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194A - 주방용 후드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방용 후드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194A
KR20050072194A KR1020040000494A KR20040000494A KR20050072194A KR 20050072194 A KR20050072194 A KR 20050072194A KR 1020040000494 A KR1020040000494 A KR 1020040000494A KR 20040000494 A KR20040000494 A KR 20040000494A KR 20050072194 A KR20050072194 A KR 20050072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kitchen hood
hood
exhaust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7738B1 (ko
Inventor
이수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토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토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토피아
Priority to KR10-2004-0000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738B1/ko
Publication of KR20050072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후드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동주택의 주방에 마련된 후드를 개선하여 오염된 공기를 정화한 후 다시 실내로 급기 시킴으로써, 배기의 배출을 위하여 공동주택에 별도로 마련되는 배기관로를 배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는 배기구(110)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오일필터(121)와 오일드레인(122)을 구비한 흡기구(120)가 형성되어, 중단에 필터(131)를 통하여 공기를 여과시키는 정화부(130)가 마련된 후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10)는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송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정화부(130)의 필터(131) 하측에는 팬(132)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물을 미세한 입자로 분무시키는 분무수단(133a)과, 상기 분무수단(133a)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나열된 다수개의 안내날개(133b)와, 상기 안내날개(133b)의 하측에 엇갈리게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나열된 다수개의 저수용기(133c)로 이루어진 분무여과장치(133)가 추가로 구성되어, 시공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한정된 공동주택의 내부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어 공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실내의 넓은 면적에 그대로 부유한 오염물질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실내 환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용 후드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Hood for kitchen and ventilation system of high apartment house utilizing the hood}
본 발명은 주방용 후드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동주택의 주방에 마련된 후드를 개선하여 오염된 공기를 정화한 후 다시 실내로 급기 시킴으로써, 배기의 배출을 위하여 공동주택에 별도로 마련되는 배기관로를 배제하기 위한 장치로써, 시공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한정된 공동주택의 내부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어 공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실내의 넓은 면적에 그대로 부유한 오염물질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실내 환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에 건설되고 있는 고 기능화된 고층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창문(커튼월방식) 등이 에너지 보존 측면에서 밀폐되도록 시공되고 있어, 이러한 고층 공동주택은 쾌적성의 요구에 응하여 다량의 신선한 외기 도입을 필연적으로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내 환기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고층 공동주택의 실내공기 주 오염원은 주방에서 취사시 발생하는 발열과 냄새 및 기름증기 등의 각종 오염물질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오염물질은 열적부력(Thermal Force)에 의하여 상승하여 천장면을 타고 부유하여 주방 또는 실내 전체에 확산된다.
또한, 주방에서의 발열은 대부분 불순물을 포함한 대류열과 복사열의 형태로 발생되는데, 이러한 열량은 장비, 표면온도, 및 보온정도에 따라 다르며, 상기와 같은 발열에 의하여 공기가 가벼워져 불순물과 함께 상승하여 확산되어 실내를 오염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 건물의 환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종래 건물의 환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의 조리대(A) 상부에 주방용 후드(10)를 설치하거나, 화장실 및 천장(C) 등에 다수개의 배기구(20)가 마련되어, 조리시에 상기 조리대(A)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상기 주방용 후드(10)로 흡입하거나, 실내에서 발생하는 기타 오염된 공기를 상기 배기구(20)로 흡입하여 건물에 수직하게 형성된 배기관로(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건물의 실내에는 각종 냉난방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실내의 냉난방을 수행하게 되며, 외측벽면(B)에는 자연적으로 통기 가능한 급기구(3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후드(10)나 배기구(20)를 통하여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를 대체하여, 상기 급기구(30)를 통하여 신선한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건물의 환기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주방용 후드와 배기구가 동시에 동작하게 되면, 고층 공동주택은 커튼월방식으로 시공되어 실내가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외벽에 자연적으로 통기 가능한 급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밀폐된 공간에서 실내의 공기를 배기 시키기만 하고 실내에 급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실내에서는 부압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이러한 후드 및 배기팬의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동시에, 실내의 환기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전체적인 환기효과 뿐 만 아니라, 실내환경이 악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내의 공기를 배기 시키기만 했을 때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설치된 자연 급기구를 통하여 실외 공기가 직접적으로 유통됨에 따라, 난방중인 실내에 차가운 외기가 직접 유입되거나, 냉방중인 실내에 고온다습한 외기가 직접 유입됨으로써, 실내 공기환경 및 열환경이 파괴되고 이에 따른 에너지 손실이 크게 발생하게 되어 건물의 전체적인 냉난방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은 종래 건물의 환기 시스템은 주방용 후드의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효율이 낮아 실내의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주방용 후드로 흡입한 오염물질을 건물에 별도로 마련된 배기관로를 통하여 배출시키기 때문에, 배기관로를 추가적으로 마련하여야 하여 건물의 공간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시공비가 증대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공동주택의 주방에 마련된 후드가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다시 실내로 급기 시킴으로써 배기를 위하여 공동주택에 별도로 마련되는 배기관로를 배제시킬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한정된 공동주택의 내부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어 공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실내의 넓은 면적에 그대로 부유한 오염물질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실내 환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 후드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는 상부에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오일필터와 오일드레인을 구비한 흡기구가 형성되어, 중단에 필터를 통하여 공기를 여과시키는 정화부가 마련된 후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송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정화부의 필터 하측에는 팬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물을 미세한 입자로 분무시키는 분무수단과, 상기 분무수단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나열된 다수개의 안내날개와, 상기 안내날개의 하측에 엇갈리게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나열된 다수개의 저수용기로 이루어진 분무여과장치가 추가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은 하부에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와 연통 형성되어 미세한 입자의 물을 분사시켜 공기를 정화시키는 분무여과장치와 필터가 마련된 정화부와, 상기 정화부를 통과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출시키는 배기구로 이루어져, 조리대의 상측 벽면에 위치한 주방용 후드와; 출구측에 배기팬이 구비된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의 입구측에 위치한 분사노즐과, 상기 배기덕트의 중단에 위치하여 개폐에 따라 배기가 전열교환부로 경유하도록 배기유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댐퍼가 마련된 배기부와, 출구측에 히터와 급기팬을 구비한 급기덕트가 형성되어 중단이 상기 전열교환부를 통과하는 급기부로 이루어져, 외측벽면을 관통하여 고정된 환기장치와; 일측에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와 연통 설치된 송출팬과, 송출구가 점차적으로 협소해지도록 변경되는 곡률반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성형된 안내벽과, 상기 송출구의 일측단부가 일부 절곡 형성된 부압발생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방용 후드와 환기장치 사이 천장 내에 위치하여 상기 주방용 후드로부터 송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환기장치를 향하여 천장 하측면에 연접하는 방향으로 송출시켜 코안다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급기장치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에 대한 오일필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배기구(110)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오일필터(121)와 오일드레인(122)을 구비한 흡기구(120)가 형성되어, 중단에 필터(131)를 통하여 공기를 여과시키는 정화부(130)가 마련된 후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10)는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송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정화부(130)의 필터(131) 하측에는 팬(132)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물을 미세한 입자로 분무시키는 분무수단(133a)과, 상기 분무수단(133a)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나열된 다수개의 안내날개(133b)와, 상기 안내날개(133b)의 하측에 엇갈리게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나열된 다수개의 저수용기(133c)로 이루어진 분무여과장치(133)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의 조리대(A) 상측 벽면에 위치하며 상하에 각각 배기구(110) 및 흡기구(120)가 마련되어 있어, 조리대(A)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혼재된 공기를 상기 흡기구(120)로 흡입한 후, 상기 배기구(110)로 송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배기구(110)는 종래의 주방용 후드에서 오염물질을 여과한 공기를 배기관로로 배출시키는 것과는 다르게, 오염물질을 여과한 공기를 다시 실내 천장(C) 하면에 연접하는 방향으로 송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110)와 흡기구(120) 사이에 연통 형성된 정화부(130)에는 상기 흡기구(120)로 공기를 흡입하였다가, 상기 배기구(110)로 송출시킬 수 있도록 한 개 이상의 팬(132)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흡입한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필터(131) 및 오일필터(121)와 오일드레인(122)이 마련되어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에 대하여 여과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정화부(130)의 필터(131)와 오일필터(121) 사이에는 흡입한 공기에 미세한 입자의 물을 분사시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이러한 공기를 단열 냉각시킬 수 있는 분무여과장치(133)가 추가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분무여과장치(133)는 흡입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안내날개(133b)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나열되며, 상기 안내날개(133b)의 상측에는 상기 안내날개(133b)를 통과하는 공기에 미세한 입자의 물을 분사시킬 수 있는 노즐 형태의 분무수단(133a)이 위치하며, 상기 안내날개(133b)의 하측에는 상기 분무수단(133a)에서 분사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용기형태의 저수용기(133c)가 상기 안내날개(133b)의 위치와 엇갈리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흡기구(12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저수용기(133c)와 안내날개(133b)의 단면형상에 의하여 'S'자형 유로를 형성하여 상측방향으로 통과하게 되며, 상기 저수용기(133c)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모이게 되면, 상기 안내날개(133b)와 저수용기(133c)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저수용기(133c)에 저장된 물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1차적으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며, 이후, 상기 안내날개(133b)와 저수용기(133c)를 통과한 공기는 분무수단(133a)에서 분사되는 미세한 입자의 물에 의하여 이물질이 2차적으로 제거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분무여과장치(133)의 저수용기(133c)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3d)이 편심되게 관통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그 일측 저부에는 배수로(133e)가 추가 형성되어, 상기 저수용기(133c)에 소정량의 물이 저류되면 물의 자중에 의하여 일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배수로(133e)를 통하여 고인 물을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분무수단(133a)에서 미세한 입자로 분사된 물이 공기 중의 오염물질과 흡착하여 상기 저수용기(133c)에 고이게 되며, 상기 저수용기(133c)에 소정량의 물이 고이게 되면 상기 저수용기(133c)를 편심되게 지지하는 회전축(133d)을 중심으로 상기 저수용기(133c)가 일정각도 회동하여 저수용기(133c) 내에 고인 물을 배수로(133e)로 흘려 보내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화부(130)의 상부, 즉 상기 배기구(110) 주변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미세한 다공이 형성된 필터(131)를 마련하는 것이 본 발명에 있어서 적절하며, 이와 더불어, 상기 정화부(130)의 하부, 즉 상기 흡기구(120) 주변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 가운데 오일을 여과시킬 수 있는 오일필터(121)와, 상기 오일필터(121)에서 포집된 오일을 저류 및 제거시킬 수 있는 오일드레인(122)을 마련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때, 상기 오일필터(121)와 오일드레인(122)은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한 기름입자를 여과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필터(121)에 대한 적절한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및 일측이 개구된 사각기둥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댐퍼판(121a)과; 상기 댐퍼판(121a)의 일측에 절곡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댐퍼판(121a)의 내부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다수개의 안내판(121b)과; 양측에 위치한 상기 안내판(121b)에 고정 체결된 손잡이(121c)와; 상기 댐퍼판(121a)의 양측면 및 배면에 면상으로 위치하는 흡음재(121d)로 구성되며, 상기 오일드레인(122)에 대한 적절한 실시예로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일필터(121)는 기름때 및 기타 오염물질을 함유한 취기가 내부로 유입되면서, 전면에 위치한 다수개의 안내판(121b)에 의하여 좁은 틈을 따라 빠른 속도로 오염물질을 포함한 취기가 상기 댐퍼판(121a)의 내부로 유입되며, 이후, 오염물질을 포함한 취기는 댐퍼판(121a)에 이르러 회전하게 되면서 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취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은 상기 댐퍼판(121a)의 내면 흡착되면서 분리되고, 여과된 공기는 상기 댐퍼판(121a)의 상하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따라 배기 됨으로써, 많은 오염물질을 포함한 취기가 상기 오일필터(121)에 의하여 여과되어도, 상기 오일필터(121)가 오염물질에 의하여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상기 댐퍼판(121a)의 내면에 흡착되면서 분리된 기름때 등의 오염물질은 상기 댐퍼판(121a)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려, 상기 오일필터(121)의 하측에 형성된 오일드레인(122)으로 저류되며, 상기 오일드레인(122)에 많은 양의 기름때 등의 오염물질이 저류되었을 때, 사용자는 상기 오일드레인(122)을 손쉽게 탈착 시켜 오염물질을 청소해 줌으로써 환기의 효율이 감소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드레인(122)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오일드레인(122)에 저류된 오일의 양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오일드레인(122)에 저류된 오염물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오일필터(121)의 전면에 체결되어 있는 손잡이(121c)를 이용하여 상기 오일필터(121)를 주방용 후드(100)의 흡기구(120)에 용이하게 착탈 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오일필터(121)의 양측면 및 배면에는 흡음재질로 이루어진 흡음재(121d)가 면상으로 부착되어 있어, 상기 정화부(130)의 중단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팬(132)의 소음이나 기타 실외의 소음이 상기 흡기구(120)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부(130)의 필터(131) 상측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오나이저(134)가 추가로 마련되어 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인체에 유익한 이온 성분을 발생시키는 이오나이저(134)를 상기 정화부(130) 내에서 정화된 공기가 통과한 후, 배기구(110)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송출시킴으로써 실내 공기를 더욱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흡기구(120)의 일측에는, 중공 패널로 이루어져 외측면에 공기인입구(141)가 형성되며, 하단 이면에 공기배출구(142)가 형성되고, 그 중단에 롱팬(143)이 마련된 회동패널(140)이 소정 각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체결될 수 있다.
즉, 주방용 후드(100)의 흡기구(120)의 전방측에, 중공 패널로 이루어져 전후면에 각각 공기인입구(141)와 공기배출구(14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단에 롱팬(143)을 구비한 회동패널(140)을 추가로 마련함으로써, 주방용 후드(100)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회동패널(140)을 소정각도로 회동시킨 후, 그 내부에 마련된 롱팬(143)을 회전시켜 상기 공기인입구(141)를 통하여 주방용 후드(140)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였다가 공기배출구(142)를 통하여 흡기구(120) 측으로 배출하게 된다.
반대로, 주방용 후드(100)를 사용치 않을 때에는 상기 회동패널(140)을 회동시켜 도면상 가상선으로 도시된 D위치로 수직하게 회동시킴으로써, 조리대(A) 상측 주변 공간의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방용 후드(100)의 흡기구(120) 측에 롱팬(143)이 구비되어 일정각도로 회동 가능한 회동패널(140)을 추가로 마련함으로써, 주방용 후드(100)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부(130) 측으로 원활하게 송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주방의 공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는 정화부(130)에 추가로 마련된 분무여과장치(133)에서 미세한 입자로 물을 분사시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한 후, 오염물질이 여과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출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배기관로가 필요하지 않아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에 대한 환기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에 대한 급기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에 대한 급기장치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형성된 흡기구(120)와, 상기 흡기구(120)와 연통 형성되어 미세한 입자의 물을 분사시켜 공기를 정화시키는 분무여과장치(133)와 필터(131)가 마련된 정화부(130)와, 상기 정화부(130)를 통과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출시키는 배기구(110)로 이루어져, 조리대(A)의 상측 벽면에 위치한 주방용 후드(100)와; 출구측에 배기팬(221a)이 구비된 배기덕트(221)와, 상기 배기덕트(221)의 입구측에 위치한 분사노즐(222)과, 상기 배기덕트(221)의 중단에 위치하여 개폐에 따라 배기가 전열교환부(210)로 경유하도록 배기유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댐퍼(223)가 마련된 배기부(220)와, 출구측에 히터(231a)와 급기팬(231b)을 구비한 급기덕트(231)가 형성되어 중단이 상기 전열교환부(210)를 통과하는 급기부(230)로 이루어져, 외측벽면(B)을 관통하여 고정된 환기장치(200)와; 일측에 형성된 흡기구(310)와, 상기 흡기구(310)와 연통 설치된 송출팬(320)과, 송출구(331a)가 점차적으로 협소해지도록 변경되는 곡률반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성형된 안내벽(331)과, 상기 송출구의 일측단부가 일부 절곡 형성된 부압발생단(332)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방용 후드(100)와 환기장치(200) 사이 천장(C) 내에 위치하여 상기 주방용 후드(100)로부터 송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환기장치(200)를 향하여 천장(C) 하측면에 연접하는 방향으로 송출시켜 코안다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급기장치(3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조리대(A)의 상측 벽면에 마련된 주방용 후드(100)와, 외측벽면(B)을 관통하여 설치된 환기장치(200)와, 상기 주방용 후드(100)와 환기장치(200) 사이의 천장(C)에 위치하여 상기 주방용 후드(100)에서 정화되어 송출된 공기를 흡입하였다가 상기 환기장치(200)로 급기 시키는 급기장치(3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주방용 후드(100)는 상기한 것과 같이 흡기구(120)를 통하여 오염물질이 혼재된 공기를 흡입한 후, 정화부(130) 입구에 마련된 오일필터(121)와, 상기 정화부(130)에 마련된 필터(131) 및 분무여과장치(133)를 통과하게 되면서 오염물질이 완전히 정화된 공기를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C) 하면에 연접하는 방향으로 배기구(110)를 통하여 송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주방용 후드(100)와 환기장치(200) 사이의 천장(C)에 마련된 급기장치(300)는 도 2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방용 후드(100)의 배기구(110)를 통하여 송출되는 공기 뿐 아니라, 상기 급기장치(300) 주변에 위치한 실내 상부의 공기를 흡입하였다가, 흡입된 실내 공기를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다시 상기 천장(C)의 하측면에 연접하는 방향으로 송출시킴으로써 환기장치(200)로 급기 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급기장치(300)에 형성된 안내벽(331)의 단면 형상에 따라 상기 송출구(331a)를 통하여 송출되는 실내공기의 송풍량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송출구(331a)의 일측에 형성된 부압발생단(332)에 의하여 상기 송출구(331a)에서는 코안다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어, 상기 송출구(331a)에서는 급기장치(300)에서 송출되는 공기와, 상기 부압발생단(332)의 주변에 위치한 실내공기에 대한 송출방향을 천장 하측면에 연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팬(320)은 중앙에 위치한 급기전동기(321)와, 상기 급기전동기(321)의 양측에 체결된 원통형상의 급기날개(322)로 이루어져, 상기 급기전동기(321)에 의하여 상기 급기날개(322)가 양측에서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급기팬(320)이 편심된 상태로 장시간 작동하여 발생하는 부가적인 문제점을 예방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급기장치(300)의 내부에는 산소발생기(미도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급기장치(300)의 내부에 산소발생기를 추가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더욱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내 공기가 급기장치(300)에 의하여 환기장치(20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환기장치(20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건물의 외측벽면에 환기구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체하여 설치되며, 실내의 더운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기 가능하도록 상부에 배기부(220)가 마련되고, 상기 배기부(220)의 하측에 급기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부(220)는 배기덕트(221)가 형성되어 배기유로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배기덕트(221)의 출구측에는 배기팬(211a)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배기팬(211a)이 회전함에 따라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배기덕트(221)의 입구측에는 급수관과 연통 설치된 분사노즐(222)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분사노즐(222)은 상수도와 연결된 상기 급수관을 통하여 물을 공급받아 상기 배기덕트(221)를 통하여 배기 되는 공기에 미세한 입자의 물을 분사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덕트(221)의 중단에는 힌지 체결되어 직각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배기덕트(221)의 중단을 개폐 가능한 댐퍼(223)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댐퍼(223)의 회동각도 제어에 따라 상기 배기덕트(221)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에 대한 유로를 선택 가능하다.
즉, 상기 댐퍼(223)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덕트(221)의 중단을 밀폐시키게 되면, 상기 배기덕트(221)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는 상기 배기덕트(221)의 하측에 마련된 전열교환부(210)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반대로, 상기 댐퍼(223)가 상기 배기덕트(221)의 중단을 개방시키게 되면, 상기 배기덕트(221)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는 상기 전열교환부(21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급기부(230)는 급기덕트(231)가 형성되어 급기유로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급기덕트(231)의 출구측에는 급기팬(231b) 및 히터(231a)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급기팬(231b)이 회전함에 따라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급기 시키게 되며, 상기 히터(231a)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히터(231a)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를 난방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급기부(230)의 급기덕트(231)는 중단이 상기 전열교환부(210)를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급기부(230)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는 상기 배기부(220)의 댐퍼(223) 위치에 따라 배기와 선택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실내로 급기 된다.
상기와 같은 환기장치(200)는 밀폐된 건물의 외측벽면(B)에 설치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고, 실외의 신선한 외기를 공급시켜 줌으로써, 실내의 환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계절에 따라, 즉 실내외 온습도 및 미압차에 따라 열교환이 이루어져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방용 후드(100), 환기장치(200) 그리고 급기장치(300)에 무선수신부(미도시)가 마련된 제어부(미도시)를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리모트컨트롤러 등과 같은 무선송신기(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주방용 후드(100), 환기장치(200) 그리고 급기장치(300)의 동작여부 및 각종 팬의 회전수를 수동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실내 공기의 상태에 따라, 리모트컨트롤러와 같은 무선송신기를 통하여 각각에 연결된 제어부를 제어하여, 주방용 후드(100), 환기장치(200), 그리고 급기장치(300)에 마련된 각종 팬의 회전 여부는 물론, 팬의 회전수와, 기타 냉난방 및 공기정화를 수행하는 각종 수단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을 더욱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는 수동으로 실내 공기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주방용 후드(100), 환기장치(200) 그리고 급기장치(300)에는 무선수신부(미도시) 및 CO2센서(미도시)가 마련된 제어부를 연결하여, 리모트컨트롤러 등과 같은 무선송신기(미도시) 및 상기 CO2센서에서 검출된 CO2의 양에 따라 상기 주방용 후드(100), 환기장치(200) 그리고 급기장치(300)의 동작여부 및 각종 팬의 회전여부 및 회전수를 자동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와 같은 무선송신기를 통하여 제어부를 직접 수동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추가된 CO2센서에서 검출한 CO2양과 미리 사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 등의 무선송신기를 통하여 제어부에 입력한 기준치의 CO2양을 비교하여, 상기 CO2센서에서 검출된 CO2양이 기준치 이상으로 CO2가 검출되면 상기 주방용 후드(100), 환기장치(200) 그리고 급기장치(300)의 동작여부 및 각종 팬의 회전여부 및 회전수를 자동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층 공동주택과 같이 밀폐된 실내에 주방용 후드(100), 환기장치(200) 그리고 급기장치(300)가 마련되며, 상기 주방용 후드(100)에서 오염물질이 포함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 다시 실내로 송출시키게 되며, 상기 급기장치(300)는 상기 주방용 후드(100)에서 송출된 공기는 물론 주변의 공기를 환기장치(200)로 급기 시키게 되고, 상기 환기장치(200)에서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와의 흡배기와 함께 열교환 및 실내의 냉난방을 보조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은 오염된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배기관로 없이도 밀폐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 건물의 시공성 및 공간 활용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주방에 마련된 후드가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다시 실내로 급기 시킴으로써 배기를 위하여 공동주택에 별도로 마련되는 배기관로를 배제시킬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한정된 공동주택의 내부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어 공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실내의 넓은 면적에 그대로 부유한 오염물질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실내 환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건물의 환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에 대한 오일필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에
대한 환기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에
대한 급기장치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에
대한 급기장치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방용 후드 110 : 배기구 120, 310 : 흡기구
121 : 오일필터 122 : 오일드레인 130 : 정화부
131 : 필터 132 : 팬 133 : 분무여과장치
134 : 이오나이저 140 : 회동패널 141 : 공기인입구
142 : 공기배출구 143 : 롱팬 200 : 환기장치
210 : 전열교환부 220 : 배기부 221 : 배기덕트
222 : 분사노즐 223 : 댐퍼 230 : 급기부
231 : 급기덕트 300 : 급기장치 320 : 송출팬
321 : 급기전동기 322 : 급기날개 331 : 안내벽
331a : 송출구 332 : 부압발생단 A : 조리대
B : 외측벽면 C : 천장

Claims (9)

  1. 상부에는 배기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오일필터와 오일드레인을 구비한 흡기구가 형성되어, 중단에 필터를 통하여 공기를 여과시키는 정화부가 마련된 후드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송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정화부의 필터 하측에는 팬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물을 미세한 입자로 분무시키는 분무수단과, 상기 분무수단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나열된 다수개의 안내날개와, 상기 안내날개의 하측에 엇갈리게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나열된 다수개의 저수용기로 이루어진 분무여과장치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여과장치의 저수용기는 회전축이 편심되게 관통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그 일측 저부에는 배수로가 추가 형성되어, 상기 저수용기에 소정량의 물이 저류되면 물의 자중에 의하여 일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배수로를 통하여 고인 물을 배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의 필터 상측에는 이오나이저가 추가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에 마련된 오일필터는,
    상하 및 일측이 개구된 사각기둥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댐퍼판과;
    상기 댐퍼판의 일측에 절곡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댐퍼판의 내부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다수개의 안내판과;
    양측에 위치한 상기 안내판에 고정 체결된 손잡이와;
    상기 댐퍼판의 양측면 및 배면에 면상으로 위치하는 흡음재로 구성되며,
    상기 오일드레인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의 일측에는, 중공 패널로 이루어져 외측면에 공기인입구가 형성되며, 하단 이면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그 중단에 롱팬이 마련된 회동패널이 소정 각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6. 하부에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와 연통 형성되어 미세한 입자의 물을 분사시켜 공기를 정화시키는 분무여과장치와 필터가 마련된 정화부와, 상기 정화부를 통과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출시키는 배기구로 이루어져, 조리대의 상측 벽면에 위치한 주방용 후드와;
    출구측에 배기팬이 구비된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의 입구측에 위치한 분사노즐과, 상기 배기덕트의 중단에 위치하여 개폐에 따라 배기가 전열교환부로 경유하도록 배기유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댐퍼가 마련된 배기부와, 출구측에 히터와 급기팬을 구비한 급기덕트가 형성되어 중단이 상기 전열교환부를 통과하는 급기부로 이루어져, 외측벽면을 관통하여 고정된 환기장치와;
    일측에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와 연통 설치된 송출팬과, 송출구가 점차적으로 협소해지도록 변경되는 곡률반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성형된 안내벽과, 상기 송출구의 일측단부가 일부 절곡 형성된 부압발생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주방용 후드와 환기장치 사이 천장 내에 위치하여 상기 주방용 후드로부터 송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환기장치를 향하여 천장 하측면에 연접하는 방향으로 송출시켜 코안다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급기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장치의 내부에는 산소발생기가 추가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후드, 환기장치 그리고 급기장치에는 무선수신부가 마련된 제어부가 연결되어, 리모트컨트롤러 등과 같은 무선송신기를 통하여 상기 주방용 후드, 환기장치 그리고 급기장치의 동작여부 및 각종 팬의 회전수를 수동으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후드, 환기장치 그리고 급기장치에는 무선수신부 및 CO2센서가 마련된 제어부가 연결되어, 리모트컨트롤러 등과 같은 무선송신기 및 상기 CO2센서에서 검출된 CO2의 양에 따라 상기 주방용 후드, 환기장치 그리고 급기장치의 동작여부 및 각종 팬의 회전수를 자동으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KR10-2004-0000494A 2004-01-06 2004-01-06 주방용 후드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KR100537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494A KR100537738B1 (ko) 2004-01-06 2004-01-06 주방용 후드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494A KR100537738B1 (ko) 2004-01-06 2004-01-06 주방용 후드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194A true KR20050072194A (ko) 2005-07-11
KR100537738B1 KR100537738B1 (ko) 2005-12-19

Family

ID=3726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494A KR100537738B1 (ko) 2004-01-06 2004-01-06 주방용 후드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7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242B1 (ko) * 2006-04-13 2007-05-18 이신영 수막식 레인지 후드
CN108240692A (zh) * 2016-12-23 2018-07-0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厨房新风系统
WO2022203472A1 (ko) * 2021-03-25 2022-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증기 포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환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353B1 (ko) 2016-07-08 2017-02-07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실내 미세먼지 농도 저감을 위한 주방용 급기 디퓨저 및 이를 이용한 주방환기 연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9517A (ja) * 1995-02-16 1996-08-30 Matsushita Seiko Co Ltd レンジフード
KR100329326B1 (ko) * 1999-09-03 2002-03-20 천영신 통합 냉방 및 환기시스템
JP2002071175A (ja) * 2000-08-25 2002-03-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空気浄化装置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KR100469137B1 (ko) * 2002-03-04 2005-02-04 주식회사 벤토피아 실내공기 송출형 환기시스템
KR100372393B1 (ko) * 2002-07-12 2003-02-19 주식회사 백륜 세정기능을 구비한 주방용 환기 시스템
KR200314440Y1 (ko) * 2003-02-26 2003-05-27 주식회사 엑타 주방용 환기설비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242B1 (ko) * 2006-04-13 2007-05-18 이신영 수막식 레인지 후드
CN108240692A (zh) * 2016-12-23 2018-07-0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厨房新风系统
CN108240692B (zh) * 2016-12-23 2024-01-1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厨房新风系统
WO2022203472A1 (ko) * 2021-03-25 2022-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증기 포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및 환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7738B1 (ko) 2005-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082B1 (ko) 초박형 환기장치
KR100908464B1 (ko) 실내공기 청정기
KR20090058446A (ko) 공기 청정 및 가습 장치
JP2012506314A (ja) 除湿機能を備えた空気清浄機
KR101036549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항온, 항습 시스템
KR102026933B1 (ko) 교실 환기시스템
KR100587315B1 (ko) 환기시스템
KR100577206B1 (ko) 환기시스템
KR100577252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KR100622111B1 (ko) 열교환 기능을 갖는 창틀형 환기 장치
KR102256209B1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102267550B1 (ko) 청정기
KR100640799B1 (ko) 공기 청정 겸용 환기장치
CN108006834B (zh) 空调柜机和具有其的空调器
CN108087985B (zh) 空调柜机和具有其的空调器
KR100537738B1 (ko) 주방용 후드 및 이를 이용한 고층 공동주택의 환기 시스템
CN109386892A (zh) 用于空调器的空气处理装置及空调室内机、室外机
KR20180054193A (ko) 물을 이용한 에어 케어 장치가 구비된 주방후드
CN108006837B (zh) 空调柜机和具有其的空调器
KR102129080B1 (ko) 실내공기 청정 환기장치
CN205119230U (zh) 一种具有多种工作模式的空气处理器
JP3984223B2 (ja) 加湿装置及び空気調和機
KR100698516B1 (ko) 창문형 열교환 환기장치
CN207422367U (zh) 用于空调器的空气处理装置、空调室内机和空调室外机
CN207688231U (zh) 用于空调器的空气处理装置及空调室内机、室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