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183A - 차량 도어의 차일드 록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의 차일드 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183A
KR20050061183A KR1020030093368A KR20030093368A KR20050061183A KR 20050061183 A KR20050061183 A KR 20050061183A KR 1020030093368 A KR1020030093368 A KR 1020030093368A KR 20030093368 A KR20030093368 A KR 20030093368A KR 20050061183 A KR20050061183 A KR 20050061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lock
door
child
lock lev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대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1183A/ko
Publication of KR20050061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18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6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hild safe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8Electrical using electromagnets or soleno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차일드록장치는 운전석에 차일드록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차일드록스위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상기 차일드록레버의 작동을 위해 차에서 내릴 필요가 없으며 운전석에서 상기 차일드록레버를 잠금 또는 해제시킬 수 있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운전자가 상기 차일드록스위치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상기 차일드록레버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운행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의 차일드 록 장치 {Child Lock System Of Automobile Door}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차일드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석에 차일드록 스위치를 설치하여 운전석에서 차일드록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차량 도어의 차일드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차일드록장치는 차량의 도어 측면에 차일드록레버가 설치되어, 상기 차일드록레버가 온되면 주행시 탑승한 어린이들이 차실내에서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하는 안전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도어의 차일드록장치의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도어의 차일드록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금시키는 도어로크(미도시)와, 상기 도어로크(미도시)와 연결되고 수동으로 작동되어 차내에서 상기 도어로크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차일드록레버(12)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 로크는 차체에 형성된 로크스트라이커(미도시)와, 차량 도어(10)에 설치되고 상기 로크스트라이커(미도시)와 결합되는 도어래치(미도시)와, 상기 차량도어(10)에서 상하이동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로크스트라이커(미도시)와 상기 도어래치(미도시)를 결합 또는 해제시키는 도어노브(18)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노브(18)가 하향이동하면 상기 로크스트라이커(미도시)와 상기 도어래치(미도시)가 결합되어 차량도어(10)가 잠금상태가 되고, 상기 도어노브(18)가 상향이동하면 상기 로크스트라이커(미도시)와 상기 도어래치(미도시)의 결합이 해제되어 차량 도어(10)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여기서, 상기 차일드록레버(12)는 차량도어(1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4)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차일드록레버(12)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도어노브(18)가 상향이동할지라도 상기 도어로크가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도어로크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도어의 차일드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린이를 뒷좌석에 탑승시킨 후, 차량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된 차일드록레버(12)를 수동으로 잠금위치로 이동시키고 차량도어(10)를 닫으면, 도어로크(10)는 잠금상태가 되어, 어린이가 차실내에 설치된 도어노브(18)를 당겨 상향이동시킬지라도 상기 도어로크의 잠금상태는 해제되지 않고 잠금상태가 계속 유지되어 차실내에서는 차량도어(10)가 열리지 않는다.
이후, 차일드록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때는 운전자가 하차하여, 뒷좌석의 차량도어(10)를 열고 뒷좌석의 차량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된 상기 차일드록레버(12)를 수동으로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도어로크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차실내에서 인사이드 핸들(16)을 잡아당기면 차량도어(10)가 열린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도어의 차일드록장치는 상기 차일드록레버(12)가 차량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차일드록레버(12)를 잠금 또는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하차하여 어린이가 탑승한 뒷좌석의 차량도어(10)를 열고 상기 차일드록레버(12)를 이동시켜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석에 차일드록스위치를 설치하기 때문에 운전석에서 차일드록레버를 조작할 수 있어서, 이용이 편리한 차량 도어의 차일드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의 차일드록장치는 차체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금시키는 도어 로크와, 상기 도어로크와 연결되고 수동으로 작동되어 차내에서 상기 도어로크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차일드록레버와, 상기 차일드록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차일드록레버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운전석에 설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차일드록레버를 작동시키는 차일드록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의 차일드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의 차일드록장치의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의 차일드록장치는 도 2 내지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도어의 차일드록장치는 차체에 설치되어 차량도어(50)를 잠금시키는 도어로크와, 상기 도어로크와 연결되고 수동으로 작동되어 차내에서 상기 도어로크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차일드록레버(60)와, 상기 차일드록레버(6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차일드록레버(60)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70)와, 운전석에 설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70)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차일드록레버(60)를 작동시키는 차일드록스위치(80)로 구성된다.
상기 액추에이터(7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일측에 설치된 전자석(74)과, 타측에 설치된 피스톤(72)과, 상기 전자석(74)과 상기 피스톤(72)을 연결하시키는 스프링(76)으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72)은 일단이 상기 차일드록레버(60)와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72)이 상기 액추에이터내(70)에서 왕복운동하면 상기 차일드록레버(60)도 함께 연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뒷좌석에 어린이가 탑승시킨 후 운전자가 운전석에 설치된 차일드록스위치(80)를 온시키면, 상기 액추에이터(70)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액추에이터(70)의 일측에 설치된 전자석(74)에 자력이 발생되고, 상기 전자석(74)의 자력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70)의 타측에 설치된 피스톤(72)이 상기 전자석(74)를 향해 이동된다.
상기 피스톤(72)이 상기 전자석(74)을 향해 이동되면, 상기 피스톤(72)과 연동되어 차일드록레버(60)도 일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도어로크의 잠금상태가 유지되어 차량의 도어(50)는 차실내에서 열 수 없게 된다.
이후, 차량이 정차하고 뒷좌석에 탑승한 어린이가 하차할 때에는 운전자가 상기 차일드록스위치(80)를 오프시키면, 상기 액추에이터(70)에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전자석(74)에는 자력이 소멸되고, 상기 전자석(74)의 일측에 설치된 스프링(7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72)은 원위치로 복원됨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72)과 연동되어 상기 차일드록레버(60)도 해제위치로 이동되므로써, 상기 도어로크는 해제상태가 되어 차량 도어(50)는 차실내에서 열림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차량용 차일드록장치는 운전석에 차일드록레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차일드록스위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상기 차일드록레버의 작동을 위해 차에서 내릴 필요가 없으며 운전석에서 상기 차일드록레버를 잠금 또는 해제시킬 수 있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운전자가 상기 차일드록스위치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상기 차일드록레버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운행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도어의 차일드록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의 차일드록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도어의 차일드록장치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가 표시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차량 도어 52: 차일드록레버
56: 차일드록스위치 60: 액추에이터

Claims (2)

  1. 차체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금시키는 도어 로크와;
    상기 도어로크와 연결되고 수동으로 작동되어 차내에서 상기 도어로크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차일드록레버와;
    상기 차일드록레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차일드록레버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운전석에 설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차일드록레버를 작동시키는 차일드록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차량도어의 차일드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내부 일측에 설치된 전자석과,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일드록레버와 연결된 피스톤과, 상기 전자석과 상기 피스톤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자석이 상기 피스톤을 끌어당기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차일드록레버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도어의 차일드록장치.
KR1020030093368A 2003-12-18 2003-12-18 차량 도어의 차일드 록 장치 KR20050061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368A KR20050061183A (ko) 2003-12-18 2003-12-18 차량 도어의 차일드 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368A KR20050061183A (ko) 2003-12-18 2003-12-18 차량 도어의 차일드 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183A true KR20050061183A (ko) 2005-06-22

Family

ID=3725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368A KR20050061183A (ko) 2003-12-18 2003-12-18 차량 도어의 차일드 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11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110B1 (ko) * 2007-05-28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110B1 (ko) * 2007-05-28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4945B2 (en) Door latch assembly for motor vehicles
US5876087A (en) Motor-vehicle sliding-door system
US7780207B2 (en) Automotive door latch system
CN108999500B (zh) 具闩锁机构和带重置装置的外侧释放机构的闭合闩锁组件
US9151085B2 (en) Passive entry side door latch release system
US10619385B2 (en) Closure latch for a rear vehicle door having an emergency child lock release mechanism
US11035157B2 (en) Closure latch for vehicle door having bidirectional power release function
KR20080038343A (ko) 차량 및 차량 도어용 도어잠금장치
JP2000500835A (ja) 車両のドアロック作動装置
EP1217155B1 (en) Latch arrangement
KR20050061183A (ko) 차량 도어의 차일드 록 장치
KR100303367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JP5369345B2 (ja) 車輌用ドア開閉装置
KR100419732B1 (ko) 차량 슬라이딩 도어의 잠금장치
KR100186282B1 (ko) 자동차용 도어 오픈장치
CN221002354U (zh) 用于车门的把手装置、包括该把手装置的车门系统和车辆
US20050134052A1 (en) Pulsed electromagnetic application in vehicle door latch
KR102172529B1 (ko)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KR100610913B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도어의 리모트 콘트롤러
CN218375841U (zh) 舱门锁组件
US20230220705A1 (en) Closure latch assembly with release cable arrangement having an anti-rattle mechanism
KR100472138B1 (ko) 차량의 어린이보호용 잠금장치
JP3769641B2 (ja) ドアロック制御機構
KR100372459B1 (ko) 차량의 도어잠금장치
JP2010037734A (ja) 車両のドアロック解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