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8239A - W-cdma 시스템에서의 압축 모드용 전송 포맷 결합 선택 - Google Patents

W-cdma 시스템에서의 압축 모드용 전송 포맷 결합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8239A
KR20050058239A KR1020047007337A KR20047007337A KR20050058239A KR 20050058239 A KR20050058239 A KR 20050058239A KR 1020047007337 A KR1020047007337 A KR 1020047007337A KR 20047007337 A KR20047007337 A KR 20047007337A KR 20050058239 A KR20050058239 A KR 20050058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fc
state
transmit power
combination
d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150B1 (ko
Inventor
바야노스알키누스헥터
빌레네거제르게
블란쯔요세프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5394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5823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58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6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distributing total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정상 모드 및 압축 모드용의 모든 구성된 TFC 중에서 유효한 (즉, 지원된) TFC를 결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기술은 "TFC 자격"이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충분한 기록 정보를 보유한다. 제 1 방식에서, Tx_전력_요구 상태가 각 TFC에 대한 상이한 결합에 대해 유지된다. 하나의 결합이 각 TFC 간격에서 각 TFC에 대해 응용 가능하고, 유효한 TFC가 적절한 상태(들) 에서 적용 가능한 결합으로부터 결정된다. 제 2 방식에서, 2개의 Tx_전력_요구 상태가 정상 및 압축 모드에 대한 각 TFC에 대해 유지된다. 제 3 방식에서, 단일 Tx_전력_요구 상태가 특정한 상대적 전력 요구에 기초하여 두 모드에 대한 각 TFC에 대해 유지된다. 제 4 방식에서, Tx_전력_요구 상태가 모든 TFC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의 전체 범위를 커버하는 상대적 "빈"의 세트에 대해 유지된다. 제 5 방식에서,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의 세트가 유지된다.

Description

W-CDMA 시스템에서의 압축 모드용 전송 포맷 결합 선택{TRANSPORT FORMAT COMBINATION SELECTION FOR COMPRESSED MODE IN A W-CDMA SYSTEM}
배경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무선 (예를 들어, W-CDMA) 통신 시스템의 정상 및 압축 모드에서 사용하기 위해 지원되는 전송 포맷 결합 (TFC) 을 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음성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이 널리 개발되었다. 이들 시스템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또는 다른 다중 액세스 기술에 기초할 수도 있다. CDMA 시스템은 다른 형태의 시스템 이상의, 증가된 시스템 용량을 포함하는 특정한 이점을 제공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CDMA 시스템은, 모든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고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IS-95, cdma2000, 및 W-CDMA 표준과 같은 하나 이상의 표준을 따르도록 설계된다.
W-CDMA 표준은 하나 이상의 전송 채널을 통한 데이터 송신을 지원하고, 각 전송 채널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전송 포맷 (TF) 과 관련될 수도 있다. 각 전송 포맷은 전송 포맷이 이용하는 송신 시간 간격 (TTI), 데이터의 각 전송 블록의 크기, 각 TTI내의 전송 블록의 수, 소정의 TTI에서의 전송 블록을 위해 사용될 코딩 방식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싱 파라미터를 정의한다. 소정의 전송 채널용으로 다중 전송 포맷을 사용하는 것은 데이터의 상이한 형태 또는 레이트가 동일한 전송 채널을 통해 송신되게 한다. 임의의 소정의 순간에, 각 전송 채널용의 하나의 전송 포맷을 포함하는 특정한 전송 포맷 결합 (TFC) 이 다수의 가능한 전송 포맷 결합 중에서 선택되고 모든 전송 채널에 대해 사용된다.
또한, W-CDMA 표준은 업링크상의 동작의 "압축 모드"를 지원하여서, 데이터가 단축된 시간 지속기간 (즉, 시간에서 압축됨) 내에서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압축 모드는 단말기가 시스템과 능동 통신 (즉, 트래픽 채널을 통해) 하게 하도록 W-CDMA에서 사용되어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손실하지 않고 상이한 주파수 및/또는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 (RAT) 을 통해 측정을 수행하도록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방치한다. 업링크용 압축 모드에서, 데이터는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 (송신 갭 (gap) 으로서 칭함) 이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일부분 (10 msec) 동안만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다.
W-CDMA 표준에 따르면, 압축 프레임에 대한 송신 시간의 감소는, (1) 프레임에서 송신될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키고, (2) 코딩 레이트를 증가시키고, 또는 (3)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압축 프레임에서 송신할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은, 데이터 감소가 서비스의 품질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음성과 같은 어떠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실용적이지 못하다. 코딩 레이트 또는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것은 압축 프레임에 대한 에너지 당 비트 대 전체 잡음 + 간섭비 (Eb/Nt) 가 비-압축 프레임에 대한 것과 유사하도록 압축 프레임에 대한 송신 전력이 증가되는 경우에 가능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전송 채널이 동시에 지원될 수도 있고, 전송 포맷의 세트가 각 전송 채널에 대해 정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각 전송 포맷 결합이 타겟 블록 에러 레이트 (BLER) 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특정한 상대적 송신 전력 레벨과 관련되면서, "구성된" 전송 포맷 결합의 세트가 전송 채널에 대해 정의될 수도 있다. 각 전송 포맷 결합에 대한 필요한 송신 전력은 (1) 단말기가 압축 모드에 있는지 여부 및 (2) 파라미터 값이 압축 모드에서 압축 송신을 정의하는지에 의존한다. 높은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채널 상태에서 단말기의 최대 송신 전력에 의해 지원되는 (즉, 타겟 블록 에러 레이트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과 송신될 수 있는) 구성된 전송 포맷 결합만이 사용하기 위해 선택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식별되어야 한다. 그 후, 하나의 특정한 전송 포맷 결합만이 다음의 프레임 (가장 짧은 TTI) 경계에서 실제 사용하기 위해 지원되는 전송 포맷 결합의 세트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W-CDMA 시스템에서의 정상 및 압축 모드에서 사용하기 위해 지원되는 전송 포맷 결합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요약
본 발명의 양태는 정상 및 압축 모드용의 모든 구성된 TFC 중에서 유효한 (즉, 지원된) TFC를 결정하는 다양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기술은 "TFC 자격"이 TTI가 압축 송신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기록 정보 (다양한 형태) 를 보유한다. 다수의 TFC 자격 방식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이들 방식은 W-CDMA에 정의된 알고리즘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어서, TFC가 신뢰할 수 있게 송신될 수 있는지 여부의 결정은 Y 이전의 측정 주기 동안의 TFC의 요구 송신 전력 및 단말기에서의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 (후술함) 에 따른다. 소정의 TFC가 신뢰할 수 있게 송신될 수 있는지 여부는 상기 TFC에 대한 Tx_전력_요구 상태를 포함한다.
제 1 방식에서, Tx_전력_요구 상태는 각 TFC에 대한 압축 및 비-압축 프레임의 각 결합에 대해 유지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결합"은 소정의 TFC 및 소정의 TFC 간격 동안 압축 및/또는 비-압축 프레임의 특정한 결합을 칭한다. TFC 간격은 데이터가 이러한 TFC와 송신되는 임의의 전송 채널의 가장 긴 TTI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송 포맷 결합" 또는 "TFC"는 구성된 전송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전송 포맷의 특정한 결합을 칭한다. 각 TFC 선택 간격 동안, 각 TFC에 대한 업커밍 (upcoming) 간격에 적용 가능한 특정한 결합이 식별된다. 그 후, 적절한 TFC 상태가 이러한 결합에 기초하여 각 TFC에 대해 식별된다. (각 TFC 간격 동안 하나의 적용 가능한 결합만이 있고, 이러한 결합에 대응하는 모든 TFC에 대한 상태가 결정된다.) 유효한 TFC의 세트가 적절한 상태(들) (예를 들어, W-CDMA에서 정의된 지원된 상태 및 초과-전력 상태)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최종 결정된다.
제 2 방식에서, 2개의 Tx_전력_요구 상태가 정상 및 압축 모드, 즉, (송신 갭을 갖지 않는) 하나의 정상 모드용 상태 및 최대 송신 전력 (예를 들어, 최악의 경우, 또는 구성된 송신 갭 패턴 시퀀스에 기초한 최악의 경우) 을 요구하는 결합에 대한 다른 상태에 대한 각 TFC에 대해 유지된다. 각 TFC 선택 간격 동안, 적용 가능한 결합이 각 TFC에 대해 식별되고, 그 후, 유효한 TFC가 적절한 상태(들)에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 3 TFC 자격 방식에서, 단일 Tx_전력_요구 상태가 정상 및 압축 모드 모두에 대한 각 TFC에 대해 유지된다. 이러한 단일 Tx_전력_요구 상태는 정상 모드에 대한 상대적 전력 요구 () ×오프셋 () (즉, ) 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는 압축 모드 상대적 전력 요구 () 에 대한 각 TFC에 대해 유지될 수도 있다.
제 4 방식에서, 다수의 Tx_전력_요구 상태가 정상 및 압축 모드에 대한 모든 TFC에 대해 상대적 요구 송신 전력의 전체 범위를 커버하는 "빈 (bins)" 의 세트에 대해 유지된다.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은 특정한 상대적 요구 송신 전력과 관련되어서, 특정한 빈과 관련될 수도 있고 상기 빈에 대해 유지된 Tx_전력_요구 상태를 이용한다.
제 5 방식에서,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의 세트가 Y 측정 주기 동안 결정 및 유지된다. 각 측정 주기 동안의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 () 은 기준 송신에 대한 요구 송신 전력 () 에 대한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 () 의 비율 (즉, ) 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그 후, 각 TFC의 상태가 업커밍 간격,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의 세트, 및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에 대해 유지된 (예를 들어, 2-비트) 상태 및 타이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이하, 이들 다양한 방식과 그 변형 및 본 발명의 다양한 다른 양태 및 실시형태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방법, 프로그램 코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수신기 유닛, 단말기, 기지국, 시스템, 및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 실시형태, 및 특징을 구현하는 다른 장치 및 엘리먼트를 더 제공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특징, 목적, 및 이점을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며, 도면중 유사한 참조 문자는 도면 전반에 대응한다.
도 1은 기지국 및 단말기 실시형태의 단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W-CDMA 표준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송신용 단말기에서의 신호 프로세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상이한 전송 채널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다수의 상이한 전송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W-CDMA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각 구성된 TFC에 대한 가능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5는 W-CDMA 표준에 따른 압축 모드 송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압축 모드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각 TFC에 대한 다중 결합에 대해 유지된 Tx_전력_요구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하기 위해 지원되는 TFC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실시형태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빈의 세트에 대해 유지된 Tx_전력_요구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하기 위해 지원되는 TFC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실시형태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의 세트에 기초하여 사용하기 위해 지원되는 TFC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실시형태의 흐름도이다.
상세한 설명
본 명세서에 설명하는 지원되는 전송 포맷 결합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은 다양한 CDMA 시스템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기술은 다운링크, 업링크, 또는 둘 모두에 이용될 수도 있다. 명확하게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형태를 W-CDMA 시스템의 업링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 및 실시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기지국 (104) 및 단말기 (106) 의 실시형태의 단순한 블록도이다. 기지국은 UMTS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UTRAN) 의 일부이고, 단말기는 W-CDMA에서 사용자 장치 (UE) 라 칭한다. 또한, 다른 전문용어가 다른 표준 및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단말기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업링크상에서, 단말기 (106) 에서, 송신 (TX) 데이터 프로세서 (114) 는 데이터 소스 (112) 로부터 사용자-특정 데이터, 제어기 (130) 로부터 메시지와 같은 상이한 형태의 트래픽을 수신한다. 그 후, 데이터 프로세서 (114) 는 하나 이상의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데이터 및 메시지를 포맷 및 코딩하여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각 코딩 방식은 순환 리던던시 검사 (CRC) 코딩, 콘볼루셔널 코딩, 터보 코딩, 블록 코딩, 및 다른 코딩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코딩을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상이한 형태의 트래픽은 상이한 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코딩된다.
그 후,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기 (MOD : 116) 에 제공되어, 더 프로세스되어 변조된 데이터를 생성한다. W-CDMA에 있어서, 변조기 (116) 에 의한 프로세싱은 (1) 하나 이상의 물리 채널상에서 사용자-특정 데이터 및 메시지를 채널화하기 위해 직교 가변 확산 인자 (OVSF) 코드로 코딩된 데이터를 "확산"하는 단계 및 (2) 스크램블링 코드로 채널화된 데이터를 "스크램블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VSF 코드와의 확산은 IS-95 및 cdma2000에서의 왈쉬 코드와의 커버링과 동일하고, 스크램블링 코드와의 스크램블링은 IS-95 및 cdma2000에서 짧은 의산-랜덤 잡음 (PN) 시퀀스와의 확산과 동일하다. 그 후, 변조된 데이터가 송신기 (TMTR : 118) 에 제공되어 조절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증폭, 필터, 및 1/4 변조된다) 되어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의 무선 통신 채널상에서 안테나 (120) 를 통한 송신에 적합한 업링크 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기지국 (104) 에서, 업링크 변조 신호는 안테나 (150) 에 의해 수신되어 수신기 (RCVR :152) 에 제공된다. 수신기 (152) 는 수신된 신호를 조절 (예를 들어, 필터, 증폭, 및 다운변환한다) 하고 조절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데이터 샘플을 제공한다. 그 후, 복조기 (DEMOD : 154) 는 데이터 샘플을 수신 및 프로세스하여 복구된 심볼을 제공한다. W-CDMA에 있어서, 복조기 (154) 에 의한 프로세싱은 (1) 단말기에 의해 사용된 동일한 스크램블링 코드로 데이터 샘플을 디스크램블링하는 단계, (2) 디스크램블링된 샘플을 역확산하여 적절한 물리 채널상에서 수신된 데이터 및 메시지를 채널화하는 단계, 및 (3) 수신된 신호로부터 복구된 파일럿으로 채널화된 데이터를 코히어런트하게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수신 (RX) 데이터 프로세서 (156) 는 심볼을 수신 및 디코딩하여 업링크를 통해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사용자-특정 데이터 및 메시지를 복구한다.
제어기 (130 및 160) 는 단말기 및 기지국 각각에서의 프로세싱을 제어한다. 또한, 각 제어기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사용을 위해 전송 포맷 결합을 선택하기 위해 프로세스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현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제어기 (130 및 160) 에 의해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가 메모리 (132 및 162) 각각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2는 W-CDMA 표준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단말기에서의 신호 프로세싱의 도면이다. W-CDMA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를 반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송 채널상에서 데이터 송신을 지원한다. 이들 서비스는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될 데이터는 초기에 더 높은 시그널링 층에서 하나 이상의 전송 채널로서 프로세스된다. 그 후, 전송 채널은 단말기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물리 채널에 매핑된다. W-CDMA에서, 통상적으로, 업링크 전용 물리 채널 (업링크 DPCH) 이 통신의 지속기간 동안 단말기에 할당된다. 업링크 DPCH는 전송 채널 데이터를 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 (DPDCH) 및 제어 데이터 (예를 들어, 파일럿, 전력 제어 정보 등) 를 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전용 물리 제어 채널 (DPCCH) 을 포함한다.
각 전송 채널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전송 채널에 대한 선택된 전송 포맷 (TF) (단일 TF는 임의의 소정의 시간에 선택된다) 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된다. 각 전송 포맷은 전송 포맷이 이용하는 송신 시간 간격 (TTI), 데이터의 각 전송 블록의 크기, 각 TTI 내의 전송 블록의 수, TTI에 대해 사용될 코딩 스킴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싱 파라미터를 정의한다. TTI는 10 mse, 20 msec, 40 msec, 또는 80 msec로 특정될 수도 있다. 각 TTI는 TTI에 대한 전송 포맷에 의해 특정될 때, NB 동일-크기 전송 블록을 갖는 전송 블록 세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각 전송 채널에 대해, 전송 포맷은 TTI로부터 TTI로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전송 채널에 대하 사용될 수도 있는 전송 포맷의 세트는 전송 포맷 세트 (TFS) 라 칭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전송 채널에 대한 데이터가 각 TTI에 대해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에서, 각각의 전송 채널 프로세싱 섹션 (210) 에 제공된다. 각 프로세싱 섹션 (210) 내에서, 블록 212에서, 각 전송 블록에서의 데이터가 CRC 비트의 세트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된다. CRC 비트는 전송 블록에 부착되고 블록 에러 검출을 위해 기지국에 의해 후에 사용될 수도 있다. 그 후, 블록 214에서, 각 TTI에 대한 하나 이상의 CRC-코딩된 블록이 함께 순차적으로 연접된다. 연접 이후에 비트의 전체 수가 코드 블록의 최대 크기 보다 더 큰 경우에, 비트는 다수의 (동일-크기) 코드 블록으로 분할된다. 최대 코드 블록 크기는 TTI에 대한 전송 채널의 전송 포맷에서 특정된 현재 TTI에 대해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 특정한 코딩 방식 (예를 들어, 콘볼루션널, 터보 또는 코딩 없음) 에 의해 결정된다. 그 후, 블록 216에서, 각 코드 블록이 선택된 코딩 방식 또는 코딩 없음으로 코딩되어 코딩된 비트를 생성한다.
그 후, 단계 218에서, 무선 프레임 등화가 코딩 및 패딩된 비트가 동일한 크기의 데이터 세그먼트의 정수로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코딩된 비트를 패딩함으로써 수행된다. 그 후, 블록 220에서, 각 TTI에 대한 비트가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한 인터리빙 방식에 따라 인터리빙된다. W-CDMA 표준에 따르면, 인터리빙은 10 msec, 20 msec, 40 msec, 또는 80 msec일 수 있는 전송 포맷에 의해 특정된 TTI를 통해 수행된다. 블록 222에서, 선택된 TTI가 10 msec 보다 더 긴 경우에, TTI 내의 인터리빙된 비트가 분할되고 연속 전송 채널 프레임상에 매핑된다. 각 전송 채널 프레임은 (10 msec) 물리 채널 무선 프레임 주기 (또는 단순히, "프레임") 를 통해 송신될 TTI의 일부에 대응한다.
그 후, 블록 224에서, 무선 매칭이 각 프레임에 대한 모든 전송 채널에 대한 전송 채널 프레임에 대해 수행된다. 레이트 매칭이 더 높은 시그널링 층에 의해 할당되고 전송 포맷에서 특정된 레이트-매칭 속성에 따라 수행된다. 업링크를 통해, 송신될 비트의 수가 사용 가능한 비트 위치의 수에 매칭하도록 반복 또는 펑처링 (즉, 삭제) 된다.
그 후, 블록 232에서, 모든 활성 전송 채널 프로세싱 섹션 (210) 으로부터의 레이트-매칭된 전송 채널 프레임이 코딩된 복합 전송 채널 (CCTrCH) 로 순차적으로 멀티플렉싱된다. 블록 234에서, 하나 이상의 물리 채널이 사용되는 경우에, 비트는 물리 채널 사이에서 분할된다. 그 후, 블록 236에서, 각 물리 채널에 대한 각 프레임에서의 비트가 추가의 시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더 인터리빙된다. 그 후, 블록 238에서, 인터리빙된 비트는 할당된 물리 채널에 매핑된다. 도 2에 도시한 신호 프로세싱은 도 1의 TX 데이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은 상이한 전송 채널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다수의 상이한 전송 포맷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전송 채널은 3GPP 협회로부터 입수 가능하고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3GPP 문서 제 25.306-320 (섹션 5.1) 에 설명한 바와 같이, 동시에 지원될 수도 있다. 어스 (earth) 전송 채널이 전송 채널을 위해 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전송 포맷을 포함하는 각각의 전송 포맷과 관련될 수도 있다. 각 전송 채널에 대한 전송 포맷 세트는 더 높은 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된다. W-CDMA용 전송 포맷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3GPP 문서 제 25.302-390 (섹센 7) 에 정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전송 채널 (1 내지 4) 는 10, 20, 40, 및 80 msec와 각각 관련된다. 각 전송 채널의 각 TTI에 대해, 특정한 수의 전송 블록이 송신될 수도 있고 각 블록은 TTI에 대한 전송 채널의 전송 포맷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특정한 수의 비트를 포함한다. 전송 포맷은 각 전송 채널에 대해 TTI로부터 TTI로 변화할 수도 있고, 각 TTI에 대해 사용된 특정 전송 포맷은 전송 채널과 관련된 전송 포맷의 세트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한 전송 포맷 결합 (TFC) 이 모든 활성 전송 채널의 가장 짧은 TTI에 대응하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해 10 msec인) 각 TFC 선택 간격에 응용 가능하다. 각 TFC는 활성 전송 채널 각각에 대한 하나의 특정한 전송 포맷의 특정한 결합이다. TFC는 간격으로부터 간격으로 변화할 수 있고, 각 간격 동안 사용될 특정한 TFC는 "구성된" TFC의 세트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송 포맷 결합 세트는 활성 전송 채널에 대한 사용을 위해 선택될 수도 있는 모든 가능한 TFC를 포함한다.
각 TFC 선택 간격 동안, 특정 TFC가 구성된 TFC의 세트로부터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다. TFC 선택은 2개-부분 프로세스에서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서 TFC 자격 또는 TFC 제거라 칭하는 제 1 부분에서, 단말기는 시스템에 의해 단말기에 부과된 단말기의 최대 송신 전력 또는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일 수도 있는 단말기의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 () 이 제공되는 경우에 구성된 TFC 중 어느 것이 신뢰할 수 있게 송신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이들 TFC를 "유효한" 또는 "지원된" TFC라 칭한다. 제 2 부분에서, 유효한 TFC 중의 하나가 기준 세트에 기초하여 실제 사용을 위해 선택된다. 이하, 이들 2개 부분 각각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W-CDMA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각 구성된 TFC에 대한 가능한 상태의 상태도이다. 상태도는 3개의 상태 - 지원된 상태 (410), 초과-전력 상태 (420), 및 블록된 상태 (430) 를 포함한다. 각 TFC는 어떤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의존하여 이들 3개 상태중의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특정한 레벨의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송신 전력이 전력 제어 메커니즘에 의해 제어되어서, 기지국에서의 수신된 신호 품질이 특정한 타겟 에너지 당 비트 대 잡음 + 간섭비 (Eb/Nt) 에서 유지된다. (셋포인트 (setpoint) 라 칭하는) 이러한 타겟 Eb/Nt는 통상적으로 특정한 (예를 들어, 1%) 블록 에러 레이트 (BLER) 또는 프레임 에러 레이트 (FER) 에 의해 정량화될 수도 있는 소망하는 레벨의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조절된다. 통상적으로, 송신된 데이터의 전체 수가 TFC로부터 TFC까지 상이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상이한 양의 송신 전력이 셋포인트를 달성하기 위해 상이한 TFC에 대해 요구된다.
각 TFC는 신뢰할 수 있게 송신되도록 (즉, 셋포인트를 달성하도록) 특정한 양의 전력을 요구한다. 각 TFC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은 DPCCH상의 송신 또는 기준 TFC에 대한 송신일 수도 있는 기준 송신을 신뢰할 수 있게 송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 () 에 대하여 정상화될 수도 있다. 전력 레벨 () 은 소망하는 레벨의 성능 (예를 들어, 1% BLER) 을 달성하기 위해 전력 제어 메커니즘에 의해 지속적으로 조절된다. 그 후, 각 TFC는 TFC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각각의 상대적 전력 요구 () 와 관련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서, 상대적 전력 요구 () 는 기준 송신에 대한 송신 전력에 대한 TFC의 요구되는 송신 전력의 비율로서 정의된다. 이러한 경우에, 소정의 TFC는, 아래의 조건,
[수학식 1]
을 충족하는 경우에 신뢰할 수 있게 송신될 수도 있고, 여기서, 는 i-번째 TFC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을 나타낸다. 각 TFC에 대한 상대적 전력 요구 () 는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3GPP 문서 제 25.214-360 (섹션 5.1.2.5.3) 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TFC에 대한 비트 레이트 및 기준 송신에 대한 비트 레이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W-CDMA 표준에 따르면, TFC는 최종 Y 측정 주기 중에서 X 이상에 대해 인 경우에 발생하는, 제거 기준을 수행할 때 지원된 상태 (410) 로부터 초과-전력 상태 (420) 로 변화하고, 여기서, X 및 Y 및 측정 주기는 W-CDMA 표준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그 후, TFC는 TFC가 W-CDMA 표준에 의해 정의되는 특정한 시간 주기 (Tblock) 보다 더 긴 동안 초과-전력 상태에 있었던 경우에 발생하는 블록킹 기준을 수행할 때 초과-전력 상태 (420) 로부터 블록된 상태 (430) 로 변화한다. TFC는 최종 Y 측정 주기 동안 인 경우에 발생하는, 복구 기준을 수행할 때 초과-전력 상태 또는 블록된 상태로부터 지원된 상태로 변화한다. 상태들 사이에서 변화하는 기준 및 상태도는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하되는 3GPP 문서 제 25.321-390 (섹션 11.4) 및 제 25.133-370 (섹션 6.4) 각각에 설명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상태도는 각 구성된 TFC에 대해 유지된다. 각 TFC 선택 간격 동안, 지원된 상태의 모든 TFC는 유효한 TFC로서 식별되고, 블록된 상태의 TFC는 업커밍 간격 동안 사용으로부터 제거된다. 특정한 구현에 따라, 초과-전력 상태의 TFC는 유효한 TFC로서 식별될 수도 있거나 제거될 수도 있다. 또한, TFC는 활성 전송 채널의 가장 긴 TTI의 경계에서 블록되고, 전력 제약에 기초하여 결정된 유효한 TFC의 세트는 가장 긴 TTI의 중간에 변화하지 않는다.
TFC 자격을 수행하는 일 구현에서, 비트의 세트가 각 TFC에 대해 유지되고, 각 비트는 최종 Y 측정 주기중의 각각의 하나 동안 TFC에 대해 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기를 저장한다. 각 측정 주기 동안, 수학식 (1) 이 각 TFC에 대해 평가되고 새로운 표시기가 평가의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TFC에 대해 유지된 비트중의 하나에 저장된다. 그 후, 제거, 블록킹, 및 복구 기준이 최종 Y 측정 주기 동안 결정된 Y 표시기에 기초하여 각 TFC에 대해 평가되고, TFC의 상태가 그에 따라 업데이트된다. TFC의 현재 상태 및 TFC에 대한 Y 표시기의 세트를 집합적으로 TFC Tx_전력_요구 상태라 칭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Y+2 비트 (표시기에 대한 Y 비트 및 TFC 상태에 대한 2 비트) 의 NT 세트는 NT개의 상이한 TFC의 상태를 유지하는데 충분하다. 또한, 어떠한 추가의 비트가 초과-전력 상태에서 타이머를 유지하기 위해 각 Tx_전력_요구 상태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block이 120 msec 정도인 경우에 4개의 추가 비트가 충분하다.
3개의 기준 각각에 대한 결과는 어떠한 전송 포맷이 TFC에 포함되었는지에 관계없이, 소정의 상대적 전력 요구 () 에 대해 동일하다. 구성된 TFC의 수는 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FC 세트는 1024개 TFC를 포함하도록 정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정량화 이후) 유일한 상대적 전력 요구의 수는 구성된 TFC의 수 보다 상당히 작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Y 표시기의 NA 세트 및 NA 2-비트 상태가 NT 상이한 TFC에 대해 Y 표시기의 NT 세트 및 NT 2-비트를 유지하는 대신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NA 유일한 상대적 전력 요구에 대해 유지될 수도 있다. 그 후, 각 TFC는 특정한 상대적 전력 요구 () 와 관련될 수도 있다. 그 후, 각 TFC 선택 간격 동안, 지원된 상태 (및 초과-전력 상태) 에 있는 상대적 전력 요구와 관련된 모든 구성된 TFC는 유효한 TFC로서 식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W-CDAM 표준은 업링크상에서 압축 모드를 지원하여서, 사용자-특정 데이터가 단축 시간 내에서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다.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방식의 일부분으로서, 시스템은 단말기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 (RATs) 및/또는 다른 주파수를 통해 기지국을 모니터하도록 단말기에 명령할 수 있다. 단말기가 단말기의 능력에 기초하여 필요한 경우에 요구되는 측정을 수행하게 하도록, 시스템은 단말기에 압축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도 5는 W-CDMA 표준에 따른 압축 모드 송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압축 모드에서, 단말기로부터의 사용자-특정 데이터가 송신 갭 패턴 1 및 2 (512a 및 512b) 변경을 구성하는 송신 갭 패턴 시퀀스 (510) 에 따라 송신된다. 각 송신 갭 패턴 (512) 은 제로 또는 더 많은 비-압축 프레임에 의해 추종되는 하나 이상의 압축 프레임의 시리즈를 포함한다. 각 압축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압축 송신 및 송신 갭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각 송신 갭은 단일 (10 msec) 프레임 내에 완벽하게 상주할 수도 있거나 2개의 프레임을 스팬 (span) 할 수도 있다. 각 압축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가 압축 송신(들)에서 송신되고, 각 비-압축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가 전체 프레임을 통해 송신된다. 각 프레임은 0 내지 14로 번호가 매겨진 15개 동일한 슬롯으로 더 분할되고, 각 슬록은 0.667 msec의 지속기간을 갖는다.
각 송신 갭 패턴에 대한 압축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송신 갭 (514) 에 의해 인터럽트된 압축 데이터 송신을 포함한다. 송신 갭 패턴 시퀀스 (510) 에 대한 파라미터는 아래와 같다.
ㆍ TGSN (송신 갭 시작 슬롯 번호) - 송신 갭 패턴 (슬롯 1 - 14) 의 제 1 무선 프레임 내의 제 1 송신 갭 슬롯의 슬롯 번호.
ㆍ TGL1 (송신 갭 길이 1) - 송신 갭 패턴 (1 - 14 슬롯) 내의 제 1 송신 갭의 지속기간. 송신 갭에 대한 슬롯은 최대 7개 송신 갭 슬롯이 단일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TGL1 > 8 인 경우에 2개 프레임을 통해 분배되어야 한다.
ㆍ TGL2 (송신 갭 길이 2) - 송신 갭 패턴 (1 - 14 슬롯) 내의 제 2 송신 갭의 지속기간. TGL1과 동일한 제한을 적용한다.
ㆍ TGD (송신 갭 거리) - 송신 갭 패턴 (15 - 269 슬롯, 또는 1 - 거의 18개 프레임) 내의 2개의 연속 송신 갭의 시작 슬롯 사이의 지속기간.
ㆍ TGPL1 (송신 갭 패턴 길이 1) - 송신 갭 패턴 1 (1 - 144 프레임) 의 지속기간.
ㆍ TGPL2 (송신 갭 패턴 길이 2) - 송신 갭 패턴 2 (1 - 144 프레임) 의 지속기간.
압축 모드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문서 제 3GPP TS 25.212-370 (섹션 4.4), 25.213-360 (섹션 5.2.1 및 5.2.2) 및 25.215-380 (섹션 6.1) 에 더 설명되어 있다.
도 6은 W-CDMA 표준에 의해 지원되는 압축 모드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예에서, 비-압축 프레임 (k, k+2, 및 k+3) 은 이들 비-압축 프레임에 대해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 TFC(들) 에 요구되는, 특정한 송신 전력 () 에서 송신된다. 압축 프레임 (k+1) 에 대한 데이터는 송신 갭으로 인해 단축된 시간 내에서 송신된다. 압축 프레임에 대해 요구되는 Eb/Nt를 달성하기 위해, 압축 프레임에 대한 송신 전력은 압축 송신을 위한 데이터 레이트에서의 증가와 관련된 양만큼 증가된다.
압축 모드는, 송신 갭의 존재가 소정의 TFC를 신뢰할 수 있게 송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의 양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TFC 선택 프로세스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TTI가 압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경우에, 각 구성된 TFC에 대한 상대적 전력 요구 () 는 상기 TTI에 포함된 특정한 송신 갭(들)에 따라 특정한 양만큼 증가한다. 따라서, Y 표시기가 Y 이전의 측정 주기 동안의 비-압축 프레임에 대해 유도되는 경우에, 이들 표시기는 압축 프레임에 대해 유효하지 않다.
압축 모드에서, 압축 및/또는 비-압축의 다수의 "결합"이 각 TFC에 대해 가능할 수도 있다. 각각의 이러한 결합은 소정의 TFC 간격 동안 TFC에 대한 하나 이상의 활성 전송 채널을 통해 송신되도록 압축 및/또는 비-압축 프레임의 특정한 결합에 대응한다. TFC 간격은 데이터가 상기 TFC와 송신되는 임의의 전송 채널의 가장 긴 TTI이다. 각 결합은 특정한 상대적 요구되는 송신 전력 레벨과 관련된다. 2개의 결합이 상이한 상대적 송신 전력 요구와 관련되는 경우에, 소정의 TFC에 대해 상이한 것으로 간주된다. 통상적으로, 이것은, 데이터가 TFC와 송신되는 전송 채널 중의 하나의 임의의 TTI 길이에 대해, 상기 TTI를 통한 송신 갭의 합이 2개의 "결합"에 대해 상이한 경우이다.
각 TFC에 대한 특정한 수의 가능한 결합은 (1) 활성 전송 채널용으로 사용될 송신 갭 패턴의 수, (2) 전송 채널의 TTI, (3) 송신 갭 길이, (4) 각 패턴의 송신 갭 사이의 거리, 및 (5) 상이한 패턴의 주기성 (즉, 다른 패턴에 대한 각 패턴의 "슬라이드") 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른다.
예로서, 아래의 파라미터를 갖는 특정한 압축 모드 경우를 고려한다.
ㆍ 전송 채널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 채널에 대한 3개의 활성 압축 모드 패턴;
ㆍ 40 msec의 모든 구성된 TFC를 가로지르는 평균적으로 가장 긴 TTI 길이;
ㆍ 각 패턴에 대한 단일 송신 갭 길이 (즉, 송신 갭 1 및 2에 대한 동일한 길이);
ㆍ 상이한 패턴에 대한 상이한 송신 갭 길이 (즉, 상이한 패턴에 대한 송신 갭 1에 대한 상이한 길이); 및
ㆍ 송신 갭 패턴중의 하나에 대해, 송신 갭 사이의 길이는 20 msec이다.
상기 경우에 대해, 각 TFC에 대한 압축 모드용의 상이한 결합의 평균 수가 11이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것은 3개 (단일 송신 갭 ) + 3개 (상이한 패턴으로부터의 2개 송신 갭) + 1개 (동일한 패턴으로부터의 2개 송신 갭) + 1개 (상이한 패턴으로부터의 3개 송신 갭) + 2개 (동일한 패턴으로부터의 2개 송신 갭 및 다른 패턴으로부터의 1개) + 1개 (4개 송신 갭, 동일한 패턴으로부터의 2개) 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특정한 압축 모드 경우에 대해, 12개 상이한 결합이 각 구성된 TFC에 대해 가능하다 (즉, 압축 모드용의 11개 결합 및 정상 모드용의 1개). 상기 가정에 기초하여, 이들 결합 각각은 상이한 누적 송신 갭 길이에 대응하고 따라서, 상대적 전력 요구 () 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압축 모드 뿐만 아니라 정상 모드에 대한 구성된 TFC 중에서 유효한 (즉, 지원된) TFC를 결정하는 다양한 기술을 제공한다. 이들 기술은, TTI가 압축 송신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TFC 자격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기록 정보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를 보유한다. 이하, 다수의 TFC 자격 방식을 설명한다. 이들 방식은 도 4에 설명하고 W-CDMA에 정의된 알고리즘과 함께 적용됨으로써, TFC가 신뢰할 수 있게 송신될 수 있는지 여부의 결정은 Y 이전의 측정 주기 동안의 TFC의 요구되는 송신 전력 및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에 의존한다.
제 1 TFC 자격 방식에서, 다수의 Tx_전력_요구 상태가, 압축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태의 수가 전술한 바와 같이 TFC에 대한 상이한 결합의 수와 동일하면서, 각 TFC에 대한 다수의 결합에 대해 유지된다. 소정의 TFC에 대한 상이한 결합은 신뢰 가능한 송신을 위해 상이한 송신 전력 레벨을 요구하고, 따라서 상이한 상대적 전력 요구 () 와 관련된다. 각 TFC에 대한 상이한 결합은 사전에 결정될 수도 있고, 그 후, 대응하는 상대적 전력 요구 () 가 각 결합에 대해 결정될 수도 있다.
압축 및 정상 모드용의 각 TFC에 대한 상이한 결합의 평균 수가 NC이고 구성된 TFC의 수가 NT인 경우에, 모든 TFC의 모든 결합에 대한 표시를 위해 필요한 비트의 수는 NCㆍNTㆍY이다. 예를 들어, TFC 세트가 128개 TFC (예를 들어, UE의 384kbps 클래스에 대해) 를 포함하고 각 TFC에 대한 상이한 결합의 평균 수가 12인 경우에, 12ㆍ128ㆍY = 1536ㆍY 비트가 압축 모드 및 정상 모드용의 11개의 상이한 결합에 대한 표시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은 제 1 TFC 자격 방식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고 사용하기 위해 선택될 수도 있는 TFC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 (700) 의 실시형태의 흐름도이다. 초기에, 단계 712에서, 각 구성된 TFC에 대해 가능한 상이한 결합이 식별된다. 각각의 이러한 결합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된 압축 및/또는 비-압축 프레임의 특정 결합에 대응하고, 소망하는 레벨의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한 요구되는 송신 전력 레벨과 관련된다. 정상 모드만이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하나의 결합 (즉, 송신 갭을 갖지 않은) 만이 각 TFC에 대해 존재한다. 그러나, 압축 모드가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압축 및/또는 비-압축 프레임의 다중 결합이 각 TFC에 대해 가능할 수도 있고 단계 712에서 식별된다. 각 TFC에 대한 상이한 결합의 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 채널에 대한 압축 모드 송신을 위해 정의된 파라미터 값에 의존한다.
그 후, 단계 714에서, 각 TFC에 대한 각 결합과 관련된 상대적 전력 요구 () 가 결정 (즉, 는 i-번째 TFC에 대한 j-번째 결합에 대한 상대적 전력 요구이다) 된다. 상대적 전력 요구는 그것이 사용하기 위해 선택되는 경우에 결합에 대해 요구되는 상대적 송신 전력을 나타낸다. 각 TFC에 대해, 압축 모드용의 각 결합에 대한 상대적 전력 요구 () 는, 상대적 전력 요구에서의 차가 압축 모드에서의 압축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및 정상 모드에서의 비-압축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와 관련되면서, 정상 모드용의 결합에 대한 상대적 전력 요구 보다 더 높다. 특히, 정상 모드에 대한 상대적 전력 요구가 3GPP 문서 제 25.214-360, 섹션 5.1.2.5.3에 설명되어 있고, 압축 모드에 대한 상대적 전력 요구가 섹션 5.1.2.5.4에 설명되어 있다. 단계 712 및 714는 압축 모드에 들어갈 때 1회 수행될 수도 있는 설정 단계이다.
따라서,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의 상태가 각 측정 주기 동안 업데이트된다. 이것은 단계 722에서,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의 표시기를 유도함으로써 (예를 들어, 비교 를 수행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그 후,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의 상태가 새롭게 유도된 표시기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데이트되고, 단계 724에서, 도 4에 도시한 상태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그 후, 모든 구성된 TFC에 대한 지원된 결합이 각 TFC 선택 간격에서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다. 이것은, 단계 732에서, 각 TFC에 대한 업커밍 간격에 적용 가능한 NC개의 상이한 결합 사이에서 특정 결합을 식별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단계 732에서, NT개의 결합은 NT개 TFC에 대한 업커밍 간격에 응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식별된다. 그 후, 단계 734에서, 지원된 상태 (및 초과-전력 상태) 에 있는 모든 적용 가능한 결합에 대한 TFC가 유효한 TFC로서 선택된다.
제 2 TFC 자격 방식에서, 2개의 Tx_전력_요구 상태가 정상 및 압축 모드용의 각 TFC에 대해 유지된다. 다수의 결합이 압축 모드에서 각 TFC에 대해 가능할 수도 있지만, 최악의 경우의 송신 전력 요구가 압축 프레임에서 송신 갭이 15개 슬롯 중에 7개를 나타낼 때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 압축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는 전체 15 슬롯 대신에 8 슬롯 내에서 송신될 필요가 있고, 거의 2배 양의 송신 전력 (또는 추가 송신 전력의 3 dB) 이 압축 프레임에 대해 요구되는 Eb/Nt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단일 추가 Tx_전력_요구 상태는 상대적 전력 요구 () 에 대한 각 TFC에 대해 유지되고, 압축 모드용의 TFC에 대한 최악의 경우 송신 전력 요구에 대응한다. 실시형태에서, 압축 모드에 대한 상대적 전력 요구 () 는 정상 모드에 대한 상대적 전력 요구 () 보다 거의 2배 (또는 3 dB) 더 높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정상 및 최악의 경우 상대적 전력 요구 사이의 차에 대한 다른 값이 (3 dB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고, 이것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제 1 TFC 자격 방식에 의해 유지된 NC개 상태 대신에) 각 TFC에 대해 2개의 Tx_전력_요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상당히 감소된 버퍼링 및 프로세싱 요구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NC = 12를 갖는 전술한 예에 있어서, 2개 상태만이 제 2 방식에 의해 각 TFC에 대해 유지되고 12개 상태가 제 1 방식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버퍼링 및 프로세싱에서 6 : 1의 감소가 달성된다.
압축 모드에서 모든 가능한 결합에 대한 각 TFC에 대한 단일의 추가 상대적 전력 요구 () 의 사용은 압축 프레임을 갖는 TTI에 대한 TFC의 비관적 선택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보다 작은 상대적 전력 요구를 갖는 결합이 또한 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추가의 Tx_전력_요구 상태가 압축 모드에서 모든 가능한 결합에 대해 요구되는 평균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평균 상대적 전력 요구 () 에 대해 유지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평균 상대적 전력 요구 () 는 소정의 TFC에 대한 모든 가능한 결합에 대한 상대적 전력 요구의 평균으로서 계산될 수도 있고,
로서 표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평균 상대적 전력 요구 () 는 소정의 TFC에 대한 모든 가능한 결합에 대한 상대적 전력 요구의 가중된 평균으로서 계산될 수도 있고,
로서 표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는 i-번째 TFC에 대한 j-번째 결합의 발생 주파수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가중의 합은 1 (1.0) 과 동일하다. 가중 () 및/또는 평균 상대적 전력 요구 () 는 단말기에 의해 각 TFC에 대해 결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가중 () 및/또는 평균 상대적 전력 요구 () 는 기지국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층 3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단말기로 신호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각 TFC에 대한 압축 모드용의 추가의 Tx_전력_요구 상태가 압축 모드 상대적 전력 요구 () 에 대해 유지될 수도 있다. 이러한 는 정상 모드 ×오프셋 (즉, = ) 에 대한 상대적 전력 요구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오프셋은 제로 (0.0) 로부터 최악의 경우 추가의 상대적 전력 요구까지의 범위 (즉, 0.0 ≤) 이다. 각 TFC에 대한 오프셋은 단말기 또는 시스템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단말기 또는 어떠한 다른 수단으로 신호될 수도 있다.
제 3 TFC 자격 방식에서, 단일 Tx_전력_요구 상태가 정상 및 압축 모드 모두에 대한 각 TFC에 대해 유지된다. 이러한 단일 Tx_전력_요구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즉, = ) 정의될 수도 있는 압축 모드 상대적 전력 요구 () 에 대한 각 TFC에 대해 유지될 수도 있다. 다시, 각 TFC에 대한 압축 모드의 오프셋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결정 및/또는 제공될 수도 있고, TFC에 대한 모든 결합에 대한 최악의 경우 상대적 추가 전력 요구, 평균 상대적 추가 전력 요구, 또는 어떠한 다른 값을 나타낼 수도 있다.
제 4 TFC 자격 방식에서, 다수의 Tx_전력_요구 상태는 "빈"의 세트에 대해 유지되고, 이러한 각각의 빈은 특정한 상대적 전력 요구에 대응한다.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은 특정한 상대적 요구되는 송신 전력과 관련되어서, 특정 빈과 관련될 수도 있고 상기 빈에 대해 유지되는 Tx_전력_요구 상태를 더 이용할 수도 있다.
압축 및 정상 모드에 대한 모든 TFC에 대한 가장 큰 상대적 전력 요구로부터 가장 작은 상대적 전력 요구까지를 커버하는 모든 TFC에 대한 상대적 전력 요구의 전체 범위는, 통상적으로,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30 dB 보다 작다). 또한, 송신 전력 측정에 대한 특정 정확도는 과도하게 정밀하지 않다 (예를 들어, 0.5 dB 또는 더 나쁘다). 따라서, 특정한 양만큼 (또는 빈 크기) 개별적으로 이격된 상대적으로 작은 수의 빈이 압축 및 정상 모드 모두에 대한 모든 TFC에 대해 모든 가능한 결합의 상대적 전력 요구를 나타내는데 충분하다. 그 후, 제한된 수의 Tx_전력_요구 상태가 이들 빈에 대해 유지될 수도 있고, 각 빈에 대한 Tx_전력_요구 상태가 상기 빈과 관련된 모든 결합에 의해 참조될 수도 있다.
예로서, 모든 TFC에 대한 상대적 전력 요구의 전체 범위가 30 dB이고, 0.5 dB의 빈 크기가 사용되는 경우에, 61개 Tx_전력_요구 상태가 30 dB 범위를 커버하는 61개 빈에 대해 유지될 수도 있다. 이것은 NT=128을 갖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방식 각각을 사용하여 유지될 필요가 있는 1536개로부터 256개 상태로의 상당한 감소를 나타낸다. 이들 상태 각각이 유지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프로세싱 요구 또한 같은 수로 나누어지게 감소된다.
상대적 전력 요구에 대한 30 dB의 전체 범위는 지나치게 보존적인 추정을 나타낼 수도 있다. 전체 범위는 모든 TFC에 대한 모든 결합에 대해 기준 송신 (제어 오버헤드가 없다고 가정) 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에 대한 최고 데이터 레이트의 비율로 한정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이러한 비율은 10 : 1 또는 더 작을 수도 있고, 어떤 경우에, 전체 범위는 10 dB 미만이다. 또한,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 () 의 추정이 2 dB 이내이도록 정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0.5 dB 보다 더 열등한 빈 크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더 적은 빈이 더 작은 전체 범위 및/또는 더 열등한 빈 크기에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수의 빈이 유지될 수도 있고 빈 크기는 균일하거나 변화할 수도 있다. 빈에 대한 특정 값이 시스템 요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도 8은 빈의 세트에 대해 유지된 Tx_전력_요구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하기 위해 선택될 수도 있고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TFC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 (800) 의 실시형태의 흐름도이다. 초기에, 기준 송신 전력 레벨에 대한 송신 전력 레벨의 세트와 관련된 빈의 세트 () 가 정의된다. 전술한 예에 있어서, 61개 빈이 30 dB의 범위로 정의되고, 빈은 0.5 dB 만큼 개별적으로 이격된다. 빈은 1회 정의될 수도 있고, 그 후, 단말기와 시스템 사이의 각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빈은 가장 큰 빈으로부터 가장 작은 빈으로의, 감소하는 순서로 저장될 수도 있다.
빈의 세트에 대한 Tx_전력_요구 상태가 도 4에 전술한 바와 같은, 통신 동안 유지된다. 특히, 단계 812에서, 각 측정 주기 동안, 표현 가 빈에 대한 대응하는 표시기를 유도하기 위해 각 빈에 대해 평가된다. 이러한 표시기는 빈에 의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 레벨이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에 의해 지원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단계 814에서, 각 측정 주기 동안, 각 빈의 상태가 새롭게 유도된 표시기 및 빈에 대해 이전에 유도된 Y-1 다른 표시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다.
각 TFC 선택 간격 동안, 구성된 TFC의 상태가 결정된다. 이것은, 단계 822에서, TFC가 사용될 수도 있을 때 업커밍 간격 동안 각 TFC의 요구되는 Eb/Nt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상대적 추가 송신 전력을 먼저 결정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가 상대적 추가 송신 전력을 나타내고 가 i-번째 TFC에 대한 정상 모드용의 상대적 전력 요구를 나타내는 경우에, i-번째 TFC에 대한 업커밍 간격 동안 상대적 전력 요구 () 는
[수학식 2]
와 같이 결정될 수도 있다.
상대적 추가 송신 전력 () 은 업커밍 간격에서의 임의의 송신 갭의 존재에 의존하고 송신 갭의 존재를 어카운트한다. 업커밍 간격에서의 송신 갭이 없는 경우에, = 1이다. 단계 824에서, 상대적 전력 요구 () 는 수학식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TFC에 대해 결정된다.
그 후, 단계 826에서, 각 TFC의 상대적 전력 요구 () 에 대응하는 특정 빈 () 이 식별된다. 각 TFC에 대한 빈은,
로서 결정될 수도 있고, 여기서, 라운딩은 다음의 더 낮은 빈까지이다. 그 후, 단계 828에서, 업커밍 간격 동안 각 TFC의 상태가 TFC의 상대적 전력 요구에 대응하는 빈의 상태 () 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그 후, 업커밍 간격에서 지원된 TFC가 식별된다. 이것은 단계 832에서, 유효한 TFC로서 지원된 상태 (및 초과-전력 상태) 에서 모든 TFC를 선택함으로써 달성된다.
제 4 TFC 자격 방식은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 먼저, 더 작은 수의 Tx_전력_요구 상태가 모든 구성된 TFC에 대해 유지될 수도 있기 때문에 필요한 버퍼링 및 프로세싱의 양이 감소될 수도 있다. 둘째로, 모든 가능한 결합을 미리 결정할 필요가 없다. 대신, 이들 결합은 송신 갭이 평가될 간격에 존재하는 경우 및 그 때 결정될 수도 있다. 셋째로, Y 가장 최근 측정 주기 동안의 표시기가 모든 TFC의 모든 가능한 결합에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압축 모드에 대한 TFC의 상태가 압축 모드 (즉, 프로세싱 지연 없음) 로 들어갈 때 즉시 결정될 수도 있다. 반대로, 제 1 및 제 2 방식은 상대적 전력 요구가 알려질 때 표시기 저장을 시작하고, 이것은 상태가 결정될 수 있기 이전에 Y 측정 주기 지연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넷째로, 버퍼링 요구가 TFC의 수와 증가하지 않고 프로세싱 요구가 제 1 방식 보다 더 느리게 증가한다.
제 5 TFC 자격 방식에서,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의 세트가 측정 주기 동안 결정 및 유지되고 각 구성된 TFC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시형태에서,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은 기준 송신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에 대한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의 비율로서 정의된다. 각 측정 주기 동안,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 () 은,
[수학식 3]
로서 결정될 수도 있고, 여기서, 는 k-번째 측정 주기 동안의 기준 송신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이다. 단말기에 대한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이 (통상적으로, 시스템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경우에 사실인) 일정한 경우에,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은 기준 송신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을 나타내고 요구되는 송신 전력에 관한 것이다.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 () 은 TFC 상대적 전력 요구 () 에 대한 것과 동일한 동적 범위 및 정확도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은 제 4 방식에서의 빈에 대한 것과 유사한 버퍼링 요구를 갖는다.
Y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의 세트와 함께, (예를 들어, 2-비트) 상태가 압축 모드에서 각 TFC에 대한 각 가능한 결합에 대해 유지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태는 각 상이한 상대적 전력 요구 (전술한 빈의 개념과 유사) 에 대해 유지된다. 또한, 타이머가 각 가능한 결합, 또는 각 상이한 상대적 전력 요구 (또는 빈) 에 대해 유지될 수도 있다. 타이머는 초과-전력 상태와 블록된 상태 사이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 TFC 선택 간격 동안, 업커밍 TFC 간격에 대한 각 TFC의 적용 가능한 결합이 초기에 식별된다. 그 후, 각 TFC에 대한 적용 가능한 결합의 상태는 (1) 적용 가능한 결합에 의해 요구되는 상대적 추가 송신 전력 (), (2) TFC에 대한 정상 모드용의 상대적 전력 요구 (), (3) Y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의 세트, 및 (4) 결합 또는 관련된 빈에 대해 유지된 (2-비트) 상태 및 타이머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도 9는 Y 측정 주기 동안 결정된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의 세트에 기초하여,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고 사용하기 위해 선택될 수도 있는 TFC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 (900) 의 실시형태의 흐름도이다. 단순함을 위해 도 9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의 상태가 지원된 상태로 초기화된다. 각 측정 주기 동안, 단계 912에서,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 () 은 수학식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정되고 버퍼에 저장된다. 도 9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 타이머는 초과-전력 상태에서의 각 결합에 대해 유지되고, 단계 914에서, 이러한 타이머는 각 측정 주기 동안 업데이트된다. 단계 912 및 914는 각 측정 주기 동안 수행된다.
각 TFC 선택 간격 동안, 각 TFC에 대한 각 적용 가능한 결합의 상태가 블록 920에서의 단계에 따라 결정된다. 이것은 단계 922에서, 각 적용 가능한 결합에 대한 업커밍 간격 동안 요구되는 Eb/Nt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상대적 추가 송신 전력 () 을 먼저 결정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그 후, 단계 924에서, 각 적용 가능한 결합에 대한 업커밍 간격 동안 상대적 전력 요구 () 가 상대적 추가 송신 전력 (), 및 수학식 (2) 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정상 모드용의 상대적 전력 요구 () 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그 후, 각 적용 가능한 결합의 상태가 단계 932 내지 954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이것을 일 예의 결합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단계 932에서, 적용 가능한 결합이 지원된 상태에 있는지 및 결합에 대한 상대적 전력 요구 () 가 최종 Y 측정 주기 중에서 X 이상에 대해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 () 보다 더 큰지 여부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응답이 예 (yes) 인 경우에, 단계 934에서 결합은 초과-전력 상태로 설정되고, 단계 936에서 결합에 대한 타이머가 리셋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 962로 계속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942에서, 결합이 초과-전력 상태에 있는지 및 관련된 타이머가 Tblock 보다 더 큰지 여부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응답이 예인 경우에, 단계 944에서, 결합은 블록된 상태로 설정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 962로 계속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952에서, 결합의 상대적 전력 요구 () 가 최종 Y 측정 주기 동안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 () 이하인지 여부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응답이 예인 경우에, 단계 954에서, 결합은 지원된 상태로 설정된다.
다시, 단계 932 내지 954가 각 적용 가능한 결합에 대해 수행된다. 각 적용 가능한 결합에 대해 이들 단계의 완료시에, 프로세스는 업커밍 간격에서 지원된 TFC를 식별하기 위해 단계 962로 계속된다. 이것은 단계 962에서, 유효한 TFC로서 지원된 상태 (및 초과-전력 상태) 에서 적용 가능한 결합을 갖는 모든 TFC를 선택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제 5 방식에 있어서, 모든 Y 측정 주기를 통한 비교가 각 TFC (또는 각 빈) 및 각 TFC 선택 간격 동안 각 결합에 대해 수행된다. 제 5 방식은 제 4 방식 이상의 다수의 이점을 제공할 수도 있고, 이 이점은 (상대적 전력 요구를 저장하기 위한) 감소된 버퍼링 요구 및 모든 가능한 TFC를 커버하는 플렉시빌리티 및 버퍼링 요구에서 추가의 증가를 거의 갖지 않는 결합을 포함한다.
제 5 방식에 대한 상기 설명에서, 상대적 전력 요구 임계값 () 이 유도 및 저장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준 송신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또는 관련된) 다른 값 또한 유도 및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요구되는 송신 전력 () 자체는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 () 과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소정의 TFC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TFC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이 로서 초기에 유도될 수도 있고, 그 후,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 () 과 비교된다. 그 후, 비교로부터 유도된 표시기가 TFC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다양한 TFC 자격 방식이 구성된 TFC중의 어느 것이 단말기 및 채널 조건 (즉, 요구되는 Eb/Nt를 달성할 수 있는) 에 의해 지원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어서, 업커밍 간격에서의 사용을 위해 선택될 수도 있다. 이들 방식은 정상 모드, 압축 모드, 또는 두개의 모드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송신 갭이 간격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존하여 업커밍 간격에서 소정의 TFC가 지원되는지 여부를 선언하기 위해 상이한 폴리시를 효율적으로 구현한다. 다른 TFC 자격 방식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한 방식의 변형 또한 구현될 수도 있고, 여전히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명확함을 위해, TFC 자격 방식을 도 4에 설명하고 W-CDMA에 정의된 특정한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하였고, 그것에 의해, TFC, TFC의 요구되는 송신 전력 () 이 최종 Y 측정 주기 중에서 X 이상에 대해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 () 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지원되는 것으로서 여겨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한 TFC 자격 방식은 다른 알고리즘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고, 이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한 TFC 자격 기술은 W-CDMA 시스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이들 기술 또는 이들 기술의 변형이 다운링크 및/또는 다른 CDMA 시스템에 적합할 수도 있고, 이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한 기술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기술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이들 기술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 엘리먼트는 하나 이상의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DSPD),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본 명세서에 설명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설명한 기술은 본 명세서에 설명한 기술을 수행하는 모듈 (예를 들어, 절차, 기능 등) 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 (예를 들어, 도 1의 메모리 132 또는 162) 에 저장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예를 들어, 제어기 130 또는 160) 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메모리 유닛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가능하게 관련될 수 있는 경우에,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개시한 실시형태의 전술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하거나 사용할 수 있게 하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 정의한 일반 원리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한 원리 및 신규한 특징과 일치하는 가장 광범위한 범위를 포함한다.

Claims (4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 지원되는 전송 포맷 결합 (TFC) 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TFC 각각에 대한 복수의 결합 각각에 대하여 요구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각 TFC는 데이터 송신을 위한 일 세트의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고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은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특정한 송신 레벨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전력 결정 단계;
    상기 결합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 및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각 결합의 상태에 기초하여 업커밍 (upcoming) 간격 동안 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TFC 각각에 대한 하나의 결합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TFC에 대한 복수의 가능한 결합은 하나의 정상 모드용의 결합 및 하나 이상의 압축 모드용의 결합을 포함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을 위한 특정한 송신 레벨은 상기 압축 모드에 대해 정의된 송신 갭 파라미터 값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을 위한 상기 특정한 송신 레벨은 하나 이상의 전송 채널을 통해 송신될 하나 이상의 프레임의 특정한 세트에 대해 결정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능한 결합 중에서, 각 TFC에 대해 상기 업커밍 간격 동안 적용 가능한 특정 결합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적용 가능한 결합이 상기 업커밍 간격 동안 사용 가능하도록 선택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은 복수의 가능한 상태 중의 하나에 있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능한 상태는, 지원된 (Supported) 상태, 초과-전력 (Excess-Power) 상태, 및 블록된 (Blocked) 상태를 포함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된 상태에서의 적용 가능한 결합이 상기 업커밍 간격 동안 사용 가능하도록 선택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은, 상기 결합과 관련된 상대적 전력 요구 및 기준 송신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에 대해, 상기 결합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이 상기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에 의해 지원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각 측정 주기 동안의 표시기를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의 상태는 Y 측정 주기 동안의 표시기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에 대해 Y 측정 주기 동안의 상기 표시기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각 TFC에 대한 상기 복수의 가능한 결합은, 하나의 정상 모드용의 결합 및 하나의 압축 모드용의 결합을 포함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각 TFC에 대한 상기 압축 모드용의 결합은, 상기 TFC에 대한 압축 모드에서의 최고 요구 송신 전력과 관련되어 있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각 TFC에 대한 상기 압축 모드용의 결합은 상기 TFC에 대한 압축 모드에서의 평균 요구 송신 전력과 관련되어 있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에 대해, 상기 결합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이 상기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에 의해 지원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각 측정 주기 동안의 표시기를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의 상태는 Y 측정 주기 동안의 표시기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각 TFC의 2개의 결합에 대해 2세트의 Y 측정 주기 동안의 표시기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W-CDMA 시스템인,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18. 하나 이상의 TFC 각각에 대한 복수의 결합 각각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결합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 및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의 상태를 결정하고; 또한
    각 결합의 상태에 기초하여 업커밍 간격 동안 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TFC 각각에 대해 하나의 결합을 선택하기 위해, 디지털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DSPD) 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로서,
    각 TFC는 데이터 송신을 위한 일 세트의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고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은 데이터 송신을 위한 특정한 송신 레벨에 대응하는, 메모리.
  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 지원되는 전송 포맷 결합 (TFC) 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빈 (bin) 각각에 대하여,
    빈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이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에 의해 지원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각 측정 주기 동안의 표시기를 유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빈 중에서, 업커밍 간격 동안 상기 TFC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TFC 각각에 대해 상기 업커밍 간격 동안 적용 가능한 특정 빈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TFC에 적용 가능한 빈에 대해 유도된 표시기들에 기초하여 상기 업커밍 간격 동안 각 TFC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각 TFC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업커밍 간격 동안 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TFC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각 빈에 대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빈에 대해 유도된 상기 표시기들에 기초하여 각 측정 주기 동안 상기 빈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TFC에 적용 가능한 상기 빈의 상태와 동일한 각 TFC의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빈은, 기준 송신 전력 레벨에 상대적인 복수의 송신 전력 레벨에 대해 정의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각 TFC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은, 정상 모드 또는 압축 모드가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에 의존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각 TFC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은, 상기 업커밍 간격에서 상기 TFC에 대해 송신될 특정한 세트의 하나 이상의 프레임에 더 의존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빈은 모든 TFC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의 범위를 커버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빈은 균일한 양으로 분리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W-CDMA 시스템인,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 지원되는 전송 포맷 결합 (TFC) 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각 측정 주기 동안,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값을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측정 주기 동안 결정된 복수의 값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커밍 간격 동안 하나 이상의 TFC 각각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각 TFC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업커밍 간격 동안 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TFC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값은 기준 송신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에 대한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의 비율로서 결정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각 TFC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각 TFC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을 상기 복수의 측정 주기 동안의 상기 복수의 값에 대해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각 TFC의 상태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30. 제 27 항에 있어서,
    각 TFC의 상태는, 상기 복수의 측정 주기 동안 결정된 상기 복수의 값에 기초하여 각 간격 동안 새롭게 결정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31. 제 27 항에 있어서,
    각 TFC의 상태는,
    각 TFC의 현재 상태를 저장하고,
    상기 TFC의 저장된 현재 상태 및 상기 복수의 측정 주기 동안 결정된 상기 복수의 값에 기초하여 각 측정 주기 동안 각 TFC의 상태를 업데이트함으로써 결정되는,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W-CDMA 시스템인, 전송 포맷 결합 결정 방법.
  33. 하나 이상의 TFC 각각에 대한 복수의 결합 각각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결합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 및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의 상태를 결정하고, 또한, 각 결합의 상태에 기초하여 업커밍 간격 동안 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TFC 각각에 대한 하나의 결합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로서,
    각 TFC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일 세트의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고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은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특정한 송신 레벨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3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유닛으로서,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결합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 및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의 상태를 결정하고, 각 결합의 상태에 기초하여 업커밍 간격 동안 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TFC 각각에 대한 하나의 결합을 선택하도록, 동작하는 제어기로서, 각 TFC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일 세트의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고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은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특정한 송신 레벨에 대응하는, 제어기; 및
    복수의 측정 주기 동안 기준 송신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에 관한 복수의 값을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송신기 유닛.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측정 주기 동안의 일 세트의 값을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송신기 유닛.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각 TFC의 2개의 결합에 대한 복수의 측정 주기 동안의 2 세트의 값을 저장하도록 동작하는, 송신기 유닛.
  37. 제 34 항의 송신기 유닛을 구비하는, 단말기.
  38. 제 34 항의 송신기 유닛을 구비하는, 기지국.
  3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프로세싱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TFC 각각에 대한 복수의 결합 각각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각 TFC는 데이터 송신을 위한 일 세트의 파라미터 값에 대응하고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은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특정한 송신 레벨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전력 결정 수단;
    상기 결합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 및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각 TFC에 대한 각 결합의 상태를 결정하는 수단; 및
    각 결합의 상태에 기초하여 업커밍 간격 동안 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TFC 각각에 대한 하나의 결합을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신호 프로세싱 장치.
  40. 복수의 빈 각각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이 최대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에 의해 지원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각 측정 주기 동안 표시기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빈 중에서, 업커밍 간격 동안 상기 TFC에 대해 요구되는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TFC 각각에 대해 상기 업커밍 간격 동안 적용 가능한 특정 빈을 식별하고, 상기 TFC에 적용 가능한 빈에 대해 유도된 표시기들에 기초하여 상기 업커밍 간격 동안 각 TFC의 상태를 결정하고, 또한, 각 TFC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업커밍 간격 동안 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TFC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41. 각 측정 주기 동안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송신 전력을 표시하는 값을 결정하고, 복수의 측정 주기 동안 결정된 복수의 값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커밍 간격 동안 하나 이상의 TFC 각각의 상태를 결정하고, 또한, 각 TFC의 상태에 기초하여 업커밍 간격 동안 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TFC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KR1020047007337A 2001-11-13 2002-11-12 W-cdma 시스템에서의 압축 모드용 전송 포맷 결합 선택 KR100962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93,381 2001-11-13
US09/993,381 US6747958B2 (en) 2001-11-13 2001-11-13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selection for compressed mode in a W-CDMA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239A true KR20050058239A (ko) 2005-06-16
KR100962150B1 KR100962150B1 (ko) 2010-06-10

Family

ID=2553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337A KR100962150B1 (ko) 2001-11-13 2002-11-12 W-cdma 시스템에서의 압축 모드용 전송 포맷 결합 선택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6747958B2 (ko)
EP (3) EP1444791B1 (ko)
JP (1) JP4369232B2 (ko)
KR (1) KR100962150B1 (ko)
CN (1) CN100508421C (ko)
AT (2) ATE503307T1 (ko)
AU (1) AU2002343720C1 (ko)
BR (1) BR0214078A (ko)
CA (2) CA2742097C (ko)
DE (2) DE60223166T2 (ko)
ES (2) ES2361569T3 (ko)
IL (2) IL161883A0 (ko)
MX (1) MXPA04004512A (ko)
NO (1) NO20042436L (ko)
RU (2) RU2295829C2 (ko)
TW (1) TWI282670B (ko)
UA (1) UA80265C2 (ko)
WO (1) WO20030432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7623B1 (en) * 2000-11-15 2005-01-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data streams onto a single channel
DE10117628A1 (de) * 2001-04-07 2002-10-10 Alcatel Sa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unkbasierten Telekommunikationssystems
US6845088B2 (en) * 2001-10-19 2005-01-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ast dynamic link adaptation
DE10159637C1 (de) * 2001-12-05 2003-08-07 Siemens Ag Verfahren zur Zuweisung von Übertragungskanälen in einer Mobilfunkzelle für einen Multicast-Dienst
US20030147366A1 (en) * 2002-02-05 2003-08-07 Benoist Sebire Combining transport formats having heterogeneous interleaving schemes
US7372871B2 (en) * 2002-03-27 2008-05-13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reduce information loss and translation costs in a system populated with data sources and sinks communicating with multiple data representations
FR2838019B1 (fr) * 2002-03-29 2004-08-27 Evolium Sas Procede de configuration de mode compresse dans un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s mobiles
JP4005400B2 (ja) * 2002-04-10 2007-11-07 富士通株式会社 送信フォーマット組み合わせ情報選択方法及び移動端末装置
US6967940B2 (en) * 2002-07-19 2005-11-2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Dynamic forward error correction in UTRA systems
US6907010B2 (en) * 2002-10-11 2005-06-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Dynamic radio link adaptation for interference in cellular systems
US7333433B2 (en) * 2002-11-18 2008-02-19 Intel Corporation Managing bandwidth using weighted reduction
ES2316874T3 (es) * 2002-12-20 2009-04-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lanificacion de transmision de datos a traves de capa de control de acceso al medio (mac) en una red de telefonia celular.
GB0302024D0 (en) * 2003-01-29 2003-02-26 Roke Manor Research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selection in the uplink for the flexible layer one
CN100512045C (zh) * 2003-03-12 2009-07-08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终端设备
US7564867B2 (en) * 2003-08-19 2009-07-21 Alcatel-Lucent Usa Inc. Enhanced uplink data transmission
JP2005072900A (ja) * 2003-08-22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
KR101042814B1 (ko) 2003-10-04 2011-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상된 역방향 전용전송채널을 서비스하는 비동기 방식의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전송시구간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JP4115928B2 (ja) * 2003-12-17 2008-07-09 富士通株式会社 トランスポートチャネル選択装置及び選択方法
US7215655B2 (en) * 2004-01-09 2007-05-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selection in a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US8144735B2 (en) * 2004-02-10 2012-03-27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signaling information for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JP2005311882A (ja) * 2004-04-23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装置及び送信方法
JP4666230B2 (ja) * 2004-05-06 2011-04-0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基地局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8259752B2 (en) * 2004-05-07 2012-09-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dium access control layer architecture for supporting enhanced uplink
KR100985645B1 (ko) * 2004-06-11 2010-10-05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트랜스포트 포맷 콤비네이션 선택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및 이동국
JP4167629B2 (ja) 2004-06-30 2008-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US7317915B2 (en) * 2004-07-12 2008-0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radio network
SE0402260D0 (sv) * 2004-09-15 2004-09-15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1061117B1 (ko) * 2004-09-15 201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용 채널을 통한 재전송 패킷의 전송 전력 제어방법
US8280425B2 (en) * 2004-09-16 2012-10-02 Motorola Mobility Llc Wireless transmitter configuration
DE102004044957B4 (de) * 2004-09-16 2007-04-19 Infineon Technologies Ag Medium-Zugriffs-Steuerungs-Einheit, Mobilfunk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Abbilden mittels einer Mobilfunkeinrichtung zu übertragender Daten
CN100426919C (zh) * 2004-11-12 2008-10-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配置传输信道和编码组合传输信道映射关系的方法
KR101119100B1 (ko) * 2005-01-03 2012-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블록 송수신 방법
WO2006082627A1 (ja) * 2005-02-01 2006-08-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送信制御方法、移動局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4598569B2 (ja) * 2005-03-09 2010-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tfc選択方法
KR100735285B1 (ko) * 2005-03-25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포맷 조합 셋의 설정 방법 및 장치
JP2006279634A (ja) * 2005-03-30 2006-10-12 Fujitsu Ltd W−cdmaにおけるtfc選択処理を実施する無線通信装置及びtfc選択方法
US20060291429A1 (en) * 2005-06-24 2006-12-28 Intel Corporation Dynamic UMTS transport block size adjustment
US20070036112A1 (en) * 2005-08-15 2007-02-15 Chien-Yi Chen Method of determining next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for being utilized in next Transmission Time Interval
US7558229B2 (en) * 2005-08-25 2009-07-07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for reducing discarded slots and fram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RU2391785C2 (ru) 2005-12-15 2010-06-10 Интердиджитал Текнолоджи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бора комбинации транспортных форматов
CA2633362C (en) * 2005-12-15 2011-06-2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EP2262341B1 (en) * 2006-03-07 2016-11-02 Panasonic Corporation Overhead reduction of uplink control signal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4362592A2 (en) * 2006-05-19 2024-05-01 Panasonic Holdings Corporation Radio transmission device and radio transmission method
US8094554B2 (en) * 2006-10-26 2012-01-10 Qualcomm Incorporated Compressed mode operation and power control with discontinuous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EP2089987B9 (en) * 2006-11-02 2011-09-0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e-tfc restriction for hsupa channels
US20080153429A1 (en) * 2006-12-22 2008-06-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Network Managed Compressed Mode Operation
JP4993221B2 (ja) 2006-12-22 2012-08-0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tfc選択装置及び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ES2734122T3 (es) * 2007-05-01 2019-12-04 Nokia Technologies Oy Selección de formato de transporte de enlace ascendente
US8102803B2 (en) * 2007-05-31 2012-01-2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packet data using transmit diversity weighting
US8611943B2 (en) * 2007-11-09 2013-12-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control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transport formats
US20090310565A1 (en) * 2008-06-13 2009-12-17 Fujitsu Microelectronic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Paramet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CN101741433B (zh) * 2008-11-18 2013-02-27 上海摩波彼克半导体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上行传输中基于功率控制的tfc选择方法
JP5254083B2 (ja) * 2009-03-06 2013-08-0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9001811B2 (en) * 2009-05-19 2015-04-07 Adc Telecommunications, Inc. Method of inserting CDMA beacon pilots in output of distributed remote antenna nodes
US8848698B2 (en) * 2011-10-22 2014-09-30 Lg Electronics Inc. Scheduling method in multiple access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9686815B2 (en) 2011-11-02 2017-06-20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manag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at a wireless access terminal
US8774074B2 (en) * 2011-11-02 2014-07-0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ly enabl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98098B2 (en) * 2012-11-27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Inter radio access technology (IRAT) measurement to improve user equipment (UE) battery performance
US9606769B2 (en) * 2014-04-05 2017-03-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compression mode selection for buffers in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10306562B2 (en) 2015-10-29 2019-05-28 Qualcomm Incorporated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selection during self-jamming interference
WO2022014735A1 (ko) * 2020-07-14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7985B1 (en) * 1998-08-03 2004-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communications in an ethernet network
FR2785758B1 (fr) * 1998-11-05 2002-03-29 Mitsubishi Electric Inf Tech Procede d'allocation de ressources a chaque emetteur connecte a un recepteur via un meme lien de transmission
GB9923207D0 (en) 1999-10-01 1999-12-08 Lucent Technologies Inc Power offset assignment for the physical control channel in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
GB2355890B (en) * 1999-10-28 2003-10-08 Ericsson Telefon Ab L M Data transmiss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760596B1 (en) 1999-12-03 2004-07-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bit-rate adaptation to improve coverage
GB2361147B (en) * 2000-03-31 2004-01-07 Motorola Inc A packet scheduler and method
DE10036930B4 (de) * 2000-07-28 2005-07-21 Siemens Ag Verfahren zur Sendeleistungseinstellung in einem Funksystem
DE10101703A1 (de) * 2001-01-15 2002-07-18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Drahtloses Netzwerk mit einer Auswahl von Transport-Format-Kombinationen
US6845088B2 (en) * 2001-10-19 2005-01-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ast dynamic link adaptation
US6907010B2 (en) * 2002-10-11 2005-06-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Dynamic radio link adaptation for interference in cellular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23166T2 (de) 2008-07-31
RU2295829C2 (ru) 2007-03-20
JP2005510120A (ja) 2005-04-14
IL161883A0 (en) 2005-11-20
CA2466910A1 (en) 2003-05-22
EP2288047A3 (en) 2012-04-18
CN100508421C (zh) 2009-07-01
EP2288047A2 (en) 2011-02-23
CA2742097A1 (en) 2003-05-22
RU2006141180A (ru) 2008-05-27
AU2002343720C1 (en) 2009-06-11
US6747958B2 (en) 2004-06-08
EP1444791B1 (en) 2007-10-24
RU2004117855A (ru) 2005-10-10
EP1444791A1 (en) 2004-08-11
JP4369232B2 (ja) 2009-11-18
EP1871016A1 (en) 2007-12-26
IL161883A (en) 2010-11-30
CA2466910C (en) 2012-07-17
RU2421909C2 (ru) 2011-06-20
ATE376722T1 (de) 2007-11-15
UA80265C2 (en) 2007-09-10
DE60223166D1 (de) 2007-12-06
NO20042436L (no) 2004-08-06
TWI282670B (en) 2007-06-11
US6985473B2 (en) 2006-01-10
ES2361569T3 (es) 2011-06-20
KR100962150B1 (ko) 2010-06-10
BR0214078A (pt) 2004-12-07
ATE503307T1 (de) 2011-04-15
EP2288047B1 (en) 2014-03-12
US20030092382A1 (en) 2003-05-15
CA2742097C (en) 2014-10-21
MXPA04004512A (es) 2004-09-10
ES2294177T3 (es) 2008-04-01
AU2002343720B2 (en) 2008-11-20
TW200300637A (en) 2003-06-01
CN1613200A (zh) 2005-05-04
EP1871016B1 (en) 2011-03-23
WO2003043221A1 (en) 2003-05-22
US20040233899A1 (en) 2004-11-25
DE60239572D1 (de) 201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150B1 (ko) W-cdma 시스템에서의 압축 모드용 전송 포맷 결합 선택
AU2002343720A1 (en)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selection for compressed mode in a W-CDMA system
US76572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JP518516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複数のフォーマットを有するチャネルのための電力制御
EP1349295A2 (en) A method for setting a transmission quality target value for power control in a mobile radiocommunication system
EP20303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th imbalance reduction in networks using high speed data packet access (hsdpa)
EP1691491A1 (en)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 a CDMA base station
WO2004029806A1 (en) Block error rate estimate reporting for target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adjustment
US20040203402A1 (en) Dynamic radio link adaptation for interference in cellular systems
JP2002033700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パワーの制御方法
EP18178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variable data rate
KR10079818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전송 채널들에 대한 전력제어
US20080194285A1 (en)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JP2004538683A (ja) 移動体無線システムの各サービスに特有のビットレート適応パラメータを設定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