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571A - 네트워크에서 QoS 프로파일 파라미터를 통지 및부여하는 방법, 시스템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에서 QoS 프로파일 파라미터를 통지 및부여하는 방법, 시스템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7571A
KR20050057571A KR1020057005090A KR20057005090A KR20050057571A KR 20050057571 A KR20050057571 A KR 20050057571A KR 1020057005090 A KR1020057005090 A KR 1020057005090A KR 20057005090 A KR20057005090 A KR 20057005090A KR 20050057571 A KR20050057571 A KR 20050057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ultimedia stream
bit rat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1963B1 (ko
Inventor
이고르 디. 쿠르치오
미스카 한눅셀라
빅토르 바르사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57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송신을 위한 방법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스트림은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통신 장치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통신 장치로 송신된다.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관한 정보는 네트워크 자원의 예약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스트림 송신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수신 통신 장치로 송신된다. 파라미터는 송신에 필요한 최대 비트 레이트 또는 송신에 이용될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이다. 언급된 양 파라미터들은 세션 기술 프로토콜의 속성으로서 송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송신을 위해 부여한 QoS 프로파일 파라미터들에 관하여 송신 통신 장치에 통지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에서 QoS 프로파일 파라미터를 통지 및 부여하는 방법, 시스템 및 통신 장치{Method,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informing and granting QoS profile parameters in a network}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이 송신 통신 장치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통신 장치로 송신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 통신 장치, 수신 통신 장치 및, 송신 통신 장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 통신 장치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송신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 통신 장치 및 수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송신 통신 장치라는 용어는 통신 네트워크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말한다. 수신 통신 장치라는 용어는 각각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말한다. 동일한 통신 장치는, 송신기와 수신기 양자를 포함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일방향 또는 쌍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을 실현하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의 사용자가 시스템의 동작 범위내에서 이동중일 경우, 무선 통신 장치와 시스템의 고정부 사이에 무선 데이터 송신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통신 시스템을 말한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은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이다. 공지의 예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제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는 이런 제3 세대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이용된다.
제3 세대 시스템에서, 베어러(bearer) 서비스 및 서비스라는 용어가 이용된다. 베어러 서비스는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서 신호들을 송신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타입이다. 일반적으로, 베어러 서비스는 예를 들어, 정보가 무선 통신 장치와 시스템의 다른 부분 사이에서 송신될 때 시스템에서 이용될 데이터 송신 레이트 및 서비스 품질(QoS)을 정의하는 트래픽 채널의 이전 용어에 대응한다. 무선 통신 장치와 기지국 사이의 베어러 서비스는, 예를 들어, 무선 베어러 서비스이고, 무선 네트워크 제어 유닛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베어러 서비스는 예를 들어서, Iu 베어러(인터페이스 UMTS 베어러) 서비스이다. UMTS 시스템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 유닛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Iu 인터페이스로 불린다. UMTS에서는 Iu 인터페이스에 부가하여 Gb 인터페이스로 불리는 인터페이스를 또한 이용하는 소위 GERAN 부분도 있다. 이와 관련해서, 태스크(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서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데이터 서비스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고 전화 서비스는 전화 통화, 멀티미디어 등에 관련된다. 따라서, 서비스는 무선 통신 장치와 시스템의 고정부 사이의 전화 통화 또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송신과 같은 데이터 송신을 요구한다. 제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 중 중요한 태스크는, 각각 요청된 서비스가 가용 대역폭을 낭비함이 없이 이동국에 할당될 수 있는 방식으로 베어러 서비스를 제어(필요에 따라, 초기화, 유지 및 종료)하는 것이다.
서비스 품질은 예를 들어, 어떻게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이 송신 동안에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처리되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접속 어드레스들에 대해 정의된 QoS 레벨은 특히 2 이상의 접속이 동시에 송신될 패킷을 가질 때, 서포트 노드 및 게이트웨이 서포트 노드에서 송신 순서를 제어하고, (패킷 스트링들을) 버퍼링하며, 그리고 패킷들을 거부하는데 이용된다. 상이한 QoS 레벨은 예를 들어, 상이한 비트 레이트 뿐만 아니라 상이한 접속단들 사이의 패킷 송신에 대한 상이한 지연을 결정한다. 또한, 거부 그리고/또는 소실된 패킷 데이터 유닛의 수는 상이한 QoS 레벨들과 관련하여 변화할 수 있다.
각각의 PDP 컨텍스트에 대하여 상이한 QoS를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메일 접속에서, 상대적으로 긴 지연이 스트림 송신에서 허용될 수 있다. 그러나, 비디오 컨퍼런싱과 같은 실시간 쌍방향 애플리케이션은, 하이 레이트의 패킷 송신을 요구한다. 파일 전송과 같은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패킷 교환식 송신이 무결한 것이 중요하며, 오류 환경에서는 필요하다면 패킷 데이터 유닛이 재송신된다.
UMTS 시스템의 패킷 교환식 통신 서비스에 대해서, 4개의 상이한 트래픽 클래스들의 정의가 제안되어 왔으며, 이들 트래픽 클래스들의 특성에 대해서, 상이한 접속 타입에 대해 상이한 기준을 고려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제1 클래스 및 제2 클래스들에 대해 정의된 하나의 기준은, 송신이 실시간으로 발생한다는 것이며, 그 송신은 상당한 지연을 가져서는 안된다. 그러나, 이러한 클래스들에서, 데이터 전송의 정확성은 그렇게 중요한 성질이 아니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비-실시간 데이터 송신은 제3 트래픽 클래스 및 제4 트래픽 클래스에 대해서는 충분하지만, 상대적으로 정확한 데이터 송신이 그 클래스들에 대해 요구된다. 실시간 제1 클래스 통신의 예는 2 이상의 사람들이 무선 통신 장치들에 의해 서로 논의하고 있는 환경에서의 대화 신호들의 송신이다. 실시간 제2 클래스 통신이 실행가능한 환경의 예는, 즉시 보기 위한 비디오 신호의 송신이다. 비-실시간 패킷 통신인 제3 클래스는, 예를 들어 합당한 레이트의 상대적으로 정확한 데이터 송신이 실시간 데이터 송신보다 더 중요한 인자인, 인터넷 홈페이지의 브라우징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들의 이용에 이용될 수 있다. 이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이메일 메시지들 및 파일들의 전송은 제4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물론, 트래픽 클래스들의 수는 여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반드시 4개일 필요가 없으므로, 본 발명은 다수의 트래픽 클래스들을 포함하는 패킷 교환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4가지로 나타낸 트래픽 클래스들의 특성들이 표 1에 간략하게 나타나 있다.
보증된 비트 레이트는 RAN 및 CN에서 승인 제어 및 자원 예약용으로 이용되고, 최대 비트 레이트는 CN에서 폴리싱용으로 이용되고, 즉 최대 비트 레이트보다 크지 않은 비트 레이트는 GGSN에서 CN에 들어가는 것이 허용되며, 이 비트 레이트를 초과하는 패킷들은 감소된다.
현대의 제2 및 제3 세대 무선 통신 장치들은 이전의 무선 통신 장치들보다 훨씬 나은 데이터 처리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그것들은 이미 무선 통신 장치에서 인터넷에 접속되며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지니며, 미래에는 예를 들어, 실시간 비디오 컨퍼런스 등에 대한 멀티미디어 통화들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의 요구사항들은 상당히 상이할 수도 있다. 어떤 애플리케이션들은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빠른 통신을 요구한다. 이들 애플리케이션들은 예를 들어, 비디오 및 전화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어떤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은 가능한 한 정확한 데이터 송신을 요구할 수 있지만, 데이터 송신 접속의 비트 레이트는 덜 중요하다. 이들 애플리케이션들은 예를 들어 이메일 및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그 반면에, 이들 애플리케이션들은 여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이한 특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의 사용자는 무선 통신 장치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워칭하려고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런 프리젠테이션의 로딩 어드레스를 발견하고 무선 통신 장치로 프리젠테이션을 전송하도록 하는 요청을 전송한다. 이 요청은 통신 시스템에서 처리된다. 요청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의 로딩 어드레스는 인터넷의 서버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의 서버로 어드레싱할 수 있다. 수신 무선 통신 장치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전달하는 서버는 본 명세서에서 스트리밍 서버라고 언급된다.
통신 시스템은 스트리밍 서버와 무선 통신 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해 충분한 자원들을 예약하여 요청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프리젠테이션은 수신 무선 통신 장치에서 동일한 정확성과 무오류로 나타내질 수 없다. UMTS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우선 특정한 QoS 파라미터들로 PDP 컨텍스트를 요청한다. 그 다음, 네트워크는 어떤 선택 기준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가 아마도 그 요청에 사용한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접속에 대해 베어러 서비스를 선택한다. 이러한 선택 기준들은 충분히 적합하거나 정확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베어러 서비스가 접속에 대해 충분한 송신 용량을 제공할 수 없거나 또는 필요한 용량보다 큰 용량을 제공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음으로써, 네트워크 자원들의 사용이 효과적이지 않다.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달이 필요할 수 있는 다른 상황은, 2개의 무선 통신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여 비디오나 정지 이미지들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상황에서, 충분한 자원들은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에 의해 예약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을 이용할 때, 접속을 위한 요구를 접속 양단에 통지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지는 않다.
현재에는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는 최대 비트 레이트를 단 대 단으로 신호하는 방법은 없다. 스트리밍 서버는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최대 비트 레이트를 스트리밍 클라이언트(수신 무선 통신 장치)로 신호할 수 없다. 후자는 보증된 비트 레이트에 관한 정보만을 가지지만 최대 비트 레이트에 관한 정보를 가지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클라이언트는 3가지 종류의 결정을 할 수 있다. 첫번째로, 클라이언트는 보증된 비트 레이트(GBR)과 동일한 최대 비트 레이트(MBR)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비트 레이트가 보증된 비트 레이트(=최대 비트 레이트)를 초과할 때마다 패킷 손실과 불량한 수신 품질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GBR=MBR=60kbps이고 압축된 비디오 소스 비트 레이트가 평균 60kbps로 인코딩되지만, 64kbps에서 어떤 산발적인 높은 비트 레이트 피크가 일어나게 되면 그 효과는 수신 단에서 특정 기간의 패킷 손실이 될 것이다(이 기간은 비트 레이트가 60kbps를 초과하는 시간과 동일하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 MBR 및 GBR은 GBR=MBR=64kbps라는 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패킷 손실을 피할 것이지만, 60kbps와 64kbps 사이의 대역폭이 항상 이용되지 않아서 평균 4kbps의 낭비를 초래하기 때문에, 과-엔지니어링(over-engineering)을 통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처리하는 비효율적인 방법이 된다.
둘째로, 클라이언트는 어떤 추정을 함으로써 보증된 비트 레이트보다 높은 최대 비트 레이트를 선택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비트 레이트에 관한 과거 이력 정보를 이용하더라도, 일반 서버에 의해 이용되는 최대 비트 레이트가 쉽게 예측될 수 없기 때문에, 이들 추정은 부정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패킷 손실들이 일어날 수 있다.
셋째로,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로부터 최대로 신청된 비트 레이트로 다운그레이딩(downgrading)을 얻기 위하여 매우 높은 최대 비트 레이트값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해법 및 제3 해법은, 스트리밍 서버가 UMTS 베어러의 최대 비트 레이트를 통지받지 못해서 송신 비트 레이트 및 대역폭 적응 알고리즘에 관해 아마도 잘못된 가정을 하기 때문에 어떤 비효율성을 초래한다.
이동 통신 장치의 대화식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이동 통신 장치로 세션의 최대 비트 레이트를 신호할 수 없다. 이것은 각각의 통신 장치가 (대칭적으로) 어떤 보증된 비트 레이트에서 다른 통신 장치가 멀티미디어 스트림들을 인코딩할 것인지를 알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각각의 통신 장치는 (대칭적으로) 다운링크 최대 비트 레이트가 무엇인지 알 수 없을 것이다. 즉, 각각의 통신 장치는 어떤 최대 비트 레이트에서 다른 통신 장치가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인코딩할 지 알 수 없게 될 것이다.
또한, 이 경우에 이동 통신 장치는 상술한 3개의 대안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황에서 상술한 대안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은, 각각의 통신 장치가 어떤 최대 비트 레이트에서 각각의 인코더들이 미디어 흐름을 인코딩할 것인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스트리밍에 대해 상술한 것과 유사한 문제를 일으킬 것이다.
또한, 대화식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일방적 통신 애플리케이션(일방향 대화식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일-대-다 통신 애플리케이션(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세션도 일-대-다 통신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현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QoS 요구사항이 충족될 수 있는 그러한 베어러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교섭한다. 예를 들어, UMTS 표준에 따른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소망의 서비스 품질을 자유롭게 요청할 수 있는데, 이 경우 UMTS 이동 통신 네트워크가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을 지를 검사한다. 무선 통신 장치에서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이 QoS 요구사항을 포함한다면, 무선 통신 장치는 이들 QoS 요구사항을 그 자체로 베어러 서비스의 선택을 위해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한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이 무선 통신 장치로 QoS 요구사항을 송신하지 않는다면, 특정의 특성들이 접속을 위해 선정된 경우, 네트워크에 저장된 디폴트 QoS 프로파일이 (통상적으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에서)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선 통신 장치의 특성이 모든 면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요청된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은 아마도 적절하지 않을 것이다.
최대 비트 레이트에 부가하여, 다른 파라미터인, 다른 접속 파티, 즉 스트리밍 서버 및/또는 송신 통신 장치에 의해 알려지지 않은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사이즈 파라미터가 있다. SDU 사이즈 파라미터는 스트리밍 서버에 의해 송신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패킷들의 사이즈를 기술한다. 따라서,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는, 스트리밍 클라이언트가 모든 패킷들을 수신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값을 최대 SDU 사이즈용으로 선택해야 한다.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는 임의의 값을 시험해보거나 SDU 사이즈에 대해 최대로 허용가능한 값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선택은 불필요한 자원들이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세션에 대해 예약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로(예를 들면 요청에 있어서 최대 비트 레이트 및 최대 SDU 사이즈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자원 할당 요청을 송신할 때, 네트워크는 요청된 자원들을 예약할 수 없는(뿐만 아니라, 예약하는 것이 불가능한) 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 종래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는 할당된 자원들을 스트리밍 서버로 통지할 수 없다. 그러므로, 스트리밍 서버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 장치 사이의 접속에 적절한 것보다 더 큰 데이터 유닛으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송신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어떤 고정된 바이트 수(예컨데, 1500바이트)가 항상 QoS 프로파일에서 이용된다면, 이는 네트워크에서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이러한 비효율성은 패킷 교환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로 더 낮은 미디어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사실, 모든 패킷들을 고정된 사이즈로 가정하는 네트워크는, 패킷들이 더 클수록 선정된 값 아래로 목표 SDU 에러율을 유지하는 것이 더 어려워지기 때문에, QoS 프로파일에서 소정의 지연을 가지고 타겟 SDU 에러율을 유지하는데 더 많은 어려움을 가지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 통신 장치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송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자원들의 적절한 선택용으로 요청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의 특성을 통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에 필요한 자원을 수신 파티에 통지하도록 세션 기술 프로토콜의 속성 필드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된다. 그 후, 수신 파티는 접속에 대해 적절한 베어러 서비스를 선택할 것을 무선 네트워크에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수신 통신 장치가 네트워크 자원의 예약을 위해 다음의 멀티미디어 스트림 송신 파라미터:
- 최대 비트 레이트, 및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통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다음의 멀티미디어 스트림 송신 파라미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송신에 의해 요구되는 최대 비트 레이트, 및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검출기, 및
네트워크 자원의 예약을 위하여 수신 통신 장치로 적어도 상기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 통신 장치는, 송신 통신 장치가,
다음의 멀티미디어 스트림 송신 파라미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송신에 의해 요구되는 최대 비트 레이트,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검출기,
상기 정의된 파라미터의 값으로 세션 기술 프로토콜의 속성 필드를 설정하는 메시지 컴포저, 및
네트워크 자원 예약을 위해 수신 통신 장치로 적어도 상기 속성 필드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 통신 장치는,
상기 송신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통신 장치로 송신될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선택하는 선택기,
상기 송신 통신 장치로 상기 선택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고 다음의 멀티미디어 스트림 송신 파라미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송신에 의해 요구되는 최대 비트 레이트, 및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송신기, 및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자원의 예약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다음의 파라미터,
-부여된 최대 비트 레이트,
-부여된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부여된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여된 네트워크 자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송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또한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시스템 및 방법과 비교해볼 때 상당한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스트리밍 클라이언트가 스트리밍 서버에 의해 송신된 사전에-인코딩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최대 비트 레이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더 정확한 QoS 프로파일 파라미터들을 지정함으로써 더 양호한 베어러 할당을 허용한다.
또한, 대화식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이점은,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인코딩할 때 이동 통신 장치가 다른 파티로부터 이용된 최대 비트 레이트를 인식한다는 사실이다. 또한, 이것은 더 정확한 QoS 프로파일 파라미터들을 지정함으로써 더 양호한 베어러들의 할당을 허용한다.
다른 중요한 이점은 최대 비트 레이트-보증된 비트 레이트로서 계산된 델타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가능성에 있다. 이 대역폭은 대역폭 적응 또는 비디오 비트 레이트의 피크 처리에 이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예를 들어 비트 레이트상에 영향을 끼치는 인코딩 파라미터들을 신속하게 변경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멀티미디어 스트림들을 인코딩할 때 최상의 미디어 품질을 전달하는데 상기 델타 대역폭이 이용될 수 있다.
SDP의 최대 비트 레이트 파라미터의 또 다른 이점은, 컨텐트가 패킷 교환 스트리밍 서버에 의해 상이한 비트 레이트로 제공되는 경우, 패킷 교환 스트리밍 클라이언트가 부여된 QoS 프로파일 파라미터에 따라 상이한 대안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어떤 베어러 서비스가 접속에 대해 최적인지와 어떤 베어러 서비스가 송신 동안 상당한 데이터 손실을 일으키지 않는지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네트워크 로딩이 최적화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접속들에 대해 너무 큰 자원들이 예약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패킷 교환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패킷 교환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로 최대 SDU 사이즈를 신호하는 이점은, PDP 컨텍스트가 적정한 파라미터값으로 무선 통신 장치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는 사실에 따른다. 그러므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클라이언트로 전달할 때, 더 양호한 미디어 품질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타겟 SDU 에러율을 종래 시스템을 통해서보다 QoS 프로파일의 소정 지연을 통해 더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패킷 교환 스트리밍 클라이언트와 패킷 교환 스트리밍 서버 사이에 부여된 QoS 프로파일 파라미터를 통신하는 장점은, 실제값을 인식하게 되는 패킷 교환 스트리밍 서버에 큰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버는 (새로운 최대 SDU 사이즈값을 처리하도록) 패킷화 방식을 변경할 것을 결정하고, 새로운 최대 비트 레이트값을 처리하도록 어떤 송신 레이트 제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버는 패킷 교환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로 더 양호한 미디어 품질을 전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다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단순화된 블록도로 도시한다.
도 4a는 서버와 무선 통신 장치 간의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4b는 2개의 무선 통신 장치 사이의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다음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서, UMTS 타입 무선 통신 시스템은 예로서 이용될 것이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단지 이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에 대한 다양한 QoS 레벨을 결정할 수 있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다음에서, 세션 기술 프로토콜(SDP)가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인터넷 멀티캐스트 백본(M본)에서, 세션 디렉토리 툴은 멀티미디어 컨퍼런스를 광고하고 컨퍼런스 어드레스와 참가에 필요한 미디어-특정 정보를 통신하는데 이용된다. 멀티미디어 백본은 IP(인터넷 프로토콜) 멀티캐스트를 지원하는 인터넷의 일부이고, 따라서 효율적인 다-대-다 통신을 허용한다. 이것은 멀티미디어 컨퍼런싱에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그러한 컨퍼런스들은 일반적으로 엄격한 컨퍼런스 멥버쉽의 조정이 필요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지만, 컨퍼런스를 수신하기 위해서, 멀티캐스트 백본 사이트의 사용자는 컨퍼런스의 멀티캐스트 그룹 어드레스 및 컨퍼넌스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UDP 포트를 알아야만 한다.
세션 디렉토리들은 컨퍼런스 세션들의 광고를 지원하고 관련 컨퍼런스 설정 정보를 가망이 있는 참가자에게 통신하다. SDP는 이러한 정보를 수신자에게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SDP는 순전히 세션 기술에 대한 포맷이고, 이것은 전송 프로토콜을 통합하지 않으며, 세션 알림 프로토콜,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RTSP), MIME 확장을 이용한 전자 메일 및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상이한 프로토콜들로 전달될 수 있다.
SDP는 범용이도록 의도되어서, 단지 멀티캐스트 세션 디렉토리보다는 더 광범위한 네트워크 환경 및 애플리메이션에 이용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퍼런스는 통신에 이용되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2 이상의 통신중인 통신 장치들의 세트이다.
멀티미디어 세션은 멀티미디어 송신기 및 수신기들의 세트이고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 흐르는 데이터 스트림이다. 멀티미디어 컨퍼런스는 멀티미디어 세션의 일례이다.
다음에는 세션 기술 프로토콜의 현재의 정의의 몇가지 세부사항이 2002년 5월 27일의 문서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draft-ieft-mmusic-spd-new-10.txt"의 8쪽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프로토콜의 어떤 기술은 요구되고 어떤 것은 선택적이다. 선택적인 아이템은 '*'로 표시한다.
세션 기술
v= (프로토콜 버전)
o= (소유자/생성자 및 세션 식별자)
s= (세션 이름)
i= *(세션 정보)
u= *(기술의 URI)
e= *(이메일 어드레스)
p= *(전화 번호)
c= *(접속 정보-모든 미디어에 포함되면 요구되지 않음)
b= *(대역폭 정보)
1 이상의 시간 기술(아래 참조)
z= *(시간대 조정)
k= *(암호화 키)
a= *(0 이상의 세션 속성 라인들)
0이상의 미디어 기술(아래 참조)
시간 기술
t= (세션이 활성인 시간)
r= *(0 이상의 반복 시간)
미디어 기술
m= (미디어 이름 및 전송 어드레스)
i= *(미디어 제목)
c= *(접속 정보-세션 레벨로 포함되면 선택적임)
b= *(대역폭 정보)
k= *(암호화 키)
a= *(0이상의 미디어 속성 라인들)
이러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SDP의 최대 비트 레이트를 통지하는 속성은 다음의 수단에 의해 만들어진다:
a=3gpp-maxbitrate:<value>
여기에서 <value>는 b=AS SDP 파라미터의 <대역폭값>과 동일한 신택스(syntax)로 표현된다. 이것은 사용자-정의 속성이다.
이 파라미터를 정의하는 변형적인 방법은 새로운 대역폭 기술자(descriptor)를 이용하는 것이다.
b=X-3gpp-maxbitrate:<대역폭-값>
X-기술자는 SDP의 실험적 기술자를 나타낸다.
상술한 문서에 따르면, 대역폭 기술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변형자>:<대역폭-값>
이는 세션 또는 미디어에 의해 이용될 제안된 대역폭을 지정하며 선택적이다.
<대역폭-값>은 디폴트에 의한 초당 킬로비트이다. 변형자들은 대체 유닛들이 이용될 것을 지정할 수 있다.
<변형자>는 대역폭 지수의 의미를 제공하는 단일 문자숫자식의 단어이다. 2개의 변형자는 초기에 정의된다:
CT(컨퍼런스 총계): 세션 또는 세션 미디어의 대역폭이 유효 범위로부터 암시되는 대역폭과 상이하면, 'b=CT...' 라인이 제안된 상한을 이용된 대역폭에 제공하도록 세션에 대해 제공되어야 한다. 이것의 제1 목적은 2이상의 세션이 동시에 공존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개략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AS(애플리케이션-특정 최대값): 대역폭은 애플리케이션-특정되도록 번역되며, 즉, 애플리케이션의 최대 대역폭 개념이 될 것이다. 대개, 응용가능하다면, 이것은 애플리케이션의 '최대 대역폭' 제어로 설정되는 것과 일치할 것이다. RTP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AS는 (미디어 비트 레이트 및 UDP/IP 헤더 오버헤드를 포함하여) RFC 1889(RTP)의 섹션 6.2.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RTP "세션 대역폭"을 제공한다.
실시간 스트리밍 프로토콜은 실시간 특성으로 데이터의 전달을 제어하는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다. 이것은 오디오와 비디오 같은 연속적 미디어의 단일 또는 여러 시간-동기화된 스트림을 확립하고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RTSP는 UDP와 TCP와 같은 전송 프로토콜로 전달된다. 즉, RTSP는 멀티미디어 서버용 네트워크 원격 제어로서 동작한다. 데이터 소스는 데이터 피드(예를 들어, 실시간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및 저장된 클립(예를 들어, 정지 화상) 양자를 포함할 수 있다. RTSP 클라이어언트와 서버는,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파라미터들을 서술하는 SDP 신택스를 이용하여 미디어 전달용 파라미터의 적절한 세트를 협의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SDP의 세션 최대 데이터 유닛 사이즈를 통지하는 속성은 다음의 의미에 의해 만들어진다:
a=3gpp-maxSDUsize:<값>
여기에서, <값>은 정수(바이트들의 개수)로서 표현된다. 또한 이것은 사용자-정의 속성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장치 (MT1), 기지국(2; BS), 및 기지국(2)을 제어하고 기지국(2)과 시스템의 나머지 사이의 접속을 루팅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RNC)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노드(1: RNA)를 포함하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에 부가하여 루팅 가능성으로서 무선 이동 전화 교환국(4; WMSC) 및 패킷 데이터 액세스 노드(5; PDAN)를 포함하는 UMTS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에 따른 UMTS 시스템은 예를 들어, 백본 네트워크(6)와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7)와 같은 다른 패킷 네트워크들로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8; PDG)도 포함하는데,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IP 네트워크에 결합된 서버(1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도 1은 예를 들어 제2 이동 통신 네트워크(NW2)에 결합한 회선 교환 게이트웨이(9)(게이트웨이-이동 서비스 교환국, GWMSC)와, 예를 들어 가입자의 액세스 약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11; HLR)를 도시한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무선 통신 장치(MT1)를 간략화된 블록도로 도시하며, 이 예에서 상기 통신 장치는 NokiaTM9210iTM 커뮤니케이터와 같은, 데이터 처리 기능과 이동국 기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이다. 무선 통신 장치(MT1)는 예를 들어 1 이상의 프로세서(CPU, DSP), 메모리 수단(MEM), UMTS 가입자 식별 모듈(USIM) 또는 가입자를 식별하는 상응하는 수단, 및 기지국(2)과 통신하는 무선부(RF)를 포함한다. 프로세서(CPU)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치(MT1)의 다수개의 논리적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주문형 반도체(12; ASIC)에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 수단은 램(RAM), 롬(ROM), 및 가입자 식별 모듈(USIM)의 메모리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통신 장치(MT1)는 1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포함하며,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키패드(13, 14), 디스플레이 장치(15, 16) 및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7), 스피커(18) 및 코덱(19)과 같은 오디오 수단을 포함한다.
도 1에서, 통화 관리(CM)에 관련된 기능은 무선 통신 장치(MT1)에서 구현되고 무선 이동 전화 교환국(4)과 패킷 데이터 액세스 노드(5) 양자에서 구현된다고 가정한다. 이들 통화 관리 기능은 통화를 초기화하고 유지하며 종료하는 수단을 구성한다. 결과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MT1)와 무선 이동 전화 교환국(4) 또는 패킷 데이터 액세스 노드(5)는 통화를 초기화하고, 유지하고 종료하는 통화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교환한다. 베어러 관리(BM)와 무선 자원 관리(RM)의 기능은 무선 통신 장치 (MT1)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에서 구현된다. 베어러 관리 기능들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MT1)와 기지국(2) 사이의 통신에 대해 선택된 베어러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논리 채널들을 선택하여, 베어러 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도록 이용된다. 예를 들어, 무선 자원 관리 기능은 무선 통신 장치(MT1)와 기지국(2) 사이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채널을 선택하는데 이용된다.
무선 통신 장치(MT1)와 IP 네트워크(7) 사이의 패킷 데이터 송신 접속은 패킷 데이터 백본(6)과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8; PDG)를 통하여 패킷 데이터 액세스 노드(5; PDAN)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MT1)와 무선 액세스 노드(1), 무선 이동 전화 교환국(4) 및 게이트웨이-이동 서비스 교환국(9; GWMSC)을 통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회선 교환 데이터 송신 접속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게이트웨이-이동 서비스 교환국(9)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GSM, PSTN 또는 ISDN과 같은 제2 네트워크(NW2) 사이의 접속을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2개의 상이한 유형의 상황: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과 대화식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스트리밍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도 1의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MT1)의 사용자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MT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MT1)의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한다.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에서, 예를 들어 게임,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무선 채널 청취 애플리케이션, 서류 뷰잉 애플리케이션, 또는 WWW 브라우저와 같은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이다. 이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코드는 예를 들어, IP 네트워크에 결합된 서버(10)로부터 프리로드되고 무선 통신 장치의 메모리 수단(MEM)에 저장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MT1)는 그러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 환경을 가진다. 이것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요청에 의해 활성화된다. 무선 통신 장치의 실행 환경 기능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품질에 관련된 요구사항들을 결정하는 것이다.
실행 환경과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의 수행은 무선 통신 장치의 프로세서(CPU)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는 한개의 프로세서(CPU)보다 많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다음에서 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단 하나의 프로세서(CPU)가 있다고 가정한 것이다.
사용자가 워칭을 위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선택하고 싶을 경우, 요청이 무선 통신 장치(MT1)에 의해 서버(10)로 전송되어 선택가능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들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 요청은, 예를 들면, RTSP 프로토콜에 따른 DESCRIBE 메시지이다. 무선 통신 장치(MT1)는 패킷 교환 스트리밍 클라이언트(PSS 클라이언트)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요청은 해당 스트리밍 서버(패킷 교환 스트리밍 서버, PSS 서버), 예를 들면 IP-네트워크(7)의 서버(10)로 송신된다. 서버(10)는 그 요청을 검사하고 요청된 프리젠테이션의 정보를 검색하여 제안된 프리젠테이션을 송신하는데 필요한 적어도 최대 비트 레이트를 찾아낸다. 프리젠테이션은 서버(10)에서 인코딩된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버는 미리 최대 비트 레이트의 정보를 가진다. 그러나, 프리젠테이션이 인코딩된 형태로 저장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라이브 프리젠테이션), 서버(10)는 그에 대한 어떤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최대 비트 레이트를 평가한다. 서버(10)가 최대 비트 레이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경우, 최대 비트 레이트에 관한 정보는 세션 기술 프로토콜 정의에 속성 필드로서 삽입된다. 세션 기술 프로토콜 정의 정보는 서버(10)로부터 IP-네트워크(7)와 무선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무선 통신 장치(MT1)로 송신된다. 이는 서버(10)로부터 무선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무선 통신 장치(MT1)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는 선택가능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에 관한 정보와 최대 비트 레이트 및 최대 SDU 사이즈 정보와 같은,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에 관한 어떤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TSP 프로토콜의 "200/OK" 메시지이다.
사용자가 무선 통신 장치(MT1)에 의해 워칭을 위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선택한 경우, SDP 정보는 무선 통신 장치(MT1)에서 검사되고 서버에 의해 제안된 그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PDP 컨텍스트(또는 베어러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형성되어 무선 통신 네트워크(NW1)에 송신된다. 그 요청에서 무선 통신 장치(MT1)는 접속에 필요한 최소한 최대 비트 레이트를 정의한다. 다른 파라미터들은, 표 1에 제공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최대 SDU 사이즈, 보증된 비트 레이트, 전송 지연 등일 수 있다. 이 요청은 무선 네트워크(NW1)에서 검사되고 베어러 서비스에 대해 선택이 이루어진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NW1)는 가급적 요청된 QoS와 정합하며 필요 이상의 네트워크 자원들을 예약하지 않는 그러한 베어러 서비스를 접속에 대해 선택하도록 시도한다. 선택된 베어러 서비스에 관한 정보는 무선 통신 장치 (MT1)로 송신된다. 파라미터들은 서버(10)에 의해 제안된 파라미터들에 대응(동일)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가능한 가입 제한 또는 불충분한 네트워크 자원들 때문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NW1)에 의해 다운그레이드될 수 있다.
그 후에 선택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의 송신을 설정하거나 개시하는 요청이 무선 통신 장치(MT1)에 의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서버(10)로 전송된다. 요청 메시지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NW1)에 의해 부여된 QoS 프로파일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3gpp-GrantedMaxbitrate: <value>
3gpp-GrantedMaxSDUsize: <value>
3gpp-GrantedTransferDelay: <value>
와 같은, 메시지의 헤드 필드로서 통지된다.
첫번째 2개의 신택스는 대응하는 SDP 속성들에 대해 정의된 것과 동일하다. 세번째 속성의 신택스(부여된 전송 지연)는 제2 속성의 신택스와 동일하며, 바람직하게는 밀리초로 표현된다. 부여된 전송 지연은, 패킷들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NW1)로부터 스트리밍 클라이언트로 송신되는 지연을 나타낸다.
부여된 파라미터들은, 무선 통신 장치(MT1)에서 PDP 컨텍스트가 활성화된 후에 예를 들어 SETUP 메시지나 PLAY 메시지로서, RTSP 메시지들을 이용함으로써 송신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지만, 부여된 파라미터들은 세션의 전수명 동안 RTSP 프로토콜의 다른 메시지나 다른 프로토콜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해법은 무선 통신 장치(MT1)에 의해서 서버(10)로 전송된 제1 SETUP 메시지내에 2개의 헤더들을 끼워넣는 것이다. 메시지가 수신된 후에, 서버(10)는 부여된 QoS 파라미터들이 제안된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제안된 파라미터들과 부여된 파라미터들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 서버(10)는 송신될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송신 설정을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부여된 QoS 파라미터들에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패킷화된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서버는 필요하다면 SDU 사이즈를 변경할 수도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들의 어떤 제한적이지 않은 예를 보여준다:
SDP:
a=3gpp-maxbitrate:70
a=3gpp-maxSDUsize:1000
RTSP:
C->S: SETUP rtsp://example.com/foo/bar/baz.rm RTSP/1.0
CSeq: 302
Transport: RTP/AVP;unicast;client_port=4588-4589
3gpp-GrantedMaxbitrate: 64
3gpp-GrantedMaxSDUsize: 800
3gpp-GrantedTransferDelay: 2000
서버(10)로부터의 요청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의 송신은, 접속이 무선 통신 장치(MT1)에 대해 확립된 후에 시작할 수 있다. 송신은 바람직하게는 패킷 포맷으로 수행되며, 이 경우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은 IP-네트워크(7)에서 이용되는 프로토콜의 패킷들로 캡슐화된다. 예를 들어 패킷들은 IP-패킷이다. 무선 네트워크(NW1)에서, IP-패킷은 프로토콜 및 무선 네트워크(NW1)에 의해 전달된다.
프리젠테이션은 비트 레이트가 세션의 보증된 비트 레이트를 초과하는 그러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최대 비트 레이트에 따라 자원들을 예약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평균 비트 레이트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다른 파라미터, 그 자체로 알려진 델타 대역폭이 상술한 상황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 파라미터는 최대 비트 레이트와 보증된 비트 레이트 간의 차이를 표현하고, 따라서 최대 비트 레이트-보증된 비트 레이트로 계산될 수 있다. 이 델타 대역폭은 대역폭 적응에 이용되거나 비디오 비트 레이트의 피크를 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 델타 대역폭은, 실시간으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인코딩할 때, 예를 들어 비트 레이트에 영향을 미치는 인코딩 파라미터를 신속하게 변경함으로써, 최상의 미디어 품질을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인코딩하는데 2이상의 변형이 있는 것도 가능하다. 이 장점의 예는 다음과 같다: PSS 클라이언트는 PSS 서버에 DESCRIBE RTSP 메시지를 전달한다. 서버는 (소위 "200/OK"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SDP 기술로 응답한다. SDP 기술은 다수의 동일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대체물들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상이한 평균 및/또는 최대 비트 레이트가 타겟으로 정해져 있다(예를 들어: 선택 1- GBR = 64kbps, MBR = 64; 선택 2 - GBR = 64, MBR = 128). 평균 비트 레이트 보다 높은 최대 비트 레이트는 예를 들어 초기 버퍼링의 기간을 감소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PSS 클라이언트는 최종-사용자 선호도 및 단말 성능들에 따라 바람직한 미디어 스트림을 선택하고 바람직한 스트림의 평균 비트 레이트 및 최대 비트 레이트와 정합하는 QoS 프로파일로 PDP 컨텍스트를 요청한다. 부여된 QoS 프로파일 파라미터들이 요청된 것보다 낮으면, PSS 클라이언트는 대체 미디어 스트림을 선택해야 하고, 그 미디어 스트림의 비트 레이트 파라미터는 부여된 QoS 프로파일 파라미터들의 범위에 부합한다. 마지막으로, PSS 클라이언트는 선택된 미디어 스트림을 나타내게 하는 SETUP 요청을 PSS 서버로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다른 상황을 도시한다. 이는 대화식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대화식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1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2 이상의 무선 통신 장치들이 있다. 제1 무선 통신 장치(MT1)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NW1)에의 부가와 PDP 컨텍스트 활성화를 수행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패킷 데이터 통신을 시작한다. 그 절차들 자체가 공지되어 있고, 이 점에서 본원에 더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또한, 제2 무선 통신 장치(MT2)는 동일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NW1)와 유사한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다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미도시)와 유사한 태스크를 수행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NW1)는 PDP 컨텍스트를 위해 무선 통신 장치(MT1, MT2)용의 특정 자원들을 예약한다. 제1 무선 통신 장치(MT1)는 최대 비트 레이트를 제2 무선 통신 장치(MT2)에 통지하고, 제1 무선 통신 장치(MT1)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제2 무선 통신 장치(MT2)로 송신하기 위해 인코딩할 때 상기 최대 비트 레이트를 이용하도록 허용된다. 최대 비트 레이트 정보는 세션 기술 프로토콜의 상술된 속성 필드를 이용함으로써 통지될 수 있다. 대응하여, 제2 무선 통신 장치(MT2)는 미디어 정보 인코딩 프로세스의 최대 비트 레이트를 제1 무선 통신 장치(MT1)에 통지할 수 있다. 그러나, RTSP 메시지들은 대화식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응용할 수 없다. 필요한 정보가 세션의 다른 파티로 송신될 때, 통신이 시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MT1, MT2) 양자는 최대 비트 레이트 및/또는 최대 SDU 사이즈를 인식하는데,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MT1, MT2)는 파라미터들에 따라 송신에 적응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MT1, MT2)는 세션의 다른 파티로 채택된 파라미터들을 통지할 수 있다. 채택된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다음: 부여된 최대 비트 레이트, 부여된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및/또는 부여된 전송 지연 중 1 이상을 포함한다.
도 4a는 서버(10)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MT1)로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을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의 예를 단순화된 도면으로 도시한다. 화살표(410)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의 송신 흐름을 나타낸다. 점선으로 된 화살표(402)는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동안의 제안된 파라미터 및 부여된 파라미터들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나타낸다.
도4b는 무선 통신 장치(MT1, MT2) 사이의 일방향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일방향, 화살표 403) 또는 2방향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양방향, 화살표 404)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예를 단순화된 도면으로 도시한다. 화살표(403 및 404)는 각각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의 송신 흐름을 나타낸다.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405)는 대화식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동안 메시지들의 송신을 도시한다.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Claims (32)

  1. 송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 통신 장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림이 송신되는 통신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자원의 예약을 위해 다음의 멀티미디어 스트림 송신 파라미터:
    -최대 비트 레이트, 및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통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신 통신 장치에 대한 예약된 통신 자원들에 관한 정보가 다음의 정보,
    -부여된 최대 비트 레이트,
    -부여된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부여된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송신 통신 장치로 송신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관한 정보는 세션 기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송신되고,
    상기 세션 기술 프로토콜의 속성 필드는 상기 수신 통신 장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통지하는데 이용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무선 통신 장치로의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선택하는 단계,
    송신 통신 장치에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선택을 통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최대 비트 레이트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상기 최대 비트 레이트를 상기 수신 무선 통신 장치에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수신 통신 장치에 대한 통신 자원들을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통신 장치에 대한 통신 자원을 예약하는 단계에서, 상기 자원의 예약은 상기 최대 비트 레이트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은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통신 장치는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접속을 이루고 있는 서버이고,
    상기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인터넷으로 그리고 또한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예약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정의된 최대 사이즈를 가지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으로서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대 사이즈는 상기 수신 무선 통신 장치로 통지되고,
    상기 수신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에 따라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저장 용량을 예약하는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선택을 위한 요청은 RTSP의 DESCRIBE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무선 통신 장치(MT1)로부터 통지되고,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상기 최대 비트 레이트는 상기 RTSP의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무선 통신 장치로 통지되고,
    상기 수신 통신 장치에 대한 예약된 통신 자원에 관한 정보는 실시간 송신 프로토콜의 SETUP 메시지 또는 PLAY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통신 장치로 송신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비트 레이트 파라미터는 상기 최대 비트 레이트에 대한 kbit단위의 값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파라미터는 상기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에 대한 정수값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의의 송신 패킷에 대한 제안된 최대 전송 지연도 통지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다수의 대체물이 존재하고, 각각은 상이한 평균 및/또는 최대 비트 레이트가 타겟으로 정해지고, 상기 평균 비트 레이트보다 큰 최대 비트 레이트가 초기 버퍼링 시간의 지속을 감소시키는데 이용되는 방법.
  14.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서 대화식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화식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은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서 송신되며, 자원은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송신을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예약되며, 선택된 자원에 관한 정보는 적어도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무선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자원의 예약을 위해 다음의 멀티미디어 스트림 송신 파라미터:
    -최대 비트 레이트, 및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통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대한 예약된 통신 자원에 관한 정보는 다음의 정보:
    -부여된 최대 비트 레이트,
    -부여된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부여된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제1 통신 장치로 송신되는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관한 정보는 세션 기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송신되고,
    상기 세션 기술 프로토콜의 속성 필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상기 수신 통신 장치에 통지하는데 이용되는 방법.
  17. 송신 통신 장치, 수신 통신 장치, 및 상기 송신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통신 장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송신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다음의 멀티미디어 스트림 송신 파라미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송신에 의해 요구되는 최대 비트 레이트, 및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검출기, 및
    네트워크 자원의 예약을 위하여 상기 수신 통신 장치로 적어도 상기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관한 정보는 세션 기술 프로토콜에 기술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메시지 컴포저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컴포저는 상기 정의된 파라미터의 값으로 상기 세션 기술 프로토콜의 속성 필드를 설정하는 통신 시스템.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통신 장치는 상기 수신 무선 통신 장치로의 송신을 위해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 선택기, 및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선택을 상기 송신 통신 장치에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기는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최대 비트 레이트를 검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상기 최대 비트 레이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수신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수신 통신 장치를 위한 통신 자원을 예약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액세스 노드를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노드는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수신 통신 장치에 대한 통신 자원의 예약에 상기 최대 비트 레이트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액세스 노드에 의해서 부여된 통신 자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은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이용되는 통신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통신 장치는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접속을 이루고 있는 서버이고,
    상기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멀티미디어 스트림은 서버에서 인터넷으로 그리고 또한 멀티미티어 스트림이 예약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 무선 통신 장치로 송신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통신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은 정의된 최대 사이즈를 가지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으로서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최대 사이즈는 상기 수신 무선 통신 장치에 통지되고,
    상기 수신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에 따라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저장 용량을 예약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5. 제19항에 있어서,
    RTSP 프로토콜의 DESCRIBE 메시지는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선택 요청을 통지하는데 이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RTSP 프로토콜의 응답 메시지는 상기 수신 무선 통신 장치로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최대 비트 레이트를 통지하는데 이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 통신 장치에 대한 예약된 통신 자원에 관한 정보는 실시간 송신 프로토콜의 SETUP 메시지 또는 PLAY 메시지로서 상기 송신 통신 장치로 송신되는 통신 시스템.
  26. 제1 무선 통신 장치, 제2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대화식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스트림의 전송을 위한 베어러 서비스를 통해, 제1 무선 통신 장치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 대화식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스트림을 전송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선택된 자원들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는,
    다음의 멀티미디어 스트림 송신 파라미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송신에 의해 요구되는 최대 비트 레이트, 및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검출기, 및
    네트워크 자원의 예약을 위해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적어도 상기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관한 정보는 세션 기술 프로토콜에 기술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세션 기술 프로토콜의 속성 필드를 상기 정의된 파라미터의 값으로 설정하는 메시지 컴포저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8. 송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 통신 장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용 송신 통신 장치로서,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림에 관한 정보는 세션 기술 프로토콜로 기술되는 송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다음의 멀티미디어 스트림 송신 파라미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송신에 의해 요구되는 최대 비트 레이트, 및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검출기,
    상기 정의된 파라미터의 값으로 상기 세션 기술 프로토콜의 속성 필드를 설정하는 메시지 컴포저, 및
    네트워크 자원의 예약을 위해 상기 수신 통신 장치로 적어도 상기 속성 필드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통신 장치.
  29. 송신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는 통신 시스템용 수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통신 장치로 송신될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선택하는 선택기,
    상기 송신 통신 장치로 상기 선택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고 다음의 멀티미디어 스트림 송신 파라미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송신에 의해 요구되는 최대 비트 레이트, 및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송신기, 및
    상기 선택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자원 예약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통신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다음의 파라미터:
    -부여된 최대 비트 레이트,
    -부여된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부여된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부여된 네트워크 자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송신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신 통신 장치.
  3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대화식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스트림의 송신을 위한 베어러 서비스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와 다른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 대화식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용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선택된 자원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다음의 멀티미디어 스트림 송신 파라미터: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송신에 의해 요구되는 최대 비트 레이트, 및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검출기, 및
    네트워크 자원의 예약을 위해 상기 다른 무선 통신 장치로 적어도 상기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다음의 파라미터:
    -부여된 최대 비트 레이트,
    -부여된 최대 서비스 데이터 유닛 사이즈, 및
    -부여된 전송 지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부여된 네트워크 자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057005090A 2002-09-25 2003-09-25 네트워크에서 QoS 프로파일 파라미터를 통지 및부여하는 방법, 시스템 및 통신 장치 KR100731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55,560 US8161158B2 (en) 2002-09-25 2002-09-25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mmunication device
US10/255,560 2002-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571A true KR20050057571A (ko) 2005-06-16
KR100731963B1 KR100731963B1 (ko) 2007-06-25

Family

ID=31993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090A KR100731963B1 (ko) 2002-09-25 2003-09-25 네트워크에서 QoS 프로파일 파라미터를 통지 및부여하는 방법, 시스템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161158B2 (ko)
EP (1) EP1543663B1 (ko)
JP (1) JP4105695B2 (ko)
KR (1) KR100731963B1 (ko)
CN (2) CN101697634A (ko)
AT (1) ATE519297T1 (ko)
AU (1) AU2003266425A1 (ko)
EG (1) EG25406A (ko)
MX (1) MXPA05002831A (ko)
PL (1) PL376401A1 (ko)
RU (1) RU2337492C2 (ko)
WO (1) WO20040302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404B1 (ko) * 2005-06-24 2007-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통신방법
KR100705493B1 (ko) * 2005-12-08 2007-04-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셀 환경에서 서비스 품질 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203056D0 (sv) * 2002-10-11 2002-10-11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pparatu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GB0230301D0 (en) 2002-12-30 2003-02-05 Nokia Corp Streaming media
WO2004072765A2 (en) * 2003-02-13 2004-08-26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signaling streaming quality adaptation and control mechanisms in multimedia streaming
US7225329B2 (en) * 2003-03-19 2007-05-29 Sbc Properties, L.P. Enhanced CSU/DSU (channel service unit/data service unit)
US7701915B2 (en) * 2003-06-27 2010-04-20 Nokia Corporation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mmunication device
EP1689201A1 (en) * 2003-11-20 2006-08-09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private network, relay node, and radio base control station
US7773581B2 (en) * 2004-03-19 2010-08-10 Ericsson Ab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erencing with bandwidth control
US7990917B2 (en) * 2004-06-14 2011-08-02 Nextel Communications Inc.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including an originator base station capable of notifying of channel resource reservation status
ATE538612T1 (de) * 2004-07-05 2012-01-15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und einrichtungen zum bereitstellen von dienstqualitätsparametern in http-nachrichten
KR100840365B1 (ko) * 2004-07-30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피.오.씨 세션의 세션 결합 방법 및 그 시스템
US7898980B2 (en) * 2004-09-30 2011-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voice service through radio channel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7623880B2 (en) * 2004-10-22 2009-11-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distribution of mobile stations to different channels
JP4544029B2 (ja) * 2005-05-16 2010-09-1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ストリーミング通信システム、ストリーミング通信方法及びストリーミング通信プログラム
US20060285497A1 (en) * 2005-06-20 2006-12-21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interoperable QoS parameters and signaling thereof in a 3GPP2-3GPP and 3GPP2-3GPP2 conversational multimedia exchange
US7499719B2 (en) * 2005-06-22 2009-03-03 Motot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ixed mode multimedia conferencing
US8243621B2 (en) * 2006-02-13 2012-08-14 Fujitsu Limited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configuring networks with consistent route and bandwidth settings
US8849297B2 (en) * 2006-07-14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Call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in a wireless network
CN100461766C (zh) * 2006-08-02 2009-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为实时流媒体业务分配资源的方法及装置
WO2008055936A1 (en) * 2006-11-07 2008-05-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of load dependent rate policing
CN101345697B (zh) * 2007-07-09 2013-04-17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通道的选择方法、系统及装置
US9276776B2 (en) * 2007-09-28 2016-03-01 Genband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bandwidth management within a media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based on a session description
CN100550860C (zh) * 2007-11-27 2009-10-14 华为技术有限公司 媒体资源预留方法及业务包信息获取方法及装置
US9705935B2 (en) * 2008-01-14 2017-07-11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interworking between circuit-switched and packet-switched multimedia services
EP2637442B1 (en) * 2008-03-21 2018-06-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fallback to circuit switched domain from packet switched domain
US7933607B2 (en) * 2008-06-19 2011-04-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anaging multiple cellular quality of service mechanisms
EP2329385A4 (en) 2008-08-06 2016-09-14 Movik Networks CALLING CONTENT IN THE RADIO ACCESS NETWORK (RAN)
RU2460235C2 (ru) * 2008-11-10 2012-08-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Системные технологии защиты иформации" (ЗАО "НПП "СТЗИ") Сред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еансами защищенной видеоконференцсвязи в сети шифрованной связи
US8717890B2 (en) * 2009-01-30 2014-05-06 Movik Networks Application, usage and radio link aware transport network scheduler
US8249643B1 (en) * 2009-04-14 2012-08-2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ual-mode capacity reallocation
US8873381B2 (en) * 2009-06-22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Bearer quality of service selection
GB0911730D0 (en) * 2009-07-06 2009-08-19 Nokia Corp Method and apparatus
WO2011027457A1 (ja) * 2009-09-04 2011-03-10 富士通株式会社 伝送システム、伝送装置、および更新データ取得方法
CN102714818B (zh) 2009-10-30 2016-06-1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无线通信的信令
CN102511035A (zh) * 2009-11-09 2012-06-20 莫维克网络公司 用于umts/hspa网络中改善的ran效率的突发分组调度器
TWI403197B (zh) * 2009-12-21 2013-07-21 Gemtek Technolog Co Ltd In the wireless broadband network transmission of multimedia streaming user platform,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2158911A (zh) * 2010-02-11 2011-08-17 华为技术有限公司 机器对机器业务的承载建立方法及网络传输设备
CN102598628A (zh) 2010-03-15 2012-07-18 莫维克网络公司 用于多媒体传送的自适应分块和内容感知同步设备及方法
EP2556439A4 (en) * 2010-04-08 2015-03-04 Vasona Networks CONTINUOUS BANDWIDTH MANAGEMENT FOR MULTIPLE CUSTOMERS
US8335192B2 (en) * 2010-04-13 2012-12-18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ly transitioning between physical-layer networks during a streaming communication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12012334A2 (en) 2010-07-19 2012-01-26 Movik Networks Content pre-fetching and cdn assist methods in a wireless mobile network
EP2429190A1 (en) * 2010-09-13 2012-03-14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video stream
US8565076B2 (en) 2010-09-24 2013-10-22 Movik Networks Destination learning and mobility detection in transit network device in LTE and UMTS radio access networks
JP5421341B2 (ja) * 2010-11-29 2014-02-19 ゼットティーイー(ユーエスエ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加入者サービス品質プロファイルを構成する方法及び装置
CN103493459B (zh) * 2011-04-01 2016-08-24 英特尔公司 一种用于接收自适应多媒体流送的方法和设备
US8527351B2 (en) * 2011-05-11 2013-09-03 Brian C. Wiles Integrate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network, and methods
US9706435B2 (en) * 2011-07-01 2017-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changing upper bound on data packet siz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N103095664B (zh) * 2011-10-31 2015-12-16 国际商业机器公司 Ip多媒体会话建立方法和系统
US9060184B2 (en) * 2012-04-27 2015-06-16 Sonic I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streaming with augmented video stream transitions using a media server
US9306994B2 (en) * 2012-06-06 2016-04-05 Cisco Technology, Inc. Stabilization of adaptive streaming video clients through rate limiting
US8843656B2 (en) 2012-06-12 2014-09-23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estimation of available bandwidth in adaptive bitrate streaming clients
KR101947000B1 (ko) * 2012-07-17 2019-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특징 정보 전달 방법 및 장치
US9402114B2 (en) 2012-07-18 2016-07-26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andomization in adaptive bitrate streaming environments
US9516078B2 (en) 2012-10-26 2016-12-06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chunk duration
US9967300B2 (en) * 2012-12-10 2018-05-08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adaptive bit rate streams
CN104254109B (zh) 2013-06-25 2019-02-19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基站、流媒体自适应传输系统和方法
FR3011414A1 (fr) * 2013-10-01 2015-04-03 Orange Procede d'abonnement a des flux en provenance de clients multicast
CN106688212B (zh) * 2014-09-10 2020-05-19 索尼公司 通信控制设备、通信控制方法和通信系统
US11350268B2 (en) * 2018-05-18 2022-05-31 Qualcomm Incorporated End-to-end rate adaptation using RAN assisted rate adaptation
WO2020208882A1 (ja) * 2019-04-12 2020-10-15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240080298A1 (en) * 2020-12-31 2024-03-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RMINAL DEVICE,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DERIVATION OF QoS RUL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P9901547A0 (en) 1996-11-18 1999-06-30 Mci Worldwide Inc A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US6058113A (en) * 1997-09-30 2000-05-0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enhancing resource reservation communication
EP1066729B1 (en) 1998-04-03 2005-06-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radio access and resource allocation in a universal mobile telephone system (umts)
FI105641B (fi) * 1998-08-10 2000-09-15 Nokia Mobile Phones Ltd Resurssien varaus pakettimuotoisessa tiedonsiirrossa
EP1021059A1 (de) * 1999-01-18 2000-07-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Reservierungsverfahren in digitalen Datenübertragungsnetzen und Datenvermittlungsstelle
US6263371B1 (en) * 1999-06-10 2001-07-17 Cacheflo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ing of streaming content
US7068623B1 (en) * 2000-01-10 2006-06-27 Nortel Networks Limited Communicating traffic over a wireless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20010027490A1 (en) * 2000-01-25 2001-10-04 Gabor Fodor RSVP handling in 3G networks
ATE419697T1 (de) * 2000-01-26 2009-01-15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server und anordnung in einem kommunikationsnetz
AU2001240659A1 (en) 2000-02-29 2001-09-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Quality or service profile negotiation in a data packet communications system
US20020119821A1 (en) * 2000-05-12 2002-08-29 Sanjoy Sen System and method for joining a broadband multi-user communication session
EP1158740B1 (en) * 2000-05-24 2009-09-16 Sony Deutschland GmbH Quality of Service negotiation
AU2001265257A1 (en) * 2000-05-26 2001-12-11 Vocaltec Ltd. Communications protocol
US7133922B1 (en) * 2000-08-07 2006-11-07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of data
CN1262097C (zh) * 2000-08-14 2006-06-28 诺基亚公司 在通信系统中执行的编译码器选择方法以及通信系统
EP1326459B1 (en) 2000-09-20 2008-04-23 Fujitsu Limit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XPA03003036A (es) 2000-10-09 2003-06-24 Nokia Corp Metodo y sistema para establecer una conexion entre elementos de red.
US7546376B2 (en) * 2000-11-06 2009-06-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dia binding to coordinate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for media flows in a multimedia session with IP bearer resources
US20020068545A1 (en) * 2000-11-06 2002-06-06 Johnson Oyama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charging for services provided in a multimedia session
SE0004178D0 (sv) 2000-11-14 2000-11-14 Ericsson Telefon Ab L M Network requested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activation
US7106718B2 (en) * 2001-02-09 2006-09-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ing quality of service class for use in multimedia communicatations
US7010305B2 (en) 2001-03-14 2006-03-07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for assigning values of service attributes to transmissions, radio access networks and network elements
FI111506B (fi) 2001-03-14 2003-07-31 Nokia Corp Menetelmä palvelun laatutason valitsemiseksi langattomassa tiedonsiirtojärjestelmässä
US7089309B2 (en) * 2001-03-21 2006-08-08 Theplatform For Medi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distributing digital media
US7227865B2 (en) * 2001-08-16 2007-06-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Utiliz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for identifying user equipment resource reservation setup protocol capabilities
US20030198184A1 (en) * 2001-08-31 2003-10-23 Joe Huang Method of dynamically determining real-time multimedia streaming rate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s
US8117328B2 (en) * 2002-06-25 2012-02-1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vering from failed network connections in streaming media scenario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404B1 (ko) * 2005-06-24 2007-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통신방법
KR100705493B1 (ko) * 2005-12-08 2007-04-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셀 환경에서 서비스 품질 정보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G25406A (en) 2011-12-28
ATE519297T1 (de) 2011-08-15
EP1543663A1 (en) 2005-06-22
MXPA05002831A (es) 2005-05-27
US8161158B2 (en) 2012-04-17
CN1685674B (zh) 2013-02-06
WO2004030286A1 (en) 2004-04-08
RU2337492C2 (ru) 2008-10-27
US20040057412A1 (en) 2004-03-25
JP2006500841A (ja) 2006-01-05
AU2003266425A1 (en) 2004-04-19
RU2005112217A (ru) 2006-01-20
CN1685674A (zh) 2005-10-19
KR100731963B1 (ko) 2007-06-25
JP4105695B2 (ja) 2008-06-25
PL376401A1 (en) 2005-12-27
CN101697634A (zh) 2010-04-21
EP1543663B1 (en)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963B1 (ko) 네트워크에서 QoS 프로파일 파라미터를 통지 및부여하는 방법, 시스템 및 통신 장치
US7701915B2 (en)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mmunication device
KR100752608B1 (ko) 무선통신네트워크에서 자원 예약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759954B1 (ko)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에서 클라이언트 레이트 능력을시그널링하는 방법
KR100677462B1 (ko) 스트리밍서비스를 위한 휴대단말기의 대역폭산정시스템 및방법
US78646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wo terminals
US20060251093A1 (en) Signaling 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s for a multimedia session
CN101336532A (zh) 用于在数据传输中安装分组过滤器的方法和设备
MXPA06014995A (es) Metodo y dispositivos para cambiar la calidad del servicio.
KR100541523B1 (ko)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을 위한 채널 제어방법
KR2004001213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회의통화 서비스를 위한 음성 데이터전송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