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742B1 -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742B1
KR102404742B1 KR1020170150798A KR20170150798A KR102404742B1 KR 102404742 B1 KR102404742 B1 KR 102404742B1 KR 1020170150798 A KR1020170150798 A KR 1020170150798A KR 20170150798 A KR20170150798 A KR 20170150798A KR 102404742 B1 KR102404742 B1 KR 102404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ase substrate
pattern
resin layer
block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484A (ko
Inventor
김현준
전성곤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0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7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차광 패턴부;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 2 차광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는, 제 1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는, 제 2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Description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LIGHT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실시예는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광 필름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터치 등에 사용되는 표시장치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가 화면을 송출할 때 기기 내측의 부재들이 보이지 않도록 차폐하여 선명한 화질을 표현할 수 있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차량이나 건물의 창문 등에 사용되어 외부 광을 일부 차폐 하여 눈부심을 방지 하거나,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즉, 차광 필름은 광의 이동 경로를 제어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광은 차단하고, 특정 방향으로의 광은 투과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차광 필름은 차량 등의 이동 수단에서 네비게이션, 차량용 터치 등의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네비게이션, 표시 장치를 바라보는 사용자 즉, 운전자의 시야각이 상기 네비게이션, 표시 장치와 정면이 아니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야각을 고려하여, 차광 필름을 통해 네비게이션, 표시 장치의 광 경로 각도가 제어되어야 한다.
또한, 외부 광에 의한 눈부심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하고, 내부 부재들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어야 하며, 디스플레이로부터 송출된 빛이 외부 기기(차량의 창문이나 건물의 창문 및 주면 기기)에 반사되어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각을 고려하여 네비게이션, 표시 장치 등의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과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광 경로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광 제어 부재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복수 방향의 광의 이동 경로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시야각을 기준으로 향상된 시인성을 가질 수 있는 광 제어 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차광 패턴부;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 2 차광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는, 제 1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는, 제 2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적어도 2 방향의 광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가 차량 등에 적용되는 경우, 운전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 중, 차량의 좌우 창문 또는 차량의 전면 유리에 광이 반사되어 인지되는 허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 중 시야에 방해되는 허상을 방지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사고의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1, 2 차광 패턴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부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운전자를 기준으로 광 제어 부재에서 출사되는 광의 시야 각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1, 2 차광 패턴부를 베이스 기재의 서로 다른 면 상에 배치함으로써, 1, 2 차광 패턴부의 폭 및 높이 등의 크기 등을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고, 1, 2 차광 패턴부의 경사각도도 다르게 형성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광 제어 부재를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1, 2 차광 패턴부를 베이스 기재의 동일 면 상에 배치함으로써, 슬림한 두께의 광 제어 부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디스플레이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중 광원과 디스플레이 사이에 놓일 수도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2의 B-B'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가 적용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광 제어 부재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베이스 기재(100), 수지층(150) 및 차광 패턴부(200)를 포함하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100)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100)는 플렉서블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100)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기재(100)는 PET(Poly-ester), PMMA(Poly Methyl Meta acryl), PA(Poly Carbonate) 등의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100)에는 제 1 방향(1A), 제 2 방향(2A) 및 제 3 방향(3A)이 정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베이스 기재(100)는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가로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1 방향(1A),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세로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2 방향(1A) 및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두께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 3 방향(3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100)는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기재(100)는 상기 제 3 방향(3A)을 기준으로 제 1 면(1S) 및 상기 제 1 면(1S)과 반대되는 제 2 면(2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층(150)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지층(150)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와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지층(150)은 UV 수지 등의 광 경화성 수지 또는 열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지층(150)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층(150)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지층(150)은 제 1 수지층(151) 및 제 2 수지층(152)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지층(150)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상기 제 1 면(1S)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수지층(151) 및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상기 제 2 면(2S)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수지층(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지층(151) 및 상기 제 2 수지층(152) 상에는 음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각부들은 상기 제 1 수지층(151) 및 상기 제 2 수지층(152) 상에 몰드 등을 배치하여, 임프린팅 공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수지층(151) 및 상기 제 2 수지층(152) 상에는 각각 복수 개의 음각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수지층(151) 및 상기 제 2 수지층(152)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와 접촉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수지층(151) 및 상기 제 2 수지층(152)의 각각의 타면 상에는 상기 제 1 수지층(151) 및 상기 제 2 수지층(152)이 일정 깊이만큼 식각되어, 홈 형상의 음각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수지층(151) 및 상기 제 2 수지층(152)의 타면 상에는 음각부들 및 상기 음각부들 사이의 양각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부(200)는 상기 베이스 기재(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차광 패턴부(200)는 상기 수지층(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차광 패턴부(200)는 상기 수지층(150)에 형성된 음각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광 패턴부(200)의 높이는 상기 수지층(150)에 형성된 음각부의 내부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광 패턴부(200)가 디스플레이와 결합될 때 불량을 해소 할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부(200)는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제 2 차광 패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차광 패턴부(200)는 상기 제 1 수지층(151)에 형성되는 제 1 음각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수지층(152)에 형성되는 제 2 음각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는 복수 개의 제 1 패턴(21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수지층(151) 상에는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음각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는 상기 복수 개의 제 1 음각부들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 1 패턴(211)들은 제 1 방향(1A) 및 제 3 방향(3A)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 개의 제 1 패턴(211)들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1A)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제 1 패턴(211)들의 두께 방향은 상기 제 3 방향(3A)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제 1 패턴(211)들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1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 3 방향(3A)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기 제 1 방향(1A)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1 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의 제 1 높이(h1)는 약 12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의 제 1 높이(h1)는 약 4㎛ 내지 약 12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의 제 1 높이(h1)는 약 20㎛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의 제 1 높이(h1)가 약 12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1 패턴(211)의 높이에 의해 광 제어 부재의 두께가 증가될 수 있어 슬림화를 구현하기 어렵고, 상기 제 1 패턴(211)의 높이 증가에 따라, 상기 제 1 패턴(211)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어,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 패턴부(200)의 높이는 상기 수지층(150)에 형성된 음각부의 내부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광 패턴부(200)가 디스플레이와 결합될 때,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층(150)에 형성된 음각부의 최대 깊이의 50% 이상 내지 100% 미만으로 상기 차광 패턴부(200)의 최대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의 제 1 높이(h1)가 약 4㎛ 미만인 경우, 상기 패턴들에 의한 차광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의 제 1 폭(w1)은 약 1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의 제 1 폭(w1)은 약 1㎛ 내지 약 1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의 제 1 폭(w1)은 약 3㎛ 내지 약 8㎛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의 제 1 폭(w1)이 약 1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1 패턴(211)의 폭에 의해 광 제어 부재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고, 차광 역할을 하는 상기 제 1 패턴(211)의 폭이 증가되어, 광이 투과되는 영역이 감소됨에 따라 광 제어 부재의 전체적인 휘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의 제 1 폭(w1)이 약 1㎛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패턴(211)을 지지하는 면적이 감소되어 상기 패턴들에 의한 차광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제 1 패턴(211)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어,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는 복수 개의 제 2 패턴(22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수지층(152) 상에는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 음각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는 상기 복수 개의 제 2 음각부들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2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 2 패턴(221)들은 제 2 방향(2A) 및 제 3 방향(3A)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 개의 제 2 패턴(221)들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2A)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제 2 패턴(221)들의 두께 방향은 상기 제 3 방향(3A)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제 2 패턴(221)들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2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 3 방향(3A)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기 제 2 방향(2A)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2 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211)들 및 상기 제 2 패턴(221)들은 서로 다른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211)들 및 상기 제 2 패턴(221)들은 서로 교차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211)들 및 상기 제 2 패턴(221)들은 전체적으로 메쉬 형상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메쉬 형상이라 함은, 상기 제 1 패턴(211)들 및 상기 제 2 패턴(221)들이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제의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차광 패턴부가 메쉬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광 패턴 부가 없는 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만들 수 있는 형상 즉, 그물망 형상 즉, "#"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의 제 2 높이(h2)는 약 12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의 제 2 높이(h2)는 약 4㎛ 내지 약 12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의 제 2 높이(h2)는 약 20㎛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의 제 1 높이(h2)가 약 12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2 패턴(221)의 높이에 의해 광 제어 부재의 두께가 증가될 수 있어 슬림화를 구현하기 어렵고, 상기 제 2 패턴(221)의 높이 증가에 따라, 상기 제 2 패턴(221)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어,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의 제 2 높이(h2)가 약 4㎛ 미만인 경우, 상기 패턴들에 의한 차광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의 제 2 폭(w2)은 약 1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의 제 2 폭(w2)은 약 1㎛ 내지 약 1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의 제 2 폭(w2)은 약 3㎛ 내지 약 8㎛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의 제 2 폭(w2)이 약 1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2 패턴(221)의 폭에 의해 광 제어 부재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고, 차광 역할을 하는 상기 제 2 패턴(221)의 폭이 증가되어, 광이 투과되는 영역이 감소됨에 따라 광 제어 부재의 전체적인 휘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의 제 2 폭(w2)이 약 1㎛ 미만인 경우, 상기 제 2 패턴(221)을 지지하는 면적이 감소되어 상기 패턴들에 의한 차광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제 2 패턴(221)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어,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는 광 투과율이 작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는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는 유색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는 블랙 카본 잉크 또는 블랙 카본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는 차광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와 상기 제 1 수지층(151)의 양각부 및 상기 제 2 수지층(152)의 양각부는 서로 다른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수지층(151)의 양각부 및 상기 제 2 수지층(152)의 양각부의 광 투과율은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의 광 투과율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광 제어 부재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제 1 수지층(151)의 양각부 및 상기 제 2 수지층(152)의 양각부에서는 투과되고,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에서는 차단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에 의해 입사광의 광 경로가 변화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광 경로 제어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상기 제 3 방향(3A)의 제 1 면(1A)을 사용자가 바라본다고 가정할 때,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는 상기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광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방향(1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에 의해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의 광의 경로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에 의해 사용자의 시야각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에서 특정 각도 이상을 벗어나는 광은 투과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방향(2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에 의해 사용자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의 광의 경로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에 의해 사용자의 시야각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서 특정 각도 이상을 벗어나는 광은 투과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적어도 2 방향의 광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가 차량 등에 적용되는 경우, 운전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 중, 차량의 좌우 창문 또는 차량의 전면 유리에 광이 반사되어 인지되는 허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 중 시야에 방해되는 허상을 방지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사고의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패턴(211) 높이 및 폭과 상기 제 2 패턴(221)의 높이 및 폭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패턴(211)에 의한 상하 방향의 차폐 효과 및 상기 제 2 패턴(221)에 의한 차폐 효과를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패턴(211) 높이 및 폭과 상기 제 2 패턴(221)의 높이 및 폭은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패턴(211) 높이 및 폭이 상기 제 2 패턴(221)의 높이 및 폭보다 크거나, 또는 상기 제 2 패턴(221)의 높이 및 폭이 상기 제 1 패턴(211) 높이 및 폭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211)의 면적과 상기 제 2 패턴(221)의 면적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패턴(211)에 의한 상하 방향의 차폐 효과 및 상기 제 2 패턴(221)에 의한 차폐 효과를 각각 제어하여, 상하 방항의 차폐 효과가 더 요구되는 환경 또는 좌우 방향의 차폐 효과가 더 요구되는 환경에 맞추어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상기 제 1 패턴(211) 및 상기 제 2 패턴(221)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이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 및/또는 제 2 면에 대하여 경사지며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는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상기 제 1 면(1S)에 대해 경사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복수 개의 제 1 패턴(211)들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상기 제 1 면(1S)에 대해 경사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211)들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1 면(1S)에 대해 제 1 경사각도(θ1)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패턴(221)들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2 면(2S)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1S)이 이루는 제 1 경사각도(θ1)는 약 5° 내지 90°일 수 있다. 자세하게,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1S)이 이루는 제 1 경사각도(θ1)는 약 60° 내지 9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1S)이 이루는 제 1 경사각도(θ1)는 약 75° 내지 89°일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1S)이 이루는 제 1 경사각도(θ1)가 약 5° 미만인 경우, 몰드 또는 에칭을 통해 음각 및 양각 패턴을 형성하기 어려워 공정 효율 및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으로부터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가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의 광을 제어할 때, 각각의 광들을 서로 비대칭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부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와 하부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가 서로 다른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가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표시 장치 등에 적용될 때, 차량의 전면 유리에 허상 등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작게 하여, 전면 유리에 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유리 방향의 상부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20°이하일 수 있고, 하부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60°이하일 수 있다. 즉, 상부 및 하부 방향의 광은 서로 비대칭되는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또한, 좌우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30°이하일 수 있다. 즉, 좌우 방향의 광은 서로 대칭되는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 중, 차량의 전면 유리에 광이 반사되어 인지되는 허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 중 시야에 방해되는 허상을 방지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사고의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는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상기 제 2 면(2S)에 대해 경사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복수 개의 제 2 패턴(221)들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상기 제 2 면(2S)에 대해 경사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패턴(221)들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2 면(2S)에 대해 제 2 경사각도(θ2)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패턴(211)들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1 면(1S)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2 면(2S)이 이루는 제 2 경사각도(θ2)는 약 5° 내지 90°일 수 있다. 자세하게,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2 면(2S)이 이루는 제 1 경사각도(θ2)는 약 60° 내지 9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2 면(2S)이 이루는 제 2 경사각도(θ1)는 약 75° 내지 89°일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2 면(2S)이 이루는 제 2 경사각도(θ2)가 약 5° 미만인 경우, 몰드 또는 에칭을 통해 음각 및 양각 패턴을 형성하기 어려워 공정 효율 및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2 면으로부터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가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광을 제어할 때, 각각의 광들을 서로 비대칭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좌측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와 우측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가 서로 다른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가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표시 장치 등에 적용될 때, 운전자의 좌측 창문에 허상 등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측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작게 하여, 운전자의 좌측 창문에 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유리 방향의 상부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와 하부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30°이하일 수 있다. 즉, 상부 및 하부 방향의 광은 서로 대칭되는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또한, 좌측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20°이하일 수 있고, 우측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60°이하일 수 있다. 즉, 좌우 방향의 광은 서로 비대칭되는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가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표시 장치 등에 적용될 때, 운전자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좌측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를 크게 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표시 장치를 볼 때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는 각각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상기 제 1 면(1S) 및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상기 제 2 면(2S)에 대해 모두 경사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복수 개의 제 1 패턴(211) 및 제 2 패턴(221)들은 각각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상기 제 1면(1S) 및 상기 2 면(2S)에 대해 경사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가 각각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 및 제 2 면으로부터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가 각각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광을 제어할 때, 각각의 광들을 서로 비대칭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부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와 하부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가 서로 다른 각도로 출사될 수 있고, 좌측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와 우측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가 서로 다른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유리 방향의 상부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20°이하일 수 있고, 하부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60°이하일 수 있다. 즉, 상하부 방향의 광은 서로 비대칭되는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또한, 좌측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20°이하일 수 있고, 우측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60°이하일 수 있다. 즉, 좌우 방향의 광은 서로 비대칭되는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하였듯이,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가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표시 장치 등에 적용될 때, 전면 유리 또는 좌측 유리에 허상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운전자가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표시 장치를 볼 때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와 동일 유사한 설명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제 2 차광 패턴부(220)가 베이스 기재(100)의 동일한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는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1 면(1S) 또는 제 2 면(2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베이스 기재(1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수지층(150)은 상에는 복수 개의 음각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음각부들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제 1 음각부들 및 제 2 음각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음각부들 및 상기 제 2 음각부들은 서로 연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음각부들 및 상기 제 2 음각부들은 전체적으로 메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는 복수 개의 제 1 패턴(21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지층(150) 상에는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음각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는 상기 복수 개의 제 1 음각부들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 1 패턴(211)들은 제 1 방향(1A) 및 제 3 방향(3A)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 개의 제 1 패턴(211)들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1A)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제 1 패턴(211)들의 두께 방향은 상기 제 3 방향(3A)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제 1 패턴(211)들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1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 3 방향(3A)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기 제 1 방향(1A)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1 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는 복수 개의 제 2 패턴(22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지층(150) 상에는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 음각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는 상기 복수 개의 제 2 음각부들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2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 2 패턴(221)들은 제 1 방향(1A) 및 제 3 방향(3A)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 개의 제 2 패턴(221)들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1A)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제 1 패턴(211)들의 두께 방향은 상기 제 3 방향(3A)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제 2 패턴(211)들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1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제 3 방향(3A)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기 제 1 방향(2A)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1 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패턴(221)은 상기 제 1 패턴(211)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패턴(211)도 상기 제 2 패턴(221)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턴(211) 및 상기 제 2 패턴(221)은 서로 연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적어도 2 방향의 광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가 차량 등에 적용되는 경우, 운전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 중, 차량의 좌우 창문 또는 차량의 전면 유리에 광이 반사되어 인지되는 허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 중 시야에 방해되는 허상을 방지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사고의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차광 패턴부 및 제 2 차광 패턴부를 베이스 기재의 동일한 면 상에 함께 배치함으로써, 광 제어 부재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켜,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상기 제 1 패턴(211) 및 상기 제 2 패턴(221)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이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 또는 제 2 면에 대하여 경사지며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는 모두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1 면(1S)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는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1 면(1S)에 대해 경사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211)들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1 면(1S)에 대해 제 1 경사각도(θ1)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패턴(221)들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1 면(1S)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이 이루는 제 1 경사각도는 약 5° 내지 90°일 수 있다. 자세하게,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이 이루는 제 1 경사각도는 약 60° 내지 9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이 이루는 제 1 경사각도는 약 75° 내지 89°일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 1 패턴(211)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이 이루는 제 1 경사각도가 약 5° 미만인 경우, 몰드 또는 에칭을 통해 음각 및 양각 패턴을 형성하기 어려워 공정 효율 및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으로부터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가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의 광을 제어할 때, 각각의 광들을 서로 비대칭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부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와 하부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가 서로 다른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유리 방향의 상부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20°이하일 수 있고, 하부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60°이하일 수 있다. 즉, 상부 및 하부 방향의 광은 서로 비대칭되는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또한, 좌우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30°이하일 수 있다. 즉, 좌우 방향의 광은 서로 대칭되는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가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표시 장치 등에 적용될 때, 차량의 전면 유리에 허상 등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작게 하여, 전면 유리에 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 중, 차량의 전면 유리에 광이 반사되어 인지되는 허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 중 시야에 방해되는 허상을 방지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사고의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차광 패턴부 및 제 2 차광 패턴부를 베이스 기재의 동일한 면 상에 함께 배치함으로써, 광 제어 부재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켜,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상기 제 1 면에 대해 경사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복수 개의 제 2 패턴(221)들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상기 제 1 면에 대해 경사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패턴(221)들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1 면에 대해 제 2 경사각도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패턴(211)들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제 1 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이 이루는 제 2 경사각도는 약 5° 내지 90°일 수 있다. 자세하게,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이 이루는 제 1 경사각도는 약 60° 내지 9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이 이루는 제 2 경사각도는 약 75° 내지 89°일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 2 패턴(221)과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이 이루는 제 2 경사각도가 약 5° 미만인 경우, 몰드 또는 에칭을 통해 음각 및 양각 패턴을 형성하기 어려워 공정 효율 및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으로부터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가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광을 제어할 때, 각각의 광들을 서로 비대칭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좌측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와 우측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가 서로 다른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유리 방향의 상부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와 하부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30°이하일 수 있다. 즉, 상부 및 하부 방향의 광은 서로 대칭되는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또한, 좌측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20°이하일 수 있고, 우측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60°이하일 수 있다. 즉, 좌우 방향의 광은 서로 비대칭되는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가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표시 장치 등에 적용될 때, 운전자의 좌측 창문에 허상 등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측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작게 하여, 운전자의 좌측 창문에 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가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표시 장치 등에 적용될 때, 운전자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좌측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를 크게 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표시 장치를 볼 때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차광 패턴부 및 제 2 차광 패턴부를 베이스 기재의 동일한 면 상에 함께 배치함으로써, 광 제어 부재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켜,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는 각각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상기 제 1 면에 대해 모두 경사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복수 개의 제 1 패턴(211) 및 제 2 패턴(221)들은 각각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상기 제 1면에 대해 경사를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 1 면으로부터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220)가 각각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광을 제어할 때, 각각의 광들을 서로 비대칭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부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와 하부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가 서로 다른 각도로 출사될 수 있고, 좌측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와 우측 방향의 광의 이동 각도가 서로 다른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유리 방향의 상부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20°이하일 수 있고, 하부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60°이하일 수 있다. 즉, 상하부 방향의 광은 서로 비대칭되는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또한, 좌측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20°이하일 수 있고, 우측 방향의 광의 출사 각도는 약 60°이하일 수 있다. 즉, 좌우 방향의 광은 서로 비대칭되는 각도로 출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하였듯이,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가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표시 장치 등에 적용될 때, 전면 유리 또는 좌측 유리에 허상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운전자가 차량의 네비게이션 및 표시 장치를 볼 때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차광 패턴부 및 제 2 차광 패턴부를 베이스 기재의 동일한 면 상에 함께 배치함으로써, 광 제어 부재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켜,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가 적용되는 표시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1000)는 표시 패널(20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 제어 부재(1000)는 상기 표시 패널(2000)과 접착하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 제어 부재(1000)와 상기 표시 패널(2000)은 광을 투과하는 접착층(1500)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500)은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1500)은 광학용 투명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제 또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은 제 1 기판(2100) 및 제 2 기판(2200)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표시 패널(200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패널(2000)은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TFT)와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기판(2100)과 컬러필터층들을 포함하는 제 2 기판(2200)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2000)은 박막트랜지스터, 칼라필터 및 블랙매트릭스가 제 1 기판(2100)에 형성되고, 제 2 기판(2200)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기판(2100)과 합착되는 COT(color filter on transistor)구조의 액정표시패널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기판(2100)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막 상에 컬러필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2100)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화소전극을 형성한다. 이때, 개구율을 향상하고 마스크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블랙매트릭스를 생략하고, 공통 전극이 블랙매트릭스의 역할을 겸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200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2000) 배면에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 패널(2000)이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패널(2000)은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은 제 1 기판(2100) 상에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봉지 기판 역할을 하는 제 2 기판(2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광 제어 부재(1000)와 상기 표시 패널(2000) 사이에는 편광판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선 편광판 또는 외광 반사 방지 편광판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패널(200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편광판은 선 편광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2000) 이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편광판은 외광 반사 방지 편광판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제어 부재(1000) 상에는 반사 방지층 또는 안티글레어 등의 추가적인 기능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에 의해, 반사 방지 등 상기 기능층 고유의 역할 이외에, 상기 기능층이 상기 차광 부재의 패턴 및 차광부를 덮으면서 배치됨에 따라, 상기 기능층에 의해 상기 차광부 내부로 외부의 불순물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는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D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 부재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차량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차량의 정보, 차량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뿐만이 아니라 차량의 전면유리(FG) 등을 매개체로 하여 불필요한 노이즈 영상 즉, 허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좌측 창문 등에도 광이 반사되어 허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 영상은 차량 운전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어,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각에서 광의 휘도가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는 이러한 노이즈 영상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시야 방해를 방지할 수 있고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음각부가 형성되는 제 1 수지층;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음각부가 형성되는 제 2 수지층;
    상기 제 1 수지층의 음각부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차광 패턴부; 및
    상기 제 2 수지층의 음각부 내부에에 배치되는 제 2 차광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는, 제 1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는, 제 2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1 수지층의 음각부는 내측면 및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지층의 음각부는 내측면 및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는 상기 제 1 수지층의 음각부 높이에 대해 50% 내지 100% 미만이고,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는 상기 제 2 수지층의 음각부 높이에 대해 50% 내지 100% 미만이고,
    상기 제 1 패턴 및 상기 제 2 패턴의 높이는 4㎛ 내지 120㎛이고,
    상기 제 1 패턴 및 상기 제 2 패턴의 폭은 3㎛ 내지 8㎛인 광 제어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또는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대해 경사지는 광 제어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및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대해 경사지는 광 제어부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광 패턴 및 상기 제 2 차광 패턴은 블랙 카본을 포함하는 광 제어 부재.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은 전체적으로 메쉬 형상으로 연장하는 광 제어 부재.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의 폭 및 높이는 상기 제 2 패턴의 폭 및 높이와 다른 광 제어 부재.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및 상기 제 2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광 제어 부재.
  10.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광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제어 부재는,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음각부가 형성되는 제 1 수지층;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음각부가 형성되는 제 2 수지층;
    상기 제 1 수지층의 음각부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차광 패턴부; 및
    상기 제 2 수지층의 음각부 내부에에 배치되는 제 2 차광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는, 제 1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는, 제 2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1 수지층의 음각부는 내측면 및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지층의 음각부는 내측면 및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차광 패턴부는 상기 제 1 수지층의 음각부 높이에 대해 50% 내지 100% 미만이고,
    상기 제 2 차광 패턴부는 상기 제 2 수지층의 음각부 높이에 대해 50% 내지 100% 미만이고,
    상기 제 1 패턴 및 상기 제 2 패턴의 높이는 4㎛ 내지 120㎛이고,
    상기 제 1 패턴 및 상기 제 2 패턴의 폭은 3㎛ 내지 8㎛인 표시 장치.
KR1020170150798A 2017-11-13 2017-11-13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04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798A KR102404742B1 (ko) 2017-11-13 2017-11-13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798A KR102404742B1 (ko) 2017-11-13 2017-11-13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484A KR20190054484A (ko) 2019-05-22
KR102404742B1 true KR102404742B1 (ko) 2022-06-07

Family

ID=6668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798A KR102404742B1 (ko) 2017-11-13 2017-11-13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854A (ko) * 2019-07-29 2021-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4585965B (zh) * 2019-10-11 2023-11-28 Lg伊诺特有限公司 光路控制构件及具有其的显示器
KR20210054270A (ko) * 2019-11-05 2021-05-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59591A (ko) * 2019-11-13 2021-05-25 주식회사 에스오에스랩 옵틱 및 그 제작 방법
KR20210092351A (ko) 2020-01-15 2021-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9062B2 (ja) * 1989-03-15 1997-06-11 株式会社東芝 電極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971754B1 (ko) * 2006-05-16 2010-07-21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빔 방향 제어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335A (ko) * 2006-09-29 2008-04-04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
KR101249297B1 (ko) * 2006-11-09 2013-04-09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KR20100003858A (ko) * 2008-07-02 2010-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277206B1 (ko) * 2014-12-31 2021-07-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제어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9062B2 (ja) * 1989-03-15 1997-06-11 株式会社東芝 電極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971754B1 (ko) * 2006-05-16 2010-07-21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빔 방향 제어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484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4742B1 (ko)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50168767A1 (en) Display device
KR102404740B1 (ko)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28078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61667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KR102314792B1 (ko) 표시 장치
US20230236467A1 (en)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2644111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141846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8111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35541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4175297B (zh) 光路控制构件及包括其的显示装置
US20240085736A1 (en) Light route control member and display having the same
KR102481663B1 (ko) 차광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8110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20350132A1 (en) Light route control member and display having the same
KR102552883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77342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136433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2534332B (zh) 光路控制构件及包括其的显示装置
KR20200026501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899294B2 (en) Light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2416543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23151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17801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