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6869A -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 - Google Patents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6869A
KR20050046869A KR1020030080476A KR20030080476A KR20050046869A KR 20050046869 A KR20050046869 A KR 20050046869A KR 1020030080476 A KR1020030080476 A KR 1020030080476A KR 20030080476 A KR20030080476 A KR 20030080476A KR 20050046869 A KR20050046869 A KR 20050046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formwork
concre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완
Original Assignee
혜광종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혜광종건(주) filed Critical 혜광종건(주)
Priority to KR1020030080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6869A/ko
Publication of KR20050046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86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23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and at least one form leaf being monolith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76Wall end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82Mixed technique using permanent and reusabl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에 있어서, 시멘트, 물, 세골재, 조골재 및 스틸파이버가 혼합된 넓은 박막 판상으로서, 그 상면으로는 종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다수의 보강돌조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며, 좌우 양측단면에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고, 전후 양측단면은 외향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공이 편리하고 공기가 단축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거푸집용 패널을 규격화하여 공장에서 양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생산성 및 작업성을 보다 증대시킴은 물론, 조립식 건축물의 벽 패널로도 사용할 수 있어 실용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Form available for wall}
본 발명은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패널이 거푸집 역할을 하는 동시에, 패널의 내측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는 그 자체가 벽체의 외체로 되는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벽을 축조하는 방법으로서 맞벽 또는 합벽이라 불리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바, 상기 맞벽이라 함은 거푸집을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한 후에 폼타이(form tie) 등으로 그 형태를 유지시켜 놓고,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축조한 벽을 가리키고, 상기 합벽이라 함은 지층에 인접하여 거푸집을 한쪽지지 방식으로 세워 놓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축조한 벽을 가리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맞벽 및 합벽과 같은 방식에 의해 콘크리트벽을 축조함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거푸집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 과정에서 목재 합판 거푸집이 사용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몇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거푸집은 여러 개의 단판들이 적층되는 형태로 제공되어, 비를 맞거나 기타 원인으로 목재에 수분이 침투하는 경우에 부패하게 되고, 이로써, 수중작업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거푸집의 귀퉁이 부분이 잘 부서져 5 ~ 6회 이상 반복해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재시에는 곧게 출시되나 햇빛과 공기에 노출되면 굽거나 비틀림이 발생하여 곧바로 폐기되는 경우가 많아 자재구입을 위한 비용 부담이 크며,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소각 또는 폐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각시 사용되는 화약약품으로 인해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하고, 목재의 사용증가로 인하여 산림자원이 점차 고갈됨으로 인해 환경문제를 더욱 부채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목제품은 다듬고 제작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데 반해, 거푸집용 보강재로 사용시 불규칙하게 절단되어 자재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고, 목재 자체의 무게로 인해 운반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푸집으로 조립해서 사용하고 콘크리트로 양생한 후에는 반드시 분리, 제거하여야 하므로, 박리제를 도포하더라도 합판이 콘크리트에 비교적 잘 달라붙는 성질을 가지므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탈리되는 과정에서 표면이 손상되는 정도가 커서, 반복사용할 수 있는 횟수가 크게 제한되는 결함이 있었다.
한편, 아파트 현장과 같이 동일평면에 대한 반복적인 공사가 많은 건설현장에서 벽체용 거푸집으로 금속제 유로폼(Euro-Form)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벽체용 미경화 콘크리트에서 전달되는 측압을 완충시켜 전달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하면서 사용회수를 증대시키는 장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며, 최근에는 금속제 유로폼 외에 합성수지제를 성형한 패널을 거푸집 패널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기존의 유로폼의 외틀체부에 합성수지제 거푸집 패널을 합판의 대용품으로 끼워서 대체시킨 변형 유로폼이 제작되어 사용되어 온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 유로폼 또한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즉, 종래의 변형 유로폼은 종래의 합판과 유사한 형태로 성형 제조된 합성수지 패널로서, 합판에 비하여 휨하중에 대한 지지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짐으로 인해 금속제 내틀체부의 사용량이 증대되고, 따라서, 전체적인 중량이 커져서 건설현장에서 취급이 용이하지 않고,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또 다른 유로폼, 스틸폼, 플라스틱 등의 경우에도, 각 제품간에 호환성이 결여되어 한 제품 구입시 동일 제품을 일괄 구입하여야 하므로 구입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습기에 약하여 수중 작업시 도장이 벗겨지고 녹이 슬어서 녹슬음방지 화학약품을 구입해야 하는 등 재사용하는데 필요한 관리비가 추가로 소요되며, 중량이 많이 나가 인력으로는 현장까지 운반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여러 번 사용하여 비틀림이 발생할 경우 인력으로 원상복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으며, 수명이 다한 제품을 폐기할 경우 철물과 화학약품으로 인해 심각한 환경오염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 패널들은 그 재질을 막론하고 조립 후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반드시 분리, 제거하여야 하며, 탈리되면서 손상된 표면을 다듬어 주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 아니라 콘크리트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판 자체가 거푸집 역할을 하는 동시에, 내측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는 그 자체가 벽체의 외체를 구성하는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경화 후 거푸집용 패널을 분리 제거하고 탈리된 콘크리트 표면을 다듬어주는 번거로운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편리하고 공기가 단축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용 패널을 규격화하여 공장에서 양산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그 생산성 및 작업성을 보다 증대시킴은 물론, 조립식 건축물의 벽 패널로도 사용할 수 있어 실용성을 높이는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에 있어서, 시멘트, 물, 세골재, 조골재 및 스틸파이버가 혼합된 넓은 박막 판상으로서, 그 상면으로는 종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다수의 보강돌조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며, 좌우 양측단면에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고, 전후 양측단면은 외향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을 이용한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을 이용한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패널(10)은 PC(precast concrete)로서, 시멘트와 물을 일정비로 혼합하면서 모래와 같은 세골재와 자갈 등의 조골재 및 그 강도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직경이 0.1 ∼ 1mm이고 길이가 10 ∼ 20mm인 스틸파이버(steel fiber)를 혼합하여 넓은 박막 콘크리트판을 형성하고, 그 상면으로는 종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다수의 보강돌조(11)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하며, 좌우 양측단면에는 폼타이(14)가 위치하도록 내측으로 절삭된 복수의 홈부(12)를 형성하고, 전후 양단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면(16)을 형성하고 있다.
그 기본적인 실시예의 경우, 상기의 세골재 등을 혼합하여 박막 콘크리트판을 성형하되, 너비가 1000 ∼ 2000mm, 길이가 2500 ∼ 3000mm, 폭이 10 ∼ 20mm이고, 상면 보강돌조(11)의 높이 및 보강돌조(11)간의 간격이 각각 10 ∼ 20mm로 제작된다.
이러한 박막 콘크리트판인 본 발명에 의한 패널(10)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공 상태를 살펴보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형태에 맞게 패널(10)이 두 개씩 서로 대향되도록 입설되고, 그 외측부 양단에 세로 장선 부재(13') 및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가로 장선 부재(13)를 구비하여 지지 고정되게 하며, 이렇게 설치된 거푸집의 개방부측에 가로 장선 부재(13) 및 세로 장선 부재(13')를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되 폼타이(14)를 이용하여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결합 고정한다.
이때, 상기 폼타이(14)는 상기 패널(10)의 홈부(12)에 위치되며, 타이볼트 조립용 파이프(14b)가 고정용 타이볼트 본체(14a)의 외주연에 구비되고, 그 양단에 U형 볼트(14c)가 구비되며, 상기 U형 볼트(14c) 양단에 고정판(14d)이 삽착된 상태에서 너트(14e)가 체결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로 및 세로 장선 부재(13, 13')를 서로 결합함과 동시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에, 상기 패널(10) 내부에 철근(15)을 가로 및 세로로 각각 배열 고정하되, 일정 간격으로 배열 고정하고, 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며, 이후에 패널(10) 외측부의 장선 부재(13)(13') 및 폼타이(14) 등만 분리, 제거한다. 한편, 거푸집을 구성했던 패널(10)은 콘크리트 구조물과 일체화되므로 즉,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의 외체가 되므로, 분리 제거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에 있어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패널을 분리 제거할 필요가 없으며 패널로부터 탈리된 콘크리트 표면을 다듬어주는 등의 번거로운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편리하고 공기가 단축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용 패널을 규격화하여 공장에서 양산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생산성 및 작업성을 보다 증대시킴은 물론, 조립식 건축물의 벽 패널로도 사용할 수 있어 실용성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을 이용한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패널을 이용한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패널, 11 : 보강돌조,
12 : 홈부, 13,13' : 장선 부재,
14 : 폼타이, 15 : 철근,
16 : 경사면.

Claims (1)

  1. 시멘트, 물, 세골재, 조골재 및 스틸파이버가 혼합된 넓은 박막 판상으로서, 그 상면으로는 종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다수의 보강돌조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며, 좌우 양측단면에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고, 전후 양측단면은 외향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
KR1020030080476A 2003-11-14 2003-11-14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 KR20050046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476A KR20050046869A (ko) 2003-11-14 2003-11-14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476A KR20050046869A (ko) 2003-11-14 2003-11-14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659U Division KR200340827Y1 (ko) 2003-11-14 2003-11-14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869A true KR20050046869A (ko) 2005-05-19

Family

ID=3724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476A KR20050046869A (ko) 2003-11-14 2003-11-14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68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7650A1 (en) * 2006-01-26 2007-08-02 Duc Thang Do Foundation structure for hollow concrete slab
KR101142801B1 (ko) * 2011-08-31 2012-05-08 (주)비온디 건축물 내외단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겸용 복합패널 설치 구조
US8386073B2 (en) 2007-09-21 2013-02-26 Cretem Co., Ltd. Module for regulating quantity of various-shaped tablets in automatic tablet dispenser,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7650A1 (en) * 2006-01-26 2007-08-02 Duc Thang Do Foundation structure for hollow concrete slab
US8386073B2 (en) 2007-09-21 2013-02-26 Cretem Co., Ltd. Module for regulating quantity of various-shaped tablets in automatic tablet dispenser,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KR101142801B1 (ko) * 2011-08-31 2012-05-08 (주)비온디 건축물 내외단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겸용 복합패널 설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57098A (en) Method of molding concrete and mold structure
KR20190050550A (ko) 거푸집 겸용 고내구성 텍스타일 보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US20030218265A1 (en) Mold and process for casting and manufacturing of concrete structural columns
KR20050046869A (ko)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
KR200340827Y1 (ko) 벽체로 이용 가능한 거푸집용 패널
KR200311957Y1 (ko) 거푸집 겸용 콘크리트 벽 패널
CN211446438U (zh) 一种竹筋混凝土路面结构
JP3439436B2 (ja) コンクリート躯体の嵩上げ工法
KR100717156B1 (ko) 마감판부착 트러스 벽
KR101078292B1 (ko)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KR200235892Y1 (ko) 섬유강화플라스틱과 철근골재를 이용한 합성거푸집 구조
KR100774020B1 (ko) 노출 콘크리트벽
JPH091348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
KR200292763Y1 (ko) 일체형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
KR100445254B1 (ko) 현장 제작용 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JP3458898B2 (ja) アーチ型のセメント押出成形板を使用する床版の構築方法
KR200179051Y1 (ko) 콘크리트 형틀재
CN217998929U (zh) 构造柱模壳用浇筑模具
JP2003328487A (ja) ボイドスラブの構築方法
KR102298690B1 (ko) 페로시멘트 거푸집이 구비된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용 선조립 철골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의 시공 방법
JP2911080B2 (ja) コンクリート打込み型枠及びコンクリート基礎の施工方法
JPH06313304A (ja) 高欄干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高欄干の構造及び高欄干部分の施工方法
KR20060117675A (ko) 건축용 바닥슬라브 패널의 재활용 방법
JP3892953B2 (ja) 軽量型枠材
US20200399912A1 (en) Concrete Form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