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4691A -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691A
KR20050054691A KR20030088204A KR20030088204A KR20050054691A KR 20050054691 A KR20050054691 A KR 20050054691A KR 20030088204 A KR20030088204 A KR 20030088204A KR 20030088204 A KR20030088204 A KR 20030088204A KR 20050054691 A KR20050054691 A KR 20050054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elf
failure
service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8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9786B1 (ko
Inventor
유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8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786B1/ko
Publication of KR20050054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786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브루/자바 기능에 의한 자가진단 및 수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자가진단과 원격 수리와 사후서비스를 능동적 처리하는 것으로, 무선 다운로드되는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에 의하여 장애발생을 진단하고 결과를 지피에스 위치정보와 함께 업로드 하는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에 위도, 경도, 해발에 의한 위치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지피에스;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하여 진단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통신신호를 양방향으로 무선 송수신하는 기지국; 기지국과 접속하고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휴대단말기로 다운로드하고, 진단결과와 장애발생 정보를 업로드하며 시스템을 운용하는 이동교환국; 이동교환국과 다른 통신망과의 통신경로를 설정 접속하는 공중망; 공중망을 통하여 이동교환국에 웹접속하고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출력하며, 해당 진단결과와 장애발생 정보를 입력하여 처리하는 업체서버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가 운용되면 웹을 통하여 업체서버에 접속하고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접속과정; 상기 과정에서 다운로드된 자체진단 프로그램으로 휴대단말기의 장애상태를 자체진단하고 장애발생 상태가 확인되면 원격수리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진단과정;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원격수리 가능하면 원격수리하고 수리결과와 장애증상 정보를 업로드하는 보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OF AFTER SERVICING WITH ACTIVITY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A/S)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가진단과 수리 응용프로그램을 브루/자바(BREW/JAVA) 기능으로 다운로드하고, 능동적으로 자가진단하여 원격 수리하거나 서비스 센터에 방문하도록 안내하는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는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 안을 이동하면서 자체망 또는 공중통신망 등에 접속하고 선택한 불특정 다수와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직접 소지하고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접속하여 즉시 통신하는 장비이다.
상기와 같이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무선통신하는 장비는 휴대단말기(UE)를 포함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주로 하는 무선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이 있으며, 이하, 상기 무선단말기(PDA) 등을 포함하여 휴대단말기(UE)라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UE)로 웹(WEB SITE)과 접속하여 각종 운용 정보 또는 데이터를 다운로드(DOWN LOAD)와 업로드(UP LOAD) 하는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은, 일 예로, 브루(BREW: 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와 자바(JAVA) 등이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UE)는 많은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HARD WARE)와 소프트웨어(SOFT WARE)로 구성되고, 상기 많은 기능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능에 장애가 있으면, 다른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수리(REPAIR) 또는 사후서비스(A/S: AFTER SERVICE)를 받아야 되며, 일부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로 계속 사용하면 더 큰 장애로 발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브루/자바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에 자체 진단프로그램(SELF DIAGNOSTIC PROGRAM)을 다운로드하여 진단하도록 하고, 무선원격으로 수리 가능한 것은 무선원격수리하며, 서비스 센터에서 수리하여야 하는 것은 안내메시지 등을 통하여 수리 받도록 안내하므로, 휴대단말기의 신뢰성을 높이고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서비스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설명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서비스 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음성급 신호 또는 데이터급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을 설명하면, 휴대단말기(UE)(10)는 형성된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무선접속되어 음성급 또는 데이터급 신호로 통신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직접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지 않고, 기지국(BS: BASE STATION)(20)과 무선접속하여 상대방과의 호접속 요청을 하고, 상기 기지국(20)은 무선입력되는 호접속 요청신호를 이동교환국(30)에 전송하며, 상기 이동교환국(30)은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SWITCHING) 하므로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한다.
상기 이동교환국(30)이 분석한 호접속 요청신호가 이동교환국(30)에 의하여 감시 및 제어되는 자체망에 가입되지 않고 다른 통신망에 가입되었을 경우, 공중망(40)을 통하여 다른 통신망에 접속한 상대방과 접속한다.
상기 공중망(40)은 공중통신망(PSTN: 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공중데이터망(PSDN: PUBLIC SWITCHING DATA NETWORK), 인터넷(INTERNET) 등이 포함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이동하면서 정상적으로 음성급 또는 데이터급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운용하고(S10), 상기 휴대단말기(10)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운용할 수 없는 장애가 발생한 경우(S20), 해당 제조업체의 서비스 센터(SERVICE CENTER)를 방문하여 수리의뢰와 동시에 위탁한다(S30).
상기와 같이 수리 의뢰하여 위탁된 휴대단말기(10)의 수리가 완료된 경우(S40), 상기 서비스 센터를 다시 방문하여 회수하고, 정상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를 운용한다(S50).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휴대단말기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해당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여 수리의뢰를 하여야 하므로, 긴급한 통신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애의 상태가 작고 간단하게 수리할 수 있는 경우라도 장애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서는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여, 수리의뢰 접수하여야 하므로, 시간적 및 경제적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로 웹접속이 가능한 브루/자바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체진단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휴대단말기를 자체진단 및 간단하게 원격수리 가능한 것은 수리하며, 수리불가능 한 것은 지피에스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인접한 서비스 센터를 안내하므로 서비스 받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무선 다운로드되는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에 의하여 장애발생을 진단하고 결과를 지피에스 위치정보와 함께 업로드하는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에 위도, 경도, 해발에 의한 위치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지피에스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하여 진단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통신신호를 양방향으로 무선 송수신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접속하고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휴대단말기로 다운로드하고, 진단결과와 장애발생 정보를 업로드하며 시스템을 운용하는 이동교환국과; 상기 이동교환국과 다른 통신망과의 통신경로를 설정 접속하는 공중망과; 상기 공중망을 통하여 이동교환국에 웹접속하고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출력하며, 해당 진단결과와 장애발생 정보를 입력하여 처리하는 업체서버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운용되면 웹을 통하여 업체서버에 접속하고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접속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다운로드된 자체진단 프로그램으로 휴대단말기의 장애상태를 자체진단하고 장애발생 상태가 확인되면 원격수리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진단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원격수리 가능하면 원격수리하고 수리결과와 장애증상 정보를 업로드하는 보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를 설명하면, 무선 다운로드되는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에 의하여 장애발생 상태를 진단하고 결과를 지피에스 위치정보와 함께 업로드하는 것으로, 기지국(20)을 통하여 자체진단(SELF DIAGNOSTIC)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무선 다운로드(DOWN LOAD)하고 장애발생 상태를 자체진단하며, 진단결과 원격제어(REMOTE CONTROL)에 의하여 자체수리 가능한 장애상태이면 자체수리하고, 원격 자체수리가 안되면 진단결과의 장애증상 정보와 해당 처리결과 정보를 지피에스 위치정보와 함께 무선 업로드(UP LOAD) 하는 휴대단말기(100)와,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해발(SEA LEVEL)에 의한 위치정보 데이터를 인공위성으로부터 무선으로 제공하는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110)와,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무선접속하여 진단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통신신호를 양방향으로 무선 송수신하는 기지국(BS)(120)과,
상기 기지국(120)과 접속하고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휴대단말기로 다운로드하고, 진단결과와 장애발생 정보를 업로드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을 운용하는 것으로, 공중망(140)을 통하여 웹(WEB SITE) 접속된 업체서버(150)로부터 인가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다운로드 전송하며,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업로드되어 인가되는 원격수리 결과정보와 지피에스 위치정보와 장애증상 정보를 상기 업체서버(150)에 전송하는 동시에 이동통신 시스템 전체의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이동교환국(130)과,
상기 이동교환국(130)과 다른 통신망과의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접속하는 것으로 인터넷이 포함되는 공중망(140)과,
상기 공중망(140)을 통하여 이동교환국(130)에 웹(WEB SITE) 접속하고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출력하며, 해당 진단결과와 장애발생 정보를 입력하여 분석처리하는 것으로, 웹접속이 가능한 브루(BREW)와 자바(JAVA)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0)를 원격진단하고 수리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공중망(140)을 통하여 이동교환국(130)에 출력하며, 상기 이동교환국(130)으로부터 인가되는 휴대단말기(100)의 지피에스(GPS) 위치정보와 장애증상 정보와 수리결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 DATA BASE) 처리하고, 상기 이동교환국(130)으로부터 입력되고 데이터베이스 처리된 정보를 분석하여 원격수리가 불가능한 휴대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며, 인접한 서비스 센터에 장애발생 현황을 통보하며, 상기 휴대단말기(100)에는 장애발생 증상과 인접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여 사후서비스를 받도록 능동적으로 권고 안내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장애발생 안내 문자메시지와 함께 인접한 서비스 센터의 서비스 요원이 방문하고 장애 수리하는 사후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업체서버(15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기지국(12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든지 상대방을 호출하는 호접속 요청 신호를 상기 이동교환국(130)에 전송하고, 상기 이동교환국(130)의 분석 및 스위칭 처리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음성급 신호 또는 데이터급 신호로 통신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100)는 각각의 하드웨어 구성과 소프트웨어 구성이 일체로 결합되는 다양한 기능부가 상호작용에 의하여 동작하고, 각 기능부는 운용상태의 중요성에 의하여 장애가 발생하여도 이동통신에는 영향이 없거나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각 기능부에 장애(TROUBLE)가 발생하는 경우 확인하기 어려우며, 해당 기능부를 동작시켜 운용되지 않아야 비로소, 장애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고 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각 기능부는 다른 기능부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특정 기능부의 장애 발생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경우 다른 기능부에도 영향을 미쳐 장애 발생부위가 확산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각 기능부를 점검 또는 진단하여 장애발생을 사전에 확인하면 수리가 용이하고 비용과 시간 등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는 통신에 운용되는 시간이 작고, 대기하는 시간이 많으므로, 상기와 같이 대기시간에 자체진단 프로그램을 운용하여 장애발생을 진단 및 검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 예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운용되는 상태이면서 통신하지 않고 대기하는 경우에 기지국(120)과 이동교환국(130)과 공중망(140)을 통하여 상기 업체서버(150)에 접속하고, 브루 또는 자바 기능을 구비한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는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상기 업체서버(150)는 공중망(140)의 인터넷 등을 통하여 상기 이동교환국(130)에 접속하므로, 기지국(120)을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웹접속하고, 운용상태이면서 통신하지 않고 대기중인 경우에 브루 또는 자바 기능을 구비한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DOWNLOAD) 시킨다.
상기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운용하여 자체진단을 하고, 상기의 자체진단 결과를 기지국(120)에 무선전송하므로, 이동교환국(130)과 공중망(140)을 경유하여 상기 업체서버(150)에 전송된다.
상기 업체서버(150)는 진단결과를 분석하여 원격제어 등에 의하여 자체처리 할 수 있는 경미한 장애상태로 판단되면, 이미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으로 수리하거나 또는 새로운 수리 프로그램을 다시 다운로드하여 수리한다.
상기 업체서버(150)에서 진단결과를 분석하여 원격 자체 수리가 불가능한 것일 경우는,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지피에스(110)로부터 수신한 위도, 경도, 해발 등과 같은 상세한 위치정보와 함께 장애증상의 상태정보를 업로드하도록 제어하여 확보한다.
상기 업체서버(150)는 상기 확보한 지피에스(110) 위치정보를 분석하고 가장 인근에 있는 서비스 센터에 장애발생 상태정보를 통보하며, 상기 휴대단말기(100)에는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서비스 센터 방문 권고의 안내하거나,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장애발생 상태를 문자메시지로 통보하는 동시에 인근의 서비스 요원이 직접 방문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100)의 제품결함 또는 장애를 조기에 수리하여 서비스의 품질을 제고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게 되며,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용효율을 향상시킨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100)가 운용되면 웹(WEBSITE)을 통하여 업체서버(150)에 접속하고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DOWN LOAD)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100)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운용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휴대단말기(100)가 운용되면 업체서버(150)로부터 무선 웹(WEBSITE)을 통하여 접속되는 과정(S110); 상기 과정(S110)에서 웹(WEBSITE)에 접속된 업체서버(150)로부터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휴대단말기(100)에 다운로드하는 과정(S120)으로 이루어진 접속과정과,
상기 접속과정에서 다운로드된 자체진단 프로그램으로 휴대단말기(100)의 장애상태를 자체진단하고 장애발생 상태가 확인되면 원격수리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100)가 다운로드된 자체진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장애발생 상태를 자체 진단하는 과정(S130); 상기 과정(S130)에서 자체 진단하여 휴대단말기(100)에 장애(TROUBLE)가 발생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판단하여 장애가 발생된 상태이면 원격수리 가능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진 진단과정과,
상기 진단과정에서 판단하여 원격수리 가능하면 원격수리하고 수리결과와 장애증상 정보를 업체서버에 업로드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발생한 장애상태가 원격 수리 가능한 것이면, 업체서버(150)로부터 수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고 실행하여 장애상태를 원격 수리하는 과정(S160); 상기 과정(S160)에서 수리된 결과정보와 발생되었던 장애상태의 증상정보를 상기 업체서버(150)에 업로드하는 과정(S170)으로 이루어진 보고과정과,
상기 진단과정(S150)에서 원격수리를 못하는 장애상태이면 지피에스(GPS) 정보와 장애정보를 업체서버(150)에 업로드하고, 인접 서비스 센터에 통보하며 문자메시지로 서비스 안내를 권고하거나 서비스 요원을 파견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장애상태가 원격수리 하지 못하는 것이면, 휴대단말기(100)의 지피에스(GPS) 위치정보와 장애상태 증상정보를 업체서버(150)에 업로드하는 과정(S180); 상기 과정(S180)의 업체서버(150)는 업로드된 지피에스 위치정보와 장애상태 증상정보를 분석하고 인접한 서비스 센터에 상기 장애발생을 통보하는 과정(S190); 상기 과정(S180)의 업체서버(150)는 문자메시지로 장애발생 상태와 인근 서비스 센터로 방문하여 수리 받을 것을 권고하거나,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문자메시지로 장애발생 상태를 통보하는 동시에 인근 서비스 요원이 파견되도록 제어하는 과정(S200)으로 이루어지는 능동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에 동작전원이 인가되고 정상 운용상태 이면서 통신을 하지 않고 대기상태이면(S100),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업체서버(150)에 웹 접속하고(S110), 브루 또는 자바 기능에 의한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S120) 장애발생을 자체진단하며(S130), 상기 자체진단 결과 장애가 발생한 상태 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40).
상기 판단(S140)에서 장애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상기 접속과정(S100)으로 궤환하여 장애발생 여부를 소정 주기에 의하여 계속 진단하도록 하고, 장애가 발생한 경우는 상기 업체서버(150)에서 장애발생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원격 자체수리 가능한 것인지를 판단한다(S150).
상기 판단(S150)에서 원격 자체수리 가능한 장애로 판단되면, 이미 다운로드된 수리 프로그램 또는 새로운 수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장애 발생된 휴대단말기(100)를 원격 수리하고(S160), 상기 장애를 수리한 휴대단말기(100)는 수리결과와 발생된 장애의 증상정보를 업체서버(150)에 업로드하므로, 데이터 베이스로 통계처리하도록 한다.
상기 진단과정(S150)에서 원격진단이 불가능한 장애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휴대단말기(100)를 제어하여, 지피에스(110)로부터 수신한 것으로, 위도, 경도, 해발 등에 의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는 지피에스 위치정보와 함께 발생된 장애증상 정보를 상기 이동교환국(130)을 통하여 업체서버(150)에 업로드하도록 한다(S180).
상기 업체서버(150)는 입력된 지피에스 위치정보와 장애증상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위치한 장소에 가장 인접한 서비스 센터에 장애발생 상태를 통보한다(S190).
또한, 상기 업체서버(150)는 상기 장애 발생 휴대단말기(100)에 문자메시지를 통하여 장애발생 되었음과 인근 서비스 센터 정보를 통보하여 서비스 받도록 권고 안내하거나 또는, 장애발생 상태를 문자메시지로 통보하는 동시에 상기 인근 서비스 센터에서 서비스 요원을 직접 파견 및 방문하도록 하는 명령이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자자진단 응용 프로그램을 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장애상태를 자체 진단하고, 원격 자체수리 가능한 장애는 수리하며, 상기 원격 자체수리가 어려운 장애는,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가까운 서비스 센터를 안내하며 필요한 경우에 서비스 요원을 직접 파견하도록 하므로, 제품의 선호도와 신뢰성을 제고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자체진단 및 자체수리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진단 검출되는 장애를 원격 자체 수리하므로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수리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체수리를 하지 못하는 경우는 장애정보를 업로드하여 서비스 센터와 연결되도록 하거나 서비스 요원을 직접 파견하여 수리하하므로 제품의 신뢰도를 제고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장애발생 여부를 능동적인 확인하고 자체수리하며, 수리요원 파견의 필요성이 있은 경우에 인근의 서비스 요원을 파견하므로 능동적인 사후서비스를 제공하여 선호도를 제고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설명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서비스 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휴대단말기 110 : 지피에스 120 : 기지국
130 : 이동교환국 140 : 공중망 150 : 업체서버

Claims (14)

  1. 무선 다운로드되는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에 의하여 장애발생을 진단하고 결과를 지피에스 위치정보와 함께 업로드 하는 휴대단말기와,
    상기 휴대단말기에 위도, 경도, 해발에 의한 위치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지피에스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하여 진단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통신신호를 양방향으로 무선 송수신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접속하고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휴대단말기로 다운로드하고, 진단결과와 장애발생 정보를 업로드하며 시스템을 운용하는 이동교환국과,
    상기 이동교환국과 다른 통신망과의 통신경로를 설정 접속하는 공중망과,
    상기 공중망을 통하여 이동교환국에 웹접속하고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출력하며, 해당 진단결과와 장애발생 정보를 입력하여 처리하는 업체서버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을 통하여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무선 다운로드하고 장애발생 상태를 자체진단하며, 진단결과 원격제어에 의하여 자체수리 가능한 장애상태이면 자체수리하고, 원격제어에 의하여 자체수리가 안되면 진단결과의 장애증상 정보와 해당 처리결과 정보를 지피에스 위치정보와 함께 무선 업로드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교환국은,
    상기 공중망을 통하여 웹접속된 업체서버로부터 인가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휴대단말기에 다운로드 전송하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되어 인가되는 원격수리결과와 지피에스 위치정보와 장애증상 정보를 상기 업체서버에 전송하는 동시에 이동통신 시스템 전체의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망은,
    인터넷이 포함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서버는,
    웹접속이 가능한 브루와 자바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를 원격진단하고 수리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공중망을 통하여 이동교환국에 출력하며,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인가되는 휴대단말기의 지피에스 위치정보와 장애증상 정보와 수리결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처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서버는,
    상기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입력되고 데이터베이스 처리된 정보를 분석하여 원격수리가 불가능한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인접한 서비스 센터에 장애발생현황을 통보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에는 장애발생 증상과 인접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여 사후서비스를 받도록 능동적으로 권고 안내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서버는,
    상기 위치 확인된 휴대단말기에 인접한 서비스 센터의 서비스 요원이 방문하고 장애 수리하는 사후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8. 휴대단말기가 운용되면 웹을 통하여 업체서버에 접속하고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접속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다운로드된 자체진단 프로그램으로 휴대단말기의 장애상태를 자체진단하고 장애발생 상태가 확인되면 원격수리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진단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원격수리 가능하면 원격수리하고 수리결과와 장애증상 정보를 업로드하는 보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과정에서 원격수리를 못하는 장애상태이면 지피에스 정보와 장애정보를 업체서버에 업로드하고, 인접 서비스 센터에 통보하며 문자메시지로 서비스 안내를 권고하거나 서비스 요원을 파견하는 능동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운용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휴대단말기가 운용되면 업체서버로부터 무선 웹을 통하여 접속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웹에 접속된 업체서버로부터 자체진단 응용프로그램을 휴대단말기에 다운로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가 다운로드된 자체진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장애발생 상태를 자체 진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자체 진단하여 휴대단말기에 장애가 발생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장애가 발생된 상태이면 원격수리 가능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에 발생한 장애상태가 원격 수리 가능한 것이면, 업체서버로부터 수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고 실행하여 장애상태를 원격수리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수리된 결과정보와 발생되었던 장애상태의 증상정보를 상기 업체서버에 업로드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장애상태가 원격수리 하지 못하는 것이면, 휴대단말기의 지피에스 위치정보와 장애상태 증상정보를 업체서버에 업로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업체서버는 업로드된 지피에스 위치정보와 장애상태 증상정보를 분석하고 인접한 서비스 센터에 상기 장애발생을 통보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업체서버는 문자메시지로 장애발생 상태와 인근 서비스 센터로 방문하여 수리 받을 것을 권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서버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문자메시지로 장애발생 상태를 통보하는 동시에 인근 서비스 요원이 파견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방법.
KR20030088204A 2003-12-05 2003-12-05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969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88204A KR100969786B1 (ko) 2003-12-05 2003-12-05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88204A KR100969786B1 (ko) 2003-12-05 2003-12-05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691A true KR20050054691A (ko) 2005-06-10
KR100969786B1 KR100969786B1 (ko) 2010-07-15

Family

ID=3724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88204A KR100969786B1 (ko) 2003-12-05 2003-12-05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7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555B1 (ko) * 2008-02-01 2009-10-12 주식회사 케이티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및 방법
KR101500299B1 (ko) * 2010-08-17 2015-03-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원격 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396B1 (ko) * 1999-12-28 200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사후 서비스 방법
KR100464006B1 (ko) * 2002-04-12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용 휴대 단말기의 원격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555B1 (ko) * 2008-02-01 2009-10-12 주식회사 케이티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및 방법
KR101500299B1 (ko) * 2010-08-17 2015-03-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원격 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9786B1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02587B (ko)
US8082123B2 (en) Interactive diagnostics having graphical playback and solution implementation capabilities
JP2009512606A (ja) 無線障害監視システム
CN104769554A (zh) 用于提供移动设备支持服务的系统、方法、设备以及计算机程序产品
CN102656109A (zh) 远程诊断电梯系统的方法及应用该方法的电梯系统
CN108199874B (zh) 一种网络故障检测与修复的方法、gnss接收机以及计算机可读介质
JP2009528642A (ja) システムにおいて検出されるアラーム状態を解決するために用いられるワークフロー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6874871B1 (ja) 応答方法および応答システム
US20110287763A1 (en) Telephone receiving system and method, and telephone device
KR101412289B1 (ko) 이씨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5674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원격 제어 방법
KR100969786B1 (ko) 휴대단말기의 능동적 사후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130082847A1 (en) Telemeter System, Vending Machine, and Method for Terminal Device
JPH08237187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診断方法
KR100641179B1 (ko) 휴대단말기 장치 및 휴대단말기 및 이동교환국의 핸드오버 정보관리 방법
JP2016167108A (ja) 障害検証装置及び障害検証方法、検証対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80503B1 (ko) 건설 장비의 원격 진단 시스템
KR2006007740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진단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238728B1 (ko) 셀룰라폰의 자체 고장 진단장치 및 방법
KR20070016499A (ko)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자가진단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70005186A (ko) 휴대단말기의 로그 기록장치 및 방법
JPH08237188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0742896B1 (ko) 생산설비의 장애 감지 및 제어 장치, 생산설비의 장애 감지 및 제어 방법
JP2005332068A (ja) プログラム障害解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障害解析方法
US71975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upervision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