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042A -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042A
KR20050075042A KR1020057012248A KR20057012248A KR20050075042A KR 20050075042 A KR20050075042 A KR 20050075042A KR 1020057012248 A KR1020057012248 A KR 1020057012248A KR 20057012248 A KR20057012248 A KR 20057012248A KR 20050075042 A KR20050075042 A KR 20050075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output
supply unit
uni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3959B1 (ko
Inventor
하루야스 무라바야시
타카시 호리에
마사시 이소즈미
야스히로 츠보타
츠네토시 오오바
히데키 코보리
타카토시 오오토모
카츠야 마루모
테츠야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0234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190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165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2537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1645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25372A/ja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5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02J1/102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being switch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 2, 3)을 접속하기 위한,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 및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CB)이 커넥터 접속되어 모듈 전원이 구성되고, 상기 모듈 전원에, 상기 버스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모듈 전원에 소정의 부가기능을 부여하는 부가기능 유닛(4)을 커넥터 접속함으로써, 배선 절약적이며 또한 노이즈 내량이 큰 부가기능을 갖는 전원장치를 실현한다.

Description

전원장치{POWER SUPPLY}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유닛을 접속하여 구성되는 모듈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모듈 전원에 소정의 기능을 추가하도록, 소정의 기능을 갖는 부가기능 유닛을 부가하도록 한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 전원장치에 어떠한 부가기능을 추가하는 부가기능 장치를 접속하는 경우, 전원장치와 부가기능 장치가 외부 배선으로 접속되어 있었다. 특히, 복수의 부가기능을 갖는 부가기능 장치의 접속에는 배선 수가 많고 배선이 복잡하게 되어 있었다.
예를 들면 배터리를 이용하여 백업기능을 갖는 전원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장치(800)의 직류 출력단자(801A, 801B)와, 부가기능 장치인 무정전 전원장치(810)의 직류 입력단자(811A, 811B)를 외부 배선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도면중 부호 309는 배터리, 38은 부하, 37은 외부 상용 교류 전원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상기 전원장치와 부가기능 장치를 외부 배선으로 접속하기 때문에, 복수의 부가기능을 갖는 부가기능 장치의 접속에는 배선이 복잡하게 되어 실용적이지 않고, 또한 복잡한 배선 때문에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고, 오 동작이 생기기 쉬워 실용화의 방해로 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서, 전원장치(800)의 직류 출력단자(801A, 801B)와, 무정전 전원장치(810)의 직류 입력단자(811A, 811B)를 외부 배선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상기 배선에 공정수가 늘어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배선 절약이 가능하고 또한 노이즈 내량(耐量)이 큰 부가기능을 갖는 전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무정전 전원 유닛의 직류 버스라인과 각 전원 유닛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을 원터치로 접속할 수 있고, 병렬 접속된 복수의 전원 유닛과 무정전 전원 유닛 사이의 배선이 불필요하게 되어, 그 몫만큼 공정수 절약이 되는 전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버스라인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유닛을 접속하여 구성되는 모듈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모듈 전원에, 상기 모듈 전원에 소정의 부가기능을 부여하는 부가기능 유닛을 커넥터 접속수단에 의해 접속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버스라인은,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오는 교류를 상기 전원 유닛의 전원회로에 공급하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과, 상기 전원회로에서 변환된 직류를 출력하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과, 복수의 전원 유닛의 출력전류를 균일화 하는 제어수단에 이용되는 제1 신호 버스라인과, 각 전원 유닛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2 신호 버스라인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전원 유닛은,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를 입력하고, 상기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원회로를 구비한 유닛이다.
상기 모듈 전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유닛을, 예를 들면 딘레일(DIN rail)에 접속함으로써, 전원 유닛의 대수(台數)에 응하여 임의의 전원 용량을 얻을 수 있는 전원에 상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전원 유닛을 접속하기 위한 버스라인, 즉, 교류 입력 버스라인, 직류 출력 버스라인 및 신호 버스라인이 커넥터 접속되어 모듈 전원이 구성되고, 상기 모듈 전원에 부가기능 유닛이 커넥터 접속되어 부가됨으로써, 배선이 절약되며 또한 노이즈 내량이 큰 부가기능을 갖는 전원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부가기능 유닛이 외부와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장치에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유닛이란, 예를 들면 비교적 소형의 스위칭 전원 등이다. 또한 전원회로란, 예를 들면 타여식(他勵式) 스위칭 전원회로 등이다. 또한 교류 입력 버스라인은 외부 상용 교류를 전원회로에 유도하는 교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전원 유닛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직류 출력 버스라인이란, 전원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원회로에서 변환된 직류를 통과시키는 버스라인이다. 또한 각 전원 유닛의 상태의 검출이란, 입력전압, 입력전류, 출력전압, 출력전류, 온도 등을 가리킨다.
또한 신호 버스라인이란, 복수의 전원 유닛이 병렬로 이어졌을 때, 각각의 전원 유닛의 출력전류를 균일화 하는 제어수단에 이용되는 신호를 통과시키는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 등이다. 또한 부가기능 유닛은, 돌입(突入)전류 방지 유닛, 브랜칭 유닛, 출력 이상(異常) 유닛이나 출력 특성 개선 유닛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부가기능 유닛이 외부교류를 입력하여 소정의 변환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며 소정의 변환을 행한 교류를 상기 교류 입력 버스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유닛에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외부교류를 입력하여 어떠한 변환을 행한 후, 상기 변환 후의 교류를 교류 입력 버스라인을 이용하여 전원 유닛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부가기능 유닛이 외부 상용 교류 전원의 돌입전류를 방지하는 돌입전류 방지기능을 갖는 돌입전류 방지 유닛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부가기능 유닛을, 돌입 방지기능을 갖는 돌입전류 방지유닛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원장치의 시스템 전체에서의 돌입전류를 방지할 수 있어, 1대의 전원장치를 사용한 경우와 같은 돌입전류치가 실현될 수 있어, 서지전류 내량이 작은 설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부가기능 유닛이 입력된 직류에 소정의 변환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전원 유닛의 상기 직류 출력 버스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직류를 입력하고, 상기 소정의 변환을 행한 직류를 부하에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직류를 입력하여 어떠한 변환을 행한 후, 상기 변환 후의 직류를 직류 출력 버스라인을 이용하여 부하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부가기능 유닛이 복수의 직류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직류 출력이 이상한 것을 검출한 경우, 그 결과를 신호 출력 또는 표시 출력하는 수단을 갖는 출력 이상 검출 유닛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부가기능 유닛을, 출력 이상을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출력 이상 검출 유닛으로 하였기 때문에 안전한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부가기능 유닛이, 상기 모듈 전원의 직류 출력을 복수로 분기하여 부하를 접속하는 단자와, 상기 단자에 흐르는 출력전류를 검출하는 동시에, 상기 검출전류가 설정치에 도달하면, 상기 모듈 전원의 공급 라인을 절단하는 기능과, 상기 모듈 전원으로부터의 과전압을 검출하면, 상기 모듈 전원의 상기 공급 라인을 절단하는 기능과, 전류나 전압의 이상 상태를 알리는 기능과, 상기 공급 라인의 절단을 해제할 수 있는 리셋기능을 갖는 브랜칭 유닛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부가기능 유닛을 복수의 보호기능 및 브랜칭 기능을 구비한 브랜칭 유닛으로 하였기 때문에, 복수의 보호기능을 유닛화 함으로써, 번거로운 배선 처리를 없애, 보다 안전한 브랜칭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시스템 전체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부가기능 유닛이, 입력된 교류에 소정의 변환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며, 한쪽의 전원 유닛의 상기 교류 입력 버스라인을 이용하여 교류를 입력하는 동시에, 상기 교류에 소정의 변환을 행하고, 상기 소정의 변환을 행한 교류를 다른쪽의 전원 유닛의 상기 교류 입력 버스라인에 입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한쪽의 전원 유닛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을 이용하여 입력된 교류를 부가기능 유닛에 의해 어떠한 변환을 행한 후에 다른쪽의 전원 유닛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부가기능 유닛이, 상기 한쪽의 전원 유닛의 상기 교류 입력 버스라인과, 상기 다른쪽의 전원 유닛의 상기 교류 입력 버스라인과의 사이만을 접속하는 기능을 갖는 세퍼레이터로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부가기능 유닛을, 2개의 전원 유닛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 사이만을 접속하는 기능을 구비한 세퍼레이터로 하였기 때문에, 다른 출력전압을 갖는 전원 유닛을 서로 배선 없이 접속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출력전압을 갖는 전원 유닛을 접속할 수 있고, 또한 각각 다른 출력전압을 갖는 전원 유닛마다 병렬 운전을 할 때도, 상호의 배선 없이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입력계통의 배선이 1개소만으로 다른 출력전압을 갖는 전원 유닛을 복수대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부가기능 유닛이, 입력된 직류에 소정의 변환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며 한쪽의 전원 유닛의 상기 직류 출력 버스라인을 이용하여 직류를 입력하는 동시에, 상기 직류에 소정의 변환을 행하고, 상기 소정의 변환을 행한 직류를 다른쪽의 전원 유닛의 상기 직류 출력 버스라인에 입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한쪽의 전원 유닛에 입력된 교류는 부가기능 유닛에 공급되고, 상기 부가기능 유닛에 의해 어떠한 변환을 행한 후에 다른쪽의 전원 유닛에 변환 후의 교류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부가기능 유닛이, 상기 한쪽의 전원 유닛의 상기 직류 출력 버스라인의 마이너스측 라인와, 상기 다른쪽의 전원 유닛의 상기 직류 출력 버스라인의 플러스측 라인을 접속하는 직렬 접속기능을 갖는 직렬 접속 유닛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상기 부가기능 유닛을, 직렬 접속기능을 갖는 직렬 접속 유닛으로 하였기 때문에, 단일체의 전원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은 배선으로 접속 가능하게 되어, 단일체의 전원장치와 비슷한 배선 공정수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부가기능 유닛이, 상기 커넥터 접속수단과 접속하는 직류 버스라인과, 상기 직류 버스라인을 통하여 상기 모듈 전원의 전원 유닛을 백업하는 백업수단을 갖는 무정전 전원 유닛으로 한 것이다.
또한 커넥터 접속수단은, 전원 유닛측의 커넥터 접속수단과, 무정전 전원 유닛측의 커넥터 접속수단으로 구성되고, 전원 유닛측의 커넥터 접속수단은 직류 출력측 커넥터, 무정전 전원 유닛측의 커넥터 접속수단은 직류 입력측 커넥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부가기능 유닛을 무정전 전원 유닛으로 하였기 때문에, 커넥터 접속수단으로, 무정전 전원 유닛의 직류 버스라인과 각 전원 유닛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을 원터치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병렬 접속된 복수의 전원 유닛과 무정전 전원 유닛 사이의 배선이 불필요하게 되고, 그 몫만큼 공정수 절약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백업수단이, 상기 직류 버스라인에 입력된 직류를 부하에 공급하는 직류 공급수단과, 상기 직류를 승강압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수단과, 정전시 및 피크부하시에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직류를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방전수단을 갖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직류 버스라인에 입력된 직류를 부하에 공급하는 한편, 승강압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정전시 및 피크부하시에 배터리로부터 직류를 부하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정전 전원 유닛으로부터 소요시(정전시 등)에 있어서 부하에 직류를 공급할 수 있고, 또한 무정전 전원 유닛으로부터 전원 시스템의 정격 부하를 초과하는 피크부하를 단시간에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백업수단이, 상기 직류 버스라인에 입력된 직류를 부하에 공급하는 직류 공급수단과, 상기 직류를 승강압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수단과, 상기 직류를 전기 에너지로서 콘덴서에 축적하는 직류 전원 보충수단과, 정전시에 상기 콘덴서로부터 상기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직류를 보충하여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방전수단을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직류 전원 보충수단으로서는, 돌입전류 유닛인 ICU 회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직류 버스라인에 입력된 직류를 부하에 공급하는 한편, 승강압 변환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동시에, 콘덴서에 전기 에너지로서 축적하고, 정전시 및 피크부하시에 콘덴서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여 배터리로부터의 직류를 보충하여 부하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하의 변동이 급준하여 배터리가 대응할 수 없는 경우에는, 콘덴서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가 방출되어 배터리로부터의 직류를 보충하여 부하에 공급되기 때문에, 부하의 변동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백업수단이, 상기 직류 버스라인에 입력된 상기 직류를 부하에 공급하는 직류 공급수단과, 상기 직류를 승강압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수단과, 정전시 및 피크부하시에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직류를 강압 변환하고, 상기 강압 변환한 직류를 상기 전원 유닛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방전수단을 갖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직류 버스라인에 입력된 직류를 부하에 공급하는 한편, 승강압 변환하여 배터리에 충전하고, 정전시에 배터리로부터의 직류를 강압 변환하여 전원 유닛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부하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정전 전원 유닛으로부터 병렬 접속된 복수의 전원 유닛을 경유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부가기능 유닛이, 모듈 전원의 출력전압을 안정시키는 출력 특성 개선회로를 구비한 출력 특성 개선 유닛으로 하였다.
상기 출력 특성 개선회로란, 모듈 전원 전체의 출력전압을 안정시키는 회로에 상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모듈 전원의 출력전압을 안정시키는 출력 특성 개선회로를 구비한 출력 특성 개선 유닛을 부가기능 유닛으로서 모듈 전원에 접속하도록 하였다, 즉, 각각의 전원 유닛에 출력 특성 개선회로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1개의 출력 특성 개선회로에서 모듈 전원 전체의 출력전압을 안정화할 수 있고, 더구나, 각각의 전원 유닛에 출력 특성 개선회로를 마련하지 않고 해결되기 때문에, 전원 유닛의 코스트 저감 및 그 사이즈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출력 특성 개선회로가, 상기 모듈 전원의 출력단측의 전원 유닛으로부터 상기 모듈 전원의 출력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출력전압을 승압하는 승압 회로와, 상기 승압 회로로서 승압한 출력전압을 안정화시켜, 상기 안정화된 출력전압을 모듈 전원의 출력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시리즈 레귤레이터회로를 갖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모듈 전원의 출력단측의 전원 유닛으로부터 모듈 전원의 출력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출력전압을 승압하는 승압 회로와, 상기 승압 회로에서 승압된 출력전압을 안정화시켜, 상기 안정화된 출력전압을 모듈 전원의 출력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시리즈 레귤레이터회로로 출력 특성 개선회로를 구성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출력 특성 개선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승압 회로가, 상기 모듈 전원의 출력단측의 전원 유닛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상기 모듈 전원의 출력전압을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상기 승압 회로가, 모듈 전원의 출력단측의 전원 유닛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모듈 전원의 출력전압을 공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각의 전원 유닛에 출력 특성 개선회로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1개의 출력 특성 개선회로에서 모듈 전원 전체의 출력전압을 안정화할 수 있고, 더구나, 각각의 전원 유닛에 출력 특성 개선회로를 마련하지 않고 해결되기 때문에, 전원 유닛의 코스트 저감 및 그 사이즈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버스라인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유닛을 접속하여 구성되는 모듈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 유닛은, 전원회로와,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는 조정수단과, 상기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는 전환수단과, 상기 전환수단으로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오프 제어중에, 상기 모듈 전원 내의 전원 유닛 중, 그 전환수단으로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이 온 제어중인 전원 유닛에 관한 출력 전압치를 기준으로하여 기준조정치로 하고, 상기 기준조정치에 의거하여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는 제어수단을 갖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전원 유닛은,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를 입력하고, 상기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원회로를 구비한 유닛이다.
상기 모듈 전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유닛을, 예를 들면 딘레일에 접속함으로써, 전원 유닛의 대수에 응하여 임의의 전원 용량을 얻을 수 있는 장치에 상당하는 것이다.
상기 조정수단은, 각각의 전원 유닛에 마련되고, 상기 전원 유닛으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는 전압 조정 볼륨에 상당하는 것이다.
상기 전환수단은, 각각의 전원 유닛에 마련되고, 전환 조작에 응하여 상기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치 등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전환수단의 전환 조작에 응하여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오프 제어하면,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은 고정으로 되고,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온 제어하면,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은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각각의 전원 유닛에 마련되고, 상기 전환수단으로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오프 제어중에, 상기 전원장치 내의 전원 유닛 중, 그 전환수단으로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이 온 제어중인 전원 유닛에 관한 출력전압치를 기준으로하여 기준조정치로 하고, 상기 기준조정치에 의거하여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는 것이다.
상기 기준조정치는,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이 온 제어중인 전원 유닛에 관한 출력전압치를 기준으로 설정한 값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오프 제어중에, 상기 전원장치 내의 전원 유닛 중, 그 전환수단으로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이 온 제어중인 전원 유닛에 관한 출력전압치를 기준으로하여 기준조정치로 하고, 상기 기준조정치에 의거하여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도록 하였다, 즉, 기준조정치에 의거하여 각각의 전원 유닛측에서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병렬 운전시에 있어서의 전원 유닛 사이의 출력전압 조정작업을, 온 제어중인 전원 유닛의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할 뿐으로 해결되어, 단일의 출력전압 조정작업으로, 복수의 전원 유닛의 출력전압 조정작업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기준조정치가, 상기 모듈 전원 내의 각 전원 유닛에 설정한 출력전압치의 평균치로 하도록 하였다.
기준조정치는, 모듈 전원 내의 전원 유닛마다의 출력전압치를 검출하고, 이들 전원 유닛마다의 출력전압치를 가산하여 평균치를 산출하고, 상기 평균치를 기준조정치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기준조정치를, 전원장치 전체의 전원 유닛의 출력전압치의 평균치로 하고, 상기 평균치에 의거하여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도록 하였다, 즉, 전 전원 유닛의 출력전압의 평균치에 의거하여 각각의 전원 유닛측에서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병렬 운전시에 있어서의 전원 유닛 사이의 출력전압 조정작업을 양호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기준조정치가, 상기 모듈 전원 내의 각 전원 유닛에 설정한 출력전압치 중, 최저의 출력전압치로 하도록 하였다.
기준조정치는, 전원장치 내의 전원 유닛마다의 출력전압치를 검출하고, 이들 출력전압치 중에서 최저의 출력전압치를 검색하고, 상기 최저의 출력전압치를 기준조정치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기준조정치를, 전원 유닛에 설정한 출력전압치 중, 최저의 출력전압치로 하고, 상기 최저의 출력전압치에 의거하여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치를 조정하도록 하였다, 즉, 전 전원 유닛의 출력전압치 중, 최저의 출력전압치에 의거하여 각각의 전원 유닛측에서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병렬 운전시에 있어서의 전원 유닛 사이의 출력전압 조정작업을 양호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기준조정치가, 상기 모듈 전원 내의 각 전원 유닛에 설정한 출력전압치 중, 최고의 출력전압치로 하도록 하였다.
기준조정치는, 모듈 전원 내의 전원 유닛마다의 출력전압치를 검출하고, 이들 출력전압치 중에서 최고의 출력전압치를 검색하고, 상기 최고의 출력전압치를 기준조정치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기준조정치를, 각 전원 유닛에 설정한 출력전압치 중, 최고의 출력전압치로 하고, 상기 최고의 출력전압치에 의거하여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치를 조정하도록 하였다, 즉, 전 전원 유닛의 출력전압치 중, 최고의 출력전압치에 의거하여 각각의 전원 유닛측에서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치를 조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병렬 운전시에 있어서의 전원 유닛 사이의 출력전압 조정작업을 양호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각 전원 유닛이, 다른 전원 유닛으로부터의 출력전류를 감시하는 출력전류 밸런스 감시수단과, 상기 출력전류 밸런스 감시수단으로부터의 감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기준조정치를 검출하는 기준조정치 검출수단을 갖도록 하였다.
출력전류 밸런스 감시수단은, 예를 들면 전류 밸런스 버스를 통하여 다른 전원 유닛으로부터의 출력전류를 감시하는 회로이고, 기준조정치 검출수단은, 출력전류 밸런스 회로로부터의 감시 결과에 의거하여 기준조정치를 검출하는 회로이며, 이들 출력전류 밸런스 감시수단 및 기준조정치 검출수단은, 예를 들면 병렬 운전 제어회로에 상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각 전원 유닛의 출력전류 밸런스 감시수단의 감시 결과에 의거하여 기준조정치를 검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기준조정치에 의거하여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오프 제어한 전원 유닛 자체에서 그 출력전압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각 전원 유닛이,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에 관한 과전압치를 설정해 두고, 현재의 출력전압치가 과전압치를 초과하면, 현재의 출력전압을 정지 제어하는 과전압 보호수단을 갖도록 하였다.
과전압 보호수단이란, 전원장치로부터의 과전압에 의해 부하가 되는 기기가 파괴되지 않도록, 전원 유닛마다 마련되고, 전원 유닛의 출력전압치가 과전압치를 초과하면, 현재의 출력전압을 정지 제어하는 과전압 보호회로에 상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전원 유닛의 출력전압치가 과전압치를 초과하면, 전원 유닛의 출력전압을 정지 제어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원 유닛에 과전압이 걸리면, 과전압 보호가 동작함으로써, 전원장치의 부하가 되는 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각 전원 유닛이, 전원 유닛끼리를 보통 접속하면, 상기 접속한 전원 유닛 내의 전환수단으로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오프 제어하는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전환수단의 전환 조작에 응하여 상기 전환수단으로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온 제어하도록 하였다.
전원 유닛에는 스위치가 마련되고, 전원 유닛끼리가 접속되면, 상기 스위치가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라인 구성으로 하고, 상기 스위치가 스위칭 동작을 행하면,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이 오프 제어로 되도록 전환수단을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전원 유닛끼리가 접속되면, 스위치가 스위칭 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각각의 전원 유닛 내의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이 자동적으로 오프 제어되고, 전환수단의 전환 조작에 응하여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온 제어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각의 전원 유닛에 관한 전환수단의 전환작업을 양호하게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장치는, 비교적 소형의 스위칭 전원에 적용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상기 스위칭 전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 및 도 2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을 도시한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제1 전원 유닛, 2는 제2 전원 유닛, 3은 제3 전원 유닛, 4는 부가기능 유닛이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1)과 제2 전원 유닛(2) 및 제2 전원 유닛(2)과 제3 전원 유닛(3)은 각각 커넥터 접속수단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이들로 모듈 전원이 구성되어 있다.
제1 전원 유닛(1)은, 정면 패널 형상이 세로가 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룬 직육면체체 형상의 케이싱에 소요의 전원회로용 부품을 내장하였다, 예를 들면, 100 내지 240V AC 입력, 24V DC 출력, 2.5A, 60W 출력용의 스위칭 전원이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1)에는, 교류 입력단자(5A, 5B)와 직류 출력단자(6A, 6B)와 교류 입력 버스라인(버스라인)(Vin+), (Vin-)과 직류 출력 버스라인(버스라인)(Vo+), (Vo-)과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신호 버스라인)(버스라인)(CB)이 배치되어 있다.
교류 입력단자(5A, 5B)는, 정면 패널 상부에 배설되어 100 내지 240V AC의 외부 상용 교류를 전원회로(9)에 유도하는 것으로서,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직류 출력단자(6A, 6B)는, 정면 패널 하부에 배설되어 24V DC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플러스측(+)이 2개, 마이너스측(-)이 2개이며, 플러스측 하나와 마이너스측 하나로 1쌍이 되어 2쌍의 직류 출력단자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직류 출력단자(6A)(플러스측(+))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에, 직류 출력단자(6B)(마이너스측(-))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1)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회로(9)는, 교류 입력단자(5A, 5B)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오는 교류를 안정화된 24V DC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여 직류 출력단자(6A, 6B)를 통하여 외부에 출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전원회로(9)는 스위칭 전원회로이며, 입력전압 정류회로(7)와 입력 평활 콘덴서(8A)에 의해 외부 상용 교류를 정류하여 직류전압을 얻고, 상기 직류전압을 스위치소자(13)에서 스위칭하여 고주파 펄스로 변환하고, 상기 고주파 펄스를 고주파 트랜스포머(10)에서 변압하고, 고주파 정류회로(11) 및 출력 평활 콘덴서(8B)에서 다시 직류로 되돌리도록 하고 있다. 또한 출력전압에 변동이 있은 경우에는 제어회로(12)에서, 스위치소자(13)가 스위칭할 때의 펄스 폭 또는 스위칭 주파수를 바꾸어 정전압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전원회로(9)의 입력측은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전원회로(9)의 출력측은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CB)은, 복수의 전원 유닛이 병렬로 이어졌을 때, 각각의 전원 유닛의 출력전류를 균일화 하는 제어수단(도시생략)에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CB)은, 출력전류를 저항(14)에서 검출하고 있고, 상기 출력전류에 비례한 전압으로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 2, 3)은, 그 한쪽의 측면 패널측에,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와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와 커런트 밸런스 신호 입력측 커넥터(20)를 가지며, 또한 다른쪽의 측면 패널측에,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와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와 커런트 밸런스 신호 출력측 커넥터(23)를 갖고 있고,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와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고,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와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고, 커런트 밸런스 신호 입력측 커넥터(20)와 커런트 밸런스 신호 출력측 커넥터(23)는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CB)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부가기능 유닛(4)은 교류 입력단자(30A, 30B)와 직류 출력단자(31A, 31B)와 인터페이스 접속단자(36)와 전력 변환 또는 신호처리회로(32)와 교류 입력측 커넥터(33A, 33B)와 직류 입력측 커넥터(34A, 34B)와 커런트 밸런스 신호 입력측 커넥터(35)를 갖고 있고, 교류 입력측 커넥터(33A, 33B)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접속되어 있고, 직류 입력측 커넥터(34A, 34B)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접속되기도하고, 커런트 밸런스 신호 입력측 커넥터(35)는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CB)에 접속되어 있다.
전력 변환 또는 신호처리회로(32)는 교류 입력단자부(32a, 32b)와 직류 출력단자부(32c, 32d)와 커런트 밸런스 신호 입력단자부(32e)와 인터페이스 접속단자부(32f)를 구비하고 있고, 교류 입력단자부(32a, 32b)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접속되어 있고, 직류 출력단자부(32c, 32d)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접속되어 있고, 커런트 밸런스 신호 입력단자부(32e)는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CB)이 접속되어 있고, 인터페이스 접속단자부(32f)는 인터페이스 접속단자(36)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 2, 3) 및 부가기능 유닛(4)은 딘레일(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전원 유닛(1)의 오른쪽 이웃에 제2, 제3 전원 유닛(2, 3)과 부가기능 유닛(4)이 상기 순서로 배치되어 있고, 제1 전원 유닛(1)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 커런트 밸런스 신호 출력측 커넥터(23)는, 제2 전원 유닛(2)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 커런트 밸런스 신호 입력측 커넥터(20)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전원 유닛(2)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 커런트 밸런스 신호 출력측 커넥터(23)는, 제3 전원 유닛(3)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 커런트 밸런스 신호 입력측 커넥터(20)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전원 유닛(3)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 커런트 밸런스 신호 출력측 커넥터(23)는, 부가기능 유닛(4)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33A, 33B), 직류 입력측 커넥터(34A, 34B), 커런트 밸런스 신호 입력측 커넥터(35)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 2, 3) 및 부가기능 유닛(4)의 각각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단일화되어 있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 2, 3) 및 부가기능 유닛(4)의 각각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단일화되어 있고, 또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 2, 3) 및 부가기능 유닛(4)의 각각의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CB)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단일화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에 접속되어 있고, 제1 전원 유닛(1)의 직류 출력단자(6A, 6B)에는 부하(38)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접속단자(36)에는 외부장치(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원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 전원 유닛(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 전원은, 제2, 제3 전원 유닛(2, 3)의 각각에 공급되는 결과, 각 전원 유닛(1, 2, 3)의 전원회로(9)에서 변환된 직류는 직류 출력단자(6A, 6B)의 각각으로부터 개별로 출력될 수 있고, 부하(38)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원 유닛(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 전원은, 제2, 제3 전원 유닛(2, 3)을 통하여 부가기능 유닛(4)에 공급되는 결과, 상기 부가기능 유닛(4)에 있어서 전력 변환된 직류는 직류 출력단자(31A, 32B)로부터 출력되고, 또한 전원회로(9)에서 변환된 직류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를 통하여 부가기능 유닛(4)의 직류 출력단자(31A, 32B)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부가기능 유닛(4)의 인터페이스 접속단자(36)에 접속된 외부장치에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CB)은 복수의 전원 유닛이 병렬로 이어졌을 때, 각각의 전원 유닛의 출력전류를 균일화 하는 제어수단에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CB)은 출력전류를 저항(14)에서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출력전류에 비례한 전압으로 출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CB)의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출력전류 즉 부하상태의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 2, 3) 및 부가기능 유닛(4)이 딘레일에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에 있어서는, 부가기능 유닛(4)을 제1 전원 유닛(1)에 커넥터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제1 전원 유닛(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이 접속되고, 제1 전원 유닛(1)의 직류 출력단자(6A, 6B)에 부하(38)가 접속되었지만,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과 부하(38)는 어느 전원 유닛에 접속되어도 좋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 2, 3)을 접속하기 위한 버스라인, 즉,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제일),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 및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CB)이 각각 커넥터 접속되어 모듈 전원이 구성되고, 상기 모듈 전원에 부가기능 유닛이 커넥터 접속되어 부가됨으로써 배선 절약이며 또한 노이즈 내량이 큰 부가기능을 갖는 전원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3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2를 도시한다.
도 3에 있어서, 41은 제1 전원 유닛, 42는 제2 전원 유닛, 43은 제3 전원 유닛, 44는 부가기능 유닛이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41)과 제2 전원 유닛(42) 및 제2 전원 유닛(42)과 제3 전원 유닛(43)은 각각 커넥터 접속수단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이들로 모듈 전원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41, 42, 43)에는 전원회로(9-1)와 교류 입력단자(5A, 5B)와 직류 출력단자(6A, 6B)와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과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이 배치되어 있다.
교류 입력단자(5A, 5B)는, 정면 패널 상부에 배설되어 100 내지 240V AC의 외부 상용 교류를 전원회로(9-1)에 유도하는 것으로서,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직류 출력단자(6A, 6B)는, 정면 패널 하부에 배설되어 24V DC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플러스측(+)이 2개, 마이너스측(-)이 2개이며, 플러스측 하나와 마이너스측 하나로 1쌍이 되어 2쌍의 직류 출력단자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직류 출력단자(5A)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에, 직류 출력단자(5B)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전원회로(9-1)는, 교류 입력단자(5A, 5B)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오는 교류를 안정화된 24V DC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여 직류 출력단자(6A, 6B)를 통하여 외부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 전원회로(9-1)는 스위칭 전원회로이며,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회로(9)에 있어서, 병렬 운전 제어수단을 시작하지 않는 구성과 같은 구성이다. 그리고 전원회로(9-1)의 입력측은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전원회로(9-1)의 출력측은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제2, 제3 전원 유닛(41, 42, 43)에는, 그 한쪽의 측면 패널측에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또한 다른쪽의 측면 패널측에,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와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접속되어 있고,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접속되어 있다. 부가기능 유닛(44)은 교류 입력단자(46A, 46B)와 변환회로(48)와 교류 출력측 커넥터(47A, 47B)를 갖고 있고, 상기 변환회로(48)는, 예를 들면, 돌입 방지회로 등이다. 그리고 상기 변환회로(48)는, 교류 입력단자부(48a, 48b)와 교류 출력단자부(48c, 48d)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교류 입력단자부(48a, 48b)는 교류 입력단자(47A, 47B)에 접속되어 있고, 교류 출력단자부(48c, 48d)는 교류 출력측 커넥터(47A, 47B)에 접속되어 있다.
부가기능 유닛(44)과 제1, 제2, 제3 전원 유닛(41, 42, 43)은 딘레일(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부가기능 유닛(44)의 오른쪽 이웃에 제1, 제2, 제3 전원 유닛(41, 42, 43)이 상기 순서로 배치되어 있고, 부가기능 유닛(44)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47A, 47B)는 제1 전원 유닛(41)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21A, 21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전원 유닛(41)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는 제2 전원 유닛(42)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전원 유닛(42)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는 제3 전원 유닛(43)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41, 42, 43)의 각각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단일화되어 있고, 또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41, 42, 43)의 각각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각각 단일화되어 있다.
그리고 부가기능 유닛(44)의 교류 입력단자(46A, 46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에 접속되어 있고, 제1 전원 유닛(41)의 직류 출력단자(6A, 6B)에는 부하(38)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부가기능 유닛(44)의 교류 입력단자(46A, 46B)로부터 입력된 교류는 상기 부가기능 유닛(44)의 변환회로(48)에서 변환되어(예를 들면, 변환회로(48)가 돌입 방지회로인 경우에는 돌입전류를 소정의 값으로 억제한다), 제1, 제2, 제3 전원 유닛(41, 42, 43)의 각각에 공급되는 결과, 제1, 제2, 제3 전원 유닛(41, 42, 43)의 직류 출력단자(6A, 6A)의 각각으로부터 직류가 개별로 출력될 수 있고, 부하(38)에 직류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부가기능 유닛(44)과 제1, 제2, 제3 전원 유닛(41, 42, 43)을 딘레일에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에 있어서는, 부가기능 유닛(4)을 제3 전원 유닛(43)에 커넥터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제1 전원 유닛(41)의 직류 출력단자(6A, 6B)에 부하(38)가 접속되었지만, 부하(38)는 어느 전원 유닛에 접속되어도 좋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제1, 제2, 제3 전원 유닛(41, 42, 43)을 접속하기 위한 버스라인, 즉,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이 각각 커넥터 접속되어 모듈 전원이 구성되고, 상기 모듈 전원에 부가기능 유닛(44)이 커넥터 접속되어 부가됨으로써 배선 절약적이며 또한 노이즈 내량이 큰 부가기능을 갖는 전원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외부교류 전원을 입력하여 어떠한 변환을 행한 후,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을 이용하여 제1, 제2, 제3 전원 유닛(41, 42, 43)에 교류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4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3을 도시한다.
도 4에 있어서, 51은 제1 전원 유닛, 52는 제2 전원 유닛, 53은 제3 전원 유닛, 54는 부가기능 유닛이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51)과 제2 전원 유닛(52) 및 제2 전원 유닛(52)과 제3 전원 유닛(53)은 각각 커넥터 접속수단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이들로 모듈 전원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51, 52, 53)에는 전원회로(9-1)와 교류 입력단자(5A, 5B)와 직류 출력단자(6A, 6B)와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과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이 배치되어 있다.
교류 입력단자(5A, 5B)는, 정면 패널 상부에 배설되어 100 내지 240V AC의 외부 상용 교류를 전원회로(9-1)에 유도하는 것으로서,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직류 출력단자(6A, 6B)는, 정면 패널 하부에 배설되어 24V DC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플러스측(+)이 2개, 마이너스측(-)이 2개이며, 플러스측 하나와 마이너스측 하나로 1쌍이 되어 2쌍의 직류 출력단자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직류 출력단자(5A)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에, 직류 출력단자 5B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전원회로(9-1)는, 교류 입력단자(5A, 5B)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오는 교류를 안정화된 24V DC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여 직류 출력단자(6A, 6B)를 통하여 외부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제1, 제2, 제3 전원 유닛(51, 52, 53)에는, 그 한쪽의 측면 패널측에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또한 다른쪽의 측면 패널측에,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와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접속되어 있고,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접속되어 있다.
부가기능 유닛(54)은 직류 입력측 커넥터(55A, 55B)와 변환회로(56)와 직류 출력단자(57A, 57B)를 갖고 있고, 상기 변환회로(56)는, 예를 들면, 강압회로 등이다. 그리고 상기 변환회로(56)는 직류 입력단자부(56a, 56b)와 직류 출력단자부(56c, 56d)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직류 입력단자부(56a, 56b)는 직류 입력측 커넥터(55A, 55B)에 접속되어 있고, 직류 출력단자부(56c, 56d)는 직류 출력단자(57A, 57B)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제2, 제3 전원 유닛(51, 52, 53) 및 부가기능 유닛(54)은 딘레일(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전원 유닛(51)과 제2 전원 유닛(52) 및 제2 전원 유닛(53)과 제3 전원 유닛(54)은, 그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가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에 접속되고, 그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가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에 접속되어 상기 순서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52, 53, 54)의 각각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및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각각 단일화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전원 유닛(53)과 부가기능 유닛(54)은,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가 직류 입력측 커넥터(55A, 55B)에 접속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전원 유닛(5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에 접속되어 있고, 부가기능 유닛(54)의 직류 출력단자(57A, 57B)에는 부하(38)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원 유닛(5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 전원은, 제2, 제3 전원 유닛(52, 53)의 각각에 공급되는 결과, 제2, 제3 전원 유닛(52, 53)의 직류 출력단자(6A, 6B)의 각각으로부터 직류가 개별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원 유닛(5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는 각 전원 유닛(51, 52, 53)의 전원회로(9-1)를 통하여 직류로 변환된 후에 부가기능 유닛(54)에 공급되는 결과, 상기 부가기능 유닛(54)의 변환회로(56)에 있어서, 예를 들면, 직류를 강압하여 부하(39)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는, 제1, 제2, 제3 전원 유닛(51, 52, 53) 및 부가기능 유닛(54)이 딘레일에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에 있어서는, 부가기능 유닛(54)이 제1 전원 유닛(51)에 커넥터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는, 제1 전원 유닛(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이 접속되었지만,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은 어느 전원 유닛에 접속되어도 좋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제1, 제2, 제3 전원 유닛(51, 52, 53)을 접속하기 위한 버스라인, 즉,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이 각각 커넥터 접속되어 모듈 전원이 구성되고, 상기 모듈 전원에 부가기능 유닛(54)이 커넥터 접속되어 부가됨으로써 배선 절약적이며 또한 노이즈 내량이 큰 부가기능을 갖는 전원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제1, 제2, 제3 전원 유닛(51, 52, 53)의 직류를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을 이용하여 부가기능 유닛(54)에 입력하고, 어떠한 변환을 행한 후, 부하(38)에 공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5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4를 도시한다.
도 5에 있어서, 61은 제1 전원 유닛, 62는 제2 전원 유닛, 63은 부가기능 유닛이다. 그리고 제1, 제2 전원 유닛(61, 62)에는 전원회로(9-1)와 교류 입력단자(5A, 5B)와 직류 출력단자(6A, 6B)와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과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이 배치되어 있다.
교류 입력단자(5A, 5B)는, 정면 패널 상부에 배설되어 100 내지 240V AC의 외부 상용 교류를 전원회로(9-1)에 유도하는 것으로서,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직류 출력단자(6A, 6B)는, 정면 패널 하부에 배설되어 24V DC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플러스측(+)이 2개, 마이너스측(-)이 2개이며, 플러스측 하나와 마이너스측 하나로 1쌍이 되어 2쌍의 직류 출력단자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직류 출력단자(6A)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에, 직류 출력단자(6B)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전원회로(9-1)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전원회로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전원회로(9-1)의 입력측은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전원회로(9-1)의 출력측은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전원 유닛(62, 62)에는, 한쪽의 측면 패널측에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다른쪽의 측면 패널측에는,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와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접속되어 있고,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접속되어 있다.
부가기능 유닛(63)은, 교류 입력측 커넥터(64A, 64B)와 교류 출력측 커넥터(65A, 65B)와 변환회로(67)와 직류 입력측 커넥터(68A, 68B)와 직류 출력측 커넥터(69A, 69B)를 갖고 있고, 상기 변환회로(67)는 교류 입력단자부(67a, 67b)와 교류 출력단자부(67c, 67d)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교류 입력단자부(67a, 67b)는 교류 입력측 커넥터(64A, 64B)에 접속되어 있고, 교류 출력단자부(67c, 67d)는 교류 출력측 커넥터(65A, 65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직류. 입력측 커넥터(68A, 68B)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을 통하여 직류 출력측 커넥터(69A, 69B)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전원 유닛(61)과 부가기능 유닛(63)과 제2 전원 유닛(62)은 딘레일(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전원 유닛(61)과 부가기능 유닛(63)은, 제1 전원 유닛(61)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 및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가 부가기능 유닛(63)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64A, 64B) 및 직류 입력측 커넥터(68A, 68B)에 접속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고, 부가기능 유닛(63)과 제2 전원 유닛(62)은, 부가기능 유닛(63)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65A, 65B) 및 직류 출력측 커넥터(69A, 69B)가 제2 전원 유닛(62)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및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에 접속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원 유닛(61)과 부가기능 유닛(63)과 제2 전원 유닛(62)의 각각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단일화되어 있다.
또한 제1 전원 유닛(6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원 유닛(6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는 부가기능 유닛(63)에 공급되고, 상기 부가기능 유닛(63)의 변환회로(67)에 의해 어떠한 변환, 예를 들면, 강압 변환를 행한 후에 제2 전원 유닛(62)에 공급된다.
제1 전원 유닛(61)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출력된 직류는 부가기능 유닛(63)을 통하여 제2 전원 유닛(62)에 공급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4에 의하면, 제1 전원 유닛(6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는 부가기능 유닛(63)에 공급되고, 상기 부가기능 유닛(63)의 변환회로(67)에 의해 어떠한 변환이 행하여진 후에 제2 전원 유닛(61)으로 변환 후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6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5를 도시한다.
도 6에 있어서, 71은 제1 전원 유닛, 72는 제2 전원 유닛, 73은 부가기능 유닛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부가기능 유닛(73)은,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부가기능 유닛(63)에 있어서, 직류 입력측 커넥터(68A, 68B)와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과 직류 출력측 커넥터(69A, 69B)를 제외한 구성이며,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71)은,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61)과 같은 구성이며,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제2 전원 유닛(72)은,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제2 전원 유닛(62)과 같은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5의 기타 구성은,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4와 같기 때문에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71)과 부가기능 유닛(73)과 제2 전원 유닛(72)은 딘레일(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전원 유닛(71)과 부가기능 유닛(73)은, 제1 전원 유닛(71)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A)가 부가기능 유닛(73)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64A, 64B)에 접속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고, 부가기능 유닛(73)과 제2 전원 유닛(72)은, 부가기능 유닛(73)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65A, 65B)가 제2 전원 유닛(72)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에 접속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전원 유닛(7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원 유닛(7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는 부가기능 유닛(73)에 공급되고, 상기 부가기능 유닛(73)의 변환회로(67)에 의해 어떠한 변환이 행하여진 후에 제2 전원 유닛(72)으로 변환 후의 교류가 공급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5에 의하면, 제1 전원 유닛(7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는 부가기능 유닛(73)에 공급되고, 상기 부가기능 유닛(73)의 변환회로(67)에 의해 어떠한 변환이 행하여진 후에 제2 전원 유닛(72)으로 변환 후의 교류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도 7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6을 도시한다.
도 7에 있어서, 81은 제1 전원 유닛, 82은 제2 전원 유닛, 83은 부가기능 유닛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81)과 제2 전원 유닛(82)은,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61)과 제2 전원 유닛(62)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부가기능 유닛(83)은 교류 입력측 커넥터(84A, 84B)와 교류 출력측 커넥터(85A, 85B)와 변환회로(86)와 직류 입력측 커넥터(87A, 87B)와 직류 출력측 커넥터(88A, 88B)를 갖고 있고, 상기 변환회로(86)는 직류 입력단자부(86a, 86b)와 직류 출력단자부(86c, 86d)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직류 입력단자부(86a, 86b)는 직류 입력측 커넥터(84A, 84B)에 접속되어 있고, 직류 출력단자부(86c, 86d)는 직류 출력측 커넥터(88A, 88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교류 입력측 커넥터(84A, 84B)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을 통하여 교류 출력측 커넥터(85A, 85B)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81)과 부가기능 유닛(83)과 제2 전원 유닛(82)은 딘레일(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전원 유닛(81)과 부가기능 유닛(83)은, 제1 전원 유닛(82)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 및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가 부가기능 유닛(83)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84A, 84B) 및 직류 입력측 커넥터(87A, 87B)에 접속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고, 부가기능 유닛(83)과 제2 전원 유닛(82)은, 부가기능 유닛(83)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85A, 85B) 및 직류 출력측 커넥터(88A, 88B)가 제2 전원 유닛(83)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및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에 접속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원 유닛(81)과 부가기능 유닛(63)과 제2 전원 유닛(82)의 각각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단일화되어 있다. 또한 제1 전원 유닛(8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원 유닛(8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 전원은, 부가기능 유닛(83)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를 경유하여 제2 전원 유닛(82)에 공급된다.
또한 제1 전원 유닛(61)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출력된 직류는 부가기능 유닛(83)에 공급되고, 상기 부가기능 유닛(83)의 변환회로(86)에 의해 어떠한 변환이 행하여진 후에 제2 전원 유닛(82)으로 변환 후의 직류가 공급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6에 의하면, 제1 전원 유닛(81)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출력된 직류가 부가기능 유닛(83)에 공급되고, 상기 부가기능 유닛(83)의 변환회로(86)에 의해 어떠한 변환이 행하여진 후에 제2 전원 유닛(82)으로 변환 후의 직류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7)
도 8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7를 도시한다.
도 8에 있어서, 91은 제1 전원 유닛, 92은 제2 전원 유닛, 93은 제3 전원 유닛, 94는 부가기능 유닛으로서의 출력 이상 검출 유닛이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91)과 제2 전원 유닛(92) 및 제2 전원 유닛(93)과 제3 전원 유닛(93)은 각각 커넥터 접속수단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모듈 전원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7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91)과 제2 전원 유닛(92)과 제3 전원 유닛(93)은,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51)과 제2 전원 유닛(52)과 제3 전원 유닛(53)과 같은 구성이며, 또한 제1 전원 유닛(91)과 제2 전원 유닛(92)의 커넥터 접속 구조 및 제2 전원 유닛(92)과 제3 전원 유닛(93)의 커넥터 접속 구조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51)과 제2 전원 유닛(52)의 커넥터 접속 구조 및 제2 전원 유닛(52)과 제3 전원 유닛(53)의 커넥터 접속 구조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출력 이상 검출 유닛(94)은, 직류 입력측 커넥터(95A, 95B)와 제1, 제2, 제3 직류 출력단자(96A, 96B, 97A, 97B, 98A, 98B)와 알람 출력단자(99A, 99B)와 제1, 제2, 제3 절단회로(100, 101, 102)와 출력 이상 검출회로(103)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절단회로(100, 101, 102)는 입력단자부(100a, 100b)와 출력단자부(100c, 100d)를 갖고 있다. 또한 출력 이상 검출회로(103)는 제1 출력 이상 검출부(103A)와 제2 출력 이상 검출부(103B)와 제3 출력 이상 검출부(103C)와 제1 직류 출력단자(96A, 96B) 사이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제1 출력전압 검출부(104)와 제2 직류 출력단자(97A, 97B) 사이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제2 출력전압 검출부(105)와 제3 직류 출력단자(98A, 98B) 사이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제3 출력전압 검출부(106)를 갖고 있다.
그리고 직류 입력측 커넥터(95A)는 제1, 제2, 제3 절단회로(100, 101, 102)의 각각의 입력단자부(100a)에 접속되어 있고, 직류 입력측 커넥터(95B)는 제1, 제2, 제3 절단회로(100, 101, 102)의 각각의 입력단자부(100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절단회로(100)의 출력단자부(100c, 100d)는 제1 직류 출력측단자(96A, 96B)에 접속되어 있고, 제2 절단회로(101)의 출력단자부(100c, 100d)는 제2 직류 출력단자(97A, 97B)에 접속되어 있고, 제3 절단회로(102)의 출력단자부(100c, 100d)는 제3 직류 출력단자(98A, 98B)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 이상 검출회로(103)의 제1, 제2, 제3 출력 이상 검출부(103A, 103B, 103C)는 트랜지스터(Tr1, Tr2, Tr3)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들 트랜지스터(Tr1, Tr2, Tr3)의 이미터측이 직류 입력측 커넥터(95A)에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1, Tr2, Tr3) 베이스측은 제1, 제2, 제3 출력전압 검출부(104, 105, 10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Tr1, Tr2, Tr3)의 콜렉터측은 포토·커플러(107)의 발광 다이오드(107a)를 통하여 직류 입력 커넥터(95B)에 접속되어 있다. 포토·커플러(107)의 출력측은 알람 출력단자(99A, 99B)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91, 92, 93) 및 출력 이상 검출 유닛(94)은 딘레일(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전원 유닛(91)과 제2 전원 유닛(92) 및 제2 전원 유닛(92)과 제3 전원 유닛(93)은, 그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가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에 접속되고, 그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가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에 접속되어 상기 순서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91, 92, 93)의 각각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및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각각 단일화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전원 유닛(93)과 출력 이상 검출 유닛(94)은,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가 직류 입력측 커넥터(95A, 95B)에 접속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전원 유닛(9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에 접속되어 있고, 출력 이상 검출 유닛(94)의 알람 출력단자(99A, 99B)에는 부저 등의 경보수단(도시생략)이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원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 전원 유닛(9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는 제2, 제3 전원 유닛(92, 93)의 각각에 공급되는 결과, 제1 전원 유닛(91)의 직류 출력단자(6A, 6B)뿐만 아니라, 제2, 제3 전원 유닛(92, 93)의 직류 출력단자(6A, 6B)의 각각으로부터 직류를 개별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원 유닛(9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는 각 전원 유닛(91, 92, 93)의 전원회로(9-1)를 통하여 직류로 변환된 후에 출력 이상 검출 유닛(94)에 공급되고, 상기 출력 이상 검출 유닛(94)의 제1, 제2, 제3 직류 출력단자(96A, 96B, 97A, 97B, 98A, 98B)에 직류를 출력한다.
제1, 제2, 제3 직류 출력단자(96A, 96B, 97A, 97B, 98A, 98B)에는, 각각, 예를 들면, 부하(도시생략)가 접속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제1 직류 출력단자(96A, 96B)의 부하에 출력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제1 출력전압 검출부(104)에 검출 신호(전압)가 발생되고, 상기 검출 신호(전압)가 제1 출력 이상 검출부(103A)의 트랜지스터(Tr1) 베이스측에 인가된다.
이 때문에, 포토·커플러(107)의 발광 다이오드(107a)에 통전되고, 포토·커플러(107)의 출력측에서 알람 출력단자(99A, 99B)에 알람 신호가 보내여지고 경보수단이 경보를 발한다. 또한 상기 경보수단 대신에 표시수단으로 함으로써 이상 상태를 표시하고, 안전한 상태를 확보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7에 의하면, 제1, 제2, 제3 전원 유닛(91, 92, 93)을 접속하기 위한 버스라인, 즉,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이 각각 커넥터 접속되어 모듈 전원이 구성되고, 상기 모듈 전원에 출력 이상 검출 유닛(94)이 커넥터 접속되어 부가됨으로써 배선 절약이며 또한 노이즈 내량이 큰 출력 이상 검출기능을 갖는 전원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이 이상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 신호 출력, 또는 표시를 행하기 위해, 안전한 상태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각 출력마다, 임의의 출력 이상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7에 있어서는, 제1, 제2, 제3 전원 유닛(91, 92, 93) 및 출력 이상 검출 유닛(94)이 딘레일에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에 있어서는, 출력 이상 검출 유닛(94)을 제1 전원 유닛(91)에 커넥터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7에 있어서는, 제1 전원 유닛(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이 접속되었지만,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은 어느 전원 유닛에 접속되어도 좋다.
(실시 형태 8)
도 9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8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8은,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7에 있어서의 제1, 제2, 제3 전원 유닛(91, 92, 93)에 각각 출력전압 검출부 및 출력 이상 검출부가 마련되고, 부가기능 유닛으로서 알람( 출력 이상)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유닛이 부가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제1 전원 유닛(91)에는 신호 출력측 커넥터(108)가 마련되어 있고, 제2 전원 유닛(92)에는 신호 입력측 커넥터(109A)와 신호 출력측 커넥터(109B)가 마련되어 있고, 제3 전원 유닛(93)에는 신호 입력측 커넥터(110A)와 신호 출력측 커넥터(110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91, 92, 93)의 전원회로(9-1)의 출력측(+측)은 다이오드(D)를 통하여 직류 출력 버스라인(Vo+)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91, 92, 93)의 전원회로(9-1)의 출력측에는 제1, 제2, 제3 출력전압 검출부(112A, 112B, 112C)와 제1, 제2, 제3 출력 이상 검출부(113A, 113B, 113C)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출력 이상 검출부(113A, 113B, 113C)는 트랜지스터(Tr1, Tr2, Tr3)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전원 유닛(91)에 있어서, 제1 출력전압 검출부(112A)의 출력측은 트랜지스터(Tr1) 베이스측에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1)의 이미터측은 다이오드(D)의 캐소드측에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측은 신호 출력측 커넥터(10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전원 유닛(92)에 있어서, 제2 출력전압 검출부(112B)의 출력측은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측에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2)의 이미터측은 다이오드(D)의 캐소드측에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측은 신호 입력측 커넥터(109A)와 신호 출력측 커넥터(109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3 전원 유닛(93)에 있어서, 제3 출력전압 검출부(112C)의 출력측은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측에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3)의 이미터측은 다이오드(D)의 캐소드측에 접속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측은 신호 입력측 커넥터(110A)와 신호 출력측 커넥터(110B)에 접속되어 있다.
알람 출력유닛(114)은 직류 입력측 커넥터(115A, 115B)와 알람 출력단자(116A, 116B)와 신호 입력측 커넥터(117A)와 포토·커플러(118)를 갖고 있고, 포토·커플러(118)의 발광 다이오드(118a)의 애노드측은 신호 입력측 커넥터(117A)에 접속되어 있고, 발광 다이오드(118a)의 캐소드측은 직류 입력측 커넥터(115B)에 접속되어 있다. 포토·커플러(107)의 출력측은 알람 출력단자(116A, 116B)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91, 92, 93) 및 알람 출력유닛(114)은 딘레일(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전원 유닛(91)과 제2 전원 유닛(92) 및 제2 전원 유닛(92)과 제3 전원 유닛(93)은, 그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가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에 접속되고, 그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가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에 접속되어 상기 순서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91, 92, 93)의 각각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및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각각 단일화되어 있다. 또한 제1 전원 유닛(91)의 신호 출력측 커넥터(108)에 제2 전원 유닛(92)의 신호 입력측 커넥터(109A)가 접속되어 있고, 제2 전원 유닛(92)의 신호 출력측 커넥터(109B)에 제3 전원 유닛(93)의 신호 입력측 커넥터(110A)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91, 92, 93)의 각각의 트랜지스터(Tr1, Tr2, Tr3)의 콜렉터측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제2 신호 버스라인으로서 단일화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전원 유닛(93)과 알람 출력유닛(114)은,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가 직류 입력측 커넥터(115A, 115B)에 접속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고, 제3 전원 유닛(93)의 신호 출력측 커넥터(110B)에 알람 출력유닛(114)의 신호 입력측 커넥터(117A)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전원 유닛(9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에 접속되어 있고, 알람 출력유닛(114)의 알람 출력단자(116A, 116B)에는 부저 등의 경보수단 또는 표시수단(어느것이나 도시생략)이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원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 전원 유닛(9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는 제2, 제3 전원 유닛(92, 93)의 각각에 공급되는 결과, 제1 전원 유닛(91)의 직류 출력단자(6A, 6B)뿐만 아니라, 제2, 제3 전원 유닛(92, 93)의 직류 출력단자(6A, 6B)의 각각으로부터 직류를 개별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1 전원 유닛(91)에 출력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제1 출력전압 검출부(112A)에 검출 신호(전압)가 발생되고, 상기 검출 신호(전압)가 제1 출력 이상 검출부(113A)의 트랜지스터(Tr1) 베이스측에 인가된다.
이 때문에, 포토·커플러(118)의 발광 다이오드(118a)에 통전되고, 포토·커플러(118)의 출력측에서 알람 출력단자(116A, 116B)에 알람 신호가 보내여지고 경보수단이 경보를 발한다. 또한 상기 경보수단 대신에 표시수단으로 함으로써 이상 상태를 표시하고, 안전한 상태를 확보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8에 있어서는, 알람 출력유닛(114) 및 제3, 제2, 제1 전원 유닛(93, 92, 91)이 딘레일에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에 있어서는, 알람 출력유닛(114)을 제1 전원 유닛(91)에 커넥터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8에 있어서는, 제1 전원 유닛(9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이 접속되었지만,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은 어느 전원 유닛에 접속되어도 좋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8에 의하면, 제1, 제2, 제3 전원 유닛(91, 92, 93)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이 이상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 신호 출력, 또는 표시를 하기 위해, 안전한 상태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출력마다 임의의 출력 이상치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9)
도 11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9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전원장치(120)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 용량에 관계 없이 1대당의 돌입전류를 25A/50A(100V/200V)로 억제하는 돌입전류 방지회로(즉, 돌방회로)(120A)를 내장하고 있다. 상기 때문에 전원장치(120)를 N대 접속한 경우, N배의 돌입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복수대의 전원장치(120)를 사용하는 경우, 필요한 전력 용량이 적은 경우에도 서지전류 내량이 큰 설비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비교적 소용량의 전원장치를 복수대 조합시켜, 임의의 용량을 실현하는 전원장치의 경우에도 유저로부터 보아 1대의 전원장치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9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각 전원장치(전원 유닛)의 내장 돌방회로와는 별도로, 전원장치의 시스템 전체에서의 돌입전류를 방지하는 회로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9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원 유닛(121)과 제2 전원 유닛(122)과 제3 전원 유닛(123)과 부가기능 유닛으로서의 돌방 유닛(12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121)과 제2 전원 유닛(122) 및 제2 전원 유닛(122)과 제3 전원 유닛(123)은 각각 커넥터 접속수단에 의해 접속되고, 모듈 전원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9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121)과 제2 전원 유닛(122)과 제3 전원 유닛(123)은,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41)과 제2 전원 유닛(42)과 제3 전원 유닛(43)에 있어서, 전원회로(9-1)의 입력측에 내장 돌방회로(125)를 배치한 구성이며, 또한 제1 전원 유닛(121)과 제2 전원 유닛(122)의 커넥터 접속 구조 및 제2 전원 유닛(122)과 제3 전원 유닛(123)의 커넥터 접속 구조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41)과 제2 전원 유닛(42)의 커넥터 접속 구조 및 제2 전원 유닛(42)과 제3 전원 유닛(43)의 커넥터 접속 구조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돌방 유닛(124)은 교류 입력단자(125A, 125B)와 출력측단자(126A, 126B)와 교류 출력측 커넥터(127A, 127B)와 돌방회로(128)를 갖고 있다.
돌방회로(128)는 입력단자부(128a, 128b)와 출력단자부(128c, 128d, 128e, 128f)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돌방회로(128)의 입력단자부(128a, 128b)는 교류 입력단자(125A, 125B)에 접속되어 있고, 출력단자부(128c, 128d)는 교류 출력측 커넥터(127A, 127B)에 접속되어 있고, 출력단자부(128e, 128f)는 출력측단자(126A, 126B)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돌방 유닛(124) 및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21, 122, 123)은 딘레일(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돌방 유닛(124)의 오른쪽 이웃에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21, 122, 123)이 상기 순서로 배치되어 있고, 돌방 유닛(124)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127A, 127B)는 제1 전원 유닛(121)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21A, 21B)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돌방 유닛(124)과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21, 122, 123)의 각각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단일화되어 있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21, 122, 123)의 각각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각각 단일화되어 있다.
그리고 돌방 유닛(124)의 교류 입력단자(125A, 125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에 접속되어 있고, 제3 전원 유닛(123)의 직류 출력단자(6A, 6B)에는 부하(38)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원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돌방 유닛(124)의 교류 입력단자(125A, 125B)로부터 입력된 교류 전원은 돌방회로(128)을 통하여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21, 122, 123)의 각각에 공급되는 결과,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21, 122, 123)의 직류 출력단자(6A, 6A)의 각각으로부터 직류가 개별로 출력될 수 있어, 부하(38)에 직류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21, 122, 123)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용 교류 전원(37)으로부터 새롭게 부가된 돌방 유닛(124)을 경유하여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21, 122, 123)에 입력되기 때문에,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21, 122, 123)을 사용한 경우에도 1대의 전원 유닛을 사용한 경우와 같은 돌입전류치가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서지전류 내량이 작은 설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돌방 유닛(124)에 필요한 임피던스를 도 12(전원 유닛을 4대 접속)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원장치의 시스템 전체에서 돌입전류를 25A 이하로 억제하는 경우, 필요한 임피던스는 5.7Ω 이상(= √2×100V/25A)이기 때문에 10Ω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각 전원 유닛의 내장 돌방회로의 임피던스도 10Ω(= R2= R3= R4= R5)인 경우를 상정한다. 상기 때, 돌방 유닛에 필요한 임피던스는 R1= 10Ω- 10Ω/4= 7.5Ω로 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9에서는, 돌방 유닛(124) 및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21, 122, 123)이 딘레일에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에 있어서는, 돌방 유닛(124)이 제3 전원 유닛(123)에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9에 의하면,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21, 122, 123)을 접속하기 위한 버스라인, 즉,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이 각각 커넥터 접속되어 모듈 전원이 구성되고, 상기 모듈에 돌방 유닛(124)이 커넥터 접속되어 부가됨으로써 배선 절약적이며 또한 노이즈 내량이 큰 시스템 전체에서의 돌입전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각 전원 유닛의 내장 돌방회로와는 별도로, 전원장치의 시스템 전체에서의 돌입전류를 방지하는 회로를 부가함으로써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21, 122, 123)을 사용한 경우에도 1대의 전원 유닛을 사용한 경우와 같은 돌입전류치가 실현되어, 서지전류 내량이 작은 설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전원 시스템은, 제1, 제2, 제3 전원장치(121-1, 122-1, 123-1)가 커넥터 접속되지 않고서 독립된 것으로서, 이들의 제1, 제2, 제3 전원장치(121-1, 122-1, 123-1)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용 교류 전원(37-1)으로부터 새롭게 부가된 돌방장치(124-1)를 경유하여 제1, 제2, 제3 전원장치(121-1, 122-1, 123-1)에 입력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제1, 제2, 제3 전원장치(121-1, 122-1, 123-1)를 사용한 경우에도 1대의 전원장치를 사용한 경우와 같은 돌입전류치가 실현되어 서지전류 내량이 작은 설비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전원 시스템은, 커넥터 접속되지 않고서 독립된 제1, 제2, 제3 전원장치(121-1, 122-1, 123-1)와, 돌방장치(129)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방장치(129)는 입력단자부(129a, 129b)와 출력단자부(129c, 129d)를 갖고 있고, 입력단자부(129a)는 저항(R)을 통하여 출력단자부(129c)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저항(R)에는 스위치소자(반도체 스위치)(Q)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력단자부(129b)는 배선(P)을 통하여 출력단자부(129d)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돌방장치(129)의 입력단자부(129a, 129b)는 상용 교류 전원(37-1)에 접속되어 있고, 돌방장치(129)의 출력단자부(129c, 129d)는 제1, 제2, 제3 전원장치(121-1, 122-1, 123-1)의 교류 입력단자(130A, 130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전원장치(121-1, 122-1, 123-1)의 전원회로(9-1)로부터 신호회로(131)가 도출되어 있고, 상기 신호회로(13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돌방장치(129)의 스위치소자(Q)가 온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전원장치(121-1, 122-1, 123-1)의 직류 출력단(1132A, 132B)에는 부하(133)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용 교류 전원(37-1)으로부터 새롭게 부가된 돌방장치(129)의 저항(R)을 경유하여 제1, 제2, 제3 전원장치(121-1, 122-1, 123-1)에 입력되도록 하여, 돌입전류를 방지한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전원장치(121-1, 122-1, 123-1)의 적어도 1대가 작동하면, 신호회로(13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돌방장치(129)의 스위치소자(Q)가 온작동하고, 상용 교류 전원(37-1)으로부터의 교류 전원이 스위치소자(Q)를 경유하여 제1, 제2, 제3 전원장치(121-1, 122-1, 123-1)에 입력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전원 시스템은, 도 14에 도시한 전원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회로(131)를 제외하고, 그 대신에, 상용 전원투입 후, 타이머 회로(딜레이 회로)(132)로 미리 설정된 시간 후에 스위치소자(Q)를 온작동시켜, 상용 교류 전원(37-1)으로부터의 교류 전원이 스위치소자(Q)를 경유하여 제1, 제2, 제3 전원장치(121-1, 122-1, 123-1)에 입력되도록 한 것으로서, 기타 구성은 도 14에 도시한 전원 시스템과 같기 때문에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다.
(실시 형태 10)
도 16 내지 도 18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0을 도시한다.
스위칭 전원 등에 의해 AC/DC 변환된 전력은, 특히 고용량의 전원장치인 경우에는 복수의 부하(기기)에 전력을 공급되는 일이 많다. 상기 경우, 하나의 부하에 문제가 일어난 때에는, 그 전원장치로부터 전력 공급되고 있는 부하 전체에 영향을 주는 것은 피할 수 없다.
그래서, 전원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부하 전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전원장치의 출력단자에서 배선을 복수로 분기시키고, 각각의 배선에 퓨즈나 브레이커 등의 안전장치를 조립하여, 하나의 전원장치로부터 복수의 부하에 공급한 경우에 하나의 부하에 문제가 일어났을 때에도 그 부하만으로 영향을 억제하여, 다른 부하는 문제 없이 가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경우, 배선 수의 증가와 복수의 안전장치의 설치 장소, 안전장치의 선택과 시스템 설계를 곤란하게 하여 시간과 가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보호기능을 가지며 이상 상태를 출력시키는 기능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복잡한 시스템을 꾸밀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0은, 출력의 분기를 필요로 하는 경우, 간단히 배선할 수 있고 복수의 보호기능과 이상 상태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일체화 하여, 보다 안전성과 메인티넌즈성을 향상시키는 수 있고 또한 시스템 전체를 소형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0은, 모듈 전원의 출력에 접속되어 그 출력을 복수로 분기할 수 있는 단자를 가지며, 그 분기된 단자에 흐르는 출력전류를 검출하고, 어떤 설정치에 도달하면 그것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와 모듈 전원의 공급 라인을 절단하는 기능, 모듈 전원으로부터의 과전압을 검출하여 마찬가지로 모듈 전원의 공급 라인을 절단하는 기능, 전류나 전압의 이상 상태를 알릴 수 있는 기능, 수동으로 이들의 이상 상태에서의 라인 절단을 해제할 수 있는 기능을 일체로하여 유닛화 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0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원 유닛(141)과 제2 전원 유닛(142)과 제3 전원 유닛(143)과 부가기능 유닛으로서의 브랜칭 유닛(14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141)과 제2 전원 유닛(142) 및 제2 전원 유닛(142)과 제3 전원 유닛(143)은 각각 커넥터 접속수단에 의해 접속되고, 모듈 전원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0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141)과 제2 전원 유닛(142)과 제3 전원 유닛(143)은,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51)과 제2 전원 유닛(52)과 제3 전원 유닛(53)과 같은 구성이며, 또한 제1 전원 유닛(141)과 제2 전원 유닛(142)의 커넥터 접속 구조 및 제2 전원 유닛(142)과 제3 전원 유닛(143)의 커넥터 접속 구조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51)과 제2 전원 유닛(52)의 커넥터 접속 구조 및 제2 전원 유닛(52)과 제3 전원 유닛(53)의 커넥터 접속 구조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브랜칭 유닛(144)은 직류 입력측 커넥터(145A, 145B)와 제1, 제2, ···제n의 직류 출력단자(146-1, 146-1 ···146-n)와 과전압 검출회로(147)와 전원 출력라인 분기장치(148)와 제1, 제2, ···제n의 브랜칭 회로(149-1, 149-2··· 149-n)와 직류 입력단자(144A, 144B)를 갖고 있다.
과전압 검출회로(147)의 입력측은 직류 입력측 커넥터(145A, 145B)에 접속되어 있고, 과전압 검출회로(147)의 출력측은 전원 출력라인 분기장치(148)의 입력측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 출력라인 분기장치(148)의 각 출력측에 제1, 제2, ···제n의 브랜칭 회로(149-1, 149-2··· 149-n)의 입력측이 접속되어 있고, 제1, 제2, ···제n의 브랜칭 회로(149-1, 149-2 ···149-n)의 출력측은 그 대응하는 제1, 제2, ···제n의 직류 출력단자(146-1, 146-2 ···146-n)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제2, ···제n의 브랜칭 회로(149-1, 149-2 ···149-n)는 각각 공급 라인인 전원 출력라인(150)을 갖고 있고, 상기 전원 출력라인(150)에는 전류치 설정수단(151)을 갖는 전류 검출회로(152)와 출력라인 절단회로(153)와 절단상태 리셋회로(154)가 마련되어 있다.
전류 검출회로(152)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전류의 귀로(歸路)회로에 마련된 전류 검출저항(R)과 오페 앰프(OP)와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전류 검출·증폭부(155)와, 전압이 어떤 값을 초과하면 검출전류의 사이리스터(SCR)의 게이트단자에의 통전을 저지하는 제너 다이오드(Dz1)와, 오페 앰프(OP)의 반전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마련된 전류치 설정수단(151)인 볼륨(가변저항)(VR)을 갖고 있다.
또한 출력라인 절단회로(153)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b접점 구성의 릴레이(156)와, 사이리스터(SCR)의 통전에 의해 릴레이(156)의 솔레노이드(156a)를 여자(勵磁)하여 릴레이접점(b)을 분리시키는 릴레이 구동회로(156A)와, 상기 릴레이 구동회로(156A)에 조립된 발광다이오드(D)로 이루어지는 표시등 수단을 갖고 있다.
또한 절단상태 리셋회로(154)는, 수동 스위치(S)와, 상기 수동 스위치(S)의 온 작동에 의해 트랜지스터(Tr)를 작동하여 릴레이 구동회로(156A)를 그라운드로 떨어뜨려, 상기 릴레이 구동회로(156A)를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전원 출력라인(150)에는 이상 상태의 출력회로(15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출력회로(157)는, 릴레이(156)에 의한 전원 출력라인(150)의 절단시에, 검출단자(158)로부터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과전압 검출회로(147)는, 각각에 다른 3개의 전압치를 전환에 의해 설정하는 전환 스위치(148)와, 상기 전환 스위치(148)에서 설정된 전압을 초과하는 과전압이 발생된 경우에 과전압 검출 신호를 출력라인 절단회로(153)에 출력하는 신호 출력회로(149)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41, 142, 143) 및 브랜칭 유닛(144)은 딘레일(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제3 전원 유닛(143)의 오른쪽 이웃에 브랜칭 유닛(144)이 마련되어 있고, 제3 전원 유닛(143)의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가 브랜칭 유닛(144)의 직류 입력측 커넥터(145A, 145B)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41, 142, 143)의 각각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단일화되어 있고, 상기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은 브랜칭 유닛(144)의 전원 출력라인(150)에 이어져 있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14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에 접속되어 있고, 브랜칭 유닛(144)의 제1, 제2, ···제n의 직류 출력단자(146-1, 146-2 ···146-n)에는 각각 부하(39-1, 39-2 ···39-n)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원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 전원 유닛(14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는 제2, 제3 전원 유닛(142, 143)의 각각에 공급되는 결과, 제2, 제3 전원 유닛(142, 143)의 직류 출력단자(6A, 6B)의 각각으로부터 직류를 개별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원 유닛(14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는 각 전원 유닛(141, 142, 143)의 전원회로(9-1)를 통하여 직류로 변환된 후에 브랜칭 유닛(144)에 공급되는 결과, 상기 브랜칭 유닛(144)에 의해 분기되어 제1, 제2, ···제n의 직류 출력단자(146-1, 146-2 ···146-n)에 접속된 부하(39-1, 39-1, ··39-n)에 공급된다.
브랜칭 유닛(144)에 있어서는, 과전압 검출회로(147)의 전환 스위치(148)의 전환 동작에 의해 전압치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때문에, 상기 설정된 전압을 초과한 과전압이 발생된 경우에, 신호 출력회로(149)로부터 과전압 검출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과전압 검출 신호는 사이리스터(SCR)의 게이트단자에 보내여져, 상기 사이리스터(SCR)를 동작시킨다.
이 사이리스터(SCR)의 통전에 의해 릴레이 구동회로(156)가 작동되어 릴레이(156)의 솔레노이드(156a)가 여자되어 릴레이 접점(b)이 분리되어 전원 출력라인(150)이 절단되고, 부하(39-1, 3911 ···39-n)에의 직류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와 동시에, 릴레이 구동회로(156)에 조립된 발광다이오드(D)가 발광되어 표시등 수단이 점등된다.
또한 전원 출력라인(150)이 절단된 경우에, 이상 상태의 출력회로(157)가 작동하고, 검출단자(158)로부터 오프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절단상태 리셋회로(154)의 수동 스위치(S)를 온작동함으로써 트랜지스터(Tr)를 작동하여 릴레이 구동회로(156)를 그라운드로 떨어뜨려, 상기 릴레이 구동회로(156)를 차단하여 리셋을 행한다.
과전압 검출회로(147)에 있어서 전환 설정된 전압을 초과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1, 제2, ···제n의 브랜칭 회로(149-1, 149-2 ···149-n)의 각각의 전원 출력라인(150)에 직류가 공급되지만, 상기 전원 출력라인(150)을 흐르는 전류가 허용치를 초과하면, 전류 검출회로(152)에서 그 전류가 검출되고, 상기 전류에 의거한 검출 신호(전압)는 사이리스터(SCR)의 게이트단자에 보내여지고, 상기 사이리스터(SCR)를 동작시킨다.
이 사이리스터(SCR)의 통전에 의해 릴레이 구동회로(156)가 작동하여 릴레이(56)의 솔레노이드(156a)가 여자되어 릴레이 접점(b)이 분리되어 전원 출력라인(150)이 절단되고, 부하(39-1, 39-1 ···39-n)로의 직류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와 동시에, 릴레이 구동회로(156)에 조립된 발광 다이오드(D)가 발광되어 표시등 수단이 점등된다.
또한 전류치 설정수단(151)인 볼륨(가변저항)(VR)을 조작함으로써 허용전류치를 바꿀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0에서는,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41, 142, 143) 및 브랜칭 유닛(144)을 딘레일에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에 있어서는, 브랜칭 유닛(144)이 제1 전원 유닛(141)에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이 어느 전원 유닛에 접속되어도 좋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0에 의하면,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41, 142, 143)을 접속하기 위한 버스라인, 즉,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이 각각 커넥터 접속되어 모듈 전원이 구성되고, 상기 모듈 전원에 브랜칭 유닛(144)이 커넥터 접속되어 부가됨으로써 배선 절약적이며 또한 노이즈 내량이 큰 분기기능을 갖는 전원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보호기능을 유닛화함으로써 번거로운 배선처리를 없애어, 보다 저렴하고 안전한 브랜칭 기능이 제공될 수 있고, 시스템 전체의 소형화에 공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41, 142, 143)을 병렬 접속하는 일 없이, 제1 전원 유닛(141)과 브랜칭 유닛(144)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제1 전원 유닛(141)의 직류 출력단자(6A, 6B)와 브랜칭 유닛(144)과 직류 입력단자(144A, 144B)를 도 16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한다.
(실시 형태 11)
도 19 및 도 20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1을 도시한다.
입력 버스라인과 출력 버스라인이 각각의 전원장치에 마련되고, 각각의 전원장치의 입력, 출력이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기계적으로 접속 가능하고 각각의 전원장치를 병렬 운전, 또는 입력계통만 접속하여 사용할 때에, 각각의 전원장치 사이의 배선을 생략할 수 있는 모듈 전원이 있지만, 종래의 기술로서는, 입력 버스라인은 "L", "N", "FG"의 3개로 하고, 출력 버스라인은 (+), (-)의 2개로 하고, 어느 출력계통에서도 공통의 위치에 버스라인을 설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다른 출력전압을 갖는 전원장치를 접속할 때, 출력 버스라인이 동일하기 때문에 출력부에서 오접속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출력계통 이외는 출력 버스라인에 의한 접속을 할 수 없도록 몸체에 어떤 종류의 가공을 시행하여야 한다. 그 때문에, 어느 하나의 출력계통에서는 병렬 운전시에 각각의 전원장치 사이에 배선의 필요가 없지만, 다른 출력계통에서는 병렬 운전시에 각각의 전원장치 사이에 배선를 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1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른 출력전압을 갖는 전원장치 사이에 출력 버스라인만 전기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1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원 유닛(161)과 제2 전원 유닛(162)과 부가기능 유닛으로서의 세퍼레이터(16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1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161)과 제2 전원 유닛(162)은,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71)과 제2 전원 유닛(72)과 FG측 커넥터(163A-1, 163A-2)와, 버스라인(166C-1, 166C-2)을 부가한 구성이며, 기타 구성은 같기 때문에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세퍼레이터(163)에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류 입력측 커넥터(164A, 164B)와 교류 출력측 커넥터(165A, 165B)와, FG측 커넥터(163A, 163B)와, 교류 입력측 커넥터(164A)와 교류 출력측 커넥터(165A)를 접속하는 버스라인(166A)과, 교류 입력측 커넥터(164B)와 교류 출력측 커넥터(165B)를 접속하는 버스라인(166B)과, FG측 커넥터(163A, 163B) 사이를 접속하는 버스라인(166C)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는 FG측 커넥터(163A, 163B)와 버스라인(166C)은 개시(開示)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161)과 세퍼레이터(163)와 제2 전원 유닛(162)은 딘레일(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전원 유닛(161)과 세퍼레이터(163)는, 제1 전원 유닛(161)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가 세퍼레이터(163)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164A, 164B)에, FG측 커넥터(163C-1)가 FG측 커넥터(163A)에 접속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고, 세퍼레이터(163)와 제2 전원 유닛(162)은, 세퍼레이터(163)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165A, 165B)가 제2 전원 유닛(162)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에, FG측 커넥터(163B)가 FG측 커넥터(163C-2)에 접속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7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에 접속되어 있고, 제2 전원 유닛(162)의 직류 출력단자(6A, 6B)에는 부하(38)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원 유닛(16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 전원은 세퍼레이터(163)의 버스라인(166A, 166B)를 통하여 제2 전원 유닛(162)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공급된다. 상기 경우, 제1 전원 유닛(161)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과 제2 전원 유닛(162)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은 세퍼레이터(163)에 의해 전기적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1에 의하면, 다른 출력전압을 갖는 전원 유닛(161, 162)을 서로 배선 없이 접속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출력전압을 갖는 전원 유닛(161, 162)을 접속할 수 있고, 또한 각각 다른 출력전압을 갖는 전원 유닛(161, 162)마다 병렬 운전할 때도, 상호의 배선 없이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입력계통의 배선이 1개소만으로 다른 출력전압을 갖는 전원 유닛을 복수대 구동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2)
도 24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2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전원장치를 직렬 접속하는 경우,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전원장치(177)의 (+)출력측단자(177A)와 다른쪽의 전원장치(178)의 (-)출력단자(178B)가 접속 배선되어 부하(179)에 접속되고, 또한 한쪽의 전원장치(177)의 (-)출력측단자(177B)와 다른쪽의 전원장치(178)의 (+)출력단자(178A)가 배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원장치의 회로 방식에 따라서는, 내장하고 있는 출력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 역전압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및 다른쪽의 전원장치(177, 178)의 각각의 (+) (-)출력단자(177A, 177B) 사이 및 (+) (-)출력단자(178A, 178B) 사이에 다이오드(D)가 필요하게 된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을 원터치로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179A, 179B, 180A, 180B, 181A, 181B, 183A, 183B)를 본체 내에 갖는 전원 유닛(184, 185)의 경우에도 같다.
그러나 이러한 전원장치의 직렬 접속방법에서는, 단일체의 전원장치에 비하여 배선 공정수가 대폭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1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한쪽 및 다른쪽의 전원 유닛 사이에 직렬접속 유닛을 삽입함으로써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을 원터치로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를 본체 내에 갖는 전원 유닛의 경우에도 단일체의 전원장치와 비슷한 배선 공정수를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1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원 유닛(191)과, 제2 전원 유닛(192)과, 부가기능 유닛으로서의 직렬 접속 유닛(19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1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191)과 제2 전원 유닛(192)은,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6에 있어서의 제1 전원 유닛(81)과 제2 전원 유닛(82)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직렬 접속 유닛(193)에는, 교류 입력측 커넥터(194A, 194B)와 교류 출력측 커넥터(195A, 195B)와, 교류 입력측 커넥터(+측 커넥터)(194A)와 교류 출력측 커넥터(+측 커넥터)(195A)를 접속하는 버스라인(196A)과, 교류 입력측 커넥터(-측 커넥터)(194B)와 교류 출력측 커넥터(-측 커넥터)(195B)를 접속하는 버스라인(196B)과, 직류 입력측 커넥터(197A, 197B)와 직류 출력측 커넥터(198A, 198B)와, 직류 입력측 커넥터(+측 커넥터)(197A)와 직류 출력측 커넥터(-측 커넥터)(198B)를 접속하는 버스라인(199)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191)과 직렬접속 유닛(193)과 제2 전원 유닛(192)은 딘레일(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전원 유닛(191)과 직렬 접속 유닛(193)은, 제1 전원 유닛(191)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A)가 직렬접속 유닛(193)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194A, 194B)에 접속되고, 또한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A)가 직류 입력측 커넥터(197A, 197B)에 접속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직렬접속 유닛(193)과 제2 전원 유닛(192)은, 직렬접속 유닛(193)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195A, 195B)가 제2 전원 유닛(162)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에 접속되고, 직류 출력측 커넥터(198A, 198B)가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에 접속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19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이 접속되어 있고, 제1 전원 유닛(191)의 (-)측 직류 출력단자(6B)와 제2 전원 유닛(192)의 (+)측 직류 출력단자(6A) 사이에 부하(38)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원 유닛(19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는 상기 제1 전원 유닛(191)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으로부터 직렬접속 유닛(193)의 버스라인(196A, 196B)을 통하여 제2 전원 유닛(192)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공급된다.
또한 제1 전원 유닛(191)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과 제2 전원 유닛(192)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은 직렬접속 유닛(193)의 버스라인(199)에 의해 접속된다. 따라서 단일체의 전원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은 배선으로 접속 가능하게 되어, 단일체의 전원장치와 비슷한 배선 공정수가 달성될 수 있다.
(실시 형태 12)
도 25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또다른 실시 형태 12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2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원 유닛(191)과, 제2 전원 유닛(192)과, 부가기능 유닛으로서의 직렬접속 유닛(193-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직렬접속 유닛(193-1)으로서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라인(196A, 196B) 외에, 직류 입력측 커넥터(+측 커넥터)(197A)와 직류 출력측 커넥터(+측 커넥터)(198A)를 접속하는 버스라인(200)과, 직류 입력측 커넥터(-측 커넥터)(197B)와 직류 출력측 커넥터(-측 커넥터)(198B)를 접속하는 버스라인(201)이 마련되고, 버스라인(200)에 한쪽의 보호용 다이오드(202)가, 버스라인(201)에 다른쪽의 보호용 다이오드(203)가 각각 마련되고, 한쪽의 보호용 다이오드(202)의 애노드측과 다른쪽의 보호용 다이오드(203)의 캐소드측을 버스라인(204)으로 단락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보호용 다이오드(202, 203)를 갖는 직렬 접속 유닛(193-1)을 상기한 직렬접속 유닛(193)의 경우와 같이 이용함으로써 전원장치의 회로 방식에 따라서는, 내장되어 있는 출력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 역전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직렬 접속하는 전원 유닛이 어떠한 회로 방식이라도 직렬 접속의 배선 절약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2에 의하면, 단일체의 전원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은 배선으로 접속 가능하게 되어, 단일체의 전원장치와 비슷한 배선 공정수가 달성될 수 있다.
(실시 형태 13)
도 26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3을 도시한다.
종래의 버스라인을 이용한 복수대의 전원장치의 시스템 구성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즉, 입력 버스라인, 출력 버스라인을 전원장치의 내부에 갖을 때는, 입력 버스라인에 의해 복수의 전원장치의 접속을 할때에, 하나의 전원장치의 입력단자로부터 입력계통에 접속함으로써, 복수의 전원장치가 구동될 수 있고, 출력 버스라인에 의해 하나의 전원장치의 단자로부터 출력 버스라인에 접속되어 있는 대수만큼의 용량을 부하에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버스라인에 의한 전원장치의 시스템 구성에서는, 메인티넌즈시에 어느 하나의 전원장치만 동작을 정지시키고 싶을 때도, 버스라인으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대의 전원장치를 동시에 정지시켜야 한다.
또한 버스라인에 의해 병렬 운전되고 있는 전원장치에 있어서, 전원장치의 부하측의 필요 전력이 변화된 경우, 부하측의 필요 전력이 병렬 운전하는 전원장치보다 극단적으로 낮으면, 전원장치의 효율이 악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스라인으로 접속되어 있는 전원장치로부터 복수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이러한 구성이면, 출력마다의 절연을 할 수 없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3에서는, 버스라인 그 자체, 또는 버스라인과 전원 유닛의 전원회로 사이에 스위치를 마련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3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원 유닛(211)과 제2 전원 유닛(212)과 제3 전원 유닛(21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에는, 전원회로(9-1)와 교류 입력단자(5A, 5B)와 직류 출력단자(6A, 6B)와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과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이 배치되어 있다.
전원회로(9-1)는, 플러스측 입력단자부(9a), 마이너스측 입력단자부(9b) 및 플러스측 출력단자부(9c), 마이너스측 출력단자부(9d)를 갖고 있고, 플러스측 입력단자부(9a), 마이너스측 입력단자부(9b)는 교류 입력단자(5A, 5B)에 접속되어 있고, 플러스측 출력단자부(9c), 마이너스측 출력단자부(9d)는 직류 출력단자(6A, 6B)에 접속되어 있고, 교류 입력단자(5A, 5B)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오는 교류 전원을 안정화된 24V DC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여 직류 출력단자(6A, 6B)를 통하여 외부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의 한쪽의 측면 패널측에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또한 다른쪽의 측면 패널측에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와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접속되어 있고,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회로(9-1)의 플러스측 입력단자부(9a)와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은 입력계통 스위치(214)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전원회로(9-1)의 마이너스측 입력단자부(9b)와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은 배선(21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원회로(9-1)의 플러스측 출력단자부(9c)와 직류 출력 버스라인(Vo+)은 제1 출력계통 스위치(216)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전원 회로(9-1)의 마이너스측 출력단자부(9d)와 직류 출력 버스라인(Vo-)은 제2 출력계통 스위치(217)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은 딘레일(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전원 유닛(211)과 제2 전원 유닛(212) 및 제2 전원 유닛(212)과 제3 전원 유닛(213)은, 그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가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에 접속되고, 그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가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에 접속되어 상기 순서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의 각각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및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각각 단일화되어 있다,
또한 제1 전원 유닛(21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에 접속되어 있고, 제3 전원 유닛(213)의 직류 출력측단자(6A, 6B)에는 부하(38)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원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에 있어서, 입력계통 스위치(214), 제1, 제2 출력계통 스위치(216, 217)가 온상태인 경우에는,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의 전원회로(9-1)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및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전원 유닛(21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는 제2, 제3 전원 유닛(212, 213)의 각각에 공급되는 결과,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의 직류 출력단자(6A, 6B)의 각각으로부터 직류가 개별로 출력될 수 있어, 부하(38)에 직류가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에 있어서, 입력계통 스위치(214), 제1, 제2 출력계통 스위치(216, 217)를 오프작동함으로써, 전원회로(9-1)를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및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부터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및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의해 서로 접속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을 입력계통 스위치(214)에 의해 임의로 동작·비동작할 수 있고, 또한 출력계통 스위치(216, 217)에 의해 임의로 출력부의 절연이 가능하게 된다.
단, 도 26과 같은 출력계통 스위치(216, 217)의 경우, 전원 유닛을 4대 접속시켜 동작시킬 때, 1쌍마다 출력 절연하기 때문에, 전원 유닛을 2대씩 병렬 운전으로 동작시킬 수는 없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3은, 도 27에 도시한 구성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전원회로(9-1)의 플러스측 입력단자부(9a)와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은 입력계통 스위치(214)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전원회로(9-1)의 마이너스측 입력단자부(9b)와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은 배선(21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원회로(9-1)의 플러스측 출력단자부(9c)와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배선(218A)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전원회로(9-1)의 마이너스측 출력단자부(9d)와 직류 출력 버스라인(Vo-)은 배선(218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직류 출력 버스라인(Vo+)과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는 직류계통 스위치(219)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직류 출력 버스라인(Vo-)과 직류 출력측 커넥터(22B)는 직류계통 스위치(22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에는, 그 한쪽의 측면 패널측에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또한 다른쪽의 측면 패널측에,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와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접속되어 있고,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은 딘레일(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전원 유닛(211)과 제2 전원 유닛(212) 및 제2 전원 유닛(212)과 제3 전원 유닛(213)은, 그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이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에 접속되고, 그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가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에 접속되어 상기 순서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의 각각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및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각각 단일화 되어 있다,
또한 제1 전원 유닛(21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에 접속되어 있고, 제3 전원 유닛(213)의 직류 출력측단자(6A, 6B)에는 부하(38)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원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에 있어서, 입력계통 스위치(214), 출력계통 스위치(219, 220)가 온상태인 경우에는,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의 전원회로(9-1)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및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접속되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은 접속상태에 있다.
따라서 제1 전원 유닛(21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는 제2, 제3 전원 유닛(212, 213)의 각각에 공급되는 결과,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의 직류 출력단자(6A, 6B)의 각각으로부터 직류가 개별로 출력될 수 있어, 부하(38)에 직류가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계통 스위치(214), 출력계통 스위치(219, 220)를 오프작동하면, 이들의 입력계통 스위치(214), 출력계통 스위치(219, 220)를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전원 유닛을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및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의해 서로 접속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211, 212, 213)을, 입력계통 스위치(214)에 의해 임의로 동작·비동작할 수 있고, 또한 출력계통 스위치(219, 220)에 의해 비독립, 독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단, 도 27과 같은 출력계통 스위치(219, 220)인 경우,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 그 자체에 스위치가 있기 때문에, 전원 유닛을 4대 접속시켜 동작시킬 때, 전원 유닛을 2대씩 병렬 운전으로 동작시킬 수는 있지만, 4대 접속의 중심에 위치하는 전원 유닛을 절연시킨 경우에는, 1대마다 출력을 절연시킬 수는 없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3에 의하면,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및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1)을 사용하여 복수대의 전원 유닛을 운전시키고 있는 경우, 어느 하나의 전원 유닛을 보수점검(메인티넌즈)하고 싶은 경우, 출력계통 스위치(216, 217)를 오프작동함으로써, 동일한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및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전원 유닛의 운전을 정지하는 일 없이 보수점검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및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을 사용하여 복수대의 전원 유닛을 병렬 운전시키고 있고, 부하에의 공급전력이 병렬 운전시키고 있는 전원 유닛의 정격보다 적어도 좋은 경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만 입력계통 스위치(214), 출력계통 스위치(217, 218(219, 220))를 온작동하고, 그 이외의 전원 유닛은 입력계통 스위치(214), 출력계통 스위치(217, 218(219, 220))를 오프작동함으로써, 전체적인 효율 개선이 된다.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 및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을 사용하여 복수대의 전원 유닛을 운전시키고 있는 경우, 입력계통 스위치(214)를 오프작동함으로써, 복수의 부하에 각각 출력을 절연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14)
도 28 내지 도 32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4를 도시한다.
도 28은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4의 구성 설명도, 도 29는 동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전원 유닛의 전원회로의 구성 설명도, 도 30은 동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무정전 전원 유닛의 구성 설명도, 도 31은 동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무정전 전원 유닛의 구성 설명도, 도 32는 동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무정전 전원 유닛의 구성 설명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301은 제1 전원 유닛, 302는 제2 전원 유닛, 303은 제3 전원 유닛, 304는 부가기능 유닛으로서의 무정전 전원 유닛(UPS)이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301)과 제2 전원 유닛(302) 및 제2 전원 유닛(302)과 제3 전원 유닛(303)은, 각각이 속에 갖고있는 버스라인이 커넥터 접속되어 모듈 전원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듈 전원은, 상기한 바와 같은 3대의 전원 유닛(301, 302, 303)에 한하지 않고, 복수대의 전원 유닛을, 각각이 속에 갖고있는 버스라인을 커넥터 접속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제1 전원 유닛(301)은, 정면 패널 형상이 세로가 긴 직사각형 형상을 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도시생략)에 소요의 전원회로용 부품을 내장한, 예를 들면, 100 내지 240V AC 입력, 24V DC 출력, 2.5A, 60W 출력용의 스위칭 전원이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01, 302, 303)에는, 전원회로(9)와 교류 입력단자(5A, 5B)와 직류 출력단자(6A, 6B)와 교류 입력 버스라인(버스라인)(Vin+), (Vin-1)과 직류 출력 버스라인(버스라인)(Vo+), (Vo-)이 배치되어 있다.
교류 입력단자(5A, 5B)는, 정면 패널(도시생략) 상부에 배설되어 100 내지 240V AC의 외부 상용 교류를 전원회로(9)에 유도하는 것으로서,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직류 출력단자(6A, 6B)는, 정면 패널 하부에 배설되어 24V DC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플러스측(+)이 2개, 마이너스측(-)이 2개이며, 플러스측 하나와 마이너스측 하나로 1쌍이 되어 2쌍의 직류 출력단자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직류 출력단자(6A)(플러스측(+))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에, 직류 출력단자(6B)(마이너스측(-))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1)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회로(9)는, 교류 입력단자(5A, 5B)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오는 교류를 안정화된 24V DC의 출력전압으로 변환하여 직류 출력단자(6A, 6B)를 통하여 외부에 출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전원회로(9)는, 1예로서 스위칭 전원회로이며, 입력전압 정류회로(7)와 입력 평활 콘덴서(8A)에 의해 외부 상용 교류를 정류하여 직류전압을 얻고, 상기 직류전압을 스위치소자(13)에서 스위칭하여 고주파 펄스로 변환하고, 상기 고주파 펄스를 고주파 트랜스포머(10)에서 변압하고, 고주파 정류회로(11) 및 출력 평활 콘덴서(8B)에서 다시 직류로 되돌리도록 하고 있다. 또한 출력전압에 변동이 있는 경우에는 제어회로(12)에서, 스위치소자(13)가 스위칭할 때의 펄스 폭 또는 스위칭 주파수를 바꾸어 정전압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전원회로(9)의 입력측은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전원회로(9)의 출력측은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01, 302, 303)은, 그 한쪽의 측면 패널측에,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와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를 가지며, 또한 다른쪽의 측면 패널측에,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와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를 갖고 있고,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와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고,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와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은,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업수단으로서의 백업회로(305)와 배터리 접속단자(306A, 306B)와 직류 출력단자(307A, 307B)와 전원 유닛측 커넥터수단인 직류 입력측 커넥터(308A, 308B)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 접속단자(306A, 306B)에는 배터리(309)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백업회로(305)는, 직류 버스라인(310)과 충전수단인 충전회로(311)와 방전수단인 방전회로(312)를 갖고 있고, 직류 버스라인(310)은, 직류 입력측 커넥터(308A)와 직류 출력단자(22A)를 접속하는 회로(313)와, 상기 회로(313)에 마련된 다이오드(D1)와, 직류 입력측 커넥터(19B)와 직류 출력단자(307B)를 접속하는 회로(314)로 구성되어 있다.
충전회로(311)는 승강압 변환회로로서, 트랜스포머(T)와, 상기 트랜스포머(T)의 1차코일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치소자(Q1)와, 트랜스포머(T)의 1차코일에 병렬로 접속된 콘덴서(C1)와, 트랜스포머(T)의 2차코일에 직렬로 접속된 다이오드(D2)와, 트랜스포머(T)의 2차코일에 병렬로 접속된 콘덴서(C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압 변환회로는, 스위치소자(Q1)가 온인 때에 트랜스포머(T)에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고, 스위치소자(Q1)가 오프인 때에, 상기 전기 에너지를 출력으로 꺼내는 회로이며, 스위치소자(Q1)의 제어에 의해 승강압 변환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충전회로(311)의 입력측은 직류 입력측 커넥터(308A, 308B)에 접속되어 있고, 충전회로(311)의 출력측은 배터리 접속단자(306A, 306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방전회로(312)의 입력측은 배터리 접속단자(306B)에, 방전회로(312)의 출력측은 직류 출력단자(307B)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방전회로(312)는 스위치소자(Q2)와 다이오드(D3)를 갖고 있다.
그리고 충전회로(311)의 출력측에서 검출회로(315, 316)가 도출되어 있고, 검출회로(315)에는 배터리(309)가 충전할 수 있는 상한을 유저가 설정하는 가변전류 한정수단(317)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 검출회로(316)에는 과전압 보호수단(318)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충전회로(311)의 입력측으로부터 검출회로(319)가 도출되어 있고, 상기 검출회로(319)에는 전압 저하 검출수단(320)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 방전회로(312)로부터 검출회로(321A, 321B)가 각각 도출되어 있고, 검출회로(321A)에는 과방전 방지수단(322A)이, 검출회로(36B)에는 전류 한정수단(322B)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01, 302, 303) 및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은 딘레일(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전원 유닛(301)의 오른쪽 이웃에 제2, 제3 전원 유닛(302, 303)과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이 상기 순서로 배치되어 있고, 제1 전원 유닛(301)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는 제2 전원 유닛(302)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전원 유닛(302)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는 제3 전원 유닛(303)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전원 유닛(303)의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는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의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01, 302, 303)의 각각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단일화되어 있고, 또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01, 302, 303)의 각각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 및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의 직류 버스라인(310)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단일화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30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에 접속되어 있고,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의 직류 출력단자(6A, 6B)에는 부하(38)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14)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 전원 유닛(30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는 제2, 제3 전원 유닛(302, 303)의 각각에 공급되는 결과, 각 전원 유닛(301, 302, 303)의 직류 출력단자(6A, 6B)의 각각으로부터 직류가 개별로 출력될 수 있어, 각 전원 유닛(301, 302, 303)의 직류 출력단자(6A, 6B)에 부하를 접속하였으면, 상기 부하에 직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원회로(9)에 의해 교류로부터 변환된 직류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을 통하여 무정전 전원 유닛(UPS)(4)의 직류 입력측 커넥터(308A, 308B)에 들어가 백업회로(305)에 공급된다. 보통은, 무정전 전원 유닛(UPS)(4)에 있어서, 직류 입력측 커넥터(308A, 308B)에 공급된 직류는 직류 버스라인(310)을 경유하여 직류 출력단자(307A, 307B)로부터 부하(38)에 공급되고, 또한 직류 입력측 커넥터(308A, 308B)에 공급된 직류는 충전회로(311)에서 승강압되어, 배터리 접속단자(306A, 306B)를 통하여 배터리(309)를 충전한다.
이 경우, 가변전류 한정수단(317)이, 배터리(309)가 충전할 수 있는 상한을 규제하고 있어, 상한에 도달하면 가변전류 한정수단(317)이 스위치소자(Q1)를 제어하여, 상한의 전류치 이상은 충전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충전회로(311)의 출력전압이 높게 되면 과전압 보호수단(318)이 작동하여 스위치소자(Q1)를 제어하여 충전을 불가능으로 한다.
또한 정전된 경우나, 전원 시스템의 정격 부하를 초과하는 피크부하가 발생된 경우에는, 충전회로(311)의 입력전압이 저하된다. 상기 전압의 저하가 전압 저하 검출수단(320)에 의해 검출되고, 상기 전압 저하 검출수단(320)이 충전회로(311)를 정지상태로 하고, 또한 전압 저하 검출수단(320)이 방전회로(312)의 스위치소자(Q2)를 온작동한다. 상기 때문에, 방전회로(312)가 닫혀지고, 배터리(309)로부터의 직류가 부하(38)에 공급되어, 정전시나 피크부하에 대처하게 된다.
또한 배터리(309)로부터의 방전이 과방전상태가 되면, 과방전 방지수단(322A)이 작동하고, 상기 과방전 방지수단(322A)이 스위치소자(Q2)를 오프작동한다. 상기 때문에, 방전회로(312)가 개방되어 과방전이 방지된다. 또한 전류 한정수단(322B)이, 배터리(309)가 방전할 수 있는 상한을 규제한다.
또한 무정전 전원 유닛(UPS)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31에 도시한 것이 있다. 상기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A)은, 상기한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에, 직류 전원 보충수단으로서의 돌입전류 유닛인 ICU 회로(323)를 마련한 것으로서, 기타 구성은 상기한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같은 구성인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ICU 회로(323)는, 저항(R)과 다이오드(D4)를 직렬로 접속한 충전회로(324)와, 상기 충전회로(324)에 직렬로 접속된 대용량 콘덴서(325)와, 충전회로(324)에 병렬 접속된 다이오드(D5)로 이루어지는 방전회로(326)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ICU 회로(323)는 직류 버스라인(310)에 병렬로 조립되어 있다.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에 있어서, 직류 입력측 커넥터(308A, 308B)에 공급된 직류는 직류 버스라인(310)을 경유하여 직류 출력단자(307A, 307B)로부터 부하(38)에 공급되고, 또한 직류 입력측 커넥터(307A, 307B)에 공급된 직류는 충전회로(311)에서 승강압되어, 배터리 접속단자(306A, 306B)를 통하여 배터리(309)를 충전하지만, 상기 경우에, ICU 회로(323)에 있어서는, 충전회로(324)를 통하여 대용량 콘덴서(325)에 전기 에너지(직류)가 축적된다.
부하(38)의 변동이 급준하여 배터리(309)가 대응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경우에는, 대용량 콘덴서(325)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가 방전회로(326)를 통하여 직류 출력단자(307B)에 출력되어 배터리(309)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직류)를 보충하고, 부하(38)의 변동에 대응하게 된다.
즉,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에 있어서의 백업회로(305)는, 그 내장하는 직류 버스라인(310)에 입력된 직류를 부하(38)에 공급하는 한편, 승강압 변환하여 배터리(309)에 충전하는 동시에, 대용량 콘덴서(325)에 전기 에너지로서 축적하고, 정전시 및 피크부하시에 대용량 콘덴서(325)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방출하여 배터리(309)로부터의 직류를 보충하여 부하(38)에 공급한다.
또한 무정전 전원 유닛(UPS)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32에 도시한 것이 있다. 상기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B)은, 상기한 도 30에 도시한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에 있어서, 방전회로를 바꾼 구성으로서, 기타 구성은 상기한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같은 구성인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B)의 방전회로(327)는, 리액터(L)와 콘덴서(C3, C4)와 스위치소자(Q3)와 다이오드(D6)를 갖는 강압 변환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방전회로(327)는, 배터리 접속단자(306B)가 직류 출력단자(307B)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강압 변환회로는, 리액터(L)와 다이오드(D6)와 콘덴서(C3)로 쵸크·인풋형 필터의 평활회로를 구성하고 있어, 출력전압을, 상기 평활회로를 통하여 입력전압의 평균치로 꺼내는 회로이다.
그리고 방전회로(327)로부터 검출회로(328, 329)가 도출되어 있고, 검출회로(328)에는 과방전 방지수단(330A)이, 검출회로(329)에는 전류 한정수단(330B)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정전된 경우나, 전원 시스템의 정격 부하를 초과하는 피크부하가 발생된 경우에는, 충전회로(311)의 입력전압이 저하된다. 상기 전압의 저하가 전압 저하 검출수단(320)에 의해 검출되고, 상기 전압 저하 검출수단(320)이 충전회로(311)를 정지상태로 하고, 또한 전압 저하 검출수단(320)이 방전회로(327)의 스위치소자(Q2)를 온작동한다. 상기 때문에, 방전회로(327)가 닫히여, 배터리(309)로부터의 직류가 부하(38)에 공급되어, 정전시나 피크부하에 대처하게 된다.
또한 배터리(309)로부터의 방전이 과방전상태가 되면, 과방전 방지수단(330A)이 작동하여, 상기 과방전 방지수단(330A)이 스위치소자(Q3)를 오프작동한다. 상기 때문에, 방전회로(327)가 개방되어 과방전이 방지된다. 또한 전류 한정수단(330B)이, 배터리(309)가 방전할 수 있는 상한을 규제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4에 의하면, 병렬 접속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01, 302, 303)으로 이루어지는 모듈 전원과 무정전 전원 유닛(304)을, 그 전원 유닛측 커넥터수단인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와, 무정전 전원 유닛측 커넥터수단인 직류 입력측 커넥터(308A, 308B)로 결합하고, 무정전 전원 유닛(304)의 직류 버스라인(310)과 모듈 전원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Vo-)을 원터치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듈 전원과 무정전 전원 유닛(304) 사이의 배선이 불필요하게 되고, 그 몫만큼 공정수 절약이 된다.
또한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304A, 304B))에서 소요시(정전시 등)에 있어서 부하(38)에 직류가 공급될 수 있고, 또한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304A, 304B))에서 전원 시스템의 정격 부하를 초과하는 피크부하를 단시간에서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4에서는,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01, 302, 303) 및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304A, 304B))을 딘레일에 장착하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하였지만,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304A, 304B)) 및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01, 302, 303)을 딘레일에 장착하고,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은, 어떤 전원 유닛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 접속되어도 좋다.
(실시 형태 15)
도 34 내지 도 37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5를 도시한다.
도 34는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5의 구성 설명도, 도 35는 동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무정전 전원 유닛의 구성 설명도, 도 36은 동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무정전 전원 유닛의 구성 설명도, 도 37은 동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무정전 전원 유닛의 구성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5가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4와 다른 점은 정전시에 어느쪽의 직류단자로부터라도 부하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때문에, 무정전 전원 유닛(UPS)의 구성이 다르고 기타 구성은 같다. 따라서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C)은, 백업수단인 백업회로(305A)와 배터리 접속단자(306A, 306B)와 직류 출력단자(307A, 307B)와 신호 입력측 커넥터(331A, 331B)와 전원 유닛측 커넥터수단인 직류측 커넥터(333A, 333B)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 접속단자(306A, 306B)에는 배터리(309)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백업회로(305A)는 직류 버스라인(340)과 충전수단인 충전회로(311)와 방전수단인 방전회로(327)와 정전 검출수단(334)을 갖고 있고, 직류 버스라인(340)은 직류측 커넥터(333A)와 직류 출력단자(307B)를 접속하는 회로(335)와 직류측 커넥터(333B)와 직류 출력단자(307A)를 접속하는 회로(336)로 구성되어 있다.
충전회로(311)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5의 경우의 충전회로(311)와 같은 승강압 변환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충전회로(311)의 입력측은 직류측 커넥터(333A, 333B)에 접속되어 있고 충전회로(311)의 출력측은 배터리 접속단자(306A, 306B)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충전회로(311)의 출력측에서 검출회로(315, 316)가 도출되어 있고, 검출회로(315)에는 배터리(309)가 충전할 수 있는 상한을 유저가 설정하는 가변전류 한정수단(317)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 검출회로(316)에는 과전압 보호수단(32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정전 검출수단(334)의 입력측은 신호 입력측 커넥터(26-1, 26-2)에 접속되어 있고, 정전 검출수단(334)의 출력측은 충전회로(311)의 스위치소자(Q1) 및 방전회로(327)의 스위치소자(Q3)의 각각의 제어부(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방전회로(327)는, 리액터(L)와 콘덴서(C3, C4)와 스위치소자(Q3)와 다이오드(D6)를 갖는 강압 변환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방전회로(327)는, 배터리 접속단자(306B)가 직류 출력단자(307B)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강압 변환회로는, 리액터(L)와 다이오드(D6)와 콘덴서(C3)로 쵸크·인풋형 필터의 평활회로가 구성되어 있고, 출력전압을 상기 평활회로를 통하여 입력전압의 평균치로 꺼내는 회로이다.
그리고 방전회로(327)로부터 검출회로(328, 329)가 도출되어 있고, 검출회로(328)에는 과방전 방지수단(330A)이, 검출회로(329)에는 전류 한정수단(330B)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01, 302, 303) 및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C)은 딘레일(도시생략)에 장착되어 있고,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01, 302, 303) 및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C)은 상기 순서로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제1 전원 유닛(301)의 오른쪽 이웃에 제2, 제3 전원 유닛(302, 303)과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C)이 상기 순서로 배치되어 있고, 제1 전원 유닛(301)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는 제2 전원 유닛(302)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전원 유닛(302)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는 제3 전원 유닛(303)의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전원 유닛(303)의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는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C)의 신호 입력측 커넥터(331A, 331B)에 접속되어 있고, 제3 전원 유닛(303)의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는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C)의 직류측 커넥터(333A, 333B)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01, 302, 303)의 각각의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단일화되어 있고, 또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01, 302, 303)의 각각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 및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C)의 직류 버스라인(340)은 상기 순서로 이어져서 단일화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원 유닛(301)의 교류 입력단자(5A, 5B)에는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에 접속되어 있고, 제2 전원 유닛(302)의 직류 출력단자(6A, 6B)에는 부하(38)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15)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1 전원 유닛(301)의 교류 입력단자(5A, 5B)로부터 입력된 교류는 제2, 제3 전원 유닛(302, 303)의 각각에 공급되는 결과, 각 전원 유닛(301, 302, 303)의 직류 출력단자(6A, 6B)의 각각으로부터 직류가 개별로 출력될 수 있어, 제1 전원 유닛(301)의 직류 출력단자(6A, 6B)에 접속된 부하(38)에 직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원회로(9)에 의해 교류로부터 변환된 직류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을 통하여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C)의 직류측 커넥터(333A, 333B)에 들어가 백업회로(305A)에 공급된다.
보통은,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C)에 있어서, 직류측 커넥터(333A, 333B)에 공급된 직류는 직류 버스라인(340)을 경유하여 직류 출력단자(307A, 307B)에 공급되고, 또한 직류측 커넥터(333A, 333B)에 공급된 직류는 충전회로(311)에서 승강압되어 배터리 접속단자(306A, 306B)를 통하여 배터리(309)를 충전한다.
이 경우, 가변전류 한정수단(317)이, 배터리(309)가 충전할 수 있는 상한을 규제하고 있어, 상한에 도달하면 가변전류 한정수단(317)이 스위치소자(Q1)를 제어하여 상한의 전류치 이상은 충전전류를 흘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충전회로(311)의 출력전압이 높게 되면 과전압 보호수단(320)이 작동하여 스위치소자(Q1)를 오프하여 충전을 불가능으로 한다.
또한 정전된 경우에는, 정전 검출수단(334)에 의해 그 정전이 검출되고, 상기 정전 검출수단(334)이 스위치소자(Q1)를 제어하고, 충전회로(311)의 충전 작동이 정지되는 한편, 방전회로(327)의 스위치소자(Q3)를 온작동하여 상기 방전회로(327)가 닫힌다.
따라서 배터리(309)로부터 출력된 직류는 방전회로(327)에서 강압되어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C)의 직류 출력단자(307A, 307B)에 출력되는 한편, 직류 버스라인(340)을 경유하여 제1 전원 유닛(301)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Vo-)에 출력되고, 제2, 제3 전원 유닛(302, 303)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Vo-)에도 마찬가지로 직류가 흐른다. 상기 때문에, 부하(38)에 직류가 공급되고, 정전시에 대처하게 된다.
또한 전류 한정수단(330B)이 배터리(309)가 방전할 수 있는 상한을 규제하고 있어, 상한에 도달하면 전류 한정수단(330B)이 스위치소자(Q3)를 제어하여 방전을 정지한다. 또한 배터리(309)로부터의 방전이 과방전상태가 되면, 과방전 방지수단(330A)이 작동하고, 상기 과방전 방지수단(330A)이 스위치소자(Q3)를 제어한다. 상기 때문에, 방전회로(327)가 개방되어 과방전이 방지된다.
무정전 전원 유닛(UPS)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36에 도시한 것이 있다. 상기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D)은, 상기한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C)에서, 방전회로의 구성을 바꾼 것으로서, 기타 구성은 상기한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C)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같은 구성인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D)과 방전회로(327A)는, 콘덴서(C5)와 스위치소자(Q4)와 다이오드(D3)를 접속한 것으로서, 방전회로(327A)로부터 검출회로(328A, 329A)가 도출되어 있고, 검출회로(328A)에는 과방전 방지수단(33OC)이, 검출회로(329A)에는 전류 한정수단(330D)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D)에서도, 상기한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C)과 같이, 직류측 커넥터(333A, 333B)에 공급된 직류는 직류 버스라인(340)을 경유하여 직류 출력단자(307A, 307B)에 공급되고, 또한 직류측 커넥터(333A, 333B)에 공급된 직류는 충전회로(311)에서 승강압되어 배터리 접속단자(306A, 306B)를 통하여 배터리(309)를 충전한다.
이 경우, 가변전류 한정수단(317)이 배터리(309)가 충전할 수 있는 상한을 규제하고 있어, 상한에 도달하면 가변전류 한정수단(317)이 스위치소자(Q1)를 제어하여 상한의 전류치 이상은 충전전류를 흘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충전회로(311)의 출력전압이 높게 되면 과전압 보호수단(320)이 작동하여 스위치소자(Q1)를 오프하여 충전을 불가능으로 한다.
또한 정전된 경우에는, 정전 검출수단(334)에 의해 그 정전이 검출되고, 상기 정전 검출수단(334)이 스위치소자(Q1)를 제어하고, 충전회로(311)의 충전 작동이 정지되는 한편, 방전회로(327A)의 스위치소자(Q4)를 온작동하고, 상기 방전회로(327A)를 닫는다.
따라서 배터리(309)로부터 출력된 직류는 방전회로(327A)에서 강압되고,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D)의 직류 출력단자(307A, 307B)에 출력되는 한편, 직류 버스라인(340)을 경유하여 제1 전원 유닛(301)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Vo-)에 출력되고, 제2, 제3 전원 유닛(302, 303)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도 마찬가지로 직류가 흐른다. 상기 때문에, 부하(38)에 직류가 공급되고, 정전시에 대처하게 된다.
또한 전류 한정수단(330D)이 배터리(309)가 방전할 수 있는 상한을 규제하고 있어, 상한에 도달하면 전류 한정수단(330D)이 스위치소자(Q4)를 제어하여 방전을 정지한다. 또한 배터리(309)로부터의 방전이 과방전상태가 되면, 과방전 방지수단(330C)이 작동하고, 상기 과방전 방지수단(330C)이 스위치소자(Q4)를 제어한다. 상기 때문에, 방전회로(327A)가 개방되어 과방전이 방지된다.
또한 무정전 전원 유닛(UPS)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37에 도시한 것이 있다. 상기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E)은, 상기한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D)에서, 직류 버스라인(340)에 상기한 ICU 회로(323)를 병렬로 접속한 것으로서, 기타 구성은 상기한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D)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같은 구성인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ICU 회로(323)는, 저항(R)과 다이오드(D4)를 직렬로 접속한 충전회로(324)와, 상기 충전회로(324)에 직렬로 접속된 대용량 콘덴서(325)와, 충전회로(324)에 병렬 접속된 다이오드(D5)로 이루어지는 방전회로(326)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ICU 회로(323)는 직류 버스라인(340)에 병렬로 조립되어 있다.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E)에 있어서, 직류 입력측 커넥터(308A, 308B)에 공급된 직류는 직류 버스라인(340)을 경유하여 직류 출력단자(307A, 307B)로부터 출력되고, 또한 직류 입력측 커넥터(308A, 308B)에 공급된 직류는 충전회로(311)에서 승강압되어 배터리 접속단자(306A, 306B)를 통하여 배터리(309)를 충전하지만, 상기 경우에, ICU 회로(323)에 있어서는, 충전회로(324)를 통하여 대용량 콘덴서(325)에 전기 에너지(직류)가 축적된다.
또한 정전된 경우에는, 정전 검출수단(334)에 의해 그 정전이 검출되고, 상기 정전 검출수단(334)이 스위치소자(Q1)를 제어하고, 충전회로(311)의 충전 작동이 정지되는 한편, 방전회로(327A)의 스위치소자(Q4)를 온작동하고, 상기 방전회로(327A)를 닫는다.
따라서 배터리(309)로부터 출력된 직류는 방전회로(327A)에서 강압되고,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D)의 직류 출력단자(307A, 307B)에 출력되는 한편, 직류 버스라인(340)을 경유하여 제1 전원 유닛(301)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Vo-)에 출력되고, 제2, 제3 전원 유닛(302, 303)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에도 마찬가지로 직류가 흐른다. 상기 때문에, 부하(38)에 직류가 공급되고, 정전시에 대처하게 된다.
그리고 부하(38)의 변동이 급준하여 배터리(309)가 대응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경우에는, 대용량 콘덴서(325)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가 방전회로(326)를 통하여 직류 출력단자(307B)에 출력되어 배터리(309)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직류)를 보충하고, 부하(38)의 변동에 대응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5의 경우도, 모듈 전원은, 복수대의 전원 유닛을 커넥터에 의해 병렬 접속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01, 302, 303)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또한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C, 304D, 304E)은 모듈 전원의 전후의 어느곳에나 커넥터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5의 경우도,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 및 부하(38)는 어떤 전원 유닛에 마련되어도 좋다.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5에 의하면,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4의 경우와 같이,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01, 302, 303)으로 이루어지는 모듈 전원과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C, 304D, 304E) 사이의 배선이 불필요하게 되고, 그 몫만큼 공정수 절약될 뿐만 아니라, 정전시에 무정전 전원 유닛(UPS)(304C, 304D, 304E)으로부터 모듈 전원을 경유하여 부하(38)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어느쪽의 직류 출력단자(6A, 6B)에서도 부하(38)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실시 형태 16)
도 38 및 도 39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6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전원장치는, 예를 들면 딘레일에 대하여 장착 가능하게 하는 전원 유닛을 복수 접속함으로써 모듈 전원이 구성되고, 상기 딘레일에 접속된 전원 유닛의 대수에 응하여 이들 복수대의 전원 유닛을 병렬 운전함으로써 전원장치로서 임의의 전원 용량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근년, 구미 등에서 제안되어 있는 Device Net 규격에 있어서 전원장치는, 그 출력의 정적(靜的)부하 변동, 온도 변동, 과전류 보호시의 출력전류 정밀도가 높은 레벨로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각 전원 유닛에는, 승압 회로 및 시리즈 레귤레이터회로로 구성되는 출력 특성 개선회로를 각기 마련함으로써 전원장치의 출력의 정적부하 변동, 온도 변동, 과전류 보호시의 출력전류 정밀도를 Device Net 규격에 맞출 수 있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면 이러한 전원 유닛으로 구성되는 전원장치 내부의 개략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40은 일반적인 전원장치 내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0에 도시한 전원장치는, 딘레일에 접속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84, 185, 186)을 접속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84, 185, 186)은,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에 접속되어 교류를 입력하는 교류 입력단자(5A, 5B)와, 교류 입력단자(5A, 5B)를 통하여 입력되는 교류를 안정화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회로(9)와, 상기 전원회로(9)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직류 출력단자(6A, 6B)와, 교류 입력단자(5A, 5B)를 통하여 입력된 교류를 다른 전원 유닛(185, 186)에 전송하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과, 전원회로(9)를 통하여 출력된 직류를 다른 전원 유닛(185, 186)에 전송하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을 갖고 있다. 또한 직류 출력단자(6A, 6B)는 부하(38)와 접속됨으로써, 상기 부하(38)에 출력전압을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84, 185, 186)은 교류 입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교류를 입력하는 교류 입력측 커넥터(181A)와, 교류 입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교류를 출력하는 교류 출력측 커넥터(179A)와, 직류 출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직류를 입력하는 직류 입력측 커넥터(182B)와, 직류 출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직류를 출력하는 직류 출력측 커넥터(180B)를 갖고 있다.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84, 185, 186)은, 이들 교류 입력측 커넥터(181A) 및 교류 출력측 커넥터(179A)를 통하여 교류 입력 버스라인을 전기적·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직류 입력측 커넥터(182B) 및 직류 출력측 커넥터(180B)를 통하여 직류 출력 버스라인을 전기적·기계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도 41은 전원회로(9) 내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1에 도시한 전원회로(9)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교류를 입력하고, 상기 교류를 안정화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타여자형 전원회로로서, 교류 입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교류를 정류· 평활화 함으로써 직류전압을 얻는 입력전압 정류회로(7) 및 입력 평활 콘덴서(8A)와, 상기 직류전압을 스위칭함으로써 고주파 펄스로 변환하는 스위칭소자(13)와, 상기 스위칭소자(13)의 스위칭를 제어하여 고주파 펄스의 펄스 폭을 바꿈으로써 출력전압의 정전압 제어를 행하는 제어회로(12)와, 스위칭소자(13)에서 변환된 고주파 펄스를 변압하는 고압 트랜스포머(10)와, 상기 고압 트랜스포머(10)에서 변압된 고주파 펄스를 정류· 평활화 함으로써 직류전압을 얻는 정류회로(11) 및 평활회로(8B)와, 상기 평활회로(8B)에서 얻은 직류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출력 정전압회로(15)와, 상기 출력 정전압회로(15)에서 안정화된 직류전압의 과전압을 방지하는 과전압 보호회로(16)를 갖고 있다.
출력 정전압회로(15)는, 평활회로(8B)에서 얻은 직류전압을 안정화 하여, 상기 직류전압의 출력전압치를 조정하는 전압 조정 볼륨(15A)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184, 185, 186)에는, 전원회로(9)의 출력단, 즉, 전원회로(9)에서 직류 변환된 직류전압의 출력 특성, 예를 들면 정적부하 변동, 온도 변동 및 과전류 보호시의 출력전류 정밀도를 개선하는 출력 특성 개선회로(190)를 가지며, 상기 출력 특성 개선회로(190)를 경유하여 직류전압을 직류 출력 버스라인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 전원 유닛(184)은, 제2 전원 유닛(185) 및 제3 전원 유닛(186)의 병렬 운전시에, 각 전원 유닛(184, 185, 186)중, 출력전압이 가장 낮게 설정된 전원 유닛(184, 185, 186)의 출력전압이 맞도록, 각 전원 유닛(184, 185, 186)에 마련된 전압 조정 볼륨(15A)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어떤 전원 유닛(184, 185, 186)의 출력전압이 높게 되면, 전압 조정 볼륨(15A)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전원 유닛(184, 185, 186)의 출력전압을 가장 낮게 설정한 전원 유닛(184, 185, 186)의 출력전압에 맞추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전원장치에 의하면, 각 전원 유닛(184, 185, 186) 내부에 마련된 출력 특성 개선회로(190)에 의해 직류전압의 출력 특성을 개선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들 모듈 전원 전체, 즉, 전원장치로서 출력하는 직류전압의 출력 특성을 개선함으로써, 상기 전원장치의 출력전압의 고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일반적인 전원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전원 유닛(184, 185, 186)을 병렬적으로 접속 구성하고, 전원장치 전체의 출력전압의 고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각 전원 유닛 내부에 출력 특성 개선회로(190)를 마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원 유닛마다의 부품 개수가 많아지며, 그위에, 노이즈를 저감하는 회로를 추가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증가하여, 그 열을 방열하기 위해 사이즈 업하지 않으면 안될뿐만 아니라,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되어 버린다.
그래서, 실시 형태 16에 있어서는, 전원 유닛의 가격 저감 및 그 사이즈의 컴팩트화를 도모하면서, 전원장치 전체의 출력전압의 고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8 및 도 39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6을 도시한다.
도 38에 도시한 전원장치는, 딘레일에 장착되어 병렬 접속된 3대의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51, 352, 353)과, 모듈 전원의 출력단측의 전원 유닛, 즉 제3 전원 유닛(353)에 접속된, 전원장치 전체의 출력전압을 안정시키는 출력 특성 개선회로(354)를 구비한 출력 특성 개선 유닛(3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51, 352, 353)은,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37)으로부터의 교류를 입력하는 교류 입력단자(5A, 5B)와, 교류 입력단자(5A, 5B)를 통하여 입력되는 교류를 안정화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회로(9)와, 상기 전원회로(9)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출력전압)을 출력하는 직류 출력단자(6A, 6B)와, 교류 입력단자(5A, 5B)를 통하여 입력된 교류를 다른 전원 유닛(351, 352, 353)에 전송하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Vin+), (Vin-)과, 전원회로(9)를 통하여 출력된 직류를 다른 전원 유닛(351, 352, 353)에 전송하는 직류 출력 버스라인(Vo+), (Vo-)과, 접속된 전원 유닛(351, 352, 353)의 전원회로(9)의 출력전류를 감시하고, 상기 출력전류를 균일화 하기 위한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커런트 밸런스 버스: CB)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51, 352, 353)은 교류 입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교류를 입력하는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와, 교류 입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교류를 출력하는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와, 직류 입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직류를 입력하는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와,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을 통하여 출력전류를 입력하는 커런트 밸런스 신호 입력측 커넥터(20)와, 직류 입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직류를 출력하는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와,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을 통하여 출력전류를 출력하는 커런트 밸런스 신호 출력측 커넥터(23)를 갖고 있다.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51, 352, 353)은, 이들 교류 입력측 커넥터(18A, 18B) 및 교류 출력측 커넥터(21A, 21B)를 통하여 교류 입력 버스라인을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직류 입력측 커넥터(19A, 19B) 및 직류 출력측 커넥터(22A, 22B)를 통하여 직류 출력 버스라인을 전기적·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동시에, 커런트 밸런스 신호 입력측 커넥터(20) 및 커런트 밸런스 신호 출력측 커넥터(23)를 통하여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을 전기적·기계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도 39는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51, 352, 353) 및 출력 특성 개선 유닛(350) 내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9에 도시한 제1, 제2, 제3 전원 유닛(351, 352, 353) 내부의 전원회로(9)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교류를 입력하고, 상기 교류를 안정화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타여자형 전원 회로로서, 교류 입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교류를 정류· 평활화 함으로써 직류전압을 얻는 입력전압 정류회로(7) 및 입력 평활 콘덴서(8A)와, 상기 직류전압을 스위칭함으로써 고주파 펄스로 변환하는 스위칭소자(13)와, 상기 스위칭소자(13)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고주파 펄스의 펄스 폭을 바꿈으로써 출력전압의 정전압 제어를 행하는 제어회로(12)와, 스위칭소자(13)에서 변환된 고주파 펄스를 변압하는 고압 트랜스포머(10)와, 상기 고압 트랜스포머(10)에서 변압된 고주파 펄스를 정류· 평활화 함으로써 직류전압을 얻는 정류회로(11) 및 평활회로(8B)와, 각 전원 유닛의 병렬 운전을 제어하는 병렬 운전 제어회로(17)를 갖고 있다.
병렬 운전 제어회로(17)는,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을 통하여 각 전원 유닛의 출력전류와, 자기의 전원 유닛의 출력전류를 감시함으로써, 각 전원 유닛(351, 352, 352)의 병렬 운전을 감시하는 회로이다.
출력 특성 개선 유닛(350)은,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장치의 출력단의 직류전압의 출력 특성, 예를 들면 정적부하 변동, 온도 변동 및 과전류 보호시의 출력전류 정밀도를 개선하는 출력 특성 개선회로(354)와, 상기 출력 특성 개선회로(354)에서 개선된 직류를 출력하는 직류 출력단자(355A, 355B)와, 제3 전원 유닛(353)의 직류 출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직류를 입력하는 직류 입력측 커넥터(356A, 356B)를 갖고 있다. 또한 출력 특성 개선 유닛(350)의 직류 출력단자(355A, 355B)를 통하여 부하(38)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 특성 개선회로(354)는,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장치의 출력단측의 제3 전원 유닛(353)으로부터 전원장치의 출력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출력전압을 승압하는 승압 회로(357)와, 상기 승압 회로(357)에서 승압된 출력전압을 안정화시켜, 상기 안정화된 출력전압을 전원장치의 출력전압으로서 출력하는 시리즈 레귤레이터회로(358)를 갖고 있다.
다음에 실시 형태 16에 나타낸 전원장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제1 전원 유닛(351)은, 교류 입력단자(5A, 5B)를 통하여 외부 상용 교류 전원(37)으로부터 교류를 입력하면, 교류 입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각 전원 유닛(351, 352, 353) 내의 전원회로(9)에 교류가 공급되게 된다.
전원회로(9)는, 교류 입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교류가 입력되면, 입력전압 정류회로(7) 및 입력 평활 콘덴서(8A)를 통하여 교류를 정류 및 평활화 함으로써 직류전압을 얻는다. 또한 스위칭소자(13)는, 상기 직류전압을 스위칭함으로써 고주파 펄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고주파 펄스를 고압 트랜스포머(10)에 공급한다. 고압 트랜스포머(10)는, 상기 고주파 펄스를 변압함으로써, 2차측의 정류회로(11) 및 평활회로(8B)를 통하여 상기 고주파 펄스를 정류 및 평활화 함으로써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직류전압을 직류 출력 버스라인에 출력한다.
또한 출력 특성 개선 유닛(350)의 출력 특성 개선회로(354)는, 상기 직류 출력 버스라인을 통하여 전 전원 유닛(351, 352, 353)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을 공급한다. 출력 특성 개선회로(354)의 승압 회로(357)는, 전 전원 유닛(351, 352, 353)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을 승압하고, 상기 승압된 직류전압을 시리즈 레귤레이터회로(358)에 공급한다.
시리즈 레귤레이터회로(358)는, 상기 승압된 직류전압을 고안정화시킴으로써, 직류전압의 출력 특성을 개선하고, 상기 출력 특성이 개선된 직류전압을 전원장치의 출력전압으로서 직류 출력단자(355A, 355B)를 통하여 부하(38)에 공급한다.
실시 형태 16에 나타낸 전원장치에 의하면, 전원장치의 출력단측의 제3 전원 유닛(351)에, 전원장치 전체의 출력전압을 안정시키는 출력 특성 개선회로(354)를 구비한 출력 특성 개선 유닛(350)을 접속하도록 하였다, 즉, 각각의 전원 유닛(351, 352, 353)에 출력 특성 개선회로를 마련하는 일 없이, 1개의 출력 특성 개선회로에서 전원장치 전체의 출력전압을 안정화할 수 있고, 더구나, 각각의 전원 유닛(351, 352, 353)에 출력 특성 개선회로를 마련하지 않고도 해결되기 때문에, 전원 유닛(351, 352, 353)의 가격 저감 및 그 사이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7)
도 42 내지 도 45에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의 실시 형태 17를 도시한다.
도 40 및 도 41에서 설명한 전원장치에 의하면, 병렬 운전시에, 어떠한 원인으로, 어떤 전원 유닛(184, 185, 186)의 출력전압이 높게 되면, 상기 전원 유닛(184, 185, 186)의 출력전압을 가장 낮게 설정한 전원 유닛(184, 185, 186)의 출력전압에 맞도록 전압 조정 볼륨(15A)을 조정함으로써, 각 전원 유닛(184, 185, 186)의 출력전류를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원장치에 의하면, 병렬 운전시에 어떠한 원인으로 어떤 전원 유닛(184, 185, 186)의 출력전압이 높게 되면, 전압 조정 볼륨(15A)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전원 유닛(184, 185, 186)의 출력전압을 가장 낮게 설정한 전원 유닛(184, 185, 186)의 출력전압에 맞도록 조정하도록 하였지만, 가장 낮게 설정한 출력전압치의 전원 유닛(184, 185, 186)을 모르기 때문, 접속되어 있는 모든 전원 유닛(184, 185, 186)의 전압 조정 볼륨(15A)을 조정하여 고치지 않으면 않되어, 그 조정 공정수가 걸린다.
그래서, 실시 형태 17에 있어서는, 병렬 운전시에 있어서의 전원 유닛 사이의 출력전압 조정작업을 양호하게 한 것이다.
도 42는 실시 형태 17에 나타낸 전원장치 내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6에 나타낸 전원장치와 중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는 동시에 그 구성 및 동작의 설명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도 42에 도시한 전원장치는, 예를 들면 딘레일에 장착된 2대의 전원 유닛(제1, 제2 전원 유닛(361, 362))을 병렬 접속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직류 출력단자(6A, 6B)에 부하(38)를 접속함으로써, 전원장치의 출력전압을 부하(38)에 공급하게 된다.
도 43은 제1 및 제2 전원 유닛(361, 362)의 전원회로(9A) 내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3에 도시한 전원회로(9A)는 입력전압 정류회로(7), 입력 평활 콘덴서(8A), 스위칭소자(13), 제어회로(12), 고압 트랜스포머(10), 2차측의 정류회로(11) 및 평활회로(8B) 외에, 이들 2차측의 정류회로(11) 및 평활회로(8B)에서 얻은 직류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출력 정전압회로(363)와, 상기 출력 정전압회로(363)에서 안정화된 직류전압의 과전압을 방지하는 과전압 보호회로(364)와, 각 전원 유닛(361, 362)의 병렬 운전을 제어하는 병렬 운전 제어회로(365)를 갖고 있다.
병렬 운전 제어회로(365)는,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을 통하여 각 전원 유닛(361, 362)의 출력전류와 자기의 전원 유닛(361, 362)의 출력전류를 감시함으로써, 각 전원 유닛(361, 362)의 병렬 운전을 감시 제어하는 회로이다.
출력 정전압회로(363)는, 평활회로(8B)에서 얻은 직류전압을 안정화 하고 상기 직류전압의 출력전압치를 조정하는 전압 조정 볼륨(조정수단)(363A)과, 상기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는 전환수단(363B)과, 스위치(363C)를 가지며 병렬 운전 제어회로(365)의 감시 결과에 의거하여 각 전원 유닛(361, 362)의 출력전류를 균일화 하는 회로이다.
전환수단(363B)은, 전환 조작에 응하여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치 등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전환수단(363B)의 전환 조작에 응하여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을 오프 제어하면,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은 고정으로 되고,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을 온 제어하면,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스위치(363C)는,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유닛(361, 362)끼리가 접속되면, 한쪽의 전원 유닛(361)의 접속면에 배치된 돌부(371)에 의해, 스위치(363C)가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스위치(363C)가 스위칭 동작을 행하면,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이 오프 제어가 되도록 전환수단(363B)를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과전압 보호회로(364)는, 출력 정전압회로(363)로부터의 출력전압에 관한 과전압치를 설정해 두고, 현재의 출력전압치가 과전압치를 초과하면, 현재의 출력전압을 정지 제어하도록 한 회로이다.
제어회로(12)는, 전환수단(363B)에서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이 오프 제어중에, 전원장치 내의 전원 유닛(361, 362)중, 그 전환수단(363B)에서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이 온 제어중인 전원 유닛(361, 362)에 관한 출력전압치를 기준으로하여 기준조정 값으로 하고, 상기 기준조정치에 의거하여 전원회로(9A)에서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는 것이다.
도 44는 전원회로(9A) 내부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4에 도시한 출력 정전압회로(363)의 주요부인 전압 조정 볼륨(363A) 및 전환수단(363B)은, 전압 조정 볼륨(363A)인 저항(R2)에 대하여 병렬로, 전환수단(363B)인 스위치(SW1) 및 저항(R3)의 직렬 회로를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SW1)(전환수단(363B))을 온하면, 저항(R2) 및 저항(R3)에 의해 합성 저항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그 출력전압은 상승하게 된다.
도 44에 도시한 병렬 운전 제어회로(365)는, 커런트 밸런스 신호 버스라인을 통하여 검출된 출력전류와, 극성 반전회로(365A)에서 극성 반전된 전원회로(50)의 출력전류를 비교기(365B)에서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각 전원 유닛(361, 362)의 출력전류가 균일하게 되도록 감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 형태 17에 나타낸 전원장치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1 전원 유닛(361)을 메인으로 하고, 제2 전원 유닛(362)을 슬레이브로 한 경우, 제1 전원 유닛(361)의 전환수단(363B)이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을 온 제어로 하고, 전원 유닛(362)의 전환수단(363B)이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을 오프 제어로 하고 있다. 즉, 제1 전원 유닛(361)의 전압 조정 볼륨(363A)만이 조정 가능한 상태로 된다.
제1 전원 유닛(361)의 전환수단(363B)이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을 온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전환수단(363B)인 스위치(SW1)가 온됨으로써, 저항(R2) 및 저항(R3)의 합성저항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그 출력전압이 상승되게 된다.
제2 전원 유닛(362)의 전환수단(51B)이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을 오프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전환수단(363B)인 스위치(SW1)가 오프됨으로써, 출력전압 설정치가 가장 낮은 메인의 제1 전원 유닛(361)의 출력전압에 맞도록 병렬 운전 제어되게 된다.
즉, 제1 전원 유닛(361)의 전압 조정 볼륨(363A)을 조정할 뿐으로, 전원장치 전체의 출력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원 유닛(361)의 전환수단(363B)(스위치(SW1))이 오프인 때의 출력전압을 Vo1, 전원 유닛(362)의 전환수단(363B)(스위치(SW2))이 온인 때의 출력전압을 Vo2, 과전압 보호회로(364)의 과전압치를 Vo3이라고 하면, Vo1< Vo3< Vo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어떠한 원인으로 메인이 되는 제1 전원 유닛(361)이 고장난 경우, 그 밖의 전원 유닛(362)이 원래 설정한 비교적 높은 전압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더라도, 제2 전원 유닛(362)에 의한 과전압 보호 동작에 의해 전원 자체를 안전하게 정지하게 된다.
실시 형태 17에 의하면,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을 오프 제어중에, 전원장치 내의 전원 유닛 중, 그 전환수단(363B)에서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이 온 제어중인 전원 유닛(361)에 관한 출력전압치를 기준으로하여 기준조정치로 하고, 상기 기준조정치에 의거하여 전원회로(9A)에서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도록 하였다, 즉, 기준조정치에 의거하여 각각의 전원 유닛(361, 362)측에서 전원회로(9A)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병렬 운전시에 있어서의 전원 유닛(361, 362) 사이의 출력전압 조정작업을, 온 제어중인 전원 유닛(361)의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을 행할 뿐으로 해결되어, 단일의 출력전압 조정작업으로, 복수의 전원 유닛(361, 362)의 출력전압 조정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7에 의하면, 기준조정치를, 전원 유닛에 설정한 출력전압치 중, 최저의 출력전압치로 하고, 상기 최저의 출력전압치에 의거하여 전원회로(9A)에서의 출력전압치를 조정하도록 하였다, 즉, 전 전원 유닛(361, 362)의 출력전압치 중, 최저의 출력전압치에 의거하여 각각의 전원 유닛(361, 362)측에서 전원회로(9A)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병렬 운전시에 있어서의 전원 유닛 사이의 출력전압 조정작업을 양호하게 하였다.
실시 형태 17에 의하면, 각 전원 유닛(361, 362)의 병렬 운전 제어회로(365)의 감시 결과에 의거하여 기준조정치를 검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기준조정치에 의거하여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을 오프 제어한 전원 유닛(361, 362) 자체로, 그 출력전압치를 조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7에 의하면, 전원 유닛(361)의 출력전압치가 과전압치를 초과하면, 전원 유닛(361)의 출력전압을 정지 제어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원 유닛(361)에 과전압이 걸리면, 과전압 보호가 동작함으로써, 전원장치의 부하가 되는 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7에 의하면, 전원 유닛(361, 362)끼리가 접속되면, 스위치(363C)가 스위칭 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각각의 전원 유닛(361, 362) 내의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이 자동적으로 오프 제어되고, 또한 전환수단(363B)의 전환 조작에 응하여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을 온 제어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각의 전원 유닛(361, 362)에 관한 전환수단(363B)의 전환작업을 양호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17에 있어서는, 전원장치 내의 전원 유닛(361, 362)중, 전환수단(363B)에서 전압 조정 볼륨(363A)의 조정 동작을 오프 제어중에, 전원장치 내의 전원 유닛(361)에 관한 출력전압치를 기준으로하여 기준조정치로 하고, 상기 기준조정치에 의거하여 전원회로(9A)로부터 출력전압을 조정하도록 하였지만, 기준조정치를, 전원장치 전체의 전원 유닛(361, 362)의 출력전압치의 평균치로 하고, 상기 평균치에 의거하여 전원회로(9A)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전 전원 유닛(361, 362)의 출력전압의 평균치에 의거하여 각각의 전원 유닛측에서 전원회로(9A)으로부터 출력전압을 조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병렬 운전시에 있어서의 전원 유닛 사이의 출력전압 조정작업을 양호하게 하였다.
또한 기준조정치를, 각 전원 유닛(361, 362)에 설정된 출력전압치 중, 최고의 출력전압치로 하고, 상기 최고의 출력전압치에 의거하여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치를 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전 전원 유닛(361, 362)의 출력전압치 중, 최고의 출력전압치에 의거하여 각각의 전원 유닛(361, 362)측에서 전원회로(9A)로부터의 출력전압치를 조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병렬 운전시에 있어서의 전원 유닛(361, 362) 사이의 출력전압 조정작업을 양호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17에 있어서는, 2대의 전원 유닛(361, 362)을 접속함으로써 구성한 전원장치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3대 이상의 전원 유닛(361, 362)을 접속한 경우에는, 더한층 그 출력전압 조정작업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전원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유닛을 접속하여 구성되는 모듈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 유닛의 접속 개수를 바꿈으로써 소망의 전원 용량이 얻어져, 상기 모듈 전원에, 소정의 기능을 추가하도록, 소정의 기능을 갖는 부가기능 유닛을 부가할 수 있는 스위칭 전원장치로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1)의 구성 설명도.
도 2는 동 전원장치(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원회로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2)의 구성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3)의 구성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4)의 구성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5)의 구성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6)의 구성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7)의 구성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8)의 구성 설명도.
도 10은 돌입전류 방지회로(이하, 돌방회로라고 칭함)를 갖는 복수의 전원장치의 시스템 구성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9)의 구성 설명도.
도 12는 동 전원장치(실시 형태 9)의 등가회로도.
도 13은 돌방회로(突防回路)를 갖는 복수의 전원장치의 시스템 구성에 돌방장치를 부가한 경우의 설명도.
도 14는 돌방회로를 갖는 복수의 전원장치의 시스템 구성에 돌방장치를 부가한 경우의 설명도.
도 15는 돌방회로를 갖는 복수의 전원장치의 시스템 구성에 돌방장치를 부가한 경우의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10)의 구성 설명도.
도 17은 동 전원장치(실시 형태 10)에 있어서의 브랜칭 유닛의 구성 설명도.
도 18은 동 브랜칭 유닛의 브랜칭 회로의 구성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11)의 구성 설명도.
도 20은 동 전원장치(실시 형태 11)의 분해상태의 설명도.
도 21은 전원장치 사이의 직렬 접속의 설명도.
도 22는 전원장치 사이의 직렬 접속의 설명도.
도 23은 전원장치 사이의 직렬 접속의 설명도.
도 24는 동 전원장치(실시 형태 12)의 구성 설명도.
도 25는 동 전원장치(실시 형태 12)의 다른 구성 설명도.
도 26은 동 전원장치(실시 형태 13)의 구성 설명도.
도 27은 동 전원장치(실시 형태 13)의 다른 구성 설명도.
도 28은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14)의 구성 설명도.
도 29는 동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전원 유닛의 전원회로의 구성 설명도.
도 30은 동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무정전 전원 유닛의 구성 설명도.
도 31은 동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무정전 전원 유닛의 구성 설명도.
도 32는 동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무정전 전원 유닛의 구성 설명도.
도 33은 제1, 제2, 제3 전원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모듈 전원과 무정전 전원 유닛(UPS)과의 다른 접속 배열의 설명도.
도 34는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15)의 구성 설명도.
도 35는 동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무정전 전원 유닛의 구성 설명도.
도 36은 동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무정전 전원 유닛의 구성 설명도.
도 37은 동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무정전 전원 유닛의 구성 설명도.
도 38은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16)의 구성 설명도.
도 39는 동 전원장치 내부의 전원 유닛 및 출력 특성 개선 유닛 내부의 구성 설명도.
도 40은 일반적인 출력 특성 개선회로를 내장한 전원 유닛으로 구성되는 전원장치의 구성 설명도.
도 41은 동 전원장치 내부의 전원 유닛 내부의 구성 설명도.
도 42는 본 발명에 관한 전원장치(실시 형태 17)의 구성 설명도.
도 43은 동 전원장치 내부의 전원 유닛 내부의 구성 설명도.
도 44는 동 전원 유닛의 주요부인 출력 정전압회로, 과전압 보호회로 및 병렬 운전 제어회로 내부의 구성 설명도.
도 45는 동 전원 유닛끼리의 접속상태를 단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46은 종래의 전원장치의 구성 설명도.

Claims (10)

  1. 버스라인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원 유닛을 접속하여 구성되는 모듈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 유닛은,
    전원회로와,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는 조정수단과,
    상기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는 전환수단과,
    상기 전환수단에서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오프 제어중에, 상기 모듈 전원 내의 전원 유닛 중, 그 전환수단에서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이 온 제어중인 전원 유닛에 관한 출력전압치를 기준으로하여 기준조정치로 하고,
    상기 기준조정치에 의거하여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조정치는,
    상기 모듈 전원 내의 각 전원 유닛에 설정한 출력전압치의 평균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조정치는,
    상기 모듈 전원 내의 각 전원 유닛에 설정한 출력전압치 중, 최저의 출력전압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조정치는,
    상기 모듈 전원 내의 각 전원 유닛에 설정한 출력전압치 중, 최고의 출력전압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전원 유닛은,
    다른 전원 유닛으로부터의 출력전류를 감시하는 출력전류 밸런스 감시수단과,
    상기 출력전류 밸런스 감시수단으로부터의 감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기준조정치를 검출하는 기준조정치 검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의 전원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전원 유닛은,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에 관한 과전압치를 설정해 두고, 현재의 출력전압치가 과전압치를 초과하면, 현재의 출력전압을 정지 제어하는 과전압 보호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각 전원 유닛은,
    전원회로로부터의 출력전압에 관한 과전압치를 설정해 두고, 현재의 출력전압치가 과전압치를 초과하면, 현재의 출력전압을 정지 제어하는 과전압 보호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전원 유닛은,
    전원 유닛끼리를 보통 접속하면, 상기 접속된 전원 유닛 내의 전환수단으로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오프 제어하는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전환수단의 전환 조작에 응하여 상기 전환수단으로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온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각 전원 유닛은,
    전원 유닛끼리를 보통 접속하면, 상기 접속된 전원 유닛 내의 전환수단으로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오프 제어하는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전환수단의 전환 조작에 응하여 상기 전환수단으로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온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각 전원 유닛은,
    전원 유닛끼리를 보통 접속하면, 상기 접속한 전원 유닛 내의 전환수단으로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오프 제어하는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전환수단의 전환 조작에 응하여 상기 전환수단으로 조정수단의 조정 동작을 온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는 전원장치.
KR1020057012248A 2000-10-02 2001-10-02 전원장치 KR100613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02346A JP2002119057A (ja) 2000-10-02 2000-10-02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出力特性改善ユニット
JPJP-P-2000-00302346 2000-10-02
JP2000316588A JP2002125373A (ja) 2000-10-17 2000-10-17 電源装置
JP2000316450A JP2002125372A (ja) 2000-10-17 2000-10-17 電源装置
JPJP-P-2000-00316450 2000-10-17
JPJP-P-2000-00316588 2000-10-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872A Division KR100538845B1 (ko) 2000-10-02 2001-10-02 전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042A true KR20050075042A (ko) 2005-07-19
KR100613959B1 KR100613959B1 (ko) 2006-08-22

Family

ID=273448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872A KR100538845B1 (ko) 2000-10-02 2001-10-02 전원장치
KR1020057012248A KR100613959B1 (ko) 2000-10-02 2001-10-02 전원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872A KR100538845B1 (ko) 2000-10-02 2001-10-02 전원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56047B2 (ko)
EP (1) EP1241776A4 (ko)
KR (2) KR100538845B1 (ko)
CN (1) CN100477464C (ko)
CA (1) CA2393102C (ko)
TW (1) TWI279972B (ko)
WO (1) WO20020299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1393B (en) * 2001-10-26 2005-11-02 Agco Gmbh & Co Mobile high voltage network
GB0212080D0 (en) * 2002-05-25 2002-07-0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digital data stream
US7622824B2 (en) * 2002-12-04 2009-11-24 Orr Raymond K Distributed power supply arrangement
US20040227406A1 (en) * 2003-05-16 2004-11-18 Johnson Frank W. Centralized AC/DC converter for collections of similar servers or other multiple individual electronic units
US20050073783A1 (en) * 2003-10-02 2005-04-07 Phoenixtec Power Co., Ltd. Parallel redundant power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WO2005096465A1 (en) * 2004-04-01 2005-10-13 System Consult Pty Ltd Safety switching module
DE102004018502B3 (de) * 2004-04-14 2006-01-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unterbrechungsfreien Stromversorgung
US7457252B2 (en) * 2004-11-03 2008-11-25 Cisco Technology, Inc. Current imbalance compensation for magnetics in a wired dat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7479346B1 (en) * 2004-08-13 2009-01-20 Quallion Llc Battery pack
SG122964A1 (en) * 2004-11-22 2006-06-29 Inventio Ag Integrity testsing of isolation means in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7827418B2 (en) * 2005-01-25 2010-11-02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Controlling power distribution among multiple wires in communication cable
US7573234B1 (en) 2005-11-28 2009-08-11 Quallion Llc System having electronics for dropping current of battery pack
WO2007138645A1 (ja) * 2006-05-25 2007-12-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車両用補助電源装置
US7843169B1 (en) 2006-07-06 2010-11-30 Quallion Llc Pack assembly having interconnected battery packs configured to be individually disconnected from assembly
GB2467552A (en) * 2009-02-04 2010-08-11 Eltek Valere As Rail mounted power supply
US20100289335A1 (en) * 2009-05-12 2010-11-18 Radhakrishna Togare Active back up auto changeover voltage bus
DE202009016164U1 (de) * 2009-11-26 2010-03-04 Carlo Gavazzi Services Ag Steuerungsvorrichtung für Fotovoltaikmodule
US8782443B2 (en) 2010-05-25 2014-07-15 Microsoft Corporation Resource-based adaptive server loading
US8384244B2 (en) 2010-06-09 2013-02-26 Microsoft Corporation Rack-bas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N102279993B (zh) * 2010-06-10 2014-03-19 日玖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控制器的电源警示系统
US8487473B2 (en) * 2010-06-24 2013-07-16 Microsoft Corporation Hierarchical power smoothing
CN101895147B (zh) * 2010-07-23 2012-05-30 山东华辰泰尔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可靠性电源系统
US8952566B2 (en) 2010-10-26 2015-02-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hassis slots accepting battery modules and other module types
JP5353861B2 (ja) * 2010-10-29 2013-11-27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ンサ装置
US9490663B1 (en) * 2012-07-16 2016-11-08 Google Inc. Apparatus and methodology for battery backup circuit and control in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9166417B2 (en) * 2012-08-21 2015-10-20 Makita Corporation Charger
US20140108846A1 (en) * 2012-10-15 2014-04-17 Dell Products L.P. Supplemental power system for power excursions
US20170047772A1 (en) * 2014-04-18 2017-02-16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distributed uninterruptable power supplies
US11145965B2 (en) * 2017-03-12 2021-10-12 Red Cloud Inc. Apparatus for isolating lighting or other direct current surge between radio antenna and communications equipment
US10873206B2 (en) * 2017-05-30 2020-12-22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storage and distribution
TWI610507B (zh) * 2017-06-08 2018-01-01 可程式化交流電源分配器
TWI706621B (zh) * 2019-03-18 2020-10-01 智原科技股份有限公司 具多電源域的電路系統
JP7297937B2 (ja) * 2019-05-14 2023-06-26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降圧回路、電子機器及び降圧方法
TWI719497B (zh) * 2019-06-11 2021-02-21 上銀光電股份有限公司 太陽能發電模組及太陽能發電系統
CN112332466A (zh) * 2019-07-30 2021-02-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供电设备及控制方法
CN111465152A (zh) * 2020-04-13 2020-07-28 苏州科思尼克照明科技有限公司 具有输入输出总线板的模块化控制系统及具有其的灯具
KR102460286B1 (ko) * 2021-01-07 2022-10-31 이주수 엘리베이터 보호용 과전압 차단장치
LU102478B1 (de) * 2021-01-26 2022-08-09 Phoenix Contact Gmbh & Co Stromversorgungssystem
CN117996875A (zh) * 2022-10-31 2024-05-07 开利公司 电池盒、空气调节系统和用于该空气调节系统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4147A (en) * 1977-12-05 1980-03-18 Burr-Brown Research Corporation Parallel connected switching regulator system
US4659942A (en) * 1985-06-03 1987-04-21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Fault-tolerant power distribution system
US4675539A (en) * 1985-09-17 1987-06-23 Codex Corporation Backup power system
DE4012307C2 (de) * 1990-04-17 1997-01-16 Siemens Ag Einrichtung zur Gleichspannungsversorgung mehrerer elektrischer Verbraucher
JP2706740B2 (ja) * 1990-05-16 1998-01-28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US5089937A (en) * 1990-07-20 1992-02-18 V Band Corporation Power interface apparatus for a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US5073848A (en) * 1990-11-21 1991-12-17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distribution system
JP2947372B2 (ja) * 1991-04-25 1999-09-13 株式会社関電工 多機能電力変換システム
JPH05276745A (ja) * 1992-03-23 1993-10-22 Yokogawa Electric Corp 直流安定化電源
TW353826B (en) * 1994-12-06 1999-03-01 Hitachi Ltd DC power source apparatus
JP3279130B2 (ja) * 1995-07-11 2002-04-30 オムロン株式会社 電源中継器、電源装置および多出力電源装置
US5740023A (en) * 1996-05-24 1998-04-14 Lucent Technologies Inc. Control system for a modular power suppl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5808453A (en) * 1996-08-21 1998-09-15 Siliconix Incorporated Synchronous current sharing pulse width modulator
JP3484513B2 (ja) * 1997-03-14 2004-01-06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5926004A (en) * 1997-10-10 1999-07-20 Schott Power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one or more electric vehicles
US5952733A (en) * 1997-12-05 1999-09-14 Intel Corporation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US6014319A (en) * 1998-05-21 2000-01-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art concurrently maintainable electronic circuit card assembly
US6134129A (en) * 1998-09-23 2000-10-17 Ro Associates Current sharing signal coupling/decoupling circuit for power converter systems
US6009000A (en) * 1999-02-05 1999-12-28 The Aerospace Corporation Shared-bus current sharing parallel connected current-mode DC to DC converters
JP2000253580A (ja) * 1999-03-04 2000-09-14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電力回生方式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56047B2 (en) 2005-02-15
CN1393051A (zh) 2003-01-22
CA2393102C (en) 2007-01-23
TWI279972B (en) 2007-04-21
EP1241776A1 (en) 2002-09-18
KR100538845B1 (ko) 2005-12-23
WO2002029964A1 (fr) 2002-04-11
CN100477464C (zh) 2009-04-08
KR20020059433A (ko) 2002-07-12
KR100613959B1 (ko) 2006-08-22
US20030058595A1 (en) 2003-03-27
CA2393102A1 (en) 2002-04-11
EP1241776A4 (en) 200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959B1 (ko) 전원장치
US8004117B2 (en) Current bypass for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EP2092625B1 (en) Current bypass for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EP2254223B1 (en) Improved self powered supply for power converter switch driver
JP2007209195A (ja) バックアップ電源及び電源装置
US11368101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CN109565258B (zh) 用于为电能发电厂中的辅助系统供电的设备
US20110057626A1 (en) Power supply and charging circuit for high energy capacitors
US5754384A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ry for non-isolated battery discharge controller
US20190356227A1 (en) I/o protected buck then boost or boost then buck converter, with interleaving option
WO2006065435A2 (en) Power system with redundant power supply apparatus
JP6956780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発電システム
JPH09200974A (ja) バックアップ用蓄電池を備えた直流電源装置
CN110783969B (zh) 电池管理系统和电池系统
JP4596712B2 (ja) 電力貯蔵システム
JP2003153463A (ja) 蓄電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電力変換装置
JP3553448B2 (ja) 電力変換装置
CN210007623U (zh) 功率变换系统
KR20160106597A (ko) 전기화학 복합 저장 시스템
JP2001037239A (ja) インバータ装置及びインバータシステム
EP4102672A1 (en) Multi-channel inverter for a photovoltaic plant
EP3972101A1 (en) Modular conversion system with individual bridge outputs and stacked dc-link balancing by means of zero-vector switching
JP2024058727A (ja) 蓄電システム
JP2021093887A (ja) ハイブリッド蓄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