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7412A -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디스크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디스크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7412A
KR20050067412A KR1020057006046A KR20057006046A KR20050067412A KR 20050067412 A KR20050067412 A KR 20050067412A KR 1020057006046 A KR1020057006046 A KR 1020057006046A KR 20057006046 A KR20057006046 A KR 20057006046A KR 20050067412 A KR20050067412 A KR 20050067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isc
cartridge
shutters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노리 오카자와
데루유키 다키자와
요시토 사지
구니코 나카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7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41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디스크 개구부에서 제 1 면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내의 제 1 및 제 2 셔터상에 유지되어 있고,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폐 동작을 행하도록 제 1 및 제 2 셔터에 결합하고 있는 회전 부재(25)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에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에 디스크의 제 2 면의 외주부와 접촉하여 디스크를 받는 접촉 영역(25n)과, 접촉 영역의 외측에 설치된 홈(25p)을 갖는 디스크 받이부를 설치했다.

Description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DISC CARTRIDGE}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의 디스크형의 신호 기록 매체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수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디스크형의 신호 기록 매체를 유지하기 위한 디스크 카트리지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1997-153264 호 공보는 한면 또는 양면에 신호 기록면을 갖는 디스크형의 기록 매체(이하, "디스크"라고 한다)가, 상반부 및 하반부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본체의 내부에 설치한 디스크 수납부 안에, 완전히 피복된 모양으로 수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개시하고 있다. 이 카트리지 본체에는 스핀들 모터의 턴테이블 및 클램퍼가 디스크를 처킹하기 위한 처킹 개구부와, 헤드가 디스크에 대하여 신호의 재생 및 기록을 행하기 위한 헤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처킹 개구부와 헤드 개구부는 연결되어 있고, 카트리지를 휴대하여 반송할 때, 이들 개구부에서 먼지가 침입하거나 디스크에 지문이 부착하거나 하기 쉽다. 이 때문에, 이들 개구부를 피복하는 셔터가 디스크 카트리지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조의 디스크 카트리지인 경우, 디스크 카트리지를 디스크 장치에 삽입하여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 재생을 하기 위해서, 디스크 회전시의 면접촉, 디스크의 휘어짐 및 카트리지의 디스크 장치로의 위치 결정 오차를 허용하기 위한 공간을, 상반부와 하반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디스크를 수납하는 공간에 확보할 필요가 생긴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 본체의 두께가 커져 버린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하반부에는 스핀들 모터의 턴테이블용의 개구부와 헤드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반부에는 클램퍼용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동시에 막기 위한 셔터는, 상반부로부터 하반부에 걸쳐서 연결되는 ㄷ자형을 갖추고 있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상의 셔터는 비싸기 때문에,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결과로 되고 있었다.
또한, 금속 허브가 붙은 디스크인 경우는 자력에 의해 덜걱거림이 없도록 흡인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CD나 DVD와 같은 허브가 없는 광디스크인 경우, 일반적으로 디스크는 카트리지 내에서 고정되지 않고 프리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 장치 내에서 셔터가 개방하여, 개구부에서 카트리지 내에 침입한 먼지가 디스크에 부착한다는 문제점도 갖고 있었다. 또한, 디스크의 덜걱거림에 의해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이 상하거나, 디스크와 카트리지 내벽과의 충돌에 의해, 분진을 발생하고, 그 분진이 디스크에 부착한다고 하는 문제점도 갖고 있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특히 한면에만 기록면을 갖는 디스크를 수납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두께를 얇게 하고, 심플한 셔터 구성으로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비용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디스크를 디스크 카트리지 내에서 유지하여 덜걱거림을 없애고, 디스크에 먼지의 부착을 저감하고, 또한 노출된 디스크 라벨면을 이용함으로써 디자인적으로 뛰어난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개구부 및 바닥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서 상기 제 1 면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를 외부로부터 처킹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처킹 개구부와,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으로 억세스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헤드 개구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본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 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헤드 개구부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셔터, 및 상기 디스크 수납부 내의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상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폐 동작을 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에 결합하고 있는 회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의 외주연부와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를 받는 접촉 영역과, 상기 접촉 영역의 외측에 설치된 홈을 갖는 디스크 받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헤드 개구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크 받이부에 설치된 절결부를 갖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주에 따라 설치된 측벽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회전 부재의 절결부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측벽에 상기 디스크의 외측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디스크의 중심을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에 대하여 오프셋시켜 유지하는 디스크 유지부를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에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받이부의 홈은,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 수납부에서 노출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홈의 일부를 묻도록 설치된 복수의 매립부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의 둘레방향의 길이는 1㎜ 이상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는 상기 디스크 개구부의 중심측에 경사진 상면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개구부 및 바닥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또한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서 상기 제 1 면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를 외부로부터 처킹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처킹 개구부와,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으로 억세스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헤드 개구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본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헤드 개구부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셔터, 상기 디스크 수납부 내의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상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폐 동작을 행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에 결합하고 있는 회전 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의 일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셔터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상기 처킹 개구부 및 상기 헤드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 또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대하여 디스크를 고정하는 제 1 및 제 2 디스크 유지부, 및 상기 디스크 개구부 내로 돌출한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디스크 유지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할 때, 상기 제 2 디스크 유지부가 상기 디스크와 접촉하기 전에, 상기 탈락 방지 부재의 근방에서 상기 디스크와 접촉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크 유지부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할 때, 상기 탈락 방지 부재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크와 접촉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크 유지부는 각각 역테이퍼형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상기 경사면을 상기 디스크의 외주의 모서리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를 파지하여 고정하고, 또한 상기 디스크를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측으로 가압하여 유지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크 유지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의 근방에서 상기 디스크와 접촉한 후, 상기 제 2 디스크 유지부가 상기 디스크와 접촉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크 수납부 내의 디스크의 기울기 및 위치를 바꾸는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크 유지부의 기울기 및 위치를 바꾸는 구조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할 때, 상기 제 1 디스크 유지부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비평행하고, 또한 역테이퍼형의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제 1 규제면과, 상기 제 1 또는 제 2 셔터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 2 규제면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개구부 및 바닥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서 상기 제 1 면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를 외부로부터 처킹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처킹 개구부와,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으로 억세스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헤드 개구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본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헤드 개구부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셔터, 및 상기 디스크 수납부 내의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상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폐 동작을 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에 결합하고 있는 회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해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회전 부재의 바닥부의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 부재를 유지하는 회전 부재 받이부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 받이부는, 헤드 개구부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 면한 경사면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해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회전 부재의 바닥부의 외주의 일부가, 상기 경사면과 접촉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로 향하여 돌출하는 제 1 및 제 2 돌기를 갖고.,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상기 회전 부재의 제 1 및 제 2 돌기에 각각 결합하는 제 1 및 제 2 안내 홈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중 적어도 한쪽은 대응하는 안내 홈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갈고리부를 그 선단에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디스크의 센터 홀과 겹치는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각각에 설치된 절결부와 상기 절결부의 주연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볼록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볼록부상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디스크의 센터 홀내로 돌출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돌기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의 외주연부를 받도록 설치된 디스크 받이부 및 디스크 받이부에 설치된 절결부를 갖고, 상기 절결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헤드 개구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할 때에, 상기 회전 부재의 절결부가 통과하고, 디스크 받이부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셔터가 중첩되는 영역에 설치된 오목부를 상기 카트리지 본체가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헤드 개구부 근방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의 한쪽 및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제 1 및 제 2 볼록부에 각각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볼록부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개구부 및 바닥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서 상기 제 1 면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를 외부로부터 처킹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처킹 개구부와,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으로 억세스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헤드 개구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본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헤드 개구부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셔터, 및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 일부가 돌출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상면에 고정된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핀과, 제 1 결합부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핀을 갖고,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카트리지 상체로부터 하체로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고, 상기 위치 결정 핀이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위치 결정 핀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구멍과, 상기 제 1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결합부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결합하는 제 2 결합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멍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각각 2개의 상기 위치 결정 핀 및 상기 결합 핀을 갖고,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각각 2개의 위치 결정 구멍 및 결합 구멍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개구부 및 바닥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또한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서 상기 제 1 면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를 외부로부터 처킹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처킹 개구부와,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으로 억세스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헤드 개구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본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헤드 개구부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셔터 및 상기 디스크 수납부 내의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상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폐 동작을 행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에 결합하고 있는 회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의 외주연부와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를 받는 디스크 받이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헤드 개구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크 받이부에 설치된 절결부를 갖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주에 따라서 설치된 측벽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회전 부재의 절결부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측벽에 상기 디스크의 외측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디스크의 중심을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에 대하여 오프셋시켜 유지하는 디스크 유지부를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에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크 유지부의 각각은, 디스크 수납부의 상기 바닥부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바닥부에 면하도록 경사진 제 1 및 제 2 경사면과, 제 1 및 제 2 경사면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부와 거의 평행인 수평면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개구부 및 바닥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서 상기 제 1 면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를 외부로부터 처킹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처킹 개구부와,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으로 억세스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헤드 개구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본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헤드 개구부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셔터 및 상기 디스크 수납부 내의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상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폐 동작을 행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에 결합하고 있는 회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의 외주연부와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를 받는 디스크 받이부와, 디스크 받이부 외주를 둘러싸는 측벽과,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헤드 개구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크 받이부 및 측면의 일부에 설치된 절결부를 갖고, 상기 절결부가 설치된 측벽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외주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셔터 개방시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가 설치된 측벽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상기 헤드 개구부 근방에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개구부 및 바닥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서 상기 제 1 면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를 외부로부터 처킹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처킹 개구부와,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으로 억세스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헤드 개구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본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헤드 개구부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셔터 및 상기 디스크 수납부 내의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상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폐 동작을 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에 결합하고 있는 회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의 외주연부와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를 받는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와 평행인 접촉 영역과, 상기 접촉 영역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 영역을 갖는 디스크 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의 비접촉 영역 및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의 디스크와 대향하는 면은 주름 가공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개구부 및 바닥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서 상기 제 1 면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를 외부로부터 처킹하기 위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처킹 개구부와,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으로 억세스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헤드 개구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본체,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헤드 개구부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셔터 및 상기 디스크 수납부 내의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상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폐 동작을 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에 결합하고 있는 회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바닥부상의 상기 처킹 개구부 및 상기 헤드 개구부의 주위에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셔터 폐쇄시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볼록부를 끼우는 제 1 및 제 2 볼록부를 상기 바닥부와 대향하는 면에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 이외의 점을 각각 회전축으로서 회동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의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볼록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에 따라 신장하는 제 3 볼록부를 상기 바닥부와 대향하는 면에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장전하고, 상기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것 및/또는 상기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과, 상기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것 및/또는 상기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행하는 헤드와, 상기 디스크를 수납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상기 구동 수단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하는 지지 구조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하여, 상기 디스크를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수납부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유지부에 상기 디스크의 유지 동작을 해제시키는 셔터 개폐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상기 디스크를 구동 수단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퍼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핀을 갖는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 개구부 및 바닥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서 상기 제 1 면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를 갖는 카트리지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디스크를 외부로부터 처킹하기 위한 처킹 개구부와,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헤드가 디스크로 억세스하기 위한 헤드 개구부를 바닥부에 갖는 카트리지 하체상에, 상기 헤드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셔터를 배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 부재를, 제 1 및 제 2 셔터상에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디스크 개구부를 갖는 카트리지 상체를 상기 카트리지 하체와 접합하여, 카트리지 본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로 상기 디스크를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디스크 개구부로 그 일부가 나오도록 탈락 방지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상면에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상체와 상기 카트리지 하체와의 접합을 초음파 융착에 의해서 행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상체 및 상기 카트리지 하체는 ABS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폴리아세탈 수지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아래로부터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유지 부재 근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유지 부재 근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가 개방하고, 위치 결정 핀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디스크 유지 부재 근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도 6에 있어서의 디스크 유지 부재 근방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 부재의 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은 도 17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 부재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서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0은 도 19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서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2는 도 21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3은 제 8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5는 도 23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상체와 디스크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 셔터가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6은 도 23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상체와 디스크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 셔터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7은 도 23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 셔터가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8은 도 23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 셔터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9는 도 23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중심을 지나는 단면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30은 도 23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1은 도 23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조작부 근방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32는 도 23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탈락 방지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3은 도 23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드라이브 삽입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5는 도 34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6은 도 34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없는 경우에 셔터가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7은 도 34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없는 경우에 셔터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8은 도 34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중심을 지나는 단면이고, 셔터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39는 도 34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중심을 지나는 단면이고,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0은 도 34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중심을 지나는 디스크 외주 부근의 단면이고,셔터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1은 도 34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중심을 지나는 디스크 외주 부근의 단면이고,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3은 도 42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44는 도 42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없는 경우에 셔터가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5는 도 42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없는 경우에 셔터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6은 도 42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중심을 지나는 단면이고, 셔터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7은 도 42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중심을 지나는 단면이고,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48은 도 42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중심을 지나는 디스크 외주 부근의 단면이고, 셔터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9는 도 42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중심을 지나는 디스크 외주 부근의 단면이고,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0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1은 도 50에 있어서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52는 도 50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없는 경우에 셔터가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3은 도 50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없는 경우에 셔터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4는 도 50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중심을 지나는 단면이고, 셔터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55는 도 50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중심을 지나는 단면이고,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56은 도 50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7은 도 50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조작부 근방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58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없는 경우에 셔터가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9는 도 58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중심을 지나는 단면이고, 셔터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60은 도 58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가 없는 경우에 셔터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1은 도 58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중심을 지나는 단면이고,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62는 도 58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변형예이고, 디스크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 셔터가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3은 도 61의 디스크 카트리지이고, 디스크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 셔터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4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5는 도 64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6은 도 64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67은 도 64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68은 셔터 로크부의 상세한 사시도,
도 69는 셔터의 디스크 유지부의 상세한 단면도,
도 70은 2장의 셔터의 접합면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1은 2장의 셔터의 접합면 형상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2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3은 도 72의 디스크 카트리지 셔터의 사시도,
도 74는 도 72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유지부 근방의 확대 사시도,
도 75는 도 72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유지부 근방의 확대 사시도,
도 76은 도 72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유지부 근방의 확대 단면도,
도 77은 도 72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가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78은 도 72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79는 도 78에 있어서 B-B 단면도,
도 80은 도 78에 있어서 C-C 단면도,
도 81은 도 77에 있어서 A-A 단면도,
도 82는 디스크 받이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3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84는 도 83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가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85는 도 83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86은 도 84에 있어서 D-D 단면도,
도 87은 도 85에 있어서 E-E 단면도,
도 88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9는 도 88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90은 도 88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가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91은 도 88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92는 도 88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93은 도 92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94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5는 도 94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96은 도 94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가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97은 도 94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98은 본 발명의 제 18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9는 도 98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00은 도 98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가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101은 도 98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102는 본 발명의 제 19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03은 도 102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유지부 근방의 확대 단면도,
도 104는 본 발명의 제 20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05는 도 104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상체를 제외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106은 도 105에 있어서 F-F선 단면도,
도 107은 도 104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폐쇄한 상태에서의 셔터 및 회전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8은 도 107에 있어서 G-G선 단면도,
도 109는 도 104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개방한 상태에서의 셔터 및 회전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0은 도 109에 있어서 H-H선 단면도,
도 111은 도 104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실드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2는 도 111에 도시하는 실드 부재가 카트리지 상체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3은 셔터가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실드 부재 단부에서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4는 셔터가 폐쇄한 상태에서의 실드 부재 중앙에서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5는 셔터가 개방한 상태에서의 실드 부재 단부에서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6은 셔터가 개방한 상태에서의 실드 부재 중앙에서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7은 도 104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평면도,
도 118은 도 104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평면도,
도 119는 본 발명의 제 2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20은 도 119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취출 이력 홀 근방을 확대하고 나타내는 도면,
도 121은 도 119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122는 도 119의 J-J선 단면도의 회전축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3은 도 119의 J-J선 단면도의 걸림부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4는 도 119의 K-K선 단면도,
도 125는 도 119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탈락 방지 부재를 해제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6은 도 125의 J-J선 단면도의 회전축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7은 도 125의 J-J선 단면도의 걸림부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8은 도 119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부분 평면도,
도 129는 도 119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부분 평면도,
도 130은 도 119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부분 평면도,
도 131은 도 119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부분 평면도,
도 132는 본 발명의 제 2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3은 도 132의 L-L선 단면도,
도 134는 도 132의 L-L선 단면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135는 도 13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모식도,
도 136은 도 132의 L-L선 단면도의 다른 일부를 확대하고 나타내는 도면,
도 137은 도 132의 L-L선 단면도의 다른 일부를 확대하고 나타내는 도면,
도 138은 본 발명의 제 2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의 하방에 설치하는 공간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9는 디스크의 휨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0은 디스크의 하방에 설치하는 공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1은 디스크의 하방에 설치하는 공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2는 본 발명의 제 2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3은 도 142의 A-A선 단면도,
도 144는 도 142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45는 도 142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6은 도 145의 N-N선 단면 및 O-O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7은 도 142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8은 도 145의 M-M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9는 도 142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0은 도 145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51은 발명의 제 2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상체를 떼어내어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2는 도 151의 A-A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3은 도 151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4는 도 151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가 폐쇄하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5는 디스크 유지부와 디스크의 접촉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6은 디스크 유지부와 디스크의 다른 접촉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7은 디스크 유지부와 디스크의 다른 접촉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8은 수직으로 지지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부가 디스크를 유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9는 도 158의 Q-Q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0은 수직으로 지지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부가 디스크를 유지하는 것 이외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1은 도 160의 Q-Q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2는 본 발명의 제 25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를 분해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63은 카트리지 상체를 떼어낸 상태에서 도시하는 도 162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164는 도 163의 R-R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5는 카트리지 상체를 떼어낸 상태에서 도시하는 도 162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다른 평면도,
도 166은 카트리지 상체를 떼어낸 상태에서 도시하는 도 162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다른 평면도,
도 167은 도 166의 S-S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8은 카트리지 상체를 떼어낸 상태에서 도시하는 도 162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다른 평면도,
도 169는 도 168의 S-S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0은 도 168의 T-T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1은 회전 부재 받이부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 도 168의 T-T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2는 카트리지 상체를 떼어낸 상태에서 도시하는 도 162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다른 평면도,
도 173은 도 172의 U-U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4는 카트리지 떼어낸 상태에서 도시하는 도 162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다른 평면도,
도 175는 카트리지 상체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도 162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다른 평면도,
도 176은 도 176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177은 본 발명의 제 26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를 분해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78은 도 177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탈락 방지 부재를 제거한 상태에서, 탈락 방지 부재 및 카트리지 상체의 탈락 방지 부재가 부착되는 영역 근방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9는 도 177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상체의 위치 결정 구멍 및 결합 구멍을 가로지르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단면도,
도 180은 도 177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디스크 유지부 근방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81은 도 180에 도시하는 매립부의 하나를 가로지르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82는 도 180에 도시하는 매립부의 하나를 가로지르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83은 도 177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셔터가 폐쇄하고 있고, 디스크 유지부가 디스크를 유지한 상태에 있는 경우의 디스크 유지부 근방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4는 도 177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유지부를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85는 도 177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유지부를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86은 도 177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카트리지 상체를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87은 도 177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헤드 개구부(11h)의 선단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88은 도 177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카트리지 상체를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89는 셔터 및 카트리지 하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0은 도 177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카트리지 상체 및 회전 부재를 제거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셔터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91은 도 190에 도시하는 구조의 헤드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단면도,
도 192a 내지 도 192c는 도 177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93a 및 도 193b는 도 177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94는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301)에 대하여, 그 전체 구성을 디스크(100)와 함께 비스듬하게 상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인 도 1, 비스듬하게 하방에서 도시하는 도 2, 및 이것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각 부품의 사시도인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디스크(100)는 제 1 및 제 2 면을 구비하고 있고, 도 1에서는 제 1 면이고, 통상 디스크의 라벨 등이 그려져 있는 면이 도시되고 있다. 디스크(100)의 제 2 면인 신호 기록면(100A)은 도 3에 있어서 이면으로서 도시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01)는 카트리지 하체(11), 카트리지 상체(12), 디스크 유지 부재(13, 14) 및 셔터(21)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체(11)는, 외부로부터 디스크(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 등의 처킹 부재가 침입할 수 있도록 개구한 처킹 개구부(11c)와,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에 대하여 신호의 재생 및 기록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헤드가 침입하여 억세스할 수 있도록 개구한 헤드 개구부(11h)를 갖는다. 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한쌍의 카트리지 위치 결정 핀(210)과 끼워맞춤하여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대한 디스크 카트리지(301)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한쌍의 위치 결정 구멍(11w)을 갖는다. 카트리지 하체(11)는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대향한다.
카트리지 상체(12)는 디스크(100)의 출입이 가능하고, 디스크의 상면을 노출하도록 디스크(100)의 전투영(全投影) 영역을 개구하는 원형의 디스크 개구부(12w)를 갖는다. 카트리지 상체(12)와 카트리지 하체(11)는 외연부에서 접착 또는 용착되어 카트리지 본체(10)를 구성하고 있다.
카트리지 하체(11)의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마주 보는 제 1 내측면(11u)과, 카트리지 상체(12)의 디스크 개구부(12w)를 구성하는 대략 원통형의 제 2 내측면(12i)에 의해, 디스크(100)를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10d)(도 1)가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 1 내측면(11u)이 디스크 수납부(10d)의 바닥부로 된다. 카트리지 하체(11)의 제 1 내측면(11u)에는, 디스크(100)로의 손상 또는 신호 기록면(100A)으로의 분진의 침입을 방지하는 보호층(11p)이 설치되어 있다.
보호층(11p)은 손상 방지용 부직포, 방진용 부직포, 손상 방지용 코팅층 및 방진용 코팅층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진용 부직포로 구성되는 시트를 보호층(11p)으로서 점착 또는 초음파 용착시키고 있다.
디스크 수납부(10d)에서, 제 2 내측면(12i)과 디스크(100)와의 사이에는 디스크(100)가 회전 가능한 정도의 공간이 설치된다. 또한, 디스크 수납부(10d)의 상부는 디스크 개구부(12w)로 되어 있고, 디스크 수납부(10d)에 유지된 디스크(100)는 그 한면을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외부로 노출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부재(13)는 한쌍의 탄성부(13d)와, 비스듬히 관통한 구멍부(13w)를 갖고 있고, 디스크 카트리지(301)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디스크 유지 부재(13)를 2개 구비한다. 디스크 유지 부재(13)의 탄성부(13d)가 카트리지 상체(12)와 카트리지 하체(11)에서 끼워짐으로써, 디스크 유지 부재(13)의 선단은 화살표(13B)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의해, 디스크(100)를 제 1 내측면(11u)에 가압하고 있다. 또한 이 한쌍의 디스크 유지 부재(13)는, 각각 한쌍의 위치 결정 구멍(11w)의 바로 위에 구멍부(13w)가 거의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 유지 부재(14)는 회전축(14s)과 탄성부(14d)를 갖는다. 회전축(14s) 주위의 회전 가능하도록 디스크 유지 부재(14)는 카트리지 본체(10)에 고정되고, 탄성부(14d)가 카트리지 상체(12)와 카트리지 하체(11)에서 끼워짐으로써, 디스크 유지 부재(14)의 선단은 화살표(14B)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디스크(100)를 제 1 내측면(11u)에 가압하고 있다.
셔터(21)는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마주 보도록 카트리지 하체(11)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21A 또는 21B) 방향으로 셔터가 이동하여, 처킹 개구부(11c) 및 헤드 개구부(11h)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한다. 셔터 스프링(31)은 셔터(21)와 카트리지 본체(10)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셔터(2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카트리지 하체(11))의 표면에는, 수납되는 디스크(100)에 기입된 내용 등을 기술할 수 있는 라벨면 또는 오목부(10f)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10)의 좌우에 설치한 한쌍의 오목부(10c)는 드라이브 장치가 디스크 카트리지(301)를 인입 로딩할 때의,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301)가 교환기에 수납된 경우의, 인입용 걸림 또는 위치 결정용의 오목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편측에만 설치한 오목부(10g)는 오삽입 방지 형상이고, 디스크 카트리지(301)가 올바른 방향으로 삽입된 경우만 드라이브 장치에 설치한 볼록부와 정상적으로 꼭 맞는다. 한편, 디스크 카트리지(301)를 잘못 상하 또는 전후 반대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삽입한 경우, 서로 간섭하여 정상적으로 삽입할 수 없다. 이로써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크 유지 부재(13 및 14)에 의한 디스크(100)의 유지 동작에 대하여 도 4, 도 5를 이용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1에서 도 3에 도시하는 디스크(100)가 유지된 상태에서의 디스크 유지 부재(13) 및 디스크 유지 부재(14)의 디스크 반경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부재(13 및 14)의 선단에는, 디스크 투영 영역상에서 디스크(100)의 외주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경사한 경사면(13' 및 14')이 설치되어 있다. 탄성부(13d 및 14d)에 의해서 화살표(13B 및 14 B) 방향으로 각각 가압된 디스크 유지 부재(13 및 14)는 경사면(13' 및 14')을 디스크(100)의 외주의 모서리(100c)에 접촉시켜, 디스크(100)를 파지하는 동시에 디스크(100)를 두께 방향(100t)으로 눌러, 시트(11p)에 신호 기록면(100A)을 면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본체(10)에 유지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의 외주 부분은 시트(11p)에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신호 기록면(100A)으로의 분진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디스크 유지 부재(13 및 14)에 의한 디스크(100)의 해방 동작에 대하여 도 6,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카트리지 상체(12)와 디스크(100)를 제거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셔터(21)는 L자 형상부(21s)를 도시하지 않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셔터 개방 기구에 의해서 화살표(21A) 방향으로 눌려지고, 그 결과, 처킹 개구부(11c) 및 헤드 개구부(11h)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하고 있다. 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한쌍의 카트리지 위치 결정 핀(210)이 카트리지 본체(10)의 위치 결정 구멍(11w)과 끼워맞춤하고 있다.
또한,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의 디스크 유지 부재(13)의 디스크 반경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 상태에서의 디스크 유지 부재(14)와 셔터(21)의 관계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디스크 유지 부재(13)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구멍(11w)에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카트리지 위치 결정 핀(210)이 삽입되면, 디스크 유지 부재(13)의 비스듬하게 관통한 구멍부(13w)에 카트리지 위치 결정 핀(210)이 끼워맞춤한다. 이 때문에, 디스크 유지 부재(13)는 13A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고, 디스크(100)는 경사면(13')에 의한 압접으로부터 개방되어 프리의 상태가 된다. 이때, 디스크 유지 부재(13)의 선단의 차양(13e)은 여전히 디스크 투영 영역에 있는 디스크 외주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100)가 수직으로 되도록 구성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디스크 개방 상태가 되었을 때에도, 디스크 카트리지(301)로부터 디스크(10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크 유지 부재(14)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가 개방 상태로 되었을 때, 셔터상에 설치된 가이드 리브(21x)가 디스크 유지 부재(14)의 오목부(14w)에 들어가 오목부(14w)의 천장을 밀어 올린다. 이에 의해, 디스크 유지 부재(14)는 14A 방향으로 올려지고, 디스크(100)는 경사면(14')에 의한 압접으로부터 개방되어 프리의 상태가 된다. 이때, 디스크 유지 부재(14)의 선단의 차양(14e)은 여전히 디스크 투영 영역 위인 디스크 외주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100)가 수직으로 되도록 구성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디스크가 해방 상태가 되었을 때에도, 디스크 카트리지(301)로부터 디스크(10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제적으로 디스크를 취출하려고 하면, 디스크 유지 부재(14)와 한쌍의 디스크 유지 부재(13)의 합해 3개소를 동시에 해제하여 취출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조작자에 의한 안이한 디스크의 제거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의 디스크(100)와 대향하는 쪽의 단부(21r)에 브러시 또는 먼지 불식재를 설치하고, 셔터(21)의 개방 동작에 따라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 상의 먼지를 제거해도 된다. 또한, 디스크를 유지한 상태에서 디스크 유지 부재를 카트리지 본체(10)에 고정 지지하는 로크 기구를 갖고 있어도 좋다.
(제 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302)에 대하여, 디스크(100)를 유지한 상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인 도 9 및 디스크(100)를 개방한 상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인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크 카트리지(302)는 제 1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01)와 디스크 유지 부재가 상이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02)는 화살표(15A 또는 15B)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각각 한쌍의 디스크 유지 부재(15, 16)를 구비한다.
각 디스크 유지 부재(15)는 탄성부(15d)를 갖고, 탄성부(15d)에 의해 화살표(15B) 방향으로 가압되고,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크 유지 부재(13, 14)와 마찬가지로, 선단에 설치한 경사면(15')에 의해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본체(10)에 유지 고정하고 있다.
디스크 유지 부재(16)는 회전축(16c)을 갖고, 회전축(16c)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디스크 유지 부재(16)가 카트리지 본체(10)에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유지 부재(16)도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크 유지 부재(13, 14)와 마찬가지로, 선단에 설치한 경사면(16')에 의해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본체(10)에 유지 고정한다. 디스크 유지 부재(15)는 연결 핀(15p)을 갖고, 디스크 유지 부재(16)에 설치된 홈부(16g)와 연결 핀(15p)이 결합하여 연동한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한쌍의 카트리지 위치 결정 핀(210)이 카트리지 본체(10)의 위치 결정 구멍(11w)과 끼워맞춤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부재(15)는 돌기(15s)가 위치 결정 핀(210)에 눌려지기 때문에 화살표(15A) 방향으로 이동하고, 경사면(15')은 디스크(100)를 해방한다. 또한, 디스크 유지 부재(15)의 이동에 연동하여 디스크 유지 부재(16)는 화살표(16A) 방향으로 회동하고, 경사면(16' )도 디스크(100)를 해방한다.
(제 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303)에 대하여, 디스크(100)를 유지한 상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인 도 11과, 디스크(100)를 개방한 상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인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크 카트리지(303)는 제 1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01)와 디스크 유지 부재가 상이하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03)는 화살표(17B 및 18B) 방향으로 가압된 각각 한쌍의 디스크 유지 부재(17, 18)를 구비한다. 각 디스크 유지 부재(17, 18)는 카트리지 본체(10)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디스크 유지 부재(17)는 탄성부(17d)를 갖고 있고, 탄성부(17d)에 의해 화살표(17B) 방향으로 가압된다. 디스크 유지 부재(17)도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크 유지 부재(13, 14)와 마찬가지로, 선단에 설치된 경사면(17')에 의해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본체(10)에 유지 고정하고 있다.
디스크 유지 부재(18)도 탄성부(18d)를 갖고, 탄성부(18d)에 의해 디스크 유지 부재(18)가 화살표(18B) 방향으로 가압된다. 또한, 선단에 설치된 경사면(18')에 의해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본체(10)에 유지 고정하고 있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303)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200)에 삽입되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200)에 설치된 한쌍의 디스크 해제 핀(217)이 디스크 유지 부재(17)의 돌기(17s)를 누른다. 이에 의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부재(17)는 디스크(100)를 해방한다. 또한, 동시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200)에 설치된 한쌍의 디스크 해제 핀(218)도 디스크 유지 부재(18)의 측면(18s)에 접촉하여, 디스크 유지 부재(18)가 디스크(100)를 해방한다.
(제 4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304)에 대하여, 디스크(100)를 유지한 상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인 도 13과, 디스크(100)를 개방한 상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인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크 카트리지(304)는 제 1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01)와 디스크 유지 부재가 상이하고, 링크형의 디스크 유지 부재(19)를 갖추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부재(19)는 고무 링과 같은 자유롭게 형상을 바꿀 수 있는 링형의 탄성 부재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유지 부재(19)는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 타원형을 갖고 있지만,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여, 거의 아주 동그란 형상을 갖도록 변형시킬 수도 있다. 거의 아주 동그랗게 되도록 디스크 유지 부재(19)를 변형시킨 경우, 그 내경은 디스크(100)의 직경보다도 커지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부재(19)는 타원형상의 복수의 개소에서 디스크(100)와 접하고,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본체(10)에 유지 고정하고 있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304)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200)에 삽입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200)에 설치된 한쌍의 볼록부(219)가 링형의 디스크 유지 부재(19)의 장축측을 누르고, 디스크 유지 부재(19)를 변형시킨다. 이에 의해, 디스크 유지 부재(19)는 거의 아주 동그란 형상을 갖게 되고, 디스크(100)와 디스크 유지 부재(19)의 접촉이 없어진다. 즉, 디스크 유지 부재(19)는 디스크(100)를 해방한다.
디스크(100)의 해방을 행하기 위해, 디스크 유지 부재(19)를 변형시키는 힘은 오삽입 방지용의 오목부(10g)(도 2)에 끼워맞추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볼록부에 의해서 디스크 유지 부재(19)에 가해져도 좋다.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304)의 좌우에 설치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로의 인입용 오목부(10c)(도 2)에 끼워맞추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볼록부에 의해서 디스크 유지 부재(19)에 가해지더라도 좋다.
(제 5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를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7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305)에 있어서, 카트리지 상체를 제거한 남은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셔터(21)가 개구부(11h, 11c)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7은 셔터(21)가 개구부(11h, 11c)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8은 셔터(21)의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에서의 디스크 유지부(43)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특징적인 것은, 디스크 유지 부재(43)의 디스크 유지·해방 동작이, 디스크 유지 연동 부재(44)에 의해서 셔터(21)의 개폐 동작과 연동시켜지고 있다는 점이다.
도 15 및 도 17에 있어서 화살표(4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연동 부재(44)는, 카트리지 하체(11)의 처킹 개구부(11c)의 주위로 회전 미끄럼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 하체(11)의 제 1 내측면(11u)상에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유지 연동 부재(44)는 처킹 개구부(11c)를 내경으로 하는 링의 일부를 절취한 것과 같은 부채형을 이루고 있다.
디스크 유지 연동 부재(44)에는, 카트리지 하체(11)측(도 15 및 도 17에서는 지면의 안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결합 핀(47)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 핀(47)과 결합하는 안내 홈(11m 및 21m)이 카트리지 하체(11) 및 셔터(21)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 유지 연동 부재(44)의 외주에, 외측 및 카트리지 상체측(도 15 및 도 17에서는 지면의 전방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돌기(45)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유지 연동 부재(44)의 상면에는, 디스크(100)에의 손상 또는 신호 기록면으로의 분진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부직포 또는 코팅재가 부여되어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에 디스크를 수납했을 때, 디스크의 외주부를 유지할 수 있 도록, 카트리지 하체(11)의 영역에는 복수의 디스크 유지 부재(43)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7에서는, 디스크 유지 부재(43)는 3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2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수의 디스크 유지 부재(43)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디스크 유지 부재(43)는 각각 회전축(43A)을 축으로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카트리지 하체(11)에 유지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부재(43)는 디스크 유지 연동 부재(44)의 외주 근방상에 그 일부가 중첩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또, 디스크 유지 부재(43)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탄성부(14d)와 같은 기구(도 16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음)에 의해서 카트리지 하체(11)로 향하는 방향(43B)으로 가압되고 있다. 그 결과, 디스크 유지 부재(43)의 경사면(43')은 디스크(100)의 모서리와 접촉하면서 디스크(100)가 디스크 유지 연동 부재(44)에 접하도록 디스크(100)를 43B의 방향으로 가압되는 동시에 디스크(100)를 유지하고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도시하지 않음)를 유지한 디스크 카트리지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200)에 대하여 화살표(1A)의 방향으로 삽입되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200)의 셔터 개폐 레버(도시하지 않음)가 셔터(21)를 21A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개방한다. 셔터(21)가 21A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셔터(21)의 안내 홈(21m)에 삽입되어 있는 디스크 유지 연동 부재(44)의 결합 핀(47)에도 화살표(21A)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그 결과, 결합 핀(47)은 카트리지 하체(11)의 안내 홈(11m)에 따라 이동시켜지고, 이것에 수반하여, 디스크 유지 연동 부재(44)가 화살표(4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처킹 개구부(11c)의 주위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디스크 유지 연동 부재(44)가 셔터(21)에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안내 홈(11m)은 셔터(21)의 대략 이동 방향을 따라서 신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21)가 완전히 개방 상태로 되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연동 부재(44)의 외주에 설치된 복수의 돌기(45)가 디스크 유지 부재(43)의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45)에 의해서 디스크 유지 부재(43)는 상측으로 끌어 올려지고, 디스크 유지 부재(43)의 경사면(43')이 디스크(100) 외주의 모서리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의해, 디스크(100)를 디스크면에 수직 방향으로 누르는 힘(43B)을 해방하고, 디스크(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개방된다. 이때, 디스크 유지 부재(43)의 선단에 있는 차양(43e)은 디스크(100)의 투영 영역 위인 디스크(100)의 외주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100)를 수직으로 유지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도, 디스크가 해방 상태로 되었을 때에 디스크가 카트리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05)에 의하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200)에 디스크 카트리지를 삽입하지 않더라도 디스크를 해방 상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으로 셔터(21)를 개방하면, 셔터(21)의 동작에 연동하여 디스크 유지 부재(43)가 디스크(100)를 개방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서, 예를 들면 디스크를 카트리지로부터 취출, 다른 디스크를 카트리지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6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306)에 있어서 카트리지 상체를 제거하고 남은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9는 셔터가 헤드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0은 셔터가 헤드 개구부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 및 도 20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 및 제 5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특징적인 것은, 제 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디스크 유지 연동 부재가 셔터를 겸하고 있는 점에 있다. 도 19 및 도 20에 있어서 화살표(4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46)는 카트리지 하체(11)의 처킹 개구부(11c)의 주위로 회전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 하체(11)의 제 1 내측면(11u)상에 설치되어 있다. 셔터(46)는 처킹 개구부(11c)를 내경으로 하는 링의 일부를 절취한 것과 같은 부채형을 하고 있다.
셔터(46)에는, 카트리지 하체(11)측(도 19 및 도 20으로서는 지면의 안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결합 핀(46p)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 핀(46p)과 결합하는 안내 홈(11m)이 카트리지 하체(11)에 설치되어 있다. 결합 핀(46p)이 안내 홈(11m)의 일단에 위치할 때, 셔터(46)에 의해, 헤드 개구부(11h)는 막히고, 안내 홈(11m)의 타단에 결합 핀(46p)이 있을 때, 헤드 개구부(11h)는 개방된다. 안내 홈(11m)은 척 개구부(11c)와 동심원으로 되는 원호의 일부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로의 삽입 동작에 수반하여, 셔터(46)가 개방되도록, 안내 홈(11m)은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1A)에 대하여 대략 따라서 신장하고 있는 쪽이 바람직하다.
셔터(46)의 외주에는, 외주 방향 및 카트리지 상체(12)측(도 19 및 도 20에서는 지면의 전방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돌기(46c)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46)의 상면에는 디스크(100)로의 손상 방지 또는 신호 기록면으로 먼지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직포 또는 코팅재가 부여되어 있다.
카트리지 하체(11)의 영역에는, 실시 형태 5의 디스크 유지 부재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디스크 유지 부재(43)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유지 부재(43) 및 셔터(46)에 설치된 돌기(46c)는 실시 형태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셔터(46)의 동작에 연동하여 디스크를 유지 또는 개방한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200)에 도 19의 화살표(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되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200)에 설치된 접촉 부재(201)에 셔터(46)의 결합 핀(46p)이 접촉한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200)내로 삽입하면, 접촉 부재(201)에 의해서, 결합 핀(46p)이 안내 홈(11m)에 따라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셔터(46)는 화살표(4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체(11)의 처킹 개구부(11c)의 주위를 회전하기 시작하고, 회전에 수반하여 헤드 개구부(11h)가 개방해 온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200)로 완전하게 삽입되면, 결합 핀(46p)이 안내 홈(11m)의 타단에 이르고, 헤드 개구부(11h)는 완전히 개방된다. 이때, 실시 형태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기(46c)가 디스크 유지 부재(43)의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되고, 돌기(46c)에 의해서 디스크 유지부가 카트리지 상체측(도 20에 있어서 지면 전방)으로 올려진다. 이것에 의해서, 디스크 유지 부재(43)에 의해 유지되고 있던 디스크(100)는 해방되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디스크 유지 연동 부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실시 형태 5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비해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결합 핀(46p)을 안내 홈(11m)에 따라, 손 등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셔터(46)를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는 동시에 디스크 유지 부재를 해방 상태로 하여 디스크를 취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셔터(46)는 카트리지 상체측에서 보아 시계 주위로 회전하지만, 안내 홈(11m)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셔터(46)를 시계 반대 주위로 회전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7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 7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307)에 있어서 카트리지 상체를 제거하고 남은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1은 셔터가 헤드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2는 셔터가 헤드 개구부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 및 도 22에 있어서 제 3 실시 형태 및 제 6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에서는, 제 6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와 디스크 유지 부재의 구조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복수의 디스크 유지 부재(17)를 갖추고 있다. 디스크 유지 부재(17)는 실시 형태 3에서 설명한 디스크 유지 부재와 마찬가지로, 탄성부(17d)를 갖고 있고, 셔터(46)가 폐쇄하고 있을 때에는, 탄성부(17d)의 탄성력에 의해서, 디스크(100)를 디스크의 중심 방향(17R)으로 눌러 붙도록 디스크를 유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 부재(17)는 카트리지 하체(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있지만, 카트리지 하체(11)와 별개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디스크 유지 부재(17)의 디스크 반경 방향의 단면 형상은, 도 18에 도시되는 디스크 유지 부재(43)와 마찬가지로, 디스크 투영 영역인 디스크 외주 상측으로 연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경사면에 디스크의 모서리가 접촉하도록 디스크 유지 부재(17)가 디스크를 유지함으로써, 디스크는 셔터(46)에 가압된다.
셔터(46)는 그 외주부에 복수의 돌기(46c)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돌기(46c)는 그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셔터(46)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돌기(46c)가 디스크 유지 부재(17)의 탄성부(17d)에 접촉하는 위치에 돌기(46c)는 셔터(46)의 외주부에 설치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46)가 개방 상태가 되면, 돌기(46c)가 탄성부(17d)를 그 탄성력에 저항하여 디스크(100)의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17s)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디스크(100)가 해방된다. 그러나, 디스크 유지 부재(17)의 선단에는 차양(17e)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디스크(100)가 해방되는 상태로 되어도, 차양(17e)은 디스크의 투영 영역으로 밀어내고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100)가 수직으로 유지되도록 디스크 카트리지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200)에 삽입되더라도,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탈락하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의하면, 실시 형태 6에서 설명한 특징 외에, 디스크 유지 부재(17)를 카트리지 하체(11)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디스크 카트리지에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또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제 8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8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308)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디스크 카트리지(308)의 대략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또,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되는 디스크(100)는 제 1 및 제 2 면을 구비하고 있고, 도 23에서는 제 1 면이고, 통상 디스크의 라벨 등이 그려져 있는 면이 도시되고 있다. 디스크(100)의 제 2 면인 신호 기록면(100A)은 도 24에 있어서 이면으로서 도시되고 있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08)는 카트리지 하체(11), 카트리지 상체(12), 한쌍의 셔터(21, 22) 및 탈락 방지 부재(23)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하체(11)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디스크(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 등의 처킹 부재가 침입할 수 있도록 개구한 처킹 개구부(11c)와,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에 대하여 신호의 재생 및 기록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헤드가 침입하여, 억세스할 수 있도록 개구한 헤드 개구부(11h)를 갖는다. 카트리지 하체(11)는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대향한다. 또한, 헤드 개구부(11h)는 카트리지 하체(11)의 측면에 도달하고 있다.
카트리지 상체(12)는 디스크(100)의 출납이 가능하고, 디스크의 상면을 노출하도록 디스크(100)의 전투영 영역을 개구하는 원형의 디스크 개구부(12w)를 갖는다. 카트리지 상체(12)와 카트리지 하체(11)는 외연부에서 접착 또는 용착되어 카트리지 본체(10)를 구성하고 있다.
카트리지 하체(11)의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마주보는 제 1 내측면(11u)과, 카트리지 상체(12)의 디스크 개구부(12w)를 구성하는 거의 원통형의 제 2 내측면(12i)에 의해, 디스크(100)를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10d)가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 1 내측면(11u)아 디스크 수납부(10d)의 바닥부로 된다.
디스크 수납부(10d)에서, 제 2 내측면(12i)과 디스크(100) 사이에는 디스크(100)가 회전 가능한 정도의 공간이 설치된다. 또한, 디스크 수납부(10d)의 상부는 디스크 개구부(12w)로 되어 있고, 디스크 수납부(10d)에 유지된 디스크(100)는 그 한면을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외부로 노출한다.
탈락 방지 부재(23)는, 그 일부가 디스크 개구부(12w)로 돌출하도록 카트리지 상체(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로서는 탈락 방지 부재(23)는 2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카트리지 상체(12)에는, 카트리지 상체(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돌출하고 있는 탈락 방지부(12s)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탈락 방지 부재(23) 및 탈락 방지부(12s)는, 디스크 개구부(12w)의 원주상에 있어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디스크(10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디스크 카트리지를 드라이브 장치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탈락 방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셔터(21 및 22)는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디스크 수납부(10d)의 내측면(11u)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셔터(21 및 22)는 회전 이동 구멍(21u 및 22u)을 각각 갖고 있고, 카트리지 본체(10)의 디스크 수납부(10d) 이외의 영역이고, 또한 헤드 개구부(11h)와 반대측에 설치된 한쌍의 회전축(11s)에 회전 이동 구멍(21u, 22u)이 회동 자유롭게 끼워 맞춰지고 있다. 이 때문에, 처킹 개구부(11c) 및 헤드 개구부(11h)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셔터(21 및 22)는 회전축(11s)을 중심으로 이동한다.
셔터(21 및 22)의 회전 이동 구멍(21u 및 22u) 근방에는 각각 캠(21c) 및 플로워(22c)가 설치되어 있다. 캠(21c) 및 플로워(22c)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을 갖고 있고, 셔터(21 및 22)를 서로 연동하면서 개폐시키는 연동 기구(20c)를 구성하고 있다.
셔터(21 및 22)의 디스크 신호 기록면(100A)과 마주 보는 면에는 디스크(100)로의 손상, 또는 신호 기록면(100A)으로의 먼지 침입을 방지하는 보호층(21p, 22p)이 설치되어 있다.
보호층(21p 및 22p)은 손상 방지용 부직포, 방진용 부직포, 손상 방지용 코팅층, 및 방진용 코팅층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진용 부직포로 구성되는 시트를 보호층(21p, 22p)으로서 점착 또는 초음파 용착시키고 있다.
셔터(21 및 22)는, 디스크 수납부(10d) 이외의 영역에 각각 설치된 셔터 스프링(31 및 32)에 의해서, 셔터(21 및 22)가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스프링 이외의 다른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셔터(21 및 22)가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해도 된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08)는 셔터(21 및 22)의 단부에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를 갖추고 있다.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는, 셔터(21 및 22)가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100)의 외주를 유지하도록, 셔터(21 및 22)의 단부에서 역테이퍼형의 경사면을 갖고 있다.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의 구조 및 그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카트리지 상체(12))의 상면에는, 수납되는 디스크(100)에 기입된 내용 등을 기술할 수 있는 라벨면(10f)이나 디스크 카트리지(308)의 드라이브 장치로의 삽입 방향(화살표(1A))을 도시하는 화살표 모양의 각인 또는 오목부(10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10)의 삽입 방향(1A)과 평행한 한쌍의 측면에 각각 설치한 오목부(10c)는, 드라이브 장치가 디스크 카트리지(308)를 로딩할 때의,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308)가 교환기에 수납된 경우의 인입용의 걸림 또는 위치 결정용의 함몰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25는 카트리지 상체(12)와 디스크(100)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셔터(21, 22)가 처킹 개구부(11c) 및 헤드 개구부(11h)를 외부에 대하여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에 있어서, 셔터(21, 22)에 설치된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는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100)의 외주를 잡도록 위치하고 있다.
도 26은 카트리지 상체(12)와 디스크(100)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셔터(21, 22)가 처킹 개구부(11c) 및 헤드 개구부(11h)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셔터(21, 22)가 회전 이동 구멍(21u, 22u)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처킹 개구부(11c) 및 헤드 개구부(11h)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하고 있다. 또, 셔터(21, 22)의 이동에 수반하여,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도 회전 이동 구멍(21u, 22u)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도시하지 않는 디스크(100)의 외주에서 떨어진 상태가 된다.
도 27은 디스크(100)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셔터(21, 22)가 처킹 개구부(11c) 및 헤드 개구부(11h)를 외부에 대하여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는 디스크 수납부(10d)로 돌출한 상태에 있고,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100)를 유지한다. 한편, 도 28은 디스크(100)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셔터(21, 22)가 처킹 개구부(11c) 및 헤드 개구부(11h)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 22)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는 카트리지 본체의 디스크 유지부(10d) 이외의 영역에 수납된다.
이어서, 셔터(21, 22)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29, 도 30 및 도 31을 이용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9는 디스크(100)의 중심을 지나는 단면도이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에 있어서의 디스크 수납부(10d)의 제 2 내측면(12i)에는, 개폐 동작을 하는 셔터(22(21))와 간섭하지 않도록 절결부(10w)를 설치하고, 또한 개방 상태일 때의 셔터(22(21))의 일부를 수납하는 셔터 수납부(10s)가 카트리지 본체(10) 내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셔터 폐쇄시에 셔터(21 및 22)의 맞닿는 가장자리부중, 적어도 헤드 개구부(11h)와 처킹 개구부(11c)의 위에서 맞대여지는 에지부(21f 및 22f)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의 두께 방향에 중첩하고 있다.
한편,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는 디스크 투영 영역 위이고, 디스크(100)의 외주상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진 경사면(21a'(21b', 22a', 22b'))을 갖는 형상을 갖추고 있다. 즉, 경사면(21a')은 역테이퍼형을 하고 있고, 디스크(100)를 향하여 경사지고 있다. 셔터(21 및 22)가 처킹 개구부(11c)와 헤드 개구부(11h)를 폐쇄할 때는, 경사면(21a')을 디스크(100)의 모서리(100c)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디스크(100)를 파지하는 동시에 디스크(100)를 두께 방향(100t)으로 눌러, 셔터(21 및 22)의 시트(21p 및 22p)에 신호 기록면(100A)을 면접촉시키고,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본체(10)에 유지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은 시트(21p 및 22p)에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신호 기록면(100A)으로의 먼지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노출한 디스크(100)의 한면을 강제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또는 셔터(21 및 22)를 강제적으로 개폐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에 부착한 먼지나 지문 등의 오물을 깨끗하게 없앨 수 있다.
또한,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에는 외부로부터 셔터를 개폐시키기 위한 셔터 개폐 조작부(21t) 및 탄성부(21v)와 이것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로크 돌기부(21k)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셔터(21)가 처킹 개구부(11c) 및 헤드 개구부(11h)를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21v)에 의해 가압된 로크 돌기부(21k)가 카트리지 본체(10)에 형성된 로크 구멍(10k)에 끼워맞추고, 셔터(21)를 회전 이동하지 않도록 카트리지 본체(10)에 고정 지지한다. 셔터(21)가 고정되면, 연동 기구(20c)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셔터(22)도 고정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돌기물 등에 의해 로크 돌기부(21k)를 화살표(20A) 방향으로 눌러 로크 구멍(10k)과의 끼워맞춤을 제거하면서 동시에 개폐 조작부(21t)를 화살표(20B) 방향으로 누르는 것만으로, 셔터(21 및 22)를 회전 이동시켜 처킹 개구부(11c)와 헤드 개구부(11h)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하고, 동시에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에 의한 디스크(100)의 유지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자에 의한 안일한 디스크의 제거를 방지할 수 있다.
탈락 방지 부재(23)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도 24 및 도 32를 이용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2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탈락 방지 부재(23)를 상하 반대로 하여 비스듬하게 본 사시도이다. 탈락 방지 부재(23)는, 그 볼록부(23a, 23b, 23c)가 각각 도 24에 도시하는 카트리지 상체(12)의 디스크 개구부(12w) 가까이 설치된 오목부(12a, 12b, 12c)와 끼워맞춰지고,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308)의 드라이브 장치로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기구에 대하여, 도 33을 이용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3은 도 23에 있어서의 디스크 카트리지(308)의 드라이브 장치로의 삽입 방향(화살표(1B))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에는 그 편측면에, 두께 중심에서 어긋난 위치에 오목부(10g)가 형성되어 있고, 드라이브 장치로의 삽입 방향(1A)(도 23)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드라이브 장치에 설치한 볼록부가 오목부(10g)에 끼워 맞춰지는 경우에만, 디스크 카트리지(308)가 드라이브 장치에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고, 드라이브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한편, 잘못하여 상하 반대로 디스크 카트리지(308)를 드라이브 장치에 삽입하려고 한 경우, 드라이브 장치에 설치한 볼록부가 오목부(10g)가 없는 쪽의 측면과 간섭하여, 카트리지(308)를 드라이브 장치에 삽입할 수 없다. 또한, 잘못하여 전후 및 상하의 방향에서 동시에 반대로 삽입한 경우에도, 드라이브 장치에 설치한 볼록부가 오목부(10g)를 설치한 측면의 함몰이 없는 부분에 간섭하여 역시 삽입할 수 없다. 이로써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디스크 카트리지(308)에 대하여,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셔터(21, 22)가 폐쇄 상태시, 탈락 방지 부재(23)가 카트리지 상체(12)의 상면(12f)(도 24)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을 정도로, 카트리지 본체(10)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한다. 그리고, 셔터(21, 22)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는, 셔터(21, 22)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예를 들면 디스크 유지부(21a, 22a)가 탈락 방지 부재(23)의 하방을 통과할 때, 탈락 방지 부재(23)의 볼록부(23a)를 하방에서 누르는 등으로 카트리지 상체(12)의 상면(12f)에서 탈락 방지 부재(23)를 돌출시킨다. 이러한 구조로 하면, 디스크(100)가 디스크 수납부(10d) 내에서 회전할 때에 필요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한 뒤에 디스크 카트리지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탈락 방지 부재(23)는 카트리지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부러트릴 수 있는 구조를 갖고, 탈락 방지 부재(23)를 빼냄 가능하게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셔터 스프링(31, 32)은 셔터(21, 22)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해도 된다. 연동 기구에 의한 셔터끼리의 동작이 확실하면 셔터 스프링(31, 32)중 어느 한쪽만을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로크 돌기부(21k)는 셔터(21)에 형성했었지만, 카트리지 본체(10)에 형성한 로크 레버의 탄성부를 통한 선단에 로크 돌기부 및 볼록부를 설치하여, 이 볼록부와 셔터에 설치한 오목부와의 끼워맞춤을,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한 로크 구멍에서 로크 돌기부를 누르는 것에 의해 제거되어, 셔터를 회전 이동 가능하게 개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이 경우 로크 레버는 셔터 스프링(탄성 부재)과 함께, 카트리지 본체(10)와 일체로 성형되는 수지 스프링으로 형성해도 된다.
(제 9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9 실시 형태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309)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09)는 카트리지 하체(41), 카트리지 상체(42), 탈락 방지 부재(42a, 42b, 42c, 42d) 및 한쌍의 셔터(51 및 52)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하체(41)는,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디스크(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 등의 처킹 부재가 침입할 수 있도록 개구한 처킹 개구부(41c)와,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에 대하여 신호의 재생 및 기록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헤드가 침입하여, 억세스할 수 있도록 개구한 헤드 개구부(41h)를 갖는다. 카트리지 하체(41)는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대향한다. 또한, 헤드 개구부(41h)는 카트리지 하체(41)의 측면에 도달하고 있다.
카트리지 상체(42)는, 디스크(100)의 출납이 가능하고, 디스크의 상면을 노출하도록 디스크(100)의 전투영 영역을 개구하는 원형의 디스크 개구부(42w)를 갖는다. 카트리지 상체(42)와 카트리지 하체(41)는 외연부로 접착 또는 용착되어 카트리지 본체(40)를 구성하고 있다.
카트리지 하체(41)의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마주 보는 제 1 내측면(41u)과, 카트리지 상체(42)의 디스크 개구부(42w)를 구성하는 대략 원통형의 제 2 내측면(42i)에 의해, 디스크(100)를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40d)가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 1 내측면(41u)이 디스크 수납부(40d)의 바닥부로 된다.
디스크 수납부(40d)에 있어서, 제 2 내측면(42i)과 디스크(100) 사이에는 디스크(100)가 회전 가능한 정도의 공간이 설치된다. 또한, 디스크 수납부(40d)의 상부는 디스크 개구부(42w)로 되어 있고, 디스크 수납부(40d)에 유지된 디스크(100)는 그 한면을 디스크 개구부(42w)에서 외부로 노출한다.
탈락 방지 부재(42a, 42b, 42c, 42d)는, 디스크 개구부(42w)로 그 일부가 각각 돌출하도록, 카트리지 상체(42)로부터 슬릿에 의해 분할되어 있고, 카트리지 상체(42)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탈락 방지 부재(42a, 42b, 42c, 42d)는 디스크 개구부(42w)에서 디스크(10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특히, 디스크 카트리지를 드라이브 장치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탈락 방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탈락 방지 부재(42a, 42b, 42c, 42d)는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카트리지 상체(4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셔터(51 및 52)는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디스크 수납부(40d)의 내측면(41u)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셔터(51 및 52)는 회전 이동 구멍(51u 및 52u)을 각각 갖고 있고, 카트리지 본체(40)의 디스크 수납부(40d) 이외의 영역에서, 또한 헤드 개구부(41h)와 반대측에 설치된 한쌍의 회전축(41s)에 회전 이동 구멍(51u, 52u)이 회전 이동 가능하게 각각 끼워맞춰져 있다. 이 때문에, 처킹 개구부(41c) 및 헤드 개구부(41h)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셔터(51 및 52)는 회전축(41s)을 중심으로 이동한다. 셔터(51 및 52)의 회전 이동 구멍(51u 및 52u) 근방에는 각각 캠(51c) 및 플로워(52c)가 설치되어 있다. 캠(51c) 및 플로워(52c)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을 갖추고, 셔터(51 및 52)를 서로 연동하면서 개폐시키는 연동 기구(50c)를 구성하고 있다.
셔터(51 및 52)의 디스크 신호 기록면(100A)과 마주 보는 면에는 디스크(100)로의 손상, 또는 신호 기록면(100A)으로의 먼지 침입을 방지하는 보호층(51p, 52p)이 설치되어 있다.
보호층(51p 및 52p)은 손상 방지용 부직포, 방진용 부직포, 손상 방지용 코팅층, 및 방진용 코팅층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진용 부직포로 구성되는 시트를 보호층(51p, 52p)으로서 점착 또는 초음파 용착시키고 있다.
셔터(51 및 52)는 디스크 수납부(40d) 이외의 영역에 각각 설치된 셔터 스프링(61 및 62)에 의해서, 셔터(51 및 52)가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셔터 스프링(61, 62)은 셔터(51, 52)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해도 된다. 또, 연동 기구에 의한 셔터끼리의 동작이 확실하다면 셔터 스프링(61, 62)중 어느 한쪽만을 설치하더라도 좋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셔터(51 및 52)의 단부에 디스크 유지부(51a, 51b, 52a, 5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51, 52)의 디스크(100)의 센터 홀에 해당하는 영역에 볼록부(51e, 52e)가 설치되어 있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40)(카트리지 상체(42))의 상면에는, 디스크 카트리지(309)의 드라이브 장치에의 삽입 방향(화살표(1A))을 도시하는 화살표 모양의 각인 또는 오목부(40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40)의 삽입 방향(1A)에 대하여 평행인 한쌍의 측면에는 각각 오목부(40c)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40c)는 드라이브 장치가 디스크 카트리지(309)를 로딩할 때, 또는 카트리지(309)가 교환기에 수납된 경우의, 인입용의 걸림방지 또는 위치 결정용의 함몰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오목부(40c)를 카트리지(309)의 일측면에만 설치함으로써, 디스크 카트리지(309)를 드라이브 장치에 삽입 또는 장착할 때의 표리의 오삽입 방지 기구로도 된다. 카트리지 본체(40)의 상면에는 조작자가 카트리지(309)를 갖기 위한 파지부(40e)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파지부(40e)에는 미끄럼 방지용으로서 요철 형상이 실시되고 있다.
도 36은 디스크(100)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 셔터(51, 52)가 처킹 개구부(41c) 및 헤드 개구부(41h)를 외부에 대하여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디스크(100)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셔터(51, 52)가 처킹 개구부(41c) 및 헤드 개구부(41h)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셔터(51, 52)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51 및 52)에 설치된 디스크 유지부(51a, 51b, 52d, 52b)는 제 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디스크 투영 영역 위이고, 디스크(100)의 외주상에 연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형상을 갖추고 있다. 즉, 경사면은 역테이퍼형을 하고 있고, 디스크(100)를 향하여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제 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셔터(52)에는 외부로부터 셔터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 조작부(52t)가 설치되고, 셔터(51)에는 탄성부(51v)와 이것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로크 돌기부(51k)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셔터(51, 52)가 처킹 개구부(41c) 및 헤드 개구부(41h)를 폐쇄된 상태에서는, 탄성부(51v)에 의해 가압된 로크 돌기부(51k)가 카트리지 본체(40)에 형성된 로크 구멍(40k)에 끼워맞추고, 셔터(51)를 회전 이동하지 않도록 카트리지 본체(40)에 고정 지지한다. 셔터(51)가 고정되면, 연동 기구(50c)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셔터(52)도 고정된다.
따라서,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돌기물 등에 의해 로크 돌기부(51k)를 화살표(50A) 방향으로 눌러 로크 구멍(40k)과의 끼워맞춤을 제거하면서, 동시에 개폐 조작부(52t)를 화살표(50B)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셔터(51 및 52)를 회전 이동시켜 처킹 개구부(41c)와 헤드 개구부(41h)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하고 동시에 디스크 유지부(51a, 51b, 52a, 52b)에 의한 디스크(100)의 유지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자에 의한 안일한 디스크의 제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8 실시 형태와는 달리, 셔터(51, 52)에 설치된 로크 돌기부(51k)와 개폐 조작부(52t)가 별개의 셔터(51, 52)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소직경 디스크용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하여 효과를 발휘한다. 왜냐하면, 소직경 디스크용의 디스크 카트리지에서는, 카트리지 전체 및 셔터가 작아지기 때문에, 하나의 셔터에 로크 돌기부와 개폐 조작부를 형성하는 것이 설계상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로크 돌기부와 개폐 조작부를 하나의 셔터에 형성할 수 있다고 해도, 드라이브 장치측에 설치하는 셔터 개폐 기구와 로크 해제 기구의 간격이 대단히 좁게 되거나, 작은 스페이스에 양쪽의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발생하기도 하여, 드라이브 장치의 설계를 곤란하게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한편, 로크 돌기부(51k)는 셔터(51)로 형성하고 있지만, 카트리지 본체(40)에 형성한 로크 레버의 탄성부를 통한 선단에 로크 돌기부 및 볼록부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와 셔터에 설치한 오목부와의 끼워맞춤을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한 로크 구멍에서 로크 돌기부를 누름으로써 제거되고, 셔터를 회전 이동 가능하게 개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이 경우, 로크 레버는 셔터 스프링(탄성 부재)과 마찬가지로, 카트리지 본체(40)와 일체로 성형되는 수지 스프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어서 셔터(51, 52)에 설치된 볼록부(51e, 52e)의 움직임을 설명한다. 도 38은 디스크(100) 중심을 지나는 디스크 중심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51, 52)가 폐쇄 상태에서는, 볼록부(51e, 52e)는 센터 홀(100h) 내로 돌출하고 있고, 디스크(100)는 셔터(51, 52)와 면접촉한 상태에 있다.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51, 52)가 개방 형태로 이행할 때, 볼록부(51e, 52e)는 센터 홀(100h) 내에서 디스크(100)의 하면으로 숨어들어가, 디스크(100)를 들어 올려, 셔터(51, 52)와 디스크(100)와의 면접촉을 해제한다. 이에 의해, 셔터(51, 52)의 개폐 동작시에서, 셔터(51, 52)가 신호 기록면(100A)에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셔터(51, 52)의 개폐 동작에 의한 볼록부(51e, 52e)의 이동 영역은 신호 기록면(100A)의 신호 기록 영역보다도 내주측이기 때문에, 볼록부(51e, 52e)가 신호 기록 영역과 접하는 것은 없고, 신호 기록 영역에 손상을 내는 일은 없다.
다음에, 탈락 방지 부재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도 40 및 도 41을 이용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0은 디스크(100) 중심을 지나는 디스크 외주 부근의 단면도이고, 탈락 방지 부재(42c(42a, 42b, 42d))의 이면에는 볼록부(42c'(42a', 42b', 42d'))가 형성되어 있다.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51, 52)가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탈락 방지 부재(42c)는 디스크(100)와 대략 평행하며, 카트리지(309)의 두께 내에 들어가 있다. 이 상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09)의 외관은 도 36에 도시된다.
셔터(51, 52)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51, 52)에 형성된 경사부(52f, 51f, 51d, 52d)가 각각 볼록부(42a', 42b', 42c', 42d')와 접촉하고, 탈락 방지 부재(42a, 42b, 42c, 42d)를 디스크(100)의 상측으로 끌어올린다. 이 상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09)의 외관은 도 37에 도시된다. 이 구조에 의해, 특히 디스크 카트리지(309)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수직으로 삽입되고 나서 디스크(100)가 처킹될 때까지,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09)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크(100)가 처킹될 때에는, 디스크(100)가 동작할 수 있는 공간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에 의해서, 카트리지 본체를 더욱 얇게 할 수 있다.
또, 셔터(51, 52)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 개방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경사부(51c(52f, 51f, 52d))에 볼록부(42a'(42b', 42c', 42d'))를 결합하기 위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제 10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0 실시 형태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31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0)의 주요한 특징은 탈락 방지 부재가 셔터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도 42 및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10)는 카트리지 하체(71), 카트리지 상체(72), 탈락 방지 부재(81d, 81f, 82d) 및 한쌍의 셔터(81 및 82)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하체(71)는,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디스크(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 등의 처킹 부재가 침입할 수 있도록 개구한 처킹 개구부(71c)와,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에 대하여 신호의 재생 및 기록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헤드가 침입하여, 억세스할 수 있도록 개구한 헤드 개구부(71h)를 갖는다. 카트리지 하체(71)는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대향한다. 또한, 헤드 개구부(71h)는 카트리지 하체(71)의 측면에 도달하고 있다.
카트리지 상체(72)는, 디스크(100)의 출납이 가능하고, 디스크의 상면을 노출하도록 디스크(100)의 전투영 영역을 개구하는 원형의 디스크 개구부(72w)를 갖는다. 카트리지 상체(72)와 카트리지 하체(71)는 외연부에서 접착 또는 용착되어 카트리지 본체(70)를 구성하고 있다.
카트리지 하체(71)의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마주 보는 제 1 내측면(71u)과, 카트리지 상체(72)의 디스크 개구부(72w)를 구성하는 대략 원통형의 제 2 내측면(72i)에 의해 디스크(100)를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70d)가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 1 내측면(71u)이 디스크 수납부(70d)의 바닥부로 된다.
디스크 수납부(70d)에서, 제 2 내측면(72i)과 디스크(100) 사이에는 디스크(100)가 회전 가능한 정도의 공간이 설치된다. 또한, 디스크 수납부(70d)의 상부는 디스크 개구부(72w)로 되어 있고, 디스크 수납부(70d)에 유지된 디스크(100)는 그 한면을 디스크 개구부(72w)에서 외부로 노출한다.
셔터(81 및 82)는,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디스크 수납부(70d)의 내측면(71u)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셔터(81 및 82)는 회전 이동 구멍(81u 및 82u)을 각각 갖고 있고, 카트리지 본체(70)의 디스크 수납부(70d) 이외의 영역이고, 또한 헤드 개구부(71h)와 반대측에 설치된 한쌍의 회전축(71s)에 회전 이동 구멍(81u, 82u)이 회전 이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처킹 개구부(71c) 및 헤드 개구부(71h)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셔터(81 및 82)는 회전축(71s)을 중심으로 이동한다.
셔터(81 및 82)의 회전 이동 구멍(81u 및 82u) 근방에는 각각 캠(81c) 및 플로워(82c)가 설치되어 있다. 캠(81c) 및 플로워(82c)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을 갖고, 셔터(81 및 82)를 서로 연동하면서 개폐시키는 연동 기구(80c)를 구성하고 있다.
셔터(81 및 82)의 디스크 신호 기록면(100A)과 마주 보는 면에는 디스크(100)에의 손상, 또는 신호 기록면(100A)에의 분진의 침입을 방지하는 보호층(81p, 82p)이 설치되어 있다.
보호층(81p 및 82p)은 손상 방지용 부직포, 방진용 부직포, 손상 방지용 코팅층, 및 방진용 코팅층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진용 부직포로 구성되는 시트를 보호층(81p, 82p)으로서 점착 또는 초음파 용착시키고 있다.
셔터(81 및 82)는 디스크 수납부(70d) 이외의 영역에 각각 설치된 셔터 스프링(91 및 92)에 의해서, 셔터(81 및 82)가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셔터 스프링(91, 92)은 셔터(81, 82)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해도 된다. 또, 연동 기구에 의한 셔터끼리의 동작이 확실하면 셔터 스프링(91, 92)중 어느 한쪽만을 설치하더라도 좋다.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셔터(81 및 82)의 단부에 디스크 유지부(81a, 81b, 82a, 82b)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81e, 82e)도 마찬가지로 셔터(81, 82)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81f, 81d, 82d)가 셔터(81, 82)의 디스크 유지부(81a, 81b, 82b) 근방에 각각 셔터(81, 8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탈락 방지 부재(81f, 81d, 82d)는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셔터(81, 8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70)(카트리지 상체(72))의 상면에는, 디스크 카트리지(310)의 드라이브 장치에의 삽입 방향(화살표(1A))을 도시하는 화살표 모양의 각인 또는 오목부(70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70)의 삽입 방향(1A)에 대하여 평행인 한쌍의 측면에는 각각 오목부(70c)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70c)는 드라이브 장치가 디스크 카트리지(310)를 로딩할 때의,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310)가 교환기에 수납된 경우의, 인입용의 걸림 또는 위치 결정 용의 함몰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오목부(70c)를 카트리지(3101) 측면에만 설치함으로써, 디스크 카트리지(310)를 드라이브 장치에 삽입 또는 장착할 때의 표리의 오삽입 방지 기구로도 된다. 카트리지 본체(70)의 상면에는 조작자가 카트리지(310)를 갖기 위한 파지부(70e)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파지부(70e)에는 미끄럼 방지용으로서 요철 형상이 실시되고 있다.
도 44는 디스크(100)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셔터(81, 82)가 처킹 개구부(71c) 및 헤드 개구부(71h)를 외부에 대하여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5는 디스크(100)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셔터(81, 82)가 처킹 개구부(71c) 및 헤드 개구부(71h)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셔터(81, 82)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2 및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81 및 82)에 설치된 디스크 유지부(81a, 81b, 82a, 82b)는 제 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디스크 투영 영역 위이고, 디스크(100)의 외주상에 연장하도록 경사한 경사면을 갖는 형상을 갖추고 있다. 결국, 경사면은 역테이퍼형을 하고 있고, 디스크(100)를 향하여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제 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셔터(82)에는, 외부로부터 셔터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 조작부(82t) 및 탄성부(82v)와, 이것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로크 돌기부(82k)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셔터(81, 82)가 처킹 개구부(71c) 및 헤드 개구부(71h)를 폐쇄된 상태에서는, 탄성부(82v)에 의해 가압된 로크 돌기부(82k)가, 카트리지 본체(70)에 형성된 로크 구멍(70k)(도 44)에 끼워맞춰져, 셔터(82)를 회전 이동하지 않도록 카트리지 본체(70)에 고정 지지한다. 셔터(82)가 고정되면, 연동 기구(80c)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셔터(81)도 고정된다.
따라서,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돌기물 등에 의해 로크 돌기부(82k)를 화살표(70A) 방향에 눌러 로크 구멍(70k)과의 끼워맞춤을 분리하면서, 개폐 조작부(82t)를 화살표(70B) 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서만, 셔터(81 및 82)를 회전 이동시켜 처킹 개구부(71c)와 헤드 개구부(71h)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하고 동시에 디스크 유지부(81a, 81b, 82a, 82b)에 의한 디스크(100)의 유지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자에 의한 안일한 디스크의 제거를 방지가능하다.
또, 로크 돌기부(82k)는 셔터(82)에 형성했었지만, 카트리지 본체(70)에 형성한 로크 레버의 탄성부를 통한 선단에 로크 돌기부 및 볼록부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와 셔터에 설치한 오목부와의 끼워맞춤을,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한 로크 구멍에서 로크 돌기부를 누르는 것에 의해 분리시켜, 셔터를 회전 이동 가능하게 개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경우, 로킹 레버는 셔터 스프링(탄성 부재)과 마찬가지로, 카트리지 본체(70)와 일체로 성형되는 수지 스프링으로 형성해도 된다.
다음에, 탈락 방지 부재(81f, 81d, 82d)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셔터(81, 82)가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탈락 방지 부재(81f, 81d, 82d)는 도 46 및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와 대략 평행이며, 디스크 카트리지(310)의 상면보다 탈락 방지 부재(81f, 81d, 82d)가 돌출하는 일은 없다. 이 상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0)의 외관은 도 44에 도시된다.
도 47 및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81, 82)가 개방 상태로 이행할 때, 탈락 방지 부재(81f, 81d, 82d)는 각각 카트리지(70)의 내측벽부에 설치된 슬릿(70s) 및 내측 상벽에 설치된 경사부(72s)에 안내되어, 디스크(100)의 상측으로 끌어 올려진다. 또한, 카트리지 상체(72)에는 탈락 방지 부재(81f, 81d, 82d)가 끌어 올려졌을 때, 카트리지 상체(72)와 간섭하지 않도록, 절취부(72a, 72b, 72c)가 카트리지 상체(72)에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0)의 외관은 도 45에 도시된다.
또한, 셔터(81, 82)가 폐쇄된 상태에서, 탈락 방지 부재(81f, 81d, 82d)는 디스크(100)의 투영 영역에서 또한 디스크(100)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디스크(100)를 두께 방향에서 셔터(81, 82)에 가압하고, 디스크(100)를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것에 의해서 셔터(81, 82)의 디스크 유지부(81a, 81b, 82a, 82b)를 없애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조에 의해서, 특히 디스크 카트리지(310)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수직으로 삽입되고 나서 디스크(100)가 처킹될 때까지의 사이,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10)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크(100)가 처킹될 때에는 디스크(100)가 동작할 수 있는 공간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에 의해서, 카트리지 본체를 더욱 얇게 할 수 있다.
(제 1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311)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0 및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11)는 카트리지 하체(11), 카트리지 상체(12), 한쌍의 셔터(21, 22) 및 탈락 방지 부재(23)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 요소의 구조나 기능은 도 52 내지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8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0 및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1)는 셔터(21, 22)에 구멍(20h)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 8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08)와는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 카트리지(311)의 셔터(21, 22)가 폐쇄된 상태에서, 셔터(21, 22)의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구멍(20h)이 설치되어 있다. 구멍(20h)은 셔터(21 및 22)에 각각 설치된 절결부(21h 및 22h)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 구조에 따르면, 디스크 카트리지(311)를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의 상면을 상향 방치한 경우, 센터 홀(100h)에서 진입으로 하는 먼지는, 셔터(21, 22)에 설치된 구멍(20h)을 통과하여, 디스크 카트리지(311)에 멈추는 일이 없이 외부로 나가 버린다. 즉, 먼지가 셔터(21, 22)에 퇴적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셔터(21, 22)가 개방한 상태, 즉 드라이브 장착 상태에서, 먼지가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측(100A)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멍(20h)은 디스크 카트리지(311)가 표면 방향(도 50에 도시되는 상태)에도 배면 방향(카트리지 하체(11)가 위에 오는 상태)에도 방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센터 홀(100h)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311)가 표면 방향에 방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셔터(21, 22)에 먼지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크 카트리지(311)가 배면 방향에 방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측(100A)에 직접 먼지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디스크 카트리지(311)에 있어서, 셔터(21, 22)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조작부는 셔터(22)에 설치되어 있고, 제 8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08)와는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51 및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조작부(22t) 및 탄성부(22v)와 이것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로크 돌기부(22k)가 셔터(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8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고, 디스크(100)측에서 보면 개폐 조작부(22t)는 헤드 개구부(21h)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개폐 조작부(22t)의 기능이나 동작은 제 8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08)와 동일하다
(제 1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312)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디스크 카트리지(312)는 디스크 수납부(10d)의 내측 측면(12i)에 플랜지(12t)를 갖는 점 및 셔터(21, 22)의 구멍(20h)의 주위에 볼록부(20w)를 갖는 점에서 제 11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1)와는 상이하다. 이하에, 이것들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12t)는 카트리지 상체(12)의 내측 측면(12i)에서 디스크(100)의 내주 방향에 연장되어 있고, 디스크 수납부(10d)의 외주부의 거의 전역에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100)가 디스크 수납부(10d)에 수납되었을 때의 디스크 카트리지(312)의 단면은 도 59에 도시되고 있다. 셔터(21 및 22)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의 외주부는 플랜지(12t)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디스크(100)의 외주부와 카트리지 본체와의 간극이 막혀, 신호 기록면(100A)측으로 먼지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 본체(10)의 플랜지(12t)와 카트리지 하체(11)와의 사이에는, 공극(10w)을 설치하고 있고, 셔터(21, 22)가 개방될 때, 도 60 및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극(10w)에 셔터(21, 22)의 일부가 들어가, 카트리지 본체(10)와 셔터(21, 22)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 22)가 닫혀 있을 때, 디스크(100)와 셔터(21, 22)와의 사이에 외부에 통하는 간극(10z)이 발생한다. 이 간극(10z)을 막기 위해서 디스크 센터 홀(100h) 근방에 볼록부(21w 및 22w)를 셔터(21 및 22)에 설치하고 있다.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 22)가 폐쇄한 상태에서는, 볼록부(21w, 22w)는 밀착하고, 디스크 센터 홀(100h) 근방의 전체 둘레를 막는 볼록부(20w)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 센터 홀(100h) 근방에서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측에의 먼지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볼록부(21w, 22w)의 선단은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볼록부(21w, 22w)의 능선을 둥글게 하여, 디스크에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부(21w, 22w)는 셔터(21, 22)와 각각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볼록부(20w)의 디스크(100)와 접촉하는 부분에 디스크에의 손상 방지용의 부직포를 점착 또는 초음파 용착하거나, 손상 방지용의 코팅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부(21w, 22w) 자체를 디스크에의 손상 방지용의 부직포 또는 손상 방지용의 코팅으로 형성하여, 셔터(21 및 22)상에 직접, 초음파 용착하거나, 또는 고착할 수 있다.
또한, 도 59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셔터(21 및 22)가 폐쇄 상태에서는, 디스크(100)는 볼록부(20w)와 플랜지(12t)에 의해, 셔터(21 및 22)로부터 공극(10z)만 남긴 상태에서 셔터(21 및 22)에 유지되어 있다. 즉,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의 대부분은 셔터(21 및 22)에는 면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셔터(21 및 22)에 손상 방지용 부직포의 접착 등의 처리가 실시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신호 기록면(106A)에 손상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도 62 및 도 63은 디스크(100)의 외주 방향에 확대된 볼록부(21w' 및 22w')를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하고 있고, 도 62는 셔터(21, 22)가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63은 셔터(21, 22)가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2 및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21w' 및 22w')는 셔터(21, 22)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 수납부(10d)에 설치된 플랜지(12t)보다도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볼록부(21w' 및 22w')와 플랜지(12t)가 접촉하거나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볼록부(21w' 및 22w')는 셔터(21 및 22)와 각각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볼록부(21w' 및 22w')의 디스크(100)와 접촉하는 부분에 디스크에의 손상 방지용의 부직포를 점착 또는 초음파 용착하거나, 손상 방지용의 코팅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부(21w' 및 22w') 자체를 디스크에의 손상 방지용의 부직포 또는 손상 방지용의 코팅으로 형성하고, 셔터(21 및 22)상에 직접, 초음파 용착하거나 또는 고착해도 된다.
(제 13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3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313)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64 및 도 65를 참조하여,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대략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또, 제 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64 및 도 65에 도시되는 디스크(100)는 제 1 및 제 2 면을 갖추고 있고, 도 64에서는, 제 1 면이며, 통상 디스크의 라벨 등이 그려지고 있는 면이 도시되고 있다. 디스크(100)의 제 2 면인 신호 기록면(100A)은 도 65에 있어서 이면으로서 도시되고 있다.
도 64 및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13)는 카트리지 하체(11), 카트리지 상체(12), 한쌍의 셔터(21, 22) 및 탈락 방지 부재(23)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하체(11)는,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디스크(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 등의 처킹 부재가 침입할 수 있도록 개구한 처킹 개구부(11c)와,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에 대하여 신호의 재생 및 기록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헤드가 침입하여, 억세스할 수 있도록 개구한 헤드 개구부(11h)를 갖는다. 카트리지 하체(11)는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대향한다. 또한 카트리지 하체(11)는 합성 수지를 성형하고 형성되어 있다.
헤드 개구부(11)는 카트리지 하체(11)의 측면에까지 도달하고 있고, 헤드 개구부(11h)에 의해 카트리지 하체(11)의 강성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헤드 개구부(11h)를 연결하는 교량부(11b)를 카트리지 하체(11)는 갖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 하체(11)의 이면에는, 드라이브 장치측의 카트리지 위치 결정 핀을 삽입하기 위한 위치 결정 구멍(11w)을 2개소 설치하고 있다.
카트리지 상체(12)는 디스크(100)의 출납이 가능하고, 디스크의 상면을 노출하도록 디스크(100)의 전투영 영역을 개구하는 원형의 디스크 개구부(12w)를 갖는다. 카트리지 상체(12)와 카트리지 하체(11)는 외연부에 접착 또는 용착되고 카트리지 본체(10)를 구성하고 있다. 카트리지 상체(12)도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하체(11)의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마주 보는 제 1 내측면(11u)과, 카트리지 상체(12)의 디스크 개구부(12w)를 구성하는 대략 원통형의 제 2 내측면(12i)에 의해, 디스크(100)를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10d)가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 1 내측면(11u)이 디스크 수납부(10d)의 바닥부로 된다.
디스크 수납부(10d)에서, 제 2 내측면(12i)과 디스크(100)와의 사이에는 디스크(100)가 회전 가능한 정도의 공간이 설치된다. 또한, 디스크 수납부(10d)의 상부는 디스크 개구부(12w)로 되어 있고, 디스크 수납부(10d)에 유지된 디스크(100)는 그 한면을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외부로 노출한다.
탈락 방지 부재(23)는, 그 일부가 디스크 개구부(12w)에 돌출하도록 카트리지 상체(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64 및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로서는 탈락 방지 부재(23)는 2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카트리지 상체(12)에는, 카트리지 상체(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돌출하고 있는 탈락 방지부(12s)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탈락 방지 부재(23) 및 탈락 방지부(12s)는, 디스크 개구부(12w)의 원주상에 있어,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디스크(10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탈락 방지부(12s)의 일부에 볼록 형상의 디스크 접촉부(12s')를 2개소 설치하고 있다. 이 디스크 접촉부(12s')의 높이는 디스크(100)로부터 본 경우, 탈락 방지 부재(23)의 디스크 접촉부(23a)와 동일한 높이이다.
이 구조에 의해서,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수직 또는 배면 방향의 상태에서 사용되더라도, 디스크(100)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313)를 수직 또는 배면 방향의 상태에서 드라이브 장치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탈락 방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 탈락 방지 부재(23)는 착탈 가능하게 카트리지 본체(10)에 부착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디스크(100)가 카트리지 본체(10)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정도로 디스크 수납부(10d) 내에서 회전 이동 또는 승강할 수 있는 한, 카트리지 상체(12)에 탈락 방지 부재(23)가 고정되어 있더라도 좋다.
셔터(21 및 22)는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디스크 수납부(10d)의 내측면(11u)과의 사이의 동일 평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셔터(21 및 22)는 회전 이동 구멍(21u 및 22u)을 각각 갖고 있고, 카트리지 본체(10)의 디스크 수납부(10d) 이외의 영역이고, 또한 헤드 개구부(11h)와 반대측에 설치된 한쌍의 회전축(11s)에 회전 이동 구멍(21u, 22u)이 회전 이동 가능하게 각각 끼워맞춰져 있다. 이 때문에, 처킹 개구부(11c) 및 헤드 개구부(11h)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셔터(21 및 22)는 회전축(11s)을 중심으로 이동한다. 셔터(21 및 22)도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셔터(21 및 22)의 회전 이동 구멍(21u 및 22u) 근방에는 각각 링 형상부(21c) 및 핀형부(22c)가 설치되어 있다. 링 형상부(21c) 및 핀형부(22c)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을 갖춰, 셔터(21 및 22)를 서로 연동하면서 개폐시키는 연동 기구(20c)를 구성하고 있다. 연동 기구(20c)는 캠 기구, 또는 기어 기구 등의 연동 동작 가능한 다른 기구로 구성해도 된다.
셔터(21 및 22)의 디스크 신호 기록면(100A)과 마주 보는 면에는 디스크(100)에의 손상, 또는 신호 기록면(100A)에의 분진의 침입을 방지하는 보호층(21p, 22p)이 설치되어 있다.
보호층(21p 및 22p)은 손상 방지용 부직포, 방진용 부직포, 손상 방지용 코팅층, 및 방진용 코팅층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진용 부직포로 구성되는 시트를 보호층(21p, 22p)으로서 점착 또는 초음파 용착시키고 있다.
셔터(21)에 설치된 로크 돌기부(21k)와, 이것과 맞물리도록 셔터(22)에 설치된 로크 결합부(22k)는 셔터(21 및 22)를 서로 개폐 로크시키는 로크 기구(20k)를 구성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셔터(21 및 22)가 서로 개폐 로크할 수 있으므로, 조작자가 용이하게 셔터를 개방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에의 먼지, 지문, 손상 등의 부착을 방지한다. 로크 돌기부(21k)는 셔터(21)와, 로크 결합부(22k)는 셔터(22)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21 및 22)에는 절결부(21h 및 22h)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21 및 22)가 폐쇄 상태에서는 절결부(21h 및 22h)가 접촉하여, 구멍(20h)을 형성한다. 셔터(21 및 22)가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구멍(20h)은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고, 구멍(20h)의 직경은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이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표면상에 방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셔터(21, 22)에 먼지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배면 방향에 방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측(100A)에 직접 먼지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8 실시 형태 등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셔터(21 및 22)에는, 셔터가 폐쇄 상태시에 디스크(100)를 유지하기 위한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가 디스크 원주상에 산재하는 모양으로 셔터(21 및 22)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의 디스크(100)와 접촉하는 부분은 역테이퍼형의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것들의 경사면에 의해, 셔터(21, 22)가 폐쇄 상태에서, 디스크(100)를 셔터(21, 22)측에 가압하면서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크 유지부(21b)만 셔터(21)에 고정되지 않고서 탄성부(21d)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디스크(100)의 반경 방향(디스크의 중심으로 향해서)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장착되는 디스크의 직경, 또는 두께가 변동된 경우에도, 덜걱거림이 없이 확실하게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가 디스크(100)를 유지할 수 있다.
회전 이동 구멍(22u)의 반대측, 즉 디스크 유지부(22a)의 근방에는 셔터(22)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셔터 개폐 조작부(22t)가 셔터(2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 본체(10)에 셔터(21 및 22)가 장착된 경우, 셔터 개폐 조작부(22t)는 교량부(11b)의 하측의 헤드 개구부(11h) 내에 위치한다. 셔터(21 및 22)를 개폐 조작할 때, 개폐 조작부(22t)는 교량부(11b)에 따라서, 헤드 개구부(11h) 내에서 이동한다. 이 배치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10)에 셔터 개폐 조작부(22t)가 이동하기 위한 공극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환언하면, 카트리지 본체(10)에 쓸데없는 공극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카트리지 본체(10)내에의 먼지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셔터 개폐 조작부(22t)를 카트리지 본체(10)의 헤드 개구부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적으로 뛰어난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와 셔터(22)는 일직선상에 있어서 접촉하는 것은 아니고, 직선상에 없는 복수의 접합면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처킹 개구부(11c) 영역에서는, 셔터(21) 및 셔터(22)는 각각 제 1 접합면(21f 및 22f)을 갖고, 헤드 개구부(11h) 영역에서는, 셔터(21) 및 셔터(22)는 각각 제 2 접합면(21g 및 22g)을 갖고 있다. 접합면(21f 및 22f)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대칭 중심선상에서 접촉한다. 한편, 접합면(219 및 229)은 대칭 중심선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여기서는 약 15° 내지 16°만 어긋난 직선상에서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셔터 개폐 조작부(22t) 근방에서 일체화한 형상으로 셔터(22)를 형성할 수 있고, 셔터(22)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셔터(21 및 22)는 디스크 수납부(10d) 이외의 영역에 각각 설치된 셔터 스프링(31 및 32)에 의해, 셔터(21 및 22)가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셔터 스프링(31 및 32)은 카트리지 하체(11)에 2개소 설치한 스프링 기둥(11t)에 각각 삽입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 스프링(31 및 32)으로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다. 동일한 형상의 스프링을 셔터 스프링(31 및 32)으로서 이용함으로써, 비용을 저감하고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이외에, 압축 스프링, 판 스프링, 수지 탄성 스프링 등 여러가지의 탄성 부재를 셔터 스프링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13)는 기록 보호 부재(40)를 갖추고 있다. 기록 보호 부재(40)는 카트리지 하체(11)의 홈부(11v)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기록 보호 부재(40)를 미끄럼 이동하는 것에 의해, 볼록부(40t)의 위치가 이동하여, 드라이브 장치에 설치된 검출 스위치가 볼록부(40t)의 위치에 해당하여 ON 또는 OFF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서 디스크(100)에의 기록을 금지하거나, 허가하거나 할 수 있다.
상술한 카트리지 하체(11)와 카트리지 상체(12)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본체(10), 탈락 방지 부재(23), 셔터(21, 22), 셔터 스프링(31, 32), 기록 보호 부재(40)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313)는 구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하체(11)와 카트리지 상체(12)가 접합될 때, 카트리지 하체(11)의(2)개의 회전축(11s)은 카트리지 상체(12)의 2개의 오목부(12h)에 각각 끼워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11s)의 강성이 높게 되고, 셔터(21 및 22)가 개방 상태시에 있어서도, 셔터 스프링(31 및 32)의 가압력에 의한 셔터 회전 이동 주변부의 비틀림을 저감할 수 있고, 확실한 셔터 개방량을 확보할 수 있다.
카트리지 본체(10)(카트리지 상체(12))의 상면에는 수납되는 디스크(100)에 기입된 내용 등을 기술할 수 있는 라벨면(10f),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드라이브 장치에의 삽입 방향(화살표(1A))을 도시하는 화살표 모양의 각인 또는 오목부(10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삽입 방향(1A)에 평행한 카트리지 본체(10)의 2개의 측면에 설치한 한쌍의 오목부(10c 및 10e)는 드라이브 장치가 디스크 카트리지(313)를 로딩할 때의, 또는 카트리지(313)가 교환기에 수납된 경우의, 인입용의 걸림 또는 위치 결정용의 오목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한 슬릿부(10b)는 드라이브 장치에 디스크 카트리지(313)를 삽입할 때의 표리 검출용의 오목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동작에 대하여, 셔터가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66,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67, 셔터 로크부 상세도인 도 68 및 셔터의 디스크 유지부의 상세도인 도 6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드라이브 장치에 장착되지 않는 상태, 즉 보관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 및 22)는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2)의 디스크 유지부(22a)의 경사면부(22a')가 디스크(100)의 능선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디스크(100)를 유지하고, 또한 두께 방향(100t) 방향으로 눌러, 셔터(22)의 시트(22p)에 신호 기록면(100A)을 면접촉시켜,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본체(10)에 유지 고정한다. 그 밖의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b)에 대해서도 각각 경사면부(21a', 21b', 22b')가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부(22a')와 마찬가지로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본체(10)에 유지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이 시트(21p 및 22p)에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신호 기록면(100A)에의 먼지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노출한 디스크(100)의 한면을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또는 셔터(21 및 22)를 강제적으로 개폐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에 부착한 먼지나 지문 등의 오물을 불식할 수 있다.
또한, 로크 기구(20k)에 의해 셔터(21 및 22)는 개폐 로크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자가 간단하게는 셔터(21 및 22)를 개방할 수 없다. 따라서,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측(100A)을 보호할 수 있고, 먼지, 지문, 손상 등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에 해당하는 셔터(21 및 22)의 영역에는, 셔터(21 및 22)의 각각의 절결부(21h, 22h)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20h)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313)가 방치된 상태에서, 센터 홀(100h)에서 진입에 의한 먼지가 셔터(21 및 22)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21 및 22)가 폐쇄되어 있을 때, 셔터(21, 22)와의 접합면중, 적어도 헤드 개구부(11h)와 처킹 개구부(11c)의 위에서 맞대여지는 접합면(21f 및 22f) 및 접합면(21g 및 22g)은 도 70 및 도 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의 두께 방향에 중첩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100)의 직경이 불규칙하게 되어 있는 등의 이유에 의해서, 셔터(21 및 22)가 완전하게 폐쇄되지 않는 경우, 또는 셔터(21)와 셔터(22)의 로크가 불완전하기 때문에, 셔터(21 및 22)가 완전하게는 폐쇄되지 않는 경우에서도, 셔터(21 및 22)의 접합면에는 간극을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도 디스크(100)에 먼지, 지문, 손상 등이 부착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개구부(11h) 주변에서, 셔터(21, 22)는, 셔터(22)의 접합면(22g)이 셔터(21)의 접합면(21g)보다도 위가 되도록 접합하고 있다. 한편, 도 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킹 개구부(11c) 주변에서는, 셔터(21, 22)는 셔터(21)의 접합면(21f)이 셔터(22)의 접합면(22f)보다도 위가 되도록 접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셔터(21 및 22)가 접촉하는 복수의 접합면의 사이에서 접합면의 각도가 상이하게 해도 된다. 이러한 구조로 하는 것에 따라, 디스크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2장의 셔터(21 및 22)가 확실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셔터(21 및 22)의 각각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셔터(21 및 22)가 폐쇄된 상태에서, 셔터(21 및 22)의 접합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셔터(21 및 22)는, 도 70 및 도 7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접합면(21g, 22g, 21f, 22g)을 갖고 있지만, 셔터(21 및 22)의 접합면의 위치나 접합의 방법은, 도 70 및 71에 도시하는 이외의 위치나 접합의 방법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70에 있어서 나타내고 있는 접합면(21g, 22g)을 헤드 개구부(11h) 주변에 배치하여 접합하도록 해도 좋고, 반대로 도 71에 있어서 나타내고 있는 접합면(21f, 22f)을 처킹 개구부(11c) 주변에 배치하여 접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셔터(21 및 22)의 폐쇄시의 강성이 보다 향상되고, 접합면의 간극을 감소시킬 수 있어, 카트리지 내부에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21 및 22)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68에 도시하는 셔터(21 및 22)에 설치한 볼록부(21j, 22j)가 각각 도 65에 도시하는 카트리지 상체(12)에 설치된 2개의 셔터 스토퍼부(12f)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셔터(21 및 22)는 회전 이동에 대하여 규제되어 있고,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하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셔터의 반동을 방지할 수가 있고, 또한 조작자의 고의적인 취급에 의한 셔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21 및 22)의 회전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셔터 개폐 조작부(22t)의 위치가 변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디스크 카트리지(313)를 드라이브 장치에 삽입한 경우, 드라이브 장치의 셔터 개폐 기구가 셔터 개폐 조작부(22t)를 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다음에,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드라이브 장치에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13)를 1A 방향으로 드라이브 장치에 삽입하면, 드라이브 장치에 설치한 카트리지 위치 결정 핀이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위치 결정 구멍(11w)에 결합하고, 드라이브 장치 내에서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수평 방향 및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드라이브 장치 내에 구비된 셔터 개폐 기구의 셔터 개폐 부재가 도 68에 도시하는 셔터 개폐 조작부(22t)에 결합하고, 또한 셔터 개폐 기구의 로크 해제 부재가 셔터(21)의 로크 탄성부(21e)에서 연결된 로크 가압부(21y)를 20A 방향으로 누른다. 이에 의해, 로크 기구(20k)의 로크 돌기부(21k)와 로크 결합부(22k)가 분리되고, 로크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동시에 셔터 개폐 부재에 의해 셔터 개폐 조작부(22t)가 20B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는 회전축(11s)을 회전 이동 중심으로 하여, 셔터 스프링(31)의 가압력에 역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연동 기구(20c)에서 연동한 셔터(22)도 마찬가지로 셔터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역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셔터(21)가 완전하게 개방하면, 셔터(22)도 개방이 완료한다.
또한, 이때 로크 돌기부(21k) 및 로크 가압부(21y)는 로크 탄성부(21e)에 의해 원래의 형상 위치에 복귀하고 있다. 따라서, 수지에 의해서 형성된 로크 탄성부(21e)의 소성 변형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은 처킹 개구부(11c)와 헤드 개구부(11h)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에 의해 유지되어 있던 디스크(100)는 셔터(21 및 22)가 회전 이동하는 것에 의해, 유지로부터 개방되어 디스크 수납부(10d) 내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드라이브 장치의 스핀들 모터 및 턴테이블, 헤드가 각각 처킹 개구부(11c)와 헤드 개구부(11h)에 진입하여, 디스크(100)에의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돌기물 등에 의해 로크 돌기부(21k)를 20A 방향으로 눌러 로크 결합부(22k)와의 끼워맞춤을 분리하면서, 동시에 셔터 개폐 조작부(22t)를 화살표(20B) 방향으로 누르는 것만으로, 셔터(21 및 22)를 회전 이동시켜 처킹 개구부(11c)와 헤드 개구부(11h)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하고, 동시에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에 의한 디스크(100)의 유지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에 의한 안일한 셔터의 개방, 또는 디스크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100)에의 먼지, 지문, 손상 등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드라이브 장치에서 배출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드라이브 장치의 배출 기구가 작동하면, 셔터 개폐 조작부(22t)에 결합한 셔터 개폐 부재가 셔터 개폐 조작부(22t)에서 분리된다. 이에 따라 셔터(21 및 22)의 개방 유지를 할 수 없게 되어, 셔터 스프링(31 및 32)으로 폐쇄 방향에 가압되어 있는 셔터(21 및 22)는 폐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셔터(21 및 22)가 헤드 개구부(11h) 및 처킹 개구부(11c)를 폐쇄한다. 이때, 셔터(21 및 22)는 로크 기구(20k)에 의해 개폐 로크된다. 또한 디스크(100)는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에 의해 유지되어, 원래의 상태에 되돌아간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313)는 드라이브 장치에서 배출된다.
또, 디스크 카트리지(313)에 있어서,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에 설치한 탈락 방지 부재(23)의 디스크 접촉부(23a)의 높이와 카트리지 상체(12)의 디스크 접촉부(12s')의 높이는 동일하다. 또한 셔터(21 및 22)의 디스크 유지부(21a(21b, 22a, 22b))의 경사면부(21a'(21b', 22a', 22b'))는 디스크 접촉부(23a 및 12s')보다도 디스크(100)의 상방향, 즉 100u 방향으로 향해서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드라이브 장치의 형태 사정에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313)가 수직의 상태, 또는 배면 방향의 상태에서 사용된 경우에도, 셔터(21 및 22)는 디스크(100)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히 디스크(100)가 배면 방향의 상태에서 사용된 경우, 디스크(100)는 처킹 상태에서 개방되면 디스크 접촉부(23a 및 12s')에 접촉하여, 안정된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셔터(21 및 22)가 폐쇄 상태로 이행하면, 디스크(100)는 경사면(21a'(21b', 22a', 22b'))에 접촉하여, 경사면을 순조롭게 미끄러져 들어가 디스크 유지부(21a(21b, 22a, 22b))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상 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카트리지 본체에 디스크 개구부를 갖는 구조를 갖춰, 디스크의 한쪽의 면만을 덮도록 되어 있다. 또한, 셔터의 개폐 조작부를 카트리지 본체의 헤드 개구부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에 불필요한 간극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것에 의해서, 카트리지 본체내에의 먼지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장의 셔터를 처킹 개구부 영역에서는 디스크의 중심선상에서 접촉시켜, 헤드 개구부 영역에서는 디스크의 중심선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만 어긋난 직선상에서 접촉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셔터 개폐 조작부 근방에서 일체화한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셔터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2장의 셔터는 서로 개폐 로크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용이하게 셔터를 개방할 수 없다. 따라서, 디스크에의 먼지, 지문, 손상 등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크 유지부중 적어도 하나는 셔터에 고정되지 않고 탄성부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셔터 스프링의 힘도 부가된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되는 디스크의 직경이 변동된 경우에도, 덜걱거림이 없게 확실하게 디스크를 유지할 수 있다.
(제 14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4 실시 형태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314)에 대하여 도 72 내지 도 8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4)에 있어서 제 13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314)가 제 13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와 다른 점은, 카트리지 상체(12)의 내측 상면(12u)의 형상(도 79),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및 22b)의 형상(도 72 내지 도 79), 및 탈락 방지 부재(53)의 형상(도 72, 도 77, 도 78)이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314)는 디스크 받이부(60)(도 72 및 도 81)를 더 갖고 있다. 이하에 디스크 카트리지(314)의 이들 상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제 13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의 높이는, 디스크(100)의 외주에 따라서 거의 동일했다. 이것에 비하여,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4)에서는, 도 73 및 도 7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부(21b, 22a 및 22b)의 일부에 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 유지부(21b, 22a 및 22b)는 돌기를 포함하고, 제 1 높이(h1)를 갖는 제 1 영역(121b, 122a 및 122b)과, 제 2 높이(h2)를 갖는 제 2 영역(221b, 222a 및 222b)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한편, 디스크 유지부(21a)는 제 2 높이(h2)를 갖는 제 2 영역(221a)만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높이(h1)는 제 2 높이(h2)보다도 크지만, 제 13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의 높이와 동일한 정도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는 제 1 영역(121b, 122a 및 122b)을 제외하고, 제 13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의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또한, 도 74 및 도 7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부(22a)의 제 1 영역(122a)의 상면은 디스크의 외주에 따르는 방향에 따라서, 디스크측이 높게 되어 있는 단차(223)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유지부(21b)의 제 1 영역(121b)의 상면 및 디스크 유지부(22b)의 제 1 영역(122b)도 마찬가지로 단차를 갖추고 있다.
제 1 영역(121b, 122a 및 122b)은 셔터(21 및 22)가 닫혀 있을 때에 각각의 디스크 유지부(21b, 22a 및 22b)에 있어서, 첫번째 디스크와 접하는 영역이며, 따라서 제 2 영역(221b, 222a, 222b)보다도 먼저 디스크(100)와 접한다.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는 셔터(21 및 22)의 개폐에 수반하여 이동한다. 도 77 및 도 78은 셔터(21 및 22)가 닫혀 있을 때 및 개방되어 있을 때의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의 위치를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9 및 도 80에는 도 78에 도시되는 B-B 단면 및 C-C 단면이 도시되고 있다.
도 77 내지 도 7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상체(12)의 내측 상면(12u)에서, 셔터(21 및 22)를 개폐했을 때,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의 제 1 영역(121b, 122a, 122b)이 통과하는 영역(12y, 12x, 12z)은 오목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제 2 영역(221b, 222a, 222b)이 통과하는 영역(12y', 12x', 12z')은 오목하게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영역(12X, 12y, 12z)에서의 카트리지 상체(12)의 두께는 영역(12x', 12y', 12z')이나 다른 영역에 비교하여 얇게 되어 있다.
도 76 및 도 7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영역(122a)의 선단은 탈락 방지 부재(53)의 하면보다도 위에 위치하고 있다. 또, 디스크 유지부(22a)의 제 1 영역(122a)의 선단 부분이 카트리지 상체(12)의 내측 상면(12u)에 설치된 영역(12x)의 오목부에 들어가 있고, 영역(12x)의 오목부가 제 1 영역(122a)의 선단 부분을 수용하고 있다. 제 1 영역(122a)의 선단 부분에서는, 단차(223)에 의해 제 1 영역(122a)의 상면의 일부만이 내측 상면(12u)과 접하고 있다. 제 2 영역(222a)은 카트리지 상체(12)의 내측 상면(12u)과 접하지 않는다.
셔터(21 및 22)의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디스크 유지부(22a)의 제 1 영역(122a)의 선단 부분과 카트리지 상체(12)의 내측 상면(12u)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은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디스크 유지부(22a)의 제 1 영역(122a)의 선단 부분은 디스크(100)의 반경 방향에 따르는 단면이 원호의 일부로 되는 볼록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차(223)는 선단 부분을 예리한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한 강도의 부족을 보충하여, 선단 부분의 성형 정밀도를 올리는 동시에 성형을 쉽게 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도 8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부(22b)에서도, 제 1 영역(122b)의 선단은 탈락 방지 부재(53)의 하면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 1 영역(122b)의 선단 부분은 카트리지 상체(12)의 내측 상면(12u)에 설치된 영역(12z)의 오목부에 들어가 있고, 영역(12z)의 오목부가 제 1 영역(122b)의 선단 부분을 수용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디스크 유지부(21b)에서도 제 1 영역(121b)의 선단이 탈락 방지 부재(53)의 하면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카트리지 상체(12)의 내측 상면(12u)에 설치된 영역(12y)의 오목부에 들어가 있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 상체(12)의 내측 상면(12u)의 영역(12x, 12y, 및 12z)을 오목하게 들어가고, 그 오목부에 디스크 유지부의 일부를 들어가게 하는 것에 따라 영역(12x, 12y, 및 12z)의 오목부의 깊이만큼, 디스크 카트리지(314) 전체를 얇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가령 카트리지가 수직 또는 배면 방향의 상태에서 사용된 경우에도, 디스크(100)가 처킹으로부터 개방되어, 셔터(21 및 22)가 닫히게 되면, 확실하게 디스크 유지부(22a)의 제 1 영역(122a)의 경사부(122a')가 디스크(100)에 접촉한다. 그리고 경사부(122a')를 순조롭게 미끄러져 들어가, 디스크 유지부(22a)의 제 2 영역(222a)의 경사부(222a')도 접촉하게 된다(도 74). 이때, 돌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디스크 유지부(21a)의 제 2 영역(221a)의 경사부(221a')도 디스크(100)에 접촉한다. 그 결과, 디스크 유지부(21a 및 22a)가 협동하여 디스크(100)를 유지하도록 된다. 디스크 유지부(21b 및 22b)도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서, 디스크(100)를 유지한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를 얇게 해도, 모든 자세에 있어서 셔터를 확실하게 닫히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디스크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만약에 디스크 유지부의 형상을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한 채로, 디스크 카트리지 전체를 얇게 하려고 하면, 도 7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상체(12)의 내측 상면(12u)의 디스크 유지부(22a, 21b 및 22b) 전체가 통과하는 영역(12x, 12x', 12y, 12y', 12z 및 12z')을 오목하게 들어가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 상체(12)에 있어서, 상당히 넓은 면적에 걸쳐 두께가 얇게 되어, 디스크 카트리지 전체의 강도를 손상시켜 버린다. 이것에 비하여, 디스크 카트리지(314)에 따르면, 두께를 얇게 하고 있는 영역(12x, 12y, 12z)은 좁기 때문에, 디스크 카트리지 전체의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고, 디스크 카트리지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디스크 유지부중 3개에 돌기를 설치하여 제 1 영역이라고 하고 있지만, 디스크 유지부의 수나 셔터의 형상에 맞춰서 여러가지의 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4)에 있어서 제 13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와 상이한 다른 점은 탈락 방지 부재(53)의 구성에 있다.
도 7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53)는 원판의 일부를 절취한 형상을 하고 있다. 카트리지 상체(12)의 디스크 개구(12w)에 접하도록 탈락 방지 부재(53)에 대략 대응하는 절결부(54)가 설치되고, 탈락 방지 부재(53)는 회전 가능하도록 절결부(54)에 결합되어 있다. 도 7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53)는 회전에 의해서, 카트리지 상체(12)의 디스크 개구(12w)에 탈락 방지 부재(53)의 일부가 돌출하도록 유지된다. 또한, 도 7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53)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탈락 방지 부재(53)가 카트리지 상체에 들어가, 돌출한 부분이 디스크 개구(12w)에 없는 상태에도 탈락 방지 부재(53)를 유지할 수 있다. 탈락 방지 부재(53)가 절결부(54)로부터 분리되는 문제로 되는 경우에는 탈락 방지 부재(53)의 측면과 절결부(54)를 형성하고 있는 카트리지 상체(12)의 측면과 결합하는 요철 등을 설치하면 좋다.
이러한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탈락 방지 부재(53)의 두께를 카트리지 상체(12)의 상면과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 카트리지(314)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4)에 있어서, 다음에 특징적인 점은, 도 72, 도 77, 도 78 및 도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체의 내측 하면(11u)과 내측 측면(11i)이 만드는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 내주에 디스크 받이부(60)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디스크 받이부(60)는 카트리지 하체의 내측 하면(11u)에 평행인 상면(60a)을 갖고 있다.
셔터(21 및 22)가 폐쇄 상태에 있고, 디스크(100)가 디스크 유지부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을 때,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의 외주 근방과, 디스크 받이부(60)의 상면(60a)이 접한다. 이것에 의해서,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에 먼지가 부착하거나, 카트리지 하체의 내측 하면(11)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크 받이부(60)의 형상은 도 81 이외의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8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체의 내측 하면(11u)과 내측 측면(11i)이 접하도록 설치된 테이퍼 형상을 갖는 디스크 받이부(76)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셔터(21 및 22)가 폐쇄 상태에 있어서, 디스크(100)가 디스크 유지부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을 때,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의 외주가 디스크 받이부(76)와 접한다.
(제 15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5 실시 형태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315)에 대하여 도 83 내지 도 8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5)에 있어서 제 14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4)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8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15)는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 하면(11u)의 셔터(21 및 22)와 접촉하는 영역 및 셔터(21 및 22)의 하면(21v 및 22v)에 4종류의 오목부(85, 86, 87, 88a 내지 88c)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디스크 카트리지(314)와 상이하다. 이들 4종류의 오목부에 대하여 순차로 설명한다. 또, 오목부의 깊이는 12㎝의 디스크를 유지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약 0.1㎜ 내지 0.3㎜이다.
셔터(21 및 22)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84 및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85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셔터(21 및 22)가 개폐될 때, 셔터(21 및 22)의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및 22b)가 접하는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 하면(11u)의 영역에서, 제 1 오목부(86)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및 22b)는 거의 간극이 없이 카트리지 상체(12) 및 하체(11)에 의해 끼워지고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315)의 조립시에,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315)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의 치수 불균일에 의해서,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및 22b)는 카트리지 상체(12) 및 하체(11)에 강하게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및 22b)와 카트리지 상체(12) 또는 하체(11)와의 마찰이 커져, 셔터(21 및 22)의 개폐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거나, 마찰에 의해서 발진되게 한다.
제 1 오목부(86)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및 22b)의 하부에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마찰을 저감할 수 있고, 셔터(21 및 22)의 개폐 동작을 안정시켜, 마찰에 의한 발진을 저감할 수 있다.
제 2 오목부(87)는 셔터(21 및 22)가 닫혀 있을 때, 셔터(21 및 22)의 외형 에지부가 위치하는 영역에 설치된다. 도 84 및 도 8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오목부(87)는 셔터(21 및 22)의 외형 에지부와 대응하는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 하면(11u)의 선을 포함하여 그 외측 및 내측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카트리지(315)는 디스크의 한면을 노출시켜 수납하기 때문에, 도 8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를 화살표(A)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을 보호하기 위해서, 부직포(21s 및 22s)가 설치되어 있지만, 셔터(21 및 22)의 외형 에지부까지 완전하게는 접착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디스크(100)를 화살표(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하면 셔터(21 및 22)의 외형 에지부가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과 접촉하여, 신호 기록면(100A)에 손상이 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 2 오목부(87)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셔터(21 및 22)의 외형 에지부는 그 일부가 제 2 오목부(87)의 안으로 삽입되도록 변형할 수 있도록 된다. 이것에 의해서, 가압하는 힘을 분산하여,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에 셔터(21 및 22)의 외형 에지부가 강하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3 오목부는 처킹 개구부(11c) 및 헤드 개구부(11h)를 둘러싸도록 내측 하면(11u)상에 설치된 제 3 오목부(88a)와, 셔터(21 및 22)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셔터(21 및 22)는 중첩되고 있지 않은 내측 하면(11u)의 영역에 설치된 제 3 오목부(88b)와, 셔터(21 및 22)가 닫혀 상태에서 셔터(21 및 22)와 중첩되고 있는 내측 하면(11u)의 영역에 설치된 제 3 오목부(88c)를 포함한다. 제 3 오목부(88b 및 88c)는 디스크 수납부의 내측면에 따라서 원호형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3 오목부(88a)는 3개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315)에는 디스크 받이부 등 먼지가 디스크 카트리지 내에 들어가거나,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에 먼지가 부착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가지의 구조가 도입되고 있지만, 먼지의 진입이나 부착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은 어렵다.
제 3 오목부는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315) 내에 진입한 먼지를 저장해 두는 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셔터(21 및 22)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먼지가 이들 제 3 오목부로 이동한다. 일단 제 3 오목부에 들어간 먼지는, 셔터(21 및 22)와 접하지 않기 때문에, 다시 제 3 오목부에서 나가는 일이 없이, 제 3 오목부에 계속해서 머문다. 이와 같이 하여 제 3 오목부에 먼지를 저장해 두는 것에 의해, 먼지에 의한 셔터의 동작 불량이나 마찰에 의한 발진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상기 제 1 오목부(86) 및 제 2 오목부(87)에 의해서도 얻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 1 오목부(86), 제 2 오목부(87) 및 제 3 오목부(88a 내지 88c)는 반드시 전부를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어느 하나를 갖추고 있더라도, 적어도 먼지에 의한 셔터의 동작 불량이나 마찰에 의한 발진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셔터(21 및 22)와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 하면(11u)과의 사이에 들어간 먼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제 2 오목부(87) 등에 모아 넣기 때문에, 셔터(21 및 22)의 하면(21v 및 22v)에 있어서, 외형 에지부에 따라서 오목부(85)를 더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도 8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 및 22)가 닫힌 형태로, 제 2 오목부(87)보다도 카트리지의 중심측에 오목부(8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 및 22)의 오목부(85)와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 하면(11u)의 제 2 오목부(87)는 셔터(21 및 22)가 폐쇄된 상태에서 연통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85)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셔터(21 및 22)의 외형 에지부는 보다 변형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100)에 대하여 화살표(A)에서 도시되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신호 기록면(100A)에 셔터(21 및 22)의 외형 에지부가 강하게 접촉하여, 신호 기록면(100A)에 손상을 내거나 할 우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오목부(86, 87, 88a, 88b, 88c) 내에 부직포 등을 용착 또는 점착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의 간극을 메울 수 있어, 외부로부터의 먼지의 진입을 더욱 강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4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4)에 여러가지의 오목부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것들의 오목부는 제 8 내지 13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제 16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6 실시 형태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316)에 대하여 도 88 내지 도 9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6)에 있어서 제 13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8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6)는 디스크의 삽입 방향(1A)과 대략 수직으로 되는 카트리지 본체의 제 1 측면(10p)에 제 1 개폐 조작부(22t)를 구비하고, 제 2 측면(10q)에는 제 2 개폐 조작부(93)를 구비하고 있다. 이중, 제 1 개폐 조작부(22t)는 제 13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개폐 조작부(22t)와 동일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제 2 개폐 조작부(93)는, 도 8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체(11)에 설치된 회전축(11q)에 삽입 가능한 구멍을 갖는 기어 형상을 하고 있다. 제 2 개폐 조작부(93)가 회전축(11q)에 삽입되었을 때, 그 일부가 카트리지 본체(10)의 제 2 측면(10q)에서 노출하도록, 카트리지 하체(11)의 측면에는 개구(11r)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11q)은 카트리지 상체(12)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카트리지 하체(11)에 설치된 헤드 개구부(11h)와 처킹 개구부(11c)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2개의 셔터(21 및 22)중 제 1 셔터 부재인 셔터(22)에는 제 1 개폐 조작부(22t)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셔터 부재인 셔터(21)의 외측면의 디스크 유지부(21b)의 근방에는, 기어형의 제 2 개폐 조작부(93)와 결합하는 섹터 기어(21m)가 설치되어 있다. 섹터 기어(21m)의 중심은 셔터(21)의 회전 이동 구멍(21u)과 일치하고 있다. 또, 섹터 기어(21m)에 인접하여 오목부(21n)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1n)는 기어형의 제(2)의 개폐 조작부(93)가 섹터 기어(21m)에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있다.
제 1 개폐 조작부(22t)를 사용하여 셔터(21 및 22)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9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돌기부(21k) 및 로크 결합부(22k)로 이루어지는 로크 기구(20k)의 결합 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화살표(22W)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의 제 1 측면(10p)에 따라서 제 1 개폐 조작부(22t)를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도 9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2)의 움직임이 연동 기구(20c)를 개재하여 셔터(21)에 전해져, 셔터(21 및 22)가 협동하여, 헤드 개구부(11h) 및 처킹 개구부(11c)를 개방한다.
한편, 제 2 개폐 조작부(93)를 사용하여 셔터(21 및 22)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9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기구(20k)의 결합 상태를 해제한다. 다음에, 제 2 개폐 조작부(93)를 화살표(9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제 2 개폐 조작부(93)의 기어에 결합하여, 섹터 기어(21m)가 회전 이동 구멍(21u)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움직임은 셔터(21)의 개방 동작이 된다. 셔터(21)의 움직임은 연동 기구(20c)를 개재하여 셔터(22)에 전해지기 때문에, 셔터(21 및 22)가 협동하여, 헤드 개구부(11h) 및 처킹 개구부(11c)를 개방한다. 도 9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 및 22)가 헤드 개구부(11h) 및 처킹 개구부(11c)를 완전하게 개방했을 때, 제 2 개폐 조작부(93)의 일부는 셔터(21)에 설치된 오목부(21n)에 들어간다.
셔터(21 및 22)를 닫을 때에는, 제 1 개폐 조작부(22t)를 22W와 반대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지만, 제 2 개폐 조작부(93)를 93A와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21 및 22)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셔터 스프링(31 및 3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 스프링(31 및 32)의 힘에 저항하여 셔터(21 및 22)를 개방하는 힘, 또는 개방 상태에 유지하는 힘을 제 1 개폐 조작부(22t) 및 제 2 개폐 조작부(93)에 미치게 하면, 상술의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셔터(21 및 22)가 닫힌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6)에서는, 셔터(21 및 22)의 개폐 조작부가 디스크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과 평행한 면과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셔터의 개폐 조작부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에만 대응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도, 셔터의 개폐 조작부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에만 대응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에 대하여 신호를 기록/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6)에 따르면, 디스크 카트리지(316)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개폐 조작부(93)는 기어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설치하는 셔터 개폐 기구도 제 2 개폐 조작부(93)에 결합할 수 있는 여러가지의 기어에 의해서 형성할 수가 있어, 비교적 간단한 기구로 확실하게 디스크 카트리지(316)의 셔터(21 및 22)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섹터 기어(21m)는 디스크 유지부(21b)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에 설치하면, 섹터 기어(21m)에서 셔터(21)의 회전 이동 구멍(21u)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게 되어, 셔터(21)를 완전하게 개방하는데 필요한 섹터 기어(21m)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섹터 기어(21m)의 형성 장소는 이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도 92 및 도 9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터 기어(21m)의 원호의 연장선상에 대략 디스크의 중심이 되는 위치에 섹터 기어(21m)를 설치하여, 섹터 기어(21m)에 결합하도록 제 2 개폐 조작부(93)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 위치에 제 2 개폐 조작부(93)를 설치하면, 셔터(21)를 완전하게 개방하는데 필요한 섹터 기어(21m)의 길이는 커지지만, 회전 이동 구멍(21u)에서의 거리도 길게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지점과 작용점과의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는 것에 대응하고 있고, 보다 가벼운 힘으로 제 2 개폐 조작부(93)를 회전시켜, 셔터(21 및 22)를 개폐할 수 있다.
(제 17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7 실시 형태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317)에 대하여 도 94 내지 도 9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7)에 있어서 제 16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6)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9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7)는 제 16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6)의 제 2 개폐 조작부(93)로 대체하여, 제 2 개폐 조작부(94)를 제 2 측면(10q)에 구비하고 있다.
도 95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개폐 조작부(94)는 카트리지 하체(11)의 측면에 설치된 개구(11r)에 따라서 슬라이드할 수 있는 링크 부재이고, 그 중반쯤이 굴곡되어 있다. 또, 제 2 개폐 조작부(94)의 단부에는 돌기(94a)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94a)는 셔터(21)의 디스크 유지부(21b) 근방에 설치된 도랑(21i)에 결합한다.
도 96 및 도 97은 디스크 카트리지(317)의 셔터(21 및 22)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 및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제 1 개폐 조작부(22t)를 화살표(22w)의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셔터(21 및 22)를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은 제 13 및 제 16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 2 개폐 조작부(94)를 사용하여, 셔터(21 및 22)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도 9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로크 기구(20k)의 결합 상태를 해제한다. 다음에, 제 2 개폐 조작부(94)를 화살표(94B)에서 도시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 동작에 의해서, 제 2 개폐 조작부(94)의 돌기(94a)를 화살표(94B)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힘이 작용한다. 그 결과, 셔터(21)가 회전 이동 구멍(21u)을 중심으로 하여 개방한다. 셔터(21)의 움직임은 연동 기구(20c)를 개재하여 셔터(22)에 전해지기 때문에, 그 결과 셔터(21 및 22)가 협동하여, 헤드 개구부(11h) 및 처킹 개구부(11c)를 개방한다. 제 2 개폐 조작부(94)를 화살표(94B)와 역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셔터(21 및 22)를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는 점이나 셔터 스프링(31 및 32)의 힘이 미치는 점은 제 16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도 제 16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와 마찬가지로, 셔터의 개폐 조작부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에만 대응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도, 셔터의 개폐 조작부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에만 대응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에 대하여 신호를 기록/재생할 수 있다.
또한, 도 96 및 도 9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 및 22)를 개방하기 위해서 제 2 개폐 조작부(94)를 조작하는 방향(94B)과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1A)은 역방향이고, 또한 평행이다. 이 때문에, 제 2 개폐 조작부(94)에 결합하는 돌기 등을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설치하면,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삽입할 때, 돌기가 제 2 개폐 조작부(94)에 결합하여,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 동작에 연동하여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21 및 22)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설치하는 셔터 개폐 기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제 18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8 실시 형태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318)에 대하여 도 98 내지 도 10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8)에 있어서도 제 16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6)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9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8)는 제 16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6)의 제 2 개폐 조작부(93)로 대체하여, 제 2 개폐 조작부(96)를 제 2 측면(10q)에 구비하고 있다.
도 9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개폐 조작부(96)는, 셔터(21)의 디스크 유지부(21a)에 접속된 벨트 부재이다. 벨트 부재의 단부에는 돌기(96a)가 설치되어 있고, 돌기(96a)는 카트리지 하체(11)의 측면에 설치된 개구(11r)에 따라서 슬라이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2 개폐 조작부(96)는 셔터(21)와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디스크 카트리지(318)의 셔터(21 및 22)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 및 개방되어 있는 상태는 각각 도 100 및 도 101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개폐 조작부(22t)를 화살표(22w)의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셔터(21 및 22)를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은 제 16 및 제 17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 2 개폐 조작부(96)를 사용하여, 셔터(21 및 22)의 개폐 동작을 하기 위해서, 우선 도 10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기구(20k)의 결합 상태를 해제한다. 다음에, 제 2 개폐 조작부(96)의 돌기(96a)를 화살표(96B)에서 도시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 동작에 의해서, 셔터(21)의 선단 부분이 회전 이동 구멍(21u)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96C)의 방향으로 인장되도록 셔터(21)에 힘이 작용한다. 셔터(21)의 움직임은 연동 기구(20c)를 개재하여 셔터(22)에 전해지기 때문에, 셔터(21 및 22)가 협동하여, 헤드 개구부(11h) 및 처킹 개구부(11c)를 개방한다. 셔터(21 및 22)를 닫는 경우에는, 역의 동작을 한다.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도 제 16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와 마찬가지로, 셔터의 개폐 조작부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에만 대응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도, 셔터의 개폐 조작부가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에만 대응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하여 신호를 기록/재생할 수 있다.
또한, 셔터(21)와 제 2 개폐 조작부(96)를 일체로 형성하면, 디스크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조 비용을 삭감하거나, 제조 공정을 간략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6 내지 제 18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 2 개폐 조작부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좌측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제 2 개폐 조작부의 형성 장소는 상기 실시 형태에 도시한 측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디스크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우측의 측면(도 88에 도시하는 참조부호(10r))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는, 제 2 개폐 조작부를 디스크 카트리지의 이면(도 88에 도시하는 참조부호(10t))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 18 실시 형태에 설명한 벨트형의 제 2 개폐 조작부(96)이면, 큰 변경을 가하는 일없이 디스크 카트리지의 이면에 제 2 개폐 조작부를 설치할 수 있다.
(제 19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9 실시 형태에 의한 디스크 카트리지(319)에 대하여 도 102 및 도 10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9)에 있어서, 제 13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3)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19)에 특징적인 것은, 디스크 유지부(21b, 22a 및 22b)에 회전 방지 부재(97)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또한, 부직포를 셔터(21 및 22)에 초음파 용착하기 위한 오목부(89)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 유지부(21b, 22a 및 22b)에 구멍(21q, 22r 및 22q)을 설치하고, 각각의 구멍(21q, 22q 및 22r)에 회전 방지 부재(97)가 매립되어 있다. 도 1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방지 부재(97)는 디스크 유지부(21b(22a, 22b))에 있어서, 각각의 경사면(21b'(22a', 22b'))으로부터 그 일부가 돌출하고 있고, 디스크(100)가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에 의해서 유지될 때에는, 회전 방지 부재(97)는 디스크(100)의 외주와 접촉한다. 회전 방지 부재(97)는 탄성을 갖고, 마찰 계수가 큰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고무로 구성되는 회전 방지 부재(97)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 방지 부재(97)는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중의 적어도 1개에 설치되어 있으면 회전 방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보다 확실하게 디스크(10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회전 방지 부재(97)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따르면, 디스크(100)가 디스크 유지부(21a, 21b, 22a, 22b)에 유지되어 있을 때, 조작자가 고의로 디스크(100)를 회전시키려고 해도, 디스크(100)에 접촉한 회전 방지 부재(97)의 작용에 의해서 약간의 힘으로는 디스크(100)를 회전시키는 것은 할 수 없다. 따라서, 조작자가, 예를 들면 고의로 디스크(100)를 셔터(21, 22)에 가압하면서 디스크(100)를 회전시키려고 해도, 디스크(100)가 회전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에 의해서, 셔터(21, 22)에 설치된 부직포에 딱딱한 먼지가 끼워지는 경우에, 상술한 조작자의 동작에 의해, 디스크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방지 부재(97)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디스크 유지부내에서 디스크(100)가 덜컹거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0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 및 22)는 디스크(10)의 신호 기록면과의 접촉면에 부직포를 초음파 용착하기 위한 오목부(89)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89)는 도 102에서는 셔터(21 및 22)의 신호 기록면과 접촉하는 부분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외주를 둘러싸는 오목부(89)의 내측의 영역에도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89)의 형성 영역은 도 102에 도시되는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셔터(21 및 22)에 부직포를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좋다. 이 오목부(89)에 있어서 부직포와 셔터(21 및 22)는 초음파 용착된다. 오목부(89)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초음파 용착에 의한 부직포의 경화부 또는 셔터(21 및 22)를 구성하고 있는 수지 재료의 부직포로부터의 돌출부가 발생한 경우에도, 경화부 또는 돌출부가 오목부(89)내에 들어가, 디스크에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크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오목부(89)는 상기 제 1 내지 제 18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부직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셔터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0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 20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도 104를 참조하여, 디스크 카트리지(320)의 구조의 개략을 설명한다. 디스크 카트리지(320)는 카트리지 하체(11), 카트리지 상체(12), 제 1 셔터(21), 제 2 셔터(22), 탈락 방지 부재(23), 실드 부재(24) 및 회전 부재(25)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들의 부재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서 적절하게 형성된다. 또한, 이것들의 부재는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필요는 없고, 각 부재에 요구되는 강도나 외관 등을 고려하여, 각 부재에 최적의 재료가 결정된다.
카트리지 하체(11)는 도 10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하면(11u)을 갖고 있다. 내측 하면(11u)에는 외부로부터 디스크(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 등의 처킹 부재가 침입할 수 있도록 개구한 처킹 개구부(11c)와, 신호(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헤드가 침입하고, 디스크(100)에 억세스 가능하도록 개구한 헤드 개구부(11h)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 개구부(11h)와 처킹 개구부(11c)는 연통하고 있다. 헤드 개구부(11h)는 카트리지 하체(11)의 측면에 도달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헤드 개구부(11h)가 설치된 측면에 인접하는 측면에는 개구(11r)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하면(11u)에는 회전 부재(25)에 설치된 볼록부(25e 및 25f)의 선단을 받는 홈(11e 및 11f)이 설치되어 있다. 홈(11e 및 11f)은 내측 하면(11u)을 관통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11)에 각각 설치된 회전축(37 및 38)을 받는 회전 이동 구멍(39)이 내측 하면(11u)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이동 구멍(39)도 내측 하면(11u)을 관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에 회전축(37 및 38)을 설치하여, 카트리지 하체에 회전 이동 구멍(39)을 설치하고 있지만,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에 회전 이동 구멍을 설치하여, 카트리지 하체(11)에 회전축을 설치하더라도 좋다.
카트리지 상체(12)는 디스크(100)의 전투영 영역을 개구하는 원형의 디스크 개구부(12w)를 갖고 있고, 디스크 개구부(12w)는 원통형의 측면(12i)에 의해서 규정된다. 이 디스크 개구부(12w)를 통해서 디스크(100)를 카트리지에 세트할 수 있다. 측면(12i)의 일부에는 절결부(12g)가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상체(12)의 상면(12d)에는 절결부(12j)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결부(12j)는 탈락 방지 부재(23)와 결합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탈락 방지 부재(23)가 카트리지 상체(12)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지지 않도록, 탈락 방지 부재(23) 및 카트리지 상면(12d)에는 서로에 끼워맞춰지는 볼록부 및 오목부와 같은 끼워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다. 탈락 방지 부재(23)를 카트리지 상체(12)에 장착한 경우, 탈락 방지 부재(23)의 일부는 디스크 개구부(12w)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 본체를 가능한 한 얇게 하기 위해서, 카트리지 상면(12d)의 일부를 완전하게 제거하는 절결부(12j)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보다도 다소 두껍게 되더라도 좋은 경우에는, 카트리지 상면(12d)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절결부를 설치하여, 그 절결부에 대응하는 탈락 방지 부재를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8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08)가 구비하고 있는 절결부 및 탈락 방지 부재(23)를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채용해도 된다.
또한, 카트리지 상체(12)의 상면(12d)에는 상면(12d)과 일체로 형성되고, 개구부(12w)로 연장되어 있는 탈락 방지 부재(12s)가 형성되어 있다. 탈락 방지 부재(12s 및 23)는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디스크(10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디스크 카트리지를 드라이브 장치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탈락 방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디스크를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추출하는 경우, 탈락 방지 부재(23)와 카트리지 상체(12)와의 끼워맞춤을 해제하고, 탈락 방지 부재(23)를 카트리지 상체(12)로부터 제거, 예를 들면 절결부(12j) 근방에서 디스크(100)를 들어 올린다. 탈락 방지 부재의 수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다른 형상을 갖는 탈락 방지 부재를 설치하더라도 좋고, 탈락 방지 부재를 설치하는 장소도 도 104에 도시되는 이외의 장소이어도 된다.
카트리지 상체(12)와 카트리지 하체(11)는 외연부에 접착 또는 용착되고, 또는 나사 등의 접속 부재를 이용하여 접합됨으로써, 카트리지 본체를 구성하고 있다. 또,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 하면(11u)과 카트리지 상체(12)의 측면(12i)은 디스크(100)를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를 구성하고 있다.
디스크 수납부에 있어서, 측면(12i)이 규정하는 공간은 디스크(100)가 회전해도 접촉하지 않는 정도로 디스크(100)보다도 크고, 디스크(100)는 수납부 내에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크 수납부의 상부는 디스크 개구부(12w)로서 개방되어 있고, 디스크 수납부로 세트된 디스크(100)의 제 1 면(100A)의 전면이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면인 제 2 면(100A)은 내측 하면(11u)에 면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디스크의 양면을 덮는 종래의 카트리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카트리지(320)를 얇게 할 수 있다. 또,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디스크의 라벨면을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라벨면(제 1 면)(100B)에 기록된 디스크의 콘텐츠 등을 확인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라벨면의 의장을 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디스크가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 전체의 의장도 뛰어난 것으로 된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는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 하면(11u)상에 설치되고,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20)에 수납되어 있을 때에는,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제 2 면)(100A)과 내측 하면(11u)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는 회전축(37 및 38)을 각각 갖고 있고, 회전축(37 및 38)은 카트리지 하체(11)의 회전 이동 구멍(39)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는 회전축(37 및 38)을 회전축으로서 회전하고, 헤드 개구부(11h) 및 처킹 개구부(11c)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한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디스크(100)의 제 2 면(100A)의 일부는 헤드 개구부(100h)에서 외부로 노출한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디스크 수납부에 수납된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구멍(20h)이 형성되도록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에는 절결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절결부의 주연부에는 볼록부(21w 및 22w)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볼록부(21w 및 22w)는 밀접하고,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 근방의 전체 둘레에 접촉하는 볼록부(20w)를 구성한다. 제 12 실시 형태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볼록부(20w)는 센터 홀(100h)에서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측으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볼록부(21w 및 22w)에는 돌기(35 및 36)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35 및 36)의 상면은 볼록부(21w 및 22w)의 상면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디스크(100)를 유지하기 위해서, 제 1 셔터(21)는 디스크 유지부(21b)를 갖고, 제 2 셔터(22)는 디스크 유지부(22a 및 22b)를 갖고 있다. 이들 디스크 유지부는 제 8 내지 제 19 실시 형태에 설명한 디스크 유지부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한다. 제 8 내지 제 19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셔터(21)에는 디스크 유지부(21a)도 설치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셔터(21)는 디스크 유지부(21a)로 대체해서, 볼록부(27a)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27a)는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카트리지 하체(11)의 측면에 도달한 처킹 개구부(11h)에서 디스크(100)의 측면이 노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는 일직선상에 있어서 접촉하는 것은 아니고, 직선상에 없는 복수의 접합면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접합면(21f 및 22f)은 대략 디스크 카트리지(320)의 대칭 중심선상에 위치하고 있지만, 접합면(21g 및 22g)은 대칭 중심선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여기서는 약 15° 내지 18°만 어긋난 직선상에서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한 효과는 제 1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 1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합면(21g 및 22g)은 디스크(100)의 두께 방향에서 중첩하고 있다.
이하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는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e 및 25f)에 결합하는 안내 홈(27e 및 28f)을 갖고 있다.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e 및 25f)가 뚫고 나가도록, 안내 홈(27e 및 28f)은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를 관통하고 있다.
회전 부재(25)는 측벽(25j)과 측벽(25i)의 바닥부에 설치된 디스크 받이부(25a)를 포함한다. 측벽(25i)은 수납된 디스크(100)의 측면을 둘러싸는 사이즈와 형상을 갖춘 원통형을 갖고, 절결부(25d, 25g 및 25h)에 의해서 분단되어 있다. 디스크 받이부(25a)는 평평한 링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일부에 절결부(25c)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회전 부재(25)가 회전하고, 절결부(25c)가 헤드 개구부(11h)와 중첩된다. 절결부(25d)의 근방에는 실드 부재(24)를 가동시키기 위한 돌기(25m)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받이부(25a)의 하면에는, 디스크 하체(11)측으로 돌출한 볼록부(25e 및 25f)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벽(25i)의 외측에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셔터 개폐 기구와 결합하는 조작부(25j)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를 갖춘 셔터 개폐 기구와 결합하기 위해서, 조작부(25j) 대신에 기어를 측벽(25i)의 외측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실드 부재(24)는 카트리지 상체(12)의 측벽(12i)의 절결부(129) 부분에 배치된다. 실드 부재의 구조 및 동작은 이하에 있어서 상술한다.
각 구성 부재는, 도 10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하 관계를 유지하여 조립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카트리지 하체(11)에 배치되어, 이것들의 위에서 회전 부재(25)가 위치하도록, 카트리지 하체(11)와 카트리지 상체(12)가 접합된다.
도 105는 카트리지 상체(12)를 제거한 디스크 카트리지(320)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6은 도 105의 F-F 선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는 폐쇄 상태에 있다.
도 10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25)의 절결부(25d)의 위치에서 제 2 셔터(22)의 디스크 유지부(22a)가 디스크(100)를 유지하고 있다. 또, 회전 부재(25)의 절결부(25g 및 25h)의 위치에서, 제 1 셔터(21)의 디스크 유지부(21b) 및 제 2 셔터(22)의 디스크 유지부(22b)가 각각 디스크(100)를 유지하고 있다.
회전 부재(25)의 조작부(25j)는 카트리지 하체(11)에 설치된 개구(11r)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에 설치된 돌기(35 및 36)는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내로 돌출하고 있다. 회전 부재(25)의 회전 중심은 디스크(100)의 중심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고, 회전축의 중심으로서 회전될 수 있도록 디스크 수납부 내에 배치된다.
또한,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회전축(37 및 38)은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받이부(25a)의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도 10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25)의 측벽(25i)의 상면과 카트리지 상체(12)의 상면(12d)과의 사이에는 공극이 거의 없기 때문에, 회전 부재(25)의 상하 방향에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회전했을 때에 회전축(37 및 38)이 카트리지 하체(11)에 설치된 회전 이동 구멍(39)으로부터 부상되어 분리되어 버리는 것을 회전 부재(25)가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0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받이부(25a)의 상면(25k)에는 경사가 붙여지고 있기 때문에, 디스크(100)는 디스크 받이부(25)의 상면(25K)의 측벽(25i) 근방에만 접한다. 이러한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회전 부재(25)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디스크 받이부(25a)의 링의 폭을 크게 하더라도, 상면(25K)은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의 외주 근방에만 접하게 되어, 신호 기록 영역과 디스크 받이부(25a)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디스크 받이부(25)의 디스크(100)와 접하고 있는 부분에서의 상면의 위치는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볼록부(21w 및 22w)의 상면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다음에,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디스크 유지 동작 및 개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7은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제 1 셔터(21), 제 2 셔터(22) 및 회전 부재(25)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08은 도 107의 G-G 선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9는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제 1 셔터(21), 제 2 셔터(22) 및 회전 부재(25)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10은 도 107의 H-H 선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7 및 도 109에 있어서, 디스크(100)는 이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되어 있을 때, 도 10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부(21b, 22a 및 22b)가 회전 부재(25)의 측벽(25i)에 설치되어 있는 절결부(25g, 25h 및 25d)에서 각각 디스크(100)의 중심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디스크(100)를 유지하고 있다. 도 10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부(22a 및 22b)에는 역테이퍼형 경사면(22a' 및 22b')이 설치되어 있고, 경사면이 디스크(100)의 제 1 면(100B)의 능선과 접하기 때문에, 디스크 유지부(22a 및 22b)는 디스크(100)를 디스크(100)의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디스크(100)를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방향으로도 가압한다.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 유지부(21b)도 동일한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의 외주 근방이 디스크 받이부(25a)와 접한다. 또한, 제 12 실시 형태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볼록부(21w 및 22w)가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B)의 센터 홀(100h) 근방과 접촉한다(도시되지 않음). 회전 부재의 디스크 받이부(25a)와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볼록부(21w 및 22w)에 의해,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의 신호 기록 영역은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신호 기록 영역에 먼지나 티끌이 부착하는 것이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신호 기록 영역에 손상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에 설치된 구멍(20h)은 대략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과 거의 동일한 크기이다. 이 때문에,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하여 디스크 카트리지(320)를 배면 방향의 상태에서 방치해도,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의 어떤 부분도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로부터 노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에 먼지나 티끌이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셔터 개폐 기구와 조작부(25j)를 결합시켜, 조작부(25j)를 화살표(25A)에서 도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조작에 의해, 회전 부재(25)가 디스크 수납부 내에서 회전하기 시작하고, 동시에 돌기(25e 및 25f)도 디스크(100)의 중심을 회전축으로서 회전하기 시작한다. 돌기(25e 및 25f)는 안내 홈(27e 및 28f)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25e 및 25f)의 회전에 수반하여, 돌기(25e 및 25f)는 안내 홈(27e 및 28f)의 측벽을 가압하면서, 안내 홈(27e 및 28f)중을 각각 화살표(27E 및 28F)의 방향으로 진행하여 간다. 돌기(25e 및 25f)에 안내 홈(27e 및 28f)의 측벽이 가압되는 것에 의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는 회전축(37 및 38)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화살표(21A 및 22A)의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또한, 디스크 유지부(21b)도 회전축(37)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21A)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디스크 유지부(22a 및 22b)는 화살표(22A)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디스크 유지부(21b, 22a 및 22b)는 디스크(100)로부터 분리되고, 디스크(100)를 해방한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개방 동작에 수반하여,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에 설치된 돌기(35 및 36)도 화살표(21A 및 22B)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디스크(100)는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돌기(35 및 36)는 신호 기록면(100A)의 100e에서 도시되는 비신호 기록 영역과 접촉한다. 돌기(35 및 36)는 볼록부(21w 및 22w)보다도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신호 기록면(100A)과 돌기(35 및 36)가 접촉함으로써, 볼록부(21w 및 22w)는 신호 기록면(100A)에서 비접촉의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서, 볼록부(21w 및 22w)가 신호 기록면(100A), 특히 신호 기록 영역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25)의 회전이 진행하면, 볼록부(25e 및 25f)는 안내 홈(27e 및 28f)의 단부에 도달한다. 이때,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는 헤드 개구부(11h) 및 처킹 개구부(11c)를 완전하게 개방하여,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개방 상태가 된다.
이때,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받이부(25a)에 설치된 절결부(25c)는 헤드 개구부(11h)와 중첩되어 있고, 헤드 개구부(11h)에는 디스크 받이부(25a)가 돌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완전하게 개방한 상태에서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헤드가 디스크(100)에 충분히 근접할 수가 있어, 헤드의 디스크(100)에의 억세스가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도 109 및 도 1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개방 상태로 되어도,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돌기(35 및 36)는 신호 기록면(100A)의 비신호 기록 영역(100e) 내에서 디스크(100)와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돌기(35 및 36)가 신호 기록 영역에 접촉하여, 손상을 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를 폐쇄할 때에는, 상기 동작과 역의 동작을 한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폐쇄 동작이 진행함에 따라서, 디스크 유지부(21b, 22a 및 22b)가 디스크(100)에 근접하고, 디스크(100)를 유지하는 동작은 제 8 내지 제 1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상술하고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실드 부재(24)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드 부재(24)는, 측벽부(24d)와 측벽부(24d)에 설치된 한쌍의 회전축(24b)을 갖는다. 측벽부(24d)의 선단에는 제 1 접촉부(24a)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접촉부(24a)는 디스크(100)의 외측면에 접촉해야 하기 때문에, 제 1 접촉부(24a)는 디스크(100)의 외측면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24d)의 이면은 제 2 접촉부(24f)로 되어 있다. 각 회전축(24b)의 근방에는 아암부(24c)가 설치되고, 그 선단에 제 3 접촉부(24e)를 갖고 있다.
도 1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드 부재(24)는 카트리지 상체(12)의 상면(12d)과 회전 부재(25)의 측벽(25i)과의 사이에 회전축(24b)이 위치하도록 유지되어, 화살표(24A)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4b)을 축으로서 요동할 수 있다. 한쌍의 회전축(24b)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은 디스크(100)의 접선에 대하여 평행 하며, 또한 디스크의 제 1 면(100B)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13 및 도 114는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실드 부재(24)의 단부 및 중앙부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들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25)에 설치된 볼록부(25m)가 실드 부재(24)의 제 2 접촉부(24f)와 접촉하고, 제 1 접촉부(24a)가 디스크(100)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측벽부(24d)를 디스크(100)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때문에, 디스크 받이부(25a)의 절결부(25c)(도 104)로부터 먼지나 티끌이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으로 돌아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디스크 받이부(25a) 및 실드 부재(24)가 디스크(100)의 외주에 연속하여 접촉하고, 신호 기록면(100A)으로 먼지나 티끌이 돌아 들어가는 것을 완전히 방지한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를 개방하기 위해서, 회전 부재(25)를 회전시키면,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m)가 실드 부재(24)로부터 분리되어 가기 때문에, 실드 부재(24)는 디스크(100)측으로 가압되어 없어진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개방이 진행하여, 회전 부재(25)가 더욱 회전하면, 회전 부재(25)의 측벽(25i)의 외측면이 실드 부재(24)의 제 3 접촉부(24e)와 접촉하여, 측벽부(24d)를 디스크(100)의 외측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도 115 및 도 116은 이 상태를 도시하는 실드 부재(24)의 단부 및 중앙부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5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스크(100)의 외측면은 실드 부재(24)의 제 1 접촉부(24a)에서 분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디스크(100)는 디스크 수납부 내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실드 부재(24)는 회전 부재(25)와 연동하여 요동함으로써, 디스크(100)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상태 및 디스크(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디스크(100)의 외측면에서 이격하는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디스크의 라벨면(100B)을 디스크 카트리지로부터 노출시켜, 디스크 카트리지 전체의 의장을 우수한 것으로 하는 동시에, 디스크 카트리지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25)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셔터의 폐쇄시에는 디스크 유지부(21b, 22a 및 22b)에 의해서 디스크(100)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25)에 설치한 디스크 유지부(25a),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에 설치한 볼록부(21 및 22w), 및 회전 부재(25)와 연동하는 실드 부재(24)에 의해서, 디스크(100)가 유지된 상태에서는, 디스크(100)의 라벨면(100B)이 노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에 먼지나 티끌이 부착하거나, 신호 기록면(100A)에 손상이 나거나 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부재(25)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부(25j)를 헤드 개구부가 설치된 측면에 인접하는 쪽면에서 조작하도록 개구(11r)를 설치하고 있다지만, 디스크 카트리지의 다른 측면에서 조작부를 조작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조작부를 복수 설치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조작부(25J)를 제 1 조작부로 하여, 헤드 개구부(11h) 내에 제 2 조작부가 위치하도록, 회전 부재(25)의 측벽(25i)에 제 2 조작부가 되는 돌기 등을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는, 도 10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셔터(22)의 디스크 유지부(22a) 근방에 제 2 조작부가 되는 돌기 등을 설치하여, 제 2 셔터(22)를 직접 조작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 2 셔터(22)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 부재(25)가 회전하여, 회전 부재(25)에 연동하여 제 1 셔터(21)가 이동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드 부재(24)를 이용하여, 디스크 받이부(25a)에 형성된 절취 부분(25c)에서 먼지 등이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드 부재(24)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절취 부분(25c)에서 침입할 수 있는 먼지를 방지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17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 상체(12)의 측벽(12i)에 설치된 절결부(12g)의 부분에 측벽(12i)을 연속하여 설치하여, 절결부(12g)를 폐쇄한다. 그리고, 절결부(12g)와 디스크(100)의 중심에 관해서 대칭이 되는 위치에 디스크 유지부(22b)를 제 2 셔터(22)(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다. 디스크 유지부(22b)는, 제 13 실시 형태의 디스크 유지부와 같이 디스크의 중심으로 향하여 가동되고, 또한 디스크 중심으로 향하여 가압되어 있는 것을 이용한다. 제 19 실시 형태의 디스크 유지부와 같이, 디스크 유지부의 디스크가 접촉하는 부분에 탄성 재료를 설치하고, 탄성에 의해서 디스크(100)를 디스크(100)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1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디스크 유지부(22b)를 이용하면, 디스크 유지부(22b)가 디스크(100)와 접촉하여 유지함으로써, 카트리지 상체의 측벽(12i)의 절결부(25c)가 설치된 영역에 디스크(100)의 외측면이 가압된다. 디스크 수납부와 디스크(100)의 크기는 거의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측벽(12i)의 곡률 반경과, 디스크(100)의 외측면의 곡률 반경도 대략 일치한다. 그 결과, 디스크(100)의 외측면은 카트리지 상체(12)의 측벽(12i)과 밀착하고, 디스크 받이부(25a)와 협동하여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으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실드 부재(24)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디스크 카트리지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제 21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 2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19는 디스크 카트리지(321)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디스크 카트리지(321)는 탈락 방지 부재(55)의 형상이 다른 점 및 카트리지 하체(11)에 취출 이력 홀(11n)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104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320)(제 20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따라서, 탈락 방지 부재(55) 및 취출 이력 홀(11n)을 이하에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55)는 카트리지 상체(12) 및 카트리지 하체(11)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본체의 헤드 개구부(11h)가 설치된 측면과 대향하는 쪽면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탈락 방지 부재(55)의 길이 방향의 일단 근방에는 회전축(55a)이 설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타단에는 돌기(55e)를 갖는 걸림부(55d)가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상체(12)에는, 탈락 방지 부재(55)의 회전축(55a)을 받는 회전 이동 구멍(12m), 걸림부(55d)가 삽입되는 개구(12p), 및 걸림부(55d)의 돌기(55e)를 받는 구멍(12n)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탈락 방지 부재(55)가 카트리지 상체(12)에 부착되었을 때, 탈락 방지 부재(55)의 상면이 카트리지 상체(12n) 상면(12d)과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회전 이동 구멍(12m) 및 개구(12p)를 포함하는 영역에 오목부(12k)를 설치하고 있다. 탈락 방지 부재(55)가 개구(12w)로 연장되고, 디스크(100)의 상측으로 돌출한 상태에 있을 때, 걸림부(55d)의 돌기(55e)는 구멍(12n)에 삽입되어, 탈락 방지 부재(55)가 고정된다.
카트리지 하체(11)에는 취출 이력 홀(11n)이 설치되어 있다. 도 120은 취출 이력 홀(11n) 근방의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취출 이력 홀(11n)에는 덮개 부재(56)가 설치되어 있고, 취출 이력 홀(11n)의 개구의 일부를 덮개 부재(56)가 피복하도록, 접속부(56a)가 덮개 부재(56)와 취출 이력 홀(11n)의 측면을 접속하고 있다. 덮개 부재(56)는 주상(핀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돌기(56b)가 설치되어 있다.
취출 이력 홀(11n)의 중심은 카트리지 상체(12)의 회전 이동 구멍(12m)의 중심 및 탈락 방지 부재(55)의 회전축(55a)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이하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56)와 탈락 방지 부재(55)는 결합되어 있어, 탈락 방지 부재(55)를 회전축(55a)의 주위에 회전시키면, 덮개 부재(56)를 축(56C)의 주위에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그 결과, 접속부(56)가 파단되어, 덮개 부재(56)가 카트리지 하체(11)로부터 분리되고, 취출 이력 홀(11n)의 개구가 완전하게 노출된다.
디스크 카트리지(321)가 제작될 때, 디스크(100V), 카트리지 상체(12)의 측벽(12i)에서 규정되는 디스크 수납부에 수납된다. 그 후, 디스크(100)를 디스크 카트리지(321)로부터 추출하려고, 탈락 방지 부재(55)를 회전시키면, 덮개 부재(56)가 분리되어, 취출 이력 홀(11n)의 개구가 노출한다. 일단, 덮개 부재(56)가 분리한 후는, 탈락 방지 부재(55)를 조작하여, 디스크(100)를 다른 종류의 디스크와 교환해도, 취출 이력 홀(11n)의 개구는 노출된 상태이다. 즉, 취출 이력 홀(11n)이 덮개 부재(56)로 폐쇄되어 있는 한, 디스크 카트리지(321) 내의 디스크(100)는 디스크 카트리지(321)가 제작되었을 때에 수납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취출 이력 홀(11n)이 개방하고 있는 경우에는, 디스크 카트리지(321) 내의 디스크(100)는, 디스크 카트리지(321)가 제작되었을 때에 수납된 것과는 상이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크 카트리지(321)를 장착하는 디스크 드라이브는 이 취출 이력 홀(11n)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기록·재생 동작의 제어에 이용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규격으로 기록·재생이 가능한 디스크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321)가 제조된 경우를 고려한다. 디스크 드라이브는 삽입된 디스크 카트리지(321)의 취출 이력 홀의 상태를 검출한다. 취출 이력 홀(11n)이 폐쇄되어 있으면,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 카트리지가 소정의 규격으로 기록·재생이 가능한 디스크를 수납하여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즉시 그 규격으로 기록 또는 재생의 동작을 한다. 한편, 취출 이력 홀(11n)이 개방하여 있으면,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의 종류가 기존에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 카트리지 내의 디스크가 어떠한 종류의 디스크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여러가지의 테스트 신호를 디스크에 조사하여 디스크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을 우선 행한다. 계속해서,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최적의 조건으로 디스크 헤드로 신호를 기록하고, 또한 디스크로부터 신호를 재생한다.
이하에, 탈락 방지 부재(55)의 구조 및 디스크(100)를 추출하여 다른 디스크와 교환하는 조작을 상술한다.
도 121은 탈락 방지 부재(55)가 디스크(100)의 상측에 돌출하여, 디스크(100)가 카트리지 상체(12)의 개구(12w)에서 디스크(10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 카트리지(321)는 보관되거나, 디스크 드라이브에 삽입되거나 한다. 도 121에 도시하는 J-J선 단면중, 회전축(55a) 근방의 구조를 도 122에 도시하고, 걸림부(55d) 근방의 구조를 도 123에 도시한다. 또한, 도 121에 도시하는 K-K선 단면의 구조를 도 124에 도시한다.
도 1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55)는 카트리지 상체(12)로부터 디스크 개구부(12)로 연장된 탈락 방지 부재(12s)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탈락 방지 부재(55)는 탈락 방지 부재(55)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장하고, 아치형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측면(55f)을 갖고 있다.
도 1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상체(12)에는 원통형의 호스(12q)가 형성되어 있고, 호스(12q)의 내측 공간이 회전 이동 구멍(12m)을 규정하고 있다. 탈락 방지 부재(55)의 회전축(55a)은 회전 이동 구멍(12m)에 삽입된다. 회전축(55a)이 회전 이동 구멍(12m)에서 빠지지 않도록, 회전축(55a)의 선단에는 돌기(55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55a)의 내측에는 취출 이력 홀(11n)의 개구와 동일한 정도의 개구를 단면으로 하는 내공간이 설치되어 있고, 그 속에 덮개 부재(56)가 수납된다. 덮개 부재(56)의 돌기(56b)는 탈락 방지 부재(55)에 설치된 오목부(55b)에 결합되어 있다. 탈락 방지 부재(55)의 회전축(55a)의 중심은 덮개 부재(56)의 회전축(56C)과 일치하고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56)와 취출 이력 홀(11n)의 측면은 접속부(56a)에서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56a)는 카트리지 하체(11)에 비해서 희미해지고 있다.
도 1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55)의 단부에 설치된 걸림부(55d)는 카트리지 상체(12)의 개구(12p)에 삽입되고, 카트리지 상체(12)의 이면에 접하고 있다. 걸림부(55d)의 선단에는 돌기(55e)가 설치되어 있고, 카트리지 상체(12)의 구멍(12n)에 결합하고 있다. 돌기(55e)를 화살표(55A)의 방향으로 눌렀을 때, 걸림부(55d)의 일부가 탄성 변형하도록, 영역(55f)의 두께를 작게 하고 있다. 또, 탈락 방지 부재(55)의 걸림부(55d) 및 카트리지 상체(12)의 개구(12p)의 측면에는 서로 결합하는 단차(55g 및 12o)가 설치되고, 탈락 방지 부재(55)를 회전시켰을 때에, 걸림부(55) 근방이 카트리지 상체(12)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디스크(100)를 디스크 카트리지(321)로부터 추출하는 경우, 도 123 및 도 1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상체(12)의 구멍(12n)에 결합하고 있는 돌기(55e)를 화살표(55A)의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탈락 방지 부재(55)를 도 121에 도시하는 화살표(55B)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도 1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55d)의 영역(55f)이 탄성 변형하여, 돌기(55e)의 선단이 카트리지 상체(12)의 이면에 설치된 경사면(12v)에 접촉하면서, 걸림부(55d)가 이동한다. 카트리지 상체(12)의 이면에 경사면(12v)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55d)는 경사면(12v)에 따라서 큰 가압을 부여하지 않더라도 도 124의 파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걸림부(55d)의 영역(55f)에 발생한 탄성 변형이 복원하도록, 이 위치에서 돌기(55e)의 선단은 구멍(12n)에 결합하고 있었던 때의 돌기(55e)의 선단과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이때, 도 1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55)는 회전축(55a)의 중심(55C)의 주위를 화살표(55B)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회전축(56C)을 중심으로 하여, 덮개 부재(56)를 화살표(55B)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여, 접속부(56a)가 파단되어, 덮개 부재(56)가 분리한다.
도 125는 탈락 방지 부재(55)의 이동이 완료하여, 디스크(100)를 추출할 때의 위치로 탈락 방지 부재(55)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 1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55d)는 카트리지 상체(12)의 측면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이 이상 탈락 방지 부재(55)를 화살표(55B)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할 수 없다.
도 1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55)의 일부는 디스크 개구부(12w) 내에 돌출하고 있지만, 디스크(100)를 탈락 방지 부재(12s)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따라, 탈락 방지 부재(55)가 디스크(100)의 상측에는 돌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에 손가락을 넣어, 탈락 방지 부재(55) 근방에서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상체(12)로부터 부상시켜, 디스크(100)를 디스크 카트리지(321)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도 125에 도시하는 J-J선 단면의 회전축(55a) 근방과 걸림부(55d) 근방의 구조를 각각 도 126 및 도 127에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55)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덮개 부재(56)가 분리한다. 이 때문에, 도 1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55)의 이동이 완료하면, 취출 이력 홀(11n)은 완전하게 개방한 상태가 된다. 또, 도 1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55d)의 돌기(55e)는 카트리지 상체(12)에 설치된 오목부(12r)에 결합되기 때문에, 걸림부(55d)의 영역(55f)의 탄성 변형이 복원한다.
디스크(100)를 취출하고, 다른 디스크(100)를 디스크 카트리지(321)에 수납한 후, 탈락 방지 부재(55)를 화살표(55B)와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탈락 방지 부재(55)가 도 121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되돌아가면, 걸림부(55d)의 돌기(55e)가 카트리지 상체(12)의 구멍(12n)과 결합하여, 탈락 방지 부재(55)는 카트리지 상체(12)에 대하여 고정된다.
디스크(100)를 다시 교환하는 경우에는, 상술의 조작과 동일하게 하여 탈락 방지 부재(55)를 조작하면 좋다. 단, 덮개 부재(56)는 이미 분리하여 있기 때문에, 탈락 방지 부재(55)의 회전 이동에 수반하여 덮개 부재(56)가 분리하는 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탈락 방지 부재(55)의 측면(55f)이 아치형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있다. 이 때문에, 탈락 방지 부재(55)를 크게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탈락 방지 부재(55)가 디스크(100)의 상측에 돌출하지 않는 상태를 취할 수 있고, 탈락 방지 부재(55)의 회전 각도가 작기 때문에, 탈락 방지 부재(55)의 걸림부(55d)가 카트리지 상체(12)와 접촉하여, 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100)를 추출할 때에도, 탈락 방지 부재(55)의 양단을 카트리지 상체(12)와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탈락 방지 부재(55)가 기계적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100)를 추출할 때에, 디스크 카트리지(321)를 잘못 낙하시키거나, 조작자가 강한 힘으로 탈락 방지 부재(55)를 조작하여도, 탈락 방지 부재(55)가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락 방지 부재(55)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동시에 취출 이력 홀이 개방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조작자가 이력 홀의 발톱형상부를 부러트릴 필요가 없게 된다.
본 실시 형태로서는 덮개 부재(56)는 주상으로 성형되어 있지만, 취출 이력 홀(11n)중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도록 카트리지 하체(11)에 접속되어, 탈락 방지 부재(55)의 회전에 연동하여 분리하는 것이면, 덮개 부재(56)는 다른 형상을 갖추고 있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취출 이력 홀(11n)의 개구부에 설치된 손톱과, 탈락 방지 부재(55)와 손톱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탈락 방지 부재(55)의 회전에 수반하여 손톱을 파손하는 것과 같은 보조 부재로 이루어지는 덮개 부재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탈락 방지 부재(55)를 디스크(100)와 평행하게 회전시켜, 디스크(100)의 탈락을 방지하는 상태와 디스크(100)를 추출하는 상태를 취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탈락 방지 부재(55)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좋다.
도 128 및 도 129는 평행하게 이동하는 탈락 방지 부재(57)를 나타내고 있다. 탈락 방지 부재(57)도 그 길이 방향에 따른 측면(57f)이 아치형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도 128은 디스크를 유지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탈락 방지 부재(57)의 일부를 디스크(100)의 상측에 돌출시키고 있다. 디스크(100)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탈락 방지 부재(57)를 도 1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과 수직인 화살표(57A)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탈락 방지 부재(57)의 측면(57a)에는, 카트리지 상체(12)와 결합하는 볼록부나 오목부 등을 설치하여, 탈락 방지 부재(57)가 카트리지 상체(12)로부터 분리되기 어렵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락 방지 부재(57)의 측면(57f)도 아치형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기 때문에, 탈락 방지 부재(57)를 약간 이동시킬 뿐이고, 탈락 방지 부재(57)가 디스크(100)의 상측에 돌출하지 않는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탈락 방지 부재(57)의 대부분을 카트리지 상체(12)에 접촉시킨 채로, 디스크(100)를 추출할 수 있어, 디스크 교환시에 탈락 방지 부재(57)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0 및 도 131에 도시하는 탈락 방지 부재(58)는 그 길이 방향의 양단에 설치된 회전축(58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 경우, 탈락 방지 부재(58)가 카트리지 상체(12)에 접촉한 도 130에 도시하는 배치를 취하도록, 스프링 등에 의해서 탈락 방지 부재(58)를 가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락 방지 부재(58)는 도 131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탈락 방지 부재(58)도 그 길이 방향에 따른 측면(58f)이 아치형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기 때문에, 디스크(100)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도 130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약간 탈락 방지 부재(58)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좋다.
탈락 방지 부재(57) 및 탈락 방지 부재(58)를 디스크 카트리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탈락 방지 부재(57)의 슬라이드 동작 및 탈락 방지 부재(58)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덮개 부재가 분리하는 기구를 채용해도 된다. 또는, 취출 홀을 피복하는 덮개 부재는 탈락 방지 부재(57) 및 탈락 방지 부재(58)와는 연동하지 않고, 조작자가 덮개 부재를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탈락 방지 부재(57)의 슬라이드 동작 및 탈락 방지 부재(58)의 회전 동작이 가능해지는 것 같은 기구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제 22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 2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32는 디스크 카트리지(322)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133은 도 132에 도시하는 L-L선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322)는 도 117 및 도 1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크 카트리지와 마찬가지로, 실드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서 디스크 받이부(25a)에 설치된 절결부(25c)에서 침입할 수 있는 먼지를 방지한다. 도 132에 있어서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디스크 카트리지(322)는 제 20 및 제 2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제 1 셔터(21), 제 2 셔터(22), 회전 부재(25) 및 탈락 방지 부재(55)를 구비한다. 이들의 부재는 제 20 및 제 2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도 104 및 도 119에 도시하는 제 20 및 제 21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상체(12)의 측벽(12i)에는 절결부(12g)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결부(12g)의 위치는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 디스크 받이부(25a)에 설치된 절결부(25c)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22)에서는, 절결부(12g)의 부분에도 연속하여 측벽(12i)을 설치한다. 또한, 도 1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12g)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디스크(100)가 접하는 부분에 측벽(12i')을 설치한다.
측벽(12i)은 디스크 개구부(12w)를 규정하기 때문에, 디스크(100)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측벽(12i')은 도 1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와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고 있다. 도 1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12i)이 형성하고 있는 원통의 중심은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인 점(C1)에 일치한다. 이것에 대하여, 측벽(12i')의 곡면의 중심은 점(C2)에 일치하고 있다. 점(C2)은 점(C1)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또, 회전 부재(25)의 측벽(25i)은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인 점(C1)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모양을 갖고 있고, 점(C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또한, 디스크(100)의 중심이 점(C2)에 일치하는 위치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부(22b)는 디스크(100)를 유지한다. 도 132에서는, 디스크 유지부(22b)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 유지부(21b, 22a)도 협동하여 디스크(100)의 중심이 점(C2)에 일치하도록 디스크(100)를 유지한다. 이 위치에서,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면(이면)에 접촉하지 않고 디스크 받이부(25a)가 디스크(100)를 받기 위해서, 디스크 받이부(25a)의 위치도 점(C1)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점(C1)과 점(C2)과의 거리는 측벽(12i)이 형성하고 있는 원통의 반경과 디스크(100)의 반경에 따라 좌우된다. 디스크(100)의 직경이 5인치인 경우, 점(C1)과 점(C2)과의 거리는 약 0.5㎜ 내지 약 1.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보다도 거리가 작은 경우, 디스크 카트리지(322)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삽입하고 디스크(100)를 회전시킬 때에 디스크(100)의 면접촉 등에 의해, 디스크(100)가 측벽(12i)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점(C1)과 점(C2)과의 거리가 약 1.5㎜보다 큰 경우, 디스크(100)와 디스크 수납부의 측벽(12i)과의 간극이 과도하게 크게 되어, 간극에 퇴적하는 먼지나 티끌이 많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 136은 도 132의 L-L선 단면의 디스크 유지부(22b) 근방을 나타내고 있다. 제 20 실시 형태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디스크 받이부(25a)의 상면(15K)에는 경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100)는 디스크 받이부(25)의 상면(15k)의 측벽(25i)(도시하지 않음) 근방에만 접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측벽(25i)의 근방에서는 디스크 받이부(25a)의 상면(25k)은 카트리지 하체(11)와 평행하게 되어 있고,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도시하지 않음)가 디스크(100)를 유지할 때, 이 부분에서 디스크(100)와 디스크 받이부(25a)는 접한다. 디스크 받이부(25a)와 디스크(100)가 접촉하는 영역(25b)의 내주는 선(25n)에 의해 규정된다.
도 1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받이부(25a)의 영역(25b)은 절결부(25c)가 설치된 부분을 제외하고, 디스크(100)의 외주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영역(25b)의 내주(25n)는 점(C2)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영역(25b)의 외주는 디스크(100)의 외주에 의해 규정된다. 따라서, 영역(25b)은 점(C2)을 중심으로 하는 2개의 동심원에 의해서 끼워지는 링형의 영역이기 때문에, 절취부(25c)와 중첩되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이 된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도시하지 않음)를 폐쇄하여,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도시하지 않음)에 디스크(100)가 유지될 때, 디스크(100)의 중심은 점(C2)에 위치한다. 또한, 디스크(100)와 측벽(12i')과의 곡률 반경은 동일하기 때문에, 디스크(100)의 측면은 절결부(129)가 설치되어 있었던 위치에서 측면(12i')과 완전하게 밀착한다. 즉, 디스크(100)의 외측면이 측벽(12i')과 접촉하여 디스크가 유지되도록,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가 유지하는 디스크의 중심의 위치가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있다.
한편,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도시하지 않음)가 폐쇄 상태에서는, 디스크 받이부(25a)와 디스크가 접촉하는 영역(25b)의 내주도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있다. 이에 의해,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면(이면)은 그 외주 근방에서 디스크 받이부(25a)와 접하여, 디스크 받이부(25a)가 없는 절결부(25c)에서는 디스크(100)의 측면이 측벽(12i')과 밀착한다.
한편, 디스크 홀(100h)의 근방에서는 제 20 실시 형태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디스크(100)는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에 설치된 볼록부(21w 및 22w)와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 영역은 완전하게 외부로부터 차단되어, 먼지가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 영역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36 및 도 1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22)에 있어서, 제 2 셔터(22)의 디스크 유지부(22b)가 설치된 바닥부에는 테이퍼(26c)가 설치되고, 카트리지 하체(11)의 디스크 유지부(22b)가 위치하는 영역에는 오목부(11x)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100)의 두께나 직경이 변동되어 있고, 규격치보다도 약간 큰 경우에는, 도 1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셔터(22)가 카트리지 하체(11)의 오목부(11x) 단에 위치하는 영역(26b)에서 탄성 변형한다. 이 때문에, 디스크 유지부(22b)의 경사부(22b')가 확실하게 디스크(100)의 외주의 능선에 접촉하여,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디스크(100)를 덜걱거림이 없이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에 의해서, 디스크 유지부(22b)가 디스크(100)를 그 중심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이것에 의해서, 도 132 및 1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는 측벽(12i')으로 가압되어, 디스크(100)의 측면의 측벽(12i')에의 밀착이 높아진다. 그리고,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 영역에 먼지가 부착하는 것을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크(100)의 두께 및 직경의 변동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디스크(100)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두께 및 직경이 규격 범위의 중앙값으로 되어 있는 디스크(100)를 유지했을 때에, 도 1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셔터(22)가 약간 탄성 변형하도록 설계하여, 두께 및 직경이 규격치의 하한값으로 되어 있는 디스크(100)를 유지했을 때에는, 도 1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셔터(22)가 거의 탄성 변형하지 않도록 설계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드 부재(24)를 이용하지 않고서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 영역에 먼지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드 부재(24)나 실드 부재를 회전 부재(25)와 연동시키는 구조가 불필요해져, 디스크 카트리지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제 23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 2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와 상이하고, 디스크의 한면을 노출시켜 디스크를 수납한다. 이 때문에, 디스크 카트리지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디스크의 라벨면에 기록된 의장을 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 전체의 디자인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크의 한면이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자가 디스크의 라벨에 접촉될 수 있고, 조작자의 사용 형태에 따라서는, 부주의하게 라벨면을 가압하여 부착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에 손상이 나거나, 디스크가 변형하거나 하지 않도록, 디스크 카트리지는 디스크를 유지해야 한다. 이 때문에, 디스크를 어떻게 유지하면,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에 손상 등을 가하는 일없이, 확실하게 신호 기록면을 보호할 수 있을까 검토를 했다.
도 138은 디스크(100)를 디스크 받이부 등의 유지 구조(59)에 의해서 유지하는 경우에, 디스크(100)가 조작자에 의해서 가압되더라도 신호 기록 영역(100d)이 유지 구조(59)에 접촉하여 손상이 나는 일이 없도록 신호 기록 영역(100d)의 아래쪽으로 설치해야 되는 공간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38에서는 공간을 규정하는 유지 구조(59)의 특징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부분의 치수를 과장해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도면중의 세로와 가로와의 치수의 비율은 실제의 비율과 상이하다.
디스크(100)의 아래쪽으로 공간을 충분히 취할 수 있는 경우에는, 디스크(100)가 어떤 것과 같이 휘어져도, 디스크(100)의 최대 휨량에 해당하는 공간을 확보하면 좋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작하면, 그 두께는 커져 버린다. 디스크의 아래쪽으로 설치해야 되는 공간을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디스크(100)의 휨만이 가능한 한 작아지도록, 디스크(100)를 유지해야 한다. 그로 인해, 신호 기록 영역(100d)에 가능한 한 가까운 부분에서 디스크(10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구조(59)는 디스크(100)의 중심에서 Rin까지의 부분 및 디스크(100)의 중심에서 Rout보다 외측에서,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을 유지한다. 여기서 Rin은 신호 기록 영역(100d)보다 디스크(100)의 중심측의 신호 기록 영역(100d)에 근접한 점에서 디스크(100)의 중심까지의 거리로 한다. 또한, Rout을 신호 기록 영역(100d)보다 디스크(100)의 외측의 신호 기록 영역(100d)에 근접한 점에서 디스크(100)의 중심까지의 거리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Rin을 규정하는 점 및 Rout을 규정하는 점은 신호 기록 영역(100d)에 가능한 한 근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100)의 직경이 5인치(반경 60㎜)인 경우, Rin은 20㎜이며, Rout는 59㎜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 기록 영역(100d)에 손상이 나지 않도록 설치해야 되는 공간(69b)은 이하와 같이 결정된다. 우선, 공간(69b)의 높이(깊이)를 S로 한다. 그리고, 신호 기록면(100A) 상의 반경 Rout의 원주(69d), 신호 기록면(100A)에서 평행하게 거리 0.3S만큼 떨어진 평면상의 반경(Rout-1.2S)의 원주(69e) 및 신호 기록면(100A)에서 평행하게 거리 S만큼 떨어진 평면상의 반경(Rout-16.2S)의 원주(69f)를 규정한다. 원주(69d) 및 원주(69e)에 의해서 규정되는 원을 상면 및 하면으로 하는 원추대의 측면(59a)으로 하여, 원주(69e) 및 원주(69f)에 의해서 규정되는 원을 상면 및 하면으로 하는 원추대의 측면(59b)으로 한다.
또한, 디스크(100)의 중심에서 반경 Rin의 원을 저면으로 하여, 신호 기록면(100A)에서 높이(깊이)(S)의 원주의 측면(59d)으로 한다. 측면(59a 및 59b)에 의해서 규정되는 원추대의 영역으로부터 측면(59d)에 의해서 규정되는 원주의 내측의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신호기 영역(100d)의 아래쪽으로 설치해야 되는 공간(69b) 이다.
S의 값은 공간(69b)의 높이를 규정하기 위해서, S의 값이 크기 정도로 디스크(100)가 휘어도 신호 기록 영역(100d)에 손상이 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S의 값을 크게 하면, 디스크 카트리지가 두껍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얇은 디스크 카트리지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S의 값은 작을 수록 좋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조작자가 디스크(100)를 손으로 누르는 것에 따라 발생하는 정도의 디스크(100)의 휨은 S의 값이 1㎜이더라도 신호 기록 영역(100d)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한편, Rin보다 디스크(100)의 중심측의 영역에서, 디스크(100)의 클램프 영역(100e)은 유지 구조(250)와 접촉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다. 클램프 영역(100e)은 디스크(100)를 기록/재생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턴테이블이나 클램퍼가 접촉한다. 이 영역에 손상이 나거나, 먼지가 부착하고 있으면, 디스크(100)를 확실하게 처킹할 수 없기 때문이다. 클램프 영역(100e)은 디스크의 중심과 일치하는 직경 22㎜ 및 33㎜의 2개의 동심원에 의해서 끼워지는 영역에 의해서 규정된다. 클램프 영역은 디스크(100)에 대하여 약간의 영역이기 때문에, 클램프 영역(100e)의 상측에서, 디스크(100)를 조작자가 억제하더라도, 디스크(100)는 거의 휘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클램프 영역(100e) 전체에 접하는 공간(69a)이 형성되어 있으면, 그 공간(69d)의 높이(깊이)는 어떠한 값이라도 괜찮다.
도 139는 S의 값을 1㎜로서 상술의 공간(69b)을 형성하여, 공간(69b) 상에 배치한 디스크(100)에, 공간(69b) 측으로 디스크(100)를 억제하여 붙이는 힘을 가한 때의 디스크(100)의 변형의 모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실험의 결과로부터, 조작자가 디스크(100)를 손으로 억제하여 붙이는 힘은 3㎏을 넘는 것은 없는 것이 알았다. 또한, 이때에도, 디스크(100)의 휨은 공간(69b) 내에 충분히 들어가는 정도이고, 측면(59a 및 59b)에 휜 디스크(100)가 접촉하는 것도 없었다.
공간(69b)은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 영역(100d)에 손상이 나지 않기 위한 필요 최소한 정도의 영역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공간(69b)을 포함하는 보다 큰 영역을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 영역(100d)의 아래에 형성해도 된다. 도 140 및 도 1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59a 및 59b)을 넘어서 공간(69b)을 형성해도 된다. 그러나, 디스크(100)를 유지하는 유지 구조(59)의 디스크(100)의 외주를 유지하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외주를 유지하는 부분에 인접하여 보강 부분(59' 또는 59'')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59a 및 59b)은 이러한 보강 부분(59' 및 59'')을 어떠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허용되는 가를 판단하는 이상으로 유용하다.
상기 검토에 기초하여 설계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2는 디스크 카트리지(322)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143은 도 142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144는 디스크 카트리지(323)를 분해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디스크 카트리지(322)에 있어서, 제 20 내지 제 22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323)는 제 2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실드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상체(12)의 측벽(12i)에 접촉시켜 디스크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42 및 도 1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 카트리지(323)는 제 1 셔터(21)의 디스크 유지부(21b) 및 제 2 셔터(22)의 디스크 유지부(22a, 22b)에 의해서 디스크(100)를 유지한다. 이때, 디스크(100)의 측면은 회전 부재(25)의 절결부(25c)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카트리지 상체(12)의 측벽(12i)과 접한다. 또한, 디스크(100)의 중심은 점(C2)에 일치한다. 디스크(100)의 제 1 면(100A)과 균등하게 접하도록,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받이부(25a)와 디스크(100)가 접촉하는 영역의 내주는 점(C2)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 일치시키고 있다. 한쪽 회전 부재(25)의 측벽(25i)의 중심은 점(C1)에 일치하고 있다.
도 142 및 도 1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23)의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에 있어서, 디스크(100)의 센터 홀에 해당하는 구멍(20h)의 주위에 볼록부(21w 및 22w)로 이루어지는 볼록부(20w)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20w)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사이에 둔 위치에 볼록부(35d 및 36d)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35d 및 36d)의 상면의 높이는 볼록부(21w 및 22w)의 상면의 높이와 같다. 볼록부(35d 및 36d)는 셔터 폐쇄시에 연속한 볼록부(20d)로 되어,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 영역에 근접한 영역을 유지한다. 볼록부(20w)와 볼록부(20d)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는 공간(69a)을 규정하여, 디스크(100)를 유지할 때, 디스크(100)의 클램프 영역은 공간(69a)에 위치한다.
또한, 도 1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를 유지했을 때에, 디스크(100)의 아래쪽으로, 도 138에 도시하는 공간(69b)이 확보되도록, 볼록부(36d), 제 1 셔터(22) 및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받이부(25a)가 설계되어 있다. 도 143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볼록부(35d) 및 제 1 셔터(21)도 마찬가지로 설계되어 있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와 디스크(100)와의 간격은 1㎜ 이상으로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 받이부(25a)는 도 138에 도시하는 공간(69b)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공간(69b)의 측면(59a 및 59b)보다 아래쪽으로 위치하고 있어, 공간(69b)을 디스크 받이부(25a)가 가리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디스크(100)의 아래쪽으로 도 138에 도시하는 공간(69b)을 확보함으로써, 디스크 카트리지(323)에 수납된 디스크(100)를 조작자가 억제하는 일이 있더라도, 확실하게 디스크의 신호 기록 영역을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23)에는, 이외의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구성 부재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구조, 2종류의 탈락 방지 부재를 장착 가능한 구조 및 방진 기능을 높이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이하에 이것들의 구조를 설명한다.
우선, 구성 부재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 142 및 도 1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하여 있을 때, 디스크 유지부(21a, 22a, 22b)는 제 1 셔터(21)와 디스크 유지부(21b)와의 접속 부분의 휨에 의한 탄성력 및 제 2 셔터(22)와 디스크 유지부(22a, 22b)와의 접속 부분의 휨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디스크 유지부(21a, 22a, 22b)는 디스크(100)를 그 중심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힘이 이동한다.
그러나, 디스크 카트리지(323)를 낙하시키거나, 조작자가 디스크(100)의 면(100B)에 힘을 가하여, 디스크(100)를 카트리지내에서 움직이려고 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디스크 유지부(21a, 22a, 22b)에 디스크(100)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움직이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는 일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힘이 큰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셔터와 디스크 유지부(21a, 22a, 22b)와의 접속 부분이 파손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디스크 유지부(21b)와 제 1 셔터(21)의 접속 부분 및 디스크 유지부(22b)와 제 2 셔터(22)와의 접속 부분은 좁고, 도 142에 있어서, 화살표(21B 및 22B)에서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은 힘에 비해서 약하다.
이 때문에, 디스크 카트리지(323)에서는, 회전 부재(25)의 절결부(25g 및 25h)를 규정하는 쪽벽(12i)의 단면(65a 및 65b)이 디스크(100)의 반경 방향(화살표(21B 및 22B))으로 교차하고, 또한 디스크 수납부(10d)에 면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셔터 폐쇄시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부(21b, 22b)가 화살표(21B 및 22B)의 방향으로, 각각 소정량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단면(65a 및 65b)에 의해서 디스크 유지부(21b, 22b)의 이동을 규제시키고 있다.
단면(65a 및 65b)을 설치하는 것에 따라, 디스크 카트리지(323)가 낙하하거나, 조작자가 고의로 디스크 유지부(21b, 22b)를 움직이려고 하여도, 디스크 유지부(21b, 22b)가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 폐쇄시에 있어서, 어떠한 이유에 의해서,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려고 하는 디스크 유지부(21b, 22b)가 단면(65a 및 65b)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개방 동작이 방해된다. 따라서, 셔터 폐쇄시에 있어서,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덜걱거림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자가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를 개방시키고자 하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회전 이동 구멍(37 및 38)을 각각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려고 하기 때문에, 제 1 셔터(21)의 안내 홈(27e)의 측벽 및 제 2 셔터(22)의 안내 홈(28f)의 측벽이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e) 및 볼록부(25f)를 회전 이동 구멍(37 및 38)을 각각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25E 및 25F)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한다.
이때, 안내 홈(27e) 및 안내 홈(28f)이 화살표(25E 및 25F)로 연장되면, 화살표(25E 및 25F)의 방향으로 볼록부(25e) 및 볼록부(25f)가 각각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안내 홈(27e) 및 안내 홈(28f)내에 있으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가 덜걱거리는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셔터의 폐쇄시에 있어서, 볼록부(25e) 및 볼록부(25f)가 위치하는 안내 홈(27e) 및 안내 홈(28f)의 단부는 화살표(25E 및 25F)(즉, 볼록부(25e) 및 볼록부(25f)와 회전 이동 구멍(37 및 38)을 각각 연결하는 방향)와 대략 직교하는 화살표(27E 및 28F)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1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체(11)에는 볼록부(33b)가 설치되고, 회전 부재(25)에는 볼록부(25w)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33b) 및 볼록부(25w)는 어느 것이나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고 있다. 볼록부(33b)는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받이부(25a)의 이면과 접하고, 볼록부(25w)는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 하면(11u)에 설치된 오목부(33c)와 접한다. 볼록부(33b 및 25w)는 회전 부재(25)의 제 1 셔터(21) 또는 제 2 셔터(22)와 접하지 않는 영역에서 회전 부재(25)를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서, 회전 부재(25)의 제 1 셔터(21) 또는 제 2 셔터(22)와 접하지 않는 영역에서, 회전 부재(25)가 휘어서, 디스크(100)와 밀접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디스크 유지부(22a)는 제 1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 1 영역(122a) 및 제 2 영역(222a)을 포함하고, 제 1 영역(122a)은 제 2 영역(222a)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영역(122a)의 선단은 카트리지 상체(12)의 내측 상면에 설치된 오목하게 들어간 영역(12x)에 삽입되어 있다. 영역(12x)은 셔터가 개폐할 때에 제 1 영역(122a)의 선단이 통과하는 영역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도 142 및 도 1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가 개폐할 때, 디스크 유지부(22a)가 통과하는 영역에는 헤드 개구부(11h)가 설치되어 있고, 헤드 개구부(11h)는 카트리지 하체(11)의 측면에 도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 하체(11) 및 카트리지 상체(12)를 접합하여 카트리지 본체를 구성한 경우, 헤드 개구부(11h) 근방에서는 카트리지 본체로서의 강도를 카트리지 상체(12)만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323)에 의하면, 제 14 실시 형태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셔터를 폐쇄할 때, 디스크 유지부(22a)의 제 1 영역(122a)이 확실하게 디스크(100)를 파지할 수 있다. 또, 디스크 유지부(22a)의 제 2 영역(222a)은 낮기 때문에 카트리지 상체(12)의 내측 상면을 얇게 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서, 카트리지 상체(12)의 디스크 유지부(22a)가 통과하는 영역에서, 두께를 얇게 하지 않으면 안되는 영역을 작게 할 수가 있어, 헤드 개구부(11h) 근방에서 카트리지 본체 전체의 강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23)는 제 1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서 그 강성을 높이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도 145 및 도 1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는 구멍(20h)에 의해서 나누어지는 연속하지 않는 2개의 영역에서, 두께 방향에 중첩되도록 서로 접촉하는 접합 부분을 갖는다. 제 1 셔터(21)는 접합 부분(21g') 및 접합 부분(21f')을 갖고 제 2 셔터(22)는 접합 부분(22g') 및 접합 부분(22f')을 갖는다. 도 145의 N-N선 단면도를 도 146의 상측에 도시하고, 도 145의 O-O선 단면도를 도 146의 아래쪽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셔터(21)의 접합 부분(21g')과 제 2 셔터(22)의 접합 부분(22g')과의 접촉 영역에서는, 셔터의 폐쇄시에는, 셔터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제 1 셔터(21)의 접합 부분(21g')이 아래에 위치하고, 제 2 셔터(22)의 접합 부분(22g')이 위에 위치한다. 또한, 제 1 셔터(21)의 접합 부분(21f')과 제 2 셔터(22)의 접합 부분(22f')과의 접촉 영역에서는, 셔터의 폐쇄시에는 셔터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제 1 셔터(21)의 접합 부분(21f')이 위에 위치하고, 제 2 셔터(22)의 접합 부분(22f')이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셔터(22)의 접합 부분(21g')의 선단에는 접촉 영역에 따라서 볼록부(38c)가 설치되어 있고, 셔터의 폐쇄시에 볼록부(38c)와 결합하는 오목부(37c)가 제 1 셔터(2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셔터(22)의 디스크 유지부(22a)와 제 1 셔터(21)의 볼록부(27a)가 접촉하는 부분에서, 볼록부(27a)에는 돌기(37a)가 설치되고, 돌기(37a)와 결합하는 오목부(38a)가 디스크 유지부(22a)에 설치되어 있다. 돌기(37a)의 상측 부분에는 오목부(37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38a)의 상측 부분에는 오목부(37b)에 결합하는 볼록부(38b)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37a) 및 오목부(37b)는 제 1 셔터(21)의 제 3 접합 부분(37e)을 구성하고, 오목부(38a) 및 볼록부(38b)는 제 2 셔터(22)의 제 3 접합 부분(38e)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23)에서는,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접촉하는 부분을 2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영역에서 제 1 셔터(21)와 제 2 셔터(22)의 접합 부분을 셔터의 두께 방향에 중첩되도록 접촉시키고 있다. 또한, 2개의 영역에서 중첩의 상하 관계를 역전시키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서, 제 1 셔터(21)와 제 2 셔터(22)가 폐쇄할 때, 셔터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제 1 셔터(21)와 제 2 셔터(22)가 폐쇄된 상태에서 접합 부분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셔터의 접합 부분(21g') 및 제 2 셔터의 접합 부분(22g')에 오목부(37C) 및 볼록부(38C)를 각각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된 경우에는, 셔터의 덜걱거림 등에 따라서, 접합 부분(21g')과 접합 부분(22g')이 용이하게 분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제 1 셔터(21)와 제 2 셔터(22)와의 접합의 밀착 정도가 향상하고, 접합부 주변의 방진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셔터(21)의 제 3 접합 부분(37e) 및 제 2 셔터(22)의 제 3 접합 부분(38e)에 의해서, 셔터 폐쇄시에, 제 1 셔터(21)와 제 2 셔터(22)와의 접합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제 1 셔터의 접속 부분(21g') 및 돌기(37b)를 제 2 셔터의 볼록부(38b) 및 접합 부분(22g')에 끼우기 위해서, 셔터 폐쇄시에 제 1 셔터(21)와 제 2 셔터(22)와의 접합의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다음에, 2종류의 탈락 방지 부재를 장착 가능한 구조를 설명한다. 도 1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23)는 카트리지 상체(12)에 회전 이동 구멍(12m) 및 구멍(12m')을 구비하고 있고,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디스크(10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탈락 방지 부재(55) 및 탈락 방지 부재(55')의 어느 하나를 장착할 수도 있다. 탈락 방지 부재(55)는 제 21 실시 형태로서 설명한 디스크 카트리지(321)의 탈락 방지 부재(55)와 동일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회전축(55a)을 카트리지 상체(12)의 회전 이동 구멍(12m)에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탈락 방지 부재(55)는 회전축(55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1 실시 형태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탈락 방지 부재(55)의 일부를 디스크 개구부(12w)로 연장되어, 디스크(100)의 탈락을 방지하거나, 탈락 방지 부재(55)를 도 125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회전시켜, 디스크(100)를 취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탈락 방지 부재(55')는 회전축(55'a) 및 돌기(55'b)를 갖고 있다. 카트리지 상체(12)에 부착되는 경우, 탈락 방지 부재(55')의 회전축(55'a) 및 돌기(55'b)를 회전 이동 구멍(12m) 및 구멍(12m')에 각각 결합시켜 삽입한다. 탈락 방지 부재(55')와 카트리지 상체(12)가 2개소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탈락 방지 부재(55')는 가동하지 않고, 탈락 방지 부재(55')의 일부가 항상 디스크 개구부(12w)로 연장된다. 즉, 탈락 방지 부재(55')를 카트리지 상체(12)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디스크 카트리지(323)에 수납되는 디스크(100)를 추출하는 것은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55) 및 탈락 방지 부재(55')의 어느 것도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회전 이동 구멍(12m) 및 구멍(12m')을 결합 수단으로서 카트리지 상체(12)에 설치하는 것에 따라, 필요에 따라서 탈락 방지 부재(55) 또는 탈락 방지 부재(55')중 어느 하나를 카트리지 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100)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크 카트리지(323)와, 한번 수납된 디스크(100)는 취출할 수 없는 디스크 카트리지(323)를 탈락 방지 부재(55) 및 탈락 방지 부재(55')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또, 도 144에는 제 2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취출 이력 홀(11n) 및 덮개 부재(56)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들을 디스크 카트리지(323)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취출 이력 홀(11n) 및 덮개 부재(56)를 디스크 카트리지(323)에 설치하고, 탈락 방지 부재(55)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제 2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탈락 방지 부재(55)를 회전시켜 디스크(100)를 추출할 때에 덮개 부재(56)가 탈락한다. 이에 의해, 이력 홀(11n)의 개구가 완전하게 노출한다. 탈락 방지 부재(55)에 대신에 탈락 방지 부재(55')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탈락 방지 부재(55)를 회전시켜 디스크(100)를 취출할 수 없다. 따라서, 덮개 부재(56)가 취출 이력 홀(11n)의 개구를 덮은 상태로 된다.
다음에, 도 144, 도 145, 도 148 및 도 149를 참조하여, 방진 효과를 높이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 1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체(11)의 처킹 개구부(11c) 및 헤드 개구부(11h)의 주위에 볼록부(33a)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33a)는 도 145에 있어서는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45의 M-M선 단면도인 도 1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이면에는, 볼록부(33a)에 결합하도록 오목부(37d 및 38d)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는 카트리지 하체(11) 상을 이동한다. 이 때문에,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이면에 부착한 먼지 등은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이동에 수반하여, 카트리지내로 인입되기 쉽다. 이 구조에 의해서, 처킹 개구부(11c) 및 헤드 개구부(11h)에서 카트리지 하체(11)와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와의 사이에 들어가는 먼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형성하는 구멍(20h)의 근방이고,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서, 제 2 셔터(22)에는 볼록부(36a 및 36b)가 설치되고, 제 1 셔터(21)에는 볼록부(36a 및 36b)에 결합하는 오목부(35a 및 35b)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셔터(21)의 볼록부(36a 및 36b)는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될 때에 서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접합면에서 돌출하고 있다. 이에 의해, 구멍(20h)으로부터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에 의한 접촉면에 따라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8에 도시하는 공간(69b)을 디스크(100)의 아래쪽에 설치하기 때문에, 디스크(100)를 유지하는 디스크 받이부를 회전 부재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도 138에 도시하는 공간을 디스크(100)의 아래쪽에 설치하기 위해서, 다른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의 외주 단부를 유지하는 디스크 받이부(25a')를 카트리지 상체(12')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조이더라도, 도 138에 도시하는 공간(69b)이 디스크(100)의 아래쪽으로 형성되도록 디스크 받이부(25a') 및 제 1 셔터 및 제 2 셔터(22)의 형상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디스크(100)가 조작자에 의해서 가압되더라도, 신호 기록 영역이 셔터나 디스크 받이부에 접촉하는 것이 없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실현할 수 있다.
(제 24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 2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받이부(25a)에 먼지 등을 수집하여,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면(100A)에 먼지 등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홈을 설치한 점, 및 특히 디스크 카트리지가 수직으로 유지되었을 때라도 확실하게 디스크(100)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디스크 유지부가 구비하고 있는 점에 제 23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23)와 상이하다. 이하, 제 23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23)와의 상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제 23 실시 형태 또는 그 이전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51은 카트리지 상체(12)를 제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24)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52는 카트리지 상체(12)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324)를 도 151의 A-A 선에 따라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51 및 도 1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하고,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가 디스크(100)를 유지하고 있을 때,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받이부(25a)의 상면(25k)중 디스크(100)와 접촉하는 영역(25b)의 외측으로 홈(25p)이 설치되어 있다. 홈(25p)의 단면은 도 152에서는 반원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적어도 디스크(100)와 접촉하는 영역(25b)보다도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으면, 삼각형이나 직사각형 등의 다른 단면 형상을 홈(25p)이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디스크 받이부(25a)의 상면(25k)의 홈(25p)이 설치된 영역은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하고,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가 디스크(100)를 유지하여 있을 때, 디스크(100)의 아래쪽으로는 위치하지 않고, 디스크 수납부 바닥부에서 외부로 노출한다. 이 때문에, 디스크 카트리지(324)의 사용중, 이 영역에 먼지 등이 퇴적할 가능성이 있다. 이 영역에 홈(25p)을 설치하지 않고, 상면(25k)을 평탄하게 해 두는 경우, 퇴적한 먼지 등이 디스크(100)의 제 2 면(100A)에 부착하거나, 디스크(100)의 하방의 공간(69b)에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비하여, 디스크 받이부(25a)의 상면(25k)에 홈(25p)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먼지 등은 홈(25p)의 바닥부에 모인다. 이 때문에, 상술한 디스크(100)의 제 2 면(100A)에 먼지 등이 부착하거나, 디스크(100)의 하방의 공간(69b)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132 및 도 14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할 때, 회전 부재(25)의 절결부(25c)가 설치된 영역에서 디스크(100)가 디스크 수납부의 측벽에 접촉하도록,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의 점(C1)에 대하여 오프셋된 위치에 있는 점(C2)에 디스크(100)의 중심을 일치시켜 디스크(100)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디스크(100)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 받이부(25a)의 상면(25k)의 노출 부분은 점(C1)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이 아니라, 점(C2)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및 점(C1)을 중심으로 하는 디스크 수납부의 원형의 측벽(12i)에 의해 규정된다. 홈(25p)은 이 영역의 일부를 적어도 포함한다. 디스크 수납부 측벽(12i)을 규정하는 원의 반경, 디스크(100)의 반경, 및 점(C1)과 점(C2)과의 거리에 의해서, 이 영역의 형상이나 크기는 상이하게 되지만, 이 영역은 적어도 회전 부재(25)의 절결부(25c) 부분에서 누락을 갖는 초생달모양의 형상이 된다.
다음에 디스크 유지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53 및 도 154는 디스크(100)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324)의 평면도이며, 도 153 및 도 154는 각각 셔터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 및 셔터가 폐쇄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들의 도면에 있어서, 보기 쉽게 하기 위해, 회전 부재(25)는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에 설치된 볼록부(27a) 및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의 위치를 명시하기 위해서,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모든 부분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53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되기 시작하면, 도 1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셔터(22)에 설치된 디스크 유지부(22a)가 디스크 유지부(21b, 22b)보다도 먼저 디스크(100)와 접촉하고, 파지 동작을 개시한다. 이때, 디스크 유지부(22a)의 일부는 디스크 개구부(12w)에 돌출하도록 설치된 탈락 방지 부재(12s)의 하방, 즉 탈락 방지 부재(12s)보다도 디스크측에 위치하고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324)가 어떠한 자세에 있더라도,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100)는 탈락 방지 부재(12s)에 규제되고, 탈락 방지 부재(12s)보다도 디스크 수납부로부터 외부로 튀어 나온 상태를 취하여, 디스크 유지부(22a)는 확실하게 디스크(100)와 접촉하여 파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디스크 카트리지(324)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내에서 수직으로 지지되는 경우에 효과를 발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크 유지부(22a)의 일부가 탈락 방지 부재(12s)의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디스크(100)를 파지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디스크 카트리지(324)가 어떠한 자세에 있더라도, 디스크 유지부(22a)가 디스크(100)와 접촉하여, 디스크(100)를 파지할 수 있도록, 디스크 수납부 내에 있어서의 디스크(100)의 위치 및 자세를 탈락 방지 부재(12s)가 규제할 수 있는 한, 디스크 유지부(22a)가 디스크(100)와 접촉하기 시작할 때, 디스크 유지부(22a)가 탈락 방지 부재(12s)의 아래쪽으로 위치하지 않더라도 좋다. 그러나, 탈락 방지 부재(12s)의 위치와, 디스크(100)와 접촉하기 시작할 때의 디스크 유지부(22)의 위치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스크 카트리지(324)가 어떠한 자세에 있더라도, 디스크 유지부(22a)가 디스크(100)와 접촉하도록, 탈락 방지 부재(12s)가 설치된 부분에서는 디스크(100)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작게 해야 한다. 이 경우, 디스크(100)를 디스크 카트리지(324)로부터 취출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디스크(100)와 접촉하기 시작할 때의 디스크 유지부(22)의 위치와 탈락 방지 부재(12s)의 위치는 근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부(22a)의 일부가 탈락 방지 부재(12s)의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디스크(100)를 파지하기 시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54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를 더욱 회전시켜, 셔터의 폐쇄 동작을 계속하면, 디스크 유지부(21b, 22b)가 디스크(100)와 접근하여, 디스크 파지를 하기 시작한다. 이때, 디스크 카트리지(324)의 자세에 따라서는 디스크 유지부(21b, 22b)가 디스크(100)와 접근하는 위치에서, 디스크 유지부(21b, 22b)가 디스크(100)와 접촉할 수 없을 정도로, 디스크(100)가 튀어 나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회피하기 위해, 디스크 유지부(21b, 22b)가 디스크(100)와 접촉할 위치에 다른 탈락 방지 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이러한 탈락 방지 부재를 설치하면, 디스크(100)를 디스크 카트리지(324)로부터 취출하기 어렵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초에 디스크(100)와 접촉하는 디스크 유지부(22a)에 디스크(100)와 접촉한 후, 디스크 유지부(21b, 22b)가 디스크(100)와 접촉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디스크(100)의 위치 및 기울기를 바꾸는 구조를 설치한다.
도 155 내지 도 157은 디스크 유지부(22a)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부(22a)는 디스크(100)의 위치 및 기울기를 변경하는 구조로서, 제 1 규제면(142a), 제 2 규제면(142b)을 갖는다. 또한, 지금까지의 실시 형태에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를 파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경사면(22a')을 갖는다. 제 2 셔터(22)가 폐쇄할 때, 디스크 유지부(22a)는 화살표(140)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규제면(142a)은 디스크 유지부(22a)의 이동 방향인 화살표(140)에 비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 2 셔터(22)로부터 보면, 역테이퍼형으로(제 2 셔터(22)측으로) 경사하고 있다. 도 15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규제면(142a)은 디스크(100)의 제 1 면(100B) 또는 제 1 면(100B)의 외주부의 능선과 접할 수 있다. 도 1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규제면(142b)은 제 2 셔터(22b)와 거의 평행하게 되어 있고, 디스크(100)의 제 1 면(100B)의 외주 근방과 접할 수 있다. 경사면(22a')은 제 2 규제면(142b)과 접하고 있고, 제 2 셔터(22)로부터 보면, 역테이퍼형으로(제 2 셔터(22)측으로) 경사하고 있다. 도 1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22a')은 디스크(100)의 제 1 면(100B)의 외주부의 능선과 접할 수 있다.
도 158 및 도 160은 디스크 카트리지(324)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내에서 수직으로 지지된 경우에 있어서, 턴테이블 및 클램퍼가 디스크(100)로부터 분리되어, 셔터가 폐쇄되는 동시에, 디스크 유지부가 디스크(100)를 유지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59 및 도 161은 도 158 및 도 160에 있어서의 Q-Q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 및 도 155 내지 도 157을 참조하여, 디스크 유지부(22a)가 어떠한 디스크(100)의 자세를 규제하는 가를 설명한다. 또, 도 158 및 도 160에서는 셔터는 도시되고 있지 않다.
도 1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24)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내에서 수직으로 지지되는 경우에 있어서,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이 종료하여, 턴테이블 및 클램퍼가 디스크(100)로부터 이탈되면, 디스크(100)가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서 분리되어, 기울어 디스크 수납부에 방치되는 경우가 있다. 도 158에서는 설명을 위해, 디스크(100)의 자세를 잘 알도록, 탈락 방지 부재(12s, 55)를 생략하고, 디스크(100)의 기울기를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탈락 방지 부재(12s, 55)가 있기 때문에, 적어도 탈락 방지 부재(12s, 55)의 부분에서는 디스크(100)는 디스크 수납부 내에 들어가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셔터의 폐쇄 동작이 개시되고, 디스크 유지부(22a)가 화살표(140)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부(22a)의 일부가 탈락 방지 부재(12s)(도 159)의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1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부(22a)의 제 1 규제면(142a)이 디스크(100)의 제 1 면(100B) 또는 제 1 면(100B)의 외주부의 능선과 접한다. 제 1 규제면(142a)은 제 2 규제면(142b)과 제 2 셔터(22)(또는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디스크(100)가 위치하도록, 디스크(100)를 안내하여, 디스크의 기울기를 바꾼다. 도 1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때 디스크 유지부(21b, 22b)는 또한 디스크(100)와 접하는 위치에는 이동하지 않지만, 도 1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22b)의 경사면(22b')이 디스크(100)의 제 1 면(100B)의 능선과 접촉이 이뤄지지 않을 정도로, 디스크(100)는 경사져 있다.
디스크 유지부(22a)의 화살표(140)의 방향에의 이동이 진행하면, 도 1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는 제 2 규제면(142b)에 규제되어, 도 158에 있어서 화살표(141)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가 수직으로 되도록 그 기울기가 교정된다. 이 때문에, 도 160 및 도 1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는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되고, 또한 디스크 유지부(22b)의 경사면(22b')(및 디스크 유지부(21b)의 경사면(21b'))이 디스크(100)의 제 1 면(100B)의 외주의 능선과 접할 수 있도록, 디스크(100)가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측으로 오게 된다.
더욱 셔터의 회전이 진행하면, 도 1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부(22a)의 경사면(22a')이 디스크(100)의 제 1 면(100B)의 능선과 접한다. 또한, 디스크 유지부(21b, 22b)의 경사면(21b', 22b')도 디스크(100)의 제 1 면(100B)의 능선과 접한다. 이에 의해, 디스크(100)가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에 파지된다. 경사면(22a', 21b', 22b')에 의한 파지 동작은, 지금까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세히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디스크 카트리지(324)가 수직으로 지지된 경우에도, 수납된 디스크(100)가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탈락하지 않고, 확실하게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에 의해서 유지된다.
이상, 디스크 유지부(21b)에 근접한 측면이 아래로 위치하도록, 디스크 카트리지(324)가 수직으로 지지되는 경우의 디스크 유지 동작을 설명했지만, 디스크 유지부(22b)에 근접한 측면이 아래로 위치하도록 디스크 카트리지(324)가 수직으로 지지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서 디스크(100)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324)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내에서 수평에 유지되는 경우에는 지금까지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는 디스크 유지부(22a)의 제 1 규제면(142a), 제 2 규제면(142b)과 접촉하지 않고, 경사면(22a')에 접촉하고, 계속해서 디스크 유지부(21b)의 경사면(21b') 및 디스크 유지부(22b)의 경사면(22b')과 접촉하여, 이것들의 경사면에 의해 유지된다.
또, 디스크 유지부(22a)에 설치된 디스크의 위치 및 기울기를 바꾸는 구조는, 도 155 등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크게 경사시킨 또는 디스크 수납부에서 크게 이격한 디스크와 접촉하여 디스크를 제 2 규제면에 접촉하도록 안내하는 제 1 규제면, 및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의 경사면(21b', 22a', 22b')에 디스크가 접촉하여,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가 디스크를 파지할 수 있도록 디스크의 위치 및 기울기를 바꾸는 또는 규제하는 제 2 규제면을 구비하고 있으면, 디스크의 위치 및 기울기를 바꾸는 구조는 제 1 규제면 및 제 2 규제면 이외의 면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제 25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 2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는 사용상의 강도 및 조작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실용성을 높이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도 162는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25)를 분해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디스크 카트리지(325)에 있어서, 제 23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25)에 있어서, 제 1 셔터(21)의 안내 홈(27e)과 결합하는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e)가 안내 홈(27e)에서 탈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볼록부(25e)의 선단에 갈고리부(25q)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볼록부(25f)의 선단에는 갈고리부(25r)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셔터(22)에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 디스크의 센터 홀(100h)내로 돌출하는 돌기(36) 및 돌기(48)가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본체를 구성하는 카트리지 하체(11)에는 회전 부재 받이부(11z)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부재 받이부(11z)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회전 부재(25)의 바닥부의 일부와 접촉하여, 회전 부재(25)를 유지한다.
또한, 카트리지 하체(11)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해방 동작을 할 때,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받이부(25a)와 제 1 셔터(21)가 중첩되는 영역에는 오목부(11y)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하체(11)에는, 헤드 개구부(11h)의 근방에 제 1 볼록부(49a) 및 제 2 볼록부(29b)를 갖고,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카트리지 하체(11)의 제 1 볼록부(49a) 및 제 2 볼록부(49b)에 각각 접촉하는 제 1 볼록부(63a) 및 제 2 볼록부(63b)를 제 1 셔터(21) 및 회전 부재(25)는 갖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 이것들의 특징을 순차로 설명한다. 도 163은 디스크 카트리지(325)로부터 카트리지 상체(12) 및 탈락 방지 부재(55)를 제거하여, 그 상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64는 도 163의 R-R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갈고리부(25r)를 갖는 볼록부(25f)의 R'-R' 단면도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e)의 선단에는 갈고리부(25q)가 설치되어 있고, 갈고리부(25q)는 카트리지 하체(11)와 제 1 셔터(21)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 갈고리부(25q)는 도 163에 도시하는 R-R 단면의 방향인 디스크의 반경 방향(카트리지의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갈고리부(25q)는 다른 방향으로도 연장되어 있더라도 좋다. 디스크의 중심으로 향하는 반경 방향에만 신장하도록 갈고리부(25q)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 부재(25)를 금형 성형에 의해 제작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고리부(25q)와 볼록부(25e)의 접속 부분에 디스크 개구부측에 면하는 경사부(25q')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경사부(25q')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볼록부(25e)와 갈고리부(25q)의 접합 부분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경사부(25q')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 1 셔터(21)의 안내 홈(27e) 근방의 경사부(25q')와 대향하는 부분에도 경사부(21')를 설치한다.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 하면(11u)에는 갈고리부(25)가 설치된 볼록부(25e)의 선단을 받는 홈(11e')이 설치되어 있다. 갈고리부(25)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볼록부(25)의 선단 부분의 내측 하면(11u)에 대향하는 면적이 넓게 되고 있기 때문에, 홈(11e')의 폭은 제 23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23)의 홈(11e)의 폭보다 넓게 되고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325)를 제조하는 경우, 갈고리부(25q)를 갖는 볼록부(25e)를 안내 홈(27e)에 장입하기 쉽도록 안내 홈(27e)의 일단에는 홈의 폭이 넓게 된 장입구(27e')이 설치되어 있다. 장입구(27e')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쇄된 상태에서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e)가 위치하는 부분 이외에 설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입구(27e')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 볼록부(25e)가 위치하는 안내 홈(27e)의 일단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갈고리부(25q) 및 갈고리부(25r)를 설치하는 것에 따라,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e, 25f)가 제 1 셔터(21)의 안내 홈(27e) 및 제 2 셔터(22)의 안내 홈(27f)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쇄 상태에 있어,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를 이용하여 디스크(100)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디스크 카트리지(325)에 낙하 충격 등의 충격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를 개재하여 제 1 및 제 2 셔터(21, 22)에 강한 부하 또는 충격이 걸린다. 이러한 경우에, 회전 부재(25)의 볼록부(25e, 25f)가 안내 홈(27e, 27f)에서 분리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낙하 충격 등에도 강하고, 실용성이 높은 디스크 카트리지(325)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부(25e) 및 볼록부(25f)의 양쪽에 갈고리부(25q) 및 갈고리부(25r)를 설치하고 있지만, 볼록부(25e) 및 볼록부(25f)의 회전 부재(25)에 있어서의 위치나,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와의 거리 등에 따라서, 갈고리부(25q) 또는 갈고리부(25r)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볼록부(25e) 또는 볼록부(25f)가 안내 홈(27e) 또는 안내 홈(27f)에서 분리될 가능성이 낮은 경우에는, 갈고리부(25q) 또는 갈고리부(25r)는 설치하지 않더라도 좋다. 즉, 볼록부(25e) 및 볼록부(25)중 어느 한쪽에만 갈고리부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도 165를 참조하여,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내로 돌출하는 돌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5는 도 163과 마찬가지로, 디스크 카트리지(325)로부터 카트리지 상체(12) 및 탈락 방지 부재(55)를 제거하여 그 상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셔터에는, 제 21 실시 형태나 제 2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돌기(3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셔터(22)에는 돌기(36) 외에 돌기(48)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35)는 제 1 셔터(21)의 볼록부(21w)의 상면보다도 돌출하고, 돌기(36 및 48)는 볼록부(22w)의 상면보다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형성하는 구멍(20h)의 내측에 돌기(35, 36, 48)는 위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구멍(20h)은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과 중첩되도록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내로 돌기(35, 36, 48)는 돌출하고 있고,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 근방을 볼록부(21w, 22w)가 유지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개방 동작을 시작하면, 돌기(35, 36, 48)는 디스크(100)의 센터 홀(100h) 내부에서 디스크(100)의 외주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돌기(35, 36, 48)의 상면이 디스크(100)와 접촉하여, 디스크(100)를 들어 올리 도록 유지한다. 이때 돌기(35, 36, 48)는 디스크(100)의 신호 기록면(100A)의 비신호 기록 영역(100e)과 접촉한다. 돌기(35, 36, 48)는 볼록부(21w, 22w)보다도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신호 기록면(100A)과 돌기(35, 36, 48)가 접촉함으로써, 볼록부(21w 및 22w)는 신호 기록면(100A)에서 비접촉의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서, 볼록부(21w, 22w)나 볼록부(35d, 36d)가 신호 기록면(100A), 특히 신호 기록 영역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돌기(35, 36, 48)가 디스크(100)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디스크(100)가 경사하지 않게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신호 기록면(100A)의 신호 기록 영역이 제 1 및 제 2 셔터(21, 22)와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완전하게 개방한 상태에서, 돌기(35, 36, 48)는 어느것이나 신호 기록면(100A)의 비신호 기록 영역(100e) 내에 멈추고 있다. 이 때문에, 돌기(35, 36, 48)가 신호 기록면(100A)의 신호 기록 영역에 접촉하는 우려하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쇄하는 경우도, 돌기(35, 36, 48)가 디스크(100)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이동한다. 이 때문에, 볼록부(21w, 22w)나 볼록부(35d, 36d)가 신호 기록면(100A)의 신호 기록 영역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개방 및 폐쇄할 때, 3개의 돌기(35, 36, 48)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크(100)를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나 제 1 및 제 2 셔터(21, 22)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신호 기록면(100A)의 신호 기록 영역이 제 1 및 제 2 셔터(21, 22)와 접촉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66 내지 도 171을 참조하여 회전 부재 받이부(11z)를 설명한다. 도 166 및 도 168은 도 163과 마찬가지로, 디스크 카트리지(325)로부터 카트리지 상체(12) 및 탈락 방지 부재(55)를 제거하여, 그 상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6은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168은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7 및 169는 각각 도 166 및 도 168의 S-S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회전 부재 받이부(11z)는 카트리지 하체(11)에 설치된 헤드 개구부(11h)에 인접하여,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 하면(11u) 상에 설치되고, 디스크 개구부에 면하는 경사면(11z')을 갖고 있다. 헤드 개구부(11h)가 설치된 카트리지 하체(11)의 측면(11a)은 헤드 개구부(11h)에 따라서 처킹 개구부(11c) 측으로 조금 들어가 도록 형성되어 있고, 회전 부재 받이부(11z)와 연속해 있다.
도 1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 1 셔터(21)의 볼록부(27a)가 회전 부재 받이부(11z) 근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도 1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 받이부(11z)는 제 1 셔터(21)의 볼록부(27a)와 접한다. 제 1 셔터(21)의 볼록부(27a)에는 회전 부재 받이부(11z)의 경사면(11z')에 해당하는 경사면(27a')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회전 부재(25)는 제 1 셔터(21)상에 위치되어 있고, 회전 부재 받이부(11z)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한편, 도 1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개방하고 있는 형태에서는, 제 1 셔터(21)는 헤드 개구부(11h)에서 멀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회전 부재 받이부(11z) 근방에는 제 1 셔터(21)는 위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도 1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 하면(11u)과 회전 부재(25)의 저면과의 사이에는 해칭으로 도시하는 공간(S1)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회전 부재(25)의 측벽(25i)의 바닥부의 모서리(25i')가 회전 부재 받이부(11z)의 경사면(11z')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공간(S1)이 형성되어 있는 것 임에도 불구하고, 회전 부재 받이부(11z)는 회전 부재(25)를 소정의 높이로 유지한다. 이에 의해, 특히 회전 부재(25)에 설치된 절결부(25c)를 넘어 측벽(25i)의 브릿지 부분(25v)의 하면과 카트리지 하체(11)의 이면과의 거리(L1)를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효과를 도 170 및 도 171을 참조하여 또한 설명한다. 도 170 및 도 171은 도 168에 있어서의 T-T 단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170은 회전 부재 받이부(11z)를 갖는 본 실시 형태의 단면을, 도 171은 회전 부재 받이부(11z)를 갖지 않은 카트리지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셔터(21)는 헤드 개구부(11h)에서 분리된 부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셔터(21)측의 헤드 개구부(11h) 근방에서는, 카트리지 하체(11)의 위에 공간(S1)이 발생한다. 도 1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 받이부(11z)가 없는 경우, 회전 부재(25)의 휘어짐 등에 의해, 이 공간(S1) 내에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받이부(25a)의 일부가 변형하여 진입할 가능성이 있다. 이때, 측벽(25i)의 브릿지부(25v)는 헤드 개구부(11h) 내에 드리워진다. 도 1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개구부(11h)에 브릿지부(25v)가 아래로 드리워지면, 디스크(100)에 억세스하는 광 헤드가 브릿지부(25v)와 간섭하여, 광 헤드가 올바르게 동작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에 비하여, 도 17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 받이부(11z)를 설치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25)를 회전 부재 받이부(11z)가 유지함으로써 공간(S1) 내에 디스크 받이부(25a)의 일부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에 의해서, 헤드 개구부(11h)에 브릿지부(25v)가 아래로 드리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광 헤드가 디스크(100)로 억세스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카트리지 하체(11)에 설치된 오목부(11y)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2 및 도 174는 디스크 카트리지(325)로부터 카트리지 상체(12) 및 탈락 방지 부재(55)를 제거하여, 그 상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72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개방 동작의 도중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174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3은 도 172의 U-U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2 및 도 17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1y)는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 하면(11u)에 설치된다. 오목부(11y)는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쇄 및 개방할 때에, 회전 부재(25)의 절결부(25c)가 통과하여 디스크 받이부(25a)와 제 1 셔터(21)가 중첩되는 영역에 설치된다. 오목부(11y)는 적어도 제 1 셔터(21)가 디스크 받이부(25a)와 중첩되는 영역의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 1 셔터(21)가 내측 하면(11u) 측으로 휘는 것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면적 및 깊이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2에 있어서 오목부(11y)는 모서리가 둥글려진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있지만, 오목부(11y)는 직사각형이나 다른 형상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을 할 때, 제 1 셔터(21)의 선단 근방은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에서는 디스크 받이부(25a)와 중첩되고 있지만, 개방 동작 및 폐쇄 동작의 도중에서는 디스크 받이부(25a)에 설치된 절취부(25c)의 아래를 통과한다. 이때, 제 1 셔터(21)나 회전 부재(25)에 휘어짐이 발생하여, 그 두께에 불균일이 발생하게 되면, 디스크 받이부(25a)가 일단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 하면(11u)에서 부상된다. 그리고, 디스크 받이부(25a)와 다시 중첩될 때에, 제 1 셔터(21)와 디스크 받이부(25a)가 접촉하여 큰 마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비하여, 오목부(11y)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도 173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셔터(21)는 오목부(11y)가 형성하는 공간(S2) 내에 그 일부가 진입하도록 변형함으로써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받이부(25a)와의 접촉 또는 접촉에 의한 마찰 등을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셔터의 개폐 동작의 때, 회전 부재(25)와, 하나의 셔터(21)와의 마찰 등에 의한 부하를 저감하고, 회전 부재(25)의 회전 동작 및 회전 부재(25)의 이동에 의한 셔터의 개폐 동작을 순조롭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325)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셔터(21)가 통과하는 내측 하면(11U)의 영역에 오목부(11y)가 설치되지만, 회전 부재(25)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는, 셔터의 폐쇄 및 개방에 수반하여, 제 2 셔터(22)의 일부가 회전 부재(25)의 절결부(25c)를 통과하는 구성도 고려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2 셔터(22)가 통과하는 내측 하면(11u)의 영역에 오목부(11y)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셔터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셔터(21, 22) 및 회전 부재(25)의 덜걱거림을 방지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 175는 도 163과 마찬가지로, 디스크 카트리지(325)로부터 카트리지 상체(12) 및 탈락 방지 부재(55)를 제거하여, 그 상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76은 그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5 및 도 17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체(11)에는 헤드 개구부(11h)에 인접하여, 카트리지의 중심측에 돌출하는 제 1 볼록부(49a) 및 제 2 볼록부(49b)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볼록부(49a) 및 제 2 볼록부(49b)는 카트리지 하체(11)의 측벽(11a)과 연속해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셔터(21, 22)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 1 볼록부(49a) 및 제 2 볼록부(49b)와 각각 결합하는 제 1 볼록부(63a) 및 제 2 볼록부(63b)가 제 1 셔터의 볼록부(27a) 및 회전 부재(25)의 측벽(25i)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셔터(21)의 제 1 볼록부(63a)와 카트리지 하체(11)의 제 1 볼록부(49a)는, 제 1 셔터(21)가 화살표(22A)의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에 서로 접촉하여, 제 1 셔터(21)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회전 부재(25)의 제 2 볼록부(63b)와 카트리지 하체(11)의 제 1 볼록부(49b)는 회전 부재(25)가 화살표(21A)의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에 서로 접촉하여, 회전 부재(25)의 회전을 규제한다. 회전 부재(25)가 화살표(21A)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됨으로써, 제 2 셔터(22)가 21A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도 규제된다.
도 142를 참조하여 제 2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셔터(21)에 설치된 안내 홈(27e) 및 제 2 셔터(22)에 설치된 안내 홈(28f)의 단부는 셔터 폐쇄시에 있어서, 안내 홈(27e) 및 안내 홈(28f)에 각각 결합하는 제 1 셔터(21)의 볼록부(25e) 및 제 2 셔터(22)의 볼록부(25f)가 셔터의 개방 동작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방향(25E 및 25F)과 직교하도록 화살표(27E 및 28F)의 방향에 신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셔터(21)는 화살표(21A)의 방향에의 이동이 규제되고, 제 2 셔터(22)는 화살표(22A)의 방향에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는 이것들의 구조에 의해 화살표(21A)의 방향으로도, 화살표(22A)의 방향으로도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의 덜걱거림이 방지된다. 또한,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덜걱거림이 없이 정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셔터(21)의 디스크 유지부(21b) 및 제 2 셔터(22)의 디스크 유지부(22a, 22b)에 의해 디스크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회전 부재(25)는 화살표(21A)에의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되지만, 화살표(22A)의 방향으로는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회전 부재(25)를 화살표(22A)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셔터의 개방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17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조 외에 셔터의 폐쇄 상태에서, 잘못 회전 부재(25)를 회전시켜 셔터의 개방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회전 부재(25)를 고정하는 로크(44)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로크(44)는 탄성부(44b)와, 아암부(44c)와, 아암부(44c)의 선단에 설치된 갈고리부(44d)와, 조작부(44f)를 갖고 있다. 로크(44)는 회전축(44a)에 의해서 카트리지 하체(11)에 지지되어, 조작부(44f)를 누르는 것에 따라 회전축(44a)을 축으로서 요동한다. 조작부(44f)는 카트리지 하체(11)에 설치된 개구(11r')로부터 돌출시킨다. 또한, 탄성부(44b)는 측벽(11a)에 접촉시킨다.
회전 부재(25)에는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서, 아암부(44c)의 갈고리부(44d)와 결합하는 개구(25s)를 설치한다. 갈고리부(44d)와 결합하는 개구(25s) 대신에 갈고리부(44d)와 결합하는 홈이어도 된다.
도 17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가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회전 부재(25)의 개구(25s)에 로크(44)의 갈고리부(44d)가 결합하기 때문에, 회전 부재(25)는 화살표(21A)의 방향으로도, 화살표(22A)의 방향으로도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된다. 또한, 로크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조작부(44f)를 가압하면서 회전 부재(25)를 화살표(22A)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회전 부재(25)의 개구(25s)와 로크(44)의 갈고리부(44d)와의 결합이 분리되어, 회전 부재(25)가 회전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로크(44)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서, 회전 부재(25)는 화살표(21A)의 방향 및 화살표(22A)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상기 구조에 의한 효과 외에, 셔터 폐쇄시에 제 1 및 제 2 셔터(21, 22)의 덜걱거림 및 회전 부재(25)의 덜걱거림을 방지하여, 디스크의 유지를 보다 확실하게 이뤄지게 할 수 있다.
(제 26 실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 26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도, 사용상의 강도 및 방진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실용성을 높이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도 177은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26)를 분해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디스크 카트리지(326)에 있어서, 제 25 실시 형태 또는 그 이전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 상술하도록, 디스크 카트리지(325)에 있어서, 탈락 방지 부재(34)는 카트리지 본체(10)의 상면으로 용이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착후에는 카트리지 본체(10)로부터 분리되기 쉽고, 또한 덜걱거림이 없이 카트리지 본체(10)에 유지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회전 부재(25)는, 셔터 개방시에 디스크(100)가 디스크 유지부내로 이동해도,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 영역에 손상이 나기 어려운 구조를 갖추고 있다. 또한, 이 때에 회전 부재(25)의 헤드 개구부에서 노출하는 부분이 변형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셔터(21, 22)에 설치된 디스크 유지부(21b, 22b)는 디스크를 수납한 상태에서 디스크 카트리지(326)를 낙하시키더라도, 충격에 의해서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26)로부터 뛰어 나가기 어려운 구조를 갖추고 있다. 낙하에 의한 충격에 의해서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면에 손상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도 셔터(21, 22) 및 회전 부재(25)는 구비하고 있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326)는 헤드 개구부(11h) 및 처킹 개구부(11c)에서 먼지나 티끌이 카트리지 본체(10)내로 침입하여,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면(100A)에 먼지나 티끌이 부착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추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26)에 있어서, 회전 부재(25)는 그 원통형의 측면에 설치된 한쌍의 오목부 및 오목부에 끼워진 기어부로 이루어지는 조작부(25j)를 갖고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326)의 셔터(21, 22)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회전 부재(25)의 한쌍의 오목부 및 기어부에 결합하는 한쌍의 볼록부 및 기어부 갖춘 셔터 개폐 기구를 이용하여, 회전 부재(25)를 회전시킨다. 디스크 카트리지(326)는 회전 부재(25)의 하나의 오목부와 결합하는 볼록부를 갖는 로크 부재(98)를 갖추고 있다. 셔터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로크 부재(98)의 볼록부는 회전 부재(25)의 오목부와 결합하여, 회전 부재(25)가 회전하고, 셔터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7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326)는 디스크의 종별 등을 판별하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99)를 구비하여도 좋다. 슬라이드 부재(99)를 이동시키는 것에 따라, 카트리지 본체(12)의 이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구멍(오목부)을 폐쇄할 수 있다. 이 위치는 디스크 종별의 판별이나 기록 보호에 이용할 수 있다.
상술의 실용성을 높이는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탈락 방지 부재(34) 및 탈락 방지 부재(34)가 부착되어 있는 카트리지 상체(12)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78은 탈락 방지 부재(34)를 제거한 상태에서, 탈락 방지 부재(34) 및 카트리지 상체(12)의 탈락 방지 부재(34)가 부착되어 있는 영역 근방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34)는 한쌍의 결합 핀(34a, 34a')과, 한쌍의 위치 결정 핀(34b, 34b')을 구비한다. 카트리지 상체(12)의 탈락 방지 부재(34)가 부착되어 있는 영역에는, 오목부(12k)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12k)의 바닥부에는 결합 핀(34a, 34a)이 삽입되는 한쌍의 결합 구멍(64c, 64c')과 위치 결정 핀(34b, 34b')이 삽입되는 위치 결정 구멍(64d, 64d')이 형성되어 있다. 탈락 방지 부재(34)가 카트리지 상체(12)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에서는 탈락 방지 부재(34)의 일부(34d)는 디스크 개구부(12w)로 돌출하여, 디스크(100)가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79는 카트리지 상체(12)의 위치 결정 구멍(64d) 및 결합 구멍(64c)을 가로지르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9에는 위치 결정 구멍(64d) 및 결합 구멍(64c)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위치 결정 구멍(64d') 및 결합 구멍(64c')도 도 179에 도시하는 형상을 갖추고 있다. 도 17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구멍(64d) 및 결합 구멍(64c)은 각각 카트리지 상체(12)로부터 카트리지 하체(11)로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신장하는 보스(64a) 및 보스(64b)의 내측면에 의해서 규정되어 있고, 위치 결정 구멍(64d) 및 결합 구멍(64c)도 제 1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도 17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구멍(64d)의 내경은 위치 결정 핀(34b)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위치 결정 핀(34b)이 위치 결정 구멍(64d)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위치 결정 핀(34b)과 위치 결정 구멍(64d)과의 사이에 거의 간극은 형성되지 않고, 위치 결정 핀(34b)이 제 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 결정 구멍(64d)이 위치 결정 핀(34b)을 유지한다.
탈락 방지 부재(34)의 결합 핀(34a)의 선단에는 제 1 결합부(34c)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결합부(34c)는 결합 핀(34a)의 외측으로 넓어지는 갈고리형상을 갖고 있다. 결합 핀(34a)은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지만, 외측에 넓어진 결합부(34c) 내측에 압축하여 원활하게 결합 구멍(64c)에 삽입 할 수 있도록, 결합 구멍(64c)은 결합 핀(34a)의 외형에 비하여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 핀(34a)이 보스(64a)에 의해서 규정되는 결합 구멍(64c)에 삽입되면, 결합부(34c)가 보스(64a)의 선단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결합 핀(34a)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결합부(34c)와 보스(64a)가 결합한다. 즉, 보스(64a)의 선단이 제 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갈고리형상의 제 1 결합부(34c)를 보스(64a)의 선단인 제 2 결합부에 결합시키고 있지만, 제 1 결합부(34c) 및 제 2 결합부는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결합부(34c)는 결합 핀(34a)의 측면에 설치된 오목부이며, 제 2 결합부는 결합 구멍(64c)을 규정하는 내측면에 형성된 볼록부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위치 결정 핀(34b, 34b') 및 위치 결정 구멍(64d, 64d')에 의해서 제 1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탈락 방지 부재(34)를 위치 결정할 수가 있고, 또한 결합 핀(34a, 34a') 및 결합 구멍(64c, 64c')에 의해서, 탈락 방지 부재(34)를 제 1 방향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탈락 방지 부재(34)는 어느쪽의 방향으로도 이동하기 어렵게 되어 있고, 덜걱거림이 없이 탈락 방지 부재(34)를 카트리지 상체(12)에 부착할 수 있다. 부착시킨 탈락 방지 부재(34)는 덜걱거림이 없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힘을 가해서 분리시키려고 해도 탈락 방지 부재(34)가 부상하거나, 휘어지는 일이 없다.
또한, 결합 핀(34a) 및 결합 구멍(64c)의 결합 핀(34a)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결합 구조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면 좋기 때문에, 결합 구멍(64c)은 결합 핀(34a)보다도 다소 크더라도 좋다. 한편, 제 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위치 결정 핀(34b) 및 위치 결정 구멍(64d)에는 결합부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위치 결정 핀(34b)을 위치 결정 구멍(64d)에 삽입하는 것은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구조에 의해서, 탈락 방지 부재(34)를 용이하게 카트리지 상체(12)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핀 및 위치 결정 구멍, 및 결합 핀 및 결합 구멍의 조합은 각각 적어도 하나 있으면, 상기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탈락 방지 부재(34)에 설치되는 위치 결정 핀 및 결합 핀의 수는 탈락 방지 부재(34)의 형상이나 크기, 탈락 방지 부재(34)를 구성하는 재질 등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34)가 카트리지 본체(10)(카트리지 상체(12)와 카트리지 하체(11))의 일 변에 대하여 1/2보다도 긴 경우에는, 탈락 방지 부재(34)는 위치 결정 핀 및 위치 결정 구멍을 각각 2개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디스크(100)의 데이터 기록 영역에 손상이 나기 어렵게 하기 위한 회전 부재(25)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한다. 도 180은 셔터(21, 22)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디스크 유지부(22b) 근방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받이부(25a)에는 도 152를 참조하여 제 23 실시 형태에 설명한 홈(25p)이 디스크(100)와 접하는 영역(25b)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18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25)는 홈(25p)의 일부를 매립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매립부(66)를 갖는다.
도 181은 셔터(21, 22)가 폐쇄된 상태에서, 매립부(66)의 1개를 가로지르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립부(66)는 홈(25p)을 단면 방향으로 완전하게 매립하고 있고, 그 상면(66a)은 디스크 개구부의 중심측에 경사하고 있다. 셔터(21, 22)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셔터(21, 22)에 설치된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가 디스크를 파지하여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디스크(100)는 회전 부재(25)의 영역(25b)과 접촉하고 있다.
도 18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 22)가 개방되면,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가 디스크(100)를 해방하기 때문에, 디스크(100)는 디스크 수납부(10d) 내로 이동할 수 있다. 디스크(100)가 이동하여, 카트리지 상체(12)의 측면(12i)에 접근하면, 디스크(100)가 매립부(66)를 타고 올라가, 신호 기록면(100A)의 외주에 있는 능선이 매립부(66)의 경사면(66a)과 접한다. 이 때문에, 신호 기록면(100A)이 회전 부재(25)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신호 기록 영역(100d)이 디스크 받이부(25a)와 접촉하여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매립부(66)는 홈(25p)을 매립하기 때문에, 홈(25p)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매립부(66)를 형성하면, 제 23 실시 형태에 설명한 홈(25p)의 방진 기능이 손상된다. 이 때문에, 홈(25p)이 잔류하도록, 매립부(66)를 단속적으로 복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매립부(66)의 둘레 방향의 길이가 0.5㎜ 이하가 되면, 디스크(100)가 매립부(66)를 타고 올라갈 때, 매립부(66)의 경사면(66a)과 디스크(100)가 접촉하는 영역이 작아지고, 디스크(100)의 매립부(66)로부터 받는 힘이 일부에 집중한다. 그 결과, 디스크(100)에 손상이나 접촉의 흔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매립부(66)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둘레 방향의 길이의 상한은 디스크 카트리지(326)가 수납하는 디스크(100)의 사이즈에 좌우된다. 예를 들면, 디스크(100)의 직경이 5인치인 경우에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둘레 방향의 길이는 2㎜ 내지 5㎜이다.
또, 상기 범위의 길이를 갖는 매립부(66)이더라도, 셔터 폐쇄시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와 중첩되는 위치, 또는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의 극히 근방에 매립부(66)를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셔터 폐쇄시에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와 매립부(66)가 근접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에 큰 외력이 가해지면, 디스크(100)의 라벨면(100B) 측에서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와 능선에서 접촉하는 것에 의해 분산되는 힘이, 정보 기록면(100A) 측에서는 매립부(66)에 집중하여, 디스크(100)에 매립부(66)와의 접촉에 의한 손상이나 접촉의 흔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디스크를 수납한 상태에서 디스크 카트리지(326)에 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에 의해서 디스크(100)가 디스크 카트리지(326)로부터 튀어나가기 어려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3은 셔터가 폐쇄되어 있고,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가 디스크(100)를 유지한 상태에 있는 경우의 디스크 유지부(22b) 근방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4는 도 183에 도시하는 구조의 디스크 유지부(22b)를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제 22 실시 형태 등으로 설명한 디스크 카트리지에서는, 각 디스크 유지부는 디스크를 유지하기 위한 경사면을 하나 구비하고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크 유지부는 복수의 면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디스크 유지부(22b)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디스크 유지부(21b)도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춘다.
도 183 및 도 18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부(22b)는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 수직인 방향에 배치되어, 바닥부에 면하도록 경사한 제 1 경사면(67a) 및 제 2 경사면(67c)과, 수평면(67b)을 갖는다. 수평면(67b)은 제 1 경사면(67a) 및 제 2 경사면(67c)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바닥부와 거의 평행하게 되어 있다. 제 2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셔터(22)의 디스크 유지부(22b)가 설치된 바닥부에는 테이퍼(26c)가 설치되고, 카트리지 하체(11)의 디스크 유지부(22b)가 위치하는 영역에는 오목부(11x)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22)의 테이퍼(26c)가 설치된 영역(26b)은 두께가 작아져 있기 때문에, 탄성 변형할 수 있다.
도 18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디스크(100)의 능선(100c)은 디스크 유지부(22b)의 제 2 경사면(67b)과 접촉한다. 이에 의해, 디스크(100)를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측에 가압하면서 디스크(100)를 파지하여, 디스크(100)를 고정한다. 통상, 이 상태에서 디스크 카트리지(326)를 갖고 작동될 수 있다.
도 184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디스크 카트리지(326)를 낙하시키거나 하는 등 디스크 카트리지(326)에 어떤 강한 외력이 가해지면, 디스크(100)에 관성력이 작동되고, 도 184에 있어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0)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누르는 힘이 디스크 유지부(22b)에 가해진다. 이 때문에, 도 18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2)의 영역(26b)이 변형하여, 카트리지 하체(11)의 오목부(11x)에 셔터(22)의 영역(26b)이 들어간다. 이때, 디스크 유지부(22b)는 외측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디스크 유지부(22b)의 제 2 경사면(67c)은 디스크(100)의 능선(100c)으로부터 분리되고, 디스크(100)가 해방된다.
디스크 유지부(22b)의 경사는 디스크 유지부(22b)가 회전 부재(25)에 설치된 스토퍼(25t)와 접촉함으로써 규제되고, 디스크 유지부(22b)는 그 이상 외측으로 기우는 것이 방지된다.
디스크 유지부(22b)에서 해방된 디스크(100)는 낙하 등에 의한 충격에 의해서, 또한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탈락하도록 힘이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디스크 유지부(22b)가 경사된 상태에서도, 디스크 유지부의 수평면(67b)이 또한 디스크(100)의 외주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100)는 수평면(67b)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디스크 유지부(22b)의 제 1 경사면은, 셔터 폐쇄시에 디스크 수납부의 가능한 한 상측의 위치에서 디스크(100)의 능선(100c)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디스크(100)를 소정의 위치에서 디스크(100)를 유지하는 적절한 위치로 유도한다. 이 작용은 제 25 실시 형태 이전에 있어서 디스크 유지부(22b)의 경사면(22b')의 동작으로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디스크를 유지한 상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26)에 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디스크 유지부(22b)의 수평면(67b)에 의해서, 디스크(100)가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회전 부재(25)의 변형을 방지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 186은 디스크 카트리지(326)로부터 카트리지 상체(12)를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셔터가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7은 헤드 개구부(11h)의 선단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 22)가 헤드 개구부(11h)를 개방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광 헤드가 헤드 개구부(11h)에서 디스크(100)(도시하지 않음)에 장해 없이 억세스하기 위해서, 회전 부재(25)의 디스크 받이부(25a)에는 절결부(25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결부(25c)는 디스크 받이부(25a)에서 회전 부재(25)의 측면(25i)의 일부에까지 도달하고 있다.
그러나, 절결부(25c)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셔터의 개방시에 측면(251)의 헤드 개구부(11h)에 위치하는 부분인 브릿지부(25v)는 가늘게 되어 있고, 휘어지기 쉽게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브릿지부(25v)의 하방의 공간을 확보하여, 광 헤드가 디스크에 억세스할 때, 브릿지부(25v)와 접촉하지 않도록, 카트리지 하체(11)의 헤드 개구부(11h)를 끼우는 한쌍의 지지부(11k)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11k)는 카트리지 하체(11)의 측벽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셔터 개방시에 있어서, 브릿지부(25v)의 바닥부와 접촉함으로써, 브릿지부(25v)의 높이를 규제하는 동시에, 브릿지부(25v)를 개구부(11h)의 가능한 한 근방에서 지지함으로써 브릿지부(25v)의 변형을 방지하고 있다. 도 18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5v)가 브릿지부(25v)와만 접촉하고, 회전 부재(25)의 측벽(25i)의 다른 부분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브릿지부(25v)는 측벽(25i)의 다른 부분과 비해서 외주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셔터 개방시에 있어서, 회전 부재(25)의 브릿지부(25v)의 위치를 규제하여, 광 헤드가 억세스하기 위한 공간을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면에 손상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를 설명한다. 도 188은 디스크 카트리지(326)로부터 카트리지 상체(12)를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셔터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8에 있어서 해칭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폐쇄시에 있어서 셔터(21, 22)의 디스크(100)(도시하지 않음)와 대향하는 면 및 회전 부재(25)가 갖는 디스크 받이부(25a)의 상면(25k)중 셔터 폐쇄시에 있어서, 디스크(100)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 영역에 주름 가공(수자(satin finished surface) 가공)이 실시되고 있다. 주름 가공의 요철 차는 5㎛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10㎛의 요철 차를 갖는 주름 가공을 실시한다. 또, 셔터 폐쇄시에 있어서 디스크(100)와 접촉하는 접촉 영역이 비접촉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지만, 접촉 영역에는 주름 가공을 실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100)와 접촉 영역을 밀착시켜, 먼지나 티끌의 침입을 방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주름 가공을 실시한 영역은 셔터가 폐쇄하고, 디스크(100)가 유지된 상태에서는, 디스크(100)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디스크(100)를 유지한 상태에서 디스크 카트리지(326)를 낙하시키는 등으로 하여 큰 충격이 가해진 경우, 상술한 영역에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면이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임시로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면이 상기 영역과 접촉해도, 주름 형상에 따라서, 그 접촉은 점접촉이 된다. 이 때문에, 정보 기록면에 발생하는 손상이 경감되어, 정보 기록면에 기록된 데이터의 신호 품질이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326)에서는,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디스크의 라벨면이 노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라벨면을 손가락 등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디스크가 휘어지고, 상기 영역과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이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주름 가공에 의해서 정보 기록면과 상기 영역과의 접촉이 점접촉이 되어, 주름 가공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는 면 또는 선 접촉인 경우에 비교하여, 정보 기록면에 발생하는 손상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도 188에서는 볼록부(20w)와 볼록부(20d)와의 사이의 영역에는 주름 가공을 실시하고 있지 않지만, 이 부분에 주름 가공을 실시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디스크 카트리지(326)의 방진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9의 상부는 셔터(21, 22)를 카트리지 하체(11)에 면하는 쪽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며, 도 189의 하부는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또한, 도 190은 디스크 카트리지(326)로부터 카트리지 상체(12) 및 회전 부재(25)를 제거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셔터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1은 도 190에 도시하는 구조를 화살표의 방향으로부터 본 헤드 개구부(11h)를 가로지르는 단면도이다.
이것들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면(11u)상의 헤드 개구부(11h) 및 처킹 개구부(11c)의 주위에는 볼록부(74a)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74a)는 헤드 개구부(11h)를 끼우도록 대향하는 2개의 변에서 헤드 개구부(11h) 및 처킹 개구부(11c)에 따라서 신장하고 있고, 양측에서 신장하는 볼록부(74a)는 카트리지 하체(11) 중앙 근방에서 일체로 되어, 셔터(21, 22)의 회전축(39')으로 향해서 신장된다.
또한, 셔터(21, 22)의 내측면(11u)과 대향하는 면에는, 셔터 폐쇄시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체(11)의 볼록부(74a)를 끼우도록 설치된 제 1 볼록부(73a) 및 제 2 볼록부(73b)와, 제 1 볼록부(73a') 및 제 2 볼록부(73b')가 설치되어 있다.
도 19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폐쇄시에는 셔터(21, 22)에 설치된 제 1 볼록부(73a) 및 제 2 볼록부(73b)에 의해서 형성되는 오목부에 카트리지 하체(11)의 볼록부(74a)가 결합한다. 이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326)의 내부가 헤드 개구부(11h) 및 처킹 개구부(11c)에서 밀폐되어, 헤드 개구부(11h) 및 처킹 개구부(11c)에서 먼지나 티끌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89 및 도 19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21, 22)의 제 1 볼록부(73a) 및 제 2 볼록부(73b)가 설치된 면에, 제 1 볼록부(73a) 및 제 2 볼록부(73b)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고 셔터(21, 22)의 회전 구멍(37', 38')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에 따라서 설치된 제 3 볼록부(73c, 73c')를 더 설치하더라도 좋다. 제 3 볼록부(73c, 73c')는 셔터(21, 22)가 변형하여,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면(11u)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셔터(21, 22)의 위치를 규제한다. 도 18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볼록부(73c, 73c')는 셔터(21, 22)의 각각에 2개 이상 설치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디스크(100)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326)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카트리지 상체(12), 카트리지 하체(11), 회전 부재(25), 셔터(21, 22), 탈락 방지 부재(34)를 각각 사출 성형한 것으로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한다. 회전 부재(25) 및 셔터(21, 22)는 디스크 카트리지(326) 내에서 가동하기 때문에, 인장, 굽힘 등의 기계적 성질에 우수하고, 또한 내마모성도 뛰어난 마찰 계수가 작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회전 부재(25) 및 셔터(21, 22)는 폴리아세탈(POM)로 된다. 카트리지 상체(12) 및 카트리지 하체(11)는 충격에 강하고, 착색성이 우수한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 상체(12), 카트리지 하체(11)는 ABS 수지로 구성된다. 카트리지 상체(12) 및 카트리지 하체(11)와, 회전 부재(25) 및 셔터(21, 22)는 바람직하게는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도 19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셔터(21, 22)의 회전 이동 구멍(37', 38')을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면(11u)에 설치된 회전축(39)에 삽입하여, 셔터(21, 22)가 개방한 상태로 되도록 카트리지 하체(11)의 내측면(11u) 상에 셔터(21, 22)를 배치한다. 도 19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속해서 회전 부재(25)의 돌기(25e) 및 돌기(25f)를 안내 홈(27e, 28f)에 각각 삽입하여, 셔터(21, 22)상에 회전 부재(25)를 배치한다. 필요에 따라서, 회전 부재(25)를 로크하기 위한 로크 부재(98) 및 디스크의 종별을 판별하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99)를 배치한다.
도 19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상체(12)를 카트리지 하체(11)에 대향시킨다. 카트리지 상체(12) 및 카트리지 하체(11)를 정합한 상태에서 지그에 고정하여,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를 인가하여, 카트리지 상체(12) 및 카트리지 하체(11)를 초음파 융착에 의해서 접합한다. 초음파를 인가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상체(12)와 카트리지 하체(11)와의 접촉 부분에서 마찰열이 발생하여, 접촉 부분이 융해하여 접합된다. 이때, 회전 부재(25) 및 셔터(21, 22)는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상체(12) 또는 카트리지 하체(11)와 융착하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상체(12) 및 카트리지 하체(11)가 접합한 카트리지 본체(10)가 형성된다. 이 후, 접합에 의해서 발생한 티끌 등을 제거하는 제진 또는 세정 공정 등을 행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19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본체(10)의 디스크 개구부(12w)에서 디스크(100)를 삽입하여, 디스크 수납이 취급된다. 계속해서, 탈락 방지 부재(34)를 카트리지 본체(10)에 부착시킨다. 도 19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핀(34a, 34a') 및 위치 결정 핀(34b, 34b')을 결합 구멍(64c, 64c') 및 위치 결정 구멍(64d, 64d')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결합 핀(34a, 34a')이 결합 구멍(64c, 64c')에 각각 고정된다. 이에 의해, 도 193b에 도시하는 디스크(100)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326)가 완성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카트리지 상체(12) 및 카트리지 하체(11)를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합한 후, 디스크(100)를 수납하기 때문에, 초음파 융착에 의해서 발진이 발생하더라도, 디스크(100)에 티끌이 부착하는 일은 없고, 디스크(100)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카트리지 본체(10)를 완성시키고 나서, 디스크(100)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카트리지 본체(10)의 제조와, 디스크(100)의 제조를 따로따로 행하여 각각을 완성시킨 후, 카트리지 본체(10)의 제조 장소 또는 디스크(100)의 제조 장소와는 다른 장소에서, 카트리지 본체(10)에 디스크(100)를 수납하여, 탈락 방지 부재(34)를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디스크(100)를 수납한 디스크 카트리지(326')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탈락 방지 부재(34)의 설치에는 특별한 제조 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크(100)를 카트리지 본체(10)에 수납하는 공정은 임의의 장소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7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설명한다.
도 194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는 제 1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01) 내지 제 26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26)중 어느 하나를 장전할 수도 있다. 도 194에서는 제 26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26)를 장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디스크(100)는 파선으로 도시되고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는 디스크 카트리지(326)내에 수납된 디스크(100)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902)과, 디스크(100)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것 및/또는 디스크(100)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행하기 위한 헤드(908)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수단(902)은 스핀들 모터(904) 및 스핀들 모터(904)의 회전축에 부착한 턴테이블(906)을 포함하고, 스핀들 모터(904)는 베이스(910)에 지지되어 있다. 헤드(908)는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이드(912)에 따라서 이동한다.
또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는 아암(914)에 지지된 클램퍼(916)를 구비한다. 턴테이블(906) 및 클램퍼(916)는 예를 들면 자석 및 자성체를 각각 포함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것들의 흡인력에 의해서, 클램퍼(916)와 턴테이블(906)과의 사이에 디스크(100)를 끼워 유지하여, 디스크(100)를 턴테이블(906)에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서, 스핀들 모터(904)의 구동력을 확실하게 디스크(100)로 전달하고, 또한 면진동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이 디스크(100)를 회전시킨다.
디스크 카트리지(326)는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를 개폐하기 위한 조작부(25j)를 디스크 카트리지(326)의 삽입 방향(1A)과 평행인 측면(10r)에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는 조작부(25j)와 결합하여 셔터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 개폐 기구(918)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에 장전된 디스크 카트리지(326)의 측면(10r)에 근접하는 영역에 구비하고 있다. 또, 도 194에서는 조작부(25j)를 명시하기 위해서, 셔터 개폐 기구(918)를 조작부(25j)에서 이격시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셔터 개폐 기구(918)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도 생략하고 있다.
셔터 개폐 기구(918)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에 삽입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 개폐 조작부의 위치에 대응해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 형태나 제 10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와 같이, 헤드 개구부(11h)가 설치된 측면(10p)에 셔터 개폐 조작부를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장전하는 경우에는, 측면(10p)에 근접하는 영역에 셔터 개폐 기구(918)가 설치된다. 제 16 내지 제 18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측면(10q)에 근접하여 셔터 개폐 기구(918)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셔터 개폐 기구(918)를 2개 이상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94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326)의 측면(10p)에도 셔터 개폐 기구(918)를 설치하여, 제 1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 및 제 23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326)중 어느 하나를 장전하는 것도 가능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를 제작하여도 좋다.
셔터 개폐 기구(918)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설치된 조작부(25j)의 형상이나 동작에 결합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326)의 경우, 조작부(25j)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를 개폐시키기 때문에, 조작부(25j)에 결합하여 화살표(1A)와 평행인 방향에 슬라이드하는 셔터 개폐 기구(918)를 설치한다. 조작부(25j)를 치차에만 따라서 형성하거나, 제 16 실시 형태와 같이, 치차형의 조작부를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장전하는 경우에는, 치차 형상을 갖고 회전 동작하는 셔터 개폐 기구(918)를 이용하여도 좋다.
베이스(910)상에는 디스크 카트리지(326)가 유지되는 높이를 규정하는 포스트(920)가 설치되어 있고, 포스트(920)의 상면위에 디스크 카트리지(326)가 유지된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326)에 설치된 위치 결정 구멍(11w)에 결합하는 위치 결정 핀(922)이 베이스(910)에 설치되어 있다.
포스트(920) 및 위치 결정 핀(922)은 구동 수단(902)에 대하여 디스크 카트리지(326)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지지하는 지지 구조로서 작용한다. 포스트(920) 및 위치 결정 핀(922) 대신에 지지 구조로서 트레이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에 설치하여, 트레이를 배출시켜 디스크 카트리지(326)를 트레이의 위에 배치하고, 트레이를 수납함으로써 디스크(100)를 디스크 장치(900)에 삽입하는 동시에 구동 수단(902) 및 헤드(908)에 대하여 디스크 카트리지(326)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해도 된다. 또한, 트레이와 위치 결정 핀(922)을 병용하는 지지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이하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디스크(100)가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326)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에 장착한다. 디스크 카트리지(326)의 장착은 조작자가 수동으로 행하여도 좋고, 도시하지 않은 로딩 기구에 의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의 디스크 카트리지 삽입 구멍에서 도 194에 도시하는 위치에 디스크 카트리지(326)를 반송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94에 있어서 화살표(926)로 도시하는 개소에, 제 1 실시 형태 등으로 설명한 오목부(10c)나 제 16 실시 형태의 오목부(10e)를 설치하여 로딩 기구를 오목부(10c) 또는 오목부(10e)에 결합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를 이용하여도 좋다.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326)가 구동 수단(902) 및 헤드(908)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326)의 화살표(928) 또는 화살표(930)로 도시하는 부분에 제 1 실시 형태로 설명한 오목부(10g) 또는 제 16 실시 형태의 슬릿(10b)을 설치하여,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에 오목부(109) 또는 슬릿(10b)에 결합하는 볼록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디스크 카트리지(326)를 상하 또는 전후 반대로 향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에 삽입하려고 하여도, 서로 간섭하고 정상적으로 삽입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326)가 도 194에 도시하는 위치에 장착되면, 셔터 개폐 기구(918)는 조작부(25j)에 결합하여, 화살표(1A)와 역방향으로 조작부(25j)를 슬라이드시킨다. 이것에 따라,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개방 동작을 비롯하여, 헤드 개구부(11h) 및 처킹 개구부(11c)가 개방된다. 또한, 제 20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를 개재하여 셔터 개폐 기구(918)가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에 디스크(100)의 유지 동작을 해제시킨다. 이 때문에, 디스크(100)가 디스크 유지부(21b, 22a, 22b)에서 해방된다. 계속해서, 클램퍼(916)를 유지하고 있는 아암(914)이 강하하여, 클램퍼(916)와 턴테이블(906)과의 사이에 디스크(100)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디스크(100)는 디스크 카트리지(326)의 수납부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턴테이블(906)상에 유지된다.
스핀들 모터(904)에 의해서 디스크(100)는 회전한다. 그리고, 헤드(908)가 디스크(100)의 정보 기록 영역에 억세스하여, 디스크(100)에 정보를 기록하고, 또한 디스크(100)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한다.
디스크 카트리지(326)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로부터 배출(언로딩)하는 경우, 우선 아암(914)을 상승시켜 클램퍼(916)를 디스크(100)로부터 분리시킨다. 계속해서, 셔터 개폐 기구(918)를 화살표(1A)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작부(25j)를 슬라이드시킨다. 이것에 따라,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한다.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폐쇄할 때, 디스크 유지부가 디스크(100)를 파지하여, 제 1 셔터(21) 및 제 2 셔터(22)가 완전하게 폐쇄하면, 디스크 유지부가 디스크(100)를 유지한다. 그후 도시하지 않은 언로딩 기구에 의해서 디스크 카트리지(326)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로부터 배출한다.
또, 도 194에 있어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는 디스크 카트리지(326)를 수평으로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제 1 실시 형태나 제 8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를 수직으로 유지하도록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를 구성해도 된다. 디스크 카트리지가 수직으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900)에 장전되는 경우에서도, 탈락 방지 부재에 의해서 디스크 수납부에서 디스크(10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19 실시 형태에서는, 셔터에 부직포를 초음파 등에 의해 접착하는 형태를 설명했지만,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에 강인한 하드 코팅 등이 형성됨으로써 보다 손상이 나기 어려운 구조를 디스크가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부직포는 필요 없고, 셔터가 직접 디스크에 면접촉해도 된다. 또, 셔터의 전면이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에 면접촉할 필요는 없고, 셔터중 적어도 일부가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에 접촉하는 구조를 셔터가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즉, 셔터의 전면이 아니라, 일부분이 디스크와 면접촉하는 구조이어도 된다. 또, 그 면접촉하는 부분에 부직포 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상기 제 1 내지 제 27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디스크(100)는 한면에만 신호 기록면을 갖고 있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가가 디스크의 한면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고, 그와 같은 구조에 최적의 디스크의 일례로서 한면에만 신호 기록면을 갖는 디스크를 예시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양면에 신호 기록면을 갖는 디스크이더라도,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적절하게 수납되어, 디스크 장치에 로딩하여, 신호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거나 할 수 있다. 그러나, 양면에 신호 기록면을 갖는 디스크를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수납하여, 보관하는 경우에는 노출한 신호 기록면에 먼지가 부착하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먼지가 부착하지 않도록 어떠한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27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디스크(100)의 크기에 대하여 언급하지 않았지만, 12㎝의 디스크나, 그 외의 사이즈의 디스크 등 여러가지의 사이즈의 디스크를 수납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로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27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외형은 디스크보다 약간 큰 정도인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디스크와 디스크 카트리지와의 크기는 도시되는 관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디스크 카트리지의 외형은 12㎝의 디스크를 수납할 수 있는 정도로 크지만, 디스크 카트리지에 설치된 디스크 수납부나 디스크 유지부는 8㎝의 디스크를 수납하는데 적합한 크기 및 구조이어도 된다. 이러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예를 들면 12㎝ 디스크용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8㎝의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재생하기 위한 어댑터로서도 기능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27 실시 형태의 각각으로 설명한 특징은 적절하게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9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회전 방지 부재를 제 16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 15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먼지를 모으기 위한 여러가지의 오목부를 제 16 실시 형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내지 제 27 실시 형태의 조합의 형태는 다방면에 걸쳐서 이뤄지기 때문에, 가능한 모든 실시예의 조합을 열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여러가지 가능한 실시 형태의 조합을 당업자가 본원 명세서에 기초하여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고, 그와 같은 여러 가지 가능한 실시 형태의 조합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의하면, 특히 한면에만 기록면을 갖는 디스크를 수납하는데 적합하다. 카트리지 본체가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만을 덮고, 한면을 노출시키는 구조를 갖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셔터를 디스크 카트리지의 편측만을 피복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여, 셔터의 비용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유지부 또는 디스크 유지 부재가 디스크를 셔터 또는 카트리지 본체에 가압하여 유지하기 때문에, 카트리지 본체내에서 디스크가 덜걱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에의 먼지 등의 부착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개구부에 노출한 디스크 라벨면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디자인적으로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박형으로, 방진성이 높게, 디자인이 뛰어난 여러가지의 드라이브 장치에 사용 가능한 디스크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Claims (31)

  1.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디스크 개구부 및 바닥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서 상기 제 1 면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와, 상기 디스크를 외부로부터 처킹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처킹 개구부와,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헤드가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으로 억세스하기 위해서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설치된 헤드 개구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헤드 개구부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셔터와,
    상기 디스크 수납부내의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상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폐 동작을 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의 외주연부와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를 받는 접촉 영역과, 상기 접촉 영역의 외측에 설치된 홈을 갖는 디스크 받이부를 구비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헤드 개구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크 받이부에 설치된 절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주에 따라서 설치된 측벽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회전 부재의 절결부가 위치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측벽에 상기 디스크의 외측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디스크의 중심을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에 대하여 오프셋시켜 유지하는 디스크 유지부를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에 각각 구비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받이부의 홈은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 수납부에서 노출하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홈의 일부를 매립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매립부를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1㎜ 이상인
    디스크 카트리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는 상기 디스크 개구부의 중심측에 경사한 상면을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의 일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셔터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상기 처킹 개구부 및 상기 헤드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 또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대하여 디스크를 고정하는 제 1 및 제 2 디스크 유지부, 및 상기 디스크 개구부 내에 돌출한 탈락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디스크 유지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할 때, 상기 제 2 디스크 유지부가 상기 디스크와 접촉하기 전에, 상기 탈락 방지 부재의 근방에서 상기 디스크와 접촉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크 유지부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할 때, 상기 탈락 방지 부재의 아래쪽으로 위치하여, 상기 디스크와 접촉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크 유지부는 각각 역테이퍼형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을 상기 디스크의 외주의 능선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디스크를 파지하여 고정하고, 또한 상기 디스크를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측으로 가압하여 유지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크 유지부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의 근방에서 상기 디스크와 접촉한 후, 상기 제 2 디스크 유지부가 상기 디스크와 접촉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크 수납부내의 디스크의 기울기 및 위치를 바꾸는 구조를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크 유지부의 기울기 및 위치를 바꾸는 구조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할 때, 상기 제 1 디스크 유지부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비평행하고, 또한 역테이퍼형의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제 1 규제면과, 상기 제 1 또는 제 2 셔터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 2 규제면을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해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회전 부재의 바닥부의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 부재를 유지하는 회전 부재 받이부를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 받이부는 헤드 개구부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 면한 경사면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해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회전 부재의 바닥부의 외주의 일부가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로 향하여 돌출하는 제 1 및 제 2 돌기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상기 회전 부재의 제 1 및 제 2 돌기에 각각 결합하는 제 1 및 제 2 안내 홈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중 적어도 한쪽은 대응하는 안내 홈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갈고리부를 그 선단에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디스크의 센터 홀과 중첩되는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각각에 설치된 절결부와,
    상기 절결부의 주연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볼록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볼록부상에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디스크의 센터 홀내로 돌출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돌기를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의 외주연부를 받도록 설치된 디스크 받이부 및 디스크 받이부에 설치된 절결부를 갖고, 상기 절결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헤드 개구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에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할 때에, 상기 회전 부재의 절결부가 통과하여, 디스크 받이부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셔터가 중첩되는 영역에 설치된 오목부를 상기 카트리지 본체가 구비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헤드 개구부 근방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의 한쪽 및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제 1 및 제 2 볼록부에 각각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볼록부를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 일부가 돌출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상면에 고정된 탈락 방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핀과, 제 1 결합부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핀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카트리지 상체로부터 하체로 향하는 제 1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고, 상기 위치 결정 핀이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위치 결정 핀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결정 구멍과, 상기 제 1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고, 상기 제 1 결합부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결합하는 제 2 결합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멍을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각각 2개의 상기 위치 결정 핀 및 상기 결합 핀을 갖고,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각각 2개의 위치 결정 구멍 및 결합 구멍을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의 외주연부와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를 받는 디스크 받이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헤드 개구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크 받이부에 설치된 절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 수납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주에 따라서 설치된 측벽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회전 부재의 절결부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측벽에 상기 디스크의 외측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디스크의 중심을 상기 디스크 수납부의 중심에 대하여 오프셋시켜 유지하는 디스크 유지부를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에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크 유지부의 각각은 디스크 수납부의 상기 바닥부와 수직인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부에 면하도록 경사한 제 1 및 제 2 경사면과, 제 1 및 제 2 경사면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부와 거의 평행인 수평면을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의 외주연부와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를 받는 디스크 받이부와, 디스크 받이부 외주를 둘러싸는 측벽과,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개방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헤드 개구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크 받이부 및 측면의 일부에 설치된 절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결부가 설치된 측벽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교하여, 외주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셔터 개방시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가 설치된 측벽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상기 헤드 개구부 근방에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의 외주연부와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를 받는 디스크 수납부의 바닥부와 평행인 접촉 영역과, 상기 접촉 영역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 영역을 갖는 디스크 받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의 비접촉 영역 및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의 디스크와 대향하는 면은 주름 가공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바닥부상의 상기 처킹 개구부 및 상기 헤드 개구부의 주위에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셔터 폐쇄시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볼록부를 끼우는 제 1 및 제 2 볼록부를 상기 바닥부와 대향하는 면에 갖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중심 이외의 점을 각각 회전축으로서 회동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의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볼록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에 따라서 신장하는 제 3 볼록부를 상기 바닥부와 대향하는 면에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
  25.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를 수납한 제 1 항 내지 제 24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장전하여, 상기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것 및/또는 상기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6.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과,
    상기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를 기록하는 것 및/또는 상기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행하는 헤드와,
    상기 디스크를 수납한 제 2 항에 기재된 디스크 카트리지를 상기 구동 수단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하는 지지 구조와,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셔터를 개방하여, 상기 디스크를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수납부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유지부에 상기 디스크의 유지 동작을 해제시키는 셔터 개폐 기구를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를 구동 수단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퍼를 더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디스크 카트리지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핀을 갖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9. 디스크 개구부 및 바닥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면을 갖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또한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서 상기 제 1 면을 외부로 노출하도록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 갖는 카트리지 본체를 갖춘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디스크를 외부로부터 처킹하기 위한 처킹 개구부와,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헤드가 디스크로 억세스하기 위한 헤드 개구부를 바닥부에 갖는 카트리지 하체상에, 상기 헤드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셔터를 배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 부재를 제 1 및 제 2 셔터상에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디스크 개구부를 갖는 카트리지 상체를 상기 카트리지 하체와 접합하여, 카트리지 본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디스크 개구부에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상기 디스크를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디스크 개구부로 그 일부가 연장되도록, 탈락 방지 부재를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상면에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상체와 상기 카트리지 하체와의 접합을 초음파 융착에 의해서 행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상체 및 상기 카트리지 하체는 ABS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는 폴리아세탈 수지로 구성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KR1020057006046A 2002-10-10 2003-10-08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디스크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KR200500674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97843 2002-10-10
JPJP-P-2002-00297843 2002-10-10
JP2003043051 2003-02-20
JPJP-P-2003-00043051 2003-02-20
JP2003323679 2003-09-16
JPJP-P-2003-00323679 2003-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412A true KR20050067412A (ko) 2005-07-01

Family

ID=32096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046A KR20050067412A (ko) 2002-10-10 2003-10-08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디스크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73311B2 (ko)
EP (1) EP1551025B1 (ko)
JP (1) JP3892028B2 (ko)
KR (1) KR20050067412A (ko)
AU (1) AU2003271133A1 (ko)
CA (1) CA2501178A1 (ko)
DE (1) DE60321940D1 (ko)
TW (1) TW200414138A (ko)
WO (1) WO2004034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6338A (ja) * 2004-03-25 2005-10-06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6309906A (ja) * 2005-03-28 2006-11-09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
EP2485219B1 (en) * 2006-10-12 2014-05-21 Panasonic Corporation Disk cartridge
JP4784615B2 (ja) * 2008-02-29 2011-10-0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102181121B1 (ko) * 2016-09-20 2020-11-20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기판 이송 장치 및 기판 이송 장치의 제어 방법
TWI635487B (zh) * 2016-12-29 2018-09-11 宏碁股份有限公司 光碟機
CN115523793B (zh) * 2022-11-14 2023-02-03 四川航天系统工程研究所 一种多规格负载同步紧固及解锁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0172A (ja) 1985-01-23 1986-07-31 Nec Corp コレクト着信規制方式
JPH082248B2 (ja) 1986-12-26 1996-01-17 日本油脂株式会社 被覆有機酸及び有機酸塩製剤の製造方法
JPS6419572U (ko) 1987-07-28 1989-01-31
JPH0371465A (ja) 1989-08-11 1991-03-27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2766384B2 (ja) 1990-07-06 1998-06-18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332043B2 (ja) 1992-10-30 2002-10-0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デイスクカートリツジ
JP3053713B2 (ja) 1993-06-25 2000-06-19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2−(フルフリルチオ)酢酸の製造方法
US5499233A (en) * 1994-06-20 1996-03-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disk carrier with write-protect mechanism
JPH08287638A (ja) 1995-04-12 1996-11-01 Mitsubishi Chem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9153264A (ja) 1995-11-29 1997-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1339424A (ja) 1998-05-22 1999-12-10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0030399A (ja) * 1998-07-13 2000-01-28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0030339A (ja) 1999-07-05 2000-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トリッジロ―ディング装置
JP2001256752A (ja) * 2000-03-09 2001-09-21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283555A (ja) 2000-03-31 2001-10-12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TW522385B (en) * 2000-05-17 2003-03-01 Sony Corp Disk cartridge
JP4089140B2 (ja) * 2000-07-28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DE60232056D1 (de) * 2001-01-12 2009-06-04 Panasonic Corp Plattenkassette
US6910219B2 (en) * 2001-07-06 2005-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US6971117B2 (en) * 2001-11-09 2005-11-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JP2003242740A (ja) * 2002-02-15 2003-08-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WO2005045839A1 (ja) * 2003-11-10 2007-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51025A4 (en) 2006-05-24
AU2003271133A1 (en) 2004-05-04
DE60321940D1 (de) 2008-08-14
CA2501178A1 (en) 2004-04-22
TW200414138A (en) 2004-08-01
US7673311B2 (en) 2010-03-02
JP3892028B2 (ja) 2007-03-14
EP1551025A1 (en) 2005-07-06
JPWO2004034397A1 (ja) 2006-02-09
WO2004034397A1 (ja) 2004-04-22
US20060112405A1 (en) 2006-05-25
EP1551025B1 (en)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047B1 (ko) 디스크 카트리지
JP389198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20050067412A (ko)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디스크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KR100941232B1 (ko) 디스크 카트리지
JP3891906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89202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776383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892026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89202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89202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405983B1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6092735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609273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3228948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405982B1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395977B1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77644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776444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77644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405984B1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525138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