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8385A - 이중외피문장치 - Google Patents

이중외피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8385A
KR20050058385A KR1020057002857A KR20057002857A KR20050058385A KR 20050058385 A KR20050058385 A KR 20050058385A KR 1020057002857 A KR1020057002857 A KR 1020057002857A KR 20057002857 A KR20057002857 A KR 20057002857A KR 20050058385 A KR20050058385 A KR 20050058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gion
plane
frame
plan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리 크리튼덴
Original Assignee
메소나이트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소나이트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소나이트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5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38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속이 빈 코어문은 둘레프레임 및 제1 및 제2몰드된 외피들을 포함한다. 각 외피는 프레임의 대향측들에 고정된 외부면과 내부면을 가진다. 외피들의 적어도 하나는 외부평면영역, 내부평면영역 및 내부평면영역을 둘러싸고 외부평면영역 및 내부평면영역을 서로 결합하고 이들과 일체로 성형되는 비대칭프로파일을 가진다. 비대칭프로파일영역은 외부평면영역의 면에 대해 외부로 연장되는 볼록부를 가진다.

Description

이중외피문장치{Double skin door apparatus}
본 발명은 둘레프레임을 가진 속이 빈 코어(core)문 및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된 외부면 및 내부면을 가진 반대로 몰드된 한 쌍의 나무합성문외피에 관한 것이다. 외피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평면영역, 내부평면영역, 및 내부평면을 둘러싸고 외부평면영역 및 내부평면영역과 서로 연결되고 일체로 형성된 비대칭프로파일을 가진다. 비대칭프로파일영역은 외부평면영역의 평면에 대해 이로부터 외부로 확장된 볼록부를 가진다.
예를 들어, 중간밀도섬유판, 하드보드, 칩보드, 배향스트랜드보드-섬유판합성재, 삭편판, 배향스트랜드보드-삭편판합성재 등 섬유판과 같은 인공보드가 선틀, 가로대, 패널 또는 다른 소정의 특징을 흉내낸 윤곽부를 가진 물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물품은 패널 또는 다른 장식적인 특징을 흉내낸 1이상의 내부 함몰 또는 상승된 윤곽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함몰 및 윤곽부는 천연나무패널문을 복제할 수 있다.
종래 문과 관련하여, 몰드된 문외피들은 나무프레임지지구조에 단단히 고정되어 완성된 문을 생성한다. 가로대 및 선틀도 사용되어 문에 대해 추가적인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이런 문들은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전통적인 고체나무문 대신 소비자에게 미적인 소구력과 비용의 효율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782,055호는 비대칭형태의 문 및 이 문을 만드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비대칭은 둘레프레임으로부터 안쪽의 문부분이 둘레프레임을 뒤틀리게 하지 않고 온도와 습도조건에 따라 휘어지게 한다. 따라서, 문둘레프레임은 그것의 본래 평면구성을 유지한다. 개시된 문은 외피 사이에 발포체가 배치된, 둘레프레임에 고정된 한 쌍의 비대칭적인 구성의 외피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 문은 외부문으로 사용된다. 미국특허 제5,074,087은 종래 둘레프레임을 가진 합성재구성 및 둘레프레임에 고정된 한 쌍의 몰드된 유리섬유외피를 가진 문을 개시한다. 이 외피와 둘레프레임 내에 플라스틱 발포체코어가 있다. 미국특허 제5,438,808호는 금속스탬핑 또는 바디패널 사이에 끼워진 둘레프레임을 가진 문을 개시한다. 나무패널 또는 베니어가 금속스탬핑들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나무모양을 제공할 수 있다. 몇 가지 다른 외부구성들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종래 둘레프레임 및 한 쌍의 반대로 몰드된 나무합성재외피를 포함하는 문을 제공한다. 몰드된 외피들은 외피의 선택된 부분들 사이에서 비대칭적인 구성 및 충진요소들을 구비한다. 충진요소들은 온도 및 습도조건에 의한 비대칭성분들의 어떠한 비틀림으로 인해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대칭성분들에 인접해 배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2-2을 따라 화살표방향에서 보여지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제3실시예에 따른 문의 일부 분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 문 18, 20, 118, 120 : 가로대
14, 114 : 선틀 34, 54 : 볼록부
36, 56 : 오목부 222 : 잠금블록
본 출원은 이중외피장치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2002년 11월 27일 출원된 출원번호 제10/308,263호의 부분연속출원이고, 이 출원은 이중외피장치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2002년 8월20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10/223,744호의 부분연속출원이며, 이의 개시는 참조로 여기에 통합되고 이들 모두에 대한 우선권은 35 U.S.C.§120에 따라 주장된다.
본 발명은 둘레프레임 및 제1 및 제2의 반대로 몰드된 문외피를 포함하는 속이 빈 코어문에 관한 것이다. 외피의 각각은 프레임의 반대측에 고정된 외부면과 내부면을 가진다. 외피 중의 적어도 하나는 외부평면영역, 내부평면영역, 및 내부평면영역을 둘러싸고 외부평면영역과 내부평면영역을 서로 연결하고 일체로 성형된 비대칭프로파일을 가진다. 비대칭프로파일영역은 외부평면영역의 평면에 대해 이로부터 외부로 확장된 볼록부를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외부평면영역, 내부평면영역, 및 내부평면영역을 둘러싸고 외부평면영역 및 내부평면영역을 서로 연결하고 일체로 성형된 비대칭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몰드된 문외피에 관한 것이다. 비대칭프로파일영역은 외부평면영역의 평면에 대해 이로부터 외부로 확장되는 볼록부를 가진다.
대향측들을 가진 문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중외피문장치가 제공된다. 제1문외피는 프레임의 한 측에 고정된다. 제1문외피는 볼록부 및 오목부를 포함하는 제1비대칭프로파일을 가진다. 제2문외피는 프레임의 대향측에 고정되고 제1문외피에서 이격된다. 제2문외피는 볼록부 및 오목부를 구비하는 제2비대칭프로파일을 가진다. 제1 및 제2문외피들의 볼록부들은 제1거리를 규정하고, 제1 및 제2문외피들의 오목부들은 제2거리를 규정하며, 제1거리는 제2거리보다 멀다. 평판이 제1 및 제2문외피 사이에 배치된다.
문은 제1전면 및 제2전면을 가진 둘레프레임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제1폭을 가진다. 둘레평면부를 가진 제1외피는 프레임의 제1면에 고정된다. 제1외피는 상부볼록부, 상부내부평면부, 상부볼록부 및 상부내부평면부에서 이격된 하부볼록부 및 하부내부평면부를 가진다. 제2외피는 프레임의 제2전면에 고정된 둘레평면부를 가진다. 제2외피는 제2외피상에 상부볼록부, 상부내부평면부, 상부볼록부 및 상부내부평면부에서 이격된 하부볼록부 및 하부내부평면부를 가진다. 제1 및 제2외피들의 상부볼록부들 및 제1 및 제2외피들의 내부평면부들은 서로 정렬된다. 바람직하게는 문외피들은 중간밀도섬유판, 칩보드, 플레이크보드, 배향스트랜드보드 등과 같은 나무합성재로 몰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롭고 유용한 문장치를 제공하고, 새롭고 유용한 실내문장치를 제공하며, 둘레프레임에 고정된 한 쌍의 외부외피를 구비한 새롭고 유용한 문장치를 제공하고, 프레임에 고정된 한 쌍의 비대칭적으로 구성된 외부외피를 가진 새롭고 유용한 문장치를 제공하고, 거울상방향으로 둘레프레임에 고정된 한 쌍의 비대칭적으로 구성된 외부외피들을 구비하는 새롭고 유용한 문장치를 제공하고, 둘레프레임에 고정된 비대칭요소들 및 비대칭요소들에 인접하여 내부에 배치되고 외피에 고정된 평판을 가진 한 쌍의 외부외피를 가진 새롭고 유용한 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문(10)은 한 쌍의 선틀(14, 16) 및 한 쌍의 가로대(18, 20)를 가진 둘레프레임(12)을 포함한다. 가로대(20)는 문(10)의 상부 근처에 배치되고 가로대(18)는 문(10)의 바닥 근처에 배치된다. 선틀(14, 16) 및 가로대(18, 20)는 서로 적절히 고정되어 문(10)의 프레임(12)을 규정한다. 프레임(12)은 또한 가로대(18, 20) 중간에 배치되고 선틀(14, 16) 사이에서 완전히 연장된 중간 가로대(22)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중간가로대(22)는 상부 및 하부 가로대(18, 20)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핸들세트(미도시)는 중간가로대(22)에서 문에 고정될 수 있다. 가로대(22)는 문(10)이 오른손 또는 왼손문으로 걸려질 수 있게 한다. 가로대(22)가 선틀(14, 16) 사이에서 완전히 연장되기 때문에 핸들세트는 선틀(14) 또는 선틀(16)에 인접한 문(10)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틀(14, 16), 가로대(18, 20) 및 중간가로대(22)는 나무 또는 나무제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문(10)은 특히 실내문으로 매우 적절하고 속이 빈 코어문으로 언급될 수 있다. 문(10)은 또한 두 개의 외피들(30, 50)을 포함한다. 외피들(30, 50)의 각각은,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외부에서 볼 수 있는 면(31, 51) 및 프레임(12)의 반대측에 고정되기 위한 내부면(33, 53)을 가진다. 외피들(30, 50)은 프레임(12)에 고정되어 서로 거울상으로 될 수 있다.
외피(30)는 외부평면영역(32)을 구비한다. 외피(30)에 형성된 비대칭프로파일(P)은 외부평면영역(32)의 안쪽에 있다. 비대칭프로파일(P)은 볼록부(34) 및 오목부(36)를 구비한다. 볼록부(34) 및 오목부(36)의 특정구성은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내부평면영역(38)은 오목부(36)의 안쪽에 있다. 평면영역들(32 및 38)은 볼록부(34) 및 오목부(36)의 두께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도 2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내부평면영역(38)은 비대칭프로파일(P)의 둘레 내에 배치되고 평면부(32)에 대해 안쪽에 위치된다. 즉, 비대칭프로파일(P)은 외부면(31)에 대해 폐쇄된 영역을 포함한다. 이 폐쇄된 영역은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모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대칭프로파일(P)은 직사각형의 폐쇄된 영역을 규정하거나,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부러진 측면을 가진 폐쇄된 영역을 규정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비대칭프로파일(P)은 연속적이거나 폐루프를 규정하고, 내부평면영역(38)은 이 폐쇄된 루프내에 배치된다.
문(10)은 1 이상의 비대칭프로파일부(P)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보여지는 문(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볼록부(34) 및 오목부(36)에 의해 규정된 비대칭프로파일(P)을 구비한다. 비대칭프로파일(P)은 문(10)의 상부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중간가로대(22)의 위 및 가로대(20)의 아래에 배치된다. 또한, 문(10)은 중간가로대(22) 아래 및 가로대(18) 상부에 배치된 제2비대칭프로파일부(P2)를 구비한다. 비대칭프로파일부(P2)는 비대칭프로파일부(P)와 비교해 다른 폐쇄루프구성 및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비대칭프로파일(P2)은 하부볼록부(40) 및 하부오목부(42)에 의해 규정된다. 하부평면부(44)는 하부오목부(42)의 안쪽에 있다. 따라서, 하부비대칭프로파일(P2)은 또한 폐루프를 포함하고, 볼록부(40) 및 오목부(42)는 연속적인 요소들을 포함한다.
비대칭프로파일들(P, P2)의 특정구성 또는 다른 연결요소들이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것에서 변경될 수 있다. 하부비대칭프로파일(P2)은 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보여지지만, 상부비대칭프로파일(P)은 3개의 직선측과 곡선측을 가진 불규칙한 모양으로 보여진다. 비대칭프로파일의 어떠한 구성 또는 모양도 문외피(30)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외피(30)는 많은 비대칭프로파일들을 구비하고 이에 의해 멀티패널문을 흉내낼 수 있다. 또한 외피(30)는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나뭇결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나뭇결패턴은 외피(30)에 새겨지거나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베니어 또는 페이퍼오버레이가 외부면(31)에 고정될 수 있다.
외피(50)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외피(30)와 대체로 동일하다. 따라서, 외피(50)는 외부평면부(52), 상부볼록부(54), 상부오목부(56) 및 볼록부(54) 및 오목부(56)와 이들의 연결요소들에 의해 규정된 비대칭프로파일 내에 상부내부평면부(58)를 구비한다. 외피(50)가 실질적으로 외피(30)의 거울상이라는 점에서 외피(50)의 다른 부분들이 도 1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외피(50)는 비대칭프로파일들의 어떠한 구성 또는 모양을 구비할 수 있지만 외피(30)에 형성된 구성과 대응하여 외피(30)의 볼록 및 오목부들과 외피(50)의 볼록 및 오목부들이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정렬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피들이 서로 거울상이고 비대칭요소들을 포함하는 이중외피의 사용은 사실상 모든 온도와 습도에서 안정하고 수비자의 심미감을 충족시킬 수 있는 문을 제공한다. 특히, 비대칭은 프레임(12)의 안쪽에 배치된 문(10)의 부분이 온도 및 습도조건에 따라 프레임(12)을 비틀지 않고 휘어지게 한다. 이 경우, 프레임(12)은 본래 평면구성을 유지한다.
외피들(30, 50)은 외부평면영역들(32, 52)의 내부면(33, 53)에서 프레임(12)의 대향측과 중간가로대(또는 잠금가로대)(22)에 대응하여 내부면(33, 53)에 고정된다. 외피들(30 및 50)은 바람직하게는 중간밀도섬유판과 같은 나무합성재로 몰드된다. 외피들(30 및 50)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평판요소(70)가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외피들(30, 50)의 내부평면부들(38, 58)의 내부면(33)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된다. 평판요소(70)는 평판요소(70)에 인접한 비대칭프로파일(P)의 휘어짐을 방해하지 않고 외피들(30, 50)에 안정성을 제공한다. 제2평판요소(70)도 하부내부평면부(44) 및 대응하는 외피(50)의 하부내부평면부의 내부면(33)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될 수 있다. 비대칭프로파일들(P, P2)은 평판요소들을 가진 둘레프레임(12) 또는 내부평면부들(38, 58)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온도와 습도조건에 대응해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이들에 고정된 평판들(70)을 가진 내부평면부들(38, 58)은 비대칭요소들의 구부러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평판들(70)은 문이 설치된 구조의 온도 및 습도조건들에도 불구하고 문(10)에 부가적인 강도 및 안정성을 제공한다. 평판들(70)은 나무, 나무합성재, 발포체 및 문코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사한 재료들로 형성된다. 판(70)은 바람직하게는 문외피에 인접하여 단단히 고정된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둘레프레임(12)은 기설정된 폭 또는 두께를 가지고, 화살표(d1)에 의해 보여지는 볼록부(34) 및 볼록부(54) 사이의 거리는 화살표(d2)에 의해 보여지는 둘레프레임(12)의 폭보다 크다. 화살표(d3)에 의해 보여지는 오목부들(36 및 56) 사이의 거리는 둘레프레임(12)의 폭보다 작다. 화살표(d4)로 보여지는 (이들 사이에 배치된 판(70)을 가진) 내부평면부(38) 및 내부평면부(58) 사이의 거리는 볼록부들(34 및 54(d1))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고 오목부들(36 및 56(d3)) 사이의 거리보다 멀다. 또한, 외피들(30 및 50)에 고정된 평판(70)은 선틀(14)로부터 세로로 위치되고 따라서, 평면부들(32) 주위의 빈공간, 볼록부들(34) 및 오목부들(36)을 제공하는 것이 도 2에서 보여질 수 있다.
또한, 볼록부(34)에서 외피(30)의 캘리퍼는 외부평면영역(32) 또는 내부평면영역(38)에서의 외피(30)의 캘리퍼보다 작다. 볼록부(34)는 외부면(31)에 대해 외부평면영역(32)의 평면 위 외부로 확장된다. 오목부(36)는 외부면(31)에 대해 외부평면영역(32)의 평면으로부터 내부로 확장된다. 내부평면영역(38)은 외부평면영역(32)의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평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외부평면영역(32)으로부터 안쪽으로 들어가 있다. 오목부(36)는 또한 내부평면영역(38)의 평면으로부터 안쪽으로 확장될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오목부들(36, 56)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d3)를 만든다.
유사하게는, 볼록부(54)에서 외피(50)의 캘리퍼는 외부평면영역(52) 또는 내부평면영역(58)에서 외피(50)의 캘리퍼보다 작다. 볼록부(54)는 외부면(51)에 대해 외부평면영역(52)의 평면 위 외부로 확장된다. 오목부(56)는 외부면(51)에 대해 외부평면영역(52)의 평면으로부터 안쪽으로 확장된다. 내부평면영역(58)은 외부평면영역(52)의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평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외부평면영역(52)으로부터 안쪽으로 들어가 있다. 오목부(56)는 또한 오목부(36)와 같이 내부평면영역(58)의 평면으로부터 안쪽으로 확장되어 거리(d3)를 규정한다.
볼록 및 오목부들에 대한 하부비대칭프로파일(P2)의 구성 및 정렬은 오목 및 볼록부들 각각을 가진 상부비대칭프로파일(P)에 대해 상술한 것과 대체로 동일하고 따라서, 평판을 가진 내부평면부가 정렬된다. 하부비대칭프로파일(P2)의 구성은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둘레프레임(112) 및 복수의 상부비대칭요소들(134, 144) 및 내부평면요소들(140, 150), 복수의 중간비대칭요소들(154, 164) 및 내부평면요소들(180, 190), 및 복수의 하부비대칭요소들(174, 184) 및 내부평면요소들(180, 190)을 가진 문(110)을 제공한다. 둘레프레임(112)은 한 쌍의 수직선틀(114, 116) 및 한 쌍의 수평가로대들(118, 120)을 구비한다. 문(110)은 또한 선틀들(114, 116)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에 적절히 고정된 중간가로대(122)를 구비한다. 한 쌍의 외피들(130)은 문(10)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둘레프레임(112)의 대향측 및 중간가로대(122)에 적절히 고정된다. 하나의 외피(130)만이 도 3에서 보여지지만, 제2외피는 프레임(112)의 대향측에 고정되고, 외피(50)가 바람직하게는 문(10)의 외피(30)의 거울상인 것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제2외피도 외피(130)의 거울상이다. 외피들(130)의 각각은 중간밀도섬유판과 같은 몰드된 나무합성재로 제조된다.
외피들(130)의 각각은 둘레프레임(112)에 고정될 수 있는 둘레평면영역(132)을 구비한다. 외피(130)는 한 쌍의 상부비대칭프로파일들(134, 144), 한 쌍의 중간비대칭프로파일들(154, 164) 및 한 쌍의 하부비대칭프로파일들(174, 184)을 구비한다. 비대칭프로파일들(134, 144, 154, 164, 174, 184)은 크기와 모양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부비대칭프로파일들(134, 144) 각각은 중간 및 하부비대칭프로파일들(154, 164, 174, 184)보다 작다. 크기와 모양의 차이는 설명과 예시의 목적을 위해서 만이고 문(110)의 기능에는 중요하지 않다.
문(10)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문(110)의 각 비대칭프로파일은 폐루프오목부와 일체로 성형되고 이에 연결된 폐루프볼록부를 구비한다. 각 볼록부는 내부평면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134)은 폐루프오목부(138)에 연결된 폐루프볼록부(136) 및 둘러싸여진 내부평면부(140)를 구비한다. 프로파일(144)은 폐루프오목부(148)에 연결된 폐루프볼록부(146) 및 둘어싸여진 내부평면부(150)를 구비한다.
중간비대칭프로파일들(154, 164)은 각각 폐루프오목부들(158, 168)과 일체로 성형되고 이에 연결된 폐루프볼록부들(156, 166) 및 둘러싸여진내부평면부들(160, 170)을 구비한다. 하부비대칭프로파일들(174, 184)은 폐루프오목부들(178, 188)과 일체로 성형되고 이에 연결된, 내부평면부들(180, 190) 각각에 배치되거나 이를 둘러싸는 폐루프볼록부들(176, 186)을 구비한다.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폐루프비대칭프로파일들은 일반적으로 늘인 직사각형구성이다. 그러나, 문(110)의 프로파일구성들은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어떤 소망의 크기 및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대칭프로파일들은 둥근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불규칙형 또는 (도 1의 비대칭프로파일(P)과 같은) 이들 모양의 조합일 수 있다. 둘레프레임(112)을 뒤틀거나 구부리지 않고 문(110)이 적절히 휘어지게 하기 위해, 프로파일들은 폐루프만이 필요하다. 각 프로파일은 볼록부, 볼록부에 연결된 오목부 및 둘러싸여진 내부평면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대향되는 외피들(130)은 프레임(112)에 고정되어 (문(10)에 대한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외피들(130)이 단면에서 보여질 때 거울상을 가진다. 따라서, 외피들(130)은 문(10)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유사한 방법으로 프레임(112)에 고정된다. 또한, 문(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둘러싸여진 내부평면부들(140, 150, 160, 170, 180, 190)과 프레임(112)의 대향측에 고정되는 다른 외피(130)의 대응하는 내부평면부들 사이의 한 쌍의 외피들(130)사이에서 고정되는 평판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문(110)은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나뭇결패턴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수직선틀(문(10, 110)에서와 같이) 사이에서 완전히 연장된 중간가로대 또는 잠금가로대에 대비되도록 선틀(214)에 고정된 잠금블록(222)을 가지는 문(210)을 제공한다. 제2잠금블록(미도시)은 문(210)의 대향측에서 대향선틀에 고정될 수 있다. 대향선틀들 사이에서 완전히 연장되는 중간가로대가 생략되고 적어도 하나의 잠금블록(22)이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문(210)의 구성은 문들(10, 110)에 대해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2개의 잠금블록들을 가진 문(210)은 문(210)의 다른 측에 고정된 잠금세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문(210)은 블록(222)이 고정된 선틀(214)을 구비하는 완전한 둘레프레임(212)을 구비한다. 한 쌍의 외부외피들(230, 250)은 프레임(212)의 대향측들에 고정된다. 설명을 위해, 외피(230)는 "전면"외피이고 외피(250)는 "배면"외피이다. 외피들(230, 250)은 문(10, 11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로 거울상들이다. 외피(230)는 외부둘레평면영역 또는 부(232)를 구비하고, 외피(250)는 외부둘레평면영역 또는 부(252)를 구비한다. 외부둘레부들(232, 252)은 대향선틀(미도시)에서 잠금블록(222)이 잠금블록에 대향되는 것뿐만 아니라 프레임(212) 및 잠금블록(222)에 적절히 고정된다.
외피(230)를 위한 비대칭설계 또는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볼록부(234) 및 오목부(236)를 구비한다. 외피(250)를 위한 비대칭설계 또는 프로파일은 볼록부(254) 및 오목부(256)를 구비한다. 외피의 각 볼록부 및 오목부들은 도 2의 문(10)에서 설명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정렬된다.
볼록 및 오목부들은 외피들(230, 250)의 충분한 길이를 위해 쪼개짐 없이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외부둘레부들(232, 252) 각각으로부터 안쪽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볼록 및 오목요소들은 문들(10, 110)의 짧은 폐루프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폐루프들을 제공한다. 중간 또는 잠금가로대를 가로로 연장하지 않고, 문(210)은 외피들(230, 250)에 이와 같은 충분한 길이의 비대칭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각 외피(230, 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피들의 오목부들에 인접한 내부평면영역들 구비한다. 예를 들어, 외피(230)는 내부평면부(238)를 구비하고 외피(250)는 내부평면부(258)를 구비한다. 평판(270)은 내부평면부들(238, 258)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평판(2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문(210)에 안정성을 제공한다. 평판(270)은 오목부들(236, 256)에 인접한 문(210)의 비대칭프로파일 내에서 온도 및 습도조건에 따라 정렬된 비대칭부들의 휘어짐의 제약을 받지 않고 충분히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떤 관점이 특정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수정 또는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에서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의 구조나 구성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의 평범한 숙련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수정 또는 변경을 포함하고 이것은 다음의 청구항들 및 이의 균등물의 범위내에서 제공된다.

Claims (46)

  1. 둘레프레임;
    제1 및 제2의 몰드된 외피들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들의 각각은 상기프레임의 대향측에 고정된 외부 및 내부면을 가지고, 상기 외피들의 적어도 하나는 외부평면영역, 내부평면영역, 및 상기 내부평면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외부평면영역 및 상기 내부평면영역을 서로 연결하고 이들과 일체로 성형되는 비대칭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비대칭프로파일영역은 상기 외부평면영역의 평면에 대해 외부로 연장되는 볼록부를 가지는 속이 빈 코어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들의 각각은 몰드된 나무합성재이고 상기 비대칭프로파일은 상기 외부평면영역의 평면에 대해 내부로 연장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하는 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내부평면영역 및 상기 볼록부들로부터 연장되고 이들과 일체로 성형되는 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은 상기 외부평면영역 및 상기 오목부들로부터 연장되고 이들과 일체로 성형되는 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평면영역은 직사각형 영역을 규정하는 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외피는 상기 내부평면영역들을 적어도 2개 및 상기 대응하는 비대칭프로파일을 적어도 2개 포함하는 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평면영역들의 적어도 2개는 다른 구성들을 가지는 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피 및 상기 제2외피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서로 거울상이 되는 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외피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1외피의 상기 내부평면영역 및 상기 비대칭프로파일이 상기 제2외피의 상기 내부평면영역과 상기 비대칭프로파일과 정렬되는 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외피들의 상기 내부평면영역들의 내부면들 사이에 배치되는 평판요소를 더 포함하는 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들의 내부면의 상기 외부평면영역들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비대칭프로파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문 내의 속이 빈 공간을 규정하는 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선틀들 사이에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간가로대를 더 포함하는 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평면영역은 상기 외부평면영역의 평면에서 이격된 평면에 있는 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평면영역은 상기 외부평면영역의 평면에 대해 안쪽에 배치되는 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제1캘리퍼를 가지고, 상기 외부평면영역은 제2캘리퍼를 가지고, 상기 제1캘리퍼는 상기 제2캘리퍼보다 작은 문.
  17. 외부평면영역;
    내부평면영역; 및
    상기 내부평면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외부평면영역 및 상기 내부평면영역을 서로 연결하고 이들과 일체로 성형되는 비대칭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비대칭프로파일영역은 상기 외부평면영역의 면에 대해 외부로 연장되는 볼록부를 가지는 몰드된 나무합성재문외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제1캘리퍼를 가지고, 상기 외부평면영역은 제2캘리퍼를 가지고, 상기 제1캘리퍼는 상기 제2캘리퍼보다 작은 문외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평면영역은 상기 제1캘리퍼보다 큰 캘리퍼를 가지는 문외피.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프로파일영역은 상기 외부평면영역의 면에 대해 안쪽으로 연장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하는 문외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내부평면영역 및 상기 볼록부로부터 연장되고 이들과 일체로 성형되는 문외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외부평면영역 및 상기 오목부로부터 연장되고 이들과 일체로 성형되는 문외피.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평면영역들은 직사각형영역을 규정하는 문외피.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평면영역들을 적어도 2개 및 상기 대응하는 비대칭프로파일영역들을 적어도 2개 더 포함하는 문외피.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평면영역들의 적어도 2개는 다른 구성을 가지는 문외피.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평면영역은 상기 외부평면영역의 면으로부터 이격된 면에 있는 문외피.
  27. 대향 측을 가지는 문프레임;
    볼록부 및 오목부를 구비하는 제1비대칭프로파일을 가지는 상기 프레임의 한 측에 고정된 제1몰드된 나무합성재문외피;
    상기 프레임의 대향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문외피에서 이격되며 볼록부 및 오목부를 구비하는 제2비대칭프로파일을 가지는 제2몰드된 나무합성재문외피; 및
    상기 제1 및 제2문외피 사이에 배치된 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문외피의 상기 볼록부들은 제1거리를 규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문외피들의 상기 오목부들은 제2거리를 정의하며, 상기 제1거리는 상기 제2거리보다 큰 이중외피문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대칭프로파일은 제1내부평면영역을 규정하고 상기 제2비대칭프로파일은 제2내부평면영역을 규정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은 상기 제1 및 제2내부평면영역들 사이에 배치되는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비대칭프로파일들은 상기 제1 및 제2외피들 각각의 상기 오목부들에 연결되고 이들과 일체로 성형되는 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문외피들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서로 거울상들이 되는 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대칭프로파일은 상기 제2비대칭프로파일과 정렬되는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문외피는 제3비대칭프로파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문외피는 제4비대칭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비대칭프로파일들 각각은 볼록부 및 오목부들을 구비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비대칭프로파일은 제3내부평면영역을 규정하고, 상기 제4비대칭프로파일은 제4내부평면영역을 규정하는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내부평면영역들 사이에 배치된 제2평판을 더 포함하는 장치.
  36.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외피들은 외부평면영역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영역들은 상기 제1 및 제2비대칭프로파일들 각각을 둘러싸고 이들과 일체로 성형되는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외부평면영역들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대향측에 고정되는 장치.
  38.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면부들은 상기 제2평면부들이 이격되는 거리보다 먼 거리에서 이격되는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프로파일들 각각은 결합된 제1평면부에 대해 외부로 연장되는 정점을 구비하고, 상기 정점들은 상기 제1평면부들이 이격되는 거리보다 먼 거리에서 이격되는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프로파일들 각각은 볼록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내부들은 상기 제2평면부들이 이격되는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이격되는 장치.
  41. 제1전면 및 제2전면을 가지고 제1폭을 가지는 둘레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전면에 고정된 둘레평면부를 가지고, 상부볼록부, 상부내부평면부, 상기 상부볼록부 및 상기 상부내부평면부로부터 이격된 하부볼록부 및 하부내부평면부를 가지는 제1외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2전면에 고정되는 둘레평면부를 가지고, 상부볼록부, 상부내부평면부, 상기 상부볼록부 및 상기 상부내부평면부로부터 이격된 하부볼록부 및 하부내부평면부를 가진 제2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외피들의 상기 상부볼록부들 및 상기 제1 및 제2외피들의 상기 내부평면부들은 서로 정렬되는 문.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외피 각각의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내부평면부들에 고정되고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평판을 더 포함하는 문.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외피들은 복수의 상기 볼록부들 및 대응하는 내부평면부들을 구비하는 문.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평면부들 각각에 고정되고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판들을 더 포함하는 문.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외피들의 상기 볼록부들은 상기 둘레평면부들의 면으로부터 외부로 확장되는 문.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은 제1캘리퍼를 가지고, 상기 둘레평면부들은 제2캘리퍼를 가지고, 상기 제1캘리퍼는 상기 제2캘리퍼보다 작은 문.
KR1020057002857A 2002-08-20 2003-08-20 이중외피문장치 KR200500583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374402A 2002-08-20 2002-08-20
US10/223,744 2002-08-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385A true KR20050058385A (ko) 2005-06-16

Family

ID=3194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857A KR20050058385A (ko) 2002-08-20 2003-08-20 이중외피문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1540124B1 (ko)
JP (1) JP2005536669A (ko)
KR (1) KR20050058385A (ko)
CN (1) CN100526591C (ko)
AT (1) ATE518044T1 (ko)
AU (1) AU2003259966B2 (ko)
BR (1) BR0313649B1 (ko)
CA (1) CA2496276C (ko)
ES (1) ES2368832T3 (ko)
HK (1) HK1082282A1 (ko)
IL (1) IL166997A (ko)
MX (1) MXPA05001994A (ko)
NZ (1) NZ538332A (ko)
RU (1) RU2005107705A (ko)
WO (1) WO20040188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3353B2 (en) 2005-11-22 2010-11-02 Masonite Corporation Door, method of making door, and stack of doors
GB2473428A (en) * 2009-09-07 2011-03-16 Leaderflush & Shapland Ltd A door
CN105545178A (zh) * 2015-12-29 2016-05-04 常熟市利尔建材有限公司 复合材料仿真实木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263A (en) 1884-11-18 Jacques louis kesslee
US223744A (en) 1880-01-20 Alexander malm
FR2332142A1 (fr) * 1975-11-20 1977-06-17 Amiot Jean Claude Procede pour realiser l'ornementation de panneaux destines a constituer des portes
US5074087A (en) * 1990-10-10 1991-12-24 Pease Industries, Inc. Doors of composite construction
US5438808A (en) 1994-02-09 1995-08-08 Costello; James Wood-surfaced door
US5543234A (en) * 1994-06-20 1996-08-06 Masonite Corporation Molded wood composites having non-blistering profile with uniform paintability and nesting
JPH08151867A (ja) * 1994-11-29 1996-06-11 Nichiha Corp ドアの構造
CN2296394Y (zh) * 1996-02-26 1998-11-04 洪昭平 凹凸式门片之补强结构
US5782055A (en) 1996-11-22 1998-07-21 Crittenden; Jerry G. Door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door
JP3000019B1 (ja) * 1999-02-22 2000-01-17 ニチハ株式会社
EP1190825A3 (de) * 2000-07-29 2004-01-21 Ernst Nickel Dünnwandiges, dreidimensional geformtes Halbzeug oder Fertigteil
GB2371075B (en) * 2001-01-11 2003-03-19 Polymer Engineering Ltd Do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66997A (en) 2009-09-01
AU2003259966A1 (en) 2004-03-11
BR0313649A (pt) 2005-06-21
CA2496276A1 (en) 2004-03-04
CA2496276C (en) 2012-07-10
CN100526591C (zh) 2009-08-12
BR0313649B1 (pt) 2012-11-27
WO2004018819A1 (en) 2004-03-04
HK1082282A1 (en) 2006-06-02
MXPA05001994A (es) 2005-12-05
ATE518044T1 (de) 2011-08-15
EP1540124B1 (en) 2011-07-27
JP2005536669A (ja) 2005-12-02
CN1688784A (zh) 2005-10-26
RU2005107705A (ru) 2005-08-27
NZ538332A (en) 2007-11-30
AU2003259966B2 (en) 2009-10-08
ES2368832T3 (es) 2011-11-22
EP1540124A1 (en) 200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42515A1 (en) Door, method of making door, and stack of doors
US20030019178A1 (en) Opposite inserted structure for injecting frame of door leaf with glass
US7644551B2 (en) Double skin door apparatus
US5095675A (en) Recessed, raised building panel
KR20050058385A (ko) 이중외피문장치
DK165302B (da) Midterdrager til vinduesramme
KR100406678B1 (ko) 창틀용 샤시의 코너 피스
US7845743B2 (en) Applied molding for texturizing exterior surfaces of furniture
US20150308185A1 (en) Composite Wooden Door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KR200347595Y1 (ko) 침대용 매트리스 받침틀
JPH0245430Y2 (ko)
JPS6246784Y2 (ko)
KR200240304Y1 (ko) 플라스틱 골판지
JPH0243989Y2 (ko)
JPH0813940A (ja) 框の製法
KR200201637Y1 (ko) 창틀용 샤시의 코너 피스
KR0139207Y1 (ko) 합성수지 문짝
EP0938858A2 (en) Shadow box components
ITMI961895A1 (it) Pannello decorativo e/o protettivo per mobili per arredamento e simili
ITMI951157A1 (it) Porta smontabile costituita dall'assemblaggio di elementi modulari di varie e prestabilite dimensioni per consentire l'adattamento
ITMI20000873A1 (it) Complesso di profilati per assemblaggio di elementi per arredamento, particolarmente ma non esclusivamente elementi scatolari
JPS59161583A (ja)
JP2002041027A (ja) グランドピアノの譜面台組立品
ITMI20020195U1 (it) Telaio di costruzione perfezionata per un elemento di 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