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5180A -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5180A
KR20050065180A KR1020030096949A KR20030096949A KR20050065180A KR 20050065180 A KR20050065180 A KR 20050065180A KR 1020030096949 A KR1020030096949 A KR 1020030096949A KR 20030096949 A KR20030096949 A KR 20030096949A KR 20050065180 A KR20050065180 A KR 20050065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racket
mounting
fastening structure
protrusion
botto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학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5180A/ko
Publication of KR2005006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18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운팅브라켓을 손쉽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으면서도, 체결 및 분리시에도 마운팅브라켓의 형상 및 마운팅브라켓의 체결구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되는 사출물에 형성되는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로서, 상기 사출물 상에 오목하게 형성된 장착면,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돌출부 및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장착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측면홈부를 구비하는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는 상기 장착면의 중앙부위에 형성된 탄성변형가능한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가장자리부를 상기 측면홈부에 삽입할 시에 상기 경사면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바닥부가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ENGAGEMENT CONSTRUCTION FOR MOUNTING BRACKE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사출물에 형성되는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릴레이 등과 같은 각종 전자유니트를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사출물 케이싱 내에 설치하고, 이 사출물에 형성된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에 마운팅브라켓을 체결한 상태에서 마운팅브라켓을 차량 내의 소정위치에 고정함으로써 장착하고 있다.
도3은 종래의 차량에 장착되는 사출물에 형성된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의 사시도로서, 사출물(1)상의 소정부위에는 마운팅브라켓(7)이 장착되는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2)가 형성된다.
도4는 도3의 점선으로 표시한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2)의 요부 확대사시도로서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2)는 상기 사출물(1)상에 오목하게 형성된 장착면(3)과, 마운팅브라켓(7)의 일측에 위치한 장착부(8)상에 형성된 체결구멍(9)에 체결되도록 상기 장착면(3)상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4)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4)는 마운팅브라켓(7)의 삽입방향(도3의 화살표 B)으로 장착면(3)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6)이 형성된다. 또한,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2)는 상기 마운팅브라켓(7)을 상기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2)에 삽입방향(B)으로 삽입하였을 때, 상기 장착부(8)의 가장자리부(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장착면(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측면홈부(5)가 형성된다.
한편, 마운팅브라켓(7)은 그 일측에 상기한 장착부(8)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차량의 소정부위에 장착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구멍(11)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마운팅브라켓(7)의 체결시에 삽입방향(B)으로 장착부(8)의 가장자리부(10)를 측면홈부(5)에 삽입하면 마운팅브라켓(7)의 장착부(8)의 하측면이 돌출부(4)의 경사면(6)을 따라 미끄러져 진행하고, 삽입이 완료되었을 시에는 체결구멍(9)내에 돌출부(4)가 억지 끼워맞춤으로 체결되어 삽입방향(B)으로 마운팅브라켓(7)을 고정하게 되며, 장착부(8)의 가장자리부(10)는 측면홈부(5)에 삽입되므로 장착면(3)의 수칙방향으로 마운팅브라켓(7)을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종래의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2)는 장착면(3)과 돌출부(4)가 변형될 수 있는 구성이 아니므로,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2)내로 마운팅브라켓(7)을 삽입할 때에 작업자가 상당한 힘을 가하여 끼워맞춰야 하므로(억지 끼워맞춤), 일단 마운팅브라켓(7)이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2) 내에 장착되면,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리하게 힘을 가하여 마운팅브라켓(2)를 삽입, 분리해 낼 경우, 마운팅브라켓(7)이 꺽여서 그 형상이 손상되거나, 돌출부(4) 및/또는 측면홈부(9)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운팅브라켓을 손쉽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으면서도, 체결 및 분리시에도 마운팅브라켓의 형상 및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장착되는 사출물에 형성되는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로서, 상기 사출물 상에 오목하게 형성된 장착면, 상기 마운팅브라켓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돌출부 및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장착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측면홈부를 구비하는 마운팅브라켓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는 상기 장착면의 중앙부위에 형성된 탄성변형가능한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가장자리부를 상기 측면홈부에 삽입할 시에 상기 경사면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바닥부가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닥부는 상기 장착면에 일체로 되는 접합부와 간극에 의해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분리된 비접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닥부는 상기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장착면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 내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도3 내지 도4에 도시된 종래의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동일한 형상으로 된 구성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2)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2)의 단면도로서, 마운팅브라켓(7)이 체결완료된 단면상태를 도시한다.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2)에 있어서는 장착면(3)의 대략 중앙부위에 탄성변형가능한 바닥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 가능한 바닥부(12)는 상기 장착면(3)에 일체로 되는 접합부(14)와 간극(16)에 의해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분리된 비접합부(13)로 형성된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닥부(12)의 하측에 내측공간(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12) 상에는 도1에 도시된 형태의 돌출부(4) 및 경사면(6)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2) 내에 도1에 도시된 마운팅브라켓(7)의 가장자리부를 측면홈부(5)에 삽입방향(B)으로 삽입하게되면, 마운팅브라켓(7)의 장착부(8)의 하측면이 돌출부(4)의 경사면(6)을 따라 미끄러져 진행하고, 이 때, 상기 가장자리부(10)를 상기 측면홈부(5)에 삽입할 시에 상기 경사면(6)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바닥부(12)가 바닥부(12)의 하측에 형성된 내측공간(15) 내로 탄성변형되므로 돌출부(4)도 내측공간(15) 측으로 하향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마운팅브라켓(7)을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2)에 삽입하는 것이 수월해지고, 억지끼워맞출 필요가 없으므로, 마운팅브라켓(7)이나 돌출부(4) 또는 측면홈부(5)가 변형 손상되는 일이 없게 된다.
마운팅브라켓(7)이 삽입이 완료되면, 바닥부(12)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므로 돌출부(4)는 마운팅브라켓(7)의 체결구멍(9)내에 체결되게 된다.
한편, 마운팅브라켓(7)을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2)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작업자는 손가락이나, 간단한 작업도구를 이용하여 둘출부(4)를 상측으로부터 단순히 가압하면 바닥부(12)는 다시 내부공간(15)내로 탄성변형되므로, 돌출부(4)와 체결구멍(9)의 체결상태가 해제되어 마운팅브라켓(7)을 삽입방향(B)의 반대방향으로 간단하게 빼낼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브라켓의 체결구조에 의하면, 차량에 부착되는 사출물에 마운팅브라켓을 손쉽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으면서도, 마운팅브라켓의 체결 및 분리시에도 마운팅브라켓의 형상 및 마운팅브라켓의 체결구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의 요부 확대사시도.
도2는 도1의 A-A 선 단면도.
도3은 종래의 사출물에 형성된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요부 확대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량 부착용 사출물 2: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
3: 장착면 4: 돌출부
5: 측면홈부 6: 경사면
7: 마운팅브라켓 8: 장착부
9: 체결구멍 10: 가장자리부
11: 장착구멍 12: 바닥부
13: 비접합부 14: 접합부
15: 내측공간 16: 간극

Claims (3)

  1. 차량에 장착되는 사출물에 형성되는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로서,
    상기 사출물 상에 오목하게 형성된 장착면,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돌출부 및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가장자리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장착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측면홈부를 구비하는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는 상기 장착면의 중앙부위에 형성된 탄성변형가능한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가장자리부를 상기 측면홈부에 삽입할 시에 상기 경사면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바닥부가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장착면에 일체로 되는 접합부와 간극에 의해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분리된 비접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장착면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 내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
KR1020030096949A 2003-12-24 2003-12-24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 KR20050065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949A KR20050065180A (ko) 2003-12-24 2003-12-24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949A KR20050065180A (ko) 2003-12-24 2003-12-24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180A true KR20050065180A (ko) 2005-06-29

Family

ID=3725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949A KR20050065180A (ko) 2003-12-24 2003-12-24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51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2669B (zh) 嵌条
EP0984673B1 (en) Securing hook
EP2014930B1 (en) Article installation device
JP5231564B2 (ja) 電気端子のネジをロックするためのロック装置
KR101045157B1 (ko) 푸쉬버튼 스위치 취부 구조
JP5346530B2 (ja) コネクタモジュール用の保持フレーム
KR20050065180A (ko) 마운팅브라켓 체결구조
JP5950712B2 (ja) 部品の結合構造
US6643140B2 (en) Printed circuit board retaining device for monitors
JP4522248B2 (ja) 分電盤
US6971708B2 (en) Fixing structure of protector
KR101009381B1 (ko) 자동차용 자동온도조절장치의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JP2005347074A (ja) 車両のスイッチ取付構造
JP3675258B2 (ja) 筐体の取付構造
KR200162009Y1 (ko) 원형전기터미널고정가능커넥터하우징
JPH11307961A (ja) 基板取付装置
KR100491582B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 판넬 조립구조
JPH074725Y2 (ja) 車両用灯具のカバー着脱構造
KR200355150Y1 (ko) 레인지 후드 스위치부 결착구조
KR200145109Y1 (ko) 시트벨트 트림카바
JPS5816222Y2 (ja) シヤ−シ取付装置
JP3268617B2 (ja) 携帯無線通信機等におけるキーパッド保持構造
JP4282270B2 (ja) 外装部品用プロテクタ
KR200150890Y1 (ko) 쿼터 클라스 마운팅장치
KR0130289Y1 (ko) 발광 다이오드 렌즈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5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