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406A - 안전화 - Google Patents

안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406A
KR20050061406A KR1020050017481A KR20050017481A KR20050061406A KR 20050061406 A KR20050061406 A KR 20050061406A KR 1020050017481 A KR1020050017481 A KR 1020050017481A KR 20050017481 A KR20050017481 A KR 20050017481A KR 20050061406 A KR20050061406 A KR 20050061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sole
safety
plate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7616B1 (ko
Inventor
손문수
Original Assignee
(주) 스트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스트라스 filed Critical (주) 스트라스
Priority to KR102005001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616B1/ko
Publication of KR20050061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61H7/005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61H2201/0169Noise 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착화하는 안전화에 관한 것이다.
발등을 감싸는 갑피부재와, 발바닥을 보호하면서 주연에 갑피부재를 고정하고, 저면으로는 바닥창을 접착고정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발바닥 표면에 공기유통로를 형성하고, 중창의 뒷꿈치 저면에는 공기유통로와 연결되는 수용실을 형성하여서, 유통로의 상면에는 덮개판을 설치하고, 수용실에는 충격이 흡수되는 완충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을 이루고, 상기 중창의 바닥에는 안치홈을 발바닥과 발뒷굼치에 각각 형성하여 이에 안전예방을 위한 발바닥판재와 발뒷굼치판을 각각 안치시켜 고정하면서 발바닥판과 발뒷꿈치판 사이에 변형 여유공간을 구비하게 형성하여서 착화시에 사용자의 몸무게에 대한 하중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서 다리의 피곤함을 덜어주고, 장시간 착화하여도 금속판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예방과 피로감의 축소로 작업효율과 착용자의 건강유지가 지속되도록 하한다.

Description

안전화{ a safety shows}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발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전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화는 산업현장에서 착용하는 신발로써, 산업현장에서의 위험요소를 감안하여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외피는 날카로운 요소로 부상당하지 않게 하기 위해 가죽으로 하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발각락 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토우를 신발 선단에 내입하고, 발바닥을 보호하기 위하여 신발의 밑창 내부에 발바닥 크기의 금속판을 내입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화의 구조에서 특히 발바닥을 보호하기 위하여 밑창내부에 설치하는 금속판은 보행에 불편이 없도록 무게가 가벼우며 굽힘과 펼침의 반복에 의한 스트레스를 잘 견디는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하지만 상기 구조의 안전화를 오래동안 신으면 발바닥 크기의 금속판이 신발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굽힘과 펼침상태에 의해 본드 접착한 부분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계속되는 신발의 굽힘과 펼침상태에 의하여 얇은 두께의 바닥 금속판이 밑창의 앞부분을 뚫고 나오는 현상도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기 구조로 된 안전화는 작업자가 근무시간 내에는 항상 신고 활동하는 것이므로 발에서 열과 함께 땀이 발생하지만 통풍이 않되어 결국에는 발의 건강을 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전화를 장시간 신고 있어도 발의 건강을 해치지 않으며, 발바닥을 보호하는 바닥금속판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등을 감싸는 갑피부재와, 발바닥을 보호하면서 주연에 갑피부재를 고정하고, 저면으로는 바닥창을 접착고정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발바닥 표면에 공기유통로를 형성하고, 중창의 뒷꿈치 저면에는 공기유통로와 연결되는 수용실을 형성하여서, 유통로의 상면에는 덮개판을 설치하고, 수용실에는 충격이 흡수되는 완충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을 이루고, 상기 중창의 바닥에는 안치홈을 발바닥과 발뒷굼치에 각각 형성하여 이에 안전예방을 위한 발바닥판재와 발뒷굼치판을 각각 안치시켜 고정하면서 발바닥판과 발뒷꿈치판 사이에 변형 여유공간을 구비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안전화 내부구조를 보안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화 구조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안전화(100)는 지면과 마찰되는 밑창(170)과, 작업자의 발등 둘레를 보호하는 갑피부재(110)와, 상기 갑피부재(110)를 고정하며 상기 밑창(170)에 결합되는 중창(130)과, 상기 갑피부재(170)의 내부 바닥에 얹어지는 깔창과, 상기 갑피부재(110)의 선단내부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발가락을 보호하는 토우(120)와, 상기 안전화의 밑창(170)과 중창(130)사이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발바닥을 보호하는 바닥 금속판부재(160)로 구성된다.
상기 중창(130)에는 탄성부재(150)와 공기배출용 일방향밸브(140)가 설치되는 데, 상기 중창(130)의 뒷꿈치 위치에 소정깊이의 수용홈(131)을 형성하고, 중창(130)의 앞꿈치 위치에는 공기 이동로(13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31)과 공기 이동로(135)가 외부와 관통되도록 가공하여 일방향밸브(140)를 수용홈(131) 전후위치의 관통구멍에 삽입 설치한다.
상기 중창(130)에 형성한 수용홈(131)에는 하중이 가해지면 이를 탄력적으로 흡수하며 하중이 제거되면 최초의 상태로 복원되는 소재로 된 탄성부재(15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31)의 상부에는 작업자의 뒷꿈치와의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압부(133)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중창(130)의 저면에는 바닥금속판부재(160)를 설치하기 위한 안치홈(136)을 파내어 형성한다.
상기 안치홈(136)에 설치되는 바닥 금속판부재(160)는 앞굼치형상으로 된 앞판(161)과 뒷꿈치 형성으로 된 뒷판(163)으로 구분 형성하되, 이들의 마주하는 절단부를 만곡지게 형성하고, 이들에는 밑창 및 중창과의 접착력 그리고 안전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호피(165)를 앞판(161)과 뒷판(163)에 씌워 형성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탄성부재(150)는 공기 충진실을 갖는 에어튜브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50)의 다른 구성으로는 소정 굵기의 스프링선재로 된 스프링(151)을 하나이상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151)의 상하위치에 스프링 고정용 패드(153)를 설치한 스프링 패드의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안전화를 제조하는 과정은 금속판으로 된 토우(120)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이를 갑피부재(110)의 선단 사이로 삽입하여 접착시키고, 중창(130)의 뒷꿈치부에 형성된 수용홈(131)에 뚫린 관통홀에 일방향밸브(140)를 각각 삽입한 다음 탄성부재(150)의 상하면에 접착제를 바르고, 이를 수용홈(131)에 삽입시켜 접착되게 한 다음 바닥금속판부재(160)의 앞판(161)과 뒷판(163)에 접착된 보호피(165)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들을 중창(130)의 저면과 뒷꿈치부에 형성한 안치홈(136)에 각각 설치하여 접착되게 하고, 상기 중창(130)과 갑피부재(110)를 통상의 방법으로 접착하며, 갑피부재가 접착된 중창(130)과 밑창(170)을 접착제로써 상호 접착하여 안전화를 제조한다.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안전화(100)를 작업자가 신으면 뒷꿈치가 안전화 바닥에서 돌출된 가압부(133)를 누르게 된다. 이처럼 가압부(133)를 누르는 상태는 작업자가 움직일 때 더욱 크게 가압되는 상태가 되어서 탄성부재(150)는 수용홈(131)에서 눌리게 된다. 수용홈(131)이 눌리게 되면 수용홈(131)의 공간에 채워져 있던 공기는 뒷꿈치부의 밸브(1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앞꿈치부에 위치한 밸브(140)는 폐쇄된 상태이다. 발걸음을 옮기면 눌렸던 탄성부재(150)가 복원되면서 개방되었던 뒷꿈치부의 밸브(140)는 폐쇄되고, 지금까지 폐쇄되었던 앞꿈치부의 밸브(140)가 개방되어 안전화(100)의 공기 이동로(135)에 채워져 있는 공기가 수용홈(131)으로 흡입되는 상태가 된다.
이처럼 발걸음을 옮길 때 마다 앞꿈치부와 뒷꿈치부에 설치된 일방향밸브(140)가 상호 역동작을 반복하게 되므로 안전화(100) 내부의 공기는 자연적 안전화 외부로 유출되는 상태가 되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안전화 내부로 유입되는 작용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공기의 배출과 흡입상태가 반복적으로 이루어 지는 상태에서 안전화는 발가락 부위가 굽혀지고 펴지는 동작을 이룰 때, 앞판(161)에 접착된 상태에서 중창(130)부분은 오므라 들고, 밑창(170)부분은 늘어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앞판(161)은 소재가 금속이므로 신장·수축되지 아니하므로 접착된 부위에서 스트레스가 자연적으로 발생하게 되지만, 앞판(161)과 뒷판(163)에 만곡진 부분 공간이 있어서 공간의 내부에서 소멸하는 작용을 한다.
이처럼 앞판(161)과 뒷판(163)이 절단되어 있으므로 해서 마찰과 스트레스가 전달되지 않아 바닥금속판부재(160)의 상태는 중창(130)과 밑창(170)사이에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화는 중창에 수용홈과 공기이동로를 형성하여 안전화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일방향밸브를 설치한 구성과 수용홈에 탄성부재를 설치한 구성에 의하여 장시간 신고 활동할 때 안전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땀의 발생량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계속적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므로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서, 작업자들의 발의 피로도가 감소되고, 자연적 발의 냄새도 현저하게 감소되는 이점이 있고, 바닥 금속판부재를 앞판과 뒷판으로 구분형성하여서 앞안에서 발생되는 마철과 스트레스가 뒷판까지 전달되지 않고, 절달된 부분에서 해소되어 바닥금속판재의 위치가 안정되어 안전화의 사용수명이 유지되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화에 대한 조립상태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안전화의 구조를 분리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안전화 110 : 갑피부재 120 : 토우
130 : 중창 131 : 수용홈 133 : 가압부
135 : 공기이동로 136 : 안치홈 140 : 일방향 밸브
150 : 탄성부재 151 : 코일스프링 153 : 패드
160 : 바닥금속판 부재 161 : 앞판 163 : 뒷판
165 : 보호피 170 : 밑창

Claims (6)

  1. 발가락을 보호하는 토우와, 상기 토우를 선단에 삽입하며 발등을 보호하는 갑피부재와, 발바닥을 보호하며 갑피부재가 고정되는 중창과, 상기 중창과 결합되며, 작업장의 바닥과 마찰을 이루는 밑창과, 상기 중창과 밑창사이에 설치되어 발 바닥을 보호하는 바닥 금속판부재와, 상기 중창의 앞꿈치부에 공기이동로, 두;꿈치부에 수용홈을 형성하여 수용홈으로 탄성부재를 설치하고, 수용홈의 전후에는 일방향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중창의 저면에는 분리된 바닥금속판주배를 설치하여서 된 안전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금속판부재의 표면에는 보호피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금속판부재를 분리하되 발바닥부분으로 된 앞판과, 뒷꿈치부분으로 된 뒷판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수용홈으로 설치되는 탄성부재는 수개의 코일스프링과 코일스프링의 상부와 하단에 코일스프링을 고정하는 패드를 각각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공기 이동로는 중창의 표면 또는 저면에 형성하여 수용홈과 이어지게 형성하고, 상기 공기 이동로와 연결된 수용홈의 전후에는 일방향 밸브를 각각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금속판부재의 앞판과 뒷판의 마주하는 단부는 만곡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안전화.
KR1020050017481A 2005-03-02 2005-03-02 안전화 KR100697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481A KR100697616B1 (ko) 2005-03-02 2005-03-02 안전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481A KR100697616B1 (ko) 2005-03-02 2005-03-02 안전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406A true KR20050061406A (ko) 2005-06-22
KR100697616B1 KR100697616B1 (ko) 2007-03-22

Family

ID=3725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481A KR100697616B1 (ko) 2005-03-02 2005-03-02 안전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6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675B1 (ko) * 2005-04-19 2007-02-01 오종세 복합 기능 건강 구두
KR100701033B1 (ko) * 2006-09-15 2007-03-29 윤순모 키 높이 기능을 가지는 안전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9227U (ko) 1975-04-02 1976-10-19
JPH09294607A (ja) * 1996-05-02 1997-11-18 Shigeaki Fukuda シューズの強制換気システム
KR200240542Y1 (ko) 1998-12-08 2001-11-22 이상경 스프링을장착한통풍깔창
KR100464618B1 (ko) 2004-06-24 2005-01-03 박종회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100464461B1 (ko) 2004-07-20 2005-01-17 (주) 스트라스 충격흡수 구두의 제조방법 및 그 구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675B1 (ko) * 2005-04-19 2007-02-01 오종세 복합 기능 건강 구두
KR100701033B1 (ko) * 2006-09-15 2007-03-29 윤순모 키 높이 기능을 가지는 안전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7616B1 (ko)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272B2 (en) Outsole having grooves forming discrete lugs
EP0295611B1 (en) Therapautic shock-absorbing shoes
WO2005039339A3 (en) High-heeled fashion shoe with comfort and performance enhancement features
KR100887625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이루어지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구비한 신발
US20190343227A1 (en) Sole structure and an article of footwear
KR100697616B1 (ko) 안전화
WO2008146376A1 (ja) 靴および靴の中敷
US20140109444A1 (en) Shoe outsole
WO2009082164A1 (en) High-heeled shoes for women
KR100463570B1 (ko)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KR100910309B1 (ko) 보행시 충격이 완화되는 신사화의 신발창
EP2883470B1 (en) Structure of platform shoe
KR100999901B1 (ko) 스프링 완충력을 갖는 여성용 하이힐
KR101038052B1 (ko) 신발 바닥의 구조
CN210492857U (zh) 一种轻质减震鞋底
KR101033152B1 (ko) 탄성 굽 및 이를 이용한 신발
KR20120085568A (ko) 보행추진부재가 내장된 신발
KR100782376B1 (ko) 키 높이 신발용 밑창의 경량화 및 충격완화 구조
KR200332257Y1 (ko) 안전화의 토우캡 지지구조
KR200408738Y1 (ko) 안전화용 내답판
KR20070060634A (ko) 복수의 스프링을 갖는 신발
KR200361990Y1 (ko)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KR20090096053A (ko) 충격흡수용 여성 하이힐의 밑창 구조
KR200426108Y1 (ko) 고형패드가 부착된 신발 깔창
CN220442029U (zh) 一种防开胶防护型篮球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