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216B1 -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스마트 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스마트 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216B1
KR102195216B1 KR1020190095513A KR20190095513A KR102195216B1 KR 102195216 B1 KR102195216 B1 KR 102195216B1 KR 1020190095513 A KR1020190095513 A KR 1020190095513A KR 20190095513 A KR20190095513 A KR 20190095513A KR 102195216 B1 KR102195216 B1 KR 102195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display unit
camera
mod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to KR102019009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폰은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메인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 장착된 카메라;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 장착된 제2 디스플레이부; 및 기 설정된 동작 알고리즘 또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촬영 모드를 제1 또는 제2 촬영모드로 제어하되, 상기 제1 촬영모드 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촬영내용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촬영모드 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촬영내용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후면 카메라를 사용하던 종래의 기술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전면부를 베젤(Bezel)이 없는 베젤리스로 구현함으로써, 스마트폰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스마트 폰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UAL SHOT MODE USING SINGLE CAMERA OF SMART PHONE}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스마트 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기능면에서 휴대전화와 컴퓨터가 결합된 형태이다. 최근에는 휴대전화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다양한 영상 정보들을 지인들 또는 불특정 다수의 서비스 이용자들과 공유하는 인터넷 서비스들(예컨대, SNS(Social Network Services), 유튜브 등)이 성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에 장착된 카메라의 성능이 날로 우수해지고 있으며, 그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최근에 출시되는 스마트폰에는 디스플레이부의 후면부에 장착되어 일반 촬영모드 시에 동작하는 후면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부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셀카 촬영모드 시에 동작하는 전면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스마트폰의 촬영모드에 따라 후면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전면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 그런데, 상기 후면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고사양의 카메라를 사용하지만, 상기 전면 카메라는 저사양의 카메라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S사의 최근 휴대폰의 경우 후면 카메라는 F1.5/F2.4 1200만 화소 또는 F2.4 1200만 화소인 카메라를 사용하는 반면, 전면 카메라는 F1.7 800만 화소인 카메라를 사용한다. 이는 전면 카메라의 경우 공간의 제약 등으로 인해, 후면 카메라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전/후면에 모두 고성능의 카메라를 장착할 경우 스마트폰의 제작비용이 상승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 제작자들이 제작비용의 부담을 가지면서도 스마트폰에 전/후면 카메라를 모두 장착하는 이유는 셀카(즉, 셀프카메라) 촬영모드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함이다. 즉, 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셀카를 촬영하고자 할 경우 촬영 내용을 확인할 수단이 없기 때문에, 스마트폰 제작자들은 고성능의 후면 카메라를 두고도, 상대적으로 성능이 떨어지는 셀카용 전면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제작해왔다. 이는 스마트폰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후면 카메라를 이용한 셀카 촬영을 위해, 상기 후면 카메라를 이용한 셀카 촬영시 촬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를 스마트폰에 부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셀카 촬영시 별도의 장치를 스마트폰에 장착해야 하므로, 간편하게 셀카를 촬영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스마트폰 디자인 개선 차원에서, 스마트폰 전면을 베젤(Bezel)이 없는 베젤리스로 구현하고자 하는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회전이 가능한 후면 카메라를 구비하고 셀카 촬영시 상기 후면 카메라를 전면으로 돌려서 사용하는 스마트폰 또는 슬라이드 방식의 카메라를 구비하고 셀카 촬영시 상기 카메라를 돌출시켜서 사용하는 스마트폰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 셀카 사용시마다 상기 후면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번거로움이 있고, 후자의 경우 스마트폰 디자인은 개선할 수 있지만 전/후면 카메라를 모두 사용하므로 이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02938호(2017.11.30.공고) “휴대폰 후면 카메라를 이용한 셀프 촬영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있어서, 전/후면부에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구비하고, 제1 및 제2 촬영모드 각각의 촬영 내용을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들에 대응시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스마트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은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메인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 장착된 카메라;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 장착된 제2 디스플레이부; 및 기 설정된 동작 알고리즘 또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촬영 모드를 제1 또는 제2 촬영모드로 제어하되, 상기 제1 촬영모드 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촬영내용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촬영모드 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촬영내용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기본 촬영 모드를 제1 촬영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감지된 사람의 얼굴 면적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면적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촬영 모드를 제2 촬영 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덮개부가 개방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동작모드를 제2 촬영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마트폰 본체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스마트폰과 접속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전달받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달된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마트폰과 수평으로 결합되며, 상기 표시창과 힌지 커넥터로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360°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창의 회전각을 감지하고, 상기 표시창이 결합부로부터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동작모드를 상기 제2 촬영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는 포켓형상으로 구현되어, 내부 단자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 본체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스마트폰의 일면과 접촉되는 면이 투명한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다른면과 접촉되는 면에 외부로 표시되는 표시창이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스마트폰 본체와 결합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동작모드를 상기 제2 촬영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은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메인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 장착된 카메라;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 장착된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셀카 촬영 모드이면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내용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촬영모드 제어 방법은 스마트폰의 일면에 제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스마트폰의 다른 면에 카메라 및 제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의 촬영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카메라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촬영내용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일반촬영단계; 및 사용자의 셀카모드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촬영내용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셀카촬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단계는 사용자가 셀카모드를 선택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일반촬영단계에서 카메라를 통해 감지된 사람의 얼굴 면적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면적 이상을 차지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스마트 폰 및 그 제어 방법은 스마트폰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구비한 후, 상기 스마트폰이 일반촬영모드로 동작시에는 촬영내용을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스마트폰이 셀카촬영모드로 동작시에는 촬영내용을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에서 가장 좋은 해상도를 가지는 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고화질의 셀카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후면 카메라에 의하여 일반 촬영 및 셀카 촬영이 모두 가능해짐에 따라, 전면 카메라를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전/후면 카메라를 사용하던 종래의 기술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전면부를 베젤(Bezel)이 없는 베젤리스로 구현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이 제1 또는 제2 촬영모드로 동작할 때의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가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의 전/후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제어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예컨대, 본 출원에서 카메라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로서 ‘스마트폰’을 지칭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블릿 PC, PDA 등과 같이 카메라를 구비한 다양한 모바일 기기도 본 발명에 해당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직접적인 균등적인 범위에 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카메라(110), 제어부(120), 제1 디스플레이부(130), 제2 디스플레이부(1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15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150)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150)는 키보드 또는 터치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0)는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 영상정보를 촬영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110)는 스마트폰(100)의 후면(즉, 메인 디스플레이의 반대편)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디스플레이부(130)와 제2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스마트폰(1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며, 스마트폰(10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로, 카메라(110)와 동일한 스마트폰(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경우 셀카용 디스플레이로 활용될 수 있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제1 디스플레이부(130)가 스마트폰(100)의 전면에 설치되고, 제2 디스플레이부(140)가 스마트폰(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즉, 제1 디스플레이부(130)는 스마트폰(100)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메인 화면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부(140)는 스마트폰(100)의 후면에 장착된다.
제어부(120)는 기 설정된 동작 알고리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1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스마트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I/F)(1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스마트폰(100)의 촬영 모드를 제1 또는 제2 촬영모드(예컨대, 일반촬영모드 또는 셀카촬영모드 등)로 제어한다. 그리고, 그 촬영 모드에 따른 촬영 내용을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00)의 촬영모드가 일반촬영모드인 경우 그 촬영내용을 메인 디스플레이인 제1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고, 스마트폰(100)의 촬영모드가 셀카촬영모드인 경우 그 촬영내용을 셀카용 디스플레이인 제2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폰(100)의 양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를 장착함으로써, 하나의 카메라(110)를 가지고 듀얼 촬영모드(예컨대, 일반촬영모드 및 셀카촬영모드)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스마트폰(100)의 기본 촬영 모드를 제1 촬영 모드(예컨대, 일반촬영모드)로 동작시키고, 카메라(110)를 통해 감지된 사람의 얼굴 면적이 제1 디스플레이부(130)의 일정 면적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스마트폰(100)의 촬영 모드를 제2 촬영 모드(예컨대, 셀카촬영모드)로 자동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100)이 일반촬영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셀카 촬영을 위해 카메라(110)를 자신의 얼굴방향으로 향하게 들고 있는 경우, 제어부(120)는 그 촬영대상을 제1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기 저장된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촬영대상 내용 중 사람의 얼굴이 차지하는 면적을 감지하고, 상기 얼굴 면적이 제1 디스플레이부(130)의 면적 중 일정 부분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스마트폰(100)의 촬영모드를 셀카촬영모드로 자동 전환하고, 촬영내용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예시된 스마트폰(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40)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덮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덮개부(미도시)가 개방된 경우, 스마트폰(100)의 동작모드를 제2 촬영모드(예컨대, 셀카 촬영 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부(140)는 스마트폰(100) 본체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140)에 대하여는 도 4 내지 도 7에 예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예시하고 있다. 즉, 도 2는 스마트폰의 전/후면에 모두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예시하고 있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전면부를 예시하고,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후면부를 예시한다. 도 2의 (a) 및 도 2의 (b)를 참조하면, 스마트폰(100)의 전면부에는 카메라 없이 메인 디스플레이인 제1 디스플레이부(130)만 장착되고, 스마트폰(100)의 후면부에는 카메라(110) 및 제2 디스플레이부(140)가 함께 장착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100)를 이용하여, 일반촬영모드로 촬영을 하고자 할 경우 카메라(110)를 통해 수집된 영상이 제1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표시되고, 셀카촬영모드로 촬영을 하고자 할 경우 카메라(110)를 통해 수집된 영상이 제2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된다.
한편, 도 2의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후면부에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스마트폰(100a)의 후면부에 카메라(110a), 제2 디스플레이부(140a) 및 덮개부(160)가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덮개부(160)를 개방함과 동시에, 도 1의 제어부(120)는 스마트폰(100a)의 동작 모드를 제2 촬영모드(예컨대, 셀카 촬영 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이 제1 또는 제2 촬영모드로 동작할 때의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스마트폰(100)이 제1 촬영모드(예컨대, 일반촬영모드)로 동작할 때의 화면 예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스마트폰(100)이 제2 촬영모드(예컨대, 셀카촬영모드)로 동작할 때의 화면 예를 나타낸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스마트폰(100)이 제1 촬영모드(예컨대, 일반 촬영모드)로 동작할 경우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메뉴부(170)가 제1 디스플레이부(130) 하단에 디스플레이되고, 스마트폰(100)이 제2 촬영모드(예컨대, 셀카촬영모드)로 동작할 경우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메뉴부(170)가 제2 디스플레이부(140) 하단에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가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240)가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스마트폰(200)은 전면부에 제1 디스플레이부(230)가 장착되고, 제2 디스플레이부(240)가 스마트폰(200)과 수평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2 디스플레이부(240)는 스마트폰(200)과 결합되는 결합부(241), 스마트폰(200)과 접속하여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전달받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 상기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해 전달된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2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스마트폰(200)의 포트와 접속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200)의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의 전달 수단이다. 또한, 표시창(244)은 결합부(241)에 안착된 스마트폰(200)을 덮는 덮개부(243)에 장착될 수 있으며, 결합부(241) 및 덮개부(243)에는 스마트폰(200)의 카메라(미도시)에 대응되는 위치에 카메라노출공(242, 245)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한편, 결합부(241)는 덮개부(243)를 통해 표시창(244)과 힌지 커넥터(246)로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360°회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 5의 (a) 내지 (d)는 도 4에 예시된 제2 디스플레이부(240)의 표시창(244)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예를 각도별로 예시하고 있다. 도 5의(a)는 표시창(244)이 결합부(341)로부터 90°회전한 예를 도시하고, 도 5의 (b)는 표시창(244)이 결합부(341)로부터 180°회전한 예를 도시하고, 도 5의 (c)는 표시창(244)이 결합부(341)로부터 270°회전한 예를 도시하고, 도 5의 (d)는 표시창(244)이 결합부(341)로부터 360°회전하여 반대면이 맞닿은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5의 (d)와 같이 표시창(244)이 결합부(341)로부터 360°회전하여 반대면이 맞닿은 상태는 스마트폰(200)의 제1 디스플레이부(230)와 상기 착탈 형태로 결합한 제2 디스플레이부(240)의 표시창(244)이 서로 반대면을 바라보고 있는 상태가 된다. 즉,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전/후면에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과 같이 동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경우, 이와 같이 덮개부(243)를 회전시켜서 셀카촬영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스마트폰(200)의 제어부(미도시)는 표시창(244)의 회전각을 감지하고, 상기 표시창이 결합부로부터 일정 각도 이상(예컨대, 180°이상) 회전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200)의 동작모드를 상기 제2 촬영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의 전/후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제2 디스플레이부(340)의 전면을 예시하고, 도 6의 (b)는 제2 디스플레이부(340)의 후면을 예시한다.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340)가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스마트폰(300)은 전면부에 제1 디스플레이부(330)가 장착되고, 제2 디스플레이부(340)가 포켓형상으로 구현되어, 내부 단자(341)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 본체(300)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340)는 제1 디스플레이부(330)가 장착된 스마트폰(300)의 일면과 접촉되는 면(342)이 투명한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되고, 스마트폰(300)의 다른면과 접촉되는 면에 외부로 표시되는 표시창(344)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 예의 경우, 스마트폰(300)의 제어부(미도시)는 포켓 형태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통해 제2 디스플레이부(340)가 스마트폰(300) 본체와 결합된 경우, 스마트폰(300)의 동작모드를 상기 제2 촬영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300)의 제어부(미도시)는 스마트폰(300)이 결합부 내부 하단에 위치한 내부 단자(341)과 결합한 경우 스마트폰(300)의 동작모드를 상기 제2 촬영모드로 자동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제어 방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제어 방법은 스마트폰의 일면에 제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스마트폰의 다른 면에 카메라 및 제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의 촬영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계 S110에서, 사용자의 카메라 선택신호가 확인되면, 단계 S120에서는, 상기 카메라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촬영내용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일반촬영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단계 S130에서 셀카촬영모드조건이 만족된 경우, 단계 S140에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촬영내용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셀카촬영모드를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셀카촬영모드조건은 사용자가 셀카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일반촬영단계에서 카메라를 통해 감지된 사람의 얼굴 면적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면적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스마트폰 본체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가 착탈 가능한 형태로 스마트폰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의 장착 여부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촬영모드를 일반촬영모드 또는 셀카촬영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자동모드 선택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스마트폰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메인 화면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 장착된 카메라;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 장착된 제2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폐쇄 또는 개방시키는 덮개부; 및
    기 설정된 동작 알고리즘 또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촬영 모드를 제1 또는 제2 촬영모드로 제어하되, 상기 제1 촬영모드 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촬영내용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촬영모드 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촬영내용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스마트폰의 기본 촬영 모드를 제1 촬영 모드로 동작시키고, 기 저장된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촬영대상 내용 중 사람의 얼굴이 차지하는 면적을 감지하고, 상기 사람의 얼굴 면적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일정 면적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촬영 모드를 제2 촬영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스마트 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덮개부가 개방된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동작모드를 제2 촬영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스마트 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90095513A 2019-08-06 2019-08-06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스마트 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5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513A KR102195216B1 (ko) 2019-08-06 2019-08-06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스마트 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513A KR102195216B1 (ko) 2019-08-06 2019-08-06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스마트 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216B1 true KR102195216B1 (ko) 2020-12-24

Family

ID=7408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513A KR102195216B1 (ko) 2019-08-06 2019-08-06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스마트 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21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036A (ko) * 2011-02-10 2012-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67132A (ko) * 2011-12-13 2013-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KR20150097164A (ko) * 2014-02-18 2015-08-26 (주)옵티스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KR20160019348A (ko) * 2014-08-11 2016-02-19 마재정 디스플레이부 힌지 회전 모바일 단말기
KR20170040643A (ko) * 2015-10-05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02938B1 (ko) 2015-08-31 2017-11-30 권도형 휴대폰 후면 카메라를 이용한 셀프 촬영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036A (ko) * 2011-02-10 2012-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67132A (ko) * 2011-12-13 2013-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KR20150097164A (ko) * 2014-02-18 2015-08-26 (주)옵티스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KR20160019348A (ko) * 2014-08-11 2016-02-19 마재정 디스플레이부 힌지 회전 모바일 단말기
KR101802938B1 (ko) 2015-08-31 2017-11-30 권도형 휴대폰 후면 카메라를 이용한 셀프 촬영 장치
KR20170040643A (ko) * 2015-10-05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7967B2 (ja) 撮影装置
US10320962B1 (en) Dual screen smartphone and portable devices with a full display screen
JP5358733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機能を変更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8264566B2 (en)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thereof
KR101328950B1 (ko) 화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화상통신용단말기
KR100672338B1 (ko) 듀얼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촬영 방법
US20170070678A1 (en) Image capturing device having continuous image capture
EP2704461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198281A (ja) 向上した画像通信性能を有する携帯用通信装置
US20200059597A1 (en) Shooting method and terminal
CN111064876B (zh) 电子设备、拍摄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956924B (zh) 屏幕亮度调节方法及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KR102195216B1 (ko)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듀얼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스마트 폰 및 그 제어 방법
CN112817675A (zh) 界面显示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00106936A1 (en) Full screen terminal,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full screen terminal
KR100735705B1 (ko)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CN113766275B (zh) 视频剪辑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20095436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CN111835977B (zh) 图像传感器、图像生成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4449134A (zh) 一种拍摄方法和终端设备
JP2007201823A (ja) 携帯電話
US20220254085A1 (en) Method for playing an anim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4697570B (zh) 用于显示图像的方法、电子设备及芯片
US11956333B2 (en) Method for sharing app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WO2023074195A1 (ja) 外部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外部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