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444B1 - 휴대 단말의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의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444B1
KR100773444B1 KR1020060097818A KR20060097818A KR100773444B1 KR 100773444 B1 KR100773444 B1 KR 100773444B1 KR 1020060097818 A KR1020060097818 A KR 1020060097818A KR 20060097818 A KR20060097818 A KR 20060097818A KR 100773444 B1 KR100773444 B1 KR 100773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portable terminal
driver
external device
external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국
어래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7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444B1/ko
Priority to US11/866,905 priority patent/US829612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5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put/output emulation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통신 시스템의 단말을 타 장치의 네트워크 카드로 이용하기 위한 휴대 단말의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서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을 명령하는 이벤트(event) 입력을 감지할 시, 상기 이벤트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외부 장치의 외부 인터페이스 모뎀 또는 휴대 단말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 인터넷, 와이브로(WiBro), 네트워크 모뎀, USB, 인터페이스

Description

휴대 단말의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EXTERNAL CONNECTION INTERFACE EM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PHONE}
도 1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을 USB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SB 에뮬레이션 장치가 적용된 휴대 단말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SB 에뮬레이션 장치의 중계 드라이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발명은 휴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통신 시스템 단말을 타 장치의 네트워크 카드로 이용하기 위한 휴대 단말의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기술의 발전 및 무선 단말의 급속한 보급은 사람들의 생활 방식을 바꾸어가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발전의 결과로 무선 통신 장치들은 종래의 음성 통신은 물론 다양하고 광범위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다양하고 편리한 서비스와 고속 데이터 전송에 대한 욕구도 증가하고 있다.
이동 중 음선 통화는 물론 초고속 데이터 통신에 대한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휴대 인터넷(WiBro, Wireless Broadband)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휴대 인터넷(WiBro)은 광대역 무선 인터넷 기술로서 정지 상태는 물론 이동 중에도 언제 어디서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기 때문에 차세대 무선 통신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상기 휴대 인터넷의 전송 속도는 약 1Mbps에 이르며 실내에서 유선을 통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실외에서의 무선 이동 환경으로 확장한 개념이다. 상기 휴대 인터넷은 2.3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며 셀 반경은 1Km 이내이다. 상기 휴대 인터넷은 이동시 최소 60Km/H 이상의 이동 속도에서도 끊김 없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보장하며 높은 전송 속도를 지원하기 때문에 타 셀룰러 망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저렴하게 비용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이하 'WLAN'이라 칭하기로 한다)이나 상기 휴대 인터넷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이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스마트폰(Smart Phone)에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상기 휴대 인터넷 모듈을 탑재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도 출시되고 있다.
한편,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인터넷 접속을 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휴대 인터넷 통신 모듈(예컨대, 와이브로(WiBro) 통신 모듈)이 내장된 휴대 단말을 구입하거나, 휴대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휴대 단말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휴대 인터넷 통신 모뎀을 구입을 고려할 수 있다.
종래의 CDMA 통신의 경우, 랩탑 컴퓨터와 같은 CDMA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의 CDMA 망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CDMA 휴대 단말을 랩탑 컴퓨터와 유니버설 시리어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칭하기로 한다) 케이블로 연결하여 모뎀으로 사용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CDMA 휴대 단말을 USB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방법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CDMA 휴대 단말을 이용한 USB 모뎀 에뮬레이션 방법에서는, 휴대 단말(120)과 랩탑 컴퓨터(110)가 USB 케이블로 연결된다. 상기 USB 연결을 위해 상기 랩탑 컴퓨터(110)와 휴대 단말(120)은 각각 USB 포트(111, 121)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 단말(120)은 CDMA 망을 통해 송수신 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네트워크 모뎀(123)과 상기 네트워크 모뎀(예컨대, CDMA 모뎀)(123)과 상기 USB 포트(121)를 연결하는 USB 클라이언트(125)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 단말(120)의 USB 포트(121)와 상기 USB 클라이언트(125)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매칭(matching)되며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CDMA 모뎀과는 달리, 최근 개발되고 있는 휴대 인터넷 모뎀(예컨대, 와이브로 모뎀)의 경우 현재까지 USB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도 1에서와 같은 연결 방식을 사용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인터넷 모뎀과 외부 USB 핀(pin)의 직접 연결은 불가능하다.
또한,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통한 인증을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는 직접 역결 방식을 통한 인증 지원 자체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네트워크 모뎀 칩과 외부 인터페이스 간의 통신 링크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네트워크 모뎀 칩과 외부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매칭 여부에 관계없이 휴대 단말기를 타 휴대 단말기의 USB 모뎀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의 USB 에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무선 통신 표준 휴대 장치를 해당 통신망 접속을 지원하지 않는 타 단말의 네트워크 카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모뎀 카드 구매에 따른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휴대 단말의 USB 에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USIM 등의 인증 카드를 이용하는 경우 네트워크 모뎀 칩과 외부 인터페이스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인증 및 과금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의 USB 에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모뎀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네트워크 모뎀을 상기 외부 장치의 외부 인터페이스 모뎀 또는 휴대 단말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사이의 송수신 데이터를 중계하는 스트림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모뎀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상기 외부장치의 USB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포트를 가지는 외부 인터페이스와,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모뎀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외부 장치의 외부 인터페이스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제어기와,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는 통신 포트에 따라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어기 간의 신호 라인을 재구성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 단말에서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을 명령하는 이벤트(event) 입력을 감지할 시, 상기 이벤트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외부 장치의 외부 인터페이스 모뎀 또는 휴대 단말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USB 에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은 종래의 휴대 단말에서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모뎀과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소프트웨어 수준(System Driver)에서 연결함으로써 휴대 단말은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을 내부에서의 직접 접근으로 인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휴대 인터넷(예컨대, WiBro 등) 모뎀을 장착한 휴대 단말을 USB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에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및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등 여러 가지 다양한 무선 표준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을 USB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USB 에뮬레이션 장치를 장착한 휴대 단말을 랩탑 컴퓨터에 연결하여 휴대 인터넷 모뎀으로 이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휴대 단말에 연결되는 장치가 랩탑 컴퓨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셀룰러 전화기, 스마트 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등 USB 포트를 제공하는 모든 장치 및 그에 대한 응용에도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단말의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모뎀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외부장치의 외부 인터페이스 모뎀 또는 휴대 단말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워크 모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 모뎀 예컨대, 휴대 인터넷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 인터넷 모뎀의 대표적인 예로,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모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휴대 단말을 유니버설 시리어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블루투스 모뎀 및 적외선 통신(IrDA) 모뎀 등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은 외부 장치와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위해 USB 포트, 블루투스 포트 및 적외선 통신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SB 에뮬레이션 장치가 적용된 휴대 단말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SB 에뮬레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220)과 랩탑 컴퓨터(210)는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220)은 중앙 연산 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223), 휴대 인터넷 모뎀(예컨대, WiBro 모뎀)(225) 및 USIM(227)으로 구성되는 USB 에뮬레이션 장치와 상기 랩탑 컴퓨터(210)와의 USB 연결을 위한 USB 포트(221)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220)의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 USIM(227)은 생략될 수 있다. 즉, 인증이나 과금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의 경우 상기 USIM(227) 등의 인증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220)이 상기 랩탑 컴퓨터(210)와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USB 모뎀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 인터넷 모뎀(225)을 구동하기 위한 모뎀 드라이버(예컨대, XP 미니포트 드라이버), 외부 인터페이스 드라이버(예컨대, USB 클라이언트 드라이버), 단말모뎀 드라이버(예컨대, PCMCIA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중계 드라이버 및 모뎀 관리 프로그램 등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기존의 네트워크 모뎀을 장착한 휴대 단말에서 소프트웨어(예컨대, 시스템 드라이버(System Driver)) 레벨(level)에서 상기 네트워크 모뎀과 휴대 단말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연동하고,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 단말 내부의 네트워크 모뎀을 직접 접근하는 것처럼 동작하게 하기 위해 외부 인터페이스 드라이버와 네트워크 모뎀 드라이버를 연동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기본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휴대 단말을 모뎀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각각의 모듈(예컨대, 모뎀 드라이버, 외부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단말모뎀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중계 드라이버 및 모뎀 관리 프로그램 등)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즉, 상기 USB 포트(221)와 상기 네트 워크 모뎀 즉, 상기 휴대 인터넷 모뎀(225)의 연동은 일종의 중계(relay) 형태로 구현된다.
상기 휴대 단말(220)의 각 드라이버는 미니포트 드라이버가 아닌 스트림(stream) 드라이버로 구성되고, 모뎀 스트림 드라이버가 외부 인터페이스 드라이버를 스트림 드라이버로 활성화시켜 상기 휴대 인터넷 모뎀(225)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상기 USB 포트(221)에 중계해 준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USB 포트(221)를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는 상기 CPU(223)의 중계 드라이버에서 수신하여 상기 휴대 인터넷 모뎀(225)으로 중계해 준다. 이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220)은 USB 모뎀 카드처럼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랩탑 컴퓨터(210)는 상기 휴대 단말(220)의 USB 포트(221)에 대응하는 미니포트 드라이버를 장착하여 상기 USB 포트(221)를 통해 연결되는 휴대 단말(220)을 네트워크 카드(예컨대, 휴대 인터넷 네트워크 카드 등)로 인식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 모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모뎀 관리 프로그램은 휴대 인터넷 모뎀(225)을 휴대 단말(220)의 휴대 인터넷 통신을 위한 휴대 인터넷 통신 모드로 동작시킬지, 상기 휴대 단말(220) 자체를 USB 모뎀으로 사용하기 위한 휴대 단말 모뎀 모드로 동작시킬지 결정한다. 이때, 상기 모뎀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 인터넷 모뎀(225)을 휴대 단말 모뎀 모드로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휴대 인터넷 모뎀(225) 드라이버로서 미니포 트 드라이버가 아닌 스트림 드라이버를 로딩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예컨대, 상기 USB 포트(221)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외부 인터페이스 드라이버를 활성화시키고, 중계 드라이버를 초기화 하여 상기 CPU(223)가 상기 휴대 인터넷 모뎀(225)과 상기 USB 포트(221)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말모뎀 드라이버는 미니포트 모뎀 드라이버 외에 스트림 모뎀 드라이버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 인터넷 모뎀(225)과 USB 포트(221) 간 패킷을 중계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모뎀 관리 프로그램에서는 휴대 단말 모뎀 모드로 동작 시 상기 미니포트 모뎀 드라이버를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스트림 모뎀 드라이버를 활성화 시켜 상기 USB 포트(221)와 휴대 인터넷 모뎀(225) 간 패킷 교환을 중계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드라이버는 휴대 단말(220)이 랩탑 컴퓨터(210)와 연결될 경우 상기 랩탑 컴퓨터(210)가 휴대 단말(220)을 휴대 인터넷 모뎀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인터페이스 중계 드라이버가 스트림 드라이버처럼 USB 포트(221)를 통해 교환되는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중계 드라이버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첫 번째는 중계 기능을 상기 모뎀 드라이버 내에 포함시켜 모뎀 드라이버에서 외부 인터페이스 스트림 드라이버에 접근하여 외부 데이터를 직접 주고받게 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중계 드라이버를 별개로 구현하여 외부 인터페이스 드라이버와 모뎀 드라이버를 동시에 활성화 하여 양쪽 드라이버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기능만을 담당하게 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중계 드라이버는 상기 USIM(227) 등의 인증카드를 사용할 경우 USIM 드라이버를 중계 드라이버에서 활성화 하여 외부 인터페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모뎀 드라이버는 상기 휴대 단말(220)을 휴대 단말 모뎀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휴대 인터넷 모뎀(225) 구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220)을 휴대 단말 모뎀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상기 랩탑 컴퓨터(210) 또는 다른 외부 단말들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220)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상기 휴대 단말 모뎀 모드에서 네트워크 카드로 인식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모뎀 드라이버는 상기 휴대 인터넷 모뎀 관련 미니포트 드라이버를 구현하여 휴대 단말(220)을 랩탑 컴퓨터(210)에 연결할 경우 상기 휴대 단말(220)에 내장된 휴대 인터넷 모뎀(225)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USB 에뮬레이션 장치에서 중계 드라이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모뎀 드라이버에 중계 드라이버 중계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의 중계 드라이버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중계 기능이 초기화 되면(S301) 상기 모뎀 드라이버는 이벤트(event) 발생을 감시 한다(S303). 상기 S303단계에서의 이벤트 감시 중 휴대 단말의 USB 동작 이벤트가 검출되면 USB 포트를 읽어 들여(S305) 대응하는 명령을 판단한다(S307). 이때, 상기 S307단계에서 판단되는 명령에 따라 모뎀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S309), 모뎀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오거나(S311) 또는 USIM으로부터 정보를 읽어온다(S313). 상기 S303단계에서의 이벤트 감시 중 PCMCIA 입력 이 벤트가 검출되면 모뎀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들여(S315), USB 포트로 출력한다(S317).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USIM 등의 인증 카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중계 드라이버에서 USIM 드라이버를 활성화 시켜 외부 인터페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모뎀 드라이버는 상기 휴대 단말(220)을 휴대 단말 모뎀으로 사용할 랩탑 컴퓨터(210)가 휴대 단말(220)을 휴대 인터넷용(예컨대, 와이브로용) 네트워크 카드로 인식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휴대 인터넷 네트워크 카드와 관련된 미니포트 드라이버로 구현되어 상기 휴대 인터넷 모뎀(225)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의 외부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휴대 단말에 내장된 네트워크 모뎀과 외부 인터페이스 간의 통신 링크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네트워크 모뎀 칩과 외부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매칭 여부에 관계없이 휴대 단말을 타 단말 장치의 외장 모뎀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USB 에뮬레이션 장치는 특정 무선 통신 표준 휴대 장치를 해당 통신망 접속을 지원하지 않는 타 단말의 네트워크 카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모뎀 카드 구매에 따른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USB 에뮬레이션 장치는 USIM 등의 인증 카드를 이용하는 경우 네트워크 모뎀 칩과 외부 인터페이스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인증 및 과금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Claims (26)

  1.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모뎀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상기 네트워크 모뎀을 상기 외부 장치의 외부 인터페이스 모뎀 또는 휴대 단말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모뎀은 미니포트 드라이버와 모뎀 스트림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모뎀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휴대 단말 모뎀 초기화 신호이면, 미니포트 드라이버를 비활성화 시키고 모뎀 스트림 드라이버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스트림 드라이버 활성화 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네트워크 모뎀과 상기 외부 장치 간 데이터를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네트워크 모뎀을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과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간의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기로 동작시키기 위한 스트림 드라이버와,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인터페이스 드라이버와,
    상기 스트림 드라이버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드라이버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기 위한 중계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인증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 접속 시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더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은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를 상기 중계 드라이버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USIM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네트워크 모뎀을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과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간의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기로 동작시키기는 스트림 드라이버와,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인터페이스 드라이버와,
    상기 스트림 드라이버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드라이버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기 위한 중계 드라이버와,
    상기 USIM에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를 상기 중계 드라이버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USIM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모뎀은 휴대 인터넷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휴대 단말을 USB(Universal Serial Bus)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휴대 단말을 블루투스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휴대 단말을 적외선 통신(IrDA)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13.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사이의 송수신 데이터를 중계하는 스트림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모뎀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과 통신을 위한 상기 외부장치의 USB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인증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 접속 시 상기 스트림 드라이버를 통해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더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15.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포트를 가지는 외부 인터페이스와,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모뎀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외부 장치의 외부 인터페이스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제어기와,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는 통신 포트에 따라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어기 간의 신호 라인을 재구성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는 적외선 통신(IrDA)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19. 휴대 단말에서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의 동작을 명령하는 이벤트(event) 입력을 감지할 시 상기 이벤트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외부 장치의 외부 인터페이스 모뎀 또는 휴대 단말 모뎀으로 에뮬레이션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에뮬레이션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휴대 단말 모뎀의 초기화를 명령하는 이벤트이면 미니포트 드라이버를 비활성화 시키고, 모뎀 스트림 드라이버를 활성화 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에뮬레이션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스트림 드라이버 활성화 시 상기 외부 장치 간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에뮬레이션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인증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 접속 시 상기 데이터 교환 중계 시 가입자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에뮬레이션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외부 인터페이스 모뎀으로의 동작은,
    상기 이벤트 감시 중 휴대 단말의 외부 인터페이스로의 동작 이벤트가 검출되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명령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을 외부 인터페이스로 동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에뮬레이션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동작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로 동작 시 상기 외부 장치에서 상기 휴대 단말을 네트워크 모뎀으로 인식하도록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에뮬레이션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동작은
    상기 수신 명령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에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명령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를 상기 외부 장치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명령에 의거하여 가입자 식별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에뮬레이션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시 중 상기 휴대 단말의 휴대 단말 모뎀으로의 동작 이벤트가 검출되면 휴대 단말 모뎀으로 동작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에뮬레이션 방법.
KR1020060097818A 2006-10-09 2006-10-09 휴대 단말의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및방법 KR100773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818A KR100773444B1 (ko) 2006-10-09 2006-10-09 휴대 단말의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및방법
US11/866,905 US8296122B2 (en) 2006-10-09 2007-10-03 External connection interface e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818A KR100773444B1 (ko) 2006-10-09 2006-10-09 휴대 단말의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444B1 true KR100773444B1 (ko) 2007-11-05

Family

ID=3906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818A KR100773444B1 (ko) 2006-10-09 2006-10-09 휴대 단말의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96122B2 (ko)
KR (1) KR1007734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722B1 (ko) * 2007-12-14 201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브로 단말 장치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93110A (zh) * 2006-11-28 2008-06-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通讯终端的计算机语音通讯的实现方法
CN101498964B (zh) * 2009-02-04 2011-08-10 华为终端有限公司 无线调制解调装置、系统和休眠/唤醒方法以及终端
TW201110789A (en) * 2009-09-10 2011-03-16 Inventec Appliances Corp Hand-held electric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TW201110644A (en) * 2009-09-10 2011-03-16 Inventec Appliances Corp Hand-held electric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20120020297A1 (en) * 2010-07-23 2012-01-26 Albert Cecchini Mobile handhel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the internet
CN101917780B (zh) * 2010-08-11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终端网络设备功能的实现方法及装置
CN103268225A (zh) * 2013-05-14 2013-08-28 Tcl通讯(宁波)有限公司 用于模拟移动终端中led指示灯的模拟器及其实现方法
US10098164B2 (en) * 2014-07-17 2018-10-09 Benu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virtualized cloud peering emulation services
US11868171B2 (en) * 2020-11-20 2024-01-09 T-Mobile Usa, Inc. External wireless device convert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030A (ko) * 2002-07-16 2004-01-24 모빌라인(주)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포트를 이용한 무선모뎀장치
KR20040007056A (ko) * 2002-07-16 200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모뎀 휴대폰
KR20040073590A (ko) * 2002-01-25 2004-08-19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무선 접속 시스템 및 무선 접속 방법
US20040172473A1 (en) 2000-06-08 2004-09-02 Lukas Robert M. Wireless modem simulation of a LAN card
KR20040098755A (ko) * 2003-05-15 2004-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Dbdm 단말기용 usim
KR20050062675A (ko) * 2003-12-19 2005-06-27 임재하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장치 및 그 통화 방법
JP2005318455A (ja) 2004-04-30 2005-11-10 Kyocera Corp 携帯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5640B1 (en) 1999-09-01 2003-09-23 Inventec Corporation Modem having embedded network transmission protocols
US20040122651A1 (en) * 2002-12-23 2004-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thernet emulation in a 3RD generation wireless mobile station
US7346025B2 (en) * 2003-02-28 2008-03-18 Lucent Technologies Inc. Portable wireless gateway
US20040177166A1 (en) 2003-03-05 2004-09-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etwork access point apparatus and method
US7512402B2 (en) * 2004-05-14 2009-03-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entralized display for mobile devices
US20070155422A1 (en) * 2005-11-14 2007-07-05 Harald Johans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data connection through USB Ethernet management of mobile station
US20070155400A1 (en) * 2005-12-30 2007-07-05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2473A1 (en) 2000-06-08 2004-09-02 Lukas Robert M. Wireless modem simulation of a LAN card
KR20040073590A (ko) * 2002-01-25 2004-08-19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무선 접속 시스템 및 무선 접속 방법
KR20040007030A (ko) * 2002-07-16 2004-01-24 모빌라인(주)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포트를 이용한 무선모뎀장치
KR20040007056A (ko) * 2002-07-16 200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모뎀 휴대폰
KR20040098755A (ko) * 2003-05-15 2004-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Dbdm 단말기용 usim
KR20050062675A (ko) * 2003-12-19 2005-06-27 임재하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휴대 단말장치 및 그 통화 방법
JP2005318455A (ja) 2004-04-30 2005-11-10 Kyocera Corp 携帯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722B1 (ko) * 2007-12-14 201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브로 단말 장치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84897A1 (en) 2008-04-10
US8296122B2 (en) 201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444B1 (ko) 휴대 단말의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및방법
KR100735427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sim 카드 공유 방법
US8027635B2 (en) Relaying third party wireless communications through a portable wireless system
US85206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bluetooth-enabled devices to a personal computer
JP303183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伝送システムのアセンブリ
US8892164B2 (en) Modular cell phone for laptop computers
CN100385982C (zh) 双模通信终端及其控制方法
JP2000155727A (ja) 無線装置と電子装置との間のデ―タ通信方法及びデ―タ通信装置
CN102090106A (zh) 通信系统
KR20090091343A (ko) 통합된 통신 및 정보 처리 시스템
CN101491147A (zh) 具有多个无线通信接口的空闲模式终端的位置更新操作
US20110294500A1 (en) Power saving method of mobile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US20220124480A1 (en) Wifi roaming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A2547204A1 (en) Inter-processor parameter management in a multiple-processor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perating on a processor specific communication network
US6501576B1 (en) Wireless data transfer using a remote media interface
CN102033828A (zh) 外接卡的访问方法和系统
US763392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WLAN base station functionality or WLAN client functionality
KR100397335B1 (ko) 이동단말기와 무선랜의 통합단말 장치
US7162270B2 (en) Dual communication mode wireless network transmission device
CN101707815A (zh) 一种终端及业务处理方法
KR0155328B1 (ko) Cdma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국 터미널 어댑터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00030918A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US20040199673A1 (en) Electronic peripheral device and network card
US20050143127A1 (en) Wireless network module
KR20030082348A (ko) 신용카드 조회단말을 이용한 억세스 포인트 서비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