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2450A - 볼을 이용한 탭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볼을 이용한 탭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2450A
KR20050052450A KR1020050040392A KR20050040392A KR20050052450A KR 20050052450 A KR20050052450 A KR 20050052450A KR 1020050040392 A KR1020050040392 A KR 1020050040392A KR 20050040392 A KR20050040392 A KR 20050040392A KR 20050052450 A KR20050052450 A KR 20050052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tab
pressing
cente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7687B1 (ko
Inventor
김상화
Original Assignee
김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화 filed Critical 김상화
Priority to KR102005004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687B1/ko
Publication of KR20050052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5/00Thread-cutting tools; Die-heads
    • B23G5/02Thread-cutting tools; Die-heads without means for adjustment
    • B23G5/06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23G1/18Machines with one working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44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 B23G1/46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for holding the thread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securing to a spindle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을 이용한 탭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누름구의 전진작동만(원터치)으로 탭을 고정장치에 신속,용이하게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협지수단을 수개의 볼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이를 일반적인 척과 같은 작용으로 탭 고정부를 협지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협지작용이 원활하면서도 견고하도록 하고, 또 상기 협지수단의 협지작용을 항상 탄발력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으로 달성되도록 함으로써 탭을 고정장치에 부착한 후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탭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원통형 외통의 중심공을 설치공과 외협내광형의 테이퍼공 그리고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안내공으로 구분 형성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한 후 설치공에는 끝단부 외주 및 그 내측면 중앙에 각각 스프링지지홈과 탭 고정부의 피난각홈이 형성된 받침구를, 안내공에는 탭의 고정부가 관통하는 중심공과 그 외측단에 누름부를 가진 누름구를, 테이퍼공에는 누름구의 중심공으로 외면이 돌출될 정도의 크기로 되는 수개의 볼이 원형상으로 배열된 협지수단과 받침판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볼을 이용한 탭 고정장치{ The tap fixed device make use of ball }
본 발명은 볼을 이용한 탭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탭의 장착 및 분리가 신속, 용이하고, 또 탭의 유동도 발생치 않게 하는 탭 고정장치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탭이라 함은 어떠한 피 가공물에 형성된 구멍에 암나사를 형성하는 공구로서 그 구성은 고정장치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와; 표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천공부로 구성되고, 또 탭 고정장치라 함은 탭가공기 등과 같은 가공기에 장착되는 장치로서 위 탭의 고정부를 고정(협지)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이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탭 고정장치는 여러 개의 조임구가 원형으로 배치되는 척 형태가 대부분이어서 탭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즉, 종래의 탭 고정장치인 척은 척 주변에 탭의 고정구를 협지하고 해제하는 별도의 장치 예컨대 나사결합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강구 및 이에 연결된 척 가압구 등이 필수구성 요건이어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뿐만 아니라 탭의 고정부를 협지하고 해제하는 작용이 승강구를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야만 달성되므로 그 작용을 달성하는데 그만큼 번거로움이 따랐음은 물론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탭의 고정부를 고정할 때 강력한 힘이 가해지지 아니하면(승강구를 이용하여 척 가압구로 척을 강력하게 가압하지 않으면) 탭이 척에서 유동 및 이탈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고, 이는 탭 사용중 탭의 파손을 유발시켰음과 아울러 그로 인한 안전사고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의 탭 고정장치에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한꺼번에 해결하기 위함에 그 기술적인 과제를 두고 안출한 발명으로서 특히, 탭의 고정부를 원터치 형태로 협지/해제하는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원통형 외통(10)의 중심공(33)을 설치공(11)과 외협내광형의 테이퍼공(13) 그리고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안내공(12)으로 구분 형성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한 후 설치공(11)에는 끝단부 외주 및 그 내측면 중앙에 각각 스프링지지홈(23)과 탭(80) 고정부(81)의 피난각홈(22)이 형성된 받침구(20)를, 안내공(12)에는 탭(80)의 고정부(81)가 관통하는 중심공(33)과 그 외측단에는 누름부(31)를 가진 누름구(30)를, 테이퍼공(13)에는 누름구(30)의 중심공(33)으로 외면이 돌출될 정도의 크기로 되는 수개의 볼(41)이 원형상으로 배열된 협지수단(40)과 받침판(50)을 순차적으로 삽입하되, 받침구(20)는 설치공(11)에 고정하면서 끝단부 외주연의 스프링지지홈(23)에 코일스프링(70)을 설치하여 그 내측 테이퍼공(13)내의 받침판(50)에 의해 탄설되도록 함으로써 받침판(50)에 받혀지는 수개의 볼(41)에 누름구(30) 방향의 탄발력이 부여되도록 하고, 상기 테이퍼공(13)과 안내공(12)에 삽입되는 협지수단(40)과; 받침판(50)과; 누름구(30)는 슬라이드 가능케 설치함과 동시에 외통(10)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구(30)의 누름부(31) 다른 쪽 외면을 내측은 높고 외측은 낮은 외향경사면(32)으로 형성하여 외향경사면(32)에 접촉되는 협지수단(40)의 볼(41)이 누름구(30)의 중심공(33)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누름구(30) 끝단부 외주에는 스톱링(34)을 채용하여 안내공(12)의 계단부(121)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코일스프링(70)에 의해 탄발력을 부여받는 수개의 볼(41)로 인하여 외통(10) 외부로 누름구(30)가 외출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받침구(20)의 외측면에는 가공기(도시하지 않음)에 결합하는 장착봉(21)을 일체로 돌출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4의 (가)에서와 같이 누름구(30)를 누름부(31)에 의거하여 받침구(20) 방향으로 강제로 전진시키면 전진하는 누름구(30)의 외향경사면(32)에 의해 테이퍼공(13) 내의 협지수단(40)과 받침판(50)이 테이퍼공(13)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될 때 받침구(20)와 스프링지지홈(23)사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70)은 압축되게 되어 코일스프링(70)에는 누름구(30) 방향의 강한 반발력이 발생하며, 상기에서 누름구(30)의 전진으로 인하여 협지수단(40)이 테이퍼공(13)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누름구(30)를 전진시키기 전에 누름구(30) 중심공(33)으로 돌출된 협지수단(40)의 볼(41) 일면이 중심공(33)의 외주연에서 벗어나게 되어 탭(80) 고정부(81)를 누름구(30)의 중심공(33)을 관통하여 받침구(20)의 피난각홈(22)까지 삽입하는 일련의 과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탭(80)의 고정부(81)가 삽입된 상태에서 누름구(30)에 가해진 전진 강제력을 해제하면 받침구(20)와 스프링지지홈(23)사이에서 수축된 코일스프링(70)의 강한 반발력이 작동하여 받침판(50), 협지수단(40), 누름구(30)를 순간적으로 원복시키게 되는데, 이때 누름구(30)의 중심공(33)으로 탭(80) 고정부(81)가 삽입되지 않을 경우에 그 외면이 누름구(30)의 중심공(33)으로 돌출되는 협지수단(40)의 볼(41)이 첨부도면 도 4의 (나)에서와 같이 탭(80)의 고정부(81) 외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70)의 강한 반발력으로 탭(80) 고정부(81)를 계속 협지하게 되어 누름구(30)의 중심공(33)으로 삽입된 탭(80) 고정부(8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코일스프링(70)의 반발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누름구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는 외협내광형의 테이퍼공(13) 내에 협지수단(40)의 볼(41)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볼(41)이 코일스프링(70)의 반발력을 전달받으므로 누름구(30)의 중심공(33)에 탭(80) 고정부(81)가 삽입되었을 경우 위 볼(41) 일면은 탭(80) 고정부(81)의 외면을 줄곧 가압할 수밖에 없게 되며, 이로써 탭(80) 고정부(81)의 계속적인 협지작용이 달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탭(80)을 고정장치(G)에 부착/사용한 후 고정장치(G)에서 분리하고자하면 누름구(30)의 전진작동으로 협지수단(40)을 받침구(20) 방향으로 이동시켜 탭(80) 고정부(81)의 외면에 접촉된 협지수단(40)의 볼(41)이 이간 되도록 함으로써 탭(8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누름구(30)를 전진시키는 작동만으로 탭(80)을 고정장치(G)에 탈, 부착할 수 있어 탈, 부착작업을 신속,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협지수단(40)의 수개의 볼(41)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이를 일반적인 척과 같은 작용으로 탭(80) 고정부(81)를 협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그 협지작용이 원활함은 물론 견고한 효과가 있으며, 한편 상기 협지수단(40)의 협지작용을 항상 탄발력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70)으로 달성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탭(80) 고정에 강력한 힘이 필요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탭(80)을 고정장치(G)에 부착한 후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탭(80)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탭(80)사용중 탭(80)의 파손방지는 물론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누름구가 전진 된 상태 단면예시도
(나)는 본 발명에 탭이 삽입된 상태 단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G: 고정장치 10: 외통
11: 설치공 12: 안내공
121: 계단부 13: 테이퍼공
20: 받침구 21: 장착봉
22: 피난각홈 23: 스프링지지홈
30: 누름구 31: 누름부
32: 외향경사면 33: 중심공
34: 스톱링 40: 협지수단
41: 볼 50: 받침판
70: 코일스프링 80: 탭
81: 고정부 82: 천공부

Claims (1)

  1. 원통형 외통(10)의 중심공(33)을 설치공(11)과 외협내광형의 테이퍼공(13) 그리고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안내공(12)으로 구분 형성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한 후 설치공(11)에는 끝단부 외주 및 그 내측면 중앙에 각각 스프링지지홈(23)과 탭(80) 고정부(81)의 피난각홈(22)이 형성된 받침구(20)를, 안내공(12)에는 탭(80)의 고정부(81)가 관통하는 중심공(33)과 그 외측단에는 누름부(31)를 가진 누름구(30)를, 테이퍼공(13)에는 누름구(30)의 중심공(33)으로 외면이 돌출될 정도의 크기로 되는 수개의 볼(41)이 원형상으로 배열된 협지수단(40)과 받침판(50)을 순차적으로 삽입하되, 받침구(20)는 설치공(11)에 고정하면서 끝단부 외주연의 스프링지지홈(23)에코일스프링(70)을 설치하여 그 내측 테이퍼공(13) 내의 받침판(50)에 의해 탄설되도록하고, 상기 테이퍼공(13)과 안내공(12)에 삽입되는 협지수단(40)과; 받침판(50)과; 누름구(30)는 슬라이드 가능케 설치함과 동시에 외통(10)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구(30)의 누름부(31) 다른 쪽 외면을 내측은 높고 외측은 낮은 외향경사면(32)으로 형성하여 이에 접촉되는 협지수단(40)의 볼(4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누름구(30) 끝단부 외주에는 스톱링(34)을 채용하여 안내공(12)의 계단부(121)에 걸려지도록 하며, 상기 받침구(20)의 외 측면에는 가공기에 결합하는 장착봉(21)을 일체로 돌출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을 이용한 탭 고정장치.
KR1020050040392A 2005-05-14 2005-05-14 볼을 이용한 탭 고정장치 KR100637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392A KR100637687B1 (ko) 2005-05-14 2005-05-14 볼을 이용한 탭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392A KR100637687B1 (ko) 2005-05-14 2005-05-14 볼을 이용한 탭 고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612U Division KR200390855Y1 (ko) 2005-05-14 2005-05-14 볼을 이용한 탭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450A true KR20050052450A (ko) 2005-06-02
KR100637687B1 KR100637687B1 (ko) 2006-10-25

Family

ID=3724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392A KR100637687B1 (ko) 2005-05-14 2005-05-14 볼을 이용한 탭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6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7303A (zh) * 2021-07-14 2021-09-24 太原理工大学 一种碗刀全自动装卸定位装置
CN113579777A (zh) * 2021-08-18 2021-11-02 张先中 一种数控机床上用于带锥孔工件的加工夹具
KR102558586B1 (ko) * 2022-10-07 2023-07-20 황양민 가공기계의 탭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0371A (zh) * 2013-03-25 2014-10-01 上海众源燃油分配器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冷却水管钻孔的工装
KR102094909B1 (ko) * 2018-05-28 2020-04-03 주식회사 다인정공 공작 기계용 공구 홀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7303A (zh) * 2021-07-14 2021-09-24 太原理工大学 一种碗刀全自动装卸定位装置
CN113579777A (zh) * 2021-08-18 2021-11-02 张先中 一种数控机床上用于带锥孔工件的加工夹具
KR102558586B1 (ko) * 2022-10-07 2023-07-20 황양민 가공기계의 탭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7687B1 (ko) 200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2324B2 (en) Clamp device
KR100637687B1 (ko) 볼을 이용한 탭 고정장치
JPH01177902A (ja) 穴あけ・たがね工具用工具ホルダー及び工具
US9630282B2 (en) Interface structure
EP3260233A1 (en)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clamp arm of clamping device
JP6499529B2 (ja) クランプ装置
KR200390855Y1 (ko) 볼을 이용한 탭 고정장치
JP4609811B2 (ja) パンチ組立体
EP3022049B1 (en) Multipunch with axial retainer for securing multiple dies or strippers
JP5756492B2 (ja) ワーク固定機構
JP2008023581A (ja) パンチ組立体
JP2004322291A (ja) 被加工物保持具
JP4241988B2 (ja) パンチ保持治具
CN202240565U (zh) 一种弹簧夹头用自动定位排料装置
CN217915381U (zh) 一种快速装卸的印章夹具
JP4680573B2 (ja) クランプ装置
US8037793B2 (en) Stripper plate mounting apparatus
KR102551107B1 (ko) 다양한 내경 치수용 척킹 장치
CN210178318U (zh) 抽油杆打捞器
JP2002355771A (ja) シール部材取付け治具
JP7076749B2 (ja) マーキング装置
JP2004276189A (ja) クランプ装置
JP2008080465A (ja) クランプ装置
JP3224201B2 (ja) クランプ装置
JP2006305668A (ja) コレットチャ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