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8089A - 공중 부양식 집재 장치 - Google Patents

공중 부양식 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8089A
KR20050058089A KR1020030090340A KR20030090340A KR20050058089A KR 20050058089 A KR20050058089 A KR 20050058089A KR 1020030090340 A KR1020030090340 A KR 1020030090340A KR 20030090340 A KR20030090340 A KR 20030090340A KR 20050058089 A KR20050058089 A KR 20050058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ch
wire
return
pull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승
Original Assignee
이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승 filed Critical 이현승
Priority to KR1020030090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8089A/ko
Publication of KR20050058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08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1/00Cable cranes, i.e. comprising hoisting devices running on aerial cable-ways
    • B66C21/04Cable cranes, i.e. comprising hoisting devices running on aerial cable-ways with cable-ways supported at one end or both ends on bodily movable framework, e.g. framework mounted on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1/00Cable cranes, i.e. comprising hoisting devices running on aerial cable-ways
    • B66C21/08Sag carriers or rope trolleys, suspended or not, e.g. fixed but offering clearance for travelling gear
    • B66C21/10Sag carriers or rope trolleys, suspended or not, e.g. fixed but offering clearance for travelling gear trav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2Control devices non-automatic
    • B66D1/44Control devices non-automatic pneumatic of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 B66D2700/0133Fluid actuated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무한궤도(12)를 구비하고 유압펌프(14)를 작동시키기 위한 엔진(16)이 설치된 본체(10); 운반부재(30)가 설치되는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를 감기 위한 메인 윈치(20); 당김용 와이어(42)가 감기도록 형성된 당김용 윈치(40); 리턴용 와이어(52)를 구비한 리턴용 윈치(50);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를 지지하여 지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전방부 양측에 설치되는 와이어 지지부재(60); 유압실린더(72)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본체(10)의 전방부 저면에 상,하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삽부재(70); 유압으로 무한궤도(12)를 구동시키고, 메인 윈치(20)를 구동시키며, 운반부재(30)가 이동되도록 당김용 윈치(40) 및 리턴용 윈치(50)를 각각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고, 삽부재(7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윈치를 이용하여 목재와 같은 화물을 공중에 띄워 운반할 수 있고, 자체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무한궤도를 구비하여 험준한 산악지역에서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조작패널을 착용한 상태에서 각 윈치를 조작할 수 있어서 원격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중 부양식 집재 장치{fly type wood remove apparatus}
본 발명은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체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윈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목재와 같은 화물을 공중으로 띄워 운반할 수 있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나라의 산림은 대부분 20도 이상의 경사가 급한 산악지이므로 임도개설(林道開設) 없이는 벌목작업에 필요한 차량이나 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실정이며, 이로 인해 대부분의 작업을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농, 산촌지방의 인구는 계속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주민의 대부분이 노령화되어 산림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젊은 노동력 확보가 힘든 실정이다.
또한, 우리 나라는 30년생 이하의 어린나무가 대부분으로 간벌(솎아베기)을 실시해야 하는 산림이 많으나, 소요예산 및 인력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제대로 간벌작업을 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우리 나라는 선진국에 비하여 임도 시설이 매우 부족하고 임목생산용 보급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고, 현재 산림에서 기계톱으로 벌목 조재한 통나무 원목들을 집재 장소로 하산집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대개 숙련된 벌목부들이 일일이 무거운 원목들을 어깨에 메고 내려오거나 지렛대로 일일이 밀어서 이동시켰다.
이러한 통나무 원목들의 집재 작업은 매우 힘든 중노동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통나무 원목들의 집재 작업은 힘이 좋은 청장년층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지만, 상기 청장년층은 농촌지역의 일손부족을 이유로 들어 상당히 높은 임금을 요구함은 물론, 현재에는 고임금에도 불구하고 힘들면서도 위험한 산림작업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점차 인력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실정으로 인해 현재는 산림작업용으로 현대식 집재 장비를 수입하여 많이 사용하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가선집재장비, 트랙터 집재기, 소형임내차, 소형원치, 플라스틱 수라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집재기란 동력을 사용하여 원목 또는 장작과 숯을 담아 올리거나 공중에서 운반하는 설비를 말한다.
그런데, 이중 가선(架線) 집재장비는 임도가 개설되어 있고 집재기 설치장소의 토장면적이 최소 1O0m2 정도의 면적이 필요하며, 경사지에서 작업이 가능하나 임도에서만 이동이 가능하고 자체 주행능력이 없어서 트랙터 등으로 견인하여야 하므로 능률이 떨어지면서도 조작이 어려워 숙련자만이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트랙터에 원치를 탑재한 트랙터 집재기의 경우에는 트랙터가 주행 가능한 완만한 경사지형이거나 임도, 작업로 등이 설치되어있는 경우에만 작업이 가능하며 급경사지역에서 사용할 수가 없었다.
또한, 국내에 보급된 대부분의 소형원치 역시 자체 이동능력이 없으면서도 소음과 진동이 심하고 고장이 잦아 대부분의 작업자들이 사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이는 견인력이 0.8톤 미만이어서 소경목의 단거리 집재에만 사용가능하고, 드럼에 권회된 와이어를 벌채된 원목의 위치까지 일일이 작업자가 갖고 가야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작업능률이 떨어지므로 단거리 집재에 보조작업 수단으로만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현재 원목의 하산 집재 작업은 대부분 인력위주로 작업하고 있었고, 이로 인하여 목재를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는 집재장치의 보급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자체 동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다수개의 윈치에 의해 계곡과 같이 경사진 산악지역에서도 목재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가 감겨지도록 형성되어 본체에 설치되는 메인 윈치;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를 지면과 이격시켜 스카이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 지지부재;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운반부재; 상기 운반부재를 당겨오기 위한 당김용 와이어가 감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당김용 윈치; 상기 당김용 윈치와 반대로 작동되어 상기 운반부재를 보내기 위한 리턴용 와이어가 감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리턴용 윈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저면에 한 쌍의 무한궤도가 설치되고, 유압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엔진이 설치된 본체;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가 감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메인 윈치;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에 설치되는 화물 운반용 운반부재를 당기기 위한 당김용 와이어가 감기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당김용 윈치; 일단이 상기 운반부재에 고정되고, 고정물에 설치되는 지지로울러에 안내되어 운반부재가 본체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리턴용 와이어가 감기도록 형성되어 상기 당김용 윈치와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리턴용 윈치;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를 지지하여 지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부 양측에 설치되는 와이어 지지부재;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부 저면에 상,하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삽부재; 상기 유압펌프에 의해 발생된 유압으로 상기 무한궤도를 구동시켜 본체를 이동시키고,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메인 윈치를 구동시키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에 설치된 운반부재가 본체 측으로 이동되거나 반대측으로 이동되도록 당김용 윈치 및 리턴용 윈치를 각각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유압실린더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집재장치는 무한궤도(12)와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엔진(16)이 탑재된 본체(10)와,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가 감기도록 형성된 메인 윈치(20), 운반부재(30)를 이동시키기 위한 당김용 윈치(40) 및 리턴용 윈치(50),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가 지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받치기 위한 와이어 지지부재(60), 본체(10)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거나 지면을 고르기 위한 삽부재(70), 상기 무한궤도12)와 메인 윈치(20), 당김용 윈치(40), 리턴용 윈치(50), 삽부재(70) 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무한궤도(12)가 설치된다. 이러한 무한궤도(12)는 산악지역에서 이동이 용이하고, 위치 고정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엔진(16)은 유압펌프(14)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체(10)의 상면 후미에 설치된다.
상기 유압펌프(14)는 상기 엔진(16)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유압탱크의 유압을 강제로 펌핑하여 강한 유압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유압펌프(14)에 의해 발생된 유압은 상기 구동수단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무한궤도(12)는 유압펌프(14)에 의해 발생된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데, 상기 유압펌프(14)에서 발생된 유압은 한 쌍의 주행용 유압모터(18A)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으로 사용되나, 이러한 유압은 구동수단의 주행부에 의해 제어된다.
즉, 상기 주행부는 주행용 유압모터(18A) 및 운전석 주변에 설치되고 주행 조작스위치(18C)에 의해 작동되는 주행모드 제어밸브(18B)로 이루어져 상기 주행 조작스위치(18C)에 의해 주행용 유압모터(18A)가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무한궤도(12)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주행용 유압모터(18A)는 정/역회전을 수행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으므로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메인 윈치(20)는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부재(30)가 설치되어 안내되는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가 감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압을 제어하는 구동수단의 메인 윈치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다. 메인 윈치 구동부는 메인 윈치(20)의 내부 및 일측에 설치되는 메인 유압모터(24)와, 상기 메인 유압모터(24)가 메인 윈치(20)를 구동시키도록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윈치 제어밸브(26)와, 상기 메인 윈치 제어밸브(26)를 조작하기 위한 메인 윈치 조작레버(28)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윈치 조작레버(28)의 조작에 의해 상기 메인 유압모터(24)가 구동되어 메인 윈치(20)가 작동된다.
상기 당김용 윈치(40)는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에 설치되는 화물 운반용 운반부재(30)가 본체(10) 측으로 이동되도록 당기기 위한 당김용 와이어(42)가 감기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당김용 윈치(40)의 전방측 본체(10) 상면에는 당김용 와이어(42)를 안내하기 위한 당김용 안내로울러(44)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당김용 윈치(40)는 구동수단의 당김용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당김용 구동부는 상기 당김용 윈치(40)의 내부 및 일측에 설치되는 당김용 유압모터(45)와, 당김용 유압모터(45)가 당김용 윈치(40)를 구동시키도록 유압펌프(14)로부터 발생되어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당김용 윈치 제어밸브(46)와, 상기 당김용 윈치 제어밸브(46)를 조작하여 상기 당김용 유압모터(45)가 당김용 윈치(40)를 정/역회전 또는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하기 위한 당김용 조작레버(47)로 구성된다.
상기 리턴용 윈치(50)는 일단이 운반부재(30)에 고정되고, 고정물에 설치되는 지지로울러(51)에 안내되어 운반부재(30)가 본체(1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리턴용 와이어(52)가 감기도록 형성되어 상기 당김용 윈치(40)와 대칭되는 위치의 본체(10) 상면에 설치되고, 리턴용 윈치(50)의 전방측 본체(10) 상면에는 리턴용 와이어(52)를 안내하기 위한 리턴용 안내로울러(54)가 설치된다.
이러한 리턴용 윈치(50)는 구동수단의 리턴용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다. 리턴용 구동부는 리턴용 윈치(50)의 내부 및 일측에 설치되는 리턴용 유압모터(55)와, 상기 리턴용 유압모터(55)가 리턴용 윈치(20)를 구동시키도록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리턴용 윈치 제어밸브(56)와, 상기 리턴용 윈치 제어밸브(56)를 조작하여 상기 리턴용 유압모터(55)가 리턴용 윈치(50)를 정/역회전 또는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하기 위한 리턴용 조작레버(57)로 구성된다.
상기 당김용 안내로울러(44)와 안내로울러(54)는 당김용 안내바(44A)와 리턴용 안내바(54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각의 와이어가 각 윈치에 골고루 감겨지도록 한다. 즉, 각 와이어가 감겨질 때 각각의 안내로울러가 안내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와이어는 윈치의 드럼에 골고루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 윈치(20)와, 당김용 윈치(40) 및 리턴용 윈치(50)는 그 설치높이를 서로 다르게 설치한다. 즉 메인 윈치(20)는 본체(10)의 상면으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여 설치하고, 당김용 윈치(40) 및 리턴용 윈치(50)는 상기 메인 윈치(20)보다 낮게 위치가 되도록 설치한다. 이는 각 와이어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 유압모터(24)와, 당김용 유압모터(45), 리턴용 유압모터(55) 및 주행용 유압모터(18A)는 유압에 의해 정/역회전은 물론, 회전이 정지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감속기는 물론 각종 조절밸브 등을 구비하여 메인 윈치(20)의 내부와 일측, 당김용 윈치(40)의 내부와 일측, 리턴용 윈치(50)의 내부와 일측, 그리고 양측의 무한궤도(12)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각의 유압모터의 구조는 일반적인 것으로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당김용 윈치(40) 및 당김용 안내로울러(44)와, 리턴용 윈치(50) 및 리턴용 안내로울러(54)는 도 2에 도시된 기준선(C)에 대하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각도(α)를 유지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일정각도(α)는 운반부재(30)가 본체(10)에 근접했을 때 당김용 와이어(42)와 리턴용 와이어(52)와 당김용 윈치(40) 및 리턴용 윈치(50)가 직각 또는 이와 근접한 각도를 이루어 용이하게 감기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운반부재(30)가 본체(10)에 근접했을 때 당김용 와이어(42)와 리턴용 와이어(52)가 당김용 윈치(40) 및 리턴용 윈치(5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60)는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를 지지하여 지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전방부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가 지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여 각종 화물이 부양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 지지부재(60)는 본체(10)의 전방부 양측에 각 하단부가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62)와, 상기 지지부재(62)의 각 상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고 중앙에는 지지바(64A)가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64)과, 상기 지지 브라켓(64)의 타측에 각 상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로 결합되고, 각 하단부는 지면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판(66A)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중간부에는 길이조절수단이 설치된 한 쌍의 받침부재(66)와, 상기 지지바(64A)에 후크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를 안내하기 위한 지지용 안내로울러(68A), 상기 지지용 안내로울러(68A)의 하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당김용 와이어(42)를 안내하기 위한 당김용 지지로울러(68B), 상기 지지용 안내로울러(68A)의 하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리턴용 와이어(52)를 안내하기 위한 리턴용 지지로울러(68C)로 이루어진 안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62)와 받침부재(6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간부가 턴버클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이다. 이는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안착판(66A)과 받침부재(66)의 하단부는 십자조인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착판(66A)이 보다 다양한 지형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의한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받침부재(66)의 중간부가 분할되어 형성되고 관통공(66B)이 형성된 상부받침대(66C)와, 상기 받침부재(66)의 중간부가 분할되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장공(66D)이 형성된 하부받침대(66E)와, 상기 하부받침대(66E)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위치고정너트(66F)와, 상기 하부받침대(66E)에 삽입된 상부받침대(66C)의 관통공(66B)으로 끼워진 후 장공(66D)으로 돌출되어 상기 위치고정너트(66F)에 지지되는 위치고정핀(66G)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66)의 길이는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길이조절수단은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와 지면과의 거리를 조절할 경우 또는 지면이 고르지 못하여 각 받침부재(66)의 길이를 상이하게 할 경우에 사용될 것이고, 상기와 같은 구성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삽부재(70)는 도 1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배면에 결합된 브라켓이 본체(10)의 저면에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10)의 저면에 힌지로 축설된 유압실린더(72)의 작동단이 그 배면 중앙에 힌지로 축설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삽부재(70)는 구동수단의 삽부재 구동부에 의해 작동된다. 즉, 상기 삽부재 구동부는 유압실린더(72)를 작동시키도록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삽부재 제어밸브(74)와, 상기 삽부재 제어밸브(74)를 조작하기 위한 삽부재 조작레버(7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부재 조작레버(76)를 조작하여 상기 삽부재(70)가 선택적으로 지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운반부재(30)는 목재와 같은 화물을 매달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운반부재(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1)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31)의 상부측 내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축설되어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의 상부에 지지되는 한 쌍의 주행 로울러(32)와,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로울러(33)가 지지 플레이트(31)에 형성되는 장공(31A)을 관통하는 축(31B)에 의해 조절 브라켓(33A)에 설치되고, 상기 이탈방지 로울러(33)를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볼트(33B)가 조절 브라켓(33A)과 지지 플레이트(31)에 체결되는 조절부와, 상기 당김용 와이어(42) 및 리턴용 와이어(52)의 끝단이 고정되도록 지지 플레이트(3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고리(34)로 구성된다.
상기 당김용 와이어(42)는 본체(10)를 향한 연결고리(34)에 고정되고, 리턴용 와이어(52)의 끝단은 상기 당김용 와이어(42)가 설치된 연결고리(34)와 반대방향에 설치된 연결고리(34)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당김용 와이어(42)가 감겨지면 운반부재(30)는 본체(10)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리턴용 와이어(52)가 감겨지면 화물이 있는 위치, 즉 본체(10)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 플레이트(31)의 하부에는 목재와 같은 화물을 매달기 위한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으로, 로프, 와이어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 등의 일단은 지지 플레이트(31)에 고정되고, 타단에 화물이 묶여지거나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볼트(33B)를 조이게 되면 이탈방지 로울러(33)가 축(31B)에 의해 설치된 조절 브라켓(33A)이 장공(31A)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이탈방지 로울러(33)가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의 하부를 상부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주행 로울러(32)가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펌프(14)에 의해 발생된 유압을 주행 구동부로 제어하여 무한궤도(12)를 구동시키고, 메인 구동부로 메인 윈치(20)를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며, 당김용 구동부로 당김용 윈치(4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고, 리턴용 구동부로 리턴용 윈치(5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며, 삽부재 구동부로 삽부재(7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당김용 조작레버(47)와 리턴용 조작레버(57)는 도 1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분리되어 이동가능한 조작패널(80)에 설치되어 조작여부에 따라 각각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조작패널(80)은 당김용 윈치 제어밸브(46)와 리턴용 윈치 제어밸브(5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당김용 조작레버(47)와 리턴용 조작레버(57)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당김용 윈치 제어밸브(46)와 리턴용 윈치 제어밸브(56)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당김용 조작레버(47)와 리턴용 조작레버(57)는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조작패널(80)에 설치되고, 조작패널(80)은 대략 5m 이상의 길이를 갖는 전선에 의해 상기 당김용 윈치 제어밸브(46)와 리턴용 윈치 제어밸브(5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당김용 윈치 제어밸브(46)와 리턴용 윈치 제어밸브(56)는 원격조작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본체(10)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조작하도록 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작업전개 현황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60)는 상기 지지부재(62)가 회동가능하게 본체(10)에 설치되어 있고, 받침부재(66)도 지지 브라켓(6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1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접어 본체(10)의 상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안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엔진(16)을 작동시켜 유압펌프(14)를 구동시킨다. 상기 유압펌프(14)가 작동되면 상기 주행 조작스위치(18C)를 조작하여 상기 주행모드 제어밸브(18B)를 제어한다. 상기 주행모드 제어밸브(18B)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주행용 유압모터(18A)가 작동되어 무한궤도(12)가 구동되므로 본체(10)는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행 조작스위치(18C)의 조작에 의해 상기 주행용 유압모터(18A)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될 수 있으므로 본체(10)는 전진 후진 또는 방향전환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본체(10)의 이동이 완료되면, 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삽부재 조작레버(76)를 조작하여 삽부재 제어밸브(74)가 유압실린더(72)를 가압 작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72)가 가압되면 상기 삽부재(70)가 지면을 파고들기 때문에 본체(10)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삽부재(70)는 본체(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지면을 고르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의 위치가 고정되면, 와이어 지지부재(60)의 지지부재(62)를 세우고, 각 받침부재(66)를 지면에 설치한다. 즉, 상기 안착판(66A)이 지면에 안착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60)가 삼각뿔 형상을 이루도록 펼친다.
이때, 지면이 고르지 않아 양측의 받침부재(66)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면, 다음과 같이 길이조절수단을 조작하여 받치부재(66)의 길이를 조절한다.
즉, 하부받침대(66E)에 체결된 위치고정너트(66F)를 회전시켜 그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상부받침대(66C)를 하부받침대(66E)에 삽입시키되 상기 관통공(66B)이 장공(66D)에 일치되면 상기 위치고정핀(66G)을 끼워 장공(66D)으로 돌출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위치고정핀(66G)이 장공(66D)으로 돌출되면, 상기 위치고정너트(66F)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위치고정너트(66F)를 정/역회전 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위치고정핀(66G)은 상,하부로 이동되어 받침부재(66)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와이어 지지부재(60)가 펼쳐지면 상기 안내부의 지지용 안내로울러(68A)를 후크를 이용하여 지지 브라켓(64)의 지지바(64A)에 걸어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를 지지용 안내로울러(68A)로 관통시키고, 운반부재(30)를 관통시킨 후 그 끝단을 목재가 있는 장소의 고정물에 고정한다. 이때,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의 끝단이 고정 설치되는 고정물에는 지지로울러(5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가 운반부재(30)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주행 로울러(32)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조절볼트(33B)를 조이거나 풀어 이탈방지 로울러(33)가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를 하부에서 주행 로울러(32) 측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이러한 작용으로 상기 운반부재(30)는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30)에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당김용 와이어(42)의 끝단을 당김용 지지로울러(68B)로 통과시킨 후 본체(10) 측 연결고리(34)에 고정하고, 리턴용 와이어(52)는 리턴용 지지로울러(68C)를 통과시키고 고정물 측의 지지로울러(51)를 통과시킨 후 그 반대측 연결고리(34)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윈치 구동부의 메인 윈치 조작레버(28)를 조작하여 메인 윈치 제어밸브(26)가 메인 유압모터(24)를 역회전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유압모터(24)가 작동되면 상기 메인 윈치(20)는 역회전되어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를 당기게 된다. 따라서,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60)에 의해 지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 윈치(20)가 다시 풀리지 않도록 브레이크장치를 작동시킨다. 상기 브레이크장치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와 같은 윈치에 통상으로 사용되는 래치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가 팽팽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운반부재(30)는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에 안내되고, 당김용 윈치(40) 및 리턴용 윈치(50)의 작동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운반부재(30)를 목재가 있는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리턴용 조작레버(57)를 조작하여 상기 리턴용 유압모터(55)가 정회전되도록 리턴용 윈치 제어밸브(56)를 제어한다. 상기 리턴용 유압모터(55)가 정회전되면 상기 리턴용 윈치(50)가 정회전되어 리턴용 와이어(52)를 감게 된다. 이와 동시에 당김용 조작레버(47)를 조작하여 당김용 유압모터(45)가 역회전되도록 당김용 윈치 제어밸브(46)를 제어한다. 상기 당김용 유압모터(45)가 역회전되면 당김용 윈치(40)가 역회전되어 당김용 와이어(42)는 풀리게 된다.
즉, 상기 리턴용 와이어(52)를 감으면서 당김용 와이어(42)는 풀어 운반부재(30)가 도 4a,4b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고정물 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당김용 구동부 및 리턴용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작패널(80)을 몸에 착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며 상기 리턴용 조작레버(57)와 당김용 조작레버(47)를 조작하게 되므로 운반부재(30)의 이동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상기 운반부재(30)는 목재가 있는 위치, 즉 고정물까지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를 타고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운반부재(30)에 로프나 와이어 또는 이에 상응하는 매다는 수단을 이용하여 목재를 매달아 고정한 후 당김용 조작레버(47)와 리턴용 조작레버(57)를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작하여 당김용 윈치(40)는 감김 작동되도록 하고, 리턴용 윈치(50)는 풀림 작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 당김용 조작레버(47)를 조작하여 당김용 유압모터(45)가 정회전되도록 당김용 윈치 제어밸브(46)를 제어한다. 상기 당김용 유압모터(45)가 정회전되면, 당김용 윈치(40)가 정회전되어 당김용 와이어(42)가 감기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리턴용 조작레버(57)를 조작하여 상기 리턴용 유압모터(55)가 역회전되도록 리턴용 윈치 제어밸브(56)를 제어한다. 리턴용 유압모터(55)가 역회전되면 리턴용 윈치(50)가 역회전되어 리턴용 와이어(52)를 풀게 된다.
이와 같이 당김용 윈치(40)가 당김용 와이어(42)를 감아 당기고, 이와 동시에 리턴용 윈치(50)가 리턴용 와이어(52)를 풀게 되면 상기 운반부재(30)는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를 타고 도 4a,4b에 실선으로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본체(10) 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당김용 와이어(42)는 당김용 지지로울러(68B)에 지지된 후 당김용 안내로울러(44)에 안내되어 당김용 윈치(40)에 감기게 되는데, 상기 당김용 윈치(40)와 당김용 안내로울러(44)가 리턴용 윈치(50) 측으로 비틀어지도록 전방측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당김용 와이어(42)는 당김용 윈치(40)에 골고루 감기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상기 리턴용 윈치(50)에서도 일어난다. 즉, 리턴용 윈치(50)와 리턴용 안내로울러(54)가 상기 당김용 윈치(40) 측으로 비틀어지도록 전방측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리턴용 와이어(52)의 감김이나 풀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60)의 안내부가 리턴용 윈치(50)와 당김용 윈치(40) 사이의 전방측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리턴용 와이어(52)와 리턴용 윈치(50) 그리고 당김용 와이어(42)와 당김용 윈치(40)가 직각을 유지하거나 직각에 근접한 각을 유지하도록 하여 와이어가 윈치의 일측에 편중되어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당김용 와이어(42)가 당김용 윈치(40)와 직각을 유지하고, 당김용 와이어(42)가 당김용 안내로울러(44)에 지지된 상태에서 당김용 안내로울러(44)가 당김용 안내바(44A)에서 슬라이딩되어 좌,우로 이동하게 되므로 당김용 와이어(42)는 일측에 편중되지 않고 골고루 감기게 되는 것이다.
상기 리턴용 안내로울러(54)도 리턴용 안내바(54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상기 리턴용 와이어(52)도 리턴용 윈치(50)에 골고루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작업의 반복으로 목재와 같은 화물은 운반부재(30)에 매달려 신속하고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메인 윈치(20)와 와이어 지지부재(60)가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를 스카이 라인으로 형성하고, 이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에 목재를 매달 수 있는 운반부재(30)를 설치하며, 이 운반부재(30)를 당김용 윈치(40)와 리턴용 윈치(50)로 작동시킴으로써 목재를 공중으로 이동시켜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5a,5b는 본 발명에 의한 운반부재(3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운반부재(30)는 상기 당김용 와이어(42)의 끝단에 목재와 같은 화물을 매달아 공중으로 띄움과 동시에 지지 플레이트(31)를 본체(10) 측으로 당기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당김용 와이어(42)가 연결고리(34)에 고정되지 않고, 목재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운반부재(3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31)의 내부에 설치되어 당김용 와이어(42)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 로울러(35)와, 상기 고정 로울러(35)에 지지되는 당김용 와이어(42)가 고정 로울러(35)의 하부측에서는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당김용 와이어(42)가 관통되는 지지공(36A)을 구비하여 지지 플레이트(31) 내부에 설치되는 위치고정부재(36)와, 끝단에 화물이 설치되는 당김용 와이어(42)의 끝부분에서 일정부분 상부측에 고정되는 멈춤쇠(37)와, 상기 멈춤쇠(37)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38A)이 외주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8A)에는 당김용 와이어(42)가 관통 설치되기 위한 멈춤장공(38B)이 형성되어 당김용 와이어(42)의 당김시 멈춤쇠(37)가 안착홈(38A)에 삽입되어 당김을 정지시키도록 지지 플레이트(31)의 내측 하부에 축설되며 안착홈(38A)의 반대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 플레이트(31)에 고정되어 복원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38A)를 구비한 멈춤부재(38)와, 상기 걸림턱(39A)을 구비한 고정부재(39B)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31)의 하부 외측에 멈춤부재(38)와 동일 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걸림턱(39A)을 걸림/해제시키기 위한 걸림단(39C)을 구비하여 상기 멈춤쇠(37)가 안착홈(38A)에 삽입될 때 걸림턱(39A)이 걸림단(39C)에 걸리도록 하여 고정부재(39A)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하강레버(39D)가 지지 플레이트(31)에 축설되는 하강부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위치고정부재(36)는 상기 지지공(36A)을 각각 구비하여 수평방향으로 개구되는 삽입홈(36C)이 형성되도록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설치판(36B)과, 상기 당김용 와이어(42)가 관통되도록 위치고정공(36D)을 구비하여 상기 삽입홈(36C)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체용 지지판(36E)을 더 구비한다.
상기 하강레버(39D)의 끝단에는 홈을 형성하여 지상에서 하강레버(39D)를 당겨 작동시킬 수 있는 당김부재(39G)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운반부재(30)를 이용하여 화물, 특히 목재를 운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당김용 와이어(42)의 끝단을 고정 로울러(35)에 지지되도록 하고, 위치고정부재(36)의 설치판(36B)에 형성된 지지공(36A)과 삽입홈(36C)에 설치된 교체용 지지판(36E)의 위치고정공(36D)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어서, 멈춤부재(38)의 멈춤장공(38B)를 통과시킨 후 올가미를 형성하고, 올가미와 멈춤부재(38) 사이에 위치하는 당김용 와이어(42)에 멈춤쇠(37)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교체용 지지판(36E)은 위치고정공(36D)이 마찰로 인하여 확장되어 당김용 와이어(42)를 안정되게 지지하지 못할 경우에 정상적인 위치고정공(36D)이 형성된 교체용 지지판(36E)과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강레버(39D)는 상기 걸림단(39C)이 고정부재(39B)의 외주연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 5a,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스프링의 일단은 하강레버(39D)에 설치되고, 타단은 지지 플레이트(31)에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강레버(39D)의 걸림단(39C)는 항상 고정부재(39B)의 외주연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당김용 와이어(42)의 끝단에 형성된 올가미에 목재를 고정시킨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당김용 윈치(40)를 작동시켜 당김용 와이어(42)를 감아 당기고, 리턴용 윈치(50)를 작동시켜 리턴용 와이어(52)가 풀리도록 한다.
상기 당김용 윈치(40)가 당김용 와이어(42)를 당기게 되면,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용 와이어(42)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쇠(37)가 안착홈(38A)으로 삽입되면서 멈춤장공(38B)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고정부재(36)는 당김용 와이어(42)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멈춤쇠(37)가 안착홈(38A)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하여 당김용 와이어(42)를 당기게 되면 상기 멈춤부재(3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멈춤쇠(37)가 완전하게 안착홈(38A)에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멈춤부재(38)와 동일한 축으로 설치된 고정부재(39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걸림턱(39A)이 하강레버(39D)의 걸림단(39C)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당김용 와이어(42)의 당김은 정지되나, 그 대신에 지지 플레이트(31) 자체가 본체(1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당김용 와이어(42)의 끝단에 목재를 고정시키고, 당김용 윈치(40)를 작동시켜 당기는 것만으로 목재가 매달리게 됨과 동시에 운반부재(30)가 본체(10)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함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어서, 목재의 운반이 완료되면 리턴용 윈치(5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당김용 윈치(40)의 작동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강레버(39D)에 설치된 당김부재(39G)를 첨부된 도면중에서 5c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 상기 걸림턱(39A)의 걸림을 해제시킨다.
상기 걸림턱(39A)이 걸림단(39C)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고정부재(39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멈춤부재(38)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홈(38A)이 하방을 향하게 되므로 멈춤쇠(37)는 안착홈(38A)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목재의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지면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 당김용 와이어(42)가 고정 로울러(35)와 위치고정부재(36) 및 멈춤장공(38B)에 마찰되므로 자중에 의해 서서히 하방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목재의 운반이 완료된다.
다시 운반부재(30)를 목재가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당김용 윈치(40)를 작동시켜 상기 멈춤쇠(37)가 전술한 과정에 의해 안착홈(38A)에 삽입되어 올가미가 공중에 띄워진 상태가 되도록 한 후 당김용 윈치(40)를 푸는 동작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리턴용 윈치(50)를 감는 동작으로 작동시켜 상기 운반부재(30)가 리턴용 윈치(50)의 감는 동작에 의해 목재가 위치한 장소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작업의 반복으로 목재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집재장치는 상기 엔진(16)이 본체(10)의 전방측 또는 중간측으로 이동하고, 메인 윈치(20)가 후방측으로 이동된 구성을 갖는다. 즉, 중량체인 엔진(16)과 유압펌프 등을 본체(10)의 전방부로 이동시킴으로써 메인 윈치(20)의 작동시 본체(10)의 전방부가 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집재장치는 목재와 같은 화물을 공중으로 띄워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각 윈치를 윈치 고유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중량물을 당겨 이동시킬 경우에 메인 윈치(20), 당김용 윈치(40), 리턴용 윈치(50)의 각 와이어(22,42,52)를 중량물에 고정한 후 각 윈치(20,40,50)를 동시에 구동시켜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필요한 윈치만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는 복수개의 윈치를 이용하여 목재와 같은 화물을 공중에 띄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체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무한궤도를 구비하여 험준한 산악지역에서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패널을 착용한 상태에서 각 윈치를 조작할 수 있어서 원격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집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유압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4a,4b는 도 1에 도시된 집재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4a는 평면도이고, 4b는 측면도.
도 5a,5b,5c는 본 발명에 의한 운반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5a는 사시도이고, 5b,5c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도 5a에 도시된 운반부재가 적용된 집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집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무한궤도
14 : 유압펌프 16 : 엔진
20 : 메인 윈치 22 :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
30 : 운반부재 40 : 당김용 윈치
42 : 당김용 와이어 50 : 리턴용 윈치
52 : 리턴용 와이어 60 : 와이어 지지부재
70 : 삽부재 72 : 유압실린더

Claims (14)

  1.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가 감겨지도록 형성되어 본체(10)에 설치되는 메인 윈치(20);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를 지면과 이격시켜 스카이 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와이어 지지부재(60);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운반부재(30);
    상기 운반부재(30)를 당겨오기 위한 당김용 와이어(42)가 감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당김용 윈치(40);
    상기 당김용 윈치(40)와 반대로 작동되어 상기 운반부재(30)를 보내기 위한 리턴용 와이어(52)가 감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리턴용 윈치(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
  2. 저면에 한 쌍의 무한궤도(12)가 설치되고, 유압펌프(14)를 작동시키기 위한 엔진(16)이 설치된 본체(10);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가 감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메인 윈치(20);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에 설치되어 운반부재(30)를 당기기 위한 당김용 와이어(42)가 감기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고, 당김용 와이어(42)를 안내하기 위한 당김용 안내로울러(44)를 구비한 당김용 윈치(40);
    일단이 상기 운반부재(30)에 고정되고 고정물에 설치되는 지지로울러(51)에 안내되어 운반부재(30)가 본체(1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리턴용 와이어(52)가 감기도록 형성되어 상기 당김용 윈치(40)와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리턴용 와이어(52)를 안내하기 위한 리턴용 안내로울러(54)를 구비한 리턴용 윈치(50);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를 지지하여 지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전방부 양측에 설치되는 와이어 지지부재(60);
    유압실린더(72)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본체(10)의 전방부 저면에 상,하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삽부재(70);
    상기 유압펌프(14)에 의해 발생된 유압으로 상기 무한궤도(12)를 구동시켜 본체(10)를 이동시키고,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메인 윈치(20)를 구동시키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에 설치된 운반부재(30)가 이동되도록 당김용 윈치(40) 및 리턴용 윈치(50)를 각각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유압실린더(72)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당김용 윈치(40)와 리턴용 윈치(50)는 전방측을 기준하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각도를 유지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당김용 안내로울러(44)와, 리턴용 안내로울러(54)는 당김용 안내바(44A)와 리턴용 안내바(54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부재(60)는 본체(10)의 전방부 양측에 각 하단부가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62);
    상기 지지부재(62)의 각 상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고, 중앙에는 지지바(64A)가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64); 및
    상기 지지 브라켓(64)의 타측에 각 상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힌지로 결합되고, 각 하단부는 지면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판(66A)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중간부에는 길이조절수단이 설치된 한 쌍의 받침부재(66); 및
    상기 지지바(64A)에 설치되어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를 안내하기 위한 지지용 안내로울러(68A), 상기 지지용 안내로울러(68A)의 하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당김용 와이어(42)를 안내하기 위한 당김용 지지로울러(68B), 상기 지지용 안내로울러(68A)의 하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리턴용 와이어(52)를 안내하기 위한 리턴용 지지로울러(68C)로 이루어진 안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받침부재(66)의 중간부가 분할되어 형성되고 관통공(66B)이 형성된 상부받침대(66C);
    상기 받침부재(66)의 중간부가 분할되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장공(66D)이 형성된 하부받침대(66E);
    상기 하부받침대(66E)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위치고정너트(66F); 및
    상기 하부받침대(66E)에 삽입된 상부받침대(66C)의 관통공(66B)으로 끼워진 후 장공(66D)으로 돌출되어 상기 위치고정너트(66F)에 지지되는 위치고정핀(66G);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
  7.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재(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1);
    상기 지지 플레이트(31)의 상부측 내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축설되어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의 상부에 지지되는 한 쌍의 주행 로울러(32);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로울러(33)가 지지 플레이트(31)에 형성되는 장공(31A)에 축(31B)으로 설치되고, 상기 축(31B)은 조절 브라켓(33A)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이탈방지 로울러(33)를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볼트(33B)가 조절 브라켓(33A)과 지지 플레이트(31)에 체결되는 조절부; 및
    상기 당김용 와이어(42) 및 리턴용 와이어(52)의 끝단이 고정되도록 지지 플레이트(3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고리(3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재(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고, 일측에는 리턴용 와이어(52)가 고정되는 연결고리(34)가 설치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31);
    상기 지지 플레이트(31)의 상부측 내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축설되어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의 상부에 지지되는 한 쌍의 주행 로울러(32);
    상기 스카이 라인용 와이어(22)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로울러(33)가 지지 플레이트(31)에 형성되는 장공(31A)에 축(31B)으로 설치되고, 상기 축(31B)은 조절 브라켓(33A)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이탈방지 로울러(33)를 상,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볼트(33B)가 조절 브라켓(33A)과 지지 플레이트(31)를 연결하여 체결되는 조절부;
    상기 지지 플레이트(31)의 내부에 설치되어 당김용 와이어(42)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 로울러(35);
    상기 고정 로울러(35)에 지지되는 당김용 와이어(42)가 고정 로울러(35)의 하부측에서는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당김용 와이어(42)가 관통되는 지지공(36A)을 구비하여 지지 플레이트(31) 내부에 설치되는 위치고정부재(36);
    끝단에 화물이 설치되는 당김용 와이어(42)에 고정되는 멈춤쇠(37);
    상기 멈춤쇠(37)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38A)이 외주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8A)에는 당김용 와이어(42)가 관통되기 위한 멈춤장공(38B)이 형성되어 지지 플레이트(31)의 내측 하부에 축설되며, 리턴 스프링(38A)이 설치되는 멈춤부재(38);
    상기 걸림턱(39A)을 구비한 고정부재(39B)가 지지 플레이트(31)의 하부 외측에 멈춤부재(38)와 동일 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걸림턱(39A)을 걸림/해제시키기 위한 걸림단(39C)이 일단에 형성된 하강레버(39D)가 지지 플레이트(31)에 축설되며, 상기 하강레버(39D)가 고정부재(39B) 측으로 치우치도록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39F)가 하강레버(39D)와 지지 플레이트(31)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하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재(36)는 상기 지지공(36A)을 각각 구비하여 수평방향으로 개구되는 삽입홈(36C)이 형성되도록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설치판(36B);
    상기 당김용 와이어(42)가 관통되도록 위치고정공(36D)을 구비하여 상기 삽입홈(36C)에 설치되는 교체용 지지판(36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강레버(39D)의 끝단에는 당김부재(39G)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윈치(20)에 설치된 메인 유압모터(24), 상기 메인 유압모터(24)가 메인 윈치(20)를 구동시키도록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윈치 제어밸브(26), 상기 메인 윈치 제어밸브(26)를 조작하기 위한 메인 윈치 조작레버(28)로 이루어진 메인 윈치 구동부:
    상기 당김용 윈치(40)에 설치된 당김용 유압모터(45), 상기 당김용 유압모터(45)가 당김용 윈치(40)를 구동시키도록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당김용 윈치 제어밸브(46), 상기 당김용 윈치 제어밸브(46)를 조작하기 위한 당김용 조작레버(47)로 이루어진 당김용 구동부: 및
    상기 리턴용 윈치(50)에 설치된 리턴용 유압모터(55), 상기 리턴용 유압모터(55)가 리턴용 윈치(20)를 구동시키도록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리턴용 윈치 제어밸브(56), 상기 리턴용 윈치 제어밸브(56)를 조작하기 위한 리턴용 조작레버(57)로 이루어진 리턴용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무한궤도(12)의 구동부에 설치된 주행용 유압모터(18A), 상기 주행용 유압모터(18A)가 무한궤도(12)를 구동시키도록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주행모드 제어밸브(18B), 상기 주행모드 제어밸브(18B)를 조작하기 위한 주행 조작스위치(18C)로 이루어진 주행부:
    상기 유압실린더(72)를 작동시키도록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삽부재 제어밸브(74), 상기 삽부재 제어밸브(74)를 조작하기 위한 삽부재 조작레버(76)로 이루어진 삽부재 작동부;
    상기 메인 윈치(20)에 설치된 메인 유압모터(24), 상기 메인 유압모터(24)가 메인 윈치(20)를 구동시키도록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윈치 제어밸브(26), 상기 메인 윈치 제어밸브(26)를 조작하기 위한 메인 윈치 조작레버(28)로 이루어진 메인 윈치 구동부:
    상기 당김용 윈치(40)에 설치된 당김용 유압모터(45), 상기 당김용 유압모터(45)가 당김용 윈치(40)를 구동시키도록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당김용 윈치 제어밸브(46), 상기 당김용 윈치 제어밸브(46)를 조작하기 위한 당김용 조작레버(47)로 이루어진 당김용 구동부: 및
    상기 리턴용 윈치(50)에 설치된 리턴용 유압모터(55), 상기 리턴용 유압모터(55)가 리턴용 윈치(20)를 구동시키도록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리턴용 윈치 제어밸브(56), 상기 리턴용 윈치 제어밸브(56)를 조작하기 위한 리턴용 조작레버(57)로 이루어진 리턴용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당김용 조작레버(47)와 리턴용 조작레버(57)는 본체(10)와 분리되어 이동가능한 조작패널(80)에 설치되고,
    상기 당김용 조작레버(47)와 리턴용 조작레버(57)의 조작여부에 따라 각각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조작패널(80)은 당김용 윈치 제어밸브(46)와 리턴용 윈치 제어밸브(5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당김용 조작레버(47)와 리턴용 조작레버(57)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당김용 윈치 제어밸브(46)와 리턴용 윈치 제어밸브(56)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80)은 착용부재(8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부양식 집재장치.
KR1020030090340A 2003-12-11 2003-12-11 공중 부양식 집재 장치 KR20050058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340A KR20050058089A (ko) 2003-12-11 2003-12-11 공중 부양식 집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340A KR20050058089A (ko) 2003-12-11 2003-12-11 공중 부양식 집재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714U Division KR200343028Y1 (ko) 2003-12-11 2003-12-11 공중 부양식 집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089A true KR20050058089A (ko) 2005-06-16

Family

ID=37251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340A KR20050058089A (ko) 2003-12-11 2003-12-11 공중 부양식 집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808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55B1 (ko) * 2007-03-28 2007-10-17 박호진 트랙터에 결합되는 타워형 집재기
KR100798476B1 (ko) * 2006-12-22 2008-01-28 대한민국 벌채목 공중 집재기
KR100866416B1 (ko) * 2007-05-11 2008-11-03 이재필 집재장치
KR100866689B1 (ko) * 2008-03-24 2008-11-04 박동화 집재용 권양기
KR100908678B1 (ko) * 2008-01-03 2009-07-22 대한민국 스마트 집재기
CN105409605A (zh) * 2015-12-28 2016-03-23 熊生银 园林修剪长手
KR102634479B1 (ko) * 2023-04-27 2024-02-07 대한민국 임업용 운송수단에 사용되는 와이어 자동이탈 도르래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476B1 (ko) * 2006-12-22 2008-01-28 대한민국 벌채목 공중 집재기
KR100767755B1 (ko) * 2007-03-28 2007-10-17 박호진 트랙터에 결합되는 타워형 집재기
KR100866416B1 (ko) * 2007-05-11 2008-11-03 이재필 집재장치
KR100908678B1 (ko) * 2008-01-03 2009-07-22 대한민국 스마트 집재기
KR100866689B1 (ko) * 2008-03-24 2008-11-04 박동화 집재용 권양기
CN105409605A (zh) * 2015-12-28 2016-03-23 熊生银 园林修剪长手
KR102634479B1 (ko) * 2023-04-27 2024-02-07 대한민국 임업용 운송수단에 사용되는 와이어 자동이탈 도르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6712B2 (en) Logging carriage with towline-operated grapple
JP3162428U (ja) 集材装置
JP2021528342A (ja) 2本ロープ式運転および3本ロープ式運転において牽引ロープまたは巻上げロープをそれぞれ強制的に繰り出す汎用キャリッジ
KR100866689B1 (ko) 집재용 권양기
US7568876B1 (en) Portable log skidder
KR20050058089A (ko) 공중 부양식 집재 장치
CN213140288U (zh) 一种斜拉加悬索组合桥架双绳轨运输线
KR100913294B1 (ko) 굴삭기를 이용한 타워 집재기
KR102109038B1 (ko) 해저 폐기물 인양장치
KR200343028Y1 (ko) 공중 부양식 집재 장치
KR100855452B1 (ko) 트랙터 부착형 타워 집재기
KR100689012B1 (ko)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JP6040446B2 (ja) 運搬用吊り滑車機構および吊り滑車機構使用の運搬方法
KR200388218Y1 (ko)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US3033526A (en) Portable logging tower
KR200386093Y1 (ko) 원목 운반용 캐리어
KR101471867B1 (ko) 굴삭기를 이용한 집재장치
JP2020083485A (ja) チェーン式集材システム
US3712478A (en) Log yarding system and method
JP2010247920A (ja) 自走車と搬送装置それらを用いた伐採材の搬出方法
US4735327A (en) Radio controlled downhill skyline logging carriage and system
US6167928B1 (en) Helicopter logging system
KR200386089Y1 (ko)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JP3188742U (ja) 集材用の簡易設置型電動ウインチ
KR100767755B1 (ko) 트랙터에 결합되는 타워형 집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