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0171A -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 - Google Patents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0171A
KR20050070171A KR1020030099207A KR20030099207A KR20050070171A KR 20050070171 A KR20050070171 A KR 20050070171A KR 1020030099207 A KR1020030099207 A KR 1020030099207A KR 20030099207 A KR20030099207 A KR 20030099207A KR 20050070171 A KR20050070171 A KR 20050070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processor
processing unit
central processing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9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0171A/ko
Publication of KR2005007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17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Service observation; Fault circuit;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7Redund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구비되는 프로세서 보드의 이중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화된 프로세서 보드의 듀얼 제어부에 각 보드의 중앙처리장치를 체크할 수 있는 로직을 포함하게 하여 액티브 보드의 중앙처리장치에서 급작스런 페일(Fail)이 발생하더라도 듀얼 다운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안된 본 발명인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액티브 보드와 스탠바이 보드로 구성된 프로세서의 이중화 보드에 있어서, 보드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중화 구조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보드들간에 입/출력 관계를 제어하는 I/O 프로세서와; 상기 보드들의 초기화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상기 보드들 중에 하나가 액티브 보드로 동작할 때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로컬 메모리와; 상기 보드들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중앙처리장치 동작 여부를 체크하는 로직을 가지고 있는 듀얼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PROCESSOR DUPLEXED BOARD}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구비되는 프로세서 보드의 이중화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화된 프로세서 보드의 듀얼 제어부에 각 보드의 중앙처리장치를 체크할 수 있는 로직을 포함하게 하여 액티브 보드의 중앙처리장치에서 급작스런 페일(Fail)이 발생하더라도 듀얼 다운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 시장은 급속도의 발전을 거듭하여 낮은 가격, 고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인터넷의 확산과 함께 학교, 회사, 연구기관을 벗어나 홈 네트웍크 시대로 가고 있다. 네트웍의 확산은 정보화 시대에서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교환의 주요한 수단으로써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이중화 시스템은 정보 교환의 중요한 수단이 되는 통신망 네트웍크에 사용자가 저렴한 가격의 다양한 서비스를 중단 없이 받을 수 있는 안정성 있고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이중화 시스템은 프로세서 보드의 이중화 장치에도 적용이 되는데, 이와 같은 프로세서 보드의 이중화 장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액티브 보드와 스탠바이 보드가 제공되어야 한다. 액티브 보드는 주된 보드로서 모든 연산을 처리하는 보드이고, 스탠바이 보드는 상기 액티브 보드에 이상이 있거나 필요에 따라서 보조 역할을 수행하는 보드로서 외부적으로 어떠한 연산도 하지 않고, 단지 활성 보드에 저장이 되는 데이터를 백업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활성화 보드가 치명적인 결함이 생길 경우, 시스템은 절체를 통하여 저장 및 진행 중이던 작업을 스탠바이 보드가 중단 없이 계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통신 시스템과 같이 민감한 시스템에서는 불시에 결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절체를 통한 이중화 보드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의 구성도를 보여주는 것인데,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의 구성과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동일한 내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동일한 보드가 연결되어 이중화되어 있는데, 하나는 액티브 보드로서 동작하고, 다른 하나는 스탠바이 보드로서 동작을 수행한다. 각 보드의 구성수단은, 보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이중화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이중화되어 있는 보드간의 입출력 관계를 제어하는 I/O 프로세서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I/O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 또는 출력하는 메모리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동작에 따라 상대방 보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듀얼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종래의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에 관한 구성작용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중앙처리장치(1)는 각 보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보드의 구성요소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이중화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제어한다. 즉, 각 보드는 액티브 보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해당 보드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어플리케이션 수행시 발생하는 데이터는 상대방 보드인 스탠바이 보드에 백업되는 것이 가능하게 제어를 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따라 액티브 보드의 중앙처리장치는 스탠바이 보드를 점유한 상태로 이중화를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I/O 프로세서(2)는 액티브 보드와 스탠바이 보드간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로서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간의 데이터 처리에 있어 입출력 관계 및 액티브 보드와 스탠바이 보드간의 데이터 이동에 있어 입출력 관계에 관하여 제어를 담당한다. 즉, I/O 프로세서는 데이터 이동의 버스의 권한을 분배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메모리 컨트롤러와 입출력을 위한 하드웨어를 포함하게 된다.
로컬 메모리(3)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액티브 보드의 중앙처리장치가 액티브 보드에 포함되어 있는 메모리에 특정 데이터를 쓰기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대방 보드인 스탠바이 보드에 포함되어 있는 메모리에도 상기 액티브 보드에 포함되어 있는 메모리에 쓰여지는 특정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쓰여져 저장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따라 스탠바이 보드가 절체에 의해 액티브 보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절체 전의 액티브 보드가 수행하던 어플리케이션을 그대로 이어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듀얼 제어부(4)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대방 보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액티브 보드로 동작하는 보드에 포함되어 있는 듀얼 제어부는 액티브 보드에 포함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로컬 메모리에 특정 데이터가 쓰여지는 경우에, 이를 스누핑(Snooping)하고 있다가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와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듀얼 제어부를 위해 존재하는 피포(FIFO, 미도시됨)에 저장을 한다. 상기와 같이 저장되는 데이터는 상기 프로세서부의 제어에 따라 상대방 보드인 스탠바이 보드의 메모리에 전달이 되어 해당 메모리에 동일한 데이터가 쓰여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들의 동작을 가지는 종래의 프로세서 보드의 이중화 장치에서 동시 쓰기 동작에 관련된 실시예를 설명하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액티브 보드 내에서는 부팅이 된 후, O/S를 실행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로 되고, 스탠바이 보드는 부팅이 된 후, 일부 O/S와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동작을 수행한다. 즉, 스탠바이 보드에서는 액티브 보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에 대한 모니터링 정도만 수행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수행하지 않고 있다.
상기 상태에서 액티브 보드의 중앙처리장치가 로컬 메모리에 특정 데이터를 쓰고자 하는 경우에, 중앙처리장치는 메모리의 어드레스와 해당 데이터 그리고 쓰기 제어 신호를 버스를 통해 전달하여 메모리에 쓰여지게 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수행되는 과정에 있어 듀얼 제어부는 상기 동작을 지켜보다가(스누핑:Snooping) 상기 로컬 메모리의 해당 어드레스와 쓰여지는 데이터를 듀얼 제어부의 동작을 돕는 FIFO에 저장을 한다. 그런 후,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는 스탠바이 보드에 포함되어 있는 메모리의 해당 어드레스에 쓰여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프로세서 보드는 이중화 구조가 실현이 되는 것인데, 이 상태에서 보드의 절체가 이루어지면, 절체전의 스탠바이 보드로 동작하고 있던 보드가 절체 전의 액티브 보드가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타스크(Task)를 이어서 수행한다.
즉, 액티브 보드와 스탠바이 보드간에 이중화 지원을 위해서 액티브 보드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리소스가 항상 동일하게 스탠바이 보드에 복사되는 컨커런트(Concurrent) 쓰기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리하여 액티브 보드의 페일(Fail) 시에 스탠바이 보드로의 스위치 오버 시에 자원을 그대로 사용하여 연속적인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지원하기 위하여 액티브 보드가 자기 메모리에 쓰기 동작을 수행할 때 듀얼 제어부에서는 이를 스누핑하고 있다가 특정 메모리에 쓰여지는 데이터와 메모리 어드레스를 자기 FIFO에 저장하도록 하여, 이것이 스탠바이 보드로 전달되도록 하는 방식을 구현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 구성에서는 동시 쓰기가 되는 영역은 각 보드가 따로 가지고 있는 로컬 메모리의 영역에 대해서만 이루어지고 다른 I/O에 매핑된 레지스터나 I/O 프로세서가 내부적으로 가지고 있는 저장영역에 대해서는 동시 쓰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액티브 보드의 절체 조건 즉, 운용자에 의한 절체 명령, 보드의 전면에 위치한 리셋 스위치에 의한 리셋인 경우에 액티브 보드의 중앙처리장치가 이 때 인터럽트를 감지하여 동시 쓰기가 되는 로컬 메모리 영역 이외의 데이터를 상대방 보드의 정해진 로컬 메모리 영역에 쓴 후, 인계(Take Over) 명령을 스탠바이 보드에 전달하면, 스탠바이 보드는 동시 쓰기가 되는 영역의 데이터와 절체 순간에 복사된 데이터를 리소스로 하여 이전에 액티브 보드가 수행하던 타스크를 이어받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동작 수행은 액티브 보드의 중앙처리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만 상기와 같이 정상적인 절체가 수행되게 된다. 즉, 하드웨어적으로 동시 쓰기가 되는 영역은 액티브 보드와 스탠바이 보드가 동일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절체 순간에 복사되는 데이터는 액티브 보드의 중앙처리장치가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상태인 경우에는 복사를 할 수 없어서 정상적으로 절체가 이루어지지 않아 액티브 보드도 비정상적인 상태가 되고 스탠바이 보드도 정상 동작할 수 없게 되어, 듀얼 다운이 발생하여 시스템이 정상적인 서비스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에 소정의 하드웨어(중앙처리장치 체크 로직)를 추가하여 이중화 보드 절체시에 액티브 보드의 중앙처리장치가 페일(Fail) 상태에 빠지더라도 절체 시에 중앙처리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을 듀얼 제어부에서 수행하게 하여 정상적으로 절체가 이루어져 스탠바이 보드에서 액티브 보드의 동작을 이어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액티브 보드와 스탠바이 보드로 구성된 프로세서의 이중화 보드에 있어서,
보드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중화 구조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보드들간에 입/출력 관계를 제어하는 I/O 프로세서와; 상기 보드들의 초기화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상기 보드들 중에 하나가 액티브 보드로 동작할 때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로컬 메모리와; 상기 보드들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중앙처리장치 동작 여부를 체크하는 로직을 가지고 있는 듀얼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듀얼제어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주기적으로 클리어(Clear)할 수 있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페일(Fail)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듀얼 제어부가 동시 쓰기가 되지 않는 데이터를 복사하여 상대방 보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인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에 관한 구성작용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의 구성도를 보여주는 것인데, 중앙처리장치(10)와 I/O 프로세서(20)와 로컬 메모리(30) 그리고 듀얼 제어부(4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듀얼 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 체크 로직(41)과 타이머(42)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처리장치(10)는 보드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보드의 구성요소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이중화 구조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데이터 전송을 제어한다. 즉, 각 보드는 액티브 보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해당 보드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어플리케이션 수행시 발생하는 데이터는 상대방 보드인 스탠바이 보드에 백업되는 것이 가능하게 제어를 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따라 액티브 보드의 중앙처리장치는 스탠바이 보드를 점유한 상태로 이중화를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I/O 프로세서(20)는 액티브 보드와 스탠바이 보드간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로서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간의 데이터 처리에 있어 입출력 관계 및 액티브 보드와 스탠바이 보드간의 데이터 이동에 있어 입출력 관계에 관하여 제어를 담당한다. 즉, I/O 프로세서는 데이터 이동의 버스의 권한을 분배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메모리 컨트롤러와 입출력을 위한 하드웨어를 포함하게 된다.
로컬 메모리(30)는 상기 보드들의 초기화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상기 보드들 중에 하나가 액티브 보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을 한다. 또,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액티브 보드의 중앙처리장치가 액티브 보드에 포함되어 있는 메모리에 특정 데이터를 쓰기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대방 보드인 스탠바이 보드에 포함되어 있는 메모리에도 상기 액티브 보드에 포함되어 있는 메모리에 쓰여지는 특정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쓰여져 저장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따라 스탠바이 보드가 절체에 의해 액티브 보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절체 전의 액티브 보드가 수행하던 어플리케이션을 그대로 이어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듀얼 제어부(40)는 상기 보드들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중앙처리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로직(중앙처리장치 체크 로직)을 가지고 있어, 지속적으로 중앙처리장치의 정상 상태 여부를 감시한다. 또,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대방 보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액티브 보드로 동작하는 보드에 포함되어 있는 듀얼 제어부는 액티브 보드에 포함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로컬 메모리에 특정 데이터가 쓰여지는 경우에, 이를 스누핑(Snooping)하고 있다가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와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듀얼 제어부를 위해 존재하는 피포(FIFO, 미도시됨)에 저장을 한다. 상기와 같이 저장되는 데이터는 상기 프로세서부의 제어에 따라 상대방 보드인 스탠바이 보드의 메모리에 전달이 되어 해당 메모리에 동일한 데이터가 쓰여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듀얼 제어부에는 하드웨어적으로 중앙처리장치 체크 로직(41)을 포함하고 있어 중앙처리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주기적으로 계속 체크하는데, 만일 중앙처리장치에 페일(Fail)이 발생한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가 이중화 절체를 위하여 수행하던 동작을 중앙처리장치 체크 로직이 수행하게 된다. 즉, 듀얼 제어부가 중앙처리장치를 모니터하고 있다가 중앙처리장치에 페일(Fail)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한 경우에는 I/O 프로세서의 로컬 메모리 또는 각종 레지스터를 직접 액세스하여 상대방 보드로 복사하고 중앙처리장치가 동작하는 루틴을 동일하게 수행하여 이중화 절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중앙처리장치에 페일(Fail)이 발생한 경우에 정상적으로 이중화 절체가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듀얼 제어부에는 타이머를 포함시켜 구성된다. 즉, 듀얼 제어부에 포함되어 있는 타이머를 중앙처리장치가 주기적으로 클리어(Clear)하도록 설계하여 일정 시간 안에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타이머를 클리어 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에 페일(Fail)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듀얼 제어부의 중앙처리장치 체크 로직은 해당 동작을 수행하여 이중화 절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상기 듀얼 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의 버스 흐름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버스에 트랜지션(Transition)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도 중앙처리장치에 페일(Fail)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각 종 레지스터와 I/O 프로세서를 위한 로컬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직접 읽어들여 상대방 보드에 전달하여 이중화 절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인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계속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이다.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에 전원이 인가되어 한 쪽 보드는 액티브 보드로 동작을 수행하고, 상대방 보드는 스탠바이 보드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액티브 보드로 동작하는 보드는 해당 보드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스탠바이 보드는 I/O, 보조 클럭, 인터럽트에 관한 핀들을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로 하고 어플리케이션 타스크는 대기 상태로 하여 어떠한 연산을 하지 않는 상태로 존재한다(S10).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액티브 보드에서 절체 조건(운영자의 명령에 의해서 절체를 하라는 명령어가 현재 액티브 보드에게 수행되거나, 운영자가 메뉴얼로 보드 전면의 리셋 스위치를 푸쉬하는 경우)이 발생하면, 상기 액티브 보드는 절체 이벤트를 스탠바이 보드에 전달하고 활성화되어 있던 I/O, 보조클럭, 인터럽트 관련 핀들을 디스에이블(Disable) 시키고 어플리케이션 타스크를 대기모드로 전환한다(S20, S30).
상기 액티브 보드로부터 절체 이벤트를 전달받은 스탠바이 보드는 이중화 관련 데이터가 복사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 복사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탠바이 보드 상태(이중화 관련 데이터 복사 안된 상태)를 액티브 보드로 전달하다. 그러면, 액티브 보드는 이중화 관련 데이터를 복사하여 스탠바이 보드에 전달하고, 복사가 완료되었음을 스탠바이 보드에 전달한다(S40).
상기와 같이 이중화 관련 데이터가 복사된 경우에는 스탠바이 보드는 복사된 데이터를 I/O 프로세서에 로딩을 수행하고, 로딩이 완료되었음을 액티브 보드에 전달한다(S50). 그러면, 상기 액티브 보드는 동시 쓰기 동작을 정지하고 스탠바이 보드에게 액티브 모드를 종료한다는 메시지(ACTIVE OFF)를 보내고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액티브 보드로부터 액티브 모드를 종료한다는 메시지를 받은 스탠바이 보드는 액티브 보드의 동작을 이어받아 동시 쓰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종 I/O, 보조클럭, 인터럽트 관련 핀을 인에이블 시키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타스크를 실행하면서 액티브 보드로서 동작을 수행한다(S60, S70).
이와 같은 동작으로 액티브 보드와 스탠바이 보드가 이중화 절체를 수행하는 과정 중에는 절체 전의 액티브 보드 내의 듀얼 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는지 체크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는데(즉, 중앙처리장치가 듀얼 제어부에 포함되어 있는 타이머를 주기적으로 클리어를 시키는지, 또는 듀얼 제어부가 중앙처리장치의 버스를 감시하여 트랜지션이 발생하지 않는지 체크), 이와 같은 체크하는 중에 단계 40(S40)에서 액티브 보드의 중앙처리장치에 페일(Fail)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이 되는 경우에는 듀얼 제어부에 포함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 체크 로직이 액티브 보드 내의 I/O 프로세서의 로컬 메모리 또는 각 종 레지스터를 직접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복사하여 상대방 보드에 전달함으로써, 페일이 발생한 중앙처리장치의 동작을 대신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 수행으로 인하여, 보드 절체 시에 중앙처리장치의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듀얼 제어부에 추가된 하드웨어의 동작으로 보드 절체가 정상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인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에 의하면, 액티브 보드의 중앙처리장치가 절체시에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원인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듀얼 제어부에 추가되는 하드웨어의 동작에 의해 이중화 절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시스템의 장애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Claims (3)

  1. 액티브 보드와 스탠바이 보드로 구성된 프로세서의 이중화 보드에 있어서,
    보드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중화 구조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보드들간에 입/출력 관계를 제어하는 I/O 프로세서와; 상기 보드들의 초기화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상기 보드들 중에 하나가 액티브 보드로 동작할 때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로컬 메모리와; 상기 보드들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중앙처리장치 동작 여부를 체크하는 로직을 가지고 있는 듀얼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듀얼제어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주기적으로 클리어(Clear)할 수 있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페일(Fail)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듀얼 제어부가 동시 쓰기가 되지 않는 데이터를 복사하여 상대방 보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
KR1020030099207A 2003-12-29 2003-12-29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 KR20050070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207A KR20050070171A (ko) 2003-12-29 2003-12-29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207A KR20050070171A (ko) 2003-12-29 2003-12-29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171A true KR20050070171A (ko) 2005-07-07

Family

ID=3726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207A KR20050070171A (ko) 2003-12-29 2003-12-29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01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445B1 (ko) * 2006-12-04 2008-01-22 텔코웨어 주식회사 이중화 시스템
KR101466031B1 (ko) * 2013-06-17 2014-11-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이중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445B1 (ko) * 2006-12-04 2008-01-22 텔코웨어 주식회사 이중화 시스템
KR101466031B1 (ko) * 2013-06-17 2014-11-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이중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271A (en) Multiconfiguration backplane
US6138247A (en)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multiple system processors
US6209051B1 (en)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multiple system hosts
US6243829B1 (en) Memory controller supporting redundant synchronous memories
JP3123413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6161197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bus with multiple system hosts
US6327670B1 (en) Duplex processor with an update b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update bus
KR100258079B1 (ko) 밀결합 결함 허용 시스템에서 메모리 버스 확장에 의한 동시 쓰기 이중화 장치
JP2006178659A (ja) フォールト・トレラント・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と、そのための割り込み制御方法
KR20050070171A (ko) 프로세서 이중화 보드
JPH06259343A (ja) 多重バス制御方式及びそれを用いたシステム
KR100333484B1 (ko) 이중화된 데이터 채널을 갖는 동시 쓰기 방식을 적용한결함 허용 제어 시스템
JP2002373084A (ja) 二重化システムの状態交換・障害検出兼用方法
JPH06259274A (ja) 二重系システム
KR20030068663A (ko) 이중화 보드간의 비휘발성 메모리 정보 동기화 장치 및 방법
JP3260435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
JP2002007220A (ja) 多重化メモリシステム
KR20050060690A (ko) 프로세서 보드의 이중화 장치
KR20050044125A (ko) 공유메모리를 이용한 이중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00056407A (ko) 동시 기록 방식을 사용한 이중화 무선가입자망의 고속 데이터 백업 방법
JP2007257447A (ja) 装置の二重化仮運用方法及び二重化システム
JP2013186727A (ja) 多重系システム用計算機および多重系制御方法
JP2000222295A (ja) データ転送制御方式
KR20000014053A (ko) 무선 가입자 망에서의 이중화시스템의 데이터 고속 백업 방법
JPH05175980A (ja) 系間交絡通信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