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2043A -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2043A
KR20050052043A KR1020030085871A KR20030085871A KR20050052043A KR 20050052043 A KR20050052043 A KR 20050052043A KR 1020030085871 A KR1020030085871 A KR 1020030085871A KR 20030085871 A KR20030085871 A KR 20030085871A KR 20050052043 A KR20050052043 A KR 20050052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rmanium
mixed
ore
fine powder
micro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조
Original Assignee
박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조 filed Critical 박만조
Priority to KR1020030085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2043A/ko
Publication of KR20050052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04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5/00Fertilisers containing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모광(雲母鑛), 견운모광(絹雲母鑛), 장석광(長石鑛), 백운석광(白雪石鑛), 불석광(拂石鑛), 게르마늄광, 회토류광, 목초액, 식물성 활성 효소액, 해수액 등을 이용하여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The Recipe of Life-Activating Fertilizer For Environment-Friendly Farming}
1. 본 발명은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모광(雲母鑛), 견운모광(絹雪母鑛), 장석광(長石鑛), 백운석광(白雲石鑛), 불석광(彿石鑛) 게르마늄광, 희토류광과 참나무 목초액, 식물성 활성 효소액(植物性活性酵素液), 해수액(海水液) 등을 이용하여 환경농업(環境農業)에 적합한 환경농업 활성비료를 제조하여 농업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며, 환경농업을 실천하는 환경친화적인 농업을 발전시키는 새로운 방법이다. 상기 운모광과 백운모광은 천연적으로 Mgo성분인 마그네슘이 식물 엽록소의 구성 또는 인산의 흡수와 토양 개량에 효과가 있고, 견운모광과 장석광은 K2o 성분인 카리가 식물세포의 분열 또는 식물의 신진대사와 촉매작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음이온과 원적외선(遠赤外線)의 방사율이 높아 토양속의 물분자를 전리(電離)시키고, 산성화된 토양을 약알칼리성으로 개량하고, 이로 인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한다. 불석광은 토양속의 경수염화제(硬水鹽化劑) 또는 양이온 교환성을 이용한 토양 개량과 그의 흡착력으로 비료성분을 충분하게 흡수하여 비료의 유실을 방지하고, 염기교환작용(鹽基交換作用)으로 산성토양을 중화(中和)할 뿐 아니라 수분을 흡수하여 가뭄과 동해(凍害)를 방지하고, 토양속의 중금속을 흡수한다. 이와 같은 여러 기능을 갖는 불석에 여타비료와 혼합하여 야채, 화초, 과수에 시비하면 불석이 천연적으로 갖는 각종 미량원소가 각 작물의 성장을 촉진하게 된다.
산화게르마늄광은 31%의 수용성(水溶性)을 가진 수용성 게르마늄 성질을 가진 광물이며, 무기게르마늄광은 뜨거운 물에 미량 용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나 물분자의 "이온"화 작용은 산화게르마늄보다 우수한 것으로 보여 진다. 이들 게르마늄광이 물분자를 "이온"화시켜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 존재비율을 증가시키게 되면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는 어떠한 물질이든지 물질을 용해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잔류농약 분해 작용을 하게 한다. 산화게르마늄 또는 무기게르마늄이 부분적으로 용해됨으로서 식물들이 이의 용해된 게르마늄원소 "이온"을 흡수함으로서 각 농작물에 산삼의 주요원소인 "유기게르마늄" 성분을 흡수 배태시키는 작용을 하게하고, 이와 같이 농작물에 배태한 유기게르마늄 쌀로 하루 3끼씩 한 평생을 음용할 수 있다면 이의 유기게르마늄이 사람의 생체조직에 존재하는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 또는 산성체액을 약알칼리성 체액으로 환원하게 한다든가, 노화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등의 작용 뿐 아니라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작용 등으로 인하여 21세기 최대의 환경농업 혁명을 이룩하게 된다.
도3 게르마늄 원자의 물분자 "이온화"작용 개념도 부호①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세포막에 직접 접촉해서 세포막을 에워싼 물막을 A층이라고 하고(세포내액이라고도 한다). A층에 접촉해서 세포막을 에워싼 물막은 B층이라고 하고, B층에 접촉해서 에워싼 물막은 C층이라고 한다(세포외액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A, B, C층의 물막 중 A층의 물막은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가 아니고서는 이 지구상에서 세포막에 접촉해서 세포막을 에워쌀 물질은 어디에도 없다. 6각 고리구조인 물분자는 게르마늄원자가 물분자와 접촉할 때 그의 전위작용(電位作用)에 의하여 물분자가 6각 고리구조로 환원하는 순간을 지속적으로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우리들이 볼 수 있는 눈 또는 결빙된 얼음을 확대경으로 들여다보면 아름다운 6각형의 눈얼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고정(固定)되어있는 6각형의 얼음덩어리인데 반하여 게르마늄의 "이온"화 작용으로 환원된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순간적으로 6각 고리구조로 되었다가 없어지고 또다시 순간적으로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로 나타나는 이합집산(離合集散)을 되풀이한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게르마늄원자만이 물분자를 "이온"화하는 것은 아니고 맑은 물에 칼슘 또는 비타민C를 투여하면 칼슘"이온"과 비타민C"이온"을 발생시키면서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가 순간적으로 이합집산을 되풀이하는 것으로 보여 지며, 태초에 우주가 발생해서 수소원자 2개와 산소원자 1개가 화학적 결합으로 우리들이 볼 수 있는 물분자를 탄생시킬 때의 그 물분자는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를 탄생시키게 되었는데, 주위 환경의 오염으로 인하여 수소원자를 회전하고 있던 전자가 순간적으로 튕겨나감으로서 그로인하여 그 물분자는 산성 쪽으로 기우러져서 종국에는 "클러스터" 상태를 거쳐 부패하게 된다.
이와 같은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는 어떠한 물질이든 용해(溶解)시키는 기능이 있어 산소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미량원소를 용해시켜 미량원소 "이온"과 칼슘"이온" 등을 그의 성분인양 가지고 있으면서 각 생물의 세포막을 A층으로 에워싸고 그의 삼투압작용으로 세포막 속에 들어가서 "미토콘드리아"라고 하는 기관에 흡수 연소(吸收燃燒)시켜 그가 가지고 있던 용존산소(溶存酸素)"이온", 칼슘"이온" 등 각 미량요소 "이온"을 각 세포에 공급함으로서 각 세포를 활성화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미토콘드리아"에서 에너지로 바뀌는 과정에서 산성물질인 "엔트로피" 등을 발생시켜 이를 세포 밖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사람의 경우 100조개에 달한다는 하나하나의 세포를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가 에워싸게 되는데, 이는 건강하다고 하는 사람의 생체조직에는 62%가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로 구성되고 이의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가 각각의 세포에 대하여 각 미량원소 등 영양물질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람이든 식물이든 생명을 가지고 있는 한 그의 하나하나의 세포막을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만이 세포막을 에워싸고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생명활동을 하게 된다. 사람의 건강 또는 식물의 건강척도는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를 그 생체조직이 얼마나 가지고 있느냐에 달려있다 할 것이다.
도3의 부호②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게르마늄의 물분자 "이온"화 현상이 세포막을 거처 세포핵의 염색체나 염색체속의 유전자에까지 생명활동의 정보를 전사하게 된다.
상기 운모광, 견운모광, 장석광, 백운석광, 불석광, 몬모리로 나이트광, 참나무 목초액, 식물성 활성 효소액, 해수액과 게르마늄, 희토류가 함께 용도에 따라 토양 속에 어우러질 때 토양은 산성에서 약알칼리성으로 물분자는 "클러스터"에서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로 잔류농약은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에 의하여 분해 되어지고, 마그네슘"이온", 카리"이온", 규산"이온", 참나무 목초액과 식물성 활성 효소액, 해수액이 갖는 길항작용의 각 "이온"과 게르마늄"이온", 희토류가 갖는 각 미량요소 "이온"이 환경농업 활성비료로서 21세기 환경농업을 선도할 것 이다.
2. 환경농업 활성비료를 시비한 토양에서 재배한 각 농작물에서는 산삼 또는 고려인삼의 주성분인 유기게르마늄원소를 함유한 쌀, 무, 배추를 생산할 수 있다.
게르마늄원소는 유기게르마늄과 무기게르마늄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는데, 식물에서 검출된 게르마늄은 유기게르마늄원소이고, 광석에서 함유된 게르마늄은 무기게르마늄원소로 산출된다.
유기게르마늄원소는 인간의 생체조직에 들어가게 되면 생체조직에 산소를 활성화시키고 이로 인한 게르마늄이온화 작용으로 사람의 체액을 산성 체액에서 약알칼리성 체액으로 환원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무기게르마늄은 비중이 금속과 같이 무거워 중금속으로, 이것을 체내에 투입되면 중금속으로 체내에 잔류하면서 활성산소를 발생시켜 생체조직에 치명적인 영향으로 사망케 할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무기게르마늄원소는 트랜지스터나 반도체 제조용 또는 음반기기 제조용 등으로 사용되는 것을 그것을 모르고 과량 복용한 사건이 일본에서 발생하여 사람이 사망하였기 때문에 게르마늄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유기게르마늄과 무기게르마늄을 혼돈하여 위기의식을 느끼게 하고, 기존의 제약업체나 악의(惡意)를 가진 사람들이 그 사건을 부풀려서 발생한 해프닝이었다.
예로부터 산삼이나 고려인삼은 수천년을 보약으로, 또는 가장 비싼 값으로 유통되었고, 그 약효는 신비할 정도로 놀라운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사실은 오늘에 있어서도 변함이 없이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신비의 효과가 있는 유기게르마늄을 농업용 비료 "원료"로 사용할 수 없어 무기게르마늄 또는 산화게르마늄을 식물이 잘 흡수할 수 있도록 열(熱)처리하고, 이트늄 등 활성물질과 접촉하게 함으로서 게르마늄전자와의 전자이동(電子移動)으로 활성화시킴으로서 고가(高價)인 게르마늄원소를 소량 사용으로 최대의 경제적 효과를 가지게 한다.
3. 최근에 와서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되었다는 참외 등이 출하되고 있기는 하나 그의 비료가 어떤 방법으로 제조되었는지 확인할 길이 없으나 유기게르마늄 파우더 또는 국내산 광석으로 개발되고 있는 것으로 전하여지고 있다. 본 발병은 팽이버섯 배지를 이용한 부산물을 이용한 유기질 게르마늄 비료를 사용하여 쌀을 생산한바 있고, 게르마늄 액비를 이용하여 무, 배추 등을 재배하여 유기게르마늄이 배태된 무, 배추를 생산한 바 있으며, 본 발명은 광산의 무기게르마늄을 정광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무기게르마늄 파우더 또는 산화게르마늄 파우더를 수용성으로 처리하여 농작물이 이를 흡수하게 하고, 광물의 마그네슘 카리성분과 식물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참나무 목초액과 식물성 활성 효소액을 사용하여 환경 농업을 활성화시키는 비료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환경악화로 인하여 농업환경뿐 아니라 지구환경이 악화일로에 있는 21세기 농업환경을 환경친화적인 "환경농업"으로 개선하여야 할 과제는 산삼의 주성분인 유기게르마늄성분을 각 농작물에 배태시켜 이를 일상의 식생활에서 음용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이미 유기게르마늄이 배태된 쌀알을 생산하여 시중에 일부 유통시키고 있고, 이어서 무, 배추, 밀감 등의 각 작물도 재배되고 또한 성분시험에서도 만족할 만한 성적을 확인하고 있어 본 발명은 이미 기술적 과제를 부분적으로 확립하였다.
본 발명은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그 구성과 작용을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1은 우리주위에 흔히 있는 물은 "클러스터"상태 즉, 물은 자기들끼리 그룹을 지어서 활동한다는 사실이다.
이미 30여년전부터 물분자의 "클러스터"상태를 나타내는 물분자의 이미지 그림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물분자의 "클러스터"상태의 그림이다. "클러스터"의 물은 식물이든 사람이든 어느 것이나 병적요인을 제공할 뿐 아니라 환경의 저해요소인 물질인 것이다.
도2는 물분자의 구조도이다.
부호①은 사슬구조 상태의 물 구조의 한 형태이다.
부호②는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이다. 이의 구조는 모든 생명을 활성화하게 하는 즉, 모든 생명창조에 소중한 생명의 성장작용을 하는 6각형의 물 구조이다. 이의 6각형의 물 구조는 사람의 건강한 생체조직에는 62%의 체액이 6각 고리구조수라 한다.
수소분자는 산소분자와 화학결합으로서 비로소 눈으로 볼 수 있는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가 탄생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6각 고리구조의 물은 게르마늄원소와 접촉하게 되면 게르마늄의 전위작용(電位作用)에 의하여 물분자가 "이온"화 되면서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의 존재 비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부호③은 5각 고리구조의 물분자이다.
이는 전자의 이탈로 6각 고리구조에서 5각 고리구조의 물분자가 형성될 수도 있다.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로 존재하다가 어떤 사정으로 6각 고리구조에 있던 전자(電子) 1개가 튕겨져 나오게 되면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는 붕괴되어 5각 또는 "클러스터"의 물분자로 되어버릴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산성수(酸性水)로서 부패의 시작이 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환경을 저해하고 만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는 물분자이다.
도3은 게르마늄 원자의 물분자 "이온"화 작용 개념도이다.
부호①은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세포막을 직접 에워싸는 A층의 물막이다.
지구의 주위에 대기권이 있고, 또 성층권, 전리층 등 지구를 A, B, C 등으로 둘러싸게 하는 층이 있듯이 세포막을 6각 고리구조수가 A층(A겹)으로 에워싸게 된다는 사실이다. 이를 세포내액이라고도 한다. B층은 A층에 붙었다 떨어졌다 하는 층이고, C층은 B층에 붙었다 떨어졌다하는 층이다. 이의 B, C 층은 세포외액 또는 자유수라고도 한다.
부호②는 게르마늄의 물분자 "이온"화 작용 개념도이다.
게르마늄의 "이온"화 작용이라 함은 게르마늄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위작용(電位作用)에 의하여 "클러스터"상태의 물 구조를 와해시키고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를 환원시키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클러스터"상태의 물분자는 이미 산성 쪽으로 기울어진 오염수인 것이다. 인간의 생체조직을 구성하는 세포가 100조개에 달한다고 하는 하나하나의 세포막을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가 A층으로 에워싸게 되는데 이의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는 그 질량이 이 지구상에서 제일 가볍고 미세하여 어떠한 물질이든 스며들어가서 그 물질을 용해하는 성질이 있어 물과 함께 있는 산소를 용해해서 용존산소를 다량 함유할 뿐 아니라 칼슘 등 미량원소 "이온"을 함유하고 있어 이들 A층의 6각 고리구조 수가 그의 삼투압작용에 의하여 세포막 안으로 자유로이 침투하면서 그가 함유하고 있는 각종 미량원소"이온"을 "미토콘드리아"가 흡수 연소하여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사람의 생체조직을 36℃로 유지하는 것과 같이 이의 6각 고리구조 수는 식물의 각 세포 속에 들어가서 각종 미량원소를 공급하고 식물의 생명활동을 하게하는 생명의 어머니인 것이다.
이와 같은 "미토콘드리아"의 연소 흡수과정에서 발생하는 "엔트로피"수소가스(H+) 등의 산성물질은 세포 밖으로 배출시키는 작용까지 이의 6각 고리구조 수가 담당한다.
이 지구상에서 각 생명의 세포막을 침투하는 물질은 이의 6각 고리구조 수 뿐이라는 사실을 알아야한다. 사람 또는 식물이 얼마나 건강한가 하는 잣대는 6각 고리구조수를 얼마나 체내에 가지고 있느냐에 달려있는 것이다.
도4는 게르마늄 원자의 전자배치 평면 구조도이다.
부호①은 게르마늄의 전자이다.
이의 전자는 게르마늄 둘레의 4개의 괘도에 32개의 전자가 분산 배치되는데 바깥괘도에 4개의 전자가 배치되어있다.
부호②는 게르마늄원자이다.
이의 원자는 중심의 게르마늄의 핵 속에 게르마늄의 양성자와 중성자가 존재하고 그의 둘레에 4개 괘도에 32개의 전자가 배치되어 쉴새없이 지속적으로 회전운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마치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회전하듯이 말이다.
부호③은 4개의 게르마늄괘도가 게르마늄원자 핵을 에워싸고 회전하는데 바깥쪽 괘도에 있는 4개의 전자는 외부에서 들어온 이트늄 등의 전자와 접촉하게 되면 바깥쪽 4개의 게르마늄전자 가운데 1개의 전자가 튕겨 나오게 되고, 그 튕겨 나온 빈자리에 이트늄 등의 전자가 이동하여 가는 이합집산(離合集散)운동이 되풀이 되면서 게르마늄의 전위작용이 활성화되어 게르마늄의 "이온"화 작용이 활성화되어 6각 고리구조 수의 존재비율을 증가시키고 "엔트로피" 등 산성물질을 배출하여 생명활동을 더욱 촉진시키게 된다.
도5는 게르마늄원자의 6각 구조 평면도이다.
부호①은 게르마늄원자이고 게르마늄원자 6개가 산소원자 12개를 각 2개씩 가지고 있다.
부호②는 산소원자이고 이는 게르마늄원자 6개가 산소원자 12개를 2개씩 가지고 있다. 이들 게르마늄원자와 산소원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음"이온"은 산소를 활성화 시키고 또한 음"이온"은 노화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 등을 분해하고 체액을 약알칼리성으로 환원시키는 작용을 되풀이한다.
도6은 수소원자의 6각 구조 평면도이다.
부호①은 수소원자 12개가 산소원자 6개에 각각 2개씩 분산 배치되어 있다.
부호②는 산소원자 6개가 수소원자 12개를 각 2개씩 분산 배치되어있다.
이는 수소원자 2개가 산소원자 1개와 화학적 결합함으로서 눈으로 볼 수 있는 물분자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기게르마늄 또는 산화게르마늄은 이와 같은 물분자와 접촉함으로서 6각 고리구조수를 발생시키는 "이온"화 작용을 할뿐 아니라 수용성으로 게르마늄이 용해되어 각 농산물들이 수용성으로 용해된 게르마늄을 흡수하면서 유기게르마늄으로 변화시켜 사람이 이를 조석으로 한 평생 음용하게 됨으로서 성인병을 예방하여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고, 농작물 신선도는 물론 생장을 촉진하게 하는 기능까지 있어 환경악화 일로에 놓여있는 21세기의 환경농업을 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그네슘 성분을 주로 하여 제조하는 운모광, 백운석광 중심의 파우더에 목초액과 게르마늄 및 게르마늄의 전자를 활성화시키는 희원소광으로 제조되는 비료(환경농업 활성비료 1호).
위 환경농업 활성비료 1호에 식물성 활성 효소액인 식물영양비료(2호).
위 환경농업 활성비료 1호, 2호에 해수액, 목초액, 식물성 활성 효소액으로 박테리아의 길항작용(指抗作用)에 의한 토양환경으로 식물의 내병성을 강화시키는 등의 각 작용을 하는 3호 비료.
카리성분을 주로 하여 제조하는 견운모광과 장석광 중심의 파우더에 목초액, 게르마늄과 게르마늄의 전자를 활성화시키는 희원소광으로 제조되는 비료(환경농업 활성비료 4호).
위 환경농업 활성비료 4호에 식물성 활성 효소액인 식물영양비료(환경농업 활성비료 5호).
위 환경농업 활성비료 4호, 5호에 해수액, 목초액, 식물성 활성 효소액으로 박테리아의 길항작용에 의한 토양환경으로 식물의 내병성 강화시키는 등의 각 작용을 하는 비료(환경농업 활성비료 6호 비료).
농업용 토양개량제로서 제조하는 불석광 중심의 파우더에 목초액, 게르마늄과 게르마늄의 전자를 활성화시키는 희원소광으로 제조되는 비료(환경농업 활성비료 7호).
위 환경농업 활성비료 7호에 식물성 활성 효소액인 식물영양비료(환경농업 활성비료 8호).
위 환경농업 활성비료 7호, 8호에 해수액, 목초액, 식물성 활성 효소액으로 박테리아의 길항작용에 의한 토양환경으로 내병성을 강화시키는 등의 각 작용을 하는 9호 비료를 제조함으로서 환경농업 활성비료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환경악화 일로에 처한 우리나라의 농업환경을 환경친화적 환경농업을 전개할 수 있고, 각 농작물에 유기게르마늄이 배태된 각 농작물을 한평생 지속적으로 음용할 수 있어 명실공히 21세기 유기게르마늄 환경농업으로 국민의 건강을 활성화시키는 일석이조(一石二鳥)의 효과를 맞이하게 된다.
도1은 액체상태의 물분자 구조 개념도이다.
이 개념도는 "클러스터"상태의 물분자 이미지를 나타내는데 자주 인용되는 개념도이다.
도2는 물분자의 구조도이다.
이는 사슬구조, 6각형 고리구조, 5각형 고리구조의 이미지를 나타내게 한 구조이다.
도3은 게르마늄원자의 물분자 "이온"화 작용 개념도이다.
이는 게르마늄을 물에 접촉시키면 게르마늄의 전위작용(電位作用)에 의하여 물은 "이온"화된다.
도4는 게르마늄원자의 전자배치 평면구조도이다.
이는 게르마늄의 32개 전자배치상태를 나타내게 한 평면구조도이다.
도5는 게르마늄원자의 6각 구조도이다.
이는 게르마늄의 구조를 나타내게 한 평면구조도이다.
도6은 수소원자의 6각 구조도이다.
이는 수소의 구조를 나타내게 한 평면구조도이다.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도1은 "클러스터"상태의 물분자 이미지를 나타내게 한 도면이다.
이의 도면은 이미 30여년 전부터 물분자의 "클러스터"상태를 나타내는데 인용되고 있다. 도면에서 보이는바와 같이 "클러스터"상태 속에서도 6각 고리구조를 한 물분자가 혼합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2는 물분자의 구조도이다.
부호①은 사슬구조 상태의 물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구조는 산소원자 4개에 수소원자 8개의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오염된 주위환경으로 인하여 산성 쪽으로 기우러진 물분자이다. 산성 쪽으로 기우러진 물은 이미 부패의 시작인 물분자임으로 생체조직에 병적요인(病的要因)을 줄뿐 아니라 환경을 저해한다.
부호②는 6각형 고리구조의 물 구조이다.
이 구조는 산소원자 6개에 12개의 수소원자를 가지고 있다. 이 구조는 환경이 오염되지 아니한 곳 또는 게르마늄과 접촉한 전위작용이 있는 곳 또는 토륨 등으로 인하여 물분자의 전리작용(電離作用) 이 있는 곳, 또는 물의 전기분해작용이 있는 곳에서 6각 고리구조의 물 분자가 발생하고, 이의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는 새로운 생명을 탄생시키고 생명을 성장하는 기능을 갖는다.
부호③은 5각 고리구조를 갖는 물분자이다.
이는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 구조로 형성되기 직전의 물분자 또는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에서 어떤 사정으로 전자(電子)의 이탈이 있을때 6각 고리구조의 존재비율은 점차 감소하는 대신 5각 고리구조의 물분자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3은 게르마늄원자의 물분자 "이온"화 작용 개념도이다.
부호①은 세포막에 3층이 물막이 에워싸고 있는 개념도이다.
A층의 물막은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이고, 이를 세포내액이라 한다.
B층의 물막은 A층에서 붙었다 떨어졌다하는 물막이고,
C층의 물막은 B층에 붙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하는 물막으로서 B,
C층의 물막은 세포 외액 또는 자유수라고도 한다.
부호②은 게르마늄의 물분자 "이온"화 작용개념도이다.
게르마늄의 물분자라 함은 게르마늄을 물에 접촉시키면 "클러스터"상태의 물분자가 게르마늄원자로부터 발생하는 전위작용(電位作用)에 의하여 "클러스터" 구조를 와해시키고,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를 발생 즉, 6각 고리구조로 환원시키는 작용을 한다.
"클러스터" 상태의 물분자는 이미 오염된 환경에서 산성 쪽으로 기우러진 물분자이다. "클러스터"의 물분자는 환경을 저해하는 작용을 할 뿐 생체조직에 병적요인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한다.
인간의 생체조직을 구성하는 세포가 100조개에 달하는 하나하나의 세포막을 6각 고리구조의 물막이 에워싸게 되는데 이의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는 산소, 또는 칼슘 등 어떠한 물질들을 용해시키는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용존산소, 칼슘, 비타민C 등 여러 가지 미량 원소 "이온"을 함유한 채 그의 삼투압 작용으로 세포막 속으로 들어가서 그가 가지고 있는 각 미량원소"이온" 등을 "미토콘드리아"라고 하는 기관에 흡수 연소 시켜서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그 흡수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소가스(H+) 등은 세포 밖으로 배출시키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 지구상에서 각 생명체의 세포막을 자유롭게 침투하는 물질은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 밖에 없다. 이의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는 모든 생명의 젖줄이며, 모든 생명의 어머니이며, 그 사람이 건강한가, 또는 얼마나 건강한가 하는 기준은 그 사람의 생체조직 속에 6각수의 존재비율이 얼마나 차지하고 있는가에 달려있는 것이다. 식물을 포함한 모든 생명의 건강 기준도 사람과 동일한 것이다.
도4는 게르마늄원자의 전자배치 평면 구조도이다.
부호①은 게르마늄의전자이다.
이의 전자는 32개이고 게르마늄원자 중심으로 쉴 사이 없이 회전운동을 하고 있다.
부호②의 Ge는 게르마늄원자이다.
이의 원자는 게르마늄원자를 중심으로 4개의 괘도에 32개의 전자가 게르마늄 원자를 에워싸고 회전하고 있다.
부호③은 4개의 괘도가 게르마늄원자를 에워싸게 된다.
이의 4개 괘도 가운데 바깥쪽 제도에 4개의 게르마늄전자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이트늄전자 또는 베릴륨전자와 접촉하였을 때 4개의 전자 중 1개의 전자가 밖으로 튕겨 나오게 되고 그 튕겨 나온 빈자리에 이트늄전자 또는 베릴륨전자가 이동하면서 각 전자들이 이합집산(離合集散)을 되풀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게르마늄원자는 전위가 상승하여 더욱 활성화되면서 물분자를 "이온"화시켜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 존재비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도5는 게르마늄원자의 6각 구조 평면도이다.
부호①은 게르마늄원자이고 게르마늄원자 6개가 산소원자 12개를 각 2개씩 가지고 있다.
부호②는 산소원자이고 게르마늄원자 6개가 산소원자 12개를 가지고 있다. 이는 게르마늄원자 1개와 산소원자 2개가 결합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음이온은 산소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6은 수소원자의 6각 구조 평면도이다.
부호①은 수소원자 12개가 산소원자 6개에 각 2개씩 분산배치 된다.
부호②는 산소원자 6개가 수소원자 12개를 각 2개씩 분산되어 있다.
이는 수소원자 2개가 산소원자 1개와 화학결합으로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를 발생시키고, 6각 고리구조의 물분자는 새 생명을 탄생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게르마늄원자는 산소원자와 결합해서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음이온은 산소를 활성화시킨다.

Claims (7)

  1. 무기게르마늄 미세파우더 또는 산화게르마늄 미세파우더와 이들 게르마늄전자를 활성화시키는 희원소광 중 토륨광, 이트늄광, 질코늄광, 티타늄광, 베릴늄광 중 한 두 가지의 희토류광을 동일비율로 혼합한 미세파우더 1g이상의 량을 생수 1리터에 각반하여 이를 섭씨 90℃내지 100℃에 2시간 내지 12시간 가열한 용액(溶液)을 참나무 목초액, 식물성 활성 효소액, 해수액을 동일비율로 혼합 각반한 10리터의 액체에 혼합 각반하여 이의 액체를 운모광 미세파우더와 백운석광 미세파우더를 동일비율로 혼합한 미세파우더 1,000kg에 스프레이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과 이와 유사한 제조방법.
  2. 상기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무기게르마늄 미세파우더 또는 산화게르마늄 미세파우더와 이들 게르마늄전자를 활성화시키는 희원소광 중 토륨광, 이트늄광, 질코늄광, 티타늄광, 베릴늄광 중 한 두 가지의 희토류광을 동일비율로 혼합한 미세파우더 1g이상의 량을 생수 1리터에 각반하여 이를 섭씨 90℃ 내지 100℃에 2시간 내지 12시간 가열한 용액(溶液)을 참나무 목초액 10리터의 액체에 혼합 각반하여 이의 액체를 운모광 미세파우더와 백운석광 미세파우더를 동일비율로 혼합한 미세파우더 1,000kg에 스프레이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과 이와 유사한 제조방법.
  3. 상기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무기게르마늄 미세파우더 또는 산화게르마늄 미세파우더와 이들 게르마늄전자를 활성화시키는 희원소광 중 토륨광, 이트늄광, 질코늄광, 티타늄광, 베릴늄광 중 한 두 가지의 희토류광을 동일비율로 혼합한 미세파우더 1g이상의 량을 생수 1리터에 각반하여 이를 섭씨 90℃ 내지 100℃에 2시간 내지 12시간 가열한 용액(溶液)을 식물성 활성 효소액 10리터의 액체에 혼합 각반하여 이의 액체를 운모광 미세파우더와 백운석광 미세파우더를 동일비율로 혼합한 미세파우더 1,000kg에 스프레이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과 이와 유사한 제조방법.
  4. 상기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무기게르마늄 미세파우더 또는 산화게르마늄 미세파우더와 이들 게르마늄전자를 활성화시키는 희원소광 중 토륨광, 이트늄광, 질코늄광, 티타늄광, 베릴늄광 중 한 두 가지의 희토류광을 동일 비율로 혼합한 미세파우더 1g이상의 량을 생수 1리터에 각반하여 이를 섭씨 90℃내지 100℃에 2시간 내지 12시간 가열한 용액(溶液)을 참나무 목초액 10리터의 액체에 혼합 각반하여 이의 액체를 견운모광(絹雲母鑛) 미세파우더와 장석광 미세파우더를 동일비율로 혼합한 미세파우더 1,000kg에 스프레이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과 이와 유사한 제조방법.
  5. 상기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무기게르마늄 미세파우더 또는 산화게르마늄 미세파우더와 이들 게르마늄전자를 활성화시키는 희원소광 중 토륨광, 이트늄광, 질코늄광, 티타늄광, 베릴늄광 중 한 두 가지의 희토류광을 동일 비율로 혼합한 미세파우더 1g이상의 량을 생수 1리터에 각반하여 이를 섭씨 90℃내지 100℃에 2시간 내지 12시간 가열한 용액(溶液)을 식물성 활성 효소액 10리터의 액체에 혼합 각반하여 이의 액체를 견운모광(絹雪母鑛) 미세파우더와 장석광 미세파우더를 동일비율로 혼합한 미세파우더 1,000kg에 스프레이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과 이와 유사한 제조방법.
  6. 상기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무기게르마늄 미세파우더 또는 산화게르마늄 미세파우더와 이들 게르마늄전자를 활성화시키는 희원소광 중 토륨광, 이트늄광, 질코늄광, 티타늄광, 베릴늄광 중 한 두 가지의 희토류광을 동일비율로 혼합한 미세파우더 1g이상의 량을 생수 1리터에 각반하여 이를 섭씨 90℃내지 100℃에 2시간 내지 12시간 가열한 용액(溶液)을 참나무 목초액 10리터의 액체에 혼합 각반하여 이의 액체를 불석광(彿石鑛) 미세파우더 1,000kg에 스프레이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과 이와 유사한 제조방법.
  7. 상기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무기게르마늄 미세파우더 또는 산화게르마늄 미세파우더와 이들 게르마늄전자를 활성화시키는 희원소광 중 토륨광, 이트늄광, 질코늄광, 티타늄광, 베릴늄광 중 한 두 가지의 희토류광을 동일비율로 혼합한 미세파우더 1g이상의 량을 생수 1리터에 각반하여 이를 섭씨 90℃내지 100℃에 2시간 내지 12시간 가열한 용액(溶液)을 식물성 활성 효소액 10리터의 액체에 혼합 각반하여 이의 액체를 불석광(彿石鑛) 미세파우더 1,000kg에 스프레이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과 이와 유사한 제조방법.
KR1020030085871A 2003-11-28 2003-11-28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 KR20050052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871A KR20050052043A (ko) 2003-11-28 2003-11-28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871A KR20050052043A (ko) 2003-11-28 2003-11-28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043A true KR20050052043A (ko) 2005-06-02

Family

ID=3724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871A KR20050052043A (ko) 2003-11-28 2003-11-28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204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1520A (zh) * 2010-07-12 2010-11-24 重庆东方农药有限公司 一种氨基酸叶面肥
KR101123028B1 (ko) * 2011-05-24 2012-03-16 이운옥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
CN102531772A (zh) * 2011-12-13 2012-07-04 福建超大集团有限公司 一种用盐析工艺制备有机钛-植醋铵盐有机肥的方法
KR101219132B1 (ko) * 2010-03-30 2013-01-07 남정우 미네랄을 이용한 미량원소 비료의 제조방법
KR101456538B1 (ko) * 2013-08-06 2014-10-31 박만조 게르마늄 이온수 제조방법 및 게르마늄 이온수를 이용한 농작물 재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132B1 (ko) * 2010-03-30 2013-01-07 남정우 미네랄을 이용한 미량원소 비료의 제조방법
CN101891520A (zh) * 2010-07-12 2010-11-24 重庆东方农药有限公司 一种氨基酸叶面肥
CN101891520B (zh) * 2010-07-12 2012-08-29 重庆东方农药有限公司 一种氨基酸叶面肥
KR101123028B1 (ko) * 2011-05-24 2012-03-16 이운옥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
CN102531772A (zh) * 2011-12-13 2012-07-04 福建超大集团有限公司 一种用盐析工艺制备有机钛-植醋铵盐有机肥的方法
KR101456538B1 (ko) * 2013-08-06 2014-10-31 박만조 게르마늄 이온수 제조방법 및 게르마늄 이온수를 이용한 농작물 재배방법
WO2015020439A1 (ko) * 2013-08-06 2015-02-12 Park Man Jo 게르마늄 이온수 제조방법 및 게르마늄 이온수를 이용한 농작물 재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210768A1 (en) Bio-available mineral fertilizer and derivative applications, including product processes
Tian et al. Effect of polymer materials on soil structure and organic carbon under drip irrigation
CA2914547A1 (en) Bio-available mineral fertilizer and derivative applications, including product processes
KR20200057467A (ko) 인삼 수경재배용 규산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CN102807872A (zh) 生物炭混配型设施菜田土壤重金属钝化剂及其制备方法
CN104046365A (zh) 一种土壤净化剂及制备方法
CN104541971A (zh) 一种富有机硒瓜片的生产方法
CN103896692A (zh) 天然绿色富硒锗西瓜营养肥
KR20050052043A (ko)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
CN109181702A (zh) 一种茶叶种植专用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
CN103880511A (zh) 绿色农业元素复合肥
CN102804962A (zh) 一种提高木本果树对硒肥吸收效率的方法
TW202304289A (zh) 鹽鹼土壤綜合優化治理技術
KR101224844B1 (ko) 게르마늄 함유 비료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KR100755779B1 (ko) 천연광물만으로 제공되는 토양개량제 및 그 이용방법
CN102771296A (zh) 一种提高水稻对含硒肥料吸收利用率的方法
KR101253323B1 (ko) 미네랄이 강화된 천일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일염
KR101034372B1 (ko) 인삼의 연작재배가 가능한 복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삼의 연작재배방법
KR20070015251A (ko) 일라이트를 주원료로 한 토양개량제 제조방법과 그토지개량제
CN104891669A (zh) 一种多功能底改剂及其制备方法
CN104531163B (zh) 一种适用盐碱地的矿物质微生物土壤调理剂及其制备方法
CN109206199A (zh) 一种抗盐碱、抗重茬、抗病害的大量元素水溶肥料(中量元素型)及制备方法
Jat et al. Long‐term conservation agriculture helps in the reclamation of sodic soils in major agri‐food systems
KR20050052044A (ko) ˝환경농업 활성액비 및 그 제조방법˝
CN102641668A (zh) 多气源多功能变相式高能水瞬间制取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