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3279A -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3279A
KR20050073279A KR1020040001633A KR20040001633A KR20050073279A KR 20050073279 A KR20050073279 A KR 20050073279A KR 1020040001633 A KR1020040001633 A KR 1020040001633A KR 20040001633 A KR20040001633 A KR 20040001633A KR 20050073279 A KR20050073279 A KR 20050073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anner
document
scanned
f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692B1 (ko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1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692B1/ko
Publication of KR2005007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6Transmitting or receiving computer data via an image communication device, e.g. a facsimil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93Enlarging or re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상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된 인쇄문서를 스캐너 및 프린터 기능을 갖는 복합장치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은, 인쇄문서의 배경 이미지로 사용할 문서를 스캐너에 삽입하는 단계와, 인쇄문서에 스캐너를 통해 스캐닝한 스캔 이미지를 합성하여 인쇄하는 오버레이 인쇄기능 설정 후 인쇄명령을 인가하는 단계와, 인쇄명령에 대응하여 복합장치로 스캐너에 삽입된 문서에 대한 스캐닝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복합장치로부터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된 스캔 이미지가 전송되면, 인쇄문서와 스캔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합성 이미지를 프린터에서 인식 가능한 프린터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합성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프린터 데이터를 복합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없이 인쇄 또는 전송명령만 내리면 원하는 출력물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image mixing method in printing system having multi function peripheral}
본 발명은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에서 작성된 문서와 복합장치의 스캐너를 통해 스캐닝한 이미지(image)를 합성하여 인쇄 또는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장치(Multi Function Peripheral)는 호스트 컴퓨터 또는 스캐너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팩시밀리, 스캐너, 복사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복합장치는 기본의 팩시밀리, 스캐너, 복사기와 같이 각각 단품으로 존재하던 장치를 프린터에 결합하여 만든 다기능 복합장치이다.
한편,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된 인쇄문서의 배경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 또는 그림을 합성하여 인쇄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을 오버레이(overlay) 인쇄기능이라고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오버레이 인쇄기능이 호스트 컴퓨터에 설치된 프린터 드라이버(Printer Driver)에 의해 제공되었다. 따라서, 오버레이 인쇄기능을 제공하는 프린터를 이용하여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된 인쇄문서에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합성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호스트 컴퓨터는 프린터 외에 원하는 사진 또는 그림을 스캐닝할 스캐너와도 접속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된 인쇄문서와 복합장치의 스캐너를 통해 스캐닝한 이미지를 합성하여 인쇄 또는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상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된 인쇄문서를 스캐너 및 프린터 기능을 갖는 복합장치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에 있어서, 인쇄문서의 배경 이미지로 사용할 문서를 상기 스캐너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인쇄문서에 상기 스캐너를 통해 스캐닝한 스캔 이미지를 합성하여 인쇄하는 오버레이 인쇄기능 설정 후 인쇄명령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인쇄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복합장치로 상기 스캐너에 삽입된 상기 문서에 대한 스캐닝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합장치로부터 상기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된 스캔 이미지가 전송되면, 상기 인쇄문서와 상기 스캔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합성 이미지를 상기 프린터에서 인식 가능한 프린터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상기 프린터 데이터를 상기 복합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합성 이미지 생성단계 및 상기 데이터 변환단계는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수행된다.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성 이미지 생성단계는 상기 인쇄문서와 상기 스캔 이미지를 합성하기 전에, 상기 스캔 이미지를 상기 인쇄문서의 크기에 대응하여 확대 및 축소한다.
또한, 상기 합성 이미지 생성단계는 상기 인쇄문서에 기초하여 상기 스캔 이미지의 농도를 조정한 후 상기 인쇄문서와 합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상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서를 스캐너 및 팩시밀리 기능을 갖는 복합장치를 이용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할 팩스문서의 배경 이미지로 사용할 문서를 상기 스캐너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팩스문서에 상기 스캐너를 통해 스캐닝한 스캔 이미지를 합성하여 전송하는 오버레이 전송기능 설정 후 전송명령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송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복합장치로 상기 스캐너에 삽입된 상기 문서에 대한 스캐닝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합장치로부터 상기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된 스캔 이미지가 전송되면, 상기 팩스문서와 상기 스캔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합성 이미지를 상기 팩시밀리에서 인식 가능한 팩스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상기 팩스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팩스 데이터를 상기 복합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합성 이미지 생성단계 및 상기 데이터 변환단계는 팩스 드라이버에 의해 수행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쇄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복합장치(200)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사용되며, 팩스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팩시밀리 기능, 인쇄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 기능, 스캐닝 대상 문서를 스캐닝하는 스캐너 기능 등을 구비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력장치(110), 표시장치(120), 롬(ROM)(130), 램(RAM)(140), 데이터 저장부(150), 중앙처리장치(CPU)(160), 응용프로그램부(170), 드라이버부(180) 및 입/출력(Input/Output) 인터페이스부(190)를 구비한다.
입력장치(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키 입력신호를 CPU(160)로 인가하는 장치로서, 키보드, 마우스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장치(120)는 일반적인 모니터로서, CPU(16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ROM(130)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140)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로서, CPU(160)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RAM(140)에는 CPU(16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로딩되어 저장되거나, CPU(160)에 의해 처리된 결과 데이터 등이 임시 저장된다.
데이터 저장부(150)에는 응용프로그램부(170)에서 작성된 문서데이터, 복합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한 팩스데이터, 인쇄데이터 및 복합장치(200)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 등 장기 보존대상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CPU(160)는 ROM(13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응용프로그램부(170)에서 작성된 문서에 대한 인쇄개시명령이 수신되면, 인쇄대상 문서에 대한 인쇄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인쇄조건정보를 표시하도록 프린터 드라이버를 호출한다.
응용프로그램부(170)에는 각종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응용프로그램의 예로는, 워드프로세서, 웹 브라우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등을 들 수 있다.
드라이버부(180)에는 복합장치(200)에 마련된 스캐너, 프린터 및 팩시밀리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캔 드라이버(181), 프린터 드라이버(183), 팩스 드라이버(185)가 마련되어 있다. 스캔 드라이버(181)는 복합장치(200)의 스캐너와 CPU(160) 사이에서 스캔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한다.
프린터 드라이버(183)는 복합장치(200)의 프린터로 전송할 인쇄데이터를 프린터에서 인식 가능한 프린터 데이터로 변환하며, 인쇄대상 문서에 대한 인쇄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인쇄조건 설정화면(미도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 드라이버(183)는 응용프로그램부(170)에서 작성된 인쇄문서와 복합장치(200)의 스캐너에서 스캐닝된 배경 이미지를 합성하여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오버레이(overlay) 인쇄기능을 제공한다.
인쇄조건 설정화면을 통해 오버레이 인쇄기능이 설정되면, 프린터 드라이버(183)는 응용프로그램부(170)에서 작성된 인쇄문서와 스캔 드라이버(181)로부터 제공받은 스캔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 때, 프린터 드라이버(183)는 응용프로그램부(170)에서 작성된 인쇄문서의 크기에 맞추어 확대 또는 축소시키며, 인쇄문서를 기초로 배경 이미지에 대한 농도를 조정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합성 이미지를 복합장치(200)의 프린터에서 인식 가능한 프린터 데이터로 변환한다.
팩스 드라이버(185)는 복합장치(200)의 팩시밀리로 전송하기 위한 문서를 팩스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팩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측 팩시밀리 및/또는 팩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신측 팩시밀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팩스정보 설정화면(미도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팩스 드라이버(185)는 팩스정보 설정화면을 통해 외부기기로 전송할 팩스문서와 복합장치(200)의 스캐너에서 스캐닝된 스캔 이미지를 합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 오버레이 전송기능을 제공한다.
팩스정보 설정화면을 통해 오버레이 전송기능이 설정되면, 팩스 드라이버(185)는 외부기기로 전송하기 위해 선택된 팩스문서와 스캔 드라이버(181)로부터 제공받은 스캔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 때, 팩스 드라이버(183)는 팩스문서에 기초하여 스캔 이미지의 크기 및 농도를 적절히 조정한 후 팩스문서와 합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합성 이미지를 복합장치(200)의 팩시밀리에서 인식 가능한 팩스 데이터로 변환한다.
I/O 인터페이스부(190)는 복합장치(200)와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어, 복합장치(200)와의 양방향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I/O 인터페이스부(190)는 프린터 드라이버(183)로부터 출력되는 프린터 데이터 또는 팩스 드라이버(185)로부터 출력되는 팩스 데이터를 복합장치(200)로 전송하거나, 복합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스캔 데이터 또는 팩스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복합장치(200)는 조작패널(Operation Panel : OPE)부(210), 메모리부(220), PC 인터페이스부(230), 스캐너(240), 프린터(250), 팩시밀리(260) 및 메인제어부(270)를 구비한다.
조작패널부(210)에는 복합장치(200)에서 지원되는 각종 기능을 선택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기능키, 숫자키가 마련된 입력부(212)와, 메인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복합장치(2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14)가 마련되어 있다.
메모리부(220)는 제1저장부(222)와 제2저장부(224)로 구성된다.
제1저장부(222)는 복합장치(200)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제2저장부(224)는 메인제어부(270)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제2저장부(224)는 스캐너(240)에서 스캐닝한 스캔 데이터 및 팩시밀리(260)로부터 출력되는 팩스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PC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접속 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양방향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PC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복합장치(200)의 동작 제어 명령 및 각종 데이터를 수신한다. PC 인터페이스부(230)는 메인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스캐너(240)에 의해 스캐닝된 스캔 데이터 또는 팩시밀리(260)를 통해 수신된 팩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스캐너(240)는 메인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삽입된 원고의 이미지를 스캐닝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한다. 스캐너(240)에 의해 스캐닝된 스캔 이미지는 제2저장부(224)에 임시 저장된다. 제2저장부(224)에 저장된 스캔 이미지는 메인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프린터(250)로 전송되어 인쇄되거나, PC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저장 또는 편집된다.
프린터(250)는 메인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스캐너(240)에 의해 스캐닝된 스캔 데이터, 팩시밀리(260)로부터 출력되는 팩스 데이터를 인쇄하거나, PC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프린터 데이터를 인쇄한다.
팩시밀리(260)는 모뎀(262) 및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Line Interface Unit, 이하 "LIU"라 칭함)(264)를 구비한다.
모뎀(262)은 메인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메인제어부(270)로부터 제공받은 팩스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조하고, LIU(264)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팩스 데이터를 복조하여 메인제어부(270)로 인가한다.
LIU(264)는 메인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과 모뎀(262) 사이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모뎀(262)과 통신망 사이의 신호를 인터페이싱 한다.
메인제어부(270)는 제1저장부(22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복합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제어부(270)는 PC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스캔 시작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스캐너(240)에 삽입된 스캐닝대상 문서(예컨대, 사진, 그림 등)를 스캐닝 하도록 스캐너(240)를 제어한다. 스캐너(240)의 스캐닝 작업이 완료되면, 메인제어부(270)는 스캐너(240)에 의해 스캐닝된 스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PC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 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쇄시스템에서 인쇄대상 문서에 대한 이미지 합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인쇄대상 문서의 배경으로 사용할 사진을 복합장치(200)의 스캐너(240)에 삽입한다(S310). 그런 다음,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인쇄대상 문서를 오픈한 후, 인쇄옵션을 선택한다(S315). 인쇄대상 문서에 대한 인쇄옵션이 선택되면, 표시장치(120)에는 프린터 드라이버(183)에서 제공되는 인쇄조건 설정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S320).
인쇄조건 설정화면에서 오버레이 인쇄기능이 설정된 후 인쇄실행 명령이 인가되면(S325), 프린터 드라이버(183)는 오버레이 인쇄기능이 설정됨을 알리는 인쇄명령을 복합장치(200)로 전송한다(S330). 이 때, 복합장치(200)로는 인쇄명령만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린터 드라이버(183)는 복합장치(200)로 스캐너(240)에 삽입된 사진에 대한 스캐닝 시작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응용프로그램부(170)로부터 전송 받은 인쇄문서에 대응하는 인쇄데이터를 버퍼 메모리(미도시)에 일시 저장해 둔다.
PC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인쇄명령이 수신되면, 복합장치(200)의 메인제어부(270)는 상기 인쇄명령이 스캐닝 시작을 알리는 스캔 요청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인쇄명령이 스캔 요청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제어부(270)는 S310 단계에서 삽입된 사진을 스캐닝 하도록 스캐너(240)를 제어한다(S335). 스캐너(240)는 메인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스캐닝 작업을 시작한다.
스캐닝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S340), 메인제어부(270)는 스캐닝된 스캔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PC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한다(S345). 복합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스캔 이미지는 I/O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스캔 드라이버(181)로 전송된다.
I/O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복합장치(200)로부터 스캐닝된 스캔 이미지가 수신되면, 스캔 드라이버(181)는 수신된 스캔 이미지를 프린터 드라이버(183)로 전송한다(S350).
그러면, 프린터 드라이버(183)는 응용프로그램부(170)로부터 전송 받은 인쇄문서와 스캔 드라이버(181)로부터 전송 받은 스캔 이미지를 합성한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S355). 이 때, 프린터 드라이버(183)는 인쇄문서에 기초하여 스캔 드라이버(181)로부터 전송 받은 스캔 이미지의 크기 및 농도 등을 조정한 후 인쇄문서와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프린터 드라이버(183)는 합성 이미지를 복합장치(200)의 프린터(250)에서 인식 가능한 프린터 데이터로 변환한다(S360). 프린터 드라이버(183)에 의해 변환된 프린터 데이터는 I/O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복합장치로 전송된다(S365).
PC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프린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메인제어부(270)는 수신된 프린터 데이터에 대한 인쇄작업을 수행하도록 프린터(250)를 제어한다(S370).
한편,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쇄시스템에서 외부기기로 전송할 팩스문서에 대한 이미지 합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외부기기로 전송할 팩스문서의 배경으로 사용할 사진을 복합장치(200)의 스캐너(240)에 삽입한다(S410). 그리고,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외부기기로 전송할 팩스문서를 오픈한 후, 팩스옵션을 선택한다(S415). 팩스문서에 대한 팩스옵션이 선택되면, 표시장치(120)에는 팩스 드라이버(185)에서 제공되는 팩스정보 설정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S420).
팩스정보 설정화면에서 오버레이 전송기능 설정 및 기타 팩스정보가 설정된 후 전송명령이 인가되면(S425), 팩스 드라이버(185)는 복합장치(200)로 스캐너(240)에 삽입된 사진에 대한 스캔 시작 요청신호를 전송한다(S430).
PC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스캐닝 시작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복합장치(200)의 메인제어부(270)는 S410 단계에서 삽입된 사진을 스캐닝 하도록 스캐너(240)를 제어한다(S435). 스캐너(240)는 메인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스캐닝 작업을 시작한다.
스캐닝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S440), 메인제어부(270)는 스캐닝된 스캔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PC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한다(S445). 복합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스캔 이미지는 I/O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스캔 드라이버(181)로 전송된다.
복합장치(200)로부터 스캐닝된 스캔 이미지가 수신되면, 스캔 드라이버(181)는 수신된 스캔 이미지를 팩스 드라이버(185)로 전송한다(S450).
팩스 드라이버(185)는 응용프로그램부(170)로부터 전송 받은 팩스문서와 스캔 드라이버(181)로부터 전송 받은 스캔 이미지를 합성한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다(S455). 이 때, 팩스 드라이버(185)는 팩스문서에 기초하여 스캔 드라이버(181)로부터 전송 받은 스캔 이미지의 크기 및 농도 등을 조정한 후 팩스문서와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팩스 드라이버(185)는 생성한 합성 이미지를 복합장치(200)의 팩시밀리(260)에서 인식 가능한 팩스 데이터로 변환한다(S460). 팩스 드라이버(185)에 의해 변환된 팩스 데이터는 I/O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복합장치로 전송된다(S365).
PC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팩스 데이터가 수신되면, 메인제어부(270)는 수신된 팩스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팩시밀리(260)를 제어한다(S470).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에 의하면, 프린터로 인쇄할 인쇄문서 또는 외부기기로 전송할 팩스문서에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이나 그림을 합성하여 인쇄 또는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없이 인쇄 또는 전송명령만 내리면 원하는 출력물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에게 조작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 기능, 프린터 기능 및 팩시밀리 기능을 갖는 복합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합성 이미지를 인쇄하거나 외부기기로 전송하기 위해 별도로 스캐너, 팩시밀리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쇄시스템에서 인쇄대상 문서에 대한 이미지 합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쇄시스템에서 외부기기로 전송할 팩스문서에 대한 이미지 합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용자 단말기 160 : CPU
170 : 응용프로그램부 180 : 드라이버부
181 : 스캔 드라이버 183 : 프린터 드라이버
185 : 팩스 드라이버 190 : I/O 인터페이스부
200 : 복합장치 210 : 조작패널부
220 : 메모리부 230 : PC 인터페이스부
240 : 스캐너 250 : 프린터
260 : 팩시밀리 270 : 메인제어부

Claims (6)

  1. 사용자 단말기 상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된 인쇄문서를 스캐너 및 프린터 기능을 갖는 복합장치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에 있어서,
    인쇄문서의 배경 이미지로 사용할 문서를 상기 스캐너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인쇄문서에 상기 스캐너를 통해 스캐닝한 스캔 이미지를 합성하여 인쇄하는 오버레이 인쇄기능 설정 후 인쇄명령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인쇄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복합장치로 상기 스캐너에 삽입된 상기 문서에 대한 스캐닝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합장치로부터 상기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된 스캔 이미지가 전송되면, 상기 인쇄문서와 상기 스캔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합성 이미지를 상기 프린터에서 인식 가능한 프린터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상기 프린터 데이터를 상기 복합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이미지 생성단계 및 상기 데이터 변환단계는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이미지 생성단계는 상기 인쇄문서와 상기 스캔 이미지를 합성하기 전에, 상기 스캔 이미지를 상기 인쇄문서의 크기에 대응하여 확대 및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이미지 생성단계는 상기 인쇄문서에 기초하여 상기 스캔 이미지의 농도를 조정한 후 상기 인쇄문서와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
  5. 사용자 단말기 상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서를 스캐너 및 팩시밀리 기능을 갖는 복합장치를 이용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할 팩스문서의 배경 이미지로 사용할 문서를 상기 스캐너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팩스문서에 상기 스캐너를 통해 스캐닝한 스캔 이미지를 합성하여 전송하는 오버레이 전송기능 설정 후 전송명령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송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복합장치로 상기 스캐너에 삽입된 상기 문서에 대한 스캐닝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합장치로부터 상기 스캐너에 의해 스캐닝된 스캔 이미지가 전송되면, 상기 팩스문서와 상기 스캔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합성 이미지를 상기 팩시밀리에서 인식 가능한 팩스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상기 팩스 데이터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팩스 데이터를 상기 복합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이미지 생성단계 및 상기 데이터 변환단계는 팩스 드라이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
KR1020040001633A 2004-01-09 2004-01-09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 KR100573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633A KR100573692B1 (ko) 2004-01-09 2004-01-09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633A KR100573692B1 (ko) 2004-01-09 2004-01-09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279A true KR20050073279A (ko) 2005-07-13
KR100573692B1 KR100573692B1 (ko) 2006-04-26

Family

ID=3726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633A KR100573692B1 (ko) 2004-01-09 2004-01-09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6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422B1 (ko) * 2007-01-16 2014-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사기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422B1 (ko) * 2007-01-16 2014-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사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3692B1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4653B1 (en) Network facsimile apparatus
US68983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fit-to-form scanning with a scanning device
US7916953B2 (en) Removable medium device, medium for controlling removable medium device, and medium for controlling network device
JP4582208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9578198B2 (en) Application cooperation system including server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lication cooperation method
US20060059415A1 (en) Data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document input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document man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programs for implementing the control methods,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control programs
US696544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8284442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with maximum magnification image data generation section and preview editing
JP2013169675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制御プログラム
US841643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8482746B2 (en) Multifunc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ultifunc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0573692B1 (ko) 복합장치를 구비한 인쇄시스템에서의 이미지 합성방법
US20020063872A1 (en) Image forming system and scanner therefor that directly supplies image data from the scanner to the image forming system
JP2009302920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3478212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3906785B2 (ja) 画像通信方法、画像通信システム、画像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034909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인쇄 처리 방법
KR100370764B1 (ko) 음성문서 입력방법과 장치
JP2004246916A (ja) 印刷データ伝送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受信装置及び送信装置、印刷データ伝送方法、並びに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229017B1 (ko) 복합기의 팩시밀리 수신데이터 처리방법
KR100555647B1 (ko) 컬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컬러 변환방법
JP2001111848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7166230A (ja) ネットワーク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ファクシミリシステム
KR100318727B1 (ko) 복합기의기능을편집하는방법
JP2000039975A (ja) 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システム、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システムの通信制御方法及び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