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3649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3649A
KR20050073649A KR1020040001486A KR20040001486A KR20050073649A KR 20050073649 A KR20050073649 A KR 20050073649A KR 1020040001486 A KR1020040001486 A KR 1020040001486A KR 20040001486 A KR20040001486 A KR 20040001486A KR 20050073649 A KR20050073649 A KR 20050073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isplay panel
display
panel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희
이응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1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3649A/ko
Priority to TW094100346A priority patent/TW200527057A/zh
Priority to US11/031,909 priority patent/US20050151918A1/en
Priority to CNA2005100541817A priority patent/CN1645203A/zh
Publication of KR2005007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64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6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series; tand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제1 및 제2 표시패널은 구동칩으로부터 제1 및 제2 구동신호을 입력받아 제1 및 제2 영상을 각각 표시한다. 제1 및 제2 표시패널은 연성회로기판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칩으로부터 출력된 제2 구동신호를 제2 표시패널로 제공한다. 제1 및 제2 표시패널 각각은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의 사이에 액정 및 결합부재를 구비한다. 결합부재에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단부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영역에 액정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된다. 이후 주입구는 커버부재에 의해서 커버된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폰은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이 외부로 노출된 플립형 및 액정표시패널과 셀룰러 폰을 조작하기 위한 키 입력부가 힌지로 연결되어 액정패널과 키 입력부가 서로 대향하게 결합하는 폴더형이 있다.
폴더형은 액정패널의 개수에 따라 일반 폴더형과 듀얼 폴더형으로 분류된다. 듀얼 폴더형은 주 화상을 표시하는 메인 액정패널 및 대기 화상(예를 들어, 시간, 날짜, 수신감도 등)을 표시하는 서브 액정패널을 갖는다.
메인 액정패널은 키 입력부와 대향하게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서브 액정패널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메인 액정패널을 확인하지 않고도 대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메인 및 서브 액정패널은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칩 및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칩을 각각 구비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구동칩 및 게이트 구동칩을 메인 액정패널과 서브 액정패널에 각각 별도로 구비하게 되면, 액정표시장치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증가된다. 또한, 칩을 액정패널에 부착하는데 소요되는 공정 시간이 증가하고 공정 상에서 불량 발생률이 증가하여 액정표시장치의 생산성도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를 감소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표시패널, 제2 표시패널, 구동칩 및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표시패널은 제1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시패널은 제2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제2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구동칩은 상기 제1 표시패널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신호를 상기 제1 표시패널로 출력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 표시패널과 상기 제2 표시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표시패널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2 구동신호를 상기 제2 표시패널로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표시패널 각각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결합시키고,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단부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제1 영역에 상기 액정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된 결합부재 및 상기 주입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구동칩을 통해 제1 표시패널과 제2 표시패널을 구동할 수 있음으로써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패널을 형성하는 두 기판의 단부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영역에서 결합부재가 개구됨으로써 액정 주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표시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듀얼 액정표시장치(400)는 메인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패널(200), 서브 영상(예를 들어, 시간, 날짜 및 수신 감도 등)을 표시하는 서브 패널(300) 및 상기 메인 패널(200)과 서브 패널(300)을 구동하는 구동칩(24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패널(200)은 메인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영역(DA1), 상기 제1 표시영역(DA1)에 인접한 제1 내지 제4 주변영역(PA1, PA2, PA3, PA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서브 패널(300)은 서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영역(DA2) 상기 제2 표시영역(DA2)에 인접한 제5 내지 제8 주변영역(PA5, PA6, PA7, PA8)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 패널(200)의 사이즈는 상기 서브 패널(300)의 사이즈보다 크고, 그에 따라서 상기 제1 표시영역(DA1)의 사이즈도 상기 제2 표시영역(DA2)의 사이즈보다 크다.
상기 구동칩(240)은 상기 제1 주변영역(PA1)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주변영역(PA1)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신호를 상기 구동칩(240)으로 제공하는 제1 연성회로기판(250)의 일단부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메인 패널(200)과 서브 패널(300)은 제2 연성회로기판(350)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350)의 제1 단부는 상기 메인 패널(200)의 제2 주변영역(PA2)에 부착되고, 제2 단부는 상기 서브 패널(300)의 제5 주변영역(PA5)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칩(240)이 상기 제1 주변영역(PA2)에 실장되더라도, 상기 구동칩(240)은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350)을 통해서 상기 서브 패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절단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메인 패널(200)은 제1 하부기판(210), 상기 제1 하부기판(210)과 마주하는 제1 상부기판(220), 상기 제1 하부기판(210)과 제1 상부기판(220)과의 사이에 개재된 제1 액정(230) 및 상기 제1 하부기판(210)과 제1 상부기판(220)을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재(23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주변영역(PA1, PA2)에서 상기 제1 하부기판(210)은 상기 제1 상부기판(220)보다 길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주변영역(PA1)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하부기판(210)에는 구동칩이 실장되고, 제1 연성회로기판(250)의 일단부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제2 주변영역(PA2)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하부기판(210)에는 제2 연성회로기판(350)의 제1 단부가 부착된다.
반면에, 상기 제3 및 제4 주변영역(PA3, PA4)에서 상기 제1 하부기판(210)과 제1 상부기판(220)의 끝단부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상기 제1 결합부재(235)는 제1 표시영역(DA1)을 감싸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주변영역(PA1, PA2, PA3, PA4)에 구비된다. 상기 제1 결합부재(235)는 상기 제4 주변영역(PA4)에서 개구된다.
한편, 상기 제1 결합부재(235)가 개구된 부분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235)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제1 커버부재(236)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커버부재(236)는 상기 개구된 부분을 통해서 이물질이 상기 제1 하부기판(210)과 제1 상부기판(220)과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결합부재(235)에 대해서는 이후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a에서는 상기 제1 결합부재(235)가 상기 제4 주변영역(PA4)에서 개구된 구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1 결합부재(235)는 상기 제1 하부기판(210)과 제1 상부기판(220)의 끝단부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상기 제3 주변영역(PA3)에서 개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서브 패널(300)은 제2 하부기판(310), 상기 제2 하부기판(310)과 마주하는 제2 상부기판(320), 상기 제2 하부기판(310)과 제2 상부기판(320)과의 사이에 개재된 제2 액정(330) 및 상기 제2 하부기판(310)과 제2 상부기판(320)을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재(335)를 포함한다.
상기 제5 주변영역(PA5)에서 상기 제2 하부기판(310)은 상기 제2 상부기판(320)보다 길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5 주변영역(PA5)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하부기판(310)에는 제2 연성회로기판(350)의 제2 단부가 부착된다.
반면에, 상기 제6 내지 제8 주변영역(PA6, PA7, PA8)에서 상기 제2 하부기판(310)과 제2 상부기판(320)의 끝단부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상기 제2 결합부재(335)는 제2 표시영역(DA2)을 감싸도록 상기 제5 내지 제8 주변영역(PA5, PA6, PA7, PA8)에 구비된다. 상기 제2 결합부재(335)는 상기 제6 주변영역(PA6)에서 개구된다.
한편, 상기 제2 결합부재(335)가 개구된 부분에는 상기 제2 결합부재(335)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제2 커버부재(336)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커버부재(336)는 상기 개구된 부분을 통해서 이물질이 상기 제2 하부기판(310)과 제2 상부기판(320)과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 결합부재(335)에 대해서는 이후 도 5b 및 도 6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b에서는 상기 제2 결합부재(335)가 상기 제6 주변영역(PA6)에서 개구된 구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2 결합부재(335)는 상기 제2 하부기판(310)과 제2 상부기판(320)의 끝단부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상기 제7 및 제8 주변영역(PA7, PA8)에서 개구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듀얼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패널과 서브 패널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동칩(240)은 듀얼 액정표시장치(400)의 외부 장치(즉, CPU)(100)로부터 원시 영상신호(O-DATA) 및 원시 제어신호(OCS)를 수신한다.
상기 구동칩(240)은 상기 원시 영상신호(O-DATA) 및 원시 제어신호(OCS)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패널(200)과 서브 패널(300)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신호들을 출력한다. 상기 구동칩(240)이 출력하는 각종 신호들은 메인 영상신호(M-DATA), 서브 영상신호(S-DATA), 메인 게이트신호(M-GS) 및 서브 게이트신호(S-GS)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패널(200)은 상기 구동칩(240)으로부터 제1 경로를 통해 메인 영상신호(M-DATA) 및 서브 영상신호(S-DATA)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메인 패널(200)은 상기 구동칩(240)으로부터 제2 및 제3 경로를 통해 메인 게이트신호(M-GS) 및 서브 게이트신호(S-GS)를 각각 수신한다.
상기 메인 패널(200)은 상기 메인 영상신호(M-DATA) 및 메인 게이트신호(M-GS)에 응답하여 메인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서브 영상신호(S-DATA) 및 서브 게이트신호(S-GS)는 상기 메인 패널(200)을 경유하여 상기 서브 패널(300)로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패널(300)은 상기 서브 영상신호(S-DATA) 및 상기 서브 게이트신호(S-GS)에 응답하여 서브 영상을 표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표시영역(DA1)에는 n개의 게이트 라인으로 이루어진 제1 게이트 라인군(GL1-1 ~ GL1-n) 및 상기 n개의 게이트 라인과 직교하는 m개의 데이터 라인으로 이루어진 제1 데이터 라인군(DL1-1 ~ DL1-m)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표시영역(DA2)에는 i개의 게이트 라인으로 이루어진 제2 게이트 라인군(GL2-1 ~ GL2-i) 및 상기 i개의 게이트 라인과 직교하는 j개의 데이터 라인으로 이루어진 제2 데이터 라인군(DL2-1 ~ DL2-j)이 구비된다.
여기서, i 및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고, i는 n보다는 작거나 같은 수이다. 또한, j 및 m은 2 이상의 자연수이고, j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수이다.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350)에는 제1 연결 라인군(CL1-1 ~ CL1-j) 및 제2 연결 라인군(CL2-1 ~ CL2-i)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 라인군(CL1-1 ~ CL1-j)은 상기 제1 데이터 라인군(DL1-1 ~ DL1-m)의 일부와 상기 제2 데이터 라인군(DL2-1 ~ DL2-j)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제2 연결 라인군(CL2-1 ~ CL2-i)은 상기 구동칩(240)과 상기 제2 게이트 라인군(GL2-1 ~ GL2-i)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메인 패널(200)을 구동할 경우, 상기 구동칩(240)은 상기 제1 게이트 라인군(GL1-1 ~ GL1-n)에 메인 게이트신호(M-GS)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라인군(DL1-1 ~ DL1-m)에 메인 영상신호(M-DATA)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서브 패널(300)을 구동할 경우, 먼저 상기 구동칩(240)은 제2 연결 라인군(CL2-1 ~ CL2-i)에 서브 게이트신호(S-GS)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라인군(DL1-1 ~ DL1-m)의 일부에 서브 영상신호(S-DATA)를 출력한다.
이후, 상기 서브 게이트신호(S-GS)는 제2 연결 라인군(CL2-1 ~ CL2-i)을 통해 상기 제2 게이트 라인군(GL2-1 ~ GL2-i)으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서브 영상신호(S-DATA)는 상기 제1 데이터 라인군(DL1-1 ~ DL1-m)의 일부 및 상기 제1 연결 라인군(GL1-1 ~ GL1-n)을 경유하여 상기 제2 데이터 라인군(DL2-1 ~ DL2-j)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듀얼 액정표시장치(400)는 하나의 구동칩(240)으로 상기 메인 패널(200)과 서브 패널(300)을 구동할 수 있다. 그로 인해서, 상기 듀얼 액정표시장치(400)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액정이 주입되는 제1 및 제2 결합기판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6a는 도 5a에 도시된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4b에 도시된 절단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면, 제1 하부기판(210)과 제1 상부기판(220)이 제1 결합부재(235)에 의해서 결합하여 제1 결합기판(201)이 완성된다.
상기 제1 결합부재(235)는 상기 제1 내지 제4 주변영역(PA1, PA2, PA3, PA4)에 형성되어 제1 표시영역(DA1)을 감싼다. 상기 제4 주변영역(PA1)에서 상기 제1 결합부재(235)가 소정 부분 개구되어 제1 개구부(235a)를 형성한다.
상기 제1 개구부(235a)는 상기 제1 하부기판(210)과 제1 상부기판(220)과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을 상기 메인 패널(200)의 외부와 연결시킨다. 따라서, 제1 액정(230, 도 2a에 도시됨)은 상기 제1 개구부(235a)를 통해 상기 제1 하부기판(210)과 제1 상부기판(220)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부기판(210)과 제1 상부기판(220)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액정(23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부(235a)는 제1 커버부재(236)에 의해서 메워진다.
도 5b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2 하부기판(310)과 제2 상부기판(320)이 제2 결합부재(335)에 의해서 결합하여 제2 결합기판(301)이 완성된다.
상기 제2 결합부재(335)는 상기 제5 내지 제8 주변영역(PA5, PA6, PA7, PA8)에 형성되어 제2 표시영역(DA2)을 감싼다. 상기 제6 주변영역(PA6)에서 상기 제2 결합부재(335)가 소정 부분 개구되어 제2 개구부(335a)를 형성한다.
상기 제2 개구부(335a)는 상기 제2 하부기판(310)과 제2 상부기판(320)과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을 상기 서브 패널(300)의 외부와 연결시킨다. 따라서, 제2 액정(330, 도 2b에 도시됨)은 상기 제2 개구부(335a)를 통해 상기 제2 하부기판(310)과 제2 상부기판(320)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부기판(310)과 제2 상부기판(320)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액정(33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부(335a)는 제2 커버부재(336)에 의해서 메워진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에 따르면, 메인 패널과 서브 패널은 메인 패널에 구비된 구동칩에 의해서 구동되고, 메인 패널과 서브 패널은 제2 연성회로기판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메인 패널의 제1 하부기판과 제1 상부기판과의 사이에 개재된 제1 결합부재는 제1 하부기판과 제1 상부기판의 단부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제3 또는 제4 주변영역에 액정이 주입되는 제1 개구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하나의 구동칩을 통해 메인 패널과 서브 패널을 구동할 수 있음으로써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칩의 개수에 비례하여 구동칩 실장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패널을 형성하는 두 기판의 단부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영역에서 결합부재가 개구됨으로써 액정 주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표시장치의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절단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듀얼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패널과 서브 패널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액정이 주입되는 제1 및 제2 결합기판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6a는 도 5a에 도시된 절단선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5b에 도시된 절단선 D-D`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메인 패널 235 : 제1 결합부재
240 : 구동칩 250 : 제1 연성회로기판
300 : 서브 패널 335 : 제2 결합부재
350 : 제2 연성회로기판 400 : 듀얼 액정표시장치

Claims (5)

  1. 제1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패널;
    제2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제2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패널;
    상기 제1 표시패널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신호를 상기 제1 표시패널로 출력하는 구동칩; 및
    상기 제1 표시패널과 상기 제2 표시패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표시패널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2 구동신호를 상기 제2 표시패널로 제공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표시패널 각각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결합시키고,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단부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제1 영역에 상기 액정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된 결합부재 및 상기 주입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패널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데이터 라인군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게이트 라인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패널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데이터 라인군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게이트 라인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칩은 상기 제1 기판의 단부가 상기 제2 기판의 단부보다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한 상기 제1 표시패널의 제2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데이터 라인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 기판의 단부가 상기 제2 기판의 단부보다 길게 연장된 상기 제1 표시패널의 제3 영역 및 상기 제1 기판의 단부가 상기 제2 기판의 단부보다 길게 연장된 상기 제2 표시패널의 제4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제1 데이터 라인군의 일부와 상기 제2 데이터 라인군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40001486A 2004-01-09 2004-01-09 표시장치 KR20050073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486A KR20050073649A (ko) 2004-01-09 2004-01-09 표시장치
TW094100346A TW200527057A (en) 2004-01-09 2005-01-06 A display apparatus
US11/031,909 US20050151918A1 (en) 2004-01-09 2005-01-07 Display apparatus
CNA2005100541817A CN1645203A (zh) 2004-01-09 2005-01-10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486A KR20050073649A (ko) 2004-01-09 2004-01-09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649A true KR20050073649A (ko) 2005-07-18

Family

ID=3473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486A KR20050073649A (ko) 2004-01-09 2004-01-09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151918A1 (ko)
KR (1) KR20050073649A (ko)
CN (1) CN1645203A (ko)
TW (1) TW2005270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579B1 (ko) * 2005-08-11 2007-06-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영상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625008B2 (en) * 2005-10-17 2009-12-01 Key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groove or recess, open or partially covered
CN101322170B (zh) * 2005-12-02 2012-10-10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模块以及使用其的电子设备
KR100793549B1 (ko) * 2006-03-08 2008-01-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01231400A (zh) * 2007-01-24 2008-07-30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双屏液晶显示装置与笔记本电脑
KR101681644B1 (ko) 2011-10-18 2016-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32127B1 (ko) * 2012-09-19 2018-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58773A (ko) * 2012-11-06 2014-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50696B1 (ko) * 2016-04-08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7232700A (zh) * 2017-06-12 2017-10-10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
CN107065364A (zh) * 2017-06-15 2017-08-1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显示装置、大板及测试方法
CN110648642A (zh) * 2019-09-27 2020-01-03 广东虹勤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7684A (ja) * 2001-09-21 2003-06-27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パネ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109969A (ja) * 2002-07-22 2004-04-08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27057A (en) 2005-08-16
CN1645203A (zh) 2005-07-27
US20050151918A1 (en)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676B1 (ko) 접철식 액정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US20050151918A1 (en) Display apparatus
JP4590271B2 (ja) 表示装置
US8581813B2 (en)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panel for the same
US20030063041A1 (en) Electro-optical panel,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55115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763832B (zh) 多显示器设备及其控制方法
US9030449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70009442A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0389022B1 (ko)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휴대 정보 단말기
JP4178870B2 (ja) 電気光学パネ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40085587A1 (en) Chip-On-Film Structure for Liquid Crystal Panel
KR20100007227A (ko) 액정표시장치
EP1777822B1 (en) Semiconductor device
CN110320690B (zh) 一种显示装置
JP2003241217A (ja) 液晶表示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080053050A (ko) 액정표시장치
JP4720188B2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917016B1 (ko) 액정표시장치
JP4179313B2 (ja) 電気光学パネ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152984A (ja) 配線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098256A (ja) 液晶パネル、電子機器及び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
JP2004157495A (ja) 液晶表示装置
KR101119178B1 (ko) 표시장치
JP2001022287A (ja) 平面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