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5068A -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5068A
KR20050055068A KR1020057005697A KR20057005697A KR20050055068A KR 20050055068 A KR20050055068 A KR 20050055068A KR 1020057005697 A KR1020057005697 A KR 1020057005697A KR 20057005697 A KR20057005697 A KR 20057005697A KR 20050055068 A KR20050055068 A KR 20050055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switch
circuit
coi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5707B1 (ko
Inventor
시게또시 도미오
도모까쯔 기시
가쯔미 이또
데쯔야 사까모또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55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7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09G3/2965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using inductors for energy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6Waveforms comprising a gently increasing or decreasing portion, e.g. ram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reset discharge, priming discharge or erase discharge occurring in a phase other than addressing
    • G09G3/2927Details of initial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제1 신호 라인(OUTA)은 스위치(SW4)를 통하여 부하(20)의 X측 단자에 제1 전위를 공급한다. 제2 신호 라인(OUTB)은 스위치(SW5)를 통하여 부하(20)의 X측 단자에 제2 전위를 공급한다. 코일 회로(A, B)는 제1 신호 라인(OUTA) 및 제2 신호 라인(OUTB)과 접지와의 사이에 접속된다. 또한, 코일 회로(A, B)는 예를 들면 코일과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회로이며, 그 코일은 부하(20)와 스위치(SW4, SW5)를 통하여 L-C 공진을 행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DRIVE CIRCUIT AND DRIVE METHOD}
본 발명은 용량성 부하 패널을 갖는 평면형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EL(Electroluminescence)의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중 하나인 교류 구동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에는 2개의 전극(제1 및 제2 전극)으로 선택 방전(어드레스 방전) 및 유지 방전을 행하는 2 전극형과, 또한 제3 전극을 이용하여 어드레스 방전을 행하는 3 전극형이 있었다. 또한, 상기 3 전극형에 있어서는, 유지 방전을 행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기판에 제3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와, 대향하는 또 하나의 기판에 해당 제3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었다.
상기 각 타입의 PDP 장치는, 모두 동작 원리는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유지 방전을 행하는 제1 및 제2 전극을 제1 기판에 설치함과 함께, 이것과는 별도로, 이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에 제3 전극을 설치한 PDP 장치에 대하여 그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15는 교류 구동형 PDP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있어서, 교류 구동형 PDP 장치(1)는, 각 셀이 표시 화상의 1 화소인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셀을 갖는 패널 P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m행 n열의 매트릭스로 배치된 셀 Cmn이다. 또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1)에는 제1 기판에 서로 평행한 주사 전극 Y1~Yn 및 공통 전극 X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에 이들 전극 Y1~Yn, X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드레스 전극 A1~Am이 설치되어 있다. 공통 전극 X는, 각 주사 전극 Y1~Yn에 대응하여 이것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일단이 서로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공통 전극 X의 공통단은 X측 회로(2)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각 주사 전극 Y1~Yn은 Y측 회로(3)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어드레스 전극 A1~Am은 어드레스측 회로(4)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X측 회로(2)는 방전을 반복하는 회로로 이루어지고, Y측 회로(3)는 선순차 주사하는 회로와 방전을 반복하는 회로로 이루어진다. 또한, 어드레스측 회로(4)는, 표시할 열을 선택하는 회로로 이루어진다.
이들 X측 회로(2), Y측 회로(3) 및 어드레스측 회로(4)는, 구동 제어 회로(5)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즉, 어드레스측 회로(4)와 Y측 회로(3) 내의 선순차 주사하는 회로에 의해 어느 셀을 점등시킬지를 결정하고, X측 회로(2) 및 Y측 회로(3)의 방전을 반복함으로써 PDP 장치의 표시 동작을 한다.
구동 제어 회로(5)는, 외부로부터의 표시 데이터 D, 표시 데이터 D의 판독 타이밍을 나타내는 클럭 CLK, 수평 동기 신호 HS 및 수직 동기 신호 VS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X측 회로(2), Y측 회로(3) 및 어드레스측 회로(4)에 공급한다. 이상에 나타낸 구성에 의해, 교류 구동형 PDP 장치(1)는, 각 셀의 점멸을 제어하여 패널 P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5에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1)의 각 셀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도 15에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1)가 구비하는 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는 1 화소인 제i행 제j열의 셀 Cij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에 있어서,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i는, 전면(前面) 글래스 기판(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 위에는 방전 공간(17)에 대하여 절연하기 위한 유전체층(12)이 피착됨과 동시에, 다시 그 위에 MgO(산화 마그네슘) 보호막(13)이 피착되어 있다.
한편, 어드레스 전극 Aj는, 전면 글래스 기판(11)과 대향하여 배치된 배면 글래스 기판(14) 상에 형성되고, 그 위에는 유전체층(15)이 피착되고, 다시 그 위에 형광체(18)가 피착되어 있다. MgO 보호막(13)과 유전체층(15)과의 사이의 방전 공간(17)에는 Ne+ Xe 페닝 가스 등이 봉입되어 있다.
도 16B는, 교류 구동형 PDP 장치의 용량 Cp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류 구동형 PDP 장치에는 방전 공간(17),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와의 사이, 및 전면 글래스 기판(11)에 각각 용량 성분 Ca, Cb, Cc가 존재하고, 이들의 합계에 의해서 셀 1개당의 용량 Cpcell이 결정된다(Cpcell= Ca+ Cb+ Cc). 모든 셀의 용량 Cpcell의 합계가 패널 용량 Cp이다.
또한, 도 16C는 교류 구동형 PDP 장치의 발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16)의 내면에는 적, 청, 녹색의 형광체(18)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각 색마다 배열, 도포되어 있고,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 사이의 방전에 의해서 형광체(18)를 여기하여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도 15에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파형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7은 1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필드 중의 1 서브 필드분에서의 X 전극, Y 전극,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의 파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1개의 서브 필드는 전체면 기입 기간 및 전체면 소거 기간으로 이루어지는 리셋 기간과, 어드레스 기간과, 유지 방전 기간으로 구분된다.
리셋 기간에 있어서는, 우선, 공통 전극 X에 인가하는 전압이 접지 레벨로부터 (-Vs/2)로 끌어 내려진다. 한편, 주사 전극 Y에 인가하는 전압은, 전압 Vw와 전압(Vs/2)을 가산한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전압(Vs/2+Vw)은 시간 경과와 함께 서서히 상승하여 간다. 이에 따라,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와의 전위차가 (Vs+Vw)로 되고, 이전의 표시 상태와 상관없이 전체 표시 라인의 전체 셀에서 방전이 이루어져 벽전하가 형성된다(전체면 기입).
이어서,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의 전압을 접지 레벨로 복귀시킨 후, 공통 전극 X에 대한 인가 전압이 접지 레벨로부터 (Vs/2)까지 끌어 올려짐과 함께, 주사 전극 Y에 대한 인가 전압이 (-Vs/2)로 떨어진다. 이에 따라, 전체 셀에서 벽전하 자신의 전압이 방전 개시 전압을 초과하여 방전이 개시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공통 전극 X에 대한 인가 전압에 의해 축적되어 있던 벽전하가 소거된다(전체면 소거).
이어서, 어드레스 기간에 있어서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 각 셀의 온/오프를 하기 위해서 선순차로 어드레스 방전이 이루어진다. 이 때, 공통 전극 X에는 전압(Vs/2)이 인가된다. 또한, 어떤 표시 라인에 상당하는 주사 전극 Y에 전압을 인가할 때는, 선순차에 의해 선택된 주사 전극 Y에는 (-Vs/2) 레벨, 비선택의 주사 전극 Y에는 접지 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각 어드레스 전극 A1~Am 중의 유지 방전을 일으키는 셀, 즉 점등시키는 셀에 해당하는 어드레스 전극 Aj에는 전압 Va의 어드레스 펄스가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이 결과, 점등시키는 셀의 어드레스 전극 Aj와 선순차로 선택된 주사 전극 Y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고, 이것을 프라이밍(불씨)으로 하여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와의 방전으로 즉시 이행한다. 이에 따라, 선택 셀의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 위의 MgO 보호막면에, 다음 유지 방전이 가능한 양의 벽전하가 축적된다.
그 후, 유지 방전 기간이 되면, 공통 전극 X의 전압은 후술하는 전력 회수 회로의 작용에 의해 서서히 상승하여 간다. 그리고, 그 상승의 피크에 도달하기 전에 공통 전극 X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
이어서, 주사 전극 Y의 전압은 서서히 하강하여 간다. 이 때, 그 일부의 전하를 전력 회수 회로가 회수한다. 또한, 전력 회수 회로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그 하강의 피크에 도달하기 전에, 주사 전극 Y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의 인가 전압을 전압 (-Vs/2)로부터 접지 레벨(0V)로 할 때에는 인가 전압을 서서히 상승시켜 간다. 또한, 주사 전극 Y에서, 최초의 고전압의 인가 시에만 전압(Vs/2+Vx)을 인가한다. 또한, 전압 Vx는, 도 17에 도시한 어드레스 기간에 발생한 벽전하의 전압에 가함으로써 유지 방전에 필요한 전압을 생성하는 추가분의 전압이다.
또한,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의 인가 전압을 전압(Vs/2)으로부터 접지 레벨(0V)로 할 때에는 인가 전압을 서서히 하강시킴과 동시에, 셀에 축적되어 있던 전하의 일부를 전력 회수 회로로 회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유지 방전 기간에는 공통 전극 X와 각 표시 라인의 주사 전극 Y에 서로 극성이 다른 전압(+Vs/2, -Vs/2)을 교대로 인가하여 유지 방전을 행하여, 1 서브 필드의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교대로 인가하는 동작은, 서스테인 동작이라 하고, 후술하는 도 19를 이용하여 그 동작의 상세를 설명한다.
또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1)의 각 셀은, 각 셀의 방전 공간,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와의 사이, 및 전면 글래스 기판에 각각 용량 성분이 존재하고, 이들 합계에 의해서 셀 1개당의 용량이 결정된다. 또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1)의 셀의 내면에는 적, 청, 녹색의 형광체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각 색마다 배열, 도포되어 있고,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의 사이의 방전에 의해서 형광체를 여기하여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X측 회로(2) 및 Y측 회로(3)(이하, 구동 회로라 함)에는 셀 내에서 방전시키기 위해 고전압의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이며, 그 때문에, 구동 회로를 구성하는 각 소자는 높은 내압이 요망되어 제조 비용을 끌어 올리는 요인이었다. 그래서, 전술한 구동 회로가 구비하는 각 소자의 내압을 낮게 하여, 회로 구성의 간소화 및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한쪽 전극에는 플러스의 전압을 인가하고, 다른쪽 전극에는 마이너스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극간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전극간의 방전을 행하는 구동 회로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이하에, 전술한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1)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단, X측 회로(2)만 도시하고, Y측 회로(3)는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이므로 생략함).
도 18에 있어서, 용량 부하(20)(이하, "부하"라고 함)는, 1개의 공통 전극 X와 1개의 주사 전극 Y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셀 Cmn의 합계의 용량이다. 부하(20)에는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주사 전극 Y란, 복수의 주사 전극 Y1~Yn 중의 임의의 주사 전극이다.
우선, 공통 전극 X측에서는, 스위치 SW1, SW2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Vs/2)의 전원 라인(전원선)과 접지(GND)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상기 2개의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는 콘덴서 C1의 한쪽 단자가 접속되고, 이 콘덴서 C1의 다른쪽 단자와 접지와의 사이에는 스위치 SW3이 접속된다. 또한, 콘덴서 C1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는 신호 라인을 제1 신호 라인 OUTA로 하고, 다른쪽 단자에 접속되는 신호 라인을 제2 신호 라인 OUTB로 한다.
또한, 스위치 SW4, SW5는 상기 콘덴서 C1의 양단에 직렬로 접속된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스위치 SW4, SW5의 상호 접속점은 출력 라인 OUTC를 통하여 부하(20)의 공통 전극 X에 접속됨과 함께, 전력 회수 회로(21)에 접속되어 있다. 전력 회수 회로(21)는 부하(20)에 접속된 2개의 코일 L1, L2와, 한쪽 코일 L1에 직렬로 접속되는 스위치 SW6과, 또 한쪽 코일 L2에 직렬로 접속되는 스위치 SW7을 구비한다. 또한, 전력 회수 회로(21)는 상기 2개의 스위치 SW6, SW7의 상호 접속점과 제2 신호 라인 OUTB와의 사이에 접속되는 콘덴서 C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용량 부하(20)와 그것에 접속되는 각각의 코일 L1, L2에 의해, 2계통의 직렬 공진 회로가 구성된다. 즉, 이 전력 회수 회로(21)는, 2계통의 L-C 공진 회로를 갖는 것이며, 코일 L1과 부하(20)와의 공진에 의해서 패널 P에 공급한 전하를, 코일 L2와 부하(20)와의 공진에 의해서 회수하는 것이다.
전술한 스위치 SW1~SW7은 도 15에 도시한 구동 제어 회로(5)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제어 회로(5)는, 논리 회로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데이터 D, 클럭 CLK, 수평 동기 신호 HS 및 수직 동기 신호 VS 등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 SW1~SW7에 공급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셀 중의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가 방전하는 기간을 유지 방전 기간이라고 한다.
도 19는 상기 도 18과 같이 구성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1)의 구동 회로에 의한 유지 방전 기간의 구동 파형을 도시하는 타임 차트이다.
유지 방전 기간에 있어서, 공통 전극 X측에서는, 최초로 스위치 SW1, SW3, SW5를 온으로 하고, 나머지 스위치 SW2, SW4, SW6, SW7은 오프로 한다. 이 때,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제1 전위)은 (+Vs/2)이 되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제2 전위) 및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접지 레벨이 된다(t1).
이어서, 전력 회수 회로(21) 내의 스위치 SW6을 온 상태로 함으로써, 코일 L1과 부하(20)의 용량에 의해 L-C 공진이 이루어지고, 콘덴서 C2에 회수되어 있던 전하가 스위치 SW6 및 코일 L1을 통하여 부하(20)에 공급된다(t2).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19의 시각 t2 내지 t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상승하여 간다. 또한, 시각 t2에서 스위치 SW5는 오프한다.
이어서, 이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4를 온으로 함으로써,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t3). 또한, 시각 t3에서 스위치 SW6을 오프한다.
또한,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Vs/2)로부터 접지 레벨(0V)로 할 때에는 우선, 스위치 SW7을 온하고, 스위치 SW4를 오프한다(t4). 이에 따라, 코일 L2와 부하(20)의 용량에 의해 L-C 공진이 이루어지고, 코일 L2 및 스위치 SW7을 통하여 부하(20)에 축적되어 있던 전하의 일부를 전력 회수 회로(21) 내의 콘덴서 C2로 회수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19의 시각 t4 내지 t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하강하여 간다.
이어서, 이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마이너스 방향으로의 피크)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5를 온으로 함으로써,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t5). 또한, 시각 t5에서 스위치 SW7을 오프로 한다.
이어서, 스위치 SW1, SW3, SW5를 오프로 하고, 스위치 SW2, SW4를 온으로 한다. 이 때, 스위치 SW6, SW7은 오프 상태이다. 이에 따라,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은 접지 레벨이 되고,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Vs/2)로 된다(t6).
이어서, 전력 회수 회로(21) 내의 스위치 SW7를 온으로 함으로써, 코일 L2와 부하(20)의 용량에 의해 L-C 공진이 이루어지고, 콘덴서 C2에 회수되어 있던 전하(마이너스측)가 스위치 SW7 및 코일 L2를 통하여 부하(20)에 공급된다(t7).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19의 시각 t7 내지 t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하강하여 간다. 또한, 시각 t7에서 스위치 SW4를 오프한다.
이어서, 이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마이너스 방향으로의 피크)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5를 온으로 함으로써,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t8). 또한, 시각 t8에서 스위치 SW7을 오프로 한다.
또한,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Vs/2)로부터 접지 레벨(0V)로 할 때에는 우선, 스위치 SW6을 온하고, 스위치 SW5를 오프한다(t9). 이에 따라, 코일 L1과 부하(20)의 용량에 의해 L-C 공진이 이루어지고, 코일 L1 및 스위치 SW6을 통하여 부하(20)에 축적되어 있던 전하의 일부를 전력 회수 회로(21) 내의 콘덴서 C2로 회수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19의 시각 t9 내지 t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상승하여 간다.
이어서, 이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4를 온으로 함으로써,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접지 레벨로 클램프한다(t10). 또한, 시각 t10에서 스위치 SW6을 오프로 한다. 이상에서 도시한 동작에 의해, 도 18에 도시한 구동 회로는 유지 방전 기간 동안, 공통 전극 X에 -Vs/2 ~ Vs/2까지 변화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전술한 공통 전극 X에 공급하는 전압과 극성이 다른 전압(+Vs/2, -Vs/2)을 각 표시 라인의 주사 전극 Y에 교대로 인가한다. 이상에 의해, 교류 구동형 PDP 장치(1)는 유지 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방전 기간 동안,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 위의 보호막면에, 유지 방전이 가능한 양의 극성이 서로 다른 벽전하가 축적되어 있다. 그리고,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이루어지면, 그 셀 내의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 위의 벽전하는 그때까지와는 반대의 극성의 벽전하로 되어 방전을 수속시킨다. 이 때 벽전하가 이동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고, 그 시간은, 공통 전극 X에 전압 +Vs/2 또는 전압 -Vs/2가 인가되고 있는 시간에 의해 정해진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2-06284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개 평09-325735호 공보
[특허 문헌 3] 미국 특허 제3,559,190호 명세서
[특허 문헌 4] 미국 특허 제4,707,692호 명세서
[특허 문헌 5] 미국 특허 제3,626,244호 명세서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공개 소51-71730호 공보
[특허 문헌 7] 미국 특허 제4,070,663호 명세서
[특허 문헌 8] 일본 특허공보 소58-53344호 명세서
[특허 문헌 9] 미국 특허 제3,780,339호 명세서
[특허 문헌 10] 미국 특허 제4,866,349호 명세서
[특허 문헌 11] 미국 특허 제5,081,400호 명세서
[비특허 문헌 1] 마빈·히긴스(Marvin L. Higgins), "AC TFEL 디스플레이를 위한 저전력 구동 기구(A Low-Power Drive Scheme for AC TFEL Displays)", SID 85다이제스트(SID 85 Digest), (미국), 1985년, p.226-228
[비특허 문헌 2] 마빈·히긴스(Marvin L. Higgins), "개인 워크 스테이션을 위한 고품질 전기 발광성 디스플레이(High-Quality Electroluminescent Display for a Personal Workstation)", 휴렛 팻커드 저널(HEWLET-PACKARD Journal),(미국), 1985년 10월, p.12-17
그러나, 전술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1)의 구동 장치에서는, 스위치 SW1~SW7로 스위치수가 많기 때문에, 각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타이밍이 복잡하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논리 회로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 제어 회로(5)는 접지 레벨을 기준 전위로 하고 있는데, 상기 구동 제어 회로(5)로부터 제어 신호가 공급되고,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에 전압을 인가하는 출력 소자, 즉 스위치 SW4, SW5 및 전력 회수 회로(21) 내의 스위치 SW6, SW7은 구동 동작에서 기준 전위가 변화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구동 제어 회로(5)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상기 출력 소자에 공급할 때, 출력 소자의 전압 변동이 구동 제어 회로(5)에 역류하지 않도록 전기적으로 분리하거나, 레벨 시프트하거나 해야 한다. 이로 인해 회로나 소자가 더욱 필요해져 부품 점수 및 부재 비용이 증가하여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예를 들면 시각 t5 내지 t7 사이는 접지 레벨이 되는 기간 T가 존재한다. 이 기간 T는 SW1~SW7의 신호의 변화 타이밍의 마진을 취하기 위해 생기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셀 내의 벽전하가 완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기간(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전압이 Vs/2 또는 -Vs/2인 기간)을, 가능한 한 짧은 주기 내에서 확보하기 위해서 전술한 기간 T를 단축하고자 하는 요망이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 회수 회로(21)는 콘덴서 C2를 구비하지만, 이상(異常) 동작시에 회로 보호를 행하는 관점에서, 이 콘덴서 C2에 충전된 전압을 감시할 필요가 있어 전용 회로가 필요하였다. 그래서, 이 콘덴서 C2를 이용하지 않고 전력 회수 회로(21)를 실현하고자 하는 요망이 있다. 즉, 콘덴서 C2를 삭제함으로써 필요가 없어지는 전압 감시 전용 회로도 삭제하고자 하는 요망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에 비하여 스위치 수를 저감한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출력 소자의 고전압이나 기준 전위의 변화의 영향을 받는 소자수를 종래에 비하여 줄일 수 있는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에서의 전술한 접지 레벨의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전력 회수 회로에서는 필요했던 콘덴서를 생략할 수 있는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코일 회로 A, B를 구체적인 회로로 치환한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구체적인 회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코일 회로 A, B를 구체적인 회로로 치환한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코일 회로 A, B를 구체적인 회로로 치환한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코일 회로 A, B를 구체적인 회로로 치환한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인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인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교류 구동형 PDP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A는 교류 구동형 PDP 장치에서의 1 화소인 제i행 제j열의 셀 Cij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B는 교류 구동형 PDP의 용량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C는 교류 구동형 PDP의 발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도 15에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18은 도 15에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1)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도 18과 같이 구성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1)의 구동 회로에 의한 유지 방전 기간의 구동 파형을 도시하는 타임 차트.
도 20은 도 12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인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22는 도 12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인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24는 도 10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인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은 도 24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26는 도 10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인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도 26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28는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코일 LA1과 코일 LB1의 인덕턴스값의 관계가 LA1>LB1 인 경우의 도 28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30는 코일 LA1과 코일 LB1의 인덕턴스값의 관계가 LA1<LB1인 경우의 도 28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31는 도 4에 나타낸 도 2의 구동 회로의 구체적인 회로예(주사 전극 Y측 포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도 4에 나타낸 도 2의 구동 회로의 구체적인 회로예(주사 전극 Y측 포함)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도 31에 도시한 구체적인 구동 회로에서 스위치 SW4' 및 스위치 SW5'와 부하(20)의 보다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도 33에 도시한 구체적인 회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도 4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인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6은 도 35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37은 도 35에 도시한 제9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에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8은 도 37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회로에서는, 표시 수단으로 되는 용량성 부하에 대하여 소정 전압을 인가하는 매트릭스형 평면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로서, 용량성 부하의 일단에 제1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신호 라인과, 용량성 부하의 일단에 제1 전위와 다른 제2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신호 라인과, 제1 신호 라인 및 제2 신호 라인 중 적어도 한쪽과 접지와의 사이에 접속된 코일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일 회로는, 예를 들면 코일과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회로이며, 그 코일은 용량성 부하와 스위치를 통하여 L-C 공진을 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란, 제1 신호 라인과 용량성 부하 사이에 삽입되는 스위치 및 제2 신호 라인과 용량성 부하의 사이에 삽입되는 스위치이다. 이에 따라, 코일 회로와 용량성 부하의 L-C 공진에 의한 용량성 부하에 전하를 공급하는 충전 기능 및 용량성 부하에 전하를 방출시키는 방전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이들의 충전 기능 및 방전 기능에 의해, 전력 회수 동작의 기능을 실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구동 회로에 따르면, 코일 회로는, 스위치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종래에 비하여 삭감할 수 있다. 또,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와, 출력 소자의 고전압 신호와의 신호 레벨의 차이를 메우는 회로도 필요없고, 전력 회수 회로 전용의 콘덴서도 불필요해진다. 또한, 출력 소자의 전위를 전환하는 처리에 요하는 시간의 단축도 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구동 회로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인 교류 구동형 PDP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교류 구동형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 도 1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예를 들면 도 15에 전체 구성 및 도 16A 내지 도 16C에 셀 구성을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표시 장치)(1)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리셋 기간이나 어드레스 기간의 동작에도 대응 가능하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유지 방전 기간의 주사 전극 Y에서의 첫회의 전압 Vx의 추가 동작에도 대응 가능하다. 또한, 이 도 1에 있어서, 도 18에 도시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도, 도 18과 마찬가지로 X측 회로의 개략 구성만 도시하고, Y측 회로는 마찬가지의 구성 및 동작이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또한, X측 회로 및 Y측 회로 쌍방의 상세한 회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에 있어서, 용량 부하(20)(이하, "부하"라고 함)는, 1개의 공통 전극 X와 1개의 주사 전극 Y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셀의 합계 용량이다. 부하(20)에는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주사 전극 Y란, 복수의 주사 전극 Y1~Yn 중의 임의의 주사 전극이다.
우선, 스위치 SW1, SW2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Vs/2)의 전원 라인(제1 전원선)과 접지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상기 2개의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는 콘덴서 C1의 한쪽 단자가 접속되고, 이 콘덴서 C1의 다른쪽 단자와 접지와의 사이에는 스위치 SW3이 접속된다. 또한, 콘덴서 C1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는 신호 라인을 제1 신호 라인 OUTA로 하고, 다른쪽 단자에 접속되는 신호 라인을 제2 신호 라인 OUTB로 한다.
또한, 상기 2개의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과 접지와의 사이에는 코일 회로 A가 접속된다. 또한, 코일 회로 B의 양단은 스위치 SW3의 양단에 병렬 접속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신호 라인 OUTA와 접지의 사이에 코일 회로 A가 접속되고, 제2 신호 라인 OUTB와 접지의 사이에 코일 회로 B가 접속된다. 또한, 코일 회로 A, B는 적어도 코일을 포함하는 회로이며, 그 코일은 부하(20)와 스위치 SW4, SW5를 통하여 L-C 공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코일 회로 A, B와 부하(20)에 의해 전력 회수 회로를 구성한다.
또한, 직렬로 접속된 스위치 SW4와 스위치 SW5는 상기 콘덴서 C1의 양단에 접속된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스위치 SW4, SW5의 상호 접속점은 출력 라인 OUTC를 통하여 부하(20)의 공통 전극 X에 접속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부하(20)의 주사 전극 Y측에도 마찬가지의 회로가 접속된다.
전술한 스위치 SW1~SW5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구동 제어 회로(5)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제어 회로(5)는 논리 회로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데이터 D, 클럭 CLK, 수평 동기 신호 HS 및 수직 동기 신호 VS 등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 SW1~SW5에 공급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도 1의 구동 회로는 셀 중의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가 방전하는 기간인 유지 방전 기간에 유지 방전을 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코일 회로 A, B를 구체적인 회로로 치환하여 전술한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코일 회로 A, B를 구체적인 회로로 치환한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회로 A는 다이오드 DA 및 코일 LA를 구비하고, 코일 회로 B는 다이오드 DB와 코일 LB를 구비한다. 다이오드 DA의 캐소드 단자는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다른 표현으로는, 다이오드 DA의 캐소드 단자는 제1 신호 라인 OUTA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A의 애노드 단자는 코일 LA를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다이오드 DB의 캐소드 단자는 코일 LB를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B의 애노드 단자는 콘덴서 C1과 스위치 SW3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다른 표현으로는, 다이오드 DB의 애노드 단자는 제2 신호 라인 OUTB에 접속된다.
전술한 다이오드 DA의 순방향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회로 A는, 부하(20)에 대하여, 스위치 SW4를 통하여 전하를 공급하는 충전 회로이다. 또한, 다이오드 DB의 순방향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회로 B는 부하(20)에 대하여 스위치 SW5를 통하여 전하를 방출시키는 방전 회로이다. 이러한 코일 회로 A와 스위치 SW4와 부하(20)로 이루어지는 충전 회로의 충전 처리와, 코일 회로 B와 스위치 SW5와 부하(20)로 이루어지는 방전 회로의 방전 처리의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부하(20)에 대한 전력 회수 처리를 실현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코일 회로 A, B의 다른 구성은, 도 1에 도시하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도 2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제1 신호 라인 OUTA와, 제2 신호 라인 OUTB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전압 파형의 세로축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값과 일치하고 있고,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 파형은 조금 올리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 파형은 조금 내려 표시하고 있다.
우선, 제1 신호 라인 OUTA가 접지 레벨,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가 -Vs/2이고 스위치 SW1~SW5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스위치 SW4가 온되면, 부하(20)에 축적된 전압 -Vs/2가 스위치 SW4를 통하여 제1 신호 라인 OUTA에 전달되어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이 -Vs/2가 되고, 그 전압은 콘덴서 C1의 한쪽 단자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콘덴서 C1의 다른쪽 단자에 있어서의 전위는 -Vs로 변화하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도 -Vs로 된다(t11).
그리고, 시각 t11의 직후부터 코일 LA와 부하(20)의 용량과의 사이에서 스위치 SW4를 통하여 L-C 공진이 이루어짐으로써, 접지에 의해 코일 LA 및 스위치 SW4를 통하여 부하(20)에 전하가 공급되기 때문에, 제1 신호 라인 OUTA 및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의 전위를 거쳐 +Vs/2를 향하여 상승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3의 시각 t11 내지 t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상승하여 간다.
이어서, 이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1, SW3을 온함으로써,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t12). 이어서, 스위치 SW1, SW3, SW4를 오프한다(t13). 이어서, 스위치 SW5를 온한다(t14). 이에 따라, 부하(20)에 축적되어 있는 전압 Vs/2이 스위치 SW5를 통하여 제2 신호 라인 OUTB에 인가되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은 Vs/2로 된다. 이에 따라,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은 Vs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시각 t14의 직후부터 코일 LB와 부하(20)의 용량과의 사이에서 스위치 SW5를 통하여 L-C 공진이 이루어짐으로써, 코일 LB 및 스위치 SW5를 통하여 부하(20)가 전하를 접지로 방전하기 때문에,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의 전위를 거쳐 -Vs/2를 향하여 하강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서,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3의 시각 t14 내지 t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하강하여 간다.
이어서, 이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2를 온함으로써,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t15). 이상에 나타낸 동작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구동 회로는, 유지 방전 기간 동안, 공통 전극 X에 -Vs/2 ~ Vs/2까지 변화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전술한 공통 전극 X에 인가하는 전압과 극성이 다른 전압(+Vs/2, -Vs/2)을 각 표시 라인의 주사 전극 Y에 교대로 인가한다. 이상에 의해, 교류 구동형 PDP 장치는 유지 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파형도인 도 19와 비교하면, 도 19에 있는 접지 레벨의 기간 T가, 도 3의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에는 없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동일한 주기로 서스테인 동작을 하는 경우에, 종래에 비하여 유지 방전 펄스의 톱 폭 및 보텀 폭인 전압 Vs/2 또는 전압 -Vs/2를 유지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 방전 기간에 있어서, 벽전하가 이동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고, 그 시간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유지 시간을 확보하여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 쪽이 유지 방전을 보다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어 동작 마진의 확대 및 패널 P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 등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종래의 구동 회로의 회로 구성과 도 2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의 회로 구성을 비교하면, 도 18에 있어서의 스위치 SW6, SW7 분의 스위치수가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 제어의 복잡함이 경감된다. 또한, 도 18의 스위치 SW6, SW7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레벨 시프트하는 회로를 삽입하거나, 제어 신호 회로와 스위치 SW6, SW7 사이의 제어 신호의 전달 경로에 포토 커플러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분리하거나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의 구동 회로에는, 도 18의 구동 회로가 구비하는 콘덴서 C2도 삭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8에서 도시되지 않은 콘덴서 C2에 관련된 전압을 감시하는 회로도, 콘덴서 C2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해진다. 이에 따라, 부품 점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2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구체적인 회로예(주사 전극 Y측 포함)에 대하여 도면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구체적인 회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부하(20)는, 1개의 공통 전극 X와 1개의 주사 전극 Y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셀의 합계 용량이다. 부하(20)에는 공통 전극 X 및 주사 전극 Y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주사 전극 Y란, 도 15에 도시한 주사 전극 Y1~Yn 중의 임의의 주사 전극이다.
우선, 공통 전극 X측에서는, 스위치 SW1, SW2는 도시하지 않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Vs/2)의 전원 라인과 접지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상기 2개의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는 콘덴서 C1의 한쪽 단자가 접속되고, 이 콘덴서 C1의 다른쪽 단자와 접지와의 사이에는 스위치 SW3이 접속된다. 또한, 콘덴서 C1과 병렬로 콘덴서 Cx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직렬 접속된 스위치 SW4, SW5는, 상기 콘덴서 C1의 양단에 접속된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스위치 SW4, SW5의 상호 접속점은 출력 라인 OUTC를 통하여 부하(20)의 공통 전극 X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2와 마찬가지로 코일 회로 A는 다이오드 DA 및 코일 LA를 구비하고, 코일 회로 B는 다이오드 DB와 코일 LB를 구비한다. 다이오드 DA의 캐소드 단자는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A의 애노드 단자는 코일 LA를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다이오드 DB의 캐소드 단자는 코일 LB 및 스위치 SW3을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이 스위치 SW3은 전술한 리셋 기간이나 어드레스 기간 등에, 제2 신호 라인 OUTB에 인가되는 전압(Vs/2+Vw)이나 (Vs/2+Vx)가, 그대로 접지로 빠져 버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또한, 다이오드 DB의 애노드 단자는 콘덴서 C1과 스위치 SW3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2의 애노드 단자는 다이오드 DB의 캐소드 단자와 접속되고, 다이오드 D2의 캐소드 단자는 다이오드 DB의 애노드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B의 캐소드 단자는 코일 LB를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한편, 주사 전극 Y측에서는, 스위치 SW1', SW2'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Vs/2)의 전원 라인과 접지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이들 2개의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는 콘덴서 C4의 한쪽 단자가 접속되고, 이 콘덴서 C4의 다른쪽 단자와 접지와의 사이에는 스위치 SW3'가 접속된다. 또한, 콘덴서 C4와 병렬로 콘덴서 Cy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직렬 접속된 스위치 SW4', SW5'는 상기 콘덴서 C4의 양단에 접속된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스위치 SW4', SW5'의 상호 접속점은 출력 라인 OUTC'를 통하여 부하(20)의 주사 전극 Y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SW4', SW5'는 스캔 드라이버 SD를 구성하고 있다. 스캔 드라이버 SD는, 어드레스 기간(도 17 참조)의 스캔시에는 스캔 펄스를 출력하여, 라인 마다의 주사 전극 Y의 선택 동작을 한다. 또한, 스위치 SW4'와 콘덴서 C4의 한쪽 단자를 접속하는 접속선을 제3 신호 라인 OUTA'로 하고, 스위치 SW5'와 콘덴서 C4의 다른쪽 단자를 접속하는 접속선을 제4 신호 라인 OUTB'로 한다.
또한, 제4 신호 라인 OUTB'와, 기입 전압 Vw(도 17 참조)를 발생하는 전원 라인과의 사이에는 저항 R1이나 npn 트랜지스터 Tr1을 포함하는 스위치 SW8이 접속된다. 또한, 제4 신호 라인 OUTB'와, 전압 Vx(도 17 참조)를 발생하는 전원 라인과의 사이에는 n채널 MOS 트랜지스터 Tr2, Tr3을 포함하는 스위치 SW9가 접속된다.
또한, 제3 신호 라인 OUTA'는 코일 회로 A'를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또한 제4 신호 라인 OUTB'는 코일 회로 B'를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또한, 코일 회로 A'는 다이오드 DA' 및 코일 LA'를 구비하고, 코일 회로 B'는 다이오드 DB'와 코일 LB'를 구비한다. 다이오드 DA'의 캐소드 단자는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A'의 애노드 단자는 코일 LA'를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다이오드 DB'의 캐소드 단자는 코일 LB' 및 스위치 SW10을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이 스위치 SW10은, 전술한 리셋 기간이나 어드레스 기간 등에, 제4 신호 라인 OUTB'에 인가되는 전압(Vs/2+Vw)이나 (Vs/2+Vx)가, 그대로 접지로 빠져 버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또한, 다이오드 DB'의 애노드 단자는 콘덴서 C4와 스위치 SW3'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2'의 애노드 단자는 다이오드 DB'의 캐소드 단자와 접속되고, 다이오드 D2'의 캐소드 단자는 다이오드 DB'의 애노드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전술한 스위치 SW1~SW5, SW8~SW10, SW1'~SW5' 및 트랜지스터 Tr1~Tr3은 도 15에 도시한 구동 제어 회로(5)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면, X측 회로에서의 출력 라인 OUTC의 Vs/2로부터 접지 레벨 또는 접지 레벨로부터 -Vs/2로의 하강 동작의 타이밍에 맞추어 Y측 회로에서의 스위치 제어에 의해 접지를 통하여 콘덴서 C4에 전하를 회수하는 전력 회수 동작을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유지 방전 기간 동안, 공통 전극 X에 -Vs/2 ~ Vs/2까지 변화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전술한 공통 전극 X에 공급하는 전압과 극성이 상이한 전압(+Vs/2, -Vs/2)을 각 표시 라인의 주사 전극 Y에 교대로 인가한다.
이어서, 전술한 코일 회로 A, B의 구체적인 회로로서 도 2와 다른 구성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코일 회로 A, B를 구체적인 회로로 치환한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2와 다른 구성은, 코일 회로 A에서 도 2에 도시한 다이오드 DA 및 코일 LA의 접지와의 위치 관계를 반대로 하고, 코일 회로 B에서 도 2에 도시한 다이오드 DB 및 코일 LB의 접지와의 위치 관계를 반대로 한 점이다.
즉, 다이오드 DA의 캐소드 단자는 코일 LA를 통하여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다른 표현으로는, 다이오드 DA의 캐소드 단자는 코일 LA를 통하여 제1 신호 라인 OUTA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A의 애노드 단자는 접지에 접속된다. 다이오드 DB의 캐소드 단자는 접지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B의 애노드 단자는 코일 LB를 통하여 콘덴서 C1과 스위치 SW3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다른 표현으로는, 다이오드 DB의 애노드 단자는 코일 LB를 통하여 제2 신호 라인 OUTB에 접속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코일 회로 A, B의 다른 구성은, 도 2에 도시하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구동 회로는 도 2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하는 것은 분명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전술한 코일 회로 A, B의 구체적인 회로로서 도 2와 다른 구성예 3 및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코일 회로 A, B를 구체적인 회로로 치환한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2와 다른 구성은, 코일 회로 A에서 도 2에 도시한 다이오드 DA가 스위치 SW6로 치환되고, 코일 회로 B에서 도 2에 도시한 다이오드 DB가 스위치 SW7로 치환된 점이다.
즉, 스위치 SW6의 한쪽 단자는 코일 LA를 통하여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다른 표현으로는, 스위치 SW6의 한쪽 단자는 코일 LA를 통하여 제1 신호 라인 OUTA에 접속된다. 또한, 스위치 SW6의 다른쪽 단자는 접지에 접속된다. 스위치 SW7의 한쪽 단자는 접지에 접속된다. 또한, 스위치 SW7의 다른쪽 단자는 코일 LB를 통하여 콘덴서 C1과 스위치 SW3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다른 표현으로는, 스위치 SW7의 다른쪽 단자는 코일 LB를 통하여 제2 신호 라인 OUTB에 접속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제1 신호 라인 OUTA와, 제2 신호 라인 OUTB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전압 파형의 세로축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값과 일치하고 있고,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 파형은 조금 올리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 파형은 조금 내려 표시하고 있다.
우선, 제1 신호 라인 OUTA가 접지 레벨,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가 -Vs/2이고 스위치 SW1~SW7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스위치 SW4 및 스위치 SW6이 온되면, 부하(20)에 축적된 전압 -Vs/2가 스위치 SW4를 통하여 제1 신호 라인 OUTA에 전달되어,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이 -Vs/2로 되고, 그 전압은 콘덴서 C1의 한쪽 단자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콘덴서 C1의 다른쪽 단자에 있어서의 전위는 -Vs로 변화하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도 -Vs가 된다(t11).
그리고, 시각 t11의 직후부터 코일 LA과 부하(20)의 용량과의 사이에서 스위치 SW4, SW6을 통하여 L-C 공진이 이루어짐으로써, 접지로부터 코일 LA 및 스위치 SW4, SW6을 통하여 부하(20)에 전하가 공급되기 때문에, 제1 신호 라인 OUTA 및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의 전위를 거쳐 +Vs/2를 향하여 상승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서,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7의 시각 t11 ~ t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상승하여 간다.
이어서, 이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1, SW3를 온함으로써,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t12). 이어서, 스위치 SW1, SW3, SW4, SW6을 오프한다(t13). 이어서, 스위치 SW5, SW7을 온한다(t14). 이에 따라, 부하(20)에 축적되어 있는 전압 Vs/2가 스위치 SW5를 통하여 제2 신호 라인 OUTB에 인가되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은 Vs/2로 된다. 이에 따라,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은 Vs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시각 t14의 직후부터 코일 LB과 부하(20)의 용량과의 사이에서 스위치 SW5, SW7을 통하여 L-C 공진이 이루어짐으로써, 코일 LB 및 스위치 SW5, SW7을 통하여 부하(20)가 접지로 전하를 방전하기 때문에,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의 전위를 거쳐 -Vs/2를 향하여 하강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서,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7의 시각 t14 내지 t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하강하여 간다.
이어서, 이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2를 온함으로써,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t15). 이상에 나타낸 동작에 의해, 도 6에 도시한 구동 회로는 유지 방전 기간 동안, 공통 전극 X에 -Vs/2 ~ Vs/2까지 변화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전술한 공통 전극 X에 공급하는 전압과 극성이 다른 전압(+Vs/2, -Vs/2)을 각 표시 라인의 주사 전극 Y에 교대로 인가한다. 이상에 의해, 교류 구동형 PDP 장치는 유지 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파형도인 도 19와 비교하면, 도 19에 있는 접지 레벨의 기간 T가, 도 7의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에는 없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동일한 주기로 서스테인 동작을 하는 경우에, 종래에 비하여 전압 Vs/2 또는 전압 -Vs/2를 유지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 방전 기간에 있어서, 벽전하가 이동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고, 그 시간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유지 시간을 확보하면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 쪽이 짧은 주기로 서스테인 동작을 할 수 있어, 패널 P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종래의 구동 회로의 회로 구성과 도 6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의 회로 구성을 비교하면, 도 6의 구동 회로는 도 18의 구동 회로가 구비하는 콘덴서 C2를 구비하지 않고, 도 18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는 콘덴서 C2에 관련된 전압을 감시하는 회로도 불필요하다. 이에 따라, 구동 회로의 부품 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전술한 코일 회로 A, B의 구체적인 회로로서 도 2와 다른 구성예 4 및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코일 회로 A, B를 구체적인 회로로 치환한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2와 다른 구성은, 코일 회로 A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다이오드 DA의 순방향이 반대로 되고 스위치 SW7이 추가되어 있는 점이며, 코일 회로 B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다이오드 DB의 순방향이 반대로 되고 스위치 SW6이 추가된 점이다. 도 8에 있어서는, 스위치 SW6은 부하(20)에 전하를 공급하는 타이밍을 지정하는 스위치이다. 또한, 스위치 SW7은 부하(20)에 전하를 방전시키는 타이밍을 지정하는 스위치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회로 A는 다이오드 DA 및 코일 LA 및 스위치 SW7을 구비하고, 코일 회로 B는 다이오드 DB와 코일 LB 및 스위치 SW6을 구비한다. 다이오드 DA의 애노드 단자는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다른 표현으로는, 다이오드 DA의 애노드 단자는 제1 신호 라인 OUTA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A의 캐소드 단자는 코일 LA 및 스위치 SW7을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다이오드 DB의 애노드 단자는 코일 LB 및 스위치 SW6을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B의 캐소드 단자는 콘덴서 C1과 스위치 SW3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다른 표현으로는, 다이오드 DB의 캐소드 단자는 제2 신호 라인 OUTB에 접속된다.
전술한 다이오드 DA의 순방향이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회로 A는 부하(20)에 대하여 스위치 SW4를 통하여 전하를 방출시키는 방전 회로이다. 또한, 다이오드 DB의 순방향이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회로 B는 부하(20)에 대하여 스위치 SW5를 통하여 전하를 공급하는 충전 회로이다. 이러한 코일 회로 A와 스위치 SW4와 부하(20)로 이루어지는 방전 회로의 방전 처리와, 코일 회로 B와 스위치 SW5와 부하(20)로 이루어지는 충전 회로의 충전 처리의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부하(20)에 대한 전력 회수 처리를 실현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코일 회로 A, B의 다른 구성은, 도 2에 도시하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도 8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9에 있어서, 제1 신호 라인 OUTA와, 제2 신호 라인 OUTB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들의 전압 파형의 세로축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값과 일치하고 있고, 보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 파형은 조금 올리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 파형은 조금 내려 표시하고 있다.
우선, 제1 신호 라인 OUTA가 접지 레벨,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가 -Vs/2이고 스위치 SW1~SW4, SW6, SW7이 오프되어 있고, 스위치 SW5가 온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스위치 SW6이 온되면, 부하(20)에 축적된 전압 -Vs/2가 스위치 SW5를 통하여 제2 신호 라인 OUTB에 전달된다(t21).
그리고, 시각 t21의 직후부터 코일 LB와 부하(20)의 용량과의 사이에서 스위치 SW5, SW6을 통하여 L-C 공진이 이루어짐으로써, 접지로부터 코일 LB 및 스위치 SW5, SW6을 통하여 부하(20)에 전하가 공급되므로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의 전위를 거쳐 +Vs/2를 향하여 상승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서,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9의 시각 t21 내지 t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상승하여 간다.
이어서, 이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1, SW3, SW4를 온하고, 스위치 SW5, SW6을 오프함으로써,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t22). 이어서, 스위치 SW1, SW3을 오프하고, 스위치 SW7을 온한다(t23). 이에 따라, 부하(20)에 축적되어 있는 전압 Vs/2가 스위치 SW4를 통하여 제1 신호 라인 OUTA에 공급된다.
그리고, 시각 t23의 직후부터 코일 LA와 부하(20)의 용량과의 사이에서 스위치 SW4, SW7을 통하여 L-C 공진이 이루어짐으로써, 코일 LA 및 스위치 SW4, SW7을 통하여 부하(20)가 접지로 전하를 방전하기 때문에, 제1 신호 라인 OUTA 및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의 전위를 거쳐 -Vs/2를 향하여 하강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서,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9의 시각 t23 내지 t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하강하여 간다.
이어서, 이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4, SW7을 오프하고, 스위치 SW2, SW5를 온함으로써,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t24). 또한, 이어서 시각 t25에서 스위치 SW6이 온되기 직전에 스위치 SW2는 오프된다. 이상에 나타낸 동작에 의해, 도 8에 도시한 구동 회로는 유지 방전 기간 동안, 공통 전극 X에 Vs/2 ~ Vs/2까지 변화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전술한 공통 전극 X에 공급하는 전압과 극성이 다른 전압(+Vs/2, -Vs/2)을 각 표시 라인의 주사 전극 Y에 교대로 인가한다. 이상에 의해, 교류 구동형 PDP 장치는 유지 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파형도인 도 19와 비교하면, 도 19에 있는 접지 레벨의 기간 T가, 도 9의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에는 없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동일한 주기로 서스테인 동작을 하는 경우에, 종래에 비하여 유지 방전 펄스의 톱 폭 및 보텀 폭인 전압 Vs/2 또는 전압 -Vs/2를 유지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 방전 기간에 있어서, 벽전하가 이동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고, 그 시간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유지 시간을 확보하고,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 쪽이 유지 방전을 보다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어 동작 마진의 확대 및 패널 P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 등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종래의 구동 회로의 회로 구성과 도 8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의 회로 구성을 비교하면, 도 8의 구동 회로는, 도 18의 구동 회로가 구비하는 콘덴서 C2를 구비하지 않고, 도 18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은 콘덴서 C2에 관련된 전압을 감시하는 회로도 불필요하다. 이에 따라, 구동 회로의 부품 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콘덴서 C1에 관련된 전압에 대해서도, 스위치수가 감소하여 제어가 간단해진 것, 및 종래의 접지 레벨 기간에 필요하던 접지 레벨에의 고정밀도인 제어가 불필요해지고, 전압 감시 회로가 보다 간략화되거나 불필요해진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도 1에 도시한 구동 회로와 구성이 상이한 제2 실시 형태인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구동 회로와 구성이 다른 제2 실시 형태인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 도 10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15에 전체 구성 및 도 16A 내지 도 16C에 셀 구성을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표시 장치)(1)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리셋 기간이나 어드레스 기간의 동작에도 대응 가능하다. 또한, 이 도 10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도, 도 1과 마찬가지로 X측 회로의 개략 구성만 도시하고, Y측 회로는 마찬가지의 구성 및 동작이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도 10에 있어서, 부하(20)는 1개의 공통 전극 X와 1개의 주사 전극 Y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셀의 합계 용량이다. 또한, 스위치 SW1, SW2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Vs/2)의 전원 라인과 접지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상기 2개의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는 콘덴서 C1의 한쪽 단자가 접속되고, 이 콘덴서 C1의 다른쪽 단자와 접지와의 사이에는 스위치 SW3가 접속된다. 또한, 콘덴서 C1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는 신호 라인을 제1 신호 라인 OUTA로 하고, 다른쪽 단자에 접속되는 신호 라인을 제2 신호 라인 OUTB로 한다.
또한, 콘덴서 C1의 다른쪽 단자와 스위치 SW3의 상호 접속점에는 코일 회로 C의 한쪽 단자가 접속된다. 또한, 코일 회로 C의 다른쪽 단자는 접지에 접속된다. 다시 말해서, 제2 신호 라인 OUTB와 접지의 사이에 코일 회로 C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코일 회로 C는 다이오드 D10, D11과 코일 L10, L11과, 스위치 SW6, SW7을 구비한다.
다이오드 D10의 캐소드 단자는 코일 L10 및 스위치 SW7을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10의 애노드 단자는 콘덴서 C1과 스위치 SW3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11의 애노드 단자는 코일 L11 및 스위치 SW6을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11의 캐소드 단자는 콘덴서 C1과 스위치 SW3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즉, 다이오드 D10의 애노드 단자 및 다이오드 D11의 캐소드 단자는 제2 신호 라인 OUTB에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다이오드 D10의 순방향이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L10은 부하(20)에 대하여, 스위치 SW5를 통하여 전하를 방출시키는 방전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다이오드 D11의 순방향이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L11은 부하(20)에 대하여 스위치 SW5를 통하여 전하를 공급하는 충전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코일 L10과 스위치 SW5와 부하(20)로 이루어지는 방전 기능과, 코일 L11과 스위치 SW5와 부하(20)로 이루어지는 충전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부하(20)에 대한 전력 회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코일 회로 C의 구성은, 전술한 것 뿐만 아니라, 적어도 코일을 포함하는 회로이며, 그 코일은 부하(20)와 L-C 공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로이면 된다.
또한, 직렬로 접속된 스위치 SW4와 스위치 SW5는 상기 콘덴서 C1의 양단에 접속된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스위치 SW4, SW5의 상호 접속점은 출력 라인 OUTC를 통하여 부하(20)의 공통 전극 X에 접속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부하(20)의 주사 전극 Y측에도 마찬가지의 회로가 접속된다. 또한, 전술한 스위치 SW1~SW5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구동 제어 회로(5)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구동 회로는, 셀 중의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가 방전하는 기간인 유지 방전 기간에 유지 방전을 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제1 신호 라인 OUTA와, 제2 신호 라인 OUTB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들 전압 파형의 세로축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값과 일치하고 있고,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 파형은 조금 올리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 파형은 조금 내려 표시하고 있다.
우선, 제1 신호 라인 OUTA가 접지 레벨,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가 -Vs/2이고 스위치 SW1~SW4, SW6이 오프되어 있고, 스위치 SW5, SW7이 온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스위치 SW6이 온된다(t31). 이에 따라, 코일 L11과 부하(20)의 용량과의 사이에서 스위치 SW5, SW6을 통하여 L-C 공진이 이루어짐으로써, 접지로부터 코일 L11 및 다이오드 D11 및 스위치 SW5, SW6을 통하여 부하(20)에 전하가 공급되기 때문에,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의 전위를 거쳐 +Vs/2를 향하여 상승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서,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11의 시각 t31 내지 t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상승하여 간다. 또한, 시각 t31 내지 t32의 사이에서,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위가 접지 레벨을 초과하기 전에 스위치 SW7은 오프된다.
이어서, 이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5를 오프하고, 스위치 SW3을 온함으로써,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이 접지 레벨로 변화된다(t32). 또한, 제2 신호 라인 OUTB의 변화에 따라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은 Vs/2로 변화한다. 이어서, 스위치 SW1, SW4, SW7을 온하고, 스위치 SW6을 오프하면,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 Vs/2가 부하(20)에 인가된다(t33). 이에 따라,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
이어서, 시각 t34 직전에 스위치 SW1, SW3, SW4를 오프한다. 이어서, 시각 t34에서 스위치 SW5를 온한다. 이에 따라, 부하(20)에 축적되어 있는 전압 Vs/2가 스위치 SW5를 통하여 제2 신호 라인 OUTB에 공급되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은 Vs/2가 된다. 이에 따라,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은 Vs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시각 t34 직후부터 코일 L10과 부하(20)의 용량과의 사이에서 스위치 SW5, SW7을 통하여 L-C 공진이 이루어짐으로써, 코일 회로 C의 다이오드 D10 및 코일 L10 및 스위치 SW5, SW7을 통하여 부하(20)가 접지로 전하를 방전하기 때문에,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의 전위를 거쳐 -Vs/2를 향하여 하강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11의 시각 t34 내지 t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하강하여 간다.
이어서, 이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2를 온함으로써,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t35). 이상에 나타낸 동작에 의해, 도 10에 도시한 구동 회로는, 유지 방전 기간 동안, 공통 전극 X에 Vs/2 ~ Vs/2까지 변화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전술한 공통 전극 X에 공급하는 전압과 극성이 다른 전압(+Vs/2, -Vs/2)을 각 표시 라인의 주사 전극 Y에 교대로 인가한다. 이상에 의해, 교류 구동형 PDP 장치는 유지 방전을 할 수 있다.
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파형도인 도 19를 비교하면, 도 19에 있는 접지 레벨의 기간 T가, 도 11의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에는 없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동일한 주기로 서스테인 동작을 하는 경우에, 종래에 비하여 유지 방전 펄스의 톱 폭 및 보텀 폭인 전압 Vs/2 또는 전압 -Vs/2를 유지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 방전 기간에 있어서, 벽전하가 이동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고, 그 시간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유지 시간을 확보하여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쪽이 유지 방전을 보다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어 동작 마진의 확대 및 패널 P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 등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종래의 구동 회로의 회로 구성과 도 10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의 회로 구성을 비교하면, 도 10의 구동 회로는, 도 18의 구동 회로가 구비하는 콘덴서 C2를 구비하지 않고, 도 18에서 도시되지 않은 콘덴서 C2에 관련된 전압을 감시하는 회로도 불필요하다. 이에 따라, 구동 회로에서의 부품 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도 1에 도시한 구동 회로와 구성이 다른 제3 실시 형태인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구동 회로와 구성이 다른 제3 실시 형태인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 도 12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15에 전체 구성 및 도 16A 내지 도 16C에 셀 구성을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표시 장치)(1)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리셋 기간이나 어드레스 기간의 동작에도 대응 가능하다. 또한, 이 도 12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도, 도 1과 마찬가지로 X측 회로의 개략 구성만 도시하고, Y측 회로는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이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도 12에 있어서, 부하(20)는 1개의 공통 전극 X와 1개의 주사 전극 Y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셀의 합계 용량이다. 또한, 스위치 SW1, SW2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Vs/2)의 전원 라인과 접지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상기 2개의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는 콘덴서 C1의 한쪽 단자가 접속되고, 이 콘덴서 C1의 다른쪽 단자와 접지와의 사이에는 스위치 SW3이 접속된다. 또한, 콘덴서 C1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는 신호 라인을 제1 신호 라인 OUTA로 하고, 다른쪽 단자에 접속되는 신호 라인을 제2 신호 라인 OUTB로 한다.
또한,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는 코일 회로 D의 한쪽 단자가 접속된다. 또한, 코일 회로 D의 다른쪽 단자는 접지에 접속된다. 다시 말해서, 제2 신호 라인 OUTB와 접지의 사이에 코일 회로 D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코일 회로 D는 다이오드 D20, D21과 코일 L20, L21을 구비한다.
다이오드 D20의 애노드 단자는 코일 L20을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20의 캐소드 단자는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21의 캐소드 단자는 코일 L21을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21의 애노드 단자는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즉, 다이오드 D20의 캐소드 단자 및 다이오드 D21의 애노드 단자는 제1 신호 라인 OUTA에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다이오드 D20의 순방향이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L20은 부하(20)에 대하여 스위치 SW4를 통하여 전하를 공급하는 충전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다이오드 D21의 순방향이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L21은 부하(20)에 대하여 스위치 SW4를 통하여 전하를 방출시키는 방전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코일 L20과 스위치 SW4와 부하(20)로 이루어지는 충전 기능과, 코일 L21과 스위치 SW4와 부하(20)로 이루어지는 방전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부하(20)에 대한 전력 회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코일 회로 D의 구성은, 전술한 것 뿐만 아니라, 적어도 코일을 포함하는 회로이며, 그 코일은 부하(20)와 스위치 SW4를 통하여 L-C 공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로이면 된다.
또한, 직렬로 접속된 스위치 SW4와 스위치 SW5는 상기 콘덴서 C1의 양단에 접속된다. 그리고, 이러한 2개의 스위치 SW4, SW5의 상호 접속점은 출력 라인 OUTC를 통하여 부하(20)의 공통 전극 X에 접속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부하(20)의 주사 전극 Y측에도 마찬가지의 회로가 접속된다. 또한, 전술한 스위치 SW1~SW5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구동 제어 회로(5)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구동 회로는 셀 중의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가 방전하는 기간인 유지 방전 기간에 유지 방전을 한다.
이어서, 도 12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3에 있어서, 제1 신호 라인 OUTA와, 제2 신호 라인 OUTB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들의 전압 파형의 세로축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값과 일치하고 있고,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 파형은 조금 올리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 파형은 조금 내려 표시하고 있다.
우선, 제1 신호 라인 OUTA가 접지 레벨,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가 -Vs/2이고 스위치 SW1~SW5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스위치 SW4가 온된다(t41). 이에 따라, 제1 신호 라인 OUTA는 -Vs/2까지 단번에 변화하고, 제2 신호 라인 OUTB는 -Vs가 된다. 이어서, 시각 t41의 직후부터 코일 L20과 부하(20)의 용량과의 사이에서 스위치 SW4를 통하여 L-C 공진이 이루어짐으로써, 접지로부터 코일 회로 D의 코일 L20 및 다이오드 D20 및 스위치 SW4를 통하여 부하(20)에 전하가 공급되기 때문에, 제1 신호 라인 OUTA 및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의 전위를 거쳐 +Vs/2를 향하여 상승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서,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13의 시각 t41 내지 t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상승하여 간다.
이어서, 이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1를 온함으로써,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이 Vs/2로 클램프된다(t42). 이에 따라 출력 라인 OUTC의 전압도 Vs/2로 클램프된다. 이어서, 시각 t43 직전에 스위치 SW1을 오프한다(t43). 이에 따라, 코일 L21과 부하(20)의 용량과의 사이에서 스위치 SW4를 통하여 L-C 공진이 이루어짐으로써, 코일 L21 및 다이오드 D21 및 스위치 SW4를 통하여 부하(20)가 접지로 전하를 방전하기 때문에, 제1 신호 라인 OUTA 및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의 전위를 거쳐 -Vs/2를 향하여 하강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서,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13의 시각 t43 내지 t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하강하여 간다.
이어서, 이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2 및 스위치 SW5를 온함으로써,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t44). 이상에서 도시한 동작에 의해, 도 12에 도시한 구동 회로는, 유지 방전 기간 동안, 공통 전극 X에 -Vs/2 ~ Vs/2까지 변화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전술한 공통 전극 X에 공급하는 전압과 극성이 다른 전압(+Vs/2, -Vs/2)을 각 표시 라인의 주사 전극 Y에 교대로 인가한다. 이상에 의해, 교류 구동형 PDP 장치는 유지 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파형도인 도 19와 비교하면, 도 19에 있는 접지 레벨의 기간 T가, 도 13의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에는 없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동일한 주기로 서스테인 동작을 하는 경우에, 종래에 비하여 유지 방전 펄스의 톱 폭 및 보텀 폭인 전압 Vs/2 또는 전압 -Vs/2를 유지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 방전 기간에 있어서, 벽전하가 이동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고, 그 시간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유지 시간을 확보하여,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쪽이 유지 방전을 보다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어 동작 마진의 확대 및 패널 P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 등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종래의 구동 회로의 회로 구성과 도 12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의 회로 구성을 비교하면, 도 18에 있어서의 스위치 SW6, SW7 분의 스위치수가 감소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 제어의 복잡함이 경감된다. 또한, 도 18의 스위치 SW6, SW7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레벨 시프트하는 회로를 삽입하거나, 제어 신호 회로와 스위치 SW6, SW7 사이의 제어 신호의 전달 경로에 포토 커플러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분리하거나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의 구동 회로는 도 18의 구동 회로가 구비하는 콘덴서 C2도 삭제할 수 있고 있고, 도 18에서 도시되지 않은 콘덴서 C2에 관련된 전압을 감시하는 회로도 불필요해진다. 이에 따라, 더욱 부품 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이어서, 도 1에 도시한 구동 회로와 일부 구성이 다른 제4 실시 형태인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구동 회로와 일부 구성이 다른 제4 실시 형태인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 도 14의 구동 회로에서, 도 1의 구동 회로와 다른 점은, 도 1의 스위치 SW2 또는 스위치 SW3과 접지를 접속하는 접속선에 대하여 전원 회로 DC가 삽입되어 있는 점이다. 그 밖의 구성은, 도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전원 회로 DC로부터의 전원선(제2 전원선)이, 스위치 SW2 및 스위치 SW3과 접속된다.
여기에서, 전원 회로 DC는 ±Pv(V)의 임의의 정전압(제3 전위)을 출력하는 전원 회로이다. 이에 따라,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위(제1 전위) 및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위(제2 전위)의 조정을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4에서의 코일 회로 A, B가 도 2와 같은 회로였을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전압 파형에 있어서,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을 전원 회로 DC의 출력 전압에 따라 전체적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X가 공통 전극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여 왔지만, 몇가지로 분할되어 있거나 또는 복수개의 회로에 접속되어 있거나 하는 경우라도 동일한 효과가 있다. 또한, 그 경우는, 전술한 용량 부하는 분할된 단위나, 복수개의 회로 갯수에 따라 정해진다.
(제5 실시 형태)
이어서, 도 12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인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도 12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인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 도 20에 도시하는 제5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도 1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15에 전체 구성 및 도 16A 내지 도 16C에 셀 구성을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표시 장치)(1)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도 20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0에 있어서도, 도 12와 마찬가지로 X측 회로의 개략 구성만 도시하고, Y측 회로는 마찬가지의 구성 및 동작이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도 20에 도시하는 제5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에서, 도 12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와 다른 것은, 코일 회로 D의 내부 구성이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한 구동 회로에서 코일 회로 D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회로 D는 다이오드 D50과 코일 L50을 구비한다. 다이오드 D50의 애노드 단자는 코일 L50을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50의 캐소드 단자는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즉, 다이오드 D50의 캐소드 단자는 제1 신호 라인 OUTA에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다이오드 D50의 순방향이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L50은 부하(20)에 대하여 스위치 SW4를 통하여 전하를 공급하는 충전 기능을 구비한다. 즉, 이러한 코일 L50과 스위치 SW4와 부하(20)로부터, 부하(20)에 대한 L-C 공진을 이용한 충전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코일 회로 D의 구성은, 전술한 것 뿐만 아니라 적어도 코일 L50을 포함하는 회로이며, 그 코일 L50은 부하(20)와 스위치 SW4를 통하여 L-C 공진을 이용한 충전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로이면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부하(20)의 주사 전극 Y측에도 동일한 회로가 접속된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스위치 SW1~SW5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구동 제어 회로(5)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셀 중의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가 방전하는 기간인 유지 방전 기간에 유지 방전을 행한다.
이어서, 도 20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21에 있어서, 제1 신호 라인 OUTA와, 제2 신호 라인 OUTB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들의 전압 파형의 세로축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값과 일치하고 있고,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 파형은 조금 올리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 파형은 조금 내려 표시하고 있다.
우선, 제1 신호 라인 OUTA가 접지 레벨,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가 -Vs/2이고 스위치 SW1, SW3, SW4가 오프하고 스위치 SW2, SW5가 온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스위치 SW4가 온되고, 스위치 SW2, SW5가 오프된다(t61). 이에 따라, 제1 신호 라인 OUTA는 -Vs/2까지 단번에 변화하고, 제2 신호 라인 OUTB는 -Vs까지 변화한다. 이어서, 시각 t61의 직후부터 코일 L50과 부하(20)의 용량과의 사이에서 스위치 SW4를 통하여 L-C 공진이 이루어짐으로써, 접지로부터 코일 회로 D의 코일 L50 및 다이오드 D50 및 스위치 SW4를 통하여 부하(20)에 전하가 공급되기 때문에, 제1 신호 라인 OUTA 및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의 전위를 거쳐 +Vs/2를 향하여 상승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서,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21의 시각 t61 내지 t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상승하여 간다.
이어서, 이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1, SW3를 온함으로써,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이 Vs/로 클램프되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이 접지로 클램프된다(t62). 이에 따라, 출력 라인 OUTC의 전압도 Vs/2로 클램프된다. 이어서, 시각 t63에서, 스위치 SW4를 오프하고, 스위치 SW5를 온한다. 이에 따라, 스위치 SW3, SW5를 통하여 부하(20)로부터 접지로 전하를 방전하기 때문에,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까지 하강한다.
이어서, 시각 t64에 있어서, 스위치 SW1, SW3을 오프하고, 스위치 SW2를 온함으로써,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위가 시각 t65까지 접지 레벨로 변화하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위가 시각 t65까지 -Vs/2로 변화한다. 이에 따라, 출력 신호 라인 OUTC의 전위는 제2 신호 라인 OUTB와 동일한 -Vs/2까지 하강한다.
이상에 나타낸 동작에 의해, 도 20에 도시한 구동 회로는, 유지 방전 기간 동안, 공통 전극 X에 -Vs/2 ~ Vs/2까지 변화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전술한 공통 전극 X에 공급하는 전압과 극성이 다른 전압(+Vs/2, -Vs/2)을 각 표시 라인의 주사 전극 Y에 교대로 인가한다. 이상에 의해, 교류 구동형 PDP 장치는 유지 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파형도인 도 19와 비교하면, 도 19에 있는 접지 레벨의 기간 T가 도 21의 출력 라인 OUTC의 상승 부분의 전압 파형에는 없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동일한 주기로 서스테인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종래에 비하여 유지 방전 펄스의 톱 폭인 전압 Vs/2를 유지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이어서, 도 12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인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도 12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인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 도 22에 도시하는 제6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도 1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15에 전체 구성 및 도 16A 내지 도 16C에 셀 구성을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표시 장치)(1)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도 22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22에서도 도 12와 마찬가지로 X측 회로의 개략 구성만을 도시하고, Y측 회로는 마찬가지의 구성 및 동작이므로 생략하였다.
또한, 도 22에 도시하는 제6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에서, 도 12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와 다른 것은, 코일 회로 D의 내부 구성이다. 따라서, 도 22에 도시한 구동 회로에서 코일 회로 D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회로 D는 다이오드 D60과 코일 L60과 스위치 SW8을 구비한다. 다이오드 D60의 캐소드 단자는 코일 L60 및 스위치 SW8을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60의 애노드 단자는 스위치 SW1, SW2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즉, 다이오드 D60의 애노드 단자는 제1 신호 라인 OUTA에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다이오드 D60의 순방향이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L60은 부하(20)에 대하여 스위치 SW4, SW8을 통하여 전하를 방전시키는 방전 기능을 구비한다. 즉, 이러한 코일 L60과 스위치 SW4와 부하(20)로부터, 부하(20)에 대한 L-C 공진을 이용한 방전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코일 회로 D의 구성은, 전술한 것 뿐만 아니라 적어도 코일 L60을 포함하는 회로이며, 그 코일 L60은 부하(20)와 스위치 SW4를 통하여 L-C 공진을 이용한 방전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로이면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부하(20)의 주사 전극 Y측에도 마찬가지의 회로가 접속된다. 또한, 도 22에 도시한 스위치 SW1~SW5 및 스위치 SW8은,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구동 제어 회로(5)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셀 중의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가 방전하는 기간인 유지 방전 기간에 유지 방전을 행한다.
이어서, 도 22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23에 있어서, 제1 신호 라인 OUTA와, 제2 신호 라인 OUTB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들의 전압 파형의 세로축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값과 일치하고 있고,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 파형은 조금 올리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 파형은 조금 내려 표시하고 있다.
우선, 제1 신호 라인 OUTA가 접지 레벨,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가 -Vs/2이고 스위치 SW1, SW3, SW4, SW8이 오프되고 스위치 SW2, SW5가 온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스위치 SW4가 온되고, 스위치 SW5가 오프된다(t71). 이에 따라, 스위치 SW2, SW4를 통하여 출력 라인 OUTC와 접지가 접속되기 때문에,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까지 상승한다.
이어서, 시각 t72에 있어서, 스위치 SW2가 오프되고, 시각 t73에서, 스위치 SW1, SW3가 온되면, 제1 신호 라인 OUTA은, 접지 레벨로부터 Vs/2까지 상승하고, 제2 신호 라인 OUTB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까지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제1 신호 라인 OUTA가 출력 라인 OUTC에 접속되기 때문에, 출력 라인 OUTC의 전압도 접지 레벨로부터 Vs/2로 상승한다.
이어서, 시각 t74의 직전에 스위치 SW1, SW3, SW4를 오프하고, 시각 t74에 스위치 SW8를 온하면, 코일 L60과 부하(20)의 용량과의 사이에서 스위치 SW4를 통하여 L-C 공진이 행하여진다. 이에 따라, 스위치 SW8, 코일 L60, 다이오드 D60 및 스위치 SW4를 통하여 부하(20)가 접지로 전하를 방전하기 때문에, 제1 신호 라인 OUTA 및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의 전위를 거쳐 -Vs/2를 향하여 하강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23의 시각 t74 내지 t7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하강하여 간다.
이어서, 시각 t75에 있어서, 이 L-C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2 및 스위치 SW5를 온하고, 스위치 SW8을 오프함으로써,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 이상에 나타낸 동작에 의해, 도 22에 도시한 구동 회로는, 유지 방전 기간 동안, 공통 전극 X에 -Vs/2 ~ Vs/2까지 변화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또 전술한 공통 전극 X에 공급하는 전압과 극성이 다른 전압(+Vs/2, -Vs/2)을 각 표시 라인의 주사 전극 Y에 교대로 인가한다. 이상에 의해, 교류 구동형 PDP 장치는 유지 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파형도인 도 19와 비교하면, 도 19에 있는 접지 레벨의 기간 T가, 도 23의 출력 라인 OUTC의 하강 부분의 전압 파형에는 없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동일한 주기로 서스테인 동작을 하는 경우에, 종래에 비하여 유지 방전 펄스의 톱 폭인 전압 Vs/2를 유지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이어서, 도 10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인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도 10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인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 도 24에 도시하는 제7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도 10에 도시한 구동 회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15에 전체 구성 및 도 16A 내지 도 16C에 셀 구성을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표시 장치)(1)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도 24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4에 있어서도, 도 10과 마찬가지로 X측 회로의 개략 구성만 도시하고, Y측 회로는 마찬가지의 구성 및 동작이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또한, 도 24에 도시하는 제7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에서, 도 10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와 다른 것은, 코일 회로 C의 내부 구성이다. 따라서, 도 24에 도시한 구동 회로에서 코일 회로 C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회로 C는 다이오드 D70과 코일 L70을 구비한다. 다이오드 D70의 캐소드 단자는 코일 L70을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70의 애노드 단자는 콘덴서 C1과 스위치 SW3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즉, 다이오드 D70의 애노드 단자는 제2 신호 라인 OUTB에 접속된다.
전술한 다이오드 D70의 순방향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L70은 부하(20)에 대하여, 스위치 SW5를 통하여 전하를 방출시키는 방전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코일 회로 C의 구성은, 전술한 것 뿐만 아니라 적어도 코일 L70을 포함하는 회로이며, 그 코일 L70은 부하(20)와 L-C 공진함으로써 부하(20)에 전하를 방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로이면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부하(20)의 주사 전극 Y측에도 마찬가지의 회로가 접속된다. 또한, 도 24에 도시한 스위치 SW1~SW5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구동 제어 회로(5)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셀 중의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가 방전하는 기간인 유지 방전 기간에 유지 방전을 한다.
이어서, 도 24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25에 있어서, 제1 신호 라인 OUTA와, 제2 신호 라인 OUTB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들의 전압 파형의 세로축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값과 일치하고 있고,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 파형은 조금 올리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 파형은 조금 내려 표시하고 있다.
우선, 제1 신호 라인 OUTA가 접지 레벨,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가 -Vs/2이고 스위치 SW1, SW3, SW4가 오프되고, 스위치 SW2, SW5가 온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스위치 SW4가 온되고, 스위치 SW5가 오프된다(t81). 이에 따라, 스위치 SW2, SW4를 통하여 출력 라인 OUTC와 접지가 접속되기 때문에,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까지 상승한다.
이어서, 시각 t82에 있어서, 스위치 SW2가 오프되고, 시각 t83에 있어서, 스위치 SW1, SW3이 온되면, 제1 신호 라인 OUTA는 접지 레벨로부터 Vs/2까지 상승하고, 제2 신호 라인 OUTB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까지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제1 신호 라인 OUTA가 출력 라인 OUTC에 접속되기 때문에,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이 접지 레벨로부터 Vs/2로 상승한다.
이어서, 시각 t84에 있어서, 스위치 SW1, SW3, SW4를 오프한다. 이어서, 시각 t85에 있어서, 스위치 SW5를 온 상태한다. 이에 따라, 부하(20)에 축적되어 있는 전압 Vs/2가 스위치 SW5를 통하여 제2 신호 라인 OUTB에 공급되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은 순간적으로 Vs/2로 된다. 이에 따라,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은 순간적으로 Vs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시각 t85의 직후부터 코일 L70과 부하(20)의 용량과의 사이에서 스위치 SW5를 통하여 L-C 공진이 행하여진다. 이에 따라, 코일 회로 C의 다이오드 D70 및 코일 L70 및 스위치 SW5를 통하여 부하(20)가 접지로 전하를 방전하기 때문에,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의 전위를 거쳐 -Vs/2를 향하여 하강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서,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25의 시각 t85 내지 t8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하강하여 간다.
이어서, 이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2를 온함으로써,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을 -Vs/2로 클램프한다(t86). 이상에 나타낸 동작에 의해, 도 24에 도시한 구동 회로는, 유지 방전 기간 동안, 공통 전극 X에 Vs/2 ~ Vs/2까지 변화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전술한 공통 전극 X에 공급하는 전압과 극성이 다른 전압(+Vs/2, -Vs/2)을 각 표시 라인의 주사 전극 Y에 교대로 인가한다. 이상에 의해, 교류 구동형 PDP 장치는 유지 방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4의 파형을, 종래의 파형도인 도 19와 비교하면, 도 19에 있는 접지 레벨의 기간 T가 있지만, 도 24의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에는 없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동일한 주기로 서스테인 동작을 하는 경우에, 종래에 비하여 유지 방전 펄스의 톱 폭 및 보텀 폭인 전압 Vs/2 또는 전압 -Vs/2를 유지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이어서, 도 10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인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도 10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에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인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 도 26에 도시하는 제8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도 10에 도시한 구동 회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15에 전체 구성 및 도 16A 내지 도 16C에 셀 구성을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표시 장치)(1)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도 26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6에 있어서도, 도 10과 마찬가지로 X측 회로의 개략 구성만 도시하고, Y측 회로는 마찬가지의 구성 및 동작이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또한, 도 26에 도시하는 제8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에서, 도 10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와 다른 것은, 코일 회로 C의 내부 구성이다. 따라서, 도 26에 도시한 구동 회로에서 코일 회로 C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회로 C는 다이오드 D80과 코일 L80과 스위치 SW9를 구비한다. 다이오드 D80의 애노드 단자는 코일 L80 및 스위치 SW9를 통하여 접지에 접속된다. 또한, 다이오드 D80의 캐소드 단자는 콘덴서 C1과 스위치 SW3의 상호 접속점에 접속된다. 즉, 다이오드 D80의 캐소드 단자는 제2 신호 라인 OUTB에 접속된다.
전술한 다이오드 D80의 순방향이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L80은 부하(20)에 대하여, 스위치 SW5를 통하여 전하를 충전시키는 충전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코일 회로 C의 구성은, 전술한 것 뿐만 아니라 적어도 코일 L80을 포함하는 회로이며, 그 코일 L80은 부하(20)와 L-C 공진함으로써 부하(20)에 전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로이면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부하(20)의 주사 전극 Y측에도 동일한 회로가 접속된다. 또한, 도 26에 도시한 스위치 SW1~SW5 및 스위치 SW9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구동 제어 회로(5)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셀 중의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가 방전하는 기간인 유지 방전 기간에 유지 방전을 한다.
이어서, 도 26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27에 있어서, 제1 신호 라인 OUTA와 제2 신호 라인 OUTB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들의 전압 파형의 세로축은 출력 라인 OUTC의 전압값과 일치하고 있고,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출력 라인 OUTC의 전압 파형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압 파형은 조금 올리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 파형은 조금 내려 표시하고 있다.
우선, 제1 신호 라인 OUTA가 접지 레벨,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가 -Vs/2이고 스위치 SW1, SW3, SW4, SW9가 오프되고 스위치 SW2, SW5가 온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스위치 SW2가 오프되고, 스위치 SW9가 온된다(t91). 이에 따라, 콘덴서 C1의 스위치 SW3측의 단자가 접지 레벨로 변화하기 시작한다. 즉, 코일 L80과 부하(20)의 용량과의 사이에서 스위치 SW5를 통하여 L-C 공진이 이루어짐으로써, 접지로부터 코일 L80 및 다이오드 D80 및 스위치 SW5를 통하여 부하(20)에 전하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2 신호 라인 OUTB 및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의 전위를 거쳐 +Vs/2를 향하여 상승한다. 이러한 전류의 흐름에 따라서, 공통 전극 X에 인가되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은 도 27의 시각 t91 내지 t9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상승하여 간다.
이어서, 시각 t92에 있어서, 이 L-C 공진시에 발생하는 피크 전압에 도달하기 전에 스위치 SW5, SW9를 오프하고, 스위치 SW1, SW3, SW4를 온함으로써, 제1 신호 라인 OUTA가 Vs/2로 변화하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압이 접지 레벨로 변화한다. 또한, 제1 신호 라인 OUTA의 변화에 따라 출력 라인 OUTC의 전압도 Vs/2로 변화한다. 즉, 제1 신호 라인 OUTA가 Vs/2로 클램프됨으로써 출력 라인 OUTC의 전압도 Vs/2로 클램프된다.
이어서, 시각 t93에 있어서, 스위치 SW4를 오프하고, 스위치 SW5를 온한다. 이에 따라, 스위치 SW3, SW5를 통하여 부하(20)로부터 접지로 전하를 방전하므로,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Vs/2로부터 접지 레벨까지 하강한다.
이어서, 시각 t94에 있어서, 스위치 SW1, SW3을 오프하고, 스위치 SW2를 온함으로써, 제1 신호 라인 OUTA의 전위가 시각 t95까지 접지 레벨로 변화하고, 제2 신호 라인 OUTB의 전위가 시각 t95까지 -Vs/2로 된다. 이에 따라, 출력 라인 OUTC의 전위는 제2 신호 라인 OUTB와 동일한 -Vs/2까지 하강한다.
이상에 나타낸 동작에 의해, 도 26에 도시한 구동 회로는, 유지 방전 기간 동안, 공통 전극 X에 -Vs/2 ~ Vs/2까지 변화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또, 전술한 공통 전극 X에 공급하는 전압과 극성이 다른 전압(+Vs/2, -Vs/2)을 각 표시 라인의 주사 전극 Y에 교대로 인가한다. 이상에 의해, 교류 구동형 PDP 장치는 유지 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파형도인 도 19와 비교하면, 도 19에 있는 접지 레벨의 기간 T가, 도 27의 출력 라인 OUTC의 상승 부분의 전압 파형에는 없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동일한 주기로 서스테인 동작을 하는 경우에, 종래에 비하여 유지 방전 펄스의 톱 폭인 전압 Vs/2를 유지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이어서,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 도 28에 도시하는 구동 회로는, 도 2에 도시한 구동 회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15에 전체 구성 및 도 16A 내지 도 16C에 셀 구성을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표시 장치)(1)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8에 있어서도, 도 2와 마찬가지로 X측 회로의 개략 구성만 도시하고, Y측 회로는 마찬가지의 구성 및 동작이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또한, 도 28에 도시하는 구동 회로에서,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와 다른 것은, 코일 LA가 코일 LA1에, 코일 LB가 코일 LB1로 변경된 점 뿐이다. 이것은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에서는 코일 LA와 코일 LB가 동일한 인덕턴스값이었지만, 도 28에 도시하는 구동 회로에서는 코일 LA1과 코일 LB1과의 사이에서 인덕턴스값은 LA1>LB1 또는 LA1<LB1의 관계이다. 따라서, 도 28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도 28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코일 LA1과 코일 LB1의 인덕턴스값의 관계가 LA1>LB1인 경우의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코일 LA1과 코일 LB1의 인덕턴스값의 관계가 LA1>LB1인 경우의 도 28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29에 도시하는 시각 t101 ~ t105의 동작의 개략은, 도 3에 도시한 시각 t11 내지 t15의 동작의 개략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9에 있어서, 도 3의 동작과 비교하여 다른 점은, t101으로부터 t102까지의 기간이 긴 점과, L-C 공진에 의해 도달하는 최대의 전압값이 크다고 하는 점이다. 즉, 제1 신호 라인 OUTA에 연결되는 코일 LA1의 인덕턴스값이 크기 때문에, L-C 공진의 상승 시간이 걸리지만, 상승시의 최대 전압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스위치 SW1가 온됨으로써, 제1 신호 라인 OUTA 및 출력 신호 라인 OUTC을 Vs/2로 클램프할 때에 필요한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이어서, 코일 LA1과 코일 LB1의 인덕턴스값의 관계가 LA1<LB1인 경우의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코일 LA1과 코일 LB1의 인덕턴스값의 관계가 LA1<LB1인 경우의 도 28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0에 도시하는 시각 t111 ~ t115의 동작의 개략은, 도 3에 도시한 시각 t11 ~ t15의 동작의 개략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30에 있어서, 도 3의 동작과 비교하여 다른 점은, t114으로부터 t115까지의 기간이 긴 점과, 그 기간에 있어서의 L-C 공진에 의해 도달하는 최대의 전압값이 크다고 하는 점이다. 즉, 제2 신호 라인 OUTB에 연결되는 코일 LB1의 인덕턴스값이 크므로, L-C 공진의 하강 시간은 길어지지만, L-C 공진에 의한 하강시의 전압 변동 폭이 커진다. 이에 따라, 유지 방전 기간에 있어서의 방전시에는 출력 라인 OUTC의 전압의 하강의 속도보다도 L-C 공진을 이용한 전압 변동 폭을 크게함으로써, -Vs/2로 클램프 처리할 때의 소비 전력의 저감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4에 나타낸 도 2의 구동 회로의 구체적인 회로예(주사 전극 Y측 포함)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면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도 4에 나타낸 도 2의 구동 회로의 구체적인 회로예(주사 전극 Y측 포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회로예와 다른 점은, X측 회로에서 다이오드 D3을 추가하여 다이오드 D2의 캐소드 단자의 접속처를 변경한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코일 LA와 다이오드 DA의 상호 접속점과 다이오드 D3의 캐소드 단자를 접속하고, 스위치 SW2를 구성하는 p형 MOSFET의 드레인 단자와 다이오드 D3의 애노드 단자를 접속하고, 다이오드 D2의 애노드 단자를 스위치 SW3의 n형 MOSFET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한다. 또한, Y측 회로에서는, 다이오드 D3'를 X측 회로와 마찬가지로 추가할 뿐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1 신호 라인 OUTA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억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1에 나타낸 도 2의 구동 회로의 구체적인 회로예의 변형예와 일부 구성이 상이한 다른 변형에 대하여 도면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도 4에 나타낸 도 2의 구동 회로의 구체적인 회로예(주사 전극 Y측 포함)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에 있어서, 도 31과 다른 점은, 도 31의 스위치 SW2, SW2' 및 스위치 SW3, SW3'가, 도 32에 있어서는 구성이 서로 다른 스위치 SW2a, SW2'a 및 스위치 SW3a, SW3'a로 되어 있는 점이다. 이하, 도 31과 구성이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스위치 SW2a, SW2'a 및 스위치 SW3a, SW3'a는 p형 MOSFET과 n형 MOSFET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SW2a는 제1 신호 라인 OUTA와 접지의 사이에, n형 MOSFET과 p형 MOSFET을 직렬(p형 MOSFET가 접지측)로 접속한 구성이며, n형 MOSFET와 p형 MOSFET의 상호 접속점에 다이오드 D3의 애노드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스위치 SW2'a는 제3 신호 라인 OUTA'와 접지의 사이에 n형 MOSFET과 p형 MOSFET을 직렬(p형 MOSFET가 접지측)로 접속한 구성이며, n형 MOSFET과 p형 MOSFET의 상호 접속점에 다이오드 D3'의 애노드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SW3a는, 제2 신호 라인 OUTB와 접지의 사이에, p형 MOSFET와 n형 MOSFET를 직렬(n형 MOSFET가 접지측)로 접속한 구성이며, p형 MOSFET와 n형 MOSFET의 상호 접속점에 다이오드 D2의 캐소드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SW3'a는, 제4 신호 라인 OUTB'와 접지의 사이에, p형 MOSFET와 n형 MOSFET를 직렬(n형 MOSFET가 접지측)로 접속한 구성이며, p형 MOSFET와 n형 MOSFET의 상호 접속점에 다이오드 D2'의 캐소드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이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2의 회로 구성에서는 도 31의 회로 구성에 비하여 다이오드의 사용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2에 도시한 스위치 SW2a, SW2'a 및 스위치 SW3a, SW3'a의 변형예로서, 예를 들면 n형 MOSFET을 2개 이용한 회로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n형 MOSFET의 소스 단자끼리 접속하여, 한쪽 n형 MOSFET의 드레인 단자를 전술한 제1 ~ 제4 신호 라인에 접속하고, 다른쪽 n형 MOSFET의 드레인 단자를 접지에 접속하는 구성이다. 스위치 SW2a, SW2'a 및 스위치 SW3a, SW3'a가 변형예와 같은 회로 구성이더라도 도 32의 회로 구성과 마찬가지의 기능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도 31에 도시한 구체적인 구동 회로에서 스위치 SW4' 및 스위치 SW5'와 부하(20)의 보다 상세한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3은 도 31에 도시한 구체적인 구동 회로에서 스위치 SW4' 및 스위치 SW5'와 부하(20)의 보다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Y측 회로에서는, 복수의 셀(부하(20))에 대하여 각각 스위치 SW4'a와 스위치 SW5'a, 스위치 SW4'b와 스위치 SW5'b, 스위치 SW4'c와 스위치 SW5'c, …와 같이, 스위치 SW4'x와 스위치 SW5'x(x: a, b, c, …로 함)를 쌍으로 하여 설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셀이란 도 15에 도시한 각 화소를 나타낸다.
또한, 도 31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히, 1개의 서브 필드에 있어서의 어드레스 기간과, 유지 방전 기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어드레스 기간에 있어서는, 어떤 표시 라인에 상당하는 주사 전극 Y에 전압을 인가할 때는, 선순차적으로 선택된 주사 전극 Y에서 스위치 SW4' 및 스위치 SW5'를 제어함으로써 (-Vs/2) 레벨, 비선택의 주사 전극 Y에는 예를 들면 접지 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스위치 SW1'가 온됨으로써, 콘덴서 C4에 Vs/2가 축적된다. 이어서, 스위치 SW1'를 오프하고 스위치 SW2'를 온함으로써, 콘덴서 C4의 상부가 접지 레벨로, 콘덴서 C4의 하부가 -Vs/2의 전위로 된다. 이어서, 스위치 SW5'를 온함으로써, 주사 전극 Y에 -Vs/2를 공급한다. 또한, 주사 전극 Y를 접지 레벨로 하기 위해서는, 스위치 SW4'와 스위치 SW2'를 동시에 온하면 된다.
그 후, 유지 방전 기간이 되면, 모든 스위치 SW4' 및 스위치 SW5'를 제어함으로써 모든 주사 전극 Y에 전압(-Vs/2, Vs/2)을 교대로 인가하여 유지 방전을 한다. 또한, 일부의 스위치 SW4' 및 스위치 SW5'를 제어함으로써, 일부의 주사 전극 Y에 전압(-Vs/2, Vs/2)을 교대로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드레스 기간에 주사 전극 Y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와, 유지 방전 기간에 주사 전극 Y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는, 공통의 스위치 SW4' 및 스위치 SW5'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는, 별개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각 셀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공통화함으로써, 스위치의 수를 줄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어서, 도 33에 도시한 구체적인 구동 회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한 구체적인 회로의 변형예이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Y측 회로 뿐만 아니라 X측 회로에 대해서도 각 셀(부하(20))에 대하여 스위치 SW4x 및 스위치 SW5x(x: a, b, c, …로 함)를 쌍으로 하여 설치해도 된다. 이 도 33에 도시하는 구성에 의해, 종래와 같이 X측의 전극이 공통 전극이었던 경우에 비하여, X 전극과 Y 전극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복잡한 제어에도 대응할 수가 있다.
(제9 실시 형태)
이어서, 도 4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구동 회로의 변형예인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5는 도 4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인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 도 35에 도시하는 제9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는, 도 4에 도시한 구동 회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15에 전체 구성 및 도 16A 내지 도 16C에 셀 구성을 도시한 교류 구동형 PDP 장치(표시 장치)(1)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도 35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35에 도시하는 제9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에서, 도 4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와 다른 것은, X측 회로가 없는 점과, SW1'에 전압 Vs가 인가되어 있는 점이다. 따라서, 도 35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도 35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6은 도 35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6는, 1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필드 중의 1 서브 필드분에 있어서의, X 전극, Y 전극,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의 파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1개의 서브 필드는,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체면 기입 기간 및 전체면 소거 기간으로 이루어지는 리셋 기간과, 어드레스 기간과, 유지 방전 기간으로 구분된다.
도 35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전극은 접지 레벨로 고정되어 있다. 리셋 기간에 있어서는, 우선, 주사 전극 Y에 인가하는 전압은 전압 Vw와 전압 Vs를 가산한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전압 Vs+Vw는 시간 경과와 함께 서서히 상승하여 간다. 이에 따라,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와의 전위차가 Vs+Vw로 되어, 이전의 표시 상태와 상관없이, 전체 표시 라인의 전체 셀에서 방전이 이루어져 벽전하가 형성된다(전체면 기입).
이어서, 주사 전극 Y의 전압을 접지 레벨로 복귀시킨 후, 주사 전극 Y에 대한 인가 전압이 -Vs로 떨어진다. 이에 따라, 전체 셀에서 벽전하 자신의 전압이 방전 개시 전압을 넘어서 방전이 개시된다. 이 때, 축적되어 있던 벽전하가 소거된다(전체면 소거).
이어서, 어드레스 기간에 있어서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 각 셀의 온/오프를 하기 위해서 선순차로 어드레스 방전이 행하여진다. 이 때, 어떤 표시 라인에 상당하는 주사 전극 Y에 전압을 인가할 때는, 선순차에 의해 선택된 주사 전극 Y에는 -Vs 레벨, 비선택의 주사 전극 Y에는 접지 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각 어드레스 전극 A1 ~ Am 중의 유지 방전을 일으키는 셀, 즉 점등시키는 셀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전극 Aj에는 전압 Va의 어드레스 펄스가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그 후, 유지 방전 기간이 되면, 주사 전극 Y의 전압은 -Vs까지 낮아진 후에 서서히 상승하여 간다. 이 때, 그 일부의 전하를 코일 LA'에 의해 구성되는 전력 회수 회로로부터 방전한다. 그리고, 접지 레벨을 통과하여, 그 상승 피크에 도달하기 전에 주사 전극 Y의 전압을 Vs로 클램프한다.
또한, 주사 전극 Y의 인가 전압을 전압 Vs로부터 -Vs로 할 때에는 인가 전압을 서서히 하강시킴과 함께, 셀에 축적되어 있던 전하의 일부를 전력 회수 회로에 회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유지 방전 기간에는 주사 전극 Y에 전압 (+Vs, -Vs)를 교대로 인가하여 유지 방전을 하여 1 서브 필드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어서, 도 35에 도시한 제9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에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어서, 도 35에 도시한 제9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7은 도 35에 도시한 제9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에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에 있어서, 도 35에 도시한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와 다른 부분은 X선 회로로서 스위치 SWa와 스위치 SWb를 갖는 점이다. 따라서, 도 37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X측 회로의 구성은 스위치 SWa와 SWb가 전압 Vx를 공급하는 전원과 접지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SWa와 SWb의 상호 접속점이 출력 라인 OUTC를 통하여 부하(20)의 X 전극에 접속된다.
이어서, 도 37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한 구동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8은, 도 36과 마찬가지로, 1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필드 중의 1 서브 필드분에 있어서의, X 전극, Y 전극, 어드레스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의 파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8에 있어서, 도 36과 다른 부분은 리셋 기간 및 어드레스 기간에 있어서의 X 전극에의 전압 Vx의 인가 파형이며, 이하, 이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셋 기간에 있어서는, 우선, 공통 전극 X는 접지 레벨이며, 주사 전극 Y에 인가하는 전압은, 전압 Vw와 전압 Vs를 가산한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전압 Vs+Vw은 시간 경과와 함께 서서히 상승하여 간다. 이에 따라, 공통 전극 X와 주사 전극 Y와의 전위차가 Vs+Vw로 되어, 이전의 표시 상태와 상관없이, 전체 표시 라인의 전체 셀에서 방전이 이루어져 벽전하가 형성된다(전체면 기입).
이어서, 주사 전극 Y의 전압을 접지 레벨로 복귀시킨 후, 공통 전극 X에 전압 Vx가 인가되고, 주사 전극 Y에 대한 인가 전압이 -Vs로 떨어진다. 이에 따라, 전체 셀에서 벽전하 자신의 전압이 방전 개시 전압을 넘어서 방전이 개시된다. 이 때, 축적되어 있던 벽전하가 소거된다(전체면 소거).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압 Vx는 플러스 방향의 전압이었다면, 전체면 소거에 적절한 전압이면, 마이너스 방향의 전압이더라도 상관없다.
이어서, 어드레스 기간에 있어서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 각 셀의 온/오프를 하기 위해서 선순차로 어드레스 방전이 행하여진다. 이 때, 어떤 표시 라인에 상당하는 주사 전극 Y에 전압을 인가할 때는, 선순차에 의해 선택된 주사 전극 Y에는 -Vs 레벨, 비선택의 주사 전극 Y에는 접지 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또, 공통 전극 X에는 전압 Vx가 인가된다. 이 경우도 전압 Vx의 값은 유지 방전을 일으키는 데 적절한 전압이면 된다.
그 후, 유지 방전 기간의 동작은, 도 36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여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등도 포함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회로에서는, 표시 수단으로 되는 용량성 부하에 대하여 소정 전압을 인가하는 매트릭스형 평면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로서, 용량성 부하의 일단에 제1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신호 라인과, 용량성 부하의 일단에 제1 전위와 상이한 제2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신호 라인과, 제1 신호 라인 및 제2 신호 라인중 적어도 한쪽과 접지와의 사이에 접속된 코일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일 회로는, 예를 들면 코일과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회로이며, 그 코일은 용량성 부하와 스위치를 통하여 L-C 공진을 행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코일 회로와 용량성 부하의 L-C 공진에 의한 용량성 부하에 전하를 공급하는 충전 기능 및 용량성 부하에 전하를 방출시키는 방전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이들 충전 기능 및 방전 기능에 의해, 전력 회수 동작의 기능을 실현한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구동 회로에서는, 전력 회수 전용의 콘덴서가 필요없기 때문에, 그 콘덴서에 부속하는 회로(전압 감시 회로 등)도 필요없게 되어, 회로 규모를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량성 부하와 코일의 공진을 이용하여, 용량성 부하에 출력 소자가 인가하는 전압의 변화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소자의 출력 전위를 전환하는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 방전 기간에 있어서, 벽전하가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유지 시간을 확보하여, 본 실시 형태의 구동 회로가 유지 방전을 보다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어 동작 마진의 확대 및 패널 P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 등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4)

  1. 표시 수단으로 되는 용량성 부하에 대하여 소정 전압을 인가하는 매트릭스형 평면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로서,
    상기 용량성 부하의 일단에 제1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용량성 부하의 일단에 상기 제1의 전위와 상이한 제2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신호 라인과,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제2 신호 라인중 적어도 한쪽과 제3 전위를 공급하는 공급 라인과의 사이에 접속된 코일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에 상기 제3 전위를 공급한 후에, 상기 제1 신호 라인으로부터 상기 제1 전위를 공급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상기 제3 전위를 공급한 후에, 상기 제2 신호 라인으로부터 상기 제2 전위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위는 접지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부하의 일단과 상기 제1 신호 라인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용량성 부하의 일단과 상기 제2 신호 라인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코일 회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스위치 또는 상기 제2 스위치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회로는 코일과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회로는 코일과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회로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회로는 코일과 다이오드와 스위치를 직렬 접속한 상태로 포함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신호 라인 또는 제2 신호 라인과 다이오드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신호 라인 또는 제2 신호 라인과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접지와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회로는, 상기 제2 신호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을 통하여 상기 용량성 부하에 대하여 전하를 공급하는 충전 회로와, 상기 제2 신호 라인을 통하여 상기 용량성 부하에 대하여 전하를 방전시키는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회로는, 상기 제2 신호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을 통하여 상기 용량성 부하에 대하여 전하를 공급하는 충전 회로와,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을 통하여 상기 용량성 부하에 대하여 전하를 방전시키는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회로는,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을 통하여 상기 용량성 부하에 대하여 전하를 공급하는 충전 회로와, 상기 제2 신호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을 통하여 상기 용량성 부하에 대하여 전하를 방전시키는 방전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14. 표시 수단으로 되는 용량성 부하에 대하여 소정 전압을 인가하는 매트릭스형 평면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로서,
    제1 전위 및 제2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원과, 제3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전원과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1, 제2 스위치와,
    상기 제1, 제2 스위치의 중간에 한쪽 단자가 접속된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의 다른쪽 단자와 상기 제2 전원과의 사이에 접속된 제3 스위치와,
    상기 콘덴서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콘덴서의 다른쪽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전위와 상이한 상기 제2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신호 라인과,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제2 신호 라인중 적어도 한쪽과, 상기 제2 전원과의 사이에 접속된 코일 회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15. 표시 수단으로 되는 용량성 부하에 대하여 소정 전압을 인가하는 매트릭스형 평면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를 이용한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구동 회로가,
    상기 용량성 부하의 일단에 제1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용량성 부하의 일단에 상기 제1 전위와 상이한 제2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신호 라인과,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제2 신호 라인중 적어도 한쪽과 접속된 코일을 구비하는 코일 회로와,
    상기 용량성 부하의 일단과 상기 제1 신호 라인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용량성 부하의 일단과 상기 제2 신호 라인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와,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상기 제1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원선과, 상기 제1 신호 라인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위치를 온하여 상기 코일과 상기 용량성 부하가 공진된 후에, 상기 제3 스위치를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16. 표시 수단으로 되는 용량성 부하에 대하여 소정 전압을 인가하는 매트릭스형 평면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를 이용한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구동 회로가,
    상기 용량성 부하의 일단에 제1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용량성 부하의 일단에 상기 제1 전위와 상이한 제2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신호 라인과,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제2 신호 라인중 적어도 한쪽과 접속된 코일을 구비하는 코일 회로와,
    상기 용량성 부하의 일단과 상기 제1 신호 라인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용량성 부하의 일단과 상기 제2 신호 라인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와,
    상기 제2 신호 라인에 상기 제2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전원선과, 상기 제2 신호 라인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스위치를 온하여 상기 코일과 상기 용량성 부하가 공진된 후에, 상기 제3 스위치를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접속되는 상기 코일 회로를 제1 코일 회로로 하고, 상기 제2 신호 라인에 접속되는 상기 코일 회로를 제2 코일 회로로 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코일 회로의 코일과 상기 제2 코일 회로의 코일에서 인덕턴스값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18. 표시 수단으로 되는 용량성 부하에 대하여 소정 전압을 인가하는 매트릭스형 평면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로서,
    상기 용량성 부하의 일단에 제1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신호 라인과,
    상기 용량성 부하의 일단에 상기 제1 전위와 상이한 제2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신호 라인과,
    상기 제1 신호 라인 및 제2 신호 라인중 적어도 한쪽과 접속된 코일을 구비하는 코일 회로와,
    상기 용량성 부하의 일단과 상기 제1 신호 라인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용량성 부하의 일단과 상기 제2 신호 라인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와,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상기 제1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원선과, 상기 제1 신호 라인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부하가 상기 표시 수단의 화소에 따라 복수개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를 1조로 하여 상기 용량성 부하의 한쪽 전극마다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각 제1 스위치는 공통의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접속되고, 각 제2 스위치는 공통의 상기 제2 신호 라인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부하의 다른쪽 전극에 상기 제1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3 신호 라인과,
    상기 용량성 부하의 상기 다른쪽 전극에 상기 제2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4 신호 라인과,
    상기 제3 신호 라인 및 제4 신호 라인중 적어도 한쪽과 접속된 코일을 구비하는 코일 회로와,
    상기 용량성 부하의 상기 다른쪽 전극과 상기 제3 신호 라인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4 스위치와,
    상기 용량성 부하의 상기 다른쪽 전극과 상기 제4 신호 라인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제5 스위치와,
    상기 제4 스위치와 상기 제5 스위치를 1조로 하여 상기 용량성 부하의 상기다른쪽 전극마다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각 제4 스위치는 공통의 상기 제3 신호 라인과 접속되고, 각 제5 스위치는 공통의 상기 제4 신호 라인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를 선택 방전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에 상기 한쪽 전극에 상기 선택 방전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이용하여 인가하고, 상기 어드레스 기간에 선택한 화소에서 유지 방전을 행하는 유지 방전 기간에 상기 한쪽 전극에 상기 유지 방전에 필요한 전압을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이용하여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를 선택 방전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에는,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1조로 하여 상기 한쪽 전극마다 순차적으로 선택 제어하고, 상기 어드레스 기간에 선택한 화소에서 유지 방전을 행하는 유지 방전 기간에는 모두 또는 일부의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를 소정 기간 중복하여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부하의 다른 일단에는 접지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부하의 다른 일단에는 접지 또는 정전압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회로.
KR1020057005697A 2002-10-02 2003-09-09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KR100625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90535 2002-10-02
JPJP-P-2002-00290535 2002-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068A true KR20050055068A (ko) 2005-06-10
KR100625707B1 KR100625707B1 (ko) 2006-09-20

Family

ID=32063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697A KR100625707B1 (ko) 2002-10-02 2003-09-09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168410A1 (ko)
EP (1) EP1548694A4 (ko)
KR (1) KR100625707B1 (ko)
CN (1) CN1689061A (ko)
AU (1) AU2003262013A1 (ko)
TW (1) TWI278807B (ko)
WO (1) WO20040321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795B1 (ko) * 2006-05-23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 유지 구동 방법 및 구동장치
KR100764662B1 (ko) * 2005-08-25 2007-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333B1 (ko) * 2003-10-31 2006-08-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와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및구동 방법
KR100578965B1 (ko) 2004-01-29 2006-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560517B1 (ko) * 2004-04-16 2006-03-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의 구동 방법
JP2005309397A (ja) 2004-04-16 2005-11-04 Samsung Sdi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705290B1 (ko) 2004-05-19 200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JP2005338784A (ja) * 2004-05-28 2005-12-08 Samsung Sdi Co Ltd プラズマ表示装置とプラズマ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578975B1 (ko) * 2004-05-28 2006-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와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571212B1 (ko) * 2004-09-10 2006-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627412B1 (ko) * 2005-01-19 2006-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590016B1 (ko) * 2005-01-25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6234984A (ja) * 2005-02-22 2006-09-07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駆動回路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235106A (ja) * 2005-02-23 2006-09-07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538354B2 (ja) * 2005-03-25 2010-09-08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70046584A1 (en) * 2005-08-25 2007-03-01 Jung Hai 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KR100774915B1 (ko) 2005-12-12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74906B1 (ko) 2006-01-21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WO2008029483A1 (ja) * 2006-09-04 2010-01-21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145881A (ja) * 2006-12-12 2008-06-26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電源モジュール
JP4946605B2 (ja) * 2007-04-26 2012-06-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CN101626647B (zh) * 2008-07-11 2012-11-28 立景光电股份有限公司 高功率消耗效能的发光二极管驱动系统及方法
KR101125644B1 (ko) * 2010-08-09 2012-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장치
US8786592B2 (en) 2011-10-13 2014-07-2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ergy recovery in a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9190A (en) * 1966-01-18 1971-01-26 Univ Illinois Gaseous display and memory apparatus
US3626244A (en) * 1969-12-29 1971-12-07 Burroughs Corp Sustaining signals of spaced-apart positive and negative pulses for maintaining the glow in matrix gas display devices
US3780339A (en) * 1971-05-03 1973-12-18 Computer Power Systems Inc High speed switching circuit for driving a capacitive load
US4070663A (en) * 1975-07-07 1978-01-24 Sharp Kabushiki Kaisha Control system for driving a capacitive display unit such as an EL display panel
US4707692A (en) * 1984-11-30 1987-11-17 Hewlett-Packard Company Electroluminescent display drive system
US5081400A (en) * 1986-09-25 1992-01-1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Power efficient sustain drivers and address drivers for plasma panel
US4866349A (en) * 1986-09-25 1989-09-1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Power efficient sustain drivers and address drivers for plasma panel
DE4321945A1 (de) * 1993-07-02 1995-01-12 Thomson Brandt Gmbh Wechselspannungsgenerator zur Steuerung eines Plasma-Wiedergabeschirms
JP3364066B2 (ja) * 1995-10-02 2003-01-08 富士通株式会社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
JP3672669B2 (ja) * 1996-05-31 2005-07-20 富士通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の駆動装置
JPH1115426A (ja) * 1997-06-24 1999-01-22 Victor Co Of Japan Ltd 容量負荷駆動回路
JP3582964B2 (ja) * 1997-08-29 2004-10-2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装置
JP3036496B2 (ja) * 1997-11-28 2000-04-24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回路なら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表示装置
JP3201603B1 (ja) * 1999-06-30 2001-08-27 富士通株式会社 駆動装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回路
JP3665956B2 (ja) * 2000-03-23 2005-06-29 パイオニア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回路
JP2002215087A (ja) * 2001-01-19 2002-07-31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2215089A (ja) * 2001-01-19 2002-07-31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平面表示装置の駆動装置および駆動方法
US6963174B2 (en) * 2001-08-06 2005-11-08 Samsung Sdi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JP2005181890A (ja) * 2003-12-22 2005-07-07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駆動回路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662B1 (ko) * 2005-08-25 2007-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762795B1 (ko) * 2006-05-23 2007-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 유지 구동 방법 및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8694A4 (en) 2008-03-05
CN1689061A (zh) 2005-10-26
WO2004032108A1 (ja) 2004-04-15
US20050168410A1 (en) 2005-08-04
TWI278807B (en) 2007-04-11
JPWO2004032108A1 (ja) 2006-02-02
KR100625707B1 (ko) 2006-09-20
JP4208837B2 (ja) 2009-01-14
AU2003262013A1 (en) 2004-04-23
TW200406727A (en) 2004-05-01
EP1548694A1 (en)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5707B1 (ko)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US70060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scan electrodes of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
US74830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US7242373B2 (en) Circuit for driving flat display device
US719358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US69610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US20020097003A1 (en)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device
US72275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US7009588B2 (en)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US20060044222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60181489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67276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s
KR100611287B1 (ko)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KR100428617B1 (ko) 구동 스위치 수를 줄인 교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스캔 전극 구동 장치
US8325110B2 (en) Power supply and driver for plasma display panel
KR100453892B1 (ko) 스캔 전압 생성회로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 회로
JP4208837B6 (ja) 駆動回路および駆動方法
KR100740112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장치와 구동 방법
JP2006234984A (ja) 駆動回路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90284520A1 (en) Plasma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760289B1 (ko) 에너지 회수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구동장치및 그 방법
KR100649193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67231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US20070120773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1004411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