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3600A -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3600A
KR20050043600A KR1020040045497A KR20040045497A KR20050043600A KR 20050043600 A KR20050043600 A KR 20050043600A KR 1020040045497 A KR1020040045497 A KR 1020040045497A KR 20040045497 A KR20040045497 A KR 20040045497A KR 20050043600 A KR20050043600 A KR 20050043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ll
vehicle
common processing
antenna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국
Original Assignee
코트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트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트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5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3600A/ko
Publication of KR20050043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60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통신 기지국과 차량탑재 단말기간의 무선통신에 의한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 기지국의 두 안테나를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시분할 방식으로 스위칭하여,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를 통하여 기지국 프로파일을 방송하여 공통처리 통신영역을 설정하고,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를 통하여 해당 차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선정보 비이컨을 방송하여 공통처리 통신영역안에 중첩되도록 차선정보 비이컨 수신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도로 통행료 지불거래 과정 중 차량탑재 단말기에서 요금을 차감하는 사건을 포함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요금거래의 초기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탑재 단말기가 차선정보 비이컨과 통행료 부과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만 통행료 정산을 행하여, 통행료 정산결과를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인접차선간 및 통신 영역간에 신호간섭이 없고, 고속주행시에도 안정적 과금이 가능하며, 기존방식에 비해 비용-효율적으로 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및 방법{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요금소에 설치된 무선통신 기지국과 주행 중인 차량에 탑재된 차량탑재 단말기 간에 무선으로 요금 거래를 수행하는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이란 유료도로에서 통행료 부과 대상 차량에 탑재된 차량탑재 단말기와 통행료 부과지점에 설치된 무선통신 기지국(차로설비에 포함됨)이 서로 연동하여 도로 통행료를 자동으로 징수하는 시스템이다. 현재, 통행료 자동징수를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한가지 방식은, 원 겐트리 시스템(one-gantry system)으로서, 각 차선별로 상호 배타적인 통신영역을 각각 한 개씩 설치하여 해당 차선으로 주행하는 차량탑재 단말기가 상기 해당 통신영역을 통과하는 동안 요금거래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겐트리란 통신용 안테나 등의 장치를 부착하기 위하여 차선 위에 공중으로 설치된 구조물을 말한다. 차량단말기가 해당차선의 통신영역으로 들어오면 기지국 통신 안테나들 중 해당 차선의 안테나를 통하여 요금거래를 개시하여 통신 영역을 벗어나기 전에 요금거래를 완료하여야 한다. 비정상적인 요금거래에 대해서는 카메라 번호판 촬영 등을 통하여 사후조치를 수행한다.
다른 방식은, 투 겐트리 시스템(two-gantry system)으로서, 원 겐트리 시스템에서 부족한 요금거래 시간을 늘리기 위하여 차선별로 이격된 2개의 통신영역을 설치하여, 1차 통신영역을 통과할 때 요금거래의 일부를 수행하고, 1차 통신영역과 2차 통신영역에 도달할 때까지 기지국과 단말기가 각각 시간을 요하는 처리를 한 후, 2차 통신영역에서 잔여 요금거래를 완료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원 겐트리 시스템의 경우에는, 무선 통신영역을 일정 길이 이상 설정하기 어려워 차량의 주행속도가 높은 경우 요금거래를 완료하기가 매우 어렵다. 뿐만 아니라 통신영역을 넓히면 인접차선으로 무선통신 영역이 침범할 확률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전파흡수체와 같은 각종 장치가 필요하므로 추가적인 비용이 요구된다. 더욱이, 탑재단말기가 과금 차선에 진입할 때 무선 매체의 선택(주파수 채널 선택 또는 안테나 선택)과정에 시간이 소요되므로 고속주행시 안정적인 과금 처리가 어렵다.
또한, 투 겐트리 시스템의 경우에는, 도로시설물이 복잡해져 설치 비용도 증가할 뿐만 아니라 요금소 공간이 부족한 경우 비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원 겐트리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인접차선 사이에서 상호 신호 간섭의 문제와, 탑재단말기가 과금 차선을 진입할 때 무선 매체의 선택과정에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은 그대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통처리 통신영역과 비이컨 수신영역을 시분할 방식 스위칭을 이용하여 중첩시켜, 인접차선간 및 통신 영역간에 신호간섭이 없고, 고속주행시에도 안정적 과금이 가능하며, 비용-효율적인 도로통행료를 전자징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이컨 수신영역을 통과하여 차선정보 비이컨을 수신한 차량에 대해서만 요금거래를 완료하도록 함으로써 과금이 잘못 행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 및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통신 기지국과 차량에 탑재된 차량탑재 단말기간의 무선통신에 의한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에 있어서,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와,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와, 차량탑재 단말기를 포함하는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이 제공된다.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는 기지국 프로파일을 방송하여 공통처리 통신영역을 설정하도록 양방향 통신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는 상기 무선통신 기지국과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시분할 방식으로 스위칭되며, 해당 차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선정보 비이컨을 방송하여 공통처리 통신영역안에 중첩되도록 차선정보 비이컨 수신영역을 설정한다. 차량탑재 단말기는, 상기 안테나들과 양방향 통신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탑재 단말기는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로부터 차선정보 비이컨을 수신한 경우에만 통행료 정산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량탑재 단말기는 그 인식번호가 포함된 응답신호를 통행료 정산결과와 함께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 촬영, 차량의 이동속도 측정, 통신제어 등의 요금거래제어를 수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 및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통신 기지국과 차량에 탑재된 차량탑재 단말기간의 무선통신에 의한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방법이 제공된다. 우선, 무선통신 기지국의 두 안테나를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시분할 방식으로 스위칭하여,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를 통하여 기지국 프로파일을 방송하여 공통처리 통신영역을 설정하고,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를 통하여 해당 차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선정보 비이컨을 방송하여 공통처리 통신영역안에 중첩되도록 차선정보 비이컨 수신영역을 설정한다. 다음, 도로 통행료 지불거래 과정 중 차량탑재 단말기에서 요금을 차감하는 사건을 포함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요금거래의 초기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차량탑재 단말기가 차선정보 비이컨과 통행료 부과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만 통행료 정산을 행하여, 통행료 정산결과를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로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요금거래의 초기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차량탑재 단말기가 기지국 프로파일을 수신한 후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로 요금거래에 필요한 사전정보가 포함된 요금거래 의뢰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와,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가 상기 요금거래 의뢰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탑재 단말기로 요금거래 의뢰정보에 대응하는 통행료 부과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통행료 정산결과를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로 송신할 때, 차량탑재 단말기의 인식번호가 포함된 응답신호를 통행료 정산결과와 함께 송신하면, 상기 송신단계 이후에, 송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 촬영, 차량의 이동속도 측정, 통신제어 등의 요금거래제어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는, 통신영역 설정방법 및 트랜잭션 처리 방식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차량의 주행방향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되어있는 3개의 차선을 나타내고 있다.
무선통신 기지국(비도시)은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16) 및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13)과 연결되어 있고 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차로 설비는 이러한 무선통신 기지국과 위반단속 장비(14)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공통처리 통신영역(10)은 요금소에 설치된 무선통신 기지국(비도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16)에 의하여 설정된다. 공통처리 통신영역(10)은 인접한 자동 통행료 징수 차선들을 포함하도록 비교적 넓게 배치하여 차선정보 비이컨 수신영역(11)을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공통처리 통신영역(10)에서 무선통신 기지국과 차량탑재 단말기(12) 사이의 요금거래를 위한 실질적인 통신이 무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영역(10)에서는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를 통하여 요금 거래 트랜잭션을 차선과 차량탑재 단말기에 구분 없이 공통으로 수행한다.
차선정보 비이컨 수신영역(11)은 무선통신 기지국에 연결된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13)에 의하여 설정되며 차선별로 상호 배타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비이컨은 특정 위치 또는 장소 등의 정해진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장치 또는 정보 패킷을 말한다. 차선정보 비이컨 수신영역(11)에서 차로설비(기지국 제어장치)는 각 차선별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13)를 통하여 해당 차선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하고, 차량 탑재단말기(12)는 상기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11) 중 한 개로부터 자신이 운행중인 차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각 차선은 차선분리 구조물(15)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여기서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16) 및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13)는 무선통신 기지국과 연결되어 시분할 방식으로 스위칭되어 전파를 방사하도록 제어됨에 주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두 영역이 중첩된다 하더라도 한 시점에서는 하나의 통신 영역만 전파를 방사하게 되어, 두 영역간의 간섭 문제없이 하나의 기지국으로 두 개의 통신 영역 설정이 가능하다.
이제 차량탑재 단말기가 공통처리 통신영역에 진입하여 과금처리가 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각 차량탑재 단말기가(12) 공통처리 통신영역(10)으로 진입하면,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16)를 통하여 요금 거래 트랜잭션을 개시하여 기지국 프로파일을 방송하며, 기지국 프로파일에는 요금소 및 요금거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되어 있다.
다음, 도로 통행료 지불거래 과정 중 차량탑재 단말기(12)에서 요금을 차감하는 사건을 포함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요금거래의 초기과정을 공통처리 통신영역에서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16)를 통하여 수행하도록 한다. 요금거래의 초기과정의 수행은, 차량탑재 단말기가 기지국 프로파일을 수신한 후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로 요금거래에 필요한 사전정보가 포함된 요금거래 의뢰정보를 송신하고,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가 상기 요금거래 의뢰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탑재 단말기로 요금거래 의뢰정보에 대응하는 통행료 부과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후 차량탑재 단말기(12)가 차선정보 비이컨 영역(11)에 진입하여 해당 비이컨 안테나(11)로부터 차선식별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에만, 초기과정 이후의 요금거래(통행료 정산)를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를 통하여 완료함으로써 비이컨 영역(11)을 통과하지 않은 차량탑재 단말기와는 요금 거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차량탑재 단말기에서는 통행료 정산 결과와 차량탑재 단말기의 인식번호가 포함된 응답신호를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16)를 통하여 차로 설비로 전송되도록 하여, 위반차량에 대해서는 차선정보 비이컨 영역(11) 통과 이후에 카메라 등의 위반단속 장비(14)로 단속할 수 있다. 또한, 전송된 신호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이동속도 측정, 통신제어 등의 요금거래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상하행)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가 도시되고, 양방향 각 1차선 요금징수를 위한 통신영역의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위쪽 차선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주행하는 하행 차선을 나타내며, 아래쪽 차선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주행하는 상행 차선을 나타낸다. 공통처리 통신영역(20)은 도1에서와 마찬가지로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16)에 의하여 설정되나, 주행방향과 관계없이 요금거래의 수행이 가능한 통신 영역이다. 먼저 하행 차선의 경우 차량탑재 단말기(12)가 공통처리 통신영역(20)에 진입하면 단말기(12) 내에서 요금을 차감하는 행위를 하기 전까지의 가능한 요금거래과정을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16)를 통하여 수행한다. 이후 차선정보 비이컨 수신영역(11)에 도착하여 차선정보 비이컨을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13)를 통하여 정상 수신하면 나머지 요금거래과정을 완료한다. 과금 위반차량에 대한 조치는 차선정보 비이컨 수신영역(11) 이후에 카메라 등의 위반단속 장비(24)로 수행할 수 있다.
상행 차선의 경우에도 하행 차선의 경우와 유사하게 처리된다. 위반단속 장비(24)가 상행 차선과 하행 차선이 각 진행방향에서 차선정보 비이컨 수신영역을 지난 후에 배치되므로 서로 방향이 반대인 것을 제외하면 하행 차선의 처리와 동일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차로 설비(무선통신 기지국) 측의 처리흐름을 설명하면, 무선통신 기지국은 기지국 프로파일을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방송하고(단계 101), 해당차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선정보 비이컨을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방송한다(단계 102). 기지국 프로파일에는 요금소와 요금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두 안테나는 시분할 방식으로 스위칭되어 서로 중첩된다 하더라도 한 시점에서는 하나의 통신 영역만 전파를 방사하므로 두 영역간의 간섭문제가 일어나지 않고 하나의 기지국으로 두 개의 통신 영역 설정이 가능하다. 임의의 차량탑재 단말기로부터 요금거래 요청이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를 통하여 들어오면(단계 103), 요금거래 의뢰정보 속에 포함된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통행료 부과 정보를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를 통하여 해당 차량탑재 단말기로 송신한 후(단계 104), 통행료 정산결과 정보가 해당 차량탑재 단말기로부터 수신되기를 기다린다. 해당 차량탑재 단말기로부터 통행료 정산결과가 수신되거나 일정시간이 초과하면(단계 105), 통행료 정산결과가 정상인지 점검하고(단계 106), 이를 해당 차량탑재 단말기로 전송하고 위반단속 장치로 전달한 후(단계 107), 해당 차량탑재 단말기와의 요금거래를 종료한다. 특정 단말과 요금거래 중에도 새로운 차량탑재 단말기와 새로운 거래를 개설할 수 있다.
이제, 차량탑재 단말기 측의 처리흐름을 설명하면, 공통처리 통신영역에 진입하여 기지국 프로파일을 수신하면(단계 111), 요금거래에 필요한 사전 정보가 포함된 요금거래 의뢰정보를 무선통신 기지국으로 송신한 후(단계 112), 기지국으로부터 통행료 부과 정보를 기다린다(단계 113). 이때 일정시간 이상 기다려도(단계 114) 통행료 부과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요금거래를 종료하고, 일정시간 이내에 통행료 부과정보를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경우에는 차선정보 비이컨을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를 통하여 이미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여(단계 115), 수신이 정상적으로 된 경우 부과된 통행료를 차감하고(단계 117), 통행료 정산결과를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한다(단계 118). 상기 차선정보 비이컨이 일정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단계 116) 요금거래를 종료한다. 통행료 정산 결과가 기지국으로 정상적으로 송신되고, 기지국으로부터 점검된 통행료 정산결과(단계 106)가 차량탑재 단말기로 수신되면 정산결과에 따라 후 처리를 수행하고(단계 119), 요금거래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넓은 공통처리 통신영역을 설정하기 때문에, 차선별, 주행 방향별 별도의 통신 기지국의 설치가 필요 없으며, 이로 인한 차로설비의 비용이 절감되며 통신 기지국의 별도설치로 인한 인접 차선간 간섭의 문제점이 없다. 또한, 차량이 고속으로 지나가는 경우에도 요금거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안정적인 요금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둘째, 공통처리 통신영역과 비이컨 수신영역을 시분할 방식 스위칭을 이용하여 중첩시키므로, 공통처리 통신영역과 비이컨 수신영역간에 신호간섭이 없게 된다.
셋째, 비이컨 수신영역을 통과하여 차선정보 비이컨을 수신한 차량에 대해서만 요금거래를 완료하도록 함으로써 과금이 잘못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비이컨 수신영역을 매우 좁게 설정가능하기 때문에, 인접차선에 대한 간섭현상으로 인한 요금거래의 안정성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넷째, 차량탑재 단말기가 선택한 차선에 따른 통신 안테나 선택과정이 필요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상하행)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공통처리 통신영역 11: 차선정보 비이컨 수신영역
12: 차량탑재 단말기 13: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
14, 24: 위반단속 장비 16: 무선통신 기지국

Claims (6)

  1.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 및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통신 기지국과 차량에 탑재된 차량탑재 단말기간의 무선통신에 의한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프로파일을 방송하여 공통처리 통신영역을 설정하는 양방향 통신가능한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와;
    상기 무선통신 기지국과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시분할 방식으로 스위칭되며, 해당 차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선정보 비이컨을 방송하여 공통처리 통신영역안에 중첩되도록 차선정보 비이컨 수신영역을 설정하는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들과 양방향 통신가능한 차량탑재 단말기를 포함하는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 단말기가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로부터 차선정보 비이컨을 수신한 경우에만 통행료 정산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 단말기는 그 인식번호가 포함된 응답신호를 통행료 정산결과와 함께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 촬영, 차량의 이동속도 측정, 또는 통신제어 등의 요금거래제어를 수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4.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 및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통신 기지국과 차량에 탑재된 차량탑재 단말기간의 무선통신에 의한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 기지국의 두 안테나를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시분할 방식으로 스위칭하여,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를 통하여 기지국 프로파일을 방송하여 공통처리 통신영역을 설정하고, 차선정보 비이컨 안테나를 통하여 해당 차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선정보 비이컨을 방송하여 공통처리 통신영역안에 중첩되도록 차선정보 비이컨 수신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도로 통행료 지불거래 과정 중 차량탑재 단말기에서 요금을 차감하는 사건을 포함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요금거래의 초기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차량탑재 단말기가 차선정보 비이컨과 통행료 부과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만 통행료 정산을 행하여, 통행료 정산결과를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요금거래의 초기과정을 수행하는 단계가,
    차량탑재 단말기가 기지국 프로파일을 수신한 후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로 요금거래에 필요한 사전정보가 포함된 요금거래 의뢰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가 상기 요금거래 의뢰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탑재 단말기로 요금거래 의뢰정보에 대응하는 통행료 부과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료 정산결과를 공통처리 통신 안테나로 송신하는 단계는, 차량탑재 단말기의 인식번호가 포함된 응답신호를 통행료 정산결과와 함께 송신하도록 하고,
    상기 송신단계 이후에, 송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 촬영, 차량의 이동속도 측정, 또는 통신제어 등의 요금거래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 방법.
KR1020040045497A 2004-06-18 2004-06-18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43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497A KR20050043600A (ko) 2004-06-18 2004-06-18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497A KR20050043600A (ko) 2004-06-18 2004-06-18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600A true KR20050043600A (ko) 2005-05-11

Family

ID=37244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497A KR20050043600A (ko) 2004-06-18 2004-06-18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36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243B1 (ko) * 2018-05-31 2018-08-17 (주)아이트로닉스 차량번호와 하이패스 단말고유번호의 매칭 정확도를 향상시킨 다차로 기반 하이패스 시스템
CN110136447A (zh) * 2019-05-23 2019-08-16 杭州诚道科技股份有限公司 行车变道检测及违法变道识别的方法
CN112203256A (zh) * 2020-09-11 2021-01-08 北京万集科技股份有限公司 车载单元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243B1 (ko) * 2018-05-31 2018-08-17 (주)아이트로닉스 차량번호와 하이패스 단말고유번호의 매칭 정확도를 향상시킨 다차로 기반 하이패스 시스템
CN110136447A (zh) * 2019-05-23 2019-08-16 杭州诚道科技股份有限公司 行车变道检测及违法变道识别的方法
CN112203256A (zh) * 2020-09-11 2021-01-08 北京万集科技股份有限公司 车载单元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2203256B (zh) * 2020-09-11 2024-03-22 北京万集科技股份有限公司 车载单元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6406B2 (ja) ノンストップ料金課金方法及びシステム
US6744383B1 (en) Intelligent roadway system
CN102063742A (zh) 一种解决电子自动收费系统邻道干扰的方法、系统及装置
CN105577788A (zh) 开放性精确位置信息服务推送方法及服务系统
CN103078686A (zh) 用于降低etc系统中邻道干扰的方法、系统及装置
KR100839264B1 (ko) 개방형 톨게이트의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43600A (ko) 도로통행료 자동징수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5666A (ko) 다차로 서비스를 위한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44746B1 (ko) 다 차로에서의 자동 요금 지불 시스템
JP2003196692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KR20020045679A (ko) 무선 자동 요금 정산 시스템
KR101506529B1 (ko) Wave 통신을 이용한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
CN113256828B (zh) 一种路侧单元同步系统及同步方法
KR101482248B1 (ko) Wave 단말기용 안테나의 구동장치
KR20160077771A (ko) Wave 기반 자동요금징수 시스템 및 방법
JP2000090313A (ja) 有料道路の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KR20020086107A (ko) 폐쇄형 톨게이트의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723809B1 (ko) Wave 통신을 이용한 통행료 과금 시스템 및 방법
JP2004282591A (ja) 狭域通信用車載端末
KR19990041034A (ko) 고속도로 운행요금 자동정산장치
KR101636132B1 (ko) Wave 기반 자동요금징수 시스템 및 방법
JP2001034799A (ja) 走行車両用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02260033A (ja) 路側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20134465A (ko) 자동통행료징수 방법 및 장치
KR100811417B1 (ko) 단거리무선통신 노변기지국과 통합주차장관리서버 연동에의한 주차장안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