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948A -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948A
KR20080058948A KR1020060133189A KR20060133189A KR20080058948A KR 20080058948 A KR20080058948 A KR 20080058948A KR 1020060133189 A KR1020060133189 A KR 1020060133189A KR 20060133189 A KR20060133189 A KR 20060133189A KR 20080058948 A KR20080058948 A KR 20080058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light
light shielding
substrate
shielding lay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수
정상철
조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3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8948A/ko
Publication of KR2008005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94Shielding materials being light-transmitting, e.g. transparent, translucent
    • H05K9/0096Shielding materials being light-transmitting, e.g. transparent, translucent for television displays, e.g. plasma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4Means for improving contrast or colour purity, e.g. black matrix or light shiel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 투과율 대비 상하 투과율이 낮은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에 있어서, 투명 수지 재질의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주기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되고, 외광 흡수 물질이 충진된 하나 이상의 외광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광 차폐부의 폭, 피치(pitch), 또는 깊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외광 차폐층의 상하 투과율이 좌우 투과율 이하가 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을 제공하여 외부 광원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 하도록 하여 외부 조명에 의한 화질 저하를 줄일 수 있다.
Figure P1020060133189
외광 차폐층,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상하 투과율, 투과 반치각

Description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LIGHT BLOCKING LAYER, FILTER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P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P 필터(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외광 차폐층(230)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아레 무늬를 차단하기 위한 바이어스 각도를 갖는 디스플레이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P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필터 부착 전후의 정면에 대한 각도별 배광 분포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2에 의한 외광 차폐부 물질의 광흡수 변화에 따른 상하 방향의 상대 투과율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3의 외광 차폐부의 깊이에 따른 상하 시야각에 따른 상대 투과율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실시예 4에 의한 외광 차폐부의 폭 증가에 따른 상대 투과율의 변화 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 5에 의한 외광 차폐부의 폭 증가에 따른 상대 투과율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PDP 장치 110: 케이스
120: 구동회로기판 130: 패널 어셈블리
140: PDP 필터 150: 커버
200: PDP 필터 210: 투명기판
220: 전자파 차폐층 230: 외광 차폐층
232: 지지체 234: 기재
236: 외광 차폐부 240: 색보정층
250: 반사방지층 270: 필터 베이스
310: 입사광 320: 외부 환경광
600: 패널 어셈블리 610: 전면기판
615: 유지전극 620: 버스전극
625: 유전체층 630: 유전체 보호막
635: 배면기판 640: 어드레스 전극
645: 유전체층 650: 격벽
655: 형광체층 655R: 적색 형광체층
655G: 녹색 형광체층 655B: 청색 형광체층
660: 방전셀 690: 접착제 또는 점착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 투과율 대비 상하 투과율이 낮은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PDP 장치는 전극에 인가되는 직류 또는 교류 전압에 의하여 전극 사이의 가스에서 방전이 발생하고, 여기에서 수반되는 자외선의 방사에 의하여 형광체를 여기시켜 발광한다. 그러나, PDP 장치는 그 구동 특성상 전자파 및 근적외선의 방출량이 많고 형광체의 표면반사가 높을 뿐 아니라 봉입가스인 헬륨(He)이나 제논(Xe)에서 방출되는 오렌지 광으로 인해 색순도가 CRT에 미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PDP 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및 근적외선에 의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무선 전화기나 리모콘 등의 정밀기기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PDP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DP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전자파와 상기 근적외선의 방출을 소정 치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전자파 및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동시에 반사광을 감소시키고 색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전자파 차폐, 근적외선 차폐, 빛 표면 반사방지 및/또는 색순도 개선 등의 기능을 갖는 PDP 필터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PDP 장치는 가스방전현상이 일어나는 방전셀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전자파 및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PDP 필터로 구성된다. PDP 필터는 패널 어셈블리의 전면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투명성도 동시에 만족해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PDP 장치에서, 외부가 밝은 조건 즉, 명실(明室) 조건에서는 외부 환경광이 PDP 필터를 통과하여 패널 어셈블리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패널 어셈블리 내의 방전셀에서 발생된 입사광과 외부로부터 PDP 필터를 통과하여 유입된 외부 환경광의 중첩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명실 조건에서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가 저하되어 PDP 장치의 화면 표시능력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있어, PDP 필터에 광흡수체를 충진한 외광 차폐 필름을 포함하여 외부 환경광을 흡수하고자 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위아래 방향의 투과율은 낮게 유지하고, 정면이나 좌우의 투과율은 높게 유지함으로써, 외부 광원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 하도록 하여 외부 조명에 의한 화질 저하를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휘도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외광에 의한 화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DP 필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휘도 및 명실조건에 서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에 있어서, 투명 수지 재질의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주기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되고, 외광 흡수 물질이 충진된 하나 이상의 외광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광 차폐부의 폭, 피치(pitch), 또는 깊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외광 차폐층의 상하 투과율이 좌우 투과율 이하가 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의하면, 필터 베이스; 상기 필터 베이스의 일면에 형성되고, 투명 수지 재질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주기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외광 차폐부를 구비하는 외광 차폐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광 차폐부의 폭, 피치(pitch), 또는 깊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외광 차폐층의 상하 투과율이 좌우 투과율 이하가 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격자 패턴의 화소(pixel)을 가지며, RGB를 구현하는 PDP(Plasma Display Panel) 장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장치,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 또는 FED(Field Emission Display) 장치 등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소형 게임기 표시창, 휴대폰 표시창 등의 소형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 및 연성(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외광이 강한 옥외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공공시설의 실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P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PDP 필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P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P 장치(100)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상부를 덮는 커버(150)와, 케이스(110) 내에 수용되는 구동 회로 기판(120), 가스방전현상이 일어나는 방전셀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panel assembly)(130) 및 PDP 필터(140)로 구성된다. PDP 필터(140)는 투명기판 위에 도전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된 도전층이 구비되며, 이 도전층은 커버(150)를 통하여 케이스(110)로 접지된다. 즉, 패널 어셈블리(130)로부터 발생된 전자파가 시청자에게 도달하기 전에, 이를 PDP 필터(140)의 도전층을 통해서 커버(150)와 케이스(110)로 접지시키는 것이다.
이하, 전자파, 근적외선, 외부 환경광 등을 차폐하는 PDP 필터(140)를 먼저 설명하고, 그 후 이러한 PDP 필터(140)와 패널 어셈블리(130)를 포함하는 PDP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P 필터(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P 필터(200)는 투명기판(210)에 다양한 차폐기능 등을 가진 층들이 형성된 필터 베이스(270) 및 외광 차폐층(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필터 베이스(270)는 투명기판(210), 반사방지층(250) 또는 전자파 차폐층(220)이 순서에 상관없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파 차폐기능, 반사방지기능에 대응하는 층들이 각각 별개의 것으로서 분리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 베이스(27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층은 전자파 차폐기능, 반사방지기능 또는 이들의 조합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필터 베이스(270)는 앞서 언급한 전자파 차폐기능, 반사방지기능 또는 이들의 조합기능을 모두 가질 수도 있고, 이 중 어느 하나만을 가질 수도 있다.
필터 베이스(270)의 일면에 외광 차폐층(23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외광 차폐층(230)은 필터 베이스(270)의 패널 어셈블리 쪽의 면, 즉 PDP 필터(200)가 PDP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시청자 쪽과 반대쪽 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터 베이스(270)의 타면에 외광 차폐층(230)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외광 차폐층(230)은 지지체(232), 지지체(232)의 일면에 형성된 기재(matrix)(234) 및 기재(234) 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패널 어셈블리로 유입되는 외부 환경광을 차단하는 다수의 외광 차폐부(2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광 차폐부(236)가 형성된 기재(234)는 직접 필터 베이스(270)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32)에 기재(234)를 형성한 후 필터 베이스(270)와 결합할 수 있다. 지지체(232)는 외광 차폐부(236)가 형성된 기재(23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기재(234)와 필터 베이스(270)의 일면이 지지체(232)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지지체(232)는 기재(23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외광 차폐층(230)이 필터 베이스(270)의 타면에 배치될 경우 기재(234)와 필터 베이스(270)가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체(232)는 자외선 투과성을 가지는 투명한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지지체(232)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PC), 폴리 염화비닐(PV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지지체(232)로는 필터의 고유 기능을 가진 막, 예를 들어 반사방지층(250) 또는 전자파 차폐층(22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외광 차폐부(236)는 단면이 쐐기형상을 가지며, 패널 어셈블리(미도시)에 대향하는 기재(234)의 일면에 병렬로 형성되어 외부 환경광이 패널 어셈블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재(234)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형성되고, 외광 차폐부(236)는 빛을 흡수할 수 있는 검은색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 금속 중 어느 하나인 외광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광 차폐부의 상기 외광 흡수 물질은 카본블랙일 수 있다. 특히 금속의 경우에는 전기 전도도가 크고, 즉 전기 저항이 낮기 때문에 금속 분말을 첨가하여 외광 차폐부(236)를 형성하는 경우 금속 분말의 농도에 따른 전기 저항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광 차폐부(236)는 전자파 차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표면이 검게 처리된 또는 검은색의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 외광 차폐 기능 및 전자파 차폐기능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외광 차폐부(236)의 외광 흡수 물질로는 탄소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기재(234)에 외광 차폐부(236)를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지지체(232)의 일면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 구성된 기재(234)를 도포한 후, 쐐기형 외광 차폐부(236)와 반대 형상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외광 차폐부 성형용 롤(미도시) 사이에 이 지지체(232)를 통과시킨다. 따라서, 지지체(232)의 일면에 기재(234)에 외광 차폐부 성형용 롤의 형상이 전사되고, 그 후 이 기재(234)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서 최종적으로 쐐기형 홈이 형성된 기재(234)로 성형된다. 그리고, 기재(234)에 형성된 쐐기형 홈에 탄소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공급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쐐기형 외광 차폐부(236)를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외광 차폐부(236)의 성형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 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열 프레스(press)법이나, 외광 차폐부(236)와 반대 형상이 전사된 기재(234) 내에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충전하여 성형하는 사출 성형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234)를 구성하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가 반사방지기능, 전자파 차폐기능, 색조절기능 또는 이들의 조합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외광 차폐층(230)은 부가적으로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광 차폐층(230)은 기재(232)의 일면에 배열된 비드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광 차폐부는 상기 기재와 상기 비드 렌즈 사이를 채울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외광 차폐층(230)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외광 차폐층(230)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광 차폐층(230)은 지지체(232), 지지체(232)의 일면에 형성된 기재(234) 및 기재(234)의 일면에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쐐기형 외광 차폐부(2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광 차폐부(236)는 기재(234)의 외부로 노출된 바닥면(236a)과 바닥면(236a)으로부터 기재(234) 내에 쐐기형 홈을 이루는 경사면(236b)을 포함하며, 경사면(236b)은 외부 환경광(320)을 흡수하거나 패널 어셈블리로부터의 입사광(310)을 시청자 쪽으로 전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뒤에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도 3에 도시된 외광 차폐부(236)의 단면에서 바닥면(236a)에 비하여 경사면(236b)이 매우 길기 때문에 외광 차폐부(236)의 바닥면(236a)이 패널 어셈블리 방향으로 향하는지 시청자 방향으로 향하는지에 관계없이, 외광 차폐부(236)의 형상과 구성 물질에 의해 본 발명의 PDP 필터(200)는 종래의 PDP 필터에 비하여 가시광선에 대한 높은 투과율과 높은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외광 차폐부(236)의 바닥면(236a)이 패널 어셈블리 방향으로 향하는 경우, 평균적으로 외부 환경광(320) 보다 입사광(310)의 경사면(236b)에 대한 입사각이 더 크기 때문에 입사광(310)은 경사면(236b)에서 전반사되어 투과율을 높이고, 외부 환경광(320)은 경사면(236b)에 흡수되어 명암 대비비를 높이게 되므로 더 향상된 화면 특성을 가지는 PDP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외광 차폐부(236)의 바닥면(236a)이 패널 어셈블리 방향으로 향하는 외광 차폐층(23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외광 차폐부(236)는 시청자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쐐기-블랙 스트라이프 형상, 쐐기-블랙 매트릭스 형상, 쐐기- 블랙 물결 형상, 플랫-블랙 스트라이프 형상, 플랫-블랙 매트릭스 형상, 또는 플랫- 블랙 물결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외광 차폐부(236)는 빛을 흡수하는 물질 외광 흡수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환경광(320)은 외광 차폐층(230)에 수직으로 입사되지 않는 이상 거의 대부분 외광 차폐부(236)의 경사면(236b)에 흡수된다. 여기서, 외광 차폐부(236)는 기재(234)의 외부로 노출된 바닥면(236a)과 바닥면(236a)으로부터 기재(234) 내에 쐐기형 홈을 이루는 경사면(236b)을 포함하며, 경사면(236b)은 외부 환경광(320)을 흡수하거나 패널 어셈블리로부터의 입사광(310)을 시청자 쪽으로 전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정면이나 좌우 방향에서 시청하며, 상하 방향으로 시청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관점에서 외광 차폐층(230)의 상 하 방향의 투과율은 낮게 유지하고, 정면이나 좌우 방향의 투과율은 높게 유지함으로써 외부 광원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외광 차폐층(230)은 바닥면(236a)으로부터 이웃하는 쐐기형 외광 차폐부(236)의 첩부(添附)를 연결하는 선과 기재 내 방향으로 바닥면(236a)에 수직인 선(법선)이 이루는 각을 경사각(β)이라 정의하고, 외광 차폐층(230)은 경사각(β)은 15°내지 40°의 범위를 갖고, 상기 기재의 면에 대한 상기 바닥면의 면적인 개구율은 55% 이상인 범위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경사각(β)이 20°내지 35°의 범위를 갖고, 상기 개구율은 55% 이상인 범위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외광 차폐부(236)의 폭(A2)은 15~50㎛이고, 깊이가 100~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과 반치각(half transmittance angle)은 정면 투과율의 절반이 되는 투과율을 나타내는 각도로서, 본 발명의 외광 차폐층(230)은 정면 대비 상부 또는 하부의 투과 반치각이 20°~ 40°인 범위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아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바이어스(bias) 각도를 갖는 디스플레이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패널 어셈블리의 방전셀의 주기적 패턴과 외광 차폐층(230)의 외광 차폐부(236)의 주기적 패턴에 의해 모아레 무늬(moire fringe)가 발생할 수 있다. 모아레 무늬란 두 개 이상의 주기적인 패턴(periodic pattern)이 겹쳐질 때 만들어지는 간섭 무늬(interference fringe)를 의미한다. 이러한 방전셀과 외광 차폐층 간의 간섭 현상에 의한 모아레 무늬를 방지하기 위해 도 4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외광 차폐부(236)의 연장선과 기재(234)의 장변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교차하여 배치한다. 여기서 효과적으로, 모아레 무늬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외광 차폐부(236)의 연장선과 기재(234)의 장변이 이루는 교차각으로 정의되는 바이어스 각도(bias angle, α)가 작은 것이 제조 공정상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외광 차폐층(230)은 다수의 방전셀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바이어스 각도(α)는 약 15° 이하인 범위를 갖는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필터 베이스(270)는 투명기판(210)의 일면에 형성된 전자파 차폐층(220)과, 투명기판(210)의 타면에 형성된 반사방지층(250) 등이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은 이 적층순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터 베이스(270)는 투명기판(210), 반사방지층(250) 또는 전자파 차폐층(220)이 순서에 상관없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투명기판(210)으로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약 2.0 내지 3.5 mm인 강화 또는 반강화 유리 또는 아크릴 같은 투명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유리는 비중이 2.5로 필터 제조 시 경량화가 어렵고 두께가 두꺼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세트에 장착 시 세트의 전체의 무게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으나 파손 방지 등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필터 베이스(270)의 사양에 따라 이러한 투명기판(210)은 제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투명기판(210)으로는, 유리, 석영 등의 무기화합물성형물과 투명한 유기고분자성형물을 들 수 있다. 유기고분자성형물로 이루 어진 투명기판(210)으로는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명기판(210)은 고투명성과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분자성형물 및 고분자성형물의 적층체를 투명기판(210)으로 사용할 수 있다. 투명기판(210)의 투명성에 관해서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유리하며, 내열성에 관해서는 유리전이온도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성형물은 가시파장영역에 있어서 투명하면 되고, 그 종류를 구체적으로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술폰(PS),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이미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 가격, 내열성, 투명성 면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표면을 도전성이 큰 물체로 덮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전자파 차폐층(220)으로는 도전성 메쉬 필름 또는 금속박막과 고굴절률 투명박막을 적층한 다층 투명도전막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파 차폐층(220)은 투명기판(210)의 일면, 즉 패널 어셈블리 쪽의 면에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도전성 메쉬 필름으로는 일반적으로는, 접지된 금속메쉬, 또는 합성수지나 금속섬유의 메쉬에 금속피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메쉬 필름을 구성하는 금속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구 리, 크롬, 니켈, 은, 몰리브덴, 텅스텐, 알루미늄 등 전기전도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있는 금속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다층 투명도전막은 ITO(Indium Tin Oxide)로 대표되는 고굴절 투명박막을 전자파 차폐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다층 투명도전막으로서는 금, 은, 구리, 백금, 팔라듐 등의 금속박막과, 산화인듐, 산화제2주석, 산화아연 등의 고굴절률 투명박막을 교대로 적층한 다층박막 등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 베이스(270)는 별도로 근적외선 차폐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적외선 차폐층은 패널 어셈블리로부터 발생하여 무선전화기나 리모콘 등의 전자기기의 오동작을 일으키는 강력한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사방지층(250)은 투명 기판(210)의 타면에 형성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적층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방지층(250)은 PDP 필터(200)가 PDP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시청자 쪽이 되는 면, 즉 패널 어셈블리 쪽과는 반대쪽 면에 형성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러한 반사방지층(250)은 외부광의 반사를 줄여서 시인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P 필터(200)는 580~600㎚의 파장대에서 60 % 이상의 투과율을 갖는 색보정층(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색보정층(240)은 적색(R), 녹색(G), 청색(B)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조절하여 색균형을 변화시키거나 교정한다. 일반적으로 패널 어셈블리 내의 플라즈마로부터 발생하는 빨간색의 가시광선이 오렌지색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색보정층의 경우 580~600㎚의 파장대를 가지는 이러한 오렌지색을 빨간색으로 색보정하는 역할을 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색보정층(240)은 580~600㎚의 파장대를 가지는 오렌지색에 대해 6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짐으로써, 오렌지색을 빨간색으로 색보정하는 역할을 축소하거나 제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층 또는 막을 맞붙일 때에는, 투명한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재료로서, 아크릴계접착제, 실리콘계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비닐부티랄 접착제(PMB),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접착제(EVA), 폴리비닐에테르, 포화무정형 폴리에스테르, 멜라민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외광 차폐부(236)와 기재(234)의 장변에 대하여 15도 이하의 바이어스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함으로써 모아레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이러한 PDP 필터를 이용한 PDP 장치를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P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DP 장치는 PDP 필터(200)와 패널 어셈블리(600)를 포함한다. PDP 필터(200)는 위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고, 이하 패널 어셈블리(6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기판(610)의 표면 상에는 복수의 유지전극(Sustain electrode)(615)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유지전극(615)에는 신호지연을 줄이기 위해 버스전극(620)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전 극(615)이 배치된 면의 위에는 전체를 덮도록 유전체층(62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유전체층(625)의 면 상에는 유전체 보호막(630)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전체 보호막(630)은 스퍼터링법 등을 이용하여 유전체층(625)의 표면 상을 MgO의 박막으로 덮음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배면기판(635)의 상기 전면기판(610)과 대향하는 면에는 다수의 어드레스 전극(640)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어드레스 전극(640)의 배치방향은 전면기판(610)과 배면기판(635)을 대향배치할 때에 유지전극(615)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어드레스 전극(640)이 배치된 면의 위에는 전체를 덮도록 유전체층(64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유전체층(645)의 면 상에는 어드레스 전극(640)과 평행하면서 전면기판(610) 쪽으로 향한 다수의 격벽(650)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격벽(650)은 이웃하는 어드레스 전극(640)과 어드레스 전극(640)과의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웃하는 격벽(650)과 격벽(650) 및 유전체층(645)으로 형성되는 홈 부분의 측면에는 형광체층(655)이 배치되어 있다.
형광체층(655)은 격벽(650)으로 구획되는 홈 부분마다 적색 형광체층(655R), 녹색 형광체층(655G), 청색 형광체층(655B)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형광체층(655)은 스크린 인쇄법, 잉크젯법 또는 포토레지스트 필름법 등의 후막형성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형광체 입자군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이러한 형광체층(655)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적색 형광체로서(Y, Gd)BO3 : Eu, 녹색 형광체로서 Zn2SiO4 : Mn, 청색 형광체로서 BaMgAl10O17 : Eu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면기판(610)과 배면기판(635)을 대향 배치했을 때에 상기 홈 부분과 유전체 보호막(630)으로 형성되는 방전셀(660)에는 방전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즉, 발광셀(660)은 패널 어셈블리(600)에서는 전면기판(610)과 배면기판(635) 사이에서의 유지전극(615)과 어드레스 전극(640)이 교차하는 각각의 부분에 형성된다. 방전가스로는 예를 들어, Ne-Xe계 가스, He-Xe계 가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구조를 갖는 패널 어셈블리(600)는 기본적으로 형광등과 같은 발광원리를 갖고, 방전셀(660)의 내부에서의 방전에 따라 방전가스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이 형광체층(655)을 여기 발광시켜 가시광으로 변환된다. 다만, 패널 어셈블리(600)에 이용하는 각 색의 형광체층(655R, 655G, 655B)에는 각각 다른 가시광으로의 변환효율을 갖는 형광체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패널 어셈블리(600)에서 화상을 표시할 때는 일반적으로 각 형광체층(655R, 655G, 655B)의 휘도를 조정함으로써, 색 밸런스의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휘도가 가장 낮은 색의 형광체층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형광체층의 휘도를 색마다 지정된 비율로 저하시키고 있다.
이러한 패널 어셈블리(600)의 구동은 크게 어드레스 방전을 위한 구동과 유지 방전을 위한 구동으로 나뉜다. 어드레스 방전은 어드레스 전극(640)과 하나의 유지전극(615) 사이에서 일어나며, 이 때 벽전하(wall charge)가 형성된다. 유지 방전은 벽전하가 형성된 방전셀(660)에 위치하는 두 개의 유지전극들(615)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서 일어난다. 이 유지 방전 시에 방전가스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해당 방전셀(660)의 형광체층(655)이 여기되어 가시광이 발산되며, 이 가시광이 전면기판(610)을 통해 출사되면서 시청자가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형성하게 된 다.
이하 도 5b를 참조하여, 패널 어셈블리(600)와 PDP 필터(200)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P 필터(200)는 패널 어셈블리(600)의 전면기판(610) 상부에 배치된다. PDP 필터(2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어셈블리(600)의 전면기판(61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접촉하여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패널 어셈블리(600)와 PDP 필터(200)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 등과 같은 부작용을 방지하거나 PDP 필터(200) 자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기판(610)과 접착제 또는 점착제(690)로 결합될 수도 있다. PDP 필터(200)에는 외부 환경광이 패널 어셈블리(6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광 차폐층(230)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 환경광은 주로 외광 차폐층(230)에 의해 흡수되어, 외부 환경광이 전면기판(610)을 통과하여 재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명실 조건에서 PDP 장치의 명암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외광 차폐부(236)의 피치(P2)는 패널 어셈블리(600)에 형성된 방전셀(660)(또는 픽셀)의 피치(P1)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방전셀(660)에 다수의 외광 차폐부(236)를 배치함으로써, 입사광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효율적으로 외부 환경광을 흡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외광 차폐층(230) 125㎛의 지지체(232)의 일면에 형성된 기재(234) 및 기 재(234)의 일면에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다수의 쐐기형 외광 차폐부(236)를 형성하였다. 쐐기형 외광 차폐부(236)는 깊이가 150㎛, 폭(A2)이 26㎛, 피치(P2)가 90㎛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투과율은 디스플레이용 필터 장착 전후의 휘도의 비로서 정의하였다. 이에 따른 정면에서의 투과율을 100%라 가정하고, 정면에서 상하 방향으로의 소정의 각에 따른 상대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명실에서의 명암비(Contrast Ratio)를 CS-1000 spectroradi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광흡수 계수는 23mm-1 가 되도록 준비하였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필터 부착 전후의 정면에 대한 각도별 배광 분포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의 상하 투과율은 약 30도에서 절반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명실 명암비의 측정결과는 표 1과 같다.
Figure 112006095753504-PAT00001
투과율은 약 64% 정도로서 휘도는 감소하지만, 명실 명암비는 4.5 배 정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
투과율이 61%인 광흡수 필름을 제작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용 필터를 장착 한 후 광학 특성을 조사하였다. 표 2에 비교예의 광학 특성을 나타내었다. 표 2를 참조하면 밝기는 실시예 1과 비슷하였지만, 명실 명암비는 약 1.7배 정도 증가하였다.
Figure 112006095753504-PAT00002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깊이, 폭, 피치를 갖는 외광 차폐부(236)를 형성하고, 외광 차폐부 물질의 광흡수 계수를 3mm-1, 10 mm-1, 30 mm-1, 90 mm-1, 600 mm- 1으로 증가하면서 상대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도 7은 실시예 2에 의한 외광 차폐부 물질의 광흡수 변화에 따른 상하 방향의 상대 투과율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광흡수 계수가 커질수록 시야각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율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개구율에서도 외광 차폐부 물질을 통과하는 광이 소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외광 차폐부 물질의 농도에 따라 상하 시야각에 따른 투과율이 달라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광흡수 계수는 상기 외광 차폐부의 폭에 따라 달라지지만, 실험적으로는 1mm-1 이상 바람직하게는 10mm- 1이상인 값을 가질 경우, 투가 반치각을 원하는 범위로 조절 가능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폭과 피치를 갖는 외광 차폐부(236)를 형성하고, 외광 차폐부의 깊이를 60㎛, 90㎛, 120㎛, 150㎛, 180㎛으로 증가하면서 상대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에서는 외광 차폐부 물질의 광흡수 계수가 30mm-1인 물질을 선택하였다.
도 8은 실시예 3의 외광 차폐부의 깊이에 따른 상하 시야각에 따른 상대 투과율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정면(시약각 0도)에서의 투과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깊이와 피치를 갖는 외광 차폐부(236)를 형성하고, 외광 차폐부의 폭을 8㎛, 12㎛, 18㎛, 26㎛, 33㎛, 50㎛으로 증가하면서 상대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4에서는 외광 차폐부 물질의 광흡수 계수가 30mm-1인 물질을 선택하였다. 도 9는 실시예 4에 의한 외광 차폐부의 폭 증가에 따른 상대 투과율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외광 차폐부 물질의 폭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정면에서의 개구율 변화로 인한 투과율이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되며, 두꺼워 지는 경우 광흡수 계수의 증가와 마찬가지로 투과 반치각이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게 된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깊이와 폭을 갖는 외광 차폐부(236)를 형성하고, 외광 차폐부의 피치를 50㎛, 70㎛, 90㎛, 120㎛, 200㎛으로 증가하면서 상대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5에서는 외광 차폐부 물질의 광흡수 계수가 30mm-1인 물질을 선택하였다. 도 10은 실시예 5에 의한 외광 차폐부의 폭 증가에 따른 상대 투과율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피치가 바뀌는 경우에는 정면에서 볼 때의 개구율 변화로 인한 투과율이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되며, 경사각 변화에 따른 투과반치각이 변동하는 현상을 보였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를 정리하면 아래 표 3과 같다.
Figure 112006095753504-PAT0000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정면이나 좌우에서 시청하며, 상하에서 시청하는 경우는 드물다는 관점에서 외광 차폐층(230)의 상하 방향의 투과율은 낮게 유지하고, 정면이나 좌우 방향의 투과율은 높게 유지함으로써 외부 광원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관점에서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외광 차폐층(230)은 바닥면(236a)으로부터 이웃하는 쐐기형 외광 차폐부(236)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선과 기재(234) 내 방향으로 바닥면(236a)에 수직인 선이 이루는 각을 경사각(β)이라 정의하고, 외광 차폐층(230)은 경사각(β)은 15°내지 40°의 범위를 갖고, 기재(234)의 면에 대한 상기 바닥면의 면적인 개구율은 55% 이상인 범위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경사각(β)이 20°내지 35°의 범위를 갖고, 상기 개구율은 55% 이상인 범위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외광 차폐부(236)의 폭(A2)은 10~50㎛이고, 깊이가 80~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과 반치각(half transmittance angle)은 정면 투과율의 절반이 되는 투과율을 나타내는 각도로서, 본 발명의 외광 차폐층(230)은 정면 대비 상부 또는 하부의 투과 반치각이 20°~ 40°인 범위를 갖는다.
패널 어셈블리의 방전셀의 주기적 패턴과 외광 차폐층(230)의 외광 차폐부(236)의 주기적 패턴에 의해 모아레 무늬(moire fringe)가 발생할 수 있다. 모아레 무늬란 두 개 이상의 주기적인 패턴(periodic pattern)이 겹쳐질 때 만들어지는 간섭 무늬(interference fringe)를 나타낸다. 이러한 방전셀과 외광 차폐층 간의 간섭 현상에 의한 모아레 무늬를 차단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광 차폐부(236)의 연장선과 기재(234)의 장변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교차하여 배치한다. 여기서 효과적으로, 모아레 무늬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외광 차폐부(236)의 연장선과 기재(234)의 장변이 이루는 교차각으로 정의되는 바이어스 각도(bias angle, α)가 1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외광 차폐층(230)은 다수의 방전셀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바이어스 각도(α)는 약 15° 이하인 범위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아래 방향의 투과율은 낮게 유지하고, 정면이나 좌우의 투과율은 높게 유지함으로써, 외부 광원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 하도록 하여 외부 조명에 의한 화질 저하를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휘도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외광에 의한 화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PDP 필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휘도 및 명실조건에서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7)

  1.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에 있어서,
    투명 수지 재질의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주기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되고, 외광 흡수 물질이 충진된 하나 이상의 외광 차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광 차폐부의 폭, 피치(pitch), 또는 깊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외광 차폐층의 상하 투과율이 좌우 투과율 이하가 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차폐부는
    상기 기재의 외부로 노출된 바닥면- 상기 바닥면은 패널 어셈블리에 대향하는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됨 -;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기재 내에 쐐기형 홈을 이루는 경사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차폐부는 시청자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차폐부는
    쐐기-블랙 스트라이프 형상, 쐐기-블랙 매트릭스 형상, 쐐기- 블랙 물결 형상, 플랫-블랙 스트라이프 형상, 플랫-블랙 매트릭스 형상, 또는 플랫- 블랙 물결 형상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패턴 간의 경사각(β)은 15°~ 40°이며, 상기 기재의 개구율은 5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β)이 20°~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차폐부의 상기 폭은 10~50㎛이고, 상기 깊이가 80~2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차폐부의 바이어스 각도는 1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차폐층은 다수의 방전셀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10. 제1항에 있어서,
    정면 대비 상부 또는 하부의 투과 반치각(half transmittance angle)이 25°~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일면에 배열된 비드 렌즈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광 차폐부는 상기 기재와 상기 비드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흡수 물질은
    검은색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 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흡수 물질은 카본블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14. 필터 베이스;
    상기 필터 베이스의 일면에 형성되고, 투명 수지 재질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일면에 일정한 주기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외광 차폐부를 구비하는 외광 차폐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광 차폐부의 폭, 피치(pitch), 또는 깊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외광 차폐층의 상하 투과율이 좌우 투과율 이하가 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차폐부는
    상기 기재의 외부로 노출된 바닥면 - 상기 바닥면은 패널 어셈블리에 대향하는 상기 기재의 일면에 형성됨 - ;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기재 내에 쐐기형 홈을 이루는 경사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16. 서로 대향하여 결합된 투명한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 사이에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전면기판에 부착된 상기 제1항 내지 상기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스플레이 필터용 외광 차폐층; 및
    상기 외광 차폐층과 대향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서로 대향하여 결합된 투명한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 사이에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전면기판과 대향 배치된, 상기 제14항 및 상기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133189A 2006-12-22 2006-12-22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58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189A KR20080058948A (ko) 2006-12-22 2006-12-22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189A KR20080058948A (ko) 2006-12-22 2006-12-22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948A true KR20080058948A (ko) 2008-06-26

Family

ID=39804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189A KR20080058948A (ko) 2006-12-22 2006-12-22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89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1337A (ja) * 2018-12-03 2020-06-11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視野角制御シート、視野角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1337A (ja) * 2018-12-03 2020-06-11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視野角制御シート、視野角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713B1 (ko)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JP4739951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用フィルター及びこれを含んだディスプレイ装置
US7755263B2 (en) External light-shielding layer, filter fo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external light-shielding lay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filter
KR100999252B1 (ko) 외광 차폐층, 이 외광 차폐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필터및 이 디스플레이 필터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436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US7821185B2 (en) Display filt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80058108A (ko)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70290B1 (ko) 시인성 향상 필름과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필터 및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3455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494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JP4842392B2 (ja) 外光遮蔽層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80054204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58948A (ko) 외광 차폐층,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55335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KR10124929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KR1010436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57625A (ko) 디스플레이필터용 외광차폐층,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86756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부재,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용 필터,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27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부재,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474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88759A (ko) 외광차폐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광학필터
KR20070073447A (ko) 외광 차폐층의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필터의 제조 방법
KR20100026742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39545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외광 차폐 필름
KR20080065420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