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224B1 -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224B1
KR101472224B1 KR20130168797A KR20130168797A KR101472224B1 KR 101472224 B1 KR101472224 B1 KR 101472224B1 KR 20130168797 A KR20130168797 A KR 20130168797A KR 20130168797 A KR20130168797 A KR 20130168797A KR 101472224 B1 KR101472224 B1 KR 101472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oot
osteoporosis
present
ro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형
박혜진
정재훈
현한빛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의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리쟁이 추출물의 조골세포 분화 및 증식을 촉진하고 뼈의 석회화 및 결절 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이용하여 골다공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f osteoporosis comprising root extract of Rumex Crispus L.}
본 발명은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조골세포는 파골세포에 의해 이미 용출된 골 표면에 새로운 골을 생성하고 골의 기질인 콜라겐의 미네랄화를 돕는다. 반면에, 파골세포는 골 주위에서 골 기질을 용해하여 칼슘과 인을 방출시킨다. 우리 몸의 뼈는 항상 조골세포에 의한 골 생성과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가 함께 일어나는데,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이들의 동적 평형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골 흡수와 골 생성의 평형이 깨지면 골 생성보다 골 흡수가 활발해져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 있다.
골다공증은 골밀도와 골질에 의해 결정되는 골강도의 약화로 인해 골절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골격계질환이다. 1차성(원발성) 및 2차성(속발성) 골다공증으로 나누어지며, 1차성 골다공증은 여성의 폐경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I형과 성별에 관계없이 연령 증가로 발생하는 II형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골밀도는 영역 혹은 볼륨 당 미네랄의 그램 수로 표현되지만, 특정 개인의 경우 가장 높은 뼈 질량 수치와 뼈 손실의 양에 의해 결정되며, 골질은 골의 구조, 골 교체율, 축적된 손상정도, 무기질화 등으로 구성된다[1, 2].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에 가장 먼저 선택할 수 있는 약제는 칼슘과 비타민D이다. 이는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에 필수적이며, 다른 약제를 사용할 때에도 항상 함께 투여되어야 한다. 그 외에 방법으로는 티블론, 에스트로겐 단독요법 혹은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병합요법 등의 호르몬 요법과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 칼시토닌, 비스포스포네이트, 파라토르몬 등의 비호르몬 요법이 있다[2].
한편, 다양한 천연물에서도 골다공증에 대한 효과가 보고되었는데, lignan과 flavonoid 등의 페놀화합물이 풍부한 홍화씨가 가장 대표적이다. 그 밖에도 phytoestrogen이 풍부한 석류와 isoflavone계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칡 등이 있다.
소리쟁이(Rumex crispus L.)는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북아프리카 등에 서식하는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한국본초강목에서는 소리쟁이가 급성 간염, 만성 기관지염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고, 지혈, 토혈, 자궁출혈, 혈소판 감소성 자반등에 활용되며, 변비에도 효과가 있다고 기재하였다[3]. 또한, 소리쟁이의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연구에서 제초 활성이 있는 물질이 밝혀졌고[4],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항균 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5, 6]. 또한, 소리쟁이 종자의 추출물이 소염, 진통 및 간 보호 효과와 일중항 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7, 8]. 그리고,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은 중금속을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항균 및 항산화 효과뿐 아니라, 항암작용과 카르보하이드라아제 저해 작용이 있음이 알려졌다. 최근 참소리쟁이 뿌리와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의 혼합물이 노화 방지와 당뇨병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9, 10, 11].
이상과 같이 소리쟁이 추출물에 대해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고, 참소리쟁이 뿌리 추출물과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의 혼합물이 노화방지 및 당뇨에 효과가 있음이 국내특허로 등록된 바 있으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1793호), 또한 식용으로 사용하는 소리쟁이의 잎이 골다공증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가 국내특허로 등록되어 있지만(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0901호), 약재로 사용되는 뿌리 부분은 골다공증에 관해 보고된 것이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179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0901호.
이에 본 발명자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는 천연성분에 관하여 연구하던 중,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이 소리쟁이 잎과는 다른 활성 성분으로 구성되면서도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고 뼈의 미네랄화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소리쟁이(Rumex crispus L.)는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유럽 및 북아프리카에 분포하는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주로 습지 근처에서 자라며 높이 약 30-80cm로 줄기는 곧고 뿌리는 비대하다. 어린순과 어린잎은 식용으로 이용하며, 염료로도 사용되는 뿌리는 통변, 지혈, 소종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즙을 내거나 찧어서 외용제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은 소리쟁이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중 지하부에서 얻은 추출물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은 공지의 천연물 추출방법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가장 바람직하게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에탄올(ethanol)일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양은 추출하는 소리쟁이 뿌리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리쟁이 뿌리 중량의 1배 내지 20배의 부피, 더욱 바람직하게는 5배 내지 15배의 부피량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가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인 경우, 당업자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알코올과 증류수를 특정 부피비(v/v)로 혼합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50(v/v)% 내지 90(v/v)% 농도 범위의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60(v/v)% 내지 80(v/v)% 일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 70(v/v)%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추출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0℃ 내지 12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온 내지 1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추출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1시간 내지 10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72시간 일 수 있다.
본 발명 추출물은 공지의 천연물 추출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열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 또는 냉침 추출로 추출할 수 있으며, 1회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7회 반복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은 여과하여 액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의 건조 공정을 통하여 고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상술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가 추출 분획한 분획물,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소리쟁이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소리쟁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클로로포름(chloroform) 으로 재분획한 각각의 분획물을 제조하여, 상기 분획물들이 소리쟁이 뿌리 에탄올 추출물과 유사한 효과(조골세포 증식 및 조골세포 활성)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골다공증은 조골세포에 의한 골 생성과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의 평형 상태가 깨져 골질의 변화 및 골 밀도의 감소로 인해 뼈의 골절 가능성이 높아진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골다공증은 상기 1차성 골다공증 및 2차성 골다공증을 모두 포함하며, 1차성(원발성) 골다공증은 여성의 폐경으로 인한 I형과 노화로 인한 II형 골다공증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환자에서 거의 같은 시기에 복합적으로 진행되므로 정확히 분류하기는 어렵다. 2차성(속발성) 골다공증은 특정 질병이나 수술, 약물복용 등에 의해 최대 골량의 형성 장애가 초래되거나 골 소실이 증가하는 경우에 발생하는데, 전체 골다공증 환자 중 남성의 60%, 폐경 전 여성의 50%, 그리고 폐경 후 여성에서도 20-30%로 그 빈도가 매우 높다[2].
본 발명의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은 조골세포의 분화 및 증식을 촉진하는데 효능이 있다. 또한, 조골세포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염기성 인산분해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뼈의 석회화 과정에 필요한 물질의 운반을 도와 뼈의 석회화 및 결절 형성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어, 골다공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명세서 실시예에 잘 나타나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을 농도 별로 처리하여 인체 조골세포인 MG-63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소리쟁이 뿌리 열수 추출물은 0.02 μg/ml에서 0.2 μg/ml까지는 세포독성 없이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 생존율을 증가 시켰으며, 소리쟁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0.02 μg/ml과 0.2 μg/ml 농도로 처리한 군에서는 유의하게 세포 생존율을 증가하였다. 또한, 상기 소리쟁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물은 0.1 μ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특히 0.1 μg/ml 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chloroform 분획물은 0.1 μ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이 조골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을 조골세포(MG-63)에 농도 별로 처리하고 ALP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소리쟁이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 범위 내에서 MG-63의 ALP 활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0.01 ~ 0.1 μg/ml 농도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특히 ethly acetate 분획물은 0.001 ~ 1 μg/ml 농도에서 ALP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이 뼈의 석회화 및 결절 형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을 조골세포(MG-63)에 농도 별로 처리하고 형성된 석회화 결절을 ARS염색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소리쟁이 뿌리 에탄올 추출물 0.0002, 0.002, 0.02 μg/ml 농도에서 유의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석회화 형성능이 상승하였고 0.02 μg/ml 처리군은 120.7% 로 가장 높은 상승을 보였다.
기존에 공개특허 10-2013-0070901에서 소리쟁이 잎 추출물이 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이 공개되어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은 소리쟁이 잎 추출물과는 물질 구성이 다르고 주요 효능성분이 다름이 본 발명자에 의해 밝혀졌다. 더욱이 본 발명의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이 소리쟁이 잎 추출물에 비하여 조골세포 활성 촉진 효과가 뛰어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리쟁이 뿌리의 신규한 용도를 밝힌 것이며, 이는 본 발명에서 최초로 공개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명세서 실시예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소리쟁이 뿌리 또는 잎의 에탄올 추출물을 UPLC 및 LC-HRMS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리쟁이 뿌리 또는 잎 에탄올 추출물의 UPLC chromatogram의 패턴은 확연히 다르게 나타났는데, 소리쟁이 뿌리의 경우 주된 분석시간인 5분-20분 사이에 다양한 물질에 의한 피크가 존재하는 반면, 소리쟁이 잎의 경우 12.52분에 하나의 주요 피크가 존재하였다. 보다 상세한 분석의 결과로 피크 높이가 50000 μAU 이상인 피크들은 소리쟁이 뿌리는 21개, 소리쟁이 잎은 16개로 나타났으며, retention time(RT)이 정확히 일치하는 피크는 전혀 없었다. 단, RT가 ±0.05분인 범위에서 서로 일치하는 피크는 6개로 나타났으나 동일한 성분인 것으로는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소리쟁이 잎에서 전체 피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12.52분의 피크는 소리쟁이 뿌리에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써 소리쟁이 뿌리 또는 잎의 추출물이 서로 전혀 다른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의 UPLC chromatogram에서 주요 peak 로 나타났던 물질을 LC-HRMS으로 분석한 결과, RT(retention time) 9.26 peak에서 검출된 물질은 Epicatechin-(4beta->8)-epicatechin-(2beta->7,4beta->8)-catechin 이고, RT 8.24 peak에서 검출된 물질은 Genistein 7-O-(2-p-coumaroylglucoside)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소리쟁이 잎 추출물의 UPLC chromatogram에서 주요 peak로 나타났던 물질을 LC-HRMS으로 분석한 결과, RT 12.52 peak에서 검출된 물질은 Quercetin 및 Quercitrin임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소리쟁이 잎 추출물과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은, 각 추출물을 구성하는 주요 활성성분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소리쟁이 잎 또는 소리쟁이 뿌리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각각의 추출물이 염기성 인산 분해효소(ALP)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인 0.01 μg/ml 내지 0.1 μg/ml 범위에서 MG-63의 ALP 활성을 유의하게 상승시켰을 뿐만 아니라 소리쟁이 잎 추출물이 상승 효과를 나타내는 0.5 μg/ml 내지 5 μg/ml 사이의 범위에서도 소리쟁이 잎 추출물보다 월등한 상승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펩티드 제제에 대한 경구투여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전달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오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1995)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당 약 0.01㎍ 내지 10,00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용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추출물을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 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을 골 생성 촉진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 성분 이외에 미량의 미네랄, 비타민, 지질, 당류 및 공지의 골 생성 촉진 활성을 가진 성분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로는 칼슘, 철 등 골 생성에 필요한 영양성분이 함유될 수 있으며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등이 함유될 수 있다. 지질로는 알콕시글리세롤 또는 레시틴 등이 함유될 수 있으며 당류로는 프락토올리고당 등이 함유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의 바람직한 함량은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식품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90%, 바람직하게는 0.1∼50%의 비율로 함유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의 조골세포 활성화 및 뼈의 미네랄화 증가 효과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분화 및 증식을 돕고 골화를 촉진하므로 골다공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도 1의 A는 Daidzein(양성 대조군) 처리 농도별 조골세포(MG-63)의 생존률을 나타낸다.
도 1의 B는 소리쟁이 뿌리 열수 추출물 처리 농도별 조골세포(MG-63)의 생존률을 나타낸다.
도1의 C는 소리쟁이 뿌리 에탄올 추출물 처리 농도별 조골세포(MG-63)의 생존률을 나타낸다.
도1의 D는 소리쟁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Chloroform 분획 및 Ethylacetate 분획 처리시, 처리 농도별 조골세포(MG-63)의 생존률을 나타낸다.
도 2의 A는 Daidzein(양성 대조군) 처리 농도별, 조골세포(MG-63)에서 ALP의 활성 정도를 나타낸다.
도2의 B는 소리쟁이 뿌리 에탄올 추출물 처리 농도별, 조골세포(MG-63)에서 ALP의 활성 정도를 나타낸다.
도2의 C는 소리쟁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Chloroform 분획 및 Ethylacetate 분획 처리시, 처리 농도별 조골세포(MG-63)에서의 ALP의 활성 정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소리쟁이 뿌리 에탄올 추출물 처리시, 처리 농도별 조골세포(MG-63)에서 석회화 결절을 형성한 정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소리쟁이 뿌리 또는 잎의 에탄올 추출물 처리시, 조골세포(MG-63)에서 ALP의 활성 정도를 나타낸다.
도 5의 A는 소리쟁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UPLC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의 B는 소리쟁이 잎 에탄올 추출물의 UPLC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의 A 및 B는 도5에서 관찰된 소리쟁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주요 피크(RT 9.26 및 8.24) 에 대한 LC-HRMS 성분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의 C는 도5에서 관찰된 소리쟁이 잎 에탄올 추출물의 주요 피크(RT 12.52) 에 대한 LC-HRMS 성분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의 제조
제주도 소재 제주자원식물산업연구소에서 구입한 소리쟁이 뿌리를 3차 증류수로 수세하고 얇게 절단하여 3일간 음건 후 분쇄하였다. 에탄올 추출은 소리쟁이 뿌리 분쇄물 3g에 70(v/v)% 에탄올 30ml을 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하며 72시간 추출하여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2000rpm에 6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취하여 0.45㎛ syringe filter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rotary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하여 추출농축액을 얻은 다음 동결 건조하여 365.2mg(수득률 12.2%)의 에탄올 추출 분말을 얻었다. 추출 분말 101.3mg을 30ml의 3차 증류수에 현탁 시킨 후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1-butanol 순으로 분액여두에서 진탕 추출 후 분획하여 n-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1-butanol 각 2.3mg, 8.8mg, 14.7mg, 60.6mg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과 분획은 4℃에서 냉장보관 하였다. 열수 추출은 소리쟁이 뿌리 분쇄물 3g에 약 80℃로 가열된 증류수를 가하고 80℃ 수욕상에서 4시간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실온에서 30분 방냉한 후 2000rpm에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을 취하고 상층액은 0.45㎛ syringe filter(SmartPor GHP syringe filter with 25mm, 0.45㎛, Woongki science)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회전식 증발농축기(N-1200A, EYELA)으로 감압 농축하여 추출 농축액을 얻은 다음 동결건조기(FD-1000, EYELA)로 동결건조하여 308.7mg(수득률 10.3%)의 열수 추출 동결건조물을 얻었다. 추출 후 남은 잔류물들에 대해 동일한 추출과정을 2회 더 반복하였다. 상기 추출 건조물은 4℃에서 냉장보관 하였다.
<실시예 2>
조골세포의 생존율 및 활성 증가 효과 세포 실험
Human osteoblast-like MG-63 세포는 서울대학교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구입하였다. MG-63 세포는 10%의 FBS와 1%의 penicillin 및 streptomycin가 포함된 DMEM 배지로 37℃, 5% CO2의 환경을 유지시켜주며 배양하였으며, 세포가 배양 flask에 70-80% 정도 증식되었을 때 계대 하였다.
<실시예 3>
통계분석
실험의 정량적인 결과는 평균값과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통계적인 차이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p 값이 0.05 이하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정하였다.
<실험예 1>
세포 생존율 측정
WST-8의 정량은 Tominaga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12]. MG-63세포를 96-well plate에 2 × 103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고 식물 추출물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첨가한 DMEM 배지를 각 well에 투여하였으며,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DMEM 배지에 배양한 세포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 배양액에 WST-8 용액(10 μl/well)을 첨가하고 3시간 동안 배양한 후 WST-8가 WST-8 formazan으로 환원된 정도를 450nm에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의 측정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이 뼈의 신생 및 재생에 관여하는 인체 조골세포인 MG-63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WST assay를 실시하였고, MG-63 세포의 생존율은 배양액만 처리한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Daidzein은 대두에 풍부하게 함유된 isoflavone으로서 조골세포의 단백질양과 alkaline phosphatase(ALP) 활성을 증가시키고, 골다공증의 발병률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Daidzein 1 μg/ml 이하의 농도로 처리 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생존율을 저하시켰다(도1의 A). 소리쟁이 열수 추출물은 0.02 μg/ml에서 0.2 μg/ml까지는 세포독성 없이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 생존율을 증가 시켰다(도1의 B). 특히, 소리쟁이 ethanol 추출물을 0.02 μg/ml과 0.2 μg/ml 농도로 처리한 군에서는 유의하게 세포 생존율을 증가하였다(도1의 C). 소리쟁이 ethanol 추출물이 MG-63 세포의 ALP 활성과 석회화 결절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는 실험에서는 소리쟁이 추출물을 2 μg/ml 이하의 농도를 사용하였다. ethyl acetate 분획물은 0.1 μ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특히 0.1 μg/ml 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chloroform 분획물은 0.1 μ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도1의 D).
< 실험예 2>
염기성 인산 분해효소( ALP ) 활성 측정
ALP 활성도는 p-nitrophenyl phosphate(pNPP, Sigma, St.Louis, MO, USA)의 가수분해 반응에 ALP가 촉매로 작용하여 생성되는 p-nitrophenol의 양을 405nm 파장에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산출해내었다[13].조골세포를 24-well plate에 2 × 104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고 시료를 희석하여 첨가한 DMEM 배지로 교환하고 72시간 배양하였으며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DMEM 배지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72시간 후, 각각의 well에서 배양액을 제거하고 0.1% Triton X-100를 처리한 후 -70℃에서 얼리고 37℃에서 녹이는 방법으로 세포막을 파괴하였다. 그 후, 4℃, 14,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모아 ALP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수 차이에 따른 ALP 활성도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 총단백질 양은 BSA(Bovine Serum Albumin)을 표준 단백질로 BCA protein assay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효소 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상기의 측정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골세포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ALP는 조골세포 활성의 표지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석회화 과정 동안 무기인산의 운반, 세포 분열이나 분화의 조절자 역할을 한다[14]. 그러므로 식물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biomarker로서 ALP 활성을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Daidzein은 0.0001 μg/ml에서 10 μg/ml 사이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MG-63의 ALP 활성을 증가시켰다(도2의 A). 소리쟁이 ethanol 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 범위 내에서 MG-63의 ALP 활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0.01 ~ 0.1 μg/ml 농도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도 2의 B). ethly acetate 분획물은 0.001 ~ 1 μg/ml 농도에서 ALP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도2의 C). 반면 chloroform 분획물은 0.001 ~ 1 μg/ml 농도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도2의 C).
< 실험예 3>
석회화 결절 형성 측정( Mineralization assay )
조골세포를 24-well plate에 2 × 103 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식물 추출물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첨가한 조골세포 분화 유도용 배지(50 ㎍/ml ascorbic acid, 10mM β-glycerophosphate, 10-7M dexamethasone)를 각 well에 투여하였다. 3 - 4일마다 식물 추출물을 포함한 새 배지로 교환하면서 배양하였다[15, 16].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가볍게 세척한 후 70% ethanol을 가하고 4℃에서 1시간 동안 고정하였다. 세포를 증류수로 세척하고 40mM Alizarin red solution (pH 4.2)으로 실온에서 10분간 염색하였다. 비특이적인 염색을 줄이기 위해 증류수로 5번 세척한 후 PBS를 가하고 15분 방치하였다. PBS를 제거한 후 10% (w/v) cetylpyridinium chloride를 첨가한 10mM sodium phosphate (pH 7.0) 용액을 well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켜서 얻은 alizarin red 추출액을 96 well plate로 옮기고 56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17].
상기의 측정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회화 결절 형성은 조골세포의 후기 분화 단계의 biomarker로서 alizarin red S (ARS) 염색법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Alizarin은 무기질화된 세포 기질의 칼슘을 염색하므로 석회화 결절을 형성한 정도와 염색 정도가 비례한다. MG-63 cell을 여러 가지 농도의 소리쟁이 추출물(0.0002, 0.002, 0.02 μg/ml)을 포함하는 조골세포 분화용 배지에서 12일 간 배양하고 alizarin red S로 염색하여 석회화물의 형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0.0002, 0.002, 0.02 μg/ml 농도에서 유의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석회화 형성능이 상승하였고 0.02 μg/ml 처리군은 120.7% 로 가장 높은 상승을 보였다.
< 실험예 4>
소리쟁이 잎 추출물과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이 염기성 인산 분해효소( ALP ) 활성에 미치는 영향 비교
제주도 소재 제주자원식물산업연구소에서 구입한 소리쟁이 잎을 실시예 1에 나타낸 방법중 에탄올 추출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얻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MG-63 세포의 ALP 활성의 측정은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상기의 측정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과 잎 추출물은 0.5 μg/ml에서 5 μg/ml 사이에서 MG-63의 ALP 활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특히,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0.01 μg/ml에서 0.1 μg/ml 사이의 농도 범위에서 MG-63의 ALP 활성을 유의하게 상승시켰을 뿐 만 아니라, 소리쟁이 잎 추출물이 상승 효과를 나타내는 0.5 μg/ml에서 5 μg/ml 사이의 범위에서도 소리쟁이 잎 추출물보다 더 높은 상승 효과를 나타내었다.
< 실험예 5>
소리쟁이 뿌리와 잎 에탄올 추출물의 LC - HRMS 분석
Ultimate 3000 Rapid Seperation LC system (UPLC, Thermo Scientific Dionex)과 Orbitrap Q exactive mass spectrometer (Thermo Scientific Dionex)를 이용한 LC-HRMS 분석을 하였다. 이동상 A는 0.1% formic acid, 이동상 B는 0.1% formic acid in 99.9% ACN으로 하였다. 소리쟁이 뿌리 또는 잎 에탄올 추출 분말을 이동상 A에 녹여 각 시료의 농도를 10 mg/ml로 하여 그 중 10 ㎕를 주입하였다. column은 Waters ACQUITY UPLC BEH C18 (2.1×150 mm 1.7 ㎛) column을 온도가 40℃로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하였다. 이동상의 gradient는 5%의 이동상 B로 시작하여 30분에 70%로 도달하도록 하였고 30분 이후에는 column의 세척과 안정화를 하였으며, 유속은 0.3 ml/min으로 유지하였다. 측정 m/z의 범위는 150~1000 m/z로 하였고, 데이터는 Xcalibur 2.1 software (Thermo Scientifi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 결과는 도 5와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리쟁이 뿌리 또는 잎 에탄올 추출물의 UPLC chromatogram의 패턴은 확연히 다르게 나타났다. 소리쟁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주된 분석시간인 5분-20분 사이에 다양한 물질에 의한 피크가 존재하는 반면(도5의 A), 소리쟁이 잎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12.52분에 하나의 주요 피크가 존재하였다(도5의 B). 보다 상세한 분석의 결과로 피크 높이가 50000 μAU 이상인 피크들은 소리쟁이 뿌리(도5의 A) 는 21개, 소리쟁이 잎(도5의 B)는 16개로 나타났으며, retention time(RT)이 정확히 일치하는 피크는 전혀 없었다. 단, RT가 ±0.05분인 범위에서 서로 일치하는 피크는 6개로 나타났으나 동일한 성분인 것으로는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소리쟁이 잎(도5의 B)에서 전체 피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12.52분의 피크는 소리쟁이 뿌리(도5의 A)에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동일한 조건에서 분석된 이 결과들은 소리쟁이 뿌리와 잎의 추출물이 서로 전혀 다른 것임을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의 HRMS 분석 결과, RT 9.26분에서 분자에 수소가 하나 첨가되어 이온화된 865.1968의 m/z 값이 검출 되었고(도 6의 A) 이 물질의 화학식은 C45H36O18이며, [표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tannin류 중 하나인 Epicatechin-(4beta->8)-epicatechin-(2beta->7,4beta->8)-catechin이 확인되었다. RT 8.24분에서는 579.1495의 m/z 값이 검출 되었고(도6의 B) 이 물질의 화학식은 C30H26O12이며, [표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flavonoid의 배당체인 Genistein 7-O-(2-p-coumaroylglucoside)으로 확인되었다.
소리쟁이 잎 추출물의 HRMS 분석 결과, RT 12.52분에서는 2개의 m/z 값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 하나는 분자에 수소가 하나 첨가되어 이온화된 303.0497 m/z 값으로 검출 되었고(도 6의 C), 이 물질의 화학식은 C15H10O7이며, [표 2]에 제시한 바와 같이 flavonoid 중 하나인 Quercetin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다른 하나는 449.1076 m/z 값으로 검출 되었고(도 6의 C) 이 물질의 화학식은 C21H20O11이며, [표 2]에 제시한 바와 같이 Quercitrin으로 대표되는 Quercetin의 배당체 형태로 확인되었다. 상기 확인된 물질들은 LC-HRMS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았고, 이용한 데이터베이스는 METLIN: Metablite and Tandem MS Database(http://metlin.scripps.edu/index.php)이다 [18].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은 잎과는 서로 다른 종류의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뿌리의 주요성분은 잎에서는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부터,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이 골세포에 미치는 긍정적인 작용은 잎의 그것과는 본질적인 차이가 있으며 이 효과는 단일성분 혹은 복합성분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의 HRMS 분석
RT Compound name Chemical formula Exact mass
[M+H]+
Accurate mass
[M+H]+
Mass error (ppm)
9.26 Epicatechin-(4beta->8)-epicatechin-(2beta->7,4beta->8)-catechin C45H36O18 865.1974 865.1968 0.7
8.24 Genistein 7-O-(2-p-coumaroylglucoside) C30H26O12 579.1497 579.1495 0.3
소리쟁이 잎 추출물의 HRMS 분석
RT Compound name Chemical formula Exact mass
[M+H]+
Accurate mass
[M+H]+
Mass error (ppm)
12.52 Quercetin C15H10O7 303.0499 303.0497 0.7
12.52 Quercitrin C21H20O11 449.1078 449.1076 0.4
[참고문헌]
[1]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 NIHConsensusStatement.17,1(2000)
[2] 대한골대사학회 : 골다공증의 진단 및 치료 지침 2011
[3] Yun, Y. S. and Jeong, K. S. : Polyphenol Contents of Rumex crispus Root Extract with Hot Water and its Antioxidative Effect.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21,1265(2012)
[4] Cho, N. K., Lee, S. E., Choi, J. S., Hwang, K. H., Koo, S. J., Wang, H. and Kim, S. M. : Isolation of a New Herbicidal Compound Angelicin from Curly Dock (Rumex crispus L.).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30,183(2010)
[5] Jeong, G. T., Lee, K. M. and Park, D. H. : Study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umex crispus Extract. Korean Chem.Eng.Res..44,81(2006)
[6] Park, S. J., Choi, J. H., Jung, Y. S. and Yu, M. H. : Inhibitory Effect of Rumex Crispus L. Fractio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Korean J.FoodSci.Technol.45,90(2013)
[7] Lee, S. S., Kim, D. H., Yim, D. S. and Lee, S. K. :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Hepatoprotective Effect of Semen of Rumex crispus. Korean J.Pharmacogn..38,334(2007)
[8] Suh, H. J., Lee, K. S., Kim, S. R., Shin, M. H., Park, S. G. and Park, S. : Determination of singlet oxygen quenching and protection of biological systems by various extracts from seed of Rumex crispus L. J.Photochem.Photobiol.,B.102,102(2011)
[9] Yun, Y. S. and Jeong, K. S. : Polyphenol Contents of Rumex crispus Root Extract with Hot Water and its Antioxidative Effect.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21,1265(2012).)
[10] Jeong, K. S. : A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Rumex crispus and Metal Adsorptivity of it's Root. Journal of the Korea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13,934(2012)
[11] Shiwani, S., Singh, N. K. and Wang, M. H. : Carbohydrase inhibition and anti-cancerou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along with DNA and protein protection ability of methanolic root extracts of Rumex crispus. Nutr.Res.Pract.6,389(2012)
[12] Tominaga, H., Ishiyama, M., Ohseto, F., Sasamoto, K., Hamamoto, T., Suzuki, K. and Watanabe, M.: A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useful for colorimetric cell viability assay. Anal Commun.36,47(1999)
[13] Hawkins, D. H. and Abrahamse, H.: Time-dependent responses of wounded human skin fibroblasts following phototherapy. J Photo chem Photobiol B.88,147(2007)
[14] Stein, G. S., Lian, J. B. and Owen, T. A. Relationship of cell growth to the regulation of tissue-specific gene expression during osteoblast differentiation. FASEBJ.4,3111(1990)
[15] Chiu, R., Ma, T., Smith, R. L. and Goodman, S. B. Polymethylmethacrylate particles inhibit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osteoprogenitor cells. J Biomed Mater Res A.77,850(2006)
[16] Gregory,C.A., Gunn,W.G., Peister,A. and Prockop,D.J. AnAlizarinred-based assay of mineralization by adherent cells in culture : comparison with cetylpyridiniumchloride extraction. Anal Biochem. 329,77(2004)
[17] Stanford, C. M., Jacobson, P. A., Eanes, E. D., Lembke, L. A. and Midura, R. J.: Rapidly forming apatitic mineral in an osteoblastic cell line (UMR 106-01 BSP). JBiolChem.270,9420(1995).
[18] METLIN: Metablite and Tandem MS Database, http://metlin.scripps.edu/index.php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의 조골세포 활성화 및 뼈의 미네랄화 증가 효과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의 조골세포 활성화 및 뼈의 미네랄화 증가 효과를 이용하여 골다공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고, 소리쟁이 뿌리는 동양에서 한약재로 꾸준히 사용되어 왔기에 기존 골다공증 치료제가 갖는 부작용에 대한 문제가 상대적으로 적거나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기존의 소리쟁이 잎 추출물과는 다른 성분에 의해 골다공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어, 산업상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4)

  1. 에탄올로 추출한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에탄올로 추출한 소리쟁이 뿌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로 추출한 소리쟁이(Rumex crispus) 뿌리 추출물은 클로로포름 분획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다공증은 1차성 골다공증 또는 2차성 골다공증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20130168797A 2013-11-08 2013-12-31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72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5894 2013-11-08
KR1020130135894 2013-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224B1 true KR101472224B1 (ko) 2014-12-12

Family

ID=52678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8797A KR101472224B1 (ko) 2013-11-08 2013-12-31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745A (ko) * 2019-04-15 2020-10-2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산천목 추출물과 양제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0972A (ko) * 2009-01-05 2010-07-14 김선일 나무수액 발효물과 그 이용방법.
KR20130070901A (ko) * 2011-12-20 2013-06-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리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0972A (ko) * 2009-01-05 2010-07-14 김선일 나무수액 발효물과 그 이용방법.
KR20130070901A (ko) * 2011-12-20 2013-06-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리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ssociate Journal of Japanese Society for Medical Use of Functional Foods, Vol.4, No.1, pp.37-41 (2006) *
Associate Journal of Japanese Society for Medical Use of Functional Foods, Vol.4, No.1, pp.37-41 (2006)*
Crop Protection, Vol.23, pp.1215-1221 (2004) *
Crop Protection, Vol.23, pp.1215-1221 (200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745A (ko) * 2019-04-15 2020-10-26 한국 한의학 연구원 산천목 추출물과 양제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526718B1 (ko) * 2019-04-15 2023-05-02 한국한의학연구원 산천목 추출물과 양제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33866T3 (es)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y uso de isoflavonas.
EP2651248B1 (en) Functional food preparation and use thereof
AU2004235702A1 (en) Composition comprising bamboo extract and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showing treating and preventing activity for inflammatory and blood circulation disease
JP2009298769A (ja) 脂肪蓄積抑制用組成物
KR10070318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20160115889A (ko)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22484A (ko) 새싹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45591A (ko) 대황을 포함한 생약조합 추출물을 함유한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72224B1 (ko) 소리쟁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74778B1 (ko) 발효청국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931611B1 (ko) 감귤 추출물 및 꿩의비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152479B1 (ko) 탈지된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암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20044450A (ko) 대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5555B1 (ko) 신이 활성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37479B1 (ko) 홍삼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7165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33654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 화합물을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30640B1 (ko) 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7344B1 (ko) 삼채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120129474A (ko)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염증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448274B1 (ko) 보골지 추출물의 조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12089B1 (ko) 생강나무 잎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240091293A1 (en) Immunity-enhancing composition containing syneilesis palmata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2151643B1 (ko) 표고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