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0312A -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0312A
KR20050060312A KR1020030091899A KR20030091899A KR20050060312A KR 20050060312 A KR20050060312 A KR 20050060312A KR 1020030091899 A KR1020030091899 A KR 1020030091899A KR 20030091899 A KR20030091899 A KR 20030091899A KR 20050060312 A KR20050060312 A KR 20050060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negative control
composition
present
hyperlipidem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9689B1 (ko
Inventor
권두리
박진현
서부일
이인범
구덕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드사이언스
주식회사 피앤아이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드사이언스, 주식회사 피앤아이,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드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030091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689B1/ko
Publication of KR2005006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1L에 제독된 복어; 유근피; 천궁; 구기자; 및 지구자를 각각 500 내지 1,500g; 5 내지 100g; 5 내지 100g; 5 내지 100g; 및 5 내지 100g의 비율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증류하여 얻어지는 수추출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yperlipidemia}
본 발명은 제독된 복어, 유근피, 천궁, 구기자, 및 지구자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지혈증이란 중성 지방과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혈액 중에 지방량이 많아진 상태를 말한다. 혈청지질은 콜레스테롤, 트리그리세라이드, 인지질, 유리지방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지단백질(lipoprotein)의 형태로 체내에서 이동하며, 지단백질은 카일로마이크론(chylomicron), 초저밀도지단백질 (VLDL), 저밀도지단백질(LDL), 고밀도지단백질 (HDL)의 4가지로 분류된다. 고지혈증 치료를 위해서는 콜레스테롤의 혈중 농도를 낮추고 고밀도지단백질 즉 HDL의 혈중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복어는 저칼로리, 고단백질, 저지방과 각종 무기질 및 비타민이 들어 있는 다이어트 식품으로 유용하며, 복어추출물이 알콜 대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김동훈, 김동수, 최종원. Alcohol 섭취 쥐에서 alcohol 대사 효소계에 미치는 복어 추출물의 효과.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994;23(2):181-186; 김석환, 이경희, 신두임, 김동희, 최종원. 복어추출물이 alcohol성 고요산혈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996;25(1):46-52.).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91641호는 복어 알의 수성 추출액을 이용한 유방암, 위암, 폐암, 간암, 난소암 등의 암을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9-10316호는 테트로도톡신을 제거한 복어와 십전대보탕의 원료 한약제를 포함하는 복어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개시하면서, 복어가 혈중 알콜농도의 저하, 지방의 분해로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킨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지 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약리효과 자료를 개시하고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콜레스테롤 감소효과가 복어 추출물 자체의 효과인지 복어와 십전대보탕의 원료 한약제를 포함하는 추출물의 효과인지도 명백히 밝히고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천연 추출물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하던 중, 복어와 유근피, 천궁, 구기자, 및 지구자의 수추출물이 콜레스테롤의 혈중농도를 억제할 뿐 아니라 HDL의 혈중농도를 효과적으로 상승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물 1L에 제독된 복어; 유근피; 천궁; 구기자; 및 지구자를 각각 500 내지 1,500g; 5 내지 100g; 5 내지 100g; 5 내지 100g; 및 5 내지 100g의 비율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증류하여 얻어지는 수추출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물 1L에 제독된 복어; 유근피; 천궁; 구기자; 및 지구자를 각각 800 내지 1,000g; 10 내지 50g; 10 내지 50g; 10 내지 50g; 및 10 내지 50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의 증진을 위하여 인진쑥 5 내지 100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복어는 분류학적으로 알려진 모든 복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참복과, 불뚝복과. 거북복과, 가시복과 등에 속하는 복어들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참복과에 속한 복어로서, 우리나 수역에 서식하는 복어는 자지복, 검복, 까치복 등 18종과 가시복의 1종을 합쳐 19종으로 알려져 있다. 복어에는 독성이 특히 강한 검복고, 자지복, 까치복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독된 복어"라 함은 복어의 간장, 생식선, 소화관, 피부 등에 들어있는 테트라도톡신이라는 신경독이 제거된 복어를 말하며, 통상 복어의 지느러미, 아가미, 눈을 제거하고 개복을 통하여 내장, 복어알, 그리고 피를 제거하여 흐르는 물에 1시간 동안 씻어서 제독할 수 있다.
유근피는 느릅나무 또는 뿌리의 껍질로 치습, 이뇨제, 소종독에 사용하는 약재이다. 천궁은 중국이 원산지로서 우리나라의 한랭한 산간지방에서 당귀와 더불어 재배하는 다년생 약초로 강한 방향을 가지고 있다. 땅속의 덩어리 모양의 줄기 뿌리를 천궁이라 한다. 한방에서 뿌리를 음위, 보익, 간질, 치통, 대하, 진통, 강장, 진정, 부인혈증, 치풍, 역상 등에 약재로 쓴다. 지구자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가엽활엽교목(잎이 크고 키가 큰 나무)의 열매로서, 호깨, 헛개, 호리께, 볼개 등의 다른 이름으로 불리우는 약용식물이다. 구기자는 구기자나무의 열매로 단백질·지방·당질·칼슘·인·철분·베타인·루틴·비타민(A·B1·B2·C) 등이 들어 있어 흡수가 빠르다. 한방에서는 강장제·해열제로 쓰고 간기능 보호 작용이 뛰어나 부작용이 별로 없다. 또한, 인진쑥은 인진쑥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쑥을 말하며, 황달 등 간질환을 고치는 데 예부터 이름이 높으며, 소화계나 항암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추출물은 물 1L에 제독된 복어; 유근피; 천궁; 구기자; 및 지구자를 각각 500 내지 1,500g; 5 내지 100g; 5 내지 100g; 5 내지 100g; 및 5 내지 100g의 비율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증류하여 얻어진다. 증류방법은 통상의 증류방법(예를 들어, 단순 증류)에 따라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회분식 증류탑에서 125 ℃ 내지 135 ℃의 온도, 압력 2.8 내지 3.2 kgF/cm2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증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유용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인진쑥을 포함할 경우, 증류시 함께 혼합하여 증류함으로써 간단히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로는 통상적인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현탁화제 등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정제 또는 경질캅셀제 등의 고형제형으로 제조할 경우, 부형제로서 미결정 셀룰로오즈,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즈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붕해제로서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활택제로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현탁화제로는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소르비탄 에스테르류, 또는 폴리소르베이트류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형 및 액상 형태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이들 제형은 정제, 캅셀제(경질 또는 연질), 액제(solution), 현탁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액제, 현탁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의 액체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를 포함한 다양한 투여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가 필요한 사람에게 1일 0.1 내지 1000 mg/kg의 범위로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나이, 연령 및 성별과 같은 상태 및 질병의 경중 등에 따라 적당한 양으로 조정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이러한 투여량은 임상적으로 환자의 치료 또는 예방에 종사하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참복(검자주복: Fugu rubripes rubripes)의 지느러미, 아가미, 눈을 제거하고, 개복하여 내장, 복어알, 그리고 피를 제거하여 흐르는 물에 1시간 동안 씻어서 제독처리 하였다. 제독된 복어 920g을 유근피 20g, 천궁 20g, 지구자 20g, 구기자 20g과 함께 물 1L 중에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원통형 회분식 증류탑(55L 용량)에 주입하였다. 다음으로, 온도 130 ℃, 압력 3 kgF/cm2의 조건에서 약 6시간 동안 증류하여 액상 추출물 1.3 L를 얻었다.
실시예 2.
인진쑥 20g을 추가로 물 1L 중에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 추출물 1.3 L를 얻었다.
실시예 3.
대한실험동물에서 구입한 200∼250g의 건강한 스프라그-도울리(Sprague-Dawley)계 랫트를 고형사료(rat chow, 삼양사)로 사육하면서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약 2주일간 사육실 환경에 적응시켰다.
랫트를 각 군당 6마리(n=6) 씩 3군(정상군, 음성대조군, 시험군)으로 나누었다. 랫트의 고지혈증은 Liu 등의 방법(Liu, S.J., Ramsey, R.K. and Fallon, H.J. Effects of ethanol on hepatic microsomal drug-metabolizing enzymes in the rat. Biochem Pharmacol. 1975;24(3):369-78.)에 따라 알콜성 고지혈증을 유발시켰다. 즉, 정상군은 고형사료와 물을 임으로 섭취하게 하였으며, 음성대조군과 시험군은 고형사료와 25% 알콜용액을 물대신 임의로 섭취하게 하였다. 시험군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1cc/100g의 용량으로 매일 하루 한번씩 경구투여하였다.
상기 시험을 8 주간 동안 계속하였으며, 마지막 24시간 동안 절식 시킨 후, 펜토바비탈 소듐(pentobarbital sod.) 0.1cc/100g을 복강주사하여 마취한 후 복부 정중선을 따라 개복하고 복부 대동액에서 혈액을 체혈하여 원심분리기로 3,3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별도로 간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는 Cleantech TG-S시액(아산제약)을 사용하여 효소법으로 SEQUOIA-TURNER model-340 spectrophtometer(U.S.A)기기로 파장 550nm로 분석하였으며, HDL(High-Density lipoprotein)은 HDL-CHOLESTASE(아산제약)을 사용하여 효소법(5분법)으로 SEQUOIA-TURNER model-340 spectrophtometer(U.S.A)기기로 파장 500nm로 분석하였다. ALP는 알칼리성포스파타제 측정용시액(아산제약)을 사용하여 King-King법으로 SEQUOIA-TURNER model-340 spectrophtometer(U.S.A)기기로 파장500 nm로 분석하였으며, GOT 및 GPT는 혈청 트랜스아미나제(Transaminase) 측정용 시액을 사용하여 Reitman-Frankel법으로 SEQUOIA-TURNER model-340 spectrophtometer(U.S.A)기기로 파장 505nm로 분석하였다. 통계 처리는 Student's t-test로 하였으며, 유의성(P<0.05수준)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청 중 트리글리세리드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하기 표1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상군의 트리글리세리드 농도(평균 ± 표준편차)는 38.8594 ± 3.47115(㎎/㎗)인데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86.6048 ± 10.58768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시험군은 53.3156 ± 3.55279로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트리글리세리드 (㎎/㎗)
정상군 38.8594 ± 3.47115
음성대조군 86.6048 ± 10.58768**
시험군 53.3156 ± 3.55279*
**: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이 있음(P<0.01)
*: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이 있음 (P<0.01)
(2) 혈청 중 HDL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하기 표2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상군의 HDL 농도(평균 ± 표준편차)는 36.3095 ± 1.33187(㎎/㎗)인데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27.2728 ± 4.09568로 정상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런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시험군은 48.7013 ± 4.77394로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HDL (㎎/㎗)
정상군 36.3095 ± 1.33187
음성대조군 27.2728 ± 4.09568
시험군 48.7013 ± 4.77394**
**: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이 있음 (P<0.01)
(3) 혈청 중 ALP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하기 표3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상군의 ALP 활성(평균 ± 표준편차)은 11.6475 ± 1.51311(IU/l)인데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19.5402 ± 1.05326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시험군은 14.4349 ± 0.98927로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ALP 활성(IU/l)
정상군 11.6475 ± 1.51311
음성대조군 19.5402 ± 1.05326**
시험군 14.4349 ± 0.98927*
**: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이 있음(P<0.01)
*: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이 있음 (P<0.001)
(4) 혈청 중 GOT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하기 표4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상군의 GOT(평균 ± 표준편차)는 52.6667 ± 1.90904 (karmen 단위)인데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118.6667 ± 9.09820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시험군은 78 ± 8.61007로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GOT (karmen 단위)
정상군 52.6667 ± 1.90904
음성대조군 118.6667 ± 9.09820**
시험군 78 ± 8.61007*
**: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이 있음(P<0.001)
*: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이 있음 (P<0.001)
(5) 혈청 중 GPT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하기 표4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상군의 GPT(평균 ± 표준편차)는 31 ± 1.94936 (karmen 단위)인데 비하여, 음성대조군은 52.5 ± 3.01938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시험군은 34.6667 ± 1.08525로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GPT (karmen 단위)
정상군 31 ± 1.94936
음성대조군 52.5 ± 3.01938**
시험군 34.6667 ± 1.08525*
**: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이 있음(P<0.001)
*: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이 있음 (P<0.01)
(6) 체중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체중의 변화는 하기 표6과 같다. 시험을 시작하기 직전의 체중은 정상군이 352.5 ± 4.97829(g), 음성대조군이 346.8333 ± 3.59088,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군은 354 ± 2.62043으로 각 군간의 체중의 변화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실험시작후 4주의 체중측정에서는 정상군이 439.1667 ± 10.56856(g)이었으나, 음성대조군의 체중은 336.3333 ± 3.69384로 나타나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되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군은 377.5 ± 14.12268로 나타나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증가되었다.
실험시작 후 8주의 체중측정에서는 정상군이 484.8333 ± 12.30559(g)이었으나, 음성대조군의 체중은 360.3333 ± 5.78889로 나타나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되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군은 396.6667 ± 13.46023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증가되었다.
체중(g)
0 주 4 주 8 주
정상군 352.5± 4.97829 439.1667± 10.56856 484.8333± 12.30559
음성대조군 346.8333± 3.59088 336.3333± 3.69384** 360.3333± 5.78889**
시험군 354± 2.62043 377.5± 14.12268* 96.6667± 13.46023*
**: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이 있음(P<0.001)
*: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이 있음 (P<0.05)
(7) 간의 무게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간 무게의 변화는 하기 표7과 같다. 정상군이 11.9113 ± 0.20663(g)인데 비하여, 대조군은 9.3128 ± 0.21436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군은 10.7832 ± 0.36489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간 무게 (g)
정상군 11.9113 ± 0.20663
음성대조군 9.3128 ± 0.21436**
시험군 10.7832 ± 0.36489*
**: 정상군에 비해 유의성이 있음(P<0.001)
*: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이 있음 (P<0.0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고지혈증, 특히 알콜성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물 1L에 제독된 복어; 유근피; 천궁; 구기자; 및 지구자를 각각 500 내지 1,500g; 5 내지 100g; 5 내지 100g; 5 내지 100g; 및 5 내지 100g의 비율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증류하여 얻어지는 수추출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인진쑥 5 내지 100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가 회분식 증류탑에서 125 ℃ 내지 135 ℃의 온도, 압력 2.8 내지 3.2 kgF/cm2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증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제, 현탁제, 유제, 및 시럽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30091899A 2003-12-16 2003-12-16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79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899A KR100579689B1 (ko) 2003-12-16 2003-12-16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899A KR100579689B1 (ko) 2003-12-16 2003-12-16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312A true KR20050060312A (ko) 2005-06-22
KR100579689B1 KR100579689B1 (ko) 2006-05-15

Family

ID=3725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899A KR100579689B1 (ko) 2003-12-16 2003-12-16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68B1 (ko) * 2011-08-05 2013-10-08 임병용 느릅나무 뿌리를 이용한 복어즙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9689B1 (ko)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7855B2 (en) Formulations containing Cynara scolymus and Phaseolus vulgaris extracts which are useful in the treatment of obesity
CN105394748A (zh) 从营养方面改善葡萄糖控制和胰岛素作用的方法和组合物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US6287576B1 (en) Biostimulating agent
RU2697670C9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силибин и экстракт корня пуэрарии
CN109568538B (zh) 包含水飞蓟、姜黄、甘草以及决明子的宿醉消解用组合物
WO2005074961A1 (ja) 体脂肪調整剤
US10561700B2 (en) Use of overground part of Hedychium coronarium Koenig in reducing blood glucose; extracts and compositions of overground part of Hedychium coronarium Koenig and their uses
KR100786122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CN104306554A (zh) 一种治疗胃溃疡的食品、保健品或药物组合物
CN103690819A (zh) 一种预防和治疗心脑血管疾病及具有减肥功能的中药组合物
WO2017008909A1 (en) Oral formulation comprising berberine and morus alba extract
KR100579689B1 (ko)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33984B1 (ko) 한약재와 곤약을 이용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CN106798854B (zh) 余甘桑叶片及其制备方法
CN108570116A (zh) 黄绿卷毛菇多糖及制备方法和在防治糖尿病中的医用用途
WO2018052171A1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 치료용 조성물과 그 추출방법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92586B1 (ko) 아위버섯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050101143A (ko) 글루코사민을 포함하는 퇴행성관절염 예방 및 개선을 위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92444A (ko) 심혈관계 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0137897B1 (ko) 두충엽을 주원료로 함유한 건강식품 조성물
CN111346102A (zh) 黄芩苷在治疗和预防非酒精性脂肪肝中的应用
KR100679291B1 (ko) Hgd­sj­1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9240342A1 (ko) 해독 및 다이어트용 식초 발포정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