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2214A -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2214A
KR20050052214A KR1020030086078A KR20030086078A KR20050052214A KR 20050052214 A KR20050052214 A KR 20050052214A KR 1020030086078 A KR1020030086078 A KR 1020030086078A KR 20030086078 A KR20030086078 A KR 20030086078A KR 20050052214 A KR20050052214 A KR 20050052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sulfate
trivalent chromium
plating solution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2486B1 (ko
Inventor
이철태
김홍철
김정래
최혁
Original Assignee
테크앤라이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앤라이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크앤라이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486B1/ko
Publication of KR20050052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04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chromium
    • C25D3/06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chromium from solutions of trivalent chrom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And Plating Bath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오염의 우려가 적은 저가(低價) 크롬산(CrO3)을 3가인 황산크롬(Cr2(SO4)3)으로 환원한 다음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여 만든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은 황산크롬염(Cr2(SO4)3) 0.1∼1.3 mol/ℓ에 대하여, 전도도개선제로서 강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 0.2∼1.2 mol/ℓ, 착화제로서 카르복실산염 0.1∼0.9 mol/ℓ, 표면활성화제로서 할로겐화물 0.1∼0.6 mol/ℓ 및 도금활성화제로서 가용성 염화물 또는 황산염 0.1∼1.0 mol/ℓ이 첨가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와 같은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은 3가의 크롬을 이용하므로 환경오염의 문제를 유발하지 않고, 저렴한 크롬산(CrO3)을 환원하여 사용하므로 제조원가가 매우 저렴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3가 크롬도금액에서 문제가 되는 어두운 광택도금이 형성되는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CHROM GALVANIZING SOLU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IT}
본 발명은 환경오염의 우려가 적은 저가(低價) 크롬산(CrO3)을 3가인 황산크롬(Cr2(SO4)3)로 환원한 다음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여 만든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크롬도금은 각종 도금공정 중에서 가장 일반적이며 공정 상 최종 처리에 해당되는 도금공정으로서, 통상 아름다운 광택의 금속 표면을 얻고자하는 장식도금과 내마모성의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경질도금으로 분류될 수 있다.
장식도금의 경우 도금 두께는 2/10,000 ~ 1/1,000mm로서, 식기, 기타 일용품에서 황동의 표면 도금에 주로 이용되며, 경질도금은 마모 수명의 요구에 따라 달라지지만 5/1,000 내지 수 분의 1 ㎜정도로 카메라 렌즈의 나사고정부분, 정밀기계의 끼워맞춤 부분, 주형의 내면, 인쇄용 판면 등에 마모 방지 등을 위해 이용된다.
통상 크롬도금은 6가인 크롬산(CrO3)에 황산(H2SO4)을 혼합한 용액을 사용하여 전기도금을 하는데, 양극에는 크롬 금속을 사용하지 않고 납과 같이 황산에 침식되지 않는 것을 사용하고 용액 중의 크롬 감소분은 크롬산으로 보충하여 전착(電着)을 계속한다.
또한, 크롬도금에 사용하는 도금액 속의 크롬산 농도에는 고농도와 저농도가 있으며, 액의 온도, 전류의 밀도, 즉 도금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도금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6가 크롬 도금은 반사도, 색상, 부식, 내식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전류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6가 크롬도금은 공정 중에 인체에 치명적인 크롬산 증기를 발생하고 6가 크롬이온이 지하수나 강으로 유입될 경우 치명적인 환경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반드시 3가로 환원시켜 처리해야하는 난제를 안고 있었다. 이 때문에 일부 국가에서 6가 크롬의 사용을 철저히 규제하는 정도에 이르러,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대체 물질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6가 크롬도금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고 많은 기술이 개발되기도 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3가 크롬을 이용한 크롬도금이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국내 특허공고 제1980-1242호(명칭:크롬 전기도금액 조성물)에는 3가 크롬염과 유기물 첨가제를 이용한 수용성 3가 크롬도금액이 소개되고 있다. 이 기술에서는 6가 크롬의 형성을 막는 브롬화물, 크롬을 착화시키는데 효과적인 개미산염, 완충제로 붕산염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염화물이나 황산염 등의 음이온이 용액 중의 양이온과 평형을 위하여 이용되었다. 이 크롬 전기도금액 조성물은 3가 크롬을 사용하여 인체에 해가 없고 피복력이나 전착 균일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롬화염, 개미산염 등이 크롬 전기도금액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실제 상업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또한 국내 특허공고 제1985-620호(명칭:크롬 전기도금액)에 기재된 기술은 크롬(Ⅲ)-티오시아네이트 착화물의 수용액을 크롬 공급원으로 하여 크롬도금을 행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 기술에서는 6가 크롬에 비하여 크롬의 외관이 다소 어두운 3가 크롬 도금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장식용 크롬 도금 뿐만 아니라 경질 크롬 도금에 적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는데 그 소개에 따르면 우선 크롬 농도가 높은 3가 크롬도금액에서 도금을 선행한 후 다시 저농도 크롬 도금액에서 다시 도금을 하면 두께도 두꺼워질 뿐만 아니라 도금된 외관이 밝은 색을 갖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 때 고농도 크롬 도금액과 저농도 크롬 도금액 모두에 티오시아네이트가 첨가되는데 전착물은 크롬에 대한 티오시아네이트의 비율이 낮을수록 밝아진다고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 역시 6가 크롬 도금액와 비교할 때 제조단가가 비싸고 경질 크롬 도금을 위해 이중의 생산설비 및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업화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미국 특허 US 3,954,574에서는 3가 크롬을 기본으로 하여 여기에 개미산염(formate), 초산염(acetate), 브롬화물(bromide), 암모늄염(ammonium), 붕산염(borate) 등 각종 유기물 첨가제 및 습윤제(wetting agent)를 혼합하여 도금액을 만드는 기술이 소개되었다. 이 기술에 따라 제조된 도금액은 시험 결과 피복력(covering power)과 균일 전착력(throwing power)이 상업화에 적용할 수 있는 결과를 보였고 실제 상업화되었다. 그러나, 이 기술도 상업화되는 과정에서 높은 전류밀도에서 도금 표면에 흰색 띠가 형성되고, 도금의 밀착성이 떨어지며, 매우 낮은 전류밀도에서 도금의 피막에 갈색 또는 검은색의 얼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결국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미국 특허 US 4,053,374호에서는 카르복실산과 3가 크롬의 몰비율을 0.7:1 내지 3:1, 할로겐화합물과 3가 크롬의 몰비율을 0.1 : 1 내지 3.5 : 1로 하고, 피복력과 전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0.2∼4몰의 암모늄을 첨가된 3가 크롬도금액이 소개되었다. 그리고, 이 도금액에는 안정제로 0.5∼1몰의 붕산염을, 전기전도도 향상을 위해 2∼4몰의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황산칼륨 등이 첨가되었다. 도금액의 온도는 30∼40℃가 가장 적당하였으며, 전류밀도 3∼35 A/dm2에서 도금이 형성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미국특허 US 4,157,945호의 저농도 3가 크롬 도금액은 고농도일 때보다 드래그 아웃(drag-out)시 묻어 나가는 도금액의 양이 적기 때문에 경비 절감의 효과는 가져오며 다른 특허와 마찬가지로 붕산, 염화암모늄, 염화칼륨, 인산나트륨, 글리신 등을 버퍼제(buffer), 전도도향상제, 흡착제로 사용하였으며, 여기에 위 미국 특허 US 4,053,374호와 같이 또 다른 암모늄염을 첨가하여 피복력과 전착력, 그리고 전착되는 도금 두께가 향상되었다고 소개하고 있으나 밝은 광택의 도금 피막을 얻을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이 일소된 것으로, 저가(低價)의 무수 크롬산을 환원하여 그 환원반응을 통해 얻어진 황산크롬을 이용함으로써, 6가 크롬을 이용한 종래기술의 환경오염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3가 크롬 도금액이 안고 있는 경제성 문제와 어두운 광택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은, 황산크롬염(Cr2(SO4)3) 0.1∼1.3 mol/ℓ에 대하여, 전도도개선제로서 강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 0.2∼1.2 mol/ℓ, 착화제로서 카르복실산염 0.1∼0.9 mol/ℓ, 표면활성화제로서 할로겐화물 0.1∼0.6 mol/ℓ 및 도금활성화제로서 가용성 염화물 또는 황산염 0.1∼1.0 mol/ℓ이 첨가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에는 촉매제로서 황산염 0.4∼1 mol/ℓ이 더 첨가될 수 있다.
위 구성에 있어서, 상기 황산크롬염으로는 6가의 크롬산(CrO3)이 환원제인 아황산나트륨(Na2SO3) 또는 아황산칼륨(K2SO3)에 의해 환원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도도개선제로는 황산나트륨(Na2SO4) 또는 황산칼륨(K2SO 4)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착화제는 옥살산나트륨(Na2C2O4), 상기 표면활성제는 불화나트륨(NaF)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체 조성물의 pH가 1.2∼4.5가 되도록 하는 산화제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도금활성제는 철, 코발트, 니켈, 망간 또는 알루미늄 성분이 선택적으로 포함된 가용성 염화물이나 황산염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특히 황산알루미늄(Al2(SO4)3)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 제조방법은, 6가 크롬을 보유한 크롬산(CrO3)을 환원제인 아황산나트륨(Na2SO3) 또는 아황산칼륨(K2 SO3)를 이용하여 황산크롬(CrO3)으로 환원하는 환원단계와; 상기 황산크롬(CrO3)에 대하여 강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에서 선택되는 전도도개선제, 착화제인 카르복실산염, 표면활성화제인 할로겐화물 및 가용성 염화물 또는 염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도금활성화제를 첨가하는 첨가제 첨가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는 3가의 크롬원을 고가의 3가 크롬염을 직접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격이 저렴한 6가 크롬도금액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무수 크롬산(CrO3)을 아황산나트륨(Na2SO3)과 아황산칼륨(K2SO3) 등의 환원제로 환원하여 그 환원 반응 과정을 통해 얻어진 황산크롬(Cr2(SO4)3)을 기본조성으로 하는 3가 크롬도금액을 이용한다. 무수 크롬산(CrO3)을 환원하여 만든 3가 크롬 도금액의 조성은 크롬원으로서 황산크롬(Cr2(SO4)3) 0.1∼1.3 mol/ℓ, 전도도 개선제로서 0.2∼1.2 mol/ℓ의 황산염인 황산나트륨(Na2SO4), 황산칼륨(K2SO4) 등의 첨가제들이 사용되며, 착화제로서 옥살산나트륨(Na2C2O4) 0.1∼0.9 mol/ℓ과 같은 카르록실산염이 사용되고, 표면활성제로서 불화나트륨(NaF) 0.1∼0.6 mol/ℓ과 같은 할로겐화물이 사용되며, 도금활성화제로서 조 도금성 금속 예컨대 황산알루미늄(Al2(SO4)3) 0.1∼1 mol/ℓ이 사용되는 등 다양한 화합물들이 첨가된다. 이들 구성 성분들의 역할 및 적정범위의 설정은 다음과 같은 이유이다.
가. 3가 크롬
3가 크롬은 본 발명에서 제시한 도금용액의 제조에 있어 필수적인 성분이다. 3가 크롬의 농도는 0.1 mol/ℓ 보다 적거나 1.3 mol/ℓ보다 크면 크롬 전착효율이 크게 낮아 지므로 0.1 내지 1.3 mol/ℓ이 적당하다. 이 용액에는 6가 크롬이 전혀 없으며 특히 도금 전에는 반드시 3가 크롬으로만 존재해야 한다.
나. 전도도개선제
전도도개선제는 선택적이기는 하나 대개의 경우 필요하다. 전도도개선제로 이용되는 전도성염은 도금용액의 전도도를 높이기 위해서 도금용액에 첨가하여 도금액의 저항으로 낭비될 수 있는 전기량을 감소시키는 이온성염으로서 이들은 통상 용액에서 녹는 강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이 사용되며 10-2이상의 해리상수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황산칼륨(K2SO4), 황산나트륨(Na2SO4) 등이 사용되며 이들의 적절한 농도는 정해져 있지 않으나 용해도에 따라서 좌우된다. 본 발명에서는 황산칼륨(K2SO4), 황산나트륨(Na2SO4)의 농도가 0.2 몰 미만인 경우에는 전류밀도가 20 A/dm2 이하 영역에서 도금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황산칼륨(K2SO4), 황산나트륨(Na2SO4)의 농도가 1.2 몰 이상인 경우 30 A/dm2 이상의 영역에서 탄 도금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금액에서 전도성염으로 이용되는 황산칼륨(K2SO4) 또는 황산나트륨(Na2SO4)의 농도는 0.2 mol/ℓ 내지 1.2 mol/ℓ의 범위가 적당하다.
다. 착화제
착화제는 크롬도금, 특히 3가 크롬도금에 있어 매우 중요한 구성성분이다. 착화제로서 카르복실산염은 매우 중요한 성분이며, 개미산염, 아세트산염, 옥살산염 카르복실산, 알데히드, 글리코올산 등이 주로 사용된다. 크롬에 대한 개미산염은 크롬염에 해당하는 침전이 생성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일정 몰농도를 유지해야 한다. 만약 농도가 적으면 은폐력이 감소하며 많은 경우 도금 속도가 떨어진다. 본 발명의 도금액에서 첨가되는 착화제는 옥살산나트륨(Na2C2O4)으로 이 옥살산나트륨(Na2C2O4)의 농도가 0.1 mol/ℓ 보다 낮은 경우에는 도금이 형성되지 않았으며 0.4 mol/ℓ보다 높은 경우는 고전류 밀도에서 형성된 도금 피막이 심하게 벗겨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착화제로 사용되는 옥살산나트륨(Na2C2O4)의 농도는 0.1 mol/ℓ 내지 0.4 mol/ℓ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라. 수소이온
일반적으로 크롬도금 특히 3가 크롬도금은 도금액이 적절한 범위의 산성일 때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낮은 pH값인 1 이하에서는 은폐력이 감소되고 높은 pH인 10이상에서는 도금의 속도가 늦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도금액의 pH값은 산성이 되어야 하지만 너무 낮은 것은 좋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pH를 1.2 내지 4.5 범위 내로 조절할 수 있는 예컨대 황산과 같은 산화제가 첨가될 수 있다. pH가
위 범위를 벗어나면 도금 피막이 형성되지 않거나 뿌연 도금 피막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마. 표면활성화제
표면활성제로는 할로겐화물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도금용액에 따라 염화물이나 요오드화물 또는 불화물이 선택될 수 있으며 염화물 또는 불화물이 일반적으로 요오드화물에 비해 효과가 좋다. 사용될 수 있는 양은 정해져 있지 않는데 때때로는 소요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그 사용량의 범위는 0 에서부터 이들의 용해도까지 넓다. 이들 할로겐화물은 다양한 첨가제의 구성요소로서 도입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도금액의 경우에는 불화나트륨(NaF)이 사용되었다. 적절한 농도 범위는 0.1 mol/ℓ내지 0.6 mol/ℓ이며, 이 범위에서 밝은 광택의 도금피막을 얻을 수 있었다. 불화나트륨(NaF) 농도가 0.1 mol/ℓ미만인 경우 뿌연 도금이 심하게 생성되었고, 0.6 mol/ℓ이상의 농도에서는 상당히 어두운 도금 피막이 형성되었다.
바. 황산염
황산염은 도금용액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도금액 내의 주된 음이온이 된다. 그 양은 정해져 있지 않으며 그 범위도 사용되는 황산염의 종류에 따라 매우 넓다. 어떤 도금용액의 경우에는 전체의 다른 음이온 양에 비해 극히 적은 량으로도 존재할 수 있다. 황산염은 전도성염의 음이온으로, 암모늄 또는 크롬염의 음이온으로 황산이 도금액에 주로 도입되는데 주로 크롬염의 음이온으로 도입된다. 통상 황산염의 농도는 0.4 몰 내지 1 몰 범위가 적절하며 할로겐화물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농도 조건이 상관성이 있다.
사. 도금활성화제
이 성분은 도금액의 조성에 따라 다양하게 주입될 수 있으며 도금의 광택성을 요하는 경우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들 성분은 철, 코발트, 니켈, 망간, 알루미늄 등의 성분으로서 자신들의 가용성 염화물이나 황산염 형태로 도금액에 도입된다. 본 발명에서는 황산알루미늄(Al2(SO4)3)이 사용되었으며 농도는 0.1 mol/ℓ내지 1.0 mol/ℓ정도가 적당하다. 1.0 mol/ℓ이상 주입되면 낮은 전류밀도 영역에서 전착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0.1 mol/ℓ 미만으로 너무 낮으면 도금 피막의 박리 현상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3가 크롬도금용액은 필수적으로 상기의 화합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금공정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화합물 이외의 미량의 다른 화합물이 더 포함될 수 도 있다. 즉 크롬 도금을 방해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은폐력을 감소시키지도 않으며 독성을 유발시키지 않는 물질은 도금액의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허용량은 도금공정의 조건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3가 크롬도금액은 6가 크롬도금의 주성분인 크롬산(CrO3)에 환원제인 아황산나트륨(Na2SO3)을 가하여 환원반응시키고 크롬원을 3가인 황산크롬(Cr2(SO4)3)으로 변환한 것을 도금액의 기본으로 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도금액 중의 크롬 농도는 0.5 mol/ℓ이며, pH는 2.5로, 이 용액을 헐셀(Hull cell) 시험을 하면 20∼40 A/dm2사이에 도금이 전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착된 도금은 저전류 영역에서 회색빛을, 고전류 영역에서는 검은색을 띠는데, 소지의 저전류밀도 및 고전류밀도 영역 일부분에서만 도금이 되어 크롬금속이온이 제대로 전착되었다고는 볼 수는 없다. 이러한 현상은 용액 중에 포함되어 있는 크롬 금속이온이 음극 소지 표면에 제대로 전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크롬금속이온의 전착을 돕기 위한 착화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옥살산나트륨(Na2C2O4)을 0.1 mol/ℓ에서 0.9 mol/ℓ되게 변화시키고, 착화제를 첨가하여 크롬금속이온의 전착을 향상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조성물은 헐셀(Hull cell) 시험한 결과 5∼35 A/dm2 범위에서 도금이 형성되었다. 한편, 옥살산나트륨(Na2C2O4)의 첨가량이 0.1 몰 미만인 경우에는 크롬금속이온의 전착 향상에는 효과가 없었으며, 0.9몰 이상 되면 저전류밀도에서는 도금이 이루어지나 고전류밀도에서 도금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옥살산나트륨(Na2C2O4 )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졌다. 그러나 착화제로서 적절한 농도의 옥살산나트륨(Na2C2O4)을 첨가한 조성의 경우인 도금 형상 역시 광택이 나는 도금이 아니라 저전류밀도에서는 흰색, 고전류밀도에서는 검은색에 가까운 도금이 형성되었다.
이어 착화제가 첨가된 조성물에 광택 도금을 얻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황산알루미늄(Al2(SO4)3) 0.1∼1 mol/ℓ을 사용한 바, 그 결과물은 헐셀(Hull cell) 시험을 결과 전착된 도금이 금속(metal)광택과 비슷했다. 그러나 황산알루미늄(Al2(SO4)3)의 첨가량이 1 mol/ℓ 이상 되면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도금되는 전류밀도 영역이 좁아졌고 고전류밀도 영역에서 도금이 벗겨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부분적으로 백색 구름도 발견되었다.
이에, 고전류밀도 영역에서 도금이 벗겨지는 현상과 좀 더 매끄러운 도금을 확보하기 위해 불화나트륨(NaF) 0.1∼0.6 mol/ℓ이 첨가되어야 한다. 불화나트륨(NaF)이 첨가된 3가 크롬도금액의 경우 앞서 제조된 도금액에서 나타나는 고전류밀도에서의 도금 벗겨짐, 백색 구름의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완전히 해소되었으며, 전류밀도 5∼30 A/dm2 영역에서 밝은 광택의 도금이 형성되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3가 크롬도금액은 3가의 크롬을 이용하므로 환경오염의 문제를 유발하지 않으며, 저렴한 크롬산(CrO3)을 환원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매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조된 3가 크롬도금액의 특성이 6가 크롬도금과 3가 크롬도금의 중간에 가깝기 때문에 기존의 3가 크롬도금액에서 문제가 되는 어두운 광택도금이 형성되는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10)

  1. 황산크롬염(Cr2(SO4)3) 0.1∼1.3 mol/ℓ에 대하여, 전도도개선제로서 강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 0.2∼1.2 mol/ℓ, 착화제로서 카르복실산염 0.1∼0.9 mol/ℓ, 표면활성화제로서 할로겐화물 0.1∼0.6 mol/ℓ 및 도금활성화제로서 가용성 염화물 또는 황산염 0.1∼1.0 mol/ℓ이 첨가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촉매제로서 황산염 0.4∼1 mol/ℓ이 더 첨가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크롬염은 6가의 크롬산(CrO3)이 환원제인 아황산나트륨(Na2SO3) 또는 아황산칼륨(K2SO3)에 의해 환원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도개선제는 황산나트륨(Na2SO4)와 황산칼륨(K2SO4)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제는 옥살산나트륨(Na2C2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활성제는 불화나트륨(Na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의 pH가 1.2∼4.5가 되도록 산화제가 더 첨가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활성제는 철, 코발트, 니켈, 망간 또는 알루미늄 성분이 선택적으로 포함된 가용성 염화물이나 황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활성제는 황산알루미늄(Al2(SO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
  10. 6가 크롬을 보유한 크롬산(CrO3)을 환원제인 아황산나트륨(Na2SO3) 또는 아황산칼륨(K2SO3)를 이용하여 황산크롬(CrO3)으로 환원하는 환원단계와;
    상기 황산크롬(CrO3)에 대하여 강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에서 선택되는 전도도개선제, 착화제인 카르복실산염, 표면활성화제인 할로겐화물 및 가용성 염화물 또는 염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도금활성화제를 첨가하는 첨가제 첨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030086078A 2003-11-29 2003-11-29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572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078A KR100572486B1 (ko) 2003-11-29 2003-11-29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078A KR100572486B1 (ko) 2003-11-29 2003-11-29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214A true KR20050052214A (ko) 2005-06-02
KR100572486B1 KR100572486B1 (ko) 2006-04-19

Family

ID=3724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078A KR100572486B1 (ko) 2003-11-29 2003-11-29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4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711B1 (ko) * 2007-03-30 2008-09-17 한국기계연구원 3가크롬 도금액
KR101102471B1 (ko) * 2010-01-13 2012-01-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리금속판에 저방사율 및 고흡수율의 친환경 블랙 황산크롬 도금액
KR101646160B1 (ko) * 2015-11-13 2016-08-08 (주)에스에이치팩 내식성이 우수한 크롬도금액
US20220403538A1 (en) * 2019-10-31 2022-12-22 Coventya S.P.A. Sulfate based, ammonium free trivalent chromium decorative plating proces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19B1 (ko) * 2008-08-08 2010-06-29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용 비크롬계 코팅제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전기강판과 그 제조방법
KR101077890B1 (ko) 2008-12-26 2011-10-31 주식회사 포스코 아연-니켈 전기 도금액용 첨가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아연-니켈 전기 도금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연-니켈전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EP2899299A1 (en) * 2014-01-24 2015-07-29 COVENTYA S.p.A. Electroplating bath containing trivalent chromium and process for depositing chromiu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711B1 (ko) * 2007-03-30 2008-09-17 한국기계연구원 3가크롬 도금액
KR101102471B1 (ko) * 2010-01-13 2012-01-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리금속판에 저방사율 및 고흡수율의 친환경 블랙 황산크롬 도금액
KR101646160B1 (ko) * 2015-11-13 2016-08-08 (주)에스에이치팩 내식성이 우수한 크롬도금액
US20220403538A1 (en) * 2019-10-31 2022-12-22 Coventya S.P.A. Sulfate based, ammonium free trivalent chromium decorative plating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2486B1 (ko)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5176B1 (en) Electroplating bath and method for producing dark chromium layers
US4092226A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metal surfaces by electro-deposition of metal coatings at high current densities
JP5796083B2 (ja) 暗色クロム系電着物
CA2864415C (en) Color control of trivalent chromium deposits
CN108456898B (zh) 一种低浓度硫酸盐三价铬快速镀铬电镀液及其制备方法
JPS5930797B2 (ja) バナジウム還元剤を用いる3価クロム電解液およびその方法
CN102352521B (zh) 一种环保滚镀型三价铬电镀液及其滚镀方法
KR100572486B1 (ko) 3가 크롬도금액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US4142948A (en) Chromium deposition solution
CA1209089A (en) Electrodeposition of chromium and its alloys
CA1209086A (en) Electrodeposition of chromium and its alloys
US4543167A (en) Control of anode gas evolution in trivalent chromium plating bath
CN204585986U (zh) 镀镍-铬部件
US4591416A (en) Chromat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reating zinc-nickel alloys
US4521282A (en) Cyanide-free copper electrolyte and process
US4466865A (en) Trivalent chromium electroplating process
KR20100121399A (ko) 니켈플래쉬 도금용액, 전기아연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4439285A (en) Trivalent chromium electrolyte and process employing neodymium reducing agent
US4428804A (en) High speed bright silver electroplating bath and process
EP0088192A1 (en) Control of anode gas evolution in trivalent chromium plating bath
KR100506394B1 (ko) 도금층 조도 및 백색도가 양호하고 표면탄 도금이 억제되는 아연-니켈 합금전기도금액
KR100419655B1 (ko) 아연-니켈 합금전기도금용액을 이용한 아연-니켈 합금전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CA3155524C (en) Sulfate based, ammonium free trivalent chromium decorative plating process
JPH0578882A (ja) ニツケル−リン合金メツキの形成方法
CA1180676A (en) Electrolytic nickel plating bath containing amine, borate and conductivity sa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