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9213A -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9213A
KR20050049213A KR1020030083123A KR20030083123A KR20050049213A KR 20050049213 A KR20050049213 A KR 20050049213A KR 1020030083123 A KR1020030083123 A KR 1020030083123A KR 20030083123 A KR20030083123 A KR 20030083123A KR 20050049213 A KR20050049213 A KR 20050049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us
passenger
occupant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종철
홍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9213A/ko
Publication of KR2005004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21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에 있어서,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발권 요구에 따라 버스 운행 정보를 표시하며, 소정 버스가 선택되고 탑승자 정보가 입력되면 선택된 버스 정보와 탑승 정보를 제1 무선신호에 실어 외부로 전송하는 승차권 발권기와, 소정 고유 아이디를 가지며, 상기 버스 정보와 탑승 정보가 실린 제1 무선신호로부터 생성된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 정보와 탑승자 정보를 저장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저장된 탑승 정보 송신을 요구하는 제2 무선신호 수신 시 상기 저장된 탑승 정보를 송신하는 태그 승차권과, 상기 버스 내에 설치되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상기 태그 승차권에 저장된 상기 탑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제2 무선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상기 태그 승차권으로부터 수신되는 탑승 정보를 이용하여 승하차를 체크하여 탑승자의 승하차 여부를 저장하며, 버스 운전기사로부터 버스 출발 전 탑승 점검 요구가 있으면 상기 저장된 승하차 여부에 따라 미탑승자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탑승자 점검 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버스 출발 시 버스 운전기사가 탑승 인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미탑승자에게 버스 출발을 알려줌으로써 미탑승자가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SYSTEM FOR CHECKING THE NUMBER OF PERSONS RIDED IN A BUS}
본 발명은 버스 승객의 승 · 하차를 관리하고 버스 출발 시 버스 탑승 인원을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광버스, 업무용버스 또는 상용버스와 같이 탑승객이 많은 버스의 경우 출발하기 전에 인원 파악이 요구된다.
특히, 관광버스나 업무용 버스의 경우 휴게실이나 관광지등에서 승객 각자의 휴식이나 관광 및 볼일을 위하여 잠시 쉬었다가 출발하는 경우 인원 파악이 필수적이며, 인원 파악이 잘못되는 경우 일부 승객이 승차하지 않은 상태로 운행하는 불상사가 초래된다.
종래에는 버스가 고속도로 휴게소 또는 관광지 등에서 잠시 정차하였다가 출발하는 경우 버스 운전기사가 버스 내의 승객을 일일이 세어 승객이 전부 탑승하였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는 사람이 숫자를 세어 판단을 하므로 실수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버스 운전기사가 실수로 버스 내의 승객 숫자를 잘못 세었을 경우에는 미처 탑승하지 못한 승객을 태우지 못하고 출발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 운전기사가 승객을 일일이 세지 않고도 버스 탑승 인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스 출발 시 버스 탑승 인원을 파악하여 미탑승자에게 버스 출발을 알려줌으로써 미탑승자가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에 있어서,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발권 요구에 따라 버스 운행 정보를 표시하며, 소정 버스가 선택되고 탑승자 정보가 입력되면 선택된 버스 정보와 탑승 정보를 제1 무선신호에 실어 외부로 전송하는 승차권 발권기와, 소정 고유 아이디를 가지며, 상기 버스 정보와 탑승 정보가 실린 제1 무선신호로부터 생성된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버스 정보와 탑승자 정보를 저장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저장된 탑승 정보 송신을 요구하는 제2 무선신호 수신 시 상기 저장된 탑승 정보를 송신하는 태그 승차권과, 상기 버스 내에 설치되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상기 태그 승차권에 저장된 상기 탑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제2 무선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상기 태그 승차권으로부터 수신되는 탑승 정보를 이용하여 승하차를 체크하여 탑승자의 승하차 여부를 저장하며, 버스 운전기사로부터 버스 출발 전 탑승 점검 요구가 있으면 상기 저장된 승하차 여부에 따라 미탑승자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탑승자 점검 장치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은 승차권 발권기(100), 태그 승차권(200), 탑승자 점검 장치(300)로 구성된다.
승차권 발권기(100)는 버스 터미널 등에 설치 될 수 있으며, 버스 운행 정보를 저장하고, 버스를 타고자 하는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발권 요구에 따라 승객에게 태그 승차권(200)을 발권한다. 승객은 태그 승차권(200)을 지참하고 타고자 하는 버스에 탑승할 수 있다. 탑승자 점검 장치(300)는 버스 내에 설치되며, 태그 승차권(200)을 통해 버스를 탑승하는 승객 즉, 탑승자의 승하차를 체크하여 관리하고, 버스 운전기사로부터 버스 출발 전 탑승 점검 요구가 있으면 미탑승자를 검출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탑승자 점검 장치(300)는 버스 운전기사로부터 미탑승자 호출 요구가 있으면 미탑승자를 호출하여 버스 출발을 알린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버스 출발 시 탑승 인원을 파악하여 미탑승자를 검출할 수 있고, 미탑승자에게 버스 출발을 알려줌으로써 미탑승자가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 중 승차권 발권기(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승차권 발권기(100)는 제어부(102), 탑승자 정보 입력부(104), 탑승 정보 저장부(106), 버스 운행 정보 저장부(108), 탑승 정보 기록부(110), 탑승 정보 송수신부(112)로 구성된다.
제어부(10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차권 발권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2)는 버스를 타고자 하는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발권 요구에 따라 승객에게 태그 승차권(200)을 발권하고, 탑승 정보를 해당 버스의 탑승자 점검 장치(300)로 전송하는데 필요한 제어를 수행한다. 예컨대 제어부(102)는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발권 요구에 따라 선택된 버스의 소정 좌석에 해당하는 탑승자 정보를 입력받아 태그 승차권(200)에 선택된 버스 정보와 소정 좌석 정보 및 탑승자 정보를 기록하고, 해당 버스의 탑승자 정보를 탑승자 점검 장치(300)로 전송하는데 필요한 제어를 수행한다.
탑승자 정보 입력부(104)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들로 구성되거나,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 또는 버튼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02)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탑승 정보 입력부(104)는 승객이 타고자 하는 버스를 선택받거나, 승객으로부터 탑승자 정보를 입력받아 제어부(102)로 전달한다.
탑승 정보 저장부(106)는 제어부(102)의 제어 하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승객으로부터 입력되는 탑승자 정보를 해당 버스 정보 및 버스 내의 좌석 정보와 대응시켜 저장한다.
버스 운행 정보 저장부(10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운행 정보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운행 정보 일예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버스 운행 정보 저장부(108)에는 버스 정보와 그 버스 정보에 대응된 출발지, 목적지, 출발 시간이 저장된다. 예컨대 버스 운행 정보 저장부(108)에는 1번 버스가 서울에서 07:00에 출발하여 부산으로 향함을 저장한다.
탑승 정보 송수신부(112)는 외부로부터 버스 출발 신호를 수신하고, 버스 출발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02)의 제어 하에 탑승 정보를 출발 버스의 탑승자 점검 장치(300)로 전송한다.
탑승 정보 기록부(110)는 버스 정보와 좌석 정보 및 탑승자 정보를 RF 신호에 실어 태그 승차권(200)으로 송신함으로써 탑승 정보가 태그 승차권(200)에 기록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승차권(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태그 승차권(200)은 태그 내에 고유 ID를 가진 메모리(202)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송수신 신호 처리부(204)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RF부(206)으로 구성된다. 탑승 정보 기록부(100)로부터 탑승 정보 즉, 좌석 정보 및 탑승자 정보가 실린 RF 신호가 태그 승차권(200)의 RF부(206)에 수신되면 송수신 신호 처리부(204)는 RF 신호를 이용한 유도전류를 발생하여 RF 신호에 실려온 버스 정보와 탑승자 정보를 메모리(202)에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차권 발권기(100)의 태그 승차권 발권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차권 발권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02)는 42단계에서 버스를 타고자 하는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발권 요구가 있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02)는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발권 요구가 있으면 44단계로 진행하여 버스 운행 정보를 표시한다. 예컨대 제어부(1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정보와, 그 버스 정보에 대응된 출발지, 목적지, 출발시간 등을 포함하는 버스 운행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2)는 46단계에서 승객으로부터 버스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02)는 승객으로부터 소정 버스가 선택되면 48단계에서 승객에게 탑승자 정보 입력을 요구한다. 제어부(102)는 예컨대 표시부(114)에 탑승자 정보 입력 요구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탑승자 정보 입력을 요구 할 수 있다. 탑승자 정보는 예컨대 탑승자 호출이 가능한 휴대폰 전화 번호 등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02)는 탑승자 정보 입력을 요구하고 나서 50단계에서 탑승자 정보 입력이 완료되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02)는 승객에 의해 탑승자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52단계에서 탑승 정보 저장부(106)에 선택된 버스 정보와 선택된 버스의 좌석정보에 탑승자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탑승 정보 저장부(106)에 저장된 탑승자 정보 일예도이다. 제어부(10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 정보를 승객에 의해 선택된 버스 정보와 소정 좌석 정보에 대응시켜 탑승 정보 저장부(106)에 저장한다.
탑승 정보를 저장하고 나서 제어부(102)는 54단계에서 버스 정보 및 좌석정보, 탑승자 정보를 고유 아이디를 가진 태그 승차권(200)에 기록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02)는 탑승 정보 기록부(110)가 버스 정보 및 좌석 정보, 탑승자 정보를 RF 신호에 실어 태그 승차권(200)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버스 정보 및 좌석 정보, 탑승자 정보가 태그 승차권(200)에 기록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승차권(200)에 저장되는 버스 정보 및 좌석 정보, 탑승자 정보 일예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예컨대 '1'(2)은 버스 정보를 나타내고, '1'(4)은 버스의 좌석 정보를 나타내고, '011-123-4567'(6)은 버스의 소정 좌석에 탑승하는 탑승자 정보 즉, 탑승자의 핸드폰 번호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버스 정보 및 좌석 정보와 탑승자 정보가 태그 승차권(200)에 기록되도록 제어하고 나서 제어부(102)는 56단계에서 기 저장된 버스 정보에 해당하는 버스 출발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02)는 버스 출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42단계로 되돌아가서 42 내지 54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제어부(102)는 버스 출발 신호가 수신되면 58단계로 진행하여 버스 정보에 대응 저장된 좌석 정보 및 탑승자 정보를 해당 버스 내에 설치된 탑승자 점검 장치(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60단계에서 탑승 정보 저장부(106)에 저장된 탑승자 정보를 삭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태그 승차권(200)에 버스 정보와 좌석 정보 및 탑승자 정보가 기록되면, 승객은 태그 승차권(200)을 지참하고 타고자 하는 버스에 탑승할 수 있다. 버스 내에는 탑승자 점검 장치(300)가 설치되며, 탑승자 점검 장치(300)는 태그 승차권(200)을 통해 버스 탑승 인원을 파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점검 장치(3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점검 장치(300)는 탑승자 점검 제어부(302), 탑승자 정보 송수신부(304), 탑승 정보 저장부(306), 제1 안테나(320), 제2 안테나(322), 탑승자 승하차 판단부(308), 메모리(310), 표시부(312), 무선부(314)로 구성된다.
탑승자 점검 제어부(30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점검 장치(3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탑승자 점검 제어부(302)는 태그 승차권(200)을 지참하는 버스 내 탑승자의 승하차를 체크 및 관리하고, 탑승 점검 요구에 따라 미탑승자를 검출 및 표시하며, 미탑승자 호출 요구에 따라 미탑승자를 호출하는데 필요한 제어를 수행한다.
탑승 정보 송수신부(304)는 승차권 발권기(100)로부터 탑승 정보 즉, 좌석 정보와 탑승자 정보를 수신하고, 버스 출발 시 탑승자 점검 제어부(302)의 제어 하에 버스 출발 신호를 승차권 발권기(100)로 전송한다.
탑승 정보 저장부(306)는 탑승자 점검 제어부(302)의 제어 하에 수신된 탑승 정보를 저장한다.
제1 안테나(320) 및 제2 안테나(322)는 RF 신호를 발생하고, RF 신호에 의해 태그 승차권(200)으로부터 출력되는 탑승자 정보를 수신한다.
탑승자 승하차 판단부(308)은 제1 안테나(320) 및 제2 안테나와 연결되며, 제1 안테나(320)에 태그 승차권(200)으로부터 출력되는 탑승자 정보가 수신되고, 이어서 제2 안테나(322)에 동일한 탑승자 정보가 수신되면 탑승자 정보에 해당하는 좌석 정보의 승객이 승차한 것으로 판단한고 이를 메모리(310)에 저장한다. 또한 탑승자 승하차 판단부(308)는 제2 안테나(322)에 태그 승차권(200)으로부터 출력되는 탑승자 정보가 수신되고, 이어서 제1 안테나(320)에 동일한 탑승자 정보가 수신되면 탑승자 정보에 해당하는 좌석 정보의 승객이 하차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메모리(310)에 저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310)에 저장된 탑승자의 승하차 여부 정보 일예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예컨대 탑승자 정보가 '011-123-4567'에 해당하는 좌석 정보 '1'의 승객이 승차한 경우 메모리(310)에는 승하차 정보가'1'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탑승자 정보가'XXX-XXX-XXXX'에 해당하는 좌석 정보'2'의 승객이 하차한 경우 메모리(310)에는 승하차 정보가 '0'으로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표시부(312)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등과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탑승자 점검 장치(300)의 기능 수행 상태나 진행 상황 등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부(312)는 탑승자 점검 제어부(302)의 제어 하에 검출된 미탑승자를 표시한다.
무선부(314)는 탑승자 점검 제어부(302)의 제어 하에 미탑승자 호출 요구에 따라 미탑승자를 호출한다. 예컨대 무선부(314)는 미탑승자 호출 요구에 따라 미탑승자의 탑승자 정보에 해당하는 호출번호로 SMS를 보내거나, ARS 전화를 하거나, 전화 연결을 시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탑승자 점검 장치(300)는 승객이 지참하는 태그 승차권(200)을 통해 승객 즉, 탑승자의 승하차를 체크하여 관리하고, 버스 운전기사로부터 버스 출발 전 탑승 점검 요구에 따라 미탑승자를 검출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탑승자 점검 장치(300)는 버스 운전기사로부터 미탑승자 호출 요구에 따라 미탑승자를 호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점검 장치(300)의 버스 탑승 인원 파악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점검 장치(3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탑승자 점검 제어부(302)는 72단계에서 탑승자의 승하차를 체크한다. 예컨대 탑승자 점검 제어부(302)는 메모리(310)에 저장된 승하차 정보를 통해 버스 내 좌석의 승객 각각이 승차한 상태인지 하차한 상태인지를 체크한다. 이때 탑승자 점검 제어부(302) 탑승자 승하차 판단부(310)에 의해 메모리(310)에 저장된 승하차 정보를 이용하여 버스 내 좌석의 승객 각각이 승차한 상태인지 하차한 상태인지 체크할 수 있다.
탑승자 점검 제어부(302)는 상기한 바와 같은 탑승자의 승하차 상태를 계속해서 체크하면서 74단계에서 탑승 점검 요구가 있는지 판단한다. 탑승자 점검 제어부(302)는 버스 운전기사에 의해 버스 출발 전 탑승 점검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탑승 점검 요구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76단계로 진행한다. 탑승자 점검 제어부(302)는 76단계에서 메모리(310)에 저장된 승하차 정보를 통해 미탑승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미탑승자를 표시부(312)에 표시한다. 예컨대 좌석 정보를 이용하여 몇 번 좌석의 승객이 미탑승하였는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탑승자 점검 제어부(302)는 78단계로 진행하여 미탑승자 호출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탑승자 점검 제어부(302)는 버스 운전기사에 의해 미탑승자 호출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80단계에서 미탑승자를 호출한다. 예컨대 탑승자 점검 제어부(302)는 무선부(314)를 통해 미탑승자의 탑승자 정보에 해당하는 호출번호로 SMS를 보내거나, ARS 전화를 하거나, 전화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버스 출발을 알린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스 터미널 등에 버스 운행 정보를 저장하는 승차권 발권기를 설치하여 버스를 타고자 하는 승객에게 태그 승차권을 발권함으로써 승객이 태그 승차권을 지참하고 타고자 하는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버스 내에 탑승자 점검 장치를 설치하여, 태그 승차권을 통해 버스를 탑승하는 승객 즉, 탑승자의 승하차를 체크하여 관리하고, 버스 운전기사로부터 버스 출발 전 탑승 점검 요구에 따라 미탑승자를 버스 운전기사에게 알려준다. 또한 탑승자 점검 장치는 버스 운전기사로부터 미탑승자 호출 요구가 있으면 미탑승자를 호출하여 버스 출발을 알린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버스 출발 시 탑승 인원을 파악하여 미탑승자를 검출할 수 있고, 미탑승자에게 버스 출발을 알려줌으로써 미탑승자가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여 버스 운전기사가 미처 탑승하지 못한 승객을 태우지 못하고 출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차권 발권기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운행 정보 일예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승차권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차권 발권기의 태그 승차권 발권에 대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탑승 정보 일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승차권에 저장되는 탑승 정보 일예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점검 장치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점검 장치의 승하차 정보 일예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승 점검 장치의 버스 탑승 인원 파악 흐름도

Claims (10)

  1.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에 있어서,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발권 요구에 따라 버스 운행 정보를 표시하며, 소정 버스가 선택되고 탑승자 정보가 입력되면 선택된 버스 정보와 탑승 정보를 제1 무선신호로 전송하는 승차권 발권기와,
    소정 고유 아이디를 가지며, 상기 제1 무선신호로부터 유도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버스 정보와 탑승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에서 상기 탑승 정보 송신을 요구하는 제2 무선신호 수신 시 상기 저장된 탑승 정보를 송신하는 태그 승차권과,
    상기 버스 내에서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상기 태그 승차권에 저장된 상기 탑승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제2 무선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통해 상기 태그 승차권으로부터 탑승 정보를 수신하여 탑승자의 승하차를 체크하여 승하차 정보를 저장하고, 버스 운전기사로부터 버스 출발 전 탑승 점검 요구가 있으면 상기 승하차 정보를 이용하여 미탑승자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탑승자 점검 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인원 파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점검 장치는 버스 출발 전 버스 운전기사로부터 미탑승자 호출 요구가 있으면 미탑승자를 호출하여 버스 출발을 알림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인원 파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정보는 좌석 정보 및 탑승자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인원 파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정보는 탑승객의 전화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인원 파악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 발권기는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발권 요구를 입력받고, 승객이 타고자 하는 버스를 선택받으며 승객의 탑승자 정보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승차권 발권 요구에 따른 버스 운행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외부로부터 소정 버스 출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버스 정보와 탑승자 정보를 제1 무선신호에 실어 해당 버스로 전송하는 탑승 정보 송수신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승차권 발권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에 버스 운행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외부로부터 소정 버스 출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버스 정보 및 입력된 탑승자 정보를 제1 무선신호에 실어 해당 버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인원 파악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승차권은
    외부로부터 상기 버스 정보와 탑승자 정보가 실린 제1 무선 신호와, 외부로부터 상기 태그 승차권에 미리 저장된 탑승자 정보 송신을 요구하는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소정 제어 하에 탑승자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알에프부와,
    상기 제1 무선 신호에 실려온 상기 버스 정보와 탑승자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알에프부에 상기 제1 무선신호 수신시 유도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무선신호에 실린 상기 버스 정보와 탑승자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2 무선신호 수신 시 유도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탑승자 정보를 상기 알에프부를 통해 외부로 송출시키는 송수신 신호 처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인원 파악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점검 장치는
    상기 태그 승차권에 저장된 상기 탑승자 정보 전송 요구를 위한 제2 무선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태그 승차권으로부터 탑승자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및 제2 안테나와,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상기 탑승자 정보가 수신되고 이어서 제2 안테나로부터 동일한 탑승자 정보가 수신되면 탑승자 정보에 해당하는 승객이 승차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상기 탑승자 정보가 수신되고 이어서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동일한 탑승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탑승자 정보에 해당하는 승객이 하차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탑승자 승하차 판단부와,
    상기 탑승자의 승하차 판단 여부를 나타내는 승하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소정 제어 하에 탑승자 미탑승자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버스 운전기사로부터 버스 출발 전 탑승 점검 요구가 있으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승하차 정보를 이용하여 미탑승자를 검출하고, 상기 표시부에 미탑승자를 표시하는 탑승자 점검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인원 파악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소정 제어 하에 상기 미탑승자의 탑승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탑승자를 호출하는 무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탑승자 점검 제어부는 버스 운전 기사로부터 미탑승자 호출 요구 시 상기 무선부를 통해 미탑승자를 호출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인원 파악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부는 상기 미탑승자의 탑승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탑승자에게
    버스가 출발함을 알리는 단문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인원 파악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부는 상기 미탑승자의 탑승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탑승자에게 전화를 걸어 버스가 출발함을 알림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인원 파악 시스템.
KR1020030083123A 2003-11-21 2003-11-21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 KR20050049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123A KR20050049213A (ko) 2003-11-21 2003-11-21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123A KR20050049213A (ko) 2003-11-21 2003-11-21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213A true KR20050049213A (ko) 2005-05-25

Family

ID=3724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123A KR20050049213A (ko) 2003-11-21 2003-11-21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921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370B1 (ko) * 2006-06-14 2007-01-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승선 인원 자동파악 및 안전관리 시스템
KR100852513B1 (ko) * 2006-10-16 2008-08-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Rfid를 이용한 승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3200A (ko) * 2015-06-30 2017-01-09 황문학 대중교통 수단의 탑승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23699B1 (ko) * 2022-11-26 2024-01-11 김사라 교통 약자를 위한 탑승 정보 알림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370B1 (ko) * 2006-06-14 2007-01-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승선 인원 자동파악 및 안전관리 시스템
KR100852513B1 (ko) * 2006-10-16 2008-08-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Rfid를 이용한 승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3200A (ko) * 2015-06-30 2017-01-09 황문학 대중교통 수단의 탑승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23699B1 (ko) * 2022-11-26 2024-01-11 김사라 교통 약자를 위한 탑승 정보 알림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8822A (en) Mobile station monitoring system
MX2007004848A (es) Metodo y sistema para monitorear un vehiculo.
JP2017087812A (ja) 事故通報装置、事故通報アプリケーション、事故通報システム、事故通報方法
KR20050049213A (ko) 버스 탑승 인원 파악 시스템
JP2000232533A (ja) 車両緊急通報システム
JP5838069B2 (ja) 出庫処理システム、タクシーメータ及び車両管理装置
KR2006003177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2298288A (ja) 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JP3323158B2 (ja) 事故通報システムおよび事故通報方法
KR100688429B1 (ko) 거주자 우선 주차장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095835B1 (ja) 事故通報装置、事故通報アプリケーション、事故通報システム、事故通報方法
JP2007323123A (ja) 誤乗車防止システム及び誤乗車防止方法
KR20090060506A (ko) 운전자 인증 시스템
JP2000286999A (ja) 移動端末動作試験方法
JPH09115095A (ja) タクシー呼び出し装置
JP3042967B2 (ja) 検札システム
JP3920589B2 (ja) バス到着管理システム
KR20010097444A (ko) 이동전화, 유선전화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 근접 차량 호출방법
JP2010044734A (ja) 運賃精算装置
JP5149733B2 (ja) 乗客管理システム
JP2003132497A (ja) 駐車場システム
KR20060134268A (ko) 승객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H0744797A (ja) バス案内システム
JP2006119889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0545644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대기안내장치 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