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560A - 높은 바이어스 성질을 가진 겔 튜브 및 이러한 튜브를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높은 바이어스 성질을 가진 겔 튜브 및 이러한 튜브를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7560A
KR20050057560A KR1020057004985A KR20057004985A KR20050057560A KR 20050057560 A KR20050057560 A KR 20050057560A KR 1020057004985 A KR1020057004985 A KR 1020057004985A KR 20057004985 A KR20057004985 A KR 20057004985A KR 20050057560 A KR20050057560 A KR 20050057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wall
container
tube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8015B1 (ko
Inventor
디미리오스 마노우싸키스
알렌 브레드쇼
폴 마틴
Original Assignee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filed Critical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50057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 B01L3/50215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using a float to separate ph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mage-Pickup Tubes, Image-Amplification Tubes, And Storage Tube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겔 분리 매체를 구비한 향상된 유체 수집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겔은 제고가 간편한 방식과 형상으로 튜브 내부에 배치되어, 잠재적인 겔 운동 이슈를 극복한다.

Description

높은 바이어스 성질을 가진 겔 튜브 및 이러한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High bias gel tube and process for making tube}
본 출원은 2002년 9월 23일 출원된 가출원번호 제60/412/824호를 우선권 주장하는 출원이다.
본 발명은 신체 유체 수집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겔 분리 수단을 사용하여 다른 밀도의 상을 분리할 수 있는 혈액 수집 튜브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밀도의 상(phase), 즉 혈액과 같은 서로 다른 밀도의 상을 분리하는 요변성 겔(thixotropic gel)을 담는 유체 수집 튜브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3,997,442호, 4,257,886호, 4,426,290호, 4,770,779호 및 6,238,578호를 참조하면, 그 내용들이 본 출원에 편입되어 있다. 상기 겔은 분리되어질 혈액의 상 사이의 밀도를 가지도록 선택되어 진다. 수집된 혈액 샘플을 원심분리하면, 원심력은 비유동성의 상태에서 보다 유동성의 상태로 겔을 변화시킨다. 유동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겔은 혈청과 혈액 응고부 사이의 두 상 사이에서 하나의 위치로 이동한다. 원심분리가 중단되면, 겔은 다시 비유동성의 상태가 되어, 상들 사이에서 분리된 상태가 된다. 겔 운동, 즉 원심분리에서 적절한 운동은 간혹 이수가 될 수 있다. 미국 특허 3,997,442호는 이에 대한 하나의 해결첵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발전적인 사항은 항상 만족스럽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겔 물질 분리기를 담는 튜브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겔 물질 분리기를 담는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겔 물질 분리기를 담는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겔 물질 분리기를 담는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겔 물질 분리기를 담는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6a-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겔 물질 분리기를 담는 튜브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7g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겔 물질 분리기를 담는 튜브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겔 물질 분리기를 담는 튜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겔 분리 매체를 담고 있는 향상된 유체 수집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겔은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잠재적인 겔 운동 이슈를 극복할 수 있는 방식과 형상으로 튜브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혈액 수집 튜브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튜브(10)는 내측벽(18)과 외측벽(20)을 가진 측벽(16)과 개방된 상단부(12)와 폐쇄된 하단부(14)를 구비한다. 분리 겔(22)은 폐쇄된 단부(14)나 그 근처에서 용기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튜브(10)는 관통식 캡(24)에 제공되어, 상기 캡은 양단부 혈액 수집 바늘의 비-환자 단부에 의해 관통된다. 상기 튜브(10)는 일반적으로 비워져 있어서서 이러한 바늘로 천공시에 혈액은 상기 튜브내부로 유입된다. 비워진 혈액 수집 튜브 및 혈액 수집부의 자세한 사항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샘플 수집시에, 상기 튜브는 혈액 샘플의 두가지 상태 즉 혈청과 적혈구 또는 이미 알려진 다른 셀 타입을 분리하도록 원심분리된다.
본 발명은 장점을 지진 튜브에 상기 겔을 제공하여 겔의 운동에 대한 문제점을 피하거나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튜브에는 전형적인 겔의 전이 상태(원심분리시)와 중간 상태를 반영하는 초기 상태를 가지는 켈 분리 재료가 제공된다. 특히, 상기 겔은 동일한 용기에서 원심분리를 행할 경우 실질적으로 동일한 겔의 상태를 얻는 소정의 원심분리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어, 동일한 켈의 초기 상태는 거의 편평하며 노출된 상부면을 나타내는 겔의 동일한 부피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겔의 노출된 상부면은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한 평면에 0도 내지 20도의 각을 이루는 최적의 평면을 나타내며, 본 발명의 초기 겔 형상은 동일한 겔의 중간 상태(원심분리시)를 반영한다.
몇몇 단면도뿐만 아니라 상기 튜브의 외측으로부터의 겔 위치와 형상에 대한 실시예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다. 다양한 기준과 가이드라인을 사용하여 튜브 내부로 겔을 위치시켜서 본 발명의 장점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면은 여기에서 언급된 설계 가이드라인을 나타내는 유일한 설계 유형을 도시한다. 여기서의 기준과 설명에 기초한 변형예가 고려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면, 겔(22)이 내측벽(18)과 접촉하는 최고점(30)과 겔이 상기 최고점에 대략 마주보면 위치한 내측벽과 접촉하는 최상부 지점(32)의 사이, 즉 원주방향으로 90도 so지 270도, 특히 120도 내지 240도, 가장 빈번하게는 원주방향으로 180도 이상인 구간의 거리는 약 8밀리미터 이상, 특히 약 8 내지 약 21 밀리미터이다. 일실시예에서, 용기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하며 최고점 과 최상부 지점 사이의 절반부에 위치하는 평면을 따라 상기 겔은 내측벽과 접촉하는 각이 180도 이하, 특히 120도 이하를 나타낸다. (원주방향으로의 접촉은 상기 겔이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 축에 거의 수직한 평면에서의 튜브 내측벽과 접촉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다른 방법은 원주방향 접촉부의 140도 내지 220도를 넘어서 상기 겔이 상기 하단부에 대하여 용기에서 거의 균일한 높이를 나타내며, 겔이 용기의 내측벽과 접촉하는 최상부 지점에서 거의 균일한 높이를 가지는 영역의 평균 높이 너머로 약 8 내지 21 밀리미터인 형상이라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겔은 연속적인 제 1 구간(40)과 제 2 구간(42)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구간은 상기 튜브의 폐쇄된 하단부나 그 근처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구간은 상기 제 1 구간의 일부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 1 구간은 제 1 구간이 상기 내측벽과 360도 원주방향 접촉각(겔이 없는 구간이나 몇몇 장애물이 이러한 평면 상부 경계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300도 내지 360도의 원주방향 접촉각)을 나타내는 가상의 상부 경계(44)를 포함한다. 거의 평면의 상부 경계는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한 평면의 10도 이내의 최적의 평면을 가지는 표면으로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제 2 구간의 최고점(46)은 상부 경계(44)의 최고점(48)보다 적어도 약 8 밀리미터 높은 곳, 보다 특징적으로는 약 8 내지 21 밀리미터 높은 것에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제 1 구간은 일반적인 상한값이 약 95%이면서 전체 겔의 적어도 약 80% 부피, 보다 일반적으로는 적어도 약 90% 부피를 담는다.
제 1 및 제 2 구간의 교차부(50)에서의 겔의 내측면은 일반적으로 오목하며, 약 4 내지 8 밀리미터의 곡률반경을 나타낸다. (곡률반경은 이러한 교차부를 따라 최적의 구형의 반경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의 내측을 향하는 제 1 구간의 노출된 표면에 최적합한 평면(60)은 상기 용기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한 평면에 대하여 25도 이하의 각, 보다 일반적으로는 10도 이하의 각을 나타낸다. 상기 용기의 내측을 향하는 제 2 구간의 노출된 표면은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 축에 거의 수직한 평면에 대하여 45도 내지 90도의 각을 나타내는 최적의 평면(62)을 형성한다. (최적의 평면은 설명된 표면이나 외형의 윤곽에 수학적으로 가장 잘 부합하는 평면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상기 용기의 내측을 향하는 제 1 구간의 노출된 표면에 최적의 평면은 상기 용기의 내측을 향하는 제 2 구간의 표면에 최적의 평면에 대하여 90도 내지 140도인 각 (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제 1 구간의 노출된 표면의 평균 높이와 제 2 구간의 최고점 사이의 중간에 위치한 용기의 길이 방향축에 수직한 평면을 따라 제 2 구간은 상기 내측면에 원주방향으로 80도 내지 140도로 접하는 것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제 2 구간의 완전한 형태는 상기 내측벽과 180도의 각으로 원주 방향으로 접하거나, 일반적으로는 120도의 각으로 원주방향으로 접하는 것을 나타낸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겔이 내측벽과 접촉하는 최고점에서, 상기 내측벽과 상기 내측벽에 접하는 지점에서의 겔 표면의 접선 사이의 각은 약 100도 내지 약 180도이며, 겔이 상기 최고점 반대편의 내측벽에 접촉하는 최상부 지점에서, 상기 내측벽과 상기 내측벽과 접촉하는 지점에서 겔 표면의 접선과의 각도는 약 70도 내지 약 100도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겔상에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하며 거리(b)만큼 이격된 제 1 평면 (80) 및 제 2 평면(82)을 중첩시키면, 상기 제 1 평면(80)과 상기 겔 사이의 교차부는 거의 원형이거나 타원을 타나내게 되며, 상기 겔과 제 2 평면(82) 사이의 교차부는 거의 초승달 형상이거나 거의 반달 형상을 나타내게 되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b)는 튜브 내측벽과 접촉하는 겔의 최고점과 상기 튜브의 저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이며, 상기 최고점 반대편에 접하는 겔의 최상부 지점과 상기 튜브의 저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거리(b)의 일반적인 수치는 15 밀리미터보다 크며, 26밀리미터보다 작다. 도 7a 내지 7g에는 다양한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단면의 예시를 나타낸다. 특히, 도 7a-7f는 상기 튜브의 다양한 단면에서의 겔 형상을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겔의 약 5% 내지 약 20%의 부피로, 선택적으로는 약 10% 내지 20%의 부피가 상기 겔이 상기 내측벽과 접촉하는 최고점에서 8 내지 12 밀리미터 범위내에 위치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겔(22)의 약 10 내지 14%의 부피, 보다 상세하게는 약 20% 내지 40%의 부피는 상기 겔의 최고점(102)과 상기 겔의 최저점(104) 사이의 중간에 위치되며 길이방향축에 수직한 평면(100) 위에 위치된다.
이러한 모든 실시예에 공통적인 사항으로서 제공되는 장점은, 겔의 운동성과 제조성이다. 겔 운동성은 상기 튜브의 개방 단부 즉 제 2 구간을 향하여 연장되는 겔의 부분에 의해 증진된다. 특히, 상기 튜브의 개방 단부를 향한 겔 연장부를 제공하는 것은 낮은 원심력에서의 겔 운동성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증진된다. 여기서의 겔 형상/배치에 대한 파라미터는 원심력이 작용할 때의 겔 운동성을 증진시키는 구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겔의 형상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조단계에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미 공지된 다양한 분리 겔은 본 발명에서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미구 특허 제4,101,422호, 제4,148,764호, 제4,350,593호를 참조하라, 특히,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하이드로 카본계열의 겔은 분리제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겔들은 네트워킹된 겔을 형성하도록 훈증된 실리카와 같은 입자로 수정된 수지를 함유한다.
플라스틱과 유리 튜브가 모두 가능하다. 상기 겔을 사양한 기술을 통하여 튜브 내에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튜브의 내부에 삽입되어지는 노즐이 사용되며, 노즐이나 튜브 또는 그 양자는 이러한 목적하에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노즐을 통하여 겔을 공급하는 것은 원하는 겔의 위치에 인접하게 노즐을 위치시킴으로서 가능해지며(튜브의 원하지 않는 구간에 겔을 배치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급이 계속됨으로써, 상기 노즐은 상기 겔에 튜브가 잠기는 것을 피하도록 천천히 당겨진다. 추가적으로, 튜브의 트레이는 제조과정을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행을 이루어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원하는 형상은 다양한 기술에 의해 달성된다. 예를 들어, 겔을 노즐을 사용하여 튜브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원하는 형상을 제공하도록 소정의 각과 속도로 튜브를 원심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겔을 상기 튜브 내부에 배치하거나 그 과정동안 상기 튜브를 각이 지게 배치하거나 일정한 각으로 튜브를 지지함으로써 겔을 튜브(또는 튜브의 그룹) 내부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과 겔 배치 단계는 원하는 형상을 제공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튜브는 일정한 각도로 또는 수직하게 대기중의 온도로 방치되어진다. 상기 겔이 쇠퇴하게 되면, 원하는 형상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단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상기 쇠퇴 현상이 고려되어 진다.
상기 튜브의 축에 일정한 각으로 배향된 개구를 가지는 노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노즐 개구는 겔이 길이 방향 축, 즉 수직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이러한 오프 축 노즐 개구가 가능하다.) (노즐의 축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개방되거나 노즐 팁에 각이 지는 개구를 포함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겔을 배치하는 노즐 개구를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각이진 노즐 개구는 상기 튜브의 대칭 형상에서 겔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각이진 노즐 개구 또는 각이진 노즐 팁의 유용한 각은 노즐 장치 전체에 있어서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25도 내지 45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5도 인 것이 바람직하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겔의 초기 공급 단계로부터 최종 단계(혈액이 수집되고 원심분리되기 전)로 겔이 쇠퇴하게 되는 조건하에서 겔을 공급하는 것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형상을 유익하게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쇠퇴 현상은 공급 후에 대기 조건하에서 발생하여, 상기 튜브는 수직이나 각이 진 상태로 남게 되는데, 환언하면, 튜브나 튜브들은 쇠퇴 현상이나 경화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추가적인 반응이 없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튜브가 수직이나 각이 진 상태로 남게 되는 것은 바람직한 형상을 달성하는데 필요하다. 이러한 쇠퇴 현상이 필요하다면, 상기 겔은 겔이 이러한 쇠퇴 현상을 일으키는 특성을 나타내도록 현저한 전단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겔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술들은 공급 단계후에 쇠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전단력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겔을 공급하는 특정 조건은 겔의 타입, 튜브의 사이즈, 겔 공급 장치와 그 기술 및 겔의 부피에 관련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알려진 사항이다.
일단 겔이 쇠퇴하여 경화되면, 본 발명의 튜브는 추가적인 처리 단계를 통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혈액이나 소변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첨가물, 특히 사전 응고제 또는 항응고제는 상기 튜브 내부에 배치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혈액 분석은 혈청에서 종종 수행되며, 사전 응고제는 혈액 덩어리의 비율을 증진시키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사전 응고제는 실리카 입자, 또는 엘라직 산, 섬유소원 및 트롬빈과 같은 엔자임 혈액 덩어리 활성체를 포함한다. 분석을 위해 플라즈마가 필요하다면, 항응고제는 응고제를 차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혈액 세포는 원심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항응고제는 옥살레이트, 시트레이트 및 EDTA와 같은 킬레이트화제와 헤프라린과 같은 엔자임을 포함한다. 첨가물은 적절한 방식으로 용기에 배치되며, 용매에서의 용해를 포함하고 분말화되고 결정화되거나 리오필라이즈 형태로 배치된다.
첨가물이 튜브에 추가된 후에, 상기 튜브(또는 튜브의 그룹)는 대기압 이하의 압력으로 진공실에 놓이게 된다. 엘라스토머 정지편 또는 천공식 멤브레인과 같은 실링 부재가 도포되며, 상기 튜브는 복사와 같은 수단(예를 들어 코발트 60 복사), 산화 에틸렌 가스 노출이나 전자 빔 노출과 같은 수단에 의해 살균된다. (이러한 몇몇 단계는 전술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용기는 원하는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3 × 75 밀리미터 또는 16 × 100 밀리미터의 외경을 가진 표준 혈액 수집 튜브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여기서 설명된 사항들을 참고하면 당업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의 겔 형상은 겔의 큰 구간으로부터 위로 쓸려지는 단일의 구간을 반영하며, 하나 이상의 상향 쓸려짐 구단을 구비하거나 상향으로 쓸려지는 겔(즉 겔의 비드)의 하나 이상의 얇은 구간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6)

  1. 상단부, 하단부, 내측벽과 외측벽을 구비하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측벽;과
    상기 내측벽 부분과 접하는 용기 내부에 담겨진 겔을 구비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겔이 내측벽과 접하는 최고점과 상기 겔이 최고점에 거의 맞은편의 내측벽과 접촉하는 최상부 지점 사이의 길이 방향의 거리는 적어도 약 8 밀리미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약 8 밀리미터 내지 약 21 밀리미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이 내측벽과 접하는 최고점과 상기 겔이 최고점으로부터 90도 내지 270도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내측벽과 접하는 최상부 지점 사이의 길이 방향 거리는 적어도 약 8 밀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이 내측벽과 접촉하는 최고점과 상기 겔이 최고점으로부터 120도 내지 240도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내측벽과 접촉하는 최상부 지점 사이의 길이 방향 거리는 적어도 8 밀리미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약 8 밀리미터 내지 약 21 밀리미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이 내측벽과 접촉하는 최고점과 상기 겔이 최고점으로부터 180도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내측벽과 접촉하는 최상부 지점 사이의 길이 방향 거리는 적어도 약 8 밀리미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약 8 밀리미터 내지 약 21 밀리미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평면을 따라 상기 최고점과 상기 최상부 지점 사이의 겔은 내측벽과 180도 이하의 각으로 원주방향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내측 벽과 120도 이하의 각으로 원주방향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요변성(thixotropic) 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천공식 마개를 그 내부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겔은 상기 폐쇄된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상단부, 하단부, 내측벽과 외측벽을 구비하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측벽;과
    상기 내측벽의 일부와 접촉하는 용기에 위치된 겔을 포함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겔은 연속적인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구간은 상기 하단부나 그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 2 구간은 상기 제 1 구간의 일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 1 구간은 제 1 구간이 내측벽과 360도 원주방향으로 접촉하는 가상의 상부 경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상부 경계는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평면의 10도 이내의 최적 평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제 2 구간의 최고점은 상기 제 1 구간의 최고점보다 적어도 약 8 밀리미터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약 8 내지 약 21 밀리미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은 적어도 약 80 % 부피의 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은 약 80 내지 약 95 % 부피의 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의 교차부에서의 겔의 내측 표면은 약 4 내지 8 밀리미터 사이의 곡률 반경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측을 향하는 제 1 구간의 노출된 표면에 최적의 평면은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 축에 거의 수직한 평면과 25도 이하의 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측을 향하는 제 2 구간의 노출된 표면은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 축에 거의 수직한 평면과 45도 내지 90도의 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측을 향하는 제 1 구간의 노출된 표면은 상기 용기의 내측을 향하는 제 2 구간의 표면에 최적의 평면에 90도 내지 140도의 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은 제 1 구간이 내측벽과 300도 내지 360도의 원주방향 접촉각을 나타내는 상부 경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평면을 따라 상기 제 1 구간의 노출된 표면의 평균 높이와 제 2 구간의 최고점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구간은 상기 내측벽과 80도 내지 140도 접촉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간 전체는 내측벽과 180도 이하의 원주 방향 접촉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간 전체는 상기 내측벽과 120도 이하의 원주방향 접촉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요변성 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천공식 폐쇄부를 그 내부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겔은 상기 폐쇄된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3. 상단부, 하단부, 및 내측벽과 외측벽을 구비하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측벽;과
    상기 내측벽의 일부와 접촉하는 용기에 배치된 겔을 구비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겔이 내측벽과 접촉하는 최고점에서 내측벽과 상기 내측벽과의 접촉점에서의 겔 표면의 접선과의 각은 약 100도 내지 약 180도이며, 상기 겔이 상기 최고점에 맞은편의 내측벽과 접촉하는 최상부 지점에서, 상기 내측벽 및 상기 내측벽과 접촉하는 지점에서의 겔 표면의 접선 사이의 각은 약 70도 내지 약 10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요변성 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천공식 폐쇄부를 그 내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겔은 상기 폐쇄된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8. 상단부, 하단부, 내측벽과 외측벽을 구비하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측벽;과
    상기 내측벽의 일부와 접촉하는 용기에 배치된 겔을 구비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겔상에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하며 거리(b)만큼 이격된 제 1 평면과 제 2 평면을 중첩하여, 상기 제 1 평면과 겔사이의 교차부는 채워진 거의 원형 또는 거의 타원형이며, 상기 겔과 제 2 평면 사이의 교차부는 적어도 하나의 거의 초승달 형상이거나 거의 반달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거리(b)는 내측벽과 접촉하는 겔의 최고점과 상기 튜브의 저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으며, 상기 최고점에 맞은편에 접촉하는 겔의 최상부 지점과 상기 튜브의 저부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하는 용기.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요변성 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튜브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턴공식 폐쇄부를 그 내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2.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겔은 폐쇄된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3. 제 38 항에 있어서, 15mm < b < 26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4. 상단부, 하단부, 내측벽과 외측벽을 구비하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측벽;과
    상기 내측벽의 일부와 접촉하는 용기에 배치된 겔을 구비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겔의 약 5% 부피 내지 20% 부피는 상기 겔이 내측벽과 접촉하는 최고점의 8 내지 12 밀리미터 이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의 약 10 내지 약 20% 부피는 상기 겔이 내측벽과 접촉하는 최고점의 8 내지 12 밀리미터 이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요변성 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7.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튜브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천공식 폐쇄부를 그 내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9.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겔은 상기 폐쇄된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0. 상단부, 하단부, 내측벽과 외측벽을 구비하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측벽;과
    상기 내측벽의 일부와 접촉하는 용기에 배치된 겔을 구비하며, 상기 겔은 내측벽과 접촉하는 최저점과 상기 내측벽과 접촉하는 최고점을 구비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겔의 약 10 내지 40 부피 %는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평면 위에 배치되며 상기 최고점과 상기 최저점의 중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의 약 20 내지 40% 부피는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평면 위에 배치되며 상기 최고점과 상기 최저점의 중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요변성 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3.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천공식 폐쇄부를 그 내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5.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겔은 폐쇄된 하단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6. 상단부, 하단부, 내측벽과 외측벽을 구비하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측벽;과
    상기 내측벽의 일부와 접촉하는 용기에 배치된 겔을 구비하는 용기에 있어서,
    140도 내지 220도 의 원주방향 접촉각에서, 상기 겔은 하단부에 대하여 상기 용기에서 거의 균일한 높이를 나타내며,
    상기 겔이 상기 용기의 내측벽과 접촉하는 최상부 지점은 균일한 높이를 가지는 구간의 평균 높이위로 약 8 내지 약 21 밀리미터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요변성 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8.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천공식 폐쇄부를 그 내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0.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겔은 폐쇄된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용기.
  61. 상단부, 하단부, 내측벽과 외측벽을 구비하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측벽;과
    상기 내측벽의 일부와 접촉하는 용기에 배치된 겔을 구비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겔은 동일한 용기에서 원심 분리를 수행하는 동일한 겔의 중간 상태와 거의 흡사한 원심 분리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동일한 겔의 초기 상태는 거의 평면인 노출된 상부면을 나타내는 동일한 겔의 부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용기.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요변성 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3.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천공식 폐쇄부를 그 내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5.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겔은 폐쇄된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6. 제 61 항에 있어서,
    동일한 겔의 노출된 상부 표면은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 축에 0도 내지 20도의 각을 나타내는 최적의 평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7. 상단부, 하단부, 내측벽과 외측벽을 구비하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측벽을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 축에 90도 이하의 각으로 겔을 용기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제조방법.
  68.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상기 용기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방법.
  69.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 축에 겔을 각지게 배향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 개구를 구비하는 길다란 노즐을 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방법.
  70.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배치 단계동안 배열되어 용기의 길이 방향 축은 거의 수직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방법.
  71.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요변성 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방법.
  72.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방법.
  73.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천공식 폐쇄부를 그 내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방법.
  74.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겔은 폐쇄된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방법.
  75.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각은 약 25도 내지 약 45도 인 것을 특징으로 히는 용기 제조방법
  76. 상단부, 하단부, 내측벽과 외측벽을 구비하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측벽을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 축에 일정 각으로 겔을 용기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겔이 쇠퇴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제조방법.
  77.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용기의 길이 방향 축에 일정한 각으로 겔을 배향하는 노즐 개구를 구비한 길다란 노즐을 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방법.
  78.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각은 9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방법.
  79.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배치 단계동안 배열되어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 축은 거의 수직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방법.
  80.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용기가 배열되어 용기의 길이 방향 축이 거의 수직하게 배열되는 동안 쇠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방법.
  81.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상기 튜브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방법.
  82.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각은 약 25도 내지 약 4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방법.
  83. 상단부, 하단부, 내측벽과 외측벽을 구비하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측벽을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겔이 배치된 후에 겔의 쇠퇴를 촉진시키는 상태하에서 겔을 용기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 제조방법.
  84. 제 83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용기의 길이 방향 축에 일정한 각으로 겔을 배향하는 노즐 개구를 구비한 길다란 노즐을 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방법.
  85. 제 8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배치 단계동안 배열되어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 축은 거의 수직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방법.
  86. 제 83 항에 있어서,
    상기 겔은 상기 튜브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방법.
KR1020057004985A 2002-09-23 2003-09-19 높은 바이어스 성질을 가진 겔 튜브 및 이러한 튜브를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008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282402P 2002-09-23 2002-09-23
US60/412,824 2002-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560A true KR20050057560A (ko) 2005-06-16
KR101008015B1 KR101008015B1 (ko) 2011-01-14

Family

ID=3203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985A KR101008015B1 (ko) 2002-09-23 2003-09-19 높은 바이어스 성질을 가진 겔 튜브 및 이러한 튜브를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20040059255A1 (ko)
EP (7) EP2272589B1 (ko)
JP (1) JP2006500566A (ko)
KR (1) KR101008015B1 (ko)
CN (1) CN100342974C (ko)
AT (2) ATE511922T1 (ko)
AU (1) AU2003272571B2 (ko)
BR (1) BR0314702B1 (ko)
CA (3) CA2499905C (ko)
ES (2) ES2545591T3 (ko)
MX (1) MXPA05003171A (ko)
WO (1) WO2004026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7236B2 (en) 1999-12-03 2011-05-2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evice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fluid sample
WO2008022651A1 (en) 2006-08-21 2008-02-28 Antoine Turzi Process and device for the preparation of platelet rich plasma for extemporaneous use and combination thereof with skin and bone cells
WO2008113365A2 (en) * 2007-03-19 2008-09-25 Aarhus Universitet Device and method for isolation, concentration and/or identification of compounds
JP5479319B2 (ja) 2007-04-12 2014-04-23 バイオメット・バイオロジックス・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ブイ式懸濁液分画システム
ES2452534T3 (es) 2008-07-21 2014-04-0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ispositivo de separación de fases de densidad
AU2009274104B2 (en) 2008-07-21 2012-06-0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ensity phase separation device
US9333445B2 (en) 2008-07-21 2016-05-1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ensity phase separation device
SG10201709511WA (en) 2009-05-15 2018-03-28 Becton Dickinson Co Density phase separation device
CN103260768A (zh) * 2010-11-09 2013-08-21 株式会社Jms 分离容器及分离方法
US9694359B2 (en) 2014-11-13 2017-07-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chanical separator for a biological fluid
CN113751095B (zh) * 2015-12-11 2024-01-09 巴布森诊断公司 用于从全血分离血清或血浆的样品容器和方法
CN106198094B (zh) * 2016-06-30 2018-08-14 北京空间飞行器总体设计部 一种用于月表采样的初级封装装置
KR101894966B1 (ko) * 2017-03-30 2018-09-04 신현순 원심분리용 용기
US20220088589A1 (en) 2019-01-21 2022-03-24 Eclipse Medcorp, Ll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Biological Samp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2194A (en) * 1972-12-11 1974-12-03 Corning Glass Works Apparatus and method for fluid collection and partitioning
US3997442A (en) * 1974-03-18 1976-12-14 Corning Glass Works Method of separating and partitioning differing density phases of a multiphase fluid
US4101422A (en) 1977-05-11 1978-07-18 Emery Industries, Inc. Copolyesters useful in blood separation assemblies
US4350593A (en) * 1977-12-19 1982-09-2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ssembly, compositions and method for separating blood
FR2441000A1 (fr) * 1978-11-10 1980-06-06 Alsthom Atlantique Cellule d'electrolyseur
US4257886A (en) * 1979-01-18 1981-03-2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blood components
US4297886A (en) * 1979-06-15 1981-11-03 Anikeev Yakov F Ultrasonic flaw detector for immersion testing of articles
JPS57149964A (en) * 1981-03-12 1982-09-16 Terumo Corp Serum separating tube
CA1178257A (en) * 1980-05-08 1984-11-20 Toshiji Ichikawa Apparatus for separating blood
DE8015906U1 (de) * 1980-06-14 1980-09-11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6900 Heidelberg Vorrichtung zum axialen hin- und herbewegen einer farbwerkswalze an rotationsdruckmaschinen
JP2819325B2 (ja) * 1988-12-16 1998-10-30 テルモ株式会社 採液管
US6238578B1 (en) * 1996-12-09 2001-05-29 Sherwood Services Ag Method for dispensing separator gel in a blood collection tube
US6537503B1 (en) * 1999-12-03 2003-03-2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fluid samp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44521T1 (de) 2012-02-15
EP2253379A1 (en) 2010-11-24
EP1542804B1 (en) 2011-06-08
ES2545591T3 (es) 2015-09-14
US20040059255A1 (en) 2004-03-25
KR101008015B1 (ko) 2011-01-14
EP2272589B1 (en) 2015-06-17
ES2378329T3 (es) 2012-04-11
CA2499905A1 (en) 2004-04-01
CA2869943C (en) 2017-01-03
JP2006500566A (ja) 2006-01-05
CN1688390A (zh) 2005-10-26
EP2263801A1 (en) 2010-12-22
ATE511922T1 (de) 2011-06-15
CA2775855C (en) 2015-01-27
CA2499905C (en) 2012-07-10
EP2272590A1 (en) 2011-01-12
CN100342974C (zh) 2007-10-17
EP2272589A1 (en) 2011-01-12
AU2003272571A1 (en) 2004-04-08
EP2253379B1 (en) 2012-02-08
BR0314702B1 (pt) 2013-09-10
AU2003272571B2 (en) 2009-08-27
CA2775855A1 (en) 2004-04-01
MXPA05003171A (es) 2005-06-08
EP1542804A1 (en) 2005-06-22
WO2004026477A1 (en) 2004-04-01
EP2266698A1 (en) 2010-12-29
EP2266697A1 (en) 2010-12-29
BR0314702A (pt) 2005-07-26
US20130259771A1 (en) 2013-10-03
CA2869943A1 (en)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3304B1 (en) Blood collection assembly including clot-accelerating plastic insert
KR101008015B1 (ko) 높은 바이어스 성질을 가진 겔 튜브 및 이러한 튜브를제조하기 위한 방법
JP2607864B2 (ja) 機械的な層分離のための挿入物を含む採血アッセンブリー
AU680346B2 (en) Centrifuge tube and adaptor
EP0629445B1 (en) Vacuum actuated blood collection assembly including tube of clot-accelerating plastic
US39205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hase fluid collection and separation
US3879295A (en) Vacutainer with positive separation barrier
EP3020482B1 (en) Mechanical separator for a biological fluid
JP2744901B2 (ja) 凝固促進のためのガラス挿入部材を含む採血アセンブリ
JP2000237279A (ja) 流体サンプルの成分分離用アセンブリ
US20110266206A1 (en) Integrated Blood Specimen Processor
US20160136639A1 (en) Mechanical Separator for a Biological Fluid
CA2899673C (en) Mechanical separator for a biological fluid
CA2899672A1 (en) Mechanical separator for a biological fluid
JPH0732567U (ja) 血液分離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