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467A - 인삼 수경재배용 규산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 수경재배용 규산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467A
KR20200057467A KR1020180141935A KR20180141935A KR20200057467A KR 20200057467 A KR20200057467 A KR 20200057467A KR 1020180141935 A KR1020180141935 A KR 1020180141935A KR 20180141935 A KR20180141935 A KR 20180141935A KR 20200057467 A KR20200057467 A KR 20200057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water
cultivation
fertilizer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748B1 (ko
Inventor
윤희봉
고덕상
윤우현
Original Assignee
윤희봉
고덕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봉, 고덕상 filed Critical 윤희봉
Priority to KR1020180141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7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er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미노산이 함유된 규산염 광물 분말을 인삼 수경재배 시에 물 100에 대하여 1~5중량% 첨가하여 양액재배하는 방법과 그에 따라 생산된 사포닌 함량 증가된 인삼 식물과 단기속성 및 연중 무농약 재배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인삼 수경재배용 규산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Fertilizer Composition Containing silicate for Hydroponic cutivation of Panax Ginseng}
본 발명은 규산염과 아미노산 이온 유기분자를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로 인삼 수경재배용 양액과 이를 이용한 인삼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수경재배는 식물성장에 필수 영양성분이 전부 함유된 양액(nutrient solution)을 제조하여 수경재배용 장치를 통해 생장기관으로 흡수하도록 공급하여 재배하는 방식이다. 수경배재 목적은 인체에 유해한 농약을 사용하지 않아 청정채소 또는 특수 작물을 비교적 단기간에 대량 수확하는 데 있다. 수경재배장치들은 다양하게 연구개발되어 왔으며 국내 공개특허 공보 제 10-2003-0070208호를 비롯하여 등록특허 제 10-0470453호, 10-1372605호, 10-1227959호, 10-1549189호, 제 10-0985920호에 공지되어 있고, 특수작물인 인삼 수경재배장치는 국내 등록특허 제 10-1424058호, 제 10-1269814호, 제 10-096094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인삼 수경재배용 양액의 연구개발은 매우 부진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인삼의 수경재배를 통하여 양액을 공급함으로서 노지 재배시 발생하는 연작장해를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또 본 발명자들은 병충해에 취약한 인삼재배시 다량이 농약 사용이 불가피함에 따른 잎과 줄기는 버리고 뿌리만 취식하던 관행적 습관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또 본 발명자들은 인삼은 "6년근의 뿌리"라는 선입견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또, 상기와 같은 인삼의 연작장해를 극복하기 위하여는 수경재배방식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었다. 특히 잎과 줄기를 취식하기 위하여는 농약사용을 중단함과 동시에 건실한 육묘와 재배를 위한 건묘 육성에 바람직한 양액(nutrient solution)조성물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종래 인삼의 수경재배는 양액에 인삼의 뿌리와 줄기가 침지된 상태로 생장하게 되어 토경재배 인삼에 비해 생장속도가 빠르고 뿌리가 깨끗하며 잎이 크지만 반대로 병원의 전염 위험성이 크고 대체로 30일 이상이 소요되는 등 단점이 있었다. 한편, 토경재배의 경우는 흙에 인삼 뿌리를 심어 재배하는 방식이어서 잎은 크고 넓게 자라지만 흙맛이 나서 식감이 떨어지고 잎에서 풀맛이 나며 토양유래의 잔류 농약 또는 중금속 오염 위험성이 크고 재배기간이 대체로 30~60일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우리나라의 토양은 대부분 유효 규산 함유량의 목표치 130ppm 이하로서 산성화 되어있었고 최근에는 토양개량제로서 규산 외에 석회석, 산화마그네슘이 함유된 선철제조 시 생산되는 광재 또는 천연 규회석광이 그 자원이 되어왔다. 식물 생리상 수도작에 규산(SiO2) 성분은 전작에서 석회석(CaCO3) 만큼 중요하다. 토양 중의 규소 성분이나 칼슘 성분은 수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식물체에 흡수가 제한된다. 수도작에는 규소가 질소성분에 비해 8배 이상에 흡수되므로 가용성 규산질 비료는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하고 200~300kg/10a 시용되어야 약 3년의 비효가 유지된다. 규산질 비료는 수도작 뿐 아니라 과채류, 엽채류, 근채류 등 채소원예 작물과 과수원예 작물에도 성숙촉진, 내병성향상 및 증수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농약 사용을 줄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규산질 비료를 구성하는 원소성분은 규산이 25%이고, 나머지 알칼리성분 40%, 고토 2%, 망간 0.9%, 철 1% 및 구리, 아연, 몰리브렌 등 미량 원소이다.
인삼은 두릎나무과의 다년생 식물로서 뿌리모양이 사람의 형상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맛도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따뜻한 식재료 원료이며 허브식물에 속하는 한약재이다.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지사제로 사용되고 폐기능을 돕고 신기능을 제고하는 등 뛰어난 약효가 인증되어 왔으며 대뇌피질 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신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억제, 단백질 합성촉진, 항상성 유지, 항암, 해독 등 약리작용이 규명되어 왔다. 그러나 인삼은 성장조건이 까다롭고, 재배과정에서는 농약의 과다시용이 일반화되어 왔으며 대체로 노지재배의 경우 묘포에서 본포까지 전 생육기간이 4~6년이란 장기간이 소요되고 또 연작장해가 있어 같은 밭토양에서 연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같은 이유로 마사토, 부엽토, 숯분말을 일정비율로 혼합한 배합토를 화분에 충진하고 묘삼을 이식하여 재배하는 토경재배가 연구개발되어 왔고 무농약 재배방법도 고안되어 왔다(국내 공개특허 공보 제 10-2001-0007777호, 10-2006-0133189호). 상기 후자 특허는 황토 분말에 숯분말 및 무기게르마늄을 배합한 기능성토를 제조하여 청정인삼 또는 장뇌삼을 재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노지재배방식이나 토경재배방식은 기존 밭토양 또는 개질된 토양을 이용한 재배법에 불과하고 그로인해 인삼의 생육기간을 단축하거나 인삼의 증수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고 더욱이 인삼의 약효성분의 유효량을 증진시킬 수는 없었다. 한편 인삼의 무농약 생육 촉진과 사포닌 성분 함량을 증대시키고 신규한 인삼의 재배를 위한 수경재배(Hydroponic cutivation)에 관하여는 국내 등록특허 제 10-0960947호가 공지되어 있다. 이 밖에 수산 및 인삼엽 생산용 수경재배법으로 국내 등록특허 제 10-0959254호가, 그리고 인삼과 관엽식물과 알뿌리식물이 포함된 식물의 수경재배법인 국내 공개특허 공보 제 10-2010-0121042호 그리고 국내 등록특허 제 10-1269814호가 공지되어 있으나 대체로 1년 이상 재배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천연 미네랄성분을 함유하는 수용액이 포함된 기능석 비료 조성물은 예컨대 국내 등록특허 제 10-1021303호에 개시되어 있다. 질석을 분쇄하여 회백색 또는 갈색 버미큘라이트 광분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여기에 물을 가수하고 황 또는 황산을 첨가하여 혼합 교합한 다음 상기 혼합물에서 미네랄 성분이 함유된 수용액을 분리 추출하여서되는 기능성 비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특허들은 수득한 미네랄 함유 수용액에 필요에 따라 몰리브렌 암모늄, 황산구리, 붕사 또는 붕산, 황산망간, 황산 아연 및 황산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비료성분이 추가로 더 첨가되는 것이 특징으로 토양개량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국내 등록특허 제 10-1341721호는 어피부산물을 원료로 하는 알칼리 가수분해 후 증화하여 산으로 증화시켜 아미노산 액상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규산질 비료 조성물에 대하여는 고로슬래그 또는 제강 슬래그 유래의 철, 산화망간, 황산이온 등이 함유된 원료에 석고, 인산 석고 또는 석탄회를 포함하는 벼 생육 증진용 규산질 비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기능성 바이오세라믹 제조방법은 국내 등록특허 제 10-661738호에는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을 이소프로필알콜과 축합반응시킨 후 증류수를 세척하여 중축합시킨 후다시 은나노용액과 혼합시킨 다음 이산화티탄졸을 첨가하여 백금을 촉매로 교반 숙성시켜 제조한 액상바이오세라믹이 40℃ 온도에서 FT-IR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Black Body 대비 측정 결과 방사에너지가 3.92×102 w/m㎛로 나타난 원적외선, 음이온방출 및 악취제거와 새집증후군 완화용이 개시된 바 있으며 또 국내 등록특허 제 10-807175호에는 제올라이트 20~30중량%, 황토 20~30중량%, 게르마늄맥반석 40~60중량%을 함유하는 천연광물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광합성세균, 유산균, 효모균을 접종하여 배양한 발효용액을 15~25중량부 혼합하여 천연광물분말에 침투 숙성시킨 후 일정형상으로 성형하여 500~650℃에서 소성시켜서 되는 수질정화용 바이오세라믹이 개시되었다. 또 국내 등록특허 제 10-907656호에는 맥반석, 세리사이트, 화산석, 토르말린을 350~700 매쉬로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물을 볼밀에 투입하고 물을 첨가한 후 1000~3000 메쉬로 미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미분쇄물을 과립형으로 건조시킨 후 가압성형 후 900~1200℃에서 10~24시간 가열 소성 후 연마하여서 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을 극대화한 전기매트, 온열치료기, 방석, 베개, 팔찌 등 의료용 바이오세라믹이 개시된 바 있다. 또 국내 등록특허 제 10-1205879호에는 산화규소 45~65중량%, 산화장석 7~9중량% 등 무기성분의 혼화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은행나무를 완전 연소시켜 얻은 탄화물 1중량부와 함께 1350~1550℃의 유리용해로 내 투입하여 19~21시간 용융시켜 제조된 악취제거 및 니코틴, 카페인 등 특수성분 저감용 0.26~1,000㎛ 파장범위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방사율 5~20㎛에서 0.918 방사에너지가 3.54×102 (w/m2,㎛,37℃)로 나타난 생활용 바이오세라믹이 개시되어 있다.
원적외선은 태양광 가시광선의 적색보다 강한 열작용을 하는 전자파로 0.78~1.5㎛를 근적외선, 1.5~3㎛를 중적외선, 3~1,000㎛를 원적외선으로 구보하고 원적외선은 자연상태에서 태양광선에 의해 다량으로 계속적으로 지구 상의 방사되는 에너지로서 상온에서도 미량이나마 물질 간에 상호 방출되고 있다. 원적외선은 물체의 깊은 곳까지 투사되며 물체를 구성하고 있는 분자를 진동시켜 생체활동을 촉진한다. 또 원적외선은 생체에서 흡수도가 높아 공명·공진 작용과 함께 모세혈관 확장효과 세포분열, 생체의 성장, 생식 및 건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본 발명자들이 기술한 바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체가 되는 바이오세라믹 재료는 금속 및 비금속 미네랄의 산화물 또는 탄화물이다. 지금까지 연구된 바이오세라믹은 주로 균열이 없거나 일정한 형상을 가진 제품으로 성형·가공에 관한 가압, 성형 기술을 적용하여 방사율이 높고 표면이 미래하여 균열이 없는 제품 생산에 주력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미네랄 성분의 원료가 되는 화산암 유래의 화강암, 현무암, 규장앞, 가리장석, 질석 유래의 점토 광물들에는 크롬, 납 등 중금속이나 비소, 석면 등 건강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식용이 불가능 하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또 열처리한 무수성 천연미네랄은 생체 친화성이 없어 동물 체내에서는 흡수 이용될 수 없음을 확인한 바 있다. 또 원적외선 중 7~20㎛ 파장대의 전자파만을 분광하도록 선택하여 진동수 700~1200㎐/cm로 안정화시킴으로서 생체활동을 극대화하도록 착안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사항을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당업자가 더욱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인삼 노지재배로부터 토경재배 및 수경재배의 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3주 단기간 속성 인삼 수경재배에 필요한 양액(nutrient solution)용 함수 규산염 광물분말을 포함한 아미노태 유기체 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수 규산질 아미노태 유기체 비료 조성물의 기초가 되는 원적외선 7~20㎛ 파장의 흡수 방사율을 가지는 규산염 광물분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얻은 규산염 광물분말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유기체 비료 조성물을 양액으로 사용하는 인삼의 수경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강암 35~45중량%, 규장암 35~45중량%, 가리장석 10~20중량%를 포함하여 5~10mm 직경의 소괴로 파쇄하여 규산염 광물 소괴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규산염 광물의 Si-O와 Al-O의 1:1층 또는 2:1층상구조에 아미노산 수용액이 침투되도록 5~15일간 침지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아미노산이 함유된 소괴를 건져내어 섭씨 영하 20℃로 결빙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얻은 결빙된 3종 규산염 광물의 소괴를 해빙하여 60℃이하에서 표면건조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표면건조된 3종 광물을 분채실에서 봉밀분쇄기로 60~2,500nm 크기로 미분쇄하고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아미노산이 함유된 규산염 광물 분말은 인삼의 수경재배에 콜로이드상 물질로 근모세포에 흡수되어 영양기관의 성장촉진효과와 120배 이상의 증수효과가 있으며 365일 연중 무농약 재배로 식재 후 3주 후 수확포장하여 상품화할 수 있으므로 6년간 72회 이상 수확이 가능한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공장형 스마트팜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가장 바람직한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아미노산이 함유된 유기태 규산염 광물 200~1,000 메쉬 분말을 보인 사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방사율 92~97%이며, 4,267w/cm2/40℃에서 고에너지 방사성을 보유하는 규산염 광물 분말의 물 분자에 가장 공명공진 반응이 높은 7~20㎛ 파장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규산염 광물 분말(ACTIVA®)의 열분석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아미노산 함유 규산염 광물 분말 통상의 수경재배 시 물에 3중량% 첨가하여 재배하는 인삼재배 절차도를 보인 그림이다.
도 6a는 인삼 식재 후 1일 경과 후 새싹이 올라오는 모습을 보인 사진이다.
도 6b는 인삼 식재 후 제 5일째 줄기가 올라오는 때, 도 6c는 제 10일째 잎이 벌어지기 전, 도 6d는 제 12일째 수확 전 단계, 도 6e는 제 20일째 수확 직전의 인삼포장를 보인 사진이다.
도 7은 인삼 식재 후 21일째 수확 당일의 인삼근, 줄기 및 잎의 모습(도 7a), 그리고 포장상태를 보인 사진도(도 7b)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아미노산 함유 규산염 광물 분말을 사용하여 재배된 인삼의 종래 뿌리삼(A) 및 백삼(D)와 사포닌 성분 진세노사이드 함유량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TLC분석결과를 보인 사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규산염 광물의 미세분말은 층상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Si-O 사면체시트와 결합한 Al-O 팔면체의 층상구조가 1:1층 또는 2:1층의 복합층을 형성하고 이 층상구조 사이에 H2O 1분자와 아미노산 1분자가 평행시트 상으로 배열하여 규산염광물의 적외선 파장대가 물분자 진동 수와 같으므로 공명공진되어 흡수되고 이들 간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으로 강력히 흡착되어 평행시트 상으로 층간에 투입된다.
상기 이론은 이미 가리장석이 공기 중에서 탄소를 흡착하여 풍화되거나 물 속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용해될 때 H+이온의 교환반응으로 알려진 가설에 의해 뒷받침된다.
예컨대, 대기 중에서 빗물에 의하여
2KAlSi3O8 + H2CO3 + H2O → Al2Si2O5(OH)4 + 2OH + K2CO3 + 4SiO2
또는 물 속에서
2KAlSi3O8 + 3H2O → Al2Si2O5(OH)4 + 2OH + 2KOH + 4SiO2
이때, 아미노산 분자도 물 분자에 의해 끌려 층상구조에 투입된다. 층상 사이에 투입된 H2O 분자는 동형치환에 의해 H+와 (OH)-기가 성인되고 광물성분의 Si4+, A3+, Fe3+, Mg2+, K+ 등 양이온을 거동케하여 전하를 발생시킨다. 특히 물 분자 또는 유기체아미노산 분자의 O가 규산염 광물의 하면에 있는 저면산소 O와 공유결합하여 O2 - 음이온에 참여하면 표면전하는 높게 발진된다.
또, K이온이 핵심부에 끌어들여지고 아미노산의 NH4의 반응에 의해 NH4라디칼(radical)이 양이온에 관여하여 이온치환 능력이 향상된다 이러한 반응은 규산염 광물이 미분쇄되면서 더욱 만족할 만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비료 조성물 생체친화성 수화된 아미노산 유기이온 복합체로서 규산염 광물 분말로 조성된다. 이때 조성된 Si-O 및 Al-O 층상사이에 투입된 H2O 분자와 아미노산 유기분자는 강력한 공유결합으로 자연상태에서는 층상구조에서 결코 탈퇴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규산염 광물 분말이 물 분자에 의한 유기분자의 유지조성 외에도 적외선의 흡수 방사가 극대화 될 수 있는 분광이 성립되어야만 한다. 그 결과 물 분자의 H+ 이온의 진동과 공진공명되어 물이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물이 식물체와 인체 등 생태계에 활성을 부여하게 되기 때문이다. 물 분자는 공지된 바와 같이 H+ 이온의 신축진동과 변각진동의 파장이 상온에서 700~1200㎐/㎝-1이므로 본 발명 아미노산 유기분자 복합체인 규산염광물의 분말이 Si-O 사이에 흡수방사를 이루는데 저면산소 O가 결합된 규산염광물 분자의 진동에 중요한 인자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외선 7~20㎛ 파장은 물 분자의 진동 수 700~1200㎐/㎝-1와 맞아 떨어지고 따라서 점토 광물 중 이온교환능력이 높은 벤토나이트보다 약 100배이상의 원적외선 방사능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규산염 광물 분말(아미노산 유기분자 제외)의 성분분석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도 1 참조)
성분 함량 성분 함량
불소(F) ND 니켈(NiO) 0.012
나트륨(Na) 4.7 구리(CuO) 0.0024
마그네슘(Mgo) 1.3 아연(ZnO) 0.0038
알루미늄(Al2O3) 14.0 게르마늄(Ge2O3) 0.0033
규산(SiO2) 70.0 루비디움(Rb2O) 0.017
인(P2O3) 0.14 스트론튬(SrO) 0.049
황산(SO3) 0.031 이스티움(Y2O3) ND
염분(Cl) 0.025 지르콘(ZrO2) 0.012
가리(K20) 3.8 바륨(BaO) 0.083
칼슘(CaO) 2.5 중석(WO2) 0.11
티타늄(TiO2) 0.34 납(PbO) ND
망간(MnO) 0.079 비소(As2O3) ND
철분(Fe2O3) 2.5 금(Au2O) 0.0038
코발트(CO2O3) 0.021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 규산염 광물 분말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이를 활성자 즉, 액티바 ACTIVATR로 명명하였는데 이는 Si-O와 Al-O 층상구조에 함수 유기아미노산 분자가 결합된 광분(도 2 참조)이 7~20㎛ 파장대 광에너지 전자파를 그대로 방사하는 것으로 나타나(도 3 참조: 한국에너지연구소, 1997.12.15). 규산질 비료로서 인삼수경재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이는 인삼의 양액재배를 위해 준비 할 때 수도수의 열처리에 의해서 질향의 감소가 극미하고(도 4: 한국에너지연구소, 1997.12) 실제 인삼의 단기간 속성재배 결과와 인삼 사포닌 진세노사이드 함유량의 유의적 증가에 의하여(도 8) 확인되었다. 또 본 발명 규산질 비료를 사용한 인삼 수경재배 실험결과는 열처리한 수도수 100에 대하여 1~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중량%이면 콜로이드상으로 제조되어 양액 흡수가 용이한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이 수준에서 수경재배용 양액을 인삼재배 초기로부터 수확 직전까지 1일 3회 기준으로 1회 이상 자동 양액 공급 시스템(Automatic nutrient solution Supply system)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범위에서 천연의 수화성(OH)을 잃지 않는 범위의 400℃ 수온 범위에서 광석들 간 서로 부딪히며 열수변질에 의하여 인위적 풍화작용을 유기시켜 시트상 층상구조를 갖는 최소 단위 직경 0.5㎛ 이상의 분말 사이즈로 추가 제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재료 광물로 선택되는 광석은 납(Pb), 크롬(Cr) 등 중금속이나 불소(F), 비소(As) 등 건강유해 독성물질이 존재할 수 없는 것이어야 하고 (표 1) 미세 석면이나 유리질과 같은 침상, 섬유상 또는 편상의 발암성 건강유해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광석이어야 한다. 본 발명자들에 따르면 본 발명방법에 의해 제조된 광분(Powder)는 7~20㎛ 파장영역에서 92~97% 원적외선 방사(복사)율을 나타내며 무중금속, 무독성, 무석면, 무유리질화한 PH 7.5 이상의 약알칼리성 천연 음이온 규산 알루미늄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 규산질 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혁신적인 인삼 수경재배 결과 ACTIVATR는 물(H2O) 분자와 공명공진하여 물의 물성을 고도화함으로써 궤도 전자 운동이 활성화되고 진동수를 높여 식물세포 내 영양성분의 침투력을 높이서 에너지대사작용을 촉진시키는 작용효과가 있고 또 ACTIVATR의 전자파는 상기와 같이 물 분자의 활성화와 더불어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서 NADH 생성을 활성화하여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세포막, DNA, 효소를 보호하는 항산화작용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도 5, 도 6a~6e).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롬, 납 등 중금속이 오염되거나 발암물질로 알려진 석면이 함유된 광석을 선택에서 배제하고 생명체의 최적 생육광파 7~20㎛ 함수 유기분자 아미노산이 함유된 광분을 얻기 위하여 앞의 3종의 광석을 최적 배합비를 선택하였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지금까지 공지된 광석 중 맥반석이나 전기석은 육각기둥 형태의 구멍이 있는 구조에 석면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옥이나 운모류 역시 편상구조를 하고 있고 역시 편상구조 상에 석면을 끌어들여 형성된 광물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선택할 수 없었다. 기타 마그마가 분출될 때 속성으로 냉각된 현무암이나 바다 속에서 급냉 풍화된 석회암에는 중금속이 오염되어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삼의 수경재배 결과 21일 만에 6년근 수준의 사이즈를 갖는 인삼의 잎, 줄기 및 뿌리 식물을 생산하고 포장 출시할 수 있었다(도 7a~7b).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1일 만에 생산된 인삼과 종래 6년근 뿌리삼(A) 및 백삼(D)과 대비한 인삼 사포닌 진세노사이드의 유의적인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8: 중부대학교, 2017).

Claims (5)

  1. PH 7.5이하의 아미노산의 유기이온이 복합체로 함유된 함수 규산염 광물 분말.
  2. 제 1항의 함수 규산염 광물 분말을 물 100에 대하여 1% 이상 함유된 것이 특징인 인삼 속성 재배용 규산질 비료 조성물.
  3. 제 2항의 비료 조성물을 물 100에 대하여 1~5중량% 용해시킨 콜로이드상 양액을 자동급수시설을 이용하여 1일 1~3회 공급하는 것이 특징인 인삼의 수경재배방법.
  4. 제 3항의 재배방법으로 생산된 인삼의 잎, 줄기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식품재료.
  5. 제 4항의 식품재료가 포함된 건강기능성 식품.
KR1020180141935A 2018-11-16 2018-11-16 인삼 수경재배용 규산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KR10230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935A KR102307748B1 (ko) 2018-11-16 2018-11-16 인삼 수경재배용 규산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935A KR102307748B1 (ko) 2018-11-16 2018-11-16 인삼 수경재배용 규산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467A true KR20200057467A (ko) 2020-05-26
KR102307748B1 KR102307748B1 (ko) 2021-10-01

Family

ID=7091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935A KR102307748B1 (ko) 2018-11-16 2018-11-16 인삼 수경재배용 규산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748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691A (ko) * 2020-09-24 2022-03-31 한국식품연구원 바이오블록 및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수경재배 방법
KR102534624B1 (ko) * 2022-08-29 2023-05-26 농업회사법인 사랑농장 주식회사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홍삼 제조방법
KR102534626B1 (ko) * 2022-08-29 2023-05-26 농업회사법인 사랑농장 주식회사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도라지 제조 방법
KR102534627B1 (ko) * 2022-08-29 2023-05-30 농업회사법인 사랑농장 주식회사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두부 제조 방법
KR102553713B1 (ko) * 2022-11-18 2023-07-10 고덕상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양식어류사료 제조방법
KR102553710B1 (ko) * 2022-11-18 2023-07-11 고덕상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KR102576463B1 (ko) * 2022-10-13 2023-09-11 고덕상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전통발효식품 제조 방법
KR102589013B1 (ko) * 2022-10-13 2023-10-13 고덕상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
KR102598693B1 (ko) * 2022-11-18 2023-11-06 고덕상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생활용품 제조방법
KR102598696B1 (ko) * 2022-11-18 2023-11-06 고덕상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건축자재 제조방법
KR102598700B1 (ko) * 2022-11-18 2023-11-07 고덕상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그릇 제조방법
KR102657499B1 (ko) * 2022-12-07 2024-04-15 김분순 수경 재배식 인삼 배양장치 및 수경 재배용 기능성 배양액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465B1 (ko) * 2022-10-13 2023-09-08 고덕상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콩나물 제조방법
KR102576466B1 (ko) * 2022-10-13 2023-09-08 고덕상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749B1 (ko) * 2009-12-03 2010-06-21 동양정밀화학(주) 층상형 점토광물의 나노시트를 이용한 아미노산성 나노 복합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2518A (ko) * 2009-03-11 2010-09-24 이태용 응집 및 항균용 유무기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03088A (ko) * 2011-03-09 2012-09-19 주식회사 에코엔 규산이 결합된 아미노산을 함유한 비료의 제조방법
KR101269814B1 (ko) * 2011-03-10 2013-05-30 농업회사법인 원스베리 주식회사 수경 인삼재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518A (ko) * 2009-03-11 2010-09-24 이태용 응집 및 항균용 유무기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964749B1 (ko) * 2009-12-03 2010-06-21 동양정밀화학(주) 층상형 점토광물의 나노시트를 이용한 아미노산성 나노 복합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03088A (ko) * 2011-03-09 2012-09-19 주식회사 에코엔 규산이 결합된 아미노산을 함유한 비료의 제조방법
KR101269814B1 (ko) * 2011-03-10 2013-05-30 농업회사법인 원스베리 주식회사 수경 인삼재배방법 및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691A (ko) * 2020-09-24 2022-03-31 한국식품연구원 바이오블록 및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수경재배 방법
KR102534624B1 (ko) * 2022-08-29 2023-05-26 농업회사법인 사랑농장 주식회사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홍삼 제조방법
KR102534626B1 (ko) * 2022-08-29 2023-05-26 농업회사법인 사랑농장 주식회사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도라지 제조 방법
KR102534627B1 (ko) * 2022-08-29 2023-05-30 농업회사법인 사랑농장 주식회사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두부 제조 방법
KR102576463B1 (ko) * 2022-10-13 2023-09-11 고덕상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전통발효식품 제조 방법
KR102589013B1 (ko) * 2022-10-13 2023-10-13 고덕상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주류 제조 방법
KR102553713B1 (ko) * 2022-11-18 2023-07-10 고덕상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양식어류사료 제조방법
KR102553710B1 (ko) * 2022-11-18 2023-07-11 고덕상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KR102598693B1 (ko) * 2022-11-18 2023-11-06 고덕상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생활용품 제조방법
KR102598696B1 (ko) * 2022-11-18 2023-11-06 고덕상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건축자재 제조방법
KR102598700B1 (ko) * 2022-11-18 2023-11-07 고덕상 미네랄 촉매제를 이용한 그릇 제조방법
KR102657499B1 (ko) * 2022-12-07 2024-04-15 김분순 수경 재배식 인삼 배양장치 및 수경 재배용 기능성 배양액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748B1 (ko)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7748B1 (ko) 인삼 수경재배용 규산염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CN103204734B (zh) 纳米稀土硒硅钛宏微量元素复合营养肥
CN102701844B (zh) 富硒锗蔬菜瓜果无土栽培微量元素纳米营养肥
KR100643047B1 (ko) 미네랄을 다량 포함하는 활성용액의 제조방법
CN104119169B (zh) 麦饭石尾矿压缩营养土的生产方法
KR100267461B1 (ko) 혼합미생물-다공성광석의 복합분말
KR101922388B1 (ko) 광물분말 수용액이 함유된 농작물용 영양보조제 조성물
KR100519103B1 (ko) 게르마늄 성분을 함유한 농작물의 재배방법
KR20060122033A (ko) 기능성 유기질 액체 비료 제조방법
CN108207520A (zh) 一种有机大米及其种植方法
CN107197673A (zh) 一种薄荷的栽培方法及营养液
KR100720764B1 (ko) 폐석회와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이용한 석회비료의 제조방법
KR100739347B1 (ko) 규산소다를 이용한 식물성장제의 조성물 및 제조제법
KR101005483B1 (ko) 생오미자의 생과즙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56185B1 (ko) 폐유리를 이용한 농업용 식물생육성장제의 제조제법
KR100480439B1 (ko) 천연 포졸란을 포함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제, 및이의 용도
KR101327257B1 (ko) 일라이트 광물이 함유된 친환경 토양개량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120212C (zh) 一种土壤改良剂制造方法
KR100660167B1 (ko) 흑운모, 장석, 석영, 녹니석 및 각섬석군으로 이루어진천연 암석 분말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KR20120134888A (ko) 슬러리 형태의 무기질 천연비료
KR20150063710A (ko) 유기농업자재 병해관리용 입제
KR20060054219A (ko) 석영섬록영암 화산석을 이용한 친환경 유기질 비료
KR102625565B1 (ko) 복합이온미네랄을 함유한 액상비료 제조방법
KR102478219B1 (ko) 복숭아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숭아 가공식품
KR102617124B1 (ko) 토마토 양액재배용 배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