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4271A - 비만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만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271A
KR20050054271A KR1020030087624A KR20030087624A KR20050054271A KR 20050054271 A KR20050054271 A KR 20050054271A KR 1020030087624 A KR1020030087624 A KR 1020030087624A KR 20030087624 A KR20030087624 A KR 20030087624A KR 20050054271 A KR20050054271 A KR 20050054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sition
diet
obesit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경
전원경
고병섭
양덕숙
이혜원
김정희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8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4271A/ko
Publication of KR20050054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27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23V2200/3324Low fat - reduced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작용이 없는 천연 한약재를 이용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포공영, 결명자 및 상백피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만억제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nhibiting obesity}
본 발명은 비만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방 생약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 나라에서도 경제발전으로 생활양식이 편리해지고 식생활이 서구화되어 동물성 식품의 섭취가 늘어나고 지방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체중과다나 비만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체중과다와 비만이 되는 이유는 섭취한 열량중 소모되고 남는 것이 지방으로 전환되어 체내의 여러 부분 특히 피하조직과 복강내에 축적되기 때문이다. 대체로 비만인 사람은 보통 사람에 비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많기 때문이라는 보고가 있으며 다른 연구에서는 총에너지 섭취보다는 식이의 지방 비율이 비만에 더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비만은 성인이 되어 형성되기도 하나 대부분 식습관이 형성되는 소아기의 비만이나 체중과다가 성인이 되어서까지도 지속되며 이는 여러 퇴행성 질환인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등의 원인이 되므로 어릴 때부터 균형된 영양섭취의 식습관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파우스트 등(1978 년)도 흰쥐 실험에서 고지방식이군이 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약 20% 이상 더 증가하였다고 하였고, 비만이나 체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섭취 에너지를 줄이고 운동을 통한 소비 에너지를 늘려 체내에 피하지방이 축적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 열량이 적고 공복감을 없애주는 식이섬유가 비만이나 체중감소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많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없는 천연 한약재를 이용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포공영, 결명자 및 상백피를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포공영, 결명자, 상백피의 구성비는 건조중량비로 각각 10-100 중량부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각각 50 중량부로 동일하게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공영, 결명자, 상백피를 믹서기에 넣고 혼합하여 분말로 만들어 메탄올로 추출한 다음, 여과 및 농축하고,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동결 건조시켜 분말상태로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자는 C57BL/6 쥐에 고지방식이를 섭취하게 하면서 상기 세가지 약재의 혼합추출물을 인간용량으로 8주간 경구 투여하는 동안 체중과 사료 섭취량 및 사료효율을 측정하고, 동물실험 종료시 지방조직의 무게 측정과 일반혈액검사 및 혈중 GOT, GPT, 글루코즈,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를 관찰한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만 억제 효능이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조성물의 제조
정도물산에서 구입한 포공영 50g, 결명자 50g, 상백피 50g을 믹서기를 이용하여 가루로 만들어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70% 메탄올을 가하여 100℃에서 5시간 추출하였다. 실온에서 방치한 후 여지로 여과하고 농축한 후,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70℃에서 동결 건조시켜 분말상태로 만들었다.
실험예 1 체중,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 측정실험
실험군의 설정은 일반식이를 섭취하면서 식염수를 경구투여받는 정상 대조군(N+S),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식염수를 경구투여 받는 비만대조군 (H+S),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제니칼을 경구투여 받는 실험대조군 (H+X),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실시예 1의 조성물을 경구투여 받는 실험군 (H+P1) 총 4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마리수를 10마리씩 배정하였고 8주 동안 실험하였다. 고지방 식이는 Research Diets (D12451; New Jersey,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 저온에 보관하였고 일반식이는 Harlan TEKLAD (2018S; wisconsin, USA)에서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 마리당 약물 경구투여용량은 인간용량으로 환산하여 제니칼은 14.28 ㎎/㎏, 실시예 1의 조성물은 182.4 ㎎/㎏으로 정하였다. 물 및 식이는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였으며 경구투여는 일주일에 6회 일정시간에 실시하였다.
실험기간동안 사료 섭취량 및 실험동물의 체중은 일주일에 2회씩 일정시간에 측정하였으며 사료효율은 총사료섭취량에 대한 체중 증가량의 비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정하였다.
실험결과의 통계처리는 SPSS package를 이용하였으며, 모든 측정값은 mean±SD로 표시하였으며 분석치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one way-ANOVA를 실시하였고 분석결과에 대한 p < 0.05의 수준에서 LSD 다중검정법으로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각 처리구간의 평균치에 대한 유의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표 1. C57BL/6 쥐가 8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한방추출물을 경구투여 받을 시 체중에 대한 효과
일반식이 고지방식이
식염수 제니칼(14.28 mg/kg) 실시예 1(182.4mg/kg)
0 20.2±0.6 20.1±0.7 20.0±1.0 20.0±1.6
1 20.6±0.7 20.8±0.7 20.4±0.9 20.2±1.7
2 20.7±0.6 21.2±0.7 20.8±1.2 20.7±1.5
3 21.1±0.5 22.2±0.9 21.3±1.1 21.43±1.6
4 21.9±0.6 23.2±1.1 22.3±1.1 22.1±1.9*
5 22.4±0.8 24.0±0.9 22.9±1.2 22.9±2.3
6 22.8±0.8 25.0±1.2 23.8±1.6 24.1±1.9
7 22.9±0.9 25.6±1.7 24.2±1.6 24.1±2.2*
8 23.4±0.8 26.2±1.7 24.9±1.9 24.5±2.5*
* P < 0.05
고지방식이를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고 한방처방을 경구투여하는 8주 동안의 체중변화는 표 1과 같이 실험 동물의 체중은 실험기간 동안 계속 증가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이 실험 3 주째에 N+S 그룹 (일반식이 + 식염수 경구투여)이 21.1±0.5 g이고 H+S 그룹 (고지방 식이 + 식염수 경구투여)이 22.2±0.9 g으로 식이에 의한 두 그룹 간의 체중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가 p 값 0.05 이하로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실험 종료시까지 두 그룹간에 식이에 의한 체중의 유의성은 p 값 0.05 이하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고지방 식이에 의해 비만이 유도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 3 주째에 H+S 그룹이 22.2±0.9 g인 것에 비하여 H+X 그룹 (고지방식이 + 제니칼 경구투여)은 21.3±1.1 g이고 H+P1 그룹 (고지방식이 + 실시예 1 경구투여)은 21.43±1.6 g으로 측정되어 p 값이 각각 0.054와 0.092 정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 제니칼과 실시예 1에 의해 체중이 감소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험 4 주째에는 H+P1 그룹이 22.1±1.9 g으로 H+S 그룹이 23.2±1.1 g인 것과 비교하여 p 값 0.05 이하로 유의하게 체중이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실험 5주째에는 H+X 그룹 22.9±1.2 g과 H+P1 그룹 22.9±2.3 g으로 H+S 그룹 24.0±0.9 g에 비하여 p 값이 각각 0.092와 0.083 정도의 유의성이 측정됨으로써 제니칼보다 실시예 1에 의한 체중 감소효과가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험 7 주째에는 H+S 그룹이 25.6±1.7 g인 것에 비교하여 H+X 그룹이 24.2±1.6 g과 H+P1 그룹이 24.1±2.2 g으로 측정되어 p 값 0.05 이하로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실험 8주째 체중은 H+P1 그룹이 24.5±2.5 g으로 H+S 그룹이 26.2±1.7 g인 것에 비교하여 p 값 0.05 이하로 유의하게 체중증가가 억제되는 것이 관찰되어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동물실험에서 실시예 1이 제니칼보다 체중 증가 억제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표 2. C57BL/6 mice가 8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한방추출물을 경구투여 받을 시 체중 증가, 사료섭취량, 사료효율에 대한 효과
일반식이 고지방식이
식염수 제니칼(14.28 mg/kg) 실시예 1(182.4 mg/kg)
체중증가량 (g) 0.057±0.032 0.109±0.032 0.087±0.034 0.08±0.05
사료섭취량 (g) 2.673±0.227 2.034±0.091 2.005±0.111 1.946±0.08
사료효율 (%) 2.149±1.193 5.365±1.628 4.369±1.683 4.1±2.484
총체중증가량의 경우 표 2와 같이 H+S 그룹이 0.109±0.032 g이었고 N+S 그룹이 0.057±0.032 g으로 측정되어 p 값 0.05이하로 일반식이를 섭취한 군에 비하여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군이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어 고지방식이 섭취에 의해 체중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체중증가는 H+X 그룹이 0.087±0.034 g이고 H+P1 그룹이 0.08±0.05 g정도 체중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H+S 그룹이 0.109±0.032 g에 비하여 각각 체중증가량이 20.18%, 26.61%정도 감소한 것으로 측정되어 실시예 1이 제니칼보다 체중증가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사료효율에서 H+X 그룹이 4.369±1.683 %, H+P1 그룹이 4.1±2.484 %로 H+S 그룹의 5.365±1.628 %에 비하여 각각 18.56 %, 23.58 % 정도의 사료효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실시예 1이 제니칼보다 사료효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지방조직의 무게 측정 실험
실험예 1의 실험 종료 후 C57BL/6 쥐를 12시간동안 절식시키고 물만 제공하였으며, 에틸 에테르로 마취한 후 해부하였다. 부대정맥에서 주사기로 채혈한 후 EDTA가 처리된 튜브에 넣어 혈액의 응고가 일어나지 않게 하였으며, 혈액을 채취한 후 즉시 간과 부고환 지방조직 및 신장후 복막하 지방조직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조직을 혈액을 제거하기 위해서 생리식염수로 세척하고 여과지로 수분을 제거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적출한 간 및 부고환지방조직과 신장후 복막하 지방조직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는 표 3과 같았다.
표 3. C57BL/6 쥐가 8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한방추출물을 경구투여 받을 시 지방조직에 대한 효과
일반식이 고지방식이
식염수 제니칼(14.28 mg/kg) 실시예 1(182.4 mg/kg)
간 (g) 0.798±0.048 0.767±0.045 0.781±0.065 0.753±0.050
부고환지방조직 (g) 0.374±0.088 0.979±0.256 0.933±0.258 0.856±0.387
신장후 복막하지방조직 (g) 0.115±0.040 0.331±0.088 0.331±0.088 0.256±0.152
간의 경우 표 3과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한 군은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고환지방조직과 신장후 복막하 지방조직의 경우는 표 3과 같이 일반식이를 섭취한 군과 고지방식이 섭취군 간에 모두 p 값 0.001이하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고지방식이로 인해 지방조직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S 그룹의 0.979±0.256 g보다 H+P1 그룹이 0.856±0.387 g으로 실시예 1이 부고환지방조직무게를 12.56 % 정도를 감소시켰고 신장후 복막하 지방조직의 무게가 H+P1 그룹이 0.256±0.152 g이고 H+S 그룹이 0.331±0.088 g으로 실시예 1에 의해 신장후 복막하 지방조직이 22.67% 정도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실시예 1이 고지방식이로 인한 체지방 축적을 억제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험예 3 일반 혈액검사 측정실험
상기 실험예 2에서 채취한 전혈을 대상으로 혈액분석기 (coulter JT, Beckman coulter, USA)를 사용하여 적혈구수, 헤모글로빈농도 등의 일반혈액검사를 실시하였다.
일반 혈액검사 항목을 측정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 C57BL/6 쥐가 8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한방추출물을 경구투여 받을 시 일반 혈액학적 성상
일반식이 고지방식이
식염수 제니칼(14.28 mg/kg) 실시예 1(182.4 mg/kg)
백혈구수(ⅹ103/ml) 2.37±0.37 2.82±0.76 2.94±0.30 3.26±1.02*
림프구 백분율(%) 81.58±4.86 82.75±6.18 84.80±2.50 81.70±5.19
다핵구 백분율(%) 13.13±5.11 11.15±4.61 8.96±2.68 11.83±5.09
단핵구 백분율(%) 5.29±1.11 5.79±2.23 6.24±1.36 6.47±2.50
적혈구수 (ⅹ106/ml) 9.37±0.19 9.27±0.18 9.11±0.21 9.56±0.24*
헤모글로빈농도(g/dL) 14.36±0.38 14.17±0.23 14.04±0.39 14.39±0.35
헤마토크리트백분율(%) 46.19±1.58 46.28±1.29 46.59±1.62 47.76±1.09
혈소판수(ⅹ104/ml) 121.78±12.37 108.11±14.13 124.10±13.31 116.67±12.22
* P < 0.05
백혈구수, 적혈구수, 헤모글로빈농도, 혈소판수, 헤마토크리트 백분율, 림프구백분율, 단핵구백분율 및 다핵구백분율을 측정한 결과 일반식이와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는 군간에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고지방 식이를 섭취하면서 약물을 경구 투여받은 군간에 유의성 있는 결과가 있는 항목이 관찰되었다. 적혈구수의 경우 H+X 그룹이 9.11±0.21×106cells/㎖이고 H+P1 그룹이 9.56±0.24×106cells/㎖로 측정되어 제니칼을 경구투여 받은 군보다 실시예 1을 경구 투여받은 군이 p 값 0.05 이하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헤모글로빈의 경우는 H+X 그룹이 14.04±0.39 g/㎗이고 H+P1 그룹이 14.39±0.35 g/㎗으로 측정되어 제니칼을 경구투여 받은 군보다 실시예 1을 경구 투여받은 군이 p value 0.053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백혈구수의 경우 N+S그룹이 2.37±0.37×103/㎖이고 H+P1 그룹이 3.26±1.02×103/㎖로 측정되어 일반식이를 섭취하는 군보다 p 값 0.05 이하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일반혈액학적 성상의 결과로 볼 때 실시예 1의 조성물이 조혈작용과 면역증강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혈장 중의 GOT, GPT, 글루코즈,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측정실험
일반혈액검사를 완료한 혈액을 원심분리기에서 10,0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혈장에 대한 GOT, GTP, 글루코즈,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beckman coulter사와 hanlantek사의 시약 및 생화학분석기 (CX-4, Beckman coulter,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결과는 표 5와 같다.
표 5. C57BL/6 쥐가 8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한방추출물을 경구투여 받을 시 혈장 내 생화학적 성상
일반식이 고지방식이
식염수 제니칼(14.28 mg/kg) 실시예 1(182.4 mg/kg)
GOT (IU/L) 118.00±58.28 125.89±48.60 128.90±42.22 115.00±45.67
GPT (IU/L) 32.56±6.19 29.22±8.74 31.56±9.49 25.89±6.29
글루코즈(mg/dL) 69.80±25.40 81.56±50.08 106.60±39.02 75.90±44.16
콜레스테롤(mg/dL) 82.40±7.66 88.89±9.23 110.00±11.14 93.20±11.28
트리글리세라이드(mg/dL) 38.90±16.88 55.90±34.93 71.50±18.48 34.70±18.25*
* P < 0.05
중성지방의 농도는 표 5와 같이 고지방 식이 섭취군과 일반식이를 섭취한 군간에는 p 값 0.066의 유의적 차이가 관찰되었고 H+P1 그룹이 34.70±18.25 ㎎/㎗으로 H+S군의 55.90±34.93 ㎎/㎗에 비하여 각각 p 값 0.05 이하로 측정되어 실시예 1이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해 증가하는 중성지방의 농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비만 억제용 조성물은 고지방 식이를 섭취하는 경우에도 체중 증가 억제 및 체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탁월했으며, 고지방 식이로 인해 증가하는 중성지방의 농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비만억제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4)

  1. 포공영, 결명자 및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포공영, 결명자 및 상백피의 중량비는 건조 중량으로 각각 동일한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3. 포공영, 결명자, 상백피를 믹서기에 넣고 혼합하여 분말로 만들어 메탄올로 추출한 다음, 여과 및 농축하고,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동결 건조시켜 분말상태로 만드는 것으로 구성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포공영, 결명자, 상백피는 각각 동일한 건조 중량비로 사용되고, 메탄올 추출은 70% 메탄올을 가하여 100℃에서 5시간 추출하고, 동결건조는 -70℃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30087624A 2003-12-04 2003-12-04 비만억제용 조성물 KR20050054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624A KR20050054271A (ko) 2003-12-04 2003-12-04 비만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624A KR20050054271A (ko) 2003-12-04 2003-12-04 비만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271A true KR20050054271A (ko) 2005-06-10

Family

ID=3724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624A KR20050054271A (ko) 2003-12-04 2003-12-04 비만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42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058B1 (ko) * 2006-09-21 2007-10-31 김의용 항비만 효과를 갖는 결명자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058B1 (ko) * 2006-09-21 2007-10-31 김의용 항비만 효과를 갖는 결명자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e et al. Effect of Trigonella foenum-graecum (fenugreek) extract on blood glucose, blood lipid and hemorheological properti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CN102470155B (zh) 达木林a及达木林b含量增加的新绞股蓝提取物制备方法及利用该提取物制备的代谢疾病治疗用药物组合物
CN102885306A (zh) 一种辅助降血脂的保健食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90087671A (ko) 두충을 이용한 고혈압 억제 음료 개발
KR100595459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050054271A (ko) 비만억제용 조성물
CN104740088A (zh) 一种用于减肥瘦身的复方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180193401A1 (en)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complex
KR101511364B1 (ko)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1204415B1 (ko) 비만, 고지혈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560308B (zh) 金花葵花在制备用于预防和治疗前列腺疾病的产品中的应用
CN103860706A (zh) 一种具有保护酒精性肝损伤功能的纯中药养生制剂
AU2016313671A1 (en) Health food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0569792B1 (ko) 인진쑥올리고당 aip1을 함유한 항비만성 바이오헬스 소재
Efraim et al. The effect of aqeous seed extract of Trigonella foenum graecum (Fenugreek) on haematological parameters in albino rats
CN111494445A (zh) 具有增强免疫力、缓解疲劳功能的保健组合物及制备方法
CN101785815A (zh) 一种辅助降血脂、对化学性肝损伤有辅助保护功能的保健品
US5449516A (en) Brazilian ginseng derivatives for treatment of sickle cell symptomatology
CN108497494A (zh) 一种辅助降血脂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13181173B (zh) 药用组合物及其在制备用于预防和/或治疗肝癌的产品中的应用
KR102501310B1 (ko) 항비만용 조성물
KR100247568B1 (ko) 동맥경화억제용 약제조성물
KR100406184B1 (ko) 우렁쉥이 껍질의 아세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콜레스테롤조성물
CN115634262A (zh) 一种抗炎组合物及其用途与制备方法
CN116549521A (zh) 一种具有解酒保肝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