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363A - 광 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7363A
KR20050057363A KR1020057004497A KR20057004497A KR20050057363A KR 20050057363 A KR20050057363 A KR 20050057363A KR 1020057004497 A KR1020057004497 A KR 1020057004497A KR 20057004497 A KR20057004497 A KR 20057004497A KR 20050057363 A KR20050057363 A KR 20050057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ing
swing arm
assembly
axis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라르드 이. 로스말렌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57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36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3Details of stationary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7Arrangements for mechanically moving the whole head
    • G11B7/08576Swinging-arm positio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27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focus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2Details of sprung support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지지 조립체(7)와, 스핀들 모터(9)와, 상기 지지 조립체와 결합되고, 스핀들 모터의 스핀들에 장착된 상기 광 디스크의 정보면에 주사하는 광학수단과, 포커싱 렌즈 조립체(29)와, 프리엔드에 상기 포커싱 렌즈 조립체를 실장하는 통상적으로 연장된 스윙 아암 구조체(43)가 포함되되, 상기 프리엔드로부터 이격되고 스윙 아암 구조체에 대략 수직하게 향하는 스윙축(47)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포커싱 렌즈 조립체의 포커싱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피벗팅수단(65)과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의 상기 피벗 주사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피벗팅수단(53)을 포함하며, 상기 포커싱 축을 따라 상기 포커싱 렌즈를 구동하여 스윙 아암 조립체의 상기 프리엔드 근처에 설치된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수단(55,57)과 상기 스윙 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를 구동하는 이동가능형 자기 주사수단을 더 구비한 스윙 아암 조립체(41)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광 디스크장치는, 상기 지지 조립체와 결합된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75,77)과, 상기 지지 조립체와 결합된 고정 자기 주사수단(75,77)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과 고정 자기 주사수단은 스윙 아암 구조체의 프리엔드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스윙 아암 구조체는 프리엔드로부터 적어도 인접한 스윙 축까지 단단하고, 제 1 피벗팅수단은 제 2 피벗팅수단에 설치되거나 제 2 피벗팅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광 디스크장치{OPTICAL DISC APPARATUS}
본 발명은, 회전가능형 광 디스크의 정보면에/로부터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광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지지 조립체와; 상기 지지 조립체와 결합되고, 스핀들 축을 중심으로 광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지지 조립체와 결합되고, 상기 광 디스크의 정보면에 주사하고, 포커싱 축을 갖는 이동가능형 포커싱 렌즈를 갖고 상기 광 디스크의 상기 정보면에 광빔을 포커싱하는 상기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포커싱 렌즈 조립체를 구비한 광학수단과; 프리엔드(free end)에 상기 포커싱 렌즈 조립체를 실장하는 통상적으로 연장된 스윙 아암 구조체를 구비한 스윙 아암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는, 상기 프리엔드로부터 이격된 스윙축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스윙 아암 구조체에 대략 수직하고 상기 스핀들 축과 상기 포커싱 축에 대략 평행하게 향해 있어, 상기 실장된 광 디스크의 상기 정보면에 대략 평행한 주사면을 회전적으로 휙 지나가서, 상기 포커싱 렌즈 조립체가 상기 실장된 광 디스크의 정보면 상을 주사하게 하고,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는 상기 포커싱 렌즈 조립체의 포커싱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피벗팅수단과,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의 상기 피벗 주사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피벗팅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는 상기 포커싱 축을 따라 상기 포커싱 렌즈를 구동하여 상기 광 디스크 정보면 상에 상기 광 빔을 포커싱하는 스윙 아암 조립체의 상기 프리엔드 근처에 설치된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수단과, 상기 스윙 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를 구동하여 디스크 정보면을 주사하는 이동가능형 자기 주사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광 디스크장치는, 상기 지지 조립체와 결합되어, 중간 공극을 가로질러 상기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수단과 자기적으로 함께 동작하고 상기 포커싱 축에 평행한 벡터 성분을 갖는 자력 벡터를 발생하여 그 포커싱 렌즈 조립체를 상기 포커싱 축을 따라 구동하는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과, 상기 지지 조립체와 결합되어, 중간 공극을 가로질러 상기 이동가능형 자기 주사수단과 자기적으로 함께 동작하고 상기 스윙 축을 중심으로 자기 토크(torque)를 발생하여 상기 스윙 축을 중심으로 스윙 아암 조립체를 구동하는 고정 자기 주사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과 고정 자기 주사수단은 스윙 아암 구조체의 프리엔드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광 디스크장치는 US특허번호 4,794,586에 공지되어 있다. 광 디스크장치는, 상기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수단 및 이동가능형 자기 주사수단이, 그 고정 영구 자기 고정자수단과 협력하여 포커싱 및 주사 이동을 제공하도록 권선을 교차시킨 스윙 아암 조립체의 프리엔드에 배치된 2개의 음성 코일을 구비한 스윙 아암 조립체를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는, 고정 피벗의 중심축인 스윙축에 대해 축을 중심으로 피벗팅되게 이동가능하다. 포커싱 렌즈를 포커싱하기 위해서, 상기 아암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상기 아암 조립체의 프리엔드에서의 그 음성 코일에 의해 생긴 자기 포커싱 힘에 의해 구부려진다.
포커싱 목적을 위해 전체적으로 상기 아암 조립체를 구부리는 것은 약간의 단점을 수반한다. 주사시 생성되는 높은 가속 및 감속력에 견디기 위해서, 아암 조립체는, 피벗팅 방향으로 단단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강 아암 조립체는, 피벗팅 이동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부러지지 않게 할 것이다. 그러므로, 큰 포커싱 힘은 자기 포커싱수단에 의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스윙 아암 조립체를 구부리면, 모든 환경하에서 정확히 정렬될 필요가 있는 포커싱 조립체와 관련된 광학수단을 전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에 특히 적합하고 종래 장치의 단점을 해소하는 신규하고도 유용한 광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것과 같은 광 디스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스윙 아암 구조체가 프리엔드로부터 적어도 인접한 스윙 축까지 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피벗팅은 제 2 피벗팅수단에 설치되거나 제 2 피벗팅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스윙 아암 구조체는, 전체적으로 단단하고 구부릴 필요가 없다. 그래서, 스윙 아암 조립체는 소형화에 아주 적합하고, 스윙 아암 조립체에 실장될 필요가 있는 광학계의 모든 부재는, 고정된 상대위치에 실장되어도 된다. 제 1 및 제 2 피벗팅수단은, 임의의 방향이지만 설계된 피벗팅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그들 각각의 기능을 위해 특정화되어도 된다.
실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장치는, 지지 조립체와; 상기 지지 조립체와 결합되고, 스핀들 축을 중심으로 광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지지 조립체와 결합되고, 상기 광 디스크의 정보면에 주사하고, 포커싱 축을 갖는 이동가능형 포커싱 렌즈를 갖고 상기 광 디스크의 상기 정보면에 광빔을 포커싱하는 상기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포커싱 렌즈 조립체를 구비한 광학수단과; 프리엔드(free end)에 상기 포커싱 렌즈 조립체를 실장하는 통상적으로 연장된 스윙 아암 구조체를 구비한 스윙 아암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는, 상기 프리엔드로부터 이격된 스윙축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스윙 아암 구조체에 대략 수직하고 상기 스핀들 축과 상기 포커싱 축에 대략 평행하게 향해 있어, 상기 실장된 광 디스크의 상기 정보면에 대략 평행한 주사면을 회전적으로 휙 지나가서, 상기 포커싱 렌즈 조립체가 상기 실장된 광 디스크의 정보면 상을 주사하게 하고,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는 상기 포커싱 렌즈 조립체의 포커싱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피벗팅수단과,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의 상기 피벗 주사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피벗팅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는 상기 포커싱 축을 따라 상기 포커싱 렌즈를 구동하여 상기 광 디스크 정보면 상에 상기 광 빔을 포커싱하는 스윙 아암 조립체의 상기 프리엔드 근처에 설치된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수단과, 상기 스윙 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를 구동하여 디스크 정보면을 주사하는 이동가능형 자기 주사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광 디스크장치는, 상기 지지 조립체와 결합되어, 중간 공극을 가로질러 상기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수단과 자기적으로 함께 동작하고 상기 포커싱 축에 평행한 벡터 성분을 갖는 자력 벡터(F; P)를 발생하여 그 포커싱 렌즈 조립체를 상기 포커싱 축을 따라 구동하는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과, 상기 지지 조립체와 결합되어, 중간 공극을 가로질러 상기 이동가능형 자기 주사수단과 자기적으로 함께 동작하고 상기 스윙 축을 중심으로 자기 토크를 발생하여 상기 스윙 축을 중심으로 스윙 아암 조립체를 구동하는 고정 자기 주사수단을 더 구비하고,
- 상기 스윙 아암 구조체는 프리엔드로부터 적어도 인접한 스윙 축까지 단단하고,
- 제 1 피벗팅수단은 제 2 피벗팅수단에 설치되거나 제 2 피벗팅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들 및 특징들을,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진 일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비제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소형으로 제작된 크기의 광 디스크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광 디스크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
도 3-도 5는 결합된 모터의 개개의 고정자 적층부와 도 1-2의 광 디스크장치의 포커싱/주사 고정자의 평면도,
도 6은 도 3-도 5에 개별적으로 도시된 고정자 적층부의 적층체의 측면도,
도 7은 도 6으로부터 상기 적층된 고정자 적층부의 사시도,
도 8은 스핀들 모터 고정자로부터 자기적으로 떨어진 스윙 아암 구조체를 바이어스하기 위한 다른 바이어싱수단을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9는 강 스윙 아암 포커싱 및 주사위치의 대충 및 미세 제어용 전자회로의 블록도,
도 10은 도 2와 유사하지만 광 디스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광 디스크장치의 강 스윙 아암 주사 및 포커싱 이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된 전기코일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장치의 광 디스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적 개략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광 디스크장치의 부분 평면도,
도 14는 도 12의 상세 부분의 확대 비율의 부분적 측단면도이다.
도면 중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광 디스크장치(1)는, 회전가능형 광 디스크(5)의 정보면(3)으로부터/정보면에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광 디스크장치(1)는, 소형으로 제작된 크기를 갖고, 대략 실제 스케일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광 디스크의 직경은 약 23mm이다.
광 디스크장치(1)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약 30 x 40mm 크기의 인쇄회로기판인 지지 조립체(7)를 구비한다. 스핀들 모터(9)는,지지 조립체(7)와 결합되고, 스핀들 축(13)을 갖고 그 스핀들 축(13)을 중심으로 스핀들(11) 상에 실장된 광 디스크(5)를 회전시키는 스핀들(11)을 갖는다. 스핀들 모터(9)는, 중간 공극(19)을 가로질러 서로 자기적으로 함께 동작하는 영구자기 회전자(15)와 영구 모터 고정자(17)를 구비한다.
광학수단은, 지지 조립체(7)와 결합되어 상기 스핀들(11) 상에 실장된 광 디스크(1)의 정보면(3)을 주사한다. 그 광학수단은, 다이오드 레이저부(21)와, 빔 스플리터(23), 시준렌즈(25), 90도 반사부재(27), 포커싱 축(35)을 갖는 렌즈 마운트(31)와 이동가능형 포커싱 렌즈(33)를 구비하고 포커싱 축(35)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포커싱 렌즈 조립체(29)를 구비한다. 광학수단은, 소위 서보렌즈(27)와 감광 어레이(39)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모든 광학부재는, 광 디스크 설비의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어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겠다. 광 다이오드 레이저부(21)는 빔 스플리터(33)에 의해 분할된 레이저빔(42)을 방출한다. 그 빔의 일부는, 상기 90도 반사부재(27)로 향하여 시준렌즈에 의해 성형된다. 이 레이저 빔은, 90도 반사부재(27)에서 반사되어 포커싱 렌즈(33)를 통해 광 디스크(5)의 정보면(3) 상에 투사된다. 상기 회전 디스크(5)에 존재하는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빔은, 정보면(3)에서 반사되어 포커싱 렌즈(33)를 통해 되돌아오고, 90도 반사부재(27)에서 반사되고, 시준렌즈(25)를 통과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빔 스플리터(23)를 통과하여, 감광 어레이(29)에 충돌한다. 감광 어레이(9)의 출력신호들은, 전자회로에 출력되어, 광 디스크(5)의 정보면(3)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들을 얻고 광 디스크(5)의 정보면(3)에 대해 광학 조립체의 위치 및 이동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오차신호들을 추출한다.
상술한 광학 조립체(21-39)는 프리엔드(45) 근처에 상기 포커싱 렌즈 조립체(31-33)를 실장하는 통상의 연장 스윙 아암 구조체(43)를 구비한 스윙 아암 조립체(41)에 설치되어 있고, 스윙 아암 조립체(41)는 상기 프리엔드(45)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상기 스윙 아암 구조체(42)에 대략 수직하게 향하고 상기 스핀들 축(13)과 상기 포커싱 축(35)에 대략 평행한 스윙 축(47)을 중심으로 축으로 피벗팅적으로 회전 이동가능하므로,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41)는, 상기 실장된 광 디스크(5)의 상기 정보면(3)에 대략 평행한 주사면을 회전하여 휙 지나가서, 그 스윙 아암 조립체는 상기 포커싱 렌즈 조립체(31-33)가 상기 실장된 광 디스크(5)의 정보면(3) 위를 주사하게 한다.
회전적 피벗팅수단(49-53)은,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41)의 상기 회전적 주사 이동을 가능토록 설치되고, 그 피벗팅수단은 상기 지지 조립체(7)와 결합된 고정 피벗팅수단(49)과 상기 고정 피벗팅수단(51)과 피벗팅되게 함께 동작하는 스윙 암 구조체(43)와 결합된 이동가능형 피벗팅수단(51)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피벗팅수단(49) 및 회전적 피벗팅수단(51)은 휘어진 리프 스프링(53)에 의해 서로 영구적으로 접속되고, 이 리프 스프링에 의해 광 디스크(5)의 정보면(3)에만 평행한 주사방향으로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41)의 피벗팅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동가능형 자기 주사수단(55-57)은, 스윙 아암 조립체(41)의 프리엔드에 설치되어 그 스윙 아암 조립체를 스윙 축(47)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가능형 자기 주사수단은, 접착제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스윙 아암 구조체(43)의 프리엔드에 고정된 2개의 인접한 영구자석(55,57)을 구비한다. 이 영구자석(55,57)은, 스윙 아암 조립체(41)의 전체 연장부에 평행한 자기 축을 따라 기본적으로 (도 2에 화살표로 나타낸) 반평행 방햐으로 자화되어 있다.
고정 자기 주사수단은, 지지 조립체(7)와 결합되게 설치되고, 만곡면(63)(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을 참조, 이는 후술함)에 설치된 중간 공극(61)을 가로질러 이동가능형 자기 주사수단(55,57)과 자기적으로 함께 동작하는 스윙 아암 조립체(41)의 프리엔드 근처와 이 프리엔드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자기 주사 고정자 코어(59)를 구비한다.
도 1-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윙 아암 조립체의 주사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술한 피벗팅수단(49-51)이 제 2 피벗팅수단인 종류와 같고, 제 1 피벗팅수단은 상기 포커싱 렌즈 조립체(29)의 포커싱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피벗팅수단은, 일측에 상기 스윙 아암 구조체(43)의 단부부분(67)에 고정되고 이동가능형 피벗팅수단(51)에 고정된 리프 스프링(65)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이미 설명된 제 2 피벗팅수단과 같다. 그래서, 이동가능형 피벗팅수단(51)은, 2개의 리프 스프링 53과 65 사이에 중간부재를 구성한다. 이 리프 스프링(65)은, 스윙 아암 구조체(41)를 이동되게 하여서 포커싱 렌즈(33)가 포커싱 축(35)만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배향되어 있다.
또한, 이동가능형 자기 주사수단(55-57)은, 포커싱 축(35)을 따라 포커싱 렌즈(33)를 구동하여 그 광빔(42)을 광 디스크 정보면(3) 상에 포커싱하고서 결합된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주사 수단(55-57)을 구성하는, 스윙 아암 조립체(41)의 상기 프리엔드(45) 근처에 설치된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수단으로서 동작한다.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은, 지지 조립체(7)와 결합되어, 포커싱 축(35)을 따라 포커싱 렌즈 조립체(29)를 구동하는 포커싱 축(35)에 평행한 벡터 성분 F를 갖는 자력 벡터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결합된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주사수단(55-57)과 상기 중간 공극(61)을 가로질러 자기적으로 함께 동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은, 고정 자기 주사수단과 결합되고 도 2-도 8과 관련지어 아래에서 설명할 것이다.
상기 스윙 아암 구조체(43)는, 광학부재(21-33)를 수납하는 박스형 구조체로서 도 2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렌즈 마운트(31)는 스윙 아암 구조체(43)에 단단하게 연결된 고정부재이다. 그러나, 당업자에게 있어서 다른 해결책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윙 아암 구조체는, 광학수단(31-33)을 외측에 갖는 강 프로파일형 빔으로서 성형될 수 있다. 광학수단의 일부는, 스윙 아암 구조체 외측에 설치되고, 광학적, 전기적 또는 다른 접속을 통해 스윙 아암 구조체 위에 또는 그 구조체 내에 존재하는 나머지 수단과 통할 수 있다. 도 1-도 2의 광 디스크 장치의 스윙 아암 구조체의 크기는 약 2x2x16mm로 매우 작다.
본 출원과 우선일이 같은 함께 출원중인 PHNL020897(출원인의 식별번호)의 주요 내용이고 여기서 참고로 본 출원에 포함된 도 1-도 2의 광 디스크장치의 실시예의 특징은, 고정 자기 주사수단 또는 자기 주사 고정자 코어(59)는 자기 모터 고정자(17)와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다. 실제로, 도 1-도 2의 실시예에서, 모터 고정자(17) 및 주사 고정자 코어(59)는, 결합된 고정부 내에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고정 피벗팅수단(49)은, 자기 모터 고정자(17)와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다. 실제로, 모터 고정자(17), 주사 고정자 코어(59) 및 고정 피벗팅수단(49)은 모두 결합된 고정부 내에 일체화되어 있다. 도 1-도 2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상술한 것처럼,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은, 고정 자기 주사수단과 결합되어 있어서, 도 1-도 2에서, 모터 고정자, 주사 고정자 코어, 고정 피벗팅수단 및 포커싱 고정자 코어는 모두 결합된 고정부에 일체화되어 있다.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도 3-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된 고정부는, 각각 도면부호 69,71 및 73으로 언급한 3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자화가능형 개별 고정자 적층부로 조립된 고정자 패킷을 구비한다. 도 1-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가능형 자기 주사수단은, 영구 자기적 회전 이동가능형 주사수단(55,57)을 구비하고, 고정 자기주사수단은 이동가능형 영구 자기적 주사수단(55,57)의 회전적인 주사경로를 따라 직렬 배열로 고정자 코어(59) 상에 배치된 다수의 개별 고정자 코일(75)(6개의 코일)을 구비한다. 전자 정류수단은, 개별 고정자 코일(75)을 선택적으로 온 및 오프로 전환하도록 구성되고(후술함), 주사 센서수단(79)(5개의 센서)은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주사제어수단(후술함)은, 회전 아암 위치 및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온으로 전환된 각 고정자 코일(75)의 전류 진폭과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아암 구조체(43)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1-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수단은, 영구자석(55,57)과, 고정 자기 주사수단과, 이동가능형 영구 자기 주사수단(55,57)의 회전 주사경로를 따라 직렬 배열로 상기 고정자 코어 상에 배치되고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레벨 상에 분포된 다수의 개별 고정자 코일(75: 6개의 코일) 및 (77: 6개의 코일)을 구비한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으로 형성된 영구 자기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포커싱수단을 구비한다. 포커싱 센서수단은, 감광 어레이(39) 내에 설치되어 통상의 방식으로 포커싱 렌즈(33)의 포커싱 위치를 검출한다. 포커싱 제어수단 및 주사제어수단(후술함)은, 축방향 포커싱 렌즈 위치와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온으로 전환된 각 고정자 코일(75,77)에서의 전류 진폭과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축방향 포커싱 렌즈(33) 위치와 스윙 아암 조립체(41)의 각도위치를 각각 제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레벨 각각에서의 고정자 코일(75,77)은, 이동가능형 자기 주사수단과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수단(55,57)에 의해 회전하며 휙 지나간 경로를 따라 고정자 코어(598) 상에 일정한 피치로 이격되어 있다. 2개의 레벨에서의 고정자 코일(75,77)은, 주사 아암 구조체의 주사면에 평행한 면들에 배치되어 있고, 1개의 레벨에 존재하는 고정자 코일들(75)은 다른 레벨에 존재하는 고정자 코일들(77)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3-도 6은 스핀들 모터(9)의 모터 고정자 코어(17)와 고정 자기 주사/포커싱수단의 주사 고정자 코어(59) 양쪽이 개별 고정자 적층부(69,71,73)에 의해 어떻게 조립되는지를 나타낸다. 통상대로, 고정자 적층부는 전기 절연 코팅재 또는 필름으로 양측면에 덮여 개별 적층부들 사이에 와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는 연철판재로부터 타출(stamp)된 개별 부품들로 이루어진다. 각 적층부(69-73)에는, 외향으로 돌출하는 각도적으로 고르게 이격된 이빨이 구비된 환상부(81)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자판(69)에는, 그 환상부(81)로부터 연장되어 일체화된 만곡부(85)가 구비되고 서로 고르게 이격된 이빨(87)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자 판들(73)은, 그 이빨 87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이빨 91을 갖지만 동일하게 상호 간격 또는 피치를 갖는 만곡부(89)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자 판들(73)에는, 만곡부(85, 89)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지만 이빨을 갖지 않는 만곡부(9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된 스핀들 모터/주사 고정자는, 6개의 적층부(73) 위에 3개의 적층부(71) 그 위에 6개의 적층부(69)를 적층하고서 8개의 모터 고정자 코일(97)용 8개의 고정자 이빨(95)과, 주사 고정자 코어(59)를 위해 각각 6개의 코일(75)용 6개의 이빨과 6개의 코일(77)용 6개의 이빨을 형성하여서 조립된다. 코일들(75,77)의 2개의 행에 의한 축방향 분리는, 중간 적층부(93)에 의해 이루어진다.
작은 영구자석으로 형성된 바이어싱수단(99)은, 이동가능형 영구 자기 주사/포커싱수단(55,57)과 모터 고정자(17) 사이에서 생성된 자기 흡인력을 바이어스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사 아암 구조체(43)의 모터 고정자(17)로의 자기 부착이 상기 스핀들 모터(9)에 가장 근접한 주사 아암 구조체(43)의 회전적으로 최후 위치에서 방지된다. 영구자석(99)의 자계는, 주사 아암 구조체(43)가 스핀들 모터(9)에 자기적으로 고착되는 것을 막는 강력한 방법으로 영구자석(55,57)의 자계와 상호작용을 한다.
도 1-도 2의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장치(1)에서, 고정 피벗팅수단(49)뿐만 아니라, 모터 고정자(17), 주사/포커싱 고정자 코어(59) 모두는, 결합된 고정부 내에 일체화되어 있다.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도 3-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층부(71)에는, 상기 만곡부(93)의 프리엔드와 그 만곡부(93)에 일정한 각도, 예를 들면 약 90도에서 또 다른 연장부(10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적층부(71)의 상기 적층된 연장부(101)는 지지 빔을 형성하고, 상기 적층된 적층부(69,73)는 주사 고정자 코어(59)의 상호 오프셋 고정자 이빨(105,107) 각각을 형성한다. 상기 스윙 아암 구조체(43)와 상기 회전하는 피벗팅수단(51) 사이와 상기 지지 빔(103)의 프리엔드에서의 상기 피벗팅수단(51)과 고정 피벗팅수단(49) 사이에서 리프 스프링(53,65)을 각각 고정하는 방법은, 도 1-도 2에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었다. 상기 리프 스프링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여러 가지 방법들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접착방법, 레이저 용접, 스폿 용접, 기계적 고정, 스크류 또는 리벳 등으로 고정되어도 된다.
도 8은 도 1-7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약간 변형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의 상세한 내용은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로 대표적인 것만을 설명하겠다. 바이어싱수단(99)은, 본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대신에, 바이어싱수단은, 주사 아암 구조체(43)의 상기 최후의 회전위치에서, 회전하는 영구 자기 주사수단(55,57)에 가해진 상기 1개 이상의 고정자 이빨(105,107)의 회전적 자기 흡인력이 모터 고정자(17)의 회전 자기 흡인력을 초과하도록 설치된 상기 주사 고정자 코어(59) 상의 1개 이상의 고정자 이빨(105,107)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모터 고정자(17) 부근의 고정자 이빨(55,57)과 상기 회전하는 영구 자기 주사수단(55,57) 사이에 공극(61)의 폭을 넓힘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고정자 이빨(55,57)에 의해 가해진 자기 흡인력 P는 스윙 아암 구조체(43)의 임의의 위치에서 모터 고정자(17)의 자기 흡인력을 초과할 것이다.
이제, 도 9의 블록도를 참조하면, 정밀한 스윙 아암 각도의 위치와 포커싱 위치를 전자적으로 대충 및 미세하게 제어하는 것을 간단히 설명한다. 홀 센서 형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태의 5개의 자계 센서(79)는, 이동 가능형 영구 자기 주사/포커싱수단(55)의 자계를 감지하여 자계 강도 및 감지된 방향을 나타내는 전기 자계신호들(109)을 생성한다. 5개의 신호들(109)은, 스윙 아암 각도 및 포커싱 위치를 결정하는 자계 신호 처리부(111)에 입력된다. 이 처리부로부터 스윙 아암 위치신호는 코일 선택 및 극성부(115)에 입력되도록 출력된다. 또한, 상기 코일 선택 및 극성부에의 입력은, 포커스 제어신호 및 트랙킹 제어신호(119)이다. 이들 신호는, 주로 종래기술인 감광 어레이(39)에 접속된 (미도시된) 제어회로에 의해 제공된 포커스 제어 및 트랙킹 제어신호들로부터 얻어진다. 상기 포커스 제어 및 트랙킹 제어신호들을 사용하여 광 디스크장치(1)의 광 디스크(5)의 정보면(3)의 트랙에 대해 포커싱 렌즈(33)에 의해 생성된 레이저빔 스폿의 위치를 미세 조정한다. 상기 코일 선택 및 극성부(115)는, 12개의 출력(121)을 갖고, 각 출력은 고정 자기 주사수단의 12개의 코일(75,77)들 중 각각의 하나에 접속된다. 광 디스크장치(1)의 통상의 동작시에 상기 코일 선택 및 극성부의 동작은, 자계 센서(79)에서 감지한 광 디스크의 정보면(3)에서의 트랙들에 대해 스윙 아암의 공칭 현재 위치에 관련하여 스윙 아암 위치를 미세 제어하는데 아주 필요하도록 이들 코일들만을 선택하는 것이다. 상기 출력들(121) 중 선택된 일부만은 임의의 상기와 같은 공칭 전류 위치에서 전환된다. 이들 출력들은, 필요한 미세 포커싱 및 트랙킹 제어를 이루는데 적합한 방법으로 진폭 및 극성을 상기 코일 선택 및 극성부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코일 선택 및 극성부로부터 12개의 출력들(121)은, 코일 구동부(123) 내에 설치된 12개의 코일 구동회로의 12개의 대응한 입력들에 접속되고, 그 코일 구동회로는 상기 코일 선택 및 극성부의 출력신호들을, 현재의 아암 위치에서 동작하는 상기 선택된 각 코일(75,77)에서의 필요한 자계를 발생하는데 적합한 레벨까지 증폭한다.
서로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어도 된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여, 정보면(129)이 있는 광 디스크를 갖는 광 디스크장치(125)를 구비하고 지지 조립체(131)를 더 구비한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그 크기는 도 1-도 7과 같고, 또한 다수의 구성부품도 유사하므로 상세히 기재하지 않는다. 스핀들 모터(133)는, 광 디스크(127)를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윙 아암 조립체(135)는, 도 2의 스윙 아암 조립체(41) 등의 다수의 광학부재, 그들 중에서 렌즈 마운트(141)에 실장된 포커싱 렌즈(139)를 구비하는 스윙 아암 구조체(137)를 구비한다. 포커싱 렌즈(139)는 포커싱 축(143)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스윙 아암 조립체는 그 포커싱 축(143)에 평행한 스윙 축(145)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다. 리프 스프링(147, 149)은, 중간부(151)와 고정 피벗팅수단(153) 각각에 대해 전체 강(rigid) 스윙 아암 구조체(137)의 축으로 선회하는 포커싱 및 주사이동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동가능형 자기 주사수단은,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이고, 코일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단부에서, 중심 개구(157), 2쌍의 평행한 외측 표면(159,161, 및 163, 165), 2쌍의 내측 표면(167,169, 및 171,173), 및 외향으로 대향하는 축방향 단부 표면(175,177)을 각각 갖는 원통형 주사코일(155)을 구비한다. 이동가능형 포커싱수단은,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이고, 코일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단부에서, 중심 개구(181), 2쌍의 평행한 외측 표면(183,185, 및 187,189), 2쌍의 내측 표면(191,193, 및 195,197), 및 외향으로 대향하는 축방향 단부 표면(199,201)을 각각 갖는 원통형 포커싱 코일(179A, 179B)을 구비한다. 주사코일(155)은, 접착방법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스윙 아암 조립체(135)의 주사이동에 대략 평행한 중심축(205)을 갖는 위치에서의 스윙 아암 구조체(137)의 프리엔드(203)에 대해 외측 표면(159)과 접합되어 있다. 각 포커싱 코일(179A, 179B)은 접착방법 등의 적합한 접합방법으로 상기 스윙 아암 구조체(137)로부터 먼 주사코일(155)의 외측 표면(161)에 대해 그것의 중심 개구(181)의 일측에서의 외향으로 대향하는 축방향 단부 표면(199)의 일부에 접합되어 있고, 2개의 포커싱 코일(179A, 179B)은 그들의 외향으로 대향하는 축방향 단부 표면(199)의 상기 부분이 서로 근접하고, 서로 평행하고, 스윙 아암 조립체(135)의 주사 이동에 대략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결합된 고정 자기수단은, 이동가능형 포커싱 코일(179A, 179B)에 대향하고 상기 포커싱 코일(179A, 179B)로부터 상기 공극에 의해 이격된 연장형 영구자석수단(207)을 구비하고, 상기 영구자석수단(207)을 지지하고 유극을 갖는 주사코일(155)의 중심 개구(157)를 통과하는 고정자 부분(211)을 갖는 자기 투과성 고정자(209)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구자석수단(207)은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135)의 스윙 축(145)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자기적으로 편광되고, 상기 장치는 거의 반경방향으로 향하는 영구자계가 상기 주사코일과 고정자 부분(211) 사이와 상기 포커싱 코일(179A, 179B)의 상기 부분과 고정자(209)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공극을 가로질러 설정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자기 주사수단(207-211)은, 스핀들 모터(133)의 자기 모터 고정자와 단단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스핀들 모터(133)의 모터 고정자, 주사 고정자 코어부(211), 고정 피벗팅수단(153) 및 포커싱 고정자 코어(209)는, 결합된 고정부 내에 일체화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는, 연철 등의 적절한 자기 투과재로 이루어지고, 주사 코일(155)의 중심 개구(157) 내에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2211)인 임시 착탈가능부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는, 프리엔드에서 고정 피벗팅수단(153)을 갖는 고정부(209,211,213)의 나머지 부분과 같은 두께를 갖는 지지 빔부가 구비되고, 스핀들 모터(133)의 모터 고정자와 일체화된 고정자 적층부들로 이루어진 적층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도 12-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회전가능형 광 디스크(219)의 정보면(217)에/으로부터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도 12-도 14의 광 디스크장치(215)는, 지지 조립체(221)와, 상기 지지 조립체(221)와 결합되어, 스핀들 축(227)이 있는 스핀들(225)을 갖고서 스핀들 축(227)을 중심으로 스핀들(225) 상에 실장된 광 디스크(219)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223)를 구비한다. 광학수단은, 스핀들(225) 상에 실장된 광 디스크(219)의 정보면(217)을 주사하기 위해 상기 지지 조립체(221)와 결합되고, 포커싱 축(233)을 갖는 이동가능형 포커싱 렌즈(231)를 갖는 포커싱 렌즈 조립체(229)를 구비하고, 이때의 포커싱 렌즈 조립체(229)는 광 디스크(219)의 정보면(217) 상에 광 빔(235)을 포커싱하는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스윙 아암 조립체(237)는, 프리엔드(241)에서의 포커싱 렌즈 조립체(229)를 지지하는 통상의 연장형 스윙 아암 구조체(239)를 구비하도록 설치되고, 이때의 스윙 아암 조립체(237)는 그 프리엔드(241)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스윙 아암 구조체(239)에 대략 수직하고 스핀들 축(227)과 포커싱 축(233)에 대략 평행하게 향하고 있는 스윙 축(243)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이동가능하여, 스윙 아암 조립체(237)는 상기 실장된 광 디스크(219)의 정보면(217)에 대략 평행한 주사면을 회전적으로 휙 지나가서, 스윙 아암 조립체(237)는 포커싱 렌즈 조립체(229)가 상기 실장된 광 디스크(219)의 정보면(217) 상에 주사되게 한다. 스윙 아암 조립체(237)는 프리엔드(241)로부터 적어도 인접한 스윙 축(243)까지 연장되는 스윙 아암 구조체(239)를 구비하고, 제 1 피벗팅수단은 포커싱 렌즈 조립체(229)의 포커싱 이동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 2 피벗팅수단은 스윙 아암 조립체(237)의 회전적 주사 이동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수단(245)은 포커싱 축(2333)을 따라 포커싱 렌즈(231)를 구동하여 상기 광 디스크 정보면(217) 상에 광빔(235)을 포커싱하는 평탄한 코일의 형태를 갖는 스윙 아암 조립체(237)의 프리엔드(241) 근처에 설치되고, 이동가능형 자기 주사수단(247)은 스윙 축(243)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237)를 구동하여 디스크 정보면(217)을 주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광 디스크장치(215)는, 상기 지지 조립체(221)와 결합되어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수단(245)과 중간 공극(251)을 가로질러 자기적으로 함께 동작하고 포커싱 축(233)에 평행한 벡터 성분을 갖는 자력 벡터 P를 발생하여 포커싱 축(233)을 따라 포커싱 렌즈 조립체(229)를 구동하는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249)을 더 구비하고, 고정 자기 주사수단(253)은 (도 12-도 13의 가상선으로만 개략적으로 도시됨) 이동가능형 자기 주사수단(247)과 중간 공극을 가로질러 자기적으로 함께 동작하고 스윙 축(243)을 중심으로 자기 토크를 발생하여 스윙 축(243)에 대해 스윙 암 조립체(237)를 구동하도록 설치되고, 이때 본 실시예에서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249)과 고정 자기 주사수단(253)은 스윙 아암 구조체(239)의 반대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스윙 아암 구조체(239)는 프리엔드(241)로부터 인접한 스윙 축(243)까지 단단하고, 제 1 피벗팅수단은 제 2 피벗팅수단에 설치되거나 제 2 피벗팅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하, 도 12-도 14를 참조하여 광학수단, 스윙 아암 조립체(237) 및 제 1 및 제 2 피벗팅수단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이전의 실시예들에서처럼, 광 디스크(219)의 정보면(217)으로부터/에 정보를 판독 및/또는 기록하기 위한 광학수단은, 포커싱 렌즈 조립체(229)에 추가로 광학부재(21,23,25,37,39)와 동일한 다수의 광학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포커싱 렌즈 조립체는, 90도 내부 반사면(255)뿐만 아니라 포커싱 렌즈(231)를 구비한 광학 등급 투명 플라스틱으로부터 고 정밀도로 제작된 집적부로 이루어진다(도 14). 모든 이들 광학부재는, 도 12-도 1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중공 박스형 구성을 갖지만 설계 선택에 따른 임의의 적합한 강(rigid) 구성을 가질 수 있는 스윙 아암 구조체(239) 내에 수납되어도 된다. 또한, 이전처럼, 광 디스크(219)에/로부터 정보를 판독 및/또는 기록하는데 필요한 광학부재 및/또는 전자부품 중 일부는, 다른 경우에 지지 구조체(221) 상에 설치되고, 포커싱 렌즈 조립체(229)와 다른 관련 부재들로의 적합한 광학적 연결 및/또는 전기적 연결에 의해 연결되어도 된다.
스윙 아암 조립체는 2개의 서로 회전적으로 이동가능한 부분으로 형성되고, 강 스윙 아암 구조체(239)와 구동 구조체(257)는 도 13에 도시된 일반 형태의 대략 평탄한 주사 코일로서 구성된 이동 가능형 자기 주사수단(247)을 프리엔드(261)에서 지지하는 피벗팅 강 프레임부재(259)를 구비한다. 그 주사 코일은, 광학 및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들의 종래기술로부터 그 자체가 공지된 영구 요크 구조체로서 구성되고, 지지 구조체(221)에 고정되며, 간략함을 위해 도 12,13에서 가상선으로만 윤곽이 그어진 고정 자기 주사수단과 자기적으로 함께 동작한다.
그것의 프리엔드(261)에 대향하는 그것의 엔드(263) 근처에, 프레임 부재(259)는 중심선이 상기 스핀들 축(227)과 포커싱 축(233)에 대략 평행한 스윙 축(243)과 일치하는 고정 피벗 핀(265)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피벗 핀(265)은 지지 조립체(221)의 바닥판(267)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피벗 핀(265)은, 고정 피벗 핀(265) 및 이동가능형 피벗팅수단(269)의 결합은 스윙 아암 조립체(237)의 피벗팅 주사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피벗팅수단으로 구성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재(259)에 고정된 이동가능형 피벗팅수단(269)을 통과한다. 프리엔드(241)에 대향하는 그것의 엔드(271)에서, 스윙 아암 구조체(239)에는, 프레임부재(259)의 단부(263)와 이동가능형 주사 피벗팅수단(269)을 수용하는 2개의 연장된 포크의 갈라진 가닥을 구성하는 2개의 대향 연장부(273)가 구비되어 있다. 같은 축을 가진 피벗 스터드(275A, 275B)는, 공통 포커싱 피벗축(277)을 갖고 상기 연장부(273A, 273B)에 설치된 상보 구멍들을 횡단하는 이동가능형 피벗팅수단(269)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피벗팅 스터드 및 연장부(273A, 273B)와 상기 상보 구멍들의 결합은, 상기 프레임부재(259)에 대해 강 스윙 아암 구조체(239)의 피벗팅 포커싱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 1 피벗팅수단을 제공한다.
스윙 아암 조립체(237)는, 상기 프리엔드(241) 근처에, 상기 포커싱 축(233)을 따라 포커싱 렌즈(231)를 전자기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광 디스크 정보면(217)에 광빔(235)을 포커싱하는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수단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자기 포커싱 수단은, 그 자체가 공지되도록 구리 와이어 등의 도전 와이어의 권선을 갖는 대략 환상 포커싱 코일(245)로 이루어진다. 포커싱 코일(245)은, 그 형상이 종래기술에 공지되고 도 14의 단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대략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광 디스크장치(215)는, 상기 지지 조립체(221)와 결합되어, 이동가능형 포커싱수단(245)과 중간 공극(251)을 가로질러 자기적으로 함께 동작하고 상기 포커싱 축(233)에 평행한 벡터 성분 P을 갖는 자력 벡터를 발생하여 상기 포커싱 렌즈 조립체(229)를 포커싱 축(233)을 따라 구동하는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249)을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은, 종래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적당히 자기 절연재의 하부 지지체를 실장한 상부 및 하부 요크판(281,283)에 집중시키는 강자성 자속에 의해 둘러싸인 자기적으로 자화된 영구자석(279)으로 이루어진다. 고정 및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수단(249,229)은, 각각, 상기와 같이 배치되고, 일반적으로 상기 힘 벡터 성분 P가 포커싱 렌즈(231)의 포커싱 축(233)과 일치하도록 함께 동작한다.
광학 렌즈 조립체(229)는, 스윙 아암 구조체(239)의 프리엔드(241) 근처에 수직으로 반사하는 광학부재(255)를 구비하고, 이 부재는 포커싱 렌즈(231)에 접속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포커싱 렌즈(231)와 일체화되어 있고, 이 광학부재는 전체 내부 반사에 의해 광빔(235)을 반사시키는 일 측면에 반사면(255)을 갖는 일체화된 광학부재로서 광학 등급의 투명 합성수지재로 제조된다. 이러한 반사면(255)은, 실장된 광 디스크(219)의 정보면(217)으로부터 멀리 향하여 있고, 일반적으로 포커싱 축(233)을 따라 포커싱 렌즈(231)를 통과하도록 레이저 빔(231)의 반사를 상기 스윙 축(243)과 포커싱 축(233) 사이에서 일반 방향으로 왕복시키는 포커싱 렌즈(231)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수단(245)은, 이동 가능형 포커싱 렌즈(231)로부터 멀리 향하고 있는 반사면(255) 측의 위치에서 반사부재(255)에 연결되어 있다. 이동가능형 및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245,249)은, 각각 상기 반사면(255)에 대략 평행한 공극(251)을 가로질러 함께 동작한다. 실제로, 포커싱 코일(245)은, 반사면(255)의 내부 반사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을 적당한 접착재를 사용하여 그 반사면(255)의 외부면에 고정된다. 상기 반사면(255)은, 진공 증착에 의해 적층된 금속층 등의 적합한 재료로 광학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커싱 렌즈 조립체(229)의 반사면(255)은, 상기 스윙 아암 조립체(237)의 스윙 축(243)에 대해 경사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동가능형 전자기 코일수단(245)은 반사면(255)에 대략 평행한 경사면에 설치되어 있고,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249)은, 이동가능형 전자기 포커싱 코일수단(245)과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249)간의 공극(251)이 포커싱 렌즈 조립체(229)의 상기 경사진 반사면(255)에 대략 평행한 경사면에 설치되도록 상기 이동가능형 전자기 포커싱 코일수단(245)으로 향한 경사면(287)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장치(1,125,215)의 세 가지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지만, 본 발명이 특정적으로 설명되고 상기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의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모든 것은, 스윙 아암 구조체가 프리엔드로부터 적어도 인접한 상기 스윙 축까지 단단하고 제 1 피벗팅수단이 제 2 피벗팅수단에 설치되거나 제 2 피벗팅수단에 근접하다는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을 포함한다.

Claims (2)

  1. 회전가능형 광 디스크(5;127;219)의 정보면(3;129;217)에/로부터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고,
    - 지지 조립체(7;131;221)와,
    - 스핀들 축(13;134;227)을 중심으로 광 디스크(5,127;219)를 회전시키는 모터(9;133;223)와,
    - 상기 광 디스크(5;127;219)의 정보면(3;129;217)에 주사하되, 포커싱 축(35;143;233)을 갖는 이동가능형 포커싱 렌즈(33;139;231)를 갖는 포커싱 렌즈 조립체(29,33;139,141;229)와; 프리엔드(45;203;241)에 상기 포커싱 렌즈 조립체(29,33;139,141;229)를 실장하는 통상적으로 연장된 스윙 아암 구조체(43;137;239)를 포함하되, 상기 스윙 아암 구조체(43;137;239)에 대략 수직하고 상기 스핀들 축(47;134;227)에 대략 평행하게 향해 있는 스윙 축(47;145;243)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포커싱 렌즈 조립체(29,33;139,141;229)의 포커싱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피벗팅수단(51,65;147,151;275A,275B)과 스윙 아암 조립체(41;135;229)의 상기 피벗 주사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피벗팅수단(51,53;149,151;265,269)을 구비하며, 상기 포커싱 축(35;143;233)을 따라 상기 포커싱 렌즈(33;139;231)를 구동하여 상기 정보면(3;129;217) 상에 광 빔(42;235)을 포커싱하는 스윙 아암 조립체(41;135;237)의 상기 프리엔드(45;203;241) 근처에 설치된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수단(55,57;179A,179B;245)과, 상기 스윙 축(47;145;243)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스윙 아암 조립체(41;135;237)를 구동하여 상기 정보면(3;129;217)을 주사하는 이동가능형 자기 주사수단(55,57;155;247)을 더 구비한, 스윙 아암 조립체(41;135;237)를 구비한 광학수단(21,23,25,27,29,33,37,39;139,141;229)과,
    - 상기 지지 조립체(7;131;221)와 결합되어, 중간 공극(61;251)을 가로질러 상기 이동가능형 자기 포커싱수단(55,57;179A,179B;245)과 자기적으로 함께 동작하여 상기 포커싱 축(35;143;233)에 평행한 벡터 성분을 갖는 자력 벡터를 발생하여 그 포커싱 렌즈 조립체(29,33;139,141;229)를 상기 포커싱 축(35;143;233)을 따라 구동하는 고정 자기 포커싱수단(75,77;207;249)과, 상기 지지 조립체(7;131;221)와 결합되어, 중간 공극(61)을 가로질러 상기 이동가능형 자기 주사수단(55,57;155;247)과 자기적으로 함께 동작하여 상기 스윙 축(47;145;243)을 중심으로 자기 토크를 발생하여 상기 스윙 축(47;145;243)을 중심으로 스윙 아암 조립체(41;135;237)를 구동하는 고정 자기 주사수단(75,77;207;253)을 구비하고,
    상기 스윙 아암 구조체(41;135;237)는 프리엔드(45;203;241)로부터 적어도 인접한 스윙 축(47;145;243)까지 단단하고, 상기 제 1 피벗팅수단(51,65;147,151;275A,275B)은 제 2 피벗팅수단(51,53;149,151;265,269)에 설치되거나 그 제 2 피벗팅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1;125;215).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벗팅수단(51,65;147,151) 및/또는 제 2 피벗팅수단(51,53;149,151)은, 필요한 피벗팅 방향으로만 상대적으로 높은 유연성의 방향을 갖는 리프 스프링수단(65,53;147,149)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장치(1;125;215).
KR1020057004497A 2002-09-19 2003-08-08 광 디스크장치 KR200500573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78881 2002-09-19
EP02078881.6 2002-09-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363A true KR20050057363A (ko) 2005-06-16

Family

ID=32010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497A KR20050057363A (ko) 2002-09-19 2003-08-08 광 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113268A1 (ko)
EP (1) EP1550113B1 (ko)
JP (1) JP2006500706A (ko)
KR (1) KR20050057363A (ko)
CN (1) CN1682287A (ko)
AU (1) AU2003249516A1 (ko)
DE (1) DE60311118D1 (ko)
WO (1) WO20040277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482B1 (ko) * 2006-08-29 2007-07-03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55920A1 (en) * 2002-09-19 2004-04-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disc apparatus
DE102006020730A1 (de) * 2006-05-04 2007-11-08 Deutsche Thomson Ohg Schwingarm-Aktuator für mehrere Bewegungsrichtunge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424B2 (ja) * 1982-01-18 1995-05-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学式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光学ヘツドブロツクの支持装置
US4669073A (en) * 1984-01-31 1987-05-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drive apparatus
DE3581033D1 (de) * 1984-09-04 1991-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eraet zum antreiben eines optischen speichermediums.
ES2025060B3 (es) * 1986-12-30 1992-03-16 Ibm Deutschland Brazo de acceso giratorio para discos opticos
US4922477A (en) * 1987-05-30 1990-05-01 Nec Home Electronics Ltd. Optical head unit
NL8703041A (nl) * 1987-12-16 1989-07-17 Philips Nv Optische aftasteenheid en een optische uitlees- en/of inschrijfinrichting daarvan voorzien.
US4860137A (en) * 1988-03-07 1989-08-22 Eastman Kodak Company Flexure-mounted radial access apparatus for disk recorder/player
JP3132152B2 (ja) * 1992-05-02 2001-02-05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ピックアップの対物レンズ支持装置
JPH10112036A (ja) * 1996-10-07 1998-04-28 Hitachi Maxell Ltd 記録再生装置
JP2001307355A (ja) * 2000-02-16 2001-11-02 Fujitsu Ltd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ガルバノミラー
KR20040091156A (ko) * 2002-03-29 2004-10-2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회전가능한 광 디스크의 정보면에 대해 정보를 기록및/또는 재생하는 광 디스크 장치
AU2003255920A1 (en) * 2002-09-19 2004-04-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disc apparatus
JP2006507618A (ja) * 2002-11-22 2006-03-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旋回光学装置
KR20040067417A (ko) * 2003-01-23 200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524776B1 (ko) * 2003-06-17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픽업시스템의 포커싱 제어장치
US7540004B2 (en) * 2004-12-08 2009-05-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Ultra-small optical/magnetic head actuator with pivot hinge and Halbach magnet arr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482B1 (ko) * 2006-08-29 2007-07-03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27766A1 (en) 2004-04-01
DE60311118D1 (de) 2007-02-22
EP1550113B1 (en) 2007-01-10
AU2003249516A1 (en) 2004-04-08
CN1682287A (zh) 2005-10-12
JP2006500706A (ja) 2006-01-05
US20060113268A1 (en) 2006-06-01
EP1550113A1 (en) 200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2434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4861138A (en) Device for driving optical parts of an optical pickup
GB2077479A (en) Optical tracking apparatuses actuators for transducers
EP0990232B1 (en) Optical scanning device comprising a lens system with a compact actuator
US20080117728A1 (en) Optical pick-up actuator
JP4868662B2 (ja) 光学素子のアクチュエータ
JP2002050061A (ja) 光ピックアップ組立体
JP2005006496A (ja) アクチュエータ用極小型モールドコイルデバイス、これを採用した光ピックアップアクチュエータ、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
KR20050057363A (ko) 광 디스크장치
JP5108927B2 (ja) 光学素子のアクチュエータ
JPH0725858Y2 (ja) 光学式ピックアップの光学部品駆動装置
JP2000011408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ピックアップ装置
JPH0981947A (ja) 光ディスク装置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と対物レンズ
JP2003045054A (ja) 光ピックアップ
US20060087930A1 (en) Optical disc apparatus
US6421191B1 (en) Apparatus for driving an objective lens
JP3105620B2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2602837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20070177283A1 (en) Optical pickup
JP2000020979A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とこれを組み込んだ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206776B1 (ko)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JP2620221B2 (ja) 光学式ピックアップ用アクチュエータ
JP2897090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003257061A (ja) 光ピックアップ
JP3570838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