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6502A -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 Google Patents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6502A
KR20050066502A KR1020030097799A KR20030097799A KR20050066502A KR 20050066502 A KR20050066502 A KR 20050066502A KR 1020030097799 A KR1020030097799 A KR 1020030097799A KR 20030097799 A KR20030097799 A KR 20030097799A KR 20050066502 A KR20050066502 A KR 20050066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 data
data line
line
bits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5117B1 (ko
Inventor
신동학
권기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7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117B1/ko
Publication of KR20050066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5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ultiport memories each having random access ports and serial ports, e.g. video RA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0Deco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Dram (AREA)

Abstract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read data line)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반도체장치는, 종래의 리드데이터 라인의 길이를 분할하여 라인의 부하를 감소시키며, 상기 분할된 리드데이터 라인의 정보는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목적지에 연결한다.

Description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The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read data line with decreased line loads}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중 포트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read data line)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중 포트(multi port)의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각 포트에 할당된 리드데이터 버퍼(read data buffer)는, 메모리 코아(core)에서 한꺼번에 입력된 512개의 데이터를 16비트씩 연속적(serial)으로 리드데이터 라인을 통해 포트로직(port logic)으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에 사용 중인 리드데이터 라인의 연결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 개(예를 들면, 512개)의 리드데이터는 일정한 개수 (예를 들면, 16비트의 데이터(<15:0>))로 분할되어 N 개(예를 들면, 32개)의 리드데이터 그룹으로 나눠지고, 상기 리드데이터 그룹의 데이터를 병렬로 처리하는 N개(B0 내지 B(N-1))의 3상 버퍼(tri-state buffer, 이하 3상 버퍼)에 연결된다.
각각의 3상 버퍼에 16비트씩 연결된 리드데이터 그룹들(RD_0 내지 RD_(N-1))은, 순차적으로 인에이블(enable)되는 어드레스 제어신호(DA_0 내지 DA_(N-1))에 대응하여 리드데이터 라인(101)으로 출력된다.
리드데이터 라인(101)에 실린 데이터는 포트로직(102)으로 전달된다.
데이터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인에이블 시키는 이유는, 서로 다른 3상 버퍼로(B0 내지 B(N-1))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임의의 3상 버퍼가 온(on) 상태가 되어 데이터를 리드데이터 라인(101)에 전달하고 있으면, 나머지 모든 3상 버퍼들은 오프(off) 상태가 되어 데이터를 대기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 N을 32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중 포트 메모리에서 리드데이터 라인(101)에는 32개의 3상 버퍼(B0 내지 B(N-1))의 출력이 모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모두와 연결되기 위한 리드데이터 라인(예를 들면, 총 16000 mu m )의 부하가 크게 된다. 리드데이터 라인의 부하는 데이터의 전달을 지연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3상 버퍼의 드라이버의 구동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또한 32개의 3상 버퍼로부터의 정션 커패시턴스(junction capacitance)에도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나쁜 영향을 모두 고려한 설계를 한다는 것은, 레이아웃(layout)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리드데이터 라인(read data line)의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리드데이터 라인의 길이를 감소시키고, 멀티플렉서를 추가하여 라인부하를 감소시킨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한 반도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는, N개의 리드데이터 그룹, N개의 어드레스 제어신호, N개의 3상 버퍼, 및 멀티플렉서를 구비한다.
상기 N 개의 리드데이터 그룹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부터 외부로 출력하여야 할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트를 포함한 리드데이터를 일정한 개수의 비트로 분할하여 생성시킨다.
상기 N 개의 어드레스 제어신호는, 상기 리드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M개의 비트를 이용하여 생성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M 개의 비트를 디코딩 하여 N 개의 어드레스 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M은 5, N은 3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개의 3상 버퍼 그룹은, N/2 개의 3상 버퍼 그룹으로 양분된다. 그 중 하나의 N/2 개의 3상 버퍼 그룹은, N/2개의 상기 어드레스 제어신호에 따라 일단에 연결된 N/2개의 상기 리드데이터 그룹을 다른 일단에 연결된 제1서브 리드데이터 라인에 전송한다.
나머지 N/2 개의 3상 버퍼 그룹은, 나머지 N/2개의 어드레스 제어신호에 따라 일단에 연결된 나머지 N/2개의 리드데이터 그룹을 다른 일단에 연결된 제2서브 리드데이터 라인에 전송한다.
멀티플렉서는, 일정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일단에 연결된 제1서브 리드데이터 라인 및 제2서브 리드데이터 라인을 다른 일단에 연결된 포트로직(port logic)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1서브 리드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N/2개의 3상 버퍼 그룹은,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멀어질수록 리드데이터 라인 구동능력이 향상되는 특성을 가진 버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서브 리드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N/2개의 3상 버퍼 그룹은,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멀어질수록 리드데이터 라인 구동능력이 향상되는 특성을 가진 버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는, N개의 리드데이터 그룹(RD_0 내지 RD_(N-1)), N개의 어드레스 제어신호(DA_0 내지 DA_(N-1)), N개의 3상 버퍼(B0 내지 B(N-1)), 및 멀티플렉서(203)를 구비한다.
N 개의 리드데이터 그룹(RD_0 내지 RD_(N-1))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부터 외부로 출력하여야 할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트를 포함한 리드데이터를 일정한 개수의 비트로 분할하여 생성시킨다.
N 개의 어드레스 제어신호(DA_0 내지 DA_(N-1))는, 상기 리드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M개의 비트(Data_addr<M-1:0>)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M 개의 비트(Data_addr<M-1:0>)를 디코딩 하여 N 개의 어드레스 제어신호(DA_0 내지 DA_(N-1))를 생성시키는 디코더(20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M은 5, N은 32인 것이 바람직하다.
N개의 3상 버퍼 그룹(B0 내지 B(N-1))은, N/2 개의 3상 버퍼 그룹으로 양분된다. 그 중 하나의 N/2 개의 3상 버퍼 그룹(B0 내지 B((N-1)/2))은, N/2개의 상기 어드레스 제어신호(DA_0 내지 DA_((N-1)/2))에 따라 일단에 연결된 N/2개의 상기 리드데이터 그룹(RD_0 내지 RD_((N-1)/2))을 다른 일단에 연결된 제1서브 리드데이터 라인(201)에 전송한다.
나머지 N/2 개의 3상 버퍼 그룹(B(N/2) 내지 B(N-1))은, 나머지 N/2개의 어드레스 제어신호(DA_(N/2) 내지 DA_(N-1))에 따라 일단에 연결된 나머지 N/2개의 리드데이터 그룹(RD_(N/2) 내지 RD_(N-1))을 다른 일단에 연결된 제2서브 리드데이터 라인(202)에 전송한다.
멀티플렉서(203)는, 제어신호(Data_addr<M-1:0>)를 이용하여, 일단에 연결된 제1서브 리드데이터 라인(201) 및 제2서브 리드데이터 라인(202)을 다른 일단에 연결된 포트로직(port logic, 204)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멀티플렉서(203)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제어신호(Data_addr<M-1:0>) 중 MSB(Most Significant Bit)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는, 총 32개의 3상 버퍼가 직접 연결된 종래의 리드데이터 라인(101, 예를 들면, 16000 mu m )을 반으로 분할하여, 2개의 서브 리드데이터 라인(201 및 202, 예를 들면, 8000 mu m ) 2개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서브 리드데이터 라인(201 및 202)에 각각 16개씩의 3상 버퍼(B0 내지 B((N-1)/2) 및 B(N/2) 내지 B(N-1))를 연결함으로써, 리드데이터 라인의 부하를 종전에 비하여 반으로 감소시킨다.
2개의 서브 리드데이터 라인(201 및 202)으로부터 포트로직(204)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멀티플렉서(multiplexor,203)가 필요하다. 멀티플렉서(203)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제어신호(Data_addr<M-1:0>)를 이용하며, 특히 MSB(Most Significant Bit) 즉, M번째 어드레스 비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을 5라 가정하면, MSB 즉, 5번째 어드레스 데이터(Data_addr<4>)가 로우 상태의 값을 가지면, 제1서브 리드데이터 라인(201)을 포트로직(204)에 연결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제2서브 리드데이터 라인(202)을 포트로직(204)에 연결시켜 모든 리드데이터를 포트 로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203)는 처리하여야 하는 데이터 비트의 수에 따라 결정되면, 여기서는 16 비트를 바람직한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사용되는 시스템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다.
제1서브 리드데이터 라인(201)과 연결된 N/2개의 3상 버퍼 그룹(B0 내지 B((N-1)/2))은, 멀티플렉서(203)로부터 멀어질수록 리드데이터 라인 구동능력이 향상되는 특성을 가진 버퍼들로 구성되며, 제2서브 리드데이터 라인(202)과 연결된 N/2개의 3상 버퍼 그룹(B(N/2) 내지 B(N-1))은, 멀티플렉서(203)로부터 멀어질수록 리드데이터 라인 구동능력이 향상되는 특성을 가진 버퍼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에서 멀티플렉서(203)로부터 멀리 떨어진 3상 버퍼의 사이즈를 크게 함으로써, 레이아웃의 효율과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을 더욱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를 구비하는 반도체장치는, 리드데이터 라인의 부하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상기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동하여야 하는 3상 버퍼의 구동능력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줄어든 리드데이터 라인의 부하 및 구동능력을 감소시켜도 되는 3상 버퍼는, 레이아웃 측면에서도 상당한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에 사용중인 리드데이터 라인의 연결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Claims (5)

  1.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부터 외부로 출력하여야 할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비트를 포함한 리드데이터를 일정한 개수의 비트로 분할하여 생성시킨 N 개의 리드데이터 그룹;
    상기 리드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M개의 비트를 가진 데이터 어드레스를 디코딩 하여 생성시킨 N개의 어드레스 제어신호;
    N/2개의 상기 어드레스 제어신호에 따라, 일단에 연결된 N/2개의 상기 리드데이터 그룹을 다른 일단에 연결된 제1서브 리드데이터 라인에 전송하는 N/2개의 3상 버퍼 그룹;
    나머지 N/2개의 어드레스 제어신호에 따라, 일단에 연결된 나머지 N/2개의 리드데이터 그룹을 다른 일단에 연결된 제2서브 리드데이터 라인에 전송하는 N/2개의 3상 버퍼 그룹;
    일정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일단에 연결된 상기 제1서브 리드데이터 라인 및 상기 제2서브 리드데이터 라인을 다른 일단에 연결된 포트로직(port logic)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는,
    상기 데이터 어드레스를 디코딩 하여 상기 N 개의 어드레스 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디코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제어신호는,
    상기 데이터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리드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N/2개의 3상 버퍼 그룹은,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멀어질수록 리드데이터 라인 구동능력이 향상되는 특성을 가진 버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서브 리드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N/2개의 3상 버퍼 그룹은,
    상기 멀티플렉서로부터 멀어질수록 리드데이터 라인 구동능력이 향상되는 특성을 가진 버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데이터는,
    512비트이고,
    상기 M개의 비트는,
    5개의 비트이고,
    상기 N은,
    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KR1020030097799A 2003-12-26 2003-12-26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KR100585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799A KR100585117B1 (ko) 2003-12-26 2003-12-26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799A KR100585117B1 (ko) 2003-12-26 2003-12-26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502A true KR20050066502A (ko) 2005-06-30
KR100585117B1 KR100585117B1 (ko) 2006-06-01

Family

ID=37257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799A KR100585117B1 (ko) 2003-12-26 2003-12-26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1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0294B2 (en) 2006-02-13 2009-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two rows of pads
US10656856B2 (en) 2015-07-13 2020-05-19 Lsis Co., Ltd. Data access apparatus using memory device wherein 24-bit data is divided into three segments that has predetermined addresses mapped to addresses of single 8-bi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066A (ko) 2011-12-21 2013-07-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0294B2 (en) 2006-02-13 2009-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two rows of pads
US10656856B2 (en) 2015-07-13 2020-05-19 Lsis Co., Ltd. Data access apparatus using memory device wherein 24-bit data is divided into three segments that has predetermined addresses mapped to addresses of single 8-bi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5117B1 (ko)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761B1 (ko) 분할된 시스템 데이터 버스에 연결되는 메모리 모듈을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시스템
JP5232019B2 (ja) 複数のプロセッサコア用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6847576B2 (en) Layout structures of data input/output pads and peripheral circuits of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JP5388406B2 (ja) メモリシステム
JP5372498B2 (ja) フル・スイング・メモリ・アレイを読み出す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7761668B2 (en) Processor architecture having multi-ported memory
KR100628550B1 (ko) 아키텍처와 로직옵션을 정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72287B1 (ko) 대규모 병렬 프로세서 어레이를 메모리 어레이에 비트직렬 방식으로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US645655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prefetch operation mode and data transfer method for reducing the number of main data lines
KR100585117B1 (ko) 라인부하가 감소된 리드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US6170041B1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with a bus transceiver
US7774535B2 (en) Memory system and memory device
US5774653A (en) High-throughput data buffer
US7042791B2 (en) Multi-port memory device with global data bus connection circuit
JP2001175370A (ja) マイクロプロセッサ・バス構造
US10459868B1 (en) Modular chip expansion bridge and corresponding methods
KR100427712B1 (ko) 트윈컬럼디코더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KR19980083459A (ko) 데이터버스 사이즈 조정 장치
US6198684B1 (en) Word line decoder for dual-port cache memory
US5724302A (en) High density decoder
KR0120563B1 (ko) 반도체 소자의 어드레스 버스 배치구조
CN111128281A (zh) 集成电路结构和存储器
KR20000003349A (ko) 버스 신호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