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034A - 용접용 강 빌딩 구성요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접용 강 빌딩 구성요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034A
KR20050075034A KR1020057009075A KR20057009075A KR20050075034A KR 20050075034 A KR20050075034 A KR 20050075034A KR 1020057009075 A KR1020057009075 A KR 1020057009075A KR 20057009075 A KR20057009075 A KR 20057009075A KR 20050075034 A KR20050075034 A KR 20050075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less
component
temperature
following relation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0595B1 (ko
Inventor
쟝 베기노
쟝-죠지 브리손
Original Assignee
인더스틸 크뢰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더스틸 크뢰쏘 filed Critical 인더스틸 크뢰쏘
Publication of KR20050075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 빌딩 구성요소들에 관한 것이고, 그들의 화학적 조성은 중량 기준으로: 0.40% ≤ 탄소(C) ≤ 0.50%, 0.50% ≤ 규소(Si) ≤ 1.50%, 0% ≤ 망간(Mn) ≤ 3%, 0% ≤ 니켈(Ni) ≤ 5%, 0% ≤ 크롬(Cr) ≤ 4%, 0% ≤ 구리(Cu) ≤ 1%, 0% ≤ 몰리브덴(Mo) + 텅스텐(W)/2 ≤ 1.5%, 0.0005% ≤ 붕소(B) ≤ 0.010%, 질소(N) ≤ 0.025%, 알루미늄(Al) ≤ 0.9%, 규소(Si) + 알루미늄(Al) ≤ 2.0%, 선택적으로, 0.3% 미만의 함량인 바나듐(V), 니오브(Nb), 탄탈륨(Ta), 황(S) 및 칼슘(Ca)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 및 0.5%를 넘지 않는 함량인 티타늄(Ti) 및 지르코늄(Zr)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포함하고, 그 나머지는 철과 제조과정에서 산출된 불순물들이며, 천분의 일% 단위로 표현된, 조성물의 알루미늄, 붕소, 티타늄 및 질소의 함량들은 또한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하며: K = Min(I* ; J*), I* = Max(0 ; I) 및 J* = Max(0; J), I = Min(N ; N-0,29(Ti-5)),
J =Min

Description

용접용 강 빌딩 구성요소 및 그 제조방법{WELDABLE STEEL BUILDING COMPONTENT AND METHOD FOR MAKING SAME}
본 발명은 구조용강(structural steel)으로 이루어진 용접용 구성요소들 및 그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조용강은 그들을 이용하는 용도에 적합하기 위해서 주어진 수준의 기계적 특성들을 가지며, 특히, 높은 수준의 경도(hardness)를 보여야 한다. 그 목적을 위해서, 담금질될 수 있는 강제품들, 즉, 충분히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냉각될 때, 마텐자이트(martensitic) 또는 베이나이트(bainitic)구조를 얻을 수 있는 강제품들이 사용된다. 따라서, 임계 베이나이트화 속도(critical bainitic velocity)는 달성된 냉각 속도의 함수로써, 그 이상의 속도에서 베이나이트, 마텐자이트, 또는 마텐자이트-베이나이트 구조가 얻어지는 속도로 정의된다.
이와 같은 강제품들의 담금질(quenching)에 대한 적응성은 담금질 원소들의 함량에 따라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이 원소들이 많이 존재할수록, 임계 베이나이트화 속도는 낮아진다.
그들의 기계적 특성들과는 별도로, 구조용강들은 또한 우수한 용접성(weldability)를 가져야 한다. 강으로 된 구성요소가 용접될 때, 열영향부(Heat-Affected Zone) 또는 HAZ로도 일컬어지는, 용접부위는 단기간 동안 매우 높은 온도를 겪게 되고 그 후, 급냉을 거치며, 이는 그 부위에 크래킹(cracking)을 유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 강의 용접성을 제한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경도를 부여한다.
기존의 방식에서, 강의 용접성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 "탄소 당량(carbon equivalent)"을 계산하는 것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Ceq = (%C + %Mn/6 + (%Cr + (%Mo + %W/2) + %V)/5 + %Ni/15)
대략적으로 볼 때, 탄소 당량이 낮을수록, 강의 용접성은 더 우수하다. 따라서, 담금질 원소들의 보다 많은 양에 의해 초래된 담금질성(quenchability)의 개선은 용접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이와 같은 강제품들의 용접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담금질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특히, 오스테나이트화(austenitization) 온도가 증가될 때, 그 원소의 담금질 효율이 감소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붕소로 마이크로-앨로이(micro-alloy)된 등급들이 개발되었다. 따라서, 전술된 HAZ는 붕소 없는 동일한 담금질성의 등급에서보다 담금질이 저조하고, 이에 의해 이 HAZ의 담금질성과 경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술된 강의 비용접(non-welded) 부위에서 붕소의 담금질 효과는 30 내지 50ppm의 효율적인 함량들에 대해 포화되는 경향을 가지므로, 전술된 강의 담금질성의 추가적인 개선은 그 효율성이 오스테나이트화 온도에 의존하지 않는 담금질 원소들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고, 이는 자동적으로 이와 같은 강제품들의 용접성에 대해 부정적인 효과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용접성의 개선은 담금질 원소들의 함량 감소에 의해 발생하고, 이는 자동적으로 담금질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성의 저하 없이 개선된 담금질성을 가지는 구조용강을 제안하여 이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그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제 1 대상은 구조용강으로 이루어진 용접용 구성요소로, 그 화학적 조성은 중량 기준으로 다음:
0.40% ≤ 탄소(C) ≤ 0.50%
0.50% ≤ 규소(Si) ≤ 1.50%
0% ≤ 망간(Mn) ≤ 3%
0% ≤ 니켈(Ni) ≤ 5%
0% ≤ 크롬(Cr) ≤ 4%
0% ≤ 구리(Cu) ≤ 1%
0% ≤ 몰리브덴(Mo) + 텅스텐(W)/2 ≤ 1.5%
0.0005% ≤ 붕소(B) ≤ 0.010%
질소(N) ≤ 0.025%
알루미늄(Al) ≤ 0.9%,
규소 + 알루미늄 ≤ 2.0%
선택적으로, 0.3% 미만의 함량인 바나듐(V), 니오브(Nb), 탄탈륨(Ta), 황(S) 및 칼슘(Ca)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 및/또는 0.5% 또는 그 미만의 함량인 티타늄(Ti) 및 지르코늄(Zr)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포함하고,
그 나머지(balance)는 철 및 제조과정에서 산출된 불순물들이며,
천분의 일 % 단위로 표현된, 전술된 조성의 알루미늄, 붕소, 탄탈륨 및 질소의 함량들은 또한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하며:
K = Min(I* ; J*)
I* = Max(0 ; I) 및 J* = Max(0; J)
I = Min(N ; N-0,29(Ti-5))
J = Min 일때,
B ≥ 1/3 x K + 0,5, (1)
전술된 조성의 실리콘과 알루미늄 함량들은 또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며:
C > 0.145이면, Si + Al < 0.95
그 구조는 베이나이트, 마텐자이트, 또는 마텐자이트-베이나이트이고 또한 3 내지 20%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이루는 강의 화학적 조성은 또한 다음 관계식을 만족한다:
1.1%Mn + 0.7%Ni + 0.6%Cr + 1.5(%Mo + %W/2) ≥ 1, 바람직하게는 ≥ 2 (2).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이루는 강의 화학적 조성은 또한 다음 관계식을 만족한다:
%Cr + 3(%Mo + %W/2) ≥ 1.8, 바람직하게는 ≥ 2.0.
본 발명의 제 2 대상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강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전술된 구성요소는 Ac3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Ac3 내지 950℃의 온도에서 가열에 의해 오스테나이트화되고 구성 요소의 코어에서 800℃와 500℃사이에서의 냉각속도는 임계 베이나이트화 속도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속도인 방식으로 200℃ 또는 그 미만의 온도까지 냉각되고,
-선택적으로, 템퍼링은 Ac1 또는 그 미만의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약 500℃와 실온 사이에서, 특히, 500℃와 200℃ 또는 그 미만의 온도 사이에서 특히, 오토-템퍼링(auto-tempering) 현상과 3% 내지 20%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유지를 도모하기 위해 냉각 속도가 선택적으로 둔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0℃와 200℃ 또는 그 미만의 온도 사이에서 냉각 속도는 0.07℃/초 내지 5℃/초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초 내지 2.5℃/초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템퍼링은 200℃ 또는 그 미만의 온도까지의 냉각 작업의 완료시에, 10시간 미만의 시간동안 300℃ 미만의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200℃ 또는 그 미만의 온도까지 구성요소를 냉각시키는 작업의 완료시에, 템퍼링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거친 구성요소는 3 내지 150mm의 두께를 가진 강판이다.
본 발명의 제 3 대상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이고, 그 강판의 두께는 3mm 내지 150mm이고, 그 제조방법은 강판이 담금질되고, 강판의 코어에서의 800℃에서 500℃ 사이의 냉각 속도는 ℃/시간으로 표현되는 VR이고, 강의 화학적 조성은 다음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Mn + 0.7%Ni + 0.6%Cr +1.5(%M0 + %W/2) + log VR ≥ 5.5,
바람직하게는 ≥6이고, 본 식의 log는 상용로그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함량들의 규소의 첨가는 붕소의 담금질 효과가 30 내지 50% 증가되게 할 수 있다는 새로운 발견에 기초한다. 이러한 상승효과는 첨가되는 붕소의 양의 증가없이 일어나고, 반면에, 규소는 붕소가 없을 경우에는 뚜렷한 담금질 효과를 가지지 않는다.
한편, 규소의 첨가는 HAZ의 경우에서와 같이, 오스테나이트화 온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다가 사라지는 담금질성을 나타내는 붕소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붕소의 존재시, 규소의 사용은 그 용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구성요소의 담금질성이 더 증가될 수 있게 한다는 점이 인정될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철강 등급들의 담금질성의 개선때문에 그리고, 특히, 크롬, 몰리브덴 및 텅스텐으로 대표되는 카바이드-생성 원소들(carbide-producing elements)의 최소 함량을 보장하면서, 단지 저온에서 템퍼링을 수행하거나, 또는 심지어 이 단계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이와 같은 강제품들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도 파악되었다.
담금질성의 개선은 구성요소들이 보다 서서히 냉각될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실질적으로 베이나이트, 마텐자이트, 또는 마텐자이트-베이나이트 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카바이드-생성 원소들의 충분한 함량과 결합된 이와 같은 보다 둔화된 냉각은 소위, 오토-템퍼링 현상에 의해 세립질 크롬, 몰리브덴 및/또는 텅스텐 카바이드들의 침전을 허용한다. 이 오토-템퍼링 현상은 또한, 500℃ 미만으로의 냉각속도를 둔화시키는 것에 의해 크게 촉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둔화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의 비율의 오스테나이트의 유지를 촉진한다. 따라서, 제조방법은 단순화될 수 있고, 동시에, 일반적인 방식인, 고온에서의 템퍼링에 따른 주요한 연화(softening)를 더이상 거치지 않게 되어, 강의 기계적 특성들이 개선된다. 그러나, 일상적인 온도들, 즉, AC1 또는 그 미만의 온도에서 그와 같은 템퍼링을 수행하는 것은 여전히 가능하다.
이제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 그러나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이루는 강은 중량 기준으로:
-탁월한 기계적 특성이 얻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0.40%보다 높은 함량의 탄소 , 그러나, 우수한 용접성, 우수한 절삭성(cuttability), 우수한 굽힘 적응성 및 만족스러운 인장(toughness)을 얻기 위해서는 0.50% 미만의 탄소;
-붕소와의 상승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50 중량%보다 높은, 바람직하게는 0.75 중량%보다 높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0.85%보다 높은 함량의 규소, 그러나, 강이 무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1.5 중량% 미만의 규소;
-담금질성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0.0005%보다 높은, 바람직하게는 0.001%보다 높은 함량의 붕소, 그러나 강의 기계적 특성들에 해로운 붕소 질화물들의 함량이 너무 높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0.010 중량% 미만의 붕소;
-그 함량이 강의 제조방법의 함수인, 0.025% 미만, 바람직하게는 0.015% 미만의 질소;
-0% 내지 3%,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8%의 망간, 0% 내지 5%,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의 니켈, 0% 내지 4%의 크롬, 0 내지 1%의 구리, 주로 베이나이트, 마텐자이트 또는 마텐자이트-베이나이트 구조를 얻기 위해서, 몰리브덴의 함량과 텅스텐 함량의 2분의 1의 합은 1.50% 미만이며, 크롬, 몰리브덴 및 텅스텐은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기계적 강도와 내마모성에 유리한 카바이드들을 생성을 허용하는 장점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템퍼링을 300℃까지 제한하거나, 또는 이를 제거할 수 있기 위해서 %Cr + 3(%M0 + %W/2)는 바람직하게는 1.8%보다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보다 큰 조건을 만족하는, 망간, 니켈, 크롬, 구리 몰리브덴, 및 텅스텐;
-그 이상의 함량에서는 주조성(castability)에 해로울( 함유에 의해 주조용 관들의 막힘) 수 있기 때문에, 0.9% 미만의 함량인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알루미늄과 규소의 누적 함량은 또한, 압연 중에 찢음(tearing) 리스크를 제한하기 위해서 2.0% 미만이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0.3% 미만인 함량의 V, Nb, Ta, S, 및 Ca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 및/또는 0.5% 또는 그 미만인 함량의 Ti 및 Zr을 포함한다. V, Ta, Nb, Ti, Zr의 첨가는 용접성에 대해 지나치게 부정적인 효과 없이 침전-경화(precipitation-hardening)를 허용한다. 티타늄, 지르코늄 및 알루미늄은 강에 존재하는 질소를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이는 붕소를 보호하며, 모든, 또는 일부의 티타늄을 그의 2배 중량의 지르코늄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황과 칼슘은 그 등급의 기계 가공성(machinability)을 개선한다.
-천분의 일 % 단위로 표현된, 조성물의 알루미늄, 붕소, 탄탈 및 질소의 함량들은 또한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하며:
K = Min(I* ; J*)
I* = Max(0 ; I) 및 J* = Max(0; J)
I = Min(N ; N-0,29(Ti-5))
J = Min 일때,
B ≥ 1/3 x K + 0,5, (1)
추가적인 조건은:
- 선행 출원인 EP 0 725 156에 대하여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한정하기 위해서, C > 1.45 (바람직하게는 > 0.140)이면, Si + Al < 0.95이고, 바람직하게는 < 0.90이며,
-나머지는 철과 생산 공정에서 나온 불순물들이다.
용접용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강이 생성되고, 후에 예를 들면, 압연 또는 단조와 같은 고온에서의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될 반제품의 형태로 주조된다. 그렇게 얻어진 구성요소는 AC3보다 높은, 그러나 1000℃ 미만, 바람직하게는 950℃ 미만의 온도에서의 가열에 의해 오스테나이트화되고, 그 구성요소의 코어에서의 800℃에서 500℃ 사이의 냉각 속도가 임계 베이나이트화 속도보다 큰 방식으로 실온까지 냉각된다. 오스테나이트화 온도는 1000℃로 제한되는데, 그 온도 이상에서는 붕소의 담금질 효과가 지나치게 약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포밍(forming) 작업 중에 (재-오스테나이트화 없이) 직접적인 냉각에 의해 구성요소를 얻을 수도 있고, 그 경우, 포밍 전 가열이 1000℃를 초과하더라도, 1300℃ 미만을 유지한다면, 붕소는 그 효과를 보존한다.
그 구성요소를 오스테나이트화 온도에서 실온까지 냉각시키기 위해서, 냉각 속도가 임계 베이나이트화 속도보다 높게 유지되는 한, 임의의 공지된 담금질 방법들(공기, 오일, 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구성요소는 선택적으로 AC1 또는 그 미만의 온도에서 기존의 템퍼링을 거치고, 그러나 그 온도를 300℃까지 제한하거나, 심지어 이 단계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템퍼링의 부재는 선택적으로 오토-템퍼링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 이 현상은 특히, 저온(즉, 약 500℃ 미만)에서 바람직하게는 0.07℃/초 내지 5℃/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초 내지 2.5℃/초인 냉각 속도를 허용하는 것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그 목적을 위해서, 필요한 경우, 제어될 수 있다면, 임의의 공지된 담금질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구성요소의 온도가 50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냉각속도가 둔화된다면, 물 담금질(water quenching)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특히, 담금질 작업을 공기 중에서 완료하기 위해 그 구성요소를 물로부터 제거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3 내지 20%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베이나이트, 마텐자이트 또는 마텐자이트-베이나이트 코어 구조를 가지는 강으로 구성된, 용접용 구성요소 및 특히, 용접용 강판이 얻어지게 된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존재는 용접될 때 강의 반응과 관련하여 특별한 관심사항이다. 용접동안 크래킹 리스크를 제한하기 위하여, 그리고 전술된 HAZ의 담금질성 저하에 더하여, HAZ 주변의 기본 금속 내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존재는 용접 작업에 의해 도입되었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되지 않으면 크래킹 리스크를 증가시킬, 용해된 수소의 일부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로서, 봉들이 본 발명에 따른 강 1과 2, 선행 기술에 따른 강 A와 B로부터 제조되었고, 그 조성은 천분의 일 중량 %의 단위로 표현되었고, 철을 제외하고 다음과 같다:
봉들이 단조되었을 때, 4개의 강제품들의 담금질성은 팽창계(dilatometry)에 의해 평가된다. 여기서, 실시예로서, 관심은 마텐자이트 담금질성에, 따라서 900℃에서 15분간 오스테나이트화 후, 임계 마텐자이트화 속도 V1에 있다.
이 속도 V1은 최소한 3%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마텐자이트인 코어 구조를 유지하면서 얻을 수 있는 최대한의 강판 두께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두께들은 공기 담금질(A), 오일 담금질(H) 및 물 담금질(E)의 경우에서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전술된 2개의 강제품들의 용접성은 다음 식에 따라 백분율 탄소 당량을 산출하여 추정되었다:
Ceq = (%C + %Mn/6 + (%Cr + (%Mo + %W/2) + %V)/5 + %Ni/15)
본 발명에 따른 봉들인 L1과 L2, 및 비교를 위해 주어진 봉들인 LA와 LB의 특성들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들의 임계 마텐자이트화 속도들은 선행 기술에 따른 강봉들의 상응하는 속도들보다 상당히 낮고, 이는 그들의 담금질성이 실질적으로 개선된 반면, 용접성은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용접성의 개선은 따라서, 담금질된 코어 구조(core-quenched structure)를 가진 구성요소들이 선행기술의 구성요소들보다 덜 급진적인 냉각 조건에서 및/또는 보다 큰 최대 두께들로 제조될 수 있게 한다.

Claims (11)

  1. 구조용강으로 이루어진 용접용 구성요소(weldable component)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강의 화학적 조성은, 중량 기준으로:
    0.40% ≤ 탄소(C) ≤ 0.50%
    0.50% ≤ 규소(Si) ≤ 1.50%
    0% ≤ 망간(Mn) ≤ 3%
    0% ≤ 니켈(Ni) ≤ 5%
    0% ≤ 크롬(Cr) ≤ 4%
    0% ≤ 구리(Cu) ≤ 1%
    0% ≤ 몰리브덴(Mo) + 텅스텐(W)/2 ≤ 1.5%
    0.0005% ≤ 붕소(B) ≤ 0.010%
    질소(N) ≤ 0.025%
    알루미늄(Al) ≤ 0.9%
    규소 + 알루미늄 ≤ 2.0%
    선택적으로, 0.3% 미만의 함량인 바나듐(V), 니오브(Nb), 탄탈륨(Ta), 황(S) 및 칼슘(Ca)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 및/또는 0.5% 또는 그 미만의 함량인 티타늄(Ti) 및 지르코늄(Zr)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포함하고,그 나머지는 철과 제조과정에서 산출된 불순물들이며,
    천분의 일 % 단위로 표현된, 상기 조성의 알루미늄, 붕소, 티타늄 및 질소의 함량들은 또한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하며:
    K = Min(I* ; J*)
    I* = Max(0 ; I) 및 J* = Max(0; J)
    I = Min(N ; N-0,29(Ti-5))
    J = Min 일때,
    B ≥ 1/3 x K + 0,5, (1)
    그 구조는 베이나이트, 마텐자이트, 또는 마텐자이트-베이나이트이고 또한 3 내지 20%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강으로 이루어진 용접용 구성요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조성은 또한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구성요소:
    1.1%Mn + 0.7%Ni + 0.6%Cr + 1.5(%Mo + %W/2) ≥ 1 (2)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조성은 또한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구성요소:
    1.1%Mn + 0.7%Ni + 0.6%Cr + 1.5(%Mo + %W/2) ≥ 2 (2)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조성은 또한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구성요소:
    %Cr + 3(%Mo + %W/2) ≥ 1.8.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조성은 또한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구성요소:
    %Cr + 3(%Mo + %W/2) ≥ 2.0.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용접용 강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는 Ac3 내지 1000℃의 온도에서 가열에 의해 오스테나이트화되고 상기 구성 요소의 코어에서의 800℃와 500℃사이에서 냉각속도는 임계 베이나이트화 속도와 동일하거나 더 큰 속도인 방식으로 200℃ 또는 그 미만의 온도까지 냉각되고,
    -선택적으로, 템퍼링은 Ac1 또는 그 미만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강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의 상기 코어에서, 500℃와 200℃ 또는 그 미만의 온도 사이에서의 냉각속도는 0.07℃/초 내지 5℃/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강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템퍼링은 200℃ 또는 그 미만의 온도까지의 냉각 작업의 완료 시에 10시간 미만의 시간동안 300℃ 미만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강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200℃ 또는 그 미만의 온도까지의 냉각 작업의 완료 시에 템퍼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강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용접용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두께는 3mm 내지 150mm이고,
    상기 강판은 담금질되고, 800℃와 500℃ 사이에서의 상기 구성요소의 상기 코어에서의 냉각속도는 VR이고 상기 강의 조성은 다음과 같은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
    1.1%Mn + 0.7%Ni + 0.6%Cr + 1.5(%Mo + %W/2) + log VR≥ 5.5.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두께는 3mm 내지 150mm이고,
    또한, 상기 강판은 담금질되고, 800℃와 500℃ 사이에서의 상기 구성요소의 상기 코어에서의 냉각속도는 VR이고 상기 강의 조성은 다음과 같은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
    1.1%Mn + 0.7%Ni + 0.6%Cr + 1.5(%Mo + %W/2) + log VR≥ 6.
KR1020057009075A 2002-11-19 2003-11-13 용접용 강 빌딩 구성요소 및 그 제조방법 KR101010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14423A FR2847274B1 (fr) 2002-11-19 2002-11-19 Piece d'acier de construction soudable et procede de fabrication
FR0214423 2002-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034A true KR20050075034A (ko) 2005-07-19
KR101010595B1 KR101010595B1 (ko) 2011-01-25

Family

ID=3218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075A KR101010595B1 (ko) 2002-11-19 2003-11-13 용접용 강 빌딩 구성요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11060171B2 (ko)
EP (1) EP1563109B1 (ko)
JP (1) JP4535878B2 (ko)
KR (1) KR101010595B1 (ko)
CN (1) CN100352966C (ko)
AR (1) AR042070A1 (ko)
AT (1) ATE368755T1 (ko)
AU (1) AU2003294048B2 (ko)
BR (1) BR0315695B1 (ko)
CA (1) CA2506352C (ko)
DE (1) DE60315339T2 (ko)
DK (1) DK1563109T3 (ko)
ES (1) ES2293075T3 (ko)
FR (1) FR2847274B1 (ko)
PE (1) PE20040488A1 (ko)
PL (1) PL209396B1 (ko)
PT (1) PT1563109E (ko)
RU (1) RU2336363C2 (ko)
SI (1) SI1563109T1 (ko)
UA (1) UA81929C2 (ko)
WO (1) WO2004048630A1 (ko)
ZA (1) ZA2005039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2220C (zh) * 2006-04-03 2008-08-20 宜昌黑旋风锯业有限责任公司 一种金刚石锯片基体钢
KR101067896B1 (ko) * 2007-12-06 2011-09-27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한 고탄소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RU2458177C1 (ru) * 2010-12-03 2012-08-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Магнитогорский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комбинат" Прокат полосовой из борсодержащей марганцовистой стали
RU2445396C1 (ru) * 2011-04-18 2012-03-20 Юлия Алексеевна Щепочкина Конструкционная сталь
CL2012002218A1 (es) * 2012-08-09 2013-07-26 Compañia Electro Metalurgica S A Metodo de produccion de acero fundido de alta resistencia al desgaste con microestructura mayoritariamente bainitica y balance adecuado de tenacicdad y dureza para aplicaciones mineras tales como molienda y chancado; y acero con dichas caracteristicas.
CN104213048A (zh) * 2014-08-05 2014-12-17 安徽荣达阀门有限公司 一种水压阀用合金钢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630650A (zh) * 2015-02-06 2015-05-20 铜陵百荣新型材料铸件有限公司 一种耐低温高强度弹簧钢及其制备方法
KR101642421B1 (ko) 2015-03-06 2016-08-1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구조용강 조성물
US11384415B2 (en) 2015-11-16 2022-07-12 Benteler Steel/Tube Gmbh Steel alloy with high energy absorption capacity and tubular steel product
DE102016203969A1 (de) * 2016-03-10 2017-09-14 Thyssenkrupp Ag Verfahren zur Wärmebehandlung eines Flachproduktes aus Stahl, wärmebehandeltes Flachprodukt aus Stahl sowie seine Verwendung
FR3103498B1 (fr) * 2019-11-22 2021-12-10 Electricite De France Pièce massive métalliqu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KR20220000131A (ko) * 2020-06-25 2022-01-03 국방과학연구소 고인성 고경도강 합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1233A (en) * 1978-05-22 1979-10-16 Bethlehem Steel Corporation Lens quality of die steel
JPH0236648B2 (ja) * 1983-06-23 1990-08-20 Nisshin Steel Co Ltd Kokyodokoenseikonoseiho
US4673433A (en) * 1986-05-28 1987-06-16 Uddeholm Tooling Aktiebolag Low-alloy steel material, die blocks and other heavy forgings made thereof and a method to manufacture the material
JPH05320749A (ja) * 1992-05-20 1993-12-03 Nisshin Steel Co Ltd 超高強度鋼の製造方法
JPH06299242A (ja) * 1993-04-09 1994-10-25 Kawatetsu Techno Wire Kk 遅れ破壊特性及び機械的性質の優れたpc鋼材の製造方法
GB2297094B (en) * 1995-01-20 1998-09-23 British Steel Plc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arbide-Free Bainitic Steels
FR2729974B1 (fr) * 1995-01-31 1997-02-28 Creusot Loire Acier a haute ductilite, procede de fabrication et utilisation
FR2748036B1 (fr) * 1996-04-29 1998-05-22 Creusot Loire Acier faiblement allie pour la fabrication de moules pour matieres plastiques
BE1011149A3 (fr) * 1997-05-12 1999-05-04 Cockerill Rech & Dev Acier ductile a haute limite elast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t acier.
TW567233B (en) * 2001-03-05 2003-12-21 Kiyohito Ishida Free-cutting tool steel
FR2847270B1 (fr) * 2002-11-19 2004-12-24 Usinor Procede pour fabriquer une tole en acier resistant a l'abrasion et tole obtenue
FR2960883B1 (fr) * 2010-06-04 2012-07-13 Vallourec Mannesmann Oil & Gas Acier faiblement allie a limite d'elasticite elevee et haute resistance a la fissuration sous contrainte par les sulf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94048B2 (en) 2008-10-16
RU2005119210A (ru) 2006-01-20
CA2506352C (fr) 2011-05-10
WO2004048630A1 (fr) 2004-06-10
PL209396B1 (pl) 2011-08-31
ES2293075T3 (es) 2008-03-16
US11279994B2 (en) 2022-03-22
CN100352966C (zh) 2007-12-05
SI1563109T1 (sl) 2007-10-31
BR0315695A (pt) 2005-09-20
RU2336363C2 (ru) 2008-10-20
EP1563109A1 (fr) 2005-08-17
US20070079912A1 (en) 2007-04-12
DE60315339T2 (de) 2008-04-17
JP2006506529A (ja) 2006-02-23
CA2506352A1 (fr) 2004-06-10
ZA200503962B (en) 2006-08-30
US11060171B2 (en) 2021-07-13
US20200332402A1 (en) 2020-10-22
PL375545A1 (en) 2005-11-28
CN1714165A (zh) 2005-12-28
KR101010595B1 (ko) 2011-01-25
PT1563109E (pt) 2007-10-18
PE20040488A1 (es) 2004-08-18
DK1563109T3 (da) 2007-10-08
AR042070A1 (es) 2005-06-08
UA81929C2 (uk) 2008-02-25
FR2847274A1 (fr) 2004-05-21
DE60315339D1 (de) 2007-09-13
ATE368755T1 (de) 2007-08-15
JP4535878B2 (ja) 2010-09-01
EP1563109B1 (fr) 2007-08-01
FR2847274B1 (fr) 2005-08-19
AU2003294048A1 (en) 2004-06-18
BR0315695B1 (pt) 201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9994B2 (en) Weldable component of structural steel and method of manufacture
JP4542624B2 (ja) 高強度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479945B (zh) 具有优秀硬度和冲击韧性的耐磨损钢及其制造方法
CN108474049B (zh) 具有贝氏体组织结构的优质结构钢,由其生产的锻造件和锻造件的生产方法
ZA200504149B (en) Weldable steel building component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160304985A1 (en) Super bainite st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JP7016345B2 (ja) マイクロ合金鋼およびその鋼の生産方法
CA3094517C (en) A steel composition in accordance with api 5l psl-2 specification for x-65 grade having enhanced hydrogen induced cracking (hic)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eel thereof
KR20090121822A (ko) 구리를 함유한 복합 베이나이트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4770415B2 (ja) 溶接性に優れた高張力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821040B1 (en) Track part made of a hypereutectoid steel
CN113166901A (zh) 蠕变强度优异的铬钼钢板及其制备方法
JP5151510B2 (ja) 低温靭性、亀裂伝搬停止特性に優れた高張力鋼の製造方法
JP4975448B2 (ja) 靭性に優れた655MPa級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4306887B2 (ja) 局部延性及び熱処理後の靭性に優れた低合金鋼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182220A (ja) 耐硫化水素性及び靭性の優れた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OA20006A (en) Track Part Made of a Hypereutectoid Steel.
KR20030018316A (ko) 모재인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50㎏/㎟급압력용기용 강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