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091Y1 - 원목 운반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원목 운반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091Y1
KR200386091Y1 KR20-2005-0005939U KR20050005939U KR200386091Y1 KR 200386091 Y1 KR200386091 Y1 KR 200386091Y1 KR 20050005939 U KR20050005939 U KR 20050005939U KR 200386091 Y1 KR200386091 Y1 KR 200386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owing
fixing
pulley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중
이병호
Original Assignee
이병호
김관중
이상현
김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호, 김관중, 이상현, 김문윤 filed Critical 이병호
Priority to KR20-2005-0005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0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0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1/00Cable cranes, i.e. comprising hoisting devices running on aerial cable-ways
    • B66C21/08Sag carriers or rope trolleys, suspended or not, e.g. fixed but offering clearance for travell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Abstract

본 고안은 원목 운반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원목 운반용 이송 케이블을 따라 이동되며 한 쌍의 플레이트에 전후방향으로 축설되고 공중 가설된 케이블에 지지되는 도르레를 구비하는 이송부, 한 쌍의 플레이트 내부에 견인용 케이블을 수용하는 도르레와 하부에는 화물을 걸 수 있는 걸이부재가 피봇 연결되며 상부에는 결합부재가 형성된 견인부 및 한 쌍의 플레이트 내부에 도르레와 견인 케이블의 단부를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 상기 견인부의 결합부재를 가이드하여 안착시키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된 판상의 부재가 편심 축설되어, 상기 판상의 부재의 소정부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견인부가 상기 안내홈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탈착 지렛대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경사진 산악지역에서도 목재의 운반이 용이하며, 이동 및 설치가 쉽고 그 이송 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목 운반용 캐리어{Carrier for transporting timbers}
본 고안은 원목 운반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내에 형성된 지주목에 공중 가설된 케이블 라인을 통하여 목재 및 화물을 공중 운반할 수 있는 원목 운반용 캐리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산림은 대부분 20도 이상의 경사가 급한 산악지이므로 임도 개설 없이는 벌목작업에 필요한 차량이나 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실정이며, 이로 인해 대부분의 작업을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산림에서 기계톱으로 벌목 조재한 통나무 원목들을 집재 장소로 하산 집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대개 숙련된 벌목부들이 일일이 무거운 원목들을 어깨에 메고 내려오거나 지렛대로 일일이 밀어서 이동시켰다.
현재는 산림작업용으로 현대식 집재 장비를 수입하여 많이 사용하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가선집재장비, 트랙터 집재기, 소형임내차, 소형원치, 플라스틱 수라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집재기란 동력을 사용하여 원목 또는 장작과 숯을 담아 올리거나 공중에서 운반하는 설비를 말하며, 이중 가선(架線) 집재장비는 임도가 개설되어 있고 집재기 설치장소의 토장면적이 최소 100m2 정도의 면적이 필요하며, 경사지에서 작업이 가능하나 임도에서만 이동이 가능하고 자체 주행능력이 없어서 트랙터 등으로 견인하여야 하고, 공중 설치된 가선에서 원목을 견인하여 이동시키는 원목 운반 장치 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 국내에서 사용되거나 문헌에서 개시된 운반부재 또는 캐리어(캐리지)의 예를 보면, 공개특허 제2002-5895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작동로프, 원목고정을 위한 작동체, 로킹부재와 상기 로킹부재를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관절 링크 기구와 상기 상승되는 작동체에 의하여 위로 밀려서, 상기 양측 로킹부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관절링크기구를 변환시키는 링크변환기구를 포함한 원목 운반용 캐리지가 있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343028호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스카이 라인에 지지되는 한 쌍의 주행로울러, 조절부, 당김용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 로울러, 수직상태 유지를 위한 위치고정부재, 멈춤쇠, 멈춤부재, 하강부를 포함하는 운반부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개시된 운반부재는 대부분 대형 기계나 트랙터식의 기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고, 좁은 작업지역이나 밀집된 임목들이 자리한 경사지역에 접근하여 이동하는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에 사용되기에는 부적당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지형이나 임지에서는 원목의 하산 집재 작업은 대부분 인력위주로 작업하고 있었고, 이로 인하여 목재를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는 집재장치와 그 운반부재 또는 캐리어의 보급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임내에 형성된 지주목을 활용하여 공중 가설된 케이블을 사용한 가선 집재방법에 의해서, 견인용 윈치와 반송용 윈치를 탑재한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에 의해서 이동을 제어하여 계곡과 같이 경사진 산악지역에서도 목재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원목 운반용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원목 운반용 캐리어는, 원목 운반용 이송 케이블을 따라 이동되며 한 쌍의 플레이트에 전후방향으로 축설되고 공중 가설된 케이블에 지지되는 도르레를 구비하는 이송부, 한 쌍의 플레이트 내부에 견인용 케이블을 수용하는 도르레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 화물을 걸 수 있는 걸이부재가 피봇 연결되며, 그 상부에 브라켓이 형성되어 그 외부 방향으로 봉상의 결합부재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견인부, 및 한 쌍의 플레이트 내부에 견인 케이블을 삽입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도르레와 상기 견인 케이블의 단부를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부는 상기 이송부에 회동가능하게 피봇 결합되며, 하부는 상기 견인부의 브라켓과 그 하단부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견인부의 결합부재를 가이드하여 안착시키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된 판상의 부재가 편심 축설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외부에 각각 피봇 결합되어 있고, 상기 판상의 부재의 소정부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거나 풀리면서 상기 견인부가 상기 안내홈에서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탈착 지렛대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원목 운반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부와 이에 대응하는 이송부의 하부에는 각도 조절 경구가 다수개 형성되어 부채꼴 모양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원목 운반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적어도 일측 소정부분에는 반송용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원목 운반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반송용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핀은 일부가 절개된 개곡선 형태의 고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원목 운반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견인 케이블의 단부를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에는 견인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조절 베어링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원목 운반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에 설치된 도르레에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베어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 설치된 도르레에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베어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원목운반형 캐리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목 운반용 캐리어의 사시도이고, 도 2a, 도 2b,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목 운반용 캐리어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4는 소형 윈치형 집재기와 캐리어를 사용한 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원목 운반용 캐리어는 크게 이송부(1), 고정부(2), 견인부(3)가 각각 함께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도 2a,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는 임지 내의 고정물 등에 고정되어 가설되는 스카이 라인(4)을 따라 이동하는 부분이다.
상기 이송부(1)는 원목 운반용 이송 케이블인 스카이 라인(4)을 따라 이동되며 한 쌍의 플레이트(1a, 1b)에 전후방향으로 축설되고 공중 가설된 케이블(4)에 지지되는 전후의 주행 도르레(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주행도르레(6)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케이블(4)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주행도르레(6) 하부 각각에 이탈 방지 베어링(7)이 축설되어 있다.
또한, 그 아래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케이블(50)이 고정되는 반송 케이블 연결핀이 축설되며, 상기 반송케이블(50)은 집재기의 반송 윈치 드럼(32)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어(60)를 다시 벌목장소로 반송하게 된다.
상기, 반송 케이블 연결핀은 상기 이송부(1)의 적어도 일측에 일부가 절개된 개곡선 형태의 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의 이송부(1)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부(2)에 피봇결합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에 상기 고정부(2)와 이송부(1)가 연결부재(10)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0)에는 상기 이송부(1)와 고정부(2)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베어링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이 포함된 연결부재(10)에 의하여 경사지에서 이송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목이 적재된 견인부(3)가 연결된 고정부(2)에 자유자재로 회동되면서 균형을 유지하므로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부(1)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부재(10) 위에 각도 조절 경구(9)가 다수개 형성되어 부채꼴 모양으로 배열된다.
한편, 도 1, 도 2a, 도 2b에서 상기 이송부(2)와 결합되는 고정부(2)는 한 쌍의 플레이트(2a, 2b)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견인 케이블(5)의 단부를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11)를 구비한다.
상기 견인 케이블(5)는 도 4에 도시된 소형 집재기의 견인용 윈치 드럼(36)에 권취되어 원목을 견인한 상태의 캐리어를 집재 장소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36)을 구동 회전시켜서 견인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케이블 고정부(11)는 견인 케이블(5)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11)가 삽입되는 조절 베어링(도시안됨)이 더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2a, 2b) 내부에는 견인 케이블(5)을 삽입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도르레(12)와 상기 견인 케이블(5)의 단부를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11)가 위치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11)에 고정되는 케이블(5)은 다시 도르레(12)에 의하여 견인부(3)의 도르레(20)를 경유하여 최종 고정된다.
또한, 상기 도르레(12)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케이블(5)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도르레(12) 하부 각각에 이탈 방지 베어링(7)이 축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의 상부는 상기 이송부(1)에 회동가능하게 피봇 결합된다.
도 3에서, 상기 이송부(1)와 고정부(2)가 회동 가능하게 피봇 결합되어 있으므로 경사지에서의 원목 견인 이동시 캐리어 본체의 균형을 자동으로 잡게 된다.
또한, 고정부(2)의 상부에 각도조절경구(9)에 대응하여 이송부(1)의 하부에도 각도 조절 경구가 다수개 형성되어 부채꼴 모양으로 배열되고 보울트 등 적절한 연결부재를 끼우면 이송부(1)와 고정부(2)에 소정의 고정된 상대 각도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2)의 하부는 상기 견인부(3)의 브라켓(도시안됨)과 그 하단부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견인부(3)의 결합부재(23)를 가이드하여 안착시키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된 판상의 부재(25)가 편심 축설되어 상기 플레이트(2a, 2b)의 외부에 각각 피봇 결합되어 있고, 상기 판상의 부재(25)의 소정부분에는 걸림턱(27)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27)에 걸리거나 풀리면서 상기 견인부(3)가 상기 안내홈(28)에서 탈착가능하게 된다.
상기 안내홈(28)에서 상기 견인부(3)가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탈착 지렛대(19)가 회동 가능하게 축설되며, 상기 탈착지렛대(19)의 말단에서는 구멍이 뚫려있어 상기 견인부(3) 아래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잡아당겨서 상기 탈착지렛대(19)를 작동할 수 있도록 로프 등 적당한 부재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견인부(3)는 벌목장소에서 집재장소로 이송되는 원목을 직접 견인하는 부분으로 한 쌍의 플레이트(3a, 3b) 내부에 견인용 케이블(5)을 수용하는 도르레(20)와 하부에는 화물을 걸 수 있는 걸이부재(22)가 피봇 연결되며, 그 상부에는 브라켓(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2)의 상기 플레이트(2a, 2b)에 안착되며, 견인부(3)의 상부에서 봉상의 결합부재(23)가 외부 전 후면 방향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봉상의 결합부재(23)는 상기 견인부(3)를 상기 고정부(2)로 고정시킨 채 로킹하는 잠금 고정쇠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견인부에 설치된 도르레(20)에는 견인 케이블(5)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베어링(7)이 더 포함된다.
도 2a, 도 2b,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견인 케이블(5)은 그 일단이 집재기(30)의 견인용 윈치 드럼(34)에 권취되어 있고 중간에 지주목(43)에 설치된 견인 케이블 고정 도르레(44)를 경유하여 상기 고정부(2)의 견인 케이블 도르레(12)에 안내되고, 다시 견인부(3)의 U턴 도르레(20)를 경유하여 다시 고정부(2)의 견인 케이블(12)에 수납되고 난 다음 케이블 고정부(11)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편심 설치된 판상부재(25)의 작동에 대해서 살펴보면, 상기 견인부(3)가 원목을 매단 상태로 상기 도르레(3)에 연결된 견인 케이블(5)을 견인하여 상승하다가 상기 판상부재(25)의 안내홈(28)에 상기 결합부재(23)가 걸리면서 상기 판상 부재(25)를 밀어 올린다.
상기 판상 부재는 상기 견인 케이블(5)의 견인됨에 따라 상기 판상부재(25)를 밀어올리다가 상기 판상 부재(25)가 상기 오른쪽 견인 잠금 고정쇠(26)에 걸리게 된 후, 상기 봉상의 결합부재(23)는 상기 안내홈(28)을 따라 홈(28)에 완전히 안착되면서 견인부(3)는 완전히 상기 고정부(2)에서 고정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왼쪽 견인 잠금 고정쇠(26)는 판상 부재(25)에서 견인부(3)가 해체된 후 다시 판상 부재(25)가 회전할때 자리를 잡으면서 안내홈(28)의 위치가 다시 견인부(3)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바로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 완료된 상태에서 더 견인 케이블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캐리어 자체가 스카이라인(4)을 타고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후, 상기 탈착 지렛대(19)의 단부 소정부분에 형성된 구멍에 걸어 늘어뜨려서 연결된 로프 등을 캐리어 아래에 있는 작업자가 잡아당기면 상기 고정부(2)의 지렛대(19)가 들리고, 상기 걸림턱에 걸려있던 상기 지렛대(19) 단부가 들리면서 상기 판상 부재(25)의 안내홈에 걸려있던 원목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판상부재(25)가 회전을 일으킴과 동시에 상기 안내홈에서도 상기 견인부(3)의 결합부재(23)가 분리되어 버리므로, 상기 원목을 끌어내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a, 도 2b에서 미설명부호 21은 걸이부재 연결핀이고, 24는 지렛대 연결 피봇축이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원목 운반용 케리어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시된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는 엔진(36), 견인용 윈치 드럼(34), 반송용 윈치 드럼(32)이 본체(31) 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34), 반송용 윈치 드럼(32)에는 각각 견인용 케이블(47)과 반송용 케이블(50)이 권취되어 있다.
도 4에서, 상기 견인용 케이블(47)과 반송용 케이블(50)은 임내에 있는 지주목(43)에 설치된 견인용 케이블 고정 도르레(44)와 반송용 케이블 고정 도르레(45)를 거쳐 각각 캐리어(60)의 소정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는 가선 방법을 사용한 이송 방식에 따라 상기 캐리어(60)를 이송 안내하는 스카이라인(40)이 맨 상부에 가설되고 상기 캐리어(60)에 견인된 원목(66)을 끌어당기는 견인용 케이블(47)은 상기 집재기의 견인용 드럼(32)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캐리어(60)의 반송 케이블 고정부(11)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견인용 드럼(32)의 회전력에 의하여 견인되어 상기 캐리어(60)를 상기 스카이라인(40)을 따라서 원하는 집재장소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원목(66)이 모두 내려진 후 다시 캐리어(60)의 반송 케이블 연결핀(8)에 연결 고정된 반송용 케이블(50)은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32)이 회전되어 권취됨에 의하여 상기 운반부재(60)인 캐리어를 다시 벌목장소까지 반송하게 된다.
상기 견인용 윈치 드럼(34)에 연결된 케이블과 상기 반송용 윈치 드럼(34)에 연결된 케이블은 서로 번갈아가면서 상기 드럼(32, 34)에 권취되고, 이에 따라 상기 캐리어의 이송이 벌목장소와 집재장소 사이를 왕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임내에 형성된 지주목을 활용하여 공중 가설된 케이블을 사용한 가선 집재방법에서, 견인용 윈치와 반송용 윈치를 탑재한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와 함께 사용하여 계곡과 같이 경사진 산악지역에서도 목재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원목 운반용 캐리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캐리어는 고가의 대형기계가 접근할 수 없는 좁은 작업지역이나 밀집된 임목들이 자리한 경사지역에도 접근하여 이동 및 설치가 쉽고 그 이송 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목 운반용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a, 2b는 본 고안에 따른 원목 운반용 캐리어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목 운반용 캐리어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를 사용하는 이송 작업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송부 2 : 고정부
3 : 견인부 4 : 스카이라인
5 : 견인 케이블 6 : 주행도르레
7 : 이탈 방지 베어링 8 : 반송 케이블 연결핀
9 : 각도 조절 경구 10 : 연결부재
11 : 케이블 고정부 12 : 견인 케이블 도르레
19 : 탈착지렛대 22 : 걸이부재
25 : 판상부재

Claims (7)

  1. 원목 운반용 이송 케이블을 따라 이동되며 한 쌍의 플레이트에 전후방향으로 축설되고 공중 가설된 케이블에 지지되는 도르레를 구비하는 이송부;
    한 쌍의 플레이트 내부에 견인용 케이블을 수용하는 도르레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 화물을 걸 수 있는 걸이부재가 피봇 연결되며, 그 상부에 브라켓이 형성되어 그 외부 방향으로 봉상의 결합부재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견인부; 및
    한 쌍의 플레이트 내부에 견인 케이블을 삽입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도르레와 상기 견인 케이블의 단부를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부는 상기 이송부에 회동가능하게 피봇 결합되며, 하부는 상기 견인부의 브라켓과 그 하단부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견인부의 결합부재를 가이드하여 안착시키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된 판상의 부재가 편심 축설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외부에 각각 피봇 결합되어 있고, 상기 판상의 부재의 소정부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거나 풀리면서 상기 견인부가 상기 안내홈에서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탈착 지렛대를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원목 운반용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부와 이에 대응하는 이송부의 하부에는 각도 조절 경구가 다수개 형성되어 부채꼴 모양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운반용 캐리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적어도 일측 소정부분에는 반송용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운반용 캐리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용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핀은 일부가 절개된 개곡선 형태의 고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운반용 캐리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케이블의 단부를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에는 견인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조절 베어링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운반용 캐리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에 설치된 도르레에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베어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운반용 캐리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설치된 도르레에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베어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운반용 캐리어.
KR20-2005-0005939U 2005-03-05 2005-03-05 원목 운반용 캐리어 KR200386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939U KR200386091Y1 (ko) 2005-03-05 2005-03-05 원목 운반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939U KR200386091Y1 (ko) 2005-03-05 2005-03-05 원목 운반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091Y1 true KR200386091Y1 (ko) 2005-06-07

Family

ID=4368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939U KR200386091Y1 (ko) 2005-03-05 2005-03-05 원목 운반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0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689B1 (ko) 2008-03-24 2008-11-04 박동화 집재용 권양기
KR100908679B1 (ko) 2008-01-03 2009-07-22 대한민국 집재기용 반송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679B1 (ko) 2008-01-03 2009-07-22 대한민국 집재기용 반송기
KR100866689B1 (ko) 2008-03-24 2008-11-04 박동화 집재용 권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6712B2 (en) Logging carriage with towline-operated grapple
KR200386093Y1 (ko) 원목 운반용 캐리어
KR200386091Y1 (ko) 원목 운반용 캐리어
CA1219542A (en) Log yarding carriage
US3630243A (en) Tree-bunching mechanism and tree-skidder vehicle incorporating the same
JP5896504B2 (ja) 架線運搬装置、およびその架線配索方法
KR20090000331A (ko) 굴삭기를 이용한 타워 집재기
KR100689012B1 (ko)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KR200388218Y1 (ko)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KR100798476B1 (ko) 벌채목 공중 집재기
EP2870101B1 (en) Forestry skyline and a driving assembly of such skyline
KR200386089Y1 (ko)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US4735327A (en) Radio controlled downhill skyline logging carriage and system
KR101471867B1 (ko) 굴삭기를 이용한 집재장치
KR20050058089A (ko) 공중 부양식 집재 장치
JP2010247920A (ja) 自走車と搬送装置それらを用いた伐採材の搬出方法
KR101828772B1 (ko) 클램프 반송기 및 이를 이용한 목재 하향 집재 방법
CN113001556A (zh) 一种集材机器人
KR100767755B1 (ko) 트랙터에 결합되는 타워형 집재기
JP2009273400A (ja) 伐採材の搬出方法及び装置
KR100908678B1 (ko) 스마트 집재기
CN113455410B (zh) 一种漏粪板安装设备
JP7417325B1 (ja) 送電線を用いた資材の簡易キャリア運搬装置及び当該運搬装置を使用した資材の運搬方法
KR101597982B1 (ko) 무선 조정식 클램프 반송기
CN214984990U (zh) 一种用于组合式折叠拖车的后车架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