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9180A -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의 치료를 위한 단백질 키나제 c알파의 저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의 치료를 위한 단백질 키나제 c알파의 저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9180A
KR20050059180A KR1020057004958A KR20057004958A KR20050059180A KR 20050059180 A KR20050059180 A KR 20050059180A KR 1020057004958 A KR1020057004958 A KR 1020057004958A KR 20057004958 A KR20057004958 A KR 20057004958A KR 20050059180 A KR20050059180 A KR 20050059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kinase
nucleic acid
expression
activity
inhi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얀 멘네
헤르만 할러
Original Assignee
페노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노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노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59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1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61K31/355Tocopherols, e.g.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A61K38/13Cyclospo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5Transferases (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4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iabetes (AREA)
  • Card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당뇨병 및 합병증, 예를 들면 당뇨병콩팥병증, 망막병증 또는 신경병증을 가진 환자의 치료를 위한, 단백질 키나제 C-알파 (PKC-α)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방해하는 물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의 치료를 위한 단백질 키나제 C 알파의 저해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the inhibition of protein kinase C alpha for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본 발명은 관상동맥 심질환, 심근경색증, 말초 폐색성 질환, 발작, 단백뇨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 당뇨병 후유 효과 및/또는 당뇨병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및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의 치료 및 또는 예방을 위한 단백질 키나제 C-α (PKC-α)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서구 세계에서 가장 빈번한 질환 중의 하나이며, 인구의 약 5%를 괴롭힌다. 당뇨병은 젊은이에서 이미 통상 발생하는 제1형 당뇨병 및 또한 성인기 개시형 또는 성숙기 개시형 당뇨병으로서 언급되는 제2형 당뇨병으로 세분된다. 글루코스 대사의 장애로 인해, 영구히 증가된 혈중 글루코스 수준은 양자의 당뇨병 형태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수 년 후에 고통받는 환자에서 상이한 합병증을 초래한다. 가장 빈번하고, 동시에 가장 공포의 합병증은 실명을 초래하는 당뇨망막병증, 발 또는 다리 절단을 초래할 수 있는 당뇨병신경병증, 및 당뇨병콩팥병증이다.
당뇨병콩팥병증은 모든 당뇨병 환자의 약 40%에서 발생하며, 전세계적인 만성 신장부전 및 투석 치료의 가장 빈번한 원인이다. 모든 신규 투석 환자의 약 30 내지 40%는 당뇨병콩팥병증을 나타낸다. 당뇨병 신장 손상이 천천히 발생하므로, 발생하는 신부전의 증가된 위험을 갖는 환자의 초기 확인은 적당한 치료 단계를 시작하는데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신장 손상을 시작하는 첫번째 임상 징후 중의 하나는 소위 미세 알부민 뇨증의 발생이다. 이는 24시간 수집된 뇨에서 30-300 mg의 알부민의 배설을 포함한다. 정상적으로, 알부민의 30 mg 미만이 매일 배설된다. 현재 치료 조건하에, 미세 알부민 뇨증은 제1형 당뇨병 또는 제2형 당뇨병을 갖는 당뇨병 환자의 약 25%에서 발생할 것이다 (Alzaid, Diabetes Care, 19: (1996), 79-89; Klein et al., Diabetes Care, 22 (1999), 743-751; Valjnadrid et al., Arch. Intern. Med., 160 (2000), 1093-1100). 신부전이 발생할 위험은 정상적인 알부민 배설을 하는 환자와 비교하여 미세 알부민 뇨증을 가진 환자에서 약 10배 더 높다. 300 mg/일 초과의 단백뇨 및/또는 제한된 신장 기능의 특징이 있는 당뇨병콩팥병증은 매년 당뇨병 및 미세 알부민 뇨증을 가진 모든 환자의 약 5 내지 10%에서 발생할 것이다. 당뇨망막병증이 발생할 위험은 또한 미세 알부민 뇨증이 없는 당뇨병 환자와 비교하여 미세 알부민 뇨증을 갖는 당뇨병 환자에서 현저하게 증가된다 (Vigstrup 및 Mogensen, Acta Ophthalmol. (Copenh), 63 (1985), 530-534).
10년 이상의 추적 검사를 갖는 장기간 연구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심혈관 사망률은 통상적인 위험 인자,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 및 고혈압에 대한 교정 후에, 미세 알부민 뇨증이 없는 당뇨병 환자와 비교하여 미세 알부민 뇨증의 단계에서 이미 제2형 및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약 2배 증가된다 (Rossing et al., Bmj, 313 (1996), 779-784; Gerstein et al., Diabetes Care, 23 (2000), Suppl. 2: B35-39; Valmadrid et al., 2000). 증가된 심혈관 사망률은 또한 당뇨병이 없는 미세 알부민 뇨증을 가진 환자에서 검출될 수 있다 (Gerstein et al., Jama, 286 (2001), 421-426).
왜 미세 알부민 뇨증이 당뇨병을 가진 환자에서 합병증의 발생에 대한 극도로 중요한 마커인가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존재한다. 소위 "스테노 가설"에 따라(Deckert, Feldt-Rasmussen et al., Diabetologia, 32 (1989), 219-226), 세포외 기질에서 음전하, 즉 음이온성 분자의 손실이 알부민뇨, 당뇨망막병증 및 심혈관 합병증, 예를 들면, 관상동맥 심질환의 형성의 원인이 된다. 상기 가설은 양자의 인간 및 동물 모델 시스템에서 수득된 데이타에 의해 지지되며, 최근에 다른 연구 그룹에 의해 수득된 결과에 의해 확인되었다.
신장에서, 뇨는 신장 소체, 소위 사구체염에서 분비된다. 단백질, 예를 들면, 알부민의 통과를 막기 위해, 혈액 측면(side)이 기저막으로서 언급되는 막에 의해 뇨 측면(side)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기저막은 더 작은 분자가 기저막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단백질 분자는 이의 크기로 인해 막을 통과할 수 없도록 하는 작은 구멍을 가진다. 미세 알부민 뇨증을 가진 환자에서, 작은 단백질, 예를 들면, 알부민의 통과는 구멍 크기가 처음에 증가되지 않아도 일어난다. 상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또한 음전하의 단백질을 배척하는 음전하를 갖는 분자가 구멍내 또는 구멍의 가장자리에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었다 (Kverneland, Feldt-Rasmussen et al., Diabetologia, 29 (1986), 634-639; Deckert, Feldt-Rasmussen et al., Kidney Int., 33 (1988), 100-106; Kverneland, Welinder et al., Diabetologia, 31 (1988), 708-710). 음전하를 갖는 상기 분자는 프로테오글리칸이다. 프로테오글리칸은 다당류 사슬이 공유적으로 연관된 단백질로 구성되는 복합체 거대분자이다. 상기 다당류 사슬은 우세하게 헤파란 설페이트로 이루어지며, 높은 음전하를 가진다. 신체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는 프로테오글리칸은 펠레칸(perlecan)이다. 펠레칸은 460 kD의 단백질이며, 수 개의 다당류 측쇄를 가진다 (Murdoch 및 Iozzo, Virchows Arch. A. Pathol. Anat. Histopathol., 423 (1993), 237-242; Iozzo, Cohen et al., Biochem. J., 302 (1994), 625-639; Murdoch, Liu et al., J. Histochem. Cytochem., 42 (1994), 239-249). 당뇨병 및 미세 알부민 뇨증을 가진 환자에서, 헤파란 설페이트는 사구체 기저막에 좀처럼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진전된 당뇨병콩팥병증을 가진 환자에서, 헤파란 설페이트는 단백질 사슬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기저막에서 더 이상 검출될 수 없다. 이 효과는 헤파란 설페이트 합성이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하는, 고혈당 조건하에 감소된다는 사실에 의해 설명된다 (Parthasarathy 및 Spiro, Diabetes, 31 (1982), 738-741; Deckert, Feldt-Rasmussen et al., 1988; Nakamura 및 Myers, Diabetes, 37 (1988), 1202-1211; Nerlich 및 Schleicher, Am. J. Pathol., 139 (1991), 889-899; Makino, Ikeda et al., Nephron, 61 (1992), 415-421; Scandling 및 Myers, Kidney Int., 41 (1992), 840-846; Vernier, Steffes et al., Kidney Int., 41 (1992), 1070-1080; Tamsma, van den Born et al., Diabetologia, 37 (1994), 313-320; lozzo 및 San Antoniom, J. Clin. Invest., 108 (2001), 349-355). 또한, 헤파란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은 이의 음전하에 의해 알부민의 사구체 여과를 막을뿐만 아니라, 아마도 기저막 내의 구멍 크기의 완전한 상태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었다 (Deckert, Kofoed-Enevoldsen et al., Diabetologia, 36 (1993), 244-251). 그리하여, 신부전이 진행할 때, 헤파란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의 소실은 기저막의 미세구조의 파괴를 초래한다. 상기 변화는 면역글로불린과 같은 더 큰 단백질의 소실과 함께 큰 비선택적인 단백뇨가 당뇨병콩팥병증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었다. 헤파란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은 또한 신장 소체에서 혈관사이 확장의 강한 저해제이다. 이는 혈관사이 연결 조직의 확장이 고전적으로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하므로 더욱 관심이 있다. 그러므로, 당뇨병 환자에서 헤파란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의 소실이 혈관사이 확장의 중요한 원인으로서 비난받는 것은 놀랍지 않다.
그러나, 당뇨병 환자에서 헤파란 설페이트의 소실은 신장에서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기타 기관에서 발생한다. 그리하여, 망막, 골격근, 동맥벽 및 피부의 연결 조직뿐만 아니라 적혈구 상에서 헤파란 설페이트의 명백한 감소가 존재한다. 내피 세포는 또한 헤파란 설페이트의 감소된 합성을 나타낸다 (Yokoyama, Hoyer, et al., Diabetes, 46 (1997), 1875-1880; van der Pijl, Daha et al., Diabetologia, 41 (1998), 791-798). 헤파란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은 중요한 항혈전 성질을 가지므로, 헤파란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의 소실은 예를 들면, 망막 혈관에서, 미소혈전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당뇨망막병증의 형성을 개선할 수 있다 (Marcum, Fritze et al., Am. J. Physiol., 245 (1983), H275-33; Marcum, McKenney et al., J. Clin. Invest., 74 (1984), 341-350; Marcum 및 Rosenberg, Biochemistry, 23 (1984), 1730-1737; Marcum, Atha et al., J. Biol. Chem., 261 (1986), 7507-7517). 또한, 헤파란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HSPG)의 중요한 항죽상경화 기능은 동맥 혈관 손상의 형성을 초래하는 혈관 평활근세포의 증식의 HSPG에 의한 저해를 포함한다. HSPG는 또한 내피밑 연결 조직에 대한 단핵구(염증세포)의 결합을 저해한다. HSPG는 또한 지질단백 a 의 내피밑 결합 및 침착을 저해하고, 죽상경화증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LDL을 산화한다. HSPG는 또한 혈관생성, 즉, 손상된 신체 부위에서 새로운 혈관의 형성에서 중요한 조절자이다 (Rosenberg, Shworak et al., J. Clin. Invest., 100 (1997), p. 67-75; Pillarisetti, Trens Cardiovasc. Med., 10 (2000), 60-65; Iozzo 및 San Antonio, 2001). 그러므로, 헤파란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의 소실은 당뇨병콩팥병증 및 당뇨망막병증의 발생뿐만 아니라, 심혈관 합병증의 발생에 중요하다.
추가의 양태는 미세 알부민 뇨증이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서 발생할 것이라는 사실이다. 지금까지, 상기 현상은 신장 소체에서 증가된 압력에 의해 설명되어 왔는데, 이는 알부민이 증가하여 분비되는 것을 가정한다. 그러나, 이것이 사실이라면, 일정하게 높은 동맥 혈압을 가진 환자는 미세 알부민 뇨증을 나타내는지에 무관하게 또한 높은 심혈관 위험을 가진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수 개의 가능성 있는 연구에서 보여줄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는 사실이 아니다. 미세 알부민 뇨증을 가진 고혈압 환자는 그렇지 않으면 필적할만한 위험 프로필, 예를 들면, 고콜레스테롤혈증, 흡연 과거력 및 당뇨병을 가진 유사하게 고혈압 환자의 것보다 약 2배 높은 심혈관 이병률(morbidity) 및 사망률을 보여준다 (Sleight, J. Renin Angiotensin Aldosterone Syst., 1 (2000), 18-20; Crippa, J. Hum. Hypertens., 16 (Suppl. 1) (2002), p. 74-7; Diercks, van Boven et al., Can. J. Cardiol., 18 (2002), 525-535). 따라서, 미세 알부민 뇨증은 심혈관 질환의 발생 및 예후의 독립적인 위험 변수이다. 이는 단지 전체 혈관 시스템의 변화가 미세 알부민 뇨증을 가진 환자에서 일어난다는 사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서의 장애가 미세 알부민 뇨증의 근거라는 것은 명백하지 않다.
도 1은 당뇨병을 갖는 및 당뇨병이 없는 (대조군) PKC-알파 "녹아웃" 마우스 및 당뇨병을 갖는 및 당뇨병이 없는 (대조군) SV129 마우스의 뇨에서 알부민 배설을 보여준다. 알부민 농도는 간접적인 ELISA 분석을 이용함으로써 측정되었다. 확립된 알부민 값은 크레아티닌 농도에 기초하였다. 비당뇨병성 SV129 및 PKC-α-/- 마우스는 통상 10 g/mol 미만인 필적할만한 알부민/크레아티닌 몫을 가진다. 대조적으로, 당뇨병 SV129 마우스에 대한 상기 몫은 현저하게 높다 (p = 0,004). 당뇨병 PKC-α-/- 마우스에 대한 값은 당뇨병 SV129 마우스에 대한 값보다 현저하게 낮았다(p ≤0.001). 가로축 막대기는 중앙값을 나타낸다. 유의성은 Mann-Whitney U 시험을 통해 계산되었다.
도 2는 당뇨병을 갖는 및 당뇨병이 없는 (대조군) PKC-알파 "녹아웃" 마우스 및 당뇨병을 갖는 및 당뇨병이 없는 (대조군) SV129 마우스에서 사구체 VEGF 발현을 보여준다. 각 동물 그룹에 대해, 40개의 신사구체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통해 반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값을 약한, 중간 및 강한 면역형광으로 분류하였다. 유의성은 Mann-Whitney U 시험을 통해 계산되었다. 당뇨병 동물에서, VEGF 발현은 대조군 동물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p < 0.001). 그러나, 당뇨병 SV129 동물에서 VEGF 발현은 당뇨병 PKC-알파-/- 동물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p < 0.001).
도 3은 당뇨병을 갖는 및 당뇨병이 없는 (대조군) PKC-알파 "녹아웃" 마우스 및 당뇨병을 갖는 및 당뇨병이 없는 (대조군) SV129 마우스에서 사구체 VEGF 수용체 II 발현을 보여준다. 각 동물 그룹에 대해, 40개의 신사구체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통해 반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값을 약한, 중간 및 강한 면역형광으로 분류하였다. 유의성은 Mann-Whitney U 시험을 통해 계산되었다. 당뇨병 동물에서, VEGFR-II 발현은 대조군 동물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p < 0.001). 그러나, 당뇨병 SV129 동물에서 VEGFR-II 발현은 당뇨병 PKC-알파-/- 동물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p < 0.001).
도 4는 당뇨병을 갖는 및 당뇨병이 없는 (대조군) PKC-알파 "녹아웃" 마우스 및 당뇨병을 갖는 및 당뇨병이 없는 (대조군) SV129 마우스에서 사구체 펠레칸 발현을 보여준다. 각 동물 그룹에 대해, 40개의 신사구체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통해 반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값을 약한, 중간 및 강한 면역형광으로 분류하였다. 유의성은 Mann-Whitney U 시험을 통해 계산되었다. 당뇨병 SV129 동물에서, 펠레칸 발현은 SV129 대조군 동물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낮았다 (p < 0.001).
본 발명의 목적은 당뇨병, 특히 당뇨망막병증, 당뇨병콩팥병증 및 당뇨병신경병증과 관련된 후유 효과, 및 심혈관 합병증뿐만 아니라, 고혈압과 관련된 심혈관 합병증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해 특히 당뇨병을 가진 환자 및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서 미세 알부민 뇨증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단백뇨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 당뇨병 후유 효과 및/또는 당뇨병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단백질 키나제 C-α (PKC-α)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선행 기술에서, 지금까지 단백질 키나제 C의 β2 이성질형태는 당뇨 합병증의 발생의 원인이 된다고 제안되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β2 이성질형태는 당뇨병 동물의 조직에서 증가된 수준으로 생산되며 (Inoguchi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9 (1992), 11059-11063), 다른 한편으로는, 단백질 키나제 C-β 특이적인 저해제인 LY333531은 제1유형 및 제2유형 당뇨병을 갖는 설치류에서 감소된 신장 손상의 신호로서 감소된 단백뇨를 초래한다 (Ishii et al., J. Mol. Med., 76 (1998), 21-31; Koya et al., Faseb J., 14 (2000), 439-447).
단백질 키나제 C-α를 형성할 수 없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단백질 키나제 C-α "녹아웃" 마우스는 놀랍게도 스트렙토조토진을 통한 당뇨병의 유도 후에 알부민뇨를 생성하지 못하였다. 대조적으로, 단백질 키나제 C-α 발현의 변화를 제외하고 유전적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대조군 동물은 명백한 알부민뇨를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녹아웃" 동물의 추가의 조사는 완전히 놀랍게도 상기 동물이 당뇨병 조건하에 정상적인 수준으로 헤파란 설페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대조적으로, 대조군 동물은 당뇨병 조건하에 더 이상 헤파란 설페이트를 형성할 수 없었다.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된 조직학적 조사는 단백질 키나제 C-α "녹아웃" 마우스에서 현저한 변화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키나제 C-α의 결핍은 VEGF (혈관내피성장인자) 및 관련된 수용체 (VEGF-R II)의 발현에서 현저한 차이를 수반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었다. VEGF 및 VEGF-R II 수용체의 발현된 양의 현저한 증가가 당뇨병 대조군 동물에서 검출될 수 있는 반면에, VEGF 및 VEGF-R II 수용체의 발현된 양의 현저하게 낮은 증가가 단백질 키나제 C-α "녹아웃" 동물에서 확립되었다. 상기 결과는 증가된 VEGF 발현이 당뇨망막병증의 발생의 가장 중요한 매개자 중의 하나로 고려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Aiello 및 Wong, Kidney Int. Suppl., 77 (2000), p. 113-9; Benjamin, Am. J. Pathol., 158 (2001), 1181-1184).
본 발명에 따른 결과로부터, 단백질 키나제 C-α는 헤파란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형성의 조절 및 단백뇨의 징후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과는 또한 단백질 키나제 C-α가 단백질 키나제 C-β와 비교하여 단백뇨의 징후에 현저하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여기에서 단백질 키나제 C-β는 그러나 단백질 키나제 C-α의 기능의 적어도 부분을 인계받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결과는 또한 단백질 키나제 C-α 이성질형태의 저해가 당뇨병 후유 효과, 예를 들면, 당뇨병콩팥병증, 당뇨망막병증 및/또는 심혈관 합병증의 발생, 및 단백뇨를 동반하는 질환의 발생 양자로부터 보호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라, 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단백뇨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 당뇨병 후유 효과 및/또는 당뇨병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단백질 키나제 C-α (PKC-α)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의 이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질환"은 주관적으로 느끼거나 또는 객관적으로 검출가능한 신체적인, 정신적인 또는 관념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기관 또는 전체 생물체의 생명 과정의 장애를 말한다. "합병증" 또는 "후유 효과"는 결과로서 일어나는 질환 또는 이차 질환, 즉 일차 임상 상황외에 일어나는 이차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되는 질환은 특히, 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단백뇨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 관련된 후유 효과를 갖는 및 갖지 않는 당뇨병 및/또는 심혈관 합병증, 관련된 심혈관 합병증을 갖는 및 갖지 않는 고혈압 및/또는 관련된 심혈관 합병증을 갖는 및 갖지 않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혈관 질환"은 특히, 기능적인 또는 유기 순환 장애를 야기할 수 있는 동맥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혈관 질환은 말초동맥 폐색성 질환이다. "동맥 폐색성 질환"은 동맥에서 협착 또는 폐색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을 의미하며, 공급에 의존하는 조직 또는 기관에서 허혈을 갖는 순환 장애를 초래한다. 특히, 당뇨병은 폐색 죽상경화증 및 또한 혈관병증 및 혈관신경병증에 의해 야기되는 만성 폐색성 질환을 초래한다.
"심혈관 질환"은 심장 및 순환의 기능에 영향을 주는 질환 및 장애, 예를 들면, 순환계의 채움 상태(filling state) 및 긴장, 심장의 출력 성능, 심장 및 순환 사이의 신경 및 체액 커플링 기작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심혈관 질환은 관상동맥 심질환, 심근경색증 및 발작이다.
"관상동맥 심질환"은 관상 혈관의 수축 또는 폐색이 순환의 감소 및 에너지 전달 기질 및 산소의 심근으로의 공급의 감소를 초래하는 일차 관상 부전의 임상적인 징후를 의미한다.
"심근경색증"은 만성 관상동맥 심질환에서 합병증으로서 대개 급성으로 발생하는 심근의 국부 영역의 괴사를 의미한다. 심근경색증의 원인은 특히, 기존의 비정상적인 관상동맥협착의 영역에서 관상동맥부족 및 확장된 관상동맥연축에서 계속되는 중요한 순환 부족이다. 심근경색증은 종종 심근의 증가된 산소 요구의 결과로서 육체적이거나 정신적인 스트레스시 또는 혈액 공급의 급성 차단시 징후된다.
"발작" 또는 "중풍"은 뇌의 동맥 순환 장애의 결과로서 허혈성 뇌경색증을 의미한다. 발작은 협착 또는 뇌 미세혈관병증의 결과로서 덜 빈번히, 두개외 혈관(extracranial vessel)에서 죽상경화증 변화 또는 심장으로부터 유도된 색전증에 의해 야기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단백뇨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은 특히, 뇨에서 단백질의 존재의 특징이 있는 실질염 신장 질환을 의미한다. 단백뇨는 사구체 단백뇨, 세뇨관 단백뇨 또는 혼합된 사구체-세뇨관 단백뇨일 수 있다. 알부민 및 트랜스페린의 배타적인 신장 배설은 예를 들면, 최소 변화 콩팥병증에서 발생하는 선택적인 단백뇨의 특징이 있다. 비선택적인 단백뇨에서, IgG는 또한 뇨에서 검출될 수 있다. 상기 단백뇨의 형태는 예를 들면, 신장 아밀로이드증뿐만 아니라 당뇨병콩팥병증의 진전된 상태에서 발견될 수 있다. 세뇨관 단백뇨는 저분자량 단백질의 배설을 초래하는 재흡수 과정에 영향을 주는 관모양-간질(tubolo-interstitial) 질환에 기초한다. 임상적으로, 세뇨관 단백뇨는 특히, 근위요세관의 기타 결함과 관련될 때 중요하다. 세뇨관 단백뇨는 특히 유전성 세뇨관증, 신장-세뇨관 아지도시스(azidosis), 박테리아 또는 약물에 의해 유도된 간질성 신염, 급성 신장부전, 중금속 중독, Bence-Jones 콩팥병증과 같은 질환 및 신장 이식의 수술후 상태에서 발생한다. 혼합된 사구체-세뇨관 단백뇨는 종종 현저한 이차 간질 변화를 갖는 일차 사구체 질환에 기초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단백뇨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은 특히, 최소 변화 콩팥병증, 기타 사구체병증, 신장 아밀로이드증, 유전성 세뇨관증, 신장-세뇨관 아지도시스, 박테리아 또는 약물에 의해 유도된 간질성 신염, 급성 신장부전, Bence-Jones 콩팥병증 및 신장 이식의 수술후 상태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당뇨병"은 상이한 원인 및 증상을 갖는 글루코스 대사 장애의 다양한 형태를 의미한다. 통상의 특징은 상대적이거나 또는 절대적인 인슐린 부족이다. 당뇨병 질환은 혈중 글루코스 수준의 영구적인 증가(고혈당증) 또는 공급된 글루코스의 부적절한 시기의 이용의 특징이 있다. 당뇨병은 제1형(인슐린-의존성; IDDM) 및 제2형 (비인슐린-의존성; NIDDM)으로 세분된다.
당뇨병 특이적인 및 당뇨병 관련된 만성 합병증은 망막병증, 콩팥병증 및 신경병증과 같은 미세혈관병증, 다발신경병증, 당뇨병성 발, 골격, 지지 및 연결 조직의 장애뿐만 아니라 대혈관병증, 특히 관상동맥 심질환, 뇌 순환 장애 및 말초동맥 폐색성 질환을 포함한다.
"당뇨망막병증"은 당뇨병에서 발생하는 안저(eye-ground)의 미세혈관병증을 의미한다. 당뇨망막병증의 형태는 비증식성 망막병증 (배경성 망막병증), 예를 들면, 망막 출혈, 미세혈관류, 경질 삼출물(hard exudate), 시력의 감소와 함께 망막 부종뿐만 아니라, 증식성 망막병증이며, 여기에서 혈관 폐색 유래의 망막 허혈에 기인한 유리체출혈과 함께 망막 상 및 망막의 앞에 면화반(Cotton-wool spot) 및 혈관신생의 부가적인 발생이 존재한다. 증식성 망막병증은 견인성 망막박리, 신생혈관 녹내장 및 실명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또한 당뇨병성 사구체경화증으로서 언급되는 "당뇨병콩팥병증"은 사구체 신장 모세관에 대한 손상을 의미한다. 임상적으로, 당뇨병콩팥병증은 단백뇨, 고혈압, 부종, 기저막의 미만성 확장, 혈관사이 비대 및 혈관 루멘의 수축과 함께 신사구체의 루프에서 후기 결절성 종창뿐만 아니라 모세관 벽 및 미세혈관류에서 섬유소성물질 침착에 의해 징후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당뇨병신경병증"은 말초신경의 질환을 의미한다. 특히, 이는 대칭적인 원부 센소모토릭(sensomotoric) 다발신경병증 및 자율 신경병증을 의미한다. 말초 신경병증은 하지에서 전형적으로 징후되며, 발로 시작하여 근부로 향하며, 또한 팔에 자주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증상은 현저하게 변하고, 통증, 마비 및 감각이상과 같은 호소는 종종 악화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라, "당뇨병에서 심혈관 합병증"은 당뇨병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심혈관 및 혈관 질환, 특히 말초 폐색성 질환, 관상동맥 심질환, 심근경색증 및 발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고혈압"은 140 mm Hg 이상의 수축기압 및 90 mm Hg 이상의 이완기압의 값으로 혈압의 영구적인 증가의 특징이 있는 고혈압 또는 고혈압 심장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고혈압과 관련된 심혈관 합병증"은 고혈압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심혈관 및 혈관 질환, 특히 말초 폐색성 질환, 관상동맥 심질환, 심근경색증 및 발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은 혈액에서 증가된 콜레스테롤 수준을 의미하며, 고콜레스테롤혈증은 당뇨병의 결과로서 일차적으로 또는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죽상경화증의 위험 인자이다. 본 발명에 따라,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관련된 심혈관 합병증"은 고콜레스테롤혈증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심혈관 및 혈관 질환, 특히 말초 폐색성 질환, 관상동맥 심질환, 심근경색증 및 발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단백질 키나제 C" 또는 "PKC"는 신호 전달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 패밀리를 의미하며, PKC 단백질은 기질, 예를 들면, 효소, 전사 인자 및/또는 세포골격 단백질의 인산화에 의해 세포내 조절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PKC 단백질의 활성화는 PKC 단백질의 기질인 유사분열물질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MAPK)를 포함하는 단백질 키나제의 활성화를 초래한다. 단백질 키나제 C 단백질은 주요한 포볼 에스테르 수용체이다. 단백질의 단백질 키나제 C 패밀리는 3개의 상이한 서브패밀리로 세분되는 포유동물 세포에서 12개 이상의 이성질형태를 포함한다. 소위 통상적인 단백질 키나제 C 이성질형태 (cPKC)는 이성질형태 PKC-α, PKC-βI 및 이의 스플라이스 변이체 βII뿐만 아니라 PKC-감마를 포함한다. 소위 신규 단백질 키나제 이성질형태 (nPKC)는 이성질형태 PKC-델타, PKC-엡실론, PKC-에타 및 PKC-테타를 포함한다. 소위 비전형적인 단백질 키나제 C 이성질형태 (aPKC)는 이성질형태 PKC-제타 및 PKC-람다 (또한 PKC-아오타로서 공지됨)를 포함한다. 추가의 이성질형태는 별개의 서브패밀리일 수 있는 PKC-뮤 (또한 단백질 키나제 D로서 언급됨) 및 PKC-관련 키나제 (PRK)이다 (Toker, Frontiers in Biosciences, 3 (1998), d1134-1147). PKC 이성질형태는 이의 아미노산 서열 및 상기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에서 구별된다 (Coussens et al., Sciences, 233 (1986), 859-866). PKC 단백질 모두는 도메인 구조를 가진다. 이의 세포 발현 패턴, 이의 활성화 기작 및 이의 기질 특이성이 또한 상이하다.
대부분의 단백질 키나제 C 이성질형태는 활성화 전에 막 결합되지 않으며, 세포질에 확산되어 분포된다. 세포를 포볼 화합물인 12-O-테트라데카노일포볼-13-아세테이트로 처리함으로써 각 이성질형태의 활성의 활성화는 세포 형태의 이소자임 특이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상이한 세포내 소기관 구조에 대한 상이한 PKC 이소자임의 신속하고 선택적인 재분포를 초래한다. 단백질 키나제 C-α 이성질형태는 특히 소포체 및 세포 가장자리에서 풍부해지는 반면, PKC βII 이성질형태는 세포골격의 액틴 풍부한 미세필라멘트에 풍부하다. PKC 이성질형태의 기질 특이성은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C 이소자임의 세포내 소기관 분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개된다.
"단백질 키나제 C-α"는 칼슘 이온 및 디아실글리세롤에 의해 활성화되는 단백질을 의미하며,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C-α는 특히 소포체 및 세포 가장자리에서 풍부해진다. PKC-α의 아미노산 서열 및 PKC-α를 코딩하는 핵산 서열은 [Coussens et al., Sciences, 233 (1986), 859-866]에 기재된다. PKC-α 단백질은 잔존하는 cPKC 단백질과 유사한 도메인 구조를 가진다. 상기 단백질은 가짜기질(pseudosubstrate) 도메인, 시스테인 풍부한 영역, 칼슘 결합 도메인 및 촉매 도메인을 포함한다. PKC-α는 디아실글리세롤, 포볼 에스테르, 포스파티딜세린 및 칼슘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단백질 키나제 C-α의 발현을 감소하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은 시험관내 및 생체내 양자 조건하에 기능성 PKC-α 단백질의 합성을 완전히 막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시키는 물질을 의미하며, 상기 감소 또는 저해는 PKC-α를 코딩하는 DNA 서열의 상보적인 mRNA 서열로의 전사, mRNA의 가공, mRNA의 폴리펩티드 사슬로의 번역, 상기 폴리펩티드의 가공 및/또는 상기 폴리펩티드의 번역후 변형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단백질 키나제 C-α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의 이용은 기능적인, 예를 들면, 활성화가능한 PKC-α 단백질이 전혀 제조되지 않거나, 또는 제조된 기능적인, 예를 들면, 활성화가능한 PKC-α 단백질의 양이 감소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단백질 키나제 C-α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의 이용은 비기능적인, 예를 들면, 비활성화가능한 PKC-α 단백질, 또는 단지 부분적으로 기능적인 PKC-α 단백질이 제조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단백질 키나제 C-α의 활성을 감소하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은 시험관내 및 생체내 양자 조건하에 기능성 PKC-α 단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PKC-α 단백질의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불활성화는 예를 들면, PKC-α 단백질과 사용된 물질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물질과 PKC-α 단백질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은 예를 들면, 공유 또는 비공유 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물질과 PKC-α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은 또한, 예를 들면, 단백질 키나제의 화학적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데, 이는 단백질 키나제의 생물학적 활성의 소실을 초래한다. 상기 상호작용은 예를 들면, PKC-α의 특이적인 분해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단백질 키나제 C-α의 활성을 감소하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은 또한 PKC-α의 생물학적 활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완전히 억제되도록 PKC-α의 특정 기질, 표적 구조 또는 표적 분자를 변형하거나 또는 제거하거나 또는 결합하는 물질일 수 있다. 단백질 키나제 C-α의 활성을 감소하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은 또한 활성화, 예를 들면, 포볼 처리에 의한 활성화 후에 소포체로 또는 세포의 가장자리로 PKC-α의 수송을 막아, PKC-α가 이의 특정 기질, 표적 구조 또는 표적 분자와 상호작용할 수 없도록 하는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물질은 PKC-α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특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나, 기타 PKC 이성질형태, 예를 들면, PKC-β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특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지는 않는 물질이다.
본 발명에 따라, PKC-α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특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은 단백질 키나제 C-α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핵산, 상기 핵산을 포함하는 벡터,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단백질 키나제 C-α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α의 수송을 저해하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α 활성의 길항제, 및 단백질 키나제 C-α 활성의 저해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된 핵산은 바람직하게는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a) 인간 단백질 키나제 C-α, 또는 이의 단편을 코딩하는 핵산;
b) a)에 따른 핵산, 또는 이의 단편에 상보적인 핵산;
c) a) 또는 b), 또는 이의 단편에 따른 핵산의 하나 이상의 염기의 치환, 부가, 역위 및/또는 결실에 의해 수득가능한 핵산; 및
d) a) 내지 c), 또는 이의 단편에 따른 핵산과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핵산.
본 발명의 내용에서, "단백질 키나제 C-α, 또는 이의 단편을 코딩하는 핵산"은 천연 단백질 키나제 C-α의 기능성 도메인, 특히 가짜기질 도메인, 시스테인 풍부 영역, 칼슘 결합 도메인 및 촉매 도메인을 포함하는 PKC-α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을 코딩하는 핵산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핵산은 인간 PKC-알파 또는 이의 부분을 코딩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상동성"은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95%, 97% 및 99%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된 용어 "상동성"은 서열 사이의 일치에 의해 결정되는 2개 이상의 핵산 분자 사이의 관계의 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핵산은 DNA 또는 RNA 서열, 특히 선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핵산은 천연 공급원, 예를 들면, 진핵세포 조직,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조직,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 조직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합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벡터, 특히 발현 벡터에 삽입된다면, 상기 물질로서 사용된 핵산은 프로모터와 안티센스 방향으로 숙주 세포에서 인간 단백질 키나제 C-α의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핵산이 안티센스 방향으로 벡터에 삽입되는 경우에, 즉,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핵산의 안티센스 구축물이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핵산은 안티센스 핵산으로서 전사될 것이다. 이어서, 세포의 천연 PKC-알파 유전자가 전사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핵산에 의해 제조된 안티센스 전사체는 센스 방향인 천연 단백질 키나제 C-α 유전자의 mRNA 전사체와 왓슨-크릭 염기 짝지음을 통해 결합하여 이중나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천연 PKC-α 유전자의 mRNA의 폴리펩티드로의 번역은 선택적으로 억제되며, 천연 PKC-알파의 발현은 기타 세포 PKC 이성질형태의 발현을 저해하지 않고 특이적으로 저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안티센스 구축물의 제조에 이용되는 핵산은 PKC-알파를 코딩하는 전체 서열을 포함하지 않으나, 단지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는 것이 제공된다. 상기 단편은 1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바람직하게는 5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단편에 의해 걸쳐지는 PKC-알파를 코딩하는 서열의 뉴클레오티드 영역은 단편이 세포에서 안티센스 방향으로 발현될 경우에, 기타 PKC 이성질형태, 예를 들면, PKC-베타 이성질형태의 저해가 아닌 PKC-알파, 특히 인간 PKC-알파의 발현의 특이적인 저해가 일어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언급된 핵산 또는 이의 적당한 단편은 하나 이상의 발현 조절 원소의 조절하에 벡터에 삽입되며, 상기 핵산 또는 이의 단편은 상기 발현 조절 원소에 대해 안티센스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제공된다. 그리하여, 상기 벡터가 세포, 예를 들면, 포유동물 세포, 특히 인간 세포내로 도입된 후에, 상기 핵산 또는 이의 단편은 안티센스 방향으로 발현될 수 있으므로, 세포의 천연 PKC-알파의 발현을 효율적으로 저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벡터는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박테리오파아지 또는 바이러스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발현 조절 원소의 기능성 조절하에 PKC-알파 또는 이의 단편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벡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핵산 또는 이의 단편은 상기 발현 조절 원소에 대해 안티센스 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발현 조절 원소는 특히, 프로모터, 리보좀 결합 부위, 신호 서열 또는 3' 전사 종결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전술한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숙주 세포는 포유동물 세포, 바람직하게는 인간 세포이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서, 인간 세포는 성인 줄기 세포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1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바람직하게는 5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합성적으로 제조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PKC-알파의 발현을 저해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PKC-알파 발현을 저해하는데 직접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데, 즉, 벡터내로 삽입되어, 세포 조건하에 발현될 필요가 없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PKC-α-특이적인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Isis Pharmaceuticals 사의 제품 ISIS 3521인데, 이는 단백질 키나제 알파 발현의 강한 선택적인 저해제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PKC-α-특이적인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Busutti et al., J. Surg. Pathol., 63 (1996), 137-142]에 기재된 안티센스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핵산, 상기 핵산을 포함하는 벡터 또는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는 예를 들면, 유전자 요법의 범위내에서 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단백뇨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 후유 효과 및/또는 당뇨병과 관련된 심혈관 합병증, 고혈압과 관련된 심혈관 합병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관련된 심혈관 합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물질로서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단백질 키나제 C-α의 액티베이터가 단백질 키나제 알파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또는 감소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티베이터는 포볼 화합물, 특히 12-O-테트라데카노일포볼-13-아세테이트 (TPA) 또는 포볼-12,13-디부티레이트 (PDBu)이다. 세포의 예를 들면, PDBu로의 16 시간 내지 24 시간의 기간에 걸친 인큐베이션은 PKC-알파의 완전한 하향 조절(down regulation)을 초래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Busutti et al., J. Surg. Res., 63 (1996), 137-142). 또한, 고농도, 예를 들면, 1.6μM의 TPA로의 처리는 PKC-알파 발현을 완전히 저해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15시간 이상의 기간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1.6μM 이상의 농도의 포볼 에스테르로 상처받은 조직의 처리는 각각의 조직 또는 기관에서 PKC-알파의 발현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봉쇄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단백질 키나제 α의 활성을 저해하거나 또는 감소하는 저해제의 이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저해제"는 단백질 키나제 C-α의 생물학적 활성을 완전히 저해하고, PKC-α의 공간 구조를 알로스테릭하게 변화시키거나, 또는 기질 저해에 의해 PKC-α를 저해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저해제는 단백질 키나제 C-α와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이다. "항체"는 면역글로불린 유전자(들) 또는 이의 단편에 의해 본질적으로 코딩되며, 분석물, 즉 항원을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인식하는 폴리펩티드를 의미한다. PKC-α에 대한 항체의 결합은 후자의 생물학적 활성을 저해한다. 본 발명에 따라, 단백질 키나제 C-α에 대한 항체는 온전한 면역글로불린 또는 다양한 펩티다아제를 이용한 절단에 의해 생성된 수 많은 단편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용어 "항체"는 또한 변형된 항체, 예를 들면, 올리고머 항체, 환원된 항체, 산화된 항체 및 표지된 항체에 관한 것이다. 용어 "항체"는 또한 전체 항체를 변형시키거나 또는 재조합 DNA 방법의 이용으로 새로이 제조된 항체 단편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용어 "항체"는 온전한 분자 및 이의 단편, 예를 들면, Fab, F(ab')2 FV 양자를 포함하는데, 이는 에피토프 결정자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항체 단편은 해당하는 항원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능력을 보유한다.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의 제조 방법은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단백질 키나제 C-α의 활성을 저해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항체는 단클론 또는 다클론 항체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항체는 또한 인간화된 항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단백질 키나제 C-α의 활성을 저해하기 위해 사용된 항체는 [Goodnight et al., J. Biol. Chem., 270 (1995), 9991-10001]에 기재된 것들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PKC-알파를 저해하는 적용에 따라 이용된 저해제는 단백질 키나제 C-α의 인산화 상태를 변화시켜, PKC-알파의 활성을 저해하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시킨다는 것이 제공된다. [Tasinato et al., Biochem. J., 334 (1998), 243-249]로부터, 알파-토코페롤이 PKC-알파의 인산화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세포 단백질 키나제 C-알파를 불활성시킬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PKC-알파의 활성을 저해하고, 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단백뇨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 당뇨병 후유 효과 및/또는 당뇨병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알파-토코페롤의 이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단백뇨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 당뇨병 후유 효과 및/또는 당뇨병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PKC-알파의 길항제의 이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길항제"는 기질에 대한 결합 후에 PKC-알파와 동일한 효과를 야기하지 않고, PKC-알파-특이적인 기질에 대한 결합을 위해 PKC-알파와 경쟁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용어 "길항제"는 또한 이의 구조로 인해 PKC-알파-특이적인 기질의 불활성 형태에 적합하여, PKC-알파에 의한 기질의 활성화를 막는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천연 PKC-알파의 기질에 결합 후에 천연 PKC-알파와 동일한 생물학적 효과를 야기하지 않고, 천연 PKC-알파의 기질에 결합할 수 있는 PKC-알파의 유도체가 PKC-알파 활성을 저해하는 길항제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유도체"는 PKC-α 기본 활성을 유지하면서 원자 또는 분자기 또는 잔기를 치환함으로써 수득되며, 이의 아미노산 서열이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인간 또는 동물 PKC-α 분자의 천연적으로 발생하는 서열과 상이하나, 아미노산 수준에서 높은 정도의 상동성을 본질적으로 갖는 단백질 키나제 C-α의 기능적 동등물 또는 유도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용어 "유도체"는 또한 또 다른 단백질, 예를 들면, 또 다른 PKC-α 저해제의 기능적 도메인이 N-말단 또는 C-말단 부분에 존재하는 융합 단백질을 포함한다.
유도체 및 천연 PKC-α 사이의 차이는 예를 들면, 결실, 치환, 삽입, 부가, 염기 치환 및/또는 PKC-α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재조합과 같은 돌연변이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당연히, 이는 또한 천연적으로 발생하는 서열 변이, 예를 들면, 또 다른 생물체 유래의 서열 또는 자연적인 방식으로 돌연변이된 서열,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수단, 예를 들면, 화학 물질 및/또는 물리적인 물질에 의해 해당하는 서열로 의도적으로 도입된 돌연변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PKC-알파의 동족체가 PKC-알파 활성을 저해하는 길항제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단백질 키나제 C의 "동족체"는 단백질 키나제 C-α의 것과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지 않으나, 이의 3차원 구조가 단백질 키나제 C-α의 것과 매우 유사한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PKC-α의 동족체는 바람직하게는 PKC-α의 것과 유사한 기질 특이성 특성을 가지는데, 즉, 이들은 PKC-알파-특이적인 기질에 결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PKC-α의 촉매 특성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단백질 키나제 C-α 동족체는 예를 들면, 적당한 형태로 PKC-α 기질에 대한 단백질 키나제 C-α의 결합을 책임지는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므로, 단백질 키나제 C-α와 동일한 촉매 특성을 가지지 않으면서 단백질 키나제 C-α의 결합 영역의 본질적인 특성을 흉내낼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단백뇨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 후유 효과 및/또는 당뇨병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해, 단백질 키나제 C-α (PKC-α)뿐만 아니라, 동시에 단백질 키나제 C-β (PKC-β)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이 이용된다. [J. Invest. Dermatol., 117 (2001), 605-611, Takahashi 및 Kamimura]에 면역억제제 사이클로스포린 A가 단백질 키나제 C 이성질형태 알파, 베타 I 및 베타 II의 발현을 동시에 감소시킨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PKC-알파 및 PKC-베타의 발현을 감소시켜 전술한 질환의 치료를 위한 사이클로스포린 A의 이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단백질 키나제 C-α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특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이 단백질 키나제 C-β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특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과 조합하여 이용된다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단백질 키나제 C-β"는 단백질 키나제 C-βI 및 스플라이스 변이체 βII 양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단백질 키나제 C-β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이 단백질 키나제 C-β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핵산, 상기 핵산을 포함하는 벡터,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단백질 키나제 C-β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β의 수송을 저해하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β 활성의 길항제, 및 단백질 키나제 C-β 활성의 저해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물질로서 이용된 핵산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a) 인간 단백질 키나제 C-β, 또는 이의 단편을 코딩하는 핵산;
b) a)에 따른 핵산, 또는 이의 단편에 상보적인 핵산;
c) a) 또는 b), 또는 이의 단편에 따른 핵산의 하나 이상의 염기의 치환, 부가, 역위 및/또는 결실에 의해 수득가능한 핵산; 및
d) a) 내지 c), 또는 이의 단편에 따른 핵산과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핵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핵산은 인간 PKC-알파 또는 이의 부분을 코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핵산은 특히 선형 형태의 DNA 또는 RNA 서열일 수 있다. 상기 핵산은 천연 공급원, 예를 들면, 진핵세포 조직,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조직,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 조직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합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벡터, 특히 발현 벡터에 삽입된다면, 상기 물질로서 사용된 핵산은 프로모터와 안티센스 방향으로 숙주 세포에서 인간 단백질 키나제 C-β의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핵산이 안티센스 방향으로 벡터에 삽입되는 경우에, 즉,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핵산의 안티센스 구축물이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핵산은 안티센스 핵산으로서 전사될 것이다. 이어서, 세포의 천연 PKC-β 유전자가 전사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핵산에 의해 제조된 안티센스 전사체는 센스 방향인 천연 단백질 키나제 C-β 유전자의 mRNA 전사체와 결합하여 이중나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천연 PKC-β 유전자의 mRNA의 폴리펩티드로의 번역은 선택적으로 억제되며, 천연 PKC-β의 발현은 기타 세포 PKC 이성질형태의 발현을 저해하지 않고 특이적으로 저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안티센스 구축물의 제조에 이용되는 핵산은 PKC-β를 코딩하는 전체 서열을 포함하지 않고, 단지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는 것이 제공된다. 상기 단편은 1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바람직하게는 5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단편에 의해 걸쳐지는 PKC-β를 코딩하는 서열의 뉴클레오티드 영역은 단편이 세포에서 안티센스 방향으로 발현될 경우에, 기타 PKC 이성질형태의 저해가 아닌 PKC-β, 특히 인간 PKC-β의 발현의 특이적인 저해가 일어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언급된 핵산 또는 이의 적당한 단편은 하나 이상의 발현 조절 원소의 조절하에 벡터에 삽입되며, 상기 핵산 또는 이의 단편은 상기 발현 조절 원소에 대해 안티센스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제공된다. 그리하여, 상기 벡터가 세포, 예를 들면, 포유동물 세포, 특히 인간 세포내로 도입된 후에, 상기 핵산 또는 이의 단편은 안티센스 방향으로 발현될 수 있으므로, 세포의 천연 PKC-β의 발현을 효율적으로 저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벡터는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박테리오파아지 또는 바이러스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발현 조절 원소의 기능성 조절하에 PKC-β 또는 이의 단편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벡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핵산 또는 이의 단편은 상기 발현 조절 원소에 대해 안티센스 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발현 조절 원소는 특히, 프로모터, 리보좀 결합 부위, 신호 서열 또는 3' 전사 종결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전술한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숙주 세포는 포유동물 세포, 바람직하게는 인간 세포이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서, 인간 세포는 성인 줄기 세포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1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바람직하게는 5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합성적으로 제조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PKC-β의 발현을 저해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PKC-β 발현을 저해하는데 직접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데, 즉, 벡터내로 삽입되어, 세포 조건하에 발현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단백질 키나제 C-β 또는 이의 적당한 단편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가 단백질 키나제 C-β의 활성을 저해하는데 이용된다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항체는 단클론 또는 다클론 항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항체는 또한 인간화된 항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단백질 키나제 C-β의 인산화 상태를 변화시키는 물질이 단백질 키나제 C-β의 활성을 저해하는데 이용된다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PKC-β의 길항제로서 작용하는 단백질 키나제 C-β의 유도체 또는 동족체가 단백질 키나제 C-β의 활성을 저해하는데 이용된다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PKC-β의 유도체 또는 동족체는 기질에 대한 결합 후에 PKC-β와 동일한 효과를 야기하지 않고, PKC-β-특이적인 기질에 대한 결합에 대해 천연 PKC-β와 경쟁하는 물질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문헌 US 5,491,242, US 5,661,173, US 5,481,003, US 5,668,152, US 5,672,618, WO 95/17182, WO 95/35294 및 WO 02/ 에 기재된 화합물은 단백질 키나제 C-β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특이적으로 저해하고 감소시키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는 관상동맥 심질환, 심근경색증, 말초 폐색성 질환, 발작, 단백뇨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 당뇨병 후유 효과 및/또는 당뇨병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단백질 키나제 C-α (PKC-α)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특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심혈관 합병증은 바람직하게는 관상동맥 심질환, 심근경색증, 말초 폐색성 질환 및 발작이다. 상기 당뇨병 후유 효과는 특히, 당뇨망막병증, 당뇨병신경병증 및 당뇨병콩팥병증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약학 조성물" 또는 "약물"은 진단, 치료 및/또는 예방 목적으로 이용되는 혼합물, 즉, 치료 효과를 야기하는 하나 이상의 천연 또는 합성적으로 제조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신체 또는 동물체의 건강을 개선하거나 또는 회복하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고상 및 액상 혼합물 양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안정화제, 제조제(production agent), 분리제, 붕괴제, 유화제 또는 기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 이용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전술한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약물의 제조를 위한 활성 성분으로서 단백질 키나제 C-α (PKC-α)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특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의 이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되는 물질은 단백질 키나제 C-α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핵산, 상기 핵산을 포함하는 벡터,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단백질 키나제 C-α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α의 수송을 저해하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α 활성의 길항제, 및 단백질 키나제 C-α 활성의 저해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물질은 단백질 키나제 C-α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토코페롤, 포볼 화합물, 단백질 키나제 C-α의 유도체, 또는 단백질 키나제 C-α의 동족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이 비경구적, 특히 정맥내, 근육내, 피부내 또는 피하 투여에 이용된다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된 물질을 포함하는 약물은 주사 또는 주입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물질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경구로 투여된다는 것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상기 약물은 액체 투여 형태, 예를 들면,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션, 또는 고체 투여 형태, 예를 들면, 정제로 투여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활성 성분으로서 단백질 키나제 C-α (PKC-α)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특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관상동맥 심질환, 심근경색증, 말초 폐색성 질환, 발작, 단백뇨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 당뇨병 후유 효과 및/또는 당뇨병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된 물질은 단백질 키나제 C-α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핵산, 상기 핵산을 포함하는 벡터,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단백질 키나제 C-α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α의 수송을 저해하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α 활성의 길항제, 및 단백질 키나제 C-α 활성의 저해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단백질 키나제 C-α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토코페롤, 포볼 화합물, 단백질 키나제 C-α의 유도체, 또는 단백질 키나제 C-α의 동족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추가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추가의 활성 성분은 단백질 키나제 C-β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특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이다.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키나제 C-β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특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은 단백질 키나제 C-β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핵산, 상기 핵산을 포함하는 벡터,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단백질 키나제 C-β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β의 수송을 저해하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β 활성의 길항제, 및 단백질 키나제 C-β 활성의 저해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구현예는 종속항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또한 예시된다.
실시예 1
실험적인 당뇨병 유도
사료 및 물의 자유 접근이 가능한 22℃의 표준화된 조건하에 유지된 마우스를 이용하여, Lower Saxony의 동물 보호 당국의 인가 후에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의 시작 전에, 혈청으로부터의 혈중 당 수준을 모든 동물에 대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보여준다. 16마리의 SV129 대조군 마우스 및 14마리의 SV129 단백질 키나제 C-알파 녹아웃 (PKC-α-/-) 마우스에서, 당뇨병을 스트렙토조토진의 주사에 의해 유도하였다. 스트렙토조토진은 췌장에서 인슐린을 생성하는 섬(islet) 세포의 파괴를 초래한다. 생성된 인슐린 부족은 영구히 증가된 혈중 당 수준, 즉, 고혈당증, 및 당뇨병을 야기한다. 고혈당증을 생성하기 위해, 동물을 1일 및 4일에 복강내로 체중 kg 당 각각 125mg의 스트렙토조토진을 투여하였다. 상기 목적을 위해, 스트렙토조토진을 pH 4.5의 50 mM Na 시트레이트 용액에 용해하였다. 대조군에 대해, 7마리의 SV129 및 6마리의 PKC-α-/- 마우스를 1일 및 4일에 복강내로 단지 용매 투여하였다. 이어서, 혈액 1방울을 이틀 간격으로 마우스의 꼬리로부터 취하여 혈중 당 수준을 검사하였다. 혈중 당 측정을 Bayer Glucometer Elite 측정 장치를 통해 수행하였다. Glucometer Elite Sensor 시험 스트립을 측정을 위해 이용하였다.
7-10일에, 스트렙토조토진을 투여한 동물은 혈중 당 수준이 350 mg/dl 이상인 당뇨병이었다. 스트렙토조토진 주사 전의 출발 값은 평균하여 200 mg/dl 이었다. 단지 용매를 수득한 동물은 혈중 당 수준의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당뇨병을 발생하지 않았다. 최초 주사 후 10일에, 동물을 추가 8주 동안 관찰하였다. 상기 시간 동안, 혈중 당은 2주 간격으로 검사하여 당뇨병 동물이 여전히 당뇨병인지를 확인하였다. 상기 기간 동안, 당 수준은 당뇨병 동물에 대해 평균하여 약 500-550 mg/dl 및 비당뇨병 동물에 대해 약 200 mg/dl 이었다.
8 주 후에, 상기 동물을 마취제 아베르틴으로 마취하였다. 마취하에, 400㎕의 혈액을 눈의 정맥얼기로부터 취하고, 전체 방광뇨를 27 G 주사침을 이용하여 천자(puncture)에 의해 방광으로부터 취하였다. 이어서, 신장을 링거 락테이트 용액으로 복측대동맥을 통해 관류하고, 신장을 제거하였다. 이후 즉시, 상기 동물을 마취하에 죽였다. 이어서, 혈중 당 수준을 혈청으로부터 측정하였다. 혈중 당 수준은 표 1에 발견될 수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당뇨병 동물은 실험의 초기 및 비당뇨병 대조군 동물과 비교하여 약 2.5 내지 3배 높은 글루코스 수준을 가진다.
실험의 시작 전 및 말단에 당뇨병 및 비당뇨병 마우스에서 혈청 글루코스
실험의 시작 전 혈청 글루코스(mg/dl) 실험의 말단에 혈청 글루코스(mg/dl)
SV129 대조군 (n = 7) 205 +/- 40 223 +/- 43
SV129 당뇨병 (n = 16) 192 +/- 36 505 +/- 80*
PKC-α-/- 대조군 (n = 6) 223 +/- 27 197 +/- 21
PKC-α-/- 당뇨병 (n = 14) 225 +/- 31 589 +/- 98*
*비당뇨병 대조군 동물과 비교하여 p≤0.001
실시예 2
알부민 농도의 측정
당뇨병을 가진 환자에서 알부민뇨의 발생은 공지된 현상이다. 그러므로, 당뇨병을 갖는 및 당뇨병이 없는 (대조군) PKC-알파 "녹아웃" 마우스 및 당뇨병을 갖는 및 당뇨병이 없는 (대조군) SV129 마우스의 뇨에서 알부민 배설을 측정하였다. 상기 목적을 위해, 알부민 농도를 수집된 뇨에서 측정하였다. 알부민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간접적인 ELISA 분석 (Albuwell M, Exocell Inc., Philadelphia, USA)을 이용하였다. 상기 ELISA 분석은 뮤린 알부민에 대해 특이적이다. 측정을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수행하였다. 뇨 배설에서 변이를 설명할 수 있기 위해, 측정된 알부민 값은 뇨에서 크레아티닌 수준에 기초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보여준다. 비당뇨병 SV129 및 PKC-α-/- 마우스는 통상 10 g/mol 미만인 필적할만한 알부민/크레아티닌 몫을 가진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대조적으로, 당뇨병 SV129 마우스에 대한 상기 몫은 현저하게 높다(p = 0,004). 중앙값은 21.5 g/mol 대(vs) 비당뇨병 SV129 대조군 동물에 대해 7.48 g/mol이다. 비교시, 당뇨병 PKC-α-/- 마우스에서 알부민뇨의 현저한 증가는 없었다. 알부민/크레아티닌 몫은 항상 20 g/mol 미만이었으며, 중앙값은 10.2 g/mol 이었다. 비당뇨병 PKC-α-/- 대조군 마우스에 대한 중앙값은 8.5 g/mol 이었다. 당뇨병 PKC-α-/- 마우스에 대한 값은 당뇨병 SV129 마우스에 대한 값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p≤0.001). 결과를 도 1에 보여준다.
실시예 3
VEGF 및 VEGF 수용체 II 발현의 측정
상기 실시예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모든 동물을 실험이 종료되었을 때 죽였다. 이후 즉시, 신장을 제거하고, -70℃에서 동결시켰다. 제거된 신장의 추가의 분석은 당뇨병 대조군 동물의 신장 소체(신사구체)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 (VEGF) 및 VEGF 수용체 II (VEGFR-II)의 발현의 현저한 증가를 보여주었다. VEGF 및 VEGFR-II 발현의 검출을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그리하여, -70℃로 동결시킨 신장을 6 nm의 두께로 동결 슬라이싱한 후, 풍건시켰다. 이어서, 동결 슬라이스를 냉 아세톤으로 고정하고, 풍건하고, 트리스 완충액 (TBS: 0.05 M 트리스 완충액, 0.15 M NaCl, pH 7.6)으로 세정하였다. 동결 슬라이스를 이어서 뮤린 VEGF (Santa Cruz, A-20) 또는 VEGFR-II (Santa Cruz, C-1158)에 대한 일차 다클론 "토끼" 항체로 습윤 챔버에서 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TBS로 다시 세정 후에, 슬라이스를 Cy3-표지된 이차 "항-토끼" 항체 (Jackson Immunresearch Laboratories, 711-165-152)로 실온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다시 TBS로 세정하였다. 이어서, 제제를 Zeiss Axioplan-2 현미경(Zeiss, Jena, Germany)을 통해 평가하고, 촬영하였다. 모든 동물에서, 40개의 신장 소구체 각각을 평가하고, 형광 강도를 강한, 중간 및 약한으로 분류하였다. 당뇨병 SV129 대조군 동물에서 VEGF 및 VEGFR-II 발현의 현저한 증가(p < 0.001)는 비당뇨병 대조군 동물과 비교하여 발견되었다. 비교시, 발현의 증가는 당뇨병 SV129 및 PKC-α-/- 마우스에서 유의하게 덜 현저하였다(p < 0.001). 결과를 도 2 및 3에 보여준다.
실시예 4
펠레칸 발현의 측정
VEGF 발현에서 확립된 차이는 단독으로 알부민뇨에서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으므로, 당뇨병 및 비당뇨병 동물의 신장에서 헤파란 설페이트 프로테오글리칸 펠레칸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신장의 동결 슬라이스를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고 포매하였다. 뮤린 펠레칸에 대한 단클론 래트 항체(RDI Systems, A7L6)를 일차 항체로서 이용하였다. Cy3-표지된 당나귀 항-래트 항체 (Jackson Immunresearch Laboratories, 712-165-153)를 이차 항체로서 이용하였다. 상기 슬라이스의 면역조직화학적 조사는 펠레칸이 당뇨병 대조군 동물에서 전혀 또는 더 이상 검출되지 않은 완전히 놀라운 결과를 제공하였다(도 4 참고). 그리하여, 펠레칸은 소동맥의 혈관벽에서 또는 신사구체 어디에서도 검출될 수 없었다. 대조적으로, 펠레칸의 발현은 SV129 및 PKC-α-/- 마우스에서 변하지 않았거나 또는 약간 감소되었다. 헤파란 설페이트의 부족은 단백뇨의 발생에 주요한 매개자 중의 하나로 고려되므로, 상기 결과는 알부민뇨의 부족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Claims (55)

  1. 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단백뇨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 당뇨병 후유 효과 및/또는 당뇨병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및/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단백질 키나제 C-α (PKC-α)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의 용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 질환 및 심혈관 질환은 말초 폐색성 질환, 관상동맥 심질환, 심근경색증 및 발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혈관 합병증은 말초 폐색성 질환, 관상동맥 심질환, 심근경색증 및/또는 발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 후유 효과는 당뇨망막병증, 당뇨병신경병증 및/또는 당뇨병콩팥병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뇨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은 실질염 신장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뇨는 사구체 단백뇨, 세뇨관 단백뇨 또는 혼합된 사구체-세뇨관 단백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질환은 최소 변화 콩팥병증, 기타 사구체병증, 신장 아밀로이드증, 유전성 세뇨관증, 신장-세뇨관 아지도시스, 박테리아 또는 약물에 의해 유도된 간질성 신염, 급성 신장부전, Bence-Jones 콩팥병증 또는 신장 이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단백질 키나제 C-α (PKC-α)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특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단백질 키나제 C-α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핵산, 상기 핵산을 포함하는 벡터,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단백질 키나제 C-α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α의 수송을 저해하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α 활성의 길항제, 및 단백질 키나제 C-α 활성의 저해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은 프로모터와 안티센스 방향으로 숙주 세포에서 인간 단백질 키나제 C-α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a) 인간 단백질 키나제 C-α, 또는 이의 단편을 코딩하는 핵산;
    b) a)에 따른 핵산, 또는 이의 단편에 상보적인 핵산;
    c) a) 또는 b), 또는 이의 단편에 따른 핵산의 하나 이상의 염기의 치환, 부가, 역위 및/또는 결실에 의해 수득가능한 핵산; 및
    d) a) 내지 c), 또는 이의 단편에 따른 핵산과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핵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의 단편은 1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바람직하게는 5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은 DNA 또는 R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 또는 이의 단편은 안티센스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발현 조절 원소의 조절하에 벡터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박테리오파아지 또는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조절 원소는 프로모터, 리보좀 결합 부위, 신호 서열 또는 3' 전사 종결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숙주 세포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숙주 세포는 포유동물 세포, 특히 인간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키나제 C-α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물질은 단백질 키나제 C-α의 액티베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베이터는 포볼(phorbol)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포볼(phorbol) 화합물은 12-O-테트라데카노일포볼-13-아세테이트 (TPA) 또는 포볼-12,13-디부티레이트 (PDB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해제는 단백질 키나제 C-α와 반응하는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단클론 또는 다클론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인간화된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해제는 단백질 키나제 C-α의 인산화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해제는 토코페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길항제는 단백질 키나제 C-α의 유도체 또는 동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키나제 C-α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은 단백질 키나제 C-β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동시에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사이클로스포린 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0.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키나제 C-α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특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은 단백질 키나제 C-β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특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과 조합하여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키나제 C-β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은 단백질 키나제 C-β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핵산, 상기 핵산을 포함하는 벡터,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단백질 키나제 C-β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β의 수송을 저해하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β 활성의 길항제, 및 단백질 키나제 C-β 활성의 저해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a) 인간 단백질 키나제 C-β, 또는 이의 단편을 코딩하는 핵산;
    b) a)에 따른 핵산, 또는 이의 단편에 상보적인 핵산;
    c) a) 또는 b), 또는 이의 단편에 따른 핵산의 하나 이상의 염기의 치환, 부가, 역위 및/또는 결실에 의해 수득가능한 핵산; 및
    d) a) 내지 c), 또는 이의 단편에 따른 핵산과 80%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핵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의 단편은 1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바람직하게는 5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4.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은 DNA 또는 R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5. 제 3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 또는 이의 단편은 안티센스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발현 조절 원소의 조절하에 벡터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박테리오파아지 또는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7.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 조절 원소는 프로모터, 리보좀 결합 부위, 신호 서열 또는 3' 전사 종결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8. 제 35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숙주 세포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숙주 세포는 포유동물 세포, 특히 인간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0.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해제는 단백질 키나제 C-β와 반응하는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단클론 또는 다클론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2. 제 40 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인간화된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해제는 단백질 키나제 C-β의 인산화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길항제는 단백질 키나제 C-β의 유도체 또는 동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5. 관상동맥 심질환, 심근경색증, 말초 폐색성 질환, 발작, 단백뇨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 당뇨병 후유 효과 및/또는 당뇨병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단백질 키나제 C-α (PKC-α)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의 용도.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심혈관 합병증은 관상동맥 심질환, 심근경색증, 말초 폐색성 질환 또는 발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 후유 효과는 당뇨망막병증, 당뇨병신경병증 또는 당뇨병콩팥병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8. 제 45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단백질 키나제 C-α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핵산, 상기 핵산을 포함하는 벡터,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단백질 키나제 C-α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α의 수송을 저해하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α 활성의 길항제, 및 단백질 키나제 C-α 활성의 저해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단백질 키나제 C-α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토코페롤, 포볼 화합물, 단백질 키나제 C-α의 유도체, 또는 단백질 키나제 C-α의 동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50. 활성 성분으로서 단백질 키나제 C-α (PKC-α)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관상동맥 심질환, 심근경색증, 말초 폐색성 질환, 발작, 단백뇨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 당뇨병 후유 효과 및/또는 당뇨병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 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진 환자에서 심혈관 합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단백질 키나제 C-α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핵산, 상기 핵산을 포함하는 벡터,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단백질 키나제 C-α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α의 수송을 저해하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α 활성의 길항제, 및 단백질 키나제 C-α 활성의 저해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단백질 키나제 C-α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토코페롤, 포볼 화합물, 단백질 키나제 C-α의 유도체, 또는 단백질 키나제 C-α의 동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3. 제 50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활성 성분은 단백질 키나제 C-β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특이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키나제 C-β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물질은 단백질 키나제 C-β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저해하는 핵산, 상기 핵산을 포함하는 벡터, 상기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단백질 키나제 C-β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β의 수송을 저해하는 물질, 단백질 키나제 C-β 활성의 길항제, 및 단백질 키나제 C-β 활성의 저해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057004958A 2002-09-24 2003-09-23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의 치료를 위한 단백질 키나제 c알파의 저해용 조성물 KR200500591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44453A DE10244453A1 (de) 2002-09-24 2002-09-24 Hemmung der Proteinkinase C-alpha zur Behandlung von Krankheiten
DE10244453.6 2002-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180A true KR20050059180A (ko) 2005-06-17

Family

ID=3196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958A KR20050059180A (ko) 2002-09-24 2003-09-23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의 치료를 위한 단백질 키나제 c알파의 저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20050250719A1 (ko)
EP (2) EP2338498A1 (ko)
JP (1) JP2006503841A (ko)
KR (1) KR20050059180A (ko)
CN (1) CN1684694A (ko)
AT (1) ATE475422T1 (ko)
AU (1) AU2003280288B2 (ko)
CA (1) CA2499818A1 (ko)
DE (3) DE10244453A1 (ko)
DK (1) DK1545560T3 (ko)
EA (1) EA007926B1 (ko)
ES (1) ES2356286T3 (ko)
IS (1) IS7777A (ko)
MX (1) MXPA05002930A (ko)
NO (1) NO20051242L (ko)
NZ (1) NZ538857A (ko)
PL (1) PL374829A1 (ko)
UA (1) UA88257C2 (ko)
WO (1) WO200402851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827A (ko) * 2014-04-14 2020-08-19 아비나스 오퍼레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단백질분해의 이미드-기초된 조절인자 및 연관된 이용 방법
WO2022092884A1 (ko) * 2020-10-29 2022-05-0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13-o-아세틸포볼을 포함하는 골질환 및 혈관석회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31714A1 (it) 2003-09-05 2005-03-06 Gentium Spa Formazioni ad azione antitumorale.
US20050066381A1 (en) * 2003-09-19 2005-03-24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Regulation of cardiac contractility and heart failure propensity
EP1687410A4 (en) * 2003-10-07 2008-04-09 Isis Pharmaceuticals Inc ANTISENSE OLIGONUCLEOTIDES OPTIMIZED TO TARGET THE KIDNEY
US9144594B2 (en) * 2005-11-08 2015-09-29 University Of Miami Cathepsin L mediated diseases and associated methods and products
AU2006321727A1 (en) * 2005-12-09 2007-06-14 Metaproteomics, Llc Protein kinase modulation by hops and Acacia products
US20080181877A1 (en) * 2006-03-22 2008-07-31 Leangene Ab, C/O Cit Ekonomiservice Ab Method For Monitoring the Effect of Compounds on Foxc2 Expression
PL2368555T3 (pl) 2007-01-31 2017-02-28 Biosuccess Biotech Company Kompozycje i sposoby stosowania estrów forbolu
US11696908B2 (en) 2007-01-31 2023-07-11 Biosuccess Biotech Co.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of phorbol esters
US10369222B2 (en) 2012-01-18 2019-08-06 Biosuccess Biotech Co.,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of phorbol esters for the treatment of stroke
US9974764B2 (en) 2007-01-31 2018-05-22 Biosuccess Biotech Co.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of phorbol esters in the treatment of neoplasms
US9636317B2 (en) 2007-01-31 2017-05-02 Biosuccess Biotech Co.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of phorbol esters
US9533938B2 (en) 2007-01-31 2017-01-03 Biosuccess Biotech Co.,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of phorbol esters for the treatment of stroke
US11564901B2 (en) 2007-01-31 2023-01-31 Biosuccess Biotech Co.,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of phorbol esters
EP1982722A1 (en) * 2007-04-16 2008-10-22 Gentium S.p.A. Use of oligotide for the treatment of renal diseases
US20120315244A1 (en) 2009-09-30 2012-12-13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s for Modulation of Autophagy Through the Modulation of Autophagy-Inhibiting Gene Products
AU2010363814B2 (en) 2010-11-12 2016-05-19 Gentium S.R.L. Defibrotide for use in prophylaxis and/or treatment of 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US10099996B2 (en) 2012-01-18 2018-10-16 Biosuccess Biotech Co.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of phorbol esters in the treatment of neoplasms
US9550722B2 (en) 2012-01-18 2017-01-24 Biosuccess Biotech Co.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of phorbal esters for the treatment of stroke
SG10201912629UA (en) * 2012-01-18 2020-02-27 Biosuccess Biotech Co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of phorbol esters
US20150079111A1 (en) * 2012-06-05 2015-03-19 Jonas Axelsson Mechanism, diagnostic, and treatments for complications of renal failure
US9902952B2 (en) 2012-06-22 2018-02-27 Gentrum S.R.L. Euglobulin-based method for determining the biological activity of defibrotide
TWI630909B (zh) * 2013-01-18 2018-08-01 華鴻新藥股份有限公司 用於中風治療之巴豆酯組成物及使用方法
TWI687217B (zh) * 2014-01-10 2020-03-11 華鴻新藥股份有限公司 用於中風治療之巴豆酯組成物及使用方法
CA2937447A1 (en) 2014-01-29 2015-08-06 Vaxine Pty Ltd New target for diabetes treatment and prevention.
EP3026122A1 (en) 2014-11-27 2016-06-01 Gentium S.p.A. Cellular-base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tency of defibrotide
EP3313993A4 (en) 2015-06-29 2019-06-19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ANTI-APOBEC3 ANTIBODIES AND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
EP3421485A1 (en) 2017-06-30 2019-01-02 Université de Strasbourg Peptides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yperglycaemia
EP3687932A4 (en) * 2017-09-29 2021-06-23 SafeWorks, LLC DC POWERED WINCH SYSTEM
RU2765117C2 (ru) * 2019-09-24 2022-01-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раль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первого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и Б.Н. Ельцина" Применение натриевой соли диэтилового эфира 4-оксо-1,4-дигидропиразоло[5,1-с]-1,2,4-триазин-3,8-дикарбоновой кислоты, моногидрата в качестве средства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поздних осложнений сахарного диабет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4764A1 (de) * 1989-05-05 1990-11-08 Goedecke Ag Maleinimid-derivate und deren verwendung als arzneimittel
DE3924538A1 (de) * 1989-07-25 1991-01-31 Goedecke Ag Indolocarbazol und dessen verwendung
RU2126679C1 (ru) * 1990-10-01 1999-02-27 Бригхэм энд Уименз Хоспитал Способ ингибирова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возникновения сосудистых явлений бета-каротином и витамином е,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стоящая из бета-каротина и витамина е,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стоящая из бета-каротина и аспирина
KR920703513A (ko) * 1990-11-02 1992-12-18 클레이턴 아이. 턴칸 단백질 활성효소 c(protein kinase c)를 방해하는 비스-(하이드록시알킬아미노)-안트라퀴논
WO1992017064A2 (en) * 1991-04-08 1992-10-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Inhibitors of protein kinase c function
EP1449529B1 (en) 1993-12-23 2010-01-27 Eli Lilly And Company Protein Kinase C Inhibitors
US5491242A (en) 1994-06-22 1996-02-13 Eli Lilly And Company Protein kinase C inhibitors
US5481003A (en) 1994-06-22 1996-01-02 Eli Lilly And Company Protein kinase C inhibitors
SI0776895T1 (en) * 1995-11-20 1999-04-30 Eli Lilly And Company Protein kinase C inhibitor
CZ347098A3 (cs) * 1996-05-01 1999-06-16 Eli Lilly And Company Halogenem substituovaná sloučenina jako inhibitor protein kinázy C
US6063814A (en) * 1997-04-14 2000-05-16 Chang; Richard L. Phorbol esters as anti-neoplastic and white blood cell elevating agents
DE19740384A1 (de) * 1997-09-08 1999-03-11 Max Delbrueck Centrum Antisense Oligodesoxynukleotide (ODN) gegen Proteinkinase C (PKC)-Isoformen, ihre Verwendung und pharmazeutische Zubereitungen dieser ODN
US20050066381A1 (en) * 2003-09-19 2005-03-24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Regulation of cardiac contractility and heart failure propens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827A (ko) * 2014-04-14 2020-08-19 아비나스 오퍼레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단백질분해의 이미드-기초된 조절인자 및 연관된 이용 방법
WO2022092884A1 (ko) * 2020-10-29 2022-05-0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13-o-아세틸포볼을 포함하는 골질환 및 혈관석회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312935D1 (de) 2010-09-09
EP1545560B1 (de) 2010-07-28
IS7777A (is) 2005-03-30
WO2004028516A2 (de) 2004-04-08
NZ538857A (en) 2010-10-29
CN1684694A (zh) 2005-10-19
UA88257C2 (ru) 2009-10-12
DE10244453A1 (de) 2004-04-01
MXPA05002930A (es) 2005-09-30
ATE475422T1 (de) 2010-08-15
EP2338498A1 (de) 2011-06-29
CA2499818A1 (en) 2004-04-08
WO2004028516A3 (de) 2004-11-11
JP2006503841A (ja) 2006-02-02
AU2003280288A1 (en) 2004-04-19
PL374829A1 (en) 2005-10-31
AU2003280288B2 (en) 2008-08-28
US20050250719A1 (en) 2005-11-10
US20090191194A1 (en) 2009-07-30
DE10393825D2 (de) 2005-08-11
EA200500529A1 (ru) 2005-08-25
EA007926B1 (ru) 2007-02-27
DK1545560T3 (da) 2010-11-22
NO20051242L (no) 2005-06-01
EP1545560A2 (de) 2005-06-29
ES2356286T3 (es)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80288B2 (en) Compositions for the inhibition of protein kinase C alpha for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EP2548569A1 (en) Stem cell derived factors for treating pathologic conditions
Pchejetski et al. Therapeutic potential of targeting sphingosine kinase 1 in prostate cancer
AU2003226349A1 (en) Methods for inhibiting vascular hyperpermeability
JP5400006B2 (ja) 虚血性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剤
US6773704B1 (en) Methods of treating vascular disease associated with cystatin C deficiency
Ren et al. SIRT1 exerts anti-hypertensive effect via FOXO1 activation in the rostral ventrolateral medulla
US20080206219A1 (en) Novel Indications for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Regulators
JP2017524727A (ja) 糖尿病の慢性合併症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socs1由来ペプチド
US10828279B2 (en) Prophylactic and/or therapeutic drug for diabetic nephropathy
US20030228283A1 (en) Preventing secondary lymphedema with VEGF-D DNA
Yin et al. Role and mechanism of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in venous wall fibrosis remodeling after deep venous thrombosis via the glycogen synthase kinase-3 beta signaling pathway
US5741777A (en) Modulation of wound contraction by blocking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WO2020077030A1 (en) Aggf1 and aggf1-primed cells for treating diseases and conditions
JP2004507491A (ja) 神経性疾患の診断及び一次止血障害の治療の方法
CN110433282B (zh) 胰高血糖素样肽-1在制备治疗钙化性主动脉瓣疾病药物方面的应用
ZA200600914B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isorders of the extracellular matrix
CN114609395B (zh) 一种预测或诊断糖尿病或糖尿病肾病患者中的早期动脉粥样硬化的应用
US20230125500A1 (en) Angiostatin neutralizing peptides derived from atp synthase alpha subunit
CN108047315B (zh) 一类多肽药物Athycaltide及其用途
WO2005034978A2 (en) MEDICAL USE OF IKK&amp;epsiv; OR OF INHIBITORS THEREOF
Li et al. Fibroblast Growth Factor 21 Ameliorates Endothelin I-Induced Hypertension Partly Through PPAR γ Pathway
Zhang The impact of obesity-associated nitrosative stress on organelle function
Talpe Guruge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VEGF overexpression on hyperglycemia accelerated atherosclerosis
Mo et al. JAZF1 is transcriptionally regulated by SOX11 and promotes cardiac fibrosis by PI3K-Akt path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