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5679A -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5679A
KR20050055679A KR1020050042839A KR20050042839A KR20050055679A KR 20050055679 A KR20050055679 A KR 20050055679A KR 1020050042839 A KR1020050042839 A KR 1020050042839A KR 20050042839 A KR20050042839 A KR 20050042839A KR 20050055679 A KR20050055679 A KR 20050055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ser
preference
group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관
Original Assignee
임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관 filed Critical 임재관
Priority to KR1020050042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5679A/ko
Publication of KR20050055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67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터넷상의 사용자의 선호도의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여 표시물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응용하여 광고를 하고, 검색엔진에서 표시되는 검색 결과의 표시물을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회원 가입시 성별, 연령대, 직업군, 업종 등의 하나 이상의 분류를 선택하여 사용자 및 사용자가 포함되는 그룹을 만들고,
시스템에서 사용자 및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인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서 선택(클릭)하는 시간, 위치(좌표), 표시물, 표시물분류, 색상, 크기 등의 변수를 시스템에서 인식하여 이를 표시 대상으로 집계 및 분석함으로서,
표시 대상이 선호하는 시간변수의 변화에 따라 선호하는 비율을 선호도로 집계하고 인식하게 되고,
표시 대상이 선호하는 디스플레이의 위치(좌표)의 변화에 따라 선호하는 비율을 선호도로 집계하고 인식하게 되고,
표시 대상이 선호하는 표시물(정보,광고)의 변화에 따라 선호하는 비율을 선호도로 집계하고 인식하게 되고,
표시 대상이 선호하는 표시물분류(종류)의 변화에 따라 선호하는 비율을 선호도로 집계하고 인식하게 되고,
표시 대상이 선호하는 색상의 변화에 따라 선호하는 비율을 선호도로 집계하고 인식하게 되고,
표시 대상이 선호하는 크기의 변화에 따라 선호하는 비율을 선호도로 집계하고 인식하게 됨으로서,
이러한 집계, 분석된 선호도의 비율 정보를 정보제공자에게 제공함으로서 표시물의 선택과 배치의 정보를 제공하게되고,
이러한 집계, 분석된 선호도의 비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물을 표시하도록 배치함에 있어서,
표시 대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가장 선호하는 표시물의 선호도 비율에 따라 선택하고 또는 가장 선호라는 표시물분류에서 가장 선호하는 선호도 비율에 따라 표시물을 선택하고, 선호도 비율에 따라 표시물이 표시될 위치를 선택하고, 선호도 비율에 따라 표시물의 색상을 선택하고, 선호도 비율에 따라 표시물의 크기 선택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물을 표시함으로서 사용자의 관심과 선택의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대상이 선호하는 표시물을 선호도의 비율에 따라 노출시간을 달리하여 표시함으로서 표시의 시간을 효과적으로 배분하여 선택의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를 검색시스템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서치)하고 사용자 또는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 그룹에서 시간의 변화, 표시물의 변화 등에 따른 선호하는 표시물을 상위에 표시하고 또한 선택율이 높은 표시물(검색결과)에 표시(마킹)하여 표시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검색의 편리성을 주게 되고,
위와 같은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Internet User Oriented Slective Information ProvidingMethod}
본 발명은 인터넷상의 사용자의 선호도의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여 표시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응용하여 광고를 하는 방법과, 검색엔진에서 표시되는 검색 결과물을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상의 광고는 불특정다수에게 무작위의 광고를 표시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광고는 사용자의 집중력을 떨어드려서 사용자의 선택을 받기에 어렵다.
인터넷상의 검색서비스에 있어서도 많은 검색 결과물에서 정보가 너무 많아서 정작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골라내는 것이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회원 가입시 성별, 연령대, 직업군, 업종 등의 하나 이상의 분류를 선택하여 사용자 및 사용자가 포함되는 그룹을 만들고,
사용자 및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인식하도록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서 선택(클릭)하는 시간, 위치(좌표), 표시물, 표시물분류, 색상, 크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각 변수의 합계, 평균, 비율, 오차를 계산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 및 사용자가 속한 그룹 또는 전체 사용자 및 전체그룹의 위치의 선호도의 비율과 위치(좌표)별 순위를 구하고, 표시물분류의 선호도의 비율과 표시물분류별 순위를 구하고, 표시물의 선호도의 비율과 표시물별 순위를 구하고, 색상의 선호도의 비율과 색상별 순위를 구하고, 크기의 선호도의 비율과 크기별 순위를 구하여 이에따라 표시물을 배치하여 효율성과 집중력을 높에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 방법-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광고를 클릭하면 그룹별, 사용자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선택한 위치별, 시간별, 광고번호별, 광고의 분류(종류), 색상, 크기 별로 선택로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집계 및 분석하여 사용자 및 광고제공자에게 정확한 광고 위치, 시간, 광고번호, 광고분류의 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사용자가 선호하는 시간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 또는 광고의 분류(종류)에서 선호하는 광고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위치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색상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크기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유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검색하는 방법-
사용자 및 사용자가 속한 그룹에서 디스플레이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표시된 검색결과를 클릭하면 그룹별, 사용자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선택한 위치별, 시간별, 광고내용별, 검색어 분류(종류)를 선택로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집계 및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검색결과를 표시하면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시간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검색내용 또는 검색어의 분류(종류)에서 선호하는 검색내용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위치에 검색내용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유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포함하여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은 청구항 제 1항, 제 22항, 제 24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적어도 시스템은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다수의 정보 제공자의 컴퓨터(서버)와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들로 이루어진다.
또는 시스템은 다수의 정보를 저장하고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들로 이루어진다.
또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물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도록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1항의 각 구성의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컴퓨터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 입력장치를 갖고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되는 도7,도8,도9와 같이 디지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시스템은 사용자들로부터 회원가입을 받으면서 성향으로 특징되는 하나 이상의 성별, 연령대, 직업군, 업종 등과 같은 그룹을 입력받고 도2와 같이 각 성별-11, 연령대-12, 지역-13, 직업군-14, 업종-15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그룹 항목을 선택하여 회원이 속한 그룹으로하여 도2의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10) 시스템을 저장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대상을 시스템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수단으로 쿠키파일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시스템은 정보제공자들로부터 정보, 뉴스, 광고 등의 표시물 정보를 입력(등록)을 받으면서 도3,도5,도6와 같이 표시물과 표시물을 연결할 링크 주소와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입력된 표시물에 대하여 도4와 같은 표시물을 종류(분야)에 따라 분류하여 표시물류를 포함하여 도3,도5,도6 표시물 데이터베이스시스템(-20)에 저장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간략히 표시물 및 분류에 대한 클릭수를 분석하고 싶다면 도3,도5,도6과 같이 각 사용자 그룹별로 클릭수를 집계하도록 구성하고 해당 그룹에 속한 사용자가 클릭을 하면 클릭수가 더하기로 계산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표시물을 디스플레이하여 표시기 위하여 표시물을 정렬함에 있어서,
도3, 도5, 도6과 같이 각 표시물 중에서 그룹별 클릭수가 높은 표시물에 표시(마킹)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클릭수가 높은 순서로 목록(리스트)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그룹1,2,3,4와 같이 다른 각기 그룹의 클릭수가 높은 표시물에 표시(마킹)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표시(마킹)이란 표시물 옆에 어떤 그룹에서 선택(클릭수)가 높다는 것을 쉽게 확인하도록 색상이나 이미지를 표시물의 옆에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후 발명의 청구항 제 22항, 청구항 제 24항과 같이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물을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클릭수가 높은 순서로 표시물의 목록(리스트)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다른 그룹의 클릭수가 높은 표시물에 표시(마킹)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포함하는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클릭수에 따라서 표시물의 디스플레이 표시의 순위를 정하도록 해서 사용자가 표시물을 쉽게 선택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시스템은 사용자 및 그룹에서 선호하는 크기와 색상을 선택로그(-30)을 통하여 집계되는 변수에 따라 선호도 높은 크기와 색상의 비율을 계산하여 인식하여, 사용자 또는 그룹에서 선택을 많이하는 즉 구해진 비율이 높은 결과에 따라 표시물의 크기와 색상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색상기호를 데이터베이스에 포함하여 저장하고 대상에 선택(클릭)을 가장 많이하는 색상기호를 선호도 비율로 인식하고 표시물을 해당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시스템에서 조작(작성,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크기에는 폭과 넒이 또는 폭과 넒이를 포함하는 크기가 있는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하여 저장하고 대상에 선택(클릭)을 가장 많이하는 폭을 선호도 비율로 인식하고, 가장 많이하는 넒이를 선호도 비율로 인식하고, 또는 폭과 넒이를 포함하는 크기를 선호도 비율로 인식하고 표시물을 해당 크기로 표시하도록 시스템에서 조작(작성,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고,
또는 표시물을 등록(입력)하면서 여러가지 크기와 색상을 등록하고 사용자 및 그룹에서 선호하는 크기와 색상을 선택로그(-30)을 통하여 집계되는 변수에 따라 선호도 높은 크기와 색상의 비율의 표시물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7,도8,도9와 같은 디스플레이는 위치에 따른 위치번호 또는 좌표에 따른 좌표번호를 가지고 있거나 또는 표시물에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번호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물을 선택하면 표시물의 위치번호 또는 좌표번호를 인식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서 선택(클릭)한 시간을 인식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7, 도8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물(정보, 광고)를 표시하는 실시예이다.
도9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물(검색시스템)을 표시하는 실시예이다.
도7,도8,도9과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표시물을 선택(클릭)하면 시스템에서 사용자와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같은 사용자변수 위치번호(좌표)변수, (년월일시분초, 요일, 공유일의) 시간변수, 표시물의 분류(종류), 표시물의 내용(표시물), 색상, 크기와 같은 표시물의 변수와 같이 분석할 자료를 도11과 같이 선택로그를 하나의 묶음으로(패킷) 하여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시스템에서 각 인식하여 도12과 같이 선택로그 DB-30에 저장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저장된 데이터에서 사용자,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의 선호도 비율 등을 구하기 위하여
도12와 같이 선택로그 DB-30에서 사용자 및 사용자가 속하는 그룹을 각 변수에 따라서 각 합계, 평균, 비율, 오차를 구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10의 표시물변수를 변수 a에 대입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계산하여 구하려는 대상 즉 사용자, 그룹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도12와 같이 다수의 표시물이 있고 표시물에는 각 식별할수 있는 표시물의 이름이나 번호가 있다.
도10의 +a와 같이 "001"의 표시물을 선택한 숫자를 더하여 합계(k) 한다.
기타 다른 표시물을 선택한 숫자를 더하여 합계 한다.
각 표시물의 수(L)를 계산한다.
각 표시물의 합계를 모두 더하여 전체합계(1) 한다.
전체 합계(1)에서 각 표시물의 수(L)를 나누면 평균(2)가 구해진다.
전체 합계(1)에서 표시물의 합계(k)를 나누면 비율(3)이 구해진다.
각 표시물의 수(L)를 나누면 평균(2)가 구해진다.
이전의 합계(1)에서 지금의 합계(1)를 빼면 오차(변동이 구해지고,
이전의 비율(3)에서 지금의 비율(3)를 빼면 오차(변동이 구해지고,
이전의 평균(2)에서 지금의 평균(2)를 빼면 오차(변동이 구해서.
도13와 같이 계산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계산하여 구하려는 대상 즉 전체 사용자, 전체 그룹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도10의 +a와 같이 "001"의 표시물을 선택한 숫자를 더하여 합계(h-k) 한다.
기타 다른 표시물을 선택한 숫자를 더하여 합계 한다.
각 표시물의 수(h-L)를 계산한다.
각 표시물의 합계를 모두 더하여 전체합계(h-1) 한다.
전체 합계(h-1)에서 각 표시물의 수(h-L)를 나누면 평균(h-2)가 구해진다.
전체 합계(h-1)에서 표시물의 합계(h-k)를 나누면 비율(h-3)이 구해진다.
각 표시물의 수(h-L)를 나누면 평균(h-2)가 구해진다.
이전의 합계(h-1)에서 지금의 합계(h-1)를 빼면 오차(변동이 구해지고,
이전의 비율(h-3)에서 지금의 비율(h-3)를 빼면 오차(변동이 구해지고,
이전의 평균(h-2)에서 지금의 평균(h-2)를 빼면 오차(변동이 구해서,
도14와 같이 계산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계산하여 구하려는 대상 즉 사용자, 그룹이 전체 사용자, 전체그룹과의 차별성(변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체 합계(h-k)에서 합계(k)를 나누면 대상(사용자, 그룹)의 선호도(차별성(변별성)) 비율(c-3)을 구하여 인식한다.
전체 합계(h-1)에서 대상(사용자, 그룹)수를 나누면 대상의 평균(c-2)을 구하여 인식한다.
이전의 비율(c-3)에서 지금의 비율(c-3)를 빼면 선호도(차별성(변별성))의 오차(변동이 구해지고,
이전의 평균(c-2)에서 지금의 평균(c-2)를 빼면 오차(변동이 구해서,
도14와 같이 계산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위와 같은 도10의 변수를 계산하여 도13, 도14와 계산되고,
대상변수 각 사용자, 각 그룹를 각 변수로 하고 또는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에 대하여,
시간변수 년,월,일,일,시,분초,요일,공휴일을 각 변수로하고
위치변수(좌표)의 각 위치(좌표)를 각 변수로 하고,
표시물변수 각 표시물을 각 변수로 하고,
표시물분류변수 각 표시물의 종류 등을 각 변수로 하고,
색상변수 각 색상을 부호화하여 각 변수로 하고,
크기변수 각 가로와 세로의 크기를 변수로 하고,
이를 각 대입하여 위와 같이 계산함으로서 선호도의 비율을 계산하여 인식하고, 각 변수에 대한 대상별, 시간별, 위치별, 표시물별, 표시물분류별로 복합하여 집계함으로서 도15, 도16과 같이 계산이 되고 사용자, 그룹 또는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의 시간의 변화에 따라 위치의 변화에 따라, 표시물의 변화에 따라 표시물의종류(분류)에 따라 표시물의 색상에 따라, 표시물의 크기에 따른 변수를 선호도의 비율로 계산하여 인식하고 이를 비율의 순위에 따라 목록(리스트)를 작성하고 선택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선호도의 비율에 따른 선택이 가능해진 것이다.
이를 도16와 같이 전체의 변수에 대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하여 전체를 계산한다면 전체에 대한 사용자 또는 그룹의 성향과 특성을 구하고 전체에 대한 개인의 합계에서의 비율, 전체에서의 평균, 전체에서의 합계, 평균, 비율의 오차(변동)을 구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비율의 숫자가 큰 데이터의 목록(리스트)를 만들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 목록의 순서대로 전체 사용자(전체 그룹)가 선호하는 변수이고 그 비율의 수치가 선호하는 수치가 되는 것이다.
도10을 해설한 도13과 도14가 있고 변수를 하나 이상을 선택하도록 도15과 같이 계산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여 위치번호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16(a)와 같이 선택로그 DB-30에서 위치번호의 값을 분류해서 각 위치별로 선택(클릭)한 수를 더하여 합계하고 그렇게 구해진 모든 위치별의 합계를 더하여 전체 합계를 구하고, 전체 합계에서 위치의 합계를 나누면 위치에 대한 선택(클릭)의 비율을 구하게되고, 전체 합계에서 각 위치수(객체수)를 나누면 위치별 평균 선택(클릭)의 수를 구하게 되는 것이다.
비율의 숫자가 큰 순서대로 리스트를 만든다면 위치별 선택의 순위를 만들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도16와 같이 전체의 변수에 대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하여 전체를 계산한다면 전체에 대한 사용자 또는 그룹의 성향과 특성을 구하고 전체에 대한 개인의 합계에서의 비율, 전체에서의 평균, 전체에서의 합계, 평균, 비율의 오차(변동)을 구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비율의 숫자가 큰 데이터의 목록(리스트)를 만들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 목록의 순서대로 사용자(그룹)가 선호하는 위치이고 그 비율의 수치가 선호하는수치가 되는 것이다.
이를 전체 사용자(전체그룹)으로 합계하여 계산하다면,
이 목록의 순서대로 전체 사용자(전체 그룹)가 선호하는 위치이고 그 비율의 수치가 선호하는수치가 되는 것이다.
이때 전체합계에서 사용자(그룹)의 합계를 나누면 사용자(그룹)의 비율이 나오고 이는 변별력으로서 일정 오차(변동)의 수치를 벋어나는 사용자(그룹) 또는 변수를 합계에서 제외하도록 설정하여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신뢰성을 높일수 있는 것이다.
도25은 시간별로 변동되는 (선택)수를 그래프로 표시한 실시 예이다.
이와 같이 각 변수의 합계, 평균, 오차(변동)을 평균점을 기준으로 그래프로 표시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26는 평균에서 비율에 따른 펄스를 표시한 실시 예이다.
이와 같이 각 변수의 합계, 평균, 비율, 오차(변동)을 평균점을 기준으로 펄스와 하여 표시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25 및 도26과 같이 같은 조건의 그래프와 펠스에 오차(변동)을 가산하여 선택(클릭수)를 예측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로서 정보제공자는 트래픽을 예측하게 되는 것이다.
오차(변동)에 대하여도 도26와 같이 일정수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변수의 오차(변동)은 집계에서 제외하도록 함으로서 분석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오차(변동)의 비율과 비교하여 허용치의 편차가 크면 사용자의 각 변수에 대한 비율과 각 그룹의 비율과 비교하여 차이가 가장 적은 그룹으로 사용자의 그룹을 변경하여 회원정보 DB-10을 변경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표시물 제공자의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및 그룹 또는 전제사용자 또는 전체 그룹의 별수별 합계, 평균, 비율, 오차(변동)과 선호도, 선호도 지수를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표시물(정보, 광고)의 변수의 선택에 대하여 설명 한다.
이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표시물(정보,광고)를 광고를 단순화하여 표기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2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광고의 제공자로 부터 광고를 등록(입력) 받으면서 위 설명에서 표시물에 광고의 내용으로 하고 표시물의 분류를 광고의 종류로 하고 그외 설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고,
디스플레이되는 표시을 사람의 시각을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뇌이서 인식을 함에 있어서 개인의 성향, 심리상태, 시간, 요일 등에 따라서 필요한 정보가 있기도하고 먼저 인식되기도 한다.
사용자는 개별적인 정보라서 사용자에 따라 편차가 커서 표준화된 정보로 제작된 것으로는 사용자 개인의 만족도를 충족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검색결과 같은 1회성의 자료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자료가 없기 때문에 어떤 정보를 어떤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만족도를 높일수 있을지에 대한 데이터는 없다.
그건 경우에 사용자의 그간의 성향을 분석하여 그에 맞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구성과 방법을 설명한다.
도16(a)와 같이 사용자(그룹)이 선호하는 위치(좌표)의 성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위치(좌표)를 도11과 같이 변수에 포함하여 도12와 같이 선택로그 DB 30에 저장하고 위와 같이 계산되어 나온 결과를 통하여 사용자 및 그룹이 선호하는 위치(좌표)와 시간별(년월일로 요일과 공휴일은 구해지는 것임), 표시물별, 표시물분류별(옵션으로 색상별, 크기별 설정하는 것임) 변화를 위의 구성을 통하여 수치, 순위를 구하고 각 변수의 수치를 도25의 그래프, 도26 펠스로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26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선호도 비율이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선호도 비율이 평균과 비교하여 허용치 이상의 오차(편차)가 일정기간 이상 지속되면,
사용자의 선택(클릭수)가 그룹의 집계에 포함하지 않도록 제외하도록 구성하고,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각 선호도의 비율을 각 그룹의 각 변수의 평균과 비교하여 편차(오차가 적은 그룹의 순위로 목록(리스트)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변경하도록 권장하도록 포함하여 구축한다.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여 완료를 클릭하면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그룹을 변경하여 저장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를 통하여 그룹별 선호도를 정확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선호도를 정확성을 높여서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도16(b)와 같이 사용자(그룹)는 년,월,일,시,분,초,요일,공휴일의 각 항목에 따라서 필요한 선호하는 정보와 선택(클릭)이 달라진다. 이하 년,월,일,시,분,초,요일,공휴일의 각 항목의 집합을 시간으로 통칭하여 설명합니다.
요일과 공휴일은 년월일을 기준으로 계산되어 인식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합니다.
사용자(그룹)이 선호하는 시간의 성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시간을 도11과 같이 변수에 포함하여 도12 선택로그 DB 30에 저장하고 위와 같이 계산되어 나온 결과를 통하여 사용자 및 그룹이 선호하는 위치(좌표)와 시간별, 요일별, 공휴일별, 표시물별, 표시물분류별, 색상별, 크기별 변화를 위의 구성을 통하여 수치, 순위를 구하고 도25의 그래프, 도26 펠스로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가 클릭한 정보를 도11과 같이 데이터로하여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시스템에도 도12와 같이 저장되고, 각 저장된 값을 필요에 따라 사용자,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으로 각 변수를 계산하여 함으로서 시간변수, 위치변수, 표시물(광고)변수, 표시물분류(광고분류)변수, 색상변수, 크기변수에 대한 합계, 평균, 비율, 오차(변동)과 선호도, 선호도 지수를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16(c) 및 도16(d)와 같이 사용자(그룹)은 각기 다른 취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광고라고 하더라도 어떤이는 인터넷에 관련된 광고를 좋아하고 어떤이는 컴퓨터에 관련된 광고를 좋아하기도합니다. 그리고 어떤이는 노란색으로 표시된 것을 좋아하기도하고 어떤이는 파란색으로 표시된 것을 좋아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어떤이는 화면에 크게 표시된 것을 좋아하기도하고 어떤이는 작게표시된 광고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좋아하기도 합니다.
그런 것처럼 모두 각기 다른 취향을 가지고 있고 취향이 있고 그중에서 특히 대부분의 사람들이 좋아하는 광고가 있고, 종류가 있고, 색상이 있고 크기가 있는것 처럼 사용자(그룹)의 선호하는 표시불의 분류를 하고 좋아하는 표시물과 그에 속하는 표시물을 분류, 표시물의 색상, 표시물의 크기와 같은 성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표시물과 그에 속하는 표시물을 분류, 표시물의 색상, 표시물의 크기와 같은 변수를 인식하고 도11과 같이 변수에 포함하여 도 12와 같이 선택로그 DB 30에 저장하고 위와 같이 계산되어 나온 결과를 통하여 사용자 및 그룹이 선호하는 위치(좌표)와 시간별, 요일별, 공휴일별, 표시물별, 표시물분류별, 색상별, 크기별 변화를 위의 구성을 통하여 수치, 순위를 구하고 도25의 그래프, 도26 펠스로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위 과정을 통하여,
도17 및 도18와 같이, 시스템에서
사용자 및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이 선호하는 시간별(요일,공휴일 포함) 선호하는 위치(좌표)의 선호도를 전체 위치에 대한 비율로 구하고 위치별로 비율의 숫자에 따라 도17, 도18과 같이 순위를 만들고 목록(리스트)를 작성하고 선호도 비율에 따라 위치(좌표)를 선택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었다.
사용자 및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이 선호하는 시간별(요일,공휴일 포함) 선호하는 표시물의 선호도를 전체 표시물에 대한 비율로 구하고 표시물별로 비율의 숫자에 따라 도17,도18과 같이 순위를 만들고 목록(리스트)를 작성하고 선호도 비율에 따라 표시물을 선택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었다.
사용자 및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이 선호하는 시간별(요일,공휴일 포함) 선호하는 표시물분류의 분류(종류)별로 비율의 숫자에 따라 도20, 도21과 같이 순위를 만들고 목록(리스트)를 작성하고 선호도 비율에 따라 표시물분류를 선택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표시물 분류의 선호도 비율에 따라 분류 종류에 속하는 표시물을 도20, 도21과 같이 분류의 선호도와 표시물의 선호도를 절충, 수치를 가중하여 선택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었다.
선호도를 전체 표시물분류에 대한 비율로 구하고 표시물분류별로 비율의 숫자에 따라 순위를 만들고 목록(리스트)를 작성하고 선호도 비율에 따라 표시물분류에서 선택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었다.
필요하다면 도17,도18,도21,도22,도24와 같이 사용자 및 그룹이 선호하는 시간별(요일,공휴일 포함) 선호하는 표시물분류에 색상, 크기의 선호도를 전체 표시물분류에 색상, 크기의 선호도에 대한 비율로 구하고 표시물분류에 색상, 크기의 선호도로 비율의 숫자에 따라 순위를 만들고 목록(리스트)를 작성하고 선호도 비율에 따라 표시물분류에 속하는 표시물, 또는 표시물을 선택하면서 대상 사용자.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의 선호도 비율에 따라 선택을 하고 여기에 오차(변동)을 가중(가산)함으로서 선택의 비율과 변동을 가산하여 변수 표시물을 선택하고 표시물을 선택할 위치와 시간을 선택하고 표시물의 색상과 크기를 선택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사용자의 관심과 선택의 확율를 높이게 되었다.
앞서의 설명과 같이 시스템에서 표시물이 디스플레이되는 노출시간 계산하기 위하여, 도21과 같이
다수의 표시물을 선호도 비율에 표시물 분류의 선호도의 비율을 가산하여 도24와 같이 표시물의 노출시간을 계산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고,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할 대상이 선호하는 표시물의 노출시간이 길게 계산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고,
다수의 표시물에 노출시간을 설정하고 표시물을 대상의 디스플레이에 노출하고 시간이 되면 다른 표시물의 노출하여 표시하면서 이전 표시물의 노출시간을 도24의 노출시간을 노출된 시간 만큼 빼서 저장(카운트)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고,
다수의 표시될 표시물의 노출시간이 0이 될때까지 표시물을 바꾸어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여,
다수의 표시물이 노출시간 만큼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표시물(정보, 광고)의 배치방법
본 발명의 청구항 22항의 각 단계 기재와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표시물(광고)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또는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 그룹에서 시간의 변화, 표시물의 변화 등에 따른 선호하는 표시물(광고)를 선별하여 선호하는 위치에 표시함으로서 사용자의 선택(클릭)을 유도하고 관심을 끌게 되는 것이다.
표시물(검색내용)의 변수의 선택에 대하여 설명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4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검색 로봇 또는 정보의 제공자 등으로부터 검색내용을 등록(입력) 받으면서 위 설명에서 표시물에 검색내용으로 하고 표시물의 분류를 검색내용의 종류로 하고 그외 설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계산되도록 포함하여 구성되고,
설명하면 표시물=검색내용과 같고, 표시물분류=검색내용분류(검색어분류, 검색내용종류)과 같다.
다만 도9와 같이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을 선택(클릭)하면 도6과 같이 표시물(검색내용 DB-20)에서 검색내용을 검색(서치)하고, 검색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의 순위와 위치를 설정하면서,
사용자 및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인식하고, 현재 시간을 인식하고 해당 시간에 선호하는 검색내용에서 선택의 비율이 높고, 해당 시간에 선호하는 검색분류에서 선택의 비율이 높은 검색결과를 사용자 또는 그룹에서 선호하는 색상과 크기의 비율을 위 변수에서 인식하여 비율에 따라 검색내용의 순위를 가중하여 목록(리스트)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물의 순서는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선택하는 선호도의 비율로 순위(리스트)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또한 각 그룹 선호도 순위를 표시물(검색내용, 검색결과)에 표시(마킹)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근접하는 표시물을 상위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고 또한 다른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의 선호도를 표시(마킹)하여 줌으로서 사용자가 표시되는 정보에서 원하는 정보를 수집하기가 편리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검색결과의 표시물(정보, 검색내용)을 배치방법
본 발명의 청구항 제 24항과 각 단계 기재와 같이,
시스템에서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회원정보 DB-10 포함)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또는 속한 그룹을 인식하는 단계,
정보제공자의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및 그룹 또는 전제사용자 또는 전체 그룹의 시간변수, 위치변수, 표시물(검색내용)변수, 표시물분류(검색내용분류)변수, 색상변수, 크기변수에 대한 합계, 평균, 비율, 오차(변동)과 선호도, 선호도 지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정보제공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로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검색어를 입력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서치)하고 사용자 또는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 그룹에서 시간의 변화, 표시물의 변화 등에 따른 선호하는 표시물을 상위에 표시하고 또한 선택율이 높은 표시물(검색결과)에 표시(마킹)하여 표시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검색의 편리성을 주게 되고,
위와 같은 구성과 단계를 통하여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각 변수의 선호도를 비율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표시물을 선택, 시간의 선택, 위치의 선택, 색상의 선택, 크기의 선택, 대상의 선택을 통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서비스가 가능하고 이러한 시스템은 모든 인터넷 사이트 검색시스템, 포털사이트 등에서 프로그램의 제작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회원 가입시 성별, 연령대, 직업군, 업종 등의 하나 이상의 분류를 선택하여 사용자 및 사용자가 포함되는 그룹을 만들고,
시스템에서 사용자 및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인식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서 선택(클릭)하는 시간, 위치(좌표), 표시물, 표시물분류, 색상, 크기 등의 변수를 시스템에서 인식하여 이를 표시 대상으로 집계 및 분석함으로서,
표시 대상이 선호하는 시간변수의 변화에 따라 선호하는 비율을 선호도로 집계하고 인식하게 되고,
표시 대상이 선호하는 디스플레이의 위치(좌표)의 변화에 따라 선호하는 비율을 선호도로 집계하고 인식하게 되고,
표시 대상이 선호하는 표시물(정보,광고)의 변화에 따라 선호하는 비율을 선호도로 집계하고 인식하게 되고,
표시 대상이 선호하는 표시물분류(종류)의 변화에 따라 선호하는 비율을 선호도로 집계하고 인식하게 되고,
표시 대상이 선호하는 색상의 변화에 따라 선호하는 비율을 선호도로 집계하고 인식하게 되고,
표시 대상이 선호하는 크기의 변화에 따라 선호하는 비율을 선호도로 집계하고 인식하게 됨으로서,
이러한 집계, 분석된 선호도의 비율 정보를 정보제공자에게 제공함으로서 표시물의 선택과 배치의 정보를 제공하게되고,
이러한 집계, 분석된 선호도의 비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물을 표시하도록 배치함에 있어서,
표시 대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가장 선호하는 표시물의 선호도 비율에 따라 선택하고 또는 가장 선호라는 표시물분류에서 가장 선호하는 선호도 비율에 따라 표시물을 선택하고, 선호도 비율에 따라 표시물이 표시될 위치를 선택하고, 선호도 비율에 따라 표시물의 색상을 선택하고, 선호도 비율에 따라 표시물의 크기 선택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물을 표시함으로서 사용자의 관심과 선택의 가능성을 높이게 되었다.
또한 대상이 선호하는 표시물을 선호도의 비율에 따라 노출시간을 달리하여 표시함으로서 표시의 시간을 효과적으로 배분하여 선택의 가능성을 높였다.
또한 이를 검색시스템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서치)하고 사용자 또는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 그룹에서 시간의 변화, 표시물의 변화 등에 따른 선호하는 표시물을 상위에 표시하고 또한 선택율이 높은 표시물(검색결과)에 표시(마킹)하여 표시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검색의 편리성을 주게 되고,
위와 같은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게 되었다.
도면의 목록를 설명하다.
도1은 서비스의 요약도이다.
도2는 회원의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구성
도3은 표시물의 데이터베이스 특징 구성
도4는 표시물분류 실시 예
도5는 표시물(정보,광고) DB 구성
도6는 표시물(정보,검색내용) DB 구성
도7은 디스플레이의 위치(좌표)(정보,광고) 구성
도8은 디스플레이의 위치(좌표)(정보,광고) 구성
도9은 디스플레이의 위치(좌표)(정보,검색내용) 구성
도10은 변수의 구성
도11은 선택로그(데이터)의 구성
도12는 선택로그(데이터)의 DB 저장 구성
도13은 변수의 선호도 계산 구성
도14는 변수의 전처선호도 계산 구성
도15는 변수의 집계 분석 구성
도16은 사용자의 변수의 집계 분석 구성
도17은 변수별 선호도 순위 목록(리스트) 구성
도18은 변수별 선호도 비율과 순위 목록(리스트) 구성
도19은 표시물의 선택 구성
도20은 표시물분류에서 표시물 선택 구성
도21은 표시물 선택을 위한 가중치 부여 예
도22은 표시물 분류를 적용한 표시물 선택을 위한 우선 순위 부여 예
도23은 표시물 분류와 색상, 크기를 적용한 표시물 선택을 위한 우선 순위 부여 예
도24은 위치별 표시물의 배치와 노출시작 구성 예
도25은 변수의 데이터를 펠스로 표시하는 예
도26은 변수의 데이터를 펠스로 표시하는 예

Claims (25)

  1. 시스템은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다수의 정보 제공자의 컴퓨터(서버)와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들로 이루어지고 시스템은 다수의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컴퓨터시스템에 표시물을 전송하고 컴퓨터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물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져서,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정보,광고)을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시스템은 시스템에 연결하여 회원가입을 하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특징되는 성향의 그룹을 선택받아 저장하고, 사용자의 시스템(컴퓨터)이 시스템에서 연결하면 시스템에서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시스템에서 인식하도록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에 표시물을 등록하면서 표시물의 특징(종류, 색상, 크기)을 분류하여 포함하여 저장하고 그룹별의 (선택)클릭수가 더하기(카운트)하도록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컴퓨터(시스템)으로 전송되는 표시물을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표시물을 사용자가 선택(클릭)하면 시간변수(선택시간), 위치(좌표)변수(디스플레이의 위치, 좌표), 표시물변수(표시물의 내용), 표시물분류변수(표시물의 종류), 색상변수(표시물의 색상), 크기변수(표시물의 크기)와 같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서 선택한 정보를 시스템에서 인식하여 저장하도록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및 그룹의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집된 각 변수정보를 사용자 및 그룹에 대하여 위치와 각 위치별, 시간과 각 시간별, 표시물과 각 표시물별, 표시물분류와 각 표시물분류별, 색상과 각 색상별, 크기와 각 크기별 변수를 합계하고, 합계에서 해당 항목의 집계된 변수의 수를 나눠서 평균을 구하고, 합계에서 해당 항목의 합계를 나눠서 비율을 구하고 이를 선호도로 인식하고, 일정 기간 동안의 위 계산 결과의 편차를 구하고 이를 오차(변동)으로 인식하고,
    위 사용자별 변수를 전체사용자와 합계하고 같은 계산식으로 평균 및 비율, 오차(변동)을 계산하여 구하고, 전체사용자의 합계에서 집계된 사용자의 수로 나눠서 평균을 구하고, 전체사용자의 합계에서 사용자의 합계를 나눠서 사용자의 비율을 나눠서 사용자의 선호도의 변별성(차별성)을 인식하고,
    위 그룹별 변수를 전체그룹과 합계하고 같은 계산식으로 평균 및 비율, 오차(변동)을 계산하여 구하고, 전체그룹의 합계에서 집계된 그룹의 수로 나눠서 평균을 구하고, 전체그룹의 합계에서 그룹의 합계를 나눠서 그룹의 비율을 나눠서 그룹의 선호도의 변별성(차별성)을 인식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고,
    위 집계에서 사용자의 선호도 비율이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선호도의 비율과 허용치 이상의 변별성(차별성)이 있으면 사용자의 클릭수를 그룹의 집계에서 포함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속한 그룹의 변경하도록 권장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시스템에서 정보제공자의 디스플레이에 사용자별, 그룹별, 전체사용자별, 전체 그룹별 위 분석된 시간의 변화, 위치의 변화, 표시물, 표시물종류, 표시물의 색상, 표시물의 크기에 따른 선택(클릭수)를 합계, 평균, 비율, 오차(변동), 변별성(차별성)과 선호도를 디스플레이하여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시스템에서 정보제공자의 디스플레이에 사용자별, 그룹별, 전체사용자별, 전체 그룹별로 시간의 변수, 위치의 변수, 표시물, 표시물종류, 표시물의 색상, 표시물의 크기에 따른 선택(클릭수)를 합계, 평균, 비율, 오차(변동), 변별성(차별성)을 계산하여 선택(클릭수)을 예측하여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그룹을 인식하고 만일 사용자 및 그룹을 인식하지 못하였다면 전체 사용자 또는 전체 그룹의 변수로 계산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시간변수에 따른 표시물 분류에서 선호도 비율이 높은 표시물의 순위 또는 선호도 높은 표시물을 순위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표시물을 선택하고
    선호도의 비율이 높은 디스플레이의 위치(좌표)의 순위에 따라 표시물을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위치를 선택하고,
    선호도 비율이 높은 색상으로 표시물을 작성(생성)하고 또는 여러가지 색상으로 작성된 표시물중에 선호도 높은 색상을 가중하여 우선 선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표시물의 색상을 선택하고,
    선호도 비율이 높은 크기로 표시물을 작성(생성)하고 또는 여러가지 크기로 작성된 표시물중에 선호도 높은 크기를 가중하여 우선 선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표시물의 크기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는 선호도의 비율에 따라 표시물과 표시물의 위치(좌표)가 변경되어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시간의 변화에 따라, 또는 다수의 표시물 및 다수의 표시물의 분류의 변화에 따라, 또는 색상과 크기의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다수의 위치(좌표)에서, 선택(클릭)하는 비율을 위치(좌표)별로 계산하여 비율이 높을수록 선호하는 위치로 인식하고 표시물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위치(좌표)를 선호도의 비율에 따라 작성(배치)하여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될 표시물을 선택하면서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여러 표시물중에서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클릭수)를 비율로 계산하여 선호도 높은 표시물을 비율과 순위에 따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될 표시물 또는 표시물 분류를 선택하면서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다수의 표시물분류중에서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클릭수)를 비율로 계산하여 선호도 높은 표시물분류를 비율과 순위에 따라 선택(인식)하고,
    또한 구해진 표시물분류에 속하는 다수의 표시물 중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선택(클릭수)를 비율로 계산하여 선호도 높은 표시물을 비율과 순위에 따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물의 색상을 선택하면서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다수의 색상번호중에서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클릭수)를 비율로 계산하여 선호도 높은 색상을 비율과 순위에 따라 선택(인식)하고, 선호도 비율이 높은 색상으로 표시물을 작성(생성)하고 또는 선호도 높은 색상의 표시물이 선택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하여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물의 크기을 선택하면서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에 다수의 크기(폭*높이)중에서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클릭수)를 비율로 계산하여 선호도 높은 크기로 비율과 순위에 따라 선택(인식)하고, 선호도 비율이 높은 크기로 표시물을 작성(생성)하고 또는 선호도 높은 크기의 표시물이 선택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하여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물을 선택(클릭)하는 시간, 디스플레이의 위치(좌표), 표시물, 표시물분류, 색상, 크기와 같은 변수를 시스템에서 인식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물을 선택(클릭)하는 시간, 디스플레이의 위치(좌표), 표시물, 표시물분류, 색상, 크기와 같은 변수를 선택로그(데이터)로 작성하여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9. 제 1항 및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서 선택(클릭)한 정보를 시스템에서 인식하기 위하여 선택로그문서(데이터)를 작성하고 헤드에 포함하여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 및 그룹의 선호도(비울)를 인식(분석)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 또는 그룹의 선택(클릭수)를 위치와 각 위치별, 시간과 각 시간별, 표시물과 각 표시물별, 표시물분류와 각 표시물분류별, 색상과 각 색상별, 크기와 각 크기별 변수를 합계하고, 합계에서 해당 항목의 집계된 변수의 수를 나눠서 평균을 구하고, 합계에서 해당 항목의 합계를 나눠서 비율을 구하고 이를 사용자 또는 그룹의 선호도로 인식하고, 일정 기간 동안의 위 계산 결과의 편차를 구하고 이를 오차(변동)으로 계산하여 인식하고 계산 결과를 정보제공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전체 사용자 및 전체 그룹의 선호도(비율)를 인식(분석)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전체 사용자 또는 전체 그룹의 선택(클릭수)를 위치와 각 위치별, 시간과 각 시간별, 표시물과 각 표시물별, 표시물분류와 각 표시물분류별, 색상과 각 색상별, 크기와 각 크기별 변수를 합계하고, 합계에서 해당 항목의 집계된 변수의 수를 나눠서 평균을 구하고, 합계에서 해당 항목의 합계를 나눠서 비율을 구하고 이를 전체 사용자 또는 전체 그룹의 선호도로 인식하고, 일정 기간 동안의 위 계산 결과의 편차를 구하고 이를 오차(변동)으로 계산하여 인식하고 계산 결과를 정보제공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전체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의 차별성(변별성)을 선호도(비율)을 인식(분석)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 10항, 청구항 제 11항에서 구해진 선호도에서 전체사용자의 합계에서 집계된 사용자의 수로 나눠서 평균을 구하고, 전체사용자의 합계에서 사용자의 합계를 나눠서 사용자의 비율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의 변별성(차별성)을 인식하고 계산 결과를 정보제공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전체그룹에 대한 그룹의 차별성(변별성)을 선호도(비율)을 인식(분석)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 10항, 청구항 제 11항에서 구해진 선호도에서 전체그룹의 합계에서 집계된 그룹의 수로 나눠서 평균을 구하고, 전체그룹의 합계에서 그룹의 합계를 나눠서 그룹의 비율을 계산하여 그룹의 선호도의 변별성(차별성)을 인식하고 계산 결과를 정보제공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선호도 비율이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선호도의 비율과 허용치 이상의 편차, 변별성(차별성)이 있으면 사용자의 선택(클릭수)를 속한 그룹의 집계에서 제외하고 사용자의 선호도비율과 각 변수를 다수의 그룹의 평균과 비교하여 편차를 계산하여 편차가 적은 수로 목록(리스트)를 작성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호도의 비율이 적은 그룹으로 선택하여 변경하도록 유도하여 정확성을 높이도록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표시될 대상(사용자,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의 표시물 분류에서 선호도 비율이 높은 표시물분류의 순위 또는 그중에서 선호도 비율이 높은 표시물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표시될 대상(사용자,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위치(좌표)의 선호도의 비율이 높은 순위를 인식하고 표시물을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위치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표시될 대상(사용자,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의 선호도 비율이 높은 색상을 인식하고 표시물을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색상을 선택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표시될 대상(사용자,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의 선호도 비율이 높은 크기를 인식하고 표시물을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크기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19. 제 1항, 제 15항, 제 16항, 제 17항, 제18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표시될 대상(사용자,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그룹)별로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물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하여 선호도의 비율에 따라 표시될 시간에, 시간, 위치(좌표), 표시물, 표시물분류 등의 하나 이상의 선호도 비율 변수를 선택하여 그 순위 또는 다른 하나 이상의 선호도 변수를 더하거나 곱하는 계산을 통하여 표시물 분류 또는 표시물을 선택하고 표시물을 디스플레이할 색상을 선택하고, 디스플레이할 크기을 선택하고, 디스플레이할 시간과 순위를 선택하고 표시물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일정시간에 따라 표시물을 바꾸어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노출시간에 따라 노출의 빈도와 시간을 계산하여 표시물을 바꾸어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22. 시스템(컴퓨터)은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다수의 정보(광고) 제공자의 컴퓨터(서버)와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들로 이루어지고 시스템은 다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컴퓨터시스템에 표시물을 전송하고 사용자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물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져서,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정보,광고)을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광고) 제공자의 컴퓨터가 시스템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정보(광고) 제공자가 표시물을 시스템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시스템(컴퓨터)가 시스템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대상) 또는 사용자의 그룹(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대상이 표시되는 시간에 가장 선호하는 표시물(정보,광고)을 선호도의 비율에 따라 선택하는 단계;
    또는 표시되는 시간에 가장 선호하는 표시물분류에서 선호도의 비율에 따라 표시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표시물의 선호도의 비율에 따라(예 비율=노출시간, 비율 X(곱) 기중치=노출시간) 노출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오차(변동)을 곱하여 노출시간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선택(클릭) 비율이 높은 광고에 노출되는 시간을 증가하도록 가중하고 여기에 오차(변동)을 가산하여 노출시간을 정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대상이 표시되는 시간에 가장 선호하는 디스플레이의 위치(좌표)를 선호도의 비율에 따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대상이 표시되는 시간에 가장 선호하는 색상을 선호도의 비율에 따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대상이 표시되는 시간에 가장 선호하는 크기를 선호도의 비율에 따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표시물의 선호도 높은 색상과 크기로 표시물의 위치 좌표의 선호도 비율에 따라 배치(작성)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시스템으로 표시물(데이터)을 전송하는 단계;
    또는 사용자의 시스템에서 표시물(데이터)을 수신하여 표시물의 선호도 높은 색상과 크기로 표시물의 위치(좌표)의 선호도 비율에 따라 배치(작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물을 표시하는 단계;
    이때 시스템에서 대상 즉 사용자 및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인식하지 못하였으면 전체사용자 또는 전체그룹이 선호하는 선호도의 비율에 따라 계산하여 표시물을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표시물의 노출시간을 노출된 시간 만큼 빼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다음 순위의 표시물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가 표시물을 선택(클릭)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변수(시간변수, 위치(좌표)변수, 표시물변수, 표시물분류변수, 색상변수, 크기변수)를 인식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는 수집된 각 변수정보를 사용자, 그룹에 대하여 위치와 각 위치별, 시간과 각 시간별, 표시물과 각 표시물별, 표시물분류와 각 표시물분류별, 색상과 각 색상별, 크기와 각 크기별 변수를 합계하고, 평균을 구하고, 비율을 구하고, 오차(변동)을 구하고, 전체사용자 및 전체 그룹에 대한 각 변수를 합계하고, 평균을 구하고, 비율을 구하고, 오차(변동)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오차(변동)이 그룹내 평균과 비교하여 허용치를 넘는다면 위 계산(집계)에서 제외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선호도의 비율과 유사한 그룹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속한 그룹의 선택하여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확인을 선택(클릭)하면 사용자의 그룹을 변경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정보제공자가 대상 즉 사용자,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의 선호도 분석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정보제공자의 디스플레이에 대상별로 시간의 변수, 위치의 변수, 표시물, 표시물종류, 표시물의 색상, 표시물의 크기에 따른 선택(클릭수), 선호도와 오차(변동), 변별성(차별성)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표시되는 시간에 대상자(사용자,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에서 선호하는 표시물을 선호하는 위치에 선호하는 비율에 따라 표시물의 노출시간을 조절하여 표시하도록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24. 시스템(컴퓨터)은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들로 이루어지고 시스템은 다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사용자의 컴퓨터로 검색결과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검색결과를 디스플레이하여 표시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도록 이루어져서,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정보,검색내용)을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스템(컴퓨터)가 시스템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대상) 또는 사용자의 그룹(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자판 등의 입력수단으로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을 클릭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검색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표시물(정보,검색내용)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표시물(정보,검색내용)을 검색결과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대상이 표시되는 시간에 가장 선호하는 표시물(정보,검색내용)을 선호도의 비율에 따른 순위로 목록(리스트)을 작성(정렬)하는 단계;
    또는 표시되는 시간에 가장 선호하는 표시물(정보)분류에서 선호도의 비율에 따라 표시물(정보)을 선택하고 가장 선호하는 표시물(정보)을 선호도의 비율에 따른 순위로 목록(리스트)을 작성(정렬)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검색결과에서 대상별 선호도 비율이 높은 표시물(데이터)에 표시(마킹)을 삽입(작성)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시스템으로 검색결과 표시물(데이터)을 전송하는 단계;
    또는 사용자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표시물(데이터)을 수신하여 검색결과 표시물(정보,검색내용)의 선호도 비율에 따라 순위로 목록(리스트)을 작성(정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검색결과 표시물(정보,검색내용)을 대상의 선호도 비율이 높은 순위로 목록(리스트)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검색결과 표시물(정보,검색내용)을 대상의 선호도 비율이 높은 순위로 목록(리스트)로 표시하고 대상별 선호도가 높은 검색결과에 표시(마킹)하여 표시하는 단계;
    이때 시스템에서 대상 즉 사용자 및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인식하지 못하였으면 전체사용자 또는 전체그룹이 선호하는 선호도의 비율에 따라 계산하여 표시물을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가 표시물(정보)를 선택(클릭)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변수(시간변수, 표시물변수, 표시물분류변수)를 인식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는 수집된 각 변수정보를 사용자, 그룹에 대하여 시간과 각 시간별, 표시물과 각 표시물별, 표시물분류와 각 표시물분류별 변수를 합계하고, 평균을 구하고, 비율을 구하고, 오차(변동)을 구하고, 전체사용자 및 전체 그룹에 대한 각 변수를 합계하고, 평균을 구하고, 비율을 구하고, 오차(변동)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오차(변동)이 그룹내 평균과 비교하여 허용치를 넘는다면 위 계산(집계)에서 제외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선호도의 비율과 유사한 그룹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속한 그룹의 선택하여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확인을 선택(클릭)하면 사용자의 그룹을 변경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표시되는 시간에 대상자(사용자, 그룹,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에서 선호하는 표시물을 상위에 디스플레이하여 표시하고,
    이때 다른 대상자(그룹, 전체사용자, 전체그룹)의 선호도를 표시물에 표시(마킹)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 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050042839A 2005-05-23 2005-05-23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KR20050055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839A KR20050055679A (ko) 2005-05-23 2005-05-23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839A KR20050055679A (ko) 2005-05-23 2005-05-23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679A true KR20050055679A (ko) 2005-06-13

Family

ID=3725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839A KR20050055679A (ko) 2005-05-23 2005-05-23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567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819B1 (ko) * 2006-05-09 2007-06-13 엔에이치엔(주)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는 검색어를 선별하는 방법 및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WO2010010988A1 (en) * 2008-07-24 2010-01-28 Ajou University 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Broadcasting method of advertisement
WO2010064849A2 (ko) * 2008-12-02 2010-06-10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주)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역에 광고를 게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88980B1 (ko) * 2007-12-07 2010-10-20 엔에이치엔(주) 도서 인기도 산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KR101139900B1 (ko) * 2010-06-22 2012-04-30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디지털뷰의 광고 방법
WO2013116816A1 (en) * 2012-02-03 2013-08-08 Augm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inferring user preferences
KR101540211B1 (ko) * 2008-10-29 2015-07-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148377A1 (ko) * 2015-03-18 2016-09-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플랫폼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819B1 (ko) * 2006-05-09 2007-06-13 엔에이치엔(주)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는 검색어를 선별하는 방법 및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US7958118B2 (en) 2006-05-09 2011-06-07 Nhn Corporation Method for retrieving keyword showing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0988980B1 (ko) * 2007-12-07 2010-10-20 엔에이치엔(주) 도서 인기도 산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WO2010010988A1 (en) * 2008-07-24 2010-01-28 Ajou University 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Broadcasting method of advertisement
KR101065540B1 (ko) * 2008-07-24 2011-09-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광고 브로드 캐스팅 방법
KR101540211B1 (ko) * 2008-10-29 2015-07-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064849A2 (ko) * 2008-12-02 2010-06-10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주)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역에 광고를 게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0064849A3 (ko) * 2008-12-02 2010-08-12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주)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역에 광고를 게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39900B1 (ko) * 2010-06-22 2012-04-30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디지털뷰의 광고 방법
WO2013116816A1 (en) * 2012-02-03 2013-08-08 Augm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inferring user preferences
WO2016148377A1 (ko) * 2015-03-18 2016-09-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플랫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55679A (ko) 인터넷상의 사용자(그룹)의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의표시물을 제공하는 방법
US8082189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store information to a mobile terminal device
JP4426563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US9280777B2 (en) Operations dashboard
JP712064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予測モデル抽出方法および予測モデル抽出プログラム
Díaz-Garrido et al. Competitive priorities in operations: Development of an indicator of strategic position
CN105608650A (zh) 一种菜品搭配推荐方法及其系统
US20050192930A1 (en) System and method of real estate data analysis and display to support business management
CN1985255A (zh) 使用与第一因特网搜索关键词相关的次级关键词的目标广告方法和系统、以及用于提供次级关键词列表的方法和系统
KR101817042B1 (ko) 온라인 영상광고 계약 중개 시스템,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N107146089A (zh) 一种刷单识别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11709613A (zh) 基于数据统计的任务自动分配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Sweitzer et al. Prestige among graduate and professional schools: Comparing the US News’ graduate school reputation ratings between disciplines
US20120215554A1 (en) Pharmaceutical data integration & analysis tool
CN110348745A (zh) 广告渠道的评级方法和装置
JP4844669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CN117352114B (zh) 一种基于聚类算法的心理测评量表的推荐方法及系统
CN109544271A (zh) 一种交易管理系统
KR100944117B1 (ko) 예정가격의 발생 확률을 이용한 입찰 분석 방법
JP5823332B2 (ja) 個人行動嗜好分析システムおよび個人行動嗜好分析方法
CN111985576A (zh) 基于决策树的店铺选址方法
CN115293823B (zh) 基于广告点击数据分析的用户偏好识别方法
Eberts et al. A Frontline Decision Support System for Georgia Career Centers
CN110555168A (zh) 信息推送的方法及装置
CN108009875B (zh) 一种基于用户身份的信息交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