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9342A -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부착 케이블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부착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9342A
KR20050049342A KR1020040088931A KR20040088931A KR20050049342A KR 20050049342 A KR20050049342 A KR 20050049342A KR 1020040088931 A KR1020040088931 A KR 1020040088931A KR 20040088931 A KR20040088931 A KR 20040088931A KR 20050049342 A KR20050049342 A KR 20050049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iercing
main body
cable
fla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란키요히코
니시카와나오토
사사키쇼이치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9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34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100)는 상대측 커넥터(200)의 콘택트(201)에 대한 전기 접속을 위한 콘택트(1)와, 이 콘택트(1)를 수용하기 위한 콘택트 수용부(24)를 구비한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대해서 결합 가능하며, 상기 본체(21)에 결합됨으로써, 이 본체(21)와 연동해서 상기 콘택트 수용부(24)에 수용되어 있는 콘택트(1)에 접속된 케이블(40)을 고착할 수 있는 결합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전기 커넥터(100)는 또한, 상기 본체(21)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결합부재(22)가 상기 본체(21)에 결합될 때에, 이 결합부재(22)로부터의 외력을 받아서,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콘택트 수용부(24)에 수용되어 있는 콘택트(1)를 고착할 수 있는 고착 위치로 변위하는 리테이너(3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부착 케이블{ELECTRICAL CONNECTOR AND CABLE WITH ELECTRICAL CONNECTOR}
이 발명은 FFC(Flexible Flat Cable) 등의 평형 케이블을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에 대해서 전기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부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에 대한 전기 접속을 위한 콘택트와, 이 콘택트를 수용해서 유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에는,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는 콘택트에 부착된 케이블(예를 들면, FFC 등의 평형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한 케이블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케이블에 대해서 하우징이 비틀어지거나, 케이블로부터 콘택트에 진동이 전달되고 있는 경우에는, 콘택트와 케이블의 결합부에 외력이 가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하우징(본체)에 고정부재를 부착해서 케이블을 하우징에 대해서 가압하는 등으로 해서, 케이블 통로에 삽입 통과된 케이블을 고정함으로써, 콘택트와 케이블의 결합부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생각된다.
한편으로, 전기 커넥터 중에는 하우징 내에 수용한 콘택트를 리테이너에 의해 하우징 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평11-354185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에 고정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케이블을 케이블 통로 내에 고정하는 바와 같은 구성, 및 리테이너에 의해 콘택트를 하우징 내에 고정하는 바와 같은 구성의 양쪽을 채용한 경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작업과 콘택트를 고정하기 위한 작업을 따로따로 행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의 조립이 번잡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 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조립이 용이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부착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에 대한 전기 접속을 위한 콘택트와, 이 콘택트를 수용하기 위한 콘택트 수용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해서 결합 가능하여 상기 본체에 결합됨으로써 이 본체와 연동해서 상기 콘택트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콘택트에 접속된 케이블을 고착할 수 있는 결합부재와, 상기 본체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때에 이 결합부재로부터의 외력을 받아서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콘택트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콘택트를 고착할 수 있는 고착 위치로 변위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결합부재를 본체에 결합시키는 조작만으로, 콘택트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콘택트에 접속된 케이블을 고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리테이너를 초기 위치로부터 고착 위치로 변위시켜서 콘택트 수용부 내에 콘택트를 고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에 대한 케이블 및 콘택트의 조립이 용이하다. 이 발명의 1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본체에는 상기 콘택트 수용부 내에 콘택트를 삽입하기 위한 콘택트 삽입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초기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콘택트 삽입 통로를 통해서 상기 콘택트의 삽입을 허용하고, 상기 고착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콘택트 삽입 통로에 돌출해서 상기 콘택트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콘택트의 빠짐을 규제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테이너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콘택트 삽입 통로를 통해서 콘택트 수용부에 콘택트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그 후, 결합부재를 본체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케이블 및 콘택트를 고착할 수 있으므로, 또한 조립이 용이하다.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본체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콘택트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콘택트에 접속된 케이블을 실질적으로 절곡부가 없는 상태에서 관통시키기 위한 케이블 통로를 구획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콘택트에 접속된 케이블을 실질적으로 절곡부가 없는 상태에서(거의 곧장) 관통시킬 수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조립이 보다 용이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통로의 양단의 개구 부근에는 상기 케이블을 협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협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콘택트와 케이블의 결합부를 사이에 두고 케이블 통로의 양단의 개구 부근에서 케이블이 협지되므로, 케이블에 대해서 전기 커넥터가 비틀어지거나, 케이블로부터 콘택트에 진동이 전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와 케이블의 결합부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협지부는, 각각 상기 결합부재 또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케이블을 가압하기 위한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협지부는 상기 결합부재 또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상기 볼록부에 대향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콘택트는 케이블의 도체에 관통되어야 할 돌기가 구비된 피어싱부와, 일단이 상기 피어싱부에 연결되어 상기 돌기가 돌출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된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본체는 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수용부에 수용되는 콘택트의 상기 돌기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케이블 통로를 구획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케이블의 도체에 관통되어야 할 돌기가 구비된 콘택트(소위 피어싱 콘택트)를 사용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조립이 보다 용이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통상, 피어싱 콘택트는 돌기가 구비된 피어싱부와, 일단이 피어싱부에 연결되어 돌기가 돌출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된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구비하고, 전체로서는 대략 직선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피어싱 콘택트를 케이블(예를 들면, 평형 케이블)의 도중부에 부착해서 케이블의 도중부를 분기해서 다른 케이블이나 배선 기판 등에 전기 접속함으로써, 각종 전기부품을 염주처럼 묶어 접속[소위 데이지 체인(daisy chain) 접속]할 경우, 피어싱부의 돌기에 대향해서 케이블을 배치하고, 이 케이블에 대해서 돌기에 의한 피어싱을 행하면, 접속부에 평형 케이블이 간섭해버린다.
이 발명에 관한 콘택트를 사용하면, 돌기가 돌출하는 방향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연결부를 통해서 피어싱부와 접속부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케이블 통로를 관통하는 케이블의 도중부에 콘택트를 부착해서 데이지 체인 접속할 경우, 케이블이 접속부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에 접속된 케이블을 실질적으로 절곡부가 없는 상태에서 케이블 통로에 (거의 곧장) 관통시킬 수 있으므로, 절곡부에 과대한 응력이 가해져 도체가 찢어지는 등의 폐해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이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케이블을 되접을 일 없이 데이지 체인 접속을 행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조립이 보다 용이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돌기가 돌출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돌기가 돌출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대략 L자 형상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돌기가 돌출하는 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가 부착 가능한 것이어도 좋다.
상기 피어싱부의 돌기는 양단부에 커넥터가 접속된 케이블의 도체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사이의 소정 위치에 관통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 발명의 전기 커넥터 부착 케이블은 상술한 특징을 갖는 전기 커넥터와, 상기 콘택트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콘택트에 접속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본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기 커넥터에 고착된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부착 케이블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술한, 또는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다음에 진술하는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밝혀진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평형 케이블용 콘택트로서 사용되는 피어싱 콘택트(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는 피어싱 콘택트(1)의 평면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본 피어싱 콘택트(1)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 있어서, 좌측을 전방, 우측을 후방으로 해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해서, 이 피어싱 콘택트(1)는 FFC(Flexible Flat Cable) 등의 평형 케이블을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미도시)에 전기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평형 케이블의 도체에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피어싱 콘택트를 평형 케이블에 대해서 도전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복수(예를 들면, 3개)의 피어싱 돌기(2)를 구비하고 있다.
피어싱 콘택트(1)는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절단된 1장의 금속판을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어서, 피어싱 돌기(2)가 구비된 피어싱부(3)와, 일단이 피어싱부(3)의 전단에 연결되고 피어싱 돌기(2)가 돌출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전방)으로 연장된 후, 피어싱 돌기(2)가 돌출하는 방향과 반대측(아래쪽)으로 절곡된 대략 L자 형상의 연결부(4)와, 연결부(4)의 타단에 연결된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접속부(5)를 구비하고 있다.
피어싱부(3)는 그 좌우 양측부가 위쪽을 향해서 절곡됨으로써 정면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피어싱부(3)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하판부(6)와, 이 하판부(6)의 좌우 양측부로부터 위쪽으로 세워진 2개의 측판부[좌측판부(7) 및 우측판부(8)]가 구비되어 있다. 좌측판부(7)의 상단에는 그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피어싱 돌기(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우측판부(8)의 상단에는 그 전후 방향 중앙부에 피어싱 돌기(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2개의 측판부(7,8)에는 3개의 피어싱 돌기(2)가 전후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피어싱 돌기(2)의 선단부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 최선단부의 외측면[좌측판부(7)에 구비된 피어싱 돌기(2)의 왼쪽면 및 우측판부(8)에 구비된 피어싱 돌기(2)의 오른쪽면]에 테이퍼면(2A)이 형성됨으로써 각 피어싱 돌기(2)의 선단부가 예리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피어싱 콘택트(1)를 평형 케이블에 부착할 때는, 예를 들면, 피어싱 콘택트(1)의 피어싱부(3)가 연장되는 방향이 수평이 되고, 피어싱 돌기(2)가 돌출하는 방향이 상방향이 되는 바와 같은 자세에서 피어싱 콘택트(1)를 프레스 가공기의 펀치대 위로 적재한다. 그리고, 피어싱 콘택트(1)의 위쪽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평형 케이블을 배치하고, 상기 평형 케이블의 도체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 각 피어싱 돌기(2)를 관통(소위, 피어싱)시킨 후, 피어싱 돌기(2)를 위쪽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그 선단부를 아래쪽으로 절곡한다. 이것에 의해, 각 피어싱 돌기(2)의 선단부에서 평형 케이블을 위쪽으로부터 가압해서, 피어싱 콘택트(1)를 평형 케이블에 대해서 도전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각 피어싱 돌기(2)의 선단부는 위쪽으로부터 가압되어서 절곡됨으로써 평형 케이블(의 도체)에 위쪽으로부터 꽂아도 좋다.
피어싱부(3)의 좌측판부(7) 및 우측판부(8)의 상단에는 각 피어싱 돌기(2)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피어싱 돌기(2)보다도 짧은 대략 삼각형상의 작은 돌기(9)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작은 돌기(9)의 최선단부의 외측면[좌측판부(7)에 구비된 작은 돌기(9)의 왼쪽면 및 우측판부(8)에 구비된 작은 돌기(9)의 오른쪽면]에는 테이퍼면(9A)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것에 의해 각 작은 돌기(9)의 선단부가 예리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피어싱 돌기(2)를 위쪽으로부터 가압할 때는, 평형 케이블도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이 때, 피어싱부(3)의 좌측판부(7) 및 우측판부(8)의 상단에 형성된 각 작은 돌기(9)가 평형 케이블의 아래쪽으로부터 꽂히고, 평형 케이블의 도체에 이른다. 이것에 의해, 피어싱 돌기(2) 뿐만아니라 작은 돌기(9)도 평형 케이블의 도체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평형 케이블의 도체에 대한 피어싱 콘택트(1)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평형 케이블과 피어싱 콘택트(1)의 전기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피어싱부(3)의 하판부(6)에는 앞쪽의 피어싱 돌기(2)와 그것에 대향하는 작은 돌기(9) 사이 및 뒤쪽의 피어싱 돌기(2)와 그것에 대향하는 작은 돌기(9) 사이에, 각각 대략 원형의 위치 결정 삽입통과공(10)이 형성되어 있다. 평형 케이블에 대해서 피어싱 콘택트(1)에 의한 피어싱을 행할 때는, 펀치대(미도시)에서 피어싱 콘택트(1)의 피어싱부(3)를 아래쪽에서 받치게 된다. 펀치대에는 피어싱부(3)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핀이 구비되어 있어서, 피어싱할 때에는 펀치대의 가이드 핀이 대응하는 각 위치 결정 삽입통과공(10)에 각각 삽입통과됨으로써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단, 피어싱 콘택트(1)의 피어싱부(3)의 하판부(6)에 형성된 위치 결정 삽입통과공(10)은 2개로 한정하지 않고, 1개여도 좋고,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접속부(5)는 금속판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구형상으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접속부(5)는 앞판부(11), 뒤판부(12), 좌판부(13) 및 우판부(14)를 구비하고 있어서, 그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15)은 상대측 커넥터에 구비된 봉형상의 콘택트를 아래쪽에서 삽입통과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가 관통공(15)에 삽입통과된 상태에서는 그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의 표면이 접속부(5)의 내면에 접촉하고, 피어싱 콘택트(1)와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가 도전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접속부(5)의 앞판부(11)의 중앙부 및 뒤판부(12)의 좌우측부에는 각각 피어싱 콘택트(1)를 유지하기 위한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상기 피어싱 콘택트(1)를 고착시키기 위한 고착돌출부(16,17,18)가 형성되어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피어싱 콘택트(1)를 유지하기 위한 하우징(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하우징(20)은 피어싱 콘택트(1)를 유지하기 위한 본체(21)와, 이 본체(21)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커버(22)를 구비한 일체의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커버(22)는 그 일단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1쌍의 연결부(23)에 의해 본체(21)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어서, 연결부(23)를 중심으로 커버(22)를 회동시킴으로써 연결부(23)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커버(22)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a는 커버(22)를 연 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20)의 평면도, 도 2b는 커버(22)를 연 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20)의 정면도, 도 2c는 커버(22)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20)의 정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20)은, 예를 들면,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체(2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 상면에는 피어싱 콘택트(1)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예를 들면, 5개)의 콘택트 수용 오목부(24)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콘택트 수용 오목부(24)는 피어싱 콘택트(1)의 피어싱부(3)를 수용해서, 상기 피어싱부(3)의 하판부(6)의 하면을 받치기 위한 비교적 얕은[피어싱부(3)의 두께와 같은 정도의] 피어싱부 수용부(25)와, 이 피어싱부 수용부(25)의 전단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서 길게 연장되고, 피어싱 콘택트(1)의 접속부(5)를 수용하기 위한 접속부 수용부(26)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20)의 각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에 피어싱 콘택트(1)가 수용됨으로써 피어싱 커넥터가 구성된다.
각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의 피어싱부 수용부(25)의 저면에는 이 피어싱부 수용부(25)에 피어싱 콘택트(1)의 피어싱부(3)를 수용했을 때에 피어싱 돌기(2) 및 작은 돌기(9)의 근방의 아래쪽이 되는 위치에 대략 직사각형상의 펀치대 통과공(27)이 형성되어 있다. 각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에 피어싱 콘택트(1)를 수용한 후, 본체(21)의 아래쪽으로부터 각 펀치대 통과공(27)에 펀치대를 삽입통과해서, 그 받침면을 피어싱부(3)의 하판부(6)의 하면에 접촉시킴으로써, 그 후에 각 피어싱 콘택트(1)의 피어싱 돌기(2)를 위쪽으로부터 가압할 때, 피어싱부(3)를 아래쪽에서 펀치대로 받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피어싱 콘택트(1)를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에 수용함으로써 위치 결정을 행한 후, 펀치대 통과공(27)에 펀치대를 삽입통과시키는 것만으로 펀치대의 받침면을 피어싱부(3)의 하판부(6)의 하면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평형 케이블에 대한 피어싱 커넥터의 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복수의 피어싱 콘택트(1)를 평형 케이블에 대해서 부착할 경우라도, 모든 피어싱 콘택트(1)를 대응하는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에 수용함으로써 위치 결정을 행한 후, 모든 펀치대 통과공(27)에 펀치대를 삽입통과시켜서 그것들의 받침면을 각 피어싱 콘택트(1)의 하판부(6)의 하면에 접촉시켜, 모든 피어싱 콘택트(1)의 피어싱 돌기(2)를 펀치를 사용해서 한번에 절곡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피어싱 콘택트(1)를 한번에 평형 케이블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피어싱 콘택트(1)를 1개씩 평형 케이블에 대해서 부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작업 공정이 적고, 평형 케이블에 대한 피어싱 커넥터의 부착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각 펀치대 통과공(27)을 통해서 각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의 피어싱부 수용부(25)]에 피어싱 콘택트(1)[의 피어싱부(3)]가 수용되어 있을지 여부를 아래쪽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각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의 접속부 수용부(26)의 저면에는 이들 접속부 수용부(26)에 피어싱 콘택트(1)의 접속부(5)를 수용했을 때에 접속부(5)의 관통공(15)에 대향하는 위치에 대략 정사각형상의 콘택트 통과공(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피어싱 커넥터의 하우징(20)[본체(21)]을 위쪽으로부터 상대측 커넥터의 하우징을 감합시킴으로써, 상대측 커넥터의 봉형상의 콘택트를, 콘택트 통과공(28)을 통해서 피어싱 콘택트(1)의 접속부(5)의 관통공(15)에 삽입통과시켜, 상기 피어싱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를 도전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
커버(22)의 하면[커버(22)를 닫은 상태에서 본체(21)에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하우징(20)에 수용된 피어싱 콘택트(1)에 대해서 전기 접속해야 할 평형 케이블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오목부(29)가, 상기 커버(22)의 하면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커버(22)를 닫으면, 상기 커버(22)의 오목부(29)와 본체(21)의 상면 사이에 평형 케이블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시키기 위한 케이블 통로(30)가 구획 형성된다(도 2c참조). 케이블 통로(30)는 그 좌우 방향의 길이가 평형 케이블의 폭에 거의 일치하고 있고, 그 상하 방향의 길이(높이)가 평형 케이블의 두께에 거의 일치하고 있다. 피어싱 콘택트(1)를 평형 케이블의 도중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케이블 통로(30)에 평형 케이블을 곧장(실질적으로 절곡부가 없는 상태에서) 관통시킴으로써, 평형 케이블을 절곡할 일 없이 데이지 체인 접속을 행할 수 있다.
이렇게, 이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된 연결부(4)를 통해서 피어싱부(3)와 접속부(5)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피어싱 콘택트(1)를 사용해서 데이지 체인 접속을 행했을 경우, 평형 케이블이 접속부(5)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평형 케이블을 되접을 일 없이 데이지 체인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본체(21)의 상면에는 가장 좌측의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의 왼쪽, 가장 우측의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의 오른쪽 및 인접하는 각 콘택트 수용 오목부(24) 사이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관통벽(31,32)이 전후로 나란히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22)의 하면에는 커버(22)를 닫은 상태에서 각 관통벽(31,32)에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벽 수용 오목부(33,34)가 형성되어 있어서, 커버(22)를 닫은 상태에서는 각 관통벽(31,32)이 대응하는 관통벽 수용 오목부(33,34) 안으로 억지로 들어가게 되어 있다. 각 관통벽(31,32)은 케이블 통로(30) 안으로 관통되는 평형 케이블에 미리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에 관통시켜서, 평형 케이블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단, 케이블 통로(30) 안으로 관통되는 평형 케이블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관통 돌기는 벽형상의 것[관통벽(31,32)]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봉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본체(21)의 상부에는 그 우측면으로부터 왼쪽을 향해서 리테이너(35)가 삽입되어 있다. 이 리테이너(35)는 각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에 수용되어 있는 피어싱 콘택트(1)[의 접속부(5)]가 위쪽으로 변위하지 않도록 규제(고착)하기 위한 것으로, 그 우측 단부에서는 커버(22)를 닫았을 때에 상기 커버(22)와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부(37)가 본체(21)의 외부를 위쪽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커버(22)의 우측 단면[커버(22)를 닫은 상태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면]에는 리테이너(35)의 맞물림부(37)와 맞물리기 위한 돌출맞물림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22)를 닫으면 리테이너(35)의 맞물림부(37)가 커버(22)의 돌출맞물림부(38) 안으로 억지로 들어가서 맞물리고, 커버(22)가 닫힌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피어싱 커넥터(100)를 평형 케이블(40)에 부착할 때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 피어싱 커넥터(100)에 전기 접속해야 할 평형 케이블(40)은 복수개(예를 들면, 5개)의 도체(41)와 이들 도체(41)를 서로 일정 간격을 두어서 평행하게 유지하기 위한 유지 필름(42)을 구비한 FFC이다. 각 도체(41)는 얇은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도체(41)를 유지 필름(42)에 끼우고, 대향하는 유지 필름(42) 사이를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 평형 케이블(40)이 형성되고 있다.
평형 케이블(40)의 유지 필름(42)에는, 미리, 인접하는 도체(41) 사이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관통공(43,44)이 전후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공(43,44)은 하우징(20)의 본체(21)에 구비된 각 콘택트 수용 오목부(24) 사이의 관통벽(31,32)에 대응하고 있다. 각 열의 관통공(43,44)은 전후 방향에 대향하는 쪽의 단부가 서서히 가늘어져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 필름(42)의 좌우측 가장자리부에는, 미리, 각각 본체(21)의 가장 좌측의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의 왼쪽 및 가장 우측의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의 오른쪽에 각각 구비된 2개의 관통벽(31,32)에 대응하는 2개의 노치(45,46)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 필름(42)의 좌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2개의 노치(45,46)는 인접하는 도체(41) 사이에 형성된 전후 2개의 관통공(43,44)의 우반분(右半分)과 동일한 형상이며, 유지 필름(42)의 우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2개의 노치(45,46)는 인접하는 도체(41) 사이에 형성된 전후 2개의 관통공(43,44)의 좌반분과 동일한 형상이다.
피어싱 커넥터(100)를 평형 케이블(40)에 부착할 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의 각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에 피어싱 콘택트(1)를 수용한 상태에서, 평형 케이블(40)을 하우징(20)의 본체(21)의 위쪽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평형 케이블(40)의 각 관통공(43,44) 및 각 노치(45,46)에 본체(21)에 형성된 대응하는 관통벽(31,32)을 관통시킴으로써 평형 케이블(40)을 피어싱 커넥터(100)에 대해서 위치 결정한다.
이렇게, 평형 케이블(40)의 각 관통공(43,44) 및 각 노치(45,46)에 본체(21)에 형성된 대응하는 관통벽(31,32)을 관통시킴으로써, 평형 케이블(40)에 대해서 하우징(20)이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의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에 수용되어 있는 피어싱 콘택트(1)가 평형 케이블(40)에 대해서 비틀어짐으로써, 피어싱부(3)와 평형 케이블(40)의 결합부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단, 관통공(43,44) 및 노치(45,46)는 전후에 2개 형성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고, 전후에 3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4a(a), 도 4a(b) 및 도 4a(c) 및 도 4b(a) 및 도 4b(b)는 피어싱 커넥터(100)를 평형 케이블(40)에 부착할 때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A-A에 따른 단면을 좌측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피어싱 커넥터(100)를 평형 케이블(40)에 부착할 때는, 우선, 각 펀치대 통과공(27)에 아래쪽으로부터 펀치대(50)를 삽입통과시켜서, 각 펀치대(50)의 받침면(51)으로부터 돌출하는 가이드 핀(52)을 각 피어싱 콘택트(1)의 피어싱부(3)의 위치 결정 삽입통과공(10)으로 삽입통과시킴으로써, 피어싱부(3)를 위치 결정한다(도 4a(a) 및 도 4a(b)참조). 이렇게, 각 위치 결정 삽입통과공(10)에 펀치대(50)의 가이드 핀(52)을 삽입통과시킴으로써, 피어싱 콘택트(1)의 위치 결정을 보다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상태로부터 펀치대(50)를 더욱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펀치대(50)의 받침면(51)이 피어싱 콘택트(1)의 피어싱부(3)의 하면에 접촉한다(도 4a(c)참조). 그 후, 하우징(20)의 본체(21)의 위쪽에 평형 케이블(40)을 배치하고, 상기 평형 케이블(40)의 각 관통공(43,44) 및 각 노치(45,46)에 대응하는 관통벽(31,32)을 관통시킨 후, 평형 케이블(40)을 아래쪽으로 가압해서, 평형 케이블(40)의 도체(41)에 피어싱 돌기(2)를 관통시킨다(도 4a(c)참조).
그 후, 피어싱 돌기(2)를 위쪽으로부터 펀치(53)로 가압해서 절곡함으로써, 피어싱 돌기(2) 및 작은 돌기(9)가 평형 케이블(40)의 도체(41)에 대해서 도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평형 케이블(40)에 대한 피어싱 콘택트(1)의 부착이 달성된다(도 4b(a)참조). 그리고, 커버(22)를 닫음으로써 각 관통벽(31,32)이 대응하는 관통벽 수용 오목부(33,34) 안으로 억지로 들어가서, 평형 케이블(40)이 케이블 통로(3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가 되고, 평형 케이블(40)에 대한 피어싱 커넥터(100)의 부착이 완료된다(도 4b(b)참조).
이 실시형태에서는, 커버(22)의 하면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조(54)가 형성되어 있어서, 하우징(20)의 본체(21)의 상면에는 그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조(55)가 형성되어 있다(도 2a 및 도 4b(b)참조). 피어싱 콘택트(1)에 대해서 평형 케이블(40)을 부착한 후, 커버(22)를 닫으면, 케이블 통로(30) 안을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형 케이블(40)의 상면이 각 볼록조(54)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평형 케이블(40)의 가압된 부분이 오목조(55) 안에 만곡한 상태에서 협지되게 된다.
이렇게, 케이블 통로(30)의 양단(전단 및 후단)의 개구 부근에서 평형 케이블(40)을 협지함으로써, 평형 케이블(40)에 대해서 하우징(20)이 비틀어지거나 평형 케이블(40)로부터 피어싱 콘택트(1)에 진동이 전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의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에 수용되어 있는 피어싱 콘택트(1)의 피어싱부(3)와 평형 케이블(40)의 결합부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단, 케이블 통로(30)의 양단의 개구 부근에서 평형 케이블(40)을 협지하는 구성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하우징(20)의 본체(21)의 상면에 볼록조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22)의 하면에 오목조가 형성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평형 케이블(40)의 양단부에는 각각 다른 전기 부품으로의 접속을 달성하기 위한 커넥터(300,400)가 부착되어 있다(도 4b(b)참조). 평형 케이블(40)의 도중[2개의 커넥터(300,400)의 사이]에 부착된 피어싱 커넥터(100)는 예를 들면 배선기판(S)에 고정된 상대측 커넥터(200)에 부착됨으로써, 배선기판(S)에 대해서 전기 접속된다. 단, 상대측 커넥터(200)는 배선기판(S)에 부착된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다른 케이블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상대측 커넥터(200)는 피어싱 커넥터(100)을 감합시키기 위한 감합 오목부(220A)가 형성된 하우징(220)과, 이 하우징(220)의 감합 오목부(220A) 안으로 돌출 형성된 봉형상의 콘택트(201)를 구비한 자형(雌型)의 커넥터이다. 하우징(220)의 감합 오목부(220A)는 피어싱 커넥터(100)의 하우징(20)[본체(21)]의 하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있어서, 웅형(雄型)인 피어싱 커넥터(100)의 하우징(20)을 위쪽으로부터 상대측 커넥터(200)의 감합 오목부(220A) 안으로 감합시킴으로써, 상대측 커넥터(200)의 콘택트(201)를, 콘택트 통과공(28)을 통해서 피어싱 콘택트(1)의 접속부(5)의 관통공(15)에 삽입통과시켜, 상기 피어싱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를 도전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
도 5는 리테이너(35)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6a 및 도 6b는 리테이너(35)를 하우징(20)의 본체(21) 안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 커버(22)를 생략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본체(21)에 대해서 리테이너(35)를 도중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6b는 본체(21)에 대해서 리테이너(35)를 가장 좌측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해서, 리테이너(35)는 각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에 수용되어 있는 피어싱 콘택트(1)[의 접속부(5)]가 위쪽으로 변위하지 않도록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351)와, 이 규제부(351)에 대해서 일정 간격을 두어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리테이너(35)가 하우징(20)의 본체(21)로부터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부(352)와, 규제부(351)의 우측 단부 및 보조부(352)의 우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53)를 포함하고, 평면에서 볼 때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35)의 보조부(352)는 그 단부가 서서히 가늘어지는 바와 같은 끝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선단부에는 후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맞물림돌기(352A)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35)의 규제부(351)의 후단 근처에는 하우징(20)에 형성되어 있는 각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의 접속부 수용부(26)의 평면형상에 대응하는 5개의 노치(36)가 좌우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즉, 이 리테이너(35)를 하우징(20)의 본체(21)에 대해서 도 6a에 도시된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연결부(353)가 본체(21)에 대해서 약간 돌출한 상태]에서는, 각 노치(36)가 접속부 수용부(26)의 위쪽에 위치하고, 접속부 수용부(26)의 위쪽에 리테이너(35)가 위치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접속부 수용부(26)의 위쪽에는 피어싱 콘택트(1)를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에 수용할 때에, 피어싱 콘택트(1)의 접속부(5)를 접속부 수용부(26)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통로(24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리테이너(35)의 각 노치(36) 사이의 부분[중간 돌출부(39)]이 각 콘택트 수용 오목부(24) 사이[의 앞쪽에 형성된 각 관통벽(31)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 수용부(26)의 위쪽에 리테이너(35)가 위치하지 않는 상태(초기 상태)에서 삽입 통로(241)를 통해서 콘택트 수용 오목부(24) 안에 피어싱 콘택트(1)를 배치하고, 이 피어싱 콘택트(1)를 평형 케이블(40)에 대해서 부착한 후, 커버(22)를 닫음으로써 평형 케이블(40)에 대한 피어싱 커넥터(100)의 부착이 완료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22)를 닫을 때, 커버(22)의 돌출맞물림부(38)와 리테이너(35)의 맞물림부(37)가 맞물리는 과정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35)가 본체(21)에 대해서 가장 좌측까지 압입되어, 보조부(352)의 맞물림 돌기(352A)가 본체(21)에 맞물린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커버(22)가 닫힐 때의 리테이너(35)의 변위의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맞물림부(37)의 우측 단면에는 상기 맞물림부(37)가 선단을 향해서 서서히 가늘어지도록 경사면(371)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경사면(371)의 하단은 단차면(372)을 통해서 맞물림부(37)의 우측 단면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경사면(371)과 단차면(372)에 의해, 맞물림부(37)를 커버(22)의 돌출맞물림부(38) 안에 고착하기 위한 고착조(373)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22)의 돌출맞물림부(38)는 그 내부가 중공 형상으로, 커버(22)를 닫으면, 리테이너(35)의 맞물림부(37)가 선단으로부터 돌출맞물림부(38) 안으로 억지로 들어가서, 맞물림부(37)의 경사면(371)이 돌출맞물림부(38) 안에 형성된 미끄럼접촉면(381)에 미끄럼접촉한다(도 7a 및 7b참조). 이 때, 리테이너(35)는 그 경사면(371)이 돌출맞물림부(38)의 미끄럼접촉면(381)에 가압됨으로써 왼쪽으로 슬라이딩 변위한다.
커버(22)가 더욱 닫혀서, 맞물림부(37)의 경사면(371)이 돌출맞물림부(38)의 미끄럼접촉면(381)보다도 위쪽까지 이동하면, 고착조(373)가 미끄럼접촉면(381)의 상단을 넘어서, 단차면(372)이 돌출맞물림부(38) 안에 형성된 고착면(382)에 접촉한다(도 7c참조). 이것에 의해, 리테이너(35)가 가장 좌측까지 변위한 상태에서, 리테이너(35)의 맞물림부(37)가 돌출맞물림부(38)에 고착되어, 커버(22)가 본체(21)에 대해서 결합된다.
다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해서, 리테이너(35)가 가장 좌측까지 압입된 상태(고착 위치)에서는, 초기 상태에서 각 콘택트 수용 오목부(24)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던 리테이너(35)의 각 중간돌출부(39)가(도 6a참조) 바로 왼쪽의 접속부 수용부(26)의 위쪽[삽입 통로(241)]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리테이너(35)의 가장 우측의 노치(36)의 우측 가장자리부(361)가 바로 왼쪽의 접속부 수용부(26)의 위쪽[가장 우측의 삽입 통로(241)]으로 돌출한다(도 6b참조). 이 상태에서는, 각 콘택트 수용 오목부(24) 안에 수용된 피어싱 콘택트(1)(도 6a 및 도 6b에서는 미도시)의 접속부(5)의 상단면이 리테이너(35)의 규제부(36)의 하면에 접촉하게 되고(도 4b(b)참조), 피어싱 콘택트(1)가 위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피어싱 콘택트(1)의 접속부(5)를 콘택트 수용 오목부(24) 안[접속부 수용부(26) 안]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으므로, 피어싱 콘택트(1)가 하우징(2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커버(22)를 닫아서 본체(21)에 결합시키는 조작만으로, 볼록조(54) 및 오목조(55)에서 평형 케이블(40)을 협지해서 고착(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리테이너(35)를 초기 위치로부터 고착 위치로 변위시켜서,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에 수용되어 있는 피어싱 콘택트(1)를 고착(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피어싱 커넥터(100)에 대한 평형 케이블(40) 및 피어싱 콘택트(1)의 고착을 1회의 작업[원 쿠션(one cushion)]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특히, 리테이너(35)가 초기 위치인 상태에서, 삽입 통로(241)를 통해서 콘택트 수용 오목부(24)에 피어싱 콘택트(1)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그후, 피어싱 콘택트(1)에 평형 케이블(40)을 접속해서 커버(22)를 닫는 것만으로, 평형 케이블(40) 및 피어싱 콘택트(1)를 고착할 수 있으므로, 더욱 조립이 용이하다.
이 발명의 일시형태의 설명은 이상과 같지만, 이 발명은 또한 다른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은 본체(21)와 커버(22)를 포함하고, 이들 본체(21)와 커버(22) 사이에 케이블 통로(30)가 구획 형성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고, 본체와 커버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구성, 즉, 하우징에 평형 케이블(40)을 곧장(실질적으로 절곡부가 없는 상태에서) 관통시키기 위한 케이블 통로가 천공 형성된 바와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하우징에[커버(22)와 다른] 결합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케이블 통로를 관통하는 평형 케이블(40)을 고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하우징에 부착된 리테이너를 초기 위치로부터 고착 위치로 변위시켜서 피어싱 콘택트(1)를 고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 케이블 통로는 하우징(20)을 관통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하우징의 일단부면으로부터 하우징 내의 도중부까지 연장되는 바와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하우징 내에 수용된 피어싱 콘택트(1)는 평형 케이블(40)의 도중부에 접속되는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평형 케이블(40)의 단부에 접속되는 바와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커버(22)는 연결부(23)를 통해서 본체(21)에 연결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본체(21)로부터 분리하고 있어도 좋다.
커버(22)는 리테이너(35)에 맞물림으로써 본체(21)에 결합하는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본체(21)에 맞물리는 바와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커버(22)가 본체(21)에 맞물리는 과정에서 리테이너(35)가 가압되는 등으로 해서, 리테이너(35)가 초기 위치로부터 고착 위치로 변위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리테이너(35)는 하우징(20) 내에 수용된 피어싱 콘택트(1)에 접촉해서 상기 피어싱 콘택트(1)를 고착하는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피어싱 콘택트(1)에 삽입 통과해서 피어싱 콘택트(1)를 고착하는 바와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피어싱 콘택트(1)는 연결부(4)가 피어싱부(3) 전단으로부터 전방[피어싱 돌기(2)가 돌출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후, 아래쪽[피어싱 돌기(2)가 돌출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와 같은 대략 L자 형상의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피어싱부(3)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아래쪽[피어싱 돌기(2)가 돌출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결부(4)가 연장되는 바와 같은 형상이어도 좋고, 피어싱 돌기(2)가 돌출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예를 들면, 90°미만)만큼 경사진 방향으로 연결부(4)가 연장되는 바와 같은 형상이어도 좋다. 또, 피어싱 돌기(2)가 돌출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부(4)가 연장되는 바와 같은, 전체로서 대략 직선형상의 피어싱 콘택트이어도 좋다.
피어싱 콘택트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200)의 콘택트(201)의 삽입을 받아 들이는 자형의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에 대해서 피어싱 콘택트가 삽입되는 웅형의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피어싱 커넥터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200)의 감합오목부(220A) 안에 감합되는 웅형의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상대측 커넥터를 끼워넣기 위한 감합오목부를 구비한 자형의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의 일례로서 FFC를 사용해서 설명했지만, 이 발명은 예를 들면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다른 평형 케이블이나, 동축 케이블 등의 다른 케이블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콘택트의 일례로서 피어싱 콘택트(1)를 사용해서 설명했지만, 이 발명은 예를 들면 의보주(擬寶珠) 접속부를 구비한 동축 케이블용 콘택트 등의 다른 콘택트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밝히기 위해서 사용된 구체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한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부착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평형 케이블용 콘택트(contact)로서 사용되는 피어싱 콘택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 도 2b 및 도 2c는 피어싱 콘택트를 유지하기 위한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피어싱 커넥터를 평형 케이블에 부착할 때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a(a), 도 4a(b), 도 4a(c), 도 4b(a) 및 도 4b(b)는 피어싱 커넥터를 평형 케이블에 부착할 때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에 있어서의 절단면선 A-A에 따른 단면을 좌측에서 본 도면,
도 5는 리테이너의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리테이너를 하우징의 본체 내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a, 도 7b 및 도 7c는 커버가 닫힐 때의 리테이너의 변위의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Claims (6)

  1. 상대측 커넥터(200)의 콘택트(201)에 대한 전기 접속을 위한 콘택트(1);
    상기 콘택트(1)를 수용하기 위한 콘택트 수용부(24)를 구비한 본체(21);
    상기 본체(21)에 대해서 결합 가능하고 상기 본체(21)에 결합됨으로써 이 본체(21)와 연동해서 상기 콘택트 수용부(24)에 수용되어 있는 콘택트(1)에 접속된 케이블(40)을 고착할 수 있는 결합부재(22); 및
    상기 본체(21)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결합부재(22)가 상기 본체(21)에 결합될 때에 이 결합부재(22)로부터의 외력을 받아서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콘택트 수용부(24)에 수용되어 있는 콘택트(1)를 고착할 수 있는 고착 위치로 변위하는 리테이너(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에는 상기 콘택트 수용부(24) 내에 콘택트(1)를 삽입하기 위한 콘택트 삽입 통로(2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테이너(35)는, 상기 초기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콘택트 삽입 통로(241)를 통해서 상기 콘택트(1)의 삽입을 허용하고, 상기 고착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콘택트 삽입 통로(241)에 돌출해서 상기 콘택트 수용부(24)에 수용되어 있는 콘택트(1)의 빠짐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2) 및 상기 본체(21)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콘택트 수용부(24)에 수용되어 있는 콘택트(1)에 접속된 케이블(40)을 실질적으로 절곡부가 없는 상태에서 관통시키기 위한 케이블 통로(30)를 구획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통로(30)의 양단의 개구 부근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40)을 협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협지부(54,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1)는 상기 케이블(40)의 도체(41)에 관통시켜야 할 돌기(2)가 구비된 피어싱부(3)와, 일단이 상기 피어싱부(3)에 연결되어 상기 돌기(2)가 돌출하는 방향과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4)와, 상기 연결부(4)의 타단에 연결된 상대측 커넥터(200)의 콘택트(201)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접속부(5)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22) 및 상기 본체(21)는 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수용부(24)에 수용되는 콘택트(1)의 상기 돌기(2)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케이블 통로(30)를 구획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콘택트 수용부(24)에 수용되어 있는 콘택트(1)에 접속되어 상기 결합부재(22)가 상기 본체(2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기 커넥터(100)에 고착된 케이블(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부착 케이블.
KR1020040088931A 2003-11-20 2004-11-03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부착 케이블 KR200500493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91094A JP2005158296A (ja) 2003-11-20 2003-11-20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JPJP-P-2003-00391094 2003-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342A true KR20050049342A (ko) 2005-05-25

Family

ID=3443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931A KR20050049342A (ko) 2003-11-20 2004-11-03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부착 케이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533871A3 (ko)
JP (1) JP2005158296A (ko)
KR (1) KR20050049342A (ko)
CN (1) CN10040750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9148027A1 (ja) * 2008-06-02 2011-10-27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9167200B (zh) * 2018-09-06 2020-01-21 温州健坤接插件有限公司 一种软灯带电连接器
US11761843B2 (en) 2019-06-14 2023-09-19 Pica Product Development, Llc Flat flexible conductive fluid sensor cable and connector
US10900859B2 (en) 2019-06-14 2021-01-26 Pica Product Development, Llc Conductive fluid sensor cable
WO2020252426A1 (en) 2019-06-14 2020-12-17 Pica Product Development, Llc Flat flexible conductive fluid sensor cable an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09455D0 (en) * 1984-04-12 1984-05-23 Lucas Ind Plc Electrical connector
US6048222A (en) * 1997-12-10 2000-04-11 Micron Electronics, Inc. Retentive ribbon cabl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58296A (ja) 2005-06-16
EP1533871A2 (en) 2005-05-25
CN100407509C (zh) 2008-07-30
CN1619893A (zh) 2005-05-25
EP1533871A3 (en)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597B1 (ko)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KR100708566B1 (ko) 전기/전자 장치용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TWI408853B (zh) 基板對基板連接器
JP4824618B2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EP3490081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supports
JP6210543B2 (ja) 端子接続装置
JP5654505B2 (ja) コネクタ装置
JP4291345B2 (ja) 接続装置
KR20020046189A (ko) 전기 커넥터
KR101106066B1 (ko) 평형 케이블용 콘택트와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부착평형 케이블
EP1215759B1 (en) A connector assembly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flat wire member
KR20050049342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부착 케이블
JP4579949B2 (ja) 接続端子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4606743B2 (ja) 圧接型コンタクト、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および電線付きコネクタ、ならびに電線付き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674785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
US6503096B2 (en) Connector
KR20090014099A (ko)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US20200083632A1 (en) Connector
JP2016076318A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
US11522316B2 (en)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or
KR102471869B1 (ko)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20110084844A (ko) 헤더
CN111384610B (zh) 中继连接器
JP2007141784A (ja) コネクタ端子および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KR20050043695A (ko) 피어싱형 콘택트, 피어싱형 콘택트 장착 평형 케이블 및커넥터 장착 평형 케이블, 및 그것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