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6560A - 카메라가 장착된 전화기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가 장착된 전화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6560A
KR20050046560A KR1020040090685A KR20040090685A KR20050046560A KR 20050046560 A KR20050046560 A KR 20050046560A KR 1020040090685 A KR1020040090685 A KR 1020040090685A KR 20040090685 A KR20040090685 A KR 20040090685A KR 20050046560 A KR20050046560 A KR 20050046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hinge
camera
display
body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븐토프트자콥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46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56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화기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및 처리 및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전화기의 제1 몸체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화기의 제2 몸체 부분에 배치된다. 상기 몸체 부분들은 적어도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제1 및 제2 위치 사이의 상기 몸체 부분들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하 조절 및 좌우 조절용 힌지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1의 상대적인 위치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1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도록 지정된다. 상기 제2의 상대적인 위치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실질적으로 상이한 방향들로 방향 전환되도록 지정된다. 상기 힌지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2가지 위치들 간의 상기 몸체 부분들의 이동을 허용할 경우에 상기 전화기 내의 회로에 접속된 전기 스위칭 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처리 및 통신 회로는 상기 전기 스위칭 수단의 작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카메라가 장착된 전화기 장치{Camera telephone device}
본 발명은 전화기 장치 및 전화기 장치 내에 구비된 힌지 유닛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전화기는 장치 사용자들 간, 이미지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교환에 사용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한다.
최근 수 십년 동안, 통신 장치들은, 음성 대화들과 같은 단지 협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만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다소 원시적인 전화기들에서부터, 현재 임의 유형의 매체를 표현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멀디미디어 이동 장치들로 발전되어 왔다. 예를 들면, GSM, GPRS, EDGE, UMTS 또는 CDMA2000 유형의 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전화기는 음성 또는 음악과 같은 오디오 데이터 외에도, 정지 이미지들 및 이동 이미지들 모두를 레코딩, 전달 및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메라가 장착된 통신 장치는 다수의 상이한 용도들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또는 이미지 시퀀스가 레코딩되어, 예컨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를 통해 또는 전자 우편 메시지들에 대한 첨부물들로서 다른 한 장치로 전송되는 기능 외에도, 이미지 시퀀스들은 비디오 컨퍼런스(video conference)와 같은 보다 대화적인 양방향 통신 기능들에 사용될 수 있다. 이같은 기능은 시청자로부터 떨어져 멀리 지향되는 제1 방향으로 이미징할 때 시청자에게 이미지를 표시해 줌과 아울러 상기 비디오 컨퍼런스에 참가할 경우 시청자 자신을 이미징할 때 시청자를 향해 이미지를 표시해 줄 필요성을 수반한다.
이같은 통신 장치의 제어 회로 및 제어 소프트웨어는 이미징이,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이미징을 수행하는 카메라의 시야(field of view)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에 있는 경우 상기 장치의 사용자 간의 비디오 컨퍼런스의 목적을 위한 것인 지 아니면,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가 사용자를 향해 지향되지만 카메라의 시야가 본질적으로 반대 방향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장면을 이미징하려는 목적을 위한 것인 지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같은 2중 기능은 대개, 2대의 카메라, 즉 본질적으로 정반대인 방향들로 지향되는 대응하는 시야를 갖는 제1 및 제2 카메라를 통신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같은 장치의 일례는 FOMA P2102V 전화기이며, 이는, 주 전화기 몸체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회전되도록 구성된 부분을 지닌다. 상기 전화기에는 2대의 내장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카메라는 회전가능한 부분 상에 배치되며 사람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으면서 상기 제1 카메라로 이미징할 수 있도록 지정된 시야를 지닌다. 제2 카메라는 상기 전화기의 주 전화기 몸체 내에 배치되며 종래의 이미징을 수행할 경우의 용도, 즉,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로서 상기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의도된다. 물론, 이같은 장치가 갖고 있는 결함은 비용이 많이 들며 또한 불필요하게 복잡하다는 점이다. 상기 통신 장치에 배치된 2대의 카메라는 예비 배선 및 추가적인 물리적 공간을 필요로 한다.
서로 다른 방향들로 이미징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전화기의 다른 일례는 Samsung SGH-P400 카메라가 장착된 전화기이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전화기의 힌지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는 서로 다른 방향들로 이미징을 허용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비교적 많은 공간을 점유함으로써 비용이 많이 드는 복잡한 해결 방안이다.
선행 기술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통신 장치들과 관련된 위에서 언급된 결점들을 감안하여 볼 때,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들을 이미징 및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개선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전화기를 통한 제1 실시태양으로 달성되고 청구항 제6항에 따른 전화기 내에 구비된 힌지 유닛을 통한 제2 실시태양으로 달성된다.
상기 전화기는 이미지들을 레코딩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이미지들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이미지들의 처리 및 통신을 위한 처리 및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전화기의 제1 몸체 부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화기의 제2 몸체 부분 내에 배치된다. 상기 2개의 몸체 부분들은, 적어도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제1 및 제2 위치 간의 상기 제1 및 제2 몸체 부분들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상하 조절(tilt) 및 좌우 조절(swivel)용 힌지를 통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데, 상기 제1의 상대적인 위치는 상기 카메라의 시야가 제1 방향으로 지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도록 지정된다. 상기 제2의 상대적인 위치는 상기 카메라의 시야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지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방향과는 실질적으로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도록 지정된다. 상기 힌지는 또한,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2가지 위치들 간의 상기 몸체 부분들의 이동을 허용할 경우 상기 전화기 내의 회로에 연결된 전기 스위칭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처리 및 통신 회로는 상기 전기 스위칭 수단의 작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전화기의 2개의 몸체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제1 또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지를, 상기 전화기의 회로 및 소프트웨어가 상기 스위칭 수단의 작동을 통해 검출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즉, 상기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가 방향 전환되어 있는 방향에 대해 동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카메라가 장착된 전화기가 캠코더 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지 아니면 자화상(self-portrait) 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지를 상기 회로 및 소프트웨어에 표시해 주는 데 유리하다. 즉, 사용자는 상기 장치가 어떠한 방식으로 동작되어야 하는 지를 상기 회로 및 소프트웨어에 표시해 주기 위해 예컨대, 스위치를 누르거나 또는 커맨드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표시해 줄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이점은 간편함으로써 비용이 많이 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견고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하 조절 및 좌우 조절용 힌지는 적어도 하나의 캠을 지니는 와셔를 포함하며 상기 와셔는 상기 힌지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제1 및 제2 위치 사이의 상기 몸체 부분들의 이동을 허용할 때에,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이 상기 전기 스위칭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와셔는 하나 이상의 캠을 지닐 수 있으며 상기 와셔는 상기 2개의 몸체 부분들 간의 좌우 조절을 위한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축의 일체 부분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와셔는 상기 좌우 조절용 축에 부착되는 분리 부분의 형태를 이루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수단은 멀티-포지션(multi-position)용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 데, 이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스위칭 상태들을 상기 회로 및 소프트웨어에 표시해 줌으로써 상기 전화기의 2개의 몸체 부분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유닛의 이점은 상기 전기 스위치가 상기 힌지에나 그의 일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조립 과정 동안 설치하기가 간편함으로써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100)를 3가지 상이한 형태로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1a의 도면에는 제1 몸체 부분(101) 및 제2 몸체 부분(103)을 지니는 전화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몸체 부분(101)은 키보드(10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 부분(103)은 디스플레이(107)를 포함한다. 상하 조절 및 좌우 조절용 힌지(109)는 2개의 몸체 부분(101,103)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도 1a에서 상기 2개의 몸체 부분(101,103)들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에 배치되는 데, 이 경우 상기 2개의 몸체 부분(101,103)들은 상하 조절용 축(120)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에 대해 약간 경사져 있다. 도 1a에서는 좌우 조절용 축(130)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 조절용 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2 몸체 부분( 103)이 좌우 조절될 수 있다. 도 1a에 예시된 경우에는 상기 전화기(100)의 사용자가 상기 키보드(105)를 통해 정보를 조정 입력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107) 상에 출력 정보를 볼 수가 있다.
도 1b의 도면에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에 배치되는 2개의 몸체 부분( 101,103)들이 도시되어 있는 데, 상기 상대적인 위치는 도 1a에 도시된 상대적인 위치와는 상이하다. 더욱이, 도 1b에는 상기 제1 몸체 부분(101) 내에 포함된 카메라(11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111)는 제1 방향(122)으로 지향되는 시야를 지닌다. 도 1b에서는 디스플레이(107)가 구비된 제2 몸체 부분(103)이 상기 상하 조절용 축(120)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조절되고 상기 좌우 조절용 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조절된다. 이리하여, 도 1b는 상기 몸체 부분(101,103) 간에 이루어진 제1의 상대 위치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107)는, 상기 제1 방향(12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122')으로 방향 전환되어 있다. 도 1b에 예시된 경우에는 상기 전화기(100)의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111)의 시야에 위치 지정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107) 상에서 이미지들 또는 이미지 시퀀스들과 같은 출력 정보를 볼 수가 있다.
도 1c의 도면에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에 배치되는 2개의 몸체 부분( 101,103)들이 도시되어 있는 데, 상기 상대적인 위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상대적인 위치들과는 상이하다. 도 1c에서는 디스플레이(107)를 지닌 제2 몸체 부분(103)이 상기 상하 조절용 축(120)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조절되고 상기 좌우 조절용 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조절된다. 상하 조절용 축(120)을 중심으로 한 상하 조절은 도 1b에 도시된 경우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하 조절이며 좌우 조절용 축(130)을 중심으로 한 좌우 조절은 도 1b에 도시된 경우와는 실질적으로 상이하다. 이리하여, 도 1c는 상기 몸체 부분(101,103)들 간에 이루어진 제2의 상대 위치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107)는, 상기 제1 방향(122)과는 실질적으로 상이한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있다. 도 1c에 예시된 경우에는 상기 전화기( 100)의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111)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장면을 이미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107) 상에서 이미지들 또는 이미지 시퀀스들과 같은 출력 정보를 볼 수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200)를 보여주는 블록선도이다. 제1 몸체 부분(201)은 송수신기(TRX; 220)를 통해 안테나(222)에 접속된 처리 유닛(210), 메모리 유닛(212), 마이크로폰(MIC; 214), 키보드(205), 스피커(216) 및 카메라(218)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 유닛(210)은 또한 디스플레이(207)에 연결되어 있는 데, 상기 디스플레이(207)는 상기 전화기(200)의 제2 몸체 부분(203) 내에 포함된다.
상기 전화기(200)의 서로 다른 블록들의 특정 기능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전혀 제공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요약하면,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겠지만, 상기 처리 유닛(210)은, 상기 키보드(205)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마이크로폰(214)을 통해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카메라(218)를 통해 이미지들을 수신하고, 상기 안테나(222) 및 송수신기(220)를 통해 적합하게 부호화 및 변조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상기 기능 블록들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처리 유닛(210)은 상기 스피커(216)를 통해 음향 형태로 출력을 제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207)를 통해 이미지들을 제공하고 상기 송수신기(220) 및 안테나(222)를 통해 적합하게 부호화 및 변조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몸체 부분(203)은 상하 조절 및 좌우 조절용 힌지(209)를 통해 상기 제1 몸체 부분(201)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207)는 상기 힌지 (209)내에 포함된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전기 연결 수단을 통해 상기 처리 유닛(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스위치(SW; 224)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2개의 몸체 부분(201,203)들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려고 할 경우에 상기 힌지(209)가 배치된다. 상기 스위치(224)는 상기 처리 유닛(21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2개의 몸체 요소(201,203)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209) 및 그의 작동 기능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와 연관지어 이하에서 보다 심도있게 언급될 것이다.
여기서 유념해야 할 점은 위에서 언급된 서로 다른 블록들이 기능 블록들이며 반드시 일 대 일 관계로 실제 하드웨어 유닛들에 대응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겠지만, 도 2의 블록들 내에 포함된 기능은 전체적으로나 또는 부분적으로 프로그램가능한 회로 및 프로그램가능하지 않은 회로를 임의로 혼합한 형태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전화기의 힌지 섹션을 좀더 상세하게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힌지 섹션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전화기(100)의 힌지(109) 및 도 2와 연관지어 언급된 전화기의 힌지(209)일 수 있다.
도 3a에는 전화기의 제1 몸체 부분(301) 및 제2 몸체 부분(303)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의 앞서 언급된 예들에서와 같이, 상기 2개의 몸체 부분(301,303)들은 카메라(311),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그러나, 명료성을 위해, 도 3a 및 도 3b에는 키보드 또는 디스플레이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2개의 몸체 부분(301,303)들 사이에는 상기 제1 몸체 부분(301)의 지지 수단(343) 내에 배치된 상하 조절용 축 부재(34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하 조절용 축 부재(341)는 상하 조절용 축(32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몸체 부분(301, 303)들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 몸체 부분(303)은 좌우 조절용 축 부재(345)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 조절용 축 부재(345)는 상기 제1 몸체 부분(303)이 좌우 조절용 축(330)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좌우 조절용 축 부재(345)는 상기 상하 조절용 축 부재(341)를 통해 연장되며 그의 단부에는 와셔(347)가 부착된다. 이리하여, 상기 2개의 축(341,345)들은 단일의 힌지 유닛(도 1a 내지 도 1c에서의 참조부호(109))을 형성한다.
상기 와셔(347)는 전기 스위치(353)의 스위치 레버(351)와 계합하는 것이 가능한 캠들(349)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조절용 축 부재(341)에 부착된다. 상기 전기 스위치(353)는 플렉스-필름(flex-film; 355) 상에 배치된 전기 연결기들을 통해, 도 2와 연관지어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화기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의 몸체 부분(303)이 상기 좌우 조절용 축(330)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조절될 경우, 상기 와셔(347)는 상기 좌우 조절용 축 부재(345)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와셔(347) 상의 캠들(349)은 상기 스위치 레버(351)와 계합한다. 이리하여, 상기 전기 스위치(353)의 상태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경되며 그 결과 상기 전화기의 회로는 상기 제2 몸체 부분(303)이 상기 좌우 조절용 축(330)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조절되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캠들을 지닌 와셔의 변형적인 구성을 각각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에는 와셔(447)가 4개의 캠들(449)을 지니며 도 5에는 와셔(547)가 2개의 캠들(549)을 지닌다. 이같은 구성들은 캠들의 개수에 의존하여, 상기 스위치(예컨대, 도 3a 및 도 3b의 스위치(353))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몸체 부분의 좌우 조절을 위한 회전 동안 여러 번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전화기의 2개의 몸체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제1 또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지를, 상기 전화기의 회로 및 소프트웨어가 스위칭 수단의 작동을 통해 검출할 수 있게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기능 블록선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캠들을 갖는 와셔에 대한 예를 2가지 형태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Claims (10)

  1. 이미지들을 레코딩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이미지들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이미지들의 처리 및 통신을 위한 처리 및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전화기의 제1 몸체 부분 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전화기의 제2 몸체 부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 부분들이 상하 조절 및 좌우 조절용 힌지를 통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가 적어도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제1 및 제2 위치 간의 상기 제1 및 제2 몸체 부분들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의 상대적인 위치가, 상기 카메라의 시야가 제1 방향으로 지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도록 지정되고,
    상기 제2의 상대적인 위치가, 상기 카메라의 시야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지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방향과는 실질적으로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도록 지정되며,
    상기 힌지가 또한,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제1 및 제2 위치 간의 상기 몸체 부분들의 이동을 허용할 경우 상기 전화기 내의 회로에 연결된 전기 스위칭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 및 통신 회로가 상기 전기 스위칭 수단의 작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적어도 하나의 캠을 지니는 와셔를 포함하며 상기 와셔는 상기 힌지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제1 및 제2 위치 사이의 상기 몸체 부분들의 이동을 허용할 때에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이 상기 전기 스위칭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전화기의 제1 및 제2 몸체 부분들 간의 좌우 조절을 위한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축의 일체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전화기의 제1 및 제2 몸체 부분들 간의 좌우 조절을 위한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축에 부착되는 분리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스위칭 수단은 멀티-포지션(multi-position)용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6. 전화기 내에 구비된 상하 조절 및 좌우 조절용 힌지 유닛으로서, 상기 전화기가 이미지들을 레코딩하기 위한 카메라, 상기 이미지들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이미지들의 처리 및 통신을 위한 처리 및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전화기 내에 구비된 상하 조절 및 좌우 조절용 힌지 유닛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전화기의 제1 몸체 부분 내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전화기의 제2 몸체 부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 부분들이 상기 상하 조절 및 좌우 조절용 힌지를 통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가 적어도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제1 및 제2 위치 간의 상기 제1 및 제2 몸체 부분들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의 상대적인 위치가, 상기 카메라의 시야가 제1 방향으로 지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도록 지정되고,
    상기 제2의 상대적인 위치가, 상기 카메라의 시야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지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1 방향과는 실질적으로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방향 전환되도록 지정되며,
    상기 힌지가 또한,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제1 및 제2 위치 간의 상기 몸체 부분들의 이동을 허용할 경우 상기 전화기 내의 회로에 연결된 전기 스위칭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 및 통신 회로가 상기 전기 스위칭 수단의 작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조절 및 좌우 조절용 힌지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적어도 하나의 캠을 지니는 와셔를 포함하며 상기 와셔는 상기 힌지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제1 및 제2 위치 사이의 상기 몸체 부분들의 이동을 허용할 때에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이 상기 전기 스위칭 수단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조절 및 좌우 조절용 힌지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전화기의 제1 및 제2 몸체 부분들 간의 좌우 조절을 위한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축의 일체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조절 및 좌우 조절용 힌지 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전화기의 제1 및 제2 몸체 부분들 간의 좌우 조절을 위한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축에 부착되는 분리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조절 및 좌우 조절용 힌지 유닛.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스위칭 수단은 멀티-포지션(multi-position)용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조절 및 좌우 조절용 힌지 유닛.
KR1020040090685A 2003-11-13 2004-11-09 카메라가 장착된 전화기 장치 KR200500465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12,488 US7301555B2 (en) 2003-11-13 2003-11-13 Camera telephone device
US10/712,488 2003-1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560A true KR20050046560A (ko) 2005-05-18

Family

ID=3457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685A KR20050046560A (ko) 2003-11-13 2004-11-09 카메라가 장착된 전화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01555B2 (ko)
KR (1) KR200500465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914B1 (ko) * 2006-08-30 2009-11-17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2220A1 (en) * 2003-03-24 2004-09-30 Inventec Appliances Corp. Mechanism for switching cellular phone to digital camera
JP2004312476A (ja) * 2003-04-09 2004-11-04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CA2544570A1 (en) * 2003-11-20 2005-06-09 Nokia Corporation A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foldable and turnable housing members
KR100677300B1 (ko) * 2003-11-21 2007-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100677303B1 (ko) * 2003-12-26 2007-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7184805B2 (en) * 2004-04-02 2007-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device of sw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600750B1 (ko) * 2004-07-27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06073B1 (ko) * 2004-10-25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통신 장치
US7460893B2 (en) * 2005-05-17 2008-12-02 Nokia Corporation Display changing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265759B (en) * 2005-06-20 2006-11-01 Lite On Technology Corp Electrical apparatus
KR100678130B1 (ko) * 2005-06-27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833241B1 (ko) * 2006-04-28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틸트장치 및 이를 채용한 모바일 기기
EP2178276B1 (en) * 2008-10-20 2014-07-30 LG Electronics Inc. Adaptation of recorded or shown image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of a mobile terminal
KR101584547B1 (ko) 2009-02-26 201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TWI375449B (en) * 2008-11-28 2012-10-21 Wistron Corp Electronic apparatus with photographing function and 3d image forming method
US8520080B2 (en) 2011-01-31 2013-08-27 Hand Held Product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of imaging assembly on mobile terminal
JP6061460B2 (ja) * 2011-11-29 2017-01-18 加藤電機株式会社 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CN104345782B (zh) * 2013-08-09 2018-01-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8072B2 (ja) * 2001-09-07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撮像装置、携帯通信機器、映像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619686B2 (en) * 2003-03-24 2009-11-17 Kantan Inc. Apparatus for a combination camcorder-handse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914B1 (ko) * 2006-08-30 2009-11-17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01555B2 (en) 2007-11-27
US20050104955A1 (en) 200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46560A (ko) 카메라가 장착된 전화기 장치
US8988558B2 (en) Image overlay in a mobile device
JP3546784B2 (ja) 携帯端末
CN1319356C (zh) 在移动终端中使用旋转键以及控制显示的装置和方法
JPH1056500A (ja) 無線インタフェース装置とそのハウジングアセンブリ
WO2006046681A1 (ja) 携帯電話装置
KR20060049906A (ko) 휴대 기기
JP4352465B2 (ja) 携帯端末
KR10082615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전송 방법 및 장치
JP3804766B2 (ja) 画像通信装置および携帯型電話機
JP3279581B2 (ja) 一体型テレビ電話装置
JP3459744B2 (ja) 携帯型テレビ電話装置
KR100735705B1 (ko)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JP2004166159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KR100747581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송수신 방법
US20030155216A1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radio terminal
JP2002107805A (ja) カメラ付き携帯装置
KR100572105B1 (ko) 수평회전 커버를 구비한 슬라이드형이동통신단말기
KR100617573B1 (ko) 화상통화용 이동통신 단말기
KR102195216B1 (ko)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스마트 폰 및 그 제어 방법
CN111372132B (zh) 进行音视频传输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810445B (zh) 电子装置
KR101969957B1 (ko) 포터블 통합 방송장비 컨트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방법
KR100525249B1 (ko) 추적제어기능을 구비한 화상 강의 및 회의 시스템
JPH08149437A (ja) テレビ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