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028B1 -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028B1
KR101123028B1 KR1020110049153A KR20110049153A KR101123028B1 KR 101123028 B1 KR101123028 B1 KR 101123028B1 KR 1020110049153 A KR1020110049153 A KR 1020110049153A KR 20110049153 A KR20110049153 A KR 20110049153A KR 101123028 B1 KR101123028 B1 KR 101123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rass
parts
liquid
wood vine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학
이운옥
Original Assignee
이운옥
이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옥, 이용학 filed Critical 이운옥
Priority to KR102011004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3Alg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에 관한 기술로서, 목초액, 액비 및 첨가제의 조성물로 구성되는 잔디관리용 원액과 기능성 첨가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에 있어서, 300-500메쉬의 평균입자 크기를 갖는 희토류 0.5~3중량%를 함유하는 목초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왕겨, 옥수수대 및 깻묵을 혼합한 천연유기물의 총중량 대비 6~8배의 물을 부가한 천연유기물혼합물 85~92wt%, EM원액 3~5wt% 및 당밀 5~10wt%을 혼합하여, 6~9개월 동안 발효시켜 구성되는 액비 100~150중량부와; 첨가제 4~15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관리제원액에 물이 1 : 100~600 중량비로 희석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을 제시하고, 첨가물로 다시마와 미역으로부터 추출된 해초류추출물을 목초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중량부을 더 포함하거나, 목초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400-600mesh의 크기로 분쇄한 해파리가루 3~1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잔디의 병해충 예방과 동시에 잔디에 필요한 비료를 공급해 줄 수 있는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Compositions of managing grass for functionality}
본 발명은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에 관한 기술로서, 목초액에 기능성 첨가물인 액비, 희토류, 해파리분말 및 해초류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환경친화적인 천연 잔디관리제로서 병충해 예방과 동시에 잔디의 생장과 발육 및 번식력을 높여 강한 자생력을 갖도록 하는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서 다양한 문화적 혜택을 선호하고 새로운 문화를 만들면서 잔디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레저, 운동경기 등과 같은 스포츠의 발전과 더불어 잔디의 개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병해충에 강한 잔디의 선발육성 및 잔디의 병해충 방제와 토양시비를 위한 잔디관리 수단이 활용되고 있다.
잔디관리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병해충의 방제이다. 그런데 방제작업은 병해충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할 수도 있고, 발생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후에 할 수도 있다. 이 두 가지 대응방안에는 모두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 발생이 예상되는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해서 미리 짜여진 계획에 의해서 방제를 실시하는 것으로 병충해 방제에는 농약 사용이 불가피한 실정으로 사용되는 농약과 비료 등 화학물질의 사용은 환경의 오염을 고려할 때 화학물질의 사용을 줄여야하며 잔디관리를 위해 농약으로 병해충을 방제하더라도 농약은 크든 작든 간에 독성을 갖고 잔류성이 있는 물질이므로 용도에 맞게 정확한 예찰을 통하여 적기에 방제하여 농약사용을 최소화해야 하는 등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잔디는 유기물, 물, 무기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대략 수분 70%, 유기물 27%, 무기물 3%로서 수분이 가장 높고 무기물이 가장 낮다. 잔디에 함유된 화학적 원소는 50여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모두 필요해서 흡수하는 것은 아니며 잔디가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원소 수는 16원소이며 필수원소는 요구 정도에 따라 다량원소와 미량원소로 구분한다. 다량원소는 탄소, 수소, 산소, 질소, 인산, 가리, 칼슘, 마그네슘, 황 등 9종이며, 미량원소는 철, 망간, 구리, 아연, 염소, 붕소, 몰리브덴. 등 7종이다. 탄소, 수소, 산소는 물과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흡수하지만 나머지 다른 성분은 토양으로부터 이온형태로 흡수해야 하는데 무기성분 중 어떤 한 가지 성분이 부족하면 식물의 생육은 그 부족 성분량에 의하여 지배되며, 비교적 다량으로 공급되는 성분량에는 관계되지 않는다. 비료성분을 다양하게 공급할 수 있는 화학비료의 경우 토양의 산성화로 인한 토질약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최근 미생물을 이용하여 잔디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는 농약 등의 살충제 및 비료 등의 사용으로 인한 수질 및 각종 환경오염의 부담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화학 농약과는 다르게 살아있는 미생물 자체 또는 그 기능을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므로 대부분의 미생물 농약은 화학농약에 비하여 효과의 발현이 늦고, 방제 효과가 낮으며 또한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는 단점 때문에 미생물제의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아울러 친환경 잔디관리제에 관해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특허공보 제10-0755189호는 목초액, 유기산,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하는 조류, 이끼, 병해충의 방제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환경오염을 최소화한 병충해 방제에 관한 것이나 잔디의 생육을 위한 시비의 효과는 제시되고 있지 않다. 또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5780호는 목초액, 소금, 초산의 혼합액에 전착액을 첨가한 친환경 제조제에 관한 것으로 제초제의 농약효과를 위한 살포에 불과한 것으로 잔디에 주기적인 병충해 예방과 잔디의 생육을 위한 시비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친환경 관리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축구장 등의 운동시설이나 공원 등에 식재되어 잔디가 주된 역할을 하는 곳에는 녹병, 라지패취 등이 발병하여 치료하는 것보다 방제가 더욱 중요한 것으로 항상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래서 병해충의 방제와 동시에 잔디의 생육을 튼튼하게 할 수 있는 잔디관리제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또한 종래에는 잔디의 병해충 예방을 위해 살포되는 유독성 합성농약제를 사용함으로서 주변환경의 오염과 토양산성화로 유해성분이 축적됨에 따라 악순환이 계속되는데 이를 막을 수 있는 천연농약제를 사용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동시에 잔디의 생육에 필요한 유무기질의 비료성분을 살포해 줌으로서 잔디 관리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목초액, 액비 및 첨가제의 조성물로 구성되는 잔디관리용 원액과 기능성 첨가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에 있어서, 300-500메쉬의 평균입자 크기를 갖는 희토류 0.5~3중량%를 함유하는 목초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왕겨, 옥수수대 및 깻묵을 혼합한 천연유기물의 총중량 대비 6~8배의 물을 부가한 천연유기물혼합물 85~92wt%, EM원액 3~5wt% 및 당밀 5~10wt%을 혼합하여, 6~9개월 동안 발효시켜 구성되는 액비 100~150중량부와; 첨가제 4~15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관리제원액에 물이 1 : 100~600 중량비로 희석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을 제시하고, 첨가물로 다시마와 미역으로부터 추출된 해초류추출물을 목초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중량부을 더 포함하거나, 목초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400-600mesh의 크기로 분쇄한 해파리가루 3~1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잔디의 병해충 예방과 동시에 잔디에 필요한 비료를 공급해 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은 희토류분말을 함유하는 공지의 목초액에 액비와 첨가제로 구성되는 조성물로써 유기산이 풍부한 목초액에 희토류분말을 혼합하여 살충 및 살균효과와 잔디에 필요한 무기질의 비료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으며, 액비의 유기질 비료성분을 첨가함에 따라 잔디의 고른 생육과 병해충을 함께 예방할 수 있으므로 합성농약제에 의한 골프장에서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검은색의 불투수층인 블랙 레이어층이 살균 분해되며 또한, 잔디의 병해충 예방과 동시에 잔디에 유무기질의 비료성분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잔디관리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친환경 잔디관리제로 주변환경과 인체에는 전혀 해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잔디의 병해충을 예방하고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 할 수 있는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300-500메쉬의 평균입자 크기를 갖는 희토류 0.5~3중량%를 함유하는 통상의 식물에 천연농약으로 사용하고 있는 목초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왕겨, 옥수수대 및 깻묵을 혼합한 천연유기물의 총중량 대비 6~8배의 물을 부가한 천연유기물혼합물 85~92wt%, EM원액 3~5wt% 및 당밀 5~10wt%을 혼합하여, 6~9개월 동안 발효시켜 구성되는 액비 100~150중량부와; 첨가제 4~15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관리제원액에 물이 1 : 100~600 중량비로 희석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목초액은 병해충 방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농작물에 천연농약제로 이미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이미 공지된 목초액 제조방법으로 숯굽기나, 목제 등의 건류에 의해 발생되는 기체를 냉각 장치에 의해 액화시켜 채취한 후, 장시간 정지하여 침강되는 타르분을 분리하고 이를 다시 여과나 원심분리 등에 의한 정제과정으로 독성과 유해 물질을 충분히 제거한 액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적합하다. 목초액을 목초(木酢)라 부르는 것은 주성분으로 초산 등과 같은 각종 유기산을 다량 포함하기 때문이며, 그 밖에 미네랄 성분인 칼슘과 메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등의 중성유기물, 폐놀류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그래서 목초액은 PH3정도의 강한 산성으로 강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으며 100~200배로의 고농도로 사용시 선충류, 곰팡이균,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사장시킬 수가 있는데 유해한 미생물은 강하게 살균시켜 주고 반대로 유용한 미생물은 급속히 생성하는 선택적 기능을 발휘한다. 잔디가 식재된 토양 소독과 강산성이지만 유기산이므로 일반적인 무기산과는 달리 토양속에서 1시간이내에 약알카리성으로 변하면서 노화된 토양의 환경을 바꾸어 주게 되어 잔디의 발근 및 발육촉진 효과가 있다.
상기 목초액에 무기물의 살균과 항균성이 뛰어난 희토류를 첨가함으로서 무기물의 비료효과를 겸할 수 있는 것으로 화학원소 주기율표상의 란탄계 15개 원소인 La, Ce, Pr, Nd, Pm, Eu, Gd, Tb, Dy, Er, Tm, Tb, Lu 및 이들과 성질이 유사한 2개 원소인 Y와 Sc를 합한 17개의 희토류원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산화물광물로써 대부분 희토류원소 간의 화학적 성질이 비슷하게 섞여서 산출되므로 미세분말로 분쇄 가공한 분말을 수화제로 희석하여 작물의 발아기, 영양생장 왕성기 와 생식생장초기에 다른 비료 등과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희토류는 목초액에 잘 분산되어 분무 가능한 300~500mesh 정도이면 가능하며 입자크기가 500메쉬 이하에서는 분산이 잘되지 않으며 잔디에 분무 후 손실이 많을 수 있으며, 목초액에 0.5-3wt%를 첨가하여 잘 섞는다. 희토류의 경우 PH7이상의 알칼리성에서는 굳어버릴 수가 있어 목초액과 혼합되는 액비가 약알카리성으로 희토류의 양을 최소로 하면서 산성인 목초액을 사용하여 PH7이하로 유지하면서 잔디에 무기물을 공급할 수 있는 양으로 3wt%미만을 사용하며 희토류가 0.5wt%이하 첨가될 경우 항균효과와 무기질비료의 효과를 거의 볼 수 없다.
또한, 희토류의 항균성은 산성인 용매에서 활성이 강하며 PH7이상의 알카리성에서는 무기물의 고화현상으로 활성이 약화되는 것으로 유기산 등의 산성인 목초액에 희토류를 첨가함으로서 항균성과 잔디에 필요한 무기질을 동시에 공급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목초액과 희토류에 부족한 유기질을 보충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약알카리성인 액비의 첨가량을 PH7의 범위내가 될 수 있도록 첨가량을 정량으로 보충해줌으로서 희토류의 항균성과 유무기질이 골고루 함유된 잔디관리제를 만들 수 있다.
상기 목초액에 무기질의 희토류분말을 혼합한 목초액에 알카리성의 유기물이 풍부한 액비를 보충해줌으로써 목초액과 희토류에 부족한 유기질을 공급하여 병해충 방제와 동시에 유무기질의 천연비료성분을 공급할 수 있는 잔디관리제로서 상기 액비제조에 사용되는 왕겨는 탄소율이 높아 잘 부숙되지 않는 것으로 발효시키거나 태워서 재를 비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왕겨 속에 들어있는 섬유질, 회분 등의 유기물과 칼슘, 마그네슘 등 26종의 무기물을 비료로 활용할 수 있다. 왕겨에는 발효가 잘 될 수 있도록 다당류가 풍부한 옥수수대와 녹말성분이 많은 깻묵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서 태우지 않고 각종 유기물을 활용할 수 있는 액비를 만들 수 있다.
*옥수수대는 아미노산 등의 유기물이 풍부한 것으로 특히 당분이 다량 함유하고 있어 발효가 쉽게 이루어지면 특히 왕겨와 혼합되었을 왕겨의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다.옥수수대의 크기는 깨묵 등과 혼합이 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면 가능하나 5~10cm로 절단된 크기가 바람직하다. 깻묵은 유박(油粕)이라고도 하며 녹말 및 단백질의 함량이 높아서 가축사료로 쓰일 뿐 아니라 유기물과 질소 함량이 많고 인산?칼륨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질소질 성분이 많이 함유하고 있어 비료의 효과가 더디게 나타나는 지효성거름으로 예로부터 자급비료(自給肥料)로 활용되고 있다. 유기질 비료로 잘 알려진 등록된 깻묵비료는 참깨 ? 들깨 ? 깻묵을 비롯해 콩깻묵 ? 채종깻묵 ? 면실깻묵 ? 땅콩깻묵 등 10여 종에 이른다.
액비의 제조공정은 먼저 왕겨와 5~10cm로 절단된 옥수수대 및 깻묵을 각각 1 : 1.5~2.5 : 1~3 중량비로 용기에 넣고 잘 섞는다. 이때 깻묵을 잘게 부수어 왕겨와 옥수수대, 깻묵이 고르게 섞일 수 있도록 하여 왕겨의 발효가 잘 될 수 있도록 한다. 잘 섞은 왕겨, 옥수수대 및 깻묵을 포함하는 천연유기물 총중량 대비 6~8배의 물을 붓고 용기의 바닥부분까지 저어 물이 스며들게 하여 천연유기물혼합물을 만든다. 또한 상기 천연유기물혼합물 85~92wt%에 EM(Effective Microorganisms)원액 3~5wt% 및 당밀 5~10wt%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다음 밀봉시킨다. 밀봉시킨 후 1-2개월동안은 발효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가스를 하루에 한 번씩 배출시켜야한다. 그리고 주변온도를 상온상태로 유지하면서 6~9개월동안 발효시켜 액비를 만든다. 이때 밀폐용기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는데 공기가 들어가면 산소에 의해 산폐가 발생하여 액비에 악취가 날 수 있다.
상기 희토류 분말이 포함된 목초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왕겨, 옥수수대 및 깻묵이 포함된 천연유기물혼합물에 당밀과 EM원액을 넣고 6~9개월 동안 발효시킨 액비 100~15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으로 목초액은 약산성으로 살균 및 항균효과가 있는 희토류가 충분히 잘 분산되어 있으나, 잔디에 필요한 아미노산 등의 무기질이 풍부한 알칼리성의 액비를 150중량부 이상 혼합할 경우 혼합물이 알카리성으로 변해 희토류가 굳어져 항균효과가 약화될 수 있으며 100중량부 이하의 경우는 유기질 비료의 효과가 약화됨으로 상기 범위의 조성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비와 목초액을 혼합한 혼합액은 2~3일 동안 숙성시켜 안정화시킨 다음 잔디에 사용할 때는 중량비로 물을 1 : 100~600으로 희석하여 주 1~3회 정도 뿌려줌으로서 병해충 예방 및 성장촉진용 비료의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타 첨가제는 계면활성제, 광합성촉진제 또는 분산제 중 1종 이상을 목초액 대비 4~15중량부를 포함하고, 미세입자의 희토류 등 분말입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한 계면활성제로 코코베타인, 레시틴, 쟁탄검, 밀납,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등의 천연계면활성제가 사용되며, 잔디의 성장활성을 위해 티타늄화합물을 함유하는 시중에 판매되는 광합성촉진제를 사용하였으며, 희토류 분말과 해파리분말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해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 idone), 폴리올(polyol) 등의 분산제(dispersant)를 첨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해조류 추출물을 더 첨가함으로서 해조류 중 칼슘 등의 무기질이 풍부한 다시마와 요오드, 칼륨 등의 무기질과 아미노산의 풍부한 미역으로부터 잔디에 친환경 비료조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다시마와 미역의 추출물에는 알긴산(alginic acid)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알긴산은 식물의 병해충 방제 효능이 있어 잔디의 병해충예방과 성장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잔디의 미세곤충(진딧물류 등)의 예방과 식물의 표면 활성형 병원균(녹병 등)의 예방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다시마와 미역에 불순물과 염분을 제거하기 위해 깨끗이 세척하고 5-10cm크기로 절단한 다시마와 미역를 1 : 1~1.5의 중량비로 가열용기에 넣고 다시마와 미역의 총중량에 20~30배의 물을 가열용기에 넣고 100℃에서 1~3시간 동안 가열하여 해조류추출액을 제조하여 목초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해조류추출물을 5~20중량부 더 첨가하여 잔디에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잔디에 수분과 단백질을 공급해 줄 수 있는 해파리분말을 더 첨가 할 수 있다. 해파리는 해파리과에 속하는 자포동물의 한 부류이며 성체 몸의 94~98%가 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해파리의 주성분은 수분을 다량 함유하여 단백질인 젤라틴으로 구성되고, 해파리가 미끈함을 갖도록 하는 뮤신 성분은 단백질과 당질이 결합한 콘드로이틴이 주성분이고, 상기 콘드로이틴은 식물의 수분을 유지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여 표피가 건조하여 화상으로 괴사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분쇄한 해파리분말의 평균 입자크기는 400~600mesh의 범위 내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액상에 분산되어 분무가 가능하고 잔디 잎 표면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잔디관리제에 대한 해파리분말의 조성비는 통상의 목초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3~10중량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해파리분말의 조성비가 3중량부 미만이면 조성비가 지나치게 미미하여 해파리분말의 효과를 원활하게 발휘하기 어렵기 때문이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해파리분말의 점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범위의 조성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희토류 함유 목초액 제조공정]
평균입도가 450mesh인 희토류(한국 지오스톤사) 50g을 목초액(강원 횡성산) 940g에 혼합하여 상온에서 1일동안 안정화시켜 희토류 함유 목초액을 만든다.
[액비 제조공정]
왕겨(신탄진 농협정미소)1kg, 5cm내외의 크기로 절단된 옥수수대(전북무주 영광농장)1.4kg, 참깨깻묵(신탄진 장미방앗간)800g을 100ℓ용기에 넣고 왕겨와 옥수수대 참깨깻묵을 충분히 섞고 물 22ℓ를 더 넣고 잘 섞어준다. EM원액(한국 다농사)800g과 당밀(한국 다농사)1kg을 2ℓ의 물에 잘 녹인 다음 왕겨 등의 혼합된 용기에 붓고 혼합한 다음 입구를 밀봉하여 6개월동안 상온에서 발효시킨 다음 채에 거른 후 상온에서 2개월동안 숙성시켜 액비를 제조한다.
[해조류추출물 제조공정]
마른다시마(경남 기장산) 200g과 미역(경남 기장산) 200g을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 물 12ℓ와 용기에 담고 2시간동안 끓여 해조류추출물을 만든다.
[해파리분말 제조공정]
해파리를 자연수에 6시간 동안 함침시키며 1시간 간격으로 자연수를 교체하여 염분을 제거하고, 65℃ 건조실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여 거름망으로 걸러서 500mesh 입자크기의 해파리분말을 준비한다.
희토류를 함유한 목초액 10g에 제조된 액비 15g과 해조류추출물1.5g, 해파리가루0.5g을 넣고 1시간동안 교반시킨 다음 물을 8,000g을 넣어 희석하여 본 발명의 잔디관리제를 제조하였다. 이를 본 출원인이 재배하고 있는 잔디 묘포장(대전광역시 대덕구 신일동 133번지소재)에 식재된 난지형의 버뮤다그래스(Bermudagrass)와 한지형의 크리핑 벤트그래스(Creeping Bentgrass) 잔디류에 각각 4㎡ 에 3일에 1회씩 400g/㎡를 각각 살포하였다.
[비교예1]
실시예와 동일한 잔디류에 잔디관리제를 살포하지 않은 상태로 시험했다.
[잔디생육]
본 발명의 잔디관리제 살포에 따른 잔디의 생육상태를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예와 같이 잔디관리제를 6회 살포한 이후 잔디의 잎이 광택이 나면서 유연해졌으며 짙은 녹색으로 뿌리생육이 매우 좋았으며, 뿌리 활착율이 평소보다 10%이상 높았다.
[진딧물 방제 시험]
본 발명의 잔디관리제의 해충예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잔디관리제가 3회 살포된 실시예의 잔디와 잔디관리제가 살포되지 않은 비교예의 잔디에 진딧물을 각각 흩뿌렸다. 잔디관리제가 살포된 실시예의 묘포장은 진딧물이 하루가 지나면서 일부는 죽고 다른 진딧물은 진딧물이 살포되지 않은 잔디로 이동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잔디관리제가 살포되지 않은 잔디묘포장에는 전혀 변동이 없었으며 오히려 진딧물이 왕성하게 번식하였다.

Claims (5)

  1. 300-500메쉬의 평균입자 크기를 갖는 희토류 0.5~3중량%를 함유하는 목초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왕겨와 5-10cm로 절단된 옥수수대 및 깻묵을 각각 1 : 1.5~2.5 : 1~3의 중량비로 혼합한 천연유기물의 총중량 대비 6~8배의 물을 부가한 천연유기물혼합물 85~92wt%, EM원액 3~5wt% 및 당밀 5~10wt%을 혼합하여, 6~9개월 동안 발효시켜 구성되는 액비 100~150중량부와;
    계면활성제, 광합성촉진제 또는 분산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 4~15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관리제원액에 물이 1 : 100~600 중량비로 희석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제원액은,
    목초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다시마와 미역을 1 : 1~1.5 중량비로한 다시마와 미역의 총중량에 20~30배의 물을 넣고 끓여 추출된 해조류추출물을 5~20중량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제원액은,
    목초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400-600mesh의 입자크기로 분쇄한 해파리가루를 3~10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
KR1020110049153A 2011-05-24 2011-05-24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 KR101123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153A KR101123028B1 (ko) 2011-05-24 2011-05-24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153A KR101123028B1 (ko) 2011-05-24 2011-05-24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028B1 true KR101123028B1 (ko) 2012-03-16

Family

ID=4614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153A KR101123028B1 (ko) 2011-05-24 2011-05-24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02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872B1 (ko) 2012-08-09 2012-12-11 이용학 잔디의 블랙레이어 제거방법
CN103601580A (zh) * 2013-11-18 2014-02-26 河北农业大学 一种兔粪发酵叶面肥及其制备方法
KR20180012563A (ko) * 2016-07-27 2018-02-06 김명환 잔디 보호 및 치료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5417A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아이그라스 옥수수 속대를 이용한 친환경 인조잔디 운동장의 조성방법
KR20190085415A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아이그라스 옥수수 속대를 이용한 친환경 인조잔디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1090B1 (ko) * 2019-08-21 2021-02-02 기길웅 천연유기복합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081A (ko) * 2000-12-18 2001-05-07 박지웅 토양전염성병 방제 및 토양 이화학성 개선용 조성물
KR20050052043A (ko) * 2003-11-28 2005-06-02 박만조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
KR20080035780A (ko) * 2006-10-20 2008-04-24 오형근 친환경 제초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081A (ko) * 2000-12-18 2001-05-07 박지웅 토양전염성병 방제 및 토양 이화학성 개선용 조성물
KR20050052043A (ko) * 2003-11-28 2005-06-02 박만조 ˝환경농업 활성비료 제조방법˝
KR20080035780A (ko) * 2006-10-20 2008-04-24 오형근 친환경 제초제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872B1 (ko) 2012-08-09 2012-12-11 이용학 잔디의 블랙레이어 제거방법
CN103601580A (zh) * 2013-11-18 2014-02-26 河北农业大学 一种兔粪发酵叶面肥及其制备方法
KR20180012563A (ko) * 2016-07-27 2018-02-06 김명환 잔디 보호 및 치료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882668B1 (ko) * 2016-07-27 2018-07-27 김명환 잔디 보호 및 치료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5417A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아이그라스 옥수수 속대를 이용한 친환경 인조잔디 운동장의 조성방법
KR20190085415A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아이그라스 옥수수 속대를 이용한 친환경 인조잔디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5630B1 (ko) 2018-01-10 2019-08-28 주식회사 아이그라스 옥수수 속대를 이용한 친환경 인조잔디 운동장의 조성방법
KR102015628B1 (ko) 2018-01-10 2019-08-28 주식회사 아이그라스 옥수수 속대를 이용한 친환경 인조잔디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1090B1 (ko) * 2019-08-21 2021-02-02 기길웅 천연유기복합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08377B (zh) 一种多功能复混肥料
KR101123028B1 (ko) 기능성 잔디관리 조성물
CN106995342A (zh) 一种土壤调理剂及其制备和应用方法
KR101774548B1 (ko) 가축분뇨 혐기소화액을 이용한 병해 방제용 또는 비료용 산성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산성 액상 비료 조성물
CN102617214B (zh) 一种纳米复合肥的制备方法
US9133066B2 (en) Functional fertilizer composition including natural mineral ingredient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102180730B (zh) 一种杀线虫微生物有机肥的制备方法
CN112703849B (zh) 一种茶叶种植土壤改良的方法
CN102408275A (zh) 生物冲施肥及其应用方法
CN105272692A (zh) 提高茶叶树品质和产量的复合肥及其生产方法
CN106699396A (zh) 兼具杀虫和杀菌的腐植酸水溶肥料及其制备方法
CN102826921A (zh) 一种沼液复配杀虫液及制备方法
CN104496612A (zh) 多抗生物有机菌肥及其制备方法
KR20170130644A (ko) 해조류를 이용한 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3887B1 (ko) 유황발효액비와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식물병 치료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351258B (zh) 促进作物增产剂及促进作物增产的方法
CN108849990A (zh) 一种含吡唑醚菌酯的农用药肥组合物及其应用
CN107641022A (zh) 一种含硒生物有机肥的制作方法
CN104045457A (zh) 灭菌生根剂及制备方法
CN106977305A (zh) 基于废白土的多功能生物有机肥及其应用
CN107089861A (zh) 回收利用废白土的生物有机肥及其应用
CN101805229B (zh) 多肽有机复合矿物肥
CN102531772B (zh) 一种用盐析工艺制备有机钛-植醋铵盐有机肥的方法
CN102875203B (zh) 一种具有保护作用的生物肥料及其使用方法
KR20110024339A (ko) 친환경 발효액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