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663B1 - 차광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차광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663B1
KR102481663B1 KR1020170143654A KR20170143654A KR102481663B1 KR 102481663 B1 KR102481663 B1 KR 102481663B1 KR 1020170143654 A KR1020170143654 A KR 1020170143654A KR 20170143654 A KR20170143654 A KR 20170143654A KR 102481663 B1 KR102481663 B1 KR 102481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ocking
light
height
bead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578A (ko
Inventor
조현동
한유미
최유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3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66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H01L51/5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는,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 상에 배치되고, 음각부가 형성되는 수지층; 상기 음각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부는 복수 개의 비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드의 입경은 0.3㎛ 내지 10㎛이고, 상기 비드는 카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광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SHIELDING MEMBER AND DISPLAY DEVICE}
실시예는 차광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광 필름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터치 등에 사용되는 표시장치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가 화면을 송출할 때 기기 내측의 부재들이 보이지 않도록 차폐하여 선명한 화질을 표현할 수 있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차량이나 건물의 창문 등에 사용되어 외부 광을 일부 차폐 하여 눈부심을 방지 하거나,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차광 필름은 필름의 일면 상에 복수 개의 패턴들을 형성함으로써,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광 효과를 위해, 패턴들 사이의 영역에 차광 물질을 충진할 수 있다.
이러한 차광 물질을 충진할 때, 공정 중 차광 물질에 의한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고, 공정 중 잔류하는 차광 물질에 의해 차광 효과가 저하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광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특정 방향의 광을 제어할 수 있고 향상된 시인성을 가지는 차광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는,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 상에 배치되고, 음각부가 형성되는 수지층; 상기 음각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부는 복수 개의 비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드의 입경은 0.3㎛ 내지 10㎛이고, 상기 비드는 카본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는 패턴들 사이에 별도의 차광물질을 배치하여 차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차광부는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각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광부가 복수 개의 비드들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비드들들 음각부 내부에 충진 후, 음각부 이외의 영역에 배치되는 비드들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비드들이 구형 등의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코팅 공정 중 비드들에 의한 스크래치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스크래치 등에 의한 예상치 못한 광 경로 변화 등을 최소화할 수 있어, 차광부재의 차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음각부 내부에 비드 및 잉크를 함께 배치하여 차광물질이 채워지지 않는 상기 비드들 사이의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어, 차광 부재의 차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차광 물질이 배치되기 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차광 물질이 배치된 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른 차광 부재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가 적용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1000)는 베이스 기재(100), 수지층(200), 차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100)는 상기 수지층(200) 및 상기 차광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100)는 상기 차광 부재를 적용하고자 하는 다른 장치와 접착층 등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100)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100)는 플렉서블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재(100)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기재(10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멜라민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 레이트, 폴리우레탄수지, 나일론 수지, 실리콘 수지, PI, TAC 및 Pol 필름의 물징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층(200)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지층(200)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와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지층(200)은 UV 수지 등의 광 경화성 수지 또는 열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지층(200) 상에는 음각부(I)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각부들은 상기 수지층 상에 몰드 등을 배치하여, 임프린팅 공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지층(200) 상에는 복수 개의 음각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지층(200)은 상기 베이스 기재(100)와 접촉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지층의 타면 상에는 상기 수지층이 일정 깊이만큼 식각되어, 홈 형상의 음각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지층(200)의 타면 상에는 음각부(I)들 및 상기 음각부(I)들 사이의 양각부(E)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각부(I)와 상기 양각부(E)의 광 투과율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음각부(I)의 광 투과율은 상기 양각부(E)의 광 투과율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음각부(I)들에는 차광 물질이 배치되어, 광의 투과가 차단되는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양각부(E)들은 광이 투과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베이스 기재(100)의 하면 즉, 상기 수지층(200)과 접촉하는 베이스 기재의 상면과 반대되는 베이스 기재의 하면에서 상기 수지층(200)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음각부의 내부에서는 차단 또는 반사되고, 상기 양각부에서는 광이 투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양각부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광은 투과시키고, 상기 양각부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 즉, 양각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광은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음각부(I)의 높이(h)는 약 5㎛ 내지 약 10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각부(I)의 높이(h)는 상기 수지층(200)의 전체 두께(T)의 50%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음각부(I)의 높이(h)가 상기 수지층(h)의 전체 두께(T)의 50% 미만인 경우, 상기 음각부(I) 내부에 충분한 양의 차광 물질을 배치할 수 없어, 차광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각부(I)의 폭(w1)과 상기 양각부(E)의 폭(w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음각부(I)의 폭(w1)은 상기 양각부(E)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는 향상된 휘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음각부의 폭이 상기 양각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함에 따라, 양각부를 통해 투과되는 광량을 충분히 확보하여 차광부재의 전체적인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음각부의 폭이 상기 양각부의 폭보다 큰 경우, 상기 양각부들을 통과하는 광의 양이 감소되어 차광 부재의 전체적인 휘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음각부(I)의 폭(w1)은 상기 수지층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연장하며 변화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음각부(I)의 폭(w1)은 상기 수지층의 타면에서 일면 방향으로 연장하며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차광 부재의 휘도 및 차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 외부에서 출사되는 출사광이 입사되는 수지층의 입사면의 폭이 입사광이 출사되는 수지층의 출사면의 폭보다 작게 형섬됨에 따라, 상기 수지층의 입사면을 통해 상기 수지층의 출사면으로 이동하는 광의 투과량을 증가시켜 차광 부재의 휘도를 충분히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차광효과를 가질 수 있다.또한, 몰드를 통한 임프린팅 공정 또는 에칭 공정을 통해 수지층 상에 음각부를 형성할 때, 양각부의 지지면의 폭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어, 공정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음각부(I) 및 상기 양각부(E)는 상기 베이스 기재(100)의 일면과 일정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각부(I) 및 상기 양각부(E)는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과 수직 또는 예각의 각도를 가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각부(I) 및 상기 양각부(E)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이 이루는 각도(θ)는 약 5° 내지 90°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음각부(I) 및 상기 양각부(E)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이 이루는 각도(θ)는 약 60° 내지 9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음각부(I) 및 상기 양각부(E)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이 이루는 각도(θ)는 약 75° 내지 89°일 수 있다. 상기 음각부(I) 및 상기 양각부(E)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이 이루는 각도(θ)가 약 5° 미만인 경우, 몰드 또는 에칭을 통해 음각 및 양각 패턴을 형성하기 어려워 공정 효율 및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음각부(I) 및 상기 양각부(E)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으로부터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짐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를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적용할 때, 사용자의 시야각도를 기준으로 상부로 향하는 광 및 하부로 향하는 광의 광량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각도의 크기에 따라, 광의 이동 경로를 제어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차광 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광부(300)는 상기 양각부(E)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차광부(300)는 상기 음각부(I)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광부(300)는 상기 음각부(I)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메우면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차광부(300)의 높이는 상기 음각부(I)의 높이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상기 양각부(E)들 사이의 상기 음각부(I) 내부에 배치되는 차광부(300)의 중앙 부분 높이(h2)는 상기 양각부(E)에 인접한 부분의 차광부(300)의 높이(h1) 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차광부(300)의 높이는 중앙 부분에서 상기 양각부(E)에 인접한 부분으로 연장하면서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각부(I)의 내부에 차광 물질을 충진할 때, 상기 음각부(I) 외부 즉, 양각부 등에 잔류되는 잉크 및/또는 비드 등을 감소시킬 수 있어, 차광 부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음각부에 잉크 및/또는 비드 등의 차광물질을 충진한 후, 스퀴지, 소프트 에칭, 에싱 등을 통해 양각부 상의 잉크나 비드를 제거 하는 공정을 추가로 진행하는 경우 음각부 내의 차광부의 중앙부의 높이가 패턴부에 인접한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음각부 내부에 배치되는 차광물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양각부 상의 차광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각부(I) 및 상기 양각부(E)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이 일정한 각도(θ)를 가지면서 형성될 때, 상기 차광부와 인접하는 양각 패턴들 중 하나의 양각 패턴 쪽에 인접하는 차광부의 높이(h1)와 다른 양각 패턴 쪽에 인접하는 차광부의 높이(h3)가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도에 의해 외부로 빛이 새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어, 일정 각도에서의 차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차광부(300)는 상기 음각부(I)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차광부(300)의 폭은 상기 베이스 기재 방향으로 연장할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양각부를 통해 투과되는 광의 양을 향상시켜 차광 부재의 휘도를 향상시키면서, 음각부에 의해 차광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부(300)의 폭은 상기 양각부(E)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양각부를 통해 투과되는 광의 양을 향상시켜 차광 부재의 휘도를 향상시키면서, 음각부에 의해 차광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차광부(300)는 비드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차광부(300)는 비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부(300)는 유색의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부(300)는 불투명한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각부(I)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비드(21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드들은 상기 음각부(I)의 내부에서 서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드(210)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드(210)는 구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드(210)의 입경은 약 0.3㎛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비드(210)의 입경은 약 0.5㎛ 내지 약 6㎛일 수 있다.
상기 비드(210)의 입경이 약 0.3㎛ 미만인 경우, 상기 음각부 내부에 채워지는 비드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비드의 입경이 작아 양각부(E)에 잔류하는 비드를 제거하기 어려워 비드에 의한 의도하지 않은 광 차단 등에 의해 차광 효과를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드(210)의 입경이 약 1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음각부 내부에 충분한 양의 비드를 충진하기 어려워 차광부에서의 차광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입도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상기 비드의 평균 입자의 입경크기(D50)는 1㎛ 내지 약 5㎛ 일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비드의 평균 입자의 입경크기(D50)는 1.1㎛ 내지 약 2㎛ 일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비드의 평균 입자의 입경크기(D50)는 1.1㎛ 내지 약 1.5㎛ 일수 있다.
상기 비드의 평균 입자의 입경크기(D50)가 약 1㎛ 미만인 경우, 상기 음각부 내부에 채워지는 비드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비드의 입경이 작아 양각부(E)에 잔류하는 비드를 제거하기 어려워 비드에 의한 의도하지 않은 광 차단 등에 의해 차광 효과를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드의 평균 입자의 입경크기(D50)가 약 5㎛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음각부 내부에 충분한 양의 비드를 충진하기 어려워 차광부에서의 차광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상기 비드(210)는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드(210)는 광 투과율이 작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비드(210)의 광 투과율은 상기 수지층(200)의 광 투과율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드(210)는 카본(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각부(I)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광부(200)가 복수 개의 비드들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비드들들 음각부 내부에 충진 후, 음각부 이외의 영역에 배치되는 비드들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비드들이 구형 등의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코팅 공정 중 비드들에 의한 스크래치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스크래치 등에 의한 예상치 못한 광 경로 변화 등을 최소화할 수 있어, 차광부재의 차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차광 물질(200)은 비드(210) 및 잉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220)는 상기 비드(2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비드(210) 및 상기 잉크(220)는 광 투과율이 작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비드(210) 및 상기 잉크(220)의 광 투과율은 상기 수지층(200)의 광 투과율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와 상기 비드 사이의 투과율 차이는, 상기 잉크와 수지층 또는 상기 비드와 수지층 사이의 투과율 차이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잉크(220)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잉크(220)는 카본(C)을 포함하는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잉크(220)는 카본 블랙을 포함할 수 있다.
입도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상기 카본을 포함하는 분말의 평균 입자의 입경크기(D50)는 약 1000㎚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카본을 포함하는 분말의 평균 입자의 입경크기(D50)는 약 20㎚ 내지 약 800㎚일 수 있다.
상기 카본을 포함하는 분말의 평균 입자의 입경크기(D50)가 약 1000㎚을 초과하는 경우, 비드의 입경과 유사하게 되어, 비드와 잉크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효과가 저하되어, 잉크 사용에 따른 공정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잉크(220)는 유기 용제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잉크(220)는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용제 잉크 또는 유기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무용제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각부(I)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비드(210)들 및 잉크(2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잉크(220)는 상기 음각부(I)의 바닥면 및 내측면과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드(210)들은 상기 잉크(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드(210) 및 잉크(220)와 상기 수지층(20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차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음각부에 차광물질을 충진한 후, 상기 양각부에 잔류하는 비드만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잉크만을 사용하여, 상기 양각부에 잔류하는 잔류 차폐물질인 잉크를 제거하는 것에 비해, 상기 양각부에 잔류하는 잔류 차폐물질인 비드를 제거하는 것이 더 제거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잔류 차폐물질을 제거하여, 잔류 차폐 물질에 따른 의도치 않은 차광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광부의 차광 효과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음각부(I) 내부에서 상기 잉크(220)가 배치되는 영역의 높이(h4)는 상기 비드(210)가 배치되는 영역의 높이(h5)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드에 비해 촘촘하게 배치되는 잉크 영역의 높이를 크게 하여, 차광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음각부(I) 내부에서 상기 잉크(220)가 배치되는 영역의 높이(h4)는 상기 음각부(I) 높이(h)의 50% 이상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음각부(I) 내부에서 상기 잉크(220)가 배치되는 영역의 높이(h1)는 상기 음각부(I) 높이(h)의 50% 내지 80%일 수 있다.
상기 잉크(220)가 배치되는 영역의 높이(h1)가 상기 음각부(I) 높이(h)의 8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음각부(I) 외부 즉, 양각부(E) 상에 잉크가 잔류할 수 있어, 차광 효과를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차광 물질(200)은 비드(210) 및 잉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음각부(I)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비드(210)들 및 잉크(2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잉크(220)는 상기 음각부(I)의 내부에서 상기 비드들 사이의 영역을 메우면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지층과 상기 차광부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각부(I) 내부에 상기 비드 및 상기 잉크가 함께 배치됨으로써, 차광물질이 채워지지 않는 상기 비드들 사이의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어, 차광 부재의 차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제조예는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러한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 상에 광 경화성 수지층을 배치하였다. 이어서, 양각의 몰드를 상기 수지층의 일면 상에 임프린팅 하여, 상기 수지층 상에 음각부 및 양각부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음각부 내부에 카본물질을 포함하는 비드를 충진한 후, 스쿼지를 통해 상기 양각부에 잔류하는 비드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통해 양각부에 잔류하는 비드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음각부 내부에 카본 물질을 포함하는 잉크를 충진 한 후, 상기 잉크 상에 비드를 배치한 후, 스쿼지를 통해 상기 양각부에 잔류하는 비드를 제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해 양각부에 잔류하는 비드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상기 음각부 내부에 카본 물질을 포함하는 잉크만을 충진한 후, 스쿼지를 통해 상기 양각부에 잔류하는 비드를 제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해 양각부에 잔류하는 비드를 측정하였다.
도 8은 실시예 1, 2에 따른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차광 부재는 비드를 제거하는 공정 이후, 양각부에 잔류하는 비드들이 거의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9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차광 부재는 잉크를 제거하는 공정 이후에도, 양각부에 잉크들이 잔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차광 부재는 음각부 이외의 영역에 잔류하는 차광 물질을 최소화함으로써, 외부의 차광 효과를 최소화하고, 음각부 내에 배치되는 차광 물질에 따라 차광 효과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가 적용되는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1000)는 표시 패널(20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1000)는 상기 표시 패널(2000)과 접착하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광 부재(1000)와 상기 표시 패널(2000)은 광을 투과하는 접착층(1500)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500)은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1500)은 광학용 투명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제 또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은 제 1 기판(2100) 및 제 2 기판(2200)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표시 패널(200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패널(2000)은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TFT)와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기판(2100)과 컬러필터층들을 포함하는 제 2 기판(2200)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2000)은 박막트랜지스터, 칼라필터 및 블랙매트릭스가 제 1 기판(2100)에 형성되고, 제 2 기판(2200)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기판(2100)과 합착되는 COT(color filter on transistor)구조의 액정표시패널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기판(2100)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막 상에 컬러필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2100)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화소전극을 형성한다. 이때, 개구율을 향상하고 마스크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블랙매트릭스를 생략하고, 공통 전극이 블랙매트릭스의 역할을 겸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200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2000) 배면에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 패널(2000)이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패널(2000)은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0)은 제 1 기판(2100) 상에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봉지 기판 역할을 하는 제 2 기판(2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차광 부재(1000)와 상기 표시 패널(2000) 사이에는 편광판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선 편광판 또는 외광 반사 방지 편광판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패널(200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편광판은 선 편광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2000) 이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편광판은 외광 반사 방지 편광판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 부재(1500) 상에는 반사 방지층 또는 안티글레어 등의 추가적인 기능층(130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에 의해, 반사 방지 등 상기 기능층 고유의 역할 이외에, 상기 기능층이 상기 차광 부재의 패턴 및 차광부를 덮으면서 배치됨에 따라, 상기 기능층에 의해 상기 차광부 내부로 외부의 불순물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는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차량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차량의 정보, 차량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뿐만이 아니라 차량의 전면유리(FG) 등을 매개체로 하여 불필요한 노이즈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 영상은 차량 운전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는 이러한 노이즈 영상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시야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 상에 배치되고, 음각부 및 상기 음각부 사이의 양각부가 형성되는 수지층; 및
    상기 음각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음각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되고,
    상기 음각부 및 상기 양각부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과 이루는 각도는 75° 내지 89°이고,
    상기 음각부 내부의 상기 차광부는 중앙 부분 높이가 상기 양각부에 인접한 부분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차광부와 인접하는 양각부들 중 하나의 양각부에 인접하는 차광부의 높이는 다른 양각부에 인접하는 차광부의 높이와 다르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음각부의 바닥면 상에 배치되는 잉크 및 상기 잉크 상에 배치되는 비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음각부 내부에서 상기 잉크가 배치되는 영역의 높이는 상기 비드가 배치되는 영역의 높이보다 큰 차광 부재.
  2. 제 1항에 잇어서,
    상기 비드의 입경은 0.3㎛ 내지 10㎛이고,
    상기 비드는 카본을 포함하는 차광 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가 배치되는 영역의 높이는 상기 음각부 높이의 50% 초과 내지 80%인 차광 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카본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카본 분말의 평균 입자의 입경크기(D50)는 20㎚ 내지 800㎚인 차광 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의 폭은 상기 베이스 기재 방향으로 연장할수록 좁아지는 차광 부재.
  6.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광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인 표시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43654A 2017-10-31 2017-10-31 차광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1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654A KR102481663B1 (ko) 2017-10-31 2017-10-31 차광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654A KR102481663B1 (ko) 2017-10-31 2017-10-31 차광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578A KR20190048578A (ko) 2019-05-09
KR102481663B1 true KR102481663B1 (ko) 2022-12-27

Family

ID=6654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654A KR102481663B1 (ko) 2017-10-31 2017-10-31 차광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6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368A1 (ko) * 2019-09-30 2021-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7336593B2 (ja) * 2019-10-11 2023-08-31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光経路制御部材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7032A (ja) * 2008-03-11 2009-09-24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JP2013109083A (ja) * 2011-11-18 2013-06-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た映像表示装置
JP2014126654A (ja) * 2012-12-26 2014-07-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及び表示装置
KR101557267B1 (ko) * 2009-10-15 2015-10-06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7032A (ja) * 2008-03-11 2009-09-24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KR101557267B1 (ko) * 2009-10-15 2015-10-06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109083A (ja) * 2011-11-18 2013-06-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た映像表示装置
JP2014126654A (ja) * 2012-12-26 2014-07-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及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578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483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protective front face plate
JP6654278B2 (ja) 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04742B1 (ko)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04740B1 (ko) 광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8570461B2 (en)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799018A (zh) 液晶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US11555951B2 (en)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KR102481663B1 (ko) 차광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28078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1028676A (zh) 触控屏、盖板及其制备方法
JP6425119B2 (ja) 機器および機器の製造方法
KR102644111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08111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14789B1 (ko) 편광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
US20220397801A1 (en) Light route control member and display having the same
KR102568862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08110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004505A (ko) 광 제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표시 장치
CN114667467B (zh) 光路控制构件及具有光路控制构件的显示器
KR20200077342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136433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2534332B (zh) 光路控制构件及包括其的显示装置
KR20200026501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52883B1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899294B2 (en) Light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