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0385A - 폴리페놀과,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페놀과,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0385A
KR20050070385A KR1020030099850A KR20030099850A KR20050070385A KR 20050070385 A KR20050070385 A KR 20050070385A KR 1020030099850 A KR1020030099850 A KR 1020030099850A KR 20030099850 A KR20030099850 A KR 20030099850A KR 20050070385 A KR20050070385 A KR 20050070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esent
anticancer
ascorbic acid
cispla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래
Original Assignee
(주)현덕비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덕비엔티 filed Critical (주)현덕비엔티
Priority to KR1020030099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0385A/ko
Priority to PCT/KR2004/003478 priority patent/WO2005063235A1/en
Publication of KR20050070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3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43Platin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페놀과,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은 폴리페놀 50.0 ∼ 99.9 중량부와,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 0.1 ∼ 50.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백금 계열 항암제 또는 TRAIL 사용시 함께 투여한다.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은 항암제에 의한 암세포의 활성 억제효과를 증가시키며, 함께 사용하는 항암제의 농도를 현저히 낮추어도 항암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폴리페놀과,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 {Anticancer therapy - aiding composition comprising polyphenol, and ascorbic acid or the derivatives}
본 발명은 폴리페놀과,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940년대부터 암치료에 도입된 화학요법은 암의 시기와 관계없이 비교적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현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항암 화학요법제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많은 화학요법제들은 암세포의 저항성과 부작용 때문에 투여에 있어서 제한을 받고 있어, 보조요법이 필수적으로 병행된다.
널리 쓰이는 보조요법으로 항암제 병행요법, 고단위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요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화학요법제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는 있어도 부작용이 증가되기 때문에, 시행에 있어서 어려운 점이 있다.
그 예로, 백금 계열 항생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광범위 항암제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로 사용되는 항암제로서 암의 치료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데, 여러 종류의 암세포에서 플라틴 항암제에 대한 내성이 나타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다른 항암제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화학요법제의 항암작용을 증가시키는 제제의 개발은 항암제의 개발과 함께 매우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폴리페놀은 암의 발생 예방과 암의 치료에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 예로 미국 특허 5,391,568호에서는 녹차 폴리페놀의 폐암 발생억제작용을 개시하였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2-0045417호에서는 녹차로부터 추출한 폴리페놀류 화합물의 항암효과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Berling 등은 녹차 폴리페놀의 한 종류인 Epigallocatechin-3-gallate(EGCG)가 방광암의 성장을 억제한다고 보고하였으며(Kemberling JK, Hampton JA, Keck RW et al: Inhibition of bladder tumor growth by the green tea derivative epigallocatechin-3-gallate. J Urol. 170:773-6, 2003), Lung 등은 EGCG가 백혈병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억제한다고 보고하였고(Lung HL, Ip WK, Wong CK et al. : Anti-proliferative and differentiation-inducing activities of the green tea catechin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on the human eosinophilic leukemia EoL-1 cell line. Life Sci. 72:257-68. 2002), Fujuki 등은 녹차가 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Fujiki H, Suganuma M, Imai K, Nakachi K. :Green tea: cancer preventive beverage and/or drug. Cancer Lett. 188:9-13. 2002).
한편 아스코르빈산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비타민이며, 항암 효과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페놀과 아스코르빈산을 함께 함유하는 조성물을 항암제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항암 효과를 현저하게 증강시킨 경우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폴리페놀과 아스코르빈산을 동시에 함유하는 조성물을 항암치료 보조제로 사용하는 경우, 각 성분을 단독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항암치료에 현저한 상승효과를 가져옴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페놀과,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며, 각 성분을 단독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기존의 항암제의 항암 효과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과,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은 폴리페놀 50.0 ∼ 99.9 중량부와 아스코르빈산 0.1 ∼ 50.0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페놀 70∼95 중량부와 아스코르빈산 2∼3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이 함유하는 폴리페놀은 에피카테킨(epicatechin),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e),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안토시아닌(anthocyanin),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퀘르세틴(querceti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이 함유하는 폴리페놀은 구체적으로 녹차로부터 추출한 에피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포도로부터 추출한 안토시아닌, 레스베라트롤, 퀘르세틴(quercetin), 또는 양파로부터 추출한 퀘르세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이 함유하는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는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칼슘 아스코르베이트(calcium ascorbates), 마그네슘 아스코르베이트(magnesium ascorbates) 및 아연 아스코르베이트(zinc ascorbate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은 항암제와 함께 투여되어 항암제의 암세포 독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백금 계열 항암제 또는 TRAIL(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 inducing ligand)에 의한 암세포독성을 증가시킨다.
백금 계열 항암제는 화학구조 내에 백금분자가 들어가 있는 약물로, 암세포의 DNA에 결합하여 복제를 억제함으로써 암세포독성을 유발한다. 대표적인 예로 시스플라틴(Cisplatinum), 카보플라틴(Carboplatinum) 등을 들 수 있다.
TRAIL은 세포자사(apoptosis)를 유도하여 암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로, 최근 들어 그 항암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은 시스플라틴 또는 TRAIL 등의 항암제와 함께 사용하면, 상기 항암제에 의한 암세포 독성을 2∼4배 증가시킨다.
즉,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은 함께 사용하는 항암제의 농도를 현저히 낮추어도 항암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항암제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항암제의 오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각 성분을 단독사용하는 경우에 예측할 수 있는 효과보다 현저하게 상승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편평상피세포암과 선암의 치료를 위한 항암치료 보조제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이 함유하는 녹차 폴리페놀은 녹차로부터 폴리페놀을 추출, 분리, 정제할 수 있는 방법 중 어떤 것을 사용하여 제조하여도 무방하며, 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377313호에 기재되어 있는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열풍건조한 녹차잎 분말 1 중량부에 5 내지 20 중량부의 물 또는 주정알콜을 가하여 1∼110 ℃에서 15분 내지 24시간 동안 진탕시킨 후, 녹차잎 분말을 제거하고 냉각시켜 침전물을 제거한다. 수득된 추출액을 다시 가열한 후 냉각시켜 침전물을 제거하고, 건조시켜 녹차 추출물을 얻는다. 건조방법은 분무건조가 바람직하며, 상기 녹차 추출물은 분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은 필요에 따라 카페인 제거 과정, 또는 폴리페놀의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이 함유하는 아스코르빈산은 시판되는 제품 중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준비한 녹차 폴리페놀 및 아스코르빈산을 각각 50∼95 중량부와 5∼50 중량부씩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뿐 아니라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지닌 다른 유효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과 상이한 기능을 지닌 다른 유효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공되기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액제, 분말제, 캡슐, 정제, 시럽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외 산제, 과립제, 피복정, 탕제, 엑기스제, 좌제, 즙, 현탁제, 유제, 피부도포제 또는 활성 화합물의 서방출형 제제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 또는 섭취량은 분말 제제의 경우 성인 1회당 사용량이 수백 ㎎ 내지 수 g 정도, 용액의 경우, 성인 1회당 사용량 수 ㎖ 내지 수백 ㎖ 정도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투여량 또는 섭취량은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천연의 식품으로부터 추출되었으므로, 인체에 투약하는 경우에도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은 부작용의 우려없이 시스틴 계열 항암제를 이용한 항암치료의 치료보조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조성물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녹차 폴리페놀 분말 및 아스코르빈산을 준비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하는 녹차 폴리페놀 분말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377313호에 기재되어 있는 녹차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추출, 분리,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정제된 추출물에 녹차 폴리페놀이 다량 함유되어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추출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폴리페놀과 카페인은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법, 전체 폴리페놀은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법에 의한 분광학적 산화환원 분석법(Spectrophotometric redox assay)에 의해 측정한 결과, 본 실시예에서 얻은 녹차 폴리페놀 분말은 폴리페놀을 83% 이상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순도는 순수한 폴리페놀의 물리적ㆍ화학적 특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수준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비교예 2가 포함하는 아스코르빈산은 미국 Sigma사(A5960)에서 시판하는 제품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준비한 녹차 폴리페놀 분말 900 g및 아스코르빈산 100 g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시스플라틴의 세포독성 증진효과 - 자궁암세포에서 확인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시스플라틴의 세포독성 증진효과를 자궁암세포에서 확인하였다.
1) 세포의 배양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세포는 편평상피세포암(squamous cell cancer)인 자궁암세포주(HeLa cell)로,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분양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10% 태우혈청, 스트렙토마이신(100U/ml) 및 페니실린(100U/ml)을 함유한 RPMI 1640 배지(Gibco BRL)를 사용하였으며, 37℃로 유지되는 CO2 배양기에서 상기 세포를 배양하였다.
2) 본 발명의 조성물이 자궁암세포에 대한 시스플라틴의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상기에서 배양한 세포들을 시스플라틴만 첨가한 대조군, 시스플라틴과 아스코르빈산 동시 첨가군(비교군 1), 시스플라틴과 녹차 폴리페놀 동시 첨가군(비교군 2) 및 시스플라틴과 본 발명의 조성물 동시 첨가군(실험군)의 6군으로 준비하였다.
각각의 군을 준비하기 위해, 상기 자궁암세포를 세포배양용기(96 well plate)의 각 웰에 2 ×105 개씩 심어 1일간 배양하였다.
대조군에는 시스플라틴(Sigma Chemical Co, USA)을 함유하는 PBS를 첨가하였다.
비교군 1에는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한 아스코르빈산을 20 ㎍/㎖의 농도로 함유하는 PBS를 첨가하였다.
비교군 2에는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한 녹차 폴리페놀을 각각 100, 200 ㎍/㎖의 농도로 함유하는 PBS를 첨가하였다.
실험군에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녹차 폴리페놀을 각각 100, 200 ㎍/㎖의 농도로 함유하는 PBS를 첨가하였다.
이때 각 군에서 시스플라틴의 농도는 0, 50, 100, 200, 400, 600, 800, 1000 ㎍/㎖이 되도록 다양하게 첨가하였다.
각 군의 세포들을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활성(Cell viability)를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법으로 측정하였다. 세포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흡광도를 비율로 환산하여 평가하였으며, 3회 반복실험을 실시하여 평균값으로 표시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스플라틴 농도(㎍/㎖) 세포 생존율(%)
대조군 아스코르빈산 첨가군 녹차 폴리페놀 첨가군 본 발명의 조성물 첨가군
100(㎍/㎖) 200(㎍/㎖) 100(㎍/㎖) 200(㎍/㎖)
0 100 100 100 100 100 100
50 99 98 98 97 100 98
100 96 97 97 76 59 51
200 98 98 68 35 22 17
400 57 59 17 11 12 11
600 14 12 11 12 11 11
800 11 8 13 8 10 8
1000 12 9 14 11 6 5
(수치 = 평균값)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스플라틴만 첨가한 대조군에서는 시스플라틴의 농도가 400㎍/㎖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시스플라틴 농도 600㎍/㎖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14% 이하로 감소되었다. 이는 시스플라틴의 세포독성효과에 대해 공지된 바와 일치한다.
마찬가지로 아스코르빈산 첨가군 또한 시스플라틴의 농도가 400㎍/㎖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시스플라틴 농도 600㎍/㎖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14% 이하로 감소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시스플라틴에 아스코르빈산만을 추가로 첨가하는 것은 시스플라틴의 항암효과증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녹차 폴리페놀 분말을 100㎍/㎖ 첨가한 군에서는 시스플라틴의 농도가 200㎍/㎖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시스플라틴 농도 200, 400, 600, 800 및 1000 ㎍/㎖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68, 17, 11, 13 및 14% 이하로 감소되었다.
녹차 폴리페놀 분말을 200㎍/㎖ 첨가한 군에서는 시스플라틴의 농도가 100㎍/㎖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시스플라틴 농도 100, 200, 400, 600, 800 및 1000 ㎍/㎖에서 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76, 35, 11, 12, 8 및 11% 이하로 감소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을 100㎍/㎖ 첨가한 군에서는 시스플라틴의 농도가 100㎍/㎖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시스플라틴 농도 200, 400, 600, 800 및 1000 ㎍/㎖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59, 22, 12, 11, 10 및 6% 이하로 감소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200㎍/㎖ 첨가한 군에서는 시스플라틴의 농도가 100㎍/㎖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시스플라틴 농도 200, 400, 600, 800 및 1000 ㎍/㎖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51, 17, 11, 11, 8 및 5% 이하로 감소되었다.
즉, 시스플라틴만 첨가한 군에서는 시스플라틴이 400㎍/㎖ 이상의 농도로 존재하여야 세포활성 감소를 나타내며, 녹차 폴리페놀 분말만을 투여한 군의 경우 시스플라틴이 200㎍/㎖ 이상의 농도로 존재하여야 세포활성 감소를 나타내는 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시스플라틴이 100㎍/㎖ 정도로 존재할 때부터 세포활성 감소를 나타내어, 시스플라틴 또는 녹차 폴리페놀 분말을 단독으로 첨가하는 것에 비해 2∼4배 이상의 세포활성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상기와 같은 수준의 항암 활성 향상 효과는 녹차 폴리페놀 분말 또는 아스코르빈산을 각각 항암 보조제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녹차 폴리페놀 분말의 단독 첨가, 또는 아스코르빈산의 단독 첨가시보다 훨씬 우수한 효율로 시스플라틴의 암세포 독성효과를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시스플라틴의 세포독성 증진효과 - 폐암세포에서 확인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시스플라틴의 세포독성 증진효과를 폐암세포에서 확인하였다.
1) 세포의 배양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세포는 선상피암(adenocarcinoma)인 폐암세포주(A549 cells)로,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분양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은 상기 실시예 2의 1)과 같은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2)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폐암세포에 대한 시스플라틴의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는 상기 실시예 2의 2)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스플라틴 농도(㎍/㎖) 세포 생존율(%)
대조군 아스코르빈산 첨가군 녹차 폴리페놀 첨가군 본 발명의 조성물 첨가군
100(㎍/㎖) 200(㎍/㎖) 100(㎍/㎖) 200(㎍/㎖)
0 100 100 100 100 100 100
50 99 101 108 99 101 98
100 96 97 97 96 99 95
200 98 98 98 75 42 47
400 97 99 57 22 15 14
600 98 98 21 16 10 9
800 51 68 15 14 13 7
1000 15 19 13 15 8 9
(수치 = 평균값)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스플라틴만 첨가한 군에서는 시스플라틴의 농도가 800㎍/㎖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시스플라틴 농도 800, 1000㎍/㎖ 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51, 15% 로 감소되었다. 이는 시스플라틴의 세포독성효과에 대해 공지된 바와 일치한다.
마찬가지로 아스코르빈산 첨가군 또한 시스플라틴의 농도가 800㎍/㎖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시스플라틴 농도 800, 1000㎍/㎖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68, 19% 로 감소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시스플라틴에 아스코르빈산만을 추가로 첨가하는 것은 시스플라틴의 항암효과증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녹차 폴리페놀 분말을 100㎍/㎖ 첨가한 군에서는 시스플라틴의 농도가 400㎍/㎖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시스플라틴 농도 400, 600, 800 및 1000 ㎍/㎖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57, 21, 15 및 13% 로 감소되었다.
녹차 폴리페놀 분말을 200㎍/㎖ 첨가한 군에서는 시스플라틴의 농도가 200㎍/㎖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시스플라틴 농도 200, 400, 600, 800 및 1000 ㎍/㎖에서 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75, 22, 16, 14 및 15% 로 감소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을 100㎍/㎖ 첨가한 군에서는 시스플라틴의 농도가 200㎍/㎖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시스플라틴 농도 200, 400, 600, 800 및 1000 ㎍/㎖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42, 15, 10, 13 및 8% 로 감소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200㎍/㎖ 첨가한 군에서는 시스플라틴의 농도가 200㎍/㎖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시스플라틴 농도 200, 400, 600, 800 및 1000 ㎍/㎖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47, 14, 9, 7 및 9% 로 감소되었다.
즉, 시스플라틴만 첨가한 군에서는 시스플라틴이 400㎍/㎖ 이상의 농도로 존재하여야 세포활성 감소를 나타내며, 녹차 폴리페놀 분말만을 투여한 군의 경우 시스플라틴이 200㎍/㎖ 이상의 농도로 존재하여야 세포활성 감소를 나타내는 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시스플라틴이 100㎍/㎖ 정도로 존재할 때부터 세포활성 감소를 나타내어, 시스플라틴 또는 녹차 폴리페놀 분말을 단독으로 첨가하는 것에 비해 2∼4배 이상의 세포활성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상기와 같은 수준의 항암 활성 향상 효과는 녹차 폴리페놀 분말 또는 아스코르빈산을 각각 항암 보조제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녹차 폴리페놀 분말의 단독 첨가, 또는 아스코르빈산의 단독 첨가시보다 훨씬 우수한 효율로 시스플라틴의 암세포 독성효과를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TRAIL의 세포독성 증진효과 - 폐암세포에서 확인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TRAIL의 세포독성 증진효과를 폐암세포에서 확인하였다.
1) 세포의 배양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세포는 선상피암(adenocarcinoma)인 폐암세포주(A549 cells)로,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분양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은 상기 실시예 2의 1)과 같은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2)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폐암세포에 대한 TRAIL의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상기에서 배양한 세포들을 시스플라틴만 첨가한 대조군, 시스플라틴과 아스코르빈산 동시 첨가군(비교군 1), 시스플라틴과 녹차 폴리페놀 동시 첨가군(비교군 2) 및 시스플라틴과 본 발명의 조성물 동시 첨가군(실험군)의 6군으로 준비하였다.
각각의 군을 준비하기 위해, 상기 자궁암세포를 세포배양용기(96 well plate)의 각 웰에 2 ×105 개씩 심어 1일간 배양하였다.
대조군에는 TRAIL(Sigma Chemical Co. USA)을 함유하는 PBS를 첨가하였다.
비교군 1에는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한 아스코르빈산을 20 ㎍/㎖의 농도로 함유하는 PBS를 첨가하였다.
비교군 2에는 상기 실시예에서 준비한 녹차 폴리페놀을 각각 100, 200 ㎍/㎖의 농도로 함유하는 PBS를 첨가하였다.
실험군에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녹차 폴리페놀을 각각 100, 200 ㎍/㎖의 농도로 함유하는 PBS를 첨가하였다.
이때 각 군에서 TRAIL의 농도는 0, 10, 20, 40, 60, 80, 100, 200ng/㎖이 되도록 다양하게 첨가하였다.
각 군의 세포들을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활성(Cell viability)를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법으로 측정하였다. 세포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흡광도를 비율로 환산하여 평가하였으며, 3회 반복실험을 실시하여 평균값으로 표시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TRAIL 농도(ng/㎖) 세포 생존율(%)
대조군 아스코르빈산 첨가군 녹차 폴리페놀 첨가군 본 발명의 조성물 첨가군
100(㎍/㎖) 200(㎍/㎖) 100(㎍/㎖) 200(㎍/㎖)
0 100 100 100 100 100 100
10 99 98 99 103 104 98
20 98 95 98 99 49 45
40 102 99 48 44 12 16
60 105 98 11 12 9 13
80 98 96 10 7 10 8
100 96 98 9 9 12 11
200 99 97 10 10 8 10
(수치 = 평균값)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TRAIL만 첨가한 군에서는 TRAIL의 농도가 200ng/㎖ 까지 증가하여도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아스코르빈산 첨가군 또한 TRAIL의 농도가 200ng/㎖ 까지 증가하여도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결과를 통해 TRAIL 단독 또는 TRAIL과 아스코르빈산의 혼합 투여로 항암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보다 훨씬 고농도의 TRAIL 투여를 필요로 함을 알 수 있다.
녹차 폴리페놀 분말을 100㎍/㎖ 첨가한 군에서는 TRAIL의 농도가 40ng/㎖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TRAIL 농도 40, 60, 80, 100 및 200 ng/㎖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48, 11, 10, 9 및 10% 로 감소되었다.
녹차 폴리페놀 분말을 200㎍/㎖ 첨가한 군에서는 TRAIL의 농도가 40ng/㎖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TRAIL 농도 40, 60, 80, 100 및 200 ng/㎖ 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44, 12, 7, 9 및 10% 로 감소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을 100㎍/㎖ 첨가한 군에서는 TRAIL의 농도가 20ng/㎖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TRAIL 농도 20, 40, 60, 80, 100 및 200 ng/㎖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49, 12, 9, 10, 12 및 8% 로 감소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200㎍/㎖ 첨가한 군에서는 TRAIL의 농도가 20ng/㎖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TRAIL 농도 20, 40, 60, 80, 100 및 200 ng/㎖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45, 16, 13, 8, 11 및 10% 로 감소되었다.
즉, 녹차 폴리페놀 분말(100 ㎍/㎖)의 경우 TRAIL이 40ng/㎖ 이상의 농도로 존재하여야 세포활성 감소를 나타내는 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TRAIL이 20ng/㎖ 정도로 존재할 때부터 세포활성 감소를 나타내어, 녹차 폴리페놀 분말을 단독으로 첨가하는 것에 비해 2배 이상의 세포활성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상기와 같은 수준의 항암 활성 향상 효과는 녹차 폴리페놀 분말 또는 아스코르빈산을 각각 항암 보조제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녹차 폴리페놀 분말의 단독 첨가, 또는 아스코르빈산의 단독 첨가시보다 훨씬 우수한 효율로 TRAIL의 암세포 독성효과를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TRAIL의 세포독성 증진효과 - 폐암세포에서 확인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TRAIL의 세포독성 증진효과를 폐암세포에서 확인하였다.
1) 세포의 배양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세포는 자궁암세포(SiHa cell)로,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분양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은 상기 실시예 4의 1)과 같은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2)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폐암세포에 대한 TRAIL의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는 상기 실시예 4의 2)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TRAIL 농도(ng/㎖) 세포 생존율(%)
대조군 아스코르빈산 첨가군 녹차 폴리페놀 첨가군 본 발명의 조성물 첨가군
100(㎍/㎖) 200(㎍/㎖) 100(㎍/㎖) 200(㎍/㎖)
0 100 100 100 100 100 100
10 98 99 99 99 101 99
20 101 98 47 41 32 35
40 32 42 14 12 11 14
60 15 18 11 9 8 10
80 8 9 7 8 8 6
100 6 8 8 7 7 5
(수치 = 평균값)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스플라틴만 첨가한 군에서는 시스플라틴의 농도가 40ng/㎖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시스플라틴 농도 40, 60, 80 및 100 ng/㎖ 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32, 15, 8 및 6% 로 감소되었다. 이는 시스플라틴의 세포독성효과에 대해 공지된 바와 일치한다.
마찬가지로 아스코르빈산 첨가군 또한 시스플라틴의 농도가 40ng/㎖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시스플라틴 농도 40, 60, 80 및 100 ng/㎖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42, 18, 9 및 8% 로 감소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시스플라틴에 아스코르빈산만을 추가로 첨가하는 것은 시스플라틴의 항암효과증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녹차 폴리페놀 분말을 100㎍/㎖ 첨가한 군에서는 TRAIL의 농도가 20ng/㎖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TRAIL 농도 20, 40, 60, 80 및 100 ng/㎖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47, 14, 11, 7 및 8% 로 감소되었다.
녹차 폴리페놀 분말을 200㎍/㎖ 첨가한 군에서는 TRAIL의 농도가 20ng/㎖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TRAIL 농도 20, 40, 60, 80 및 100 ng/㎖ 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41, 12, 9, 8 및 7% 로 감소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을 100㎍/㎖ 첨가한 군에서는 TRAIL의 농도가 20ng/㎖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TRAIL 농도 20, 40, 60, 80, 100 및 200 ng/㎖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32, 11, 8, 8 및 7% 로 감소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200㎍/㎖ 첨가한 군에서는 TRAIL의 농도가 20ng/㎖ 이상이 되었을 때부터 세포활성의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TRAIL 농도 20, 40, 60, 80, 100 및 200 ng/㎖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활성이 각각 35, 14, 10, 6 및 5% 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효율로 TRAIL의 암세포 독성효과를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은 항암제에 의한 암세포의 활성 억제효과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은 함께 사용하는 항암제의 농도를 현저히 낮추어도 항암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항암제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항암제의 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은 항암제에 의한 편평상피세포암과 선암의 치료에 있어 항암치료 보조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폴리페놀과,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폴리페놀 50.0 ∼ 99.9 중량부와,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 0.1 ∼ 50.0 중량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폴리페놀은 에피카테킨(epicatechin),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e),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안토시아닌(anthocyanin),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퀘르세틴(querceti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는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칼슘 아스코르베이트(calcium ascorbates), 마그네슘 아스코르베이트(magnesium ascorbates) 및 아연 아스코르베이트(zinc ascorbate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백금 계열 항암제와 함께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항암제 TRAIL(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 inducing ligand)과 함께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편평상피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 또는 선암(adenocarcinoma)에 대한 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
KR1020030099850A 2003-12-30 2003-12-30 폴리페놀과,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 KR20050070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850A KR20050070385A (ko) 2003-12-30 2003-12-30 폴리페놀과,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
PCT/KR2004/003478 WO2005063235A1 (en) 2003-12-30 2004-12-28 Anticancer therapy-aiding composition comprising polyphenol, and ascorbic acid or the derivati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850A KR20050070385A (ko) 2003-12-30 2003-12-30 폴리페놀과,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385A true KR20050070385A (ko) 2005-07-07

Family

ID=3473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850A KR20050070385A (ko) 2003-12-30 2003-12-30 폴리페놀과,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70385A (ko)
WO (1) WO2005063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6219A1 (en) * 2009-09-01 2011-03-10 Lu qing-bin Combination therapy for cancer comprising a platinum -based antineoplastic agent and a biocompatible electron don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9860B2 (en) * 2002-01-08 2005-09-06 Matthias Rath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ment of neoplastic diseases associated with elevated matrix metalloproteinase activities using catechin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63235A1 (en)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 Plessis-Stoman et al. Combination treatment with oxaliplatin and mangiferin causes increased apoptosis and downregulation of NFκB in cancer cell lines
Devi et al. Hesperidin: A promising anticancer agent from nature
EP3391893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leukemi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2263668B1 (en) Use of tea polyphenols in preparing medicaments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tumors
KR102134307B1 (ko) 안토시아닌-후코이단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제, 면역항암제 및 항암제 부작용 완화제
JP6837960B2 (ja) 化学療法に耐性である腫瘍の処置において用いるための、メラトニンおよびフラボノイド類を含む組成物
US20180235904A1 (en) Cannabidiol compositions including mixtures and uses thereof
Mamat et al. Gallic acid and methyl gallate enhanc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cisplatin on cervical cancer (HeLa) cells
KR100704006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봄맞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사포닌 화합물
KR20050070385A (ko) 폴리페놀과,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항암치료 보조용 조성물
KR20130109495A (ko) 석곡을 포함하는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9040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001027A (ko) 혈당 강하용 조성물
KR20220119335A (ko) 천화분, 백선피 및 상백피를 포함하는 암 및 내성암에 대한 약학적 조성물
KR101136549B1 (ko) 망고 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조성물
KR100418390B1 (ko) 녹차로부터 추출된 항암효과가 우수한 폴리페놀류 화합물
JP2018507237A (ja) 化学療法に耐性である腫瘍の処置において用いるための組成物
US20210369751A1 (en) Biologically ac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KR101909885B1 (ko) 살리드로사이드 또는 베툴린을 이용한 뇌수막종 개선용 조성물
Plessis-Stoman et al. Combination treatment with oxyplatlin and mangiferin causes increased apoptosis and downregulation of NFKB in cancer cell lines
JP6775226B2 (ja) 抗癌剤作用増強物質およびそれを備えた抗癌剤キット
WO202100682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having synergistic effects of natural extracts for cancer treatment undergoing chemotherapy
Qi et al. The preventive and inhibitory effects of red raspberries on cancer
KR101472224B1 (ko)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82457A (ko) 5-(3',4'-디하이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을 함유하는 뇌 신경세포 보호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