루프의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기계상 접합 프레스 직물의 제조에서 마지막 단계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플 섬유 재료 층을 적어도 프레스 직물의 외부 표면 내에 니들링하는 것이다. 상기 니들링은 순환 루프의 형태로 연결된 프레스 직물과 함께 수행된다. 프레스 직물의 시임 구역은 니들링 공정에 의하여 피복되어 그 구역이 나머지 직물의 투과성과 가능한 한 유사한 투과성을 갖는 것을 확보하게 한다. 니들링 공정의 종결시에 직물의 양 말단을 서로 연결시키는 핀틀이 제거되고 시임 구역의 스테이플 섬유 재료는 잘려서 그 구역을 덮는 플랩(flap)을 형성한다. 프레스 직물은 이제 말단이 개방된 형태(open-ended form)로서 나무상자에 넣어지고(crate) 선적되어 제지업자에게 공급된다.
니들링 공정 동안 프레스 직물은 필연적으로 일부 손상을 입는다. 이는 스테이플 섬유 재료의 각 섬유를 프레스 직물내로 이송 및 통과시키는 미늘달린 니들 (barbed needle)이 또한 프레스 직물 자체의 사(yarn)와도 접촉하여 절단하거나 약화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프레스 직물의 시임 구역이 니들링되는 경우 시밍 루프및 나선형 시밍 코일(존재한다면)를 형성하는 MD 사의 적어도 일부는 어느정도 약화될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손상은 필연적으로 시임 전체를 약화시키고 시임 파괴(failure)에 이르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나선형 시밍 코일의 경우에는 적은 양의 손상만으로도 조기(premature) 시임 파괴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나선형 시밍 코일은 시임 구역에서 직물을 가로질러 횡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어떤 한 점에서의 절단은 시임의 길이 방향에서 상당 부분을 약화시켜 시임을 풀리게 하거나 분리를 초래할 수 있다.
프레스 직물 이외에, 다른 많은 다양한 산업용 직물들은 어떤 설비에 장착되는 동안 순환 형태로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제지기의 건조 직물(dryer fabric)은 건조부에 장착되는 동안 순환 루프의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건조 직물은 핀 시임(pin seam) 또는 나선형 시임(spiral seam)으로써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시임은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다. 코루게이터 벨트(corrugator belt), 펄프-성형 직물(pulp-forming fabric) 및 슬러지-탈수 벨트(sludge-dewatering belt)와 같은 다른 산업용 직물들도 유사한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으며 동일한 이유로 인해 접합 파괴(seam failure)에 민감한다.
더우기, 나선형 시밍 코일은 제한된 수의 형태(configuration)로만 입수가능하다. 즉, 나선형 시밍 코일은 제한된 수의 지름 및 피치(단위 길이당 회전 수)로만 입수될 수 있다. 분명히, 나선형 시밍 코일의 다른 대안이 있다면 산업용 직물 디자이너들에 의해 높게 평가될 것이다.
제지기의 "링크 벨트(link belt)" 직물이 PCT/US98/05908에서 개시되어 있으며 교차-기계 방향으로 연장된 힌지 와이어(hinge wire) 및 기계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링 링크 요소(ring link element)를 포함한다. 각 링 링크 요소는 교차-기계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적어도 두개의 힌지 와이어를 둘러싼다. 링 링크 요소는 솔리드(solid) 즉 연속형 또는 분리형(split)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손상된 벨트를 수리할 수 있도록 후자가 사용된다. 상기 간행물은 또한 제지기 벨트를 제조하는 두가지 방법에 관한 기술을 포함한다.
미국특허 4,469,221호는 교차 기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핀틀 및 상기 링크가상기 핀틀 상에 스냅(snap)된 링크를 포함하는 제지기 직물을 개시한다. 다양한 형태의 링크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각 링크 요소는 인접하는 힌지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hole)을 그 말단에 가지고 있다. 상기 구멍은 완전히 닫히지는 않고 힌지 와이어 주위에서 확장되고 스냅될 수 있도록 분리(split)되어 있다.
PCT/US98/05908 및 미국특허 4,469,221호에 개시된 링크 벨트는 교차-기계 방향으로는 배향되지 않고 기계 방향으로만 배향된 링 링크 요소를 가지고 있다. 더우기, 상기 힌지 와이어도 교차-기계 방향으로만 연장된 것이 도시되고 기계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 것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의 제한된 형태(configuration)로는 직물의 강도와 니들링 손상에 대한 내구성이 충족되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선된 강도와 니들링 손상에 대하여 내구성을 가진 기계상 접합 직물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산업용 직물의 첫번째 구현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산업용 직물의 두번째 구현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산업용 직물에 포함된 링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리 형성된 링으로 제조되는 산업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링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사각형(斜角,oblique), 장타원형(oblong) 및 사면체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은 임의의 형태일 수 있고, 기계 방향사, 핀틀, 또는 와이어로 연결되어 플랫(flat) 직물을 형성하며 이러한 플랫 직물의 말단은 서로 연결되어 연속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르게, 상기 링은 교차-기계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고 기계 방향으로 배향된 사(yarn)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기계 방향으로 재차 배향된 상기 링은 기계 방향에 대해 사각(斜角)으로, 즉 대각선으로 진행하는 사(yarn)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링은 강성 재료(rigid materials)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연속(solid)이며 균일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 상기 링은 필라멘트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고, 금속 및/또는 비금속 재료일 수 있으며, 연성 또는 비연성(flexible or inflexible)일 수 있다. 상기 링은 연속(solid)이거나, 한쪽이 개방되고 스냅(snap)에 의해 닫힐 수 있는(closbale) 것일 수 있다. 상기 링은 또한 표면을 따라 더욱 평평한 압력 분포를 제공하는 미리 형성된 캡(cap)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링은 링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핀틀을 위한 구멍을 각 말단에 가질 수 있다. 공기 또는 유체의 투과도를 감소시키고 표면(land)과 개방 구역 간의 투과도 차이를 균일화하며, 프레스 내에서 링을 변형(deformation)으로부터 지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링 내에 다른 재료들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물의 몇가지 제조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은 제지기 직물의 본체를 제공하는 제직 직물(woven fabric)의 제조에 요구되는 자본 집약적인 제직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기 제직 직물의 시밍에 사용되는 루프를 제공하기 위한 나선(spiral)에 대하여 개선된 강도를 제공하고, 용이하게 시밍되어 최종 생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스톡(stock)을 제조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직물의 본체와 시임 구역 간의 근본적 차이를 없앰으로써 전체 구조의 균일성을 증가시킨다.
이제, 본 발명은 아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제 첨부 도면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면들은 우연히 실물 스케일로 도시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도 1은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의 첫번째 구현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직물(10)은 그것의 양 말단이 서로 연결되면 순환 루프(endless loop)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의 구현예에서, 산업용 직물(10)은 복수의 미리 형성된 링(2)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링(2)은 기계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고, 예를 들어 기계 방향에 대해 사각(斜角)으로, 즉 대각선으로 진행하는 사(다르게는, 핀틀 또는 와이어)(3)에 의해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산업용 직물(20)의 다른 구현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구현예에서, 링(2)은 교차 기계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고, 기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사(3)에 의해 연결된다.
도 1 및 도 2 모두 단일의 링층으로 구성된 산업용 직물을 나타낸다. 하지만 그러한 구성은 단지 하나의 예로서 도시된 것으로서, 산업용 직물은 2개-, 3개-, 또는 더 많은 수의 링 층을 가질 수 있거나, 적층(laminated)되어 수개의 직물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직물이 적층되어 수개의 직물 층을 갖는 후자의 경우, 직물 층의 전부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이 기계상 접합(on-machine-seamable)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라 그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산업용 직물은 추가적인 "처리(treatment)"없이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산업용 직물이 예를 들어 프레스 직물인 경우, 한개 층 이상의 스테이플 섬유 배트 재료로써 한 쪽 또는 양 쪽에 니들링되거나 어떤 방법으로 코팅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 본체를 차폐(mask)하고 안정도를 증가시키며 또한 증가된 압력 분포를 위하여 더욱 섬세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스테이플 섬유가 상기 산업용 직물의 전 부분에 니들링될 수 있다. 스테이플 섬유는 제지기 직물 및 다른 산업용 공정 직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임의의 고분자 수지 중 하나일 수 있으나,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군인 것이 바람직하다.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산업용 직물은 또한 양 표면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전폭 코팅법(full width coating), 딥 코팅법(dip coating) 및 스프레이법(spraying)과 같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적용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아미드와 같은 고분자 수지의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산업용 직물은 제지기의 다른 부분 중 하나, 즉, 성형부 또는 건조부 상에 사용되거나, 고분자-수지-코팅된(polymeric-resin-coated) 제지-산업 공정 벨트(paper-industry process belt)(PIPB)용 베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더우기, 상기 산업용 직물은 코루게이터 벨트(corrugator belt) 또는 이것의 베이스; 더블-닙-씨크너 벨트(double-nip-thickener belt)와 같은 펄프-성형 벨트; 또는 슬러지-탈수 벨트(sludge-dewatering belt)와 같은 다른 산업용 공정 벨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사(yarn)가 상기의 링을 연결시키는데 사용되는 경우, 사는 각각 제지기 직물 또는 다른 산업용 공정 직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사 타입일 수 있다. 즉, 단독으로 사용되는 모노필라멘트 스트랜드(strand)인 모노필라멘트사, 또는 합연(plied) 모노필라멘트사 또는 합연 멀티필라멘트사의 형태인 합연/가연사(plied/twisted yarns)가 상기의 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더우기, 상기의 사(yarn)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는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 고분자 수지 물질로부터 압출될 수 있거나, 금속 와이어일 수 있으며 섬유 산업 분야, 특히 제지기 직물 산업 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술에 따라 사로 통합될 수 있다.
핀틀이 상기의 링을 연결하는데 대신 사용되는 경우, 각 핀틀은 모노필라멘트의 단일 스트랜드; 모노필라멘트의 멀티 스트랜드; 서로 가연되지 않거나(untwisted) 또는 합연되거나(plied), 가연되거나(twisted), 편조되거나(braided), 편성된(knitted) 모노필라멘트의 멀티 스트랜드; 또는 제지기 직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핀틀 유형일 수 있다. 상기의 핀틀은 금속 와이어이거나, 합성 고분자 수지 재료로부터 압출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 링은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사각(斜角)형, 장타원형(oblong), 사면체형, 또는 D-자형과 같은 몇 가지 형태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링이 만들어지는 재료는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다른 단면 형태일 수 있고, 0.15 내지 1.0 mm 범위의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링은 강성(rigid)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연속적이고(solid) 균일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링은 금속이거나, 섬유 직물 산업에서 사(yarn) 용도로 사용되는 임의의 고분자 수지 재료(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케톤 또는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압출될 수 있다. 상기 링은 연성(flexible) 또는 비연성(unflexible)일 수 있다. 상기 링은 연속적이거나(solid), 한 쪽 말단이 개방되고, 예를 들어 스냅 인터록(snap interlock) 또는 클램프(clamp)를 사용하여 다른 쪽 말단에 기계적으로 닫힐(closed) 수 있다. 상기 링은 각 말단에, 예를 들어 링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연장된 핀틀을 수용하는 구멍을 더 가질 수 있다. 부수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링을 연결하는 것은 각 말단 상에서 피봇(pivot)할 수 있도록 하며, 직물의 유연성과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링은 링의 한쪽 또는 양쪽에 미리 형성된 캡(cap)(4)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캡은 링의 표면에 걸쳐서 더욱 균일한 압력차를 갖도록 한다. 캡(4)은 투과성 또는 비투과성일 수 있다. 상기 링은 모노필라멘트, 합연/가연 또는 편조(braided) 필라멘트일 수 있다. 이들은 첨가되는 고분자 수지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공극(void volume)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에 의해 형성된 직물 구조내에 포함된 개방 구역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공기 또는 유체 투과성을 감소시키고, 표면(land) 및 개방 구역 간의 투과성 차이를 균일하게 하며, 프레스 내의 변형으로부터 링을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하여, 다른 물질들이 개방 구역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더우기, 링 및 핀틀 자체도, 예를 들어 연속 부분(solid portion)을 통하여 유동 공극(flow-through void)을 갖는 다공성(porous)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산업용 직물을 만드는 몇가지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한 방법에서, 제직 직물(woven cloth)은 상기 링이 상기 직물의 수 방향 중의 한 방향의 사에 스냅되거나 닫힐 수 있는 "플랫폼"으로 사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warp)에 소형 사(yarn) 시스템 및 위사(weft)에 단일 모노필라멘트를 구비한 플랫 제직 직물(flat woven cloth)이 공급된다. 상기 직물은 이후 인덱스 시스템(indexing system) 상에 놓여서 직물의 두 방향 중 한 방향의 사(yarn) 상으로 상기 링이 스냅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은 소망하는 길이의 직물이 제조될 때까지 반복된다.
또 다른 방법에서, 하나의 긴 핀틀이 프레임(frame) 상으로 삽입되고, 링이 핀틀 주변에 스냅되고 전방으로 인덱스되며, 이러한 과정은 전길이(full-length)의 직물이 제조될 때까지 반복된다. 상기의 전길이 직물은 이후 양 말단을 함께 놓고 상기 링들을 공통 핀틀에 스냅함으로써 연결된다.
상기 방법들 중 하나는 다량의 "스톡(stock)" 재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톡 재료는 이후 마스터 롤(master roll)로부터 소망하는 치수로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공정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사항에 대한 변형예들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지만, 그렇게 변형된 발명이 첨부된 청구의 범위를 넘지는 않을 것이다.

Claims (23)

  1. 기계 방향에 대하여 사각(斜角)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 부재; 및
    상기 기계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복수의 미리 형성된 링을 포함하며, 각 링은 상기 연결 부재를 적어도 두개 둘러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on-maching-seamable industrial fabric).
  2. 기계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 부재; 및
    교차 기계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복수의 미리 형성된 링을 포함하며, 각 링은 상기 연결 부재를 적어도 두개 둘러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3. 교차 기계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 부재; 및
    기계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복수의 미리 형성된 링을 포함하며, 각 링은 상기 연결 부재를 적어도 두개 둘러싸고 있고,
    상기 링 및 상기 연결 부재는 다공성(porosity)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핀틀, 사(yarn), 및 와이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체(laminate)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직물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 부착된 적어도 한층의 스테이플 섬유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고분자 코팅에 의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폴리우레탄류 및 폴리아미드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전폭 코팅법(full width coating), 딥 코팅법(dip coating) 및 스프레이법(sprayi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고분자 수지로 함침되어(impregnated)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폴리우레탄류 및 폴리아미드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링은 원형, 타원형, 사각(斜角)형, 장타원형(oblong), 사면체형 및 D-자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링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링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 폴리케톤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분자 수지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링은 모노필라멘트, 합연/가연 필라멘트 또는 편조(braided)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링은 고분자 수지 물질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링은 두 말단 중 하나가 개방되어 있고, 스냅 및 클램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체결법(closure)을 이용하여 닫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1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제 1 말단, 제 2 말단 및 상기 말단들 중 적어도 하나에 개구(opening)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는 상기 연결 부재가 이를 통과하여 하나의 링을 이웃한 링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상기의 제 1 및 제 2 말단에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20. 복수의 링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의 링으로부터 기계 방향사 및 교차 기계 방향사를 갖는 플랫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복수의 링은 교차 기계 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교차 기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의 제조 방법.
  21. 복수의 링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링에 삽입되는 복수의 핀틀을 공급하는 단계;
    각 핀틀을 인접한 링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링을 소정의 거리만큼 핀틀을 따라 전방으로 인덱스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직물의 제조 방법.
  22. 복수의 링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링으로부터 기계 방향사 및 교차 기계 방향사를 구비하는 플랫직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복수의 링은 기계 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기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의 제조 방법.
  23. 복수의 링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링으로부터 기계 방향사 및 교차 기계 방향사를 구비하는 플랫직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복수의 링은 기계 방향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의 제조 방법.
KR1020057008479A 2002-11-13 2003-10-28 상호 연결된 링으로 이루어진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KR200500753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93,818 2002-11-13
US10/293,818 US6918998B2 (en) 2002-11-13 2002-11-13 On-machine-seamable industrial fabric comprised of interconnected rin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393A true KR20050075393A (ko) 2005-07-20

Family

ID=3222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479A KR20050075393A (ko) 2002-11-13 2003-10-28 상호 연결된 링으로 이루어진 기계상 접합 산업용 직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918998B2 (ko)
EP (2) EP1597428B1 (ko)
JP (1) JP4382671B2 (ko)
KR (1) KR20050075393A (ko)
CN (3) CN102242516A (ko)
AU (1) AU2003285030C1 (ko)
BR (1) BR0316235B1 (ko)
CA (3) CA2500127C (ko)
ES (1) ES2394619T3 (ko)
MX (1) MXPA05004974A (ko)
NO (1) NO20052821L (ko)
NZ (1) NZ539029A (ko)
RU (1) RU2328566C2 (ko)
TW (1) TWI313720B (ko)
WO (1) WO2004044310A1 (ko)
ZA (1) ZA2005026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86995T1 (de) * 2003-08-13 2010-11-15 Heimbach Gmbh & Co Papiermaschinenbespannung
FI7901U1 (fi) * 2007-03-20 2008-06-25 Tamfelt Pmc Oy Kuivatusviira ja kuivatusviiran sauma-alue
US10689807B2 (en) 2013-03-14 2020-06-23 Albany International Corp. Industrial fabrics comprising infinity shape coils
US10689796B2 (en) 2013-03-14 2020-06-23 Albany International Corp. Infinity shape coil for spiral seams
ES2934684T3 (es) 2013-03-15 2023-02-24 Abbott Lab Analizadores de diagnóstico automatizados que tienen carruseles dispuestos verticalmente y métodos relacionados
EP3298068A1 (en) 2015-05-18 2018-03-28 Albany International Corp. Use of silicone content and fluoropolymer additives to improve properties of polymeric compositions
MX2018000749A (es) 2015-10-05 2018-05-15 Albany Int Corp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resistencia a la abrasion mejorada de componentes polimericos.
CN110747686A (zh) * 2019-05-17 2020-02-04 玖龙纸业(河北)有限公司 一种经过接缝处理的毛布及其接缝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98698A (en) 1978-04-27 1981-09-23 Scapa Porritt Ltd Clipper seam for joining fabric ends
NZ193441A (en) * 1979-04-21 1983-11-30 Scapa Porritt Ltd Link conveyor formed from plurality of helical coils
DE3224760A1 (de) 1982-07-02 1984-01-05 Thomas Josef Heimbach GmbH & Co, 5160 Düren Band zum einsatz in nasspressen von papiermaschinen
US4469221A (en) * 1982-09-24 1984-09-04 Scapa Inc. Papermakers fabric of link and pintle construction
SE429982C (sv) * 1982-11-02 1985-08-23 Nordiskafilt Ab Filt med oglesom for presspartiet i en pappersmaskin samt forfarande for dess framstellning
US4583302A (en) 1983-06-08 1986-04-22 Wagner Systems Corporation Helical dryer belt with profiled permeability
US4799998A (en) * 1983-08-01 1989-01-24 Albany International Corp. Papermachine clothing
FI79735B (fi) 1986-12-15 1989-10-31 Tamfelt Oy Ab Planformig textilstruktur.
US4857391A (en) * 1987-12-22 1989-08-15 Scapa Inc. Non-woven paper machine dryer fabric without slack edges
DE3914534C1 (ko) 1989-05-02 1990-10-18 Thomas Josef Heimbach Gmbh & Co, 5160 Dueren, De
DE3914533A1 (de) * 1989-05-02 1990-11-08 Heimbach Gmbh Thomas Josef Band fuer papiermaschinen
US5104724A (en) 1991-06-07 1992-04-14 Wangner Systems Corporation Dryer fabric
EP0658649A1 (en) 1993-12-14 1995-06-21 Appleton Mills Press belt or sleeve incorporating a spiral-type base carrier for use in long nip presses
US5364692A (en) 1993-12-28 1994-11-15 Scapa Group, Plc Heat set spiral link fabric with modified stuffer yarns
DE4403501A1 (de) 1994-02-04 1995-08-10 Siteg Siebtech Gmbh Spiralgliederband niedriger Luftdurchlässigkei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E504119C2 (sv) * 1995-03-27 1996-11-18 Nordiskafilt Ab Albany Maskinbeklädnad med söm samt spiral för användning i en sådan söm
US5534333A (en) 1995-04-07 1996-07-09 Shakespeare Spiral fabric
DE19534486C1 (de) * 1995-09-16 1997-03-27 Heimbach Gmbh Thomas Josef Gliederband insbesondere für Papiermaschinen
SE505390C2 (sv) * 1995-11-30 1997-08-18 Albany Int Corp Laminerad beklädnad samt metod och ämne för framställning därav
JP3495508B2 (ja) * 1996-04-26 2004-02-09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ベルトの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工業用ベルトのクリーニングベルト
US5732749A (en) * 1997-02-14 1998-03-31 Albany International Corp. Pin seam for laminated integrally woven papermaker's fabric
CA2229371A1 (en) * 1997-09-30 1999-03-30 Henry J. Lee Fabric made from extruded, cut to size hollow tubes
US6174825B1 (en) * 1997-12-09 2001-01-16 Albany International Corp. Resin-impregnated belt for application on papermaking machines and in similar industrial application
US6213164B1 (en) * 1999-03-11 2001-04-10 Geschmay Corporation Pintle seamed press felt
ATE211785T1 (de) * 1999-03-12 2002-01-15 Heimbach Gmbh Thomas Josef Entwässerungsband für papiermaschinen
US9805908B2 (en) 2015-02-18 2017-10-31 Integrated Circuit Testing Gesellschaft für Halbleiterprüftechnik mbH Signal charged particle deflection device, signal charged particle detection system, charged particle beam device and method of detection of a signal charged particle b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94619T3 (es) 2013-02-04
BR0316235A (pt) 2005-10-04
EP2365127A1 (en) 2011-09-14
CA2794414A1 (en) 2004-05-27
US6918998B2 (en) 2005-07-19
CA2743328A1 (en) 2004-05-27
CA2500127C (en) 2013-03-12
MXPA05004974A (es) 2005-08-02
RU2328566C2 (ru) 2008-07-10
AU2003285030C1 (en) 2009-10-01
JP2006506541A (ja) 2006-02-23
NZ539029A (en) 2006-11-30
CN100460593C (zh) 2009-02-11
CN101403203B (zh) 2012-04-18
TW200415285A (en) 2004-08-16
CA2743328C (en) 2013-07-23
EP2365127B1 (en) 2012-09-19
ZA200502657B (en) 2006-06-28
CN1711393A (zh) 2005-12-21
WO2004044310A1 (en) 2004-05-27
BR0316235B1 (pt) 2013-10-01
AU2003285030B2 (en) 2009-03-12
EP1597428B1 (en) 2015-01-21
AU2003285030A1 (en) 2004-06-03
CA2500127A1 (en) 2004-05-27
NO20052821L (no) 2005-06-10
CA2794414C (en) 2013-08-20
CN102242516A (zh) 2011-11-16
RU2005109157A (ru) 2006-01-20
EP1597428A1 (en) 2005-11-23
JP4382671B2 (ja) 2009-12-16
CN101403203A (zh) 2009-04-08
TWI313720B (en) 2009-08-21
US20040092182A1 (en)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195B1 (ko) 제지기 직물
US5904187A (en) Seam integrity in multiple layer/multiple seam press fabrics
ZA200502657B (en) On-machine-seamable industrial fabric comprised of interconnected rings
EP1255892B1 (en) Seamed industrial fabrics
AU2001236937A1 (en) Seamed industrial fabrics
EP1314814B1 (en) Seam enhancements for seamed papermaker's fabrics
CA2493018C (en) On-machine-seamable industrial fabric having seam-reinforcing rings
MXPA96004375A (es) Costura espiral de poliamida para telas formadorasde pap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