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675A -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장치 및 그 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장치 및 그 통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675A
KR20050062675A KR1020030093520A KR20030093520A KR20050062675A KR 20050062675 A KR20050062675 A KR 20050062675A KR 1020030093520 A KR1020030093520 A KR 1020030093520A KR 20030093520 A KR20030093520 A KR 20030093520A KR 20050062675 A KR20050062675 A KR 20050062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call
user
terminal devi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7049B1 (ko
Inventor
임재하
Original Assignee
임재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하 filed Critical 임재하
Priority to KR1020030093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049B1/ko
Publication of KR20050062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는, 무선회로부와 주파수 합성부, 전원회로부, 아날로그 회로부, 제어회로부, 컴퓨터 인터페이스부가 포함되는 하드웨어 모듈과; 기본 운영 프로그램 및 통신 방식별 라이브러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포함되는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모듈은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컴퓨터와 접속되고,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상기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에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 장치의 모듈 부분을 저렴하고 보다 신뢰성 있게 제조할 수 있으며,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보다 풍부한 PC 내의 메모리와 UI 요소를 활용하므로 좀 더 사용자 친화적이고 편리한 UI가 구현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 사용자가 고유한 Application SW를 고안 및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모든 SW가 일반 PC의 OS에서 동작하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소정의 형태로 생산된 휴대 단말 장치를 자기의 개성에 맞게 개조 및 성능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 및 그 통화 방법{mobile phone for operating in computer operating system and ca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 장치 전용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이하 OS)이 아닌 일반 범용의 컴퓨터(예 : 데스트 탑, 노트북 컴퓨터 등)가 사용하는 MS사의 윈도우계열 또는 맥킨토시사의 Mac OS계열, 리눅스 등의 OS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 휴대 단말기(PDA폰), 스마트 폰, IMT-2000및 4G 휴대폰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종래의 경우 GSM 또는 CDMA 통신 방식의 휴대 단말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 PCS 등과 같이 휴대 단말 장치 내의 핵심부품(ASIC) 내에 상기 통신 방식에 대한 호 처리 소프트웨어(SW) 등이 실장 되어 이동통신 기능을 구현하거나, 또는 PDA 등과 같이 확장 슬롯(Slot)에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 등이 구비되지 않은 이동통신 기능을 포함한 모듈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현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1개 정도의 이동통신 단말기 전용 Baseband ASIC(100)(상기 ASIC 내에는 일반 CPU(102)와 연산처리 전용의 DSP 프로세서(104)가 함께 내장되어 있음)과 이동통신 단말기 만을 위한 전용 RF/ 아날로그 회로(110), UI(User Interface) 회로(120), 전원회로(130)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Baseband ASIC(100)에 내장된 2개의 프로세서는 그 기능이 대개 구별되어 동작된다. 즉, 통신 프로토콜(예 : CDMA 호 처리 SW 등) 및 일반 응용 SW(예 : UI SW 등)는 일반 CPU(102)에서 처리되고, 통화 중 음성 인코딩(Encoding)과 디코딩(Decoding) 및 모뎀(Modem) 관련 기능 등은 DSP 프로세서(104)에서 주로 처리된다.
이 때 상기 2개의 프로세서(102, 104)는 공동 메모리(140)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휴대 단말 장치 전용 OS(예 : 심비안 OS)가 Baseband ASIC(100) 에 필요하게 되며, 상기 휴대 단말 장치 전용 OS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갖는 환경(일반 PC와 비교해서 비교적 소용량의 메모리와 소규모의 UI 장치 등)에서 효율적으로 모든 HW 운영과 SW가 처리될 수 있도록 일반 PC에서 사용되는 OS와는 상당히 다른 구조 및 특성을 갖는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PDA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PDA는 이동통신 모듈부에서 무선 통화 시에 필요한 호 처리 및 UI Application 등 모든 SW 처리를 휴대 단말 장치 전용 OS(200) 상에서 처리하고, 그 결과물(음성 및 UI data) 만을 PDA부로 보내면 PDA부는 받은 정보 중 음성은 PDA(210)의 마이크, 스피커 등으로 보내고, UI 관련 Data는 PDA의 UI(220)로 보내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다시 말하면, 모든 호 처리 SW 및 Application SW는 이동통신 모듈부 내의 휴대 단말 장치 전용 OS(200) 상에서 독자적으로 동작하며, 이에 필요한 메모리는 모두 이동통신 모듈부 내의 전용 메모리(230)를 쓰고, PDA사와 이동통신 모듈 개발사 간에 개발 진행 전에 서로 합의한 인터페이스 방식을 통해서 상기 PDA부와 이동통신 모듈이 연결되는 것이다. 즉, PDA용 이동통신 모듈부와 PDA부는 최종 처리된 오디오 신호와 데이터 및 제어신호만 주고 받는다.
상기 언급한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PDA 등의 휴대 단말 장치의 공통점은 휴대 단말 장치 전용의 하드웨어(HW) 보드 내의 핵심부품 안에 휴대 단말 장치 전용의 OS SW(예 : 심비안)를 설치하고, 상기 OS 상에서 동작하는 Call processing SW, UI SW 및 각종 Application SW가 설치, 실행된다는 점이다.
즉, 종래는 휴대 단말 장치 전용 OS상에서 필요한 이동 통신 SW(예 : 호 처리와 UI SW 등)가 구현/ 동작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 장치 전용 OS를 사용하게 되면, 이는 휴대 단말 장치 내부 환경에 맞게 최적화가 이루어진 OS이므로 HW 및 SW 운영의 최적화가 가능하게 되어 휴대 단말 장치의 소형, 경량화 및 저전력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휴대 단말 장치 전용 OS는 휴대 단말 장치 자체의 제한적인 환경(예 : 고비용이면서 소용량의 메모리, 소규모의 UI 장치 등) 때문에 제한적인 성능을 구현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 전용 OS 상에서 전용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를 일반 범용의 컴퓨터(예 : 데스트 탑, 노트북 컴퓨터 등)가 사용하는 윈도우 OS 계열, Mac OS 계열, 리눅스 등의 OS 상에서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휴대 단말 장치 하드웨어를 구현하고, 사용자 스스로 휴대 단말 장치용 응용 어플리케이션 SW를 개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OS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일 실시예는, 무선회로부와 주파수 합성부, 전원회로부, 아날로그 회로부, 제어회로부, 컴퓨터 인터페이스부가 포함되는 하드웨어 모듈과; 기본 운영 프로그램 및 통신 방식별 라이브러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포함되는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모듈은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에 의해 컴퓨터와 접속되고,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상기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에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윈도우계열, Mac OS계열, 리눅스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해당하며, 상기 하드웨어 모듈은 컴퓨터 내의 내장카드 형태로 구현되거나, 컴퓨터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 가능한 외장 형태로 구현되거나, PCMCIA 슬롯에 삽입되는 모듈의 형태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방식별 라이브러리 프로그램에는, 각 통신 방식별로 각각 구별되는 호처리 프로그램, 유저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사용자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암호화 프로그램, 외부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상기 통신 방식은 GSM, CDMA, WCDMA, CDMA 2000, 4G 휴대폰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해당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의 통신 방식으로 통화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프레임 번호, 메인 데이터의 종류 필드, 제어명령 및 상태 보고 데이터 필드, 제어명령에 대한 CRC 필드, 메인 데이터 필드, EOF 필드로 프레임화 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명령 및 상태 보고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데이터에 의해 하드웨어 모듈의 출력이 디코딩 된 음성 또는 상기 디코딩 되기 전의 음성으로 선택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상기 하드웨어 모듈 내에 하드웨어 모듈 전체 제어 및 리소스 관리 프로그램, 자체 진단 및 분석용 프로그램, 상기 제어회로 내의 탐색기, 오디오 코덱, 모뎀, 에러 코렉팅 코덱(Error Correcting Codec)용 프로그램, RF 주파수 합성에 필요한 주파수 정보 및 RF 제어 프로그램 즉, 자동이득조정(AGC), 자체보상 및 자체조정(compensation & calibration) 관련 프로그램이 다운로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소정의 통신 방식에 대한 호 처리, 유저 인터페이스, 암호화, 외부 인터페이스, 기본 관리 프로그램 등 다수의 응용 소프트 웨어가 구비되고, 상기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RF회로 및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C),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AC), 탐색기(Searcher), 핑거(finger), 가입자 정보 저장과 소프트웨어 보안을 담당하는 메모리 블록 및 불법 복사를 막기 위한 보호회로 블록이 포함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가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에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통신 방식은 GSM, CDMA, WCDMA, CDMA 2000, 4G 휴대폰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해당하며, 상기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윈도우계열, Mac OS계열, 리눅스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해당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OS 상에서 동작하는 호 처리 소프트웨어 및 유저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컴퓨터의 외부 인터페이스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컴퓨터의 외부 인터페이스는 USB계열, IEEE1394계열, blue tooth계열, PCMCIA계열 , IR, serial 및 병렬 인터페이스 계열 방식 등 중의 하나이다.
또한, 상기 다수의 응용 소프트웨어는 범용의 소프트웨어 개발 툴을 이용하여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응용 소프트웨어(예 : 자신만의 독특한 UI 메뉴 및 프로그램 개발 등)를 새로운 응용 소프트웨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호 처리 소프트웨어, 유저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의 메모리 상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컴퓨터 상의 메모리는 HDD계열, CD-Rom계열, DVD계열, RAM 계열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통화를 위해 통신 방식을 지정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통신 방식을 지정할 수 있도록 보조 활성창이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와; 사용자가 특정 통신 방식을 지정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지정된 통신 방식에 맞는 개인 사용정보를 입력토록 하는 보조 활성창이 표시되며, 컴퓨터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 사용정보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방식 및 개인 사용정보의 지정/ 입력에 의해 상기 선택된 통신 방식의 무선 접속규격이 수행되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통신 방식이 이전에 지정된 통신 방식과 동일한지 판단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새로 지정된 통신 방식의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고, 자체 성능 시험이 수행되는 단계와; 상기 자체 성능 시험 결과 이상 있는 경우 이상 내역이 사용자에게 표시되고, 다른 모드의 사용을 권하거나 사용종료를 요청하는 활성창이 표시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통화를 위해 등록하는 방법은,
입력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유효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유효가입자임이 확인되면 휴대폰 기능 사용가능 메시지를 컴퓨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이후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무효가입자임이 확인되면 개인정보 재확인 메시지를 컴퓨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 재입력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정보 재입력이 수 회 반복된 경우에도 사용자의 무효가입자임이 확인되는 경우 다른 통신 방식으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화를 거는 방법은,
사용자가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된 활성창의 메뉴를 통해 전화걸기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컴퓨터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대방의 전화번호 입력 및 서비스 옵션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 상에서 동작하는 드라이버 소프트웨어(SW) 내의 호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통화연결 요청(Call origination) 메시지와 전화번호, 선택된 서비스 선택 사항 등이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단계와; 기지국으로부터 통화 채널을 할당 받고 상대편의 벨소리를 수신하게 되면, 컴퓨터의 화면에 통화로 연결됨 메시지가 표시되고, 상기 벨소리가 컴퓨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음성이 컴퓨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어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된 후, 선택된 통신 방식에서 규정하는 오디오 코덱 형태에 맞게 포멧(Format) 변환되어 기지국을 거쳐 상대방에 전송되는 단계와; 상대편으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가 상기 통신 방식에 맞는 오디오 코덱 형태로 입력된 후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에 적합한 형태로 포멧 변환되어 상기 컴퓨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해 상대방으로부터의 전화를 받는 방법은,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지정된 통신 방식용 소프트웨어 드라이버의 제어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시스템메시지 채널을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를 HW모듈이 포멧 및 프레임화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SW모듈이 분석하고 저장된 개인정보를 통해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시스템메시지가 있음이 파악되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컴퓨터의 화면을 통해 전화 왔음 과 상대방 전화번호 를 표시하고 스피커를 통해 벨소리를 발생시키며, 통화연결 및 통화해제 의 활성창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통화연결 을 선택하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통화채널을 할당 받고, 컴퓨터에 연결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사용자에게 연결시켜 음성통화가 가능토록 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통화 해제 를 선택하는 경우 현재 수신되고 있는 통화의 수신거부 및 해제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에 보내고, 기지국과 통신 방식에서 규정된 대로 관련 메시지를 주고 받은 후에 통화를 해제하는 단계와, 마이크와 스피커를 컴퓨터의 다른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W)에 사용되도록 제어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전화 걸기 및 전화 받기 방법에 있어서는,
상대방과 통화 중 컴퓨터의 화면에 통화 종료 를 선택할 수 있는 보조 활성창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통화 종료 를 선택하면, 통화종료를 위한 메시지를 기지국에 보내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화종료 의 최종통보를 받은 후 상기 보조 활성창을 닫고, 사용시간, 상대 전화번호 등을 표시한 보조활성창을 활성화 시키고, 마이크와 스피커를 컴퓨터의 다른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W)에 사용되도록 제어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이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와 가장 큰 차이점은, 종래 휴대 단말 장치 내의 주요 응용 SW가 휴대폰 내의 Baseband Asic과 Memory Chip에서 동작하는 것이 아니고, 범용의 PC의 OS 및 메모리 상에서 동작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OS 상에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하면, 범용의 컴퓨터에 쓰이는 안정되고 공개된 OS를 사용하므로 휴대폰 전용의 OS가 필연적으로 갖게 되는 성능 구현의 제한과 사용자가 자신만의 어플리케이션 SW를 설계해서 넣을 수 없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는 범용 PC에 사용되는 OS의 경우 시중에 상당히 많은 어플리케이션 SW가 이미 개발 완료되어 유통되고 있고, 그러한 어플리케이션 SW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SW tool도 이미 많은 종류가 개발되어 있으며, 또한 PC의 풍부한 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본인만의 SW를 구현 했을 때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개인용 Application SW의 동작 Error 발생 등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 장치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SW를 직접 손쉽게 개발 및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사용자 자신이 직접 자신만을 위한 휴대 단말 장치용 어플리케이션 SW 프로그래밍이 가능해지므로 각 개인의 취향에 맞게 자신만의 독자적인 UI를 구성할 수 있게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그래픽 및 해상도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으며, 키보드 배열을 자신만의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미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그림과 동영상, 음악 등을 자신의 것에 맞게 선택해서 벨소리, 배경 화면, 통화 중 영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드웨어 측면에서 볼 때 외부에 접속되는 보드의 구성이 최소한의 RF회로와 최소한의 베이스밴드 부품 등으로 구성되므로 HW 보드의 구성 가격이 저렴해지고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데, 이는 부품수가 줄어들어 생산이 간단해지고 불량이 일어날 확률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범용 컴퓨터의 발달된 UI(예 : 모니터, 키보드, 스피커, 마이크)를 사용하고, 범용 컴퓨터의 대용량 메모리를 사용하게 되므로 값비싼 부품을 현저히 줄이게 되어 저렴하게 외부 HW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경우 휴대 단말 장치 구현 시에 가장 값비싼 부품들은 엄청난 집적도의 Baseband Asic과 메모리, 컬러 LCD, 배터리 등 이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이러한 값비싼 부품 등을 거의 모두 일반 PC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 장치 HW 생산에 필요한 부품보다 훨씬 적은 수의 부품으로 저렴한 부품들만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SW측면에서는 종래의 경우 거의 불가능한 서비스 즉, 사용자가 독자적인 휴대폰용 SW를 개발하는 서비스를 휴대 단말장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와는 전혀 다른 개념의 휴대 단말 장치 HW 구성 및 SW를 제공하는 차별화 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또한, PC와 별도의 휴대 단말 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PC 작업 중에 통화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본 발명과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의 차이를 이하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PC OS 상에서 동작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1,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와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의 차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휴대 단말 장치 내에 구비된 Baseband Processing chip(100, 200)에는 일반적으로 Micro processor와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및 Multi Media Processor for multi media data(MMP, 예: 동영상녹화 및 음성녹음. 카메라의 정지화상 data처리 등을 위한 것) 등이 1 Chip내에 함께 구현되어 있으며, 이는 고 집적도의 IC(Integrated circuit)로 이루어 진다.
또한, 통신 Protocol 처리를 위한 전용회로(dedicated circuit for communication protocol : CDMA, GSM, WCDMA 등)가 추가로 포함되므로 상기 Baseband Processing chip(100, 200)은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 내부에서 가장 복잡하고 전력 소모도 많은 부분에 해당한다.
이에 반해 도 3에 도시된 BBP(Basic/Simplified Baseband Processing chip)(300)에는 가장 복잡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상기 Micro processor, MMP 등이 제거되며, 상기 DSP도 기능이 훨씬 간단한 낮은 등급의 것으로 대체되고, DSP용 내장 메모리 크기의 크기도 대폭 축소되어 있다.
또한, 통신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전용회로가 함께 실장 되므로 회로 복잡도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전력 소모도 대폭 줄일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Microprocessor, MMP 등이 처리하던 모든 기능을 모두 일반 PC(310) 내의 MMP, Co-processor 부분 등이 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BBP(300)에는 비교적 간단한 임무만을 처리할 DSP 프로세서만이 내장되므로 여기에 필요한 메모리(320) 크기도 작아지고 DSP의 성능도 고성능이 필요 없이 범용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종래 휴대폰 기술에서 핵심이라고 하는 부분으로서 Baseband processing chip의 성능 요구사항을 대폭 낮추고, 이를 간단화 함으로써, 회로의 간단화와 저가화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이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 HW모듈 내에는 Call Processing SW, Application SW, UI(user interface)SW 등이 처리될 수 있는 프로세서와 메모리가 없으므로, 상기 SW들은 PC(310)의 프로세서와 메모리(330) 내에서 처리되어야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호 처리나 Application, UI SW들은 모두 일반 PC(Desk top, Notebook) 등의 OS(Window계열 OS, Mac OS, Linux)상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변경되며, 이것이 SW측면에서 종래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본 발명에 의한 PC OS 상에서 동작되는 휴대 단말 장치는 크게 HW(Hardware)모듈과 SW(Software)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HW모듈는 일반 PC(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PC 등)에 내장카드 형태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PC의 외부 인터페이스(USB, IEEE1394 등)를 통해 연결 가능한 외장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노트북의 경우 PCMCIA 슬롯에 삽입되는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W모듈은 일반 PC(Personal computer)의 OS(리눅스, 윈도우계열 OS, Mac OS 등)상에서 동작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 HW 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의 HW모듈은 무선회로부(400) 즉, RF 송신부(402), RF 수신부(404), 주파수 합성부(406)와, 전원회로부(410), 아날로그회로부(420), 제어회로부(430), PC 인터페이스부(44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이는 PC(450)와 상기 인터페이스(452)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HW모듈은 주로 통신 프로토콜의 제 1 및 제 2 계층(Layer 1과 2)의 일부를 담당하며, SW모듈의 제어에 의해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HW모듈에서 상기 SW모듈에 보내는 출력프레임의 형태가 변화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는 복조, 에러탐지 및 복원, Voice Decoding까지 된 데이터들이 HW모듈의 출력이 되어 SW모듈로 프레임화 되어 전달되는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 SW모듈이 HW모듈로 제어명령을 보내면 Voice decoding은 수행되지 않은 출력이 프레임화 되어 SW모듈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HW모듈 내의 주요한 각 부분의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무선회로부(400) 내의 RF송신부(402)는 아날로그부(420)로부터 입력된 기저대역(Baseband)의 아날로그 신호를 원하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대역으로 천이시켜 원거리 전송이 가능하게 하며, 반대로 RF수신부(404)는 원하는 무선(Radio Frequency)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정보를 기저대역으로 천이시켜 아날로그부(420)로 입력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주파수 합성부(406)는 각 RF송신부(402)와 RF수신부(404)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를 정밀하게 합성(Synthesis)하여 필요로 하는 부분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아날로그부(420)는 제어회로부(43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화시켜 RF송신부(402)로 입력시키는 기능과, RF수신부(404)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화시켜 제어회로부(430)에서 처리가 가능하게 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외에도 RF부와 연동하여 전체적인 회로의 증폭도의 조정(Automatic gain control)과 각 회로부분의 자체적인 성능교정 및 보상(Compensation & Calibration)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전원회로부(410)는 HW모듈 내의 각 부분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규격의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어회로부(430)는 아날로그회로부(420)와 RF회로부(402, 404)의 자동이득조정(Automatic Gain Control) 및 성능교정(Calibration) & 보상(Compensation) 기능을 수행할 때 필요한 연산처리와 제어명령을 각 부분에 주는 기능과 주파수 합성부(406)에 필요한 주파수 정보를 전달하며, SW모듈로부터 지정 받은 통신 방식(GSM, WCDMA, CDMA2000 등)별 무선접속규격(Common Air Interface)에 맞는 처리(Modem, Error correcting codec, Voice Codec 등)를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회로부(430)는 상기 아날로그부(42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SW모듈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소정의 통신 방식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RF 수신신호의 복조 및 에러탐지 및 수정, 음성정보의 복원과 기타 데이터 정보의 복원 등)하여 가공된 데이터의 형태로 프레임화 한 후 SW모듈로 전송하는 기능과, SW모듈로부터 받은 데이터 프레임을 분석하여 송신할 데이터를 추출하고 필요한 과정(Voice encoding, 변조 및 에러수정을 위한 Error Encoding 등)을 수행 후 RF송신부(402)를 통해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제어회로부(430)는 일반적으로 DSP(Digital Signal Processor)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440)는 HW모듈이 일반 PC(450)와 접속하기 위한 회로를 내장하며 HW모듈의 정보가 일반 PC(450)로 전달되게 하는 기능과, 일반 PC(450)의 정보가 HW모듈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접속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상기 HW모듈이 내장카드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PC 내부의 버스(bus)와 접속하는 기능을 하며, PCMCIA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PCMCIA 접속규격을 만족시키는 기능을 하고, 이는 USB접속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의 SW모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SW모듈은 일반 PC(450)의 OS상에서 동작하며 통신프로토콜의 제 2 계층(Layer2)의 일부와 제 3 내지 7 계층(Layer3-7)까지를 처리 담당하고, PC의 UI에 의한 자체 메뉴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입력 받아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SW모듈은 이를 위해 PC(450)의 UI(User interface : Mouse, Keyboard, Display, touch screen, Mic, Speaker etc)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기능과, 상기 HW모듈에 필요한 정보(지정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프로그램과 개인정보 등)를 다운로드하는 기능과, 상기 HW모듈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업로드(Upload) 후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PC의 UI를 통하여 제공하는 기능과, PC의 UI(키보드 등)와 마이크, PC 카메라 등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각종 정보들을 HW모듈을 이용하여 상대편에 전송하는 기능 등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HW모듈과 SW모듈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HW모듈과 SW모듈은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및 처리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의 구조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상기 프레임화 된 데이터들이 수신되면 먼저 프레임의 번호(510)를 확인하여 분실된 프레임이 없이 연속적으로 수신 하였는지 확인하고, 이 때 분실된 프레임이 있으면 재전송을 요청한다.
또한, 메인 데이터의 종류 필드(520)를 통해 현재 수신된 프레임의 종류를 분석하여 Main 데이터 필드에 유효 데이터가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 데이터 존재를 인식하게 되면 상기 데이터의 성격(예: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과 그 길이를 확인하며, 제어명령은 급하게 처리해야 하는 사항이므로 제어명령 및 상태보고 데이터 필드(530)는 즉시 분석된다.
상기 제어명령 및 상태보고 데이터 필드(530)에는 Main 데이터 필드의 처리 방법도 포함될 수 있고, SW모듈이 호 설정 및 호 종료, 호 해제 등과 관련하여 기지국이나 시스템과 주고 받는 각종 호 처리 관련 메시지 등과, HW모듈의 내부상태 보고(자체 진단결과 또는 Calibration & compensation 결과, 현재 수신하고 있는 기지국 관련 정보 등) 정보 또는 BER, FER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 및 상태보고 데이터 필드(530)는 주요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에러극복을 위해 CRC필드(540)가 추가되며 이후의 메인 데이터 필드(550)는 대량의 데이터(수백-수천Byte 이상)가 실려서 주고 받게 되므로 CRC 등의 점검은 없다. EOF(560)는 프레임의 끝을 알리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SW모듈은 기본 운영 프로그램과 통신 방식별 라이브러리 프로그램으로 이루어 지며, 상기 기본 운영프로그램은 화면에 표시되는 주활성창과 관련메뉴 및 보조창과 관련메뉴를 관리하는 기능을 가진다.
PC의 OS상에서 상기 SW모듈의 기본 운영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켜서 사용자가 상기 기본 운영 프로그램이 제시하는 활성창에 의해 사용할 통신 방식을 결정하게 되면, 각 통신 방식별 라이브러리에서 각 통신 방식에 필요한 관련SW들을 즉, 각 통신방식별 Driver SW를 읽어 오고, 읽혀진 Driver SW중에서 HW모듈에 필요한 부분이 다운로드 되며, HW모듈의 자체점검이 끝나면, 사용자가 일반 PC의 OS상에서 휴대폰기능을 PC의 UI(User interface: Mouse, display, key board 등)를 통해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통신 방식별 라이브러리 프로그램에는 각 통신 방식(GSM, CDMA, WCDMA 등) 별로 별도의 호 처리 프로그램(CDMA용 호 처리, WCDMA용 호 처리, GSM용 호 처리 프로그램 등), UI SW (CDMA용 ,WCDMA용 등), Application SW (GSM용 , WCDMA용 등), 암호화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프로그램들이 있기 때문에 라이브러리 에서 읽어 올 때 상기 5가지 종류의 프로그램이 각 통신 방식별로 함께 읽혀 오게 되며, 또한, 상기 기본 운영프로그램은 통신 방식별로 다르지 않으므로 공동사용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활성화된 창에서 사용할 통신 방식을 결정하면 선정된 통신 방식에 대한 관련 운용프로그램(호처리, UI, 인터페이스, 암호화, 각종 응용SW 등)을 통신 방식 프로그램의 상기 라이브러리로부터 읽어 와서 동작하게 된다.
이 때, 각 통신 방식별로 호 처리에 필요한 프로그램 내용이 각각 다르므로, 각 통신 방식별 호 처리 SW프로그램이 읽혀오게 되고, 그 외에도 UI SW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SW프로그램, 외부 인터페이스 SW프로그램,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보안을 요구하는 정보의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프로그램 등이 각 통신 방식별로 라이브러리화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통신 방식이 결정되면 상기 라이브러리로부터 해당되고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읽혀지고, 이 모든 동작은 PC의 OS상에서 구동된다.
또한, 상기 SW모듈이 HW모듈로 다운로드하는 프로그램은, HW모듈 전체의 제어 및 상태관리와 리소스(Resouce) 관리를 담당하는 프로그램과, 자체진단 기능수행 및 분석 SW와 RF 제어 프로그램(예 : 자동이득조정(AGC)/ 성능교정 (Calibration) / 보정(Compensation) 등의 기능과 기타 정상 동작 중에 RF회로에 필요한 제어를 담당함)과 RF 주파수 합성부에 필요한 주파수정보를 관리하는 프로그램과, 제어회로부 내의 탐색기(Searcher), 오디오 코덱(audio codec), 모뎀(modem), 에러 코렉팅 코덱(error correcting codec)용 등의 SW가 포함되는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 통신 방식이 지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경우 대부분의 무선접속규격이 HW모듈의 제어회로부(430) 내의 DSP 칩(chip)에서 SW적으로 처리되므로, Direct Conversion방식의 RF 송수신회로가 사용된다면 DSP 칩(Chip)에 다운로드(Download)하는 SW에 의해서 사용자가 통신방식 (예 : GSM, CDMA, WCDMA 등)을 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단,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PC의 UI를 통해 본 발명의 SW모듈을 활성화 시키면 메인 활성창이 화면에 표시되고 또한, 사용자에게 필요한 메뉴들이 제시된다.(ST 501)
이에 사용자가 메뉴 중에서 통신방식 을 선택하면 원하는 통신 방식(예: GSM, WCDMA, CDMA2000,4G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보조 활성창을 통해 가능한 통신 방식들을 체크 박스(check box)와 함께 보여 주고, 사용자가 특정 통신 방식을 선택 하면 선택된 정보를 저장한다.(ST 502)
여기서, 상기 드라이버SW는 사용자가 지정한 통신 방식이 이전과 같으면 HW모듈용 통신 방식 프로그램의 다운로드(Download)는 실시하지 않고 HW모듈의 자체 분석시험만을 명령하며, 상기 자체 분석시험의 시험결과를 HW모듈로부터 전달 받아 화면에 결과를 표시한다. (ST 503, 504)
만일 이전에 사용했던 사용방식과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통신 방식이 다르게 되면, 그에 따른 HW모듈용 통신 방식 프로그램을 HW모듈에 다운로드 (Download) 하고, HW모듈에 명령하여 HW모듈 내의 아날로그회로부 및 RF부의 세부 파라미터에 대한 자체 Calibration과 Compensation 등을 실시하도록 명령하고, 추가로 자체 성능시험을 실시토록하며, 그 결과를 SW모듈로 통보하도록 명령한다. (ST 505)
이에 상기 HW모듈은 명령대로 실시 후 시험결과가 이상이 없으면 이상없음 을 SW모듈로 통보하고, 이상이 있으면 이상이 있는 부분의 내용을 SW부로 통보한 다음 SW의 제어를 기다린다. (ST 506, 507, 508)
상기 SW부는 이상이 있는 경우 이상 내역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다른 모드의 사용을 권하거나 사용종료를 요청하는 활성창을 표시하며, 이상이 없으면 이상 없음, 선택된 방식의 사용가능 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다음 선택을 기다린다. (ST 509, 510, 511)
또한, 상기 HW모듈은 이상이 없을 때에는 HW모듈 내의 아날로그회로부 및 RF부에 필요한 정보(예: 주파수나 정보) 등을 보내어 동작을 준비한다. (ST 512)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 등록(Registration)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PC의 UI를 통해 본 발명의 SW모듈을 활성화 시키면 메인 활성창이 화면에 표시되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메뉴들이 메인 활성창에서 제시된다.
이에 사용자가 메뉴중에서 단말기 등록 을 선택하면 개인정보 입력을 할 수 있는 보조활성창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개인정보(예:ESN등 ,Electronic serial number)를 입력한다. 입력된 개인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한 통신 방식에서 요구하는 방식대로 메시지화 하여 HW모듈의 제어부를 통해 시스템 즉, 기지국으로 보내고 유효가입자 여부를 확인 요청한다. (ST 701)
이에 기지국에서는 자체의 DB(VLR, HLR)를 통해 유효가입자 여부를 확인한 후에 결과를 메시지형태로 송신하면, HW모듈은 RF수신부와 아날로그회로부, 제어회로부를 통해 데이터를 복원하고, 프레임화하여 SW모듈로 전송한다. (ST 702)
상기 SW모듈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유효가입자 통보를 받으면 휴대폰기능 사용가능 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확인을 UI를 통해 입력 받으며, 사용자가 확인하면 HW모듈과 선정된 통신방식의 드라이버 SW는 수신대기(Idle)상태로 전환하고 사용자의 다음 선택을 기다린다. (ST 703, 704)
만일 시스템으로부터 무효한 가입자라는 통보를 받으면 등록안된 가입자임, 개인정보 재확인 을 요청하고 다시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을 활성화 시키고, 개인정보를 다시 입력받은 후에 다시 HW부를 통해 재입력된 개인정보의 송신 및 확인요청을 시스템에 요구한다. (ST 705)
상기 기지국 및 시스템이 개인정보에 대한 확인결과를 HW모듈의 RF수신부, 아날로그부, 제어부를 통해 SW모듈로 전송하면 SW모듈내의 드라이버SW는 이를 분석한다. 재차 마찬가지의 결과가 나오면 위의 과정을 수회 반복 후 다른 모드(예 : GSM-->CDMA)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보조창을 활성화시키고 사용자가 체크박스(check box)를 통해 다른 모드를 선택하면 SW 라이브러리로부터 해당되는 모드의 호 처리 프로그램 및 관련 Application SW를 읽어 들이고 다음 동작준비를 한다.
그 이후는 상기의 과정을 다시 반복한다. 즉, 선택된 모드에서의 개인정보입력을 받고 이후의 프로세스는 위와 동일한 것으로, 기지국이 유효한 가입자라고 통보를 하면, 휴대폰기능 사용가능 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확인을 PC의 UI를 통해 입력받고, 이에 사용자가 입력하면 Idle상태로 전환하고 사용자의 다음 선택을 기다린다. (ST 706)
본 발명은 선택된 기지국에서 규정하는 등록의 종류와 절차에 따라 또는 시스템의 수시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의 등록과정을 수시로 반복해서 시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해 전화 걸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화 걸기 과정은 이미 상기의 등록과정에서 아무 문제가 없었음을 PC의 OS상에서 동작하는 선정된 통신방식의 드라이버 SW가 확인 후에 사용자가 선택한 통신 방식(예 : WCDMA 등)에서 동작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W모듈의 선정된 통신방식 드라이버 SW가 제공하는 메인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전화걸기 를 선택하면 보조창을 활성화시킨다.
즉, 사용자에게 PC의 UI를 이용하여 전화번호 입력 및 관련 서비스 선택을 할 수 있는 보조 활성창과 체크 박스(Check box)를 보여주고 사용자의 입력 및 선택사항을 PC의 UI를 통해 입력 받는다. (ST 801)
사용자가 전화번호와 서비스 Option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일반 PC의 OS상에서 동작하는 기 선정된 통신방식 드라이버 SW 내의 호 처리 프로그램이 통화연결요청(Call origination) 메시지와 전화번호, 선택된 서비스 선택 사항 등을 HW모듈을 통해 시스템 즉, 기지국에 전송하고 이후 시스템과 Call setup과 관련된 메시지들을 주고 받는다. (ST 802)
이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통화 채널을 할당 받고 상대편의 벨소리 등을 수신하게 되면, PC의 UI를 통해 통화로 연결됨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보이고 PC에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수신한 벨소리 등을 출력한다. (ST 803)
또한, 보조 활성창에는 추가로 통화종료 를 선택할 수 있는 체크 박스(Check Box)를 띄우고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린다. 이후 PC에 연결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본 발명의 드라이버 SW가 지속적으로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제어하여 통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게 한다. (ST 804, 806)
사용자가 활성창 내의 통화종료 체크 박스(check box)를 선택하면 통화지속시간과, 연결되었던 번호, 관련 서비스 선택사항 등을 화면에 표시하여 주고, 기지국에 통화종료 메시지(Call termination Message)를 HW모듈을 통해 보내고 통화종료 절차를 기지국 및 시스템과 함께 수행한다. (ST 805)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HW모듈은 사용자 정보(음성이나 화상정보) 와 드라이버 SW가 시스템과 주고 받는 메시지등에 대해 모뎀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즉, 지정된 통신 방식에 따른 Air Interface규격을 만족시키는 방식으로 모뎀과 같은 기능을 수행함) 기지국과 주고받는 모든 메시지는 모두 PC의 OS상에서 동작하는 드라이버 SW가 분석 후 HW모듈를 통해 시스템에 응답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음성은 PC와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어 사운드카드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된 후에 필요하면 드라이버 SW에 의해 선택된 통신 방식에서 규정하는 audio codec (encoder /decoder) 형식에 맞게 형태(format)가 (예 : CDMA의 경우 QCELP) 변환되어 HW모듈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화 되어 보내지고 HW모듈를 통해 기지국을 거쳐 상대편에게 전송된다.
상대편으로부터 전송된 음성 정보는 HW모듈에서 RF수신되고 난후 제어회로부에서 복조 및 에러정정 등을 하고 에러율(Bit error rate or Frame error rate)을 계산한 후에 현재 통신 방식에 맞는 오디오 코덱 형태(예:QCELP)로 출력되고 도 5 에 도시된 형태로 프레임화 되어 PC내의 SW모듈의 드라이버 SW로 전송되고, 이에 드라이버 SW가 PC의 사운드카드에 적합한 형태로 형태 변환(codec format translation)을 한 후에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들려 준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해 전화 받기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해 전화 받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먼저 상기 HW모듈은 SW모듈에서 기 선정된 통신 방식용 SW드라이버(예 : CDMA Driver, WCDMA Driver 등) 제어에 의해 기지국이 시스템 메시지를 내려 보내는 채널을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들을 포멧 및 프레임화하여 드라이버 SW부로 보낸다.(ST 901)
이에 드라이버 SW는 전달받은 데이터 포멧을 분석하여 기지국이 이미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에 있는 전화번호 즉,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호출하고 있음이 확인되면 추가로 활성창을 활성시켜 그 창 내에서 사용자에게 PC의 UI를 통해 전화 왔음 과, 발신자 전화번호 을 알려 주고 통화연결 과 통화해제 의 두개의 체크 박스(check box)를 보여 주어 이를 선택하도록 한다. (ST 902, 903)
또한, 상기 드라이버 SW는 사전에 사용자가 지정한 벨소리를 PC의 사운드카드를 통해 PC와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발생시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통화연결 을 선택하면 통화연결(call connection) 메시지를 기지국에 보내 통화채널을 할당 받고, PC에 연결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사용자에게 연결시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ST 903, 904)이후의 스피커와 마이크의 제어과정은 앞서 설명한 전화 걸기 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통화가 연결되면 통화연결 이 표시된 보조활성창을 닫고, 새로 통화종료 체크박스(check box)를 보여주는 보조 활성창이 새로 활성화 되고, 사용자의 선택을 대기한다. (ST 905)
여기서, 사용자가 통화 종료 를 선택하지 않으면, 통화가 유지되며(ST 906), 사용자가 통화종료를 위해 상기 통화종료 체크박스를 선택하면 통화종료를 위한 메시지를 기지국에 보내고, 기지국 및 시스템과 함께 통화종료를 위한 제반 절차를 통신방식에 규정된 대로 수행한다.
이 때 기지국으로부터 통화종료 의 최종통보를 받으면 현재의 보조활성창을 닫고 사용시간, 상대 전화번호 등을 표시한 보조활성창을 활성화 시키고, 마이크와 스피커를 PC의 다른 Application SW가 사용할 수 있도록 다시 제어한다. (ST 908)
만일, 사용자가 통화 해제(call release) 를 선택하면 현재 수신되고 있는 통화의 수신거부 및 해제 요청메시지를 기지국에 보내고, 기지국과 통신 방식에서 규정된 대로 관련 메시지를 주고 받은 후에 통화해제를 한다. (ST 907)
기지국에서 통화 해제됨 이라는 메시지를 받으면 마이크와 스피커를 PC의 다른 Application SW가 쓸 수 있도록 다시 제어하는 것이다. (ST 908)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OS 상에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하면, 휴대 단말 장치에 해당하는 HW 모듈 부분을 기존 방식보다 저렴하고 보다 신뢰성 있게 제조할 수 있으며,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보다 풍부한 PC 내의 메모리와 UI 요소를 활용하므로 좀 더 사용자 친화적이고 편리한 UI가 구현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 사용자가 고유한 Application SW를 고안 및 구현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는 중요한 대부분의 SW가 일반 PC의 OS에서 동작하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휴대 단말 장치의 UI 및 응용 SW의 일부를 자기의 개성에 맞게 개조 및 성능 향상을 시킬 수 있고, PC의 풍부한 메모리와 UI를 이용하여 각 통신 방식에 따른 휴대폰 기능을 일반 PC에서 구현 및 사용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PDA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PC OS 상에서 동작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 HW 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HW모듈과 SW모듈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 통신 방식이 지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 등록(Registration)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해 전화 걸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해 전화 받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 무선회로부 402 : RF 송신부
404 : RF 수신부 406 : 주파수 합성부
410 : 전원회로부 420 : 아날로그회로부
430 : 제어회로부 440 : 인터페이스부
450 : PC 452 : PC 인터페이스

Claims (16)

  1. 무선회로부와 주파수 합성부, 전원회로부, 아날로그 회로부, 제어회로부, 컴퓨터 인터페이스부가 포함되는 하드웨어 모듈과,
    기본 운영 프로그램 및 통신 방식별 라이브러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포함되는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모듈은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컴퓨터와 접속되고,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상기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에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윈도우 계열, Mac OS 계열, 리눅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해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모듈은 컴퓨터 내의 내장카드 형태로 구현되거나, 컴퓨터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 가능한 외장 형태로 구현되거나, PCMCIA 슬롯에 삽입되는 모듈의 형태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식별 라이브러리 프로그램에는, 각 통신 방식별로 각각 구별되는 호처리 프로그램, 유저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암호화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식은 GSM계열, CDMA계열, WCDMA계열, 4G 휴대폰 통신 방식 계열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해당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의 통신 방식으로 통화가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프레임 번호, 메인 데이터의 종류 필드, 제어명령 및 상태 보고 데이터 필드, 제어명령에 대한 CRC 필드, 메인 데이터 필드, EOF 필드로 프레임화 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및 상태 보고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데이터에 의해 하드웨어 모듈의 출력이 디코딩 된 음성 또는 상기 디코딩 되기 전의 음성으로 선택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상기 하드웨어 모듈 내에 하드웨어 모듈 전체 제어 및 리소스 관리 프로그램, 자체 진단 및 분석용 프로그램, 상기 제어회로부 내의 탐색기, 오디오 코덱, 모뎀, 에러 콜렉팅 코덱용 프로그램, RF 주파수 합성에 필요한 주파수 정보 및 RF 제어 프로그램이 다운로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는 USB계열, IEEE1394계열, blue tooth계열, IR계열, serial/Parallel 인터페이스, PCMCIA계열 , PC 내부버스를 통한 직접 접속방식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에 포함되는 다수의 응용 소프트웨어는, 범용의 소프트웨어 개발 툴을 이용하여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이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다운로드하여 새로운 응용 소프트웨어에 포함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
  11.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통화를 위해 통신 방식을 지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통신 방식을 지정할 수 있도록 활성창이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와,
    사용자가 특정 통신 방식을 지정하는 경우 상기 지정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지정된 통신 방식이 이전에 지정된 통신 방식과 동일한지 판단하며, 동일한 경우 HW모듈의 자체분석 시험을 실시하고 화면에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새로 지정된 통신 방식의 프로그램이 HW모듈에 다운로드되고, 자체 성능 시험이 수행되는 단계와,
    상기 자체 성능 시험 결과 이상 있는 경우 이상 내역이 사용자에게 표시되고, 다른 모드의 사용을 권하거나 사용종료를 요청하는 활성창이 표시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통화 방법.
  12.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통화를 위해 등록하는 과정에 있어서,
    입력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유효가입자인지 여부를 시스템에 확인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시스템으로부터 유효가입자임이 확인되면 휴대폰 기능 사용가능 메시지를 컴퓨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이후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무효가입자임이 확인되면 개인정보 재확인 메시지를 컴퓨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 재입력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정보 재입력이 수 회 반복된 경우에도 사용자의 무효가입자임이 확인되는 경우 다른 통신 방식으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통화 방법.
  13.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화를 거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가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된 활성창의 메뉴를 통해 전화걸기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컴퓨터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대방의 전화번호 입력 및 서비스 옵션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 상에서 동작하는 드라이버 소프트웨어(SW) 내의 호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통화연결 요청(Call origination) 메시지와 전화번호, 선택된 서비스 선택 사항 등이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단계와,
    기지국으로부터 통화 채널을 할당 받고 상대편의 벨소리를 수신하게 되면, 컴퓨터의 화면에 통화로 연결됨 메시지가 표시되고, 상기 벨소리가 컴퓨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음성이 컴퓨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어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된 후, 선택된 통신 방식에서 규정하는 오디오 코덱 형태에 맞게 포멧 변환되어 기지국을 거쳐 상대방에 전송되는 단계와,
    상대편으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가 상기 통신 방식에 맞는 오디오 코덱 형태로 입력된 후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에 적합한 형태로 포멧 변환되어 상기 컴퓨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통화 방법.
  14.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화를 받는 과정에 있어서,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지정된 통신 방식용 소프트웨어 드라이버의 제어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송되는 메시지의 채널을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를 포멧 및 프레임화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분석하고 기 저장된 개인정보를 통해 기지국이 사용자를 호출하고 있슴을 확인하면 전화를 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컴퓨터의 화면을 통해 전화 왔음 과 상대방 전화번호 를 표시하며, 통화연결 및 통화해제 의 선택이 가능한 활성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통화연결 을 선택하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통화채널을 할당 받고, 컴퓨터에 연결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사용자에게 연결시켜 음성통화가 가능토록 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통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통화 해제 를 선택하는 경우 현재 수신되고 있는 통화의 수신거부 및 해제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에 보내고, 기지국과 통신 방식에서 규정된 대로 관련 메시지를 주고 받은 후에 통화를 해제하는 단계와,
    마이크와 스피커를 컴퓨터의 다른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W)에 사용되도록 제어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통화 방법.
  16.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대방과 통화 중 컴퓨터의 화면에 통화 종료 를 알리는 보조 활성창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통화 종료 를 선택하면, 통화종료를 위한 메시지를 기지국에 보내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화종료 의 최종통보를 받은 후 상기 보조 활성창을 닫고, 사용시간, 상대 전화번호 등을 표시한 보조활성창을 활성화 시키고, 마이크와 스피커를 컴퓨터의 다른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W)에 사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통화 방법.
KR1020030093520A 2003-12-19 2003-12-19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장치 및 그 통화 방법 KR100577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520A KR100577049B1 (ko) 2003-12-19 2003-12-19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장치 및 그 통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520A KR100577049B1 (ko) 2003-12-19 2003-12-19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장치 및 그 통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675A true KR20050062675A (ko) 2005-06-27
KR100577049B1 KR100577049B1 (ko) 2006-05-08

Family

ID=37254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520A KR100577049B1 (ko) 2003-12-19 2003-12-19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장치 및 그 통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04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215B1 (ko) * 2006-03-30 2006-11-23 휴미트 주식회사 Pc를 이용한 휴대 단말의 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703386B1 (ko) * 2005-10-14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장치에서 휴대단말기의 기능수행 장치 및 방법
KR100773444B1 (ko) * 2006-10-09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의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및방법
KR20110084766A (ko) * 2010-01-18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101219594B1 (ko) * 2006-07-06 2013-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을 이용한 프로그램 구동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386B1 (ko) * 2005-10-14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장치에서 휴대단말기의 기능수행 장치 및 방법
KR100647215B1 (ko) * 2006-03-30 2006-11-23 휴미트 주식회사 Pc를 이용한 휴대 단말의 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19594B1 (ko) * 2006-07-06 2013-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을 이용한 프로그램 구동방법
KR100773444B1 (ko) * 2006-10-09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의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및방법
US8296122B2 (en) 2006-10-09 2012-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ternal connection interface e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110084766A (ko) * 2010-01-18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7049B1 (ko) 2006-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9115A (en) Terminal to be coupled to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ing radio communication
US81655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ing user interface by editing multimedia content
KR100774292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자동 연결 방법
EA008113B1 (ru) Многорежимный телефон, включающий два беспроводных модема и один процессор модема
KR101404258B1 (ko) 원격 핸드셋 진단 시스템 및 방법
EP2095618B1 (en) Carrier type selection for a call initi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rom an external device
WO20050067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KR101132019B1 (ko) 스케일러블 이동 단말기 플랫폼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577049B1 (ko)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장치 및 그 통화 방법
WO2011038584A1 (zh) 多模多待移动终端中的信号处理方法及相关装置
KR20060038656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
JP2000261857A (ja) 携帯電話装置
JP2002218556A (ja) 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記録媒体
KR1006780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 방법
KR100443263B1 (ko) 확장가능한 블루투쓰 인터페이스를 가진 인터넷폰 장치
JP200205113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ユニット
KR100689445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데이터전송방법
JP2001103556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20010036829A (ko) 이동 단말기
JP2002171338A (ja) 無線通信端末
JP2002010360A (ja) 携帯端末機器、情報処理装置及び周辺機器の遠隔制御方法
EP1906633A1 (en) Remote handset diagnostics
KR2005008052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서비스 공유 방법
JP3979766B2 (ja) 携帯情報端末
JPH07203068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