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297B1 -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297B1
KR101249297B1 KR1020060110527A KR20060110527A KR101249297B1 KR 101249297 B1 KR101249297 B1 KR 101249297B1 KR 1020060110527 A KR1020060110527 A KR 1020060110527A KR 20060110527 A KR20060110527 A KR 20060110527A KR 101249297 B1 KR101249297 B1 KR 101249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light
light shielding
inclination angle
substrate
shield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2299A (ko
Inventor
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297B1/ko
Publication of KR20080042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2Light reflecting means; Anti-refl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6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Antista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수지 재질의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 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외광 차폐부들을 구비한 외광 차폐 패턴을 포함하는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외광 차폐부는 수직 단면의 형상이 적어도 2종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광 차폐 필름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에 적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명실 명암비 및 시인성을 개선하고, 나아가 표시품질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External light blocking film for display apparatus and filter for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을 포함하는 PDP 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실내 조명 장치가 있는 경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외광 차폐 필름을 I - I' 라인을 따라 절단한 수직 단면에 대해 외부 환경광이 입사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110: 필터 베이스
112: 투명 기판 114: 전자파 차폐 필름
116: 방사 방지 필름 130: 외광 차폐 필름
132: 기재 134: 외광 차폐 패턴
150: 지지체 170: 색보정층
200: 외광 차폐 필름 220: 기재
240: 외광 차폐부 242: 제1 경사면
244: 제2 경사면 252: 제1 장변
254: 제2 장변 300: 실내 조명 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명실(明室)에서의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를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 장치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표하는 CRT(cathode ray tube) 에 비해 대형화 및 박형화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PDP 장치는 가스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표시용량, 휘도, 명암 대비, 잔상, 시야각 등의 각종 표시능력이 우수하다. 그리고, PDP 장치는 다른 표시장치보다 대형화가 용이하고, 박형의 발광형 표시장치로써 향후 고품질 디지털 텔레비전으로서 가장 적합한 특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 CRT를 대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PDP 장치는 전극에 인가되는 직류 또는 교류 전압에 의하여 전극 사이의 가스에서 방전이 발생하고, 여기에서 수반되는 자외선의 방사에 의하여 형광체를 여 기시켜 발광하게 된다.
그러나, PDP 장치는 그 구동 특성상 전자파 및 근적외선의 방출량이 많고 형광체의 표면반사가 높을 뿐 아니라 봉입가스인 헬륨(He)이나 제논(Xe)에서 방출되는 오렌지 광으로 인해 색순도가 음극선관에 미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PDP 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및 근적외선에 의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무선 전화기나 리모콘 등의 정밀기기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PDP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DP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와 근적외선의 방출을 소정치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전자파 및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동시에 반사광을 감소시키고 색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전자파 차폐, 근적외선 차폐, 빛 표면 반사방지 및/또는 색순도 개선 등의 기능을 갖는 PDP 필터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PDP 장치는 가스방전현상이 일어나는 방전셀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전자파 및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PDP 필터로 구성된다. PDP 필터는 패널 어셈블리의 전면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투명성도 동시에 만족해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PDP 장치에서, 외부가 밝은 조건 즉, 명실(明室) 조건에서는 외부 환경광이 PDP 필터를 통과하여 패널 어셈블리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패널 어셈블리 내의 방전셀에서 발생된 입사광과 외부로부터 PDP 필터를 통과하여 유입된 외부 환경광의 중첩이 발생한다. 그 결과, 명실 조건에서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가 저하되어 PDP 장치의 화면 표시능력이 열악해진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외부 환경광을 흡수하는 외광 차폐 필름을 PDP 필터의 일부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외광 차폐 필름에 광흡수체가 충진된 외광 차폐 패턴을 형성시킨 경우, 패널 어셈블리로부터 나오는 빛이 일부 흡수되어 PDP 장치의 휘도가 떨어지고 시야각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외부 환경광을 효율적으로 차폐하여 명실 명암비를 증가시키는 것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화면의 휘도 및 시야각을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의 외광 차폐 패턴은 복수의 외광 차폐부들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장변에 평행하게 배열된 스트라이프 형상이다. 외광 차폐 필름의 기재의 내부로 경사면을 이루면서 일정한 형상으로 규칙적으로 파여진 홈 내부에는 광흡수체가 충진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PDP 장치를 사용할 경우 실내 조명 장치로부터 입사되는 외부 환경광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각 지점마다 입사각을 달리한다. 따라서, 획일적인 형상의 외광 차폐 패턴으로는 다양한 입사각을 가진 외광의 흡수 효율에 한계가 있다. 또한, 광흡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외광 차폐 패턴에 충진되는 광흡수체의 농도를 높이거나 외광 차폐 패턴의 홈의 깊이를 증가시킬 경우에, 종래의 일반적인 외광 차폐 필름의 제조 공법상, 광흡수체의 충진이 불완전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광흡수체의 농도와 외광 차폐 패턴의 깊이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외광 차폐 패턴의 단면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명실 조건에서의 명암 대비비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외광 차폐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외광 차폐용 필름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외광 차폐 필름은 투명 수지 재질의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 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외광 차폐부들을 구비한 외광 차폐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외광 차폐부의 수직 단면의 형상은 2종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광 차폐부는 기재의 외부로 노출된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경사면을 갖는 쐐기형 내지 사다리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광 차폐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는 필터 베이스 및 외광 차폐 필름을 구비한다. 상기 외광 차폐 필름은 투명 수지 재질의 기재의 일 면에 외광 차폐 패턴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외광 차폐 패턴은 복수의 외광 차폐부들로 구성된다. 상기 외광 차폐부는 수직 단면의 형상이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DP 필터(100)는 투명기판(112)에 다양한 차폐 기능을 갖 는 기능성 층들을 포함하는 필터 베이스(110) 및 외광 차폐 필름(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필터 베이스(110)는 투명기판(112), 전자파 차폐 필름(114) 또는 반사 방지 필름(116)이 순서에 상관없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투명기판(112)으로는 일반적으로 유리 또는 아크릴 같은 투명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다만 필터 베이스(110)의 사양에 따라 이러한 투명기판(112)은 제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투명기판(112)으로는, 유리, 석영 등의 무기화합물 성형물과 투명한 유기고분자 성형물을 들 수 있다. 유기고분자 성형물로 이루어진 투명기판(112)으로는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명기판(112)은 고투명성과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분자 성형물 및 고분자 성형물의 적층체를 투명기판(112)으로 사용할 수 있다. 투명기판(112)의 투명성에 관해서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유리하며, 내열성에 관해서는 유리전이온도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성형물은 가시광선 파장영역에 있어서 투명하면 되고, 가격, 내열성, 투명성 면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 방지 필름은 시청자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외광이 다시 외부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의 명암 대비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사 방지 필름(116)은 투명 기판(112)의 타면에 형성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적층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 사 방지 필름(116)은 PDP 필터(100)가 PDP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시청자 쪽이 되는 면, 즉 패널 어셈블리 쪽과는 반대쪽 면에 형성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전자파 차폐 필름은 패널 어셈블리로부터 발생한 전자파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을 도전성이 큰 물체로 덮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전자파 차폐 필름(114)으로는 도전성 메쉬 필름 또는 금속박막과 고굴절률 투명박막을 적층한 다층 투명도전막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전성 메쉬 필름으로는 일반적으로는, 접지된 금속메쉬, 또는 합성수지나 금속섬유의 메쉬에 금속피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메쉬 필름을 구성하는 금속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구리, 크롬, 니켈, 은, 몰리브덴, 텅스텐, 알루미늄 등 전기전도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있는 금속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다층 투명도전막은 ITO(Indium Tin Oxide)로 대표되는 고굴절 투명박막을 전자파 차폐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다층 투명도전막으로서는 금, 은, 구리, 백금, 팔라듐 등의 금속박막과, 산화인듐, 산화제2주석, 산화아연 등의 고굴절률 투명박막을 교대로 적층한 다층박막 등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 베이스(110)는 별도로 근적외선 차폐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적외선 차폐층은 패널 어셈블리로부터 발생하여 무선전화기나 리모콘 등의 전자기기의 오동작을 일으키는 강력한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파 차폐 필름(114)으로서 금속박막과 고굴절률 투명박막을 적층한 다층 투명도전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층 투명도전막이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근적외선 차폐층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전자파 차폐 필름(114)만으로 근적외선과 전자파를 차폐하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근적외선 차폐층을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파 차폐 기능, 반사 방지 기능에 대응하는 필름들이 각각 별개의 것으로서 분리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 베이스(1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필름은 전자파 차폐 기능, 반사 방지 기능 또는 이들의 조합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필터 베이스(110)는 앞서 언급한 전자파 차폐 기능, 반사 방지 기능 또는 이들의 조합 기능을 모두 가질 수도 있고, 이 중 어느 하나만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외광 차폐 필름(130)은 필터 베이스(110)의 일 면, 즉 투명 기판(112)을 기준으로 상기 반사 방지 필름(116)의 반대 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외광 차폐 필름(130)은 필터 베이스(110)의 패널 어셈블리 쪽의 면, 즉 PDP 필터(100)가 PDP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시청자 쪽과 반대쪽 면에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터 베이스(110)의 타면에 외광 차폐 필름(13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외광 차폐 필름(130)은 외부로부터 패널 어셈블리로 유입되는 외광을 차단하는 외광 차폐 패턴(13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광 차폐 패 턴(134)은 상기 외광 차폐 필름(130)의 일 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양 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광 차폐 패턴(134)은 일정한 주기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블랙 스트라이프(black stripe)로 구성되나, 상기 외광 차폐 패턴(134)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광 차폐 필름(130)은 직접 필터 베이스(110)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50)에 외광 차폐 필름(130)을 형성한 후 필터 베이스(11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50)는 상기 외광 차폐 필름(1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체(150)는 자외선 투과성을 가지는 투명한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물론, 지지체(150)로는 필터의 고유 기능을 가진 막, 예를 들어 전자파 차폐 필름(114), 반사 방지 필름(116) 또는 색보정층(17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색보정층은 패널 어셈블리로부터 방출되는 입사광의 특정한 색상을 보정하는 기능을 하며, 외광 차폐 필름의 일 면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필터 베이스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광 차폐 필름의 기재(132)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외광 차폐 패턴(134)은 롤 성형법,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열 프레스(press)법이나, 외광 차폐 패턴(134)과 반대 형상이 전사된 외광 차폐 필름(130) 내에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충진하여 성형하는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광 차폐 필름(130)을 구성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반사 방지 기능, 전자파 차폐 기능, 색조절 기능 또는 이들의 조합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외광 차폐 필름(130)은 부가적으로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외광 차폐 필름(130)은 외광을 흡수하여 패널 어셈블리로 외광이 유입되는 것을 막고, 패널 어셈블리로부터 방출되는 입사광을 시청자 쪽으로 전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시광선에 대한 높은 투과율과 높은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외광 차폐 필름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은 실내 조명 장치가 있는 경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2의 외광 차폐 필름을 I - I' 라인을 따라 절단한 수직 단면에 대해 조명 장치로부터 발광된 외부 환경광이 입사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외광 차폐 필름(200)은 투명 수지 재질의 기재(220) 및 상기 기재의 일 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외광 차폐부(240)들을 구비한 외광 차폐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외광 차폐부(240)는 상기 기재의 일 면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기재의 외부로 노출된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경사면을 갖는 사다리꼴 형태이며,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외광 차폐 필름(200)의 제1 장변(252) 및 제2 장변(254)과 평행한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광 차폐부(240)는 단면이 쐐기형 내지 일반적인 사각형 등의 형태 등을 가질 수 있고, 외광 차폐 패턴 또한 스트라이프 형상 이 외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광 차폐 필름(200)은 투명 수지 재질의 기재(220)의 일 면에 소정의 형상을 갖는 음각 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음각 패턴 내부에 광흡수 물질을 함유한 수지를 포함하는 광흡수체를 충진하고, 상기 수지 성분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이 때, 충진되는 광흡수 물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광흡수 효율은 증가한다. 그러나, 수지 내에 함유된 광흡수 물질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광흡수체의 점도가 증가하여 충진을 여러 차례 반복해야 하는 제조 공법상의 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외광 차폐 패턴을 구성하는 외광 차폐부(240)의 단면 형상을 종래와 달리 변화시킴으로써, 명실 명암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외광 차폐부(240)의 단면 형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광 차폐 패턴은 기재(220)의 제1 장변(252) 및 제2 장변(254)과 평행한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며,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복수의 외광 차폐부(240)들로 구성되어 있다. 외광 차폐부(240)는 외광 차폐 필름(200)의 일 면으로 노출된 바닥면과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경사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경사면과 바닥면의 법선이 이루는 경사각의 크기, 즉 경사면의 기울기가 일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PDP 장치의 경우, 실내의 거실이나 방에서 벽면에 위치하게 되고, 거실이나 방의 천장 중앙에는 실내 조명 장치가 있다. 이 조명 장치로부터 나오는 빛은 소정의 입사각을 가지며 PDP 장치의 패널로 입사하게 된다. 본 실시예 에서, 시청자 측에서 볼 때 외광 차폐 필름(200)에서 실내 조명 장치(300)에 가까운 상단 부분의 장변은 제1 장변(252)이고, 반대편인 하단 부분의 장변은 제2 장변(254)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외광 차폐부(240)의 수직 단면의 형상은 사다리꼴이며, 기재(220)의 외부로 노출된 사다리꼴의 바닥면은 시청자 방향을 향하고 있다. 외광 차폐부(240)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경사면과 상기 바닥면의 법선은 소정의 경사각(taper angle, 이하 θ라 한다.)을 이루고 있다. 상기 경사각의 크기는 0°내지 80°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외광 차폐부(240)에서 제1 장변(252)에 대향하는 경사면이 제1 경사면(242), 제2 장변(254)에 대향하는 경사면이 제2 경사면(244)이다. 제1 경사면(242)과 바닥면의 법선이 이루는 경사각이 제1 경사각(θ1)이고, 제2 경사면(244)과 바닥면의 법선이 이루는 경사각이 제2 경사각(θ2)이다. 경사각을 바닥면의 법선으로부터 경사면까지 반시계 방향의 각도라고 정의할 경우, 외광 차폐부들 중에서 제1 장변에 가장 인접한 외광 차폐부의 제2 경사각은 음의 값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상기 경우에도 제2 경사각의 크기는 0°내지 80°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외광 차폐부의 바닥면의 법선이 실내 조명 장치로부터 입사한 외광과 이루는 각도는 입사각(incident angle, 이하 δ라 한다.)이다.
각 외광 차폐부(240)의 제1 경사각(θ1)과 제2 경사각(θ2)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외광 차폐부(240)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광 차폐부의 제1 경사각(θ1) 및 제2 경사각(θ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특정한 어느 외 광 차폐부(240)의 제1 경사면(242)과 제2 경사면(244)이 각각 바닥면과 이루는 제1 경사각(θ1)과 제2 경사각(θ2)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외광 차폐부의 단면 형상에서 양 경사면이 대칭을 이루지 않고 비대칭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외광 차폐부들 중 제1 장변(252)에 가장 가까운 외광 차폐부를 제외한 나머지 외광 차폐부들의 단면 형상이 비대칭적이다. 외광 차폐 패턴의 단면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경사각(θ1) 및 제2 경사각(θ2)의 크기는 다양한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외광 차폐부(24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광 차폐부의 제1 경사각(θ1)은 상기 외광 차폐부를 제외한 나머지 외광 차폐부들의 제1 경사각(θ1)과 다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광 차폐부의 제2 경사각(θ2)은 상기 외광 차폐부를 제외한 나머지 외광 차폐부들의 제2 경사각(θ2)과 다를 수 있다. 즉, 기재의 제1 장변(252)에 대향하는 제1 경사각(θ1)의 크기는 외광 차폐부마다 각기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고, 동일한 제1 경사각(θ1)의 크기를 가지는 외광 차폐부들이 여러 개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기재의 제2 장변(254)에 대향하는 제2 경사각(θ2)의 크기도 외광 차폐부마다 각기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고, 동일한 제2 경사각(θ2)의 크기를 가지는 외광 차폐부들이 여러 개일 수도 있다. 제1 경사각(θ1) 및 제2 경사각(θ2)의 크기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합목적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경사각(θ1) 및 제2 경사각(θ2)은 기재의 제1 장변(252)로부터 외광 차폐부의 위치가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갈수록 외광 차폐부의 단면은 제2 장변(252)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형태이다. 이는 실내 조명 장치(300)로부터 입사되는 외광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입사할 때, 패널 상단에서 패널 하단 방향으로 갈수록 입사각(δ)이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여, 외광 흡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외광의 입사각(δ)이 증가함에 따라, 외광 차폐부의 제1 경사각(θ1) 및 제2 경사각(θ2)의 크기가 증가하여 단면의 형상이 기울어질 경우, 입사광의 방향에 대해 외광 차폐부의 깊이가 실질적으로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외광 흡수 효율은 외광 차폐부 내에 충진된 광흡수체의 농도가 높을수록, 외광 차폐부의 깊이가 깊을수록 증가한다. 그러나, 광흡수체의 농도를 높이거나 외광 차폐부의 깊이를 증가시킬 경우 광흡수체의 충진이 불완전해지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광흡수체의 농도와 외광 차폐부의 깊이가 일정하더라도 광흡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외광 차폐 패턴의 단면 형상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경사각(θ1)의 크기는 제2 경사각(θ2)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큰 값을 가지므로, 제1 경사각(θ1)의 크기와 제2 경사각(θ2)의 크기가 다를 경우 양 변의 기울기가 비대칭적인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모든 외광 차폐부의 단면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비해 비대칭적이고 다양한 수직 단 면 형상을 가진 외광 차폐부를 포함하는 경우, 패널로부터 입사된 빛의 반사각이 커져 시청자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시야각이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외광 차폐부의 깊이를 증가시키거나 충진된 광흡수체의 농도를 높이지 않아도 광흡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외광 차폐부의 면적 대비 광흡수 효율을 증가시키므로, 같은 광흡수 효율을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광흡수체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패널로부터 나오는 빛의 투과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함에 있어서, 실내 조명 장치의 일반적인 높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위치 등을 고려하여 외광 흡수 효율이 최적화된 외광 차폐 패턴의 단면 형상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환경광이 디스플레이로 입사될 때 디스플레이 화면 상의 입사 위치에 따라 입사각이 달라짐을 고려하여 외광 차폐부의 수직 단면의 형상을 2종 이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외부 환경광의 흡수 효율을 높여 명실 명암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패널로부터 발산되어 필름에 입사되는 빛은 본 발명의 외광 차폐부의 단면 형상에 의해, 상기 단면 형상이 일정한 경우보다 반사 각도가 더 커지게 된다. 즉, 시청자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시야각을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투명 수지 재질의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외광 차폐부들을 구비한 외광 차폐 패턴을 포함하는 외광 차폐 필름에 있어서, 상기 외광 차폐부의 단면 형상은 적어도 2종이상이고,
    상기 외광 차폐부는 상기 기재의 일 면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기재의 외부로부터 노출된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바닥면의 법선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쐐기형 외광 차폐부이며,
    상기 외광 차폐부는 상기 기재의 일 장변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외광 차폐부들은 상기 기재의 일 장변에 대향한 제1 경사면 및 상기 기재의 다른 장변에 대향한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각은 상기 제1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된 제1 경사각 및 상기 제2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된 제2 경사각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경사각 및 상기 제2 경사각은 기재의 일 장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광 차폐 필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차폐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광 차폐부의 제1 경사각 및 제2 경사각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광 차폐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외광 차폐부의 제1 경사각은 상기 외광 차폐부를 제외한 나머지 외광 차폐부들의 제1 경사각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광 차폐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외광 차폐부의 제2 경사각은 상기 외광 차폐부를 제외한 나머지 외광 차폐부들의 제2 경사각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광 차폐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의 크기는 0°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광 차폐 필름.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각의 크기가 상기 제2 경사각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광 차폐 필름.
  11. 제1항에 따른 외광 차폐 필름; 및
    상기 외광 차폐 필름이 일 영역에 형성되는 필터 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베이스는,
    투명기판,
    상기 투명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되고 패널 어셈블리로부터 발생된 전자파를 차단시키는 전자파 차폐 필름; 및
    상기 투명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되고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KR1020060110527A 2006-11-09 2006-11-09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KR101249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527A KR101249297B1 (ko) 2006-11-09 2006-11-09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527A KR101249297B1 (ko) 2006-11-09 2006-11-09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299A KR20080042299A (ko) 2008-05-15
KR101249297B1 true KR101249297B1 (ko) 2013-04-09

Family

ID=3964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527A KR101249297B1 (ko) 2006-11-09 2006-11-09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742B1 (ko) * 2017-11-13 2022-06-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62686B1 (ko) * 2018-12-07 2020-10-07 임철수 직사광선에서 선명하게 보이는 디스플레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439A (ko) * 2003-03-25 2005-07-1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확산시트, 이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제작방법 및 확산시트의 제조방법
KR100579713B1 (ko) * 2005-05-04 2006-05-15 삼성코닝 주식회사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439A (ko) * 2003-03-25 2005-07-1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확산시트, 이를 갖춘 투과형 스크린, 확산시트용 성형틀의제작방법 및 확산시트의 제조방법
KR100579713B1 (ko) * 2005-05-04 2006-05-15 삼성코닝 주식회사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299A (ko)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9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US8262239B2 (en) Display filter having a great EM-radiation shielding effec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0436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79713B1 (ko)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313360A (ja) 外光遮蔽層、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用フィルタ及びこれを含んだ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80058108A (ko)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US7687781B2 (en) External light shielding film and optical filter for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97083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의 제조 방법
KR100743455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4929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KR1010494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55335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KR20080054204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10436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57625A (ko) 디스플레이필터용 외광차폐층,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86756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부재,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용 필터,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58948A (ko)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30335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65420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필터
KR1010474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527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부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73447A (ko) 외광 차폐층의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필터의 제조 방법
KR20100088759A (ko) 외광차폐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광학필터
KR20100026742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39545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