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3439A - 확산시트, 이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제작방법 및 확산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확산시트, 이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제작방법 및 확산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3439A
KR20050073439A KR1020057000756A KR20057000756A KR20050073439A KR 20050073439 A KR20050073439 A KR 20050073439A KR 1020057000756 A KR1020057000756 A KR 1020057000756A KR 20057000756 A KR20057000756 A KR 20057000756A KR 20050073439 A KR20050073439 A KR 20050073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sheet
unit lens
light
unit
lens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8524B1 (ko
Inventor
유키 가츠라
마사히로 고토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82693A external-priority patent/JP41275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19588A external-priority patent/JP4235483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3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확산시트(101)에 있어서는,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11)가, 장축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또 단위 렌즈부(11)의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112)에 대응하는 면이 전부 입광측의 1평면상에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11) 사이의 홈에는 출광측으로부터 입광하는 외부광을 흡수 및/또는 차광하는 광흡수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확산시트(101)에 있어서, 각 단위 렌즈부(11)로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은 당해 각 단위 렌즈부(11)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측변(111)에 대응하는 면에 있어서 전반사되어 출광측으로부터 출광된다. 여기에서, 각 단위 렌즈부(11)는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양 저변(112, 113) 사이의 거리(h)가 긴 저변(112)의 길이(p)의 120% 이상 400% 이하(h/p=1.20∼4.00)이다.

Description

확산시트, 이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 및 확산시트의 제조방법 {DIFFUSION SHEET, TRANSMISSION SCREEN HAVING THE SAME, DIFFUSION SHEET MOLD MAKING METHOD AND DIFFUSION SHEET PRODUCING METHOD}
본 발명은, 투과형 스크린에 짜넣어져서 이용되는 확산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단위 광학요소)를 배열하여 이루어진 확산시트, 이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 및 확산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으로 대표되는 영상표시장치로서, 광원과 이 광원으로부터 출광된 영상광을 확대해서 투영하기 위한 투과형 스크린을 갖춘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이러한 영상 표시장치에서 이용되는 투과형 스크린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프레넬 렌즈시트(fresnel lens sheet)와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시트(확산시트)를 조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프레넬 렌즈시트는, 광원으로부터 출광된 영상광을 거의 평행광으로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프레넬 렌즈시트로서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평행광으로 조정하는 것 외에 출광측에 집광시키거나 발산시키거나 하는 것이 있다. 단,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프레넬 렌즈시트로부터 출광되는 광은 거의 평행광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렌티큘러 렌즈시트는, 투과형 스크린에 대해 여러 각도의 위치에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프레넬 렌즈시트에 의해 조정된 거의 평행광을 관찰자측으로 발산광으로서 출광시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렌티큘러 렌즈시트는, 프레넬 렌즈시트로부터 출광된 거의 평행광을 주로 수평방향으로 확산시키는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도 확산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시트로서는, 측면의 일부에 전반사면이 형성된 복수의 단위 렌즈부를 갖춘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단위 렌즈부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광흡수부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렌티큘러 렌즈시트로서 출광측의 꼭대기에 곡면을 갖는 동시에 측면의 일부에 전반사면이 형성된 단위 렌즈부를 복수 배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개소 제57-165830호 공보, 일본 특개소 제62-108232호 공보, 일본 특개소 제60-159733호 공보 참조).
또, 제2렌티큘러 렌즈시트로서 출광측의 꼭대기에 곡면을 갖는 동시에 측면의 일부에 전반사면이 형성된 단위 렌즈부를 복수 배치한 것이고, 전반사면의 경사각 및 렌즈 높이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단위 렌즈부를 하나의 유니트로서 포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개소 제59-140434호 공보, 일본 특개소 제59-68726호 공보 참조).
그렇지만, 상술한 제1 및 제2렌티큘러 렌즈시트에서는, 각 단위 렌즈부가 출광측의 꼭대기에 곡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단위 렌즈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을 접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출광면이 단위 렌즈부의 곡면에 기인한 요철(凹凸) 형상을 가져 그 표면을 손으로 닦을 수 없기 때문에, 렌즈에 상처나 더러움이 붙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상술한 제2렌티큘러 렌즈시트에서는, 외광을 흡수 및 차폐하는 광흡수부를 형성할 수 없어 관찰자가 디스플레이를 보았을 때에 명암의 콘트라스트가 낮아 영상을 보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렌티큘러 렌즈를 미세화하여 영상의 해상도를 높이는 것이 곤란하다라는 문제도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제3렌티큘러 렌즈시트로서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측면에 전반사면이 형성된 단위 렌즈부를 복수 평행하게 배치한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일본 특개 제2002-006112호 공보 참조), 이 제3렌티큘러 렌즈시트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이하, 이 제3렌티큘러 렌즈시트의 문제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시트(700)에 있어서는,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출광된 광으로서, 프레넬 렌즈시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거의 평행광으로 조정된 광이 입광한다. 이렇게 해서 렌티큘러 렌즈시트(700)에 입광한 광은, 그 일부가 직진하여 출광하는(L2') 것 외에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단위 렌즈부의 1측면에서 반사되어 출광면에서는 굴절되어 출광된다(L1'). 또 한편,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단위 렌즈부의 다른 측면에서도 반사되어 출광면에서는 굴절되어 출광된다(L3'). 이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시트(700)에 배치된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단위 렌즈부로부터 출광되는 광은, 이러한 3개의 광그룹(L1', L2', L3')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시트(700)로부터 출광되는 광에 대해 수평방향의 관찰각도에 대한 영상의 밝기(게인)를 측정하면, 각각의 광그룹에 대응하는 3개의 피크를 갖는 급구배를 포함하는 게인 곡선을 얻을 수 있게 된다(도 18b 참조).
여기에서,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시트(700)를 이용한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에 있어서, 그 정면에서 관찰자가 영상을 관찰하는 경우에는, 이 텔레비젼의 중앙부를 게인 곡선의 O°위치에서의 밝기로 관찰하게 된다. 이에 대해,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양단부는, 이 텔레비젼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서 영상을 관찰하는지에 따라 다르지만, 텔레비젼 화면의 종횡비가 3:4인 양산품의 경우이면, 스크린 높이의 5배 떨어진 거리로부터 관찰하는 조건에서는, 좌우 양단부는 게인 곡선의 ±7.6°위치에서의 밝기로 관찰하게 된다. 이 때문에, 3개의 피크를 갖는 급구배를 포함하는 곡선으로 되는 밝기 분포(게인 곡선)를 가진 렌티큘러 렌즈시트의 경우에는, 관찰자는 밝기 균일성(bright uniformity)이 나쁜 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예컨대,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좌우 양단부에서의 관찰각도와 게인 곡선의 극소값을 나타내는 각도가 거의 일치하는 경우, 텔레비젼의 중앙부의 밝기와 양단부의 밝기의 차가 극단적으로 커지고, 이 때문에, 관찰자는 밝기 균일성이 극단적으로 나쁜 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또,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시트(700)를 이용한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한쪽 단부측으로부터 다른쪽 단부측을 향해 관찰자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영상을 관찰했을 경우, 영상면 중앙부의 영상이 「암(暗)·명(明)·암·명·암·명·암」으로 극단적으로 변화해서 관찰된다. 또, 이 때 상술한 밝기 균일성의 나쁨도 부가되어 밝기 균일성이 좋은 영상을 관찰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3렌티큘러 렌즈시트를 실제로 제조할 때에는, 양산성을 고려해서 금형(성형틀)이 이용된다. 이 금형은 통상, 하나의 단위 렌즈부에 대응하는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홈)를 금속기판 등의 금형 재료의 끝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절삭함으로써 제작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금형 재료를 절삭해서 가면,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凹부 사이에 형성되는 凸부가 나중에 절삭한 凹부측으로부터 먼저 절삭한 凹부측으로 넘어진 것 같은 형상의 금형(705)이 제작되어 버린다. 그리고, 이러한 금형(705)을 이용하여 렌티큘러 렌즈시트를 제조하면,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각 단위 렌즈부의 절단면에서의 사다리꼴 형상에 있어서, 먼저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를 절삭한 측의 측변이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 다른쪽 측변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된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금형 재료에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를 절삭함으로써 형성되는 凸부가 절삭중의 凹부로부터 봐서 외측으로 변형(소성변형)하는 경우(도 19a)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는 반대로 금형 재료에 형성되는 凸부가 절삭중의 凹부에서 봐서 내측으로 변형(탄성변형)하고, 서로 이웃하는 凹부 사이에 형성되는 凸부가 먼저 절삭한 凹부측으로부터 나중에 절삭한 凹부측으로 넘어진 것 같은 형상의 금형이 제작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후자의 금형에 의해서도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의 렌티큘러 렌즈시트(701)가 제조된다.
또한, 이렇게 해서 제조된 렌티큘러 렌즈시트(701)를 이용하면,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평행광으로 조정되어 입광한 광은, 그 일부가 직진하여 출광된다(L1"). 또, 이렇게 해서 입광한 광은,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각 단위 렌즈부 중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의 측면에서 반사하면 주로 중심에 가까운 각도로 출광되고(L2"),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의 측면에서 반사하면 주로 중심에서 떨어진 각도로 출광된다(L3"). 그 결과, 도 1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시트(701)에 관해서 수평방향의 관찰각도에 대한 영상의 밝기(게인)를 나타내는 게인 곡선은 좌우비대칭인 곡선으로 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오른쪽」, 「왼쪽」은, 렌티큘러 렌즈시트(701)를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용의 투과형 스크린에 짜넣어서 이용하는 상태에서의 「오른쪽」,「왼쪽」에 대응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시트(701)를 이용한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에 있어서는, 예컨대 L1"의 출광각과 L3"의 출광각 사이에서 관찰자가 영상을 관찰하는 경우, 영상이 어둡게 관찰되게 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시트(701)를 이용한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한쪽 단부측으로부터 다른쪽 단부측을 향해 관찰자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도 19b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영상을 관찰했을 경우, 각각 중앙부의 영상이 「암·명·암·명·명·암」으로 관찰되어 영상에 밝기의 얼룩이 생겨 영상을 보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시트(701)를 이용한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을 정면에서 관찰하면, 좌우 밝기의 밸런스가 나쁜, 즉, 밝기 균일성이 나쁜 영상을 관찰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확산시트의 상세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확산시트에서의 광의 진행방향을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도 3a에 나타내는 확산시트에서의 관찰 위치(각도)와 영상의 밝기(게인)의 관계(게인 곡선)를 나타낸 그래프,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확산시트에서의 관찰 위치(각도)와 영상의 밝기(게인)의 관계(게인 곡선)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확산시트의 변형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확산시트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확산시트의 더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확산시트의 더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확산시트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6에 나타낸 확산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a는 도 12에 나타낸 확산시트에서의 광의 진행방향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b는 도 13a에 나타낸 확산시트에서의 관찰 위치(각도)와 영상의 밝기(게인)의 관계(게인 곡선)를 나타낸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의 제1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의 제2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의 제3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확산시트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8a는 종래의 확산시트에서의 광의 진행방향을 나타낸 단면도,
도 18b는 도 18a에 나타낸 확산시트에서의 관찰 위치(각도)와 영상의 밝기(게인)의 관계(게인 곡선)를 나타낸 그래프,
도 19a는 종래의 확산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9b는 도 19a에 나타낸 확산시트용 성형틀에 의해 제작되는 확산시트에서의 광의 진행방향을 나타낸 단면도,
도 19c는 도 19b에 나타낸 확산시트에서의 관찰 위치(각도)와 영상의 밝기(게인)의 관계(게인 곡선)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용의 투과형 스크린에 짜넣어져 이용되는 확산시트로서, 정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영상면내의 밝기 균일성이 좋고, 게다가, 관찰자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도, 명암의 변화가 적고, 또 영상면내의 밝기 균일성 및 밝기 분포가 좋은 보기 쉬운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확산시트, 이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 및 확산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해결수단으로서,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을 확산시켜 출광측으로부터 출광시키는 확산시트에 있어서, 장축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열된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로서,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에 대응하는 면이 전부 입광측의 1평면상에 있도록 배열된 복수의 단위 렌즈부와,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중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광흡수부로서, 출광측으로부터 입광하는 외부광을 흡수하는 복수의 광흡수부를 갖추고,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로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의 일부가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측변에 대응하는 면에 있어서 전반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단위 렌즈부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 및 짧은 저변 사이의 거리가 긴 저변의 길이의 120% 이상 4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해결수단에 의하면, 각 단위 렌즈부에 있어서,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 및 짧은 저변 사이의 거리가 긴 저변의 길이의 120% 이상 400% 이하이기 때문에, 전반사면으로 되는 측면(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각 측변에 대응하는 면)에서 반사한 광의 출광방향이 단위 렌즈부내를 직진하는 광의 방향으로 치우치게 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에 의한 게인을 측정하면, 수평방향의 관찰각도(관찰 방향과 시트의 법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밝기(게인)를 나타내는 게인 곡선은, 전체로서 중앙에 하나의 피크를 갖는 완만한 곡선이 된다. 확산시트가 이러한 게인 곡선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등에 있어서는, 관찰자가 정면에서 영상을 관찰한 경우에 영상면내의 밝기 균일성이 좋고, 또 관찰자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영상을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도, 영상면내의 특꼭대기의 밝기가 극단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찰자가 시트면에 대해 정면에서 본 경우가 가장 밝고, 관찰자가 그 점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해서 시트면에 대한 수직선과 시선이 이루는 각도가 커질수록 영상이 어둡게 관찰되지만, 그 때 서서히 어둡게 영상이 관찰되기 때문에, 관찰자에게 있어 영상이 자연스러워 쉽게 보게 된다. 또, 관찰자가 정면 이외의 위치(단, 적당하게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시야 각도내의 위치)에서 정지해서 영상을 관찰한 경우에도, 하나의 영상면내에서의 밝기의 얼룩이 없고, 또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을 관찰할 수 있어 관찰자에게 있어 영상이 자연스러워 쉽게 보게 된다.
본 발명은, 제2해결수단으로서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을 확산시켜 출광측으로부터 출광시키는 확산시트에 있어서, 장축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열된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로서,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에 대응하는 면이 전부 입광측의 1평면상에 있도록 배열된 복수의 단위 렌즈부와,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중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광흡수부로서, 출광측으로부터 입광하는 외부광을 흡수하는 복수의 광흡수부를 갖추고,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로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의 일부가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측변에 대응하는 면에 있어서 전반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단위 렌즈부는, 그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이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이고, 또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는,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측변과 입광측의 긴 저변 사이의 각도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단위 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해결수단에 의하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이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이고, 또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측변과 입광측의 긴 저변 사이의 각도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단위 렌즈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전반사면으로 되는 측면(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각 측변에 대응하는 면)에서 반사한 광이 적어도 4개의 방향으로 출광되고, 직진하여 그대로 빠지는 광과 합해서 5개 이상의 방향으로 출광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의 게인을 측정하면, 수평방향의 관찰각도(관찰 방향과 시트의 법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밝기(게인)를 나타내는 게인 곡선은, 각 출광방향에 대응하는 5개 이상의 밝기의 피크(극대치)를 가지게 되며, 이들 각 피크의 아래쪽이 서로 겹치기 때문에, 전체로서 중심에 피크를 갖는 좌우대칭의 완만한 곡선으로 된다. 확산시트가 이러한 게인 곡선을 갖기 때문에, 관찰자가 정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극단적으로 어둡게 영상이 관찰되는 부분이 없어진다. 또, 이러한 확산시트에 있어서는, 복수의 출광각도가 주어지기 때문에 영상을 관찰하는 측의 시야각을 넓히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에 있어서는, 정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좌우대칭으로 밝기 분포가 좋은 영상이 관찰되고, 또 관찰자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영상을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도 명암의 변화가 적어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이 관찰된다. 게다가, 관찰자가 정면 이외의 위치(단, 적당하게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시야 각도내의 위치)에서 정지해서 관찰한 경우에도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이 관찰된다.
본 발명은, 제3해결수단으로서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을 확산시켜 출광측으로부터 출광시키는 확산시트에 있어서, 장축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열한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로서,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에 대응하는 면이 전부 입광측의 1평면상에 있도록 배열된 복수의 단위 렌즈부와,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중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광흡수부로서, 출광측으로부터 입광하는 외부광을 흡수하는 복수의 광흡수부를 갖추고,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로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의 일부가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측변에 대응하는 면에 있어서 전반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단위 렌즈부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하나의 측변과 입광측의 긴 저변 사이의 제1각도와 다른 측변과 상기 긴 저변 사이의 제2각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해결수단에 의하면, 각 단위 렌즈부에 있어서,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하나의 측변과 입광측의 긴 저변 사이의 제1각도와 다른 측변과 상기 긴 저변 사이의 제2각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가 접하는 부분의 저각(측변과 긴 저변 사이의 각도)이 같은 각도로 되도록 배열한 확산시트로 한 경우에는, 전반사면으로 되는 측면(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각 측변에 대응하는 면)에서 반사한 광이 적어도 4개의 방향으로 출광되고, 직진하여 그대로 빠지는 광과 합해서 5개 이상의 방향으로 출광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의 게인을 측정하면, 수평방향의 관찰각도(관찰 방향과 시트의 법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밝기(게인)를 나타내는 게인 곡선은, 각 출광방향에 대응하는 5개 이상의 밝기의 피크를 갖게 되고, 이들 각 피크의 아래쪽이 서로 겹치기 때문에, 전체로서 중심에 피크를 갖는 좌우대칭의 완만한 곡선으로 된다. 확산시트가 이러한 게인 곡선을 갖기 때문에, 관찰자가 정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극단적으로 어둡게 영상이 관찰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 이러한 확산시트에 있어서는, 복수의 출광각도가 주어지므로, 영상을 관찰하는 측의 시야각을 넓히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에 있어서는, 정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좌우대칭으로 밝기 분포가 좋은 영상이 관찰되고, 또 관찰자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영상을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도 명암의 변화가 적어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이 관찰된다. 게다가, 관찰자가 정면 이외의 위치(단, 적당하게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시야 각도내의 위치)에서 정지해서 관찰한 경우에도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이 관찰된다. 더욱이, 이러한 확산시트이면, 확산시트 성형용의 성형틀(금형)을 절삭하기 위한 절삭용 공구(바이트)의 형상을 단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절삭용 공구의 제작공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술한 제1 내지 제3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각 광흡수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에서의 출광측의 저변의 길이가 상기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에서의 입광측의 긴 저변의 길이의 40% 이상 1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되는 광흡수부의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어 관찰자가 영상을 쉽게 보게 된다.
또, 상술한 제1 내지 제3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중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된 상기 각 광흡수부는 그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이 거의 삼각형 형상이고, 또 이 절단면에서의 입광측의 꼭대기가 2㎛ 이상의 폭의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확산시트의 단위 렌즈부군을 성형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凸부의 선단을 날카롭게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凸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이 때문에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凸부가 좌우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제1 내지 제3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중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된 상기 각 광흡수부는, 그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이 거의 삼각형 형상이고, 또 이 절단면에서의 입광측의 꼭대기가 1㎛ 이상의 곡률반경의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확산시트의 단위 렌즈부군을 성형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凸부의 선단을 날카롭게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凸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이 때문에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凸부가 좌우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제1 내지 제3해결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각 단위 렌즈부의 출광측에 배치된 확산제를 함유한 지지판을 더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지판상에 다른 기능을 갖는 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 각 단위 렌즈부로부터 출광된 일방향으로 향하는 광이 확산제에 의해 확산되어 복수의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기 때문에, 관찰자의 위치에 따른 영상의 밝기의 얼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상술한 게인 곡선에서의 중심 피크 이외의 피크(극대치)를 없앨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제1 내지 제3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출광측의 표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영상을 평면에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져 관찰자가 영상을 쉽게 보게 된다. 또, 확산시트의 표면이 곡면이 아니고 요철이 없어지기 때문에 간단하게 손으로 닦을 수 있어 확산시트의 표면에 상처가 남거나 먼지가 붙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제1 내지 제3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자외선 흡수작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지판에 의해 외부광에 포함되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져 내부의 단위 렌즈부 등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열화(변색이나 변질 등)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제1 내지 제3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렌즈부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틀형상으로 충실히 성형된 단위 렌즈부를 포함하는 확산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제4해결수단으로서, 상술한 제1 내지 제3해결수단에 따른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의 입광측에 배치된 프레넬 렌즈시트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해결수단에 의하면, 상술한 제1 내지 제3해결수단에 따른 확산시트와, 확산시트의 입광측에 배치된 프레넬 렌즈시트에 의해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관찰자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도 관찰자가 정면 및 그 이외의 위치(단, 적당하게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시야 각도내의 위치)에서 정지해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도, 영상면내에서의 밝기의 얼룩이 없고, 또 영상면내에서의 밝기 균일성이 좋은 영상을 쉽게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5해결수단으로서,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을 확산시켜 출광측으로부터 출광시키는 확산시트에 있어서, 장축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열된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로서,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에 대응하는 면이 전부 입광측의 1평면상에 있도록 배열된 복수의 단위 렌즈부와,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중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광흡수부로서, 출광측으로부터 입광하는 외부광을 흡수하는 복수의 광흡수부를 갖추고,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로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의 일부가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측변에 대응하는 면에 있어서 전반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단위 렌즈부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적어도 한쪽 측변이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 또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의 절단면에서의 복수의 측변은 전체로서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 및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해결수단에 의하면, 각 단위 렌즈부에 있어서,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적어도 한쪽 측변이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 또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단위 렌즈부의 절단면에서의 복수의 측변이 전체로서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 및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 양쪽 모두를 포함하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 입광한 광이 여러 각도를 가지는 전반사면(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각 측변에 대응하는 면)에서 반사되어 출광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의 게인을 측정하면, 수평방향의 관찰각도(관찰 방향과 시트의 법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밝기(게인)를 나타내는 게인 곡선은, 전체로서 중심에 피크를 갖는 동시에 넓은 각도로 넓어진 완만한 곡선으로 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에 있어서는, 정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이 관찰되고, 또 관찰자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영상을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도 명암의 변화가 적고,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이 관찰된다. 게다가, 관찰자가 정면 이외의 위치(단, 적당하게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시야 각도내의 위치)에서 정지해서 관찰한 경우에도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이 관찰된다.
또한, 상술한 제5해결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각 단위 렌즈부의 절단면에서의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의 수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고, 또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와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좌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고, 또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좌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을 사용상태에서 우측 및 좌측에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고, 또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을 사용상태에서 우측 및 좌측에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확산시트에 대한 수평방향의 관찰각도(관찰 방향과 시트의 법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밝기(게인)를 나타내는 게인 곡선은 세로축을 게인, 가로축을 관찰각도로 한 경우, 가로축의 원점을 중심으로 해서 좌우대칭이 되기 때문에, 영상면내의 좌우 밝기의 밸런스가 좋고, 또 밝기 균일성이 좋은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제5해결수단에 있어서는, 절단면에서의 양 측변이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단위 렌즈부와 절단면에서의 양 측변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단위 렌즈부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술한 제5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렌즈부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한편의 측변이 곡선으로, 다른쪽 측변이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각 단위 렌즈부의 절단면에서의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의 수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고, 또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와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좌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며, 또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좌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고, 또 직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와 직선으로 이루어진 좌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술한 제5해결수단에 있어서는, 상기 각 단위 렌즈부의 출광측에 배치된 확산제를 함유하는 지지판을 더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지판상에 다른 기능을 갖는 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 각 단위 렌즈부로부터 출광된 일방향으로 향하는 광이 확산제에 의해 확산되어 복수의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기 때문에, 관찰자의 위치에 따른 영상의 밝기의 얼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상술한 게인 곡선에서의 중심 피크 이외의 극대치를 없앨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제5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출광측의 표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영상을 평면에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져 관찰자가 영상을 쉽게 보게 된다. 또, 확산시트의 표면이 곡면이 아니고 요철이 없어지기 때문에, 간단하게 손으로 닦을 수 있어 확산시트의 표면에 상처가 남거나 먼지가 붙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제5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자외선 흡수작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지판에 의해 외부광에 포함되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져 내부의 단위 렌즈부 등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열화(변색이나 변질 등)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제5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렌즈부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틀형상으로 충실히 성형된 단위 렌즈부를 포함하는 확산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제6해결수단으로서, 상술한 제5해결수단에 따른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의 입광측에 배치된 프레넬 렌즈시트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해결수단에 의하면, 상술한 제5해결수단에 따른 확산시트와 확산시트의 입광측에 배치된 프레넬 렌즈시트에 의해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관찰자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도 관찰자가 정면 및 그 이외의 위치(단, 적당하게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시야 각도내의 위치)에서 정지해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도 영상면내에서의 밝기의 얼룩이 없고, 또 영상면내에서의 밝기 균일성이 좋으며, 또 좌우대칭으로 밝기 분포가 좋은 영상을 쉽게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7해결수단으로서,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를 장축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또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에 대응하는 면이 전부 입광측의 1평면상에 있도록 배열하여 이루어진 확산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확산시트용 성형틀 재료에 서로 이웃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를 남겨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복수 절삭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이 종료된 후, 상기 성형틀 재료중 남겨진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에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절삭하는 제2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해결수단에 의하면, 확산시트용 성형틀 재료에, 서로 이웃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를 남겨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복수 절삭한 후, 이렇게 해서 남겨진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에 대해 나중에 凹부를 절삭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히 나중에 절삭한 凹부의 양측 또는 편측에 위치하는 凸부가 그 외측(이미 절삭된 凹부측) 또는 내측으로 기울게 된다. 이 때문에, 확산시트용 성형틀로서 전체로서 凸부가 기우는 수가 사용상태에서 좌우 거의 동일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8해결수단으로서,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를 장축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또 단위 렌즈부의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에 대응하는 면이 전부 입광측의 1평면상에 있도록 배열하여 이루어진 확산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확산시트용 마스터 성형틀 재료에 서로 이웃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를 남겨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복수 절삭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이 종료된 후, 상기 성형틀 재료중 남겨진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에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절삭해서 확산시트용 마스터 성형틀을 제작하는 제2공정 및, 상기 제2공정에서 제작된 확산시트용 마스터 성형틀을 복제해서 확산시트용 성형틀을 얻는 제3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해결수단에 의하면, 확산시트용 마스터 성형틀 재료에 서로 이웃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를 남겨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복수 절삭한 후, 이렇게 해서 남겨진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에 대해 나중에 凹부를 절삭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확산시트용 성형틀과 같은 형상의 확산시트용 마스터 성형틀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해서 제작된 확산시트용 마스터 성형틀을 복제하도록 하면, 상술한 제7해결수단에 따른 확산시트용 성형틀과 같은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하는 확산시트용 성형틀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9해결수단으로서, 상술한 제7해결수단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작된 확산시트용 성형틀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상기 각 凹부내에 단위 렌즈부용의 액상 수지를 매립하도록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상기 각 凹부내에 매립된 액상 수지를 경화시키는 공정 및, 상기 확산시트용 성형틀로부터 경화 후의 액상 수지를 박리함으로써,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를 배열하여 이루어진 확산시트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9해결수단에 의하면, 상술한 제7해결수단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작된 확산시트용 성형틀을 이용하여 확산시트를 제작하고 있기 때문에, 절단면에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의 수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의 수가 거의 동일하고, 또 좌우의 각 측변에서의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 및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의 수가 거의 동일한 단위 렌즈부를 포함하는 확산시트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이렇게 해서 얻어진 확산시트는, 상술한 제5해결수단에 따른 확산시트와 마찬가지로 그 게인 곡선이 전체로서 중심에 피크를 갖는 동시에 넓은 각도로 넓어진 완만한 곡선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에 있어서는, 정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좌우 밝기의 밸런스가 좋고, 또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이 관찰되며, 또 관찰자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영상을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도 명암의 변화가 적어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이 관찰된다. 게다가, 관찰자가 정면 이외의 위치(단, 적당하게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시야 각도내의 위치)에서 정지해서 관찰한 경우에도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이 관찰된다.
본 발명은 제10해결수단으로서, 상술한 제8해결수단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작된 확산시트용 성형틀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상기 각 凹부내에 단위 렌즈부용의 액상 수지를 매립하도록 도포하는 공정, 상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상기 각 凹부내에 매립된 액상 수지를 경화시키는 공정 및, 상기 확산시트용 성형틀로부터 경화 후의 액상 수지를 박리함으로써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를 배열하여 이루어진 확산시트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0해결수단에 의하면, 상술한 제8해결수단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작된 확산시트용 성형틀을 이용하여 확산시트를 제작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제9해결수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제5해결수단에 따른 확산시트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하는 확산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
먼저, 도 1과 도 2, 도 3a 및 도 3b에 의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오른쪽」, 「왼쪽」이란, 확산시트를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용의 투과형 스크린에 짜넣어 이용한 상태에서의 「오른쪽」, 「왼쪽」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101)는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을 한 복수의 단위 렌즈부(11)를 갖추고 있다. 각 단위 렌즈부(1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수평방향의 절단면(단위 렌즈부(11)의 장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한 면)이 거의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고, 당해 절단면에서의 측변에 대응하는 면(측면(111))과 당해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에 대응하는 하부 저면(입광면(112)) 및 당해 절단면에서의 짧은 저변에 대응하는 상부 저면(출광면(113))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사다리꼴 형상에 있어서, 그 양 저면(즉, 상부 저면 및 하부 저면)은 평행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각 단위 렌즈부(11)의 절단면의 형상은 정확하게는 사다리꼴이 아닌 경우도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적으로 사다리꼴이라고 생각하고 설명한다. 또한, 각 단위 렌즈부(11)는 렌티큘러 렌즈라고도 불리는 것이고, 확산시트(101)는 렌티큘러 렌즈시트라고도 불리는 것이다.
여기에서, 각 단위 렌즈부(11)는, 투명수지 필름기재(22) 상에서 그 장축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연속해서 배열되어 있다. 이 때, 각 단위 렌즈부(11)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11)의 상부 저면 및 하부 저면중 넓은 면(도 1에서는 입광면(112))이 전부 입광측의 1평면(투명수지 필름기재(22)의 표면) 상에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11) 사이에는, 출광측으로부터 입광하는 외부광을 흡수하는 거의 삼각기둥 형상의 복수의 광흡수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광흡수부(12)는 블랙 스트라이프(black stripe)라고도 불리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확산시트(101)에 있어서,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출광된 영상광은, 각 단위 렌즈부(11)의 입광면(112)측으로부터 입광되어 각 단위 렌즈부(11)를 통과한 다음 출광면(113)측으로부터 출광된다.
여기에서, 각 단위 렌즈부(11)는 광흡수부(12)와의 사이의 경계로 되는 면으로서 측면(111)을 가지고 있고, 당해 각 단위 렌즈부(11)로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의 일부가 측면(111)에 있어서 전반사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단위 렌즈부(11)의 굴절률(nl)과 광흡수부(12)의 굴절률(n2)은 nl>n2의 관계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어 단위 렌즈부(11) 및 광흡수부(12)의 각 부를 구성하는 재료는 상기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선택되어 있다.
또한, 각 단위 렌즈부(11)의 재료는, 상술한 굴절률(nl, n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부터 렌티큘러 렌즈의 재료로서 이용되고 있는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방사선 경화형 수지나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틀형상에 충실한 성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각 광흡수부(12)는, 출광측으로부터 입광하는 외부광 및 각 단위 렌즈부(11)의 출광면(113)으로부터 당해 각 단위 렌즈부(11)로 입광해서 측면(111)에 도달한 외부광을 흡수 및/또는 차광해서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하게 되어 있다. 각 광흡수부(12)의 이러한 기능에 의해 관찰되는 영상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각 광흡수부(12)의 재료로서는, 상술한 굴절률(nl, n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실리콘이나 불소 등을 도입한 저굴절률 아크릴레이트(acrylate)계 수지 등이 이용된다. 또, 각 광흡수부(12)에는, 외부광을 흡수 및/또는 차광 등을 하기 위해 광흡수 입자를 첨가해도 좋다. 여기에서, 광흡수 입자로서는, 예컨대 탄소 등의 안료나, 적색, 청색, 황색, 흑색 등의 복수의 염료, 또는 이들 안료 및/또는 염료로 착색된 아크릴계 가교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확산시트(101)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세로 50㎝×가로 70㎝×두께 O.1㎝∼세로 150㎝×가로 200㎝×두께 O.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단위 렌즈부(11)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입광면(112)의 폭이 50∼80㎛, 입광면(112)과 출광면(113) 사이의 거리(렌즈 높이)가 100∼170㎛, 장축방향의 길이가 50∼1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단위 렌즈부(11)의 크기를 이와 같이 미세화함으로써,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2와 도 3a 및 도 3b에 의해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확산시트(101)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시트(101)에 있어서, 각 단위 렌즈부(11)의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양 저변(긴 저변 및 짧은 저변) 사이의 거리(입광면(112)과 출광면(113)의 사이의 거리; h)는 긴 저변(입광면(112))의 길이(p)의 120% 이상 400% 이하이다. 여기에서, 양 저변 사이의 거리(h)는 긴 저변(입광면(112))의 길이(p)의 200% 이상 4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이상 2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 이상 230%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h/p값을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확산시트(101)의 각 단위 렌즈부(11)로부터의 광의 출광방향을 좁힐 수 있고, 또 광흡수부(12)에 있어서 외부광을 쉽게 흡수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h/p값은 그것이 커킴에 따라, 확산시트(101)의 성형 후에 성형틀로부터 떼어낼 때의 이형성(離型性)이 나빠지는 것 외에 확산시트(101)의 성형을 위한 성형틀의 제작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그 상한값을 상술한 바와 같이 400%로 한다. 여기에서, 각 단위 렌즈부(11)의 긴 저변(입광면(112))의 길이(p)는 피치라고도 한다. 또, 양 저변(입광면(112) 및 출광면(113)) 사이의 거리(h)는 렌즈 높이라고도 한다.
또, 확산시트(101)에 있어서, 광흡수부(12)의 거의 삼각형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출광측의 저변의 길이(w)는 단위 렌즈부(11)의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입광면(112))의 길이(p)의 40% 이상 10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길이(w)는 단위 렌즈부(11)의 긴 저변(입광면(112))의 길이(p)의 55% 이상 1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이상 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5% 이상 65%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w/p값을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각 단위 렌즈부(11) 사이에 설치되는 광흡수부(12)의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어 관찰자가 영상을 쉽게 보게 된다. 게다가, w/p값을 상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실내 조명 등의 외부광이 스크린으로 반사되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확산시트(101)에 있어서, 단위 렌즈부(11)의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입광면(112))과 측변(전반사면인 측면(111)) 사이의 각도(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75°∼ 89°정도, 바람직하게는 80°∼ 84°정도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확산시트(101)에 의하면,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시트(101)의 각 단위 렌즈부(11)로부터의 광의 출광방향이 주로 3개의 방향으로 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3개의 방향이란, 각 단위 렌즈부(11)의 측면(111)에서 반사하지 않고 직진하는 1개의 방향(L2), 측면(111)에서 반사해서 중심에 가까운 각도로 좌우로 진행되는 2개의 방향(Ll, L3)을 합계한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101)에 있어서는, 도 2 및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위 렌즈부(11)의 측면(111)이 입광면(112)에 대해 험준한 각도가 되기 때문에, 이 측면(111)에서 반사한 광은 중심에 가까운 각도로 출광되게 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101)에 의한 게인을 측정하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관찰각도(관찰 방향과 시트의 법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밝기(게인)를 나타내는 게인 곡선은 전체로서 중앙에 하나의 피크를 갖는 완만한 곡선이 된다. 이와 같이, 확산시트(101)는 게인 곡선에 있어서 큰 극소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확산시트(101)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등에 있어서 각 단위 렌즈부(11)의 출광면(113)측으로부터 관찰자가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영상을 관찰한 경우에 관찰자가 시트면에 대해 정면에서 본 경우가 가장 밝고, 시트면에 대한 수직선과 시선이 이루는 각도가 커짐에 따라 서서히 어두워진다. 이 때문에, 관찰자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영상의 밝기가 극단적으로 달라 관찰되지 않아 관찰자에게 있어 영상이 자연스럽고 쉽게 보여진다. 또, 관찰자가 정지해서 영상을 관찰한 경우에도, 하나의 영상면내에서의 밝기의 얼룩이 없고,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을 관찰할 수 있어 관찰자에게 있어 영상이 자연스럽고 쉽게 보여진다.
(확산시트의 제조방법)
다음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101)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단위 렌즈부(11)를 성형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금형)을 준비한다. 이 성형틀은 성형틀 재료에 단위 렌즈부(11)에 대응하는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순차적으로 절삭해 감으로써 제작된다. 이러한 성형틀은, 평면형상인 경우와 롤형상인 경우가 있다. 이 중, 롤형상의 성형틀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연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롤형상의 성형틀 재료를 선반에 설치하고, 이 성형틀 재료를 회전시키면서 절삭용 공구(바이트) 등에 의해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순차적으로 절삭한다.
다음으로, 이렇게 해서 제작된 확산시트용 성형틀을 이용하여 확산시트를 제조하게 되지만, 구체적인 성형방법으로서는 이하의 3종류를 들 수 있다.
제1성형방법으로서, 롤형상의 성형틀을 이용하는 성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회전가능한 축에 고정된 롤형상의 성형틀과 롤러 사이에 확산시트(101)의 투명수지 필름기재(22)로 되는 PET 필름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이 PET 필름과 롤형상의 성형틀 사이에 상술한 재료로 이루어진 단위 렌즈부(11)용의 액상 수지(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유입시킨다. 이 수지를 PET 필름과 함께 롤형상의 성형틀을 따라 통과시키고, 수지를 복수의 단위 렌즈부(11)의 형상으로 한다. 그리고, 롤형상의 성형틀과 롤러 사이에 PET 필름 및 수지를 통과시킨 후, PET 필름상의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지를 경화시킨다. 그 후, 경화시킨 수지와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시트를 롤형상의 성형틀로부터 이형한다. 이상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행해짐으로써, 확산시트(101)의 주요 부분이 형성된다.
제2성형방법으로서, 평면형상의 성형틀을 이용하는 성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평면형상의 성형틀에, 상술한 재료로 이루어진 단위 렌즈부(11)용의 액상 수지(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매립하도록 도포(코팅)하고, 그 위에 투명수지 필름기재(22)로 되는 PET 필름을 놓고 프레스한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지를 경화시킨다. 그 후, 경화시킨 수지와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시트를 성형틀로부터 박리함으로써 확산시트(101)의 주요 부분이 형성된다.
제3성형방법으로서, 평면형상의 성형틀을 이용하는 성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평면형상의 성형틀에, 투명수지 필름기재(22)로 되는 두께 30∼200㎛ 정도의 PET 필름상에 상술한 재료로 이루어진 단위 렌즈부(11)용의 수지를 배치한 시트를 놓는다. 다음으로, 상기의 평면형상의 성형틀에 의해, PET 필름상의 수지가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단위 렌즈부(11)가 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렇게 해서 얻어진 시트를 성형틀로부터 박리함으로써 확산시트(101)의 주요 부분이 형성된다.
그 후, 상술한 제1 내지 제3성형방법중 하나에 있어서 성형틀로부터 박리된 시트 중 각 단위 렌즈부(11)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상술한 광흡수부(12)용의 재료(흑색 수지)를 매립하도록 도포(코팅)하여 광흡수부(12)를 형성한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101)가 제조된다.
또한, 상술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확산시트(101)를 구성하는 각 단위 렌즈부(11)의 수평방향의 절단면의 형상을, 도 2 및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종 사다리꼴 형상(도 4a, 도 5, 도 6, 도 7 참조)으로 해도 좋다.
제2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
다음에, 도 4a 및 도 4b에 의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는, 복수의 단위 렌즈부로서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측변과 입광측의 긴 저변 사이의 각도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단위 렌즈부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다른 기본적인 구성은 도 1과 도 2,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제2실시예에 있어서, 도 1과 도 2,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102)는,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을 한 복수의 단위 렌즈부(11)를 갖추고 있다. 단위 렌즈부(11)는 그 수평방향의 절단면(단위 렌즈부(11)의 장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한 면)이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복수의 단위 렌즈부(11)는, 그 측변에 대응하는 전반사면으로 되는 측면(111)과 긴 저변에 대응하는 입광면(112) 사이의 각도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단위 렌즈부(11a, l1b)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측면(111a)과 입광면(112) 사이가 각도가 θ1인 단위 렌즈부(11a)와, 측면(111b)과 입광면(112) 사이의 각도가 θ1과는 다른 θ2인 단위 렌즈부(11b)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단위 렌즈부(lla, llb)는 투명수지 필름기재(22) 상에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확산시트(102)에 의하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위 렌즈부(lla, llb)의 측면(llla, lllb)에서 반사한 광이 다른 각도(θ1', θ2')로 진행하고, 이에 따라 각 단위 렌즈부(lla, llb)를 통과한 광은 적어도 4개의 방향으로 출광되고, 직진하여 그대로 빠지는 광과 합해서 5개 이상의 방향으로 출광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102)에 의한 게인을 측정하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관찰각도(관찰 방향과 시트의 법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밝기(게인)를 나타내는 게인 곡선은, 각 출광방향에 대응하는 5개 이상의 밝기의 피크(극대치)를 갖게 되고, 이들 각 피크의 아래쪽이 서로 겹치기 때문에, 전체로서 중심에 피크를 갖는 좌우대칭의 완만한 곡선이 된다. 이와 같이, 확산시트(102)는, 게인 곡선에 있어서 큰 극소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확산시트(102)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등에 있어서, 각 단위 렌즈부(11)의 출광면(113)측으로부터 관찰자가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영상을 관찰한 경우에, 극단적으로 어둡게 영상이 관찰되는 부분이 없어진다. 또, 이러한 확산시트(102)에 있어서는, 복수의 출광각도가 주어지기 때문에, 영상을 관찰하는 측의 시야각을 넓히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102)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등에 있어서는, 정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좌우대칭으로 밝기 분포가 좋은 영상이 관찰되고, 또 관찰자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영상을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도 명암의 변화가 적어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이 관찰된다. 게다가, 관찰자가 정면 이외의 위치(단, 적당하게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시야 각도내의 위치)에서 정지해서 관찰한 경우에도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이 관찰된다.
또한, 상술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측변에 대응하는 측면(111)과 긴 저변에 대응하는 입광면(112) 사이의 각도(θ1, θ2)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단위 렌즈부(lla, llb)를 교대로 배열하고 있지만, 배열의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위 렌즈부(11a), 단위 렌즈부(11a), 단위 렌즈부(11b), 단위 렌즈부(11b), 단위 렌즈부(11a), 단위 렌즈부(11a), 단위 렌즈부(11b), 단위 렌즈부(11b), … 등과 같은 모양으로 일정 단위씩 주기적으로 배열해도 좋고, 또 랜덤하게 배열해도 좋다. 게다가, 측변에 대응하는 측면(111)과 긴 저변에 대응하는 입광면(112) 사이의 각도가 서로 다른 3종류 이상의 단위 렌즈부를 이용하여 이들 단위 렌즈부를 상술한 바와 같은 임의의 모양으로 배열해도 좋다.
또, 상술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확산시트(102)를 구성하는 각 단위 렌즈부(11a, 11b(11))의 수평방향의 절단면의 형상을,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종 사다리꼴 형상(도 6, 도 7 참조)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위 렌즈부(11)의 측면(111)이 곡면인 경우에는, 각 단위 렌즈부(11)의 측면(111)과 입광면(112) 사이의 평균 각도가 도 4a에 나타낸 확산시트(102)에서의 각도(θ1, θ2)에 대응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측면(111)이 곡면인 경우의 평균 각도는, 측면(111)의 양단을 연결한 직선과 입광면(112) 사이의 각도(예각)를 측정한 값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
다음에, 도 5에 의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는, 복수의 단위 렌즈부로서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하나의 측변과 입광측의 긴 저변 사이의 제1각도와, 다른 측변과 긴 저변 사이의 제2각도가 서로 다른 단위 렌즈부를 이용하는 점을 제외하면, 다른 기본적인 구성은 도 1과 도 2,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도 5에 나타낸 제3실시예에 있어서, 도 1과 도 2,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103)는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을 한 복수의 단위 렌즈부(11)를 갖추고 있다.
여기에서, 각 단위 렌즈부(11)는, 그 수평방향의 절단면(단위 렌즈부(11)의 장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한 면)이 비이등변(nonisosceles)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단위 렌즈부(11)는 그 수평방향의 절단면에 있어서, 하나의 측변에 대응하는 측면(111c)과 긴 저변에 대응하는 입광면(112) 사이의 제1각도(θ3)와 다른 측변에 대응하는 측면(111d)과 긴 저변에 대응하는 입광면(112) 사이의 제2각도(θ4)가 서로 다르다. 또한, 2종류의 각도( θ3, θ4)를 가진 복수의 단위 렌즈부(11)는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11)중 각도 θ3로 되는 변에 대응하는 면끼리, 각도 θ4로 되는 변에 대응하는 면끼리가 서로 접하는 것과 같은 모양으로 투명수지 필름기재(22)상에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확산시트(103)에 의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위 렌즈부(11)의 측면(lllc, 111d)에서 반사된 광이 다른 각도(θ3', θ4')로 진행하고, 이에 따라 각 단위 렌즈부(11)를 통과한 광은 적어도 4개의 방향으로 출광되며, 직진하여 그대로 빠지는 광과 합해서 5개 이상의 방향으로 출광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103)에 의한 게인을 측정하면, 상술한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게인 곡선을 얻을 수 있다(도 4b 참조). 이와 같이, 확산시트(103)는 게인 곡선에 있어서 큰 극소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각 단위 렌즈부(11)의 출광면(113)측으로부터 관찰자가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영상을 관찰한 경우에, 극단적으로 어둡게 영상이 관찰되는 부분이 없어진다. 또, 이러한 확산시트(103)에 있어서는, 복수의 출광각도가 주어지기 때문에, 영상을 관찰하는 측의 시야각을 넓히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103)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등에 있어서는, 정면에서 관찰한 경우에 좌우대칭으로 밝기 분포가 좋은 영상이 관찰되고, 또 관찰자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영상을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도 명암의 변화가 적어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이 관찰된다. 게다가, 관찰자가 정면 이외의 위치(단, 적당하게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시야 각도내의 위치)에서 정지해서 관찰한 경우에도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이 관찰된다. 게다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시트(103)이면, 확산시트 성형용의 성형틀을 절삭하는 절삭용 공구(바이트 등)의 형상을 단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절삭용 공구의 제작 공정이 용이해진다. 또, 절삭용 공구의 강도 부족에 의해 성형틀이나 공구의 파손을 초래하는 일이 적어진다. 게다가, 확산시트(103)를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성형틀을 안전하게 절삭해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2종류의 각도(θ3, θ4)를 갖는 복수의 단위 렌즈부(11)를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11) 중 각도 θ3로 되는 변에 대응하는 면끼리, 각도 θ4로 되는 변에 대응하는 면끼리가 서로 접해 있는 것과 같은 모양으로 배열하고 있지만, 배열의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임의의 모양으로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측면(111)과 입광면(112) 사이의 각도가 상술한 각도(θ3, θ4)와는 다른 다른 종류의 단위 렌즈부를 더 조합해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도 5에 나타낸 확산시트(103)와는 다른 형상의 확산시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단위 렌즈부의 모양 및 배열의 방법으로서는, 확산시트의 정면에서 영상면 전체를 관찰한 경우에 좌우대칭의 밝기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확산시트(103)를 구성하는 각 단위 렌즈부(11)의 수평방향의 절단면의 형상을 도 5에 나타낸 것 같은 비이등변 사다리꼴형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종 사다리꼴 형상(도 6, 도 7 참조)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위 렌즈부(11)의 측면(111)이 곡면인 경우에는, 각 단위 렌즈부(11)의 수평방향의 절단면에서의 측면(111)과 입광면(112) 사이의 평균 각도가 도 5에 나타낸 확산시트(103)에서의 각도(θ3, θ4)에 대응하는 것이 된다. 또한, 측면(111)이 곡면인 경우의 평균 각도는 측면(111)의 양단을 연결한 직선과 입광면(112) 사이의 각도(예각)를 측정한 값이다.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의 변형례
(제1변형례)
상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101, 102, 103)에 있어서, 그것들을 구성하는 각 단위 렌즈부(11)의 수평방향의 절단면의 형상은 도 6에 나타낸 확산시트(104)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측변(측면(111))이 하나 이상의 기점(d)에 의해 꺾인 선모양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각 단위 렌즈부(11)의 절단면에서의 하나의 측변에 대응하는 측면(전반사면; 111)은, 기점(d)에 의해 입광면(112)측의 측면(111e)과 출광면(113)측의 측면(111f)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서, 한쪽 측의 측면(111)중 입광면(112)측의 측면(111e)과 입광면(112) 사이의 각도(θ5)와, 같은 측의 측면(111)에서의 출광면(113)측의 측면(111f)과 입광면(112) 사이의 각도(θ6)는 서로 다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확산시트(104)에 의하면, 전반사면으로 되는 측면(111)이 경사 각도가 다른 복수의 평면(111e, 111f)을 가지므로, 하나의 측면(111)에서 반사된 광이 다른 각도(θ5', θ6')로 진행하여 광의 출광방향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단위 렌즈부(11)의 양 측면(111)을 마찬가지로 형성한 경우에는, 수평방향의 관찰각도(관찰 방향과 시트의 법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밝기(게인)를 나타내는 게인 곡선은 5개 이상의 피크(극대치)를 갖는 것으로 된다. 또, 각각의 피크를 얻을 수 있는 각도끼리가 가깝기 때문에, 피크를 얻을 수 있는 각도끼리가 가까워져 이들 각 피크의 아래쪽이 보다 효과적으로 서로 겹쳐진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104)의 게인을 측정하면, 전체로서 중심에 피크를 갖는 매우 완만한 곡선이 되어 밝기 균일성이 보다 좋은 영상이 얻어진다.
여기에서, 확산시트(104)를 성형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은, 예컨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절삭용 공구(6OA, 60B)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절삭용 공구(60A)는, 그 선단의 편측을 측면(111f)과 입광면(112) 사이의 각도(θ6)에 맞춰 (180°-θ6) 각도로 하고, 그 선단의 반대측을 측면(111e)과 입광면(112) 사이의 각도(θ5)에 맞춰 (180°-θ5) 각도로 한 절삭용 공구이다. 또, 절삭용 공구(6OB)는 그 선단의 편측을 측면(111e)과 입광면(112) 사이의 각도(θ5)에 맞춰 (180°-θ5) 각도로 하고, 그 선단의 반대측을 측면(111f)과 입광면(112) 사이의 각도(θ6)에 맞춰 (180°-θ6) 각도로 한 절삭용 공구이다. 구체적인 성형틀의 제작방법으로서는, 먼저 절삭용 공구(60A)를 이용하여 성형틀 재료(62)를 절삭하고,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우측 측면(111f)에 대응하는 면(111f') (각도 θ6)과,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좌측 측면(111e)에 대응하는 면 l11e') (각도 θ5)을 형성한다(도 11의 부호 ①). 이어서, 절삭용 공구(60B)를 이용해서 성형틀 재료(62)의 같은 위치를 절삭하고,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우측 측면(111e)에 대응하는 면(111e') (각도 θ5)과 좌측 측면(111f)에 대응하는 면(111f') (각도 θ6)을 형성한다(도 11의 부호 ②). 이렇게 해서, 절삭용 공구(60A, 60B)를 이용하여 성형틀 재료(62)의 같은 위치를 절삭함으로써, 확산시트(104)를 성형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63)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단위 렌즈부(11)에서의 양쪽 측면(111)을 꺾인 선모양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단위 렌즈부(11)에 의해 한쪽 측면(111)만을 꺾인 선모양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도 6에 있어서는, 2종류의 각도(θ5, θ6)를 가진 하나의 단위 렌즈부(11)만을 연속해서 배열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각도의 조합을 가진 단위 렌즈부를 조합해서 배열해도 좋다. 게다가, 도 6에 있어서는, 하나의 측변(측면(111))의 형상을,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 있어서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 있어서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해도 좋다. 더욱이 또, 도 6에 있어서는, 단위 렌즈부(11)의 하나의 측면(111)에 기점(d)을 하나 마련해 측면(111)이 2종류의 각도를 갖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측면(111)에 기점(d)을 2개 이상 마련해 측면(111)이 3종류 이상의 각도를 갖도록 해도 좋다. 단, 도 6에 나타낸 확산시트(104)와는 다른 형상의 확산시트로 했을 경우에도, 단위 렌즈부의 각 측면의 모양은, 확산시트의 정면에서 영상면 전체를 관찰한 경우에 좌우대칭의 영상의 밝기를 얻을 수 있는 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변형례)
상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101, 102, 103)에 있어서, 그것들을 구성하는 각 단위 렌즈부(11)의 수평방향의 절단면의 형상은, 도 7에 나타낸 확산시트(105)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측변(측면(111))이 곡선모양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각 단위 렌즈부(11)의 절단면에서의 하나의 측변에 대응하는 측면(전반사면; 111g)은 곡면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확산시트(105)에 의하면, 전반사면으로 되는 측면(111g(111))이 곡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입광면(112)으로부터 입광한 평행광이 입광하는 측면(111g)의 위치에 의해 광의 반사각이 다르게 되어 반사후의 광의 진행방향(출광방향)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105)의 게인을 측정하면, 전체로서 중심에 피크를 갖는 매우 완만한 곡선이 되어 밝기 균일성이 보다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는, 하나의 측변(측면(111))의 형상을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 있어서 양 측변도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 있어서 양 측변도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해도 좋고, 또는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 있어서 하나의 측변을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하고, 다른 측변을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들 측변(측면(111))의 형상은, 전부 동일한 형상으로 할 필요는 없고, 각 단위 렌즈부(11)에 따라 달라도 좋다. 후자의 경우에는, 측면(111)에서의 반사후의 광을 여러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영상의 밝기를 보다 균일화할 수 있다. 단, 도 7에 나타낸 확산시트(105)와는 다른 형상의 확산시트로 했을 경우에도, 단위 렌즈부의 각 측면의 모양은, 확산시트의 정면에서 영상면 전체를 관찰한 경우에 좌우대칭의 영상의 밝기를 얻을 수 있는 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변형례)
상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101, 102, 103)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11) 사이에 설치된 각 광흡수부(12)는 도 8에 나타낸 확산시트(106)와 같이 그 수평방향의 절단면(단위 렌즈부(11)의 장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한 면)이 거의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또 이 절단면에서의 입광측의 꼭대기가 소정의 폭의 직선(부호 121 참조)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좋다. 또한, 입광측의 꼭대기의 직선의 폭은 2㎛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11) 사이에 설치된 각 광흡수부(12)는 도 9에 나타낸 확산시트(107)와 같이 절단면에서의 입광측 꼭대기가 곡선(부호 122 참조)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또한, 이 입광측 꼭대기의 곡선은, 그 곡률반경이 1㎛ 이상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도 9에 나타낸 확산시트(107)의 입광측의 꼭대기의 곡선(곡면)은, 확산시트(107)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을 제작할 때에, 확산시트(107)의 꼭대기 위치(122)에 대응하는 부분에 도금하고, 이렇게 해서 제작된 성형틀을 이용하여 확산시트를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확산시트(106, 107)에 의하면, 확산시트의 단위 렌즈부군을 성형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凸부의 선단을 날카롭게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凸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凸부가 좌우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상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예 및 그 변형례에 따른 확산시트(101~107)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확산시트(101~107)의 입광측에 배치된 프레넬 렌즈시트(30)와 함께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투과형 스크린(50)이 구성된다.
이하, 도 10에 의해 확산시트(101~107)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50)의 개략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0은 투과형 스크린(50)을 그 사용상태에 있어서 상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과형 스크린(50)은 확산시트(101~107)와 그 입광측에 배치된 프레넬 렌즈시트(30)를 갖추고 있다. 이 투과형 스크린(50)은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 등에 이용되는 것이다. 또, 프레넬 렌즈시트(30)는 영상투영장치 등의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출광된 영상광을 거의 평행광으로 조정하여 출광되고, 확산시트(101~107)로 이끌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프레넬 렌즈시트(30)로부터 출광된 거의 평행광은 확산시트(101~107)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입광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확산시트(101~107)의 각 단위 렌즈부(11)를 통과하거나, 또는 측면(111)에서 반사되어 각 출광방향으로 출광된다. 여기에서, 프레넬 렌즈시트(3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영상 투영장치 등의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확대 투영된 영상광을 거의 평행광으로서 출광시키는 동시에 확산시트(101~107)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입광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면,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투과형 스크린(50)에 의하면, 관찰자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도, 관찰자가 정면 및 그 이외의 위치(단, 적당하게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시야 각도내의 위치)에서 정지해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도, 영상면내에서의 밝기의 얼룩이 없고, 또 영상면내에서의 밝기 균일성이 좋은 영상이 쉽게 보여지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시트(101~107)중 단위 렌즈부(11)의 출광면(113)측에는, 확산제를 함유한 지지판(21)을 배치하면 좋다. 여기에서, 확산시트(101~107)에 있어서는, 각 단위 렌즈부(11)가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으로 되어 있고 출광면(113)이 평탄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판(21)을 문제없이 접합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지지판(21)을 배치함으로써, 확산시트(101~107)의 출광측의 표면에 반사방지처리를 실시하여 반사 방지층(23)을 형성하거나 표면경화처리를 실시하여 표면 경화층(2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층은 확산시트(101~107)의 출광측의 표면에 지지판(21)을 매개로 설치되게 된다. 이 중, 반사 방지층(23)에 의해 실내조명 등의 외부광이 스크린으로 반사되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표면 경화층(24)에 의해 스크린으로의 접촉 및 더러움의 닦기가 행해진 경우에도 스크린 표면에 상처가 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투과형 스크린(50)에 있어서는, 지지판(21)에 함유되는 확산제에 의해 확산시트(101~107)의 각 단위 렌즈부(11)로부터 출광된 일방향을 향하는 광이 지지판(21)에 함유되는 확산제 입자에 입광 및 출광할 때에 굴절되고, 또 확산제 입자의 외면에서 반사됨으로써 확산되어 복수의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 때문에, 관찰자의 위치에 따른 영상의 밝기의 얼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확산제란, 지지판(21)을 형성하는 수지 등과는 굴절률이 다른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입자이며, 지지판(21)내에 분산되어 있다. 이러한 확산제로서는, 아크릴 가교비즈나 유리비즈 등이 이용된다. 또한, 이러한 지지판(21)을 확산시트(101~107) 상에 배치한 경우에는, 상술한 게인 곡선에서의 중심 피크 이외의 피크(극대치)를 확산제의 입자에 의한 확산에 의해 없앨 수 있다.
또, 투과형 스크린(50)에 있어서는, 지지판(21)의 출광측의 표면을 평탄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판(21)의 출광측의 표면이 평탄하기 때문에, 영상을 왜곡없이 평면에 표현할 수 있어 관찰자가 영상을 쉽게 보게된다. 또, 확산시트(101~107)의 표면이 곡면이 아니고, 요철이 없어지므로, 간단하게 손으로 닦을 수 있어 확산시트(101~107)의 표면에 상처가 남거나 먼지가 붙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투과형 스크린(50)에 있어서는, 지지판(21)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자외선 흡수작용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지판(21)에 의해 외부광에 포함되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져 내부의 단위 렌즈부(11) 등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열화(변색이나 변질 등)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21)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 자체가 자외선 흡수작용을 가진 경우에는, 반드시 자외선 흡수제를 별도 함유시킬 필요는 없다. 여기에서, 지지판(21)을 형성하기 위한 자외선 흡수작용을 가진 재료로서는, 아크릴산에스테르계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지지판(21)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자외선을 흡수하기 어려운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벤조페논계나 벤조트리아졸계, 아크릴레이트계, 살리실레이트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
다음에, 도 12와 도 13a 및 도 13b에 의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오른쪽」, 「왼쪽」이란, 확산시트를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용의 투과형 스크린에 짜넣어 이용한 상태에서의 「오른쪽」, 「왼쪽」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201)는,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을 한 복수의 단위 렌즈부(211)을 갖추고 있다. 각 단위 렌즈부(21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수평방향의 절단면(단위 렌즈부(11)의 장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한 면)이 거의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고, 당해 절단면에서의 측변에 대응하는 면(측면(311))과 당해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에 대응하는 하부 저면(입광면(312)) 및 당해 절단면에서의 짧은 저변에 대응하는 상부 저면(출광면(313))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사다리꼴 형상에 있어서, 그 양 저면(즉, 상부 저면 및 하부 저면)은 평행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각 단위 렌즈부(11)의 절단면의 형상은 정확하게는 사다리꼴이 아닌 경우도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적으로 사다리꼴이라고 생각하고 설명한다. 또한, 각 단위 렌즈부(211)는 렌티큘러 렌즈라고도 불리는 것이고, 확산시트(201)는 렌티큘러 렌즈 시트라고도 불리는 것이다.
여기에서, 각 단위 렌즈부(211)는 투명수지 필름기재(222)상에서 그 장축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연속해서 배열되어 있다. 이 때, 각 단위 렌즈부(211)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211)의 상부 저면 및 하부 저면중 넓은 면(도 1에서는 입광면(312))이 전부 입광측의 1평면(투명수지 필름기재(222)의 표면) 위에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211) 사이에는, 출광측으로부터 입광하는 외부광을 흡수하는 거의 삼각기둥 형상의 복수의 광흡수부(2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광흡수부(212)는 블랙 스트라이프라고도 불리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확산시트(201)에 있어서,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출광된 영상광은 각 단위 렌즈부(211)의 입광면(312)측으로부터 입광되어 각 단위 렌즈부(211)를 통과한 다음 출광면(313)측으로부터 출광된다.
여기에서, 각 단위 렌즈부(211)는 광흡수부(212)와의 사이의 경계가 되는 면으로서 곡면으로 이루어진 측면(311)을 가지고 있어 당해 각 단위 렌즈부(211)로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이 측면(311a, 311b)에 있어서 전반사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단위 렌즈부(211)의 굴절률 nl 와 광흡수부(212)의 굴절률(n2)은 n1>n2의 관계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어 단위 렌즈부(211) 및 광흡수부(212)의 각 부를 구성하는 재료는 상기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선택되어 있다.
또한, 각 단위 렌즈부(211)의 재료는, 상술한 굴절률(nl, n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부터 렌티큘러 렌즈의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방사선 경화형 수지나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틀형상에 충실한 성형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각 광흡수부(212)는, 출광측으로부터 입광하는 외부광 및 각 단위 렌즈부(211)의 출광면(313)으로부터 당해 각 단위 렌즈부(211)에 입광하여 측면(311)에 도달한 외부광을 흡수 및/또는 차광하여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각 광흡수부(212)의 이러한 기능에 의해, 관찰되는 영상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광흡수부(212)의 재료로서는, 상술한 굴절률(n1, n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실리콘이나 불소 등을 도입한 저굴절률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이 사용된다. 또, 각 광흡수부(212)에는, 외부광을 흡수 및/또는 차광 등을 하기 위해 광흡수 입자를 첨가해도 좋다. 여기에서, 광흡수 입자로서는, 예컨대 탄소 등의 안료나, 적색, 청색, 황색, 흑색 등의 복수의 염료, 또는 이들 안료 및/또는 염료로 착색된 아크릴계 가교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확산시트(201)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세로 50㎝×가로 70㎝×두께 O.1㎝∼세로 150㎝×가로 200㎝×두께 O.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단위 렌즈부(211)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입광면(3112)의 폭이 50∼80㎛, 입광면(312)과 출광면(313) 사이의 거리(렌즈 높이)가 100∼170㎛, 장축방향의 길이가 50∼1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단위 렌즈부(211)의 크기를 이와 같이 미세화함으로써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13a 및 도 13b에 의해,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확산시트(201)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시트(201)에 있어서는,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양 측변(측면(311a))이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단위 렌즈부(211a)와,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양 측변(측면 (311b))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단위 렌즈부(211b)가 수호에 연속해서 배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확산시트(201)에 있어서는, 각 단위 렌즈부(211a, 211b(211))의 절단면에서의 복수의 측변(311)이 전체로서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측면(311a)) 및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측면(311b))의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 또, 확산시트(201)에 있어서는, 각 단위 렌즈부(211a)의 절단면에서의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측면(311a))의 수와 각 단위 렌즈부(211b)의 절단면에서의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측면(311b))의 수가 확산시트(201)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다. 게다가, 확산시트(201)에 있어서는,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우측면(311a))의 수와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좌측변(좌측면(311a))의 수가 거의 동일하고, 또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우측면(311b))의 수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좌측변(좌측면(311b))의 수가 거의 동일하다.
또, 확산시트(201)에 있어서, 단위 렌즈부(211)의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입광면(312))과 측변(전반사면인 측면(311)) 사이의 평균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75°∼80°정도, 바람직하지는 80°∼84°정도이다.
여기에서, 평균 각도란, 전반사면인 측면(311)의 양단을 연결한 직선과 입광면(312) 사이의 각도(예각)를 측정한 값이다. 또한, 평균 각도로 한 것은, 전반사면이 되는 측면(311)이 곡면인 경우에 정확한 각도를 특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확산시트(201)에 의하면,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시트(201)의 각 단위 렌즈부(211a, 211b(211))로부터의 광의 출광방향이 주로 5개의 방향으로 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5개의 방향이란, 각 단위 렌즈부(201)의 측면(311a, 311b(311))에서 반사되지 않고 직진하는 1개의 방향(Ll, L4), 내측으로 볼록한 측면(311a)에서 반사하여 중심에서 떨어진 각도로 좌우로 진행되는 2개의 방향(L2, L3), 외측으로 볼록한 측면(311b)에서 반사하여 중심에 가까운 각도로 좌우로 진행되는 2개의 방향(L5, L6)을 합계한 것이다. 또한, 전반사면이 되는 측면(311a, 311b(311))은 곡면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하나의 측면(311a, 311b(311))에서 반사된 광이 전부 같은 방향으로 출광되는 일은 없지만, 여기에서는 출광되는 광의 중심방향이 각 출광방향(L2, L3, L5, L6)인 것으로 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확산시트(201)에 의한 게인을 측정하면,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관찰각도(관찰 방향과 시트의 법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밝기(게인)를 나타내는 게인 곡선은, 각 출광방향에 대응하는 5개 이상의 밝기의 피크(극대치)를 갖게 되고, 이들 각 피크의 아래쪽이 서로 겹치기 때문에, 전체로서 중심에 피크를 갖는 좌우대칭의 완만한 곡선이 된다. 이와 같이, 확산시트(201)는, 게인 곡선을 좌우대칭으로 완만한 것으로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단위 렌즈부(211a, 211b(211))의 출광면(313)측으로부터 관찰자가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영상을 관찰한 경우에, 관찰자가 시트면에 대해서 정면에서 본 경우가 가장 밝고, 시트면에 대한 수직선과 시선이 이루는 각도가 커짐에 따라 서서히 어두워진다. 이 때문에, 관찰자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영상의 밝기가 극단적으로 달라 관찰되는 것이 없고, 관찰자에게 있어 영상이 자연스럽고 쉽게 보여진다. 또, 관찰자가 정지해서 영상을 관찰한 경우에도, 하나의 영상면내에서의 밝기의 얼룩이 없고, 밝기 균일성이 뛰어난 영상을 관찰할 수 있어 관찰자에게 있어 영상이 자연스럽고 쉽게 보여진다.
(확산시트의 제조방법)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201)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단위 렌즈부(211)를 성형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금형)을 준비한다. 이러한 성형틀은, 평면형상인 경우와 롤형상인 경우가 있다. 또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이렇게 해서 제작된 성형틀이 확산시트를 제조하게 되지만, 구체적인 성형방법으로서는 이하의 2종류를 들 수 있다.
제1성형방법으로서, 롤형상의 성형틀을 이용하는 성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회전가능한 축에 고정된 롤형상의 성형틀과 롤러 사이에 확산시트(201)의 투명수지 필름기재(222)로 되는 PET 필름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이 PET 필름과 롤형상의 성형틀 사이에 상술한 재료로 이루어진 단위 렌즈부(211)용의 액상 수지(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유입시킨다. 이 수지를 PET 필름과 함께 롤형상의 성형틀을 따라 통과시키고, 수지를 복수의 단위 렌즈부(211)의 형상으로 한다. 그리고, 롤형상의 성형틀과 롤러 사이에 PET 필름 및 수지를 통과시킨 후, PET 필름상의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지를 경화시킨다. 그 후, 경화시킨 수지와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시트를 롤형상의 성형틀로부터 이형한다. 이상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행해짐으로써 확산시트(201)의 주요 부분이 형성된다.
제2성형방법으로서, 평면형상의 성형틀을 이용하는 성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평면형상의 성형틀에, 상술한 재료로 이루어진 단위 렌즈부(211)용의 액상 수지(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매립하도록 도포(코팅)하고, 그 위에 투명수지 필름기재(222)가 되는 PET 필름을 놓고 프레스한 다음 자외선을 조사해서 수지를 경화시킨다. 그 후, 경화시킨 수지와 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시트를 성형틀로부터 박리함으로써, 확산시트(201)의 주요 부분이 형성된다.
그 후, 상술한 제1 및 제2성형방법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형틀로부터 박리된 시트 중 각 단위 렌즈부(211)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상술한 광흡수부(212)용의 재료(흑색 수지)를 매립하도록 도포(코팅)해서 광흡수부(212)를 형성한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201)가 제조된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6에 의해, 상술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확산시트용 성형틀은, 일반적으로 성형틀 재료에, 단위 렌즈부(211)에 대응하는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凹부를 절삭함으로써 제작된다. 또한, 성형틀 재료로서는, 강재 등의 변형되기 어려운 재료를 사용해도 좋지만, 변형되기 어려운 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절삭용 공구(바이트)로의 절삭시에 절삭용 공구가 파손되기 쉽다. 여기에서, 절삭용 공구가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절삭을 처음부터 다시 할 필요가 생겨 생산성을 현저하게 저하시켜 버리기 때문에, 알루미늄이나 동, 니켈 등의 절삭성이 좋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성형틀로서 롤형상의 성형틀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연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롤형상의 성형틀 재료를 선반에 설치하고, 이 성형틀 재료를 회전시키면서 절삭용 공구(바이트) 등에 의해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절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성형틀 재료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를 남겨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복수 절삭한 후, 성형틀 재료중 남겨진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에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절삭한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6에 의해,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의 제1예)
먼저, 도 14에 의해,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의 제1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제1공정으로서, 성형틀 재료(161)를 준비하고, 하나 정도의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를 남겨(1개 간격으로)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홈; 162)를 절삭한다. 여기에서,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쪽 끝의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부터 차례로 번호를 ①, ②, ③, …으로 매기면, 제1공정에 있어서는 홀수 번호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삭된다.
이어서,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공정으로서 남겨진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에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162)를 절삭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번호를 이용하면, 이 제2공정에 있어서는 짝수 번호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삭된다.
이렇게 해서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162)를 절삭함으로써, 성형틀 재료(161)에 자연스럽게 힘이 걸려 나중에 절삭한 凹부(162)의 양측에 위치하는 凸부(163)가 그 외측(이미 절삭된 凹부(162)측)으로 기울게 되기 때문에,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틀(601)의 절단면에 있어서, 각 凹부(162) 사이에 형성되는 凸부(163)가 「좌우」, 「좌우」, 「좌우」, … 순서로 넘어진 형상으로 된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홀수 번호에 대응하는 부분을 먼저 절삭하는 것으로 했지만, 짝수 번호에 대응하는 부분을 먼저 절삭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도, 성형틀(601)의 각 凹부(162)의 사이에 형성되는 凸부(163)의 좌향 및 우향의 순번이 거의 동일하게 되어, 凸부(163)의 좌향 및 우향의 수가 성형틀(601)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게 된다.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의 제2예)
다음에, 도 15에 의해,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의 제2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제1공정으로서, 성형틀 재료(161)를 준비하고, 2개 정도의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를 남겨(2개 간격으로)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홈; 162)를 절삭한다. 여기에서,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쪽 끝의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부터 차례로 번호를 ①, ②, ③, …으로 매기면, 제1공정에 있어서는 (3의 배수 + 1)의 번호(예컨대, 1, 4, 7, 10, 13, …)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삭된다.
이어서,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공정으로서, 남겨진 2개 정도의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중 한쪽에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162)를 절삭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번호를 이용하면, 이 제2공정에 있어서는, 6의 배수의 번호와 (6의 배수 + 2)의 번호(예컨대, 2, 6, 8, 12, 14, …)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삭된다.
이어서, 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공정으로서, 남겨진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에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렌즈부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162)를 절삭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번호를 이용하면, 이 제3공정에 있어서는 3, 5, 9, 11, 15, …번호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삭된다.
이렇게 해서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162)를 절삭함으로써, 성형틀 재료(161)에 자연스럽게 힘이 걸려 나중에 절삭한 凹부(162)의 양측 또는 편측에 위치하는 凸부(163)가 그 외측(이미 절삭된 凹부(162)측)으로 기울기 때문에, 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틀(602)의 절단면에 있어서, 각 凹부(162) 사이에 형성되는 凸부(163)가 「좌좌우좌우우」, 「좌좌우좌우우」,… 순서로 넘어진 형상으로 된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162)를 절삭하는 순번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162) 사이에 형성되는 凸부(163)의 좌향 및 우향의 순번이 거의 동일하게 되어 凸부(163)의 좌향 및 우향의 수가 성형틀(602)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게 되는 것이면, 임의의 순번으로 절삭하는 것이 가능다.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의 제3예)
다음에, 도 16에 의해,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의 제3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제1공정으로서, 성형틀 재료(161)를 준비하고, 3개 정도의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를 남겨(3개 간격으로)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홈; 162)를 절삭한다. 여기에서,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쪽 끝의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부터 차례로 번호를 ①, ②, ③, …으로 매기면, 제1공정에 있어서는 (4의 배수 + 1)의 번호(예컨대, 1, 5, 9, 13, 17, …)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삭된다.
이어서,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공정으로서, 남겨진 3개 정도의 단위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중 먼저 절삭한 凹부(162)의 양 측에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162)를 절삭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번호를 이용하면, 이 제2공정에 있어서는, 2의 배수의 번호(예컨대, 2, 4, 6, 8, 10, 12, 14, 16, 18, …)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삭된다.
이어서, 도 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공정으로서, 남겨진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에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162)를 절삭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번호를 이용하면, 이 제3공정에 있어서는 3, 7, 11, 15, 19, …번호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삭된다.
이렇게 해서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162)를 절삭함으로써, 성형틀 재료(161)에 자연스럽게 힘이 걸려 나중에 절삭한 凹부(162)의 양측 또는 편측에 위치하는 凸부(163)가 그 외측(이미 절삭된 凹부(162)측)으로 기울기 때문에, 도 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틀(603)의 절단면에 있어서, 각 凹부(162) 사이에 형성되는 凸부(163)가 「좌좌우우」, 「좌좌우우」, … 순서로 넘어진 형상으로 된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162)를 절삭하는 순번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162) 사이에 형성되는 凸부(163)의 좌향 및 우향의 순번이 거의 동일하게 되고, 凸부(163)의 좌향 및 우향의 수가 성형틀(603)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게 되는 것이면, 임의의 순번으로 절삭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제1예 내지 제3예에 따른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는, 성형틀 재료(161)를 절삭함으로써 형성되는 凸부(163)가 절삭중인 凹부(162)에서 봐서 외측으로 변형(소성변형)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는 반대로, 성형틀 재료(161)에 형성되는 凸부(163)가 절삭중인 凹부(162)에서 봐서 내측으로 변형(탄성변형)되는 경우에도, 같은 수순으로 절삭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방향이 반대로 되지만, 전체로서 마찬가지의 확산시트용 성형틀을 제작할 수 있다. 또, 이 후자의 확산시트용 성형틀에 의해서도, 상술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후자의 확산시트용 성형틀에 있어서는, 서로 이웃하는 凹부(162) 사이에 형성되는 凸부(163)가 먼저 절삭한 凹부(162)측으로부터 나중에 절삭한 凹부(162)측으로 넘어진 형상으로 된다.
또, 이 이외에도 성형틀 재료(161)의 탄성변형과 소성변형이 모두 서로 작용하여 서로 이웃하는 凹부(162) 사이에 형성되는 凸부(163)이 넘어진 형상은 되지 않지만, 凸부(163)의 양측이 곡면의 형상으로 되는 확산시트용 성형틀이 제작되는 경우도 있다. 또, 성형틀 재료(161)가 탄성변형도 소성변형도 되지 않고 서로 이웃하는 凹부(162) 사이에 형성되는 凸부(163)의 측면이 곡면이 아니고 평면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에 의해서도, 상술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성형틀 재료(161)에서의 탄성변형 및 소성변형은, 통상 성형틀 재료(161)의 절삭 조건(예컨대, 성형틀 재료(161)을 절삭하는 속도나 절삭용 공구의 블레이드(blade)의 상태 등)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확산시트용 성형틀을 제작할 때에는, 그 성형틀 재료(161)의 절삭 조건에 의하면, 어느 쪽 변형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틀 재료가 어느 쪽 변형을 하는 경우에도 같은 절삭수순에 따라 절삭함으로써, 凸부(163)의 측면의 형상 및 기울기가 소망하는 형상을 이루는 확산시트용 성형틀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은, 상술한 제1예 내지 제3예에 따른 제작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성형틀의 각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 사이에 형성되는 凸부의 좌향 및 우향의 수가 성형틀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게 된다면, 다른 임의의 제작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해서 제작되는 확산시트용 성형틀은, 각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 사이에 형성되는 凸부의 기운 상태가 전체로서 좌우대칭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이러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에 의해 성형된 확산시트가 넓은 각도(중심에 가까운 각도와 중심에서 떨어진 각도 사이의 각도)에 걸쳐 평균적으로 광을 출광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시트용 마스터(master) 성형틀)
또한, 상술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과 같은 수순으로 확산시트용 마스터 성형틀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해서 제작된 확산시트용 마스터 성형틀을 이용해서 확산시트용 성형틀을 복제한 다음, 이렇게 해서 복제된 확산시트용 성형틀을 이용해서 확산시트를 성형하도록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상술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과 같은 수순으로 확산시트용 마스터 성형틀을 제작한다. 다음에, 이렇게 해서 제작된 마스터 성형틀의 표면에, 예컨대 전기주조법 등에 의해 니켈 등의 제1형성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형성층은 마스터 성형틀로부터 박리되어 마더 성형틀이 된다. 이어서, 마더 성형틀의 표면에, 예컨대 전기주조법 등에 의해 니켈 등의 제2형성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형성층은 마더 성형틀로부터 박리되어 필요에 따라 배접(backing)이 실시되어 확산시트용 성형틀이 된다. 이렇게 해서 제작된 확산시트용 성형틀은, 확산시트용 마스터 성형틀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술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확산시트용 성형틀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확산시트용 마스터 성형틀에 있어서도, 그 성형틀 재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소성변형 및 탄성변형 양쪽 또는 어느 하나의 특성이 있고, 그것에 따라 凸부의 측면의 형상 및 기울기가 소망하는 형상을 이루는 확산시트용 마스터 성형틀이 제작된다.
제4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상술한 제4실시예에 따른 확산시트(201)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확산시트(201)의 입광측에 배치된 프레넬 렌즈시트(230)와 함께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투과형 스크린(250)이 구성된다.
이하, 도 17에 의해 확산시트(201)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250)의 개략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7은 투과형 스크린(250)을 그 사용상태에 있어서 표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과형 스크린(250)은 확산시트(201)와 그 입광측에 배치된 프레넬 렌즈시트(230)를 갖추고 있다. 이 투과형 스크린(250)은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 등에 이용되는 것이다. 또, 프레넬 렌즈시트(230)는 영상투영장치 등의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출광된 영상광을 거의 평행광으로 조정해서 출광되어 확산시트(201)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프레넬 렌즈시트(230)로부터 출광된 거의 평행광은, 확산시트(201)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입광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확산시트(201)의 각 단위 렌즈부(211)를 통과하거나, 또는 측면(211)에서 반사되어 각 출광방향으로 출광된다. 여기에서, 프레넬 렌즈시트(230)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영상 투영장치 등의 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확대 투영된 영상광을 거의 평행광으로서 출광시키는 동시에 확산시트(201)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입광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투과형 스크린(250)에 의하면, 관찰자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도, 관찰자가 정면 및 그 이외의 위치(단, 적당하게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시야 각도내의 위치)에서 정지해서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도, 영상면내에서의 밝기의 얼룩이 없고, 또 영상면내에서의 밝기 균일성이 좋은 영상이 쉽게 보여지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시트(201)중 단위 렌즈부(211)의 출광면(313)측에는 확산제를 함유한 지지판(221)을 배치하면 좋다. 여기에서, 확산시트(201)에 있어서는, 각 단위 렌즈부(211)가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이 되어 있어 출광면(313)이 평탄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판(221)을 문제없이 접합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지지판(221)을 배치함으로써, 확산시트(201)의 출광측의 표면에 반사방지처리를 실시하여 반사 방지층(223)을 형성하거나 표면경화처리를 실시하여 표면 경화층(22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층은 확산시트(201)의 출광측의 표면에 지지판(221)을 매개로 설치되게 된다. 이 중, 반사 방지층(223)에 의해, 실내조명 등의 외부광이 스크린으로 반사되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표면 경화층(224)에 의해, 스크린으로의 접촉 및 더러움의 닦기가 행해진 경우에도 스크린 표면에 상처가 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투과형 스크린(250)에 있어서는, 지지판(221)에 함유되는 확산제에 의해 확산시트(201)의 각 단위 렌즈부(211)로부터 출광된 일방향을 향하는 광이 지지판(221)에 함유되는 확산제 입자에 입광 및 출광될 때에 굴절되고, 또 확산제 입자의 외면에서 반사됨으로써, 확산되어 복수의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 때문에, 관찰자의 위치에 따른 영상의 밝기의 얼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확산제란, 지지판(221)을 형성하는 수지 등과는 굴절률이 다른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입자이며, 지지판(221)내로 분산되어 있다. 이러한 확산제로서는, 아크릴 가교비즈나 유리비즈 등이 이용된다. 또한, 이러한 지지판(221)을 확산시트(201)상에 배치한 경우에는, 상술한 게인 곡선에서의 중심의 피크 이외의 피크(극대치)를 확산제 입자에 의한 확산에 의해 없앨 수 있다.
또, 투과형 스크린(250)에 있어서는, 지지판(221)의 출광측의 표면을 평탄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판(221)의 출광측의 표면이 평탄함으로써, 영상을 왜곡없이 평면에 표현할 수 있어 관찰자가 영상을 쉽게 보게 된다. 또, 확산시트(201)의 표면이 곡면이 아니고, 요철이 없어지기 때문에 간단하게 손으로 닦을 수 있어 확산시트(201)의 표면에 상처가 남거나 먼지가 붙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투과형 스크린(250)에 있어서는, 지지판(221)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자외선 흡수작용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지판(221)에 의해 외부광에 포함되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져 내부의 단위 렌즈부(211) 등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열화(변색이나 변질 등)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221)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 자체가 자외선 흡수작용을 갖는 경우에는, 반드시 자외선 흡수제를 별도 함유시킬 필요는 없다. 여기에서, 지지판(221)을 형성하기 위한 자외선 흡수작용을 갖는 재료로서는, 아크릴산에스테르계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지지판(221)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자외선을 흡수하기 어려운 수지를 사용한을 경우에는, 벤조페논계나 벤조트리아졸계, 아크릴레이트계, 살리실레이트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제4실시예에 있어서는,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양 측변(측면(311a))이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단위 렌즈부(211a)와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양 측변(측면(311b))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단위 렌즈부(211b)를 교대로 배열하고 있지만, 배열의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체로서 광의 출광방향이 좌우대칭으로 되는 것이면, 상술한 모양 이외의 임의의 모양으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와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좌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고, 또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좌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201) 전체로서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제4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단위 렌즈부(211)의 거의 사다리꼴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양 측변(측면(311))이 곡선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전체로서 광의 출광방향이 좌우대칭이 되는 것이면,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한쪽 측변을 곡선, 다른쪽 측변을 직선(즉, 측면이 곡면은 아니고 평면)으로 해도 좋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각 단위 렌즈부의 절단면에서의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의 수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고, 또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와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좌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며, 또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좌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고, 또 직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와 직선으로 이루어진 좌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술한 제4실시예에 있어서는, 확산시트(201)를 구성하는 각 단위 렌즈부(211)의 수평방향의 절단면의 형상을, 도 2 및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측면(311)의 평균 각도가 하나의 단위 렌즈부(211)중에서 동일)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측면(311)의 평균 각도가 하나의 단위 렌즈부(211)중에서 다른 사다리꼴 형상으로 해도 좋다.
실시예
이하, 상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구체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에 따른 확산시트로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시트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금형 재료에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를 순차적으로 절삭함으로써, 복수의 단위 렌즈부가 연속해서 배열된 확산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롤형상의 금형을 준비했다. 이 금형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단위 렌즈부는, 그 수평방향의 절단면이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하고, 그 피치(p)가 70㎛, 렌즈 높이(h)가 140㎛, 피치(p)에 대한 광흡수부의 삼각형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출광면측의 저변의 길이(w)의 비율(w/p)이 56%, 입광면과 측면(전반사면) 사이의 각도(θ)가 82°가 되도록 했다.
이렇게 해서 준비된 롤형상의 금형에, 경화후의 굴절률(n1)이 1.55인 UV수지를 매립하여 두께 50㎛의 PET 필름기재를 이용해서 확산시트를 제조했다.
그 후, 각 단위 렌즈부 사이의 V형 홈에 광흡수부를 형성했다. 광흡수부는 굴절률(n2)이 1.49인 아크릴계 도료중에 평균 입자지름이 3㎛인 흑색 비즈를 분산시킨 광흡수제를 이용해서 형성했다.
이상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시트를 제조했다. 또한, 이렇게 해서 제조된 확산시트의 출광측의 표면에 확산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MS 수지로 이루어진 두께 2㎜의 지지판을 접착하고, 이 확산시트와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프레넬 렌즈시트를 조합시킴으로써 투과형 스크린을 얻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2에 따른 확산시트로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시트를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이등변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하나의 단위 렌즈부에서의 입광면과 측면(전반사면) 사이의 각도(θ1)를 80°, 이등변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다른 단위 렌즈부에서의 입광면과 측면(전반사면) 사이의 각도(θ2)를 82°로 하고, 이 2종류의 단위 랜즈부를 교대로 배열하여 전체로서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했다. 그 이외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 1-1과 같게 해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시트를 제조했다. 또, 실시예 1-1과 같게 해서 상술한 확산시트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을 얻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에 따른 확산시트로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시트를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비이등변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단위 렌즈부로서, 다른 한쪽 측면(전반사면)과 입광면 사이의 각도(θ3)를 80°, 다른쪽 측면(전반사면)과 입광면 사이의 각도(θ4)를 82°로 한 단위 렌즈부를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중 각도 θ3로 되는 변에 대응하는 면끼리, 각도 θ4로 되는 변에 대응하는 면끼리가 서로 접하는 모양으로 배열하여 전체로서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했다. 그 이외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 1-1과 같게 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시트를 제조했다. 또, 실시예 1-1과 같게 해서 상술한 확산시트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을 얻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1-4에 따른 확산시트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시트를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이등변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단위 렌즈부에 있어서, 그 측면(전반사면)을 각도가 다른 복수의 평면에 의해 꺾인 선모양으로 형성했다. 여기에서, 하나의 측면중 입광면측의 측면(전반사면)과 입광면 사이의 각도(θ5)를 80°, 다른 출광면측의 측면(전반사면)과 입광면 사이의 각도(θ6)를 82°로 했다. 그리고, 이러한 꺾인 선모양의 측면을 양측에 갖춘 단위 렌즈부를,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의 측면(전반사면)과 입광면 사이의 각도끼리가 같아지도록 배열하여 전체로서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했다. 그 이외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 1-1과 같게 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시트를 제조했다. 또, 실시예 1-1과 같게 해서 상술한 확산시트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을 얻었다.
(비교예 1-1)
비교예 1-1로서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시트를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이등변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단위 렌즈부로서, 입광면과 측면(전반사면) 사이의 각도가 78°인 단위 렌즈부를 배열하여 전체로서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했다. 그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1-1과 같게 해서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시트를 제조했다. 또, 실시예 1-1과 같게 해서 상술한 확산시트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을 얻었다.
피치 p(㎛) 렌즈 높이 h(㎛) 광흡수부 저변길이 w(㎛) w/p(%) h/p(%) 각도
실시예 1-1 70 140 39 56 200 82°
실시예 1-2 70 140 44 63 200 80°(θ1) 82°(θ2)
실시예 1-3 70 140 44(평균) 63 200 80°(θ3) 82°(θ4)
실시예 1-4 70 140 44 63 200 80°(θ5) 82°(θ6)
비교예 1-1 70 90 38 54 129 78°
(평가 결과)
실시예 1-1∼1-4 및 비교예 1-1에 따른 투과형 스크린을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에 설치하고, 그 스크린에 영사되는 영상을 평가했다. 실시예 1-1∼1-4 각각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관찰각도에 의해서도, 밝기 균일성이 좋은 영상이 관찰되었다. 한편, 비교예 1-1에 있어서는, 정면에서의 관찰시에도, 밝기 균일성이 나쁘고, 게다가 관찰각도에 의해 밝기의 얼룩이 강조되는 영상이 관찰되었다.
다음에, 상술한 제4실시예의 구체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2-1)
실시예 2-1에 따른 확산시트로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시트를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금형 재료에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를 순차적으로 절삭함으로써, 복수의 단위 렌즈부가 연속해서 배열된 확산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롤형상의 금형을 준비했다. 이 금형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단위 렌즈부는, 그 수평방향의 절단면이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하고, 그 입광면의 폭(피치)이 70㎛, 단위 렌즈부의 입광면과 출광면의 거리(렌즈 높이)가 150㎛, 단위 렌즈부의 입광면의 폭에 대한 입광면의 폭과 출광면의 폭과의 차이의 비율이 60%, 입광면과 전반사면 사이의 평균 각도(θ)가 82°가 되도록 했다.
여기에서, 확산시트용의 롤형상의 금형을 절삭가공할 때에는, 먼저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1개 간격으로 절삭하고, 그 후 절삭되지 않고 남겨진 스페이스에 마찬가지로 해서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절삭해 갔다. 이렇게 해서 롤형상의 금형을 제작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 사이의 凸부가 「좌우」, 「좌우」, 「좌우」, … 순서로 넘어진 형상으로 되었다.
이렇게 해서 준비된 롤형상의 금형에 경화후의 굴절률(n1)이 1.55인 UV수지를 매립하여 두께 50㎛의 PET 필름기재를 이용해서 확산시트를 제조했다.
그 후, 각 단위 렌즈부 사이의 V형 홈에 광흡수부를 형성했다. 광흡수부는 굴절률(n2)이 1.49인 아크릴계 도료내에 평균 입자지름이 3㎛인 흑색 비즈를 분산시킨 광흡수제를 이용해서 형성했다.
이상에 의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시트가 제조되었다. 또한, 이렇게 해서 제조된 확산시트의 출광측에 확산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 MS 수지로 이루어진 두께 2mm의 지지판을 접착하고, 이 확산시트와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프레넬 렌즈시트를 조합함으로써 투과형 스크린을 얻었다.
(비교예 2-1)
확산시트용의 롤형상의 금형을 제작할 때에, 단위 렌즈용의 凹부를 끝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절삭해서 간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같은 수순으로 확산시트용 금형을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롤형상의 금형을 제작함으로써,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 사이의 凸부가 전부 같은 방향으로 기운 롤형상의 금형을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제작된 금형을 이용해서 확산시트를 성형함으로써 실시예 2-1과 같게 해서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산시트를 제조했다. 또, 실시예 2-1과 같게 해서 상술한 확산시트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을 얻었다.
(평가 결과)
실시예 2-1 및 비교예 2-1에 따른 투과형 스크린을 배면투사형 프로젝션 텔레비젼에 설치하고, 그 스크린에 영사되는 영상을 평가했다. 실시예 2-1에 있어서는, 스크린상의 특정의 몇 점을 수평방향의 좌우에서 관찰한 경우에, 좌우 관찰방향과 관찰점을 통과하는 스크린에 대한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관찰각도)가 같은 경우에, 밝기가 같고, 또 이 관찰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밝기의 변화는 완만하여 보기 쉬운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 2-1에 있어서는, 이 관찰각도가 같은 경우에도 좌우 밝기가 다른 결과로 되었다.
또, 실시예 2-1 및 비교예 2-1에 따른 확산시트에 대해 수평방향의 게인을 측정했다. 그 결과, 실시예 2-1에 있어서는, 게인 곡선이 좌우 균등하여 중심에 피크를 갖는 완만한 게인 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에 있어서는 게인 곡선이 좌우 불균등했다.

Claims (41)

  1.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을 확산시켜 출광측으로부터 출광시키는 확산시트에 있어서,
    장축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열된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로서,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에 대응하는 면이 전부 입광측의 1평면상에 있도록 배열된 복수의 단위 렌즈부와,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중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광흡수부로서, 출광측으로부터 입광하는 외부광을 흡수하는 복수의 광흡수부를 갖추고,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로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의 일부가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측변에 대응하는 면에 있어서 전반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단위 렌즈부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 및 짧은 저변 사이의 거리가 긴 저변의 길이의 120% 이상 4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광흡수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에서의 출광측의 저변의 길이가, 상기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에서의 입광측의 긴 저변의 길이의 40% 이상 1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중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된 상기 각 광흡수부는, 그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이 거의 삼각형 형상이고, 또 이 절단면에서의 입광측의 꼭대기가 2㎛ 이상의 폭의 직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중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된 상기 각 광흡수부는, 그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이 거의 삼각형 형상이고, 또 이 절단면에서의 입광측의 꼭대기가 1㎛ 이상의 곡률반경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렌즈부의 출광측에 배치된 확산제를 함유하는 지지판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출광측의 표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자외선 흡수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렌즈부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의 입광측에 배치된 프레넬 렌즈시트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스크린.
  10.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을 확산시켜 출광측으로부터 출광시키는 확산시트에 있어서,
    장축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열된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로서,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에 대응하는 면이 전부 입광측의 1평면상에 있도록 배열된 복수의 단위 렌즈부와,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중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광흡수부로서, 출광측으로부터 입광하는 외부광을 흡수하는 복수의 광흡수부를 갖추고,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로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의 일부가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측변에 대응하는 면에 있어서 전반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단위 렌즈부는, 그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이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이고, 또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는,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측변과 입광측의 긴 저변 사이의 각도가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단위 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광흡수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에서의 출광측의 저변의 길이가, 상기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에서의 입광측의 긴 저변의 길이의 40% 이상 1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중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된 상기 각 광흡수부는, 그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이 거의 삼각형 형상이고, 또 이 절단면에서의 입광측의 꼭대기가 2㎛ 이상의 폭의 직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중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된 상기 각 광흡수부는, 그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이 거의 삼각형 형상이고, 또 이 절단면에서의 입광측의 꼭대기가 1㎛ 이상의 곡률반경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렌즈부의 출광측에 배치된 확산제를 함유하는 지지판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출광측의 표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자외선 흡수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렌즈부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의 입광측에 배치된 프레넬 렌즈시트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스크린.
  19.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을 확산시켜 출광측으로부터 출광시키는 확산시트에 있어서,
    장축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열된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로서,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에 대응하는 면이 전부 입광측의 1평면상에 있도록 배열된 복수의 단위 렌즈부와,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중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광흡수부로서, 출광측으로부터 입광하는 외부광을 흡수하는 복수의 광흡수부를 갖추고,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로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의 일부가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절단면에서의 측변에 대응하는 면에 있어서 전반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단위 렌즈부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하나의 측변과 입광측의 긴 저변 사이의 제1각도와, 다른 측변과 상기 긴 저변 사이의 제2각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광흡수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에 출광측의 저변의 길이가, 상기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에서의 입광측의 긴 저변의 길이의 40% 이상 1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중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된 상기 각 광흡수부는, 그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이 거의 삼각형 형상이고, 또 이 절단면에서의 입광측의 꼭대기가 2㎛ 이상의 폭의 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중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된 상기 각 광흡수부는, 그 장축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이 거의 삼각형 형상이고, 또 이 절단면에서의 입광측의 꼭대기가 1㎛ 이상의 곡률반경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렌즈부의 출광측에 배치된 확산제를 함유하는 지지판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출광측의 표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자외선 흡수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렌즈부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27. 제19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의 입광측에 배치된 프레넬 렌즈시트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스크린.
  28.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을 확산시켜 출광측으로부터 출광시키는 확산시트에 있어서,
    장축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열된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로서,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에 대응면이 전부 입광측의 1평면상에 있도록 배열된 복수의 단위 렌즈부와,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중 서로 이웃하는 단위 렌즈부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광흡수부로서, 출광측으로부터 입광하는 외부광을 흡수하는 복수의 광흡수부를 갖추고,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로 입광측으로부터 입광한 광의 일부가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측변에 대응하는 면에 있어서 전반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단위 렌즈부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적어도 한쪽 측변이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 또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단위 렌즈부의 절단면에서의 복수의 측변은, 전체로서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 및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렌즈부의 절단면에서의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의 수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고, 또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와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좌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며, 또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좌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30. 제28항에 있어서, 절단면에서의 양 측변이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단위 렌즈부와, 절단면에서의 양 측변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단위 렌즈부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렌즈부는, 당해 각 단위 렌즈부의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한쪽 측변이 곡선으로, 다른쪽 측변이 직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렌즈부의 절단면에서의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의 수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측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고, 또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와 내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좌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며, 또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좌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하고, 또 직선으로 이루어진 우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와 직선으로 이루어진 좌측변을 갖춘 단위 렌즈부의 수가 확산시트 전체로서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렌즈부의 출광측에 배치된 확산제를 함유하는 지지판을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출광측의 표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자외선 흡수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3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렌즈부는,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37. 제28항 내지 제36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의 입광측에 배치된 프레넬 렌즈시트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스크린.
  38.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를, 장축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또 장축방향에 수직인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에 대응하는 면이 전부 입광측의 1평면상에 있도록 배열하여 이루어진 확산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확산시트용 성형틀 재료에, 서로 이웃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를 남겨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복수 절삭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이 종료된 후, 상기 성형틀 재료중 남겨진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에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절삭하는 제2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
  39.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를 장축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또 단위 렌즈부의 거의 사다리꼴 형상의 절단면에서의 긴 저변에 대응하는 면이 전부 입광측의 1평면상에 있도록 배열하여 이루어진 확산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확산시트용 마스터 성형틀 재료에, 서로 이웃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를 남겨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복수 절삭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이 종료된 후, 상기 성형틀 재료중 남겨진 단위 렌즈부용의 凹부의 스페이스에 단위 렌즈부용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凹부를 절삭해서 확산시트용 마스터 성형틀을 제작하는 제2공정 및,
    상기 제2공정에서 제작된 확산시트용 마스터 성형틀을 복제해서 확산시트용 성형틀을 얻는 제3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제작방법.
  40. 제38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작된 확산시트용 성형틀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상기 각 凹부내에 단위 렌즈부용의 액상 수지를 매립하도록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상기 각 凹부내에 매립된 액상 수지를 경화시키는 공정 및,
    상기 확산시트용 성형틀로부터 경화후의 액상 수지를 박리함으로써, 거의 사다리꼴 기둥 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를 배열하여 이루어진 확산시트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의 제조방법.
  41. 제39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작된 확산시트용 성형틀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상기 각 凹부내에 단위 렌즈부용의 액상 수지를 매립하도록 도포하는 공정,
    상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 상기 각 凹부내에 매립된 액상 수지를 경화시키는 공정 및,
    상기 확산시트용 성형틀로부터 경화후의 액상 수지를 박리함으로써, 거의 사다리꼴 기둥형상의 복수의 단위 렌즈부를 배열하여 이루어진 확산시트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의 제조방법.
KR1020057000756A 2003-03-25 2004-03-25 확산시트, 이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제작방법 및 확산시트의 제조방법 KR100788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82693 2003-03-25
JP2003082693A JP4127517B2 (ja) 2003-03-25 2003-03-25 拡散シートおよび透過型スクリーン
JPJP-P-2003-00119588 2003-04-24
JP2003119588A JP4235483B2 (ja) 2003-04-24 2003-04-24 拡散シート、拡散シート用成形型、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拡散シート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439A true KR20050073439A (ko) 2005-07-13
KR100788524B1 KR100788524B1 (ko) 2007-12-24

Family

ID=3310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756A KR100788524B1 (ko) 2003-03-25 2004-03-25 확산시트, 이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제작방법 및 확산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5) US7453639B2 (ko)
KR (1) KR100788524B1 (ko)
WO (1) WO200408506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297B1 (ko) * 2006-11-09 2013-04-09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KR20190010888A (ko) * 2019-01-23 2019-01-31 김종만 광학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구
CN114341676A (zh) * 2019-09-03 2022-04-12 3M创新有限公司 光学膜和制造此类光学膜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524B1 (ko) * 2003-03-25 2007-12-24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확산시트, 이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제작방법 및 확산시트의 제조방법
JP4676190B2 (ja) * 2004-11-25 2011-04-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及び透過型スクリーン
CN1954260B (zh) * 2005-02-02 2012-04-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反射屏、反射屏的制造方法和反射型投影系统
US20060268418A1 (en) * 2005-05-05 2006-11-30 Kim Jong M Optical films,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ing
KR100968290B1 (ko) * 2005-06-29 2010-07-07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렌티큘러 렌즈, 광확산 시트 및 프로젝션ㆍ스크린
DE102005037251A1 (de) * 2005-08-08 2007-02-15 Robert Bosch Gmbh Messgerät
DE112007000148T5 (de) * 2006-01-12 2008-11-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t. Paul Licht kollimierender Film
US7768707B2 (en) * 2006-02-06 2010-08-03 Seiko Epson Corporation Converging substrate, electro-optic device, substrate for electro-optic device, proj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80020271A (ko) * 2006-08-31 2008-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모아레 무늬 형성방지를 위한 콘트라스트 향상용 필름,이를 포함하는 pdp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4816395B2 (ja) 2006-10-12 2011-1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光拡散部材
WO2009044521A1 (ja) * 2007-10-03 2009-04-09 Sharp Kabushiki Kaisha 光拡散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1815965B (zh) * 2007-10-03 2012-01-25 夏普株式会社 光扩散片和液晶显示装置
KR101830969B1 (ko) * 2007-10-16 2018-02-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고투과 광 제어 필름
WO2009066474A1 (ja) * 2007-11-22 2009-05-28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
US8154692B2 (en) * 2007-11-22 2012-04-10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1903809B (zh) * 2007-12-21 2012-02-29 3M创新有限公司 光控膜
EP2298558B1 (en) * 2008-03-31 2013-05-15 Canon Kabushiki Kaisha Ink container and ink jet recording system
KR101714807B1 (ko) 2009-06-18 2017-03-0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 제어 필름
US20110043542A1 (en) * 2009-07-06 2011-02-24 Tsuyoshi Kashiwagi Display device
US8004760B2 (en) * 2009-10-28 2011-08-23 Microsoft Corporation Rear-projection display
WO2011068072A1 (ja) * 2009-12-01 2011-06-09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US8934173B2 (en) * 2012-08-21 2015-01-13 Svv Technology Innovations, Inc. Optical article for illuminating building interiors with sunlight
JP6221213B2 (ja) * 2012-09-24 2017-11-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車載用視野角制御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た車載用表示装置
JP5911176B2 (ja) * 2012-11-30 2016-04-2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244847B1 (ko) * 2014-12-31 2021-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초집광 도광필름 및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형 백 라이트 유닛
US20180128959A1 (en) * 2015-02-16 2018-05-10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sheet, image source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11635562B2 (en) * 2015-02-16 2023-04-25 Dai Nippon Printing Co., Ltd. Image source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60238863A1 (en) * 2015-02-16 2016-08-18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sheet, image source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11256125B2 (en) 2015-02-16 2022-02-22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sheet, image source unit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543581B1 (ko) * 2016-03-31 202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결상장치
WO2018097841A1 (en) * 2016-11-22 2018-05-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gularly and spectrally selective detector and light source systems
CN110083005A (zh) * 2018-01-23 2019-08-02 台湾扬昕股份有限公司 背投屏幕
CN208110256U (zh) * 2018-03-21 2018-11-16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背投影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8986A (en) * 1981-04-07 1983-12-06 Mitsubishi Rayon Co., Ltd. Rear projection screen
JPS58145933A (ja) * 1982-02-25 1983-08-31 Mitsubishi Rayon Co Ltd 背面投影スクリ−ン
JPS6195330A (ja) * 1984-10-16 1986-05-14 Mitsubishi Rayon Co Ltd 透過型スクリ−ン
US4767186A (en) * 1987-10-06 1988-08-30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Front projection screen with rear light concentrating lens array
NL8902112A (nl) * 1989-08-22 1991-03-18 Philips Nv Doorzichtprojektiescherm en doorzichtprojektiesysteem voorzien van een dergelijk scherm.
JPH10311906A (ja) 1997-05-12 1998-11-24 Alps Electric Co Ltd 反射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H1138209A (ja) * 1997-07-18 1999-02-12 Konica Corp 光制御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0066307A (ja) 1998-08-18 2000-03-03 Mitsubishi Rayon Co Ltd 投写スクリーン用レンズシート
JP4212697B2 (ja) 1998-12-18 2009-01-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用反射材及び反射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0347009A (ja) 1999-06-08 2000-12-15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ンズシート及び透過型スクリーン
US6417966B1 (en) * 1999-07-07 2002-07-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ar projection screen using internal reflection
US6912089B2 (en) * 2000-12-06 2005-06-28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 diffusion film and process of producing optical diffusion film
US20020191283A1 (en) * 2001-06-14 2002-12-19 Browning Gary A. Transmission projection screen
JP2003057416A (ja) * 2001-08-10 2003-02-26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拡散シート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JP5027969B2 (ja) * 2001-08-27 2012-09-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二次元視野拡大部材の製造方法
KR100708877B1 (ko) * 2002-06-27 2007-04-18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프로젝션 스크린 및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JP4205998B2 (ja) 2002-06-27 2009-01-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US6995907B2 (en) * 2002-08-29 2006-02-07 Dai Nippon Printing Co., Ltd. Diffusion sheet for use in transmission-type screen and transmission-type screen
KR100788524B1 (ko) * 2003-03-25 2007-12-24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확산시트, 이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제작방법 및 확산시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297B1 (ko) * 2006-11-09 2013-04-09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KR20190010888A (ko) * 2019-01-23 2019-01-31 김종만 광학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조명기구
CN114341676A (zh) * 2019-09-03 2022-04-12 3M创新有限公司 光学膜和制造此类光学膜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29050B2 (en) 2010-06-01
KR100788524B1 (ko) 2007-12-24
US20080212178A1 (en) 2008-09-04
US20080212177A1 (en) 2008-09-04
US20050213245A1 (en) 2005-09-29
US7474463B2 (en) 2009-01-06
US20090040605A1 (en) 2009-02-12
US7688507B2 (en) 2010-03-30
US20080247040A1 (en) 2008-10-09
US7688508B2 (en) 2010-03-30
US7453639B2 (en) 2008-11-18
WO2004085067A1 (ja) 200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524B1 (ko) 확산시트, 이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제작방법 및 확산시트의 제조방법
JP4127517B2 (ja) 拡散シートおよび透過型スクリーン
CN110168443B (zh) 显示组件的光控膜
US8896925B2 (en) Micro-lens array sheet and backlight unit comprising the same
US8456590B2 (en) Optical sheet, surface light source and display device
KR101002522B1 (ko) 광학 필름
KR101233762B1 (ko) 광 확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스크린
KR100902447B1 (ko) 면광원 시스템 및 여기에 사용되는 광 편향 소자
KR100988463B1 (ko)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US20070177263A1 (en) Back projection-type screen and back projection-type projection device
JP2007536595A (ja) 光分布の均一化を期した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A2523493A1 (en) Light-redirecting optical structures
JP2006236832A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導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235483B2 (ja) 拡散シート、拡散シート用成形型、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拡散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60063965A (ko) 면 광원 장치 및 그것에 이용하는 도광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04311263A (ja) 光学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0927513B1 (ko) 면광원 장치용 도광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면광원 장치
CN116068678A (zh) 一种匀光膜、一种新型复合匀光膜及其制备方法
CN116953982A (zh) 一种正交复合匀光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