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5894A -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5894A
KR20050055894A KR1020030088950A KR20030088950A KR20050055894A KR 20050055894 A KR20050055894 A KR 20050055894A KR 1020030088950 A KR1020030088950 A KR 1020030088950A KR 20030088950 A KR20030088950 A KR 20030088950A KR 20050055894 A KR20050055894 A KR 20050055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database
disease prevention
personal
medical rec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동순
조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3008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5894A/ko
Publication of KR20050055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89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의료 전문가의 전문지식을 토대로 구축된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개인의 모든 과거 진료 행위들로부터 권장되는 질병예방 진료행위를 추출해내고, 개인의 연령, 성별, 병력, 가족력 및 기타 조건들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질병예방 진료행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예: 진료 대상 조건, 진료시기, 진료 과목 및 분류, 병명, 처치, 회수, 진료 예정 일자, 관련 의학 지식 등)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의료정보제공 수단의 제어에 따라 가입자의 기본 정보 및 진료기록을 저장하고 있는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진료 대상 조건(연령, 성별, 병력, 가족력 및 기타 조건 등)에 따른 권장 질병예방 항목(진료시기, 진료과목, 병명, 처치, 관련 의학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상기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권장 질병예방 항목을 저장하고 있는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 및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전달받은 가입자의 기본 정보 및 진료기록을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갱신시키고,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로부터 권장 질병예방 항목을 추출한 후, 상기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갱신시키기 위한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의료정보제공서비스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Medic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Its Method Using Standard Prevention Knowledge DB And Personal Treatment History DB}
본 발명은,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 개인은 출생에서부터 영아, 유아, 청소년, 성년, 노인 단계에 이르기까지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여러 가지 의료(진료)행위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신생아 대사 질환 검사 등의 선별검사, BCG 등의 예방 접종, 충치 및 구강 정기 검진 등은 특히 소아의 질병 예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진료행위이며, 성인 여성의 경우에는 유방암, 자궁암, 당뇨병 등 발생빈도가 높은 성인병 예방을 위하여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진단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진료행위는 주로 개인(혹은 부모)의 일반 상식, 주위사람들의 권유, 혹은 개인이 의료 서적 등을 통해 습득한 의료 지식 등과 같이 거의 전적으로 개인의 노력과 관심을 토대로 이루어지므로, 진료행위의 종류와 회수 등에 있어 개인차가 매우 크게 된다.
일예로, 소아(및 청소년)의 경우, 부모가 의료 지식이 부족함으로 인하여 성장 단계별로 받아야 하는 필수적인 진료(예를 들어, 충치 및 구강 검사, 예방 접종 등)를 받지 못하거나,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진료를 받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는, 제 때 진료를 받았다 하더라도 진료 기록을 분실하여 이후에 중복 진료를 받는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다른 예로서, 성인의 경우에 20대의 젊은 여성이라 하더라도 출산 혹은 성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년 1회의 정기적인 자궁(경부)암 검사를 받을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20대 여성은 자궁(경부)암 검사의 필요성을 알지 못하여 정기검진을 받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40세 이상의 염색공장, 화학공장, 유류업체에 종사하는 남성은 전립선암 예방을 위한 정기검진을 받도록 권장하고 있으나, 일반인들은 이러한 의료상식의 부족으로 정기 검진을 하지 않거나, 검진 시기가 상당히 경과한 후 검사를 받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의무-건강기록 및 예방 알림을 제공하여 주는 서비스"가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1-001540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출원 제10-2001-0015405호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건강 알림 시스템에 접속하여 사용자 등록 신청을 하고, 아이디(ID)와 암호 등을 부여받은 후, 본인의 기본적인 신상정보(나이, 키, 몸무게 등)와 건강정보(병력, 출산 여부 등)를 입력하고 서비스 신청 유형(알림 수단 지정, 서비스 사용료 선택 등) 및 자신이 원하는 상세한 건강 정보 알림 조건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건강 알림 시스템은 가입자의 지정 조건(신상 정보, 건강 정보, 알림 조건 등)을 수치화하여 지정 조건에 확률적으로 근접하거나 일치하는 상태가 발생하면 가입자에게 해당 상태(예를 들어, 진료 예약 정보, 예방접종 등 개인적으로 적용되는 건강 체크 상황, 황사주의보 등 일반적인 의학 정보 등)를 알리고, 가입자는 이를 수신하여 조치 여부(예: 예방접종 기록)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건강 정보 알림 및 기록 관리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 출원 제10-2001-0015405호는 건강 알림 시스템에서 가입자의 지정 조건(신상 정보, 건강 정보, 알림 조건 등)을 수치화하여 지정 조건에 확률적으로 근접하거나 일치하는 상태가 발생하였을 때에만 가입자가 희망한 각종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가입자는 개인의 질병 예방을 위한 다음 단계의 표준(권장) 진료(의료) 내역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가입자는 향후 단계별로 수행될 일련의 예방 진료 행위 정보를 사전에 파악할 수 없으며, 이를 통한 질병 예방 진료 계획 수립도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정보 서비스 방법"이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1-004619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출원 제10-2001-0046194호는, 각 의료 사업자 측에 소속되어 있는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거나 보호자와 상담할 때, 환자의 추후 진료 예정일 또는 예방 검진일(또는 예방 접종일)을 약속하면, 그에 따른 고객 정보(환자 또는 보호자에 대한 성명 및 연락처 정보)와 의료 사업자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의료서비스센터(의료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고객 의료 정보 DB(DataBase)에 등록한다.
그러면, 의료서비스 센터에서는 등록된 각 고객에 대한 진료 예정일 혹은 예방 검진일을 체크하여 진료 예정일 또는 예방 검진일 정보, 의학 정보 DB로부터 추출한 관련 의약품 등에 대한 홍보 내용, 진료 혹은 검진을 실시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경고 메시지 등으로 이루어진 안내 메시지를 인터넷,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해당 환자(또는 보호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 출원 제10-2001-0046194호는 고객 의료 정보 DB에 단순히 진료 예정일 또는 예방 검진일 정보만을 저장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안내 메시지를 받은 환자(또는 보호자)는 질병 예방을 위한 기본적인 의학지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다. 즉, 상기 특허 출원 제10-2001-0046194호는 선행된 진료 및 상담 결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부수적인 정보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이미 실시된 질병예방 진료 행위, 미실시된 예방 진료 행위, 실시 예정인 질병예방 진료 행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네트워크를 매개로 하는 건강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이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0-005239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출원 제10-2000-0052391호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의료기관(양한방의원, 의료검진기관),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등록 회원에 대한 건강검진 데이터를 제공받아 분석한 후, 각 회원의 건강상태에 맞는 건강 프로그램(금주프로그램, 식단조절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건강증진시스템(HIS), 및 상기 건강증진시스템(HIS)과 연계하여 건강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이용객체(요식업체, 스포츠센터, 오락센터, 가정) 등으로 구성된 건강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 출원 제10-2000-0052391호는 미리 지정한 의료기관(양한방의원, 의료검진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은 건강검진 데이터만을 관리하기 때문에, 개인의 모든 진료 이력을 관리할 수 없으며, 단순히 건강검진 데이터만을 기초로 음식, 운동, 오락 프로그램 등의 생활 건강 정보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예방 진료 행위를 제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병ㆍ의원 및 약국에서 공단 부담금을 청구한 진료건에 대하여 건강보험가입자 본인 및 14세미만 피부양자의 진료내역(요양기관기호, 병, 의원(약국)명칭, 진료개시일, 진료형태(외래, 입원), 방문(입원)일수, 처방회수, 투약일수, 본인부담금, 공단부담금 등)을 알려주는 진료기록 알림 서비스를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제공하고 있는 건강 보험 수혜자에 대한 진료기록 알림 서비스는 단순하게 개인의 진료 기록을 알려주는 형태로서, 개인의 진료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는 있지만 의료 전문가의 도움 없이 일반인이 자율적으로 질병예방을 위한 향후 진료 계획을 수립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개인에게 질병예방지식을 체계적으로 전달하고, 이를 통한 자발적인 예방 진료 행위를 유발하며, 개인의 진료 기록 및 질병 예방 이력(히스토리)을 관리할 수 있는 의료정보 서비스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의료 전문가의 전문지식을 토대로 구축된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개인의 모든 과거 진료 행위들로부터 권장되는 질병예방 진료행위를 추출해내고, 개인의 연령, 성별, 병력, 가족력 및 기타 조건들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질병예방 진료행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예: 진료 대상 조건, 진료시기, 진료 과목 및 분류, 병명, 처치, 회수, 진료 예정 일자, 관련 의학 지식 등)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장치는,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의료정보제공 수단의 제어에 따라 가입자의 기본 정보 및 진료기록을 저장하고 있는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진료 대상 조건(연령, 성별, 병력, 가족력 및 기타 조건 등)에 따른 권장 질병예방 항목(진료시기, 진료과목, 병명, 처치, 관련 의학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상기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권장 질병예방 항목을 저장하고 있는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 및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전달받은 가입자의 기본 정보 및 진료기록을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갱신시키고,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로부터 권장 질병예방 항목을 추출한 후, 상기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갱신시키기 위한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가입자로부터 진료기록 검색 및 질병예방정보 검색을 요청받아 외부(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입자의 기본정보 및 진료기록을 조회하여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갱신시키는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저장/갱신 단계;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권장 질병예방 항목을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갱신시키는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 저장/갱신 단계; 및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 진료기록 및 질병예방정보를 상기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의료정보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진료예정일자가 기설정된 통지일과 일치하는 권장 예방진료 항목을 추출하여 안내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가입자에게 발송하는 권장 예방진료 안내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가입자로부터 진료기록 검색 및 질병예방정보 검색을 요청받아 외부(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입자의 기본정보 및 진료기록을 조회하여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갱신시키는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저장/갱신 기능;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권장 질병예방 항목을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갱신시키는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 저장/갱신 기능; 및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 진료기록 및 질병예방정보를 상기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의료정보제공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진료예정일자가 기설정된 통지일과 일치하는 권장 예방진료 항목을 추출하여 안내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가입자에게 발송하는 권장 예방진료 안내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은, 의료정보제공 서버(11)의 제어에 따라 가입자의 기본 정보 및 진료기록을 저장하고 있는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12), 진료 대상 조건(연령, 성별, 병력, 가족력 및 기타 조건 등)에 따른 권장 질병예방 항목(진료시기, 진료과목, 병명, 처치, 관련 의학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13), 상기 의료정보제공 서버(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13)로부터 추출한 개인별 권장 질병예방 항목을 저장하고 있는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14); 및 유무선통신망(15)을 통하여 전달받은 가입자의 기본 정보 및 진료기록을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갱신시키고,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12)로부터 추출한 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13)로부터 권장 질병예방 항목을 추출한 후, 상기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갱신시키기 위한 상기 의료정보제공 서버(11)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기본정보 테이블(21,31)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16)로부터 조회한 개인의 진료기록을 저장하기 위한 진료기록 테이블(25,35)을 포함한다.
먼저, 기본정보 테이블(21,31)은 개인의 현재 연령(나이), 성별에 따라 각각 다른 항목(필드)을 포함하게 된다.
즉, 신생아의 기본정보 테이블(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름 필드(211), 성별 필드(212), 연령 필드(213), 생년월일 필드(214), 현재일자 필드(215), 체중 필드(216), 신장 필드(217), 머리둘레 필드(41), 보유질병 필드(219), 과거력 필드(220), 및 가족력 필드(221) 등을 포함한다.
한편, 성인 여성의 기본정보 테이블(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름 필드(311), 성별 필드(312), 나이 필드(313), 생년월일 필드(314), 현재일자 필드(315), 체중 필드(316), 신장 필드(317), 혈압 필드(318), 임신여부 필드(319), 출산기록 필드(320), 보유질병 필드(321), 과거병력 필드(322), 가족력 필드(323), 및 직업 필드(324)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기본정보 테이블(21,31)은 개인의 현재 연령(나이), 성별에 따라 각각 다른 항목(필드)을 포함하는데, 의료정보제공 서버(11)는 개인이 의료정보서비스 가입시 입력한 이름, 성별, 나이와 같은 기본정보로부터 추가적으로 입력이 필요한 항목들을 추출하여 기본정보 테이블(21,31)에 추가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값들을 저장한다. 이 때, 일부 항목의 값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받은 진료기록으로부터 추출되기도 한다.
한편, 진료기록 테이블(25,35)은 진료기록에 부여된 일련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진료기록번호 필드(251), 요양기관기호를 저장하기 위한 요양기관기호 필드(252), 진료받은 병원, 의원, 약국의 이름을 저장하기 위한 병의원명칭 필드(253), 외래, 입원 등의 진료형태를 저장하기 위한 진료형태 필드(254), 진료일자를 저장하기 위한 진료일자 필드(255), 소아과, 내과, 외과 등의 진료과목을 저장하기 위한 진료과목 필드(256), 치료, 정기검진, 예방접종 등의 진료종류를 저장하기 위한 분류 필드(257), 병명, 검진의 종류, 예방접종명 등을 저장하기 위한 병명 필드(258), 의사의 치료, 예방접종, 검진 등의 처리 내용을 저장하기 위한 처치 필드(259), 처방전 내용을 저장하기 위한 처방전 필드(260), 개인부담금과 공단부담금 등의 진료비를 저장하기 위한 진료비 필드(261), 병명 또는 처치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세설명 필드(262), 건강보험증번호 및 가입자이름을 저장하기 위한 건강보험증번호/가입자이름 필드(263),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관리하는 진료기록데이터베이스의 링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진료기록링크 필드(264)를 포함한다.
한편,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13)는 의료전문가에 의하여 구축된 지식데이터베이스로서, 도 4,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료 대상 조건에 따른 진료시기, 진료과목, 병명, 처치, 관련 의학 정보 등의 권장 진병예방 항목을 저장하고 있다.
즉, 의료정보제공 서버(11)는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12),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13), 및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14)를 관리하며, 사용자로부터의 검색 요청에 따라 진료기록, 질병예방정보 등을 제공해준다. 즉, 의료정보제공 서버(11)는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12)로부터 추출한 개인 기본정보 및 개인 진료기록을 이용하여,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13)로부터 진료 대상 조건에 일치하는 항목들을 추출한 후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시켜,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검색 요청이 있을 때 제공해주게 된다.
예를 들어,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되어 있는 진료 대상 조건 중에 신생아에 해당하는 진료 대상 조건들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신생아에 해당하는 진료 대상 조건들은 성별에 상관없이 연령이 주가 되며, 연령에 따라 접종해야 할 예방주사, 받아야 할 검사 등이 저장되어 있게 된다.
그에 비해서, 성인에 해당하는 진료 대상 조건들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별, 연령, 병력, 가족력, 직장 등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료 대상 조건들이 설정되어 있으며,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13)에는 진료 대상 조건에 따른 진료시기, 처치, 관련의학정보 등이 상세히 저장되어 있게 된다.
한편,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14)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12)로부터 추출한 개인 기본정보 및 진료기록을 이용하여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13)로부터 진료 대상 조건에 만족하는 항목들을 추출하여 생성한 질병예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하여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의료정보제공 서버(11)가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한 가입자에 대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801, 802), 가입자로부터의 진료기록 검색 및 질병예방정보 검색 요청에 따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입자의 진료기록 및 개인 기본정보를 조회하여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12)를 갱신한다(803).
그리고, 의료정보제공 서버(11)는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12)로부터 추출한 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13)로부터 추출한 권장 질병예방 항목을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갱신한다(804).
그리고, 의료정보제공 서버(11)는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12) 및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검색한 결과를 인터넷서비스,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등을 통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해준다(805). 이 때, 의료정보제공 서버(11)가 가입자에게 진료기록 및 질병예방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은, "801" 과정에서와 같이 가입자가 인터넷 등을 통하여 의료정보시스템에 접속하여 검색을 요청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지만, 가입자 알림 서비스를 위하여 자체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가입자 요청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할 때에는 가입자가 요청한 진료과목, 진료(예정)일자 등의 다양한 키워드에 따라 질병예방 테이블과 진료기록 테이블을 검색한 결과를 제공해준다. 한편, 가입자 알림 서비스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하여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방법 중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갱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의료정보제공 서버(11)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인증을 마친 의료정보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진료기록 검색 및 질병예방정보 검색을 요청받는다(901).
그러면, 의료정보제공 서버(11)는 상기 검색 요청이 상기 가입자로부터 받은 최초의 검색 요청인지를 확인하여(902), 최초의 검색 요청이 아니면 "905" 과정으로 진행하여, 상기 가입자로부터 입력받은 인적사항(이름, 주민등록번호 등)을 이용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17)로부터 가입자의 최근 항목 이후의 진료기록을 조회하여, 그 결과를 상기 기본정보 테이블 및 상기 진료기록 테이블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확인 결과(902), 최초의 검색 요청이면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12)에 기본정보 테이블 및 진료기록 테이블을 생성하고(903),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14)에 질병예방 테이블을 생성한 후(904), 상기 가입자로부터 입력받은 인적사항(이름, 주민등록번호 등)을 이용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입자의 기본정보 및 진료기록을 조회하여, 그 결과를 상기 기본정보 테이블 및 상기 진료기록 테이블에 저장한다(905). 이 때, 상기 기본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가입자로부터 의료정보서비스 가입시 입력받은 이름, 성별, 나이와 같은 기본정보 이외에 추가적으로 입력이 필요한 필드(기설정되어 있는 조건 데이터)들을 기본정보 테이블(21,31)에 추가하고, 웹 페이지 등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값들을 저장하거나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한 값들을 저장한다.
이와 같이, 소정절차를 통하여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에 등록하고, 회원인증절차를 완료한 가입자가 최초로 서비스 요청을 한 경우에는, 진료기록 테이블의 모든 필드 값은 널(null)이다. 따라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관리하고 있는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입자의 모든 진료기록을 한꺼번에 조회하여 상기 진료기록 테이블에 저장한다. 그리고, 최초의 서비스 요청이 아닌 경우에는 진료일자 순으로 정렬되어 있는 진료기록 테이블의 최근 항목 이후의 진료기록만을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관리하고 있는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상기 진료기록 테이블을 갱신한다. 상기 질병예방 테이블의 갱신 과정은 가입자의 진료기록 검색 요청시, 진료기록 갱신 요청시 또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입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기록된 진료기록 이외의 진료기록을 스스로 입력하여 상기 진료기록 테이블을 갱신시킬 수도 있다.
또한, 진료기록 테이블의 상세설명 필드(262)에는 병명 또는 처치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일반인이 알기 쉬운 용어로 변환하고, 관련 의학 설명을 추가하는 등과 같은 가공을 거쳐 저장한다. 이 과정은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13)를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방법 중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 갱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의료정보제공 서버(11)가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12)의 기본정보 테이블 및 진료기록 테이블로부터 조건 데이터를 추출한다(101). 이 때, 기본정보 테이블로부터 추출하는 조건 데이터는 신상 정보와 건강 정보로 나뉘어진다. 신상 정보는 연령(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성별, 임신여부, 출산기록, 직업(상세) 등이며, 건강 정보는 병력(현재 보유질병, 과거력), 가족력, 기본 건강검진데이터(키, 체중, 혈압) 등이다. 이 가운데 연령, 성별, 직업, 가족력 등의 데이터는 가입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이고, 기본 건강검진데이터(키, 체중, 혈압) 등은 진료기록 테이블로부터 의료정보제공 서버(11)가 자동적으로 추출해낸 데이터이다. 특히, 진료기록 테이블로부터 추출한 데이터가 기본정보 테이블에 포함되는 것(키, 체중, 혈압, 임신여부, 출산기록, 보유질병, 과거병력 등)일 때에는 기본정보 테이블의 해당 필드를 갱신시켜 주어야 한다.
이후, 의료정보제공 서버(11)는 기본정보 테이블 및 진료기록 테이블로부터 추출한 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13)를 검색하여 진료 대상 조건에 만족하는 권장 예방진료 항목들을 추출한다(102). 그리고, 추출(우선순위 적용)한 권장 예방진료 항목에 따라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14)의 질병예방 테이블을 갱신한다(103). 이 때,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의 질병예방 테이블이 초기화(null) 상태이면 추출한 모든 항목들을 저장하고, 초기화(null) 상태가 아니면 갱신된 항목만을 추가 또는 삭제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 갱신 과정을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현재 B형 간염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28세 A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기로 한다. 의료정보제공 서버(11)는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12)의 진료기록 테이블로부터 조건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A의 간염(B형) 치료 관련 진료 기록을 발견하고, 이 기록으로부터 조건 데이터인 병력(즉, '간염(B형)')을 추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의료정보제공 서버(11)는 A의 기본정보 테이블의 보유질병 필드(321)에 '간염(B형)'을 추가하여 갱신하고, '간염'으로 유발 가능한 질병인 '당뇨병'을 진료 대상 조건으로 하는 권장 예방진료 항목들을 더 추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기본정보 테이블 및 진료기록 테이블로부터 추출한 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13)로부터 권장 예방진료 항목들을 검색해내고,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14)의 질병예방 테이블에 추가한다. 이 때, 진료기록 테이블로부터 추출한 조건 데이터가 개인 질병예방 테이블의 특정 권장 예방진료 항목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권장 예방진료 항목의 본인 진료기록 필드(701)에 기록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방법 중 질병예방정보 알림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병예방정보 알림 서비스 과정은 가입자마다 질병예방 테이블을 조회하여, 알림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권장 예방진료 항목에 대한 정보를 메일링 서비스, 단문메시지서비스(SMS), 자동응답서비스(ARS) 등을 통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해 주는 것을 말한다.
먼저, 의료정보제공 서버(11)가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14)의 질병예방 테이블로부터 진료예정일자가 기설정된 통지일과 일치하는 권장 예방진료 항목을 추출하여(111), 안내 메시지를 생성한 후(112), 메일링 서비스, 단문메시지서비스(SMS), 자동응답서비스(ARS) 등을 통하여 가입자에게 발송한다(113). 이 때, 기설정된 통지일이란, 현재일로부터 진료예정일자보다 몇일 이전에 안내 메시지를 발송할 것인지를 미리 설정해 놓은 것을 말하는데, 진료 내용에 따라 복수(3일전, 1일전, 당일 등)의 통지일을 설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각기 다른 안내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할 때에는 기본적인 진료예정일자 정보는 물론 진료에 따른 주의 사항, 준비물 등의 추가적인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입자에게 지속적인 진료기록 정보와 질병예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유한 개인진료기록이 폐기된 이후에도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자신의 정확한 과거 진료기록을 파악할 수 있고, 앞의로의 진료계획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하는 개인의 진료기록과 의료 전문가의 전문지식을 토대로 구축된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개인별로 질병예방 테이블을 관리함으로써 개인의 모든 과거 진료 행위들로부터 권장되는 질병예방 진료행위를 추출해 낼 뿐만 아니라, 추출한 과거 진료행위들간의 연관성(혹은 타당성)을 발견하도록 함으로써 체계적인 질병예방 히스토리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의 연령, 성별, 병력, 가족력 및 기타 조건들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질병예방 진료행위에 대하여 구체적인 정보(예: 진료 대상 조건, 진료시기, 진료 과목 및 분류, 병명, 처치, 회수, 진료 예정 일자, 관련 의학 지식 등)를 제공해줌으로써 외부 의료 전문가의 도움 없이 자율적으로 질병예방을 위한 향후 진료 계획 수립과 그 실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4,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방법 중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갱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방법 중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 갱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방법 중 질병예방정보 알림 서비스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의료정보제공 서버 12 :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13 :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14 :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 15 : 유무선통신망
16 :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
17 :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Claims (9)

  1.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의료정보제공 수단의 제어에 따라 가입자의 기본 정보 및 진료기록을 저장하고 있는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진료 대상 조건(연령, 성별, 병력, 가족력 및 기타 조건 등)에 따른 권장 질병예방 항목(진료시기, 진료과목, 병명, 처치, 관련 의학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상기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권장 질병예방 항목을 저장하고 있는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 및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전달받은 가입자의 기본 정보 및 진료기록을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갱신시키고,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로부터 권장 질병예방 항목을 추출한 후, 상기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갱신시키기 위한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
    을 포함하는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은,
    상기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진료예정일자가 기설정된 통지일과 일치하는 권장 예방진료 항목을 추출하여 안내 메시지를 생성한 후, 가입자에게 발송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
  3.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가입자로부터 진료기록 검색 및 질병예방정보 검색을 요청받아 외부(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입자의 기본정보 및 진료기록을 조회하여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갱신시키는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저장/갱신 단계;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권장 질병예방 항목을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갱신시키는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 저장/갱신 단계; 및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 진료기록 및 질병예방정보를 상기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의료정보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진료예정일자가 기설정된 통지일과 일치하는 권장 예방진료 항목을 추출하여 안내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가입자에게 발송하는 권장 예방진료 안내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저장/갱신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인증을 마친 의료정보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진료기록 검색 및 질병예방정보 검색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검색 요청이 상기 가입자로부터 받은 최초의 검색 요청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최초의 검색 요청이면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에 기본정보 테이블 및 진료기록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에 질병예방 테이블을 생성한 후, 외부(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입자의 기본정보 및 현재까지의 진료기록을 조회하여 상기 기본정보 테이블 및 상기 진료기록 테이블에 저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최초의 검색 요청이 아니면 외부(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입자의 최근 항목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진료기록을 조회하여 상기 기본정보 테이블 및 상기 진료기록 테이블에 갱신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기본정보 테이블 저장 과정은,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가입자로부터 입력받은 이름, 성별, 나이와 같은 기본정보 이외에 추가적으로 입력이 필요한 필드(기설정되어 있는 조건 데이터)들을 상기 기본정보 테이블에 추가하고, 상기 추가한 필드는 상기 가입자로부터 입력받은 값 또는 외부(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한 값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방법.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 저장/갱신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추출한 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표준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진료 대상 조건에 만족하는 권장 예방진료 항목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추출한 권장 예방진료 항목에 따라 상기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를 갱신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방법.
  8. 프로세서를 구비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에,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가입자로부터 진료기록 검색 및 질병예방정보 검색을 요청받아 외부(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입자의 기본정보 및 진료기록을 조회하여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갱신시키는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저장/갱신 기능;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권장 질병예방 항목을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갱신시키는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 저장/갱신 기능; 및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개인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 진료기록 및 질병예방정보를 상기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의료정보제공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제공 수단이 상기 개인 질병예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진료예정일자가 기설정된 통지일과 일치하는 권장 예방진료 항목을 추출하여 안내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가입자에게 발송하는 권장 예방진료 안내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30088950A 2003-12-09 2003-12-09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55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950A KR20050055894A (ko) 2003-12-09 2003-12-09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950A KR20050055894A (ko) 2003-12-09 2003-12-09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894A true KR20050055894A (ko) 2005-06-14

Family

ID=3725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950A KR20050055894A (ko) 2003-12-09 2003-12-09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5894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16B1 (ko) * 2007-12-03 2008-01-1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례 기반 기계학습 추론을 이용한 질환 진단 및 검사 항목선정 시스템 및 방법
KR100811651B1 (ko) * 2006-06-02 2008-03-07 김혁 온라인 동류(同類) 한방 진료 방법 및 시스템
KR100933664B1 (ko) * 2007-12-28 2009-12-2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대화형 치료계획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7599B1 (ko) * 2012-09-12 2015-03-31 한국후지쯔 주식회사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가족력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서식 작성 방법
CN107273709A (zh) * 2017-07-31 2017-10-20 惠州市格农科技有限公司 基于计算机的医院病人资料处理方法
KR20180030008A (ko) 2016-06-09 2018-03-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밀의학을 활용한 가족 단위의 유병률 예측 가계도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1876858B1 (ko) * 2017-03-13 2018-07-11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질병 발현 예측 및 컨설팅 시스템
WO2019074191A1 (ko) * 2017-10-13 2019-04-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암 치료 예측결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인공 지능망 기반 치료 예측 결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치료 예측결과 및 근거 자료 일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3593711A (zh) * 2021-08-03 2021-11-02 中电健康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国际疾病分类编码的健康管理信息推送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651B1 (ko) * 2006-06-02 2008-03-07 김혁 온라인 동류(同類) 한방 진료 방법 및 시스템
KR100794516B1 (ko) * 2007-12-03 2008-01-1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례 기반 기계학습 추론을 이용한 질환 진단 및 검사 항목선정 시스템 및 방법
KR100933664B1 (ko) * 2007-12-28 2009-12-2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대화형 치료계획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7599B1 (ko) * 2012-09-12 2015-03-31 한국후지쯔 주식회사 의료정보 시스템에서의 가족력 작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서식 작성 방법
KR20180030008A (ko) 2016-06-09 2018-03-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밀의학을 활용한 가족 단위의 유병률 예측 가계도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1876858B1 (ko) * 2017-03-13 2018-07-11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질병 발현 예측 및 컨설팅 시스템
CN107273709A (zh) * 2017-07-31 2017-10-20 惠州市格农科技有限公司 基于计算机的医院病人资料处理方法
WO2019074191A1 (ko) * 2017-10-13 2019-04-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암 치료 예측결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인공 지능망 기반 치료 예측 결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치료 예측결과 및 근거 자료 일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3593711A (zh) * 2021-08-03 2021-11-02 中电健康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国际疾病分类编码的健康管理信息推送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in King Lee et al. Immediate needs of adult family members of adult intensive care patients in Hong Kong
McDonald et al. Canopy computing: using the Web in clinical practice
US200701800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of remotely collected external sensor measures
US200801332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medical information
Kortüm et al. Using electronic health records to build an ophthalmologic data warehouse and visualize patients' data
US798393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aborative personal health history
US20180322946A1 (en) Healthcare Actionable Intelligence Data Generation And Distribution
Kadarina et al. Preliminary design of Internet of Things (IoT) application for supporting mother and child health program in Indonesia
Becker et al. Cardiac arrest in medical and dental practices: implications f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US200501076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rnal input of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US20220310219A1 (en) Medical record digest
JP2003050869A (ja) 治療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治療情報提供方法
KR20050055894A (ko) 표준 질병예방 지식데이터베이스 및 개인 진료기록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의료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38896A (ko) 건강정보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건강정보 관리 서비스 방법
KR20180046934A (ko) 개인진료기록데이터베이스와 대응진료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개인맞춤형 진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US20130191150A1 (en) Medical examination schedul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Baernholdt et al. Why an ICNP? Links among quality, information and policy
Yakushi et al. Utilization of secure messaging to primary care departments
JP2002203045A (ja) 医療データ管理システムおよび医療データ管理装置
KR101919236B1 (ko) 스마트 요양간호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6794A (ko) 헬스 케어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097817A (ja) 複数の医療機関が保有する患者情報を医療情報提示端末に提示するシステム
Daniels et al. Adult immunization in university‐based primary care and specialty practices
ES2893868T3 (es) Sistema de captación de pacientes y método de captación de pacientes
KR20050049448A (ko) 인터넷 망을 기반으로 한 주거공간위주의 원격진료 시스템및 원격진료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