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7233A - 사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건강보조식품 - Google Patents

사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건강보조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7233A
KR20050047233A KR1020030081033A KR20030081033A KR20050047233A KR 20050047233 A KR20050047233 A KR 20050047233A KR 1020030081033 A KR1020030081033 A KR 1020030081033A KR 20030081033 A KR20030081033 A KR 20030081033A KR 20050047233 A KR20050047233 A KR 20050047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igf
extract
composition
secre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9437B1 (ko
Inventor
최규호
성대석
이소희
김수남
이병곤
장이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30081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437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의 생체내 분비를 촉진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생약재인 사인(Amomi Semen)으로부터 추출된 사인추출물을 함유하여 IGF-1의 생체내 분비를 촉진하는 피부 외용제 및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얻어지는 조성물은 식품 생약재로 알려진 사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으므로, 인체에 안전성을 가지며, 피부노화와 관련된 여러 인자들을 증진 혹은 억제하여 피부 두께 강화, 주름 개선, 및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궁극적으로 피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고 부작용이 없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s to the skin and health supplement foods containing Amomi Semen extract for promoting the secretion of IGF-1}
본 발명은 생체 내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Insulin-like growth factor-1; 이하 "IGF-1"라 합니다)의 분비를 촉진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부터 생약재로 쓰여온 사인으로부터 추출한 사인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IGF-1의 생체내 분비를 촉진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1950년대 이후로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 GH)은 임상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성장호르몬은 성장 촉진, 단백질 합성 및 지질 대사 증진 뿐 아니라 골다공증 치료, 복합골절, 심근증, 비만 등의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왔다(R.P. Nargund. et al.,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41(17):3103(1998)). 성장호르몬은 뇌하수체와 시상하부에 의해서 분비 및 조절되는 호르몬으로서 19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고 신체의 대부분의 조직과 반응하는데, 특히 간에서 생성되는 IGF-1은 성장호르몬의 생체 내 분비를 제어할 뿐 아니라 성장호르몬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세포의 성장과 분화 및 활성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성장호르몬의 영향으로 간에서 대부분이 만들어지는 IGF-1은 뼈, 근육, 신경, 혈관, 조직들을 형성하게 하고 손상된 세포의 재생을 도와주며 세포사멸(apoptosis)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뇌하수체의 노화를 지연시키며 혈당안정과 인슐린 저항성을 정상화시킨다고 한다(D.L. Roith. et al., Endocrine Reviews 22(1):53(2001)). 생체내 IGF-1의 대부분의 양은 간에서 만들어지고 일부가 신체 각 조직에서 자가분비(autocrine)/측분비(paracrine)를 통해서 분비된다고 보고되었는데(D'Ercole AJ. et al., Dev Biol 75:315(1980)), 이것은 성장호르몬과 IGF-1은 아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작용하기도 하지만 각기 독자적으로 반응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한편, 간에서 만들어지는 대부분의 IGF-1은 성장호르몬과의 피드백 루프(feedback loop)를 제어하는데 관여하고 국소적으로 분비되는 IGF-1이 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유도한다고 한다. 이것은 간 특이적 igf-1 유전자 결핍 쥐 모델(liver specific igf-1 gene-deleted mouse model)을 통해 알 수 있었는데, 해당 유전자의 결핍으로 인해 간에서 분비되어 전신 순환하는 IGF-1 양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조직의 성장과 분화는 정상적으로 나타났다(sjogren K.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6:7088(1999)). 이것은 뇌를 거치는 전신순환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국소적으로 IGF-1의 분비를 촉진시켜 세포의 성장 촉진과 활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생체내에서 다양하고 중요한 기능을 하는 IGF-1은 성장호르몬과 연결되어 혹은 독자적인 기전을 통해 분비되고 또한 그 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IGF-1 분비능을 가진 물질의 확보는 성장촉진, 노화억제의 관점에서 볼 때 굉장히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생체내 IGF-1의 분비를 촉진시키면서 생체내에서 안전한 천연물질을 계속 연구하여 선별한 결과, 종래부터 생약재로 사용되었던 사인으로부터 얻은 사인추출물이 생체내 IGF-1의 분비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시험관(In vivo) 혹은 동물모델(In vitro)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고, 또한 이러한 특성을 갖고 있는 사인추출물이 노화억제의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사인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예로써 건강보조식품 및 피부 외용제를 만들어 동물모델에 투여 또는 도포한 결과 피부내 ECM 성분이 강화되어 진피내 콜라겐 생성이 증가되고 주름생성이 억제되었으며, 피부두께 및 탄력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IGF-1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능을 가지는 사인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피부의 내인성 노화 및 광노화를 지연시키는 효능을 가지는 사인추출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생체내 IGF-1의 유효한 작용은 문헌상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IGF-1은 뼈, 근육, 신경, 혈관, 조직들을 형성하게 하고 손상된 세포의 재생을 도와주며 세포사멸(apoptosis)을 억제한다. 또한 뇌하수체의 노화를 지연시키며 혈당안정과 인슐린 저항성을 정상화시킨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하는 IGF-1을 효과적으로 분비·촉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확보할 수 있다면 IGF-1 분비 감소로 인해 유발되는 제증상을 완화 혹은 치유하는데 크게 기여를 할 수 있다.
또한 IGF-1은 세포의 성장과 분화 및 활성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세포주기를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세포의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진피내 ECM 성분인 콜라겐, 파이브로넥틴, GAG 합성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TGFβ-1 의 발현을 증가시키고(Ghahary A et al, Journal of Cellular Physiology 1998;174:301-309), 진피내 ECM 성분을 분해하는 MMP 효소의 발현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Ghahary A et al, Growth Factors, 2000;17(3):167-76). 그리고 콜라겐 섬유구조형성에 중요한 lysyl oxidase, lysyl hydroxylase 및 콜라겐 리사이클링에 작용하는 prolidase 발현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iser K et al, Am J Physiol, 1996;271(3pt2):R696-703). 따라서, 분비된 IGF-1은 진피내 ECM 성분을 강화하고 표피도 두껍게 하여 피부 주름 방지에 좋은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사인(Amomi Semen)은 원명이 축사밀(縮砂密)로서 현재 사인으로 사용되는 종류는 양춘사(Amomum villosum Lour.), 녹각사(Amomum villdsum Lour. Var. Xanthioides), 해남사(Amomum longiligulare T.L.Wu), 홍각사(Amomum auranticum H.T.Tsai et S.W.Zhao) 등속의 과실이다. 사인의 주성분은 캠포(d-Camphor), 보르네올(d-Borneol), 보르닐아세테이트(Bornyl acetate), 네로리돌(Nerolidol)이고, 약리학적 작용으로는 위장의 운동을 활성화하여 소화를 돕고 진경작용이 있어 주로 방향성 건위약, 지사제로 쓰인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피부노화를 지연시키는 IGF-1 분비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인추출물은 in vitro 실험 및 in vivo 실험을 근거로 볼 때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의 제형 형태로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들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의 제형을 들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IGF-1 분비 촉진용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강보조식품이란 일반 식품에 사인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일반식품의 기능을 향상시킨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사인추출물을 일반식품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고, 일반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였기 때문에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사인추출물을 사용하여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할 경우, 사인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절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건강보조식품에 혼합하는 사인추출물의 혼합량은 그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원료 총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사인추출물의 제조
사인 전초 500g에 중량(Kg)비 4배량의 70% 에탄올을 가한 후 80℃에서 2시간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이를 하루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여 불순물을 침전시킨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2회 여과한 여액을 감압 증발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증발시켜 농축하여 사인추출물 50g을 얻었다.
[시험예 1] 사인추출물의 IGF-1 프로모터(promoter) 활성 촉진 효과
Dr. Peter Rotein(Washington University of medicine)으로부터 기증받은 IGF-1 프로모터를 가지고 있는 플라스미드를 HEK 293 세포에 감염한 후 보고 유전자 분석(reporter gene assay)을 통하여 사인추출물의 IGF-1 프로모터 활성을 관찰하였다. 24-well plate에 105 세포를 넣고 10% 우태아 혈청이 들어있는 DMEM 배지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을 1ppm, 10pp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24시간후에 PBS로 세척한 후 세포를 파쇄하여 상징액을 얻었다. 이어 Promega 사에서 제조 판매하는 Dual-LuciferaseR Reporter Assay System kit 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을 처리한 샘플과 동일한 조성에 사인추출물만을 처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의 루시페라아제 활성(luciferase activity)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사인추출물은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IGF-1 프로모터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농도(ppm) IGF-1 promoter 활성 촉진능(%)
10 160
1 115
음성대조군 100
[시험예 2] 인체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IGF-1의 발현양 증가 확인
인체 섬유아세포를 105개의 농도로 6-well plate에 넣은 후 10% 우태아 혈청이 들어있는 DMEM 배지에서 배양한 다음,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을 1ppm, 10ppm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양 48시간 후 상징액을 수확해서 ELISA(R&D Systems DG100)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IGF-1의 양을 정량하였다. 동일한 조성에 사인추출물만을 처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을 100으로 한 비교치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을 처리한 샘플이 음성대조군에 비교하여 IGF-1 생합성능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상기 사인추출물이 in vitro 상에서 IGF-1 분비 촉진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농도(ppm) IGF-1 생합성(%)
10 154
1 148
음성대조군 100
[시험예 3] 동물모델을 이용한 IGF-1 mRNA의 증가
피부에서 IGF-1 mRNA 증가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약 7주령의 무모생쥐(SKH-1 female hairless mouse)를 이용하여 RT-PCR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에 사용하기 위하여 하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제형예 1∼2를 제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고, 대조군으로 사용되는 시험군으로는 상기 사인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크림 비교제형예 1을 만들어 같은 용량으로 처리하였다. 각 구성성분의 함량은 중량%이다.
배합성분 제형예 1 제형예 2 비교제형예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1의 사인추출물 0.1 1 -
식물성 경화유 1.5 1.5 1.5
스테아린산 0.6 0.6 0.6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 1.0 1.0
스테아릴 알코올 2.0 2.0 2.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베헤닐 알코올 &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 1.0 1.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 1.0 1.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 2.0 2.0
PEG-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 1.5 1.5
카프릴릭/카르릭 트리 글리세라이드 11.0 11.0 11.0
사이클로메티콘 6.0 6.0 6.0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 0.1 0.1
상기의 표 3에서와 같이 사인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1∼2의 크림과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 1의 크림을 무모생쥐의 등부위에 2일간 첩포하고, 1일간 휴식 후 같은 방법으로 2회 더 실시한 직후 무모생쥐의 등피부 부위를 생검(biopsy)하였다. 이어 생검한 조직으로부터 total RNA를 얻은 후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MBI Fermentas)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고, 이어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로 표현되는 mouse IGF-1 프라이머(Forward--GGACCAGAGACCCTTTGCGGGG, Reverse--GGCTGCTTTTGTAGGCTTCAGTGG)를 이용하여 95℃에서 45초간 변성, 60℃에서 1분간 어닐링, 72℃에서 1분간 확장하는 전체과정을 25회 반복수행하는 RT-PCR을 거쳐 mouse IGF-1 밴드를 얻었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대조군에 비해 IGF-1 mRNA 발현양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피부세포의 콜라겐 생합성 효능 측정
인체 섬유아세포를 104 개의 농도로 24-well plate에 넣은 후 10% 우태아 혈청이 들어있는 DMEM 배지에서 배양한 다음,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을 1ppm, 10ppm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양 48시간 후 상징액을 수확해서 ELISA (Takara MK101)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프로콜라겐의 양을 정량하였고, 그 결과 대조군을 100으로 한 비교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농도(ppm) 콜라겐 생합성(%)
10 109
1 111
대조군 100
상기 결과에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이 IGF-1의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콜라겐 생합성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자외선에 의한 타입 I 콜라게나제(MMP-1)의 생합성 억제 효능 측정
인체 섬유아세포를 104 개의 농도로 24-well plate에 넣은 후 10% 우태아 혈청이 들어있는 DMEM 배지에서 37℃로 배양한 다음,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을 1ppm, 10ppm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양 48시간 후 상징액을 수확해서 ELISA(AP biotech RPN2610)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타입 I 콜라게나제의 양을 정량하였고, 사인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측정한 비교치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농도(ppm) 타입 Ⅰ 콜라게나제 생합성(%)
10 37
1 47
대조군 100
상기 결과에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이 자외선에 의한 타입 I 콜라게나제의 생합성을 농도에 의존하여 현저하게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사인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타입 I 콜라게나제의 생합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기질의 분해를 효과적으로 막아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6] Glycosaminoglycan(GAG) 생합성능 측정
인체 섬유아세포를 5×104 개의 농도로 24-well plate에 넣은 후 10% 우태아 혈청이 들어있는 DMEM 배지에서 37℃로 배양한 다음,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을 1ppm, 10ppm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양 18시간 후 상징액을 수확하여 Blyscan proteoglycan & Glycosaminoglycan assay(Biocolor. Ltd) kit를 이용해서 GAG 생합성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을 처리한 샘플은 사인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높은 GAG 생합성능을 나타내었는데,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이 피부조직을 강화시킴을 알 수 있다.
농도(ppm) GAG 생합성(%)
10 138
1 125
대조군 100
[시험예 7] ERK 및 p38 MAP kinase 저해 여부 관찰
100mm dish에 인간 섬유아세포를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액(PBS)으로 세척하여 FBS를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UVB를 조사한 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을 1ppm, 10ppm 포함한 DMEM 배지로 교체하였다. 0, 0.5, 1, 2,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용균 완충액(lysis buffer)을 이용하여 세포 여액(cell lysate)을 얻은 다음 이를 각각 인산화된 ERK(phosphorylated ERK)와 인산화된 p38 MAPK(phosphorylated p38 MAPK) 항체를 이용하여 western blot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인산화된 ERK에 대한 western blot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ERK 발현은 UV만 조사했을 때와 비교해서 2시간째 감소했다가 4시간째가 되면 다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은 UV에 의한 광노화 반응에서 초기단계의 ERK의 발현을 억제하여 노화 시그널의 전달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보여진다. 도 3은 인산화된 p38 MAPK에 대한 western blot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인산화된 p38 MAPK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 시험예 4 내지 시험예 6의 결과로 본 발명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이 내인성 노화 및 광노화와 관련된 여러 지표인자를 효과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피부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8] 무모생쥐에서 표피두께의 변화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피부 두께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약 40주령의 무모 생쥐(SKH-1 female hairless mouse)의 등부위에 상기 표 3에서 제조한 제형예 1∼2의 크림 및 비교제형예 1의 크림을 4주 도포한 후 무모생쥐의 등피부 부위를 생검(biopsy)하였다. 이것을 H&E 염색하여 피부 표피의 두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인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1∼2를 처리한 샘플은 비교제형예 1을 처리한 샘플에 비해 2-3배 이상 표피가 두꺼워지고, 진피도 현저히 두꺼워져 밀도가 높아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피부의 잔주름을 감소시키고, 탄력을 강화시킴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9] 무모생쥐에서 콜라겐 생합성 효능과 주름 개선 효과 표피두께의 변화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피부 콜라겐 합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약 40주령의 무모 생쥐(SKH-1 female hairless mouse)의 등부위에 상기 표 3에서 제조한 제형예 1∼2의 크림 및 비교제형예 1의 크림을 4주간 도포한 후 같은 방법으로 1회 더 실시한 직후 무모생쥐의 등피부 부위를 생검(biopsy)하였다. 이것을 Van Gieson 염색을 실시하여 콜라겐 생합성 효능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인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1∼2의 크림을 도포한 샘플이 비교제형예 1의 크림을 도포한 샘플에 비해 진피 콜라겐의 생합성량이 늘어나고 밀도도 높아지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제형예 1∼2의 크림이 항노화의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사인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표피 및 진피를 두껍게 해주고, 콜라겐 성분을 증가시켜 피부조직이 더 치밀해지도록 하는 등 피부노화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형예 3] 건강보조식품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사인추출물을 사용하여 하기 표 7과 같이 배합하여 통상적인 음료 제조방법으로 건강보조식품 음료를 제조하였다.
원료 제형예 3 비교제형예 2
배합량(중량%) 배합량(중량%)
실시예 1에서 제조한사인추출물 0.1 -
과당 11 11
벌꿀 6.5 6.5
구연산 0.15 0.15
비타민 C 0.05 0.05
to 100 to 100
[시험예 10] 무모생쥐에 제형예 3을 경구투여했을 경우 주름 개선 효과
사인추출물을 이용하여 건강보조식품으로 제조된 제형예 3을 8주 동안 무모생쥐에 경구투여한 후 등피부 부위를 생검하였다. 이것을 Van Gieson 염색을 실시하여 콜라겐 생합성 효능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형예 3을 경구투여한 생쥐에서 비교제형예 2를 경구투여한 경우보다 진피 콜라겐의 생합성량이 늘어나고 밀도도 높아졌으며 두께도 커지는 것이 관찰되어, 이로부터 제형예 3의 경우에도 주름개선의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인추출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IGF-1의 생체내 분비를 촉진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조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식품 생약재로 알려진 사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으므로 인체에 안전성을 가지며, 피부노화와 관련된 여러 인자들을 증진 혹은 억제하여 피부 두께 강화, 주름 개선, 및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궁극적으로 피부 노화를 지연시켰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사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할 수 있었다.
도 1은 제형예 1∼2 및 비교제형예 1을 첩포한 후 얻은 생검 조직으로부터 얻은 RNA들의 RT-PCR 수행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인산화된 ERK에 대한 western blot이다.
도 3은 인산화된 p38 MAPK에 대한 western blot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인추출물을 처리한 후 표피와 진피의 변화를 관찰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인추출물을 처리한 후 진피의 콜라겐 생합성량을 관찰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사인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3의 콜라겐 생합성량을 보여주는 것이다.
<110> AMOREPACIFIC CORPORATION <120> 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s to the skin and health supplement foods containing Amomi Semen extract for promoting the secretion of IGF-1 <160> 2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T-PCR amplification primer for amplifying the gene of mouse igf-1 <400> 1 ggaccagaga ccctttgcgg gg 22 <210> 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T-PCR amplification primer for amplifying the gene of mouse igf-1 <400> 2 ggctgctttt gtaggcttca gtgg 24

Claims (9)

  1.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분비 촉진용 사인추출물.
  2. 제 1항의 사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사인추출물을 0.001∼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노화 방지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주름 방지용 또는 개선용, 피부두께 강화용 또는 피부 탄력의 향상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 1항의 사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보조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사인추출물을 0.001∼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보조식품은 피부 노화 방지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보조식품은 피부 주름 방지용 또는 개선용, 피부두께 강화용 또는 피부 탄력의 향상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20030081033A 2003-11-17 2003-11-17 사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건강보조식품 KR100619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033A KR100619437B1 (ko) 2003-11-17 2003-11-17 사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건강보조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033A KR100619437B1 (ko) 2003-11-17 2003-11-17 사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건강보조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233A true KR20050047233A (ko) 2005-05-20
KR100619437B1 KR100619437B1 (ko) 2006-09-28

Family

ID=3724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033A KR100619437B1 (ko) 2003-11-17 2003-11-17 사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건강보조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4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15B1 (ko) * 2014-10-22 2016-02-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1,2,4,5-tetramethoxybenze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15B1 (ko) * 2014-10-22 2016-02-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1,2,4,5-tetramethoxybenze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9437B1 (ko)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484B1 (ko) 들쭉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과 그제조방법
US9763868B2 (en) Skin collagen production-promoting agent
WO2014203885A1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0802144B1 (ko) 탈모 방지 또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0980352B1 (ko)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JP4698935B2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5955499B2 (ja) 皮膚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2010254667A (ja) コラーゲンゲル収縮剤
KR20090064743A (ko) 데아닌을 함유하는 프롤린 리사이클링 촉진용 피부 외용제또는 미용 식품 조성물
KR20130099104A (ko)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CN111135124A (zh) 含有蔗糖、吲哚-3-乙酸以及玫瑰果提取物的混合物的皮肤外用剂组合物
KR100619437B1 (ko) 사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건강보조식품
KR101081424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627823B1 (ko) 우유로부터 유래된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흉터 생성 억제용 조성물
KR101808222B1 (ko) 무산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탄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CN113633585B (zh) 具有防脱发、生发及黑发功效的外用护发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20080001820A (ko)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및 피부미백용피부외용제 조성물
WO2020111047A1 (ja) 頭皮頭髪用組成物
KR102537521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287153B1 (ko)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RU214481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регенерирующего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крема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KR102292961B1 (ko) microRNA-2478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용 조성물
EP4070798A1 (en) Chronic wound healing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KR20210070063A (ko) Rap1a 발현을 저해하는 siRNA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용 조성물
RU2221545C1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улучшающее физиологическое состояние кожных покров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