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218Y1 -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 Google Patents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218Y1
KR200388218Y1 KR20-2005-0008239U KR20050008239U KR200388218Y1 KR 200388218 Y1 KR200388218 Y1 KR 200388218Y1 KR 20050008239 U KR20050008239 U KR 20050008239U KR 200388218 Y1 KR200388218 Y1 KR 200388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ch drum
cable
towing
winch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중
이병호
Original Assignee
이병호
김관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호, 김관중 filed Critical 이병호
Priority to KR20-2005-0008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2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1/00Cable cranes, i.e. comprising hoisting devices running on aerial cabl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06Power actuated devices operating on ropes, cables, or chains for hauling in a mainly horizont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66D3/06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with more than one pulley
    • B66D3/08Arrangements of she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66D3/06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with more than one pulley
    • B66D3/10Applications of braking or det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 B66D2700/0166Winches with multiple drums or with drums with multiple parts of different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66D2700/0191Cable guiding during winding or paying 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 상면에 설치되며 소정의 고정물에 고정하여 공중에 설치된 가선 케이블을 타고 이동하는 운반부재를 잡아 당겨 본체로 진행시키기 위한 견인용 케이블이 감겨지고 풀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견인용 윈치 드럼, 상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운반부재를 소정의 위치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용 케이블이 감겨지고 풀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반송용 윈치 드럼, 상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과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엔진, 상기 구동 엔진과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을 연결시키고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과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을 각각 연결시키는 벨트부, 및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과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 측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에서 상기 반송용 윈치드럼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여 고가의 대형기계가 접근할 수 없는 좁은 작업지역이나 밀집된 임목들이 자리한 경사지역에도 작업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Small cable winch for timbers}
본 고안은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인 윈치 드럼, 반송 윈치 드럼을 선택 구동하여 임내에 형성된 지주목에 공중 가설된 케이블 라인을 통하여 목재 및 화물을 공중 운반할 수 있는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산림은 대부분 20도 이상의 경사가 급한 산악지이므로 임도 개설 없이는 벌목작업에 필요한 차량이나 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실정이며, 이로 인해 대부분의 작업을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산림에서 기계톱으로 벌목 조재한 통나무 원목들을 집재 장소로 하산 집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대개 숙련된 벌목부들이 일일이 무거운 원목들을 어깨에 메고 내려오거나 지렛대로 일일이 밀어서 이동시켰다.
현재는 산림작업용으로 현대식 집재 장비를 수입하여 많이 사용하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가선집재장비, 트랙터 집재기, 소형임내차, 소형원치, 플라스틱 수라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집재기란 동력을 사용하여 원목 또는 장작과 숯을 담아 올리거나 공중에서 운반하는 설비를 말한다.
그런데, 이중 가선(架線) 집재장비는 임도가 개설되어 있고 집재기 설치장소의 토장면적이 최소 100m2 정도의 면적이 필요하며, 경사지에서 작업이 가능하나 임도에서만 이동이 가능하고 자체 주행능력이 없어서 트랙터 등으로 견인하여야 하므로 능률이 떨어지면서도 조작이 어려워 숙련자만이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트랙터에 원치를 탑재한 트랙터 집재기의 경우에는 트랙터가 주행 가능한 완만한 경사지형이거나 임도, 작업로 등이 설치되어있는 경우에만 작업이 가능하며 급경사지역에서 사용할 수가 없었다.
또한, 국내에 보급된 대부분의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는 도1에 도시된 실용신안공개 제92-18861호에 제안된 바와 같이, 원동기(5)와 감속기를 탑재 고정시킨 집재기에 있어서, 전, 후단에 로우프공(2)과 걸고리(3)(4)를 형성한 기체(1)를 보우트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감속기의 회전축상에 와이어로프(8')가 권취된 드럼(8)을 설치하며, 회전축의 선단에 기어를 결합여 회전휠(9)을 고정함과 동시에 기어에는 드럼(8)의 내주면에 고정된 내치기어에 치합시키는 한편, 상기 회전휠(9)에는 작동간(12)과 결합된 클러치라이닝(10)을 설치하되 이 작동간(12)을 기체(1)후방으로 핸들(13)과 함께 축핀작동링크(16)로 연설하고, 핸들(13)의 파지부(19)에 설치된 클러치(20)와 와이어(20')를 작동간(12)에 연결하며, 핸들(13)의 일측에는 괘지봉(18)을 현설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것 역시 자체 이동능력이 없으면서도 임목을 지면으로 끌고 오기 때문에 소음과 진동이 심하고 고장이 잦아 대부분의 작업자들이 사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이는 견인력이 0.8톤 미만이어서 소경목의 단거리 집재에만 사용가능하고, 드럼에 권회된 견인 와이어를 벌채된 원목의 위치까지 일일이 작업자가 갖고 가야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작업능률이 떨어지므로 단거리 집재에 보조작업 수단으로만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현재 원목의 하산 집재 작업은 대부분 인력위주로 작업하고 있었고, 이로 인하여 목재를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는 집재장치의 보급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임내에 형성된 지주목을 활용하여 공중 가설된 케이블을 사용한 가선 집재방법에 의해서, 견인용 윈치와 반송용 윈치에서 운반부재의 이동을 제어하여 계곡과 같이 경사진 산악지역에서도 목재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가의 대형기계가 접근할 수 없는 좁은 작업지역이나 밀집된 임목들이 자리한 경사지역에도 접근하여 목재의 운반을 가능하게 하는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는, 본체 상면에 설치되며 소정의 고정물에 고정하여 공중에 설치된 가선 케이블을 타고 이동하는 운반부재를 잡아 당겨 본체로 진행시키기 위한 견인용 케이블이 감겨지고 풀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견인용 윈치 드럼, 상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운반부재를 소정의 위치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용 케이블이 감겨지고 풀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반송용 윈치 드럼, 상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과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엔진, 상기 구동 엔진과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을 연결시키고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과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을 각각 연결시키는 벨트부, 및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과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 측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에서 상기 반송용 윈치드럼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에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벨트부의 벨트가 결합되는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의 벨트 풀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동력전달기어, 상기 동력전달기어로 횡방향 이동하여 상기 동력전달기어에 결합되거나 이탈되는 슬립형 단속기어, 상기 슬립형 단속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슬립형 단속기어를 횡방향 이동시키는 기어 포크, 및 상기 기어포크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전달기어로 이동된 슬립형 단속기어를 원래 위치로 회복시키는 동력차단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에서,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과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에는 감겨진 상기 케이블이 부풀려지면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풀림방지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에 있어서,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과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에 감기고 풀리는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케이블 안내대가 상기 본체 전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안내대는 한 쌍의 가로 바와 한 쌍의 세로 바가 각각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에 있어서,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에는 케이블의 급격한 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동수단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쌍의 블레이드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2a, 2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의 사시도와 평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본체의 배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2a, 도2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는 엔진(36), 견인용 윈치 드럼(34), 반송용 윈치 드럼(32)이 본체(31) 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34), 반송용 윈치 드럼(32)에는 각각 견인용 케이블(47)과 반송용 케이블(50)이 권취되어 있다.
도4에서, 상기 견인용 케이블(47)과 반송용 케이블(50)은 임내에 있는 지주목(43)에 설치된 견인용 케이블 고정 도르레(44)와 반송용 케이블 고정 도르레(45)를 거쳐 각각 운반부재(60)의 소정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운반부재(60)는 원목을 들어올려서 이송하는 장치로서 상기 운반부재(60)는 가선 방법을 사용한 이송 방식에 따라 상기 운반부재(60)를 이송 안내하는 스카이라인(40)이 맨 상부에 가설되고 상기 운반부재(60)에 견인된 원목(66)을 끌어당기는 견인용 케이블(47)은 상기 집재기(30)의 견인용 드럼(32)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운반부재(60)의 소정 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견인용 드럼(32)의 회전력에 의하여 견인되어 상기 운반부재(60)를 상기 스카이라인을 따라서 원하는 집재장소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원목(66)이 모두 내려진 후 다시 운반부재(60)의 소정부분에 연결 고정된 반송용 케이블(50)은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32)이 회전되어 권취됨에 의하여 상기 운반부재(60)를 다시 벌목장소까지 반송하게 된다.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34)에 연결된 케이블과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34)에 연결된 케이블은 서로 번갈아가면서 상기 드럼(32, 34)에 권취된다.
즉, 상기 견인용 케이블(47)에 의하여 상기 운반부재(60)가 끌려오면서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34)에 케이블이 권취될 때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32)에 권취된 반송용 케이블(50)은 서서히 풀려지게 된다.
또한, 반송용 케이블(50)에 의하여 상기 운반부재(60)가 상기 벌목장소로 다시 반송되면서 상기 반송용 케이블(50)이 상기 반송용 드럼(32)에 권취될 때에는 상기 견인용 케이블(47)이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34)에서 풀려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엔진(36)에서 발생되어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32)과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34)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서로 교대로 구동되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도2a, 도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력의 전달을 조절하고 있다.
도2a를 참조하면, 상기 집재기(30)의 회전 구동력은 엔진(36)에서 발생하여 상기 엔진(36)에 연결된 제1구동풀리(38a)에서 구동벨트(38)를 통해서 일단 견인용 드럼(34)측에 설치된 제2구동풀리(39a)로 전달되어 내부에 설치된 연결부재를 통해 제1종동부(34a)를 회전시켜 상기 견인용 드럼(34)을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력은 견인용 드럼(34)에 설치된 제2구동풀리(39a)에서 또 다른 구동벨트(39)를 통해서 상기 반송용 드럼(32) 후방에 축설된 제3구동풀리(39b)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력은 상기 반송용 드럼(32)에 형성된 제2종동풀리(42a)를 회전시켜서 결국 반송용 드럼(32)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회전력에 의한 견인용 드럼(34)의 회전은 도2b에 도시된 기어결합부(34b)가 작동될 때에만 회전력이 전달되어 견인용 윈치 드럼(34)이 회전하면서 견인용 케이블(47)을 권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어결합부(34b)의 동작은 본체(31)에서 상부로 연결된 조향작동 손잡이(35)를 뒤로 잡아당기면서 상기 기어결합부(34b)가 작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32)의 회전은 클러치부(130)가 작동하여 기어가 결합되어야만 상기 제3구동풀리(39b)와 체인(42)에 의해 연결된 상기 제2종동풀리(42a)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인(42)은 필요에 따라서는 고무 벨트 등 기타 연결부재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부(130)는 상기 벨트부의 벨트(39)가 결합되는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32)의 벨트 풀리(39b)에서 연장되며 후술하는 슬립형 단속기어(134)와 결합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기어부(도시안됨)가 형성되어 있는 동력전달기어(132)와, 상기 동력전달기어(132)쪽으로 횡방향 이동하여 상기 동력전달기어(132)에 결합되거나 이탈되는 슬립형 단속기어(134), 상기 슬립형 단속기어(134)에 연결되어 상기 슬립형 단속기어(134)를 횡방향 이동시키는 기어 포크(136) 및 상기 기어포크(136)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전달기어(132)로 이동된 슬립형 단속기어(134)를 원래 위치로 회복시키는 동력차단 복원 스프링(138)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차단 복원 스프링(138)은 집재기 본체(31) 후미에 설치된 페달(41a)과 연결되어 상기 페달(41a)을 밟으면 상기 복원 스프링(138)과 그 내부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의하여 제어되는 상기 기어 포크(136)가 상기 슬립형 단속기어(134)를 상기 클러치부(130)의 동력전달기어(132)로 결합시켜 상기 제3구동풀리(39b)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반송용 윈치 드럼(32)의 회전축(140)에 전달하고 상기 회전축(140)에 연결된 체인(42)은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32)의 제2종동풀리(42a)를 회전시켜서 결국 반송용 윈치 드럼(32)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반송용 윈치 드럼(32)의 회전으로 반송 케이블 권취에 의한 반송을 마친 후 상기 페달(41a)을 놓으면, 상기 복원 스프링(138)의 탄성에 의하여 스프링(138)에 연결된 상기 기어 포크(136)가 상기 슬립형 단속기어(134)를 상기 클러치부(130)의 동력전달기어(132)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제3구동풀리(39b)로부터 전달되었던 회전력은 더 이상 반송용 윈치 드럼(32)의 회전축(140)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32)의 클러치부(130)에 포함되는 복원스프링(138)과 연결되는 페달(41a)은, 상기 조향작동 손잡이(35)와 동일하게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34)에 기어 결합부(34b)를 결합하여 회전력을 드럼(34)의 기어부에 전달하는 페달(도시안됨)과는 구분하여 설치된다.
한편, 엔진(36) 가동시 조향작동 손잡이(35)나 페달(도시안됨)을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견인용 드럼(34)이 회전되지 않음과 동시에, 본체(31) 후미에서 발로 눌러서 작동되는 페달(41a)을 발로 누르면 상기 클러치부(130)에서 동력전달기어(132)와 술립형 단속기어(134)가 결합되고 회전력이 상기 회전축(140)에 전달되면서 상기 반송용 드럼(32)은 회전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견인용 윈치 드럼(34)과 반송용 윈치 드럼(32)을 교대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견인용 드럼(34)을 작동하여 원목을 이송하는 경우에 상기 이송 방향은 경사를 따라서 내려오게 되므로, 급격한 경사지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견인용 윈치 드럼(34)을 회전시켜 상기 견인용 케이블(47)을 당기는 경우에 급격하게 원목이 아래로 쏠려 내려오면서 안전사고를 야기할 우려가 생긴다.
이를 방지한 장치가 도2a에 도시된 반송용 윈치 드럼(32) 축(140)에 설치된 유압식 제동 장치(33)이다.
상기 유압식 제동 장치(33)는 조향 작동 손잡이(35)에 설치된 작동 노브에 의하여 작동되며,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34)의 회전에 의하여 견인되는 견인용 케이블(47)에 의하여 운반부재(60)에 적재된 원목이 급경사지에서 급격하게 내려오는 경우에 상기 운반부재(60)에 연결된 반송 케이블(50)이 급격하게 풀리지 않도록 제동하여 상기 운반부재(60)가 정상적인 속도로 이송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2a, 도2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에서,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34)과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32)에 감겨진 상기 케이블은 보통 인장력과 탄성이 강한 금속제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는 데 이 경우, 상기 금속제 케이블의 탄성에 의하여 드럼(32, 34)에 권취되면서 부풀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이 드럼에 권취될 때 탄성에 의해서 부풀려지면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풀림방지대(32c, 34c)가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에 있어서,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34)과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32)에 감기고 풀리는 케이블이 섞이면서 혼합되지 않도록 정리하여 가이드하기 위한 와이어 안내대(31a)가 상기 본체(31) 전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안내대(31a)는 한 쌍의 가로 바와 한 쌍의 세로 바가 각각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케이블의 유동을 제한하여 드럼에 정확하게 권취되도록 한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본체(31)에 있어서, 상기 본체(31)의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3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썰매형태로 세로 방향 모서리를 따라 돌출된 블레이드부(31b)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임지 내에서 원활하게 끌 수 있도록 하여 비교적 무게가 있는 본체의 이동을 도모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에 의하면, 임내에 형성된 지주목을 활용하여 공중 가설된 케이블을 사용한 가선 집재방법에 의해서, 견인용 윈치 드럼과 반송용 윈치 드럼을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운반부재의 이동을 제어하여 계곡과 같이 경사진 산악지역에서도 원목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고가의 대형기계가 접근할 수 없는 좁은 작업지역이나 밀집된 임목들이 자리한 경사지역에도 접근하여 원목의 운반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의 사시도이다.
도2a, 2b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의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본체의 배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집재기 31 : 본체
32 : 반송용 윈치 드럼 33 : 제동장치
34 : 견인용 윈치 드럼 35 : 조향작동손잡이
36 : 엔진 38, 39 : 구동벨트
40 : 스카이라인 42 : 체인
47 : 견인용 케이블 50 : 반송용 케이블
60 : 운반부재 66 : 원목
130 : 클러치부 132 : 동력전달기어
134 : 슬립형 단속기어 136 : 기어포크
138 : 동력차단 복원스프링 140 : 회전축

Claims (7)

  1. 본체 상면에 설치되며 소정의 고정물에 고정하여 공중에 설치된 가선 케이블을 타고 이동하는 운반부재를 잡아 당겨 본체로 진행시키기 위한 견인용 케이블이 감겨지고 풀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견인용 윈치 드럼;
    상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운반부재를 소정의 위치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용 케이블이 감겨지고 풀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반송용 윈치 드럼;
    상기 본체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과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엔진;
    상기 구동 엔진과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을 연결시키고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과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을 각각 연결시키는 벨트부; 및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과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 측에 설치되며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에서 상기 반송용 윈치드럼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는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벨트부의 벨트가 결합되는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의 벨트 풀리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동력전달기어;
    상기 동력전달기어로 횡방향 이동하여 상기 동력전달기어에 결합되거나 이탈되는 슬립형 단속기어;
    상기 슬립형 단속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슬립형 단속기어를 횡방향 이동시키는 기어 포크; 및
    상기 기어포크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전달기어로 이동된 슬립형 단속기어를 원래 위치로 회복시키는 동력차단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과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에는 감겨진 상기 케이블이 부풀려지면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풀림방지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과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에 감기고 풀리는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케이블 안내대가 상기 본체 전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안내대는 한 쌍의 가로 바와 한 쌍의 세로 바가 각각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에는 케이블의 급격한 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동수단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쌍의 블레이드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KR20-2005-0008239U 2005-03-25 2005-03-25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KR200388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239U KR200388218Y1 (ko) 2005-03-25 2005-03-25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239U KR200388218Y1 (ko) 2005-03-25 2005-03-25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218Y1 true KR200388218Y1 (ko) 2005-06-30

Family

ID=43689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239U KR200388218Y1 (ko) 2005-03-25 2005-03-25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21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12B1 (ko) * 2006-06-13 2007-03-02 김관중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KR100855549B1 (ko) * 2007-08-13 2008-09-01 박호진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KR100866689B1 (ko) * 2008-03-24 2008-11-04 박동화 집재용 권양기
KR100976569B1 (ko) * 2010-06-07 2010-08-17 (주)풍림이엔지 일체형 로프 및 와이어 권양기
CN112010218A (zh) * 2020-09-23 2020-12-01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附着缆索吊总承平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12B1 (ko) * 2006-06-13 2007-03-02 김관중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KR100855549B1 (ko) * 2007-08-13 2008-09-01 박호진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KR100866689B1 (ko) * 2008-03-24 2008-11-04 박동화 집재용 권양기
KR100976569B1 (ko) * 2010-06-07 2010-08-17 (주)풍림이엔지 일체형 로프 및 와이어 권양기
CN112010218A (zh) * 2020-09-23 2020-12-01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附着缆索吊总承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7455A (en) Radio-controlled skyline carriage
Visser et al. Expanding ground-based harvesting onto steep terrain: A review
KR200388218Y1 (ko)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KR100689012B1 (ko)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US5628354A (en) Tree processor attachment for log porters
KR100913294B1 (ko) 굴삭기를 이용한 타워 집재기
KR200386089Y1 (ko)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KR100855452B1 (ko) 트랙터 부착형 타워 집재기
KR100798476B1 (ko) 벌채목 공중 집재기
AU2010202945A1 (en) A tree harvesting vehicle and a method of harvesting trees
KR101471867B1 (ko) 굴삭기를 이용한 집재장치
EP0989938B1 (en) Selfmoving equipment
KR20050058089A (ko) 공중 부양식 집재 장치
KR200386091Y1 (ko) 원목 운반용 캐리어
JP3188742U (ja) 集材用の簡易設置型電動ウインチ
KR100855549B1 (ko)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KR100767755B1 (ko) 트랙터에 결합되는 타워형 집재기
KR200169064Y1 (ko) 소형굴삭기를 이용한 다목적 집재장치
JPH023505Y2 (ko)
Torgersen et al. Excavator-based cable logging and processing system: A Norwegian case study
KR100908678B1 (ko) 스마트 집재기
US3911982A (en) Cable log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1590308A (en) Cable-operated logging cart
KR101891700B1 (ko) 집재기용 드럼 제동장치
JPH044222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