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024A - 정수기 및 그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그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024A
KR20050075024A KR1020057008847A KR20057008847A KR20050075024A KR 20050075024 A KR20050075024 A KR 20050075024A KR 1020057008847 A KR1020057008847 A KR 1020057008847A KR 20057008847 A KR20057008847 A KR 20057008847A KR 20050075024 A KR20050075024 A KR 20050075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ttachment
water purifier
sink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시게 미즈노
가즈시 오다니
기요시 가토
다카요시 니시코리
Original Assignee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34207A external-priority patent/JP44906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34208A external-priority patent/JP42380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34206A external-priority patent/JP4490624B2/ja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5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02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1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gas, air purg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B01D61/081Apparatus therefor used at home, e.g. kitch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8Specific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거치식 정수기에 있어서, (1) 적어도 필터(13), 원수 유입 노즐(24), 정수 유출용 노즐(26) 및 에어/물 배출용 노즐(28)을 갖는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과, (2)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의 원수 유입 노즐, 정수 유출 노즐 및 에어/물 배출 노즐과 각각 별개로 결합하는 원수, 정수 유입구(51) 및 에어/물 배출 유입구(52)를 구비한 정수기 본체(12)로 이루어지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본체에 상기 에어/물 배출 유로를 개폐하는 에어/물 배출 밸브 조립품(23)을 마련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정수기 사용 중에 에어블록이 생겨도 이것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과 함께 주위가 침수되는 일이 없고, 더구나 필터의 원수측에 체류한 세균이나 미립자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음과 함께, 필터의 일차측 체류수나 에어를 정수측 유로로 유출시키지 않는 거치형 정수기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그 부착 장치{WATER PURIFIER}
본 발명은 필터 부재로서 여과면에 정밀한 여과 구멍을 형성한 세라믹 필터나 중공사 필터를 사용한 정수기 및 그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정의 키친의 싱크대나 그 근방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정수기 및 그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 전부터, 수돗물의 맛이 이상해졌다는 지적이 강하게 일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원수의 오염도가 상승함으로써 염소 사용량의 증가, 녹, 클로르칼크 냄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발암 물질인 트리할로메탄이 존재하는 것도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인체에 있어서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가정용 정수기가 주목받아, 일반 가정에서도 널리 이용되어 왔다. 현재 알려져 있는 정수기의 형식예로서 활성탄과 세라믹 필터를 병용한 타입의 것이나, 활성탄과 중공사막 필터를 병용한 타입의 것이 있고, 이들 정수기에서는 활성탄으로 제거할 수 없는 녹이나 세균을 세라믹스 막이나 중공사막이 갖는 정밀 여과 작용에 의해서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이르러, 정수기의 소형화, 고효율화, 고여과 유량화가 요구되고 있고, 이미 이러한 성질을 구비한 정수기로서, 특허 공개 평5-76865호 공보나 특허 공개 평11-27705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원통형 세라믹 기재의 내표면에 소정의 제균 성능을 확보하는 코트막을 붙인 세라믹막 필터 내지는 허니컴 기재에 동일하게 코트막을 붙인 세라믹 허니컴 필터 등의 세라믹 필터와 활성탄을 충전한 활성탄 카트리지를 고정하고, 원수 유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활성탄, 세라믹 필터 순으로 통과시키고 정화시켜, 정수 유출구로부터 정수로서 취수하도록 구성된 거치형 정수기도 알려져 있다.
여기서, 우선 본원 발명의 정수기의 이해를 위해, 이하 상기 특허 공개 평11-27705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세라믹 허니컴 필터를 사용한 정수기의 구체예를 도 42 내지 도 4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42는 상기 특허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정수기의 일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3은 도 42에 도시하는 정수기에 있어서의 원수와 정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 및 도 43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정수기(400)는 외부 케이스(402) 내에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와 활성탄 카트리지(406)를 갖고 있다. 그리고, 공급되는 원수가 활성탄 카트리지(406)와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 순으로 통과함으로써 정수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부 케이스(402)는 원수 유입구(408)와 정수 유출구(410)를 갖는 케이스 기부(412)와, 케이스 기부(412)에 나사식으로 고정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 본체(414)와, 케이스 본체(414)의 상부에 나사식으로 고정할 수 있는 케이스 덮개부(416)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기부(412)의 상부 중심에는 원수 유입구(408)와 연통하는 구멍부(418)가 정수 유출구(410)와는 별도로 마련되고, 또한 케이스 기부(412)의 상부 외주부에는 돌출부(420)가 마련되고, 이 돌출부(4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422)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414)에는 그 하부 외주에 수나사부(426)가 마련되고, 그 상부 내주에 암나사부(428)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 덮개부(416)에는 외부 케이스(402)를 구성한 경우에 내측이 되는 면에 돌출부(432)가 마련되고, 돌출부(432)의 외주에는 수나사부(43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덮개부(416)에는 에어/물 배출 기구(436)가 마련되어 있다.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에는 그 상부측 면에 상부 지지 부재(438)가 마련되고, 그 하부측 면에 하부 지지 부재(440)가 마련된다. 내부에 활성탄(442)을 지지하는 활성탄 카트리지(406)는 카트리지 본체(444)와, 상부 지지부(446)와, 하부 지지부(448)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지지부(446)의 중심에는 원수 유출 구멍(450)이 마련되고, 이 원수 유출 구멍(450)에는 투수성(透水性)의 예컨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필터(452)가 마련되어, 활성탄(442)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부 지지부(446)의 외주에는 상부 지지부(446)로부터 돌출된 돌출부(454)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지지부(448)의 중심에는 원수를 도입하기 위한 원수 유입 구멍(456)이 마련되어 있고, 이 원수 유입 구멍(456)에는 투수성의 예컨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필터(457)가 마련되어, 활성탄(442)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수 유입 구멍(456) 주위에는 활성탄 카트리지(406)와 일체로 그 내부로부터 원수를 도입하고 그 외부를 따라서 정수가 흐르는 도입관(458)이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 구성 부재의 고정은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구성 부재를 세팅한 후, 케이스 본체(414)와 케이스 기부(412)를 수나사부(426)와 암나사부(422)로 나사식으로 고정하고, 케이스 본체(414)와 케이스 덮개부(416)를 암나사부(428)와 수나사부(434)로 나사식으로 고정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의 상부 지지 부재(438)는 케이스 덮개부(416)의 돌출부(432)의 오목부에 액이 새지 않도록 접속되고, 또한,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의 하부 지지 부재(440)는 활성탄 카트리지(406)의 돌출부(454)와 상부 지지부(446)로 구성되는 오목부에 액이 새지 않도록 접속된다. 또한, 활성탄 카트리지(406)의 도입관(458)은 케이스 기부(412)의 구멍부(418) 안에 삽입된다. 그리고, 구멍부(418) 내에 있어서, 원수 유입구(408)와 도입관(458)의 원수 도입부를 접속시키고, 이와는 별도의 경로로 정수 유출구(410)의 정수 도출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460은 원수 유입구(408)에 접속된 원수 호스, 462는 정수 유출구(410)에 접속된 정수 출구 노즐이다.
다음에, 도 43에 따라서, 정수기(400)에 있어서의 원수와 정수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43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원수 유입구(408)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는 도입관(458)의 내부를 통과하여 활성탄 카트리지(406)에 공급된다. 이 활성탄 카트리지(406)에 공급된 원수는 활성탄(442)과 접촉함으로써 일단 정화된다. 활성탄(442)과 접촉하여 일단 정화된 원수는 다음에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에 공급된다.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에 있어서, 공급된 원수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동하지만, 상부가 케이스 덮개부(416)로 막혀 있기 때문에, 동시에 외주 방향으로도 이동하고,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를 통과함으로써 정수되며, 최종적으로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와 외부 케이스(402) 내면 사이에 모인다. 집합한 정수는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와 케이스 본체(414) 내면 사이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활성탄 카트리지(406)와 케이스 본체(414) 및 케이스 기부(412) 사이, 및 도입관(458) 외주를 통과하여, 정수 유출구(410)로부터 정수로서 얻어진다.
다음에, 이 정수기(400)에 사용하는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4는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의 일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5는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4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는 복수 직교하는 셀벽(464)과, 셀벽(464)으로 규정된 관통 구멍(466)과, 외주벽(468)으로 이루어지는 세라믹 허니컴 구조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관통 구멍(466)을 따라서, 복수의 정수 통수(通水) 슬릿(470)을 관통 구멍(466)과는 별도로 마련한 것이다. 필터에 이 슬릿(470)을 마련하면 필터 중심부의 정수가 상기 정수 통수 슬릿(47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쉬워지고, 도 4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도 44에 도시하는 슬릿이 없는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와 비교하여, 여과에 기여하는 부분을 크게 할 수 있고 투수량을 늘릴 수 있어, 보다 고효율의 정수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세라믹 허니컴 필터 등의 내부에 정밀한 여과 구멍을 형성한 다공질 세라믹 필터를 구비한 정수기를 계속 사용하면, 사용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종종 여과 유량이 감소한다고 하는 현상에 이른다. 이 현상은 정수기의 세라믹 필터 내부가 원수에 의해 누설된 상태에서 여과면에 공기가 존재하면 누설된 여과면의 미세 구멍을 공기가 통과할 수 없게 되고, 체류함으로써 에어블록이 형성되어, 여과 유량이 감소하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 예인 도 42 및 도 43에 기재한 것에서는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의 상부가 케이스 덮개부(416)로 막혀 있고, 상부측면에 상부 지지 부재(438)가 마련되기 때문에, 적어도 세라믹 허니컴 필터(404)의 상부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상부 지지 부재(438)가 존재하고 있는 위치까지 에어블록이 형성되어, 그 부분만큼 여과에 관여하는 면적이 감소한다. 이 에어블록은 최초로 정수기를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뿐만 아니라 도중에 카트리지를 떼어 내거나, 장시간 사용하지 않고 있었을 때나 원수측의 도시하지 않는 전환 밸브를 전환함으로써 혼입, 혹은 단수 등에 의해 생기는 것이다.
이 에어블록은 에어블록을 형성한 공기를 정수기 내부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원래의 여과 유량을 회복할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도 42에 있어서 부호 436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종래 예의 세라믹 허니컴 필터를 사용한 정수기도 에어/물 배출 기구가 마련되지만, 이 에어/물 배출 기구는 오로지 각종 정수용 카트리지를 정수기에 부착했을 때에 필연적으로 정수기 내에 혼입되어 버리는 공기를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 정수기의 사용 중에 내부에 형성된 에어블록을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즉, 각종 정수용 카트리지를 정수기에 부착하였을 때에는 에어/물 배출 기구를 개방하여 서서히 원수를 통과시킴으로써 정수기 내부에 찬 공기를 제거하고, 이 에어/물 배출 기구로부터 물이 넘쳐 왔을 때에 원수 공급을 정지하고, 그 후에 에어/물 배출 기구를 폐지하고 통상의 사용에 제공하도록 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통상 에어/물 배출 기구로부터 물이 넘쳐 버리는 것을 예기하여 물에 젖어도 좋은 장소에서 작업함과 함께, 넘쳐 나오는 물의 양도 적기 때문에 넘쳐 나온 물이 주위로 분산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블록이 생긴 경우에는 종래의 에어/물 배출 기구를 그 자리에서 개방하면 에어블록을 형성하고 있는 공기량을 예측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압이 부여될 경우가 있기 때문에, 에어/물 배출 기구를 개방한 것만으로 다량의 물이 넘쳐 버리는 경우가 있다는 것, 및 세라믹 필터 안에 생긴 에어블록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많은 원수를 흘려보낼 필요가 있다는 것 등의 이유에 의해, 넘쳐 나온 물이 주위를 적셔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중공사 필터를 이용한 정수기의 경우는 중공사제 여과막의 일부에 물에 잘 젖지 않는 소수성 막을 혼재시킨 것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필터 내부에 에어블록이 발생해도 상기 소수성 막으로부터 체류한 에어를 서서히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소정의 여과 유량을 확보하면서 중공사제 여과막의 전체 부피를 작게 하기 위하여, 소수성 막의 스페이스를 늘리는 것에는 한계가 있고, 발생한 에어블록을 단시간에 배출시켜, 조기에 소정 여과 유량으로 회복하여 사용감을 향상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세라믹 필터, 중공사 필터도 필터의 원수측(일차측)에는 활성탄으로 염소가 제거된 물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정수기의 사용을 장기간 하지 않은 경우는 살균력이 없는 물에 의해 세균이 번식되어 물에 냄새가 베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수기를 사용하기 전에 물을 버리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기본적으로 원수측의 세균은 정수측으로는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체류하고 있는 세균의 양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여과면에서 포착되는 미립자도 여과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체류하고 있는 미립자의 양도 증대하여, 여과 유량의 저하 요인이 되고 있었다.
추가로, 중공사막 필터를 갖춘 정수기에 있어서는 수압을 올림으로써 나름대로의 고투수량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세라믹막 필터나 세라믹 허니컴 필터 등의 내부에 정밀한 여과 구멍을 형성한 다공질 세라믹 필터를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는 소형이면서 투수량을 늘림으로써 고효율의 정수기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형식의 정수기에 있어서도 고투수량으로 함으로써 필연적으로 필터 부재에 고수압이 걸리게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필터 부재를 갖춘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은 교환 가능하게 카트리지 고정 부재 내에 부착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이 원수 유입 노즐이나 정수 유출 노즐 등의 복수개의 노즐을 갖는 경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의 부착부로부터 누수 현상이 종종 보인다고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자들이 이 누수의 원인을 여러모로 검토한 결과, 이 누수는 단순히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에 고수압이 걸리기 때문에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의 원수 유입 노즐이나 정수 유출 노즐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것뿐만 아니라,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을 제조할 때에 복수개의 노즐간의 치수에 불균일이 생기고 있다는 것이 크게 영향을 미치고, 액밀 유지용 O링에 균등한 힘이 걸리고 있지 않다는 것이 주원인으로 되어 생기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수기는 수도꼭지에 직접 부착하는 형식의 정수기와 비교하면 상당히 대형이기 때문에, 가정의 키친의 싱크대 근방에 설치하는 경우, 언더 싱크대에 설치한 붙박이형이나 싱크대 평면부에 정수기를 놓는 거치형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언더 싱크대의 붙박이형 정수기는 싱크대상이나 수도꼭지 노즐에 있어서 정수기나 변환 코크가 거지척거리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싱크대상에 추출 꼭지의 부착이나, 정수기에 대한 원수 공급 배관이나 정수기와 추출 꼭지를 연결하는 배관의 설치 공사가 필요하므로, 시스템 키친 등, 키친 구입 당초부터 이들 배관이나 꼭지가 부착되어 있는 것 이외는 채용이 곤란하였다. 더욱이, 거치형 정수기는 싱크대 근방의 평면부나 싱크대 근방의 선반 등에 놓는 것만으로 끝나지만, 싱크대상에서 거추장스럽고, 또한 정수기 자체도 싱크대 근방의 평면부에 놓여 있기 때문에, 정수기 저부나 이 저부에 대응하는 싱크대 위의 평면부가 더러워지고, 또한 청소하기도 어렵고, 정수기 자체도 쓰러지기 쉽다고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 정수기를 싱크대 내지는 그 근방의 벽면에 부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단순히 벽면에 지지 브래킷을 나사식 고정 등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면, 타일을 붙인 것 같은 벽면의 경우에는 나사식의 고정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정수기 부착 지점에 제한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것보다도 대형 정수기를 싱크대 내지는 그 근방의 벽면에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적어도 필터 부재, 원수 유입 노즐, 정수 유출 노즐 및 에어/물 배출 노즐을 갖는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을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 사용 중에 에어블록이 생겨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주위가 침수되는 일이 없고, 또한 필터 부재의 원수측에 체류한 세균이나 미립자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적어도 필터 부재, 원수 유입 노즐 및 정수 유출 노즐 등의 복수개의 노즐을 갖는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을 구비한 정수기에 있어서,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을 카트리지 고정 부재에 부착할 때에, 양자간의 부착 강도를 강력하게 하고, 또한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을 제조할 때의 복수의 노즐간의 치수 불균일을 흡수할 수 있는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 부착 수단을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본 발명의 정수기를 싱크대 내지는 그 근방 벽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본 발명의 정수기를 싱크대 내지는 그 근방 벽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착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일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에어/물 배출 밸브 조립품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카트리지 고정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대응하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접속 조인트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6a는 정면도이고, 도 6b는 도 5a의 B-B선을 따른 평면 단면도이다.
도 7은 가압 링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7a는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C-C선을 따른 정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정수기를 부착 장치의 일례로 부착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정수기를 별도의 부착 장치로 부착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정수기를 또 다른 부착 장치로 부착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 형태의 정수기측 고정구와 벽면측 부착구를 동시에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벽면측 부착구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D-D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E-E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수기측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있어서의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 형태의 제1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있어서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제2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G-G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연장용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연장용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연장용 플레이트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부착 타입 A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부착 타입 B의 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기구용 부착 장치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부착 타입 B의 벽면측 부착구와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와의 위치 조정이 가장 짧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2는 부착 타입 B의 벽면측 부착구와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와의 위치 조정이 가장 긴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3은 부착 타입 C의 측면도이다.
도 34는 부착 타입 D의 측면도이다.
도 35는 부착 타입 D의 벽면측 부착구와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와 연장용 플레이트를 일체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6은 부착 타입 E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7은 부착 타입 E의 벽면측 부착구와 제2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와 연장용 플레이트를 일체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부착 타입 F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9는 부착 타입 F의 벽면측 부착구와 제2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를 일체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0은 부착 타입 G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1은 부착 타입 G의 제2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를 일체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1) 적어도 필터 부재, 원수 유입 노즐, 정수 유출 노즐 및 에어/물 배출 노즐을 갖는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과,
(2)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의 원수 유입 노즐, 정수 유출 노즐 및 에어/물 배출 노즐과 각각 따로 결합하는 원수 공급 유로, 정수 배출 유로 및 에어/물 배출 유로를 구비한 카트리지 고정 부재
로 이루어지는 정수기로서, 상기 카트리지 고정 부재에 상기 에어/물 배출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 전환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사용 중에 에어블록이 생겨도, 카트리지 고정 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유로 전환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주위가 침수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유로 전환 수단은 상기 에어/물 배출 유로를 개방할 때는 상기 정수 유로를 동시에 폐쇄하고, 상기 에어/물 배출 유로를 폐쇄할 때는 상기 정수 유로를 동시에 개방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에어/물 배출 유로를 개방할 때는 상기 정수 유로가 동시에 폐쇄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원수가 압력 손실 없이 그대로 에어/물 배출 유로로 유입되어 오기 때문에,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에어블록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의 에어/물 배출 노즐은 필터 부재의 상류측과 연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필터 상류측에 체류하고 있던 원수가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체류한 세균이나 여과면에서 포착된 미립자도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체류한 세균에 기인하여 물에 냄새가 베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착된 미립자에 기인하는 여과 유량의 감소도 회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을 가로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 고정 부재에 부착했을 때에,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의 에어/물 배출 노즐이 필터 부재의 상류측의 폐지 부재의 상부에 마련된 구멍과 연통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본래,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은 가로 방향으로도 세로 방향으로도 임의로 부착할 수 있는 것이지만, 가로 방향으로 부착해도 효과적으로 에어블록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필터 부재가 적어도 세라믹막 필터 또는 세라믹 허니컴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필터 부재가 소형이면서 고투수량 및 고효율의 정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1) 적어도 필터 부재, 원수 유입 노즐, 정수 유출 노즐을 갖는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과,
(2)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의 원수 유입 노즐 및 정수 유출 노즐과 각각 별개로 결합되는 원수 공급 유로 및 정수 배출 유로를 구비한 카트리지 고정 부재
로 이루어지는 정수기로서,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과 상기 카트리지 고정 부재 사이에 양자간의 결합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로크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카트리지 고정 부재에는 상기 원수 공급 유로 및 정수 배출 유로의 적어도 한쪽의 부착 위치를 가변으로 하는 위치 가변 부착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로크 수단에 의해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을 카트리지 고정 부재에 부착하면 양자간의 부착 강도가 강고해지고, 또한 카트리지 고정 부재에는 상기 원수 공급 유로 및 정수 배출 유로의 적어도 한쪽의 부착 위치를 가변으로 하는 위치 가변 부착 수단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을 제조할 때의 복수의 노즐간 치수의 불균일이 있어도 위치 가변 수단이 그것에 맞추어 움직이기 때문에, 액밀 유지용 O링에 불균등한 힘이 걸리는 일이 없어, 양자의 부착 부위로부터 누수하는 경우가 적어진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위치 가변 부착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 고정 부재에 고정된 가압 링의 내측에 스프링 지지체를 마련한 것으로서, 상기 원수 공급 유로 및 정수 배출 유로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가압 링의 스프링 지지체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가압 링에 의해 유지된 원수 공급 유로 혹은 정수 배출 유로는 회전 운동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가압 링의 내측에 마련된 스프링 지지체에 의한 가동 범위만큼 수평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액밀 유지용 O링에 불균등한 힘이 걸리게 됨으로써, 양자의 부착 부위로부터 누수하는 경우가 적어진다.
또한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카트리지 고정 부재는 추가로 접속 조인트와 이 접속 조인트의 주위에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부착된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접속 조인트는 내부가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한쪽 공간이 원수 유입로를 형성함과 함께 다른 쪽 공간이 정수 유출로를 형성하며, 상기 한쪽 공간이 원수 공급 유로로서 상기 정수 카트리지의 원수 유입 노즐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다른 쪽의 공간은 상기 접속 조인트와 하우징 사이의 환형 유로, 상기 하우징벽 및 상기 정수 배출 유로를 지나서 상기 정수 카트리지의 정수 유출 노즐에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압 링의 복수개의 스프링 부재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접속 조인트에 원수 호스 및 정수 호스로 이루어지는 트윈 호스를 접속할 수 있도록 되고, 더구나 이 트윈 호스는 360도 회전 운동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정수기 설치의 자유도가 커진다.
또한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로크 수단은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 측면에 마련된 홈부를 갖는 돌기와, 상기 카트리지 고정 부재에 마련된 상기 돌기의 홈부에 끼워 맞추는 단차부를 갖는 로크 아암과, 상기 카트리지 고정 부재에 마련된 로크/로크 해제 손잡이에 접속된 로크 해제 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크/로크 해제 손잡이에 접속되어 있는 로크 해제 캠을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로크 아암의 간격을 넓혀, 상기 로크 아암의 단차부와 상기 돌기의 홈부 사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로크/로크 해제 손잡이를 회전 운동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정수기 카트리지 조립품과 카트리지 고정 부재 사이의 로크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필터 부재가 적어도 세라믹막 필터 또는 세라믹 허니컴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필터 부재가 소형이면서 고투수량인 고효율 정수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정수기는 싱크대 또는 그 근방의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언더 싱크대형의 경우와 같은 싱크대상에 추출 꼭지의 부착이 불필요하고, 정수기에 대한 원수 공급 배관이나 정수기와 추출 꼭지를 연결하는 배관 설치 공사도 불필요해지고, 또한 거치형과 같이, 싱크대상에서 거치적거릴 일이 없으며, 또한 정수기의 저부나 저부에 대응하는 싱크대상의 평면부가 더러워질 일도 없고, 또한 청소도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정수기의 부착 장치로서, 상기 부착 장치는 상기 정수기를 싱크대 또는 그 근방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벽면측 부착구를 가지고, 상기 벽면측 부착구에 상기 정수기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싱크대의 수도꼭지로부터 원수를 상기 정수기에 공급하고, 정수기로부터 얻어진 정수를 상기 싱크대 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부착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고투수량의 대형 정수기를 용이하게 싱크대 또는 그 근방 벽면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원수가 싱글 레버 혼합 꼭지에 의해 공급되는 경우, 상기 벽면측 부착구는 싱글 레버 혼합 꼭지 안쪽의 싱크대 가장자리에 세워 마련한 벽면 부착용 스테이(stay)이며, 상기 스테이는 상기 싱글 레버 혼합 꼭지 본체에 접속된 상태로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스테이에 상기 정수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부착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정수기를 용이하게 싱글 레버 혼합 꼭지가 구비된 싱크대 근방의 벽면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테이는 그 하부에 U자형으로 잘라낸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슬릿을 상기 싱글 레버 혼합 꼭지와 접촉시키고, 상기 U자형 슬릿의 단부를 수직으로 구부려 싱크대의 수직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스테이를 싱글 레버 혼합 꼭지에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정수기의 싱크대 근방의 벽면에 대한 부착 상태도 강고해 진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원수가 2밸브 혼합 꼭지에 의해 공급되는 것인 경우, 상기 벽면측 부착구는 2밸브 혼합 꼭지의 안쪽 싱크대 가장자리에서 세워 마련한 벽면 부착용 스테이이며, 상기 스테이는 2밸브 혼합 꼭지의 온수, 냉수의 공급 파이프에 접속되어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스테이에 상기 정수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정수기를 2밸브 혼합 꼭지를 구비한 싱크대 근방의 벽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테이는 그 하부에 U자형으로 잘라낸 2개의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슬릿을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2밸브 혼합 꼭지의 온수, 냉수 공급 파이프에 각각 접촉시키고, 압박 수단으로 상기 스테이를 벽면에 압박시켜, 상기 스테이의 하부가 싱크대 가장자리의 평면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스테이를 2밸브 혼합 꼭지에 강고히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정수기의 싱크대 근방의 벽면에 대한 부착 상태도 강고해진다.
또한,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싱크대가 안쪽 싱크대 가장자리에 세워 마련한 벽면 상부의 차양을 갖고 있는 것인 경우, 상기 벽면측 부착구는 안쪽 싱크대 가장자리에서 세워 마련한 벽면 상부의 차양 아래쪽과 싱크대 가장자리의 평면부 사이에 고정 가능한 확장 부재이며, 상기 확장 부재에 상기 정수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싱크대가 안쪽 싱크대 가장자리에 세워 마련한 벽면 상부에 차양을 갖고 있는 것이어도 강고히 상기 정수기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정수기의 부착 장치로서, 상기 부착 장치는
싱크대 또는 그 근방의 벽면에 고정되는 편평형의 벽면측 부착구와, 상기 정수기에 고정되는 고정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구는 편평형의 주요 플레이트와, 압박 수단의 한쪽 면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편평형의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를 가지고,
상기 주요 플레이트 및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벽면측 부착구의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벽면측 부착구와 고정구를 결합, 분리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결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에 마련된 결합 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부착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정수기의 부착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수기의 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부착 장치는
싱크대 또는 그 근방의 벽면에 고정되는 일부에 두께가 두꺼운 부분과 두께가 얇은 부분이 형성된 편평형의 벽면측 부착구와 상기 정수기에 고정된 고정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께가 두꺼운 부분과 이것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구에 마련되고, 상기 벽면측 부착구와 상기 고정구를 결합, 분리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결합 수단과,
상기 두께가 얇은 부분 내에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는 상기 벽면측 부착구의 두께가 얇은 부분 내에 수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측의 고정구를 상기 벽면측 부착구에 결합 수단으로 결합할 때에 방해되지 않고, 상기 벽면측 부착구와 상기 정수기측 고정구의 형상을 편평형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상기 기구를 벽면에 밀접시켜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의 고정 수단은 상기 두께가 얇은 부분에 가이드용 돌기를 마련하고,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측에 상기 가이드용 돌기가 관통하는 안내 홈을 마련하여,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와 상기 벽면측 부착구와의 상대 위치 관계를 변경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기구의 부착 높이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는 상기 벽면측 부착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큰 직사각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의 선단을 수평 지점에 접촉시키고 지지하여, 상기 정수기를 높은 지점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연장용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정수기를 벽면만으로 고정하지 않고 연장용 플레이트의 선단을 수평 지점에 접촉시켜 매우 높은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는 옆쪽에서 보았을 때에 L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변경용 플레이트의 한 변을 지지 지점의 평면에 접촉시켜 상기 정수기의 아래쪽에서 고정하는 방법, 및 상기 변경용 플레이트의 1변이 상기 벽면측 부착구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반전시켜 이 변경용 플레이트를 이 벽면측 부착구에 고정하고, 그 한 변을 계단형 지지 지점 상면에 걸어 상기 정수기의 위쪽에 고정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정수기의 부착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한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벽면측 부착구의 편평한 면과 평행하게 상기 두께가 얇은 부분에 마련한 직선형의 두께가 얇은 부분측 톱니와,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에 마련한 상기 두께가 얇은 부분측 톱니와 맞물리는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측 톱니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경용 플레이트를 상기 벽면측 부착구에 고정한 상태는 상기 변경용 플레이트측 톱니를 상기 두께가 얇은 부분측 톱니에 맞물리게 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정수기의 중량에 대하여 강고히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변경용 플레이트와 상기 벽면측 부착구와의 상대 관계를 변경할 때는 톱니의 피치 단위로 아주 작게 변경 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한 부착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부착용 변경용 플레이트는 옆쪽에서 보았을 때에 계단형으로 절곡되고 중간에 수평한 중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변경용 플레이트의 선단을 수평 지점에 접촉시키고 상기 정수기의 아래쪽에 고정하는 방법과, 상기 변경용 플레이트의 절곡된 중간부를 단형(段形)의 지지 지점 상면에 접촉시켜 상기 정수기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정수기의 부착 자유도가 증가한다.
더욱이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구는 정수기의 뒤쪽에 부착되고, 상기 주요 플레이트는 상기 벽면측 부착구에 형성된 홈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걸림 갈고리와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주요 플레이트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돌출하는 걸림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는 편향 수단에 의해 항상 한 방향으로 편향되어 상기 주요 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벽면측 부착구에 정수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정수기(10)는 상부 케이스(11) 및 카트리지 고정 부재(12)로 구성되는 공간 내에 세라믹 필터(13)와 활성탄 카트리지(14)로 이루어지는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을 구비하고 있고, 공급되는 원수가 활성탄 카트리지(14)와 세라믹 필터(13)를 순서대로 통과함으로써 정수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세라믹 필터(13)는 세라믹막 필터이어도 좋고 세라믹 허니컴 필터이어도 좋지만, 이하에서는 세라믹 허니컴 필터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카트리지 고정 부재(12)는 원수 유입로(16), 정수 유출로(17), 드레인 유로(18), 및 카트리지 고정 부재(12) 내에 고인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멍(19, 19')을 갖고 있고, 상부 케이스(11) 및 카트리지 고정 부재(12)는 수동 나사(2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원수 유입로(16) 및 정수 유출로(17)는 일체로 되어 카트리지 고정 부재(12) 하부의 한쪽 단부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 운동 기구(21)에 의해 동시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각각 원수/정수 트윈 호스(2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고정 부재(12)에는 원수 유입로(16) 및 정수 유출로(17)가 마련되는 지점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에어/물 배출 밸브 조립품(23)이 마련되어 있다.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은 가로 방향으로 가늘고 긴 거의 원통 형상을 가지고, 측면 하부에 카트리지 고정 부재(12)의 회전 운동 기구(21)로부터 형성된 원수 유입구와 연통하는 원수 유입용 노즐(24)과, 에어/물 배출 밸브 조립품(23)의 제1 유로 전환부(25)와 연통하는 정수 유출용 노즐(26)과, 에어/물 배출 밸브 조립품(23)의 제2 유로 전환부(27)와 연통하는 에어/물 배출용 노즐(28)을 갖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카트리지 본체(29)와, 이 카트리지 본체(29)의 개방단측을 폐쇄하는 덮개 부재(30)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노즐(24, 26, 28) 주위에 O링(31, 31', 31'')이 마련되고, 회전 운동 기구(21)로부터 형성된 원수 유입구, 에어/물 배출 밸브 조립품(23)의 제1 유로 전환부(25) 및 제2 유로 전환부(27)와 액이 새지 않도록 분리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또한,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의 측면 하부에는 카트리지 고정 부재(12)의 로크용 아암(32)에 끼워 맞추어지는 로크용 돌기(33)도 구비하고 있고, 이에 의해서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이 카트리지 고정 부재(12)에 강고히 부착되고, 양자가 진동이나 수압 등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은 내부에 세라믹 허니컴 필터(13) 및 활성탄 카트리지(14)를 포함하고 있다. 활성탄 카트리지(14)는 주위가 중간 통(34) 및 중간 통 덮개(35)로 피복되어 있고, 그 내부에 입구에서부터 출구에 걸쳐서 제1 부직포(36) 및 스폰지(37)로 이루어지는 입구 필터 부재(38), 제1 활성탄층(39), 다이어프램(40), 제2 활성탄층(41), 제2 부직포(42)가 순서대로 마련되어 있으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의 입구단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세라믹 허니컴 필터(13)는 입구 단부에 제1 L형 팩킹(43)을 통해 환형의 세라믹 슬리브(44)가 배치되고, 다른 쪽의 단부에 제2 L형 패킹(45)을 통해 카트리지 본체(29)의 저부에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얹혀지며, 환형의 세라믹 가압 부재(46)를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카트리지 본체(29)의 내벽에 밀어 넣음으로써 세라믹 슬리브(44)를 눌러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활성탄층을 마련함으로써, 제거 성능이 다른 여과재를 충전할 수 있고, 예컨대 제1 활성탄층에는 항균 재료를 첨착 내지는 혼합한 입상 활성탄층, 제2 활성탄층에는 납 제거재를 혼합한 입상 활성탄 등을 충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양쪽 모두 동일한 활성탄층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세라믹 허니컴 필터(13)는 내부에 소정 개수의 관통 구멍(13')을 허니컴형으로 구비하고 있고, 이 관통 구멍(13')은 카트리지 본체(29)의 저부, 즉 원수의 흐름에 대하여 하류측에서 버퍼판(48)에 의해서 차단되어 있고, 이 버퍼판(48)에는 상부에 개방 구멍(47)이 마련되고, 세라믹 허니컴 필터(13)와 카트리지 본체(29)의 저부 사이에 에어/물 배출 유로(49)가 형성되고, 이 에어/물 배출 유로(49)는 에어/물 배출용 노즐(28)과 연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에어/물 배출 밸브 조립품(23)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동 핸들(50), 이 수동 핸들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정수의 흐름을 전환하는 제1 유로 전환부(25) 및 에어/물 배출 유로(49)로부터의 에어 등의 흐름을 전환하는 제2 유로 전환부(27)를 갖고 있다. 제1 유로 전환부(25)의 상부는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의 정수 유출용 노즐(26)을 받아들이는 정수 유입구(51)가, 제2 유로 전환부(27)의 상부는 동일하게 에어/물 배출용 노즐(28)을 받아들이는 에어/물 유입구(5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수동 핸들(50)에 의해 제1 유로 전환부(25)가 정수 유입구(51)와 접속되어 있을 때, 제2 유로 전환부(25)는 폐지되고 에어/물 배출 유로(49)는 밀폐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원수는 폐지 부재(48)의 개방 구멍(47)을 통과하여 흐를 수는 없기 때문에, 세라믹 허니컴 필터(13) 내를 원수의 유입 방향과는 직각 방향으로 빠져나가 정화되고, 얻어진 정수는 정수 유입구(51)로부터 제1 유로 전환부(25)의 정수 유출용 개구(53), 접속 호스(54)(도 4 참조), 정수 유출로(17), 원수/정수 트윈 호스(22)의 정수측으로 흐르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수동 핸들(50)을 전환하여, 제1 유로 전환부(25)를 폐쇄하고 정수가 흐르지 않도록 하면, 동시에 제2 유로 전환부(27)가 개방되어 에어/물 배출 유로(49)와 드레인 유로(18)를 접속하기 때문에, 세라믹 필터(13) 내의 원수 및 에어블록을 형성하고 있던 공기가 폐지 부재(48)의 개방 구멍(47)을 빠져나가, 에어/물 배출 유로(49)를 통해서 드레인 유로(18)로 배출된다. 이 때, 정수는 흐르지 않기 때문에, 원수의 수압 손실은 적고, 원수는 에어블록을 형성하고 있는 공기를 급속히 효율적으로 드레인 유로로 흘려보낸다. 본원 구성에 의한 에어/물 배출 밸브 조립품(23)은 필터 부재의 일차측 체류수(滯留水)나 에어를 정수측의 유로로 유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정수측 유로의 오염 손상을 없앨 수 있다. 드레인 유로(18)에는 필요에 따라서 드레인 튜브가 마련되어 주위가 침수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에어/물 배출 밸브 조립품(23)은 성형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본체는 ABS수지제, 패킹류는 실리콘 고무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에어/물 배출 밸브 조립품(23)은 수동 핸들(50)의 회전에 의해 제1 유로 전환부(25)를 회전시켜 유로를 전환하는 방식으로 설명되었지만, 복수의 볼을 사용한 볼 체크형, 혹은 유로 전환부를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유로를 전환하는 형식에서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원수 유입용 노즐(24)과 정수 유출용 노즐(26)과 에어/물 배출용 노즐(28)은 모두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의 축 방향과 직각으로 돌출시키고, 본체측이 대응하는 부위에 끼워 맞추고 있지만, 상기 노즐을 카트리지의 축선 방향, 예컨대 정수 유출용 노즐(26)과 에어/물 배출용 노즐(28)을 카트리지의 좌단에, 또한 원수 유입 노즐(24)을 카트리지의 우단에 마련하여, 에어/물 배출 밸브 조립품(23) 등과는 적절한 배관으로 연결해도 좋다.
다음에, 도 1,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과 카트리지 고정 부재(12) 사이의 로크 기구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5는 카트리지 고정 부재(12)에 마련되는 로크용 아암(32)의 도 4의 A-A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우측면 단면도이다.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의 측면 하부에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로크용 돌기(33)가 구비되어 있고, 이 로크용 돌기(33)에는 카트리지 고정 부재(12)에 마련된 로크용 아암(32)의 2개의 단차부(55, 55')(도 5 참조)에 끼워 맞추는 홈부(71)가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어 있다. 이 로크용 돌기(33)의 가로 폭은 로크용 아암(32)의 2개의 단차부(55, 55')의 위쪽에 형성된 테이퍼부(56, 56') 사이에서 접촉하는 폭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을 카트리지 고정 부재(12)의 소정 위치에 접촉시켜 하측으로 누르면,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의 원수 유입용 노즐(24), 정수 유출용 노즐(27) 및 에어/물 배출 용 노즐(28)이 각각 카트리지 고정 부재(12)의 회전 운동 기구(21)로부터 형성된 원수 유입구, 에어/물 배출 밸브 조립품(23)의 정수 유입구(51) 및 에어/물 유입구(52)와 액이 새지 않도록 끼워맞춰지고, 로크용 아암(32)의 테이퍼부(56, 56') 표면이 하측으로 미끄러져 로크용 아암(32)을 외측으로 밀어 넓히고, 최종적으로 로크용 아암(32)의 단차부(55, 55')가 로크용 돌기(33)의 로크용 홈부(71)에 결합됨으로써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과 카트리지 고정 부재(12)가 로크 상태로 결합된다.
이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을 카트리지 고정 부재(12)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로크/로크 해제 손잡이(57)에 접속되어 있는 로크 해제 캠(58)을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로크용 아암(32)의 단차부(55, 55')의 간격을 넓히고, 카트리지 조립품(15)의 로크용 돌기(33)의 홈부로부터 개방하여 로크를 해제하면 좋다. 로크용 아암(32)과 로크 해제 캠(58)의 재질로서는 POM(폴리아세탈)이 스프링 탄성과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원수/정수 트윈 호스(22)의 회전 운동 기구(21)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6은 회전 운동 기구(21)의 일부를 구성하는 접속 조인트(59)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6a는 정면도이고, 도 6b는 도 5a의 B-B선에 따른 평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회전 운동기구(21)를 카트리지 고정 부재(12)에 고정하기 위한 가압 링(66)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7a는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C-C선을 따른 정면 단면도이다.
회전 운동 기구(21)는 하부 측면에 원수/정수 트윈 호스(22)가 접속되어 있는 접속 조인트(59)와 하우징(60)을 구비하고, 이 접속 조인트(59)의 위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61)가 하우징(60)의 내부에 액이 새지 않도록 회전 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이 돌출부(61)의 상단부(62)가 하우징(60)의 상단부(63)보다도 약간 더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이 접속 조인트의 돌출부(61)에는 그 상단부(62)와 하우징(60)의 상단부 사이에 E자형 형상을 갖는 빠짐 방지 와셔(64)가 체결되어, 접속 조인트(59)와 하우징(6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 360도 회전 운동 가능하게 일체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60)은 그 하부에 일부 환형으로 마련되어 있는 대직경부(65)를 가지고, 이 대직경부(65)를 카트리지 고정 부재(12)의 상부 표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위쪽으로부터 대략 C자형의 가압 링(66)을 카트리지 고정 부재(12)에 나사식으로 고정함으로써 카트리지 고정 부재(12)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 가압 링(66)은 내주 하부에서 내측 위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개의 스프링 부재(67, 67' ,67")를 구비하고 있고, 이 스프링 부재(67, 67' ,67")는 그 내주부가 하우징(60) 주위에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이에 의해서 하우징(60)은 가압 링(66)의 개방단측에 상당하는 각도 범위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스프링 부재(67, 67' ,67")의 신축 가능한 범위 내에서 약간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그에 의하여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의 원수 유입용 노즐(24)과, 정수 유출용 노즐(26)과, 에어/물 배출용 노즐(28) 사이의 제조상의 치수 오차를 흡수하고, 원수/정수 트윈 호스(22)에 가해진 변형 응력을 흡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접속 조인트(59)는 내부가 2공간으로 구획되어 한쪽 공간이 원수 유입로(16)를 형성하고, 다른 쪽의 공간이 정수 유출로(17)를 형성하고 있다. 이 원수 유입로(16)는 회전 운동 기구(21)로부터 형성된 원수 공급 유로를 통해서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의 원수 유입용 노즐(24)과 액이 새지 않도록 회전 운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정수 유출로(17)는 접속 조인트(59)의 측부에 마련된 개구(68)를 통해 접속 조인트(59)와 하우징(60)의 내주면 사이에 환형으로 형성된 정수 유로(69), 및 이 정수 유로(69)와 접속되어 있는 하우징(60)에 마련된 내부 정수 호스 접속구(70)와 연통하고 있다.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에 의하여 정화된 정수는 정수 유출용 노즐(26), 에어/물 배출 밸브 조립품(23)의 제1 유로 전환부(25), 상기 유로 전환부(25)에 접속된 센서 엘보(80), 유량 센서(81), 센서 소켓(85), 접속 호스(54)(도 4 참조)를 순서대로 지나서, 상기 하우징(60)에 마련된 내부 정수 호스 접속구(70)에 유입된다. 또한 접속 호스의 양단은 각각 센서 소켓(85) 및 하우징(60)에 마련된 내부 정수 호스 접속구(70)에 삽입된 후,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클립(84)에 의해 접속 호스의 이탈이 방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접속 조인트(59)는 하우징(60)에 대하여 액이 새지 않도록 360도 수평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의 원수 유입용 노즐(24)에 대해서도 액이 새지 않는 상태로 360도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하우징(60)은 가압 링(66)의 스프링 부재(67, 67' ,67")에 의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단측에 상당하는 각도 범위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었다.
액정 장치(82)는 전지 박스(83)에 저장하는 전지(도시하지 않음)를 전원으로 하여, 정수가 흐르고 있을 때에 유량 센서(81)에 의해 검출된 프로펠러(도시하지 않음)의 회전 펄스에 기초하여, 액정 장치(82)에 내장되는 전자 회로에 의해 유량,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의 수명, 상기 전지 박스(83)에 저장되는 전지의 수명을 계산하고, 이들을 액정 장치(82)의 외부에 노출된 액정면에 표시한다. 또한, 카트리지 고정 부재(12) 배면부에는 이하에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벽에 부착한 벽면측 부착구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구(7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 내의 필터 부재로서 세라믹막 필터나 세라믹 허니컴 필터 등의 세라믹 필터(13)를 사용한 것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필터 부재로서 주지의 중공사막 필터를 사용한 것에 관해서도 같이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여기서는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15)을 가로 방향으로 카트리지 고정 부재(12)에 부착하는 구성인 것을 나타냈지만, 세로 방향으로 부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변형은 당업자에 자명하기 때문에, 그 경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8 내지 도 4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상기 정수기용 부착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정수기를 그 부착 장치에 부착한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여기에 도시한 예는 수직인 벽면에 부착한 예(예 1)를 도시하고 있다. 싱크대 안쪽 부분은 싱크대(201) 안쪽의 싱크대 가장자리(202)에서 수직 방향의 벽면(203)으로 되어 있고, 좁은 키친에 많은 형태이다. 이 경우, 싱글 레버 혼합 꼭지(204)로 고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정수기(205)를 부착하는 스테이(206)는 U자형 슬릿(207)을 갖는 스테이(206)의 U자 부분의 안쪽이 싱글 레버 혼합 꼭지(204)의 밑에 접촉하도록 하고, 또한 스테이(206)가 싱글 레버 혼합 꼭지(204)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U자형 슬릿(207)의 단부(208, 208')를 직각으로 구부려, 싱크대(201)의 수직면(209)에 닿도록 하고 있다. 스테이의 고정 방법으로는 스테이의 하부를 Ω형으로 하여, 싱글 레버 혼합 꼭지(204)의 본체를 끼워 넣거나, Ω형의 개구부를 나사 등으로 좁히도록 하여 고정해도 좋다. 싱글 레버 혼합 꼭지(204)의 수도꼭지 노즐(210)의 선단에 부착한 전환 코크(211)로부터 원수를 유연성 있는 원수/정수 트윈 호스(212)를 통해 정수기(205)로 유도하고, 정수기(205)로부터 동일하게 원수/정수 트윈 호스(212)를 통해 정수를 전환 코크(211)로부터 유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정수기(205)에는 에어/물 배출용 드레인 튜브(213)를 마련하여, 싱크대 주위가 침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원수를 정수기(205)로 유도하는 유연성 있는 원수/정수 트윈 호스(212)는 싱글 레버 혼합 꼭지(204)의 수도꼭지 노즐(210)에 대하여 플라스틱제의 밴드(214)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드레인 튜브(213)가 정수기(205) 하부에 붙어있기 때문에,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에어 배출이나 체류수의 배출도 용이하고, 또한 싱크대(201) 주위에 물이 튀는 경우도 없다. 또한 정수기(205)의 하부 공간에는 가로막는 부재가 적기 때문에, 청소도 용이하다. 또한, 정수기(205)는 수평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냈지만, 수직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정수기를 그 부착 장치의 다른 예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며, 수직인 벽면에 부착한 예(예 2)를 도시하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는, 도 8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지만 이들 도면에 있어서는 정수기(205)의 부착 상태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전환 코크(211), 원수/정수 트윈 호스(212), 드레인 튜브(213) 등은 생략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2밸브 혼합 꼭지(204)에 고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정수기(205)가 부착되는 스테이(206)는 하부를 2개의 U자형 슬릿(207, 207')으로 잘라낸 상태에서, 2밸브 혼합 꼭지(204)에 접속되어 스프링 등의 압박 수단(220)에 의해 스테이(206)를 벽면(203)에 누르고, 또한 스테이(206)의 단부(208, 208')는 싱크대 가장자리(202)의 평면부(221)에 접촉하고 있어, 정수기(205)의 하중을 지지하고 있다. 스테이(206)의 고정 방법으로는 스테이의 하부를 Ω형으로 하여, 직접 온수, 냉수의 파이프에 끼어 넣거나, Ω형의 개구부를 나사로 좁혀 고정해도 좋다. 더욱이, 스테이(206)와 싱크대 안쪽의 벽면(203)과는 스테이(206)의 평면부(221)에 양면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양자를 고착해도 좋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정수기를 그 부착 장치의 또 다른 예와 함께 도시하는 도면이며, 벽면 상부에 차양이 있는 벽면에 부착한 예(예 3)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전술한 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예에서는, 정수기(205)는 차양(230)의 하측과 싱크대 가장자리(202)의 평면부(221) 사이의 치수에 가변으로 대응하는 한 쌍의 로드(232, 232') 등의 부착 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이 예에서는, 로드(232, 232') 각각의 상부는 예각부(234, 234')를 가지고, 차양(232)의 하면은 정수기(205)에 대하여 나사(236, 236')에 의해 고정되고, 로드(232, 232')의 하면은 고무 등의 쿠션재(238, 238')를 적절하게 개재시켜, 싱크대 가장자리(202)의 평면부(221)의 손상 방지와 미끄럼이 방지되게 한다. 이 예에서는 한 쌍의 로드(232, 232')를 사용했지만, 2개의 판형 스테이를 사용해도 좋고, 이 2개의 스테이의 하부를 구부려 싱크대 가장자리(202)의 평면부(221)에 배치해도 좋다. 또한, 정수기(205)를 싱크대(201)의 차양(230)과 싱크대 가장자리(202)의 평면부(221) 사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은 차양(230)과 평면부(221) 사이에서 확장되는 기능을 갖는 기구이면 좋고, 예컨대 상기 로드에 스프링 등의 압박 수단을 병용해도 좋다.
이상의 예에서는, 정수기를 싱크대 벽면에 고정하는 부착 브래킷을 싱크대 주위에 있는 구조체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싱크대 벽면에 나무 나사 등으로, 예컨대 한 쌍의 단차식 원반 등을 우선 고정하고, 또한 정수기의 배면에 상기 단차식 원반에 대응하는 고정 부분을 마련하고, 정수기를 벽면에 고정하는 방법이나, 직접 정수기를 나사식으로 고정해도 좋다. 그러나, 임대 주택 등에서는 계약 종료시 나사 고정부의 보수금을 청구하는 경우가 있어, 본원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수기가 중공사 엘리멘트 등을 사용하여 경량화될 수 있는 경우에는 양면 점착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정수기 배면과 싱크대의 벽면을 직접 고정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는 정수기 또는 스테이 등의 부착구의 배면을 벽에 접촉시키는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정수기 또는 부착구의 배면 및 싱크대 안쪽 벽면 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5 내지 20mm의 공간을 정수기 또는 부착구와 싱크대 안쪽의 벽면 사이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20mm 이상 떨어지면 싱크대 근방의 공간 이용이 비효과적으로 되고, 또한 정수기 자체도 진동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라서 정수기를 싱크대 벽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한 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정수기(300)를 싱크대 주변의 소정 위치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장치(301)의 사시도이며, 정수기(300)는 커버를 벗긴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부착 장치(301)는 벽면측 부착구(307) 및 카트리지 조립품의 이면에 마련된 정수기측 고정구(308)로 이루어진다.
이 벽면측 부착구(307)는 도 14의 평면도, 도 14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인 도 15 및 도 14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인 도 16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벽면측 부착구(307)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이고 편평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의 면 상에는 두께가 약간 두껍고 중공형인 두께가 두꺼운 부분(37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폭넓게 두께가 얇은 홈형의 두께가 얇은 부분(372)이 형성되어 있다.
두께가 얇은 부분(372)의 깊이는 후술하는 플레이트가 위치해도 플레이트 표면이 두께가 두꺼운 부분(37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치수로 되어 있다. 두께가 두꺼운 부분(371)에는 상하로 홈(373, 374)이 형성되어 있다. 두께가 얇은 부분(372) 내의 양측에는 벽면측 부착구(307)의 편평한 면과 평행하게, 서로 마주 향하여 벽면측 부착구측 톱니(37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두께가 얇은 부분(372) 내에는 4개의 관통 구멍(376)과 2개의 가이드용 돌기(377)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용 돌기(377)에는 나사 구멍(378)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각종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구성한다.
정수기측 고정구(308)는 도 17 및 도 18의 사시도에 자세히 도시되고, 벽면측 부착구(307)와 밀착하도록 직사각형 주요 플레이트(381)를 베이스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벽면측 부착구(307)의 아래쪽에 형성된 홈(373)과 대향하는 주요 플레이트(381)의 위치에는 아래쪽을 향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걸림용 갈고리(382)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벽면측 부착구(307)의 위쪽에 형성된 홈(374)과 대향하는 주요 플레이트(381)의 표면에는 개구(383)가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381)에는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384)가 상하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부착되고, 이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384)는 스프링(385)에 의해 항상 주요 플레이트(381)에 대하여 위쪽으로 편향되어 있고, 또한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384)의 상부에는 개구(383)로부터 돌출하여 위쪽으로 절곡된 부재로 이루어지는 걸림용 부재(387)를 갖는 해제용 레버(38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정수기측 고정구(308)는 카트리지 조립품(302)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고정 부재(302')에 수직으로 나사 등에 의해서 부착되지만, 동시에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384)는 주요 플레이트(381)와 정수기(300) 사이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정수기(300)에 커버가 있을 때는 해제용 레버(384)는 커버 내에 위치하고, 주요 플레이트(381)가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벽면측 부착구(307)의 홈(373, 374)과 정수기측 고정구(308)의 걸림용 갈고리(382), 걸림용 부재(387) 등으로부터 양자를 결합, 분리하기 위한 결합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는 도 19의 정면도, 도 20의 평면도 또한, 도 19에 있어서의 F-F선 단면도인 도 21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는 광폭부(311)를 베이스로 하여 단면이 2회 직각으로 절곡되어 계단형으로 되어 있고, 중간에 수평 중간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광폭부(311)로부터는 위쪽으로 협폭부(313)가 연장되어 있고, 아래쪽은 광폭형인 채로 플레이트가 연장되어 있다. 이 협폭부(313)의 양측에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측 톱니(3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용 돌기(377)가 관통하는 가이드용 긴 홈(315)이 형성되어 있다.
즉, 협폭부(313)는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측 톱니(314)가 벽면측 부착구측 톱니(375)와 맞물리고, 가이드용 긴 홈(315)에 가이드용 돌기(377)가 관통한 상태로 두께가 얇은 부분(372) 내에 전체적으로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가 벽면측 부착구(307)로부터 크게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부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316은 중간부(312)에 형성된 한 쌍의 나사 구멍이다.
제2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20)는 도 22의 정면도, 도 23에 평면도 또한, 도22에 있어서의 F-F선 단면도인 도 24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2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20)는 광폭부(321)를 베이스로 하고 단면이 L형이다. 광폭부(321)로부터는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의 협폭부(313)와 동일 형상의 협폭부(322)가 연장되어 있다. 즉, 협폭부(322)는 제2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측 톱니(323)가 얇은 부분측 톱니(375)와 맞물리고, 가이드용 긴 홈(324)에 가이드용 돌기(377)가 관통한 상태로 두께가 얇은 부분(372) 내에 전체적으로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제3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30)는 도 25에 정면도, 도 26에 평면도 또한, 도 27에 측면도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3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30)는 광폭으로서 옆쪽에서 보았을 때 L형을 이루고, 짧은 변(331)과 긴 변(332)으로 이루어진다. 짧은 변(331)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 구멍(333)은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의 나사 구멍(316)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다음에, 상기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부착 장치를 이용한 각종 부착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부착 타입 A로서는 도 28의 측면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싱크대(340) 전방의 벽면(341)이 목제 등으로서 나사식으로 고정 가능한 경우이다. 이 부착 방법은, 우선 벽면측 부착구(307)를 나무 나사(342)로 벽면(341)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도 13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수기(300)를 벽면(341)쪽으로 가지고 와서 정수기측 고정구(308)를 벽면측 부착구(307)에 대면시킨다. 그리고, 정수기(300)[카트리지 고정 부재(302')]를 약간 앞으로 기울여서 걸림용 갈고리(382)를 홈(373)에 삽입하여 건다. 다음에, 정수기(300) 위쪽을 강하게 벽면(341)방향으로 눌러 걸림용 부재(387)를 홈(374)에 밀어 넣는다. 그렇게 하면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384)가 스프링(385)의 편향력에 저항하여 아래쪽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밀어 넣은 걸림용 부재(387)의 자유단은 홈(374)의 위쪽 내벽에 접촉하여 걸림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정수기(300)는 벽면(341)에 고정된다. 여기서, 홈(373, 374)은 벽면측 부착구에 각인(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상하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벽면측 부착구(307)와 정수기측 고정구(308)의 결합에 있어 상하가 틀릴 일은 없다.
카트리지의 교환, 수리 등에 의해 정수기(300)를 벽면(341)으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는 해제용 레버(386)를 눌러 미끄럼 이동용 플레이트(384)를 스프링(385)의 편향력에 반하여 아래쪽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면서 정수기(300)를 앞으로 기울인다. 이 조작에 의해서, 걸림용 부재(387)의 자유단은 홈(374)의 내벽으로부터 떨어지고, 걸림용 부재(387)가 홈(374) 안으로부터 이탈한다. 그 후, 정수기(300)를 약간 위쪽으로 들어 올리면 걸림용 갈고리(382)가 홈(373)으로부터 이탈되어, 정수기(300)를 벽면(34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부착 타입 B로는 벽면(341)에 타일이 부착되어 나사식으로 고정을 할 수 없는 경우이다. 벽면측 고정구(307)를 벽면(341)에 양면 테이프로 고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정수기(300) 중량을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싱크대(340)의 수평면(343)을 이용한 것이다. 부착 상태는 도 29의 측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면측 고정구(307)를 벽면(341)에 양면 테이프(344)로 접착하여 고정하고, 벽면측 고정구(307)와 수평면(343) 사이에 전술한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를 개재시킨다. 그리고 이 개재된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로 정수기(300)의 중량을 지지한다. 이 경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의 하단에 고무, 폴리에틸렌 등의 유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츠형의 쿠션재(317)를 부착한 후, 싱크대상의 수평면(343)에 접촉시키면 수평면(343)에 흠집이 잘 생기지 않고, 또한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가 싱크대에 접촉하고 있는 위치가 틀어지지 않아 바람직하다.
부착 타입 B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부착 방법을 도 30의 설명용 사시도, 도 31 및 도 32의 평면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1 단계로서,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를 준비하고, 이것을 벽면측 고정구(307)(도 14 내지 도 16 참조)와 일체로 한다. 이것은 가이드용 긴 홈(315)에 가이드용 돌기(377)를 관통시키고, 두께가 얇은 부분측 톱니(375)와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측 톱니(314)를 맞물리게 하여 협폭부(313)를 홈부(372)에 수용한다. 그리고, 나사(345)를 가이드용 긴 홈(315)을 통과시키고 나사 구멍(378)에 나사 결합시켜,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를 임시 고정한다.
제2 단계로는, 정수기(300)의 부착 위치가 벽면(341)의 높은 위치인가 낮은 위치인가에 따라서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의 높이 조정을 행한다. 낮게 하는 경우에는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용 돌기(376)가 가이드용 긴 홈(315)의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협폭부(313)를 두께가 얇은 부분(372) 내에 수용한다. 한편, 높게 하는 경우에는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용 돌기(377)가 가이드용 긴 홈(315)의 위쪽으로 위치하도록 협폭부(313)를 두께가 얇은 부분(372)에 수용한다.
그리고, 가이드용 긴 홈(315)을 통과시키고 나사 구멍(378)에 나사(345)를 나사 결합시켜, 협폭부(313)가 두께가 얇은 부분(372)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협폭부(313)가 홈부(372)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두께가 얇은 부분측 톱니(375)와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측 톱니(314)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하 방향의 과중(過重)에 대해서는 변위하지 않는 강고한 상태로 일체화된다.
제3 단계로는, 정수기(300)를 임시 설치하고 최종적인 높이 설정을 행한다.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와 일체화된 벽면측 부착구(307)에 정수기측 고정구(308)를 결합시켜, 정수기(300)와 벽면측 부착구(307)와 제1 플레이트(310) 3자를 일체로 한다. 이 상태에서 정수기(300)를 싱크대(340)상의 바람직한 높이에 위치시켰을 때에 제1 플레이트(310)의 하단이 수평면(343)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아직 미세한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정수기(300)와 벽면측 부착 변경부(307)를 분리하고, 나사(345)를 풀어서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와 벽면측 부착구(307)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고 재차 일체로 조립하여 임시 설치하여 확인한다. 이 미세한 조정은 두께가 얇은 부분측 톱니(375),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측 톱니(314)의 피치 단위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높이 설정을 완료시킨다. 또한, 이 일체화, 분리의 순서는 전술한 부착 타입 A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4 단계로는, 정수기(300)를 소정 위치에 부착하는 것이다. 이것은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자 일체의 상태에서 벽면측 부착구(307)를 벽면(341)에 양면테이프(344)로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의 하단은 수평면(343)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정수기(300)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다.
부착 타입 C로는, 정수기(300)의 부착 벽면(341)에 계단형으로 된 백가드(346)가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의 중간부(312)를 계단형으로 된 백가드(346)의 수평 부분에 대도록 배치한다. 이 높이 방향의 위치 조정은 전술한 부착 타입 B와 동일하다.
부착 타입 D로는, 부착 타입 B에 비하여 정수기(300)의 부착 위치가 매우 높은 경우이다. 또한, 백가드(346)가 있어도 이것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의 하단은 싱크대(340)에 이르지 않는다. 그래서, 이 부착 타입 D는 도 34의 측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에 전술한 연장용 플레이트(330)를 연결하는 방법을 취하는 것이다.
그 구체적인 부착 방법을 도면에 의해서 설명한다. 도 35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장용 플레이트(330)(도 25 내지 도 27 참조)의 긴 변(332)을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의 길이 방향으로 포개는 동시에, 연장용 플레이트(330)의 짧은 변(331)을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의 중간부(312)에 포갠다. 그리고, 나사(347)를 관통 구멍(333)을 통과시켜 탭 구멍(316)에 나사 결합시켜,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와 연장용 플레이트(330)를 일체로 한다.
다음에, 전술한 부착 방법 B타입에서 행한 단계와 동일하게 하여 정수기(300)를 벽면(341)의 소정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장용 플레이트(330)의 하단을 싱크대(340)의 수평면(343)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도 3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수기(300), 벽면측 부착구(307), 제1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10) 및 연장용 플레이트(330), 이 4개를 일체화한 상태에서 벽면측 부착구(307)를 양면 테이프(344)로 벽면(341)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연장용 플레이트(330)의 하단은 싱크대(340)의 수평면(343)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정수기(300)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다.
부착 타입 E로는, 도 36의 측면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면(341)의 아래쪽으로 백가드(346)가 마련되어 벽면(341)과의 사이에 간극(348)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도 36 및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보았을 때 コ형이 되도록, 제1 부착 위치 변경용 플레이트(310)의 중간부(312)에 연장용 플레이트(330)의 짧은 변(331)을 포개어 양자를 나사(347)로 고정한다. 그리고, 연장용 플레이트(330)의 긴 변(332)을 간극(348)에 삽입함으로써 백가드(346)상에 정수기(300)를 얹을 수 있다. 벽면측 부착구(307)와 벽면(341)을 특별히 고정할 필요는 없지만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양면 테이프(344)로 고정해도 좋다.
부착 타입 F로는, 도 38의 측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수기(300)를 싱크대(340)의 수평면(343)상에 배치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제2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20)를 벽면측 부착구(307)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고정한다. 이 고정 방법, 높이의 미세 조정 방법은 전술한 부착 타입 B와 동일한 순서로 행한다. 그리고, 높이 조정이 완료됐으면, L형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20)를 베이스로 하여 싱크대(340)상에 배치한다. 여기서, 벽면(341)에 고정해야 할 때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벽면측 부착구(307)와 벽면을 접착하면 좋다.
부착 타입 G로는, 도 40의 측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수기(300)를 싱크대(340) 앞쪽의 카운터(349)에서 이용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20)를 부착 타입 F와는 반대로 반전시켜 벽면측 부착구(307)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고정한다. 제2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320)의 벽면측 부착구(307)의 고정 방법, 높이의 미세 조정은 전술한 부착 타입 B와 동일한 순서로 행한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320)는 양면 테이프(344)로 카운터(349)에 고정된다.

Claims (26)

  1. (1) 적어도 필터 부재, 원수 유입 노즐, 정수 유출 노즐 및 에어/물 배출 노즐을 갖는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과,
    (2)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의 원수 유입 노즐, 정수 유출 노즐 및 에어/물 배출 노즐과 각각 별개로 결합하는 원수 공급 유로, 정수 배출 유로 및 에어/물 배출 유로를 구비한 카트리지 고정 부재
    로 이루어지는 정수기로서, 상기 카트리지 고정 부재에 상기 에어/물 배출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 전환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전환 수단은 상기 에어/물 배출 유로를 개방할 때는 상기 정수 유로를 동시에 폐쇄하고, 상기 에어/물 배출 유로를 폐쇄할 때는 상기 정수 유로를 동시에 개방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의 에어/물 배출 노즐은 필터 부재의 상류측과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을 가로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 고정 부재에 부착했을 때에,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의 에어/물 배출 노즐이 필터 부재 상류측의 폐지 부재 상부에 마련된 구멍과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는 적어도 세라믹막 필터 또는 세라믹 허니컴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1) 적어도 필터 부재, 원수 유입 노즐, 정수 유출 노즐을 갖는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과,
    (2)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의 원수 유입 노즐 및 정수 유출 노즐과 각각 별개로 결합하는 원수 공급 유로 및 정수 배출 유로를 구비한 카트리지 고정 부재
    로 이루어지는 정수기로서,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과 상기 카트리지 고정 부재 사이에 양자간의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로크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카트리지 고정 부재에는 상기 원수 공급 유로 및 정수 배출 유로의 적어도 한쪽 부착 위치를 가변으로 하는 위치 가변 부착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가변 부착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 고정 부재에 고정된 가압 링의 내측에 스프링 지지체를 마련한 것으로, 상기 원수 공급 유로 및 정수 배출 유로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가압 링의 스프링 지지체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고정 부재는 추가로 접속 조인트와 이 접속 조인트의 주위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접속 조인트는 내부가 2실로 구획되어 한 쪽 공간이 원수 유입로를 형성하고 다른 쪽 공간이 정수 유출로를 형성하여, 상기 한 쪽 공간이 원수 공급 유로로서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의 원수 유입 노즐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다른 쪽 공간은 상기 접속 조인트와 하우징 사이의 환형 유로, 상기 하우징벽 및 상기 정수 배출 유로를 지나서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의 정수 유출 노즐에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가압 링의 복수개의 스프링 부재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수단은 상기 정수 카트리지 조립품의 측면에 마련된 홈부를 갖는 돌기와, 상기 카트리지 고정 부재에 마련된 상기 돌기의 홈부에 끼워 맞추는 단차부를 갖는 로크 아암과, 상기 카트리지 고정 부재에 마련된 로크/로크 해제 손잡이에 접속된 로크 해제 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크/로크 해제 손잡이에 접속되어 있는 로크 해제 캠을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로크 아암의 간격을 넓혀, 상기 로크 아암의 단차부와 상기 돌기의 홈부 사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는 적어도 세라믹막 필터 또는 세라믹 허니컴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싱크대 또는 그 근방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11항에 따른 정수기의 부착 장치로서, 상기 정수기를 싱크대 또는 그 근방의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벽면측 부착구를 구비하고, 상기 벽면측 부착구에 상기 정수기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싱크대의 수도꼭지로부터 원수를 상기 정수기에 공급하고, 정수기로부터 얻어진 정수를 상기 싱크대 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측 부착구는 싱글 레버 혼합 꼭지 안쪽의 싱크대 가장자리에서 세워 마련한 벽면 부착용 스테이(stay)이며, 상기 스테이가 상기 싱글레버 혼합 꼭지의 본체에 접속된 상태로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스테이에 상기 정수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는 그 하부에 U자형으로 잘라낸 슬릿을 구비하며, 상기 슬릿을 상기 싱글 레버 혼합 꼭지와 접촉시키고, 상기 U자형 슬릿의 단부를 수직으로 구부려 싱크대의 수직면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측 부착구는 2밸브 혼합 꼭지의 안쪽 싱크대 가장자리에서 세워 마련한 벽면 부착용 스테이이며, 상기 스테이는 2밸브 혼합 꼭지의 온수, 냉수의 공급 파이프에 접속되어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스테이에 상기 정수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는 그 하부에 2개의 U자형으로 잘라낸 슬릿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슬릿을 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2밸브 혼합 꼭지의 온수, 냉수 공급 파이프에 각각 접촉시키고, 압박 수단에 의해 상기 스테이를 벽면에 압박시켜, 상기 스테이의 하부가 싱크대 가장자리의 평면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측 부착구는 안쪽의 싱크대 가장자리에서 세워 마련한 벽면 상부의 차양 하측과 싱크대 가장자리의 평면부 사이에 고정 가능한 확장 부재이며, 상기 확장 부재에 상기 정수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8. 제11항에 따른 정수기의 부착 장치로서, 싱크대 또는 그 근방의 벽면에 고정되는 편평형의 벽면측 부착구와, 상기 정수기에 고정되는 고정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구는 편평형의 주요 플레이트와, 상기 주요 플레이트의 한 쪽면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편평형의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주요 플레이트 및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벽면측 부착구의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벽면측 부착구와 고정구를 결합, 분리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결합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에 마련된 결합 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9. 제11항에 따른 정수기의 부착 장치로서, 싱크대 또는 그 근방의 벽면에 고정되는 일부에 두께가 두꺼운 부분과 두께가 얇은 부분이 형성된 편평형의 벽면측 부착구와, 상기 정수기에 고정된 고정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께가 두꺼운 부분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구에 마련되고, 상기 벽면측 부착구와 상기 고정구를 결합, 분리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결합 수단과,
    상기 두께가 얇은 부분 내에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 고정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 고정 수단은 상기 두께가 얇은 부분에 가이드용 돌기를 갖고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에 상기 가이드용 돌기가 관통하는 안내 홈을 마련하여,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와 상기 벽면측 부착구와의 상대 위치 관계를 변경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는 상기 벽면측 부착구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연장용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는 옆쪽에서 보았을 때 L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측 부착구의 편평한 면과 평행하게 상기 두께가 얇은 부분에 마련된 직선형의 두께가 얇은 부분측 톱니와,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에 마련한 상기 얇은 부분측 톱니와 맞물리는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측 톱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변경용 플레이트는 옆쪽에서 보았을 때 계단형으로 절곡되고 중간에 수평한 중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정수기의 이면에 부착되고,
    상기 편평형의 주요 플레이트는 상기 벽면측 부착구에 형성된 홈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걸림 갈고리와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주요 플레이트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개구를 통과해서 돌출하는 걸림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는 편향 수단에 의해 항상 한 방향으로 편향되어 상기 주요 플레이트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KR1020057008847A 2002-11-18 2003-01-09 정수기 및 그 부착 장치 KR200500750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4207A JP4490625B2 (ja) 2002-11-18 2002-11-18 浄水器
JP2002334208A JP4238014B2 (ja) 2002-11-18 2002-11-18 器具用取付け装置
JPJP-P-2002-00334208 2002-11-18
JPJP-P-2002-00334207 2002-11-18
JP2002334206A JP4490624B2 (ja) 2002-11-18 2002-11-18 エアー/水抜き付き浄水器
JPJP-P-2002-00334206 2002-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024A true KR20050075024A (ko) 2005-07-19

Family

ID=3232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847A KR20050075024A (ko) 2002-11-18 2003-01-09 정수기 및 그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50075024A (ko)
AU (1) AU2003202496A1 (ko)
HK (1) HK1106214A1 (ko)
WO (1) WO20040460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867B1 (ko) * 2002-04-26 2007-03-26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거치형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2589A1 (ja) * 2014-12-09 2016-06-16 株式会社ロキテクノ 脱着式フィルタ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濾過装置
CN106193210A (zh) * 2015-05-04 2016-12-07 钜证国际股份有限公司 出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0586U (ja) * 1992-01-18 1993-08-10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据置型浄水器
CN1120520A (zh) * 1994-07-08 1996-04-17 三星电子株式会社 净水器的过滤装置
JP2750299B2 (ja) * 1994-11-25 1998-05-13 富士通テン株式会社 整水器
JPH09239357A (ja) * 1996-03-08 1997-09-16 Toyo Bio Reactor Kk 浄水器
JPH09296880A (ja) * 1996-05-07 1997-11-18 Kubota Corp 離脱防止金具および離脱防止構造
JP3759239B2 (ja) * 1996-07-02 2006-03-2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浄水器およびその濾過カートリッジ
JPH1119641A (ja) * 1997-07-01 1999-01-26 Machio Sekikawa 水道水(飲料水)の浄化材、及び浄化装置
JP2000246239A (ja) * 1999-03-03 2000-09-12 Toto Ltd 水処理装置
JP4447103B2 (ja) * 2000-03-13 2010-04-07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靴収納庫
JP2002177950A (ja) * 2000-12-12 2002-06-25 Toray Ind Inc アンダーシンク型浄水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867B1 (ko) * 2002-04-26 2007-03-26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거치형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02496A1 (en) 2004-06-15
WO2004046041A1 (ja) 2004-06-03
HK1106214A1 (en)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3585B1 (en) Low spillage replaceable water filter assembly
JP2698771B2 (ja) 浄水器の瀘過装置
JP4648971B2 (ja) 浄水器
CA2573448A1 (en) Water filter assembly
CN215457350U (zh) 饮用水供应器用水桶保持架组件及包括其的饮用水供应器
KR20050075024A (ko) 정수기 및 그 부착 장치
US7354513B2 (en) Countertop water treatment unit
JP4490624B2 (ja) エアー/水抜き付き浄水器
WO2012140706A1 (ja) 浄水器用切換コック
RU2236281C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RU2136347C1 (ru) Фильтрующий модуль и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JP4490625B2 (ja) 浄水器
RU7892U1 (ru) Фильтрующий модуль и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KR102465678B1 (ko) 정수기
CN221254046U (zh) 一种具有多种安装方式的水质净化器
JP2759233B2 (ja) 浄水器
CN213416313U (zh) 滤芯座结构及具有其的净水器
CN218474961U (zh) 一种家用龙头净水器
CN219879291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集水管装置
KR960007675Y1 (ko) 보조 정수기
KR20070087285A (ko) 정수기
JPH029488A (ja) 水浄化装置
JP2002364036A (ja) ホース収納式水栓の水切構造
RU33327U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JP2002017595A (ja) 浄水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